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16741A - 부유식구조물 - Google Patents

부유식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16741A
KR20240016741A KR1020220094868A KR20220094868A KR20240016741A KR 20240016741 A KR20240016741 A KR 20240016741A KR 1020220094868 A KR1020220094868 A KR 1020220094868A KR 20220094868 A KR20220094868 A KR 20220094868A KR 20240016741 A KR20240016741 A KR 202400167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ll
wire
lashing
cells
lo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948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주신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948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16741A/ko
Publication of KR202400167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1674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28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deck lo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24Means for preventing unwanted cargo movement, e.g. dunn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28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deck loads
    • B63B2025/285Means for securing deck containers against unwanted movemen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Rigid Containers With Two Or More Constituent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유식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 개의 적재물이 적재되는 선체; 및 상기 복수 개의 적재물을 지지하는 래싱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래싱조립체는, 하나 이상의 로어셀, 하나 이상의 미들셀 및 하나 이상의 어퍼셀을 구비하는 래싱프레임; 및 상기 하나 이상의 로어셀, 상기 하나 이상의 미들셀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어퍼셀 중 하나 이상을 가로지르도록 상기 래싱프레임에 연결된 래싱와이어유닛을 포함하는, 부유식구조물이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부유식구조물{FLOATING STRUCTURE}
본 발명은 부유식구조물에 대한 발명이다.
부유식구조물은 WTIV(Wind Turbine Installation Vessel) 또는 컨테이너선(container ship)을 포함할 수 있다. WTIV는 육상에서 제작된 해상 풍력 발전기를 해상으로 이동시켜 해상에 해상 풍력 발전기를 설치하는 선박을 말한다. 컨테이너선은 복수 개의 컨테이너를 운반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선박을 말한다.
일반적인 컨테이너선의 경우, 데크에 복수 개의 컨테이너가 적재되고, 복수 개의 컨테이너는 래싱브리지(lashing bridge)라는 구조물에 의해 지지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래싱브리지는 상측의 탑 부분에서만 상측에 적재된 컨테이너를 별도의 와이어 등으로 연결할 뿐, 중앙부 및 하부에 적재된 컨테이너에는 별도로 와이어를 연결하지 않았다. 따라서, 바람이나 파도에 의해 선박이 요동되는 경우, 컨테이너가 외부로 무너져 내려 대형사고가 초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기존의 래싱브리지는 수평방향의 프레임 및 수직방향의 프레임만으로 구성될 뿐, 래싱브리지 자체의 지지력을 강화할 수 있는 추가적인 구성은 찾아볼 수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바람이나 파도에 의해 선박이 요동되어 컨테이너가 외부로 무너지는 경우, 래싱브리지가 파손되는 문제점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은 상기와 같은 배경에 착안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로어미들와이어로 로어셀과 미들셀을 서로 결속하여 로어셀 및 미들셀의 지지력이 강화될 수 있고, 어퍼와이어 및 탑와이어로 어퍼셀 및 탑셀을 결속하여 어퍼셀 및 탑셀의 지지력이 강화될 수 있는 부유식구조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복수 개의 적재물이 적재되는 선체; 및 상기 복수 개의 적재물을 지지하는 래싱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래싱조립체는, 하나 이상의 로어셀, 하나 이상의 미들셀 및 하나 이상의 어퍼셀을 구비하는 래싱프레임; 및 상기 하나 이상의 로어셀, 상기 하나 이상의 미들셀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어퍼셀 중 하나 이상을 가로지르도록 상기 래싱프레임에 연결된 래싱와이어유닛을 포함하는, 부유식구조물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래싱와이어유닛은, 상기 로어셀과 상기 미들셀을 결속시키는 로어미들와이어를 포함하고,
상기 로어미들와이어는, 상기 미들셀의 중앙 상단부로부터 상기 로어셀의 일측 하단부로 연장되는 제1 로어미들와이어; 및 상기 제1 로어미들와이어와 대향되도록, 상기 미들셀의 중앙 상단부로부터 상기 로어셀의 타측 하단부로 연장되는 제2 로어미들와이어를 포함하는, 부유식구조물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래싱와이어유닛은, 상기 어퍼셀 상에 배치되는 어퍼와이어를 포함하고, 상기 어퍼와이어는, 상기 어퍼셀의 일측 상단부로부터 타측 하단부로 연장되는 제1 어퍼와이어; 및 상기 제1 어퍼와이어와 교차되도록, 상기 어퍼셀의 타측 상단부로부터 일측 하단부로 연장되는 제2 어퍼와이어를 포함하는, 부유식구조물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로어셀과 상기 미들셀을 결속시키는 브레이스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브레이스유닛은, 상기 미들셀의 일측 상단부로부터 상기 로어셀의 타측 하단부로 연장되는, 부유식구조물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래싱조립체는, 상기 상부에 배치된 적재물 중 일측에 배치된 적재물을 지지하도록 상기 어퍼셀의 상측이면서 상기 일측에 배치되는 탑셀을 더 포함하는, 부유식구조물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래싱조립체와 상기 적재물에 연결되는 커넥팅와이어유닛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커넥팅와이어유닛은, 상기 로어셀과 상기 적재물 중 하부에 배치된 적재물에 연결되는 로어커넥팅와이어; 상기 미들셀과 상기 적재물 중 중앙부에 배치된 적재물에 연결되는 미들커넥팅와이어; 및 상기 어퍼셀과 상기 적재물 중 상부에 배치된 적재물에 연결되는 어퍼커넥팅와이어를 포함하는, 부유식구조물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래싱조립체는 복수 개가 제공되며, 복수 개의 상기 래싱조립체는 복수 개의 상기 적재물의 전방측 및 후방측에 배치되며, 상기 전방측 및 상기 후방측에 배치되는 상기 래싱조립체는, 복수 개가 좌우 방향으로 서로 대향되도록 소정의 이격거리로 이격 배치되는, 부유식구조물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은 복수 개의 래싱조립체를 서로 소정의 이격거리로 이격 배치함으로써, 각각의 래싱조립체를 복수 개의 적재물 사이에 배치하기가 용이하며, 적재물의 하중이 복수 개의 래싱조립체 전체에 가해지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로어미들와이어로 로어셀과 미들셀을 서로 결속하여 로어셀 및 미들셀의 지지력이 강화될 수 있고, 어퍼와이어 및 탑와이어로 어퍼셀 및 탑셀을 결속하여 어퍼셀 및 탑셀의 지지력이 강화될 수 있다.
또한, 어퍼셀 및 어퍼와이어의 개수를 증가시켜 어퍼셀이 브레이스유닛에 의해 지지되지 않더라도 어퍼셀의 지지력이 강화될 수 있다.
또한, 브레이스유닛으로 로어셀과 미들셀을 결속하여, 로어셀과 미들셀의 지지력이 더욱 강화될 수 있다.
또한, 중량을 가지는 브레이스유닛으로 로어셀과 미들셀만을 결속함으로써, 래싱조립체 전체의 하중이 감소될 수 있다.
또한, 로어커넥팅와이어, 미들커넥팅와이어 및 어퍼커넥팅와이어로 하부, 중앙부 및 상부에 적재된 컨테이너를 연결함으로써, 래싱조립체가 컨테이너를 보다 견고히 지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구조물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구조물의 래싱조립체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구조물의 래싱조립체에 대한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구조물의 래싱조립체에 대한 측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지지'된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지지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로 사용된 것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상측, 하측, 측면 등의 표현은 도면에 도시를 기준으로 설명한 것이며 해당 대상의 방향이 변경되면 다르게 표현될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마찬가지의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또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해당 구성요소들은 이와 같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들을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구조물(1)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부유식구조물(1)은 WTIV(Wind Turbine Installation Vessel) 또는 컨테이너선(container ship)을 포함할 수 있다. WTIV는 육상에서 제작된 해상 풍력 발전기를 해상으로 이동시켜 해상에 해상 풍력 발전기를 설치하는 선박을 말한다. 컨테이너선은 복수 개의 컨테이너를 운반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선박을 말한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 부유식구조물(1)은 컨네이너선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이러한 부유식구조물(1)은 선체(10) 및 래싱조립체(20)를 포함할 수 있다.
선체(10)는 선박의 몸체를 말한다. 선체(10)는 전후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선체(10)는 데크(deck)를 포함하며, 데크에는 복수 개의 대상물(일 예로 컨테이너(C))이 적재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복수 개의 컨테이너(C)는 복수 개의 단(일 예로 1단 내지 4단)으로 적재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컨테이너(C)는 전후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전후방향으로 배치된 복수 개의 컨테이너(C) 사이에는 컨테이너(C)를 지지하는 복수 개의 래싱조립체(20)가 배치될 수 있다.
래싱조립체(20)는 복수 개가 제공될 수 있으며, 복수 개의 컨테이너(C)의 전방측 및 후방측에 배치되어 컨테이너(C)를 지지할 수 있다. 래싱조립체(20)는 후술할 커넥팅와이어유닛(400)에 의해 복수 개의 컨테이너(C)와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테이너(C)의 전방측에 배치되는 래싱조립체(20a1, 20b1) 및 후방측에 배치되는 래싱조립체(20a2, 20b2)는 복수 개가 좌우 방향으로 서로 대향되도록 소정의 이격거리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좌측에 배치된 래싱조립체(20a1, 20a2)와 우측에 배치된 래싱조립체(20b1, 20b2)가 서로 소정의 이격거리로 이격 배치되면, 외부로부터 각각의 래싱조립체(20)를 복수 개의 적재물(c) 사이에 배치하기가 용이하며, 복수 개의 적재물(c) 중 일부가 기울어지더라도 복수 개의 래싱조립체(20) 전체에 하중이 가해지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이러한, 래싱조립체(20)는 래싱프레임(100), 래싱와이어유닛(200), 브레이스유닛(300) 및 커넥팅와이어유닛(400)을 포함할 수 있다.
래싱프레임(100)은 래싱조립체(20)를 지지하며, 래싱조립체(20)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래싱프레임(100)은 복수 개의 수평방향프레임(101) 및 수직방향프레임(10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래싱프레임(100)은 수평방향프레임(101) 및 수직방향프레임(102)에 의해 구획되는 복수 개의 로어셀(110), 미들셀(120), 어퍼셀(130) 및 탑셀(140)을 포함할 수 있다.
수평방향프레임(101)은 로어셀(110), 미들셀(120), 어퍼셀(130) 및 탑셀(140)을 지지하도록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 개의 프레임일 수 있다. 또한, 수평방향프레임(101)에는, 사용자가 걸을 수 있도록 발판의 역할을 하는 소정의 폭을 가지며 좌우방향(도 2에서 좌우방향)으로 연장되는 판상의 플레이트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수평방향프레임(101)은 복수 개의 제1 수평방향프레임(101a1), 제2 수평방향프레임(101a2), 제3 수평방향프레임(101a3), 제4 수평방향프레임(101a4) 및 제5 수평방향프레임(101a5)을 포함할 수 있다.
수직방향프레임(102)은 로어셀(110), 미들셀(120), 어퍼셀(130) 및 탑셀(140)을 지지하도록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 개의 프레임일 수 있다. 이러한, 수직방향프레임(102)은 복수 개의 제1 수직방향프레임(102a1), 제2 수직방향프레임(102a2), 제3 수직방향프레임(102a3) 및 제4 수직방향프레임(102a4)을 포함할 수 있다.
로어셀(110)은 적재물(c) 중 하부에 배치된 적재물(c1)을 지지할 수 있다. 이러한 로어셀(110)은 제1 수평방향프레임(101a1), 제2 수평방향프레임(101a2) 및 제1 수직방향프레임(102a1)에 의해 구획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로어셀(110)은 직사각의 형상을 가지도록,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수평방향프레임(101a1), 제2 수평방향프레임(101a2) 및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수직방향프레임(102a1)에 의해 구획될 수 있다. 한편, 도 2 및 도 3을 정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로어셀(110)의 단면적은 2개의 컨테이너(C)가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었을 때의 2개의 컨테이너(C)의 전면(前面)이 차지하는 면적과 대응되는 면적일 수 있다.
미들셀(120)은 적재물(c) 중 중앙부에 배치된 적재물(c2)을 지지할 수 있다. 이러한 미들셀(120)은 제2 수평방향프레임(101a2), 제3 수평방향프레임(101a3) 및 제2 수직방향프레임(102a2)에 의해 구획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들셀(120)은 직사각의 형상을 가지도록,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수평방향프레임(101a2), 제3 수평방향프레임(101a3) 및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수직방향프레임(102a2)에 의해 구획될 수 있다. 이러한, 미들셀(210)은 로어셀(110)보다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도 2 및 도 3을 정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미들셀(210)의 단면적은 로어셀(110)의 단면적과 대응될 수 있다.
어퍼셀(130)은 적재물(c) 중 상부에 배치된 적재물(c3)을 지지할 수 있다. 이러한 어퍼셀(130)은 제3 수평방향프레임(101a3), 제4 수평방향프레임(101a4) 및 제3 수직방향프레임(102a3)에 의해 구획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어퍼셀(130)은 정사각의 형상을 가지도록,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제3 수평방향프레임(101a3), 제4 수평방향프레임(101a4) 및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제3 수직방향프레임(102a3)에 의해 구획될 수 있다. 이러한 어퍼셀(310)은 미들셀(210)보다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도 2 및 도 3을 정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어퍼셀(310)의 단면적은 1개의 컨테이너(C)의 전면이 차지하는 면적과 대응되는 면적일 수 있다.
어퍼셀(310)의 단면적은 로어셀(110) 또는 미들셀(210)의 단면적보다 작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어퍼셀(310)의 단면적은 로어셀(110) 또는 미들셀(210)의 단면적의 1/2 일 수 있다. 어퍼셀(310)의 개수가 로어셀(110) 또는 미들셀(210)의 개수보다 많으면, 어퍼셀(310)이 브레이스유닛(300)에 의해 지지되지 않더라도 어퍼셀(310) 자체의 지지력이 증가될 수 있다.
탑셀(140)은 상부에 배치된 적재물(c3)의 상측에 추가 적재되는 적재물(미도시, 4단으로 적재된 적재물) 중 일측에 배치된 적재물을 지지할 수 있다. 이러한 탑셀(140)은 제4 수평방향프레임(101a4), 제5 수평방향프레임(101a5) 및 제4 수직방향프레임(102a4)에 의해 구획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탑셀(140)은 정사각의 형상을 가지도록,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제4 수평방향프레임(101a4), 제5 수평방향프레임(101a5) 및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제4 수직방향프레임(102a4)에 의해 구획될 수 있다.
탑셀(140)은 어퍼셀(310)의 상측이면서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탑셀(140)은 좌우로 배치된 복수 개의 래싱조립체(20)에서, 좌측에 배치된 어퍼셀(310)의 좌측 끝단 및 우측에 배치된 어퍼셀(310)의 우측 끝단에 배치될 수 있다. 복수 개로 적재된 컨테이너(C)의 경우, 좌우 양측의 컨테이너(C)가 외부로 이탈될 수 있으므로, 탑셀(140)에 의해 추가적으로 4단으로 적재된 적재물이 지지될 수 있다.
도 3을 다시 참조하면, 래싱와이어유닛(200)은 로어셀(110), 미들셀(120), 어퍼셀(130) 및 탑셀(140) 중 하나 이상을 결속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해, 래싱와이어유닛(200)에 의해 로어셀(110), 미들셀(120), 어퍼셀(130) 및 탑셀(140)의 지지력이 강화될 수 있다. 이러한, 래싱와이어유닛(200)은 로어미들와이어(210), 어퍼와이어(220) 및 탑와이어(230)를 포함할 수 있다.
로어미들와이어(210)는 로어셀(110) 및 미들셀(120)를 서로 결속할 수 있다. 이에, 로어셀(110) 및 미들셀(120)의 지지력이 강화될 수 있다. 로어미들와이어(210)는 금속소재의 와이어(wire)나 로드(rod)일 수 있다. 이러한, 로어미들와이어(210)는 제1 로어미들와이어(211) 및 제2 로어미들와이어(2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로어미들와이어(211)는 미들셀(210)의 중앙 상단부로부터 하측에 배치된 로어셀(110)의 일측(도 3에서 좌측) 하단부로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로어미들와이어(211)는 좌측 하방 및 우측 상방을 향해 경사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2 로어미들와이어(212)는 제1 로어미들와이어(211)와 대향되도록, 미들셀(210)의 중앙 상단부로부터 하측에 배치된 로어셀(110)의 타측(도 3에서 우측) 하단부로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로어미들와이어(212)는 우측 하방 및 좌측 상방을 향해 경사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 로어미들와이어(211) 및 제2 로어미들와이어(212)에 의해 경사방향으로 미들셀(210) 및 로어셀(110)이 결속됨으로써, 로어셀(110) 및 미들셀(120)의 지지력이 강화될 수 있다.
어퍼와이어(220)는 어퍼셀(130)를 결속할 수 있다. 이에, 어퍼셀(130)의 지지력이 강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어퍼와이어(220)는 어퍼셀(310)의 일측 모서리로부터 타측 모서리에 연결되어 어퍼셀(310) 자체의 지지력이 강화될 수 있다. 어퍼와이어(220)는 금속소재의 와이어나 로드일 수 있다. 이러한, 어퍼와이어(220)는 제1 어퍼와이어(221) 및 제2 어퍼와이어(2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어퍼와이어(221)는 어퍼셀(310)의 일측(도 3에서 좌측) 상단부로부터 타측(도 3에서 우측) 하단부로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어퍼와이어(221)는 우측 하방 및 좌측 상방을 향해 경사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2 어퍼와이어(222)는 제1 어퍼와이어(221)와 교차되도록, 어퍼셀(310)의 타측 상단부로부터 일측 하단부로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어퍼와이어(222)는 좌측 하방 및 우측 상방을 향해 경사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 어퍼와이어(221) 및 제2 어퍼와이어(222)에 의해 X 형상을 가지도록 경사방향으로 어퍼셀(310)이 지지됨으로써, 어퍼셀(310) 자체의 지지력이 강화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어퍼셀(310)의 개수는 로어셀(110) 또는 미들셀(210)의 개수보다 많고, 어퍼와이어(220)의 개수 역시 로어미들와이어(210)의 개수보다 많을 수 있다. 어퍼셀(310)을 지지하는 어퍼와이어(220)의 개수가 많으면, 어퍼셀(310)이 브레이스유닛(300)에 의해 지지되지 않더라도 어퍼셀(310) 자체의 지지력이 강화될 수 있다.
탑와이어(230)는 탑셀(140)을 결속할 수 있다. 이에, 탑셀(140)의 지지력이 강화될 수 있다. 탑와이어(230)는 금속소재의 와이어나 로드일 수 있다. 이러한 탑와이어(230)는 제1 탑와이어(231) 및 제2 탑와이어(23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탑와이어(231)는 탑셀(140)의 일측(도 3에서 좌측) 상단부로부터 타측(도 3에서 우측) 하단부로 연장될 수 있다. 제2 탑와이어(232)는 제1 탑와이어(231)와 교차되도록, 탑셀(140)의 타측 상단부로부터 일측 하단부로 연장될 수 있다. 제1 탑와이어(231) 및 제2 탑와이어(232)에 의해 X 형상을 가지도록 경사방향으로 탑셀(140)이 지지됨으로써, 탑셀(140) 자체의 지지력이 강화될 수 있다.
브레이스유닛(300)은 로어셀(110)과 미들셀(210)을 결속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로어미들와이어(210)에 의해, 로어셀(110) 및 미들셀(120)의 지지력이 강화될 수 있으나, 추가로 브레이스유닛(300)으로 로어셀(110)과 미들셀(210)을 결속함으로써, 로어셀(110)과 미들셀(210)의 지지력을 더욱 강화시킬 수 있다. 이러한, 브레이스유닛(300)은 제1 브레이스(310), 제2 브레이스(320) 및 브레이스브라켓(33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브레이스(310)는 미들셀(210)의 일측 상단부로부터 로어셀(110)의 타측(도 4에서 좌측) 하단부로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브레이스(310)는 좌측 하방 및 우측 상방을 향해 경사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2 브레이스(320)는, 제1 브레이스(310)와 대향되도록, 미들셀(210)의 일측 상단부로부터 로어셀(110)의 일측(도 4에서 우측) 하단부로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브레이스(320)는 우측 하방 및 좌측 상방을 향해 경사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 브레이스(310) 및 제2 브레이스(320)가 수평면으로부터 상방으로 경사진 각도는 제1 로어미들와이어(211) 및 제2 로어미들와이어(212)가 수평면으로부터 상방으로 경사진 각도보다 작을 수 있다. 제1 브레이스(310) 및 제2 브레이스(320)가 수평면으로부터 상방으로 경사진 각도가 작게 배치되면, 좌우로 배치된 복수 개의 로어셀(110) 중 더 많은 개수의 로어셀(110)을 지지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제1 브레이스(310) 및 제2 브레이스(320)는 금속 소재의 플레이트일 수 있다. 제1 브레이스(310) 및 제2 브레이스(320)의 상단부는 브레이스브라켓(33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제1 브레이스(310) 및 제2 브레이스(320)의 상단부는 미들셀(210)의 상단부에 배치될 수도 있다.
브레이스브라켓(330)에는, 제1 브레이스(310) 및 제2 브레이스(320)의 상단부가 지지될 수 있다. 브레이스브라켓(330)은 어퍼셀(310)에 상하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1 브레이스(310) 및 제2 브레이스(320)는 중량을 가지는 금속 플레이트일 수 있으므로, 브레이스브라켓(330)으로 제1 브레이스(310) 및 제2 브레이스(320)를 추가로 지지하여, 미들셀(210)의 상단부에 가해질 수 있는 하중을 분산시킬 수 있다.
도 2 및 도 5를 다시 참조하면, 커넥팅와이어유닛(400)은 래싱조립체(20)와 적재물(c)에 연결되어 적재물(c)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커넥팅와이어유닛(400)은 로어커넥팅와이어(410), 미들커넥팅와이어(420) 및 어퍼커넥팅와이어(430)를 포함할 수 있다.
로어커넥팅와이어(410)는 로어셀(110)과 하부에 배치된 적재물(c1)에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로어커넥팅와이어(410)는 복수 개가 제공될 수 있으며, 복수 개의 로어커넥팅와이어(410)는 서로 교차되도록 하부에 배치된 복수 개의 적재물(c1)의 상부에 연결될 수 있다.
미들커넥팅와이어(420)는 미들셀(210)과 중앙부에 배치된 적재물(c2)에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미들커넥팅와이어(420)는 복수 개가 제공될 수 있으며, 복수 개의 미들커넥팅와이어(420)는 서로 교차되도록 중앙부에 배치된 복수 개의 적재물(c2)의 상부에 연결될 수 있다.
어퍼커넥팅와이어(430)는 어퍼셀(310)과 상부에 배치된 적재물(c3)에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어퍼커넥팅와이어(430)는 복수 개가 제공될 수 있으며, 복수 개의 어퍼커넥팅와이어(430)는 서로 교차되도록 상부에 배치된 복수 개의 적재물(c3)의 상부에 연결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부유식구조물(1)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선체(10)의 데크에 복수 개의 컨테이너(C)를 전후방향으로 배치되도록 복수 개의 단(일 예로 1단 내지 4단)으로 적재한다. 크레인 등을 이용하여 전후방향으로 배치된 복수 개의 컨테이너(C) 사이와 전방측 및 후방측에 복수 개의 래싱조립체(20)를 배치한다. 이 경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에 배치된 래싱조립체(20a1, 20a2)와 우측에 배치된 래싱조립체(20b1, 20b2)를 서로 소정의 이격거리로 이격 배치한다. 이후, 로어커넥팅와이어(410), 미들커넥팅와이어(420) 및 어퍼커넥팅와이어(430)를 각각 로어셀(110)과 하부에 배치된 적재물(c1), 미들셀(210)과 중앙부에 배치된 적재물(c2) 및 어퍼셀(310)과 상부에 배치된 적재물(c3)에 연결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부유식구조물(1)은, 복수 개의 래싱조립체(20a, 20b)를 서로 소정의 이격거리로 이격 배치함으로써, 각각의 래싱조립체(20a, 20b)를 복수 개의 적재물(c) 사이에 배치하기가 용이하다. 이에, 적재물(c)의 하중이 복수 개의 래싱조립체(20a, 20b) 전체에 가해지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로어미들와이어(210)로 로어셀(110)과 미들셀(210)을 서로 결속하여 로어셀(110) 및 미들셀(120)의 지지력이 강화될 수 있고, 어퍼와이어(220) 및 탑와이어(230)로 어퍼셀(310) 및 탑셀(140)을 결속하여 어퍼셀(130) 및 탑셀(140)의 지지력이 강화될 수 있다.
또한, 어퍼셀(310) 및 어퍼와이어(220)의 개수를 증가시켜 어퍼셀(310)이 브레이스유닛(300)에 의해 지지되지 않더라도 어퍼셀(310)의 지지력이 강화될 수 있다.
또한, 브레이스유닛(300)으로 로어셀(110)과 미들셀(210)을 결속하여, 로어셀(110)과 미들셀(210)의 지지력이 더욱 강화될 수 있다.
또한, 중량을 가지는 브레이스유닛(300)으로 로어셀(110)과 미들셀(210)만을 결속함으로써, 래싱조립체(20) 전체의 하중이 감소될 수 있다.
또한, 로어커넥팅와이어(410), 미들커넥팅와이어(420) 및 어퍼커넥팅와이어(430)로 하부, 중앙부 및 상부에 적재된 컨테이너(C)를 연결함으로써, 래싱조립체(20)가 컨테이너(C)를 보다 견고히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바람이나 파도에 의해 선박이 요동되더라도 컨테이너(C)가 외부로 무너져 내리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구체적인 실시 형태로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 것이며,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에 따르는 최광의 범위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당업자는 개시된 실시형태들을 조합/치환하여 적시되지 않은 형상의 패턴을 실시할 수 있으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다. 이외에도 당업자는 본 명세서에 기초하여 개시된 실시형태를 용이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변경 또는 변형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명백하다.
1: 부유식구조물 10: 선체
20: 래싱조립체 100: 래싱프레임
101: 수평방향프레임 101a1: 제1 수평방향프레임
101a2: 제2 수평방향프레임 101a3: 제3 수평방향프레임
101a4: 제4 수평방향프레임 101a5: 제5 수평방향프레임
102: 수직방향프레임 102a1: 제1 수직방향프레임
102a2: 제2 수직방향프레임 102a3: 제3 수직방향프레임
102a4: 제4 수직방향프레임 110: 로어셀
120; 미들셀 130: 어퍼셀
140: 탑셀 200: 래싱와이어유닛
210: 로어미들와이어 211: 제1 로어미들와이어
212: 제2 로어미들와이어 220: 어퍼와이어
221: 제1 어퍼와이어 222: 제2 어퍼와이어
230: 탑와이어 231: 제1 탑와이어
232: 제2 탑와이어 300: 브레이스유닛
310: 제1 브레이스 320: 제2 브레이스
330: 브레이스브라켓 400: 커넥팅와이어유닛
410: 로어커넥팅와이어 420: 미들커넥팅와이어
430: 어퍼커넥팅와이어 C: 적재물

Claims (7)

  1. 복수 개의 적재물이 적재되는 선체; 및
    상기 복수 개의 적재물을 지지하는 래싱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래싱조립체는,
    하나 이상의 로어셀, 하나 이상의 미들셀 및 하나 이상의 어퍼셀을 구비하는 래싱프레임; 및
    상기 하나 이상의 로어셀, 상기 하나 이상의 미들셀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어퍼셀 중 하나 이상을 가로지르도록 상기 래싱프레임에 연결된 래싱와이어유닛을 포함하는,
    부유식구조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래싱와이어유닛은, 상기 로어셀과 상기 미들셀을 결속시키는 로어미들와이어를 포함하고,
    상기 로어미들와이어는,
    상기 미들셀의 중앙 상단부로부터 상기 로어셀의 일측 하단부로 연장되는 제1 로어미들와이어; 및
    상기 제1 로어미들와이어와 대향되도록, 상기 미들셀의 중앙 상단부로부터 상기 로어셀의 타측 하단부로 연장되는 제2 로어미들와이어를 포함하는,
    부유식구조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래싱와이어유닛은, 상기 어퍼셀 상에 배치되는 어퍼와이어를 포함하고,
    상기 어퍼와이어는,
    상기 어퍼셀의 일측 상단부로부터 타측 하단부로 연장되는 제1 어퍼와이어; 및
    상기 제1 어퍼와이어와 교차되도록, 상기 어퍼셀의 타측 상단부로부터 일측 하단부로 연장되는 제2 어퍼와이어를 포함하는,
    부유식구조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로어셀과 상기 미들셀을 결속시키는 브레이스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브레이스유닛은, 상기 미들셀의 일측 상단부로부터 상기 로어셀의 타측 하단부로 연장되는,
    부유식구조물.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래싱조립체는, 상기 상부에 배치된 적재물 중 일측에 배치된 적재물을 지지하도록 상기 어퍼셀의 상측이면서 상기 일측에 배치되는 탑셀을 더 포함하는,
    부유식구조물.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래싱조립체와 상기 적재물에 연결되는 커넥팅와이어유닛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커넥팅와이어유닛은,
    상기 로어셀과 상기 적재물 중 하부에 배치된 적재물에 연결되는 로어커넥팅와이어;
    상기 미들셀과 상기 적재물 중 중앙부에 배치된 적재물에 연결되는 미들커넥팅와이어; 및
    상기 어퍼셀과 상기 적재물 중 상부에 배치된 적재물에 연결되는 어퍼커넥팅와이어를 포함하는,
    부유식구조물.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래싱조립체는 복수 개가 제공되며,
    복수 개의 상기 래싱조립체는 복수 개의 상기 적재물의 전방측 및 후방측에 배치되며,
    상기 전방측 및 상기 후방측에 배치되는 상기 래싱조립체는, 복수 개가 좌우 방향으로 서로 대향되도록 소정의 이격거리로 이격 배치되는,
    부유식구조물.
KR1020220094868A 2022-07-29 2022-07-29 부유식구조물 KR2024001674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4868A KR20240016741A (ko) 2022-07-29 2022-07-29 부유식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4868A KR20240016741A (ko) 2022-07-29 2022-07-29 부유식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16741A true KR20240016741A (ko) 2024-02-06

Family

ID=898584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94868A KR20240016741A (ko) 2022-07-29 2022-07-29 부유식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1674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12041B1 (ko) 연안 구조물을 위한 부양 지지부
CN102438889B (zh) 用于超大型油轮的货舱结构
WO2021246305A1 (ja) コンテナ船の船首構造、コンテナ船及びコンテナ船の船首構造の設計方法
US20190023356A1 (en) Container Lashing Bridge
US20110236152A1 (en) Transportation platform and the combination thereof
KR20240016741A (ko) 부유식구조물
KR102605869B1 (ko) 래싱 브리지
CN1193912C (zh) 使波浪产生的运动减小的浮动结构
KR101322553B1 (ko) 캐리어 구조체를 갖는 컨테이너선
KR101984661B1 (ko) 선박
US20200317309A1 (en) Platform for floating type offshore structure having protrusion member and semi-submersible offshore structure including the same
US9168985B2 (en) Frame shaped submersible deck box structure comprising at least one structural module
CN115465420A (zh) 一种浮体平台
KR102605871B1 (ko) 래싱 브리지
KR101258924B1 (ko) 컨테이너 선박
KR20150011511A (ko) 컨테이너 선박
KR102432768B1 (ko) 횡동요 저감 탱크가 구비된 컨테이너선
KR101310977B1 (ko) 컨테이너선의 래싱 브리지
KR102605873B1 (ko) 래싱 브리지
KR101368671B1 (ko) 선박
KR20120044879A (ko) 선박용 컨테이너 적재 구조물
KR102567609B1 (ko) 구조강도 향상 및 중량절감형 부유식 해상풍력 구조물
KR102605872B1 (ko) 래싱 브리지
KR102605680B1 (ko) 래싱 브리지
CN218172504U (zh) 一种船上甲板室布置结构及大件运输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