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35297A - 재생통, 냉수 탱크 및 온수 탱크를 연결하는 커넥터를 포함하는 연수기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재생통, 냉수 탱크 및 온수 탱크를 연결하는 커넥터를 포함하는 연수기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35297A
KR20190035297A KR1020170124348A KR20170124348A KR20190035297A KR 20190035297 A KR20190035297 A KR 20190035297A KR 1020170124348 A KR1020170124348 A KR 1020170124348A KR 20170124348 A KR20170124348 A KR 20170124348A KR 20190035297 A KR20190035297 A KR 201900352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generation
cold water
water
hot water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43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81407B1 (ko
Inventor
정다운
이현강
한지원
김종민
김원태
이왕준
Original Assignee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웨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243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1407B1/ko
Publication of KR201900352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52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14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14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on-exchang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8Control or steering systems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subclass C02F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5/00Softening water; Preventing scale; Adding scale preventatives or scale removers to water, e.g. adding sequestering agents
    • C02F5/08Treatment of water with complexing chemicals or other solubilising agents for softening, scale prevention or scale removal, e.g. adding sequestering agen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reatment Of Water By Ion Exchan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수 입수부(100)와 연통하는 재생 유로(500); 및 상기 재생 유로(500)에서 재생용 냉수를 공급받아 재생통(700)에 공급하고, 상기 재생통(700)에서 재생수를 공급받아 냉수 탱크(200) 또는 온수 탱크(400)에 전달하는 커넥터(600)를 포함하는, 연수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재생통, 냉수 탱크 및 온수 탱크를 연결하는 커넥터를 포함하는 연수기 및 그 제어 방법{A softener comprising a connector connecting a regenerating tank, a cold water tank and a warm water tank and method controlling the same}
본 발명은 재생통, 냉수 탱크 및 온수 탱크를 연결하는 커넥터를 포함하는 연수기와, 각각에 구비된 밸브를 통하여 다양한 작동 모드를 구현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경수를 연수로 변환하여 공급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부드러움을 주는 연수기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를 위해 종래 연수기에는 이온교환수지가 위치하여 수돗물 등의 경수가 공급되면 이온교환수지에서 이온을 교환하여 연수화한 후 사용자에게 출수한다.
이온교환수지는 사용량에 따라 이온을 잃게 되므로, 일정 유량 사용하면 재생수를 공급하여 재생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종래 연수기에는 재생통이 구비되고 재생통에 원수가 공급되면 재생수로서 이온교환수지에 공급된다.
또한, 냉수 탱크와 온수 탱크가 별도로 구비된 연수기가 공개된 바 있다. 각 탱크에는 이온교환수지가 포함되어 있으므로, 사용자가 냉수를 원하든 온수를 원하든 언제나 냉수 연수 또는 온수 연수가 즉각적으로 공급될 수 있어서 바람직하다.
종합하면, 종래 연수기에서는 재생통, 냉수 탱크, 온수 탱크, 원수를 공급하는 냉수 수전구, 온수를 공급하는 온수 수전구 등 5개의 유체 공급처 내지 수요처가 복잡하게 연결되어야만 한다. 또한, 원수 모드, 재생 모드, 재생수 공급 모드, 린스 모드 등 다양한 모드가 복잡하게 제어되어야만 했다.
예를 들어, 본 출원인에 의한 한국출원번호 제10-2009-0081501호 등에서는, 이러한 복잡한 유로를 단순화하기 위하여 멀티웨이 밸브를 개시한 바 있다. 여기에는 세라믹 재질의 디스크가 구비되고 포토센서에 의하여 디스크가 회전하면서 복잡한 유로를 제어하는 방식을 채택하였다. 그러나 연수기는 습한 환경에서 사용되기에 디스크에 의한 멀티웨이 밸브는 오작동 내지 누수 문제를 야기하였다. DC 전원이 공급되어야 하는 연수기 특성상 많은 전력을 소비하는 것도 단점이다.
또한, 위 특허에서는 냉수 탱크와 온수 탱크를 연통시켰다. 일반적으로 연수기에는 하나의 재생통만 구비되기에, 하나의 재생통에서 생성된 재생수를 냉수 탱크 및 온수 탱크로 모두 공급하기 위함이다. 그러나, 냉수 탱크 또는 온수 탱크 중 일부에서 오버플로우(overflow)된 물이 다른 탱크로 유입되는 문제가 발생하였으며, 이 경우 사용자는 원하는 온도의 연수를 얻지 못한다는 단점이 발생한다.
(특허문헌 1) 한국공개특허 제10-2002-0078954호
(특허문헌 2) 한국공개특허 제10-2005-00444244호
(특허문헌 3) 한국공개특허 제10-2008-0005511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이다.
구체적으로, 멀티웨이 밸브를 채택하지 않으면서도 다양한 유체 공급처 내지 수요처를 유기적으로 연결하여, 냉수 원수, 온수 원수, 냉수 연수, 온수 연수, 재생수 등이 효과적으로 전달될 수 있는 구조를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통하여, 누수 내지 고장의 우려가 적은 유로를 갖는 연수기를 제안하여, 내구성과 수명이 우수한 연수기를 제안하고자 한다.
또한, 냉수 탱크와 온수 탱크 서로의 오버플로우가 적어, 사용자가 원하는 온도의 원수 또는 연수가 적시에 출수될 수 있는 연수기를 제안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냉수 입수부(100)와 연통하는 재생 유로(500); 및 상기 재생 유로(500)에서 재생용 냉수를 공급받아 재생통(700)에 공급하고, 상기 재생통(700)에서 재생수를 공급받아 냉수 탱크(200) 또는 온수 탱크(400)에 전달하는 커넥터(600)를 포함하는, 연수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커넥터(600)는, 상기 재생 유로(500)에 연통되는 입수로(610); 일단이 상기 재생통(700)에 연통되는 재생통 유로(680); 상기 재생통 유로(680)의 타단에서 분기되어 상기 냉수 탱크(200)에 연통되는 냉수 재생수 출수로(640); 및 상기 재생통 유로(680)의 상기 타단에서 분기되어 상기 온수 탱크(400)에 연통되는 온수 재생수 출수로(66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냉수 재생수 출수로(640) 상에 체크 밸브(645)가 위치하고, 상기 온수 재생수 출수로(660) 상에 체크 밸브(665)가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냉수 탱크(200)와 상기 온수 탱크(400)는 상기 커넥터(600)에 의하여 연통되되, 상기 체크 밸브(645)에 의해 상기 냉수 탱크(200) 내측의 냉수가 상기 커넥터(600)에 유입되지 않은 채 상기 냉수 재생수 출수로(640) 상에 압력이 유지되고, 상기 체크 밸브(665)에 의해 상기 온수 탱크(400) 내측의 온수가 상기 커넥터(600)에 유입되지 않은 채 상기 온수 재생수 출수로(660) 상에 압력이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재생통 유로(680)를 통해 재생용 냉수가 상기 재생통(700)에 공급되고, 재생수가 상기 냉수 탱크(200) 및 상기 온수 탱크(400)에 공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냉수 입수부(100); 상기 냉수 입수부(100)에서 냉수를 공급받아 일부는 이온교환하여 출수하고 다른 일부는 재생용 냉수로서 상기 재생 유로(500)에 공급하는 상기 냉수 탱크(200); 온수 입수부(300); 상기 온수 입수부(300)에서 온수를 공급받아 이온교환하여 출수하는 상기 온수 탱크(400); 상기 재생통(700); 일단이 상기 냉수 탱크(200)에 연결되고 타단이 드레인(820)에 연결되는 냉수 드레인(800); 및 일단이 상기 온수 탱크(400)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드레인(820)에 연결되는 온수 드레인(900)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냉수 입수부(100)에 위치하는 냉수 밸브(190); 상기 온수 입수부(300)에 위치하는 온수 밸브(390); 상기 재생 유로(500)에 위치하는 재생 공급 밸브(590); 상기 냉수 드레인(800)에 위치하는 냉수 린스 밸브(890); 및 상기 온수 드레인(900)에 위치하는 온수 린스 밸브(99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상기 냉수 밸브(190), 상기 온수 밸브(390). 상기 재생 공급 밸브(590), 상기 냉수 린스 밸브(890) 및 상기 온수 린스 밸브(990)의 개폐를 제어하여, 원수모드, 연수모드, 재생모드 및 재생통 린스모드로 제어되는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연수모드에서, 상기 냉수 밸브(190) 및 상기 온수 밸브(390)가 개방되고 상기 재생 공급 밸브(590), 상기 냉수 린스 밸브(890) 및 상기 온수 린스 밸브(990)가 폐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재생모드에서 상기 재생통(700)에 냉수가 공급되되, 냉수 탱크 재생모드 및 온수 탱크 재생모드가 순차적으로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냉수 탱크 재생모드에서, 상기 연수기는, 상기 재생통(700)에 재생용 냉수가 공급되는, 재생용 냉수 공급 단계; 상기 재생통(700)에 재생용 냉수가 공급된 상태에서 미리 결정된 용해 시간 동안 유지되어 재생수가 생성되는, 용해 단계; 상기 생성된 재생수가 상기 냉수 탱크(200)에 공급되는 재생 단계; 및 상기 냉수 탱크(200)의 재생이 완료된 후 상기 냉수 탱크(200)가 린스되는 린스 단계를 포함하도록 작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연수모드에서 재생모드의 상기 재생용 냉수 공급 단계로 진행하는 경우, 상기 재생 공급 밸브(590)가 개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재생용 냉수 공급 단계에서 상기 용해 단계로 진행하는 경우, 상기 재생 공급 밸브(590)가 폐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용해 단계에서 상기 재생 단계로 진행하는 경우, 상기 냉수 밸브(190)가 폐쇄되고, 상기 냉수 린스 밸브(890)가 개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재생 단계에서 상기 린스 단계로 진행하는 경우, 상기 냉수 밸브(190)가 개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온수 탱크 재생모드에서, 상기 연수기는, 상기 재생통(700)에 재생용 냉수가 공급되는, 재생용 냉수 공급 단계; 상기 재생통(700)에 재생용 냉수가 공급된 상태에서 미리 결정된 용해 시간 동안 유지되어 재생수가 생성되는, 용해 단계; 미리 결정된 온수 에어 제거 시간 동안 온수 에어가 제거되는, 온수 에어 제거 단계; 상기 생성된 재생수가 상기 온수 탱크(400)에 공급되는 재생 단계; 및 상기 온수 탱크(400)의 재생이 완료된 후 상기 온수 탱크(400)가 린스되는 린스 단계를 포함하도록 작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온수 에어 제거 단계가 상기 용해 단계와 동시에 진행되되, 상기 미리 결정된 용해 시간 중 상기 미리 결정된 온수 에어 제거 시간이 남은 시점에 상기 온수 에어 제거 단계가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냉수 탱크 제생모드에서 온수 탱크 재생모드의 상기 재생용 냉수 공급 단계로 진행하는 경우, 개방된 상기 냉수 린스 밸브(890)가 폐쇄되고, 상기 재생 공급 밸브(590)가 개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재생용 냉수 공급 단계에서 상기 용해 단계로 진행하는 경우, 상기 재생 공급 밸브(590)가 폐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용해 단계에서 상기 온수 에어 제거 단계로 진행하는 경우, 상기 온수 린스 밸브(990)가 개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온수 에어 제거 단계에서 상기 재생 단계로 진행하는 경우, 상기 온수 밸브(390)가 폐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재생 단계에서 상기 린스 단계로 진행하는 경우, 상기 온수 밸브(390)가 개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재생통 린스모드에서, 상기 연수기는, 상기 재생통(700)에 린스용 냉수가 공급되는, 린스용 냉수 공급 단계; 상기 재생통(700)을 드레인하는, 재생통 드레인 단계; 상기 냉수 탱크(200)를 린스하는, 냉수 린스 단계; 및 상기 온수 탱크(400)를 린스하는, 온수 린스 단계를 포함하도록 작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재생모드에서 상기 린스용 냉수 공급 단계로 진행하는 경우, 폐쇄된 상기 재생 공급 밸브(590)가 개방되고, 개방된 상기 온수 린스 밸브(990)가 폐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린스용 냉수 공급 단계에서 상기 재생통 드레인 단계로 진행하는 경우, 상기 냉수 밸브(190) 및 상기 재생 공급 밸브(590)가 폐쇄되고, 상기 냉수 린스 밸브(890)가 개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재생통 드레인 단계에서 상기 냉수 린스 단계로 진행하는 경우, 상기 냉수 밸브(190)가 개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냉수 린스 단계에서 상기 온수 린스 단계로 진행하는 경우, 상기 냉수 린스 밸브(890)가 폐쇄되고 상기 온수 린스 밸브(990)가 개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커넥터를 통하여 재생용 냉수를 재생통에 공급하면서도, 상기 커넥터를 이용하여 재생수를 냉수 탱크 및 온수 탱크에 모두 공급하는 구조를 채택하였다. 또한, 멀티웨이 밸브를 사용하지 않고 5개의 밸브의 개폐 제어를 통하여 다양한 연수기 작동 모드를 구현하였다.
이를 통하여, 유체 공급처인 냉수 입수구, 온수 입수구 및 재생통과, 유체 수요처인 냉수 탱크, 온수 탱크 및 재생 모드에서의 재생통이 유기적으로 연결되면서도 밸브의 간단한 동작만으로 다양한 모드가 구현되어 고장의 우려가 적고 내구성이 상승하였다.
멀티웨이 밸브를 채택하지 않았기에 누수가 적고, 습한 환경에서도 오류 없이 연수기가 작동될 수 있었으며, 전력 소요가 적어서 잦은 배터리 교체가 필요하지 않다.
커버 개방시 다양한 밸브가 직접 보일 수 있도록 배치되었기에, 고장 발생시 어떠한 밸브의 문제인지 확인 가능하고 즉각적인 개보수 내지 교체가 가능하여 소비자 신뢰성을 상승시켰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연수기의 외관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연수기에서, 설명을 위해 상부 커버 및 하부 커버를 제거하고 프레임 및 일부 연결 부품의 도시를 생략한 도시하는 사시도로서, 좌표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도 2는 전방 하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3은 후방 상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연수기의 커넥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연수기의 유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연수기에 있어서, 재생용 냉수가 공급되는 유로(하기 C11 및 C21 단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c는 본 발명에 따른 연수기에 있어서, 냉수 탱크에 재생수를 공급하는 유로(하기 C13 단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d는 본 발명에 따른 연수기에 있어서, 온수 탱크에 재생수를 공급하는 유로(하기 C24 단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연수기의 작동 모드 및 이에 따른 밸브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 "냉수"와 "온수"는 냉수 수전구 및 온수 수전구에서 연수기에 각각 개별적으로 공급되는 유체를 의미한다.
"재생수"는 예를 들어 소금일 수 있는 재생용 블럭이 녹아 이온교환수지에 이온을 공급하기 위한 유체를 의미한다. "재생수"가 냉수 탱크에 공급되는 경우 "냉수 재생수"로 지칭하고, 온수 탱크에 공급되는 경우 "온수 재생수"로 지칭한다.
"재생용 냉수"는 재생수를 생성하기 위하여 공급되는 냉수를 의미한다.
1. 연수기의 설명
이하, 도 1 내지 도 5d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연수기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연수기의 외관으로, 상부 커버(1010) 및 하부커버(1020)가 도시된다. 설명을 위하여 상부 커버(1010)를 투명하게 도시하였다.
상부 커버(1010)의 내측 상부에는 재생통(700)이 위치하고 재생통(700) 하단에 냉수 탱크(200)의 필터 커버(221)와 온수 탱크(400)의 필터 커버(421)가 위치한다. 필터를 교환하거나, 재생통(700)에 재생용 블럭(미도시)을 충진하기 위하여 상부 커버(1010)를 탈거한다.
상부 커버(1010) 내측에는 제어 패널(1011)이 위치한다. 제어 패널(1011)에는 재생횟수를 표시하는 알림창과, 현재 시각 설정, 재생 설정, 캐어 모드, 수동 재생 등을 입력하는 입력부가 위치한다.
하부 커버(1020)는 내측 유로를 보호한다.
하부 커버(1020)에는 성능 표시부(1021), 재생중 표시부(1022) 및 배터리 표시부(1023)가 위치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3은 상부 커버(1010)와 하부 커버(1020)를 탈거한 연수기를 도시한다. 설명을 위하여 프레임 및 각각의 부품들을 프레임에 고정하기 위한 연결 부품의 도시는 생략하였다.
도 4는 커넥터(600)를 도시하고, 도 5a 내지 5d는 유로를 개략화하여 도시한다. 도 2 내지 도 3에서는 각 부품들이 연결되는 튜브(tube)의 도시가 생략되었는데, 이는 이하에서의 설명 및 도 5a 내지 5d를 참조하여 그 연결 방법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 2 내지 도 5d를 함께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연수기를 설명한다.
1.1 냉수 입수부(100)
본 발명에 따른 연수기는, 냉수 입수부(100), 냉수 탱크(200), 온수 입수부(300), 온수 탱크(400), 재생 유로(500), 커넥터(600), 재생통(700), 냉수 드레인(800) 및 온수 드레인(900)을 포함한다.
냉수 입수부(100)는 연수기 하단에 위치하여 냉수 수전구(미도시)에 연결되어 연수기에 원수인 냉수를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냉수 입수구(110), 감압 밸브(120), 유량 센서(130) 및 냉수 밸브(190)를 포함한다.
냉수 입수구(110)는 냉수 수전구에 연결되어 냉수를 공급받는다. 공급된 냉수는 감압 밸브(120)를 통과하며 감압되고 유량 센서(130)에 의해 공급된 냉수 유량이 확인된다.
냉수 밸브(190)는 냉수 입수구(110)와 냉수 입수 유로(210)의 사이에 구비되며 냉수 유입 여부를 제어한다. 작동 모드에 따라 냉수 밸브(190)가 제어되는데 구체적인 내용은 후술한다.
1.2 냉수 탱크(200)
냉수 탱크(200)는 냉수 입수부(100)에서 공급받은 냉수를 연수화하여 출수하거나 재생용 냉수로서 재생통(700)에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냉수 입수 유로(210), 필터부(220), 냉수 이온교환수지(230) 및 냉수 출수구(240)를 포함한다.
냉수 입수 유로(210)는 냉수 입수부(110)와 연결되며,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수 탱크(200)의 가운데에 구비되고 냉수 이온교환수지(230)가 이를 감싸는 방식으로 충진될 수 있다. 냉수 입수 유로(210)를 통해 유입된 냉수는 상승하게 된다.
냉수 입수 유로(210)의 말단에는 필터부(220)가 위치하여, 냉수 입수 유로(210)를 통해 공급된 냉수는 필터부(220)에서 필터링된다. 사용자는 냉수 탱크(200)의 필터 커버(221)를 개방하여 필터를 교체할 수 있다.
필터부(220)를 통과한 냉수는 방사상 외측으로 유동한 후 하강하거나, 튜브인 재생용 냉수 입수로(510)를 통하여 재생용 냉수로 공급된다(도 5a 내지 5d 참조). 일부는 다른 튜브를 포함하는 냉수 재생수 출수로(640)로 유동하는데 체크 밸브(645)에 의하여 커넥터(600)까지 유동하지 않되 유로 내의 유압만 유지한다.
필터부(220)를 통과하여 방사상 외측으로 유동한 후 냉수 이온교환수지(230)를 통과하며 하강한 냉수는, 이온교환 작용에 의하여 연수화된다. 연수화된 냉수는 냉수 출수구(240)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출수된다.
1.3 온수 입수부(300)
온수 입수부(300)는 연수기 하단에 위치하여 온수 수전구(미도시)에 연결되어 연수기에 원수인 온수를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온수 입수구(310), 감압 밸브(320), 유량 센서(330) 및 온수 밸브(390)를 포함한다.
마찬가지로, 온수 입수구(310)는 온수 수전구에 연결되어 온수를 공급받고, 공급된 온은 감압 밸브(320)를 통과하며 감압되고 유량 센서(330)에 의해 공급된 온수 유량이 확인된다.
온수 밸브(390)는 온수 입수구(310)와 온수 입수 유로(410)의 사이에 구비되며 온수 유입 여부를 제어한다.
1.4 온수 탱크(400)
온수 탱크(400)는 온수 입수부(300)에서 공급받은 온수를 연수화하여 출수하는 역할을 한다. 냉수 탱크(200)와 달리 재생통(700)에 온수를 공급하지는 않는다. 온수 입수 유로(410), 필터부(420), 온수 이온교환 수지부(430) 및 온수 출수구(440)를 포함한다.
온수 입수 유로(410)는 온수 입수부(310)와 연결되며,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온수 탱크(400)의 가운데에 구비되고 온수 이온교환수지(430)가 이를 감싸는 방식으로 충진될 수 있다. 온수 입수 유로(410)를 통해 유입된 온수는 상승하게 된다.
온수 입수 유로(410)의 말단에는 필터부(420)가 위치하여, 온수 입수 유로(410)를 통해 공급된 온수는 필터부(420)에서 필터링된다. 사용자는 온수 탱크(400)의 필터 커버(421)를 개방하여 필터를 교체할 수 있다.
필터부(420)를 통과한 온수는 방사상 외측으로 유동한 후 하강하되, 냉수 탱크(200)에서와 달리 재생 유로(500)에 공급되지는 않는다. 일부는 튜브를 포함하는 온수 재생수 출수로(660)로 유동하는데 체크 밸브(665)에 의하여 커넥터(600)까지 유동하지 않되 유로 내의 유압만 유지한다.
필터부(420)를 통과하여 방사상 외측으로 유동한 후 온수 이온교환수지(430)를 통과하며 하강한 온수는, 이온교환 작용에 의하여 연수화된다. 연수화된 온수는 온수 출수구(440)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출수된다.
1.5 재생 유로(500)
재생 유로(500)는 재생수를 생성하도록 냉수 입수부(100) 및 냉수 탱크(200)를 통해 공급받은 냉수를 재생용 냉수로서 커넥터(600)를 통해 재생통(700)에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재생용 냉수 입수로(510), 유량 온도 센서(520), 커넥터 입수로(530) 및 재생 공급 밸브(590)를 포함한다.
재생용 냉수 입수로(510)의 일단은 튜브에 의해 냉수 탱크(200)에 연결되고 타단은 다른 튜브에 의해 커넥터 입수로(530)에 연결된다.
재생용 냉수 입수로(510)에 재생 공급 밸브(590)와 유량 온도 센서(520)가 구비된다. 작동 모드에 따라 재생 공급 밸브(590)가 제어되는데 구체적인 내용은 후술한다. 유량 온도 센서(520)에서 센싱되는 재생용 냉수의 유량과 온도는 재생 횟수 판단 및 재생 시간 판단에 사용될 수 있다.
1.6 커넥터(600)
커넥터(600)는 재생 유로(500)에서 공급받은 재생용 냉수를 재생통(700)에 공급하고, 재생통(700)에서 생성된 재생수를 냉수 탱크(200) 및 온수 탱크(400)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입수로(610), 냉수 재생수 출수로(640) 및 여기에 구비된 체크 밸브(645), 온수 재생수 출수로(660) 및 여기에 구비된 체크 밸브(665), 재생통(700)과 연통되는 재생통 유로(680)를 포함한다.
입수로(610)는 커넥터 입수로(530)에 연결되어 이를 통해 재생용 냉수가 재생통(700)에 입수된다.
냉수 재생수 출수로(640)의 일단에 재생통(700)이 연결되고 타단이 냉수 탱크(200)에 연결된다. 평상시에는 냉수 재생수 출수로(640) 중 체크 밸브(645)부터 냉수 탱크(200)까지의 유로에 냉수가 채워져 있어서 일정한 유압을 유지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냉수는 체크 밸브(645)로 인하여 재생통(700)까지 전달되지 않는다. 재생시에는 재생통(700)에서 냉수 재생수가 냉수 재생수 출수로(640)를 통해 냉수 탱크(200)에 공급된다.
마찬가지로, 온수 재생수 출수로(660)의 일단에 재생통(700)이 연결되고 타단이 온수 탱크(400)에 연결된다. 평상시에는 온수 재생수 출수로(660) 중 체크 밸브(665)부터 온수 탱크(400)까지의 유로에 온수가 채워져 있어서 일정한 유압을 유지하며 체크 밸브(665)로 인하여 온수가 재생통(700)까지 전달되지 않는다. 재생시에는 재생통(700)에서 온수 재생수가 온수 재생수 출수로(660)를 통해 온수 탱크(400)에 공급된다.
평상시(즉, 후술하는 (B)연수 모드) 냉수는 필터부(220)를 통과하여 냉수 재생수 출수로(640)의 체크 밸브(645) 부분까지 채워져 있고 온수는 필터부(420)를 통과하여 온수 재생수 출수로(660)의 체크 밸브(665) 부분까지 채워져 있는 상태이다. 본 발명에 따른 연수기에서는 냉수 탱크(200)와 온수 탱크(400)가 냉수 재생수 출수로(640)와 온수 재생수 출수로(660)를 통해 연통할 수 있는 구조인데, 체크 밸브(645, 665)로 인하여 평상시 혼입이 방지되게 되는 것이다. 후술하겠지만, 체크 밸브(645, 665)로 인하여, 하나의 재생통(700)에서 생성된 재생수가 냉수 탱크(200)및 온수 탱크(400)에 모두 공급될 수 있다.
재생통 유로(680)의 일단은 재생통(700)과 연결되고, 타단은 3개의 유로, 즉 입수로(610), 냉수 재생수 출수로(640), 온수 재생수 출수로(660) 모두와 연결된다. 재생용 냉수를 공급하는 경우, 재생용 냉수는 입수로(610) 및 재생통 유로(680)를 통과하며, 도면에서 재생용 냉수는 재생통 유로(680) 내에서 상방으로 유동한다. 반면, 냉수 재생수는 재생통 유로(680) 및 냉수 재생수 출수로(640)를 통과하고 온수 재생수는 재생통 유로(680) 및 온수 재생수 출수로(660)를 통과하여, 도면에서 재생통 유로(680) 내에서 하방으로 유동한다.
1.7 재생통(700)
재생통(700)은 커넥터(600)로부터 재생용 냉수를 공급받아 재생수를 생성한다.
재생통(700)에는 재생용 블럭(미도시)이 충진될 수 있다. 재생용 냉수가 냉수 입수구(110), 냉수 입수 유로(210), 필터부(220), 재생용 냉수 입수로(510), 및 입수로(610)를 통과하여 재생통(700)에 공급되면 재생용 블럭(미도시)이 녹으면서 재생수를 생성한다.
여기서, 냉수 재생수와 온수 재생수는 재생통(700)에서 생성된 동일한 재생수로서 냉수 탱크(200) 또는 온수 탱크(400) 중 어디로 공급되는지 여부에 따라 구분된 것이다. 즉, 재생통(700)에 생성된 재생수 중 일부는 커넥터(600)의 냉수 재생수 출수로(640)를 통해 냉수 탱크(200)에 공급되는데 이 때에 공급되는 재생수가 냉수 재생수이며, 다른 일부는 커넥터(600)의 온수 재생수 출수로(660)를 통해 온수 탱크(400)에 공급되는데 이 때에 공급되는 재생수가 온수 재생수이다. 일반적으로 냉수 탱크(200)에 냉수 재생수를 먼저 공급한 후 온수 탱크(400)에 온수 재생수를 공급한다.
냉수 재생수가 냉수 탱크(200)에 유입되면 냉수 이온교환수지(230)에 공급되어, 냉수 이온교환수지(230)의 이온을 재생한다.
마찬가지로, 온수 재생수가 온수 탱크(400)에 유입되면 온수 이온교환수지(430)에 공급되어, 온수 이온교환수지(430)의 이온을 재생한다.
또한, 재생통(700)에서 오버플로우(overflow)되는 재생수 또는 린스된 물 등은 후술하는 드레인(820)을 통해 배출되도록, 재생통(700)의 하단이 드레인(820)과 튜브에 의하여 연결될 수 있다.
1.8 냉수 드레인(800)
냉수 드레인(800)은 냉수 탱크(200)를 린스된 물을 드레인하는 역할을 한다. 냉수 린스 출수로(810), 드레인(820) 및 냉수 린스 밸브(890)를 포함한다.
냉수 린스 출수로(810)의 일단은 튜브에 의해 냉수 탱크(200)에 연결되고 타단은 다른 튜브에 의해 드레인(820)에 연결되며 냉수 린스 밸브(890)가 구비된다. 드레인(820)은 연수기 외부로 연통한다.
1.9 온수 드레인(900)
온수 드레인(900)은 온수 탱크(400)를 린스된 물을 드레인(820)을 통해 드레인하는 역할을 한다. 온수 린스 출수로(910) 및 온수 린스 밸브(990)를 포함한다.
마찬가지로, 온수 린스 출수로(910)의 일단은 튜브에 의해 온수 탱크(400)에 연결되고 타단은 다른 튜브에 의해 드레인(820)에 연결되며 온수 린스 밸브(990)가 구비된다.
2. 연수기의 작동 모드의 설명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연수기의 작동 모드를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연수기의 작동 모드는 (A)원수모드, (B)연수모드, (C)재생모드 및 (D)재생통 린스모드로 구분할 수 있다.
각 모드는 5개의 밸브, 즉 냉수 밸브(190), 온수 밸브(390), 재생 공급 밸브(590), 냉수 린스 밸브(890), 온수 린스 밸브(990)의 제어를 통하여 구현할 수 있다. 종래의 연수기는 세라믹 디스크를 포함한 하나의 멀티웨이 밸브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었으나, 습기가 많은 환경에서 작동하는 연수기의 특성 상 오작동의 경우가 많아 누수 내지 불량의 주요 원인이 되었는바, 본 발명은 5개의 밸브를 구분하여 작동 모드를 구현하였다.
냉수 밸브(190), 온수 밸브(390), 재생 공급 밸브(590), 냉수 린스 밸브(890), 온수 린스 밸브(990) 모두 랫치 밸브(latch valve)인 것이 바람직하나 전자적으로 제어 가능한 다른 종류의 밸브 역시 가능함은 물론이다.
(A)원수모드는 사용자가 연수가 아닌 원수를 사용하는 경우의 작동 모드로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2.1 연수모드
(B)연수모드는 사용자가 연수를 사용하는 경우이며, 냉수 밸브(190)와 온수 밸브(390)를 개방하고, 재생 공급 밸브(590), 냉수 린스 밸브(890), 온수 린스 밸브(990)를 폐쇄함으로써 구현된다.
냉수 밸브(190)가 개방되고 재생 공급 밸브(590)가 폐쇄되어 있어서, 냉수 입수구(110)를 통하여 공급된 냉수는 필터부(220)를 통과한 후 재생 유로(500)로 유동하지 않고 냉수 이온교환수지(230)를 통과하여 연수화된다.
냉수 린스 밸브(890)가 폐쇄되어 있기에 연수화된 냉수는 드레인(820)으로 배출되지 않고 냉수 출수구(240)를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만큼 출수된다.
온수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2.2 재생모드
(C)재생모드는 냉수 탱크(200) 내의 냉수 이온교환수지(230)와 온수 탱크(400) 내의 온수 이온교환수지(430)의 이온이 감소하여 연수 생성이 어려운 경우, 각각에 재생수를 공급하여 수지를 재생시키는 모드이다. 재생통(700)에 재생용 냉수가 공급되어 재생수가 생성된 후 냉수 재생수 및 온수 재생수로서 각각 냉수 탱크(200)와 온수 탱크(400)에 공급된다.
(C)재생모드를 시작하는 시점은 사용자가 사용한 연수의 총 유량에 기초하여 설정될 수도 있으며, 및/또는 마지막 재생모드를 수행한 시점으로부터 시간에 기초하여 설정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총 600리터의 기준 유량을 초과하여 연수화된 냉수 또는 온수를 사용하였다면 (C)재생모드가 수행될 수 있다. 사용한 연수의 양은 냉수 측의 유량센서(130)와 온수 측의 유량센서(330)를 통하여 확인할 수 있다. 냉수 또는 온수 중 어느 하나라도 기준 유량을 초과하였다면 냉수 탱크(200)와 온수 탱크(400) 모두 재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약 1시간 정도 소요되어 사용자가 연수기를 사용하지 못하게 되는 (C)재생모드가 너무 자주 이루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냉수 및 온수 측의 이온교환수지를 통합 관리하기 위함이다.
이와 동시에, 마지막 재생모드를 수행한 시점으로부터 8일이 경과하면 사용자가 사용한 유량이 기준 유량을 초과하지 않았어도 (C)재생모드를 수행하게 할 수 있다. 유량계 불량의 경우 또는 이온교환수지가 시간 경과에 따라 자연적으로 기능이 감소한 경우를 대비하게 위함이다.
(C)재생모드를, (C1)냉수 탱크 재생모드와 (C2)온수 탱크 재생모드로 구분하여 설명한다.
(C1)냉수 탱크 재생모드를 먼저 설명한다. (C11)재생용 냉수 공급 단계, (C12)용해 단계, (C13)재생 단계, (C14)린스 단계로 이루어진다.
(C11)재생용 냉수 공급 단계는 평상시 운용되는 (B)연수모드에서 변경됨으로써 시작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를 위해, 냉수 밸브(190)와 온수 밸브(390)가 개방되고 재생 공급 밸브(590), 냉수 린스 밸브(890), 온수 린스 밸브(990)가 폐쇄된 (B)연수모드 상태에서 재생 공급 밸브(590)만 개방한다. 이제 냉수 입수구(110)를 통하여 공급된 냉수는 필터부(220)를 통과한 후 재생 공급 밸브(590)의 개방으로 인해 재생용 냉수 입수로(510)를 향해 유동하게 되며, 커넥터 입수로(530), 입수로(610) 및 재생통 유로(680)를 통과하여 재생통(700)에 공급된다. 재생통(700)에 공급되는 재생용 냉수의 양은 유량 온도 센서(520)에서 확인된다.
유량 온도 센서(520)에서 확인된 재생용 냉수의 양이 미리 결정된 양(즉, 재생통(700)의 용량)에 이르면 (C12)용해 단계로 진행한다. 개방되었던 재생 공급 밸브(590)를 폐쇄하여 시작된다. 재생 공급 밸브(590), 냉수 린스 밸브(890)가 모두 폐쇄되어 압력이 유지되는 단계이기에, 재생통(700)에서 생성되고 있는 재생수가 냉수 탱크(200)로 유입되지 않고 용해 시간을 갖는다. 온수 린스 밸브(990)도 폐쇄된 상태이기에 온수 탱크(400)로도 유입되지 않는다. 용해 시간은 재생용 냉수의 온도, 유량 등에 따라 상이하게 결정될 수 있다.
용해 시간이 모두 경과하면 (C13)재생 단계로 진행한다. 개방되었던 냉수 밸브(190)를 폐쇄하고, 폐쇄되었던 냉수 린스 밸브(890)를 개방하여 시작된다. 냉수 린스 밸브(890) 개방으로 인해 냉수 탱크(200) 쪽의 압력이 낮아지고 재생수(즉, 냉수 재생수)는 재생통 유로(680), 냉수 재생수 출수로(640) 및 필터부(220)를 거쳐 냉수 이온교환수지(230)에 일정 속도로 재생 시간 동안 공급된다. 공급된 냉수 재생수는 냉수 이온교환수지(230)를 재생하고 냉수 린스 출수로(810)를 통과하여 드레인(82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약 20분의 재생 시간 동안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나, 그 시간은 변동 가능하다.
재생 시간이 모두 경과하면 (C14)린스 단계로 진행한다. 폐쇄되었던 냉수 밸브(190)를 개방하여 시작된다. 냉수 입수구(110)에서 냉수가 입수되며, 필터부(220)를 통해 냉수 이온교환수지(230)에 진입하여 이를 린스하게 된다. 이후 개방된 냉수 린스 밸브(890)로 인하여 냉수 린스 출수로(810)를 통과하여 드레인(82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약 3분 정도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나, 그 시간은 변동 가능하다.
(C2)온수 탱크 재생모드를 먼저 설명한다. (C21)재생용 냉수 공급 단계, (C22)용해 단계, (C23)온수 에어 제거 단계, (C24)재생 단계, (C25)린스 단계로 이루어진다. (C1)냉수 탱크 재생모드와 비교하면, (C23)온수 에어 제거 단계가 추가된 것이 상이하다.
(C21)재생용 냉수 공급 단계는 (C14)린스 단계 이후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냉수 밸브(190), 온수 밸브(290), 냉수 린스 밸브(890)가 개방되고, 재생 공급 밸브(590), 온수 린스 밸브(990)가 폐쇄된 상태였던 (C14)린스 단계에서, 재생 공급 밸브(590)를 개방하고 냉수 린스 밸브(890)를 폐쇄함으로써 시작된다.
(C22)용해 단계는 (C12)용해 단계와 동일하다. 유량 온도 센서(520)에서 확인된 재생용 냉수의 양이 미리 결정된 양에 이르면 (C22)용해 단계로 진행한다. 개방되었던 재생 공급 밸브(590)를 폐쇄하여 시작되며, 재생용 블럭(미도시)이 녹는 용해 시간을 갖는다. 마찬가지로 용해 시간은 재생용 냉수의 온도, 유량 등에 따라 상이하게 결정될 수 있다.
용해 시간이 모두 경과하면 (C23)온수 에어 제거 단계로 진행한다. (C1)냉수 탱크 재생모드와 달리 (C2)온수 탱크 제생모드에서는 에어 제거가 필요하다. 냉수 탱크(200)의 경우 냉수 중 일부가 재생 유로(500)를 통하여 재생통(700)에 공급되데 반하여, 온수 탱크(400)는 그러한 유로가 없어서 에어를 제거하고 재생수를 공급하는 것이 효과적이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온수 린스 밸브(990)를 약 10초 정도 개방하게 된다. 이 경우 온수 탱크(400) 및 관련 유로 상의 에어가 드레인(82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한편, (C23)온수 에어 제거 단계 동안에도 재생통(700)에서 용해는 계속 될 수 있으므로, (C22)용해 단계가 이루어지는 시간은 (C23)온수 에어 제거 단계의 시간을 감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달리 표현하면, (C23)온수 에어 제거 단계가 (C22)용해 단계와 동시에 진행되되, 미리 결정된 용해 시간 중 미리 결정된 온수 에어 제거 시간이 남은 시점에 (C23)온수 에어 제거 단계가 수행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C23)온수 에어 제거 단계가 10초 동안 이루어진다면, (C22)용해 단계에서의 용해 시간이 10초 남은 시점에 (C23)온수 에어 제거 단계가 시작된다.
이제, (C24)재생 단계로 진행한다. 개방되었던 온수 밸브(390)를 폐쇄하고, 폐쇄되었던 온수 린스 밸브(990)를 개방하여 시작된다. (C13)재생 단계와 동일하게, 온수 재생수는 재생통 유로(680), 온수 재생수 출수로(665) 및 필터부(420)를 거쳐 온수 이온교환수지(430)에 공급되어 온수 이온교환수지(430)를 재생하며, 이후 온수 린스 출수로(910)를 통과하여 드레인(82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약 20분의 재생 시간 동안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나, 그 시간은 변동 가능하다.
재생 시간이 모두 경과하면 (C25)린스 단계로 진행한다. 폐쇄되었던 온수 밸브(390)를 개방하여 시작된다. (C14)린스 단계와 동일하게, 온수 입수구(310)에서 온수가 입수되며, 필터부(420)를 통해 온수 이온교환수지(430)에 진입하여 이를 린스하게 된다. 이후 개방된 온수 린스 밸브(990)로 인하여 온수 린스 출수로(910)를 통과하여 드레인(82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약 3분 정도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나, 그 시간은 변동 가능하다.
이와 같이, (C1)냉수 탱크 재생모드와 (C2)온수 탱크 재생모드가 모두 수행되면, (D)재생통 린스모드가 수행되어 재생통(700)을 린스한다.
2.3 재생통 린스모드
(D)재생통 린스모드는, (D1)린스용 냉수 공급단계. (D2)재생통 드레인 단계, (D3)냉수 린스 단계 및 (D4)온수 린스 단계를 포함한다.
(D1)린스용 냉수 공급단계는, 재생통(700) 내에 위치한 재생용 블럭(미도시)가 모두 용해된 상태에서 재생통(700) 세척을 위하여 냉수를 공급받는 단계이다. (C2)온수 탱크 재생모드가 마무리되면 냉수 밸브(190), 온수 밸브(290) 및 온수 린스 밸브(990)가 개방되고 재생 공급 밸브(590) 및 냉수 린스 밸브(890)가 폐쇄된 상태인데, 개방되었던 온수 린스 밸브(990)가 폐쇄되고 폐쇄되었던 재생 공급 밸브(590)가 개방된다. 이에 따라, 냉수 입수구(110)를 통하여 공급된 냉수는 필터부(220)를 통과한 후 재생 공급 밸브(590)의 개방으로 인해 재생용 냉수 입수로(510)를 향해 유동하게 되며, 커넥터 입수로(530)와 입수로(610)를 통과하여 재생통(700)에 공급된다. 이 때에 공급되는 유량은 재생통(700)의 일부만을 채울 수 있는 정도면 족하다. 예를 들어, (C11) 내지 (C12) 단계에서 1.5리터가 공급되었다면, (D11) 단계에서는 0.5리터만 공급될 수 있다.
다음, (D12)재생통 드레인 단계가 수행된다. 개방되었던 냉수 밸브(190)와 재생 공급 밸브(590)를 폐쇄하고 폐쇄되었던 냉수 린스 밸브(890)를 개방하여, 재생통(700) 내에 남은 물을 드레인한다.
다음, (D13)냉수 린스 단계가 수행된다. 냉수 탱크(200)를 린스하는 단계로서, 폐쇄되었던 냉수 밸브(190)를 개방하여 냉수 탱크(200)에 냉수를 유입시킨 후 린스하게 하여 드레인시킨다.
다음, (D14)온수 린스 단계가 수행된다. 온수 탱크(400)를 린스하는 단계로서, 폐쇄되었던 온수 밸브(390)를 개방하여 온수 탱크(400)에 온수를 유입시킨 후 린스하게 하여 드레인시킨다.
(C)재생모드 및 (D)재생통 린스모드가 모두 수행되면, 냉수 이온교환수지(230)와 온수 이온교환수지(430)에는 이온이 모두 공급되고, 재생통(700)과 냉수 탱크(200)와 온수 탱크(400) 모두 린스까지 완료되어, 다시 사용자에게 연수를 공급할 준비가 완료된다.
이제, (B)연수모드로 복귀한다. 이를 위해, (D14) 단계에서 개방되었던 온수 린스 밸브(990)를 폐쇄하면, (B)연수모드에서와 같이 냉수 밸브(190)와 온수 밸브(390)만 개방된 상태가 된다.
이상, 본 명세서에는 본 발명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냉수 입수부
110: 냉수 입수로
120: 감압 밸브
130: 유량 센서
190: 냉수 밸브
200: 냉수 탱크
210: 냉수 입수 유로
220: 필터부
221: 필터 커버
230: 냉수 이온교환수지
240: 냉수 출수구
300: 온수 입수부
310: 온수 입수로
320: 감압 밸브
330: 유량 센서
390: 온수 밸브
400: 온수 탱크
410: 온수 입수 유로
420: 필터부
421: 필터 커버
430: 온수 이온교환수지
440: 온수 출수구
500: 재생 유로
510: 재생용 냉수 입수로
520: 유량 온도 센서
530: 커넥터 입수로
590: 재생 공급 밸브
600: 커넥터
610: 입수로
640: 냉수 재생수 출수로
645: 체크 밸브
660: 온수 재생수 출수로
665: 체크 밸브
680: 재생통 유로
700: 재생통
800: 냉수 드레인
810: 냉수 린스 출수로
820: 드레인
890: 냉수 린스 밸브
900: 온수 드레인
910: 온수 린스 출수로
990: 온수 린스 밸브
1010: 상부 커버
1011: 제어 패널
1020: 하부 커버
1021: 성능 표시부
1022: 재생중 표시부
1023: 배터리 표시부

Claims (27)

  1. 냉수 입수부(100)와 연통하는 재생 유로(500); 및
    상기 재생 유로(500)에서 재생용 냉수를 공급받아 재생통(700)에 공급하고, 상기 재생통(700)에서 재생수를 공급받아 냉수 탱크(200) 또는 온수 탱크(400)에 전달하는 커넥터(600)를 포함하는,
    연수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600)는,
    상기 재생 유로(500)에 연통되는 입수로(610);
    일단이 상기 재생통(700)에 연통되는 재생통 유로(680);
    상기 재생통 유로(680)의 타단에서 분기되어 상기 냉수 탱크(200)에 연통되는 냉수 재생수 출수로(640); 및
    상기 재생통 유로(680)의 상기 타단에서 분기되어 상기 온수 탱크(400)에 연통되는 온수 재생수 출수로(660)를 포함하는,
    연수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냉수 재생수 출수로(640) 상에 체크 밸브(645)가 위치하고,
    상기 온수 재생수 출수로(660) 상에 체크 밸브(665)가 위치하는,
    연수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냉수 탱크(200)와 상기 온수 탱크(400)는 상기 커넥터(600)에 의하여 연통되되,
    상기 체크 밸브(645)에 의해 상기 냉수 탱크(200) 내측의 냉수가 상기 커넥터(600)에 유입되지 않은 채 상기 냉수 재생수 출수로(640) 상에 압력이 유지되고,
    상기 체크 밸브(665)에 의해 상기 온수 탱크(400) 내측의 온수가 상기 커넥터(600)에 유입되지 않은 채 상기 온수 재생수 출수로(660) 상에 압력이 유지되는,
    연수기.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통 유로(680)를 통해 재생용 냉수가 상기 재생통(700)에 공급되고, 재생수가 상기 냉수 탱크(200) 및 상기 온수 탱크(400)에 공급되는,
    연수기.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냉수 입수부(100);
    상기 냉수 입수부(100)에서 냉수를 공급받아 일부는 이온교환하여 출수하고 다른 일부는 재생용 냉수로서 상기 재생 유로(500)에 공급하는 상기 냉수 탱크(200);
    온수 입수부(300);
    상기 온수 입수부(300)에서 온수를 공급받아 이온교환하여 출수하는 상기 온수 탱크(400);
    상기 재생통(700);
    일단이 상기 냉수 탱크(200)에 연결되고 타단이 드레인(820)에 연결되는 냉수 드레인(800); 및
    일단이 상기 온수 탱크(400)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드레인(820)에 연결되는 온수 드레인(900)을 더 포함하는,
    연수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냉수 입수부(100)에 위치하는 냉수 밸브(190);
    상기 온수 입수부(300)에 위치하는 온수 밸브(390);
    상기 재생 유로(500)에 위치하는 재생 공급 밸브(590);
    상기 냉수 드레인(800)에 위치하는 냉수 린스 밸브(890); 및
    상기 온수 드레인(900)에 위치하는 온수 린스 밸브(990)를 더 포함하는,
    연수기.
  8. 제 7 항에 따른 연수기의 작동 방법으로서,
    상기 냉수 밸브(190), 상기 온수 밸브(390). 상기 재생 공급 밸브(590), 상기 냉수 린스 밸브(890) 및 상기 온수 린스 밸브(990)의 개폐를 제어하여, 원수모드, 연수모드, 재생모드 및 재생통 린스모드로 제어되는,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연수모드에서, 상기 냉수 밸브(190) 및 상기 온수 밸브(390)가 개방되고 상기 재생 공급 밸브(590), 상기 냉수 린스 밸브(890) 및 상기 온수 린스 밸브(990)가 폐쇄되는,
    방법.
  10. 제 8 항에 있어서,
    재생모드에서 상기 재생통(700)에 냉수가 공급되되, 냉수 탱크 재생모드 및 온수 탱크 재생모드가 순차적으로 수행되는,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냉수 탱크 재생모드에서, 상기 연수기는,
    상기 재생통(700)에 재생용 냉수가 공급되는, 재생용 냉수 공급 단계;
    상기 재생통(700)에 재생용 냉수가 공급된 상태에서 미리 결정된 용해 시간 동안 유지되어 재생수가 생성되는, 용해 단계;
    상기 생성된 재생수가 상기 냉수 탱크(200)에 공급되는 재생 단계; 및
    상기 냉수 탱크(200)의 재생이 완료된 후 상기 냉수 탱크(200)가 린스되는 린스 단계를 포함하도록 작동되는,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연수모드에서 재생모드의 상기 재생용 냉수 공급 단계로 진행하는 경우,
    상기 재생 공급 밸브(590)가 개방되는,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용 냉수 공급 단계에서 상기 용해 단계로 진행하는 경우,
    상기 재생 공급 밸브(590)가 폐쇄되는,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용해 단계에서 상기 재생 단계로 진행하는 경우,
    상기 냉수 밸브(190)가 폐쇄되고, 상기 냉수 린스 밸브(890)가 개방되는,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 단계에서 상기 린스 단계로 진행하는 경우,
    상기 냉수 밸브(190)가 개방되는,
    방법.
  16. 제 10 항에 있어서,
    온수 탱크 재생모드에서, 상기 연수기는,
    상기 재생통(700)에 재생용 냉수가 공급되는, 재생용 냉수 공급 단계;
    상기 재생통(700)에 재생용 냉수가 공급된 상태에서 미리 결정된 용해 시간 동안 유지되어 재생수가 생성되는, 용해 단계;
    미리 결정된 온수 에어 제거 시간 동안 온수 에어가 제거되는, 온수 에어 제거 단계;
    상기 생성된 재생수가 상기 온수 탱크(400)에 공급되는 재생 단계; 및
    상기 온수 탱크(400)의 재생이 완료된 후 상기 온수 탱크(400)가 린스되는 린스 단계를 포함하도록 작동되는,
    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온수 에어 제거 단계가 상기 용해 단계와 동시에 진행되되, 상기 미리 결정된 용해 시간 중 상기 미리 결정된 온수 에어 제거 시간이 남은 시점에 상기 온수 에어 제거 단계가 수행되는,
    방법.
  18. 제 16 항에 있어서,
    냉수 탱크 제생모드에서 온수 탱크 재생모드의 상기 재생용 냉수 공급 단계로 진행하는 경우,
    개방된 상기 냉수 린스 밸브(890)가 폐쇄되고, 상기 재생 공급 밸브(590)가 개방되는,
    방법.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용 냉수 공급 단계에서 상기 용해 단계로 진행하는 경우,
    상기 재생 공급 밸브(590)가 폐쇄되는,
    방법.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용해 단계에서 상기 온수 에어 제거 단계로 진행하는 경우,
    상기 온수 린스 밸브(990)가 개방되는,
    방법.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온수 에어 제거 단계에서 상기 재생 단계로 진행하는 경우,
    상기 온수 밸브(390)가 폐쇄되는,
    방법.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 단계에서 상기 린스 단계로 진행하는 경우,
    상기 온수 밸브(390)가 개방되는,
    방법.
  23. 제 8 항에 있어서,
    재생통 린스모드에서, 상기 연수기는,
    상기 재생통(700)에 린스용 냉수가 공급되는, 린스용 냉수 공급 단계;
    상기 재생통(700)을 드레인하는, 재생통 드레인 단계;
    상기 냉수 탱크(200)를 린스하는, 냉수 린스 단계; 및
    상기 온수 탱크(400)를 린스하는, 온수 린스 단계를 포함하도록 작동되는,
    방법.
  24. 제 23 항에 있어서,
    재생모드에서 상기 린스용 냉수 공급 단계로 진행하는 경우,
    폐쇄된 상기 재생 공급 밸브(590)가 개방되고, 개방된 상기 온수 린스 밸브(990)가 폐쇄되는,
    방법.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린스용 냉수 공급 단계에서 상기 재생통 드레인 단계로 진행하는 경우,
    상기 냉수 밸브(190) 및 상기 재생 공급 밸브(590)가 폐쇄되고, 상기 냉수 린스 밸브(890)가 개방되는,
    방법.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통 드레인 단계에서 상기 냉수 린스 단계로 진행하는 경우,
    상기 냉수 밸브(190)가 개방되는,
    방법.
  27.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냉수 린스 단계에서 상기 온수 린스 단계로 진행하는 경우,
    상기 냉수 린스 밸브(890)가 폐쇄되고 상기 온수 린스 밸브(990)가 개방되는,
    방법.
KR1020170124348A 2017-09-26 2017-09-26 재생통, 냉수 탱크 및 온수 탱크를 연결하는 커넥터를 포함하는 연수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25814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4348A KR102581407B1 (ko) 2017-09-26 2017-09-26 재생통, 냉수 탱크 및 온수 탱크를 연결하는 커넥터를 포함하는 연수기 및 그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4348A KR102581407B1 (ko) 2017-09-26 2017-09-26 재생통, 냉수 탱크 및 온수 탱크를 연결하는 커넥터를 포함하는 연수기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5297A true KR20190035297A (ko) 2019-04-03
KR102581407B1 KR102581407B1 (ko) 2023-09-21

Family

ID=661651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4348A KR102581407B1 (ko) 2017-09-26 2017-09-26 재생통, 냉수 탱크 및 온수 탱크를 연결하는 커넥터를 포함하는 연수기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1407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16742A (ko) 2022-07-29 2024-02-06 코웨이 주식회사 연수기
KR20240016664A (ko) 2022-07-29 2024-02-06 코웨이 주식회사 연수기
KR20240016760A (ko) 2022-07-29 2024-02-06 코웨이 주식회사 연수기
KR20240016042A (ko) 2022-07-28 2024-02-06 코웨이 주식회사 연수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75327A (ko) * 1997-03-31 1998-11-16 배순훈 연수기의 전자동이온교환수지재생시스템
KR20070079551A (ko) * 2006-02-02 2007-08-07 주식회사 승광 연수기
KR20100066225A (ko) * 2008-12-09 2010-06-17 주식회사 승광 연수기
KR20140113161A (ko) * 2013-03-15 2014-09-24 주식회사 영원코퍼레이션 단일 재생조 입출수구를 구비한 연수기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75327A (ko) * 1997-03-31 1998-11-16 배순훈 연수기의 전자동이온교환수지재생시스템
KR20070079551A (ko) * 2006-02-02 2007-08-07 주식회사 승광 연수기
KR20100066225A (ko) * 2008-12-09 2010-06-17 주식회사 승광 연수기
KR20140113161A (ko) * 2013-03-15 2014-09-24 주식회사 영원코퍼레이션 단일 재생조 입출수구를 구비한 연수기 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16042A (ko) 2022-07-28 2024-02-06 코웨이 주식회사 연수기
KR20240016742A (ko) 2022-07-29 2024-02-06 코웨이 주식회사 연수기
KR20240016664A (ko) 2022-07-29 2024-02-06 코웨이 주식회사 연수기
KR20240016760A (ko) 2022-07-29 2024-02-06 코웨이 주식회사 연수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81407B1 (ko) 2023-09-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35297A (ko) 재생통, 냉수 탱크 및 온수 탱크를 연결하는 커넥터를 포함하는 연수기 및 그 제어 방법
US5893976A (en) Method for treatment of water
CN109140756B (zh) 一种燃气热水器及控制方法
KR101486478B1 (ko) 단일 재생조 입출수구를 구비한 연수기 시스템
CN209567847U (zh) 软水器的可分离的再生桶及包括其的软水器
KR102592788B1 (ko) 연수기의 재생 수행 방법
KR20080103128A (ko) 냉온 혼합형 하향식 자동화 연수기
JP4807193B2 (ja) 軟水装置
KR101595571B1 (ko) 중력식 자동 재생 연수기 및 중력식 자동 재생 연수기의 자동 재생 방법
KR100193957B1 (ko) 연수기의 배관 시스템
KR20190035300A (ko) 특정 탱크만 에어 제거를 수행하도록 형성된 연수기
KR20190035299A (ko) 재생수 생성 횟수에 따른 재생수의 염도 유지 방법
KR102592787B1 (ko) 재생수의 염도 유지 방법
KR20190035298A (ko) 연수기의 케어 모드 수행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연수기
EP0803473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KR200403919Y1 (ko) 자동재생 연수기
JP4419178B2 (ja) 軟水器における排水工程の制御方法
KR102581406B1 (ko) 부품 교체가 용이한 구조를 갖는 연수기
KR100434000B1 (ko) 연수기
KR100433999B1 (ko) 연수기용 헤드 어셈블리 및 그를 이용한 연수기
KR100533330B1 (ko) 연수기
CN214433683U (zh) 制水组件和制水设备
CN208747691U (zh) 一种双罐软水阀及水处理装置
JPH07232163A (ja) 軟水器
WO2022126604A1 (zh) 制水设备、制水设备的控制方法、控制装置和电子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