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19782A - 광 파이버 커터 - Google Patents

광 파이버 커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19782A
KR20240019782A KR1020237045004A KR20237045004A KR20240019782A KR 20240019782 A KR20240019782 A KR 20240019782A KR 1020237045004 A KR1020237045004 A KR 1020237045004A KR 20237045004 A KR20237045004 A KR 20237045004A KR 20240019782 A KR20240019782 A KR 202400197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fiber
moving
cam
fiber
fiber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450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스케 구리노
Original Assignee
스미토모 덴코 옵티프론티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토모 덴코 옵티프론티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토모 덴코 옵티프론티어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400197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19782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25Preparing the ends of light guides for coupling, e.g. cut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3/00Cutting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cut made; Apparatus therefor
    • B26D3/08Making a superficial cut in the surface of the work without removal of material, e.g. scoring, inci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3/00Cutting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cut made; Apparatus therefor
    • B26D3/16Cutting rods or tubes transverse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01Mean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B26D7/02Mean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with clamp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F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F3/00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Apparatus therefor
    • B26F3/002Precutting and tensioning or break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ight Guides In General And Applications Therefor (AREA)

Abstract

광 파이버 커터(1)는 광 파이버(G)의 위치를 변경 가능한 파이버 고정부(10)를 갖는 본체(2)와, 광 파이버(G)에 상처를 내는 칼날부(41)를 가지며, 광 파이버(G)에 칼날부(41)로 상처를 내기 전의 초기 위치인 제 1 위치와 광 파이버(G)에 칼날부(41)로 상처를 낸 후의 위치인 제 2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게 본체(2)에 장착된 이동부(4)를 구비하고 있다. 파이버 고정부(10)는, 칼날부(41)가 제 2 위치로부터 제 1 위치를 향하여 이동할 때의 이동 범위를 파이버 고정부(10)에 고정된 광 파이버(G)가 가로지르지 않으며, 또한, 절단 후의 광 파이버(G)의 절단면이 광 파이버(G)의 축방향을 따라서 칼날부(41)로부터 이격된 방향에 위치하도록 광 파이버(G)를 이동시킨다.

Description

광 파이버 커터
본 개시는 광 파이버 커터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은 2021년 7월 2일 출원된 일본 출원 제 2021-110748 호에 기초하는 우선권을 주장하며, 상기 일본 출원에 기재된 모든 기재 내용을 원용하는 것이다.
특허문헌 1 및 2는 광 파이버 절단 장치로서, 광 파이버의 위치결정 후에 칼날부를 갖는 슬라이더를 초기 위치로부터 광 파이버의 절단이 가능한 절단 위치까지 수동으로 이동시키고, 광 파이버의 절단 후에 슬라이더를 초기 위치까지 수동으로 복귀하는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특히, 특허문헌 1 및 2는 자력을 이용하여 슬라이더를 자동으로 이동시키는 광 파이버 절단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미국 특허 출원 공개 제 2015/0323740 호 명세서 미국 특허 제 10261258 호 명세서
본 개시의 일 태양에 따른 광 파이버 커터는,
광 파이버를 절단하는 광 파이버 커터로서,
상기 광 파이버의 위치를 변경 가능한 파이버 고정부를 갖는 본체와,
상기 광 파이버에 상처를 내는 칼날부를 갖고, 상기 광 파이버에 상처를 내기 전의 초기 위치인 제 1 위치와, 상기 광 파이버에 상처를 낸 후의 위치인 제 2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게 상기 본체에 장착된 이동부를 구비하고,
상기 파이버 고정부는, 상기 칼날부가 상기 제 2 위치로부터 상기 제 1 위치를 향하여 이동할 때의 이동 범위를 상기 파이버 고정부에 고정된 상기 광 파이버가 가로지르지 않으며, 또한, 절단 후의 상기 광 파이버의 절단면이 상기 광 파이버의 축방향을 따라서 상기 칼날부로부터 이격된 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광 파이버를 이동시킨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광 파이버 커터의 덮개체를 개방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하는 광 파이버 커터의 덮개체를 폐쇄하고 광 파이버를 절단한 후의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은 광 파이버 커터의 본체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는 파이버 고정부와 이동부의 위치 관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이동부가 제 1 위치로 이동하고 있는 단계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이동부가 제 1 위치로부터 제 2 위치로 이동하고 있는 도중의 단계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은 이동부가 제 2 위치로 도달한 단계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은 이동부가 제 2 위치로부터 제 1 위치로 이동하고 있는 도중의 단계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a는 광 파이버 커터의 사용 순서 및 각 부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b는 광 파이버 커터의 사용 순서 및 각 부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c는 광 파이버 커터의 사용 순서 및 각 부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d는 광 파이버 커터의 사용 순서 및 각 부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본 개시가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광 파이버 절단시의 작업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특허문헌 1 및 2의 광 파이버 절단 장치와 같이, 광 파이버의 절단 후에 슬라이더를 초기 위치 부근까지 자동으로 복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슬라이더를 초기 위치로 복귀할 때에, 절단 후의 광 파이버에 칼날부가 접촉하여, 광 파이버의 의도하지 않은 개소에 상처가 나거나, 광 파이버가 재절단되어 버릴 가능성이 있었다.
그래서, 본 개시는 광 파이버의 절단 후에 의도치 않게 칼날부가 광 파이버에 접촉하여 상처가 나는 것을 방지 가능한 광 파이버 커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개시의 실시형태의 설명)
최초로 본 개시의 실시형태를 열기하여 설명한다.
본 개시의 일 태양에 따른 광 파이버 커터는,
(1) 광 파이버를 절단하는 광 파이버 커터로서,
상기 광 파이버의 위치를 변경 가능한 파이버 고정부를 갖는 본체와,
상기 광 파이버에 상처를 내는 칼날부를 갖고, 상기 광 파이버에 상처를 내기 전의 초기 위치인 제 1 위치와, 상기 광 파이버에 상처를 낸 후의 위치인 제 2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게 상기 본체에 장착된 이동부를 구비하고,
상기 파이버 고정부는, 상기 칼날부가 상기 제 2 위치로부터 상기 제 1 위치를 향하여 이동할 때의 이동 범위를 상기 파이버 고정부에 고정된 상기 광 파이버가 가로지르지 않으며, 또한, 절단 후의 상기 광 파이버의 절단면이 상기 광 파이버의 축방향을 따라서 상기 칼날부로부터 이격된 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광 파이버를 이동시킨다.
이 구성에 의하면, 광 파이버의 절단 후에 의도치 않게 칼날부가 광 파이버에 접촉하여 상처가 나는 것을 방지 가능한 광 파이버 커터를 제공할 수 있다.
(2) 상기 (1)에 있어서, 상기 파이버 고정부를 상기 칼날부측을 향하여 부세하는 제 1 부세 부재를 더 구비하고,
상기 파이버 고정부는, 상기 이동부가 상기 제 1 위치로부터 상기 제 2 위치를 향하여 이동할 때에는 상기 제 1 부세 부재에 의해 부세되어 상기 칼날부측에 위치하는 한편, 상기 이동부가 상기 제 2 위치로부터 상기 제 1 위치를 향하여 이동할 때에는 상기 제 1 부세 부재의 부세력에 저항하여 상기 칼날부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하여도 좋다.
이 구성에 의하면, 간편한 구성으로 파이버 고정부의 위치를 변경시킴으로써, 광 파이버의 절단 후에 의도치 않게 칼날부가 광 파이버에 접촉하여 상처가 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3) 상기 (2)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는 회전 가능한 캠과, 상기 캠이 상기 파이버 고정부측으로 돌출되는 방향으로 회동하도록 상기 캠을 부세하는 제 2 부세 부재를 가지며,
상기 캠은, 상기 이동부가 상기 제 1 위치로부터 상기 제 2 위치로 이동할 때에는 상기 제 2 부세 부재의 부세력에 저항하여 상기 파이버 고정부측으로 돌출되지 않는 방향으로 회동하는 한편, 상기 이동부가 상기 제 2 위치로부터 상기 제 1 위치로 이동할 때에는 상기 제 2 부세 부재에 의해 부세되어 상기 파이버 고정부측으로 돌출되어도 좋다.
이 구성에 의하면, 이동부에 탑재된 캠에 의해, 이동부의 제 1 위치와 제 2 위치 사이의 이동시에, 적절한 타이밍에 파이버 고정부의 위치 변경을 실행할 수 있다.
(4) 상기 (3)에 있어서, 상기 캠은 제 1 방향 및 상기 제 1 방향과는 반대의 제 2 방향으로의 회동이 가능한 동시에, 상기 제 2 방향으로의 상기 회동의 범위가 제한되어 있으며,
상기 이동부가 상기 제 1 위치로부터 상기 제 2 위치로 이동할 때에는, 상기 캠은 상기 제 1 부세 부재에 의한 상기 파이버 고정부에 대한 상기 칼날부측으로의 부세를 저해하지 않도록 상기 제 1 방향으로 회동하고,
상기 이동부가 상기 제 2 위치에 도달했을 때는, 상기 캠은 상기 파이버 고정부와 접촉하지 않는 상태가 되는 것에 의해, 상기 제 2 부세 부재의 부세력을 받아 상기 파이버 고정부측으로 돌출된 방향으로 회동하고,
상기 이동부가 상기 제 2 위치로부터 상기 제 1 위치로 이동할 때에는, 상기 캠의 상기 제 2 방향으로의 상기 회동의 범위가 제한되어 상기 캠의 상기 파이버 고정부측으로의 돌출이 유지되는 것에 의해, 상기 캠이 상기 파이버 고정부를 가압하고, 이에 의해 상기 제 1 부세 부재의 부세력에 저항하여 상기 칼날부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상기 파이버 고정부가 이동하여도 좋다.
이 구성에 의하면, 캠의 소정 방향(제 2 방향)으로의 회동 범위를 제한하는 것에 의해, 이동부가 제 2 위치로부터 제 1 위치로 이동할 때에는, 파이버 고정부를 확실하게 퇴피시킬 수 있다.
(5) 상기 (4)에 있어서, 상기 캠 및 상기 제 2 부세 부재는 상기 이동부에 형성된 오목부에 탑재되며,
상기 이동부가 상기 제 2 위치로부터 상기 제 1 위치로 이동할 때는, 상기 캠은 상기 오목부의 내벽면과 접촉하는 것에 의해 상기 제 2 방향으로의 상기 회동이 제한되어도 좋다.
이 구성에 의하면, 캠의 소정 방향(제 2 방향)으로의 회동 범위를 제한해서 캠의 돌출에 의해 파이버 고정부와 함께 광 파이버를 퇴피시키는 구성을 간편하고 또한 적은 부품 점수로 실현할 수 있다.
(본 개시의 효과)
상기 발명에 의하면, 광 파이버의 절단 후에 의도치 않게 칼날부가 광 파이버에 접촉하여 상처가 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광 파이버 커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형태의 상세)
본 개시의 실시형태에 따른 광 파이버 커터의 구체예를 이하에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본 개시는 이들의 예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나며, 청구범위와 균등한 의미 및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이 포함되는 것이 의도된다. 또한, 도면 중에 나타내는 "전", "후", "좌", "우", "상", "하"의 방향은 설명의 편의상 사용하는 방향이며, 본 개시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광 파이버 커터(1)의 덮개체(3)를 개방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하는 광 파이버 커터(1)의 덮개체(3)를 폐쇄하고 광 파이버(G)를 절단한 후의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하는 광 파이버 커터(1)의 본체(2)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광 파이버 커터(1)는 광 파이버(G)를 절단하기 위한 장치이다. 광 파이버 커터(1)는 본체(2)와, 광 파이버(G)를 고정하는 덮개체(3)와, 본체(2)에 대해 이동 가능한 이동부(4)를 구비하고 있다.
본체(2)는 천판부(21)와, 천판부(21)의 하방에 배치된 저판부(22)와, 천판부(21)와 저판부(22)를 연결하는 연결부(23)를 갖고 있다. 본체(2)는 천판부(21), 저판부(22) 및 연결부(23)에 의해, 단면이 대략 I자형상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본체(2)는, 예를 들면 강자성체가 아닌 금속제나 수지제이다.
천판부(21)는 가이드 오목부(24)와, 노출 구멍(25)과, 하부 클램프부(26)와, 캐처(27)를 갖고 있다. 가이드 오목부(24)는 천판부(21)의 상면에 마련된 오목부이다. 가이드 오목부(24)에는, 절단 대상인 광 파이버(G)를 보지하는 파이버 고정부(10)가 탑재된다. 가이드 오목부(24)는 탑재되는 파이버 고정부(10)의 형상에 대응한 오목형상으로 형성되는 동시에, 파이버 고정부(10)가 가이드 오목부(24) 내를 슬라이드할 수 있도록 파이버 고정부(10)의 외형보다 약간 큰 오목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파이버 고정부(10)에는, 광 파이버(G)를 보지한 광 파이버 홀더(100)가 장착된다. 파이버 고정부(10)에는, 장착되는 광 파이버 홀더(100)의 형상에 대응한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다. 광 파이버 홀더(100)는 단심의 광 파이버 심선 혹은 복수의 광 파이버 심선을 병렬 상태로 보지한다. 파이버 고정부(10)는 가이드 오목부(24)에 탑재되는 것에 의해, 광 파이버 홀더(100)에 보지된 광 파이버(G)의 절단 위치를 설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파이버 고정부(10)는 가이드 오목부(24) 내를 도 1의 좌우방향을 따라서 슬라이드하는 것에 의해, 광 파이버 홀더(100)에 보지된 광 파이버(G)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노출 구멍(25)은 이동부(4)에 장착되는 칼날부(41)(후술함)가 돌출되는 긴 구멍이다. 노출 구멍(25)은 파이버 고정부(10)에 의해 위치결정된 광 파이버(G)의 축방향(도 1의 좌우방향)에 직교하는 방향(도 1의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마련되어 있다.
하부 클램프부(26)는 광 파이버(G)를 고정하기 위한 부재이다. 하부 클램프부(26)는 노출 구멍(25)에 대해 파이버 고정부(10)가 탑재되는 측과는 반대측에 마련되어 있다.
캐처(27)는 덮개체(3)를 흡착하기 위한 부재이다. 캐처(27)는 천판부(21)의 상면에 있어서, 덮개체(3)에 마련되는 마그넷(33)(후술함)에 대응하는 위치에 마련되어 있다.
연결부(23)는 가이드부(231)와, 금속 부재(232)와, 제 1 자석(233)을 갖고 있다. 가이드부(231)는 이동부(4)의 이동 방향(전후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도록 마련되어 있다. 가이드부(231)는, 예를 들면 단면이 대략 U자형상의 홈이며, 이동부(4)의 이동을 가이드한다.
금속 부재(232)와 제 1 자석(233)은 이동부(4)의 이동 방향으로 나란하게 마련되어 있다. 금속 부재(232)와 제 1 자석(233)은 이동부(4)에 마련되는 제 2 자석(43)(후술함)과 대향하는 위치에 마련되어 있다. 이동부(4)의 이동 방향에 있어서, 금속 부재(232)가 전방측에 배치되며, 제 1 자석(233)이 후방측에 배치되어 있다. 금속 부재(232)는 자성을 갖는 금속이며, 제 2 자석(43)과 서로 끌어당기는 성질을 갖는다. 금속 부재(232)는, 예를 들어 철, 니켈, 코발트 및 이들을 포함하는 합금 등의 강자성체에 의해 형성된다. 제 1 자석(233)은 제 2 자석(43)과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있을 때에, 제 2 자석(43)과의 사이에 척력을 발생시킨다.
덮개체(3)는, 지지축(31)을 거쳐서, 본체(2)의 상면의 후단에 개폐 가능하게 장착된 판형상체이다. 덮개체(3)는 상부 클램프부(32)와, 지지축(31)에 장착된 스프링(도시하지 않음)과, 덮개체(3)를 폐쇄한 상태로 보지하기 위한 마그넷(33)과, 덮개체(3)의 폐쇄 상태를 해제하는 핸들(34)을 갖고 있다.
상부 클램프부(32)는 덮개체(3)의 이면(본체(2)와 대향하는 면)에 마련되어 있다. 상부 클램프부(32)는 덮개체(3)를 폐쇄했을 때에 본체(2)의 상면에 마련된 하부 클램프부(26)와 대향하도록 마련되어 있다. 본체(2)에 대해 덮개체(3)가 폐쇄되면, 상부 클램프부(32)와 하부 클램프부(26) 사이에서 광 파이버(G)가 끼워진다.
지지축(31)에 장착된 스프링은 덮개체(3)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가압한다. 마그넷(33)은 덮개체(3)에 있어서의 지지축(31)과 반대측의 측연(側緣)에 배치되어 있다. 덮개체(3)를 본체(2)에 대해 폐쇄하면, 지지축(31)에 마련된 스프링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마그넷(33)이 본체(2)의 캐처(27)에 흡착된다. 이에 의해, 본체(2)에 대한 덮개체(3)의 폐쇄 상태가 보지된다. 폐쇄 상태에 있어서 핸들(34)을 상방으로 끌어올리는 것에 의해, 덮개체(3)에 상방으로 개방되는 힘이 부여되어, 마그넷(33)과 캐처(27)의 흡착이 개방(해제)된다. 마그넷(33)과 캐처(27)의 흡착이 개방됨으로써, 지지축(31)에 장착된 스프링의 반발력에 의해 덮개체(3)가 자동적으로 개방된다.
덮개체(3)는 추가로, 덮개체(3)의 이면에 광 파이버(G)에 굽힘을 부여하는 파단 부재(35)와, 파단 부재(35)에 고정된 맞물림편(36)을 갖고 있다. 파단 부재(35)는 도시하지 않은 압축 스프링이 덮개체(3)의 이면과 파단 부재(35) 사이에 장착된 상태로 덮개체(3)에 장착되어 있다. 파단 부재(35)는 상부 클램프부(32)에 병렬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맞물림편(36)은, 예를 들면 가요성을 갖는 부재로 형성된 돌기편이다. 맞물림편(36)은 탄성 변형이 가능한 상태로 파단 부재(35)에 고정되어 있다.
파단 부재(35)는 압축 스프링의 반발력을 받아, 상시는 덮개체(3)의 이면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수직으로 돌출된 상태(자세)로 보지된다. 파단 부재(35)는 돌출된 상태가 되는 것에 의해, 광 파이버(G)에 가압을 부여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파단 부재(35)는 맞물림편(36)이 가압을 받아 압입되는 것에 의해, 압축 스프링의 부세력에 저항하여 덮개체(3)의 이면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가압되어 돌출되어 있지 않은 상태로 보지된다. 파단 부재(35)는 돌출되어 있지 않은 상태가 되는 것에 의해, 광 파이버(G)에 가압을 부여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동부(4)는, 천판부(21)와 저판부(22) 사이에서, 제 1 위치(도 1에 도시하는 위치)와 제 2 위치(도 2에 도시하는 위치) 사이를 이동 가능하게, 본체(2)에 장착되어 있다. 제 1 위치는 이동부(4)가 전방향으로 이동한 이동부(4)의 초기 위치이다. 제 2 위치는 이동부(4)가 후방향으로 이동한 이동부(4)의 이동 위치이다. 이동부(4)는 제 1 위치와 제 2 위치 사이를 직선적으로 이동하도록 구성하여도 좋으며, 곡선을 포함하는 궤도로 이동하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혹은, 이들 양쪽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이동부(4)에 있어서의 연결부(23)측의 측면에는, 예를 들면, 볼 슬라이드(도시하지 않음)를 갖는 가이드 블록(도시하지 않음)이 마련되어 있다. 가이드 블록은, 볼 슬라이드를 거쳐서 연결부(23)의 가이드부(231)에 미끄럼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으며, 이동부(4)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동부(4)는 제 1 위치로부터는 후방향으로만 이동 가능하며, 제 2 위치로부터는 전방향으로만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동부(4)는 광 파이버(G)에 상처를 내는 칼날부(41)와, 덮개체(3)의 맞물림편(36)에 가압을 부가하는 돌출부(42)와, 이동부(4)를 자동으로 전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제 2 자석(43)을 갖고 있다.
칼날부(41)는 칼날부(41)의 일부가 본체(2)의 노출 구멍(25)보다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장착되어 있다. 칼날부(41)는 이동부(4)의 이동을 따라서 이동하며, 이동부(4)가 제 1 위치로부터 제 2 위치까지 이동하는 동안에 광 파이버(G)에 초기 상처를 내는 것이 가능하도록 마련되어 있다. 칼날부(41)의 형상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본 실시형태에서는 둥근형상의 칼날이 이용되고 있다. 칼날부(41)는 이동부(4)의 이동을 따라서 직선적으로 이동하도록 구성하여도 좋으며, 측면으로부터 본 경우에 완만한 원호를 그리는 궤도로 이동하도록 구성하여도 좋으며, 이들 양쪽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돌출부(42)는 덮개체(3)를 폐쇄한 상태에서 이동부(4)를 제 1 위치로부터 제 2 위치로 이동시키는 동안에, 덮개체(3)의 맞물림편(36)에 접촉하며 맞물림편(36)을 상방을 향하여 압입한다. 돌출부(42)에 의해 맞물림편(36)이 압입되는 것에 의해 파단 부재(35)도 가압되어, 파단 부재(35)가 돌출되지 않는 상태로 보지된다. 또한, 이동부(4)가 더욱 이동하여 제 2 위치에 도달하면, 돌출부(42)가 맞물림편(36)을 통과한 상태가 되어, 파단 부재(35)가 압축 스프링의 부세력에 저항한 상태를 벗어난다. 이에 의해, 파단 부재(35)가 압축 스프링의 부세력에 의해 하강하고 돌출되어 광 파이버(G)의 유리 파이버 부분에 닿아 가압을 부가한다. 이 때문에, 이동부(4)가 제 1 위치로부터 제 2 위치로 이동하는 동안에 유리 파이버 부분의 초기 상처를 기점으로 하여, 광 파이버(G)가 절단된다.
또한, 맞물림편(36)은 돌출부(42)가 맞물림편(36)을 통과하여 이동부(4)가 제 2 위치에 도달한 상태에 있어서, 돌출부(42)와 맞물려, 이동부(4)가 전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규제한다. 또한, 덮개체(3)를 개방하면 돌출부(42)와 맞물림편(36)의 맞물림은 풀리고, 이동부(4)가 제 1 위치로 이동 가능하게 된다.
제 2 자석(43)은, 이동부(4)가 본체(2)에 장착되었을 때에, 본체(2)의 연결부(23)에 있어서의 가이드부(231)와 대향하는 이동부(4)의 측벽(44)에 마련되어 있다. 제 2 자석(43)은, 이동부(4)의 측벽(44)에 있어서의 칼날부(41)가 마련되어 있는 측의 벽면과는 반대측의 벽면에 마련되어 있다. 제 2 자석(43)은, 예를 들면 이동부(4)가 제 1 위치까지 이동했을 때에, 연결부(23)에 마련되어 있는 금속 부재(232)와 대향하고, 이동부(4)가 제 2 위치까지 이동했을 때에, 연결부(23)에 마련되어 있는 제 1 자석(233)과 대향하도록 마련되어 있다. 제 2 자석(43)과 제 1 자석(233) 사이에 발생하는 척력, 및 제 2 자석(43)과 금속 부재(232) 사이에 발생하는 서로 끌어당기는 힘에 의해, 이동부(4)는 자동적으로 제 1 위치까지 이동(복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동부(4)를 자동으로 전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금속 부재(232), 제 1 자석(233) 및 제 2 자석(43)을 이용하고 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스프링 등의 부세 부재를 이용하여도 좋다. 덮개체(3)가 개방되고 돌출부(42)와 맞물림편(36)의 맞물림이 풀렸을 때에 부세 부재의 부세력에 의해 이동부(4)가 자동적으로 제 1 위치까지 이동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다음에, 도 4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가이드 오목부(24)에 탑재되는 파이버 고정부(10)와, 본체(2)를 따라서 이동하는 이동부(4)에 대해 추가로 설명한다.
도 4는 파이버 고정부(10)와 이동부(4)의 위치 관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8은 이동부(4)의 각 이동 단계에 있어서의 캠(46)의 근방을 도시하는 부분 확대도이다. 또한, 도 4에 있어서, 좌우방향이 파이버 고정부(10)의 이동 가능한 방향이며, 전후 방향이 이동부(4)의 이동 가능한 방향이다.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파이버 고정부(10)에는, 가이드 오목부(24) 내에 탑재된 파이버 고정부(10)를 칼날부(41)가 장착되어 있는 이동부(4)측(화살표(A)로 나타내는 방향)을 향하여 부세하는 부세 부재(11)(제 1 부세 부재의 일 예)가 마련되어 있다. 파이버 고정부(10)는 가이드 오목부(24)에 탑재되어 있는 상태에 있어서, 상시, 부세 부재(11)에 의해 이동부(4) 방향으로 부세되어 있다. 부세 부재(11)는 예를 들면, 스프링(토션 스프링), 자석 등으로 구성된다. 도 4에 있어서는 부세 부재(11)는 파이버 고정부(10)의 하방에 마련되어 있다. 부세 부재(11)는 예를 들면, 파이버 고정부(10)의 후방이나 측방 등에 마련되어 있어도 좋다.
파이버 고정부(10)의 이동부(4)측의 면인 우측 단부면(10A)에는, 절결부(12)가 형성되어 있다. 절결부(12)는 후술하는 캠(46)을 수용 가능한 크기로 형성되어 있다.
이동부(4)는 측벽(44)에 형성된 오목부(45)와, 오목부(45)의 저부로부터 상방향으로 돌출되도록 마련된 캠(46)을 갖고 있다.
캠(46)은 상하방향을 회전축으로 하여, 반시계방향(제 1 방향의 일 예) 및 시계방향(제 2 방향의 일 예)으로 회동 가능하다. 단, 캠(46)의 회동은 시계방향의 회동의 범위가 제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캠(46)은 반시계방향 및 시계방향으로 회동하는 것에 의해 캠(46)의 일부가 오목부(45)로부터 삐져나와 측벽(44)보다 파이버 고정부(10)측으로 돌출된 돌출 상태와, 캠(46)이 측벽(44)보다 파이버 고정부(10)측으로 돌출되어 있지 않은 비돌출 상태로 변화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캠(46)에는, 캠(46)을 회전축 주위로 회동시키도록 부세하는 부세 부재(47)(제 2 부세 부재의 일 예)가 장착되어 있다. 부세 부재(47)는 예를 들면, 캠(46)이 돌출 상태가 되는 방향으로 회동하도록 캠(46)을 부세한다. 부세 부재(47)는 캠(46)과 함께 오목부(45)에 마련되어 있다. 부세 부재(47)는 예를 들면, 토션 스프링 등으로 구성된다.
도 4에는 돌출 상태에 있는 캠(46)이 도시되어 있다. 캠(46)은 오목부(45) 내에 있어서의 후방향의 단부에 있으며, 오목부(45)의 후측 내벽면(44a)에 가까운 장소에 마련되어 있다. 이 때문에, 캠(46)이 돌출 상태가 된 경우에는 캠(46)이 시계방향으로 회동하려고 하여도 오목부(45)의 후측 내벽면(44a)에 접촉해버리고, 후측 내벽면(44a)에 의해 시계방향의 회동이 그 이상 회동할 수 없도록 제한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캠(46)을 오목부(45)의 저부로부터 상방향으로 돌출시키고, 상하방향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동 가능한 돌출 부재로서 마련되어 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부세 부재에 의해 돌출 상태와 비돌출 상태로 자세를 변경 가능한 봉형상의 부재여도 좋다.
이하, 이동부(4)의 각 이동 단계에서의 캠(46)과 파이버 고정부(10)의 위치 관계에 대해 설명한다.
도 5는 이동부(4)가 제 1 위치로 이동하고 있는 단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또한, 도 5는 도 4와 동일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4 및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동부(4)가 제 1 위치로 이동하고 있는 단계에서는, 캠(46)은 부세 부재(47)의 부세력에 의해 돌출 상태가 되도록 회동되어 있다. 또한, 파이버 고정부(10)는 부세 부재(11)에 의해 부세되어 이동부(4)측으로 이동되어 있다. 그리고, 파이버 고정부(10)와 이동부(4)는, 전후 방향으로부터 보았을 때에, 파이버 고정부(10)측의 이동부(4)(캠(46))의 일부와, 이동부(4)측의 파이버 고정부(10)의 일부가 좌우방향에 있어서 중첩되도록 마련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파이버 고정부(10)측으로 돌출된 상태가 된 캠(46)의 돌출 부분이, 파이버 고정부(10)의 이동부(4)측에 형성된 절결부(12) 내에 수용되어 있다. 즉, 도 4 및 도 5에 있어서, 원으로 둘러싸는 영역(B)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캠(46)의 돌출 부분이, 파이버 고정부(10)의 이동부(4)측의 일부와 좌우방향에 있어서 중첩되어 있다. 이에 의해, 캠(46)의 돌출 부분이 절결부(12)에 수용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부세 부재(11)에 의한 파이버 고정부(10)의 이동부(4) 방향으로의 부세력이 캠(46)에 의해 저해되는 일이 없다.
도 6은 이동부(4)가 제 1 위치로부터 제 2 위치로 이동하고 있는 도중의 단계, 즉 이동부(4)를 후방향(화살표(C)의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있는 단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동부(4)를 제 1 위치로부터 제 2 위치의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캠(46)은 파이버 고정부(10)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돌출 부분이 파이버 고정부(10)의 절결부(12)의 후방측의 내벽면(12a)에 접촉한다. 이에 의해, 캠(46)은 파이버 고정부(10)로부터 전방향으로의 가압을 받는다. 캠(46)은 파이버 고정부(10)로부터의 가압에 의해, 부세 부재(47)의 부세력에 저항하여 반시계방향(화살표(D)의 방향)으로 회동한다. 캠(46)은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는 것에 의해, 돌출 상태로부터 비돌출 상태로 자세를 변화시킨다. 한편, 파이버 고정부(10)는 부세 부재(11)로 부세되어 있는 것에 의해, 이동부(4)측으로 이동한 상태를 유지한다. 즉, 이동부(4)가 제 1 위치로부터 제 2 위치로 이동하고 있는 도중의 단계에서는, 캠(46)은 부세 부재(11)에 의한 파이버 고정부(10)에 대한 이동부(4)측으로의 부세를 저해하지 않도록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한다. 이에 의해, 캠(46)이 비돌출 상태가 되고, 전후 방향으로부터 보았을 때에, 파이버 고정부(10)와 이동부(4)가 좌우방향에 있어서 중첩되어 있지 않은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하여, 이동부(4)가 제 1 위치로부터 제 2 위치로 이동하고 있는 도중의 단계에서는, 파이버 고정부(10)의 우측 단부면(10A)과 비돌출 상태의 캠(46)이 접촉한 상태가 유지된다.
도 7은 이동부(4)가 제 2 위치로 도달한 단계, 즉 이동부(4)가 가장 후방향으로 이동한 단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동부(4)가 제 2 위치에 도달하면, 캠(46)은 파이버 고정부(10)보다도 후방향으로 이동하여, 파이버 고정부(10)의 우측 단부면(10A)과 접촉하지 않는 상태가 된다. 이에 의해, 캠(46)은 부세 부재(47)의 부세력에 의해 시계방향(화살표(E)의 방향)으로 회동하여, 도 5에서 도시한 돌출 상태와 동일한 상태가 된다. 즉, 캠(46)의 일부가 파이버 고정부(10)측으로 돌출되어, 전후 방향으로부터 보았을 때에, 파이버 고정부(10)와 이동부(4)가 좌우방향에 있어서 중첩되는 상태가 된다.
도 8은 이동부(4)가 제 2 위치로부터 제 1 위치로 이동하고 있는 도중의 단계, 즉 이동부(4)를 전방향(도 8의 화살표(F)의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있는 단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동부(4)를 제 2 위치로부터 제 1 위치의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캠(46)은 파이버 고정부(10)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돌출 부분이 파이버 고정부(10)의 우측 단부면(10A)에 접촉하고, 파이버 고정부(10)로부터 후방향으로의 가압을 받는다. 그렇지만, 캠(46)은 오목부(45)의 후측 내벽면(44a)에 의해 시계방향의 회동의 범위가 제한되어 있으므로, 그 이상은 시계방향의 회동을 할 수 없다. 이 때문에, 캠(46)은 파이버 고정부(10)로부터의 후방향으로의 가압과, 부세 부재(47)로부터의 부세력을 받으면서도 돌출 상태를 유지한다. 이에 의해, 캠(46)으로부터 파이버 고정부(10)에 대해 부가되는 가압이 증가한다. 그리고, 파이버 고정부(10)는 캠(46)으로부터의 가압에 의해, 부세 부재(11)의 부세력에 저항하여 이동부(4)(칼날부(41))로부터 이격되는 방향(도 8의 화살표(G)의 방향)으로 이동한다.
다음에, 도 9a 내지 도 9d를 이용하여, 광 파이버 커터(1)의 사용 순서 및 각 부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9a는 덮개체(3)가 개방되고, 이동부(4)가 제 1 위치에 있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이 상태에 있어서, 사용자는 절단 대상인 광 파이버(G)를 광 파이버 홀더(100)에 보지하고, 당해 광 파이버 홀더(100)를 파이버 고정부(10)에 장착하여 광 파이버(G)의 위치결정을 실행한다. 이동부(4)가 제 1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는 이동부(4)의 캠(46)은 부세 부재(47)의 부세력에 의해 돌출 상태가 되도록 회동되어 있다(도 5 참조). 또한, 파이버 고정부(10)는 부세 부재(11)에 의해 부세되어 이동부(4)측으로 이동되어 있다. 돌출 상태의 캠(46)은 그 돌출 부분이 파이버 고정부(10)의 절결부(12) 내에 수용되어 있다.
도 9b는 도 9a의 상태에서 덮개체(3)를 폐쇄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9b의 상태에서는 이동부(4)는 아직 제 1 위치에 있다. 이 상태에서, 광 파이버(G)의 유리 파이버 부분은 상부 클램프부(32)와 하부 클램프부(26)에 끼워져 고정된다.
도 9c는 도 9b의 상태로부터 사용자가 이동부(4)를 제 2 위치로 이동시킨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이동부(4)가 제 1 위치로부터 제 2 위치까지 이동하는 도중에, 이동부(4)에 장착되어 있는 칼날부(41)가 상부 클램프부(32)와 하부 클램프부(26)에 끼워져 있는 광 파이버(G)의 위치를 전방으로부터 후방으로 통과한다. 이에 의해, 칼날부(41)에 의해 광 파이버(G)의 유리 파이버 부분에 초기 상처가 난다. 이동부(4)가 제 1 위치로부터 제 2 위치로 이동하는 도중에는, 캠(46)은 파이버 고정부(10)로부터 전방향으로의 가압을 받아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여 비돌출 상태가 된다(도 6 참조). 또한, 파이버 고정부(10)는 부세 부재(11)의 부세력에 의해 이동부(4)측으로 이동한 상태를 유지한다. 그리고, 이동부(4)가 제 2 위치까지 도달하면, 돌출부(42)(도 1 참조)가 맞물림편(36)을 통과한 상태가 되고, 파단 부재(35)가 압축 스프링의 부세력에 의해 돌출되어, 광 파이버(G)의 유리 파이버 부분을 가압한다. 이에 의해, 광 파이버(G)는 유리 파이버 부분의 초기 상처를 기점으로 하여 절단된다. 이동부(4)가 제 2 위치에 도달하면, 캠(46)은 파이버 고정부(10)보다 후방향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부세 부재(47)의 부세력에 의해 시계방향으로 회동하여 돌출 상태가 된다(도 7 참조). 또한, 이동부(4)는 제 2 위치까지 이동하면, 돌출부(42)와 맞물림편(36)이 맞물리는 것에 의해, 전방향으로의 이동이 규제된 상태가 된다.
도 9d는 도 9c의 상태로부터 덮개체(3)를 개방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덮개체(3)가 개방되면, 돌출부(42)와 맞물림편(36)의 맞물림이 해제되고, 이동부(4)는 전방향으로의 이동이 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 때문에, 도 2 및 도 3에 도시하는 금속 부재(232), 제 1 자석(233) 및 제 2 자석(43)의 작용에 의해, 이동부(4)는 자동적으로 전방향으로의 이동을 개시한다. 또한, 상부 클램프부(32)와 하부 클램프부(26)에 끼워져 있던 광 파이버(G)의 유리 파이버 부분은 상부 클램프부(32)와 하부 클램프부(26)에 의한 고정이 해제된다. 이동부(4)가 전방향으로의 이동을 개시하면, 캠(46)은 돌출 상태에 있으므로 파이버 고정부(10)에 접촉한다. 그러나, 캠(46)은 오목부(45)의 후측 내벽면(44a)에 의해 시계방향의 회동이 제한되어 있기 때문에, 그 이상의 시계방향의 회동을 하지 않고 돌출 상태를 유지한다(도 8 참조). 한편, 파이버 고정부(10)는 캠(46)으로부터의 가압을 받아, 부세 부재(11)의 부세력에 저항하여 이동부(4)(칼날부(41))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한다(도 8 참조). 이에 의해, 절단 후의 광 파이버(G)는 광 파이버 홀더(100)에 보지된 채의 상태로, 파이버 고정부(10)와 함께 칼날부(41)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즉, 광 파이버(G)는 절단 후의 절단면이 광 파이버(G)의 축방향을 따라서 칼날부(41)로부터 이격된 방향에 위치하도록 이동한다.
그 후, 이동부(4)는 자동적으로 제 1 위치까지 이동하여, 도 9a에 도시한 상태로 복귀한다. 이동부(4)가 제 2 위치로부터 제 1 위치로의 이동 도중의 단계에서는, 광 파이버(G)의 절단면이 광 파이버(G)의 축방향을 따라서 칼날부(41)로부터 이격된 방향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칼날부(41)가 광 파이버(G)에 닿지 않는다. 즉, 광 파이버(G)는 칼날부(41)가 제 2 위치로부터 제 1 위치를 향하여 이동할 때의 이동 범위를 가로지르지 않는다.
이동부(4)가 도 9a에 도시하는 상태인 제 1 위치로 복귀하면, 캠(46)의 돌출 부분이 파이버 고정부(10)의 절결부(12) 내에 다시 수용된다. 이에 의해, 파이버 고정부(10)가 부세 부재(11)의 부세력에 의해 이동부(4)측으로 이동한다(도 4 및 도 5 참조). 또한, 이동부(4)가 제 1 위치로 복귀한 도 9a의 상태에서는, 칼날부(41)의 상부는 하부 클램프부(26)보다 전측에 위치하고 있다. 그 때문에, 이 상태에서 광 파이버(G)를 보지한 광 파이버 홀더(100)가 파이버 고정부(10)에 여전히 장착되어 있었다고 하여도, 광 파이버(G)가 칼날부(41)와 접촉하는 일은 없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광 파이버 커터(1)는 광 파이버(G)를 절단하는 커터로서, 광 파이버(G)의 위치를 변경 가능한 파이버 고정부(10)를 갖는 본체(2)와, 광 파이버(G)에 상처를 내는 칼날부(41)를 가지며, 광 파이버(G)에 칼날부(41)로 상처를 내기 전의 초기 위치인 제 1 위치와 광 파이버(G)에 칼날부(41)로 상처를 낸 후의 위치인 제 2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게 본체(2)에 장착된 이동부(4)를 구비한다. 그리고, 파이버 고정부(10)는 칼날부(41)가 제 2 위치로부터 제 1 위치를 향하여 이동할 때의 이동 범위를 파이버 고정부(10)에 고정된 광 파이버(G)가 가로지르지 않으며, 또한, 절단 후의 광 파이버(G)의 절단면이 광 파이버(G)의 축방향을 따라서 칼날부(41)로부터 이격된 방향에 위치하도록, 광 파이버(G)를 이동시킨다. 이 구성에 의하면, 이동부(4)가 제 2 위치로부터 제 1 위치로 복귀할 때에, 광 파이버(G)를 고정하고 있는 파이버 고정부(10)가 절단 후의 광 파이버(G)를 칼날부(41)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광 파이버(G)의 절단 후에 의도치 않게 칼날부(41)가 광 파이버(G)에 접촉하여 상처가 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광 파이버 커터(1)는 파이버 고정부(10)를 칼날부(41)측을 향하여 부세하는 부세 부재(11)를 더 구비한다. 그리고, 파이버 고정부(10)는 이동부(4)가 제 1 위치로부터 제 2 위치를 향하여 이동할 때에는 부세 부재(11)에 의해 부세되어 칼날부(41)측에 위치하는 한편, 이동부(4)가 제 2 위치로부터 제 1 위치를 향하여 이동할 때에는 부세 부재(11)의 부세력에 저항하여 칼날부(41)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부세 부재(11)의 부세력을 이용하는 간편한 구성으로 파이버 고정부(10)의 위치를 변경시켜, 광 파이버(G)의 절단 후에 의도치 않게 칼날부(41)가 광 파이버(G)에 접촉하여 상처가 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광 파이버 커터(1)에 의하면, 이동부(4)는 회전 가능한 캠(46)과, 캠(46)이 파이버 고정부(10)측으로 돌출되는 방향으로 회동하도록 캠(46)을 부세하는 부세 부재(47)를 갖는다. 그리고, 캠(46)은 이동부(4)가 제 1 위치로부터 제 2 위치로 이동할 때에는, 부세 부재(47)의 부세력에 저항하여 파이버 고정부(10)측으로 돌출되지 않는 방향으로 회동하는 한편, 이동부(4)가 제 2 위치로부터 제 1 위치로 이동할 때에는 부세 부재(47)에 의해 부세되어 파이버 고정부(10)측으로 돌출된다. 이 때문에, 이동부(4)에 탑재된 캠(46)의 회동에 의한 돌출 상태와 비돌출 상태의 변화에 의해, 이동부(4)의 제 1 위치와 제 2 위치 사이의 이동시에 적절한 타이밍에 파이버 고정부(10)의 위치 변경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광 파이버 커터(1)에 의하면, 캠(46)은 제 1 방향 및 제 1 방향과는 반대의 제 2 방향으로의 회동이 가능한 동시에, 제 2 방향으로의 회동의 범위가 제한되어 있다. 그리고, 캠(46)은 이동부(4)가 제 1 위치로부터 제 2 위치로 이동할 때에는 부세 부재(11)에 의한 파이버 고정부(10)에 대한 칼날부(41)측으로의 부세를 저해하지 않도록 제 1 방향으로 회동한다. 또한, 캠(46)은 이동부(4)가 제 2 위치에 도달했을 때에는 파이버 고정부(10)와 접촉하지 않는 상태가 되는 것에 의해, 부세 부재(47)의 부세력을 받아 파이버 고정부(10)측으로 돌출된 방향으로 회동한다. 또한, 캠(46)은 이동부(4)가 제 2 위치로부터 제 1 위치로 이동할 때에는 제 2 방향으로의 회동의 범위가 제한되어 파이버 고정부(10)측으로의 돌출이 유지됨으로써 파이버 고정부(10)를 가압한다. 이에 의해, 캠(46)은 부세 부재(11)의 부세력에 저항하여 칼날부(41)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파이버 고정부(10)를 이동시킨다. 이와 같이, 캠(46)의 특정 방향 (제 2 방향)으로의 회동 범위를 제한함으로써, 이동부(4)가 제 2 위치로부터 제 1 위치로 이동할 때에는 파이버 고정부(10)를 확실하게 퇴피시킬 수 있다.
또한, 광 파이버 커터(1)에 의하면, 캠(46) 및 부세 부재(47)는 이동부(4)에 형성된 오목부(45)에 탑재되어 있다. 그리고, 캠(46)은 이동부(4)가 제 2 위치로부터 제 1 위치로 이동할 때에, 오목부(45)의 후측 내벽면(44a)과 접촉하는 것에 의해 제 2 방향으로의 회동이 제한된다. 이 때문에, 캠(46)의 제 2 방향으로의 회동 범위를 제한하여 캠(46)의 돌출에 의해 파이버 고정부(10)와 함께 광 파이버(G)를 퇴피시키는 구성을, 간편하고 또한 적은 부품수로 실현할 수 있다.
이상, 본 개시를 상세하게 또한 특정 실시형태를 참조하여 설명했지만, 본 개시의 정신과 범위를 일탈하지 않고 다양한 변경이나 수정을 가할 수 있는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확하다. 또한, 상기 설명한 구성 부재의 수, 위치, 형상 등은 상기 실시형태로 한정되지 않으며, 본 개시를 실시하는데 바람직한 수, 위치, 형상 등으로 변경할 수 있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광 파이버(G)의 절단 후에 이동부(4)를 초기 위치인 제 1 위치까지 자동으로 복귀하는 구성을 채용하고 있지만, 이 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광 파이버(G)의 절단 후에 이동부(4)를 수동으로 제 1 위치까지 복귀하는 구성의 광 파이버 커터에도, 본 실시형태의 파이버 고정부(10)나 캠(46)의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이 경우도, 광 파이버(G)의 절단 후에 이동부(4)를 수동으로 제 1 위치까지 복귀할 때에 의도치 않게 칼날부(41)가 광 파이버(G)에 접촉하여 상처가 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1: 광 파이버 커터 2: 본체
3: 덮개체 4: 이동부
10: 파이버 고정부 11: 부세 부재(제 1 부세 부재의 일 예)
21: 천판부 22: 저판부
23: 연결부 24: 가이드 오목부
25: 노출 구멍 26: 하부 클램프부
27: 캐처 31: 지지축
32: 상부 클램프부 33: 마그넷
34: 핸들 35: 파단 부재
36: 맞물림편 41: 칼날부
42: 돌출부 43: 제 2 자석
44: 측벽 44a: 후측 내벽면
45: 오목부 46: 캠
47: 부세 부재(제 2 부세 부재의 일 예)
100: 광 파이버 홀더 231: 가이드부
232: 금속 부재 233: 제 1 자석
G: 광 파이버

Claims (5)

  1. 광 파이버를 절단하는 광 파이버 커터로서,
    상기 광 파이버의 위치를 변경 가능한 파이버 고정부를 갖는 본체와,
    상기 광 파이버에 상처를 내는 칼날부를 갖고, 상기 광 파이버에 상처를 내기 전의 초기 위치인 제 1 위치와, 상기 광 파이버에 상처를 낸 후의 위치인 제 2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게 상기 본체에 장착된 이동부를 구비하고,
    상기 파이버 고정부는, 상기 칼날부가 상기 제 2 위치로부터 상기 제 1 위치를 향하여 이동할 때의 이동 범위를 상기 파이버 고정부에 고정된 상기 광 파이버가 가로지르지 않으며, 또한, 절단 후의 상기 광 파이버의 절단면이 상기 광 파이버의 축방향을 따라서 상기 칼날부로부터 이격된 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광 파이버를 이동시키는
    광 파이버 커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버 고정부를 상기 칼날부측을 향하여 부세하는 제 1 부세 부재를 더 구비하고,
    상기 파이버 고정부는, 상기 이동부가 상기 제 1 위치로부터 상기 제 2 위치를 향하여 이동할 때에는 상기 제 1 부세 부재에 의해 부세되어 상기 칼날부측에 위치하는 한편, 상기 이동부가 상기 제 2 위치로부터 상기 제 1 위치를 향하여 이동할 때에는 상기 제 1 부세 부재의 부세력에 저항하여 상기 칼날부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광 파이버 커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는 회전 가능한 캠과, 상기 캠이 상기 파이버 고정부측으로 돌출되는 방향으로 회동하도록 상기 캠을 부세하는 제 2 부세 부재를 가지며,
    상기 캠은, 상기 이동부가 상기 제 1 위치로부터 상기 제 2 위치로 이동할 때에는 상기 제 2 부세 부재의 부세력에 저항하여 상기 파이버 고정부측으로 돌출되지 않는 방향으로 회동하는 한편, 상기 이동부가 상기 제 2 위치로부터 상기 제 1 위치로 이동할 때에는 상기 제 2 부세 부재에 의해 부세되어 상기 파이버 고정부측으로 돌출되는
    광 파이버 커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캠은, 제 1 방향 및 상기 제 1 방향과는 반대의 제 2 방향으로의 회동이 가능한 동시에, 상기 제 2 방향으로의 상기 회동의 범위가 제한되어 있으며,
    상기 이동부가 상기 제 1 위치로부터 상기 제 2 위치로 이동할 때에는, 상기 캠은, 상기 제 1 부세 부재에 의한 상기 파이버 고정부에 대한 상기 칼날부측으로의 부세를 저해하지 않도록 상기 제 1 방향으로 회동하고,
    상기 이동부가 상기 제 2 위치에 도달했을 때에는, 상기 캠은, 상기 파이버 고정부와 접촉하지 않는 상태가 되는 것에 의해 상기 제 2 부세 부재의 부세력을 받아 상기 파이버 고정부측으로 돌출된 방향으로 회동하고,
    상기 이동부가 상기 제 2 위치로부터 상기 제 1 위치로 이동할 때에는, 상기 캠의 상기 제 2 방향으로의 상기 회동의 범위가 제한되어 상기 캠의 상기 파이버 고정부측으로의 돌출이 유지되는 것에 의해, 상기 캠이 상기 파이버 고정부를 가압하고, 이에 의해 상기 제 1 부세 부재의 부세력에 저항하여 상기 칼날부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상기 파이버 고정부가 이동하는
    광 파이버 커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캠 및 상기 제 2 부세 부재는 상기 이동부에 형성된 오목부에 탑재되며,
    상기 이동부가 상기 제 2 위치로부터 상기 제 1 위치로 이동할 때에는, 상기 캠은 상기 오목부의 내벽면과 접촉하는 것에 의해 상기 제 2 방향으로의 상기 회동이 제한되는
    광 파이버 커터.
KR1020237045004A 2021-07-02 2022-06-27 광 파이버 커터 KR2024001978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21-110748 2021-07-02
JP2021110748 2021-07-02
PCT/JP2022/025568 WO2023276952A1 (ja) 2021-07-02 2022-06-27 光ファイバカッタ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19782A true KR20240019782A (ko) 2024-02-14

Family

ID=846899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45004A KR20240019782A (ko) 2021-07-02 2022-06-27 광 파이버 커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40319442A1 (ko)
EP (1) EP4365649A1 (ko)
JP (1) JPWO2023276952A1 (ko)
KR (1) KR20240019782A (ko)
CN (1) CN117581133A (ko)
WO (1) WO2023276952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323740A1 (en) 2012-02-20 2015-11-12 Dh Infotech (Weihai) Inc. An optical fiber cutting knife
US10261258B1 (en) 2017-12-29 2019-04-16 Inno Instrument (China) .Inc Simple and automatic fiber cleaver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232404A (ja) * 1985-04-08 1986-10-16 Sumitomo Electric Ind Ltd 光フアイバ切断方法及び切断装置
JP3230226B2 (ja) * 1993-09-10 2001-11-19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光ファイバ切断機
JP4065749B2 (ja) * 2001-10-23 2008-03-26 株式会社フジクラ 光ファイバ切断機およびこれを用いた光ファイバ切断方法
JP2014238574A (ja) * 2013-05-07 2014-12-18 株式会社フジクラ 光ファイバ切断方法および光ファイバカッタ
US11119215B2 (en) 2020-01-06 2021-09-14 Outsight SA Multi-spectral LIDAR object tracking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323740A1 (en) 2012-02-20 2015-11-12 Dh Infotech (Weihai) Inc. An optical fiber cutting knife
US10261258B1 (en) 2017-12-29 2019-04-16 Inno Instrument (China) .Inc Simple and automatic fiber cleav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40319442A1 (en) 2024-09-26
CN117581133A (zh) 2024-02-20
JPWO2023276952A1 (ko) 2023-01-05
EP4365649A1 (en) 2024-05-08
WO2023276952A1 (ja) 2023-0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521489B2 (ja) スライド機構及び電子機器
US20080253555A1 (en) Slide module for a slide type electronic device
JP5205508B1 (ja) 光ファイバカッタ内蔵ケース
WO2011158705A1 (ja) 光ファイバカッタ収納ケース
KR20240019782A (ko) 광 파이버 커터
US20240208097A1 (en) Optical fiber cutting device
EP3859414B1 (en) Optical fiber cutting device and optical fiber cutting method
EP1046477A2 (en) Gauge punch
KR20200123789A (ko) 결속장치
WO2022181769A1 (ja) 光ファイバ切断装置
JP2008124074A (ja) 電子機器装置
EP3790366B1 (en) Connecting assembly and cable management device thereof
JP6075141B2 (ja) 綴じ機
JP3197409U (ja) 結束装置の保護具
JP2016094710A (ja) 扉の閉鎖防止アタッチメント及びそれを備える扉
JP2006078628A (ja) 光コネクタ組立工具及びそれを用いた光コネクタ組立方法
JP2001198894A (ja) 光ファイバカッタ
CN117545696A (zh) 捆束装置
JP2004303374A (ja) カートリッジ挿抜装置、該カートリッジ挿抜装置を備えたカートリッジ移送機構及びカートリッジ挿抜方法
JP2005303663A (ja) 携帯製品用スライドユニット及び携帯製品
JP2005188261A (ja) ダンパー付きヒンジ
JP2006033636A (ja) 携帯端末のスライド機構
JPH1199487A (ja) ホッチキスにおけるジャム針の除去装置
JP2007177602A (ja) 扉ロック装置
JP2012146544A (ja) プラグ開閉収納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