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35298A - 연수기의 케어 모드 수행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연수기 - Google Patents

연수기의 케어 모드 수행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연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35298A
KR20190035298A KR1020170124349A KR20170124349A KR20190035298A KR 20190035298 A KR20190035298 A KR 20190035298A KR 1020170124349 A KR1020170124349 A KR 1020170124349A KR 20170124349 A KR20170124349 A KR 20170124349A KR 20190035298 A KR20190035298 A KR 201900352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valve
cold water
hot water
regene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43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42328B1 (ko
Inventor
정다운
이현강
한지원
김종민
김원태
이왕준
Original Assignee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웨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243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2328B1/ko
Publication of KR201900352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52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23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23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on-exchang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5/00Softening water; Preventing scale; Adding scale preventatives or scale removers to water, e.g. adding sequestering agents
    • C02F5/08Treatment of water with complexing chemicals or other solubilising agents for softening, scale prevention or scale removal, e.g. adding sequestering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reatment Of Water By Ion Exchan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수기의 케어 모드 수행 방법으로서, (a) 수전구로부터 상기 연수기로 원수의 공급을 차단하는 단계(S100); 및 (b) 상기 연수기 내부의 유로에 형성된 압력을 해제하기 위해, 상기 유로를 드레인시키는 단계(S200); 를 포함하는, 케어 모드 수행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연수기의 케어 모드 수행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연수기 {Method for Performing Care Mode and Softener Compring Thereof}
본 발명은 연수기의 케어 모드 수행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연수기로서, 구체적으로, 연수기의 부품 교체 및 정비하기 위해 수행되는 케어 모드시, 연수기 내부 구성들의 동작에 관한 것이다.
수돗물(이하, "경수"라 함)에는 정화 과정에서 다량의 염소 이온이 포함되며, 노후된 관을 통과하거나, 수돗물의 원수 자체에 오염이 심한 경우에는 인체에 해로운 철, 아연, 납, 수은 등의 다양한 중금속 이온이 포함된다.
이러한 중금속 이온은 특히, 비누의 지방산과 결합되어 금속성 이물질을 생성할 수 있으며, 이는 피부와 접촉하여 알레르기 또는 피부 노화를 야기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경수를 나트륨 이온(Na+)와 같은 강산성 양이온에 통과시켜, 경도 성분인 칼슘 이온(Ca2+) 및 마그네슘 이온(Mg2+)를 나트륨 이온(Na+)과 교환시킴에 따라, 경도 성분인 칼슘 이온(Ca2+) 및 마그네슘 이온(Mg2+)이 제거된 연수를 생성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경수를 연수로 변환시키기 위해, 많은 가정에서 연수기를 사용하고 있다.
경도 성분인 칼슘 이온(Ca2+) 및 마그네슘 이온(Mg2+)을 나트륨 이온(Na+)과의 교환을 위해, 연수기에는 나트륨 이온(Na+)이 포함된 물이 저장되어 있는 이온수지탱크가 구비되며, 상기 이온수지탱크는, 온수 탱크 및 냉수 탱크로 이루어져 있다.
이 때, 사용자가 온수 탱크 및 냉수 탱크 내에 저장되어 있는 연수를 계속 사용하는 경우, 상기 온수 탱크 및 냉수 탱크 내의 나트륨 이온(Na+)이 지속적으로 소비되므로, 일정 간격으로 상기 온수 탱크 및 냉수 탱크에 나트륨 이온(Na+)을 보충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연수기는 재생통을 구비하며, 상기 재생통 내에서 나트륨 이온(Na+)을 포함하는 재생수를 생성한 후, 상기 재생수를 온수 탱크 및 냉수 탱크로 공급함으로써, 나트륨 이온(Na+)을 보충한다.
구체적으로, 재생통 내에는 바스켓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바스켓에는 재생제가 내장되어 있고, 재생통으로 유입된 원수가 재생제를 녹임으로써, 재생수를 생성한다.
한편, 연수기는 교체가 예정되어 있는 소모품들을 포함한다. 예를 들면, 냉수 탱크 및 온수 탱크로 유입되는 원수를 필터링하는 필터 및 재생수를 생성하기 위해 주기적으로 충진해야되는 재생제가 대표적이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소모품의 교체는 관리자의 주기적인 점검이 필요하며, 관리자의 점검시, 연수기의 작동을 정지한 후, 점검을 수행한다.
이와 관련하여, 종래 기술인 한국출원번호 제20-2004-0022715호는, 케이스를 구성하는 덮개를 본체에서 용이하게 착탈되도록 형성한 연수기를 개시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종래 기술은, 케이스를 구성하는 덮개를 본체에서 자석을 이용하여 용이하게 착탈되도록 형성함으로써, 서비스의 편리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고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들은, 연수기의 구조, 연수기의 재생 수행 과정 및 연수를 공급하는 과정 등에 대해서만 개시되어 있을 뿐, 연수기의 점검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구체적인 작동에 대해 전혀 개시하고 있지 않다.
종래에는 단지 연수기의 전원을 차단한 후, 연수기의 점검을 수행함을 알 수 있는 바, 연수기 내부의 전류가 차단됨에 따라, 밸브 개폐의 오작동이 발생될 수 있으며, 관리자가 연수기의 작동을 강제 중지하고 싶을 때에는, 밸브를 개별적으로 개폐해야되는 불편이 있었다.
이에 따라, 연수기 점검시 또는 연수기의 강제 중지시, 관리자의 작업 편의성을 증대시키는 기술에 대한 필요성이 매우 높은 실정이다.
(특허문헌 1) 한국공개특허 제20-2004-0022715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이다.
구체적으로, 관리자가 연수기 점검시, 연수기 내부의 유로에 구비된 밸브들의 동작만으로 관리자가 연수기 점검을 수행할 수 있는 상태를 형성하는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또한, 점검을 위해 연수기 전원의 차단이 불필요하고, 연수기 전원을 그대로 유지함과 동시에, 연수기의 점검이 수행되는 케어 모드가 재생 모드 또는 연수 모드와 연결되는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연수기의 케어 모드 수행 방법으로서, (a) 수전구로부터 상기 연수기로 원수의 공급을 차단하는 단계(S100); 및 (b) 상기 연수기 내부의 유로에 형성된 압력을 해제하기 위해, 상기 유로를 드레인시키는 단계(S200); 를 포함하는, 케어 모드 수행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b) 단계 이후, (c) 관리자가, 상기 연수기 내부에 구비된 배터리 또는 재생제 교체를 포함하는 연수기의 정비 과정을 수행하는 단계(S300); 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연수기는, 케어 버튼; 상기 수전구로부터 상기 연수기로의 원수 공급을 제어하는 제 1 밸브; 상기 연수기 내부 유로의 드레인을 제어하는 제 2 밸브; 및 상기 제 1 밸브 및 제 2 밸브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형성된 제어부(1100); 를 포함하며, 상기 (a) 단계 전에, (a0) 상기 케어 버튼을 누르는 단계(S10);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케어 버튼을 누르면,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100)가 상기 제 1 밸브를 폐쇄하고,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100)가 상기 제 2 밸브를 개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a0) 단계에서, 상기 케어 버튼을 누르면, 상기 연수기의 외면에 형성된 성능 표시부(1021)에서, 현재 케어 모드 수행 중임을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연수기는, 냉수 탱크(200); 온수 탱크(400); 상기 냉수 탱크(200) 및 온수 탱크(400)로 유입되는 총 누적 유량을 각각 실시간으로 확인하는 유량 센서(130, 330); 및 상기 냉수 탱크(200) 및 온수 탱크(400)의 마지막 재생이 수행된 시간으로부터의 도과 시간을 실시간으로 확인하는 타이머(1110); 를 더 포함하고, 상기 (a0) 단계에서, 상기 케어 버튼을 누르면, 상기 유량 센서(130, 330)의 총 누적 유량 및 상기 타이머(1110)의 마지막 재생이 수행된 시간으로부터의 도과 시간이 초기화되어 정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c) 단계 이후에, 케어 모드 수행이 완료되어, 케어 모드가 해제되면, 상기 유량 센서(130, 330)의 총 누적 유량 및 상기 타이머(1110)의 마지막 재생이 수행된 시간으로부터의 도과 시간 연산이 초기화된 값으로부터 다시 진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연수기는, 냉수 입수부(100); 상기 냉수 입수부(100)에서 냉수를 공급받아 이온교환하여 출수하는 냉수 탱크(200); 온수 입수부(300); 상기 온수 입수부(300)에서 온수를 공급받아 이온교환하여 출수하는 온수 탱크(400); 일단이 상기 냉수 탱크(200)에 연결되고 타단이 드레인(820)에 연결되는 냉수 드레인(800); 일단이 상기 온수 탱크(400)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드레인(820)에 연결되는 온수 드레인(900); 상기 냉수 입수부(100)에 위치하는 냉수 밸브(190); 상기 온수 입수부(300)에 위치하는 온수 밸브(390); 상기 재생 유로(500)에 위치하는 재생 공급 밸브(590); 상기 냉수 드레인(800)에 위치하는 냉수 린스 밸브(890); 및 상기 온수 드레인(900)에 위치하는 온수 린스 밸브(99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 1 밸브는, 상기 냉수 밸브(190) 및 온수 밸브(390)이고, 상기 제 2 밸브는, 상기 냉수 린스 밸브(890) 및 온수 린스 밸브(990)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냉수 밸브(190), 온수 밸브(390), 재생 공급 밸브(590), 냉수 린스 밸브(890) 및 온수 린스 밸브(990)는, 모두 랫치 밸브(latch valve)이며, 상기 제어부(1100)에서 발생되는 전기적 신호에 의해 개폐가 동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어부(1100), 냉수 밸브(190), 온수 밸브(390), 재생 공급 밸브(590), 냉수 린스 밸브(890) 및 온수 린스 밸브(990)는, 모두 상기 연수기 내부에 구비된 배터리를 전원으로 동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연수기의 외면에는, 상기 배터리의 잔량을 표시하는 배터리 표시부(1023)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배터리 표시부(1023)는, 표시된 상기 배터리의 잔량이 소정의 값 이하일 경우에 상기 배터리의 교체 알람을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관리자의 케어 모드 수행시, 연수기로 원수의 공급을 차단하고, 연수기 내의 유로를 드레인시켜 유로에 형성된 압력을 해제시킴으로써, 연수기 내부의 전기 회로 및 전자 장치에 수분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를 수행하기 위해, 케어 모드가 수행되면, 제어부에서 자동으로 연수기로의 원수 공급을 제어하는 제 1 밸브를 폐쇄하고, 연수기 내부 유로의 드레인을 제어하는 제 2 밸브를 개방함으로써, 관리자가 개별적으로 밸브의 개폐를 조작할 필요가 없는 바, 관리자의 편의성을 증대시켰다.
이에 더하여, 케어 모드 수행시, 자동으로 냉수 탱크 및 온수 탱크로 유입되는 총 누적 유량 및 타이머를 초기화시키는 바, 연수기 전원의 차단이 불필요함과 동시에, 관리자가 수동으로 초기화시킬 필요가 없으므로, 관리자의 개입을 최소화시켰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연수기의 외관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연수기에서, 설명을 위해 상부 커버 및 하부 커버를 제거하고 프레임 및 일부 연결 부품의 도시를 생략한 도시하는 사시도로서, 좌표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도 2는 전방 하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3은 후방 상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연수기의 커넥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연수기의 유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연수기에 있어서, 재생용 냉수가 공급되는 유로(하기 C11 및 C21 단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c는 본 발명에 따른 연수기에 있어서, 냉수 탱크에 재생수를 공급하는 유로(하기 C13 단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d는 본 발명에 따른 연수기에 있어서, 온수 탱크에 재생수를 공급하는 유로(하기 C24 단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연수기의 작동 모드 및 이에 따른 밸브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케어 모드 수행 방법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케어 모드 수행 방법의 순서도이다.
이하에서, "냉수"와 "온수"는 냉수 수전구 및 온수 수전구에서 연수기에 각각 개별적으로 공급되는 유체를 의미한다.
"재생수"는 예를 들어 소금일 수 있는 재생용 블럭이 녹아 이온교환수지에 이온을 공급하기 위한 유체를 의미한다. "재생수"가 냉수 탱크에 공급되는 경우 "냉수 재생수"로 지칭하고, 온수 탱크에 공급되는 경우 "온수 재생수"로 지칭한다.
"재생용 냉수"는 재생수를 생성하기 위하여 공급되는 냉수를 의미한다.
1. 연수기의 설명
이하, 도 1 내지 도 5d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연수기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연수기의 외관으로, 상부 커버(1010) 및 하부커버(1020)가 도시된다. 설명을 위하여 상부 커버(1010)를 투명하게 도시하였다.
상부 커버(1010)의 내측 상부에는 재생통(700)이 위치하고 재생통(700) 하단에 냉수 탱크(200)의 필터 커버(221)와 온수 탱크(400)의 필터 커버(421)가 위치한다. 필터를 교환하거나, 재생통(700)에 재생용 블럭(미도시)을 충진하기 위하여 상부 커버(1010)를 탈거한다.
상부 커버(1010) 내측에는 제어 패널(1011)이 위치한다. 제어 패널(1011)에는 재생횟수를 표시하는 알림창과, 현재 시각 설정, 재생 설정, 캐어 모드, 수동 재생 등을 입력하는 입력부가 위치한다.
하부 커버(1020)는 내측 유로를 보호한다.
하부 커버(1020)에는 성능 표시부(1021), 재생중 표시부(1022) 및 배터리 표시부(1023)가 위치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3은 상부 커버(1010)와 하부 커버(1020)를 탈거한 연수기를 도시한다. 설명을 위하여 프레임 및 각각의 부품들을 프레임에 고정하기 위한 연결 부품의 도시는 생략하였다.
도 4는 커넥터(600)를 도시하고, 도 5a 내지 5d는 유로를 개략화하여 도시한다. 도 2 내지 도 3에서는 각 부품들이 연결되는 튜브(tube)의 도시가 생략되었는데, 이는 이하에서의 설명 및 도 5a 내지 5d를 참조하여 그 연결 방법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 2 내지 도 5d를 함께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연수기를 설명한다.
1.1 냉수 입수부(100)
본 발명에 따른 연수기는, 냉수 입수부(100), 냉수 탱크(200), 온수 입수부(300), 온수 탱크(400), 재생 유로(500), 커넥터(600), 재생통(700), 냉수 드레인(800) 및 온수 드레인(900)을 포함한다.
냉수 입수부(100)는 연수기 하단에 위치하여 냉수 수전구(미도시)에 연결되어 연수기에 원수인 냉수를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냉수 입수구(110), 감압 밸브(120), 유량 센서(130) 및 냉수 밸브(190)를 포함한다.
냉수 입수구(110)는 냉수 수전구에 연결되어 냉수를 공급받는다. 공급된 냉수는 감압 밸브(120)를 통과하며 감압되고 유량 센서(130)에 의해 공급된 냉수 유량이 확인된다.
냉수 밸브(190)는 냉수 입수구(110)와 냉수 입수 유로(210)의 사이에 구비되며 냉수 유입 여부를 제어한다. 작동 모드에 따라 냉수 밸브(190)가 제어되는데 구체적인 내용은 후술한다.
1.2 냉수 탱크(200)
냉수 탱크(200)는 냉수 입수부(100)에서 공급받은 냉수를 연수화하여 출수하거나 재생용 냉수로서 재생통(700)에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냉수 입수 유로(210), 필터부(220), 냉수 이온교환수지(230) 및 냉수 출수구(240)를 포함한다.
냉수 입수 유로(210)는 냉수 입수부(110)와 연결되며,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수 탱크(200)의 가운데에 구비되고 냉수 이온교환수지(230)가 이를 감싸는 방식으로 충진될 수 있다. 냉수 입수 유로(210)를 통해 유입된 냉수는 상승하게 된다.
냉수 입수 유로(210)의 말단에는 필터부(220)가 위치하여, 냉수 입수 유로(210)를 통해 공급된 냉수는 필터부(220)에서 필터링된다. 사용자는 냉수 탱크(200)의 필터 커버(221)를 개방하여 필터를 교체할 수 있다.
필터부(220)를 통과한 냉수는 방사상 외측으로 유동한 후 하강하거나, 튜브인 재생용 냉수 입수로(510)를 통하여 재생용 냉수로 공급된다(도 5a 내지 5d 참조). 일부는 다른 튜브를 포함하는 냉수 재생수 출수로(640)로 유동하는데 체크 밸브(645)에 의하여 커넥터(600)까지 유동하지 않되 유로 내의 유압만 유지한다.
필터부(220)를 통과하여 방사상 외측으로 유동한 후 냉수 이온교환수지(230)를 통과하며 하강한 냉수는, 이온교환 작용에 의하여 연수화된다. 연수화된 냉수는 냉수 출수구(240)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출수된다.
1.3 온수 입수부(300)
온수 입수부(300)는 연수기 하단에 위치하여 온수 수전구(미도시)에 연결되어 연수기에 원수인 온수를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온수 입수구(310), 감압 밸브(320), 유량 센서(330) 및 온수 밸브(390)를 포함한다.
마찬가지로, 온수 입수구(310)는 온수 수전구에 연결되어 온수를 공급받고, 공급된 온은 감압 밸브(320)를 통과하며 감압되고 유량 센서(330)에 의해 공급된 온수 유량이 확인된다.
온수 밸브(390)는 온수 입수구(310)와 온수 입수 유로(410)의 사이에 구비되며 온수 유입 여부를 제어한다.
1.4 온수 탱크(400)
온수 탱크(400)는 온수 입수부(300)에서 공급받은 온수를 연수화하여 출수하는 역할을 한다. 냉수 탱크(200)와 달리 재생통(700)에 온수를 공급하지는 않는다. 온수 입수 유로(410), 필터부(420), 온수 이온교환 수지부(430) 및 온수 출수구(440)를 포함한다.
온수 입수 유로(410)는 온수 입수부(310)와 연결되며,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온수 탱크(400)의 가운데에 구비되고 온수 이온교환수지(430)가 이를 감싸는 방식으로 충진될 수 있다. 온수 입수 유로(410)를 통해 유입된 온수는 상승하게 된다.
온수 입수 유로(410)의 말단에는 필터부(420)가 위치하여, 온수 입수 유로(410)를 통해 공급된 온수는 필터부(420)에서 필터링된다. 사용자는 온수 탱크(400)의 필터 커버(421)를 개방하여 필터를 교체할 수 있다.
필터부(420)를 통과한 온수는 방사상 외측으로 유동한 후 하강하되, 냉수 탱크(200)에서와 달리 재생 유로(500)에 공급되지는 않는다. 일부는 튜브를 포함하는 온수 재생수 출수로(660)로 유동하는데 체크 밸브(665)에 의하여 커넥터(600)까지 유동하지 않되 유로 내의 유압만 유지한다.
필터부(420)를 통과하여 방사상 외측으로 유동한 후 온수 이온교환수지(430)를 통과하며 하강한 온수는, 이온교환 작용에 의하여 연수화된다. 연수화된 온수는 온수 출수구(440)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출수된다.
1.5 재생 유로(500)
재생 유로(500)는 재생수를 생성하도록 냉수 입수부(100) 및 냉수 탱크(200)를 통해 공급받은 냉수를 재생용 냉수로서 커넥터(600)를 통해 재생통(700)에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재생용 냉수 입수로(510), 유량 온도 센서(520), 커넥터 입수로(530) 및 재생 공급 밸브(590)를 포함한다.
재생용 냉수 입수로(510)의 일단은 튜브에 의해 냉수 탱크(200)에 연결되고 타단은 다른 튜브에 의해 커넥터 입수로(530)에 연결된다.
재생용 냉수 입수로(510)에 재생 공급 밸브(590)와 유량 온도 센서(520)가 구비된다. 작동 모드에 따라 재생 공급 밸브(590)가 제어되는데 구체적인 내용은 후술한다. 유량 온도 센서(520)에서 센싱되는 재생용 냉수의 유량과 온도는 재생 횟수 판단 및 재생 시간 판단에 사용될 수 있다.
1.6 커넥터(600)
커넥터(600)는 재생 유로(500)에서 공급받은 재생용 냉수를 재생통(700)에 공급하고, 재생통(700)에서 생성된 재생수를 냉수 탱크(200) 및 온수 탱크(400)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입수로(610), 냉수 재생수 출수로(640) 및 여기에 구비된 체크 밸브(645), 온수 재생수 출수로(660) 및 여기에 구비된 체크 밸브(665), 재생통(700)과 연통되는 재생통 유로(680)를 포함한다.
입수로(610)는 커넥터 입수로(530)에 연결되어 이를 통해 재생용 냉수가 재생통(700)에 입수된다.
냉수 재생수 출수로(640)의 일단에 재생통(700)이 연결되고 타단이 냉수 탱크(200)에 연결된다. 평상시에는 냉수 재생수 출수로(640) 중 체크 밸브(645)부터 냉수 탱크(200)까지의 유로에 냉수가 채워져 있어서 일정한 유압을 유지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냉수는 체크 밸브(645)로 인하여 재생통(700)까지 전달되지 않는다. 재생시에는 재생통(700)에서 냉수 재생수가 냉수 재생수 출수로(640)를 통해 냉수 탱크(200)에 공급된다.
마찬가지로, 온수 재생수 출수로(660)의 일단에 재생통(700)이 연결되고 타단이 온수 탱크(400)에 연결된다. 평상시에는 온수 재생수 출수로(660) 중 체크 밸브(665)부터 온수 탱크(400)까지의 유로에 온수가 채워져 있어서 일정한 유압을 유지하며 체크 밸브(665)로 인하여 온수가 재생통(700)까지 전달되지 않는다. 재생시에는 재생통(700)에서 온수 재생수가 온수 재생수 출수로(660)를 통해 온수 탱크(400)에 공급된다.
평상시(즉, 후술하는 (B)연수 모드) 냉수는 필터부(220)를 통과하여 냉수 재생수 출수로(640)의 체크 밸브(645) 부분까지 채워져 있고 온수는 필터부(420)를 통과하여 온수 재생수 출수로(660)의 체크 밸브(665) 부분까지 채워져 있는 상태이다. 본 발명에 따른 연수기에서는 냉수 탱크(200)와 온수 탱크(400)가 냉수 재생수 출수로(640)와 온수 재생수 출수로(660)를 통해 연통할 수 있는 구조인데, 체크 밸브(645, 665)로 인하여 평상시 혼입이 방지되게 되는 것이다. 후술하겠지만, 체크 밸브(645, 665)로 인하여, 하나의 재생통(700)에서 생성된 재생수가 냉수 탱크(200)및 온수 탱크(400)에 모두 공급될 수 있다.
재생통 유로(680)의 일단은 재생통(700)과 연결되고, 타단은 3개의 유로, 즉 입수로(610), 냉수 재생수 출수로(640), 온수 재생수 출수로(660) 모두와 연결된다. 재생용 냉수를 공급하는 경우, 재생용 냉수는 입수로(610) 및 재생통 유로(680)를 통과하며, 도면에서 재생용 냉수는 재생통 유로(680) 내에서 상방으로 유동한다. 반면, 냉수 재생수는 재생통 유로(680) 및 냉수 재생수 출수로(640)를 통과하고 온수 재생수는 재생통 유로(680) 및 온수 재생수 출수로(660)를 통과하여, 도면에서 재생통 유로(680) 내에서 하방으로 유동한다.
1.7 재생통(700)
재생통(700)은 커넥터(600)로부터 재생용 냉수를 공급받아 재생수를 생성한다.
재생통(700)에는 재생용 블럭(미도시)이 충진될 수 있다. 재생용 냉수가 냉수 입수구(110), 냉수 입수 유로(210), 필터부(220), 재생용 냉수 입수로(510), 및 입수로(610)를 통과하여 재생통(700)에 공급되면 재생용 블럭(미도시)이 녹으면서 재생수를 생성한다.
여기서, 냉수 재생수와 온수 재생수는 재생통(700)에서 생성된 동일한 재생수로서 냉수 탱크(200) 또는 온수 탱크(400) 중 어디로 공급되는지 여부에 따라 구분된 것이다. 즉, 재생통(700)에 생성된 재생수 중 일부는 커넥터(600)의 냉수 재생수 출수로(640)를 통해 냉수 탱크(200)에 공급되는데 이 때에 공급되는 재생수가 냉수 재생수이며, 다른 일부는 커넥터(600)의 온수 재생수 출수로(660)를 통해 온수 탱크(400)에 공급되는데 이 때에 공급되는 재생수가 온수 재생수이다. 일반적으로 냉수 탱크(200)에 냉수 재생수를 먼저 공급한 후 온수 탱크(400)에 온수 재생수를 공급한다.
냉수 재생수가 냉수 탱크(200)에 유입되면 냉수 이온교환수지(230)에 공급되어, 냉수 이온교환수지(230)의 이온을 재생한다.
마찬가지로, 온수 재생수가 온수 탱크(400)에 유입되면 온수 이온교환수지(430)에 공급되어, 온수 이온교환수지(430)의 이온을 재생한다.
또한, 재생통(700)에서 오버플로우(overflow)되는 재생수 또는 린스된 물 등은 후술하는 드레인(820)을 통해 배출되도록, 재생통(700)의 하단이 드레인(820)과 튜브에 의하여 연결될 수 있다.
1.8 냉수 드레인(800)
냉수 드레인(800)은 냉수 탱크(200)를 린스된 물을 드레인하는 역할을 한다. 냉수 린스 출수로(810), 드레인(820) 및 냉수 린스 밸브(890)를 포함한다.
냉수 린스 출수로(810)의 일단은 튜브에 의해 냉수 탱크(200)에 연결되고 타단은 다른 튜브에 의해 드레인(820)에 연결되며 냉수 린스 밸브(890)가 구비된다. 드레인(820)은 연수기 외부로 연통한다.
1.9 온수 드레인(900)
온수 드레인(900)은 온수 탱크(400)를 린스된 물을 드레인(820)을 통해 드레인하는 역할을 한다. 온수 린스 출수로(910) 및 온수 린스 밸브(990)를 포함한다.
마찬가지로, 온수 린스 출수로(910)의 일단은 튜브에 의해 온수 탱크(400)에 연결되고 타단은 다른 튜브에 의해 드레인(820)에 연결되며 온수 린스 밸브(990)가 구비된다.
2. 연수기의 작동 모드의 설명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연수기의 작동 모드를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연수기의 작동 모드는 (A)원수모드, (B)연수모드, (C)재생모드 및 (D)재생통 린스모드로 구분할 수 있다.
각 모드는 5개의 밸브, 즉 냉수 밸브(190), 온수 밸브(390), 재생 공급 밸브(590), 냉수 린스 밸브(890), 온수 린스 밸브(990)의 제어를 통하여 구현할 수 있다. 종래의 연수기는 세라믹 디스크를 포함한 하나의 멀티웨이 밸브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었으나, 습기가 많은 환경에서 작동하는 연수기의 특성 상 오작동의 경우가 많아 누수 내지 불량의 주요 원인이 되었는바, 본 발명은 5개의 밸브를 구분하여 작동 모드를 구현하였다.
냉수 밸브(190), 온수 밸브(390), 재생 공급 밸브(590), 냉수 린스 밸브(890), 온수 린스 밸브(990) 모두 랫치 밸브(latch valve)인 것이 바람직하나 전자적으로 제어 가능한 다른 종류의 밸브 역시 가능함은 물론이다.
(A)원수모드는 사용자가 연수가 아닌 원수를 사용하는 경우의 작동 모드로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2.1 연수모드
(B)연수모드는 사용자가 연수를 사용하는 경우이며, 냉수 밸브(190)와 온수 밸브(390)를 개방하고, 재생 공급 밸브(590), 냉수 린스 밸브(890), 온수 린스 밸브(990)를 폐쇄함으로써 구현된다.
냉수 밸브(190)가 개방되고 재생 공급 밸브(590)가 폐쇄되어 있어서, 냉수 입수구(110)를 통하여 공급된 냉수는 필터부(220)를 통과한 후 재생 유로(500)로 유동하지 않고 냉수 이온교환수지(230)를 통과하여 연수화된다.
냉수 린스 밸브(890)가 폐쇄되어 있기에 연수화된 냉수는 드레인(820)으로 배출되지 않고 냉수 출수구(240)를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만큼 출수된다.
온수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2.2 재생모드
(C)재생모드는 냉수 탱크(200) 내의 냉수 이온교환수지(230)와 온수 탱크(400) 내의 온수 이온교환수지(430)의 이온이 감소하여 연수 생성이 어려운 경우, 각각에 재생수를 공급하여 수지를 재생시키는 모드이다. 재생통(700)에 재생용 냉수가 공급되어 재생수가 생성된 후 냉수 재생수 및 온수 재생수로서 각각 냉수 탱크(200)와 온수 탱크(400)에 공급된다.
(C)재생모드를 시작하는 시점은 사용자가 사용한 연수의 총 유량에 기초하여 설정될 수도 있으며, 및/또는 마지막 재생모드를 수행한 시점으로부터 시간에 기초하여 설정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총 600리터의 기준 유량을 초과하여 연수화된 냉수 또는 온수를 사용하였다면 (C)재생모드가 수행될 수 있다. 사용한 연수의 양은 냉수 측의 유량센서(130)와 온수 측의 유량센서(330)를 통하여 확인할 수 있다. 냉수 또는 온수 중 어느 하나라도 기준 유량을 초과하였다면 냉수 탱크(200)와 온수 탱크(400) 모두 재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약 1시간 정도 소요되어 사용자가 연수기를 사용하지 못하게 되는 (C)재생모드가 너무 자주 이루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냉수 및 온수 측의 이온교환수지를 통합 관리하기 위함이다.
이와 동시에, 마지막 재생모드를 수행한 시점으로부터 8일이 경과하면 사용자가 사용한 유량이 기준 유량을 초과하지 않았어도 (C)재생모드를 수행하게 할 수 있다. 유량계 불량의 경우 또는 이온교환수지가 시간 경과에 따라 자연적으로 기능이 감소한 경우를 대비하게 위함이다.
(C)재생모드를, (C1)냉수 탱크 재생모드와 (C2)온수 탱크 재생모드로 구분하여 설명한다.
(C1)냉수 탱크 재생모드를 먼저 설명한다. (C11)재생용 냉수 공급 단계, (C12)용해 단계, (C13)재생 단계, (C14)린스 단계로 이루어진다.
(C11)재생용 냉수 공급 단계는 평상시 운용되는 (B)연수모드에서 변경됨으로써 시작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를 위해, 냉수 밸브(190)와 온수 밸브(390)가 개방되고 재생 공급 밸브(590), 냉수 린스 밸브(890), 온수 린스 밸브(990)가 폐쇄된 (B)연수모드 상태에서 재생 공급 밸브(590)만 개방한다. 이제 냉수 입수구(110)를 통하여 공급된 냉수는 필터부(220)를 통과한 후 재생 공급 밸브(590)의 개방으로 인해 재생용 냉수 입수로(510)를 향해 유동하게 되며, 커넥터 입수로(530), 입수로(610) 및 재생통 유로(680)를 통과하여 재생통(700)에 공급된다. 재생통(700)에 공급되는 재생용 냉수의 양은 유량 온도 센서(520)에서 확인된다.
유량 온도 센서(520)에서 확인된 재생용 냉수의 양이 미리 결정된 양(즉, 재생통(700)의 용량)에 이르면 (C12)용해 단계로 진행한다. 개방되었던 재생 공급 밸브(590)를 폐쇄하여 시작된다. 재생 공급 밸브(590), 냉수 린스 밸브(890)가 모두 폐쇄되어 압력이 유지되는 단계이기에, 재생통(700)에서 생성되고 있는 재생수가 냉수 탱크(200)로 유입되지 않고 용해 시간을 갖는다. 온수 린스 밸브(990)도 폐쇄된 상태이기에 온수 탱크(400)로도 유입되지 않는다. 용해 시간은 재생용 냉수의 온도, 유량 등에 따라 상이하게 결정될 수 있다.
용해 시간이 모두 경과하면 (C13)재생 단계로 진행한다. 개방되었던 냉수 밸브(190)를 폐쇄하고, 폐쇄되었던 냉수 린스 밸브(890)를 개방하여 시작된다. 냉수 린스 밸브(890) 개방으로 인해 냉수 탱크(200) 쪽의 압력이 낮아지고 재생수(즉, 냉수 재생수)는 재생통 유로(680), 냉수 재생수 출수로(640) 및 필터부(220)를 거쳐 냉수 이온교환수지(230)에 일정 속도로 재생 시간 동안 공급된다. 공급된 냉수 재생수는 냉수 이온교환수지(230)를 재생하고 냉수 린스 출수로(810)를 통과하여 드레인(82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약 20분의 재생 시간 동안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나, 그 시간은 변동 가능하다.
재생 시간이 모두 경과하면 (C14)린스 단계로 진행한다. 폐쇄되었던 냉수 밸브(190)를 개방하여 시작된다. 냉수 입수구(110)에서 냉수가 입수되며, 필터부(220)를 통해 냉수 이온교환수지(230)에 진입하여 이를 린스하게 된다. 이후 개방된 냉수 린스 밸브(890)로 인하여 냉수 린스 출수로(810)를 통과하여 드레인(82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약 3분 정도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나, 그 시간은 변동 가능하다.
(C2)온수 탱크 재생모드를 먼저 설명한다. (C21)재생용 냉수 공급 단계, (C22)용해 단계, (C23)온수 에어 제거 단계, (C24)재생 단계, (C25)린스 단계로 이루어진다. (C1)냉수 탱크 재생모드와 비교하면, (C23)온수 에어 제거 단계가 추가된 것이 상이하다.
(C21)재생용 냉수 공급 단계는 (C14)린스 단계 이후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냉수 밸브(190), 온수 밸브(290), 냉수 린스 밸브(890)가 개방되고, 재생 공급 밸브(590), 온수 린스 밸브(990)가 폐쇄된 상태였던 (C14)린스 단계에서, 재생 공급 밸브(590)를 개방하고 냉수 린스 밸브(890)를 폐쇄함으로써 시작된다.
(C22)용해 단계는 (C12)용해 단계와 동일하다. 유량 온도 센서(520)에서 확인된 재생용 냉수의 양이 미리 결정된 양에 이르면 (C22)용해 단계로 진행한다. 개방되었던 재생 공급 밸브(590)를 폐쇄하여 시작되며, 재생용 블럭(미도시)이 녹는 용해 시간을 갖는다. 마찬가지로 용해 시간은 재생용 냉수의 온도, 유량 등에 따라 상이하게 결정될 수 있다.
용해 시간이 모두 경과하면 (C23)온수 에어 제거 단계로 진행한다. (C1)냉수 탱크 재생모드와 달리 (C2)온수 탱크 제생모드에서는 에어 제거가 필요하다. 냉수 탱크(200)의 경우 냉수 중 일부가 재생 유로(500)를 통하여 재생통(700)에 공급되데 반하여, 온수 탱크(400)는 그러한 유로가 없어서 에어를 제거하고 재생수를 공급하는 것이 효과적이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온수 린스 밸브(990)를 약 10초 정도 개방하게 된다. 이 경우 온수 탱크(400) 및 관련 유로 상의 에어가 드레인(82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한편, (C23)온수 에어 제거 단계 동안에도 재생통(700)에서 용해는 계속 될 수 있으므로, (C22)용해 단계가 이루어지는 시간은 (C23)온수 에어 제거 단계의 시간을 감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달리 표현하면, (C23)온수 에어 제거 단계가 (C22)용해 단계와 동시에 진행되되, 미리 결정된 용해 시간 중 미리 결정된 온수 에어 제거 시간이 남은 시점에 (C23)온수 에어 제거 단계가 수행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C23)온수 에어 제거 단계가 10초 동안 이루어진다면, (C22)용해 단계에서의 용해 시간이 10초 남은 시점에 (C23)온수 에어 제거 단계가 시작된다.
이제, (C24)재생 단계로 진행한다. 개방되었던 온수 밸브(390)를 폐쇄하고, 폐쇄되었던 온수 린스 밸브(990)를 개방하여 시작된다. (C13)재생 단계와 동일하게, 온수 재생수는 재생통 유로(680), 온수 재생수 출수로(665) 및 필터부(420)를 거쳐 온수 이온교환수지(430)에 공급되어 온수 이온교환수지(430)를 재생하며, 이후 온수 린스 출수로(910)를 통과하여 드레인(82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약 20분의 재생 시간 동안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나, 그 시간은 변동 가능하다.
재생 시간이 모두 경과하면 (C25)린스 단계로 진행한다. 폐쇄되었던 온수 밸브(390)를 개방하여 시작된다. (C14)린스 단계와 동일하게, 온수 입수구(310)에서 온수가 입수되며, 필터부(420)를 통해 온수 이온교환수지(430)에 진입하여 이를 린스하게 된다. 이후 개방된 온수 린스 밸브(990)로 인하여 온수 린스 출수로(910)를 통과하여 드레인(82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약 3분 정도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나, 그 시간은 변동 가능하다.
이와 같이, (C1)냉수 탱크 재생모드와 (C2)온수 탱크 재생모드가 모두 수행되면, (D)재생통 린스모드가 수행되어 재생통(700)을 린스한다.
2.3 재생통 린스모드
(D)재생통 린스모드는, (D1)린스용 냉수 공급단계, (D2)재생통 드레인 단계, (D3)냉수 린스 단계 및 (D4)온수 린스 단계를 포함한다.
(D1)린스용 냉수 공급단계는, 재생통(700) 내에 위치한 재생용 블럭(미도시)가 모두 용해된 상태에서 재생통(700) 세척을 위하여 냉수를 공급받는 단계이다. (C2)온수 탱크 재생모드가 마무리되면 냉수 밸브(190), 온수 밸브(290) 및 온수 린스 밸브(990)가 개방되고 재생 공급 밸브(590) 및 냉수 린스 밸브(890)가 폐쇄된 상태인데, 개방되었던 온수 린스 밸브(990)가 폐쇄되고 폐쇄되었던 재생 공급 밸브(590)가 개방된다. 이에 따라, 냉수 입수구(110)를 통하여 공급된 냉수는 필터부(220)를 통과한 후 재생 공급 밸브(590)의 개방으로 인해 재생용 냉수 입수로(510)를 향해 유동하게 되며, 커넥터 입수로(530)와 입수로(610)를 통과하여 재생통(700)에 공급된다. 이 때에 공급되는 유량은 재생통(700)의 일부만을 채울 수 있는 정도면 족하다. 예를 들어, (C11) 내지 (C12) 단계에서 1.5리터가 공급되었다면, (D11) 단계에서는 0.5리터만 공급될 수 있다.
다음, (D12)재생통 드레인 단계가 수행된다. 개방되었던 냉수 밸브(190)와 재생 공급 밸브(590)를 폐쇄하고 폐쇄되었던 냉수 린스 밸브(890)를 개방하여, 재생통(700) 내에 남은 물을 드레인한다.
다음, (D13)냉수 린스 단계가 수행된다. 냉수 탱크(200)를 린스하는 단계로서, 폐쇄되었던 냉수 밸브(190)를 개방하여 냉수 탱크(200)에 냉수를 유입시킨 후 린스하게 하여 드레인시킨다.
다음, (D14)온수 린스 단계가 수행된다. 온수 탱크(400)를 린스하는 단계로서, 폐쇄되었던 온수 밸브(390)를 개방하여 온수 탱크(400)에 온수를 유입시킨 후 린스하게 하여 드레인시킨다.
(C)재생모드 및 (D)재생통 린스모드가 모두 수행되면, 냉수 이온교환수지(230)와 온수 이온교환수지(430)에는 이온이 모두 공급되고, 재생통(700)과 냉수 탱크(200)와 온수 탱크(400) 모두 린스까지 완료되어, 다시 사용자에게 연수를 공급할 준비가 완료된다.
이제, (B)연수모드로 복귀한다. 이를 위해, (D14) 단계에서 개방되었던 온수 린스 밸브(990)를 폐쇄하면, (B)연수모드에서와 같이 냉수 밸브(190)와 온수 밸브(390)만 개방된 상태가 된다.
2.4 케어 모드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케어 모드 수행 방법에 대한 블록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케어 모드 수행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7 및 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E)케어 모드는, (E1)원수의 공급을 차단하는 단계 및 (E2)연수기 내부의 유로에 형성된 압력을 해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는 관리자의 케어 모드 수행하는 과정에서, 원수가 공급되거나, 연수기 내부의 유로에 형성된 수압에 의해 연수기 내부의 전자 장치 및 전기 회로에 수분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구체적으로, (E1)원수의 공급을 차단하는 단계는, 냉수 입수부(100)에 위치하는 냉수 밸브(190) 및 온수 입수부(300)에 위치하는 온수 밸브(390)를 폐쇄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E2)연수기 내부의 유로에 형성된 압력을 해제하는 단계는, 냉수 드레인(800)에 위치하는 냉수 린스 밸브(890) 및 온수 드레인(900)에 위치하는 온수 린스 밸브(990)를 개방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이 때, 연수기 내부의 유로에 형성된 압력을 해제하기 위해, 충분한 시간동안 냉수 린스 밸브(890) 및 온수 린스 밸브(990)를 개방시킬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연수기는, 제어부(1100)를 포함하며, 냉수 밸브(190), 온수 밸브(390), 재생 공급 밸브(590), 냉수 린스 밸브(890) 및 온수 린스 밸브(990)는 전기적 신호에 의해 개폐가 제어되는 랫치 밸브로 형성될 수 있는 바, 제어부(1100)에서 상기 밸브(190, 390, 590, 890)들에 전기적 신호를 전송함으로써 케어 모드가 수행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1100), 냉수 밸브(190), 온수 밸브(390), 재생 공급 밸브(590), 냉수 린스 밸브(890) 및 온수 린스 밸브(990)는, 모두 상기 연수기 내부에 구비된 배터리를 전원으로 동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연수기를 외부의 전원에 연결하지 않도록 형성하는 바, 관리자의 연수기 점검시, 연수기 및 외부의 전원의 전기적 연결과 관련된, 발생되는 누전 및 합선의 문제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연수기의 외면에는, 배터리의 잔량을 표시하는 배터리 표시부(1023)이 형성되어 있고, 배터리 표시부(1023)는, 표시된 상기 배터리의 잔량이 소정의 값 이하일 경우에 배터리의 교체 알람을 표시하도록 형성될 수 있는 바, 관리자의 점검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한편, 관리자는, 케어 버튼(미도시)을 누름으로써, (E)케어모드의 수행이 시작될 수 있으며, 관리자가 케어 버튼을 누른 경우, 연수기의 하부 커버(1020)의 외면에 형성된 성능 표시부(1021)에 현재 케어 모드 수행 중을 알리는 알림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E)케어모드가 수행되면, 관리자는 소모품인 연수기 내부에 구비된 배터리 또는 재생통 내의 재생제 교체를 수행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재생통 내의 재생제는 냉수 탱크(200) 및 온수 탱크(400)를 각각 9회씩 재생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총 18회의 재생을 수행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연수기의 재생 모드를 수행하는 시점은, 사용자가 사용한 연수의 총 유량에 기초하여 설정될 수도 있으며, 마지막 재생모드를 수행한 시점으로부터 시간에 기초하여 설정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유량 센서(130, 330)에 의해 측정된 냉수 연수 누적 공급량 및 온수 연수 누적 공급량 중 어느 하나라도 600L에 도달하면, 냉수 탱크(200) 및 온수 탱크(400)의 재생을 수행하며, 만약, 모두 600L에 도달하지 못하더라도, 최근 재생 수행 시간으로부터 8일이 도과된 경우에는, 강제적으로 재생 과정이 수행되도록 형성된다.
이와 관련하여, (E)케어모드는, 재생제를 충진하기 위해 수행되는 것이 일반적인 바, 이 경우, (E)케어모드가 수행된 직후에는 재생통(700)에 재생제가 가득 충진되므로, 이로부터 다시 총 18회의 재생의 수행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E)케어모드가 수행되면, 유량 센서(130, 330)의 총 누적 유량 및 타이머(1110)의 마지막 재생이 수행된 시간으로부터의 도과 시간이 초기화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케어 모드 수행 방법은, 케어 버튼을 누르면, 상기 유량 센서(130, 330)의 총 누적 유량 및 상기 타이머(1110)의 마지막 재생이 수행된 시간으로부터의 도과 시간이 초기화되어 정지하도록 형성된다.
다만, 관리자가 판단시, 잔존하는 재생제의 양이 충분할 경우에는, 전술한 초기화 작업이 진행되지 않도록 관리자가 제어부(1100)를 조작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E)케어모드 수행이 완료된 경우, 즉, 관리자가, 연수기 내부에 구비된 배터리 또는 재생제 교체를 포함하는 연수기의 정비 과정의 수행이 완료되면, 유량 센서(130, 330)의 총 누적 유량 및 상기 타이머(1110)의 마지막 재생이 수행된 시간으로부터의 도과 시간 연산이 초기화된 값으로부터 다시 진행되도록 형성된다.
이상, 본 명세서에는 본 발명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냉수 입수부
110: 냉수 입수로
120: 감압 밸브
130: 유량 센서
190: 냉수 밸브
200: 냉수 탱크
210: 냉수 입수 유로
220: 필터부
221: 필터 커버
230: 냉수 이온교환수지
240: 냉수 출수구
300: 온수 입수부
310: 온수 입수로
320: 감압 밸브
330: 유량 센서
390: 온수 밸브
400: 온수 탱크
410: 온수 입수 유로
420: 필터부
421: 필터 커버
430: 온수 이온교환수지
440: 온수 출수구
500: 재생 유로
510: 재생용 냉수 입수로
520: 유량 온도 센서
530: 커넥터 입수로
590: 재생 공급 밸브
600: 커넥터
610: 입수로
640: 냉수 재생수 출수로
645: 체크 밸브
660: 온수 재생수 출수로
665: 체크 밸브
680: 재생통 유로
700: 재생통
800: 냉수 드레인
810: 냉수 린스 출수로
820: 드레인
890: 냉수 린스 밸브
900: 온수 드레인
910: 온수 린스 출수로
990: 온수 린스 밸브
1010: 상부 커버
1011: 제어 패널
1020: 하부 커버
1021: 성능 표시부
1022: 재생중 표시부
1023: 배터리 표시부
1100: 제어부
1110: 타이머

Claims (10)

  1. 연수기의 케어 모드 수행 방법으로서,
    (a) 수전구로부터 상기 연수기로 원수의 공급을 차단하는 단계(S100); 및
    (b) 상기 연수기 내부의 유로에 형성된 압력을 해제하기 위해, 상기 유로를 드레인시키는 단계(S200); 를 포함하는,
    케어 모드 수행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 이후,
    (c) 관리자가, 상기 연수기 내부에 구비된 배터리 또는 재생제 교체를 포함하는 연수기의 정비 과정을 수행하는 단계(S300); 를 더 포함하는,
    케어 모드 수행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수기는,
    케어 버튼;
    상기 수전구로부터 상기 연수기로의 원수 공급을 제어하는 제 1 밸브;
    상기 연수기 내부 유로의 드레인을 제어하는 제 2 밸브; 및
    상기 제 1 밸브 및 제 2 밸브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형성된 제어부(1100); 를 포함하며,
    상기 (a) 단계 전에,
    (a0) 상기 케어 버튼을 누르는 단계(S10);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케어 버튼을 누르면,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100)가 상기 제 1 밸브를 폐쇄하고,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1100)가 상기 제 2 밸브를 개방하는,
    케어 모드 수행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a0) 단계에서,
    상기 케어 버튼을 누르면, 상기 연수기의 외면에 형성된 성능 표시부(1021)에서, 현재 케어 모드 수행 중임을 표시하는,
    케어 모드 수행 방법.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연수기는,
    냉수 탱크(200);
    온수 탱크(400);
    상기 냉수 탱크(200) 및 온수 탱크(400)로 유입되는 총 누적 유량을 각각 실시간으로 확인하는 유량 센서(130, 330); 및
    상기 냉수 탱크(200) 및 온수 탱크(400)의 마지막 재생이 수행된 시간으로부터의 도과 시간을 실시간으로 확인하는 타이머(1110); 를 더 포함하고,
    상기 (a0) 단계에서, 상기 케어 버튼을 누르면,
    상기 유량 센서(130, 330)의 총 누적 유량 및 상기 타이머(1110)의 마지막 재생이 수행된 시간으로부터의 도과 시간이 초기화되어 정지하는,
    케어 모드 수행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 이후에, 케어 모드 수행이 완료되어, 케어 모드가 해제되면,
    상기 유량 센서(130, 330)의 총 누적 유량 및 상기 타이머(1110)의 마지막 재생이 수행된 시간으로부터의 도과 시간 연산이 초기화된 값으로부터 다시 진행되는,
    케어 모드 수행 방법.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연수기는,
    냉수 입수부(100);
    상기 냉수 입수부(100)에서 냉수를 공급받아 이온교환하여 출수하는 냉수 탱크(200);
    온수 입수부(300);
    상기 온수 입수부(300)에서 온수를 공급받아 이온교환하여 출수하는 온수 탱크(400);
    일단이 상기 냉수 탱크(200)에 연결되고 타단이 드레인(820)에 연결되는 냉수 드레인(800);
    일단이 상기 온수 탱크(400)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드레인(820)에 연결되는 온수 드레인(900);
    상기 냉수 입수부(100)에 위치하는 냉수 밸브(190);
    상기 온수 입수부(300)에 위치하는 온수 밸브(390);
    상기 재생 유로(500)에 위치하는 재생 공급 밸브(590);
    상기 냉수 드레인(800)에 위치하는 냉수 린스 밸브(890); 및
    상기 온수 드레인(900)에 위치하는 온수 린스 밸브(99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 1 밸브는, 상기 냉수 밸브(190) 및 온수 밸브(390)이고,
    상기 제 2 밸브는, 상기 냉수 린스 밸브(890) 및 온수 린스 밸브(990)인,
    케어 모드 수행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냉수 밸브(190), 온수 밸브(390), 재생 공급 밸브(590), 냉수 린스 밸브(890) 및 온수 린스 밸브(990)는, 모두 랫치 밸브(latch valve)이며, 상기 제어부(1100)에서 발생되는 전기적 신호에 의해 개폐가 동작되는,
    케어 모드 수행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1100), 냉수 밸브(190), 온수 밸브(390), 재생 공급 밸브(590), 냉수 린스 밸브(890) 및 온수 린스 밸브(990)는, 모두 상기 연수기 내부에 구비된 배터리를 전원으로 동작하는,
    케어 모드 수행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연수기의 외면에는, 상기 배터리의 잔량을 표시하는 배터리 표시부(1023)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배터리 표시부(1023)는, 표시된 상기 배터리의 잔량이 소정의 값 이하일 경우에 상기 배터리의 교체 알람을 표시하는,
    케어 모드 수행 방법.
KR1020170124349A 2017-09-26 2017-09-26 연수기의 케어 모드 수행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연수기 KR1026423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4349A KR102642328B1 (ko) 2017-09-26 2017-09-26 연수기의 케어 모드 수행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연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4349A KR102642328B1 (ko) 2017-09-26 2017-09-26 연수기의 케어 모드 수행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연수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5298A true KR20190035298A (ko) 2019-04-03
KR102642328B1 KR102642328B1 (ko) 2024-03-04

Family

ID=661651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4349A KR102642328B1 (ko) 2017-09-26 2017-09-26 연수기의 케어 모드 수행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연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232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3670A (ko) * 1997-06-26 1999-01-15 배순훈 연수재생장치가 내장된 연수기
JP2002035744A (ja) * 2000-07-27 2002-02-05 Hitachi Chem Co Ltd 軟水化装置
JP2011110503A (ja) * 2009-11-27 2011-06-09 Noritz Corp 軟水器
KR20140113161A (ko) * 2013-03-15 2014-09-24 주식회사 영원코퍼레이션 단일 재생조 입출수구를 구비한 연수기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3670A (ko) * 1997-06-26 1999-01-15 배순훈 연수재생장치가 내장된 연수기
JP2002035744A (ja) * 2000-07-27 2002-02-05 Hitachi Chem Co Ltd 軟水化装置
JP2011110503A (ja) * 2009-11-27 2011-06-09 Noritz Corp 軟水器
KR20140113161A (ko) * 2013-03-15 2014-09-24 주식회사 영원코퍼레이션 단일 재생조 입출수구를 구비한 연수기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42328B1 (ko) 2024-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81407B1 (ko) 재생통, 냉수 탱크 및 온수 탱크를 연결하는 커넥터를 포함하는 연수기 및 그 제어 방법
US9139451B2 (en) Washing device for water treatment apparatus and washing method thereof
JP2012528000A5 (ko)
US9096446B2 (en) Water purifying apparatus having cleaning system
KR101486478B1 (ko) 단일 재생조 입출수구를 구비한 연수기 시스템
CN209567847U (zh) 软水器的可分离的再生桶及包括其的软水器
KR20190035298A (ko) 연수기의 케어 모드 수행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연수기
KR102592788B1 (ko) 연수기의 재생 수행 방법
KR102592789B1 (ko) 특정 탱크만 에어 제거를 수행하도록 형성된 연수기
KR102581408B1 (ko) 재생수 생성 횟수에 따른 재생수의 염도 유지 방법
KR102592787B1 (ko) 재생수의 염도 유지 방법
JP2003117550A (ja) 水道水軟水化装置
KR102581406B1 (ko) 부품 교체가 용이한 구조를 갖는 연수기
KR101595571B1 (ko) 중력식 자동 재생 연수기 및 중력식 자동 재생 연수기의 자동 재생 방법
KR20080005511U (ko) 연수기의 재생장치
KR100193957B1 (ko) 연수기의 배관 시스템
JP2015166067A (ja) イオン交換装置
EP0803473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KR101164161B1 (ko) 수처리 기기의 세척방법
JP6971630B2 (ja) 水処理装置及び水処理方法
KR200365639Y1 (ko) 연수기
JP2003334549A (ja) 水道水軟水化装置
JP2020039992A (ja) 軟水器
US11655904B1 (en) Valve control system
KR20190013283A (ko) 연수기 및 이의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