KR102412489B1 - 피절삭물의 절단면이 미려하게 절단되도록 구성된 절삭기용 원형 톱날 장치 - Google Patents

피절삭물의 절단면이 미려하게 절단되도록 구성된 절삭기용 원형 톱날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2489B1
KR102412489B1 KR1020220028701A KR20220028701A KR102412489B1 KR 102412489 B1 KR102412489 B1 KR 102412489B1 KR 1020220028701 A KR1020220028701 A KR 1020220028701A KR 20220028701 A KR20220028701 A KR 20220028701A KR 102412489 B1 KR102412489 B1 KR 1024124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lar plate
hole
saw blade
slit
cu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287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동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보성특수정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보성특수정밀 filed Critical 주식회사보성특수정밀
Priority to KR10202200287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248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24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24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PLANING; SLOTTING; SHEARING; BROACHING; SAWING; FILING; SCRAPING; LIKE OPERATIONS FOR WORKING METAL BY REMOVING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61/00Tools for sawing machines or sawing devices; Clamping devices for these tools
    • B23D61/02Circular saw blades
    • B23D61/025Details of saw blade bod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PLANING; SLOTTING; SHEARING; BROACHING; SAWING; FILING; SCRAPING; LIKE OPERATIONS FOR WORKING METAL BY REMOVING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45/00Sawing machines or sawing devices with circular saw blades or with friction saw discs
    • B23D45/12Sawing machines or sawing devices with circular saw blades or with friction saw discs with a circular saw blade for cutting tub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awing (AREA)

Abstract

절삭기용 원형 톱날 장치가 개시된다. 본 개시의 절삭기용 원형 톱날 장치는, 원형 판; 상기 원형 판의 원주를 따라 상기 원형 판의 바깥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복수 개의 톱날 지지부; 상기 원형 판의 측면 중 일 부분에 형성되고, 상기 원형 판의 변형을 방지하도록 구성된 제1 변형 방지 구조; 상기 원형 판의 측면 중 상기 일 부분과 다른 부분에 형성되고, 상기 원형 판의 변형을 방지하도록 구성된 제2 변형 방지 구조; 및 각각 상기 복수 개의 톱날 지지부에 결합된 복수 개의 절삭 팁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절삭 팁은, 각각 제1 면; 일단이 상기 제1 면의 상단에 연결되고, 상기 일단에서 타단까지 경사지도록 연장된 제2 면; 상기 제2 면의 타단에 연결되고, 상기 제1 면과 반대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된 제3 면; 및 상기 제1 면 및 상기 제3 면을 연결하도록 배치된 제4 면;을 포함하여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피절삭물의 절단면이 미려하게 절단되도록 구성된 절삭기용 원형 톱날 장치{CIRCULAR SAW DEVICE FOR CUTTING MACHINE CONFIGURED TO CUT THE CUT SURFACE OF CUTTING STUFF BEAUTIFULLY}
본 발명은 절삭기용 원형 톱날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피절삭물의 절단면이 미려하게 절단되도록 구성된 절삭기용 원형 톱날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원형 톱날 장치는 둘레 변을 따라 절삭날이 형성되어 금속재 파이프나 철판, 환봉, 비철금속(Cu, Al 등) 등 각종 산업용 소재를 절단하는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상기 원형 톱날의 절삭 날은 강도 및 경도가 매우 강한 금속재들을 절단하게 되므로 원형 톱날의 톱날부에 금속 절단용 절삭 팁이 고주파 용접을 통해 부착되어 있으며, 이러한 절삭 팁은 절단 작업 시 직접 금속재에 접촉되어 그 표면을 조금씩 절삭하여 피절삭물이 절단 가공된다.
이에 상기 절삭 팁은 매우 높은 강도 및 경도가 요구되므로, 텅스텐 카바이드또는 또는 서멧(cermet)과 같은 합금으로 제작되어 절삭성과 내마모성을 확보하게 된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금속 절단용 원형 톱날의 절삭 팁은 강도 및 경도가 매우 강한 금속재를 주로 절삭 가공하는데 사용하므로 아무리 내구성이 우수한 재료로 절삭 팁을 제작하더라도 반복적인 사용으로 인하여 마모나 파손이 발생하기 쉽다.
특히 절단 작업 중 발생하는 부산물 또는 찌꺼기가 원형 톱날의 톱날부 외부로 원활하게 배출되지 않으면서 절삭 팁과 피절삭물간의 접촉에 의한 간섭이 발생하게 되면, 절삭 팁에 부하가 많이 걸리게 되어 절삭 팁의 강도가 저하되거나, 절삭 팁의 마모 또는 파손이 발생하기 쉽고, 이로 인하여 피절삭물의 절단면이 미려하지 못하여 정밀 절단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이에 피절삭물의 절단면을 미려하게 절단하면서도, 원형 톱날의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는 원형 톱날 장치에 관한 연구가 필요한 실정에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326325호(2021년 11월 09일, 등록)
본 발명은 피절삭물의 절단면을 미려하게 절단하도록 구성된 절삭기용 원형 톱날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반복되는 사용 과정에서 내구성 및 유지성이 확보될 수 있는 절삭기용 원형 톱날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반복되는 사용 과정에서 톱날 지지부 및 톱날 지지부에 결합된 절삭 팁의 마모를 최대한 방지할 수 있는 절삭기용 원형 톱날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절삭기용 원형 톱날 장치는, 원형 판; 상기 원형 판의 원주를 따라 상기 원형 판의 바깥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복수 개의 톱날 지지부; 상기 원형 판의 측면 중 일 부분에 형성되고, 상기 원형 판의 변형을 방지하도록 구성된 제1 변형 방지 구조; 상기 원형 판의 측면 중 상기 일 부분과 다른 부분에 형성되고, 상기 원형 판의 변형을 방지하도록 구성된 제2 변형 방지 구조; 및 각각 상기 복수 개의 톱날 지지부에 결합된 복수 개의 절삭 팁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절삭 팁은, 각각 제1 면; 일단이 상기 제1 면의 상단에 연결되고, 상기 일단에서 타단까지 경사지도록 연장된 제2 면; 상기 제2 면의 타단에 연결되고, 상기 제1 면과 반대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된 제3 면; 및 상기 제1 면 및 상기 제3 면을 연결하도록 배치된 제4 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절삭 팁은, 상기 제3 면과 상기 제4 면을 연결하는 제5 면; 및 상기 제1 면의 하단과 상기 제3 면의 하단을 연결하도록 구성된 제6 면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5 면은, 상기 제2 면의 상기 타단에 대해 경사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6 면은, 상기 원형 판의 중심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3 면은, 제3-1 면 및 상기 제3-1 면과 연결된 제3-2 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3-1 면은, 상단이 상기 제2 면의 상기 타단에 연결되고, 상기 제1 면과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3-2 면은, 상단이 상기 제3-1 면의 하단에 연결되고, 상기 제3-1 면에 대해 경사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면은, 상기 제2 면의 적어도 일 부분에 함몰 형성된 제1 함몰 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원형 판의 측면 중 상기 일 부분 및 상기 다른 부분과 또 다른 부분에 형성되고, 상기 원형 판의 변형을 방지하도록 구성된 제3 변형 방지 구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변형 방지 구조는, 제1-1 슬릿, 상기 제1-1 슬릿과 연결된 제1-2 슬릿 및 상기 제1-2 슬릿과 연결된 제1 관통 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변형 방지 구조는, 제2-1 관통 홀, 상기 제2-1 관통 홀과 이격된 제2-2 관통 홀 및 상기 제2-1 관통 홀 및 상기 제2-2 관통 홀을 연결하는 제2-2 슬릿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 변형 방지 구조는, 제3-1 관통 홀, 상기 제3-1 관통 홀과 이격된 제3-2 관통 홀, 상기 제3-1 관통 홀 및 상기 제3-2 관통 홀을 연결하는 제3-1 슬릿, 제3-3 관통 홀, 상기 제3-3 관통 홀과 이격된 제3-4 관통 홀 및 상기 제3-3 관통 홀 및 상기 제3-4 관통 홀을 연결하는 제3-2 슬릿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4 면은, 상기 제4 면의 적어도 일 부분에 형성된 제2 함몰 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함몰 홈은, 제2-1 함몰 홈, 상기 제2-1 함몰 홈과 이격된 제2-2 함몰 홈 및 상기 제2-2 함몰 홈과 이격된 제2-2 함몰 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절삭 팁은, 상기 제2 면 및 상기 제4 면을 연결하는 제7 면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7 면은, 상기 제2 면 및 상기 제4 면에 대해 경사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절삭 팁은, 상기 톱날 지지부의 일 측면에 결합되는 제1 절삭 팁 및 상기 톱날 지지부의 상기 일 측면과 반대 방향을 향하는 타 측면에 결합되는 제2 절삭 팁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절삭 팁의 제2 면은, 상기 원형 판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기 제2 절삭 팁의 제2 면보다 멀리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절삭기용 원형 톱날 장치는 피절삭물의 절단면을 미려하게 절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절삭기용 원형 톱날 장치는 반복되는 사용 과정에서 원형 톱날 장치의 내구성 및 유지성이 확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절삭기용 원형 톱날 장치는 반복되는 사용 과정에서 톱날 지지부 및 톱날 지지부에 결합된 절삭 팁의 마모를 최대한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반복되는 사용 과정에서 톱날 지지부 및 톱날 지지부에 결합된 절삭 팁의 마모를 최대한 방지할 수 있는 절삭기용 원형 톱날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삭기용 원형 톱날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A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톱날 지지부 및 절삭 팁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톱날 지지부 및 절삭 팁을 나타낸 상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톱날 지지부 및 절삭 팁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톱날 지지부 및 절삭 팁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절삭기용 원형 톱날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톱날 지지부 및 절삭 팁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톱날 지지부 및 절삭 팁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톱날 지지부 및 절삭 팁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톱날 지지부 및 절삭 팁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톱날 지지부 및 절삭 팁을 나타낸 후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충분히 전달하기 위해 제시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여기서 제시한 실시 예만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도면은 본 발명을 명확히 하기 위해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의 도시를 생략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구성요소의 크기를 다소 과장하여 표현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개시된 발명의 바람직한 일 예에 불과할 뿐이며, 본 출원의 출원시점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와 도면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
본 명세서의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도면에서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개시된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1", "제2"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이하에서 사용되는 용어 "상단", "하단", "상부", "하부" 등은 도면을 기준으로 정의한 것이며, 이 용어에 의하여 각 구성요소의 형상 및 위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가 실시 예들의 모든 요소들을 설명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일반적인 내용 또는 실시 예들 간에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부, 모듈, 장치'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으며, 실시 예들에 따라 복수의 '부, 모듈, 장치'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구현되거나, 하나의 '부, 모듈, 장치'가 복수의 구성요소들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를 포함하고, 간접적인 연결은 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구성요소가 전술된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예외가 있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실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삭기용 원형 톱날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A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원형 톱날 장치(100)는 원형 판(110), 복수 개의 톱날 지지부(120), 복수 개의 절삭 팁(130), 제1 변형 방지 구조(140) 및 제2 변형 방지 구조(150)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원형 판(110)은 일정한 또는 지정된 두께를 갖는 원형의 판 형상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원형 판(110)은 원형 판(110)의 내부에 제1 개구(111)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개구(111)는 원형 판(110)의 일 측면 및 상기 일 측면과 반대 방향을 향하는 타 측면을 원형으로 관통하는 형상일 수 있다. 제1 개구(111)는 원형 판(110)의 중심 또는 중앙에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개구(111)는 절삭기(미도시)의 구동부(미도시)와 연결 또는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원형 판(110)은 제1 개구(111)를 통해 절삭기(미도시)의 구동부(미도시)에 연결 또는 결합될 수 있고, 원형 판(110)은 절삭기(미도시)의 구동부(미도시)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될 수 있다.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원형 판(110)은 절단 또는 절삭 과정에서 원형 판(110)이 헛도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원형 판(110)을 절삭기(미도시)의 구동부(미도시)에 결합시키는 추가적인 제2 개구(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제2 개구(미도시)는 제1 개구(111)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고, 복수 개가 마련될 수 있다. 원형 판(110)은, 초경소재, 예를 들어, 탄소강으로 제작될 수 있으며, 지정된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지정된 두께는 약 5mm 내지 약 10mm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원형 판(110)은 강철 판 또는 강화 알루미늄을 가공하여 형성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다양한 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 개의 톱날 지지부(12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 판(110)의 원주를 따라 원형 판(110)의 바깥 방향(또는 방사 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 개의 톱날 지지부(120)는 원형 판(110)의 바깥 테두리(또는 모서리)로부터 원형 판(110)의 바깥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고, 복수 개의 톱날 지지부(120)는 등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복수 개의 톱날 지지부(120)는 원형 판(110)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복수 개의 톱날 지지부(120)는 원형 판(110)과 동일한 재질로 마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도 2를 참조하면, 각각의 톱날 지지부(120)는 곡률부(121), 제1 경사면(122), 제2 경사면(123) 및 제3 경사면(124)을 포함할 수 있다.
곡률부(121)는 복수 개의 톱날 지지부(120) 사이에 요입 형성된 부분일 수 있다. 곡률부(121)는 적어도 일 부분이 반원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곡률부(121)는 어느 하나의 톱날 지지부(120)의 제1 경사면(122)과 이와 인접된 톱날 지지부(120)의 제3 경사면(124)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곡률부(121)는 원형 판(110)의 원주 또는 바깥 테두리 중 적어도 일 부분을 형성하는 부분으로 해석 및 정의될 수 있다. 곡률부(121)는 약 10R의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1 경사면(122)은 곡률부(121)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된 부분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경사면(122)은 원형 톱날 장치(100)의 회전 방향(예: 도 1의 반시계 방향)을 향해 보다 높은 위치로 연장되도록 경사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경사면(122)은 전반적으로 원형 톱날 장치(100)의 역회전 방향(예: 도 1의 시계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2 경사면(123)은 제1 경사면(122)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된 부분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경사면(123)은 원형 톱날 장치(100)의 회전 방향(예: 도 1의 반시계 방향)을 향해 보다 높은 위치로 연장되도록 경사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 경사면(123)은 제1 경사면(122)보다 완만한 경사를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경사면(123)은 전반적으로 원형 판(110)의 중심을 기준으로 방사 방향 또는 원형 판(110)의 원주의 바깥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3 경사면(124)은 제2 경사면(123)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된 부분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3 경사면(124)은 원형 톱날 장치(100)의 회전 방향(예: 도 1의 반시계 방향)과 반대 방향인 역회전 방향(예: 도 1의 시계 방향)을 향해 보다 낮은 위치로 연장되도록 경사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3 경사면(124)은 곡률부(121)의 타단에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3 경사면(124)은 제1 경사면(122)보다 가파른 경사를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3 경사면(124)은 전반적으로 원형 톱날 장치(100)의 회전 방향(예: 도 1의 반시계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 개의 절삭 팁(130)은 각각 복수 개의 톱날 지지부(120)에 결합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절삭 팁(130)은 각각 제1 면(131),제2 면(132), 제3 면(133), 제4 면(134), 제5 면(135) 및 제6 면(136)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복수 개의 절삭 팁(130)은 각각 블록 형상일 수 있고, 복수 개의 톱날 지지부(120)에 함몰 형성된 안착 공간(미도시)에 안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 복수 개의 절삭 팁(130)은 각각 일 부분이 함몰 형성된 안착 홈(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안착 홈(미도시)이 복수 개의 톱날 지지부(120)에 소켓 결합 방식으로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복수 개의 절삭 팁(130)은 복수 개의 톱날 지지부(120)에 용접 결합되거나 또는 볼트 결합될 수 있고, 이에 한정하지 않고 다양한 방식을 통해 복수 개의 톱날 지지부에 결합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절삭 팁(130)은 초경합금 또는 서멧(crmet) 또는 초경합금과 서멧을 결합한 서멧초경합금 중에서 어느 하나의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초경합금은 높은 경도를 가지는 탄화물과 인성을 가지는 금속을 혼합물로, 경도와 인성을 함께 가지고 있어, 금속 절단기 또는 다양한 소재, 부품에 활용되고 있다. 써멧은 TiC-Ni-Mo계열의 초경합금을 사용한 것으로, 세라믹의 특성과 금속의 특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서멧 공구는 세라믹이 포함하는 경도, 내마모성, 내산성, 내약품성을 가지고, 금속이 포함하는 강인성, 가소성을 포함할 수 있다. 서멧초경합금은 초경합금과 서멧의 장점만을 결합하여, 금속의 특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따라서, 서멧초경합금은 내열성 및 내 산화성이 우수하고, 마찰계수가 작아 피절삭물과의 마찰에 의하 열 발생이 줄어, 절삭 속도가 빠르고, 마찰에 의한 절삭 팁(130)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제1 면(132)은 제1 경사면(122)과 실질적으로 같은 방향 또는 실질적으로 유사한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면(132)은 인접한 절삭 팁(130)의 제3 면(133)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면(132)은 전반적으로 원형 톱날 장치(100) 또는 원형 판(110)의 역회전 방향(예: 도 1의 시계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2 면(132)은 제1 면(131)의 상단으로부터 원형 판(110)의 회전 방향(예: 도 1의 반시계 방향)을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 면(132)은 제1 면(131)의 상단으로부터 상기 회전 방향을 향해 높이가 높아지도록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면(132)은 전반적으로 원형 판(110)의 중심을 기준으로 방사 방향 또는 원형 판(110)의 원주의 바깥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면(132)은 일단(132a)이 제1 면(131)의 상단에 연결될 수 있고, 타단(132c)이 제3 면(133)의 상단에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면(132)은 일단(132a)과 타단(132c)을 연결하는 연결 부분(132b)이 형성하는 제1 각도(B)가 약 10도 내지 14도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각도(B)는 다음과 같이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원형 판(110)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제2 면(132)의 타단(132c)까지의 거리를 반지름으로 하는 가상의 원(미도시)이 있을 때, 상기 제1 각도(B)는 상기 가상의 원 상에서 상기 제2 면(132)의 타단(132c) 부분이 형성하는 가상의 접선인 제1 선(L1)과 상기 제2 면(132)의 연결 부분(132b)으로부터 연장된 가상의 선인 제2 선(L2)가 형성하는 사이 각도일 수 있다. 상기 제1 각도(B)는 약 10도 내지 14도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약 12도일 수 있다.
제3 면(133)은 제2 면(132)의 타단(132c)에 연결될 수 있고, 실질적으로 제3 경사면(124)과 동일한 경사 각도를 가지도록 또는 제3 경사면(124)과 평행하도록 연장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3 면(133)은 전반적으로 원형 톱날 장치(100) 또는 원형 판(110)의 회전 방향(예: 도 1의 반시계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4 면(134)은 제1 면(131), 제2 면(132), 후술하는 제5 면(135) 및 후술하는 제6 면(136)을 연결하는 면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4 면(134)은 절삭 팁(130)의 측면(예: 절삭 팁(130) 중 바깥 방향을 향하는 측면)을 구성하는 면일 수 있다.
제5 면(135)은 제3 면(133)과 제4 면(134)을 연결하는 면일 수 있고,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제6 면(136)은 원형 판(110)의 중심을 향하는 면일 수 있고, 제2 면(132)과 실질적으로 반대 방향을 향하는 면일 수 있다. 제6 면(136)은 제1 면(131)의 하단, 제4 면(134)의 하단, 제5 면(135)의 하단 및 제3 면(133)의 하단을 연결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원형 톱날 장치(100)는 제1 변형 방지 구조(14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변형 방지 구조(140)는 복수 개로 마련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제1 변형 방지 구조(140)는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6개로 마련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6개 미만의 개수로 마련되거나 또는 6개 초과하는 개수로 마련될 수도 있다. 복수 개의 제1 변형 방지 구조(140)는 원형 판(110)의 방사 방향을 기준으로 등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제1 변형 방지 구조(140)는 각각 제1-1 슬릿(141), 제1-2 슬릿(142) 및 제1 관통 홀(14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1 슬릿(141)은 일단이 곡률부(121)에 연결될 수 있고, 원형 판(110)의 일 측면 및 상기 일 측면과 반대 방향을 향하는 타 측면을 관통하는 슬릿 형상일 수 있다. 제1-1 슬릿(141)은 원형 판(110)의 중심을 향해 연장되어 제1-1 길이를 가질 수 있고, 지정된 또는 임의의 제1-1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제1-2 슬릿(142)은 일단이 제1-1 슬릿(141)의 타단에 연결될 수 있고, 원형 판(110)의 일 측면 및 상기 일 측면과 반대 방향을 향하는 타 측면을 관통하는 슬릿 형상일 수 있다. 제1-2 슬릿(142)은 원형 판(110)의 중심을 향해 연장되어 제1-2 길이를 가질 수 있고, 지정된 또는 임의의 제1-2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2 길이는 제1-1 길이보다 작을 수 있고, 제1-2 두께는 제1-1 두께보다 작을 수 있다.
제1 관통 홀(143)은 제1-2 슬릿(142)의 타단에 연결될 수 있고, 원형 판(110)의 일 측면 및 상기 일 측면과 반대 방향을 향하는 타 측면을 관통하는 홀 형상일 수 있다. 제1 관통 홀(143)은 지정된 또는 임의의 제1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직경은 제1-1 두께 또는 제1-2 두께 중 적어도 하나보다 크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원형 톱날 장치(100)는 제2 변형 방지 구조(150)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변형 방지 구조(150)는 복수 개로 마련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제2 변형 방지 구조(15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 판(110)의 원주를 따라 등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제2 변형 방지 구조(150)는 6개가 마련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6개 미만으로 마련되거나 또는 6개 초과로 마련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변형 방지 구조(150)는 제1 변형 방지 구조(140)와 중첩되지 않는 부위의 원형 판(110)의 부위에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각각의 제2 변형 방지 구조(150)는 원형 판(110)의 중심 또는 제1 개구(111)를 기준으로 방사 방향으로 등 간격으로 배치된 제1 변형 방지 구조(14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 개의 제2 변형 방지 구조(150)는 각각 제2-1 관통홀(151), 제2 슬릿(152) 및 제2-2 관통홀(153)을 포함할 수 있다.
제2-1 관통홀(151)은 원형 판(110)의 일 측면 및 상기 일 측면과 반대 방향을 향하는 타 측면을 관통하는 홀 형상일 수 있다.
제2 슬릿(152)은 일단이 제2-1 관통홀(151)에 연결되고, 제2-1 관통홀(151)로부터 지그재그로 연장되어 타단이 제2-2 관통홀(153)에 연결될 수 있다. 제2 슬릿(152)은 원형 판(110)의 일 측면 및 상기 일 측면과 반대 방향을 향하는 타 측면을 관통하는 슬릿 형상일 수 있다. 제2 슬릿(152)의 두께는 제1-2 슬릿(142)의 두께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제2-2 관통홀(153)은 제2 슬릿(152)의 타단에 연결될 수 있다. 제2-2 관통홀(153)은 원형 판(110)의 일 측면 및 상기 일 측면과 반대 방향을 향하는 타 측면을 관통하는 홀 형상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2 관통홀(153)의 직경은 제2-1 관통홀(151)의 직경과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또한, 제2-2 관통홀(153)의 직경은 제1 관통홀(143)의 직경과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변형 방지 구조(140) 및 제2 변형 방지 구조(150)는 원형 판(110)의 변형을 방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변형 방지 구조(140) 및 제2 변형 방지 구조(150)는 원형 톱날 장치(100)의 동작 중에서 원형 판(110)에 누적되는 열 응력에 의해 원형 판(110)의 일 부분 또는 단부가 열 팽창될 때, 열 팽창에 의해 증가되는 부피 또는 면적을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변형 방지 구조(140) 및 제2 변형 방지 구조(150)는 원형 판(110)의 적어도 일 부분을 관통하는 슬릿 또는 홀로 구성되므로, 이 부분이 원형 판(110)의 증가되는 부피 또는 면적을 수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톱날 지지부 및 절삭 팁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톱날 지지부 및 절삭 팁을 나타낸 상면도이다. 도 3a는 어느 하나의 톱날 지지부 및 이에 결합된 절삭 팁을 도 2의 S1 방향으로 바라본 도면이고, 도 3b는 어느 하나의 톱날 지지부 및 이에 결합된 절삭 팁을 도 2의 S2 방향으로 바라본 도면이다.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원형 톱날 장치(100)는 제1 경사면(122) 및 제2 경사면(123)을 포함하는 톱날 지지부(120), 및 제1 면(131), 제2 면(132), 제4 면(134), 제5 면(135) 및 제6 면(136)을 포함하는 절삭 팁(130)할 수 있다.
도 3a 및 도 3b의 구성들 중에서 도 1 내지 도 2의 구성들과 동일한 명칭을 가지는 구성은 도 1 내지 도 2의 동일한 명칭을 가지는 구성들과 일부 또는 전부가 동일할 수 있다.
도 3a를 참조하면, 절삭 팁(130)은 제1 면(131)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면(131)은 적어도 일 부분이 톱날 지지부(120)의 제2 경사면(123)의 상면 또는 상부에 결합되도록 구성된 제1-1 면(131a) 및 적어도 일 부분이 톱날 지지부(120)의 측면(예: 제1 경사면(122) 및 제2 경사면(123)의 측면을 구성하도록 형성된 측면)에 배치된 제1-2 면(131b)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b를 참조하면, 절삭 팁(130)은 제5 면(135)을 포함할 수 있다. 제5 면(135)은 제2 면(132)의 타단(132c) 및 제4 면(134)의 상단을 연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5 면(135)은 제3 면(133)(예: 도 3의 제3 면(133)) 및 제4 면(134)을 연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5 면(135)은 제2 면(132)의 타단(132c) 또는 제4 면(134)의 상단에 대해 경사지도록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5 면(135)은 제2 면(132)의 타단(132c) 또는 제3 면(133)(예: 도 2의 제3 면(133))에 대해 약 40도 내지 50도의 경사를 가지도록 연장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약 45도의 경사를 가지도록 연장될 수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3b를 참조하여, 원형 톱날 장치(100)의 동작에 대해 살펴본다.
원형 톱날 장치(100)는 원형 판(110)이 절삭기(미도시)의 구동부(미도시)에 의해 회전됨으로써, 원형 톱날 장치(100)가 회전될 수 있다. 원형 톱날 장치(100)는 회전 방향(예: 도 1의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 따르면, 원형 톱날 장치(100)는 역회전 방향(예: 도 1의 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수도 있다.
피절삭물(미도시)을 절단시키기 위해, 원형 톱날 장치(100)는 피절삭물(미도시)에 접촉될 수 있다. 이 때, 원형 톱날 장치(100)의 복수 개의 톱날 지지부(120) 및 이에 결합된 복수 개의 절삭 팁(130)은 피절삭물과 닿게 된다. 이 때, 절삭 팁(130)은 제2 면(132)의 타단(132c)이 가장 먼저 피절삭물에 닿게 된다. 한편, 피절삭물의 절단 과정으로부터 발생된 피절단물의 부산물(또는 버어(burr), 찌꺼기)는 제5 면(135)을 통해 톱날 지지부(120) 및 절삭 팁(130)의 바깥 방향으로 유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피절삭물의 부산물이 원활하게 배출됨으로써, 절삭 팁(130) 또는 톱날 지지부(120)에 과도한 하중이 작용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원형 톱날 장치(100)가 보다 피절삭물 쪽으로 움직이면서, 톱날 지지부(120)의 제3 경사면(124) 또는 절삭 팁(130)의 제3 면(133)이 피절삭물에 닿게 되면서 함께 절단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제1 변형 방지 구조(140) 및 제2 변형 방지 구조(150)는 원형 판(110)에 누적되는 열 응력에 의해 원형 판(110)의 특정 부위가 팽창 또는 면적이 확장되는 것을 수용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톱날 지지부 및 절삭 팁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원형 톱날 장치(100)는 제1 면(231), 제2 면(232), 제3 면(233), 제4 면(234) 및 제6 면(236)을 포함하는 절삭 팁(23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의 구성들 중에서 도 1 내지 도 3b의 구성들과 동일한 명칭을 가지는 구성은 도 1 내지 도 3b의 동일한 명칭을 가지는 구성들과 일부 또는 전부가 동일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제3 면(233)은 제2 면(232)으로부터 연장된 제3-1 면(233a) 및 제3-1 면(233a)으로부터 연장된 제3-2 면(233b)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3-1 면(233a)은 원형 판(110)의 중심을 향하도록 연장될 수 있고, 제3-2 면(233b)은 제3-1 면(233a)에 대해 경사지도록 연장될 수 있다.
원형 톱날 장치(100)의 동작시 제3-1 면(233a)이 피절삭물을 절단시키면서 발생된 부산물은 제3-2 면(233b)을 통해 절삭 팁(230)의 바깥(예: 절삭 팁(230)의 하부 방향)으로 배출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톱날 지지부 및 절삭 팁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원형 톱날 장치(100)는 제1 면(231), 제2 면(232), 제4 면(234) 및 제6 면(236)을 포함하는 절삭 팁(23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의 구성들 중에서 도 1 내지 도 4의 구성들과 동일한 명칭을 가지는 구성은 도 1 내지 도 4의 구성들과 일부 또는 전부가 동일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제2 면(232)은 적어도 일 부분이 함몰 형성된 제1 함몰 홈(232a)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함몰 홈(232a)은 부산물이 배출되는 경로를 형성할 수 있다. 제1 함몰 홈(232a)은 제2 면(232) 상에서 원형 톱날 장치(100)의 회전 방향(도 1의 반시계 방향) 또는 역회전 방향(도 1의 시계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피절삭물의 절단 과정에서, 제2 면(232)과 닿는 피절삭물과 제2 면(232) 사이에서 발생된 부산물이 제대로 배출되지 않는다면, 제2 면(232)과 피절삭물 사이에서 마찰이 발생하거나 또는 과도한 하중이 작용될 수 있다. 이 때, 제2 면(232)에 형성된 제1 함몰 홈(232a)에 부산물이 수용될 수 있으므로, 제1 함몰 홈(232a)을 통해 부산물이 배출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절삭기용 원형 톱날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원형 톱날 장치(100)는 복수 개의 제3 변형 방지 구조(1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복수 개의 제3 변형 방지 구조(180)는 각각 제3-1 관통홀(181), 제3-2 관통홀(182), 제3-1 슬릿(183), 제3-3 관통 홀(184), 제3-4 관통 홀(185) 및 제3-2 슬릿(186)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변형 방지 구조(180)는 원형 판(110)의 변형을 방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3 변형 방지 구조(180)는 제1 변형 방지 구조(140) 및 제2 변형 방지 구조(150)(예: 도 1의 제2 변형 방지 구조(150))와 중첩되지 않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제3 변형 방지 구조(180)는 제1 변형 방지 구조(140) 및 제2 변형 방지 구조(150)처럼 원형 판(110)의 변형을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3-1 관통 홀(181)은 원형 판(110)의 일 측면 및 상기 일 측면과 반대 방향을 향하는 타 측면을 관통하는 홀 형상일 수 있다.
제3-2 관통 홀(182)은 원형 판(110)의 일 측면 및 상기 일 측면과 반대 방향을 향하는 타 측면을 관통하는 홀 형상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3-1 관통 홀(181)은 제3-2 관통 홀(182)과 원형 판(110)의 중심에서 방사 방향을 향해 연장된 가상의 직선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3-1 슬릿(183)은 제3-1 관통 홀(181) 및 제3-2 관통 홀(182)을 연결하는 슬릿일 수 있다. 제3-1 슬릿(183)은 원형 판(110)의 일 측면 및 상기 일 측면과 반대 방향을 향하는 타 측면을 관통하는 슬릿 형상일 수 있다. 제3-1 슬릿은 상기 가상의 직선 상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제3-1 관통 홀(181), 제3-2 관통 홀(182) 및 제3-1 슬릿(183)은 제1 변형 방지 구조(140)와 상기 가상의 직선 상에 함께 배치될 수 있다.
제3-3 관통 홀(184)은 원형 판(110)의 일 측면 및 상기 일 측면과 반대 방향을 향하는 타 측면을 관통하는 홀 형상일 수 있다.
제3-4 관통 홀(185)은 원형 판(110)의 일 측면 및 상기 일 측면과 반대 방향을 향하는 타 측면을 관통하는 홀 형상일 수 있다.
제3-2 슬릿(186)은 제3-3 관통 홀(184) 및 제3-4 관통 홀(185)을 연결하는 슬릿일 수 있다. 제3-2 슬릿(186)은 원형 판(110)의 일 측면 및 상기 일 측면과 반대 방향을 향하는 타 측면을 관통하는 슬릿 형상일 수 있다. 제3-3 관통 홀(184), 제3-4 관통 홀(185) 및 제3-2 슬릿(186)은 원형 판(110)의 중심으로부터 지정된, 설정된 또는 임의의 반지름을 가지는 가상의 원을 형성하는 선 상에 함께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3-1 관통 홀(181), 제3-2 관통 홀(182), 제3-3 관통 홀(184) 및 제3-4 관통 홀(185)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3-1 슬릿(183) 및 제3-2 슬릿(186)은 일 부분이 서로 교차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톱날 지지부 및 절삭 팁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원형 톱날 장치(100)는 제1 면(331), 제2 면(332) 및 제4 면(334)을 포함하는 절삭 팁(33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7의 구성들 중에서 도 1 내지 도 6의 구성들과 동일한 명칭을 가지는 구성은 도 1 내지 도 6의 구성들과 일부 또는 전부가 동일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절삭 팁(330)의 제4 면(334)은 경사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4 면(334)은 제2 면(332)과 연결된 부위로부터 톱날 지지부(120)(예: 제1 경사면(122) 및 제2 경사면(123)의 측면))에 연결된 부위까지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4 면(334)의 하단은 톱날 지지부(120)의 측면에 연결될 수 있고, 제4 면(334)의 상단은 톱날 지지부(120)의 측면에서 연장된 가상의 직선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톱날 지지부 및 절삭 팁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원형 톱날 장치(100)는 제1 면(431), 제2 면(432), 제4 면(434) 및 제6 면(436)을 포함할 수 있다.
도 8의 구성들 중에서 도 1 내지 도 7의 구성들과 동일한 명칭을 가지는 구성은 도 1 내지 도 7의 구성들과 일부 또는 전부가 동일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절삭 팁(430)의 제6 면(436)은 경사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6 면(436)은 제4 면(434)과 연결된 부위로부터 톱날 지지부(120)(예: 제1 경사면(122) 및 제2 경사면(123)의 측면))에 연결된 부위까지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6 면(436)의 하단은 톱날 지지부(120)의 측면에 연결될 수 있고, 제6 면(436)의 상단은 톱날 지지부(120)의 측면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톱날 지지부 및 절삭 팁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원형 톱날 장치(100)는 제1 면(531), 제2 면(532), 제4 면(534) 및 제6 면(536)을 포함하는 절삭 팁(53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9의 구성들 중에서 도 1 내지 도 8의 구성들과 동일한 명칭을 가지는 구성은 도 1 내지 도 8의 구성들과 일부 또는 전부가 동일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제4 면(534)은 제4 면(534)의 적어도 일 부분에 함몰 형성된 제2-1 함몰 홈(534a), 제2-2 함몰 홈(534b) 및 제2-3 함몰 홈(534c)을 포함할 수 있다.
제2-1 함몰 홈(534a), 제2-2 함몰 홈(534b) 및 제2-3 함몰 홈(534c)은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2-1 함몰 홈(534a), 제2-2 함몰 홈(534b) 및 제2-3 함몰 홈(534c)은 제4 면(534) 상에서 원형 톱날 장치(100)의 회전 방향(도 1의 반시계 방향) 또는 역회전 방향(도 1의 시계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1 함몰 홈(534a)은 제2 면(532)에 인접 배치될 수 있고, 제2-3 함몰 홈(534c)은 제6 면(536)에 인접 배치될 수 있고, 제2-2 함몰 홈(534b)은 제2-1 함몰 홈(534a) 및 제2-3 함몰 홈(534c)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피절삭물의 절단 과정에서, 제4 면(534)은 피절삭물과 닿게 되는데, 이 때 제4 면(534)과 닿는 부위의 피절삭물에서 발생된 부산물은 제4 면(534)에 대해 반발력으로 작용될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복수 개의 제2 함몰 홈들(534a, 534b, 534c)은 제4 면(534) 및 제4 면(534)과 닿는 피절삭물의 부위에서 형성된 부산물이 배출되는 통로를 형성할 수 있다. 복수 개의 제2 함몰 홈(534a, 534b, 534c)는 원형 톱날 장치(100)가 회전되는 과정에서, 제4 면(534)과 피절삭물 사이에서 형성된 부산물을 배출하는 경로를 형성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톱날 지지부 및 절삭 팁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원형 톱날 장치(100)는 제1 면(631), 제2 면(632), 제4 면(634), 제6 면(636) 및 제7 면(637)을 포함하는 절삭 팁(63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0의 구성들 중에서 도 1 내지 도 9의 구성들과 동일한 명칭을 가지는 구성은 도 1 내지 도 8의 구성들과 일부 또는 전부가 동일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절삭 팁(630)은 제7 면(637)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7 면(637)은 제2 면(632) 및 제4 면(634)을 경사지도록 연결할 수 있다. 제7 면(637)은 제2 면(632) 및 제4 면(634)이 연결된 부위를 모따기하여 형성할 수 있다.
원형 톱날 장치(100)의 동작 과정에서, 제2 면(632)이 피절삭물을 절단시킬 때 발생된 피절삭물의 부산물은 제7 면(637)을 통해 절삭 팁(630)의 바깥으로 유도되어 배출될 수 있다.
한편, 도 4 내지 도 10에 도시된 절삭 팁(230, 330, 430, 530, 630)은 톱날 지지부(120)의 일 측면에만 결합된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도 1 내지 도 3b의 절삭 팁(130)과 동일하게 톱날 지지부(120)의 일 측면, 상면 및 상기 일 측면과 반대 방향을 향하는 타 측면을 감싸는 형상을 갖고, 상기 톱날 지지부(120)에 결합될 수도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톱날 지지부 및 절삭 팁을 나타낸 후면도이다. 도 11은 어느 하나의 톱날 지지부 및 이에 결합된 절삭 팁을 도 2의 S2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바라본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원형 톱날 장치(100)는 제2 면(732), 제3 면(733), 제4 면(734), 제6 면(736), 제7 면(737) 및 제8 면(738)을 포함하는 절삭 팁(73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1의 구성들 중에서 도 1 내지 도 10의 구성들과 동일한 명칭을 가지는 구성은 도 1 내지 도 10의 구성들과 일부 또는 전부가 동일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절삭 팁(730)은 한 쌍이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절삭 팁(730)은 제3 경사면(124)을 포함하는 톱날 지지부(120)의 일 측면에 결합된 제1 절삭 팁(730)(도 11의 우측의 절삭 팁(730)) 및 톱날 지지부(120)의 상기 일 측면과 반대 방향을 향하는 타 측면에 결합된 제2 절삭 팁(730)(도 11의 좌측의 절삭 팁(730))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절삭 팁(730) 및 제2 절삭 팁(730)은 서로 이격되어 그 사이에 유도 공간(H)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절삭 팁(730)의 제3 면(733) 및 제2 절삭 팁(730)의 제3 면(733)은, 제3 경사면(124)보다 전방(예: 도 2의 S2 방향)으로 돌출된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유도 공간(H)은 후방이 제3 경사면(124)에 의해 밀폐되고, 양 측방이 제1 절삭 팁(730) 및 제2 절삭 팁(730)에 의해 밀폐될 수 있다.
피절삭물의 절단 과정에서 절삭 팁(730)들의 제2 면(732)이 피절삭물을 절단하게 되면, 절삭 팁(730)들의 제2 면(732)에 의해 절단된 피절삭물에서 발생된 부산물은 상기 유도 공간(H)을 통해 절삭 팁(730)들의 바깥으로 배출되도록 유도될 수 있다.
한편, 제7 면(737)들은 각각 제2 면(732a, 732b)들에 대해, 소정의 또는 임의의 각도를 가지도록 경사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7 면(737)들은 각각 제2 면(732a, 732b)들에 대해, 약 40도 내지 50도의 각도를 가지도록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약 45도의 각도를 가지도록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다.
한편, 제1 절삭 팁(730)의 제2 면(732b)은, 제2 절삭 팁(730)의 제2 면(732a)과의 사이에서 소정의 또는 임의의 단차(d1)를 형성할 수 있다. 즉, 원형 판(110)의 중심을 기준으로, 제1 절삭 팁(730)의 제2 면(732b)이 제2 절삭 팁(730)의 제2 면(732a)보다 멀리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임의의 단차(d1)는, 약 0.1mm 내지 0.5mm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약 0.3mm일 수 있다.
이에 따라, 피절삭물의 절단 과정에서 제1 절삭 팁(730)의 제2 면(732b)은 제2 절삭 팁(730)의 제2 면(732a)보다 먼저 피절삭물에 닿게 되고, 그 이후에 제2 절삭 팁(730)의 제2 면(732a)이 피절삭물에 닿게 된다. 이에 따라, 제1 절삭 팁(730)의 제2 면(732b)과 제2 절삭 팁(730)의 제2 면(732a)이 동시에 피절삭물에 닿게 되는 경우에 발생되는 제1 반발력과 비교하여, 본 발명은 제1 절삭 팁(730)의 제2 면(732b)이 피절삭물에 먼저 닿으므로 상기 제1 반발력보다 작은 제2 반발력이 작용하므로, 작업자가 절단 작업을 할때 보다 용이하게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절삭 팁(730)은 제8 면(738)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8 면(738)은 제2 면(732a, 732b)과 절삭 팁(730)들의 측면(예: 톱날 지지부(120)에 결합된 측면)을 연결하는 면일 수 있다. 제8 면(738)은 제2 면(732a, 732b)에 대해, 경사지도록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8 면(738)들은 각각 제2 면(732a, 732b)들에 대해, 약 40도 내지 50도의 각도를 가지도록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약 45도의 각도를 가지도록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피절삭물의 절단 과정에서 제2 면(732a, 732b)에 의해 절단된 피절삭물에서 발생된 부산물은 상기 제8 면(738)을 따라 상기 유도 공간(H)으로 유도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 원형 톱날 장치
110: 원형 판
120: 톱날 지지부
130, 230, 330, 430, 530, 630, 730: 절삭 팁
140: 제1 변형 방지 구조
150: 제2 변형 방지 구조
180: 제3 변형 방지 구조

Claims (5)

  1. 절삭기용 원형 톱날 장치에 있어서,
    원형 판;
    상기 원형 판의 원주를 따라 상기 원형 판의 바깥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복수 개의 톱날 지지부;
    상기 원형 판의 측면 중 일 부분에 형성되고, 상기 원형 판의 변형을 방지하도록 구성된 복수 개의 제1 변형 방지 구조;
    상기 원형 판의 측면 중 상기 일 부분과 다른 부분에 형성되고, 상기 원형 판의 변형을 방지하도록 구성된 복수 개의 제2 변형 방지 구조; 및
    각각 상기 복수 개의 톱날 지지부에 결합된 복수 개의 절삭 팁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절삭 팁은, 각각
    제1 면;
    일단이 상기 제1 면의 상단에 연결되고, 상기 일단에서 타단까지 경사지도록 연장된 제2 면;
    상기 제2 면의 타단에 연결되고, 상기 제1 면과 반대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된 제3 면; 및
    상기 제1 면 및 상기 제3 면을 연결하도록 배치된 제4 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3 면은,
    상기 원형 판의 회전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1 면은,
    상기 원형 판의 상기 회전 방향과 반대 방향인 역회전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절삭 팁은,
    상기 제3 면과 상기 제4 면을 연결하는 제5 면; 및
    상기 제1 면의 하단과 상기 제3 면의 하단을 연결하도록 구성된 제6 면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5 면은,
    상기 제2 면의 상기 타단에 대해 경사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6 면은,
    상기 원형 판의 중심을 향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3 면은,
    제3-1 면 및 상기 제3-1 면과 연결된 제3-2 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3-1 면은,
    상단이 상기 제2 면의 상기 타단에 연결되고, 상기 제1 면과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3-2 면은,
    상단이 상기 제3-1 면의 하단에 연결되고, 상기 제3-1 면에 대해 경사지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2 면은,
    상기 제2 면의 적어도 일 부분에 함몰 형성된 제1 함몰 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절삭기용 원형 톱날 장치는,
    상기 원형 판의 측면 중 상기 일 부분 및 상기 다른 부분과 또 다른 부분에 형성되고, 상기 원형 판의 변형을 방지하도록 구성된 복수 개의 제3 변형 방지 구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원형 판은, 상기 원형 판의 원주에서 복수 개의 톱날 지지부 사이에 요입 형성된 부분인 곡률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제1 변형 방지 구조 각각은,
    일단이 상기 곡률부에 연결되고 상기 곡률부로부터 상기 원형 판의 중심을 향해 연장된 제1-1 슬릿, 상기 제1-1 슬릿의 타단으로부터 상기 원형 판의 중심을 향해 연장된 제1-2 슬릿, 및 상기 제1-2 슬릿의 말단에 연결된 제1 관통 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1-1 슬릿은 제1-1 길이 및 제1-1 두께를 갖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2 슬릿은 제1-2 길이 및 제1-2 두께를 갖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2 길이는 상기 제1-1 길이보다 작고, 상기 제1-2 두께는 상기 제1-1 두께보다 작고,
    상기 복수 개의 제2 변형 방지 구조 각각은,
    상기 원형 판을 관통하는 제2-1 관통 홀, 상기 제2-1 관통 홀과 이격되고 상기 원형 판을 관통하는 제2-2 관통 홀, 및 상기 제2-1 관통 홀과 상기 제2-2 관통 홀을 연결하는 제2 슬릿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슬릿의 일단은 상기 제2-1 관통 홀에 연결되고, 상기 제2 슬릿의 타단은 상기 제2-2 관통 홀에 연결되고, 상기 제2 슬릿은 상기 제2-1 관통 홀로부터 상기 제2-2 관통 홀까지 지그재그로 연장되고,
    상기 제2 슬릿의 두께는 상기 제1-2 슬릿의 두께와 동일하고,
    상기 복수 개의 제3 변형 방지 구조 각각은,
    상기 원형 판을 관통하는 제3-1 관통 홀, 상기 제3-1 관통 홀과 이격되고 상기 원형 판을 관통하는 제3-2 관통 홀, 상기 제3-1 관통 홀과 상기 제3-2 관통 홀을 연결하는 제3-1 슬릿, 상기 원형 판을 관통하는 제3-3 관통 홀, 상기 제3-3 관통 홀과 이격되고 상기 원형 판을 관통하는 제3-4 관통 홀, 및 상기 제3-3 관통 홀과 상기 제3-4 관통 홀을 연결하는 제3-2 슬릿을 포함하고,
    상기 제3-1 관통 홀 및 상기 제3-2 관통 홀은, 상기 원형 판의 중심에서 방사 방향을 향해 연장된 가상의 직선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3-1 슬릿 및 상기 제1 변형 방지 구조는 상기 가상의 직선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3-2 슬릿은, 상기 원형 판의 중심에 대해 기 결정된 반지름을 가지는 가상의 원을 형성하는 선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3-1 슬릿 및 상기 제3-2 슬릿은 일 부분이 서로 교차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4 면은,
    상기 제4 면의 적어도 일 부분에 함몰 형성된 제2-1 함몰 홈, 제2-2 함몰 홈 및 제2-3 함몰 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2-1 함몰 홈, 상기 제2-2 함몰 홈 및 상기 제2-3 함몰 홈은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2-1 함몰 홈, 상기 제2-2 함몰 홈 및 상기 제2-3 함몰 홈은 상기 제4 면 상에서 상기 절삭기용 원형 톱날 장치의 회전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것인, 절삭기용 원형 톱날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220028701A 2022-03-07 2022-03-07 피절삭물의 절단면이 미려하게 절단되도록 구성된 절삭기용 원형 톱날 장치 KR1024124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8701A KR102412489B1 (ko) 2022-03-07 2022-03-07 피절삭물의 절단면이 미려하게 절단되도록 구성된 절삭기용 원형 톱날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8701A KR102412489B1 (ko) 2022-03-07 2022-03-07 피절삭물의 절단면이 미려하게 절단되도록 구성된 절삭기용 원형 톱날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12489B1 true KR102412489B1 (ko) 2022-06-24

Family

ID=822161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8701A KR102412489B1 (ko) 2022-03-07 2022-03-07 피절삭물의 절단면이 미려하게 절단되도록 구성된 절삭기용 원형 톱날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2489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36821U (ko) * 1987-03-02 1988-09-08
JPH0224022A (ja) * 1988-07-13 1990-01-26 Silver Roi:Kk チップソー
JP2004009218A (ja) * 2002-06-07 2004-01-15 Tenryu Saw Mfg Co Ltd 回転鋸
KR100555597B1 (ko) * 2005-12-03 2006-03-03 김진영 금속 절단용 둥근톱
CN213563596U (zh) * 2020-06-12 2021-06-29 浙江至广精密工具有限公司 一种金刚石锯片
KR102326325B1 (ko) 2019-12-17 2021-11-12 주식회사 포스코 고망간강 절단용 마찰톱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36821U (ko) * 1987-03-02 1988-09-08
JPH0224022A (ja) * 1988-07-13 1990-01-26 Silver Roi:Kk チップソー
JP2004009218A (ja) * 2002-06-07 2004-01-15 Tenryu Saw Mfg Co Ltd 回転鋸
KR100555597B1 (ko) * 2005-12-03 2006-03-03 김진영 금속 절단용 둥근톱
KR102326325B1 (ko) 2019-12-17 2021-11-12 주식회사 포스코 고망간강 절단용 마찰톱
CN213563596U (zh) * 2020-06-12 2021-06-29 浙江至广精密工具有限公司 一种金刚石锯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949993B1 (en) Cutting insert and milling tool
US8579557B2 (en) Drill
US11040407B2 (en) Saw blade
KR100794092B1 (ko) 고 이송 정면 밀링을 위한 절삭 인서트
EP0776260B1 (en) Saw blade tooth form and method therefor
JP4597270B2 (ja) 切削インサートおよび切削工具並びにそれを用いた切削方法
EP1893377B1 (en) Cutting insert
EP2359971B1 (en) Circular saw blade with cutting tips mechanically lockes against multiple force vectors
US6939092B2 (en) Sheet metal hole cutter
JP5584046B2 (ja) 帯鋸刃の製造方法
JPWO2005102572A1 (ja) ボールエンドミル
EP2089179B1 (en) Sawblade
US6450075B1 (en) Ventilated air cooled cutting system
KR102412489B1 (ko) 피절삭물의 절단면이 미려하게 절단되도록 구성된 절삭기용 원형 톱날 장치
KR102027299B1 (ko) 탄소복합소재 가공 형상 드릴
JP5898327B2 (ja) ドリルおよびそれを用いた切削加工物の製造方法
CN111867762A (zh) 刀片和包括刀片的切削工具组件
KR20200096983A (ko) 드릴
JP4876539B2 (ja) ボールエンドミル
KR102651470B1 (ko) 스카이빙 가공용 커터
JP4623674B2 (ja) 回転切削工具
CN211162113U (zh) 加工汽车曲轴的锯片铣刀
JP4756609B2 (ja) 回転切削工具
JP2007069326A (ja) ドリル及び穴あけ加工方法
KR200390528Y1 (ko) 솔리드형 초경 슬리팅 소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