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35295A - 연수기의 분리 가능한 재생통 및 재생통의 드레인 바스켓 - Google Patents

연수기의 분리 가능한 재생통 및 재생통의 드레인 바스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35295A
KR20190035295A KR1020170124346A KR20170124346A KR20190035295A KR 20190035295 A KR20190035295 A KR 20190035295A KR 1020170124346 A KR1020170124346 A KR 1020170124346A KR 20170124346 A KR20170124346 A KR 20170124346A KR 20190035295 A KR20190035295 A KR 201900352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d water
regeneration
water
regenerator
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43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23012B1 (ko
Inventor
정다운
이현강
한지원
김종민
김원태
이왕준
Original Assignee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웨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243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3012B1/ko
Priority to CN201821571782.4U priority patent/CN209567847U/zh
Publication of KR201900352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52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30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30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on-exchang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5/00Softening water; Preventing scale; Adding scale preventatives or scale removers to water, e.g. adding sequestering agents
    • C02F5/08Treatment of water with complexing chemicals or other solubilising agents for softening, scale prevention or scale removal, e.g. adding sequestering agen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reatment Of Water By Ion Exchan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수기에 장착되며, 재생제를 내장하는 재생통(700)으로서, 개방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재생제가 투입 가능하도록 형성된 상부면(702); 상기 재생제를 지지하는 안착부(704); 및 재생용 냉수를 공급하는 재생통 유로(680)와 연통되도록 형성된 제 1 포트(710); 를 포함하며, 상기 안착부(704)는, 바닥면(706)으로부터 소정의 높이에 위치되어 상기 재생제가 안착된 상태일 때, 상기 바닥면(706)으로부터 상기 소정의 높이만큼 이격되는, 재생통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연수기의 분리 가능한 재생통 및 재생통의 드레인 바스켓 {Separable Regenerator Box of Softener and Drain Basket of the Regenerator Box}
본 발명은 연수기에 사용되는 분리 가능한 재생통 및 재생통의 드레인 바스켓에 관한 것이다.
수돗물(이하, "경수"라 함)에는 정화 과정에서 다량의 염소 이온이 포함되며, 노후된 관을 통과하거나, 수돗물의 원수 자체에 오염이 심한 경우에는 인체에 해로운 철, 아연, 납, 수은 등의 다양한 중금속 이온이 포함된다.
이러한 중금속 이온은 특히, 비누의 지방산과 결합되어 금속성 이물질을 생성할 수 있으며, 이는 피부와 접촉하여 알레르기 또는 피부 노화를 야기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경수를 나트륨 이온(Na+)와 같은 강산성 양이온에 통과시켜, 경도 성분인 칼슘 이온(Ca2+) 및 마그네슘 이온(Mg2+)를 나트륨 이온(Na+)과 교환시킴에 따라, 경도 성분인 칼슘 이온(Ca2+) 및 마그네슘 이온(Mg2+)이 제거된 연수를 생성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경수를 연수로 변환시키기 위해, 많은 가정에서 연수기를 사용하고 있다.
경도 성분인 칼슘 이온(Ca2+) 및 마그네슘 이온(Mg2+)을 나트륨 이온(Na+)과의 교환을 위해, 연수기에는 나트륨 이온(Na+)이 포함된 물이 저장되어 있는 이온수지탱크가 구비되며, 상기 이온수지탱크는, 온수 탱크 및 냉수 탱크로 이루어져 있다.
이 때, 사용자가 온수 탱크 및 냉수 탱크 내에 저장되어 있는 연수를 계속 사용하는 경우, 상기 온수 탱크 및 냉수 탱크 내의 나트륨 이온(Na+)이 지속적으로 소비되므로, 일정 간격으로 상기 온수 탱크 및 냉수 탱크에 나트륨 이온(Na+)을 보충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연수기는 재생통을 구비하며, 상기 재생통 내에서 나트륨 이온(Na+)을 포함하는 재생수를 생성한 후, 상기 재생수를 온수 탱크 및 냉수 탱크로 공급함으로써, 나트륨 이온(Na+)을 보충한다.
구체적으로, 재생통 내에는 바스켓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바스켓에는 재생제가 내장되어 있고, 재생통으로 유입된 원수가 재생제를 녹임으로써, 재생수를 생성한다.
한편, 종래 기술인, 한국출원번호 제20-2004-0013412호는 소금재생통이 교환장착되는 연수기용 필터에 관한 것으로, 소금이 충전된 소금재생통을 선택 장착하는 구조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연수기의 재생을 수행하는 재생통 내에 재생용 냉수를 공급하는 과정은 필연적으로 재생통 내에 재생용 냉수의 공급이 필요하며, 재생용 냉수의 공급 과정에서 상기 재생용 냉수가 오버 플로우되는 문제가 종종 발생하였다.
재생용 냉수가 오버 플로우되는 경우, 연수기를 제어하는 전자 회로 내지 전자 장비의 고장을 유발시키는 치명적인 문제를 발생시킨다.
또한, 주기적으로 교체가 필요한 재생제의 교체 및 재생통의 세척을 위해서는 재생통의 분리가 필요하며, 종래의 기술들은 재생통의 분리가 용이하지 않은 바, 재생통을 분리하는 과정에서 재생통 내의 잔수가 연수기 내부로 침투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재생통의 분리 및 세척이 용이하며, 재생통 내에 공급된 재생용 냉수가 오버 플로우된 경우, 오버 플로우된 재생용 냉수가 연수기 내부의 전자 장비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는 기술에 대한 필요성이 매우 높은 실정이다.
(특허문헌 1) 한국출원번호 제20-2004-0013412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이다.
구체적으로, 재생통의 결합 구조를 단순하게 형성함에 따라, 연수기에서 재생통을 분리하는 과정이 간편한 구조를 갖는 재생통을 제안하고자 한다.
또한, 재생통에 공급되는 재생용 냉수가 오버 플로우된 경우, 재생용 냉수가 연수기 내부의 전자 장비 및 전기 회로에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는 구조를 제안하고자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연수기에 장착되며, 재생제(730)를 내장하는 재생통(700)으로서, 개방 형성되어 상기 재생제(730)가 투입 가능하도록 형성된 상부면; 상기 재생제(730)를 지지하는 안착부(704a, 704b); 및 재생용 냉수를 공급하는 재생통 유로(680)와 연통되도록 형성된 제 1 포트(710); 를 포함하며, 상기 안착부(704a, 704b)는, 바닥면(706)으로부터 소정의 높이에 위치되어 상기 재생제(730)가 안착된 상태일 때, 상기 바닥면(706)으로부터 상기 소정의 높이만큼 이격되는, 재생통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재생제(730)는, 재생제용 바스켓(720)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재생통(700)에 투입되어, 상기 재생제용 바스켓(720)이 상기 안착부(704a, 704b)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재생제용 바스켓(720)의 소정의 부분은 메쉬로 형성되어 상기 재생용 냉수가 상기 재생제용 바스켓(720) 내부에 삽입된 재생제를 용해하도록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1 포트(710)는 상기 바닥면(706)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재생제(730)가 상기 재생용 냉수에 의해 용해된 재생수는, 상기 제 1 포트(710)를 통해 상기 재생통(700)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바닥면(706)에는 상기 제 1 포트(710)를 향해 구배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재생통(700)의 내측면으로부터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어 배수 공간(707)을 형성하는 배수벽(708); 및 상기 배수 공간(707)의 바닥면에 형성된 제 2 포트(709);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재생용 냉수가 오버 플로우(over-flow)된 경우, 상기 제 2 포트(709)를 통해, 상기 재생통(700) 외부로 배출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재생제용 바스켓(720)은, 상기 재생제(730)의 크기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배수벽(708)은, 상단부(708a)가 상기 재생제용 바스켓(720)의 상단부(720a)에 대응되는 높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전술한 재생통(700); 및 상기 재생통(700)의 하부에 위치되며, 상기 제 2 포트(709)를 통해, 상기 재생통(700)의 외부로 배출되는 재생용 냉수를 임시적으로 보관하도록 형성된 재생통 드레인 바스켓(750); 을 포함하는, 연수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재생통 드레인 바스켓(750)의 바닥면(752)에는, 내부에 임시적으로 보관된 재생용 냉수를 외부에 배출시키도록 형성된 제 3 포트(754)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 3 포트(754)는, 상기 제 2 포트(709)와 수직 방향으로 일직선 상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재생통 드레인 바스켓(750)의 바닥면(752)에는, 상기 제 3 포트(754)를 향해 구배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재생통 드레인 바스켓(750)에는, 상기 제 1 포트(710)를 향해 돌출되는 중공형의 제 1 포트 수용부(756)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포트 수용부(756)의 일측은, 상기 제 1 포트(710)가 밀착하여 삽입됨으로써, 상기 재생통(700) 및 상기 재생통 드레인 바스켓(750)이 결합 고정되며, 상기 제 1 포트 수용부(756)의 타측은, 상기 재생용 냉수를 공급하는 재생통 유로(680)와 연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1 포트(710)의 외주면에는, 상기 제 1 포트(710)가 상기 제 1 포트 수용부(756)의 내주면에 밀착되도록, 탄성 부재로 형성된 돌출부(712)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포트 수용부(756)의 내주면은, 소정의 경사를 갖도록 형성되되, 상기 제 1 포트(710)의 삽입 방향으로 갈수록 내주면의 직경이 감소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 1 포트(710)의 돌출부(712)는, 상기 제 1 포트(710) 외주면의 원주 방향을 따라 폐쇄된 형상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되, 상기 복수 개의 돌출부(712)의 돌출 정도는, 상기 제 1 포트(710)의 삽입 방향으로 갈수록 감소하도록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연수기는, 냉수 입수부(100)와 연통하는 재생 유로(500); 및 상기 재생 유로(500)에서 재생용 냉수를 공급받아 재생통(700)에 공급하고, 상기 재생통(700)에서 재생수를 공급받아 냉수 탱크(200) 또는 온수 탱크(400)에 전달하는 커넥터(600); 를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600)는, 상기 재생 유로(500)에 연통되는 입수로(610); 일단이 상기 재생통(700)에 연통되는 재생통 유로(680); 상기 재생통 유로(680)의 타단에서 분기되어 상기 냉수 탱크(200)에 연통되는 냉수 재생수 출수로(640); 및 상기 재생통 유로(680)의 상기 타단에서 분기되어 상기 온수 탱크(400)에 연통되는 온수 재생수 출수로(660);를 포함하며, 상기 재생통 유로(680)를 통해 공급되는 재생용 냉수는, 상기 제 1 포트 수용부(756) 및 상기 제 1 포트(710)을 거쳐 상기 재생통(700)에 공급되고, 상기 재생수는, 상기 제 1 포트(710) 및 상기 제 1 포트 수용부(756)을 거쳐 상기 냉수 탱크(200) 및 상기 온수 탱크(400)에 공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재생통에 재생용 냉수를 공급받는 입수로 및 재생통의 재생수를 외부로 공급하는 출수로를 동일한 제 1 포트로 형성함에 따라, 재생통의 구조를 간단하게 형성하였으며, 제 1 포트를 통해, 재생통을 연수기 내부에 장착시키는 구조를 형성함에 따라, 재생통 분리의 용이성을 증대시켰다.
또한, 본 발명은, 재생용 냉수가 오버 플로우된 경우에, 임시적으로 이를 보관할 수 있는 재생통 드레인 바스켓을 구비함에 따라, 재생용 냉수가 연수기 내부의 전자 회로 및 전자 장비에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였다.
이에 더하여, 재생통 내에 구배 및 별도의 배수 공간을 형성함에 따라, 재생수가 재생통 내에 잔존하는 것을 방지하고, 재생통에서 재생용 냉수가 넘치는 현상을 방지하였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연수기의 외관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연수기에서, 설명을 위해 상부 커버 및 하부 커버를 제거하고 프레임 및 일부 연결 부품의 도시를 생략한 도시하는 사시도로서, 좌표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도 2는 전방 하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3은 후방 상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연수기의 커넥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연수기의 유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연수기에 있어서, 재생용 냉수가 공급되는 유로(하기 C11 및 C21 단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c는 본 발명에 따른 연수기에 있어서, 냉수 탱크에 재생수를 공급하는 유로(하기 C13 단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d는 본 발명에 따른 연수기에 있어서, 온수 탱크에 재생수를 공급하는 유로(하기 C24 단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연수기의 작동 모드 및 이에 따른 밸브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연수기의 재생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재생통의 평면도이다.
도 9는 도 7에 도시된 재생통의 정면도이다.
도 10은 도 7에 도시된 재생통의 하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7에 도시된 재생통의 하부에 재생통 드레인 바스켓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재생통 및 재생통 드레인 바스켓이 결합된 상태의 하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재생통 드레인 바스켓의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8의 A-A'에 의한 단면도이다.
도 15는 도 11에 도시된 B 영역의 확대도이다.
이하에서, "냉수"와 "온수"는 냉수 수전구 및 온수 수전구에서 연수기에 각각 개별적으로 공급되는 유체를 의미한다.
"재생수"는 예를 들어 소금일 수 있는 재생용 블럭이 녹아 이온교환수지에 이온을 공급하기 위한 유체를 의미한다. "재생수"가 냉수 탱크에 공급되는 경우 "냉수 재생수"로 지칭하고, 온수 탱크에 공급되는 경우 "온수 재생수"로 지칭한다.
"재생용 냉수"는 재생수를 생성하기 위하여 공급되는 냉수를 의미한다.
1. 연수기의 설명
이하, 도 1 내지 도 5d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연수기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연수기의 외관으로, 상부 커버(1010) 및 하부커버(1020)가 도시된다. 설명을 위하여 상부 커버(1010)를 투명하게 도시하였다.
상부 커버(1010)의 내측 상부에는 재생통(700)이 위치하고 재생통(700) 하단에 냉수 탱크(200)의 필터 커버(221)와 온수 탱크(400)의 필터 커버(421)가 위치한다. 필터를 교환하거나, 재생통(700)에 재생용 블럭(미도시)을 충진하기 위하여 상부 커버(1010)를 탈거한다.
상부 커버(1010) 내측에는 제어 패널(1011)이 위치한다. 제어 패널(1011)에는 재생횟수를 표시하는 알림창과, 현재 시각 설정, 재생 설정, 캐어 모드, 수동 재생 등을 입력하는 입력부가 위치한다.
하부 커버(1020)는 내측 유로를 보호한다.
하부 커버(1020)에는 성능 표시부(1021), 재생중 표시부(1022) 및 배터리 표시부(1023)가 위치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3은 상부 커버(1010)와 하부 커버(1020)를 탈거한 연수기를 도시한다. 설명을 위하여 프레임 및 각각의 부품들을 프레임에 고정하기 위한 연결 부품의 도시는 생략하였다.
도 4는 커넥터(600)를 도시하고, 도 5a 내지 5d는 유로를 개략화하여 도시한다. 도 2 내지 도 3에서는 각 부품들이 연결되는 튜브(tube)의 도시가 생략되었는데, 이는 이하에서의 설명 및 도 5a 내지 5d를 참조하여 그 연결 방법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 2 내지 도 5d를 함께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연수기를 설명한다.
1.1 냉수 입수부(100)
본 발명에 따른 연수기는, 냉수 입수부(100), 냉수 탱크(200), 온수 입수부(300), 온수 탱크(400), 재생 유로(500), 커넥터(600), 재생통(700), 냉수 드레인(800) 및 온수 드레인(900)을 포함한다.
냉수 입수부(100)는 연수기 하단에 위치하여 냉수 수전구(미도시)에 연결되어 연수기에 원수인 냉수를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냉수 입수구(110), 감압 밸브(120), 유량 센서(130) 및 냉수 밸브(190)를 포함한다.
냉수 입수구(110)는 냉수 수전구에 연결되어 냉수를 공급받는다. 공급된 냉수는 감압 밸브(120)를 통과하며 감압되고 유량 센서(130)에 의해 공급된 냉수 유량이 확인된다.
냉수 밸브(190)는 냉수 입수구(110)와 냉수 입수 유로(210)의 사이에 구비되며 냉수 유입 여부를 제어한다. 작동 모드에 따라 냉수 밸브(190)가 제어되는데 구체적인 내용은 후술한다.
1.2 냉수 탱크(200)
냉수 탱크(200)는 냉수 입수부(100)에서 공급받은 냉수를 연수화하여 출수하거나 재생용 냉수로서 재생통(700)에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냉수 입수 유로(210), 필터부(220), 냉수 이온교환수지(230) 및 냉수 출수구(240)를 포함한다.
냉수 입수 유로(210)는 냉수 입수부(110)와 연결되며,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수 탱크(200)의 가운데에 구비되고 냉수 이온교환수지(230)가 이를 감싸는 방식으로 충진될 수 있다. 냉수 입수 유로(210)를 통해 유입된 냉수는 상승하게 된다.
냉수 입수 유로(210)의 말단에는 필터부(220)가 위치하여, 냉수 입수 유로(210)를 통해 공급된 냉수는 필터부(220)에서 필터링된다. 사용자는 냉수 탱크(200)의 필터 커버(221)를 개방하여 필터를 교체할 수 있다.
필터부(220)를 통과한 냉수는 방사상 외측으로 유동한 후 하강하거나, 튜브인 재생용 냉수 입수로(510)를 통하여 재생용 냉수로 공급된다(도 5a 내지 5d 참조). 일부는 다른 튜브를 포함하는 냉수 재생수 출수로(640)로 유동하는데 체크 밸브(645)에 의하여 커넥터(600)까지 유동하지 않되 유로 내의 유압만 유지한다.
필터부(220)를 통과하여 방사상 외측으로 유동한 후 냉수 이온교환수지(230)를 통과하며 하강한 냉수는, 이온교환 작용에 의하여 연수화된다. 연수화된 냉수는 냉수 출수구(240)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출수된다.
1.3 온수 입수부(300)
온수 입수부(300)는 연수기 하단에 위치하여 온수 수전구(미도시)에 연결되어 연수기에 원수인 온수를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온수 입수구(310), 감압 밸브(320), 유량 센서(330) 및 온수 밸브(390)를 포함한다.
마찬가지로, 온수 입수구(310)는 온수 수전구에 연결되어 온수를 공급받고, 공급된 온은 감압 밸브(320)를 통과하며 감압되고 유량 센서(330)에 의해 공급된 온수 유량이 확인된다.
온수 밸브(390)는 온수 입수구(310)와 온수 입수 유로(410)의 사이에 구비되며 온수 유입 여부를 제어한다.
1.4 온수 탱크(400)
온수 탱크(400)는 온수 입수부(300)에서 공급받은 온수를 연수화하여 출수하는 역할을 한다. 냉수 탱크(200)와 달리 재생통(700)에 온수를 공급하지는 않는다. 온수 입수 유로(410), 필터부(420), 온수 이온교환 수지부(430) 및 온수 출수구(440)를 포함한다.
온수 입수 유로(410)는 온수 입수부(310)와 연결되며,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온수 탱크(400)의 가운데에 구비되고 온수 이온교환수지(430)가 이를 감싸는 방식으로 충진될 수 있다. 온수 입수 유로(410)를 통해 유입된 온수는 상승하게 된다.
온수 입수 유로(410)의 말단에는 필터부(420)가 위치하여, 온수 입수 유로(410)를 통해 공급된 온수는 필터부(420)에서 필터링된다. 사용자는 온수 탱크(400)의 필터 커버(421)를 개방하여 필터를 교체할 수 있다.
필터부(420)를 통과한 온수는 방사상 외측으로 유동한 후 하강하되, 냉수 탱크(200)에서와 달리 재생 유로(500)에 공급되지는 않는다. 일부는 튜브를 포함하는 온수 재생수 출수로(660)로 유동하는데 체크 밸브(665)에 의하여 커넥터(600)까지 유동하지 않되 유로 내의 유압만 유지한다.
필터부(420)를 통과하여 방사상 외측으로 유동한 후 온수 이온교환수지(430)를 통과하며 하강한 온수는, 이온교환 작용에 의하여 연수화된다. 연수화된 온수는 온수 출수구(440)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출수된다.
1.5 재생 유로(500)
재생 유로(500)는 재생수를 생성하도록 냉수 입수부(100) 및 냉수 탱크(200)를 통해 공급받은 냉수를 재생용 냉수로서 커넥터(600)를 통해 재생통(700)에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재생용 냉수 입수로(510), 유량 온도 센서(520), 커넥터 입수로(530) 및 재생 공급 밸브(590)를 포함한다.
재생용 냉수 입수로(510)의 일단은 튜브에 의해 냉수 탱크(200)에 연결되고 타단은 다른 튜브에 의해 커넥터 입수로(530)에 연결된다.
재생용 냉수 입수로(510)에 재생 공급 밸브(590)와 유량 온도 센서(520)가 구비된다. 작동 모드에 따라 재생 공급 밸브(590)가 제어되는데 구체적인 내용은 후술한다. 유량 온도 센서(520)에서 센싱되는 재생용 냉수의 유량과 온도는 재생 횟수 판단 및 재생 시간 판단에 사용될 수 있다.
1.6 커넥터(600)
커넥터(600)는 재생 유로(500)에서 공급받은 재생용 냉수를 재생통(700)에 공급하고, 재생통(700)에서 생성된 재생수를 냉수 탱크(200) 및 온수 탱크(400)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입수로(610), 냉수 재생수 출수로(640) 및 여기에 구비된 체크 밸브(645), 온수 재생수 출수로(660) 및 여기에 구비된 체크 밸브(665), 재생통(700)과 연통되는 재생통 유로(680)를 포함한다.
입수로(610)는 커넥터 입수로(530)에 연결되어 이를 통해 재생용 냉수가 재생통(700)에 입수된다.
냉수 재생수 출수로(640)의 일단에 재생통(700)이 연결되고 타단이 냉수 탱크(200)에 연결된다. 평상시에는 냉수 재생수 출수로(640) 중 체크 밸브(645)부터 냉수 탱크(200)까지의 유로에 냉수가 채워져 있어서 일정한 유압을 유지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냉수는 체크 밸브(645)로 인하여 재생통(700)까지 전달되지 않는다. 재생시에는 재생통(700)에서 냉수 재생수가 냉수 재생수 출수로(640)를 통해 냉수 탱크(200)에 공급된다.
마찬가지로, 온수 재생수 출수로(660)의 일단에 재생통(700)이 연결되고 타단이 온수 탱크(400)에 연결된다. 평상시에는 온수 재생수 출수로(660) 중 체크 밸브(665)부터 온수 탱크(400)까지의 유로에 온수가 채워져 있어서 일정한 유압을 유지하며 체크 밸브(665)로 인하여 온수가 재생통(700)까지 전달되지 않는다. 재생시에는 재생통(700)에서 온수 재생수가 온수 재생수 출수로(660)를 통해 온수 탱크(400)에 공급된다.
평상시(즉, 후술하는 (B)연수 모드) 냉수는 필터부(220)를 통과하여 냉수 재생수 출수로(640)의 체크 밸브(645) 부분까지 채워져 있고 온수는 필터부(420)를 통과하여 온수 재생수 출수로(660)의 체크 밸브(665) 부분까지 채워져 있는 상태이다. 본 발명에 따른 연수기에서는 냉수 탱크(200)와 온수 탱크(400)가 냉수 재생수 출수로(640)와 온수 재생수 출수로(660)를 통해 연통할 수 있는 구조인데, 체크 밸브(645, 665)로 인하여 평상시 혼입이 방지되게 되는 것이다. 후술하겠지만, 체크 밸브(645, 665)로 인하여, 하나의 재생통(700)에서 생성된 재생수가 냉수 탱크(200)및 온수 탱크(400)에 모두 공급될 수 있다.
재생통 유로(680)의 일단은 재생통(700)과 연결되고, 타단은 3개의 유로, 즉 입수로(610), 냉수 재생수 출수로(640), 온수 재생수 출수로(660) 모두와 연결된다. 재생용 냉수를 공급하는 경우, 재생용 냉수는 입수로(610) 및 재생통 유로(680)를 통과하며, 도면에서 재생용 냉수는 재생통 유로(680) 내에서 상방으로 유동한다. 반면, 냉수 재생수는 재생통 유로(680) 및 냉수 재생수 출수로(640)를 통과하고 온수 재생수는 재생통 유로(680) 및 온수 재생수 출수로(660)를 통과하여, 도면에서 재생통 유로(680) 내에서 하방으로 유동한다.
1.7 재생통(700)
재생통(700)은 커넥터(600)로부터 재생용 냉수를 공급받아 재생수를 생성한다.
재생통(700)에는 재생용 블럭(미도시)이 충진될 수 있다. 재생용 냉수가 냉수 입수구(110), 냉수 입수 유로(210), 필터부(220), 재생용 냉수 입수로(510), 및 입수로(610)를 통과하여 재생통(700)에 공급되면 재생용 블럭(미도시)이 녹으면서 재생수를 생성한다.
여기서, 냉수 재생수와 온수 재생수는 재생통(700)에서 생성된 동일한 재생수로서 냉수 탱크(200) 또는 온수 탱크(400) 중 어디로 공급되는지 여부에 따라 구분된 것이다. 즉, 재생통(700)에 생성된 재생수 중 일부는 커넥터(600)의 냉수 재생수 출수로(640)를 통해 냉수 탱크(200)에 공급되는데 이 때에 공급되는 재생수가 냉수 재생수이며, 다른 일부는 커넥터(600)의 온수 재생수 출수로(660)를 통해 온수 탱크(400)에 공급되는데 이 때에 공급되는 재생수가 온수 재생수이다. 일반적으로 냉수 탱크(200)에 냉수 재생수를 먼저 공급한 후 온수 탱크(400)에 온수 재생수를 공급한다.
냉수 재생수가 냉수 탱크(200)에 유입되면 냉수 이온교환수지(230)에 공급되어, 냉수 이온교환수지(230)의 이온을 재생한다.
마찬가지로, 온수 재생수가 온수 탱크(400)에 유입되면 온수 이온교환수지(430)에 공급되어, 온수 이온교환수지(430)의 이온을 재생한다.
또한, 재생통(700)에서 오버플로우(overflow)되는 재생수 또는 린스된 물 등은 후술하는 드레인(820)을 통해 배출되도록, 재생통(700)의 하단이 드레인(820)과 튜브에 의하여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는, 도 7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재생통(700) 및 재생통 드레인 바스켓(750)의 세부적인 구조를 설명한다.
1.7-1 재생통(700)의 세부적인 구조
도 7 내지 도 10에는 재생통(700)의 구조에 대해 도시되어 있다.
재생통(700)의 상부면은 개방 형성되어 재생제(730)가 투입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재생통(700)은 1.5L의 재생용 냉수를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이를 기준으로 재생제(730)는, 3.1kg의 재생제 블록이 투입되도록 형성된다.
한편, 재생제(730)가 재생통(700) 내부에 안착될 때, 재생통(700) 내부의 바닥면에 닿지 않도록 형성하기 위해, 재생제(730)를 지지하는 안착부(704a, 704b)를 구비한다.
이는, 재생이 완료된 이후에, 재생수가 재생통 내에 잔존하는 경우에, 잔존하는 재생수가 재생제(730)를 지속적으로 용해시키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함이며, 궁극적으로, 재생수의 일정한 염도 확보 및 재생제(730)의 일정한 사용 주기를 확보하기 위함이다.
상기 안착부(704a, 704b)는, 바닥면으로부터 25mm 높이로 형성되며, 또한, 바닥면(706)은, 재생수의 잔존을 방지하기 위해, 3.5도 구배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재생통(700)의 바닥면(706)에는, 재생용 냉수를 공급하는 재생통 유로(680)와 연통되도록 형성된 제 1 포트(710)가 형성되어 있고, 또한, 재생수 역시 제 1 포트(710)를 통해 배출되도록 형성되며, 재생통(700)의 바닥면(706)에 형성된 구배는 제 1 포트(710)를 향해 형성된다.
한편, 재생제(730)는, 재생제용 바스켓(720)에 삽입된 상태로 재생통(700)에 투입되어, 재생제용 바스켓(720)이 안착부(704a, 704b)에 의해 지지 및 고정된다.
이 때, 재생제용 바스켓(720)의 소정의 부분은 메쉬로 형성되어 재생용 냉수가 재생제용 바스켓(720) 내부에 삽입된 재생제를 용해하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이, 재생제(730)를 직접 재생통(700)에 투여하는 것이 아니라, 재생제(730)를 재생제용 바스켓(720)에 투여한 후, 재생제용 바스켓(720)을 재생통(700) 내부에 장착시킨다.
이에 따라, 재생제(730)의 용해 과정에서 재생제(730) 조각들이 분리되어 재생제(730) 조각이 재생통(700)의 바닥면에 닿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는 전술한 바와 같이, 일정한 재생수 염도를 확보하기 위함이다.
한편, 재생통(700)의 내측면에는, 상기 내측면으로부터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어 배수 공간(707)을 형성하는 배수벽(708) 및 상기 배수 공간(707)의 바닥면에 형성된 제 2 포트(709); 를 더 포함한다.
이는, 재생용 냉수가 오버 플로우(over-flow)된 경우, 제 2 포트(709)를 통해, 재생통(700)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함이며, 구체적으로, 공급된 재생용 냉수의 수위가 배수벽(708)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며, 공급된 재생용 냉수의 수위가 배수벽(708)보다 높게 형성되어 재생용 냉수가 재생통을 넘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재생수 생성시, 재생제(730)가 재생용 냉수에 전부 잠기도록 재생용 냉수를 공급하는 바, 배수벽(708)은, 상단부(708a)가 재생제용 바스켓(720)의 상단부(720a)에 대응되는 높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4에는, 재생제(730)가 제생제용 바스켓(720)에 내장된 상태로 재생통(700) 내부에 고정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이 때, 재생통(700) 내의 안착부(704a, 704b)는 상호 높이를 달리 형성할 수 있으며, 높이가 달리 형성된 경우에는, 재생제용 바스켓(720)의 수평을 유지하도록 재생제용 바스켓(720)의 하면에는 리브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재생제용 바스켓(720)의 상부면에는 재생제(730)의 교체가 용이하도록 손잡이를 형성함으로써, 재생제용 바스켓(720)의 뚜껑을 쉽게 여닫도록 형성될 수 있다.
1.7-2 재생통 드레인 바스켓(750)의 세부적인 구조
도 13에는 재생통 드레인 바스켓(750)의 세부적인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재생통 드레인 바스켓(750)은, 재생통(700)의 하부에 위치되며, 전술한 제 2 포트(709)를 통해, 재생통(700)의 외부로 배출되는 재생용 냉수를 임시적으로 보관하도록 형성된다.
즉, 재생통(700)에 공급된 재생용 냉수가 오버 플로우된 경우, 재생통(700)의 배수 공간(707)을 따라, 상기 오버 플로우된 재생용 냉수가 재생통 드레인 바스켓(750)에 보관되게 된다.
이 때, 재생통 드레인 바스켓(750)의 바닥면에도 내부에 임시적으로 보관된 재생용 냉수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제 3 포트(754)가 형성되어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재생통(700)의 제 2 포트(709) 및 재생통 드레인 바스켓(750)의 제 3 포트(754)는 수직 방향으로 일직선 상에 위치됨으로써, 오버 플로우된 재생용 냉수의 배출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재생통 드레인 바스켓(750) 역시, 제 3 포트(754)를 향해 구배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재생통 드레인 바스켓(750)의 내측벽의 높이는, 재생통(700)의 제 2 포트(709)로부터 유입되는 오버 플로우된 재생용 냉수의 물튐 현상을 방지하도록 재생통(700)의 하부면에 근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생통 드레인 바스켓(750)에는, 제 1 포트(710)를 향해 돌출되는 중공형의 제 1 포트 수용부(756)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포트 수용부(756)의 상측은, 제 1 포트(710)가 밀착하여 삽입되도록 형성되며, 하측은, 재생통 유로(680)와 연통되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이, 재생용 냉수를 공급받고, 재생수를 공급하는 유로를 제 1 포트(710)로 단일화하였으며, 재생통(700)의 제 1 포트(710) 및 재생통 드레인 바스켓(750)의 제 1 포트 수용부(756)의 결합을 통해, 재생용 냉수 및 재생수가 유동하는 유로를 연결함과 동시에, 재생통(700) 및 재생통 드레인 바스켓(750)을 물리적으로 결합시킬 수 있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포트(710) 및 제 1 포트 수용부(756)가 좀 더 긴밀하게 밀착되도록 제 1 포트(710)의 외주면에는 탄성 부재로 형성된 돌출부(712)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 1 포트 수용부(756)의 내주면은, 소정의 경사를 갖도록 형성되되, 상기 제 1 포트(710)의 삽입 방향으로 갈수록 내주면의 직경이 감소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재생통(700)의 제 1 포트(710)를 재생통 드레인 바스켓(750)의 제 1 포트 수용부(756)에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다.
또한, 제 1 포트(710)의 돌출부(712)는, 상기 제 1 포트(710) 외주면의 원주 방향을 따라 폐쇄된 형상으로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3중 실링 구조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복수 개의 돌출부(712)의 돌출 정도는, 상기 제 1 포트(710)의 삽입 방향으로 갈수록 감소하도록 형성됨으로써, 전술한 제 1 포트 수용부(756)의 내주면에 형성된 경사에 대응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 1 포트(710)가 제 1 포트 수용부(756)에 삽입의 용이성 및 밀폐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1.8 냉수 드레인(800)
냉수 드레인(800)은 냉수 탱크(200)를 린스된 물을 드레인하는 역할을 한다. 냉수 린스 출수로(810), 드레인(820) 및 냉수 린스 밸브(890)를 포함한다.
냉수 린스 출수로(810)의 일단은 튜브에 의해 냉수 탱크(200)에 연결되고 타단은 다른 튜브에 의해 드레인(820)에 연결되며 냉수 린스 밸브(890)가 구비된다. 드레인(820)은 연수기 외부로 연통한다.
1.9 온수 드레인(900)
온수 드레인(900)은 온수 탱크(400)를 린스된 물을 드레인(820)을 통해 드레인하는 역할을 한다. 온수 린스 출수로(910) 및 온수 린스 밸브(990)를 포함한다.
마찬가지로, 온수 린스 출수로(910)의 일단은 튜브에 의해 온수 탱크(400)에 연결되고 타단은 다른 튜브에 의해 드레인(820)에 연결되며 온수 린스 밸브(990)가 구비된다.
2. 연수기의 작동 모드의 설명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연수기의 작동 모드를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연수기의 작동 모드는 (A)원수모드, (B)연수모드, (C)재생모드 및 (D)재생통 린스모드로 구분할 수 있다.
각 모드는 5개의 밸브, 즉 냉수 밸브(190), 온수 밸브(390), 재생 공급 밸브(590), 냉수 린스 밸브(890), 온수 린스 밸브(990)의 제어를 통하여 구현할 수 있다. 종래의 연수기는 세라믹 디스크를 포함한 하나의 멀티웨이 밸브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었으나, 습기가 많은 환경에서 작동하는 연수기의 특성 상 오작동의 경우가 많아 누수 내지 불량의 주요 원인이 되었는바, 본 발명은 5개의 밸브를 구분하여 작동 모드를 구현하였다.
냉수 밸브(190), 온수 밸브(390), 재생 공급 밸브(590), 냉수 린스 밸브(890), 온수 린스 밸브(990) 모두 랫치 밸브(latch valve)인 것이 바람직하나 전자적으로 제어 가능한 다른 종류의 밸브 역시 가능함은 물론이다.
(A)원수모드는 사용자가 연수가 아닌 원수를 사용하는 경우의 작동 모드로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2.1 연수모드
(B)연수모드는 사용자가 연수를 사용하는 경우이며, 냉수 밸브(190)와 온수 밸브(390)를 개방하고, 재생 공급 밸브(590), 냉수 린스 밸브(890), 온수 린스 밸브(990)를 폐쇄함으로써 구현된다.
냉수 밸브(190)가 개방되고 재생 공급 밸브(590)가 폐쇄되어 있어서, 냉수 입수구(110)를 통하여 공급된 냉수는 필터부(220)를 통과한 후 재생 유로(500)로 유동하지 않고 냉수 이온교환수지(230)를 통과하여 연수화된다.
냉수 린스 밸브(890)가 폐쇄되어 있기에 연수화된 냉수는 드레인(820)으로 배출되지 않고 냉수 출수구(240)를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만큼 출수된다.
온수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2.2 재생모드
(C)재생모드는 냉수 탱크(200) 내의 냉수 이온교환수지(230)와 온수 탱크(400) 내의 온수 이온교환수지(430)의 이온이 감소하여 연수 생성이 어려운 경우, 각각에 재생수를 공급하여 수지를 재생시키는 모드이다. 재생통(700)에 재생용 냉수가 공급되어 재생수가 생성된 후 냉수 재생수 및 온수 재생수로서 각각 냉수 탱크(200)와 온수 탱크(400)에 공급된다.
(C)재생모드를 시작하는 시점은 사용자가 사용한 연수의 총 유량에 기초하여 설정될 수도 있으며, 및/또는 마지막 재생모드를 수행한 시점으로부터 시간에 기초하여 설정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총 600리터의 기준 유량을 초과하여 연수화된 냉수 또는 온수를 사용하였다면 (C)재생모드가 수행될 수 있다. 사용한 연수의 양은 냉수 측의 유량센서(130)와 온수 측의 유량센서(330)를 통하여 확인할 수 있다. 냉수 또는 온수 중 어느 하나라도 기준 유량을 초과하였다면 냉수 탱크(200)와 온수 탱크(400) 모두 재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약 1시간 정도 소요되어 사용자가 연수기를 사용하지 못하게 되는 (C)재생모드가 너무 자주 이루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냉수 및 온수 측의 이온교환수지를 통합 관리하기 위함이다.
이와 동시에, 마지막 재생모드를 수행한 시점으로부터 8일이 경과하면 사용자가 사용한 유량이 기준 유량을 초과하지 않았어도 (C)재생모드를 수행하게 할 수 있다. 유량계 불량의 경우 또는 이온교환수지가 시간 경과에 따라 자연적으로 기능이 감소한 경우를 대비하게 위함이다.
(C)재생모드를, (C1)냉수 탱크 재생모드와 (C2)온수 탱크 재생모드로 구분하여 설명한다.
(C1)냉수 탱크 재생모드를 먼저 설명한다. (C11)재생용 냉수 공급 단계, (C12)용해 단계, (C13)재생 단계, (C14)린스 단계로 이루어진다.
(C11)재생용 냉수 공급 단계는 평상시 운용되는 (B)연수모드에서 변경됨으로써 시작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를 위해, 냉수 밸브(190)와 온수 밸브(390)가 개방되고 재생 공급 밸브(590), 냉수 린스 밸브(890), 온수 린스 밸브(990)가 폐쇄된 (B)연수모드 상태에서 재생 공급 밸브(590)만 개방한다. 이제 냉수 입수구(110)를 통하여 공급된 냉수는 필터부(220)를 통과한 후 재생 공급 밸브(590)의 개방으로 인해 재생용 냉수 입수로(510)를 향해 유동하게 되며, 커넥터 입수로(530), 입수로(610) 및 재생통 유로(680)를 통과하여 재생통(700)에 공급된다. 재생통(700)에 공급되는 재생용 냉수의 양은 유량 온도 센서(520)에서 확인된다.
유량 온도 센서(520)에서 확인된 재생용 냉수의 양이 미리 결정된 양(즉, 재생통(700)의 용량)에 이르면 (C12)용해 단계로 진행한다. 개방되었던 재생 공급 밸브(590)를 폐쇄하여 시작된다. 재생 공급 밸브(590), 냉수 린스 밸브(890)가 모두 폐쇄되어 압력이 유지되는 단계이기에, 재생통(700)에서 생성되고 있는 재생수가 냉수 탱크(200)로 유입되지 않고 용해 시간을 갖는다. 온수 린스 밸브(990)도 폐쇄된 상태이기에 온수 탱크(400)로도 유입되지 않는다. 용해 시간은 재생용 냉수의 온도, 유량 등에 따라 상이하게 결정될 수 있다.
용해 시간이 모두 경과하면 (C13)재생 단계로 진행한다. 개방되었던 냉수 밸브(190)를 폐쇄하고, 폐쇄되었던 냉수 린스 밸브(890)를 개방하여 시작된다. 냉수 린스 밸브(890) 개방으로 인해 냉수 탱크(200) 쪽의 압력이 낮아지고 재생수(즉, 냉수 재생수)는 재생통 유로(680), 냉수 재생수 출수로(640) 및 필터부(220)를 거쳐 냉수 이온교환수지(230)에 일정 속도로 재생 시간 동안 공급된다. 공급된 냉수 재생수는 냉수 이온교환수지(230)를 재생하고 냉수 린스 출수로(810)를 통과하여 드레인(82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약 20분의 재생 시간 동안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나, 그 시간은 변동 가능하다.
재생 시간이 모두 경과하면 (C14)린스 단계로 진행한다. 폐쇄되었던 냉수 밸브(190)를 개방하여 시작된다. 냉수 입수구(110)에서 냉수가 입수되며, 필터부(220)를 통해 냉수 이온교환수지(230)에 진입하여 이를 린스하게 된다. 이후 개방된 냉수 린스 밸브(890)로 인하여 냉수 린스 출수로(810)를 통과하여 드레인(82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약 3분 정도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나, 그 시간은 변동 가능하다.
(C2)온수 탱크 재생모드를 먼저 설명한다. (C21)재생용 냉수 공급 단계, (C22)용해 단계, (C23)온수 에어 제거 단계, (C24)재생 단계, (C25)린스 단계로 이루어진다. (C1)냉수 탱크 재생모드와 비교하면, (C23)온수 에어 제거 단계가 추가된 것이 상이하다.
(C21)재생용 냉수 공급 단계는 (C14)린스 단계 이후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냉수 밸브(190), 온수 밸브(290), 냉수 린스 밸브(890)가 개방되고, 재생 공급 밸브(590), 온수 린스 밸브(990)가 폐쇄된 상태였던 (C14)린스 단계에서, 재생 공급 밸브(590)를 개방하고 냉수 린스 밸브(890)를 폐쇄함으로써 시작된다.
(C22)용해 단계는 (C12)용해 단계와 동일하다. 유량 온도 센서(520)에서 확인된 재생용 냉수의 양이 미리 결정된 양에 이르면 (C22)용해 단계로 진행한다. 개방되었던 재생 공급 밸브(590)를 폐쇄하여 시작되며, 재생용 블럭(미도시)이 녹는 용해 시간을 갖는다. 마찬가지로 용해 시간은 재생용 냉수의 온도, 유량 등에 따라 상이하게 결정될 수 있다.
용해 시간이 모두 경과하면 (C23)온수 에어 제거 단계로 진행한다. (C1)냉수 탱크 재생모드와 달리 (C2)온수 탱크 제생모드에서는 에어 제거가 필요하다. 냉수 탱크(200)의 경우 냉수 중 일부가 재생 유로(500)를 통하여 재생통(700)에 공급되데 반하여, 온수 탱크(400)는 그러한 유로가 없어서 에어를 제거하고 재생수를 공급하는 것이 효과적이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온수 린스 밸브(990)를 약 10초 정도 개방하게 된다. 이 경우 온수 탱크(400) 및 관련 유로 상의 에어가 드레인(82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한편, (C23)온수 에어 제거 단계 동안에도 재생통(700)에서 용해는 계속 될 수 있으므로, (C22)용해 단계가 이루어지는 시간은 (C23)온수 에어 제거 단계의 시간을 감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달리 표현하면, (C23)온수 에어 제거 단계가 (C22)용해 단계와 동시에 진행되되, 미리 결정된 용해 시간 중 미리 결정된 온수 에어 제거 시간이 남은 시점에 (C23)온수 에어 제거 단계가 수행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C23)온수 에어 제거 단계가 10초 동안 이루어진다면, (C22)용해 단계에서의 용해 시간이 10초 남은 시점에 (C23)온수 에어 제거 단계가 시작된다.
이제, (C24)재생 단계로 진행한다. 개방되었던 온수 밸브(390)를 폐쇄하고, 폐쇄되었던 온수 린스 밸브(990)를 개방하여 시작된다. (C13)재생 단계와 동일하게, 온수 재생수는 재생통 유로(680), 온수 재생수 출수로(665) 및 필터부(420)를 거쳐 온수 이온교환수지(430)에 공급되어 온수 이온교환수지(430)를 재생하며, 이후 온수 린스 출수로(910)를 통과하여 드레인(82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약 20분의 재생 시간 동안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나, 그 시간은 변동 가능하다.
재생 시간이 모두 경과하면 (C25)린스 단계로 진행한다. 폐쇄되었던 온수 밸브(390)를 개방하여 시작된다. (C14)린스 단계와 동일하게, 온수 입수구(310)에서 온수가 입수되며, 필터부(420)를 통해 온수 이온교환수지(430)에 진입하여 이를 린스하게 된다. 이후 개방된 온수 린스 밸브(990)로 인하여 온수 린스 출수로(910)를 통과하여 드레인(82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약 3분 정도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나, 그 시간은 변동 가능하다.
이와 같이, (C1)냉수 탱크 재생모드와 (C2)온수 탱크 재생모드가 모두 수행되면, (D)재생통 린스모드가 수행되어 재생통(700)을 린스한다.
2.3 재생통 린스모드
(D)재생통 린스모드는, (D1)린스용 냉수 공급단계. (D2)재생통 드레인 단계, (D3)냉수 린스 단계 및 (D4)온수 린스 단계를 포함한다.
(D1)린스용 냉수 공급단계는, 재생통(700) 내에 위치한 재생용 블럭(미도시)가 모두 용해된 상태에서 재생통(700) 세척을 위하여 냉수를 공급받는 단계이다. (C2)온수 탱크 재생모드가 마무리되면 냉수 밸브(190), 온수 밸브(290) 및 온수 린스 밸브(990)가 개방되고 재생 공급 밸브(590) 및 냉수 린스 밸브(890)가 폐쇄된 상태인데, 개방되었던 온수 린스 밸브(990)가 폐쇄되고 폐쇄되었던 재생 공급 밸브(590)가 개방된다. 이에 따라, 냉수 입수구(110)를 통하여 공급된 냉수는 필터부(220)를 통과한 후 재생 공급 밸브(590)의 개방으로 인해 재생용 냉수 입수로(510)를 향해 유동하게 되며, 커넥터 입수로(530)와 입수로(610)를 통과하여 재생통(700)에 공급된다. 이 때에 공급되는 유량은 재생통(700)의 일부만을 채울 수 있는 정도면 족하다. 예를 들어, (C11) 내지 (C12) 단계에서 1.5리터가 공급되었다면, (D11) 단계에서는 0.5리터만 공급될 수 있다.
다음, (D12)재생통 드레인 단계가 수행된다. 개방되었던 냉수 밸브(190)와 재생 공급 밸브(590)를 폐쇄하고 폐쇄되었던 냉수 린스 밸브(890)를 개방하여, 재생통(700) 내에 남은 물을 드레인한다.
다음, (D13)냉수 린스 단계가 수행된다. 냉수 탱크(200)를 린스하는 단계로서, 폐쇄되었던 냉수 밸브(190)를 개방하여 냉수 탱크(200)에 냉수를 유입시킨 후 린스하게 하여 드레인시킨다.
다음, (D14)온수 린스 단계가 수행된다. 온수 탱크(400)를 린스하는 단계로서, 폐쇄되었던 온수 밸브(390)를 개방하여 온수 탱크(400)에 온수를 유입시킨 후 린스하게 하여 드레인시킨다.
(C)재생모드 및 (D)재생통 린스모드가 모두 수행되면, 냉수 이온교환수지(230)와 온수 이온교환수지(430)에는 이온이 모두 공급되고, 재생통(700)과 냉수 탱크(200)와 온수 탱크(400) 모두 린스까지 완료되어, 다시 사용자에게 연수를 공급할 준비가 완료된다.
이제, (B)연수모드로 복귀한다. 이를 위해, (D14) 단계에서 개방되었던 온수 린스 밸브(990)를 폐쇄하면, (B)연수모드에서와 같이 냉수 밸브(190)와 온수 밸브(390)만 개방된 상태가 된다.
이상, 본 명세서에는 본 발명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냉수 입수부
110: 냉수 입수로
120: 감압 밸브
130: 유량 센서
190: 냉수 밸브
200: 냉수 탱크
210: 냉수 입수 유로
220: 필터부
221: 필터 커버
230: 냉수 이온교환수지
240: 냉수 출수구
300: 온수 입수부
310: 온수 입수로
320: 감압 밸브
330: 유량 센서
390: 온수 밸브
400: 온수 탱크
410: 온수 입수 유로
420: 필터부
421: 필터 커버
430: 온수 이온교환수지
440: 온수 출수구
500: 재생 유로
510: 재생용 냉수 입수로
520: 유량 온도 센서
530: 커넥터 입수로
590: 재생 공급 밸브
600: 커넥터
610: 입수로
640: 냉수 재생수 출수로
645: 체크 밸브
660: 온수 재생수 출수로
665: 체크 밸브
680: 재생통 유로
700: 재생통
710: 제 1 포트
720: 재생제용 바스켓
750: 재생통 드레인 바스켓
756: 제 1 포트 수용부
800: 냉수 드레인
810: 냉수 린스 출수로
820: 드레인
890: 냉수 린스 밸브
900: 온수 드레인
910: 온수 린스 출수로
990: 온수 린스 밸브
1010: 상부 커버
1011: 제어 패널
1020: 하부 커버
1021: 성능 표시부
1022: 재생중 표시부
1023: 배터리 표시부

Claims (12)

  1. 연수기에 장착되며, 재생제(730)를 내장하는 재생통(700)으로서,
    개방 형성되어 상기 재생제(730)가 투입 가능하도록 형성된 상부면;
    상기 재생제(730)를 지지하는 안착부(704a, 704b); 및
    재생용 냉수를 공급하는 재생통 유로(680)와 연통되도록 형성된 제 1 포트(710); 를 포함하며,
    상기 안착부(704a, 704b)는, 바닥면(706)으로부터 소정의 높이에 위치되어 상기 재생제(730)가 안착된 상태일 때, 상기 바닥면(706)으로부터 상기 소정의 높이만큼 이격되는,
    재생통.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제(730)는, 재생제용 바스켓(720)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재생통(700)에 투입되어, 상기 재생제용 바스켓(720)이 상기 안착부(704a, 704b)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재생제용 바스켓(720)의 소정의 부분은 메쉬로 형성되어 상기 재생용 냉수가 상기 재생제용 바스켓(720) 내부에 삽입된 재생제를 용해하도록 형성된,
    재생통.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포트(710)는 상기 바닥면(706)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재생제(730)가 상기 재생용 냉수에 의해 용해된 재생수는, 상기 제 1 포트(710)를 통해 상기 재생통(700)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형성되는,
    재생통.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면(706)에는 상기 제 1 포트(710)를 향해 구배가 형성되는,
    재생통.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통(700)의 내측면으로부터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어 배수 공간(707)을 형성하는 배수벽(708); 및
    상기 배수 공간(707)의 바닥면에 형성된 제 2 포트(709);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재생용 냉수가 오버 플로우(over-flow)된 경우, 상기 제 2 포트(709)를 통해, 상기 재생통(700) 외부로 배출되도록 형성되는,
    재생통.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제용 바스켓(720)은, 상기 재생제(730)의 크기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배수벽(708)은, 상단부(708a)가 상기 재생제용 바스켓(720)의 상단부(720a)에 대응되는 높이로 형성되는,
    재생통.
  7. 제 5 항에 따른 재생통(700); 및
    상기 재생통(700)의 하부에 위치되며, 상기 제 2 포트(709)를 통해, 상기 재생통(700)의 외부로 배출되는 재생용 냉수를 임시적으로 보관하도록 형성된 재생통 드레인 바스켓(750); 을 포함하는,
    연수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통 드레인 바스켓(750)의 바닥면(752)에는, 내부에 임시적으로 보관된 재생용 냉수를 외부에 배출시키도록 형성된 제 3 포트(754)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 3 포트(754)는, 상기 제 2 포트(709)와 수직 방향으로 일직선 상에 위치하는,
    연수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통 드레인 바스켓(750)의 바닥면(752)에는, 상기 제 3 포트(754)를 향해 구배가 형성되는,
    연수기.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통 드레인 바스켓(750)에는, 상기 제 1 포트(710)를 향해 돌출되는 중공형의 제 1 포트 수용부(756)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포트 수용부(756)의 일측은, 상기 제 1 포트(710)가 밀착하여 삽입됨으로써, 상기 재생통(700) 및 상기 재생통 드레인 바스켓(750)이 결합 고정되며,
    상기 제 1 포트 수용부(756)의 타측은, 상기 재생용 냉수를 공급하는 재생통 유로(680)와 연통되는,
    연수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포트(710)의 외주면에는,
    상기 제 1 포트(710)가 상기 제 1 포트 수용부(756)의 내주면에 밀착되도록, 탄성 부재로 형성된 돌출부(712)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포트 수용부(756)의 내주면은, 소정의 경사를 갖도록 형성되되, 상기 제 1 포트(710)의 삽입 방향으로 갈수록 내주면의 직경이 감소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 1 포트(710)의 돌출부(712)는, 상기 제 1 포트(710) 외주면의 원주 방향을 따라 폐쇄된 형상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되, 상기 복수 개의 돌출부(712)의 돌출 정도는, 상기 제 1 포트(710)의 삽입 방향으로 갈수록 감소하도록 형성된,
    연수기.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연수기는,
    냉수 입수부(100)와 연통하는 재생 유로(500); 및
    상기 재생 유로(500)에서 재생용 냉수를 공급받아 재생통(700)에 공급하고, 상기 재생통(700)에서 재생수를 공급받아 냉수 탱크(200) 또는 온수 탱크(400)에 전달하는 커넥터(600); 를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600)는,
    상기 재생 유로(500)에 연통되는 입수로(610);
    일단이 상기 재생통(700)에 연통되는 재생통 유로(680);
    상기 재생통 유로(680)의 타단에서 분기되어 상기 냉수 탱크(200)에 연통되는 냉수 재생수 출수로(640); 및
    상기 재생통 유로(680)의 상기 타단에서 분기되어 상기 온수 탱크(400)에 연통되는 온수 재생수 출수로(660);를 포함하며,
    상기 재생통 유로(680)를 통해 공급되는 재생용 냉수는, 상기 제 1 포트 수용부(756) 및 상기 제 1 포트(710)을 거쳐 상기 재생통(700)에 공급되고,
    상기 재생수는, 상기 제 1 포트(710) 및 상기 제 1 포트 수용부(756)을 거쳐 상기 냉수 탱크(200) 및 상기 온수 탱크(400)에 공급되는,
    연수기.
KR1020170124346A 2017-09-26 2017-09-26 연수기의 분리 가능한 재생통 및 재생통의 드레인 바스켓 KR1022230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4346A KR102223012B1 (ko) 2017-09-26 2017-09-26 연수기의 분리 가능한 재생통 및 재생통의 드레인 바스켓
CN201821571782.4U CN209567847U (zh) 2017-09-26 2018-09-26 软水器的可分离的再生桶及包括其的软水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4346A KR102223012B1 (ko) 2017-09-26 2017-09-26 연수기의 분리 가능한 재생통 및 재생통의 드레인 바스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5295A true KR20190035295A (ko) 2019-04-03
KR102223012B1 KR102223012B1 (ko) 2021-03-05

Family

ID=661657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4346A KR102223012B1 (ko) 2017-09-26 2017-09-26 연수기의 분리 가능한 재생통 및 재생통의 드레인 바스켓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223012B1 (ko)
CN (1) CN209567847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42786A (ko) 2021-04-15 2022-10-24 코웨이 주식회사 연수기
KR20230119585A (ko) 2022-02-07 2023-08-16 코웨이 주식회사 연수기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77112A (ko) * 1997-04-16 1998-11-16 배순훈 연수기의 연수 및 재생 시스템
KR100214227B1 (ko) * 1997-05-31 1999-08-02 전주범 연수기용 이온교환수지 재생시스템의 제어방법
KR101069014B1 (ko) * 2009-05-28 2011-09-29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재생수 제조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1086538B1 (ko) * 2008-11-07 2011-11-23 청호나이스 주식회사 연수기의 재생수 제조 유니트
KR101595571B1 (ko) * 2009-08-31 2016-02-18 코웨이 주식회사 중력식 자동 재생 연수기 및 중력식 자동 재생 연수기의 자동 재생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77112A (ko) * 1997-04-16 1998-11-16 배순훈 연수기의 연수 및 재생 시스템
KR100214227B1 (ko) * 1997-05-31 1999-08-02 전주범 연수기용 이온교환수지 재생시스템의 제어방법
KR101086538B1 (ko) * 2008-11-07 2011-11-23 청호나이스 주식회사 연수기의 재생수 제조 유니트
KR101069014B1 (ko) * 2009-05-28 2011-09-29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재생수 제조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1595571B1 (ko) * 2009-08-31 2016-02-18 코웨이 주식회사 중력식 자동 재생 연수기 및 중력식 자동 재생 연수기의 자동 재생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42786A (ko) 2021-04-15 2022-10-24 코웨이 주식회사 연수기
KR20230119585A (ko) 2022-02-07 2023-08-16 코웨이 주식회사 연수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23012B1 (ko) 2021-03-05
CN209567847U (zh) 2019-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81407B1 (ko) 재생통, 냉수 탱크 및 온수 탱크를 연결하는 커넥터를 포함하는 연수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90035295A (ko) 연수기의 분리 가능한 재생통 및 재생통의 드레인 바스켓
KR100737926B1 (ko) 연수기
JP4988769B2 (ja) 水処理システム用二分割型弁体
KR102592788B1 (ko) 연수기의 재생 수행 방법
KR102592789B1 (ko) 특정 탱크만 에어 제거를 수행하도록 형성된 연수기
KR100341937B1 (ko) 세탁기
KR101595571B1 (ko) 중력식 자동 재생 연수기 및 중력식 자동 재생 연수기의 자동 재생 방법
KR102581406B1 (ko) 부품 교체가 용이한 구조를 갖는 연수기
KR102592787B1 (ko) 재생수의 염도 유지 방법
JP5714278B2 (ja) 軟水化装置およびイオン交換樹脂再生装置、軟水化装置の再生システム
KR102581408B1 (ko) 재생수 생성 횟수에 따른 재생수의 염도 유지 방법
KR102642328B1 (ko) 연수기의 케어 모드 수행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연수기
JPH11221397A (ja) 洗濯機
JP2010104907A (ja) 軟水化システム、並びに、給湯システム
JP2003334549A (ja) 水道水軟水化装置
JPH11104635A (ja) 軟水器
JP6971630B2 (ja) 水処理装置及び水処理方法
JPH11244585A (ja) 洗濯機
KR101086538B1 (ko) 연수기의 재생수 제조 유니트
JP3578004B2 (ja) 洗濯機
KR20240016042A (ko) 연수기
JP6971628B2 (ja) 水処理装置
JP2002272664A (ja) 食器洗浄機
JP2001246375A (ja) 軟水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