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18638A - 금속제 물품의 개체 식별 방법, 시일 패드, 및 코일재 - Google Patents

금속제 물품의 개체 식별 방법, 시일 패드, 및 코일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18638A
KR20240018638A KR1020247000804A KR20247000804A KR20240018638A KR 20240018638 A KR20240018638 A KR 20240018638A KR 1020247000804 A KR1020247000804 A KR 1020247000804A KR 20247000804 A KR20247000804 A KR 20247000804A KR 20240018638 A KR20240018638 A KR 202400186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fid tag
coil material
individual identification
article
seal p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470008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게이메이 히로우미
도시유키 고모리
도시유키 고하라
가즈히로 야히로
쇼지 시오타니
Original Assignee
제이에프이 스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이에프이 스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제이에프이 스틸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400186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1863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7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 G06K19/07749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the record carrier being capable of non-contact communication, e.g.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antenna of a non-contact smart card
    • G06K19/07758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the record carrier being capable of non-contact communication, e.g.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antenna of a non-contact smart card arrangements for adhering the record carrier to further objects or living beings, functioning as an identification ta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23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non-contact communication, e.g. wireless communication circuits on transponder cards, non-contact smart cards or RFI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7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7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 G06K19/07749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the record carrier being capable of non-contact communication, e.g.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antenna of a non-contact smart car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redit Cards Or The Like (AREA)
  • Storage Of Web-Like Or Filamentary Materials (AREA)
  • Details Of Aerials (AREA)

Abstract

간이한 방법으로 코일재에 장착할 수 있으며, 또한 통신 거리를 증가시키는 것이 가능한 RFID 태그를 목적으로 한다. 금속제의 물품 (1) 의 표면에, 절연 재료로 이루어지는 기체 (3) 를 개재하여, 상기 물품의 개체 식별 정보를 격납 가능한 RFID 태그 (4) 를 장착하고, 상기 RFID 태그 (4) 내의 개체 식별 정보에 의해서 상기 물품 (1) 의 개체 식별을 행한다.

Description

금속제 물품의 개체 식별 방법, 시일 패드, 및 코일재
본 발명은 금속대 (金屬帶) 를 롤상으로 감은 코일재 등의 금속제의 물품을 식별 관리하기 위한, 당해 물품의 개체 식별 방법에 관한 기술이다.
냉연이나 열연으로 제조된 박판으로 이루어지는 금속대는, 예를 들어, 롤상으로 감겨져 코일재로 된다. 제조된 코일재에는, 코일재를 식별 관리하기 위해서, 개체 식별 정보를 갖는 라벨이 장착된다.
상기 라벨은, 통상적으로 코일재를 덮도록 장착된 곤포지에 대해서 첩부된다.
또, 특허문헌 1 에 기재된 바와 같은, 금속면에 장착 가능한 RFID 태그도 알려져 있다.
특허문헌 1 에 기재된 RFID 태그는, 코일 (안테나) 을 포함하는 회로를 수지에 의해서 봉지한 성형체로 이루어진다. 수지로 봉지된 일반적인 RFID 태그는, 배면에 금속 (철강 상품) 이 있으면, 통신을 할 수 없거나, 통신 거리가 짧아지거나 한다. 이에 비해서, 특허문헌 1 에 기재된 RFID 태그는, 회로와 장착면 사이의 수지에 자성 분말을 혼입한다. 이로써, 특허문헌 1 에서는, 장착부가 금속이어도 그 악영향을 완화시킨다는 것이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7-199823호 일본 특허공보 제6185714호 일본 특허공보 제5971857호
그러나, 특허문헌 1 에 기재된 RFID 태그는, 구조가 복잡하다는 과제가 있다. 또, 회로를 봉지하는 구성이기 때문에, 그 만큼 태그의 두께가 두꺼워져 버린다는 과제도 있다.
또, 종래와 같이 코일재의 곤포지에 라벨을 첩부할 경우, 곤포 전의 코일재를 트럭 등으로 반송하거나 할 때에, 라벨을 첩부하는 코일재가 실수로 다른 것으로 바뀔 가능성이 있다. 또한, 고객에게 코일재를 건네줄 때에, 한 번 곤포지를 떼어내고, 다시 곤포하는 경우도 있다. 이 경우에, 곤포지에 라벨이 장착되어 있으면, 다시 곤포할 때에, 장착할 라벨이 실수로 다른 것으로 바뀔 가능성이 있다.
이에 대해서, 특허문헌 2 나 특허문헌 3 에는, 코일재의 개체 식별을 위해서, 바코드나 라벨 대신에 RFID 태그를 사용하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특허문헌 2, 3 에서는, 코일재가 RFID 태그와 리더 사이의 전파 방해가 되는 생각에서, 코일재 중앙의 공동 내에 RFID 태그를 설치하는 것을 제안하고 있다. 그리고, 그 공동 내 혹은 공동에 리더를 근접시킴으로써, RFID 태그로부터 정보를 읽어내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 2 에는, 공동 내에의 RFID 태그의 구체적인 설치 방법에 대해서 기재는 없다. 한편, 특허문헌 3 에서는, RFID 태그를 자석에 의해서 공동 내에 설치하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코일재의 표면측 (외표면측) 에 바코드나 라벨을 형성하는 경우에 비해서, 코일재 중앙의 공동 내에 RFID 태그를 설치하는 것은, 품과 시간이 소요될 우려가 있다.
또, RFID 태그를 코일재의 공동 내에 자석의 자력으로 설치하는 것은, 코일재를 운반하거나 할 때, 이동시의 충격으로 RFID 태그가 떨어질 우려가 있다. 또한, 정보의 판독시에, 공동 내에 리더를 집어 넣거나, 당해 공동에 리더를 근접시키거나 하여 RFID 태그로부터 판독할 필요가 있어, 정보의 판독 가능 범위가 좁아질 우려가 있다. 또, 곤포시나 재곤포시에, 코일재에 RFID 태그가 제대로 설치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서, 공동 내를 들여다 볼 필요가 있다. 즉, RFID 태그의 설치 유무의 확인이 쉽지 않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에 주목한 것으로서, 보다 간이하며 또한 확실하게, 코일재 및 그 밖의 금속제의 물품의 개체 식별을 가능하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과제 해결을 위해서, 본 발명의 일 양태는, 금속제의 물품의 표면에, 절연 재료로 이루어지는 기체를 개재하여, 상기 물품의 개체 식별 정보를 격납 가능한 RFID 태그를 장착하고, 상기 RFID 태그 내의 개체 식별 정보에 의해서 상기 물품의 개체 식별을 행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이 때, 상기 RFID 태그는, 상기 기체에 있어서의 상기 물품측의 이면과는 반대측인 앞면측에 IC 칩이 형성되고, 그 IC 칩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무선 통신용의 안테나가, 상기 기체의 앞면을 따라서 연장되며, 추가로, 그 안테나의 일부를, 상기 기체의 이면에 배치하여 상기 물품의 금속면에 접촉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양태에 의하면, 금속제의 물품에 직접 RFID 태그를 장착하기 때문에, 곤포지에 라벨을 형성하는 경우에 비해서, 물품의 개체 식별에 실수를 잘 하지 않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양태에 의하면, 물품을 곤포지로 곤포해도 개체 식별 정보의 취득이 가능해진다.
또, 금속제의 물품과 RFID 태그 사이에 절연 재료로 이루어지는 기체를 개재한다. 이 때문에, 본 발명의 양태에 의하면, 반드시 RFID 태그를 수지 등으로 봉지하는 등의 구조가 불필요해져, RFID 태그의 구조를 간이한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또한, RFID 의 안테나가, 기체의 앞면에 위치함과 함께, 안테나의 일부를 금속제의 물품에 전기적으로 접속할 경우에는, 물품 자체가 안테나의 일부로 된다. 그 결과, 간이한 안테나의 회로 구조여도, RFID 태그의 통신 거리를 증가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경우, 물품이 코일재인 경우, 시인하기 쉬운 코일재의 외표면 (외경측 표면) 에 대해서 본 발명의 양태의 RFID 태그를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기초하는 실시형태에 관련된 RFID 태그를 코일재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에 기초하는 실시형태에 관련된 RFID 태그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3 은, RFID 태그가 부착된 기체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4 는, RFID 태그가 부착된 기체를 나타내는 이면도이다.
도 5 는, RFID 태그가 부착된 기체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6 은, RFID 태그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 은, 코일 리프터에 의한 코일재 반송 상태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는, 금속제의 물품의 표면에, 절연 재료로 이루어지는 기체를 개재하여, 물품의 개체 식별 정보를 격납 가능한 RFID 태그를 장착한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는, RFID 태그 내의 개체 식별 정보의 판독에 의해서 물품의 개체 식별을 행한다. 이 개체 식별은, 예를 들어, 금속제 물품의 개체 식별의 관리에 사용된다.
이 때, RFID 태그는, 기체에 있어서의 물품측의 이면과는 반대측인 앞면측에 IC 칩이 형성된다. 그리고, 그 IC 칩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무선 통신용의 안테나가, 상기 기체의 앞면을 따라서 연장된다. 또한, 그 안테나의 일부를 상기 기체의 이면에 배치하여, 상기 물품의 금속면에 접촉시키는 구성이 바람직하다.
이하의 예에서는, 금속제의 물품으로서, 코일재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단, 본 발명은 압연 강판이나 잉곳 등의 금속제의 물품이어도 적용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 사용하는 RFID 태그는, 금속대로 이루어지는 코일재에 장착하기 위한 개체 식별 정보를 격납한 패시브형의 태그로 한다. 라이터에 의한 기록으로 실행되는 RFID 태그에의 개체 식별 정보의 격납은, 태그를 코일재에 장착한 후여도 되고, 장착 전이어도 된다.
(코일재)
코일재 (1) 는, 열연이나 냉연으로 가공된 철강 및 그 밖의 금속대가 롤상으로 감겨져 제조된다. 제조된 코일재 (1) 는,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둘레 방향으로 감겨진 결속 밴드 (2) 를 결속함으로써, 코일상의 상태로 구속된다. 또한, 결속 밴드 (2) 는, 둘레 방향과 직교하는 직교 방향으로도 감겨져 사용되기도 한다.
결속 밴드 (2) 는, 일반적으로 후프 밴드로 불리고, 강도 확보의 관점에서 일반적으로 금속 재료로 이루어진다.
코일재 (1) 에 감은 결속 밴드 (2) 는, 체결구에 의해서 체결된 상태에서, 밴드 (2) 의 단부끼리를 스폿 용접으로 연결함으로써 결속된다.
이 결속 밴드 (2) 의 단부끼리를 결속할 때에, 코일재 (1) 의 표면을 보호하기 위해서, 밴드 결속 위치에 판상의 시일 패드 (3) 가 배치된다. 즉, 도 1 과 같이, 결속 밴드 (2) 와 코일재 (1) 사이에, 판상의 시일 패드 (3) 의 일부가 개재된다.
즉, 시일 패드 (3) 를 코일재 (1) 의 표면에 댐으로써, 결속 밴드 (2) 의 단부끼리를 코일재 (1) 표면으로부터 들뜨게 한 상태로 한다. 그런 상태로 함으로써, 결속 밴드 (2) 의 단부끼리의 스폿 용접 작업을 할 수 있다.
이 시일 패드 (3) 는, 판지나 발포재 등의 수지 등, 비금속 재료 (절연 재료) 로 이루어진다. 시일 패드 (3) 의 두께는, 예를 들어 3 ㎜ ∼ 10 ㎜ 이다.
<기체>
기체는, 판지나 발포재 등의 수지 등, 절연 재료 (비금속 재료) 로 이루어지는 판상의 부품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기체를 시일 패드 (3) 로 구성하는 경우를 예시한다. 또한, 하나의 코일재 (1) 에 대해서, 복수 개의 결속 밴드 (2) 가 사용된다. 그러나, 적어도 하나의 결속 밴드 (2) 에 사용되는 시일 패드 (3) 에 RFID 태그 (4) 가 형성되어 있으면 된다.
시일 패드 (3) 는, 꽂아 넣음부 (3A) 와, 꽂아 넣음부 (3A) 에 연속되는 본체부 (3B) 로 이루어진다 (도 3 참조).
본 실시형태의 시일 패드 (3) 는, 정면도인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평면에서 보았을 때 コ 자상으로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본 실시형태의 시일 패드 (3) 에서는, 좌우의 다리부가, 코일재 (1) 의 표면과 결속 밴드 (2) 사이에 꽂아 넣어지는 꽂아 넣음부 (3A) 를 구성한다. 또, 그 2 개의 다리부를 연결하는 근원 부분이 본체부 (3B) 를 구성한다.
또한, 시일 패드 (3) 의 형상은, 도 3 의 형상이 아니어도 되고, 평면에서 보았을 때 직사각 형상 등의 형상이어도 된다.
<RFID 태그 (4)>
RFID 태그 (4) 는, 시일 패드 (3) (기체) 의 본체부 (3B) 에 고정된다.
RFID 의 두께는, 예를 들어, 1 ㎜ 이하의 두께이다.
RFID 태그 (4) 는,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IC 칩 (5) 과, IC 칩 (5) 에 접속된 무선 통신용의 안테나 (6) 와, 필름재 (도시 생략) 로 이루어진다.
필름재는 없어도 된다. 필름재는, 도 2 의 안테나와 거의 중첩된 위치에 배치된다. 필름재는, 수지나 종이재로 이루어지는 기체층이다.
그 필름재의 앞면에, IC 칩 (5) 및 안테나 (6) 가 형성되어 있다.
표면에 IC 칩이나 안테나를 보호하는, 수지제 등의 표면 보호층을 갖고 있어도 된다.
본 실시형태의 필름재는, 단책상 (短冊狀) 의 장방형 형상을 하고 있다. 그 단책상의 필름재 중앙부에 IC 칩 (5) 이 고정된다. 또한, 이 IC 칩 (5) 의 기억부에, 공지된 라이터에 의해서, 코일재 (1) 의 개체 식별 정보가 비접촉 통신으로 기록되어 격납된다.
안테나 (6) 는, 중앙의 IC 칩 (5) 으로부터, 필름재에 길이 방향을 따라서 좌우 대칭으로 연장되어 있다. 요컨대, 본 실시형태는, 다이폴형 안테나의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즉, 본 실시형태의 안테나 (6) 는, 좌우 방향으로 직선상으로 연장되는 회로 패턴으로 되어 있다. 안테나 (6) 의 회로 패턴은 다른 패턴이어도 된다. 안테나 (6) 로서, 루프형이나, 역 f 형 등의 각종 안테나 패턴을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안테나 (6) 는, 예를 들어, 필름재의 표면에 인쇄 등으로 형성하면 된다.
안테나 (6) 는, 알루미늄박 등의 금속체로 구성된다. 안테나 (6) 는, IC 칩 (5) 의 위치에 가까운 주파수 조정부 (6A) 와, 그 주파수 조정부 (6A) 에 연속되는 외주부 (6B) 를 갖는다. 그리고, 주파수 조정부 (6A) 에 형성되는 개구의 수나 위치 등에 따라서, 안테나 (6) 의 주파수대의 피크가, 예를 들어 920 ㎒ 로 조정된다. 도 2 중, 부호 6a 는, 개구 (절결) 를 나타낸다.
또, 필름재의 이면에 점착층을 형성함으로써, 시일 패드 (3) 의 면에 RFID 태그 (4) 를 첩부 가능하게 되어 있다. 점착층은, 예를 들어 안테나 (6) 의 외주부 (6B) 와 중첩되는 위치에 형성한다.
본 실시형태의 RFID 태그 (4) 는, IC 칩 (5) 과 안테나 (6) 만으로 구성시킬 수도 있다. 이 경우, 안테나 (6) 의 이면을, 양면 점착 테이프나 점착제를 사용하여 첩부면에 첩부하면 된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의 RFID 태그 (4) 는,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IC 칩 (5) 이, 시일 패드 (3) (기체) 의 본체부 (3B) 의 앞면 (시일 패드 (3) 에 있어서의 코일재 (1) 를 향하는 이면과는 반대측의 면) 의 길이 방향 중앙부에 위치하도록 설정한다. 그리고, 좌우의 안테나 (6) 를, 본체부 (3B) 의 앞면의 좌우 방향으로 각각 연장시킨다. 또한, 그 안테나 (6) 의 각 외주부 (6B) 의 일부 (6Ba) (좌우의 각 단부측) 가, 시일 패드 (3) 의 이면측을 나타내는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체부 (3B) 의 단면을 개재하여 이면으로 돌려진다. 이로써, 각 외주부 (6B) 의 일부 (6Ba) (좌우의 각 단부측) 가,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체부 (3B) 의 이면에 위치하도록 배치된다. 그 결과, 당해 RFID 태그 (4) 는, 시일 패드 (3) 의 면에 고정된다.
즉, RFID 태그 (4) 를, 본체부 (3B) 의 표면측을 따라서 첩부하고, 추가로, RFID 태그 (4) 의 좌우의 단부측을, 본체부 (3B) 에 감도록 하여, 외주부 (6B) 의 일부 (6Ba) 를 본체부 (3B) 의 이면측에 첩부한다.
또한, 좌우의 안테나 (6) 의 단부끼리는,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비접촉 상태로 한다.
이로써, 본 실시형태의 RFID 태그는,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일 패드 (3) 의 이면에 위치하는 안테나 (6) 의 부분 (외주부 (6B) 의 일부 (6Ba)) 이 코일재 표면에 접촉된 상태에서, 당해 코일재 (1) 에 장착된다. 또한, 시일 패드 (3) 의 이면에 위치하는 안테나 (6) 의 부분 (외주부 (6B) 의 일부 (6Ba)) 의 앞면에는, 표면 보호층 등이 형성되어 있지 않다.
여기에서, RFID 태그 (4) 의 주파수대는, 피크가, 예를 들어 UHF 대 (예를 들어 900 ㎒ ∼ 960 ㎒) 의 범위 내에 있도록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RFID 태그 (4) 의 통신 가능한 거리가, 교신 각도 0 도 및 45 도에서 2 m 이상, 바람직하게는 4 m 이상이 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RFID 태그 (4) 가 간이한 구조 (예를 들어, IC 칩 (5) 과 안테나 (6) 만으로의 구성) 여도, 안테나 (6) 의 일부를 코일재 (1) 에 접촉하여 사용된다. 그 결과, 코일재 (1) 가 안테나 (6) 의 일부를 구성하여, 통신 거리를 2 m 이상으로 설정 가능해진다.
(작용 기타)
본 실시형태의 시일 패드 (3) 는, 도 1 및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일 패드 (3) 의 다리부 (꽂아 넣음부 (3A)) 를 코일재 (1) 와 결속 밴드 (2) 사이에 꽂아 넣는다. 그 결과, 코일재 (1) 의 표면을 오염시키지 않고, RFID 태그 (4) 를 코일재 (1) 의 외경측 표면에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다. 또, 시일 패드 (3) 의 이면을 코일재 (1) 표면에 밀착시킬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RFID 태그 (4) 를 간이하게 장착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코일재 (1) 의 이동시에, RFID 태그 (4) 의 위치가 어긋나거나, 떨어지거나 할 우려가 없다.
또한, RFID 태그 (4) 가 부착된 시일 패드 (3) 는, 결속 밴드 (2) 를 제거하는 것만으로, 코일재 (1) 로부터 간단히 떼어낼 수 있다.
또, RFID 태그 (4) 가 부착된 시일 패드 (3) 를, 코일재 (1) 의 외경측 표면에 설치한다. 이 때문에, RFID 태그 (4) 의 설치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곤포시나 재곤포, 개봉시에도, 코일재 (1) 에 RFID 태그 (4) 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간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RFID 태그 (4) 가 부착된 시일 패드 (3) 가, 코일재 (1) 의 상반분측의 범위에 위치하도록 하여, 코일재 (1) 의 반송이나 격납을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RFID 태그가 부착된 시일 패드 (3) 는 곤포지 내에 사용되기 때문에, 곤포 후에도 개봉 후에도 코일재 (1) 의 개체 식별 관리가 가능하다. 그리고, 도중에 곤포지가 떼어내어지거나 교환되거나 하여도, 태그가 바뀌는 실수가 없기 때문에, 보다 확실하게 코일재 (1) 의 개체 식별이 가능해진다.
또, 본 실시형태의 RFID 태그 (4) 는, 간이한 구조임에도 불구하고, 시일 패드 형상에 맞춘 주파수 특성을 개량하여, 종래보다 판독 (통신) 거리를 확대할 수 있다. 그 결과, 눈으로 보는 것과 같이, 철강 상품에 근접하지 않고, 개체 식별 관리를 할 수 있게 된다.
즉, 본 실시형태에서는, 코일재 (1) 의 중앙의 공동 내에 RFID 태그를 설치하는 경우에 비해서, RFID 태그 (4) 를 판독 가능한 위치의 자유도 (범위) 가 향상된다.
여기에서, RFID 태그에의 개체 식별 정보의 격납은, 라이터에 의한 기록으로 실행된다. 개체 식별 정보의 격납은, 태그를 코일재에 장착한 후여도 되고, 장착 전이어도 된다.
또, 코일재 (1) 에 장착된 RFID 태그 (4) 로부터의 개체 식별 정보의 판독은, 리더에 의해서 실행된다. 리더는, 예를 들어, 코일재 (1) 의 반송을 행하는 코일 리프터 등의 반송 장치에 설치해 놓는다. 이 경우, 코일재 (1) 의 입고나 출고 등 코일재를 반송할 때에, 코일재 (1) 의 개체 식별 관리를 행할 수 있다.
도 7 에, 코일 리프터 (100) 에 의한 코일재 반송시의 상태의 예를 나타낸다. 또한, 도 7 에서는, 알기 쉽게 하기 위해서 결속 밴드 (2) 를 생략하고 있다.
도 7 과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코일 리프터 (100) 의 본체 (비가동부) 에 설치된 리더 (101) 에 의해서, 코일재 (1) 에 장착된 RFID 태그 (4) 로부터의 정보의 판독이 가능하다. 즉, 코일 리프터 (100) 의 가동부에 한정하여 리더 (101) 를 장착하지 않아도, RFID 태그 (4) 로부터의 정보의 판독이 가능하다.
또, 리더는, 작업원이 핸들링 가능한 핸드 타입이어도 된다. 이 경우, 예를 들어, 트럭 등의 반송 차량에 적재 상태인 코일재 (1) 나, 창고에 놓여진 코일재 (1) 에 작업원이 근접하여, 코일재 (1) 의 식별을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리더는, 기록 기능을 구비한 리더 라이터여도 된다. 이 경우, RFID 태그로부터의 정보의 판독과 함께, RFID 태그에의, 추적 정보 등의 정보의 추가나 변경을 행해도 된다.
또한, 안테나 (6) 의 일부를 코일재 (1) 에 전기적으로 접속함으로써, RFID 태그 (4) 의 통신 거리가, 이론치로 약 2 배 이상, 현장 검증으로 약 1.2 배 이상이 커진 것을 확신하고 있다.
<변형예>
(1) 상기 설명에서는, 기체를 시일 패드 (3) 로 구성하는 경우를 설명하고 있지만, 기체를 시일 패드 (3) 와는 별개의 부품으로 해도 된다. 이 경우, RFID 태그가 부착된 기체를, 시일 패드 (3) 와 동일하게, 결속 밴드 (2) 와 코일재 (1) 사이에 꽂아 넣음으로써, 코일재 (1) 에 장착하면 된다.
또, RFID 태그가 부착된 기체를, 코일재 (1) 의 표면에 양면 점착 테이프로 첩부해도 된다. 단, 첩부시의 점착제가 코일재 (1) 표면에 부착되기 때문에, 그에 따라서 코일재 (1) 의 품질에 악영향이 나타날 가능성이 있다. 또, 양면 점착 테이프는 안테나에 닿지 않도록 형성할 필요가 있다. 또, 테이프의 두께분만큼, 코일재와 안테나 사이에 간극이 형성될 가능성이 있다.
이 때문에, 기체를, 결속 밴드 (2) 와 코일재 (1) 사이에 꽂아 넣음으로써, 코일재 (1) 에 장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시일 패드 (3) 를 기체로 하는 편이 바람직하다. 시일 패드 (3) 를 기체로 했을 경우, RFID 태그를 코일재 (1) 에 장착하기 위한 새로운 작업이 불필요해진다.
(2) 상기 설명에서는, RFID 태그 (4) 의 안테나 (6) 를, 시일 패드 (3) 의 이면까지 연장하여 배치하고 있지만, RFID 태그 (4) 의 안테나 (6) 를, 시일 패드 (3) 의 앞면에만 배치해도 된다. 단, RFID 태그 (4) 의 안테나 (6) 를, 시일 패드 (3) 의 이면까지 연장하여 배치하는 편이, RFID 태그 (4) 의 통신 거리를 증가시킬 수 있다.
또, RFID 태그는, 도 2 와 같은 다이폴형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루프형의 안테나 패턴이어도 된다. 단, 도 6 과 같은 구성의 RFID 태그에서는, 태그의 기재로서의 필름재 (7) 가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기체를 밴드 상에 첩부함으로써, RFID 태그 (4) 를 코일재 (1) 에 설치해도 된다.
(기타)
본 개시는, 다음의 구성도 취할 수 있다.
(1) 금속제의 물품의 표면에, 절연 재료로 이루어지는 기체를 개재하여, 상기 물품의 개체 식별 정보를 격납 가능한 RFID 태그를 장착하고, 상기 RFID 태그 내의 개체 식별 정보에 의해서 상기 물품의 개체 식별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제 물품의 개체 식별 방법.
(2) 상기 RFID 태그는, 상기 기체에 있어서의 상기 물품측의 이면과는 반대측인 앞면측에 IC 칩이 형성되고, 그 IC 칩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무선 통신용의 안테나가, 상기 기체의 앞면을 따라서 연장되며, 추가로, 그 안테나의 일부를, 상기 기체의 이면에 배치하여 상기 물품의 금속면에 접촉시킨다.
(3) 상기 RFID 태그를 장착한 상기 물품은 곤포지로 곤포되고, 그 곤포된 상태에서 물품의 개체 식별을 행한다.
(4) 상기 금속제의 물품은, 금속대가 롤상으로 감기고 결속 밴드로 구속되어 이루어지는 코일재이고,
상기 기체는, 상기 코일재의 표면과 상기 결속 밴드 사이에 꽂아 넣어지는 꽂아 넣음부를 갖고, 상기 꽂아 넣음부 이외의 위치에 상기 RFID 태그가 형성되며, 상기 꽂아 넣음부로 코일재 표면에 장착된다.
(5) 상기 기체는, 상기 결속 밴드를 결속할 때에, 상기 코일재의 표면과 상기 결속 밴드 사이에 배치되는 시일 패드이다.
(6) 금속대가 롤상으로 감기고 결속 밴드로 구속되어 이루어지는 코일재에 있어서의 상기 코일재의 표면과 상기 결속 밴드 사이에 배치되는 시일 패드로서,
그 시일 패드의 표면에 RFID 태그를 구비한다.
(7) 상기 RFID 태그는, 시일 패드의 앞면측에 IC 칩이 형성되고, 그 IC 칩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무선 통신용의 안테나가, 시일 패드의 상기 앞면을 따라서 연장되며, 그 안테나의 일부가, 시일 패드의 이면에 배치되어 있다.
(8) 본 개시의 RFID 태그가 부착된 시일 패드를 구비한 코일재.
(9) 상기 RFID 태그의 피크 주파수가, 900 ㎒ ∼ 960 ㎒ 의 범위 내에 있고, 상기 RFID 의 통신 가능한 거리가, 교신 각도 0 도 및 45 도에서 2 m 이상이다.
여기에서, 본원이 우선권을 주장하는 일본 특허출원 2021-117642 (2021년 07월 16일 출원) 의 전체 내용은, 참조에 의해서 본 개시의 일부를 이룬다. 여기에서는, 한정된 수의 실시형태를 참조하면서 설명했지만, 권리 범위는 이것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상기한 개시에 기초하는 각 실시형태의 개변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자명한 것이다.
1 : 코일재 (금속제의 물품)
2 : 결속 밴드
3 : 시일 패드 (기체)
3A : 꽂아 넣음부
3B : 본체부
4 : RFID 태그
5 : IC 칩
6 : 안테나
6A : 주파수 조정부
6B : 외주부

Claims (8)

  1. 금속제의 물품의 표면에, 절연 재료로 이루어지는 기체를 개재하여, 상기 물품의 개체 식별 정보를 격납 가능한 RFID 태그를 장착하고, 상기 RFID 태그 내의 개체 식별 정보에 의해서 상기 물품의 개체 식별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제 물품의 개체 식별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RFID 태그는, 상기 기체에 있어서의 상기 물품측의 이면과는 반대측인 앞면측에 IC 칩이 형성되고, 그 IC 칩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무선 통신용의 안테나가, 상기 기체의 앞면을 따라서 연장되며, 추가로, 그 안테나의 일부를, 상기 기체의 이면에 배치하여 상기 물품의 금속면에 접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제 물품의 개체 식별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RFID 태그를 장착한 상기 물품은 곤포지로 곤포되고, 그 곤포된 상태에서 물품의 개체 식별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제 물품의 개체 식별 방법.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제의 물품은, 금속대가 롤상으로 감기고 결속 밴드로 구속되어 이루어지는 코일재이고,
    상기 기체는, 상기 코일재의 표면과 상기 결속 밴드 사이에 꽂아 넣어지는 꽂아 넣음부를 갖고, 상기 꽂아 넣음부 이외의 위치에 상기 RFID 태그가 형성되며, 상기 꽂아 넣음부로 코일재 표면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제 물품의 개체 식별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기체는, 상기 결속 밴드를 결속할 때에, 상기 코일재의 표면과 상기 결속 밴드 사이에 배치되는 시일 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제 물품의 개체 식별 방법.
  6. 금속대가 롤상으로 감기고 결속 밴드로 구속되어 이루어지는 코일재에 있어서의 상기 코일재의 표면과 상기 결속 밴드 사이에 배치되는 시일 패드로서,
    그 시일 패드의 표면에 RFID 태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일 패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RFID 태그는, 시일 패드의 앞면측에 IC 칩이 형성되고, 그 IC 칩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무선 통신용의 안테나가, 시일 패드의 상기 앞면을 따라서 연장되며, 그 안테나의 일부가, 시일 패드의 이면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일 패드.
  8.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기재된 RFID 태그가 부착된 시일 패드를 구비한 코일재.
KR1020247000804A 2021-07-16 2022-07-14 금속제 물품의 개체 식별 방법, 시일 패드, 및 코일재 KR2024001863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21-117642 2021-07-16
JP2021117642 2021-07-16
PCT/JP2022/027743 WO2023286843A1 (ja) 2021-07-16 2022-07-14 金属製物品の個体識別方法、シールパット、及びコイル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18638A true KR20240018638A (ko) 2024-02-13

Family

ID=849202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7000804A KR20240018638A (ko) 2021-07-16 2022-07-14 금속제 물품의 개체 식별 방법, 시일 패드, 및 코일재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7413449B2 (ko)
KR (1) KR20240018638A (ko)
CN (1) CN117642748A (ko)
WO (1) WO2023286843A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85714A (ja) 1992-12-16 1994-07-08 Doi Seisakusho:Kk 遠赤外線乾燥焼却炉
JP2007199823A (ja) 2006-01-24 2007-08-09 Omron Corp Rfidタグおよびrfidタグの製造方法
JP5971857B2 (ja) 2012-12-04 2016-08-17 新日鐵住金株式会社 金属コイルの管理方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98492A (ja) * 1991-03-25 1992-10-22 Nippon Steel Corp 薄鋼帯の棚卸し方法
JP4490599B2 (ja) 2000-09-07 2010-06-30 凸版印刷株式会社 Icタグ封入体
JP2003058838A (ja) 2001-08-09 2003-02-28 Furukawa Electric Co Ltd:The 物品管理システム
JP4298492B2 (ja) 2003-12-19 2009-07-22 川崎重工業株式会社 可変バルブタイミング機構付エンジン、及び該エンジンを搭載する自動二輪車
JP4739010B2 (ja) 2005-12-19 2011-08-03 株式会社ファミリーマート 電子タグおよびそれを貼付した金属製物品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85714A (ja) 1992-12-16 1994-07-08 Doi Seisakusho:Kk 遠赤外線乾燥焼却炉
JP2007199823A (ja) 2006-01-24 2007-08-09 Omron Corp Rfidタグおよびrfidタグの製造方法
JP5971857B2 (ja) 2012-12-04 2016-08-17 新日鐵住金株式会社 金属コイルの管理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7413449B2 (ja) 2024-01-15
JP2023013993A (ja) 2023-01-26
WO2023286843A1 (ja) 2023-01-19
CN117642748A (zh) 2024-03-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60208886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packages with RFID tags
US7439863B2 (en) RFID relay antenna, RFID system, container, disposition method, communication confirmation method, and package construction
CN100517361C (zh) 使用传感器检测对象不适当取向的装置和方法
US8106773B2 (en) System and method of identifying products enclosed in electrostatic discharge protective packaging
KR101623953B1 (ko) Rf태그
US20060054705A1 (en) Package insert with integrated radio frequency transponder
US20080047660A1 (en) Peel plate assembly for removing programmable transponders from a web
EP3583052B1 (en) Cigarette pack comprising an rfid/nfc tag
KR20240018638A (ko) 금속제 물품의 개체 식별 방법, 시일 패드, 및 코일재
JP7102798B2 (ja) Icチップ付包装箱およびicチップ付包装箱の積載体形成方法
JP4684751B2 (ja) 物品保管装置
JP4077442B2 (ja) 無線タグの保持構造
US20200160141A1 (en) Modified rfid tags
JP7186598B2 (ja) 個体識別体取り付け方法及び個体識別体を備える物品
KR101167467B1 (ko) Rfid 라벨 태그
US20240096240A1 (en) Label with rfid assembly
JP2008044626A (ja) 紙製電磁波通過梱包材料及び梱包方法
JP5766590B2 (ja) Icタグ及び鋼材管理システム
JP2023013993A5 (ko)
JP2020095528A (ja) Rfタグガード構造
EP1936544A1 (en)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tag device having a metal substrate
EP4252224A1 (en) Label with rfid assembly
CN116783637A (zh) 具有rfid组件的标签
JP2022029181A (ja) Rfタグ読取装置
JP2008140112A (ja) ラベル型icタ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