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17940A - 호흡기 세포융합 바이러스에 대한 항체 및 이의 사용 - Google Patents

호흡기 세포융합 바이러스에 대한 항체 및 이의 사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17940A
KR20240017940A KR1020247000512A KR20247000512A KR20240017940A KR 20240017940 A KR20240017940 A KR 20240017940A KR 1020247000512 A KR1020247000512 A KR 1020247000512A KR 20247000512 A KR20247000512 A KR 20247000512A KR 20240017940 A KR20240017940 A KR 202400179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mino acid
antibody
acid sequence
ser
th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470005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푸 가오
리안판 다이
지안 송
센유 쑤
치후이 왕
Original Assignee
인스티튜트 오브 마이크로바이올로지, 차이니즈 아카데미 오브 사이언스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CN202110653393.6A external-priority patent/CN115466326B/zh
Application filed by 인스티튜트 오브 마이크로바이올로지, 차이니즈 아카데미 오브 사이언스즈 filed Critical 인스티튜트 오브 마이크로바이올로지, 차이니즈 아카데미 오브 사이언스즈
Publication of KR202400179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17940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6/00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 C07K16/08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viruses
    • C07K16/10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viruses from RNA viruses
    • C07K16/1027Paramyxoviridae, e.g. respiratory syncytial vir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12Antivirals
    • A61P31/14Antivirals for RNA virus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G01N33/569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for microorganisms, e.g. protozoa, bacteria, virus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G01N33/569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for microorganisms, e.g. protozoa, bacteria, viruses
    • G01N33/56983Virus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G01N33/577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involving monoclonal antibodies binding reaction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onoclonal antibodies; monoclonal antibodies per se are classified with their corresponding antige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2039/505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comprising antibod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2317/0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 C07K2317/2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characterized by taxonomic origin
    • C07K2317/21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characterized by taxonomic origin from primates, e.g. man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2317/0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 C07K2317/2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characterized by taxonomic origin
    • C07K2317/24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characterized by taxonomic origin containing regions, domains or residues from different species, e.g. chimeric, humanized or veneered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2317/0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 C07K2317/5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characterized by immunoglobulin fragments
    • C07K2317/52Constant or Fc region; Isotype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2317/0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 C07K2317/5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characterized by immunoglobulin fragments
    • C07K2317/56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characterized by immunoglobulin fragments variable (Fv) region, i.e. VH and/or VL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2317/0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 C07K2317/5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characterized by immunoglobulin fragments
    • C07K2317/56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characterized by immunoglobulin fragments variable (Fv) region, i.e. VH and/or VL
    • C07K2317/565Complementarity determining region [CDR]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2317/0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 C07K2317/7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characterized by effect upon binding to a cell or to an antigen
    • C07K2317/76Antagonist effect on antigen, e.g. neutralization or inhibition of bind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2317/0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 C07K2317/9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characterized by (pharmaco)kinetic aspects or by stability of the immunoglobulin
    • C07K2317/92Affinity (KD), association rate (Ka), dissociation rate (Kd) or EC50 valu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333/00Assays involving biological materials from specific organisms or of a specific nature
    • G01N2333/005Assays involving biological materials from specific organisms or of a specific nature from viruses
    • G01N2333/08RNA viruses
    • G01N2333/115Paramyxoviridae, e.g. parainfluenza virus
    • G01N2333/135Respiratory syncytial viru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469/00Immunoassays for the detection of microorganisms
    • G01N2469/10Detection of antigens from microorganism in sample from hos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Virology (AREA)
  • Immu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mat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Cell 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th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nc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Communicable Diseas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lmo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Peptides Or Proteins (AREA)
  • Medicines Containing Antibodies Or Antigens For Use As Internal Diagnostic Agents (AREA)
  • Measuring Or Testing Involving Enzyme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개시는 호흡기 세포융합 바이러스 F 단백질에 결합하는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을 제공한다. 본 개시는 또한 RSV 감염의 치료 및/또는 예방을 위한 약제를 제조하기 위한 상기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의 사용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호흡기 세포융합 바이러스에 대한 항체 및 이의 사용
[관련 출원의 상호 참조]
본원은 2021년 6월 11일에 중국특허청에 출원된 제202110653393.6호 중국특허출원의 우선권을 주장하며, 그 전체가 참조로서 본 명세서에 포함된다.
[기술분야]
본 개시는 호흡기 세포융합 바이러스 F 단백질에 결합하는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에 관한 것이다. 본 개시는 또한 RSV 감염의 치료 및/또는 예방에서 상기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을 사용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호흡기 세포융합 바이러스(RSV)는 급성 하기도 감염증을 일으켜 전세계 어린이의 질병이나 사망으로 이어지는 주요 병원체이다. RSV 관련 질환의 입원 확률은 인플루엔자나 파라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관련 질환의 3배이며, 5세 미만의 영유아에게서 높은 입원율이 많이 보이고 3세 영유아의 발병률이 가장 높다. 전세계적으로 생후 1개월에서 1세 사이 영유아 사망의 6.7%가 RSV에 기인한다. RSV는 미취학 아동, 특히 영유아에게 가장 중요한 호흡기 감염증 병원체이며, 면역력이 낮은 성인이나 노인도 감염되기 쉽다. RSV가 전세계적으로 인류 건강에 심각한 위협을 초래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RSV 감염을 예방 및 치료하기 위한 수단은 거의 없으며, 포르말린 불활성화 백신으로 인한 증상 악화로 인해 백신 개발도 순조롭게 진행되지 않고 있다. 모체 내 항체는 임신 마지막 몇 주 동안 태반을 통해 아기에게 전달되어 방어 면역을 제공할 수 있지만, 이러한 방어는 매달 약 2배 감쇠하며 지속성이 없다. 현재 백신이나 특별히 효과적인 치료법은 없으며 유일한 예방책은 1998년에 승인된 팔리비주맙(Palivizumab)이다. 팔리비주맙은 영유아의 입원율이나 사망률을 어느 정도 줄일 수 있지만, 면역 활성이 약하고 사용 빈도가 높다. 선천성 호흡기 계통이나 순환기 계통 장애가 있는 미숙아는 유행기 내내 5회 접종을 받아야 하며 비용이 비싸고 불편하기 때문에 모든 영유아에게 접종하기 부적합하고 고위험 영유아의 예방에도 한계가 있다. 한편, 단클론 항체 D25의 개량 버전인 아스트라제네카사의 MEDI8897은 강력한 중화 활성을 갖고 있고 1~2회의 면역 접종만으로 끝나며 현재 3상 임상 시험중이다. 따라서, RSV 감염을 예방·치료하기 위한 차세대 고효율 단클론 항체 약물이 절실히 요망되고 있다.
지금까지 중화 항체는 바이러스성 질환의 효과적인 치료법인 것이 입증되었다. 현재 시판중인 바이러스 감염증 치료·예방약으로는 소아의 호흡기 세포융합 바이러스(RSV) 감염을 예방하기 위한 팔리비주맙(Synagis), HIV 감염을 치료하기 위한 이발리주맙(Trogarzo), 광견병 바이러스 노출 후 예방을 위한 라비쉴드 등이 있다. 또한 다양한 바이러스를 표적으로 한 임상 연구중인 단클론 항체도 많이 있다(https://clinicaltrials.gov/). 항체는 주로 중화 활성을 갖는 항체가 바이러스의 엔벨로프 단백질에 결합하여 바이러스가 세포 수용체에 결합하는 것을 차단함으로써 바이러스 감염을 저해하는 방법과, 항체 의존성 세포매개 세포독성(ADCC) 및 보체 의존성 세포독성(CDC)을 매개하고 대식세포나 보체와 같은 면역 세포 및 면역 분자를 동원하여 유리 바이러스 및 감염 세포를 파괴하는 방법을 통해 기능한다.
호흡기 세포융합 바이러스는 파라믹소 바이러스과에 속하고 A형과 B형의 두 가지 유형을 갖는 단일 가닥 마이너스 센스 RNA 바이러스이며, 이 두 가지 유형이 모두 유행한다. RSV 표면의 흡착 단백질(G) 및 융합 단백질(F)은 중화 항체 반응을 유도할 수 있는 주요 항원이다. G 단백질은 바이러스의 세포막 표면 부착을 담당하는 단백질인데, 항원의 다양성이 있어 광역 스펙트럼 방어약을 제조하기가 곤란하다. F 단백질은 바이러스와 세포의 융합을 담당하는 단백질로, 중화 항체의 표적이 되는 보다 많은 에피토프를 제시하기 때문에 현재 개발중인 대부분의 백신 및 면역치료제의 주요 표적이며, 임상에서 팔리비주맙으로 RSV 질환을 예방하기 위한 표적이기도 하다. F 단백질은 융합전(pre-fusion)과 융합후(post-fusion)의 두 가지 형태(conformation)를 갖는다. 융합전 F 단백질은 불안정하고 융합후 F 단백질로 변하는 형태 변화가 발생할 수 있다. 현재, 강력한 중화 에피토프는 대부분 융합전 형태의 F 단백질에 집중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예를 들면 단클론 항체 D25 및 이것의 개량 버전인 단클론 항체 MEDI8897은 모두 융합전 F의 에피토프 φ에 결합한다. 2013년 Peter Kwong 팀은 일련의 변이(S190F, V207, S155C 및 S290C)를 도입함으로써 안정적인 융합전 RSV F 단백질 DS-Cav1을 획득하였다. DS-Cav1로 마우스를 면역화하면 보다 높은 중화 항체의 생산이 활성화된다.
일 측면에서, 본 개시는 중쇄 가변영역을 포함하는, 호흡기 세포융합 바이러스 F 단백질에 결합하는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을 제공한다. 상기 중쇄 가변영역의 HCDR1, HCDR2 및 HCDR3은 하기 조합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이다.
(1) 아미노산 서열이 GFTFSSYA(서열번호 18)인 HCDR1과,
아미노산 서열이 ISYDGSNT(서열번호 19)인 HCDR2와,
아미노산 서열이 ARDYCSRGTCYHDY(서열번호 20)인 HCDR3;
(2) 아미노산 서열이 GYTFTTYD(서열번호 24)인 HCDR1과,
아미노산 서열이 LNPDNGNT(서열번호 25)인 HCDR2와,
아미노산 서열이 TRAPWWWYFDY(서열번호 26)인 HCDR3; 및
(3) 아미노산 서열이 GFSFTNYG(서열번호 30)인 HCDR1과,
아미노산 서열이 ISYDDGSDK(서열번호 31)인 HCDR2와,
아미노산 서열이 VRDPTGDY(서열번호 32)인 HCDR3.
일부 실시형태에서, 상기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은 경쇄 가변영역을 더 포함하고, 상기 중쇄 가변영역의 HCDR1, HCDR2 및 HCDR3과 상기 경쇄 가변영역의 LCDR1, LCDR2 및 LCDR3은 하기 조합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이다.
(1) 아미노산 서열이 QDIRND(서열번호 15)인 LCDR1과,
아미노산 서열이 AAS(서열번호 16)인 LCDR2와,
아미노산 서열이 LQDYNYPQTFG(서열번호 17)인 LCDR3과,
아미노산 서열이 GFTFSSYA(서열번호 18)인 HCDR1과,
아미노산 서열이 ISYDGSNT(서열번호 19)인 HCDR2와,
아미노산 서열이 ARDYCSRGTCYHDY(서열번호 20)인 HCDR3;
(2) 아미노산 서열이 SGSIASNY(서열번호 21)인 LCDR1과,
아미노산 서열이 EDN(서열번호 22)인 LCDR2와,
아미노산 서열이 QSYDTSNAVFG(서열번호 23)인 LCDR3과,
아미노산 서열이 GYTFTTYD(서열번호 24)인 HCDR1과,
아미노산 서열이 LNPDNGNT(서열번호 25)인 HCDR2와,
아미노산 서열이 TRAPWWWYFDY(서열번호 26)인 HCDR3; 및
(3) 아미노산 서열이 SLNIGSNY(서열번호 27)인 LCDR1과,
아미노산 서열이 KNN(서열번호 28)인 LCDR2와,
아미노산 서열이 AAWDDSLSGVVFG(서열번호 29)인 LCDR3과,
아미노산 서열이 GFSFTNYG(서열번호 30)인 HCDR1과,
아미노산 서열이 ISYDDGSDK(서열번호 31)인 HCDR2와,
아미노산 서열이 VRDPTGDY(서열번호 32)인 HCDR3.
일부 실시형태에서, 상기 어느 하나에 기재된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에서 상기 중쇄 가변영역은 서열번호 4, 6 또는 8로 표시되는 서열, 또는 서열번호 4, 6 또는 8로 표시되는 서열과 적어도 90% 서열 동일성을 갖는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상기 어느 하나에 기재된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에서 상기 중쇄 가변영역은 서열번호 4로 표시되는 서열, 또는 서열번호 4와 적어도 90% 서열 동일성을 갖는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고, 상기 경쇄 가변영역은 서열번호 5로 표시되는 서열, 또는 서열번호 5와 적어도 90% 서열 동일성을 갖는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거나,
상기 중쇄 가변영역은 서열번호 6으로 표시되는 서열, 또는 서열번호 6과 적어도 90% 서열 동일성을 갖는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고, 상기 경쇄 가변영역은 서열번호 7로 표시되는 서열, 또는 서열번호 7과 적어도 90% 서열 동일성을 갖는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거나,
상기 중쇄 가변영역은 서열번호 8로 표시되는 서열, 또는 서열번호 8과 적어도 90% 서열 동일성을 갖는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고, 상기 경쇄 가변영역은 서열번호 9로 표시되는 서열, 또는 서열번호 9와 적어도 90% 서열 동일성을 갖는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상기 어느 하나에 기재된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에서 상기 중쇄 불변영역은 서열번호 10으로 표시되는 서열, 또는 서열번호 10과 적어도 90% 서열 동일성을 갖는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고, 상기 항체의 경쇄 불변영역은 서열번호 11 또는 12로 표시되는 서열, 또는 서열번호 11 또는 12와 적어도 90% 서열 동일성을 갖는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상기 어느 하나에 기재된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에서 상기 항체는 마우스 항체, 키메라 항체, 인간 유래 항체 또는 완전 인간 항체이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항체는 인간 유래 항체이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상기 어느 하나에 기재된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에서 상기 F 단백질은 융합전 형태(conformation)이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상기 호흡기 세포융합 바이러스는 A형 또는 B형 호흡기 세포융합 바이러스이다.
다른 측면에서, 본 개시는 상기 어느 하나에 기재된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을 코딩하는 핵산 분자를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핵산 분자는 상기 어느 하나에 기재된 항체의 경쇄, 중쇄, 경쇄 가변영역 또는 중쇄 가변영역을 코딩한다. 다른 측면에서, 본 개시는 상기 핵산 분자를 포함하는 발현 벡터를 제공한다.
다른 측면에서, 본 개시는 상기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을 포함하거나 발현시키는 숙주 세포, 또는 상기 핵산 분자 또는 발현 벡터를 포함하는 숙주 세포를 제공한다.
다른 측면에서, 본 개시는 상기 어느 하나에 기재된 상기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 및 하나 이상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희석제, 완충제 또는 부형제;를 포함하는 의약 조성물을 제공한다.
다른 측면에서, 본 개시는 호흡기 세포융합 바이러스 관련 질환 또는 증상의 치료 및/또는 예방을 위한 약제를 제조하기 위한, 상기 어느 하나에 기재된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의 사용을 제공한다. 다른 측면에서, 본 개시는 치료 유효량의 상기 어느 하나에 기재된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 또는 상기 의약 조성물을 피험자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피험자에게서 호흡기 세포융합 바이러스 관련 질환 또는 증상을 치료 및/또는 예방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개시의 상기 어느 하나에 기재된 호흡기 세포융합 바이러스 관련 질환 또는 증상은 상기도 감염증 또는 하기도 감염증 관련 질환 또는 증상이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질환 또는 증상은 기관염, 기관지염 및 폐감염증에서 선택된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상기 질환 또는 증상은 기관지염 또는 폐렴이다.
다른 측면에서, 본 개시는 시료를 상기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과 접촉시키고, 항원 항체 복합체의 형성 유무 또는 형성된 항원 항체 복합체의 양을 검출하는 것을 포함하는, 시료 내 호흡기 세포융합 바이러스의 존재 또는 함유량을 검출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한다.
다른 측면에서, 본 개시는 상기 어느 하나에 기재된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을 포함하는 호흡기 세포융합 바이러스 검출 키트를 제공한다.
도 1은 발현 및 정제된 RSV-F(DS-Cav1) 단백질의 크로마토그래피 및 SDS-PAGE 검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모든 기술용어 및 과학용어는 당업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를 갖는다.
"항체"란, 형질 세포(이펙터 B 세포)에서 분비되고 외래 물질(폴리펩티드, 바이러스, 세균 등)을 중화하기 위해 신체의 면역 시스템에 의해 사용되는 면역 글로불린을 말한다. 이에 대응하여, 상기 외래 물질은 항원이라고 부른다. "항체"라는 용어는 가장 넓은 의미로 사용되며, 원하는 항원 결합 활성을 나타내는 것이라면, 단클론 항체, 다클론 항체, 단일특이적 항체, 다중특이적 항체(예를 들면, 이중특이적 항체), 전장 항체 및 항체 단편(또는 항원 결합 단편, 또는 항원 결합 부분)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 다양한 항체 구조를 포함한다. 전형적 또는 통상적인 항체 분자의 기본 구조는 2개의 동일한 중쇄 및 2개의 동일한 경쇄로 이루어진 사량체이다. 아미노산 서열의 보존성 차이에 따라, 중쇄 및 경쇄는 아미노 말단에 있는 가변영역(V)과, 카르복시 말단에 있는 불변영역(C)으로 구분된다. 하나의 중쇄 및 하나의 경쇄의 가변영역의 상호작용을 통해 항원 결합 부위(Fv)가 형성된다. 가변영역에서 특정 영역은 가변영역 내 다른 영역(프레임워크 영역, FR)보다 아미노산 잔기의 조성 및 순서가 변화되기 쉬워 초가변영역(HVR)이라고 불린다. 초가변영역은 실제로 항체가 항원에 결합하는 데 중요한 부위이다. 이러한 초가변영역 서열은 항원 결정기와 상보적이기 때문에 상보성 결정영역(complementarity-determining region, CDR)이라고도 불린다. 중쇄 및 경쇄는 모두 각각 HCDR1, HCDR2, HCDR3 및 LCDR1, LCDR2, LCDR3으로 불리는 3개의 상보성 결정영역을 갖는다. 각 VH 및 VL은 아미노 말단에서 카르복시 말단을 향해 FR1, CDR1, FR2, CDR2, FR3, CDR3, FR4 순으로 배치되는 3개의 CDR 및 4개의 FR 영역으로 구성된다.
항체 상보성 결정영역의 서열이 알려져 있는 경우, 당업자는 DNA 재조합 기술 등을 이용해서 항체 분자의 서열 일부(예를 들면, 불변영역 또는 프레임워크 영역)를 다른 종의 서열과 쉽게 치환하여 키메라 항체를 형성할 수 있다. 키메라 항체는 원래 항체의 결합 특이성을 실질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다른 종에서 사용했을 때 항체의 면역 원성을 약화시키거나 또는 ADCC 관련 활성과 같은 불변영역의 특정 기능을 이용하기 위해, 원래 항체가 마우스 항체인 경우에는 그 불변영역을 인간 항체의 불변영역으로 치환할 수 있고, 반대로 원래 항체가 인간 항체인 경우에는 그 불변영역을 마우스 항체의 불변영역으로 치환할 수 있다. 항체의 면역 원성을 더욱 저하시키거나 또는 다른 목적을 위해, 원래 항체의 결합 특이성을 실질적으로 유지하면서 항체 분자 내 CDR 서열 이외의 서열을 모두 다른 항체 분자(같거나 다른 종에서 유래된 것)의 대응하는 서열(경우에 따라서는 하나 이상의 아미노산 변이를 포함할 수 있음)로 치환할 수 있다. 일례로, 당업자는 마우스 항체를 인간화하기 위해 CDR 이식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또한 당업자라면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개시에 따른 구체적인 항체 서열을 바탕으로 몇 가지 아미노산의 치환, 결실, 삽입을 수행하고, 얻어진 생성물의 항원(F 단백질) 결합능력 또는 생물학적 활성을 검증 또는 스크리닝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항-F 단백질 항체 분자의 변이체를 얻을 수 있다. 이러한 변이체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따라서, 일부 실시형태에서 본 개시에 따른 항체 분자의 중쇄 가변영역은 서열번호 4로 표시되는 서열, 또는 서열번호 4와 적어도 85%(예를 들면, 86%, 87%, 88%, 89%, 90%, 91%, 92%, 93%, 94%, 95%, 96%, 97%, 98%, 99%) 서열 동일성을 갖는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고, 상기 경쇄 가변영역은 서열번호 5로 표시되는 서열, 또는 서열번호 5와 적어도 85%(예를 들면, 86%, 87%, 88%, 89%, 90%, 91%, 92%, 93%, 94%, 95%, 96%, 97%, 98%, 99%) 서열 동일성을 갖는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본 개시에 따른 항체 분자의 중쇄 가변영역은 서열번호 6으로 표시되는 서열, 또는 서열번호 6과 적어도 85%(예를 들면, 86%, 87%, 88%, 89%, 90%, 91%, 92%, 93%, 94%, 95%, 96%, 97%, 98%, 99%) 서열 동일성을 갖는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고, 상기 경쇄 가변영역은 서열번호 7로 표시되는 서열, 또는 서열번호 7과 적어도 85%(예를 들면, 86%, 87%, 88%, 89%, 90%, 91%, 92%, 93%, 94%, 95%, 96%, 97%, 98%, 99%) 서열 동일성을 갖는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본 개시에 따른 항체 분자의 중쇄 가변영역은 서열번호 8로 표시되는 서열, 또는 서열번호 8과 적어도 85%(예를 들면, 86%, 87%, 88%, 89%, 90%, 91%, 92%, 93%, 94%, 95%, 96%, 97%, 98%, 99%) 서열 동일성을 갖는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고, 상기 경쇄 가변영역은 서열번호 9로 표시되는 서열, 또는 서열번호 9와 적어도 85%(예를 들면, 86%, 87%, 88%, 89%, 90%, 91%, 92%, 93%, 94%, 95%, 96%, 97%, 98%, 99%) 서열 동일성을 갖는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한다.
항체의 "항원 결합 단편"은 원래 항체의 서열 일부(특히 CDR 서열)를 포함함과 아울러, 원래 항체의 결합 특이성도 갖는 폴리펩티드를 말한다. 상기 항원 결합 단편은 일반적으로 원래 항체의 경쇄 가변영역 및 중쇄 가변영역을 포함함으로써 항원 결합 능력을 갖는다. 항원 결합 단편의 형태로는 예를 들면 Fab, F(ab')2, 단일 사슬 항체(scFv), 단일 도메인 항체(sdAb) 등의 다양한 형태가 있다. scFv는 항체의 중쇄 가변영역과 경쇄 가변영역이 펩티드 사슬이 되도록 짧은 펩티드에 의해 결합됨으로써 형성된다. 올바른 폴딩에 의해 중쇄 및 경쇄의 가변영역이 비공유 결합 상호작용을 통해 Fv 세그먼트를 형성하기 때문에 scFv는 항원에 대한 친화성 활성을 적절하게 유지할 수 있다. sdAb는 낙타과 동물에서 처음 발견되었으며, 선천적으로 경쇄가 부족해도 항원 결합 능력을 가진다. sdAb는 통상적인 항체 분자에 비해 안정성(pH, 열, 프로테아제에 대한 내성)이 뛰어나다는 장점이 있으며, 통상적인 항체 분자에서는 접근하기 어려운 항원 분자상의 항원 에피토프 등을 표적으로 삼아 결합할 수 있다.
항체가 "항원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것" 또는 항체의 "항원 결합 특이성"이란, 다른 항원에 비해 보다 높거나 비교적 높은 결합 친화성으로 표적 항원에 결합하는 항체의 능력을 말한다. 표적 항원에 대한 항체의 결합 능력은 예를 들면 표적 항원에 결합하는 항체의 KD 값을 측정하거나, 표적 항원에 결합하기 위해 다른 항체와 경쟁하는 능력을 측정하는 등 다양한 방법을 통해 정성적 또는 정량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Kd는 평형 해리 상수로, 항체와 그 항원의 결합 친화성 강도를 평가하는 데 사용할 수 있다. KD 값이 작을수록 친화성이 강한 것으로 간주된다. 항체가 표적 항원에 특이적으로 결합한다고 해서 그것이 다른 항원에 결합할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예를 들면, 면역 교차 반응성도 당업계에 알려져 있다.
본 개시에서 사용될 경우, "항체"는 완전한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을 포함하며, 인간 항체, 마우스 항체, 인간화 항체, 키메라 항체 등일 수 있다. 항체는 예를 들면 IgG, IgE, IgM, IgD, IgA 또는 IgY와 같은 임의의 타입이거나, 또는 예를 들면 IgG1, lgG2, IgG3, lgG4, IgA1 또는 lgA2와 같은 임의의 서브타입일 수 있다.
항체를 제조하는 방법은 당업계에 알려져 있으며, 동물을 항원으로 면역시킨 후 특정 항체를 발현하는 세포를 단리하는 방법(예를 들면, 하이브리도마 기술에 의한 항체 제조), 파지 항체 라이브러리를 이용한 항체 스크리닝 기술, 유전자 공학 기술로 세포를 형질전환하여 항체 분자를 발현시키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일례로, 본 개시의 실시예는 항체의 중쇄 및 경쇄를 코딩하는 재조합 발현 벡터를 293T 세포에 도입함으로써 항체 분자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용어 "키메라" 항체란, 항체의 중쇄 및/또는 경쇄 일부가 특정 공급원 또는 종에서 유래되고, 중쇄 및/또는 경쇄의 나머지 부분이 다른 공급원 또는 종에서 유래된 항체를 말한다.
용어 "인간화" 항체란, 비인간 항체의 반응성을 유지하고 있으면서 인간에게서 낮은 면역 원성을 갖는 항체를 의미한다. 예를 들면, 비인간 CDR 영역을 유지함과 아울러 항체의 나머지 부분을 인간 대응물(즉, 불변영역 및 가변영역의 프레임워크 부분)로 치환함으로써 달성할 수 있다.
용어 "인간 항체", "인간 유래 항체", "풀 인간 항체", "완전 인간 항체"는 상호 교환적으로 사용되며, 가변영역과 불변영역이 인간 서열인 항체를 의미한다. 이 용어에는 인간 유전자에서 유래되었지만, 예를 들면 잠재적 면역 원성 감소, 친화성 증가, 바람직하지 않은 폴딩을 일으킬 수 있는 시스테인 또는 글리코실화 부위 제거 등을 위해 변형된 서열을 갖는 항체도 포함된다. 이 용어에는 인간 세포에 전형적이지 않은 글리코실화를 부여할 수 있는 비인간 세포에서 재조합으로 생산된 항체도 포함된다. 이 용어에는 인간 면역 글로불린 중쇄 및 경쇄 유전자좌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하는 트랜스제닉 마우스에서 생산된 항체도 포함된다. 인간 항체는 비인간 항원 결합 잔기를 포함하는 인간화 항체를 명백하게 제외한 것을 의미한다.
용어 "단클론 항체"란, 실질적으로 균질한 항체 집단을 의미한다. 즉, 소량으로 존재할 수 있는 자연 돌연변이를 제외하고, 집단에 포함되는 항체 분자의 아미노산 서열이 동일하다. 한편, 다클론 항체 제조물은 통상적으로 가변 도메인에 상이한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복수의 상이한 항체를 포함하며, 통상적으로 상이한 에피토프에 특이적이다. "단클론"이란, 실질적으로 균질한 항체 집단에서 얻어진 항체의 특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항체가 어느 특정 방법으로 제조되어야 한다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본 개시에 따른 항체는 단클론 항체이다.
용어 "항원"이란, 항원 결합 단백질(예를 들면, 항체를 포함) 등의 선택적 결합제에 의해 결합될 수 있고, 또한 동물에서 사용되어 상기 항원에 결합 가능한 항체를 생성할 수 있는 분자 또는 그 부분을 의미한다. 항원은 상이한 항원 결합 단백질(예를 들면, 항체)과 상호작용할 수 있는 하나 또는 복수의 에피토프를 가질 수 있다.
항체 분자에 대해, 예를 들면 PEG화, 글리코실화, 항체 분자 접합체(예를 들면 ADC)의 형성, 정제용 태그의 부가, 또는 다른 단백질과의 융합(예를 들면 이중특이적 항체의 형성) 등 다양한 변형을 가할 수 있다는 것은 당업계에 알려져 있다. 본 개시에 따른 항체 분자를 변형시켜 얻어진 이들의 항체 유도체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아미노산 서열과 관련하여, 용어 "서열 동일성(Sequence identity)"("서열 상동성"이라고도 함)은 2개의 아미노산 서열(예를 들면, 쿼리(query) 서열과 참조 서열) 사이의 동일성 정도를 나타내는 양으로, 일반적으로 백분율로 표시된다. 통상적으로 두 아미노산 서열 간 동일성 백분율을 계산하기 전에 서열을 정렬(alignment)하고, (존재할 경우) 갭(gap)을 도입한다. 특정 정렬 위치에서 두 서열의 아미노산 잔기가 동일할 경우, 두 서열은 그 위치에서 동일하거나 일치하는 것으로 간주되지만, 두 서열에서 아미노산 잔기가 상이한 경우에는 그 위치에서 동일하지 않거나 일치하지 않는 것으로 간주된다. 일부 알고리즘에서는 일치하는 위치의 수를 정렬 창의 총 위치 수로 나누어 서열 동일성을 얻는다. 다른 알고리즘에서는 갭 수 및/또는 갭 길이도 고려된다.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해, 공지된 정렬 소프트웨어 BLAST(웹 페이지 ncbi.nlm.nih.gov에서 입수 가능)를 사용하여 디폴트 설정을 통해 최적의 서열 정렬을 얻고 두 아미노산 서열 간 서열 동일성을 산출할 수 있다.
"발현 벡터"는 "재조합 발현 벡터"로도 불리며, 숙주 세포 내에서 목적 단백질(예를 들면, 항체 분자의 경쇄 및/또는 중쇄)을 발현시키기 위한 다양한 발현 요소를 포함하는 핵산 분자를 말한다. 진핵 세포(포유동물 세포, 곤충 세포, 식물 세포 등)에서 목적 단백질을 발현시키기 위한 발현 벡터의 경우, 이러한 발현 요소로는 일반적으로 프로모터, 인핸서, 폴리아데닐화 시그널 서열 등이 있다. 대장균에서 증폭을 편리하게 하기 위해, 발현 벡터에 대장균 레플리콘 서열도 포함되는 경우가 자주 있다. 발현 벡터는 또한 스크리닝을 위한 항생제 내성 유전자 또는 선별 마커 유전자(예를 들면, 암피실린 내성 유전자(AmpR), 티미딘 키나아제 유전자(TK) 등) 및 목적 단백질 코딩 서열을 삽입하기 위한 멀티 클로닝 사이트(MCS)를 포함할 수 있다. 발현 벡터는 플라스미드 벡터 또는 바이러스 벡터일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른 발현 벡터는 다양한 숙주 세포 내에서 본 개시에 따른 항체 분자 또는 이의 단편을 발현시키는 데 적합하며, 특히 포유동물 세포(예를 들면, 마우스, 래트, 돼지, 양, 원숭이, 오랑우탄 또는 인간 세포)에서 발현시키는 데에 적합하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상기 포유동물 세포는 CHO 세포, HEK293 세포 또는 BHK 세포에서 선택된다.
본 개시는 RSV 융합전 형태의 F 단백질 DS-Cav1을 먹이로 사용해서 단일 세포 시퀀싱에 의해 RSV 감염에서 회복된 소아의 말초 혈액 림프구(PBMCs)로부터 4개의 인간 단클론 항체를 단리하여 각각 RV7, RV8, RV10 및 RV11로 명명하였다. 이 중, RSV F 단백질에 결합할 수 있는 것은 3개이며, RV8 및 RV10은 융합전 F 단백질과 융합후 F 단백질 모두에 결합하지만 RV11은 융합전 F 단백질에만 결합한다. 이 세 가지 단클론 항체는 RSV 진단 및 항원의 정량적 측정에 사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RV8 및 RV11 2개는 RSV A형 및 B형 모두에 대해 중화 활성을 가지며 RSV 예방 및 치료에 사용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른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은 호흡기 세포융합 바이러스 F 단백질(융합전 형태 및/또는 융합후 형태)에 특이적으로 결합할 수 있다. 즉, 호흡기 세포융합 바이러스 F 단백질은 상기 항체의 표적 항원이 된다. 상기 항체는 호흡기 세포융합 바이러스 F 단백질에 결합하면, 중화 활성에 의해 RSV의 세포 감염력을 억제한다. 따라서, 본 개시에 따른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은 RSV 감염을 예방하거나 치료하는 데에 사용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본 개시에 따른 항체의 항원 결합 특이성으로 인해 상기 항체를 피험자의 시료(혈액 등)에서 RSV 바이러스 유무를 검출하는 데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는 본 개시에 따른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을 포함할 수 있는 RSV 검출 키트를 제공한다.
의약 조성물과 관련해서 사용되는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란, 안전하게 투여 가능한 고체 또는 액체 희석제, 증량제, 항산화제, 안정화제 등의 물질을 의미한다. 이러한 물질들은 과도한 유해 부작용 없이 인간 및/또는 동물에게 투여하기에 적합하며, 그 안에 존재하는 약물 또는 활성제의 활성을 유지하는 데 적합하다.
"피험자" 또는 "대상"은 인간 및 비인간 동물을 포함한다. 비인간 동물에는 예를 들면 비인간 영장류(예를 들면, 게먹이원숭이), 양, 개, 소, 닭, 양서류 및 파충류와 같은 모든 척추동물(예를 들면 포유류 및 비포유류)이 포함된다. 특별히 명시하지 않는 한, 상기 용어 "환자" 또는 "피험자"는 본 개시에서 상호교환적으로 사용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대상 또는 피험자는 인간이다.
"투여하다" 또는 "부여하다"는 동물, 인간, 실험의 피험자, 세포, 조직, 기관 또는 생체 유체에 적용될 때 외인성 약물, 치료제, 진단제 또는 조성물과 동물, 인간, 피험자, 세포, 조직, 기관 또는 생체 유체와의 접촉을 의미한다.
RSV 감염의 치료 또는 예방과 관련하여 "치료 유효량"이란, 임상의가 원하는 생물학적 또는 의학적 반응을 피험자에게 일으키기에 충분한 활성 화합물(항체 등)의 양을 의미하며, 또한 원하는 효과를 충분히 또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달성할 수 있는 약물 또는 약제의 투여량을 의미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른 항체 투여시 "치료 유효량"은 투여 경로, 피험자의 체중, 연령, 상태 등의 요인에 기초해서 당업자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형적인 1일 투여량은 체중 1kg당 활성 성분 0.01mg 내지 100mg 범위일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단수형 "일", "하나" 및 "상기"는 문맥상 특별히 명시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며 그 반대도 마찬가지이다.
이하,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더욱 설명한다.
[실시예]
(실시예 1) RSV 바이러스의 융합전 F 단백질(DS-Cav1)의 발현 및 정제
C 말단에 트롬빈 절단 부위, 6개의 히스티딘 서열, 1개의 GS[글리신-세린] 링커가 부가되는 RSV A2형 융합전 F 단백질 DS-Cav1을 코딩하는 서열을, Strep II 태그를 코딩하는 서열 및 종결 코돈과 함께 포유류 발현 벡터 pCAGGS의 EcoR I 및 XhoI 절단 부위에 삽입하였다(아미노산 서열은 서열번호 1을 참조). 라이게이션 산물을 DH5α 대장균 컴피턴트 세포로 형질전환하였다. 그 후, 단클론을 선택하여 4mL의 LB 배지에 식균하고 6~8시간 배양한 후 300mL의 LB 배지로 옮기고 12~16시간 배양하여 집균하고, 엔도톡신 프리(free)인 플라스미드 추출 키트(TIANGEN)로 플라스미드를 추출하여 pCAGGS-RSV-F(DS-Cav1)를 얻었다.
추출된 플라스미드 pCAGGS-RSV-F(DS-Cav1)를 293T 세포에 트랜스펙션하여 F 단백질을 발현시켰다. 트랜스펙션 4~5일 후, 목적 단백질이 포함된 293T 세포 배양 상청을 원심분리 및 여과(0.22μM)하여 세포 파편을 제거한 후, HisTrap HP(GE healthcare) 니켈 킬레이트 칼럼에 결합시켜 더욱 다양한 농도의 이미다졸로 칼럼에서 용출시켰다. 용출된 단백질을 각각 회수하여 SDS-PAGE 결과에 따라 목적 단백질이 포함된 시료를 특정하였다.
목적 단백질이 포함된 용출 피크를 회수하고, 농축 후 분자체(molecular sieve) 크로마토그래피를 실시하여 단백질의 피크 위치 및 SDS-PAGE 결과를 통해 목적 단백질의 크기 및 순도를 판단하였다(분자체 및 SDS-PAGE 결과는 도 1을 참조). 분자체 결과에 따르면, 단백질의 피크 위치가 60~70mL에 있었고, 이는 F 단백질 삼량체의 이론적 분자량 150kDa와 일치하였다. SDS-PAGE 결과에 따르면, 환원(+DTT) 및 비환원(-DTT) 조건하에 F 단백질이 약 50Kda이기 때문에 F 단백질의 서브 유닛은 비공유 결합으로 결합하여 삼량체를 형성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SDS-PAGE 번호 T의 시료는 분자체의 번호 T의 수집 튜브에 대응한다.
(실시예 2) RSV F(DS-Cav1) 단백질 특이적 메모리 B 세포의 단리
RSV 바이러스 감염에서 회복되어 퇴원한 사람의 사전 동의를 얻어 3~10mL의 혈액을 채취하여 PBMCs를 단리하였다. 단리된 PBMCs(107/mL)를 400nM의 단백질 DS-Cav1(실시예 1에서 제조한 것)과 함께 얼음 위에서 30분간 인큐베이션하여 결합시킨 후 PBS로 2회 세척하고, 하기 항체(모두 BD에서 구입)와 혼합하였다. anti-human CD3/PE-Cy5, anti-human CD16/PE-Cy5, anti-human CD235a/PE-Cy5, anti-human CD19/APC-Cy7, anti-human CD27/Pacific Blue, anti-human CD38/APC, anti-human IgG/FITC 및 anti-His/PE. 얼음 위에서 30분간 인큐베이션한 후 PBS로 2회 세척하였다. 그 후, FACSAria III에 의해 PBMCs를 선별하고 PE-Cy5-APC-APC-Cy7+Pacific Blue+FITC+PE+세포(즉, 메모리 B 세포)를 96-웰 플레이트에 직접 1세포/웰로 회수하였다.
(실시예 3) 단일 B 세포 PCR 및 인간 유래 단클론 항체 IgG1의 클로닝
실시예 2에서 얻어진 세포를 Superscript III 역전사효소(reverse transcriptase)(Invitrogen)를 사용하여 55℃, 60분의 반응 조건으로 역전사하였다. 이 역전사 산물을 주형으로 하고 HotStar Tap Plus 효소(QIAgen)를 이용해서 PCR을 실시하여 항체 가변영역 서열(PCRa)을 증폭하였다(반응 조건은 95℃에서 5분, 95℃에서 30초, 55℃(중쇄/κ쇄)/50℃(λ쇄)에서 30초, 72℃에서 90초, 35사이클, 72℃에서 7분으로 하였다). 이것을 주형으로 해서 한번 더 PCR(PCRb)을 실시하였다(조건은 95℃에서 5분, 95℃에서 30초, 58℃(중쇄)/60℃(κ쇄)/64℃(λ쇄)에서 30초, 72℃에서 90초, 35사이클, 72℃에서 7분으로 하였다). 1.2%의 아가로스겔 전기영동을 실시하여 PCR 산물을 분리하고, 400~500bp의 밴드를 잘라서 회수한 후, 서열결정 업체에 보내 서열결정을 실시하였다. IGBLAST 사이트에서 서열결정 결과를 해석하였다. 해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총 4개의 페어 항체 RV7, RV8, RV10 및 RV11이 얻어졌다. 서열결정 결과에 따르면, RV7은 중쇄 가변영역의 아미노산 서열이 서열번호 2이고, 경쇄 가변영역의 아미노산 서열이 서열번호 3이었다. RV8은 중쇄 가변영역의 아미노산 서열이 서열번호 4이고, 경쇄 가변영역의 아미노산 서열이 서열번호 5였다. RV10은 중쇄 가변영역의 아미노산 서열이 서열번호 6이고, 경쇄 가변영역의 아미노산 서열이 서열번호 7이었다. RV11은 중쇄 가변영역의 아미노산 서열이 서열번호 8이고, 경쇄 가변영역의 아미노산 서열이 서열번호 9였다. 4개 항체의 경쇄 서열결정 결과를 각각 생식계열 유전자와 비교한 결과, RV7은 CLκ를 사용하고, RV8은 CLκ를 사용하고, RV10은 CLλ를 사용하고, RV11은 CLλ를 사용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추후 평가에 사용하는 인간 유래 항체를 얻기 위해 아래의 방법으로 완전한 항-IgG1을 설계하여 구축하였다.
중쇄: CMV promoter-Hind III-시그널 펩티드(SP)-중쇄 가변영역(VH)-중쇄 불변영역(CH)-Not I.
경쇄 κ: CMV promoter-Hind III-시그널 펩티드(SP)-경쇄 가변영역(VK)-경쇄 불변영역(CLκ)-Not I.
경쇄 λ: CMV promoter-Hind III-시그널 펩티드(SP)-경쇄 가변영역(VL)-경쇄 불변영역(CLλ)-Not I.
올바른 가변영역 서열을, 대응하는 중쇄 CH 및 경쇄 CLκ(또는 경쇄 CLλ)의 불변영역에 브리지 PCR을 통해 라이게이션하고, 발현 벡터 KT351861에 클로닝하여 특정 항체의 경쇄, 중쇄를 코딩하는 유전자를 포함하는 재조합 플라스미드를 얻었다. 여기서, 절단 부위 Hind III 및 Not I에 의해 경쇄·중쇄 가변영역을, 불변영역을 포함하는 벡터에 삽입하였다. 중쇄 불변영역 CH의 아미노산 서열은 서열번호 10, 경쇄 불변영역 CLκ의 아미노산 서열은 서열번호 11, 경쇄 불변영역 CLλ의 아미노산 서열은 서열번호 12, 시그널 펩티드(SP)의 아미노산 서열은 서열번호 13이었다.
(실시예 4) 단클론 항체의 발현 및 정제
10% FBS가 포함된 DMEM에서 293T 세포를 배양하였다. 실시예 3에서 얻어진 항체의 중쇄 및 경쇄를 각각 코딩하는 재조합 발현 벡터를 293T 세포에 코-트랜스펙션하였다. 트랜스펙션 4~6시간 후에 세포 배양액을 무혈청 DMEM으로 교환하고 3일간 더 배양하였다. 상청을 회수하여 DMEM을 첨가하고 4일간 더 배양한 후 상청을 재회수하였다.
회수한 상청을 8000rpm으로 90분간 원심분리한 후, 20mM 인산나트륨(pH 7.0)이 포함된 완충액과 등량 혼합하고 0.22㎛ 필터로 여과한 후 protein A 또는 G가 충전된 프리팩 칼럼(pre-packed column)(5mL, GE Healthcare)에 주입하였다. 프리팩 칼럼에 결합된 단백질을 100mM 글리신(pH 3.0)으로 용출하였다. 용출 분획을 농축하여 분자체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였다. 이어서, 정제된 목적 단백질을 SDS-PAGE(환원성 및 비환원성)로 분석한 결과, 비환원 조건의 SDS-PAGE에서는 항체가 단일 밴드를 나타냈지만, 환원 조건의 SDS-PAGE에서는 항체의 Fc 영역의 디설파이드 결합이 절단되었기 때문에 2개의 밴드로 나타났다. 또한 항체의 순도는 95% 초과였다.
(실시예 5) 항체의 결합성 어세이
(1) RSV 융합후 F 단백질(FΔFP)의 구축 및 발현
C 말단에 트롬빈 절단 부위, 6개의 히스티딘 서열, 1개의 GS[글리신-세린] 링커가 부가되는 RSV A2 균주의 융합후 F 단백질(FΔFP)을 코딩하는 서열을, Strep II 태그를 코딩하는 서열 및 종결 코돈과 함께 포유류 발현 벡터 pCAGGS의 NdeI 및 XhoI 절단 부위에 삽입하였다(아미노산 서열은 서열번호 14를 참조). 라이게이션 산물을 DH5α 대장균 컴피턴트 세포로 형질전환하였다. 그 후, 단클론을 선택하여 4mL의 LB 배지에 식균하고 6~8시간 배양한 후 300mL의 LB 배지로 옮겨서 12~16시간 배양하여 집균하고, 엔도톡신 프리인 플라스미드 추출 키트(TIANGEN)로 플라스미드를 추출하여 pCAGGS-RSV-FΔFP를 얻었다.
추출된 플라스미드 pCAGGS-RSV-FΔFP를 293T 세포로 트랜스펙션하여 F 단백질을 발현시켰다. 트랜스펙션 4~5일 후, 목적 단백질이 포함된 293T 세포 배양 상청을 원심분리 및 여과(0.22μM)하여 세포 파편을 제거한 후, HisTrap HP(GE healthcare) 니켈 킬레이트 칼럼에 결합시켜 더욱 다양한 농도의 이미다졸로 칼럼에서 용출시켰다. 용출된 단백질을 각각 회수하여 SDS-PAGE 결과에 따라 목적 단백질을 포함하는 시료를 특정하였다.
목적 단백질이 포함된 용출 피크를 회수하여 농축한 후, 분자체 크로마토그래피를 실시하여 단백질의 피크 위치 및 SDS-PAGE 결과를 통해 단백질의 크기 및 순도를 판단하였다.
(2) 단클론 항체 Fab 세그먼트 전장의 제조 및 정제
A. 시료 준비
완전 항체 단백질을 10mg/ml 이상으로 농축하고 sample buffer(20mM Na3PO4, 10mM EDTA, pH 7.0)를 사용하여 버퍼 교환(200배)을 실시하고, 버퍼 교환 후 항체를 20mg/ml 이상으로 농축하고 일정량의 digestion buffer(sample buffer에 cysteine·HCl를 20mM까지 첨가, pH 7.0)를 첨가하고 희석하여 최종 농도≥10mg/ml로 하였다.
B. 효소 준비
끝이 잘린 피펫 팁을 이용해서 충분히 혼화된 커플링 효소 beans(Thermo, Prod #20341) 0.5mL를 반응 용기에 첨가하고 1000g/min로 2분간 원심분리하여 보존액을 제거하였다. beans를 3mL의 digestion buffer로 3회 세척하고 용출액을 폐기하였다. 그 후, 0.5mL의 digestion buffer를 첨가하고 부드럽게 전도 혼화하였다.
C. 효소에 의한 절단
반응 튜브에 마개를 하고 농축된 항체(약 10mg)를 첨가하여 뚜껑을 덮고 밀봉 필름으로 밀폐하였다. 반응 튜브를 회전 믹서에 고정하고 37℃에서 하룻밤 인큐베이션하였다.
D. Fab 회수
효소에 의한 절단을 하룻밤 실시한 후 1000g/min로 5분간 원심분리하고 하부액을 유지하였다. 1mL의 Protein G binding buffer(20mM Na3PO4, pH 7.0)로 beans를 2회 세척하고 하부액을 회수하였다. 이 2개의 공정에서 얻어진 하부액을 혼화한 후 농도를 측정하였다. 하부액을 농축하여 Protein G에 가하고, 목적 단백질 용출액을 농축하여 1x PBS 완충액으로 버퍼 교환하고 분자체로 더 정제하였다.
(3) F 단백질에 대한 단클론 항체의 결합력 평가
본 실시예에서는 아래 순서대로 Biacore 3K(Biacore Inc.)를 이용해서 표면 플라즈몬 공명 분석을 실시하였다.
먼저, 융합전 F 단백질 DS-Cav1 및 융합후 F 단백질 FΔFP를 아미노 커플링에 의해 CM5 칩의 Fc2 및 Fc4 채널(flow cell, Fc)에 각각 고정시켰다. 이어서, 항체 포획에 의해, 정제된 항체 RV7, RV8, RV10 및 RV11의 Fab 단백질을 결합시켰다. 양성 대조군으로는 팔리비주맙(Palivizumab)을 사용하였다. 또한 20mM HEPES, 150mM NaCl, pH 7.4 용액으로 항체 RV7, RV8, RV10, RV11 및 팔리비주맙의 Fab를 단계 희석하였다. 그 후, 단계 희석된 Fab를 각 채널에 순차적으로 통과시켰다(저농도부터 순차적으로 주입함). DS-Cav1 또는 FΔFP에 대한 항체 RV7, RV8, RV10, RV11 및 팔리비주맙의 Fab 결합의 반응 속도 곡선을 묘화하고, 소프트웨어 BIAevaluation software 3K(Biacore, Inc.)를 사용하여 속도 상수 KD를 산출하였다. 친화성 결과를 표 1에 기재한다.
(결과 해석) RV7은 RSV 융합전 F 단백질 및 RSV 융합후 F 단백질 모두에 결합하지 않는다. RV8은 RSV 융합전 F 단백질(KD=25.6nM) 및 융합후 F 단백질(KD=17.5nM) 모두에 결합한다. RV10은 융합전 F 단백질(KD=10.1nM) 및 융합후 F 단백질(KD=7.11nM) 둘 다에 결합한다. RV11 항체는 RSV 융합전 F 단백질(KD=7.18nM)에 결합하지만 융합후 F 단백질에는 결합하지 않는다.
(실시예 6) 항체의 중화 활성 어세이
flow cytometry 염색법으로 아래 절차에 따라 항체의 중화 활성을 분석하였다. 일반적으로, 정제된 항체를 단계 희석하여 바이러스와 혼합하고 일정 기간 인큐베이션한 후 전날 준비한 감수성 세포를 감염시켰다. 2일 후 세포를 고정하여 투과 처리하고 F 단백질을 표적으로 한 1차 항체로 염색한 후, 표지된 2차 항체로 다시 염색하였다. 그 후, flow cytometry를 실시하여 감염 세포 비율을 계산하였다. 마지막으로, 항체의 중화 활성을 산출하였다.
실험 절차
1. 세포 준비
① 다음날 70% 이상 증식한 후에 항체 중화 실험을 실시하기 위해 Hep2 세포를 12~16시간 전에 24웰 플레이트에 파종하여 10% DMEM 배지에서 배양하였다.
② 항체 희석
RV7, RV8, RV10, RV11, 팔리비주맙의 총 5개 항체에 대해, 각 항체를 정제하고 멸균 여과한 후 48-웰 플레이트에 항체를 첨가하여 3배 단계 희석하였다. 1웰당 적어도 350μL~400μL가 되도록 DMEM 배지(2% FBS)로 희석하였다.
③ 바이러스 희석
바이러스를 -80℃의 냉장고에서 꺼내 해동하고 적절한 바이러스 희석 배율에 따라 DMEM 배지(2% FBS)로 바이러스를 희석한 후, 항체가 담긴 48-웰 플레이트에 300μL/웰로 첨가하였다(RSV_A2 또는 RSV-Long 또는 RSV-B는 450μL에서 40mL까지 희석하여 최종 역가 1.2×104 TCID 50/100μL로 하였다.).
④ 바이러스와 항체의 인큐베이션
희석된 바이러스와 항체를 몰비 1:1로 혼합하고, CO2 인큐베이터에서 37℃로 1시간 인큐베이션하였다.
⑤ 세포 세척
10분 전에, 컨플루언트 직후인 Hep2 세포를 인큐베이터에서 꺼내 피펫으로 배지를 제거하고 세포를 PBS로 1회 세척하여 각 웰에 500μL의 PBS를 첨가하였다.
⑥ 바이러스-항체 혼합액 첨가
세포에서 PBS를 제거하고 바이러스와 세포 상청의 혼합물을 1웰당 300μL로 세포에 첨가하고 37℃에서 1시간 동안 인큐베이션하였다(1농도당 2웰로, 각각 11농도로 하였다. 각 플레이트마다 2웰의 바이러스 대조군을 마련하였다.)
⑦ 배지 추가
인큐베이션 후, 상청을 제거하고 각 웰에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 혼합 용액 + 2% FBS를 포함하는 DMEM 배지 1mL를 첨가하였다. 인큐베이터에 넣고 약 48시간 동안 세포 배양하였다.
2. flow cytometry 분석
① 감염 후 세포를 관찰하고 적절한 세포 변성이 일어난 후에 세포를 회수하였다.
② 세포 소화
세포 배지를 제거하고 PBS로 세포를 1회 세척하여 각 웰에 트립신 120μL를 첨가하고 37℃의 인큐베이터에 넣어 2분간 소화시킨 후 세포가 벗겨지면 10% FBS + PBS 130μL를 첨가하여 반응을 정지시켰다.
③ 세포를 둥근 바닥 96-웰 플레이트로 옮겼다. 500g, 4℃에서 10분간 원심분리하여 상청을 제거하였다.
④ 1% FBS + PBS를 1웰당 150μL 첨가하여 1회 세척하고 상기와 마찬가지로 원심분리하여 상청을 제거하였다.
⑤ 100μL의 Fixation and Permeabilization Solution을 첨가하고 4℃, 얼음 위, 어두운 곳에서 세포 고정 및 투과 처리를 30분간 실시하였다.
⑥ 100μL의 1×wash buffer를 첨가하여 혼화하고 500g, 4℃에서 10분간 원심분리하였다. 100μL의 wash buffer로 재현탁하고 96-웰 플레이트 외측에 알코올을 분무하여 밀폐하고, 후속 조작을 위해 P3에서 P2로 옮겼다. 확실히 하기 위해 조작 전에 4℃에서 하룻밤 정치하거나 세포를 새로운 둥근 바닥 96-웰 플레이트로 옮긴다.
⑦ 1차 항체 첨가
정제된 팔리비주맙을 1×wash buffer로 2㎍/mL 농도가 되도록 희석하고 세포를 원심분리하여 상청을 제거하고 각 웰에 50μL의 항체를 첨가하여 얼음 위에서 30분간 인큐베이션하였다. 그 후, 1×wash buffer 150μL를 첨가하여 혼화하고 원심분리하여 상청을 제거하였다.
⑧ 2차 항체 첨가
1×wash buffer로 Anti-Human-IgG(FITC)를 150배 희석하고 각 웰에 50μl의 항체를 첨가하고 얼음 위에서 30분간 인큐베이션하였다. 그 후 1×wash buffer 150μL를 첨가하여 혼화하고 원심분리하여 상청을 제거하였다. 세척을 1회 반복하였다. 마지막으로 150μL의 PBS로 재현탁하였다.
(마지막 flow cytometry 분석)
BD FACSAria II로 flow cytometry 분석을 실시하였다. FlowJo 7.6.1로 해석하였다.
(결과)
RSV A형 A2 균주의 경우, 항체의 절반 억제 농도(IC50)에 대해, RV8은 539.5ng/mL, RV11은 42.3ng/mL가 되어 모두 시판되는 팔리비주맙의 751ng/mL보다 우수하였다. 특히 항체 RV11은 팔리비주맙보다 약 18배 강한 중화 활성을 보였다. RV7 및 RV10은 시험된 농도 범위에서 중화 활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데이터를 표 2에 기재한다.
RSV A형 Long 균주의 경우, 항체의 절반 억제 농도(IC50)에 대해, RV8은 842.9ng/mL, RV11은 56.3ng/mL가 되어 모두 시판중인 팔리비주맙(IC50=897.4ng/mL)보다 우수하였다. 특히 RV11 항체는 팔리비주맙보다 약 16배 강한 중화 활성을 보였다. RV7은 시험된 농도 범위에서 중화 활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데이터를 표 3에 기재한다.
RSV B형 임상 분리주의 경우, 항체의 절반 억제 농도(IC50)에 대해, RV8은 183.1ng/mL, RV11은 31.4ng/mL가 되어 모두 시판중인 팔리비주맙(IC50=1413.0ng/mL)보다 우수하였다. 특히 RV11 항체는 팔리비주맙보다 약 45배 강한 중화 활성을 보였다. RV8 항체도 팔리비주맙보다 7.7배 강한 중화 활성을 보였다. 데이터를 표 4에 기재한다.
본 개시에서 언급된 아미노산 서열은 아래와 같다.
SEQUENCE LISTING <110> INSTITUTE OF MICROBIOLOGY, CHINESE ACADEMY OF SCIENCES <120> ANTIBODY AGAINST RESPIRATORY SYNCYTIAL VIRUS AND USE THEREOF <130> 6771-2318110EP <150> CN202110653393.6 <151> 2021-06-11 <160> 32 <170> PatentIn version 3.5 <210> 1 <211> 564 <212> PRT <213> Artificial <220> <223> pre-fusion F protein <400> 1 Met Glu Leu Leu Ile Leu Lys Ala Asn Ala Ile Thr Thr Ile Leu Thr 1 5 10 15 Ala Val Thr Phe Cys Phe Ala Ser Gly Gln Asn Ile Thr Glu Glu Phe 20 25 30 Tyr Gln Ser Thr Cys Ser Ala Val Ser Lys Gly Tyr Leu Ser Ala Leu 35 40 45 Arg Thr Gly Trp Tyr Thr Ser Val Ile Thr Ile Glu Leu Ser Asn Ile 50 55 60 Lys Glu Asn Lys Cys Asn Gly Thr Asp Ala Lys Val Lys Leu Ile Lys 65 70 75 80 Gln Glu Leu Asp Lys Tyr Lys Asn Ala Val Thr Glu Leu Gln Leu Leu 85 90 95 Met Gln Ser Thr Pro Ala Thr Asn Asn Arg Ala Arg Arg Glu Leu Pro 100 105 110 Arg Phe Met Asn Tyr Thr Leu Asn Asn Thr Lys Lys Thr Asn Val Thr 115 120 125 Leu Ser Lys Lys Arg Lys Arg Arg Phe Leu Gly Phe Leu Leu Gly Val 130 135 140 Gly Ser Ala Ile Ala Ser Gly Val Ala Val Cys Lys Val Leu His Leu 145 150 155 160 Glu Gly Glu Val Asn Lys Ile Lys Ser Ala Leu Leu Ser Thr Asn Lys 165 170 175 Ala Val Val Ser Leu Ser Asn Gly Val Ser Val Leu Thr Phe Lys Val 180 185 190 Leu Asp Leu Lys Asn Tyr Ile Asp Lys Gln Leu Leu Pro Ile Leu Asn 195 200 205 Lys Gln Ser Cys Ser Ile Ser Asn Ile Glu Thr Val Ile Glu Phe Gln 210 215 220 Gln Lys Asn Asn Arg Leu Leu Glu Ile Thr Arg Glu Phe Ser Val Asn 225 230 235 240 Ala Gly Val Thr Thr Pro Val Ser Thr Tyr Met Leu Thr Asn Ser Glu 245 250 255 Leu Leu Ser Leu Ile Asn Asp Met Pro Ile Thr Asn Asp Gln Lys Lys 260 265 270 Leu Met Ser Asn Asn Val Gln Ile Val Arg Gln Gln Ser Tyr Ser Ile 275 280 285 Met Cys Ile Ile Lys Glu Glu Val Leu Ala Tyr Val Val Gln Leu Pro 290 295 300 Leu Tyr Gly Val Ile Asp Thr Pro Cys Trp Lys Leu His Thr Ser Pro 305 310 315 320 Leu Cys Thr Thr Asn Thr Lys Glu Gly Ser Asn Ile Cys Leu Thr Arg 325 330 335 Thr Asp Arg Gly Trp Tyr Cys Asp Asn Ala Gly Ser Val Ser Phe Phe 340 345 350 Pro Gln Ala Glu Thr Cys Lys Val Gln Ser Asn Arg Val Phe Cys Asp 355 360 365 Thr Met Asn Ser Leu Thr Leu Pro Ser Glu Val Asn Leu Cys Asn Val 370 375 380 Asp Ile Phe Asn Pro Lys Tyr Asp Cys Lys Ile Met Thr Ser Lys Thr 385 390 395 400 Asp Val Ser Ser Ser Val Ile Thr Ser Leu Gly Ala Ile Val Ser Cys 405 410 415 Tyr Gly Lys Thr Lys Cys Thr Ala Ser Asn Lys Asn Arg Gly Ile Ile 420 425 430 Lys Thr Phe Ser Asn Gly Cys Asp Tyr Val Ser Asn Lys Gly Val Asp 435 440 445 Thr Val Ser Val Gly Asn Thr Leu Tyr Tyr Val Asn Lys Gln Glu Gly 450 455 460 Lys Ser Leu Tyr Val Lys Gly Glu Pro Ile Ile Asn Phe Tyr Asp Pro 465 470 475 480 Leu Val Phe Pro Ser Asp Glu Phe Asp Ala Ser Ile Ser Gln Val Asn 485 490 495 Glu Lys Ile Asn Gln Ser Leu Ala Phe Ile Arg Lys Ser Asp Glu Leu 500 505 510 Leu Gly Ser Gly Tyr Ile Pro Glu Ala Pro Arg Asp Gly Gln Ala Tyr 515 520 525 Val Arg Lys Asp Gly Glu Trp Val Leu Leu Ser Thr Phe Leu Leu Val 530 535 540 Pro Arg Gly Ser His His His His His His Gly Ser Trp Ser His Pro 545 550 555 560 Gln Phe Gly Lys <210> 2 <211> 118 <212> PRT <213> Artificial <220> <223> RV7 heavy chain variable region <400> 2 Gln Val Gln Leu Gln Glu Ser Gly Pro Gly Leu Val Lys Pro Ser Glu 1 5 10 15 Thr Leu Ser Leu Thr Cys Thr Val Ser Gly Gly Ser Ile Ser Ser Tyr 20 25 30 Tyr Leu Ser Trp Ile Arg Gln Pro Pro Gly Lys Gly Leu Glu Trp Ile 35 40 45 Gly Tyr Ile Tyr His Thr Gly Ser Thr Asn Tyr Asn Pro Ser Leu Lys 50 55 60 Ser Arg Val Thr Ile Ser Val His Ser Ser Lys Asn Gln Phe Ser Leu 65 70 75 80 Lys Leu Thr Ser Val Thr Ala Ala Asp Thr Ala Val Tyr Tyr Cys Ala 85 90 95 Arg His Met Arg Ile Val Thr Thr Ile Asp Tyr Trp Gly Gln Gly Thr 100 105 110 Leu Val Thr Val Ser Ser 115 <210> 3 <211> 107 <212> PRT <213> Artificial <220> <223> RV7 light chain variable region <400> 3 Asp Ile Val Met Thr Gln Ser Pro Ser Ser Leu Ser Ala Ser Val Gly 1 5 10 15 Asp Arg Val Thr Leu Thr Cys Arg Ala Ser Gln Gly Ile Ser Ser Tyr 20 25 30 Leu Ala Trp Tyr Gln Gln Lys Pro Gly Lys Val Pro Lys Leu Leu Ile 35 40 45 Tyr Ala Ala Ser Thr Leu Gln Ser Gly Val Pro Ser Arg Phe Ser Gly 50 55 60 Ser Gly Ser Gly Thr Asp Phe Thr Leu Thr Ile Ser Ser Leu Gln Pro 65 70 75 80 Glu Asp Val Ala Thr Tyr Tyr Cys Gln Lys Tyr Asn Ser Ala Pro Trp 85 90 95 Thr Phe Gly Gln Gly Thr Lys Val Glu Ile Lys 100 105 <210> 4 <211> 121 <212> PRT <213> Artificial <220> <223> RV8 heavy chain variable region <400> 4 Gln Val Gln Leu Val Gln Ser Gly Gly Gly Val Val Gln Pro Gly Arg 1 5 10 15 Ser Leu Arg Leu Ser Cys Ala Ala Ser Gly Phe Thr Phe Ser Ser Tyr 20 25 30 Ala Met His Trp Val Arg Gln Ala Pro Gly Lys Gly Leu Glu Trp Met 35 40 45 Ala Val Ile Ser Tyr Asp Gly Ser Asn Thr Tyr Tyr Ala Asp Ser Val 50 55 60 Lys Gly Arg Phe Thr Ile Ser Arg Asp Asn Ser Lys Asn Thr Leu Tyr 65 70 75 80 Leu Gln Met Asn Ser Leu Arg Ala Glu Asp Thr Ala Met Phe Tyr Cys 85 90 95 Ala Arg Asp Tyr Cys Ser Arg Gly Thr Cys Tyr His Asp Tyr Trp Gly 100 105 110 Gln Gly Thr Leu Val Thr Val Ser Ser 115 120 <210> 5 <211> 107 <212> PRT <213> Artificial <220> <223> RV8 light chain variable region <400> 5 Asp Ile Val Leu Thr Gln Ser Pro Ser Ser Leu Ser Ala Ser Val Gly 1 5 10 15 Asp Arg Val Thr Ile Thr Cys Arg Ala Ser Gln Asp Ile Arg Asn Asp 20 25 30 Leu Ser Trp Tyr Gln Gln Lys Pro Gly Lys Ala Pro Lys Leu Leu Ile 35 40 45 Tyr Ala Ala Ser Ser Leu Gln Ser Gly Val Pro Ser Arg Phe Ser Gly 50 55 60 Ser Gly Ser Gly Thr Asp Phe Thr Leu Thr Ile Ser Ser Leu Gln Pro 65 70 75 80 Glu Asp Phe Ala Thr Tyr Ser Cys Leu Gln Asp Tyr Asn Tyr Pro Gln 85 90 95 Thr Phe Gly Gln Gly Thr Lys Val Glu Ile Lys 100 105 <210> 6 <211> 118 <212> PRT <213> Artificial <220> <223> RV10 heavy chain variable region <400> 6 Gln Val Gln Leu Val Gln Ser Gly Ala Glu Val Lys Lys Pro Gly Ala 1 5 10 15 Ser Val Lys Val Ser Cys Lys Ala Ser Gly Tyr Thr Phe Thr Thr Tyr 20 25 30 Asp Phe His Trp Val Arg Gln Ala Pro Gly Gln Gly Leu Glu Trp Ile 35 40 45 Gly Trp Leu Asn Pro Asp Asn Gly Asn Thr Lys His Ser Gln Lys Phe 50 55 60 Gln Gly Arg Val Thr Phe Thr Arg Asp Thr Ser Ala Ser Thr Ala Phe 65 70 75 80 Met Glu Leu Ser Ser Leu Arg Ser Glu Asp Thr Ala Val Tyr Tyr Cys 85 90 95 Thr Arg Ala Pro Trp Trp Trp Tyr Phe Asp Tyr Trp Gly Gln Gly Thr 100 105 110 Leu Val Thr Val Ser Ser 115 <210> 7 <211> 115 <212> PRT <213> Artificial <220> <223> RV10 light chain variable region <400> 7 Asn Phe Met Leu Thr Gln Pro His Ser Val Ser Glu Ser Pro Gly Lys 1 5 10 15 Thr Val Thr Ile Ser Cys Thr Arg Ser Ser Gly Ser Ile Ala Ser Asn 20 25 30 Tyr Val Gln Trp Cys Gln Gln Arg Pro Gly Ser Ser Pro Thr Thr Val 35 40 45 Ile Tyr Glu Asp Asn Gln Arg Pro Ser Gly Val Pro Asp Arg Phe Ser 50 55 60 Gly Ser Ile Asp Ser Ser Ser Asn Ser Ala Ser Leu Thr Ile Ser Gly 65 70 75 80 Leu Arg Thr Glu Asp Glu Ala Asp Tyr Tyr Cys Gln Ser Tyr Asp Thr 85 90 95 Ser Asn Ala Val Phe Gly Gly Gly Thr Lys Leu Thr Val Leu Gly Gln 100 105 110 Pro Lys Ala 115 <210> 8 <211> 133 <212> PRT <213> Artificial <220> <223> RV11 heavy chain variable region <400> 8 Gln Val Gln Leu Val Gln Ser Gly Gly Gly Val Val Gln Pro Gly Arg 1 5 10 15 Ser Leu Arg Leu Ser Cys Ala Ala Ser Gly Phe Ser Phe Thr Asn Tyr 20 25 30 Gly Met His Trp Val Arg Gln Ala Pro Gly Lys Gly Leu Glu Trp Val 35 40 45 Ala Val Ile Ser Tyr Asp Asp Gly Ser Asp Lys Tyr Tyr Ala Asp Ser 50 55 60 Val Lys Gly Arg Phe Thr Ile Ser Arg Asp Asn Ser Lys Asn Thr Leu 65 70 75 80 Tyr Leu Gln Met Asn Ser Leu Arg Ala Glu Asp Thr Ala Val Tyr Tyr 85 90 95 Cys Val Arg Asp Pro Thr Gly Asp Tyr Gly Asp Phe Pro Glu Gln Asp 100 105 110 Gly Tyr Tyr Tyr Tyr Tyr Gly Met Asp Val Trp Gly Gln Gly Thr Thr 115 120 125 Val Thr Val Ser Ser 130 <210> 9 <211> 115 <212> PRT <213> Artificial <220> <223> RV11 light chain variable region <400> 9 Gln Ala Val Leu Thr Gln Pro Pro Ser Ala Ser Gly Thr Pro Gly Gln 1 5 10 15 Arg Val Thr Ile Ser Cys Ser Gly Ser Ser Leu Asn Ile Gly Ser Asn 20 25 30 Tyr Val Tyr Trp Tyr Gln Gln Leu Pro Gly Thr Ala Pro Lys Phe Leu 35 40 45 Ile Tyr Lys Asn Asn Gln Arg Pro Ser Gly Val Pro Asp Arg Phe Ser 50 55 60 Gly Ser Lys Ser Gly Thr Ser Ala Ser Leu Ala Ile Ser Gly Leu Arg 65 70 75 80 Ser Glu Asp Glu Ala Asp Tyr Tyr Cys Ala Ala Trp Asp Asp Ser Leu 85 90 95 Ser Gly Val Val Phe Gly Gly Gly Thr Lys Leu Thr Val Leu Gly Gln 100 105 110 Pro Lys Ala 115 <210> 10 <211> 330 <212> PRT <213> Artificial <220> <223> heavy chain constant region <400> 10 Ala Ser Thr Lys Gly Pro Ser Val Phe Pro Leu Ala Pro Ser Ser Lys 1 5 10 15 Ser Thr Ser Gly Gly Thr Ala Ala Leu Gly Cys Leu Val Lys Asp Tyr 20 25 30 Phe Pro Glu Pro Val Thr Val Ser Trp Asn Ser Gly Ala Leu Thr Ser 35 40 45 Gly Val His Thr Phe Pro Ala Val Leu Gln Ser Ser Gly Leu Tyr Ser 50 55 60 Leu Ser Ser Val Val Thr Val Pro Ser Ser Ser Leu Gly Thr Gln Thr 65 70 75 80 Tyr Ile Cys Asn Val Asn His Lys Pro Ser Asn Thr Lys Val Asp Lys 85 90 95 Arg Val Glu Pro Lys Ser Cys Asp Lys Thr His Thr Cys Pro Pro Cys 100 105 110 Pro Ala Pro Glu Leu Leu Gly Gly Pro Ser Val Phe Leu Phe Pro Pro 115 120 125 Lys Pro Lys Asp Thr Leu Met Ile Ser Arg Thr Pro Glu Val Thr Cys 130 135 140 Val Val Val Asp Val Ser His Glu Asp Pro Glu Val Lys Phe Asn Trp 145 150 155 160 Tyr Val Asp Gly Val Glu Val His Asn Ala Lys Thr Lys Pro Arg Glu 165 170 175 Glu Gln Tyr Asn Ser Thr Tyr Arg Val Val Ser Val Leu Thr Val Leu 180 185 190 His Gln Asp Trp Leu Asn Gly Lys Glu Tyr Lys Cys Lys Val Ser Asn 195 200 205 Lys Ala Leu Pro Ala Pro Ile Glu Lys Thr Ile Ser Lys Ala Lys Gly 210 215 220 Gln Pro Arg Glu Pro Gln Val Tyr Thr Leu Pro Pro Ser Arg Asp Glu 225 230 235 240 Leu Thr Lys Asn Gln Val Ser Leu Thr Cys Leu Val Lys Gly Phe Tyr 245 250 255 Pro Ser Asp Ile Ala Val Glu Trp Glu Ser Asn Gly Gln Pro Glu Asn 260 265 270 Asn Tyr Lys Thr Thr Pro Pro Val Leu Asp Ser Asp Gly Ser Phe Phe 275 280 285 Leu Tyr Ser Lys Leu Thr Val Asp Lys Ser Arg Trp Gln Gln Gly Asn 290 295 300 Val Phe Ser Cys Ser Val Met His Glu Ala Leu His Asn His Tyr Thr 305 310 315 320 Gln Lys Ser Leu Ser Leu Ser Pro Gly Lys 325 330 <210> 11 <211> 108 <212> PRT <213> Artificial <220> <223> light chain constant region CL觀 <400> 11 Arg Thr Val Ala Ala Pro Ser Val Phe Ile Phe Pro Pro Ser Asp Glu 1 5 10 15 Gln Leu Lys Ser Gly Thr Ala Ser Val Val Cys Leu Leu Asn Asn Phe 20 25 30 Tyr Pro Arg Glu Ala Lys Val Gln Trp Lys Val Asp Asn Ala Leu Gln 35 40 45 Ser Gly Asn Ser Gln Glu Ser Val Thr Glu Gln Asp Ser Lys Asp Ser 50 55 60 Thr Tyr Ser Leu Ser Ser Thr Leu Thr Leu Ser Lys Ala Asp Tyr Glu 65 70 75 80 Lys His Lys Val Tyr Ala Cys Glu Val Thr His Gln Gly Leu Ser Ser 85 90 95 Pro Val Thr Lys Ser Phe Asn Arg Gly Glu Cys Ser 100 105 <210> 12 <211> 101 <212> PRT <213> Artificial <220> <223> light chain constant region CL貫 <400> 12 Ala Pro Ser Val Thr Leu Phe Pro Pro Ser Ser Glu Glu Leu Gln Ala 1 5 10 15 Asn Lys Ala Thr Leu Val Cys Leu Ile Ser Asp Phe Tyr Pro Gly Ala 20 25 30 Val Thr Val Ala Trp Lys Ala Asp Ser Ser Pro Val Lys Ala Gly Val 35 40 45 Glu Thr Thr Thr Pro Ser Lys Gln Ser Asn Asn Lys Tyr Ala Ala Ser 50 55 60 Ser Tyr Leu Ser Leu Thr Pro Glu Gln Trp Lys Ser His Arg Ser Tyr 65 70 75 80 Ser Cys Gln Val Thr His Glu Gly Ser Thr Val Glu Lys Thr Val Ala 85 90 95 Pro Thr Glu Cys Ser 100 <210> 13 <211> 20 <212> PRT <213> Artificial <220> <223> signal peptide <400> 13 Glu Thr Asp Thr Leu Leu Leu Trp Val Leu Leu Leu Trp Val Pro Gly 1 5 10 15 Ser Thr Gly Asp 20 <210> 14 <211> 527 <212> PRT <213> Artificial <220> <223> post-fusion F protein <400> 14 Met Glu Leu Leu Ile Leu Lys Ala Asn Ala Ile Thr Thr Ile Leu Thr 1 5 10 15 Ala Val Thr Phe Cys Phe Ala Ser Gly Gln Asn Ile Thr Glu Glu Phe 20 25 30 Tyr Gln Ser Thr Cys Ser Ala Val Ser Lys Gly Tyr Leu Ser Ala Leu 35 40 45 Arg Thr Gly Trp Tyr Thr Ser Val Ile Thr Ile Glu Leu Ser Asn Ile 50 55 60 Lys Glu Asn Lys Cys Asn Gly Thr Asp Ala Lys Val Lys Leu Ile Lys 65 70 75 80 Gln Glu Leu Asp Lys Tyr Lys Asn Ala Val Thr Glu Leu Gln Leu Leu 85 90 95 Met Gln Ser Thr Pro Ala Thr Asn Asn Arg Ala Arg Arg Glu Leu Pro 100 105 110 Arg Phe Met Asn Tyr Thr Leu Asn Asn Ala Lys Lys Thr Asn Val Thr 115 120 125 Leu Ser Lys Lys Arg Lys Arg Arg Ala Ile Ala Ser Gly Val Ala Val 130 135 140 Ser Lys Val Leu His Leu Glu Gly Glu Val Asn Lys Ile Lys Ser Ala 145 150 155 160 Leu Leu Ser Thr Asn Lys Ala Val Val Ser Leu Ser Asn Gly Val Ser 165 170 175 Val Leu Thr Ser Lys Val Leu Asp Leu Lys Asn Tyr Ile Asp Lys Gln 180 185 190 Leu Leu Pro Ile Val Asn Lys Gln Ser Cys Ser Ile Ser Asn Ile Glu 195 200 205 Thr Val Ile Glu Phe Gln Gln Lys Asn Asn Arg Leu Leu Glu Ile Thr 210 215 220 Arg Glu Phe Ser Val Asn Ala Gly Val Thr Thr Pro Val Ser Thr Tyr 225 230 235 240 Met Leu Thr Asn Ser Glu Leu Leu Ser Leu Ile Asn Asp Met Pro Ile 245 250 255 Thr Asn Asp Gln Lys Lys Leu Met Ser Asn Asn Val Gln Ile Val Arg 260 265 270 Gln Gln Ser Tyr Ser Ile Met Ser Ile Ile Lys Glu Glu Val Leu Ala 275 280 285 Tyr Val Val Gln Leu Pro Leu Tyr Gly Val Ile Asp Thr Pro Cys Trp 290 295 300 Lys Leu His Thr Ser Pro Leu Cys Thr Thr Asn Thr Lys Glu Gly Ser 305 310 315 320 Asn Ile Cys Leu Thr Arg Thr Asp Arg Gly Trp Tyr Cys Asp Asn Ala 325 330 335 Gly Ser Val Ser Phe Phe Pro Gln Ala Glu Thr Cys Lys Val Gln Ser 340 345 350 Asn Arg Val Phe Cys Asp Thr Met Asn Ser Leu Thr Leu Pro Ser Glu 355 360 365 Val Asn Leu Cys Asn Val Asp Ile Phe Asn Pro Lys Tyr Asp Cys Lys 370 375 380 Ile Met Thr Ser Lys Thr Asp Val Ser Ser Ser Val Ile Thr Ser Leu 385 390 395 400 Gly Ala Ile Val Ser Cys Tyr Gly Lys Thr Lys Cys Thr Ala Ser Asn 405 410 415 Lys Asn Arg Gly Ile Ile Lys Thr Phe Ser Asn Gly Cys Asp Tyr Val 420 425 430 Ser Asn Lys Gly Val Asp Thr Val Ser Val Gly Asn Thr Leu Tyr Tyr 435 440 445 Val Asn Lys Gln Glu Gly Lys Ser Leu Tyr Val Lys Gly Glu Pro Ile 450 455 460 Ile Asn Phe Tyr Asp Pro Leu Val Phe Pro Ser Asp Glu Phe Asp Ala 465 470 475 480 Ser Ile Ser Gln Val Asn Glu Lys Ile Asn Gln Ser Leu Ala Phe Ile 485 490 495 Arg Lys Ser Asp Glu Leu Leu Leu Val Pro Arg Gly Ser His His His 500 505 510 His His His His His Gly Ser Trp Ser His Pro Gln Phe Gly Lys 515 520 525 <210> 15 <211> 6 <212> PRT <213> Artificial <220> <223> LCDR1 <400> 15 Gln Asp Ile Arg Asn Asp 1 5 <210> 16 <211> 3 <212> PRT <213> Artificial <220> <223> LCDR2 <400> 16 Ala Ala Ser 1 <210> 17 <211> 11 <212> PRT <213> Artificial <220> <223> LCDR3 <400> 17 Leu Gln Asp Tyr Asn Tyr Pro Gln Thr Phe Gly 1 5 10 <210> 18 <211> 8 <212> PRT <213> Artificial <220> <223> HCDR1 <400> 18 Gly Phe Thr Phe Ser Ser Tyr Ala 1 5 <210> 19 <211> 8 <212> PRT <213> Artificial <220> <223> HCDR2 <400> 19 Ile Ser Tyr Asp Gly Ser Asn Thr 1 5 <210> 20 <211> 14 <212> PRT <213> Artificial <220> <223> HCDR3 <400> 20 Ala Arg Asp Tyr Cys Ser Arg Gly Thr Cys Tyr His Asp Tyr 1 5 10 <210> 21 <211> 8 <212> PRT <213> Artificial <220> <223> LCDR1 <400> 21 Ser Gly Ser Ile Ala Ser Asn Tyr 1 5 <210> 22 <211> 3 <212> PRT <213> Artificial <220> <223> LCDR2 <400> 22 Glu Asp Asn 1 <210> 23 <211> 11 <212> PRT <213> Artificial <220> <223> LCDR3 <400> 23 Gln Ser Tyr Asp Thr Ser Asn Ala Val Phe Gly 1 5 10 <210> 24 <211> 8 <212> PRT <213> Artificial <220> <223> HCDR1 <400> 24 Gly Tyr Thr Phe Thr Thr Tyr Asp 1 5 <210> 25 <211> 8 <212> PRT <213> Artificial <220> <223> HCDR2 <400> 25 Leu Asn Pro Asp Asn Gly Asn Thr 1 5 <210> 26 <211> 11 <212> PRT <213> Artificial <220> <223> HCDR3 <400> 26 Thr Arg Ala Pro Trp Trp Trp Tyr Phe Asp Tyr 1 5 10 <210> 27 <211> 8 <212> PRT <213> Artificial <220> <223> LCDR1 <400> 27 Ser Leu Asn Ile Gly Ser Asn Tyr 1 5 <210> 28 <211> 3 <212> PRT <213> Artificial <220> <223> LCDR2 <400> 28 Lys Asn Asn 1 <210> 29 <211> 13 <212> PRT <213> Artificial <220> <223> LCDR3 <400> 29 Ala Ala Trp Asp Asp Ser Leu Ser Gly Val Val Phe Gly 1 5 10 <210> 30 <211> 8 <212> PRT <213> Artificial <220> <223> HCDR1 <400> 30 Gly Phe Ser Phe Thr Asn Tyr Gly 1 5 <210> 31 <211> 9 <212> PRT <213> Artificial <220> <223> HCDR2 <400> 31 Ile Ser Tyr Asp Asp Gly Ser Asp Lys 1 5 <210> 32 <211> 8 <212> PRT <213> Artificial <220> <223> HCDR3 <400> 32 Val Arg Asp Pro Thr Gly Asp Tyr 1 5

Claims (17)

  1. 호흡기 세포융합 바이러스 F 단백질에 결합하는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으로서, 중쇄 가변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중쇄 가변영역의 HCDR1, HCDR2 및 HCDR3은 하기 조합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상기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
    (1) 아미노산 서열이 GFTFSSYA인 HCDR1과,
    아미노산 서열이 ISYDGSNT인 HCDR2와,
    아미노산 서열이 ARDYCSRGTCYHDY인 HCDR3;
    (2) 아미노산 서열이 GYTFTTYD인 HCDR1과,
    아미노산 서열이 LNPDNGNT인 HCDR2와,
    아미노산 서열이 TRAPWWWYFDY인 HCDR3; 및
    (3) 아미노산 서열이 GFSFTNYG인 HCDR1과,
    아미노산 서열이 ISYDDGSDK인 HCDR2와,
    아미노산 서열이 VRDPTGDY인 HCDR3.
  2. 청구항 1에 있어서,
    경쇄 가변영역을 더 포함하고, 상기 중쇄 가변영역의 HCDR1, HCDR2 및 HCDR3 및 상기 경쇄 가변영역의 LCDR1, LCDR2 및 LCDR3은 하기 조합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
    (1) 아미노산 서열이 QDIRND인 LCDR1과, 아미노산 서열이 AAS인 LCDR2와, 아미노산 서열이 LQDYNYPQTFG인 LCDR3과, 아미노산 서열이 GFTFSSYA인 HCDR1과, 아미노산 서열이 ISYDGSNT인 HCDR2와, 아미노산 서열이 ARDYCSRGTCYHDY인 HCDR3;
    (2) 아미노산 서열이 SGSIASNY인 LCDR1과, 아미노산 서열이 EDN인 LCDR2와, 아미노산 서열이 QSYDTSNAVFG인 LCDR3와, 아미노산 서열이 GYTFTTYD인 HCDR1과, 아미노산 서열이 LNPDNGNT인 HCDR2와, 아미노산 서열이 TRAPWWWYFDY인 HCDR3; 및
    (3) 아미노산 서열이 SLNIGSNY인 LCDR1과, 아미노산 서열이 KNN인 LCDR2와, 아미노산 서열이 AAWDDSLSGVVFG인 LCDR3과, 아미노산 서열이 GFSFTNYG인 HCDR1과, 아미노산 서열이 ISYDDGSDK인 HCDR2와, 아미노산 서열이 VRDPTGDY인 HCDR3.
  3.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중쇄 가변영역은 서열번호 4, 6 또는 8로 표시되는 서열, 또는 서열번호 4, 6 또는 8로 표시되는 서열과 적어도 90% 서열 동일성을 갖는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
  4. 청구항 2 또는 3에 있어서,
    상기 중쇄 가변영역은 서열번호 4로 표시되는 서열, 또는 서열번호 4와 적어도 90% 서열 동일성을 갖는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고, 상기 경쇄 가변영역은 서열번호 5로 표시되는 서열, 또는 서열번호 5와 적어도 90% 서열 동일성을 갖는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거나,
    상기 중쇄 가변영역은 서열번호 6으로 표시되는 서열, 또는 서열번호 6과 적어도 90% 서열 동일성을 갖는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고, 상기 경쇄 가변영역은 서열번호 7로 표시되는 서열, 또는 서열번호 7과 적어도 90% 서열 동일성을 갖는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거나,
    상기 중쇄 가변영역은 서열번호 8로 표시되는 서열, 또는 서열번호 8과 적어도 90% 서열 동일성을 갖는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고, 상기 경쇄 가변영역은 서열번호 9로 표시되는 서열, 또는 서열번호 9와 적어도 90% 서열 동일성을 갖는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
  5. 청구항 1 내지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항체의 중쇄 불변영역은 서열번호 10으로 표시되는 서열, 또는 서열번호 10과 적어도 90% 서열 동일성을 갖는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고, 상기 항체의 경쇄 불변영역은 서열번호 11 또는 12로 표시되는 서열, 또는 서열번호 11 또는 12와 적어도 90% 서열 동일성을 갖는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
  6. 청구항 1 내지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항체는 인간 유래 항체인,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
  7. 청구항 1 내지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F 단백질은 융합전 형태(conformation)인,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
  8. 청구항 1 내지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호흡기 세포융합 바이러스는 A형 또는 B형 호흡기 세포융합 바이러스 인,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
  9. 청구항 1 내지 8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을 코딩하는 핵산 분자.
  10. 청구항 9에 기재된 핵산 분자를 포함하는 발현 벡터.
  11. 청구항 1 내지 8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을 포함하거나 발현시키거나, 또는 청구항 9에 기재된 핵산 분자를 포함하거나, 또는 청구항 10에 기재된 발현 벡터를 포함하는 숙주 세포.
  12. 청구항 1 내지 8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 및 하나 이상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희석제, 완충제 또는 부형제;를 포함하는 의약 조성물.
  13. 호흡기 세포융합 바이러스 관련 질환 또는 증상의 치료 및/또는 예방을 위한 약제를 제조하기 위한 청구항 1 내지 8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의 사용.
  14. 치료 유효량의 청구항 1 내지 8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 또는 청구항 12에 기재된 의약 조성물을 피험자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피험자에게서 호흡기 세포융합 바이러스 관련 질환 또는 증상을 치료 및/또는 예방하는 방법.
  15. 상기 호흡기 세포융합 바이러스 관련 질환 또는 증상은 상기도 감염증 또는 하기도 감염증 관련 질환 또는 증상이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질환 또는 증상은 기관염, 기관지염 및 폐감염증에서 선택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질환 또는 증상은 기관지염 또는 폐렴인, 청구항 13 또는 14에 기재된 호흡기 세포융합 바이러스 관련 질환 또는 증상.
  16. 시료를 청구항 1 내지 8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과 접촉시키고, 항원 항체 복합체의 형성 유무 또는 형성된 항원 항체 복합체의 양을 검출하는 것을 포함하는, 시료 내 호흡기 세포융합 바이러스의 존재 또는 함유량을 검출하기 위한 방법.
  17. 청구항 1 내지 8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을 포함하는 호흡기 세포융합 바이러스 검출 키트.
KR1020247000512A 2021-06-11 2022-06-13 호흡기 세포융합 바이러스에 대한 항체 및 이의 사용 KR2024001794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110653393.6 2021-06-11
CN202110653393.6A CN115466326B (zh) 2021-06-11 一种呼吸道合胞病毒的人源单克隆抗体及其应用
PCT/CN2022/098367 WO2022258068A1 (zh) 2021-06-11 2022-06-13 一种呼吸道合胞病毒的抗体及其应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17940A true KR20240017940A (ko) 2024-02-08

Family

ID=843640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7000512A KR20240017940A (ko) 2021-06-11 2022-06-13 호흡기 세포융합 바이러스에 대한 항체 및 이의 사용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4353744A1 (ko)
KR (1) KR20240017940A (ko)
CN (1) CN117480179A (ko)
BR (1) BR112023025767A2 (ko)
TW (1) TW202306980A (ko)
WO (1) WO202225806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310163B (zh) * 2023-11-23 2024-02-13 北京贝思泰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重组抗体的呼吸道合胞病毒检测方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34580B2 (ja) * 2000-11-28 2010-03-17 メディミューン,エルエルシー 予防及び治療のために抗rsv抗体を投与/処方する方法
CN104628850B (zh) * 2009-10-06 2020-07-28 医学免疫有限公司 Rsv-特异性结合分子
AR095364A1 (es) * 2013-03-14 2015-10-14 Regeneron Pharma Anticuerpos humanos de la proteína f del virus respiratorio sincitial y métodos de uso de estos
CN106496324B (zh) * 2015-11-30 2020-01-14 天津昊免生物技术有限公司 一种抗呼吸道合胞病毒的全人源抗体
EP3554545A4 (en) * 2016-12-19 2020-08-12 Vanderbilt University ANTIBODIES DIRECTED AGAINST HUMAN RESPIRATORY SYNCYTIAL VIRUS PRE-FUSION PROTEIN CONFORMATION AND THEIR USE METHODS
CN110016079B (zh) * 2018-12-18 2019-12-24 珠海泰诺麦博生物技术有限公司 抗呼吸道合胞病毒的中和抗体及其应用
CN111606993B (zh) * 2019-02-26 2022-06-28 中国科学院上海生命科学研究院 抗呼吸道合胞病毒的全人广谱中和抗体4f1及其应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7480179A (zh) 2024-01-30
WO2022258068A1 (zh) 2022-12-15
CN115466326A (zh) 2022-12-13
TW202306980A (zh) 2023-02-16
EP4353744A1 (en) 2024-04-17
BR112023025767A2 (pt) 2024-0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49903B2 (en) Fully human antibody against respiratory syncytical virus
US7879329B2 (en) Recombinant antibodies for treatment of respiratory syncytial virus infections
US10196438B2 (en) Human antibodies binding to RSV G protein
CA2908921C (en) Human antibodies binding to rsv g protein
US20100040606A1 (en) Recombinant polyclonal antibody for treatment of respiratory syncytial virus infections
JP2010505876A (ja) ヒトメタニューモウイルスを中和するヒト抗体
US20170158753A1 (en) Monoclonal antibodies directed against envelope glycoproteins from multiple filovirus species
CN114644708B (zh) 呼吸道合胞病毒特异性结合分子
CN113480640A (zh) 中和抗流感结合分子及其用途
EP3972995A1 (en) Antibodies that bind human metapneumovirus fusion protein and their use
WO2022258068A1 (zh) 一种呼吸道合胞病毒的抗体及其应用
CN116514960A (zh) 一种呼吸道合胞病毒的全人源单克隆抗体及其应用
TW202204395A (zh) 抗sars-cov-2之抗體及使用其之方法
CN115466326B (zh) 一种呼吸道合胞病毒的人源单克隆抗体及其应用
WO2022143815A1 (zh) 抗新冠病毒受体结合区域表位中和抗体及其应用
WO2023111796A1 (en) Pan-specific sars-cov-2 antibodies and uses thereof
WO2024068744A1 (en) Antivirals against human parainfluenza viru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