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16742A - 연수기 - Google Patents

연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16742A
KR20240016742A KR1020220094869A KR20220094869A KR20240016742A KR 20240016742 A KR20240016742 A KR 20240016742A KR 1020220094869 A KR1020220094869 A KR 1020220094869A KR 20220094869 A KR20220094869 A KR 20220094869A KR 20240016742 A KR20240016742 A KR 202400167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raw water
regeneration
tank
tempera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948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선웅
성연수
김영민
김종우
고기송
김민환
Original Assignee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웨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948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16742A/ko
Publication of KR202400167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1674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on-exchan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47/00Ion-exchange processes in general; Apparatus therefor
    • B01J47/14Controlling or regul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49/00Regeneration or reactivation of ion-exchangers; Apparatus therefor
    • B01J49/60Cleaning or rinsing ion-exchange bed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8Control or steering systems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subclass C02F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02F2201/005Val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02Temperatur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40Liquid flow rat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Treatment Of Water By Ion Exchang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대적으로 따뜻한 온수를 제공하는 온수수전 및 상대적으로 차가운 냉수를 제공하는 냉수수전 중 하나 이상으로부터, 상기 온수 및 냉수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원수를 공급받기 위한 원수공급구; 상기 원수공급구를 통해 유입된 상기 원수를 내부에 배치된 이온교환수지에 통과시킴으로써 연수를 제공하는 수지탱크; 상기 원수공급구를 통해 유입된 상기 원수를 공급받고, 상기 수지탱크를 재생시키기 위하여 상기 원수를 수용함으로써 재생수를 생성하는 재생탱크; 상기 원수 또는 상기 연수를 외부로 배출시켜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토출구; 상기 원수 또는 상기 연수가 상기 원수공급구, 상기 수지탱크, 상기 재생탱크, 및 상기 토출구 사이에서 유동되기 위한 통로를 제공하는 워터라인; 상기 워터라인 내의 상기 원수 또는 상기 연수의 유동을 조절하도록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복수 개의 밸브를 포함하는 밸브모듈; 상기 재생탱크로 공급되는 상기 원수의 온도인 원수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와 상기 재생탱크로 공급되는 상기 원수의 유량을 측정하는 유량센서를 포함하는 센서유닛; 및 상기 밸브모듈이 사용가능상태 또는 재생상태에 놓이도록 상기 밸브모듈을 제어하며, 상기 사용가능상태 또는 재생상태에서 하나 이상의 유동모드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 개의 밸브가 개폐되도록 상기 밸브모듈을 제어하는 제어기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가능상태에서는, 상기 원수가 상기 재생탱크를 바이패스하여 상기 토출구로 유동되도록 상기 밸브모듈이 제어되고, 상기 재생상태에서는, 상기 재생탱크의 재생수가 상기 수지탱크를 재생시키도록 상기 밸브모듈이 제어되며, 상기 유동모드는, 상기 원수가 상기 재생탱크에 유입되고, 상기 재생탱크에서 배출된 상기 재생수가 상기 수지탱크 내에서 소정의 재생시간동안 머물렀다가 외부로 배출됨으로써 재생되도록 상기 밸브모듈이 제어되는재생모드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기는, 상기 재생탱크로 유입되는 상기 원수의 유량을 기초로, 상기 유량센서 및 상기 복수의 밸브 중 어느 하나가 고장인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온도센서에서 측정된 상기 원수온도에 대한 정보를 정상적으로 받은 때, 상기 온도센서에서 측정된 상기 원수온도에 기초하여 결정된 재생수생성시간 동안 상기 원수가 상기 재생탱크 내에 수용되도록 상기 밸브모듈을 제어하고, 상기 온도센서에서 측정된 상기 원수온도를 저장하고, 상기 온도센서에서 측정된 상기 원수온도에 대한 정보를 정상적으로 받지 못한 때, 저장된 상기 원수온도에 기초하여 결정된 재생수생성시간 동안 상기 원수가 상기 재생탱크 내에 수용되도록 상기 밸브모듈을 제어하는, 연수기가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연수기{Water Softeners}
본 발명은 연수기에 대한 발명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으로 공급되는 수돗물에는 정화 과정에서 다량의 염소성분이 포함되어 있으며, 수돗물에는 칼슘 이온 및 마그네슘 이온과 같은 경도 성분이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경도 성분이 포함된 수돗물을 사용자가 그대로 사용하게 되면, 인체에 치명적이지는 않지만 알레르기와 같은 각종 피부질환을 일으키거나 피부의 노화를 촉진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해, 최근에는 경도 성분이 제거된 수돗물(이하 '연수'라 함)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연수기에 대한 개발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연수기는 원수에 포함된 칼슘 이온 및 마그네슘 이온을 나트륨 이온과 교환하여 칼슘 이온 및 마그네슘 이온이 제거된 연수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연수기에는 연수탱크와 재생탱크를 포함할 수 있다. 연수탱크는 염화나트륨이 높은 비율로 함유된 이온교환수지를 수용하고, 재생탱크는 연수탱크의 이온교환수지 내에 염화나트륨의 농도가 낮아졌을 때, 이온교환수지를 재생시키기 위한 재생제인 염화나트륨을 수용한다. 또한, 연수기는 재생수생성시간을 판단하기 위해, 원수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재생제는 원수에 의해 녹아 재생수로 생성될 수 있으며, 원수의 온도에 따라 재생수로 생성되는 시간이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연수기는 온도센서에 고장이 발생할 경우, 재생수생성시간을 판단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다시 말해, 종래의 연수기는 원수온도에 대한 정보를 받지 못하면, 재생제를 녹이기 위한 시간을 결정할 수 없으므로, 재생제를 효율적으로 녹여 필요한 재생수의 양을 형성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관련하여, 본 출원인의 공개특허공보 10-2019-0035297 "재생통, 냉수 탱크 및 온수 탱크를 연결하는 커넥터를 포함하는 연수기 및 그 제어 방법'(특허문헌 1)에는 재생통, 재생통으로부터 재생수를 공급받는 냉수탱크 또는 온수 탱크 및 재생 횟수 및 재생 시간 판단을 위한 냉수의 온도를 측정하는 유량 온도 센서를 포함하는 연수기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의 연수기은 유량 온도 센서에 고장이 발생될 경우, 재생 횟수 및 재생 시간을 판단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다시 말해, 특허문헌 1의 연수기는 원수온도에 대한 정보를 받지 못하면, 재생 횟수 및 재생 시간 판단을 할 수 없음으로, 재생통에 수용된 재생제를 효율적으로 녹여 필요한 재생수의 양을 형성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10-2019-0035297(2019.04.03. 공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원수온도에 대한 정보를 정상적으로 받지 못하더라도 미리 저장된 원수온도에 기초하여 결정된 재생수생성시간 동안 원수가 재생탱크 내에 수용될 수 있는 연수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대적으로 따뜻한 온수를 제공하는 온수수전 및 상대적으로 차가운 냉수를 제공하는 냉수수전 중 하나 이상으로부터, 상기 온수 및 냉수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원수를 공급받기 위한 원수공급구; 상기 원수공급구를 통해 유입된 상기 원수를 내부에 배치된 이온교환수지에 통과시킴으로써 연수를 제공하는 수지탱크; 상기 원수공급구를 통해 유입된 상기 원수를 공급받고, 상기 수지탱크를 재생시키기 위하여 상기 원수를 수용함으로써 재생수를 생성하는 재생탱크; 상기 원수 또는 상기 연수를 외부로 배출시켜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토출구; 상기 원수 또는 상기 연수가 상기 원수공급구, 상기 수지탱크, 상기 재생탱크, 및 상기 토출구 사이에서 유동되기 위한 통로를 제공하는 워터라인; 상기 워터라인 내의 상기 원수 또는 상기 연수의 유동을 조절하도록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복수 개의 밸브를 포함하는 밸브모듈; 상기 재생탱크로 공급되는 상기 원수의 온도인 원수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와 상기 재생탱크로 공급되는 상기 원수의 유량을 측정하는 유량센서를 포함하는 센서유닛; 및 상기 밸브모듈이 사용가능상태 또는 재생상태에 놓이도록 상기 밸브모듈을 제어하며, 상기 사용가능상태 또는 재생상태에서 하나 이상의 유동모드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 개의 밸브가 개폐되도록 상기 밸브모듈을 제어하는 제어기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가능상태에서는, 상기 원수가 상기 재생탱크를 바이패스하여 상기 토출구로 유동되도록 상기 밸브모듈이 제어되고, 상기 재생상태에서는, 상기 재생탱크의 재생수가 상기 수지탱크를 재생시키도록 상기 밸브모듈이 제어되며, 상기 유동모드는, 상기 원수가 상기 재생탱크에 유입되고, 상기 재생탱크에서 배출된 상기 재생수가 상기 수지탱크 내에서 소정의 재생시간동안 머물렀다가 외부로 배출됨으로써 재생되도록 상기 밸브모듈이 제어되는재생모드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기는, 상기 재생탱크로 유입되는 상기 원수의 유량을 기초로, 상기 유량센서 및 상기 복수의 밸브 중 어느 하나가 고장인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온도센서에서 측정된 상기 원수온도에 대한 정보를 정상적으로 받은 때, 상기 온도센서에서 측정된 상기 원수온도에 기초하여 결정된 재생수생성시간 동안 상기 원수가 상기 재생탱크 내에 수용되도록 상기 밸브모듈을 제어하고, 상기 온도센서에서 측정된 상기 원수온도를 저장하고, 상기 온도센서에서 측정된 상기 원수온도에 대한 정보를 정상적으로 받지 못한 때, 저장된 상기 원수온도에 기초하여 결정된 재생수생성시간 동안 상기 원수가 상기 재생탱크 내에 수용되도록 상기 밸브모듈을 제어하는, 연수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기는, 상기 온도센서에서 측정된 상기 원수온도에 대한 정보를 정상적으로 받지 못한 때, 소정 유효기간 이내에 저장된 상기 원수온도에 기초하여 결정된 재생수생성시간 동안 상기 원수가 상기 재생탱크 내에 수용되도록 상기 밸브모듈을 제어하는, 연수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온도센서에서 측정된 상기 원수온도에 대한 정보를 정상적으로 받지 못한 때는, 상기 온도센서가 고장인 때; 및 상기 온도센서와 상기 제어기 간의 연결에 오류가 있을 때를 포함하는, 연수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온도센서가 고장인 때에는 상기 원수온도가 미리 입력된 임계온도를 초과하는 것으로 측정되었을 때를 포함하는 연수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기에는, 복수의 원수온도 데이터와 복수의 재생수생성시간 데이터 간의 대응관계가 미리 입력되어 있고, 상기 대응관계는 상기 원수온도 데이터가 증가할수록 상기 재생수생성시간 데이터가 감소하는 경향을 가지며, 상기 제어기는, 상기 온도센서에서 측정된 상기 원수온도에 대한 정보를 정상적으로 받은 때, '상기 온도센서에서 측정된 상기 원수온도에 해당하는 원수온도 데이터가 상기 대응관계에서 대응되는 재생수생성시간 데이터'를 상기 재생수생성시간으로 결정하는, 연수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온도센서에서 측정된 상기 원수온도에 대한 정보를 정상적으로 받지 못하고 소정 유효기간 이내에 저장된 원수온도가 없을 때, 보조기준시간 동안 상기 원수가 상기 재생탱크 내에 수용되도록 상기 밸브모듈을 제어하고, 상기 보조기준시간은, 상기 제어기에서 미리 입력된 복수의 재생수생성시간 데이터의 평균값, 및 상기 제어기에서 미리 입력된 복수의 상기 원수온도 데이터의 평균값에 대응하는 재생수생성시간 데이터 중 어느 하나로 결정되는, 연수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온도센서에서 측정된 상기 원수온도에 대한 정보를 정상적으로 받지 못하고 소정 유효기간 이내에 저장된 원수온도가 없을 때, 보조기준시간 동안 상기 원수가 상기 재생탱크 내에 수용되도록 상기 밸브모듈을 제어하고, 상기 보조기준시간은 상기 제어기 내에 미리 입력된 고정값인, 연수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재생탱크는, 재생탱크프레임; 및 상기 재생탱크프레임 내에 교체 가능하게 배치되는 재생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기는, 복수 회의 상기 사용가능상태와 복수 회의 상기 재생상태가 교번하는 방식으로 상기 밸브모듈을 제어하고, 복수 회의 상기 재생상태는, 상기 재생제가 교체된 이후에 가장 먼저 도래하는 제1 재생상태, 및 상기 제1 재생상태 이후에 순차적으로 도래하는 제2 내지 제4 재생상태를 포함하고, 상기 제4 재생상태에서의 재생모드의 재생수생성시간은, 상기 제3 재생상태에서의 재생모드의 재생수생성시간보다 더 긴, 연수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재생상태에서의 재생모드의 재생수생성시간은, 상기 제1 재생상태에서의 재생모드의 재생수생성시간보다 더 짧은, 연수기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원수온도에 대한 정보를 정상적으로 받지 못하더라도 미리 저장된 원수온도에 기초하여 결정된 재생수생성시간 동안 원수가 재생탱크 내에 수용될 수 있으므로, 재생수가 효율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수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서 원수출수모드일 때, 원수의 유동경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서 연수출수모드일 때의 원수 및 연수의 유동경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서 재생모드일 때의 원수 및 재생수의 유동경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수기의 재생수생성기간을 결정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접촉', '지지', '연결'된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접촉, 지지,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로 사용된 것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상측, 하측, 측면 등의 표현은 도면에 도시를 기준으로 설명한 것이며 해당 대상의 방향이 변경되면 다르게 표현될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마찬가지의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또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해당 구성요소들은 이와 같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들을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수기(1)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수기(1)는 원수에 포함되어 있는 경수성 이온을 화학적으로 변화시켜 연수화된 연수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수기(1)는 욕실 벽면 등에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연수기(1)는 원수공급구(100), 수지탱크(200), 재생탱크(300), 워터라인(400), 밸브모듈(500), 토출구(600), 센서유닛(700), 제어기(800), 드레인구(900) 및 필터(1000)를 포함할 수 있다.
원수공급구(100)는 외부로부터 원수를 공급받을 수 있다. 이러한 원수공급구(100)는 상대적으로 따뜻한 원수인 온수를 제공할 수 있는 온수수전 및 상대적으로 차가운 원수인 냉수를 제공할 수 있는 냉수수전 중 하나 이상으로부터, 상기 온수 및 냉수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원수를 공급받을 수 있다. 또한, 원수공급구(100)로 유입된 원수는 워터라인(400)을 통해 수지탱크(200), 재생탱크(300) 및 토출구(600)로 유동될 수 있다.
수지탱크(200)는 원수공급구(100)를 통해 유입된 원수를 내부에 배치된 이온교환수지에 통과시킴으로써 연수를 제공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원수는 수지탱크(200)에 수용된 이온교환수지와 이온 교환되어 연수로 형성될 수 있다. 수지탱크(200)의 이온교환수지에는 염화나트륨(NaCl)이 높은 비율로 포함될 수 있다. 수지탱크(200)에 유입된 원수가 이온교환수지에 칼슘 이온(Ca2+)이나 마그네슘 이온(Mg2+) 등의 양이온과 이온 교환할 때, 원수에 함유되었던 경도 성분은 나트륨(Na+)과 교체되어 이온교환수지에 흡착되고, 이온교환수지에 함유되었던 나트륨(Na+)이 원수에 포함되어 연수가 된다. 이러한 이온교환수지는 소정 횟수 사용되면 염화나트륨의 농도가 낮아져서 양이온을 제거하지 못할 수 있으나, 재생탱크(300)의 재생수를 통하여 염화나트륨의 농도가 낮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재생탱크(300)는 수지탱크(200)를 재생시키기 위해 수지탱크(200)에 재생수를 제공할 수 있다. 재생탱크(300)는 원수공급구(100)로부터 원수를 공급받아 재생수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재생탱크(300)는 수지탱크(200)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재생탱크(300)는 재생탱크프레임(310), 재생제지지대(320) 및 재생제(330)를 포함할 수 있다.
재생탱크프레임(310)은 재생제지지대(320)를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재생탱크프레임(310)은 재생탱크프레임(310) 및 재생제(330)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재생탱크프레임(310)은 후술할 재생라인(420)에 연결될 수 있다.
재생제지지대(320)는 재생제(330)가 재생탱크프레임(310)의 바닥면으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되어 배치되도록 재생제(330)를 지지할 수 있다. 이러한 재생제지지대(320)는 재생탱크프레임(310)의 내부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재생제(330)는 재생제지지대(320)에 지지되고, 재생탱크프레임(310) 내부로 유입된 원수에 의해 녹아 재생수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재생제(330)는 염화나트륨을 포함할 수 있다.
워터라인(400)은 원수, 연수, 및 재생수 중 하나 이상이 원수공급구(100), 수지탱크(200), 재생탱크(300). 토출구(600) 및 드레인구(900) 사이에서 유동되기 위한 통로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워터라인(400)은 원수라인(410), 재생라인(420), 연수배출라인(430) 및 드레인라인(440)을 포함할 수 있다.
원수라인(410)은 원수공급구(100)의 원수를 수지탱크(200) 및 재생탱크(300) 중 하나 이상으로 유동시키기 위한 통로를 제공할 수 있다. 원수라인(410)은 원수공급구(100), 재생탱크(300) 및 재생라인(420)에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원수라인(410)은 원수유로(411) 및 수지탱크유입유로(412)를 포함할 수 있다.
원수유로(411)는 원수공급구(100)와 토출구(600)의 사이에서 원수가 유동하기 위한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원수유로(411)의 일측은 원수공급구(100)와 연통되고 일측의 반대편인 타측은 토출구(600)와 연통될 수 있다. 이러한 원수유로(411)에 의해 원수의 적어도 일부는 재생탱크(300) 및 수지탱크(200)를 바이패스하여 토출구(600)로 유동될 수 있다.
수지탱크유입유로(412)는 원수유로(411)와 수지탱크(200)의 사이에서 원수가 유동하기 위한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수지탱크유입유로(412)에 의해, 원수유로(411)에서 유동되는 원수의 적어도 일부는 수지탱크(200)로 유동될 수 있다.
재생라인(420)은 원수공급구(100), 재생탱크(300) 및 수지탱크(200)의 사이에서 원수 및 재생수가 유동하기 위한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재생라인(420)에 의해 원수공급구(100)의 원수는 재생탱크(300) 또는 수지탱크(200)로 유동되고, 재생탱크(300)로부터 배출된 재생수는 수지탱크(200)로 유동될 수 있다. 이러한 재생라인(420)은 재생탱크유입유로(421), 재생수유로(422) 및 린스유로(423)를 포함할 수 있다.
재생탱크유입유로(421)는 원수공급구(100)와 재생탱크(300)의 사이에서 원수가 유동하기 위한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재생탱크유입유로(421)에 의해 원수공급구(100)의 원수의 적어도 일부는 재생탱크(300)로 유동될 수 있다.
재생수유로(422)는 재생탱크(300)와 수지탱크(200)의 사이에서 재생수 또는 원수가 유동하기 위한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재생수유로(422)에는 재생탱크(300)로부터 배출된 재생수 또는 린스유로(423)에서 토출된 원수가 유동될 수 있다. 이러한 재생수유로(422)에 의해 재생탱크(300)로부터 배출된 재생수 또는 원수는 수지탱크(200)로 유동될 수 있다.
린스유로(423)는 재생탱크유입유로(421)와 재생수유로(422)의 사이에서 원수가 유동하기 위한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린스유로(423)의 일측은 재생탱크유입유로(421)에 연결되고 일측의 반대편인 타측은 재생수유로(422)에 연결될 수 있다. 린스유로(423)에는 재생탱크유입유로(421)에서 유동되는 원수가 유입될 수 있다. 이러한 린스유로(423)에 원수는 재생수유로(422)로 유동될 수 있다.
연수배출라인(430)은 수지탱크(200)에서 배출된 연수를 토출구(600)로 유동하기 위한 통로를 제공할 수 있다. 연수배출라인(430)은 수지탱크(200)와 토출구(600)에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연수배출라인(430)에 의해 수지탱크(200)에서 배출되는 연수는 토출구(600)로 유동될 수 있다. 또한, 연수배출라인(430)은 수지탱크(200) 내에서 재생탱크유입유로(421)와 연통될 수 있다.
드레인라인(440)은 수지탱크(200) 및 재생탱크(300) 중 하나 이상에서 배출된 린스수를 드레인구(900)로 유동시키기 위한 통로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린스수는 재생모드에서의 재생이 종료된 후에도 수지탱크(200) 및 재생탱크(300) 중 하나 이상에 잔존하는 재생제를 함유하는 물로 정의될 수 있다. 드레인라인(440)은 수지탱크(200)와 드레인구(900)에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드레인라인(440)에 의해 수지탱크(200)에서 배출된 린스수는 드레인구(900)로 유동될 수 있다. 또한, 드레인라인(440)은 수지탱크(200) 내에서 재생수유로(422)와 연통될 수 있다.
한편,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워터라인(400)은 원수유로(411)와 연수배출라인(430)을 연결하는 연결라인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연결라인의 일측은 후술할 제2 밸브(520)와 필터(1000) 사이에 위치하도록 원수유로(411)에 연결되고, 일측의 반대편인 타측은 수지탱크(200)와 후술할 제4 밸브(540) 사이에 위치하도록 연수배출라인(430)에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연결라인에 의해 원수는 원수유로(411)를 통해 토출구(600)로 유동되거나 연수배출라인(430)을 통해 토출구(600)로 유동될 수 있다.
밸브모듈(500)은 워터라인(400) 내의 원수, 연수 및 재생수 중 하나 이상의 유동을 조절하도록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복수 개의 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 개의 밸브는 제1 밸브(510), 제2 밸브(520), 제3 밸브(530), 제4 밸브(540), 제5 밸브(550), 제6 밸브(560), 제7 밸브(57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밸브(510)는 재생탱크(300)의 재생수가 수지탱크(200)로 유동되는 것을 허용하거나 수지탱크(200)로 유동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재생라인(420)을 개폐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밸브(510)는 재생수유로(422) 상에 구비되되 재생수유로(422)의 타측과 재생탱크(300)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밸브(510)가 개방되면, 재생탱크(300)에서 배출된 재생수 또는 린스수가 수지탱크(200)로 유동될 수 있고, 또한, 이러한 제1 밸브(510)가 폐쇄되면, 재생탱크(300)에서 배출된 재생수 또는 린스수가 수지탱크(200)로 유동되는 것이 차단될 수 있다.
제2 밸브(520)는 원수공급구(100)의 원수가 토출구(600)로 유동되 것을 허용하거나 토출구(600)로 유동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원수라인(410)을 개폐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밸브(520)가 개방되면, 원수는 원수유로(411)를 통해 토출구(600)로 유동될 수 있다. 또한, 제2 밸브(5520)가 폐쇄되면, 원수는 토출구(600)로 유동되는 것이 차단될 수 있다.
제3 밸브(530)는 원수공급구(100)의 원수가 수지탱크(200)로 유동되는 것을 허용하거나 수지탱크(200)로 유동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수지탱크유입유로(412)를 개폐할 수 있다. 이러한 제3 밸브(530)가 개방되면, 원수는 수지탱크유입유로(412)를 통해 수지탱크(200)로 유동될 수 있다. 또한, 제3 밸브(530)가 폐쇄되면, 원수는 수지탱크(200)로 유동되는 것이 차단될 수 있다.
제4 밸브(540)는 연수가 토출구(600)로 유동되것을 허용하거나 토출구(600)로 유동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연수배출라인(430)을 개폐할 수 있다. 이러한 제4 밸브(540)가 개방되면, 연수는 토출구(600)로 유동될 수 있다. 또한, 제4 밸브(540)가 폐쇄되면 연수는 토출구(600)로 유동되는 것이 차단될 수 있다.
제5 밸브(550)는 원수공급구(100)의 원수가 재생탱크(300)로 유동하는 것을 허용하거나, 재생탱크(300)로 유동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재생탱크유입유로(421)를 개폐할 수 있다. 이러한 제5 밸브(550)가 개방되면, 원수는 재생탱크(300)로 유동되고, 제5 밸브(550)가 차단되면, 원수는 재생탱크(300)로 유동되는 것이 차단될 수 있다.
제6 밸브(560)는 재생탱크유입유로(421)에서 유동되는 원수가 수지탱크(200)로 유동되는 것을 허용하도록 린스유로(423)를 개폐할 수 있다. 이러한 제6 밸브(560)가 개방되면, 원수는 린스유로(423) 및 재생수유로(422)를 통해 수지탱크(200)로 유동될 수 있다. 또한, 제6 밸브(560)가 폐쇄되면 원수는 린스유로(423)로 유동되는 것이 차단될 수 있다.
제7 밸브(570)는 수지탱크(200)에서 배출된 린스수가 드레인구(900)로 유동되는 것을 허용하거나 드레인구(900)로 유동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드레인라인(440)을 개폐할 수 있다. 이러한 제7 밸브(570)가 개방되면, 린스수는 드레인구(900)로 유동될 수 있다. 또한, 제7 밸브(570)가 폐쇄되면 리스수는 드레인구(900)로 유동되는 것이 차단될 수 있다.
한편,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밸브모듈(500)은 원수유로(411)에 구비되되, 연결라인과 필터(1000) 사이에 배치된 제8 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8 밸브는 원수가 필터(1000)로 유동되는 허용하거나 필터(1000)로 유동되는 것을 허용하지 않을 수 있다. 다시 말해, 제8 밸브가 개방되면 원수는 필터(1000)를 통과하여 토출구(600)로 유동되고, 제8 밸브가 폐쇄되면 원수는 필터(1000)를 우회하는 연결라인 및 연수배출라인(430)을 통해 토출구(600)로 유동될 수 있다.
토출구(600)는 연수 및 원수 중 하나 이상을 연수기(1) 외부로 토출할 수 있다. 토출구(600)는 원수유로(411) 및 연수배출라인(430)에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토출구(600)에 의해 원수 또는 연수가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센서유닛(700)은 워터라인(400)에서 유동되는 원수의 온도 및 원수의 유량을 측정할 수 있다. 이러한 센서유닛(700)은 온도센서(710) 및 유량센서(720)를 포함할 수 있다.
온도센서(710)는 원수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온도센서(710)는 재생라인(420) 상에 구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시 말해, 온도센서(710)는 재생탱크유입유로(421) 상에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온도센서(710)에 의해 감지된 원수의 온도는 제어기(800)로 전송되어 저장될 수 있다.
유량센서(720)는 원수의 유량을 측정할 수 있다. 이러한 유량센서(720)는 재생라인(420) 상에 구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재생탱크유입유로(421) 및 재생수유로(422) 중 어느 하나 이상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유량센서(720)는 온도센서(710)보다 먼저 원수의 유량을 측정하도록 온도센서(710)와 원수공급구(1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어기(800)는 연수기(1)가 사용가능상태 또는 재생상태일 때, 원수, 연수 및 재생수의 유동을 조절하기 위해 복수 개의 밸브가 개폐되도록 밸브모듈(500)을 제어할 수 있다. 사용가능상태는 연수 또는 원수를 토출하기 위해 연수기(1)가 동작되는 상태일 수 있다. 또한, 재생상태는 재생탱크(300)의 재생수로 수지탱크(200)를 재생시키기 위해 연수기(1)가 동작되는 상태일 수 있다. 또한, 제어기(800)는 복수 회의 사용가능상태와 복수 회의 재생상태가 교번하는 방식으로 상기 밸브모듈(500)을 제어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복수 회의 재생상태는, 재생제(330)가 교체된 이후에 가장 먼저 도래하는 제1 재생상태, 및 제1 재생상태 이후에 순차적으로 도래하는 제2 내지 제6 재생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어기(800)는 사용가능상태 또는 재생상태에서 하나 이상의 유동모드에 기초하여 복수 개의 밸브가 개폐되도록 밸브모듈(500)을 제어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유동모드는 원수출수모드, 연수출수모드 및 재생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원수출수모드는 연수기(1)가 사용가능상태일 때, 원수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모드이다. 연수출수모드는 연수기(1)가 사용가능상태일 때, 연수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모드이다. 재생모드는 연수기(1)가 재생상태일 때, 수지탱크(200)로 재생수를 공급하기 위한 모드이다. 이러한 재생모드는 복수 회 수행될 수 있다.
도 2를 더 참조하면, 제어기(800)는 원수추출모드일 때, 원수가 원수유로(411)를 통해 토출구(600)로 유동되도록 밸브모듈(500)을 제어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어기(800)는 원수가 재생탱크(300) 및 수지탱크(200)에 수용되지 않고, 원수출모드에서 토출구(600)로 유동되도록 복수 개의 밸브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기(800)는 제2 밸브(520) 가 개방되고 제1 밸브(510) 제3 밸브(530), 제4 밸브(540), 제5 밸브(550) 제6 밸브(560) 및 제7 밸브(570)가 폐쇄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기(800)에 의해, 원수추출모드일 때, 원수는 토출구(600)에서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도 3을 더 참조하면, 제어기(800)는 연수추출모드일 때, 원수가 수지탱크(200)에 유입되고 연수가 토출구(600)로 유동되도록 밸브모듈(500)을 제어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어기(800)는 원수가 재생탱크(300)에 유입되지 않고, 원수유로(411), 수지탱크유입유로(412)를 통해 수지탱크(200)로 유동되고, 수지탱크(200)에서 토출되는 연수가 연수배출라인(430)을 통해 토출구(600)로 유동되도록 복수 개의 밸브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기(800)는 제3 밸브(530), 제4 밸브(540)가 개방되고, 제1 밸브(510), 제2 밸브(520), 제5 밸브(550), 제6 밸브(560), 제7 밸브(570)가 폐쇄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기(800)에 의해 연수출모드일 때, 연수는 토출구(600)를 통해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도 4를 더 참조하면, 제어기(800)는 재생모드일 때, 원수가 재생탱크(300)에 유입되고 재생탱크(300)로부터 배출된 재생수가 수지탱크(200)에 소정의 재생시간 동안 머물렀다가 외부로 배출됨으로써 재생되도록 밸브모듈(500)을 제어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어기(800)는 재생모드일 때, 원수가 재생탱크유입유로(421)를 통해 재생탱크(300)로 유동되고, 재생수가 재생수유로(422)를 통해 수지탱크(200)로 유동되도록 복수 개의 밸브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기(800)는 제1 밸브(510) 및 제5 밸브(550), 제7 밸브(570)를 개방하고, 제2 밸브(520), 제3 밸브(530) 및 제4 밸브(540), 제6 밸브(560)를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제어기(800)는 재생모드일 때, 재생시간 이후, 수지탱크(200)로부터 재생수가 배출되어 드레인구(900)로 유동되도록 복수 개의 밸브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기(800)는 재생시간 이전에는 제7 밸브(570)가 차단되고, 재생시간 이후에 제7 밸브(570)가 개방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기(800)는 재생상태에서 재생모드가 복수 회 수행되도록 밸브모듈(500)을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기(800)에 의해 재생탱크(300)의 내부에서 재생수가 복수 회 형성되고, 재생수가 재생탱크(300)로부터 수지탱크(200)로 복수 회 유입될 수 있으므로, 수지탱크(200)가 효율적으로 재생될 수 있다
또한, 제어기(800)는 재생모드일 때, 온도센서(710)에서 측정된 원수온도에 기초하여 원수가 소정의 재생수생성기간 동안 재생탱크(300) 내에 수용되도록 밸브모듈(500)을 제어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어기(800)는 재생모드일 때, 원수가 재생탱크(300)로 유입되어 수용되고 재생수생성기간 이후, 재생수가 배출되도록 복수 개의 밸브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기(800)는 재생모드일 때, 재생수생성기간 이전에는 제1 밸브(510)를 폐쇄하고, 재생수생성기간 이후, 제1 밸브(510)가 개방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기(800)에 의해 재생탱크(300) 내의 원수는 재생수생성기간 동안 재생제(330)에 접촉되어 재생수로 형성될 수 있다.
도 5를 더 참조하면, 제어기(800)는 재생탱크(300)로 원수가 유입되는지 여부 기초로 복수의 밸브 및 유량센서(720) 중 어느 하나의 고장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재생모드에서 재생수를 수지탱크(200)로 유동시키기 전에, 고정여부를 판단하는 것은 재생모드에서 재생수를 수지탱크(200)로 유동시키기 전에 수행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재생탱크(300)로 유입되는 원수의 유량은 유량센서(720) 또는 재생탱크(300)에 별도로 구비된 센서를 통해 측정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제어기(800)는 재생탱크(300)로 원수가 유입되는지 않을 경우, 온도센서(710)에서 측정된 원수의 온도의 변화에 따라 유량센서(720) 및 복수의 밸브 중 어느 하나가 고장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제어기(800)는 온도센서(710)에서 측정된 원수의 온도의 변화가 있다면, 유량센서(720)의 고장으로 판단하여,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또한, 제어기(800)는 유량센서(720)의 고장으로 판단되면, 재생탱크(300)에 수용된 물이 배출되도록 밸브모듈(500)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기(800)는 온도센서(710)에서 측정된 원수의 온도 변화가 없다면, 복수의 밸브 중 어느 하나가 고장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이를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다시 말해, 제어기(800)는 온도센서(710)에서 측정된 원수의 온도 변화가 없다면 제5 밸브(550)가 고장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제어기(800)는 재생탱크로 입수되는 원수의 유량이 감지되면, 원수온도에 대한 정보를 정상적으로 받을 때(이하, 온도측정정상이라고 함)와 받지 못한 때(이하, 온도측정비정상이라고 함)에 따라 재생수생성기간을 다르게 결정할 수 있다. 온도측정비정상일 때는, 온도센서(710)가 고장인 때, 온도센서(710)와 제어기(800) 간에 연결된 전기적 전선이 손상된 때, 온도센서(710)와 제어기(800)간의 연결에 오류가 있을 때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제어기(800)는 측정된 원소온도가 미리 입력된 임계온도를 초과할 때, 온도센서(710)가 고장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제어기(800)는 온도측정비정상일 때, 사용자에게 온도측정비성상 및 온도센서(710)가 공장인 것을 경고음, 경고표시 등을 통해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제어기(800)는 온도측정정상일 때, 온도센서(710)에서 측정된 온수온도에 해당되는 원수온도 데이터에 대응하는 재생수생성시간 데이터를 재생수생성시간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러한 원수온도 데이터와 이에 대응되는 재생수생성시간 데이터는 제어기(800)에 미리 설정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어기(800)에는 복수의 원수온도 데이터와 재생수생성시간 데이터 간의 대응관계가 미리 입력될 수 있다. 대응관계는 원수온도 데이터가 증가할수록 재생수생성시간 데이터가 감소하는 경향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 개의 원수온도 데이터 중 상위 원수온도 데이터들에 대응하는 재생수생성시간들의 평균값은 하위 원수온도 데이터에 대응하는 재생수생성시간 데이터들의 평균값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상위 온도 데이터들은 복수의 원수온도 데이터 중에서 최대 원수온도 데이터로부터 15% 범위 내에 포함된 원수온도 데이터들일 수 있다. 하위 원수온도 데이터들은 복수의 원수온도 데이터 중에서 최하 원수온도 데이터로부터 15% 범위 내에 포함된 원수온도 데이터들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기(800)는 온도측정정상일 때, 측정된 온수온도가 40℃이고, 온수온도 데이터 상에서 40℃에 대응하는 재생수생성시간 데이터가 1시간이면, 재생수생성시간을 1시간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제어기(800)는 측정된 원수온도를 정상적으로 받을 때에는 측정된 원수온도를 저장할 수 있다.
제어기(800)는 온도측정비정상일 때, 소정의 유효기간 이내에 저장된 원수온도에 기초하여 결정된 재생수생성시간를 결정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어기(800)는 유효기간 이내에 온도측정정상에서 저장된 원수온도에 기초하여 결정된 재생수생성시간 동안 원수가 상기 재생탱크(300) 내에 수용되도록 밸브모듈(500)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기(800)는 유효기간 이내에 저장된 원수온도들의 평균값에 해당하는 원수온도 데이터가 대응하는 재생수생성시간 데이터를 재생수생성시간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제어기(800)는 온도측정비정상이고, 유효기간 이내에 저장된 원수온도가 없을 때, 보조기준시간 동안 원수가 재생탱크(300) 내에 수용되도록 밸브모듈(500)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예로, 보조기준시간은 제어기(800)에서 복수의 재생수생성시간 데이터의 평균값 및 미리 입력된 복수의 원수온도 데이터의 평균값에 대응하는 재생수생성시간 데이터 중 어느 하나로 결정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보조기준시간은 보조기준시간을 결정하기 위하여 제어기(800) 내에 미리 입력된 고정값으로 결정될 수 있다.
제어기(800)는 재생제(330)의 잔여량을 고려하여, 재생상태의 반복횟수에 따라 재생수생성시간을 보정할 수 있다. 또한, 제어기(800)는 온도측정정상에 결정된 재생수생성시간 및 온도측정비정상일 때 결정된 재생수생성시간 모두를 보정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 내지 제6 재생상태 중 적어도 일부 상태에서 재생수생성시간은 서로 다르게 결정될 수 있다.
제2 재생상태에서의 재생모드의 재생수생성시간은 제1 재생상태에서의 재생모드의 재생수생성시간보다 더 짧게 설정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 재생상태에서의 재생제(330)는 원수에 의해 처음 접촉되어 원수에 의해 쉽게 녹지 않을 수 있으므로, 제어기(800)는 제2 재생상태에서의 재생모드의 재생수생성기간보다 길게 설정할 수 있다. 제4 재생상태에서의 재생모드의 재생수생성시간은, 제3 재생상태에서의 재생모드의 재생수생성시간보다 더 길게 설정될 수 있고, 제5 재생상태에서의 재생모드의 재생수생성기간보다는 짧게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제6 재생상태에서의 재생모드의 재생수생성기간은 가장 길게 설정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 내지 3 재생상태가 수행되면, 재생제(330)는 원수에 의해 많이 녹아 잔여량이 적을 수 있으므로, 수지탱크(200)를 재생시키기 위한 재생수를 효율적으로 형성하기 위해, 제어기(800)는 재생상태의 제4 재생상태 이후부터 재생제(330)가 원수에 접촉되는 시간이 증가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제어기는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연산 장치, 센서 등의 측정장치 및 메모리에 의해 구현될 수 있으며, 그 구현 방식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항이므로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드레인구(900)는 린스수 또는 재생수를 배출할 수 있다. 드레인구(900)는 드레인라인(440)에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드레인구(900)에 의해 린스수 또는 재생수는 연수기(1)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필터(1000)는 원수유로(411) 상에 구비되어 원수유로(411)에서 유동되는 원수를 여과할 수 있다. 이러한 필터(1000)에 의해 원수출수모드일 때, 토출구(600)는 여과된 원수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연수기(1)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수기(1)는 재생상태에서 재생모드가 복수 회 수행될 수 있으므로, 수지탱크(200)를 효율적으로 재생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해, 수지탱크(200)가 재생탱크(300)보다 크게 형성되더라도, 제어기(800)에 의해 재생모드가 재생상태에서 복수 회 수행되어 수지탱크(200)에 재생수가 복수 회 유입될 수 있으므로, 수지탱크(200)의 수용된 이온교환수지의 염화나트륨의 농도가 낮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온도센서(710)에서 고장이 발생되더라도, 원수가 미리 저정된 원수온도에 기초하여 결정된 재생수생성시간 및 보조기준시간 중 어느 하나의 시간 동안 원수가 재생탱크(300) 내에 수용될 수 있으므로, 재생수를 효율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제어기(800)는 온도측정정상 및 온도측정비정상일 때, 재생상태 반복 횟수를 기초로 재생수생성시간을 보정할 수 있으므로, 재생제(330)의 잔량에 따라 재생수를 효율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온도센서(710), 유량센서(720) 및 복수 의 밸브 중 어느 하나가 고장일 경우, 연수기(1)가 수리되도록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구체적인 실시 형태로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 것이며,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에 따르는 최광의 범위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당업자는 개시된 실시형태들을 조합/치환하여 적시되지 않은 형상의 패턴을 실시할 수 있으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다. 이외에도 당업자는 본 명세서에 기초하여 개시된 실시형태를 용이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변경 또는 변형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명백하다.
100: 원수공급구 200: 수지탱크
300: 재생탱크 400: 워터라인
410: 원수라인 411: 원수유로
412: 수지탱크유입유로 420: 재생라인
421: 재생탱크유입유로 422: 재생수유로
423: 린스유로 430: 연수배출라인
440: 드레인라인 500: 밸브모듈
510: 제1 밸브 520: 제2 밸브
530: 제3 밸브 540: 제4 밸브
550: 제5 밸브 560: 제6 밸브
570: 제7 밸브 600: 토출구
700: 센서유닛 710: 온도센서
720: 유량센서 800: 제어기
900: 드레인구 1000: 필터

Claims (9)

  1. 상대적으로 따뜻한 온수를 제공하는 온수수전 및 상대적으로 차가운 냉수를 제공하는 냉수수전 중 하나 이상으로부터, 상기 온수 및 냉수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원수를 공급받기 위한 원수공급구;
    상기 원수공급구를 통해 유입된 상기 원수를 내부에 배치된 이온교환수지에 통과시킴으로써 연수를 제공하는 수지탱크;
    상기 원수공급구를 통해 유입된 상기 원수를 공급받고, 상기 수지탱크를 재생시키기 위하여 상기 원수를 수용함으로써 재생수를 생성하는 재생탱크;
    상기 원수 또는 상기 연수를 외부로 배출시켜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토출구;
    상기 원수 또는 상기 연수가 상기 원수공급구, 상기 수지탱크, 상기 재생탱크, 및 상기 토출구 사이에서 유동되기 위한 통로를 제공하는 워터라인;
    상기 워터라인 내의 상기 원수 또는 상기 연수의 유동을 조절하도록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복수 개의 밸브를 포함하는 밸브모듈;
    상기 재생탱크로 공급되는 상기 원수의 온도인 원수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와 상기 재생탱크로 공급되는 상기 원수의 유량을 측정하는 유량센서를 포함하는 센서유닛; 및
    상기 밸브모듈이 사용가능상태 또는 재생상태에 놓이도록 상기 밸브모듈을 제어하며, 상기 사용가능상태 또는 재생상태에서 하나 이상의 유동모드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 개의 밸브가 개폐되도록 상기 밸브모듈을 제어하는 제어기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가능상태에서는, 상기 원수가 상기 재생탱크를 바이패스하여 상기 토출구로 유동되도록 상기 밸브모듈이 제어되고,
    상기 재생상태에서는, 상기 재생탱크의 재생수가 상기 수지탱크를 재생시키도록 상기 밸브모듈이 제어되며,
    상기 유동모드는,
    상기 원수가 상기 재생탱크에 유입되고, 상기 재생탱크에서 배출된 상기 재생수가 상기 수지탱크 내에서 소정의 재생시간동안 머물렀다가 외부로 배출됨으로써 재생되도록 상기 밸브모듈이 제어되는재생모드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기는,
    상기 재생탱크로 유입되는 상기 원수의 유량을 기초로, 상기 유량센서 및 상기 복수의 밸브 중 어느 하나가 고장인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온도센서에서 측정된 상기 원수온도에 대한 정보를 정상적으로 받은 때, 상기 온도센서에서 측정된 상기 원수온도에 기초하여 결정된 재생수생성시간 동안 상기 원수가 상기 재생탱크 내에 수용되도록 상기 밸브모듈을 제어하고, 상기 온도센서에서 측정된 상기 원수온도를 저장하고,
    상기 온도센서에서 측정된 상기 원수온도에 대한 정보를 정상적으로 받지 못한 때, 저장된 상기 원수온도에 기초하여 결정된 재생수생성시간 동안 상기 원수가 상기 재생탱크 내에 수용되도록 상기 밸브모듈을 제어하는,
    연수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온도센서에서 측정된 상기 원수온도에 대한 정보를 정상적으로 받지 못한 때, 소정 유효기간 이내에 저장된 상기 원수온도에 기초하여 결정된 재생수생성시간 동안 상기 원수가 상기 재생탱크 내에 수용되도록 상기 밸브모듈을 제어하는,
    연수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센서에서 측정된 상기 원수온도에 대한 정보를 정상적으로 받지 못한 때는,
    상기 온도센서가 고장인 때; 및
    상기 온도센서와 상기 제어기 간의 연결에 오류가 있을 때를 포함하는,
    연수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센서가 고장인 때에는 상기 원수온도가 미리 입력된 임계온도를 초과하는 것으로 측정되었을 때를 포함하는
    연수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에는, 복수의 원수온도 데이터와 복수의 재생수생성시간 데이터 간의 대응관계가 미리 입력되어 있고, 상기 대응관계는 상기 원수온도 데이터가 증가할수록 상기 재생수생성시간 데이터가 감소하는 경향을 가지며,
    상기 제어기는,
    상기 온도센서에서 측정된 상기 원수온도에 대한 정보를 정상적으로 받은 때, '상기 온도센서에서 측정된 상기 원수온도에 해당하는 원수온도 데이터가 상기 대응관계에서 대응되는 재생수생성시간 데이터'를 상기 재생수생성시간으로 결정하는,
    연수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센서에서 측정된 상기 원수온도에 대한 정보를 정상적으로 받지 못하고 소정 유효기간 이내에 저장된 원수온도가 없을 때, 보조기준시간 동안 상기 원수가 상기 재생탱크 내에 수용되도록 상기 밸브모듈을 제어하고,
    상기 보조기준시간은,
    상기 제어기에서 미리 입력된 복수의 재생수생성시간 데이터의 평균값, 및
    상기 제어기에서 미리 입력된 복수의 상기 원수온도 데이터의 평균값에 대응하는 재생수생성시간 데이터 중 어느 하나로 결정되는,
    연수기.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센서에서 측정된 상기 원수온도에 대한 정보를 정상적으로 받지 못하고 소정 유효기간 이내에 저장된 원수온도가 없을 때, 보조기준시간 동안 상기 원수가 상기 재생탱크 내에 수용되도록 상기 밸브모듈을 제어하고,
    상기 보조기준시간은 상기 제어기 내에 미리 입력된 고정값인,
    연수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탱크는,
    재생탱크프레임; 및
    상기 재생탱크프레임 내에 교체 가능하게 배치되는 재생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기는, 복수 회의 상기 사용가능상태와 복수 회의 상기 재생상태가 교번하는 방식으로 상기 밸브모듈을 제어하고,
    복수 회의 상기 재생상태는, 상기 재생제가 교체된 이후에 가장 먼저 도래하는 제1 재생상태, 및 상기 제1 재생상태 이후에 순차적으로 도래하는 제2 내지 제4 재생상태를 포함하고,
    상기 제4 재생상태에서의 재생모드의 재생수생성시간은, 상기 제3 재생상태에서의 재생모드의 재생수생성시간보다 더 긴,
    연수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재생상태에서의 재생모드의 재생수생성시간은, 상기 제1 재생상태에서의 재생모드의 재생수생성시간보다 더 짧은,
    연수기.
KR1020220094869A 2022-07-29 2022-07-29 연수기 KR2024001674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4869A KR20240016742A (ko) 2022-07-29 2022-07-29 연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4869A KR20240016742A (ko) 2022-07-29 2022-07-29 연수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16742A true KR20240016742A (ko) 2024-02-06

Family

ID=898583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94869A KR20240016742A (ko) 2022-07-29 2022-07-29 연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16742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5297A (ko) 2017-09-26 2019-04-03 코웨이 주식회사 재생통, 냉수 탱크 및 온수 탱크를 연결하는 커넥터를 포함하는 연수기 및 그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5297A (ko) 2017-09-26 2019-04-03 코웨이 주식회사 재생통, 냉수 탱크 및 온수 탱크를 연결하는 커넥터를 포함하는 연수기 및 그 제어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44724B2 (ja) イオン交換装置の制御方法
US7488424B2 (en) Method for fluid treatment having multiple cycles
KR102308575B1 (ko) 휴대용 이온 제거장치
JP5076222B2 (ja) 軟水装置における軟水化処理剤の再生方法および軟水装置
KR102581407B1 (ko) 재생통, 냉수 탱크 및 온수 탱크를 연결하는 커넥터를 포함하는 연수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2368915B1 (ko) 이온 제거키트
US6284132B1 (en) Brine fill apparatus for water softener
KR20240016742A (ko) 연수기
KR20240016042A (ko) 연수기
WO2006079500A1 (en) Method for controlling and managing the water flow to a coffee machine provided with a water softener device of ion exchange resin type, and coffee machine for implementing the method
WO1994013379A1 (en) Multi-tank liquid treatment method and apparatus
KR20240016664A (ko) 연수기
KR102592788B1 (ko) 연수기의 재생 수행 방법
KR101595571B1 (ko) 중력식 자동 재생 연수기 및 중력식 자동 재생 연수기의 자동 재생 방법
KR20240016760A (ko) 연수기
KR20190035295A (ko) 연수기의 분리 가능한 재생통 및 재생통의 드레인 바스켓
KR200403919Y1 (ko) 자동재생 연수기
JP2007260519A (ja) イオン交換装置
JP2778462B2 (ja) 軟水器の再生制御方法
JP2009125641A (ja) 軟水装置の運転制御システム
KR102581408B1 (ko) 재생수 생성 횟수에 따른 재생수의 염도 유지 방법
JP5152087B2 (ja) 軟水器
JP2776279B2 (ja) 軟水器の制御方法
JP2009178664A (ja) 軟水化装置、並びに、給湯システム
JP2005279512A (ja) 軟水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