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16217A - 신축식 급송기 - Google Patents

신축식 급송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16217A
KR20240016217A KR1020230097312A KR20230097312A KR20240016217A KR 20240016217 A KR20240016217 A KR 20240016217A KR 1020230097312 A KR1020230097312 A KR 1020230097312A KR 20230097312 A KR20230097312 A KR 20230097312A KR 20240016217 A KR20240016217 A KR 202400162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pe
feeder
duct
configuration
placement mach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973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슈테판 자이츠
게랄트 로텐회퍼
Original Assignee
에이에스엠피티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에스엠피티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filed Critical 에이에스엠피티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Publication of KR202400162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1621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4Mounting of components, e.g. of leadless components
    • H05K13/0417Feeding with belts or tapes
    • H05K13/0419Feeding with belts or tapes tape fee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6/00Unwinding, paying-out webs
    • B65H16/005Dispensers, i.e. machines for unwinding only parts of web ro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0/00Advancing webs
    • B65H20/20Advancing webs by web-penetrating means, e.g. pi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GBELTS, CABLES, OR ROPES, PREDOMINANTLY USED FOR DRIVING PURPOSES; CHAINS; FITTINGS PREDOMINANTLY USED THEREFOR
    • F16G13/00Chains
    • F16G13/12Hauling- or hoisting-chains so called ornamental chains
    • F16G13/16Hauling- or hoisting-chains so called ornamental chains with arrangements for holding electric cables, hoses, or the lik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2Feeding of componen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2Feeding of components
    • H05K13/022Feeding of components with orientation of the elemen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4Mounting of components, e.g. of leadless components
    • H05K13/0417Feeding with belts or tapes
    • H05K13/0421Feeding with belts or tapes with treatment of the terminal le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10Handled articles or webs
    • B65H2701/11Dimensional aspect of article or web
    • B65H2701/113Size
    • B65H2701/1133Size of webs
    • B65H2701/11332Size of webs strip, tape, narrow web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30Handled filamentary material
    • B65H2701/37Tap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pply And Installment Of Electrical Components (AREA)
  • Automatic Assembly (AREA)

Abstract

사용시에 픽업 영역으로부터 빈 부품 테이프를 수용하고 출구 경로를 따라서 이를 안내하기 위해 연장되는 테이프 덕트를 포함하는 배치 기계에 부품을 급송하기 위한 급송기가 개시되며; 테이프 덕트는 출구 경로가 픽업 영역으로부터 급송기의 베이스를 향해 이어지는 급송 구성과, 출구 경로가 베이스로부터 멀어지게 적어도 부분적으로 전환되는 후퇴 구성 사이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이동 가능하다.

Description

신축식 급송기{Retractable Feeder}
본 발명은 부품 테이프 내에 위치된 부품을 배치 기계에 급송하기 위한 급송기, 및 배치 기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소위 표면 실장 기술(SMT) 또는 배치 공정에서 전자 부품이 있는 인쇄 회로 기판(PCB), 기판 또는 워크피스와 같은 부품 캐리어를 장비하는 기술 분야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전자 서브조립체들의 생산은 전형적으로, 전자 부품을 자동화된 방식으로 부품 공급 디바이스로부터 제거하고 예를 들어 인쇄 회로 기판과 같은 부품 캐리어 상에 배치하는 소위 배치 또는 "픽 앤 플레이스" 기계를 사용하여 발생한다. 부품 공급 디바이스로부터 각각의 배치 위치로의 부품의 전달은 부품 취급 디바이스, 예를 들어 소위 배치 헤드에 의해 발생한다.
소형 전자 부품의 가장 일반적인 패키징은 작은 포켓이 그 안으로 형성되는 "벨트"로서 지칭되는 캐리어 테이프를 사용한다. 각각의 포켓에는 하나의 부품이 제공된다. 한 가지 유형의 부품만이 각각의 벨트에 위치된다. 공간을 절약하고 더 쉽게 운반하기 위해, 테이프는 일반적으로 스풀에 권취되는 것에 의해 릴로서 형성된다. 편의상,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이러한 테이프는 "부품 테이프"로서 지칭된다. 전형적으로, 테이프 릴은 급송기 모듈에 배치되고, 급송기 모듈은 테이프의 길이를 따라서 제공된 구멍들과 결합되는 모터-구동 핀-휠과 같은 부품 테이프를 전진 구동하기 위한 구동 수단, 및 부품에 대한 접근을 제공하는 픽업 영역 또는 윈도우를 포함한다. 급송기 모듈은 배치 기계에 제거 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고, 상호 협력하는 센터링/안내 메커니즘은 급송기와 배치 기계의 정확한 정렬을 보장하기 위해 급송기와 배치 기계 상에 제공될 수 있다. 또한, 호일 박리 메커니즘은 부품 포켓을 노출시키기 위해 부품 테이프로부터 커버-호일을 제거하기 위해 급송기에 제공되며, 이러한 호일-박리 메커니즘은 픽업 영역의 상류에 위치된다. 또한 테이프 커터는 빈 테이프의 섹션, 즉 부품이 기계에 의해 제거된 부품 테이프 섹션을 절단하기 위해 가장 일반적으로 배치 기계에 제공된다. 부품 테이프의 절단된 섹션들은 기계에 제공된 폐기물 용기로 전달될 수 있다.
예시적인 공지된 급송기(1)가 도 1의 측면도로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급송기(1)는 배치 기계(2)를 도시된 수평 X 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키는 것에 의해 배치 기계(2)와 결합되도록 이동되어서, 급송기(1)의 베이스(10)에 위치된 결합 섹션(8)은 배치 기계(2)의 상호 협력 섹션(도시되지 않음)과 결합된다. 도시된 Z 방향은 수직으로 정렬된다. 결합 섹션(8)은 예를 들어 배치 기계(2)와 결합되도록 이동함에 따라서 급송기(1)에 대한 센터링 및 안내를 제공하는 오메가 형상 섹션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 중인 급송기(1)는 테이프 스풀(4)로부터 픽업 영역(6)으로 부품 테이프(3)를 급송하고, 픽업 영역으로부터, 배치 기계(2)의 배치 헤드(도시되지 않음)가 부품 테이프(3)의 각각의 포켓으로부터 부품을 픽업할 수 있다. 빈 부품 테이프는 그런 다음 테이프 커터(7)로 급송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테이프 커터(7)는 배치 기계(2)의 일부이지만, 급송기(1) 자체에 위치될 수 있다. 급송 동안, 테이프 스프로킷 휠(5)은 기어 모터(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구동되며, 테이프 스프로킷 휠(5)의 톱니는 부품 테이프(3)에 제공된 대응하는 구멍과 결합된다. 이것은 결과적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테이프 스풀(4)로부터 픽업 영역(6)으로, 그런 다음 나서 베이스(10)를 향하여 테이프 커터(7) 상으로 테이프(3)를 당긴다. 대안적으로, 테이프를 구동하기 위한 모터가 전체 시스템에서 다른 곳에 제공될 수 있고, 예를 들어, 모터는 배치 기계(2) 자체 내에 위치될 수 있고, 테이프(3) 또는 테이프 스풀(4)과 직접 또는 예를 들어 기어 체인을 통해 결합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어느 경우에도, 구동 메커니즘은 전체적으로 "테이프 액추에이터"로서 지칭될 것이다.
또한 개략적으로 도시된 것은 부품 테이프(3)로부터 박리된 호일을 수집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 호일 스풀(9)이다. 호일 박리 및 수집 메커니즘은 당업계에 널리 공지되어 있으므로, 여기서는 더 설명되지 않는다.
라인에서 재료(즉, 부품 테이프)의 재충전뿐만 아니라 도구 재조정(즉, 다양한 급송기/카트리지의 끼워맞춤)은 현재 높은 수준의 인력 투입을 요구하는 수동 공정이다. 수년 동안, 재료 보충 및 전환을 자동화하기 위해 상당한 노력을 기울였다.
그러나,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이프 커터(7)는 일반적으로 픽업 영역(6)으로부터 상당한 거리에서 느슨한 단부(3')를 형성하기 위해 부품 테이프(3)를 절단하여서, 예를 들어, 급송기에서 연장되는 느슨한 테이프가 45 mm 이상 있을 수 있다는 문제가 이러한 공지된 장치에서 존재한다. 느슨한 테이프의 이러한 길이는 돌출되고, 그러므로 다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 섹션(8)을 방해하여 자동 급송기 교체를 방해할 수 있기 때문에 문제가 된다. 실제로, 공지된 시스템에서, 인간 조작자는 방해를 방지하기 위해 느슨한 테이프를 수동으로 절단하도록 요구받을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한 가지 방법은 테이프 커터(7)를 픽업 영역에 더 가깝게 장착하여, 돌출 길이가 대응하여 감소되도록 하는 것이다. 불행히도 실제로, 이러한 해결책은 제한된 설치 공간과 진동 분리의 필요성 때문에 불가능하다.
대안적인 해결책은 예를 들을 스풀(4)을 역방향으로 구동하는 것에 의해 돌출된 부품 테이프를 다시 급송기로 후퇴되거나 되감는 것이다. 그러나, 이것은 돌출된 테이프가 커버 호일을 제거했기 때문에 다시 문제가 되고, 호일은 되감기 전이나 도중에 부품 테이프에 다시 배치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고, 느슨한 부품 테이프가 사람 조작자의 개입 없이 급송기 교체 공정을 방해할 수 없는 것을 보장하는 대안적이고 신뢰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러한 목적은 테이프 덕트 내의 부품 테이프가 베이스를 향해 연장되고 테이프 커터에 근접하는 급송 구성과, 테이프 커터까지의 경로 길이가 증가하고 부품 테이프가 센터링/안내 메커니즘을 방해하는 것이 방지되는 후퇴 구성(retracted configuration)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이동식 테이프 덕트를 갖춘 급송기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본 발명은 테이프 보관 장치(예를 들어, 스풀)와 부품 테이프를 단일 유닛 내에 급송하기 위한 구동 메커니즘을 모두 포함하는 종래의 급송 장치와, 각각 테이프 보관 장치를 포함하는 분리 가능한 카트리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구동 메커니즘을 포함하는 전용 급송기 유닛 모두에 적용 가능하다. 편의상, 본 명세서에서, 이들 두 유닛은 테이프 보관 장치의 정확한 위치(즉, 급송기 유닛 내에 위치되는지 또는 분리 가능한 카트리지에 제공되는지 여부)가 본 발명서에 중요하지 않기 때문에 "급송기"로서 지칭할 것이다.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따르면, 부품 테이프 내에 위치된 부품을 배치 기계에 급송하기 위한 급송기가 제공되며, 배치 기계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는데 적합한 급송기는:
베이스;
부품이 배치 기계에 의해 픽업되어 부품 테이프를 비울 수 있는 픽업 영역;
사용시에 부품 테이프를 픽업 영역으로 이동시키고, 픽업 영역으로부터 빈 부품 테이프를 이동시키기 위한 테이프 액추에이터; 및
사용시에 픽업 영역으로부터 빈 부품 테이프를 수용하고 출구 경로를 따라서 빈 부품 테이프를 안내하기 위해 연장되는 테이프 덕트를 포함하며;
테이프 덕트는 출구 경로가 픽업 영역으로부터 베이스를 향해 이어지는 급송 구성과, 출구 경로가 베이스로부터 멀어지게 적어도 부분적으로 전환되는 후퇴 구성 사이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이동 가능하다.
본 발명의 제2 양태에 따르면, 제1 양태에 따른 급송기의 덕트 액추에이터와 협력하기 위해 특별히 적응된 작동 섹션을 포함하는 배치 기계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정 양태 및 특징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은 이제 첨부된 도면(축척이 아님)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배치 기계에 적재된 종래 기술의 급송기의 측단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며;
도 2는 급송 구성에서, 본 발명에 따른 급송기의 측단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며;
도 3은 후퇴 구성에서, 도 2의 급송기의 측단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며;
도 4a 내지 도 4c는 도 2의 급송기가 배치 기계와 결합되도록 이동됨에 따라서 급송기 부분의 측단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며;
도 5a 및 도 5b는 각각 후퇴 구성 및 급송 구성에 있는 또 다른 실시예의 급송기의 전방 부분의 측단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2는 이하에 더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급송 구성에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급송기의 측단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급송기(11)는 도 1에 도시된 급송기(1)와 많은 유사점을 가져서, 이들 특징부에 대한 설명은 상세히 설명되지 않을 것이며, 특정 예로서, 포함된 호일 박리 및 수집 메커니즘의 모든 세부 사항은 생략된다. 그러나, 급송기(1)와 유사하게 급송기(11)는 도면 부호 12로 매우 개략적으로 도시된 배치 기계와 결합되는 데 적합하다. 또한 급송기(1)와 유사하게, 급송기(11)는 부품 테이프(3)를 보관하게 위한 스풀(14)을 포함하며, 스풀(14)은 스풀(14)로부터 픽업 영역(16)으로 부품 테이프(3)를 급송하기 위해 기어 모터(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구동되는 테이프 스프로킷 휠(15)을 포함하는 테이프 액추에이터에 의해 구동되며, 배치 기계(12)의 배치 헤드(도시되지 않음)는 부품 테이프(3)의 각각의 포켓으로부터 부품을 픽업할 수 있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테이프 액추에이터는 전체 시스템의 다른 곳에 제공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테이프 액추에이터는 배치 기계(12) 자체 내에 위치되고, 스풀(14)과 직접 또는 예를 들어 이 경우 테이프 액추에이터를 구성하는 기어 체인을 통해 결합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빈 부품 테이프(3)는 이어서, 배치 기계(12) 상에 위치될 수 있거나 또는 대안적으로 급송기(11) 자체에 장착될 수 있는 테이프 커터(17)에 급송된다.
사용시에(그리고 도 4a 내지 도 4c에 더 상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급송기(11)는 도시된 수평 X 방향으로 급송기(11)를 슬라이딩시키는 것에 의해 배치 기계(12)와 결합되도록 이동되어서, 급송기(11)의 베이스(13)에 위치되거나 근접한 결합 섹션(18)은 배치 기계(12)의 상호 협력 섹션(도시되지 않음)과 결합된다. 도시된 Z 방향은 사용시에 베이스(13)가 급송기(11)의 수직으로 최하측에 있도록 수직으로 정렬된다. 결합 섹션(18)은 급송기(11)가 배치 기계(12)와 결합되도록 이동함에 따라서 급송기(11)를 위한 센터링 및 안내를 제공하고, 이를 달성하도록, 예를 들어 배치 기계(12)의 상호 협력 섹션(도시되지 않음)과 상호 잠금으로 결합되는 오메가 형상 섹션(도시되지 않음)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서, 급송기(11)는 배치 기계(12)와 결합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고, 그래서 일반적으로 배치 기계(12)의 풋프린트 내에 놓인다.
급송기(11)는 또한 사용시에 빈 부품 테이프를 수용하고 출구 경로를 따라서 이를 안내하기 위해 픽업 영역(16)으로부터 연장되는 테이프 덕트를 포함하며, 이 실시예에서, 테이프 덕트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가요성인 채널을 포함하며, 이 경우에, 테이프 덕트는 에너지 체인(19)으로서 형성되며, 에너지 체인은 그 자체로 널리 공지된 바와 같이 체인을 형성하기 위해 서로 직렬로 연결된 복수의 상호 선회 가능한 체인 요소(20)를 포함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에너지 체인(19)의 상부 단부는 급송기(11)의 본체에 고정적으로 부착되는 반면, 에너지 체인(19)의 하부 단부는 자유로우며, 즉, 하부 단부는 에너지 체인(19)의 길이를 통해서만 급송기(11)의 나머지 부분에 연결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테이프 덕트는, 출구 경로가 픽업 영역(16)으로부터 베이스(13)를 향하고 그런 다음 베이스(13)에 근접하여 도시된 테이프 커터(17)로 이어지는 급송 구성과, 출구 경로가 베이스(13)로부터 멀어지게 적어도 부분적으로 전환된 도 3에 도시된 후퇴 구성 사이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이동 가능하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에서, 에너지 체인(19)은 직선이고, 출구 경로가 최소화되고 부품 테이프(3)가 베이스(13)를 지나 테이프 커터(17)까지 직선으로 통과하도록 급송 구성으로 정렬된다. 이러한 급송 구성에서, 부품 테이프(3)의 자유 단부(3')는 결합 섹션(18)을 돌출시켜, 급송기(11)와 배치 기계(12) 사이의 후속 결합을 방해할 수 있다.
도 3은 후퇴 구성에서의 테이프 덕트를 갖는 도 2의 급송기(11)의 측단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먼저, 배치 기계(12)와의 결합에서 벗어나, 즉 배치 기계(12)로부터 멀리 도시된 음의 X 방향으로 급송기를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급송기(11)가 이동되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급송기(11)가 분리됨에 따라서, 에너지 체인(19)은 부품 테이프(3)의 출구 경로가 테이프 커터(17)로부터 멀어지게 전환되는 것으로 도시된 후퇴 구성으로 이동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에너지 체인(19)은 도시된 양의 Z 방향을 향하도록 테이프 커터(17)로부터 멀어지게 부품 테이프(3)의 자유 단부(3')를 리프팅하도록 웅크린다. 이 구성에서, 자유 단부(3')는 결합 부분(18)을 돌출시키지 않고, 따라서 급송기(11)와 배치 기계(12) 사이의 후속 결합을 방해할 수 없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에너지 체인은 급송기(11)가 배치 기계(12)와 결합될 때까지 이러한 후퇴 구성으로 남아 있으며, 에너지 체인(19)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급송 구성으로 이동된다.
당연히, 급송 구성과 후퇴 구성 사이에서 테이프 덕트를 이동시키는 것이 요구된다. 급송기(11)와 배치 기계(12)의 결합 및 분리 동안 이러한 움직임을 자동으로 구현하기 위한 메커니즘이, 급송기가 배치 기계(12)와 결합되도록 이동됨에 따라서 도 2의 급송기의 부분의 측단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 4a 내지 도 4c에 도시되어 있다.
도 4a에서, 급송기(11)는 배치 기계(12)에 접근하지만 이로부터 분리되어서, 에너지 체인(19)은 후퇴 구성에 있다. 급송기(11)는 전방 단부(즉, 배치 기계(12)와 결합될 때 배치 기계(12)에 가장 가깝게 놓이는 급송기(11)의 단부)에 오목한 암형 정합 부재(21)를 포함한다. 덕트 액추에이터는 급송기(11)에 제공되며, 이는 톱니형 피니언(22), 스퍼 기어(23) 및 선회 레버(24)를 포함한다. 피니언(22)은 피니언(22)의 상부 가장자리에 있는 톱니가 암형 정합 부재(21)의 오목부 내로 돌출되도록 암형 정합 부재 아래에서 급송기(11) 내에 제공된다. 피니언(22)은 함께 회전하기 위해 선회 레버(24)를 운반하는 스퍼 기어(23)와 맞물려 결합된다. 레버(24)의 원위 단부는 에너지 체인(19)의 자유 단부에 부착된다. 배치 기계(12)는 급송기(11)의 덕트 액추에이터와 협력하는데 특별히 적합한 작동 섹션을 포함하며, 여기서 돌출되는 수형 부재(25)를 포함하며, 수형 부재는 래크를 형성하기 위해 하부 표면에 톱니가 있으며 급송기(11)와 배치 기계(12)의 결합 동안 암형 정합 부재(21) 내에 들어가도록 배치 기계(12) 상에 위치된다.
도 4b에서, 급송기(11)는 에너지 체인(19)이 여전히 후퇴 구성으로 있는 상태에서 배치 기계(12)와의 결합으로 방금 진입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수형 정합 부재(25)는 암형 정합 부재(21)에 들어가, 그 톱니가 피니언(22)의 톱니와 결합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배치 기계(12)를 향하여 양의 X 방향으로의 급송기(11)의 추가 이동은 도시된 바와 같이 시계 방향으로 급송기를 회전시키고, 차례로 스퍼 기어(23)에 반시계 방향 회전을 부여하는 효과를 가진다.
도 4c에서, 에너지 체인(19)이 급송 구성으로 이동됨에 따라서, 급송기(11)는 배치 기계(12)와 완전히 결합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수형 정합 부재(25)는 암형 정합 부재(21)에 완전히 진입하여, 피니언(22)을 시계 방향으로, 스퍼 기어(23)를 반시계 방향으로 완전히 회전시킨다. 스퍼 기어(23)의 이러한 회전은 차례로 레버(24)의 반시계 방향 회전을 유발하고, 이는 도시된 바와 같이 에너지 체인(19)의 자유 단부를 도시된 음의 X 방향으로 밀어내어, 급송기(11) 본체 바로 옆에 놓이도록 한다. 에너지 체인은 급송기(11)가 배치 기계(12)와 결합 상태를 유지하는 동안 이러한 급송 구성으로 유지될 것이다.
배치 기계(12)로부터 급송기(11)의 결합 해제시에, 즉 도시된 음의 X 방향으로 배치 기계(12)로부터 멀리 이동되어 역순이 발생하고, 수형 정합 부재(25)가 암형 정합 부재(21)로부터 인출됨에 따라서, 에너지 체인(19)은 후퇴 구성으로 복귀된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양 방향으로의 테이프 덕트의 이동, 즉 급송 구성의 안팎으로의 이동은 수형 정합 부재(25)에 의해 직접 제어된다. 그러나, 후퇴 구성으로 테이프 덕트를 편향시키는 것이 유익할 수 있어서, 테이프 덕트는 예를 들어 운송 또는 보관 동안 해당 구성에서 우발적으로 제거될 수 없다.
도 5a 및 도 5b는 각각 후퇴 구성 및 급송 구성으로 있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급송기(31)의 전방 부분, 즉 사용시에 배치 기계(32)에 가장 가까운 급송기(31)의 단부의 측단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급송기(31)는 도 2에 도시된 급송기(11)와 많은 유사성을 가져서, 이들 특징부에 대한 설명은 상세하게 설명되지 않는다. 그러나, 급송기(31)의 전방 단부는 다르며, 특히 전방 단부로부터 급송기(31)의 본체 내로 연장되는 요홈 또는 오목부(33)를 포함한다. 이 실시예에서, 오목부(33)의 하부 범위는 아래에서 더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각진 제1 접합 표면(38)에 의해 한정된다. 이 실시예에서, 테이프 덕트는, 선회 가능한 섹션, 즉 선회부(35)에 의해 급송기(31)의 본체에 선회 가능하게 연결되어서 오목부(33)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유지되는 선회 채널(34)을 포함한다. 선회 채널(34)은 도시된 바와 같이, 빈 부품 테이프(3)를 그 길이를 따라 수용하고 안내하는데 적합하다. 선회 채널(34)은 상부 캠 표면(36)을 구비하며, 이 경우에 선회 채널(34)의 상부 단부로부터 연장되는 원호형 돌출부에 제공된다. 이 실시예에서, 덕트 액추에이터는 급송기(31)에 제공되며, 도시된 X축을 따른 선형 운동을 위해 급송기(31)의 본체에 장착되는 선형 이동 셔틀(37)을 포함한다. 셔틀(37)은 음의 X 방향,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우측으로 편향되어, 급송기(31)가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치 기계(32)와 결합되지 않을 때, 셔틀(37)은 상부 캠 표면(36)과 접합 결합되도록 추진되고, 결과적으로 선회 채널(34)은 선회부(35)를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추진된다. 선회 채널(34)의 시계 방향으로의 선회 이동 범위는 시계 방향 회전의 가장 먼 범위에서 선회 채널(34)과 접하는 제1 접합 표면(38)에 의해 범위가 정해진다. 도 5a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후퇴 구성에서, 선회 채널(34)은 베이스(13) 및 테이프 커터(17)로부터 멀어지게 부품 테이프(3)를 안내하며(즉, 부품 테이프(3)를 위한 출구 경로는 테이프 커터(17)로부터 멀어지게 전환되며), 이 구성에서, 테이프(3)의 느슨한 단부가 결합 섹션(18)을 돌출시키지 않는다는 것을 또한 알 수 있다.
선회 채널(34)의 하부 단부, 즉 선회부(35) 아래에는 하부 캠 표면(39)이 제공된다. 이것은 배치 기계(32)의 작동 섹션, 이 실시예에서 배치 기계(32)로부터 음의 X 방향으로 외부로 돌출하는 작동 부재(40)와 접촉 결합하는데 적합하다.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급송기(31)가 배치 기계(32)와 결합될 때, 작동 부재(40)는 하부 캠 표면(39)과 결합되고, 급송기(31)의 본체 상에 제공된 제2 접합 표면(41)과 맞닿을 때까지 반시계 방향으로 셔틀(37)에 의해 제공되는 편향에 거슬러 선회 채널(34)을 회전시키고, 상기 제2 접합 표면(41)은 반시계 방향 회전 범위를 정한다.
도 5b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급송 구성에서, 선회 채널(34)은 부품 테이프(3)를 베이스(13)를 지나 테이프 커터(17)로 직접 안내하고, 또한 이 구성에서, 테이프(3)의 느슨한 단부가 결합 섹션(18)을 돌출시킨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상술한 특정 예 이외에도, 본 발명을 구체화할 수 있는 다양한 방식이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예를 들어, 덕트 액추에이터는 다양한 형태를 취할 수 있다. 특정 예로서, 덕트 액추에이터는 배치 기계와 급송기의 결합을 통해 또는 배치 기계에 급송기를 고정하기 위한 잠금 메커니즘의 작동을 통해 테이프 덕트의 이동이 생성되는 수동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수동 시스템은,
- 쌍안정 메커니즘(스프링 부하와 함께/또는 스프링 부하와 조합하여);
- 예를 들어 링크, 슬라이더 크랭크, 랙-피니언 시스템을 포함하는 선형 운동으로부터 회전 운동으로의 운동 변환,
- 예를 들어 하나의 구성으로부터 다른 구성으로 테이프 덕트를 당기도록 작용하는 보우든 케이블(Bowden cable)을 사용하는 로프 메커니즘을 포함한다.
각각의 이들 경우에, 덕트 액추에이터는 배치 기계의 작동 섹션과 협력하는데 적합할 수 있으며, 상기 협력은 덕트 액추에이터가 후퇴 구성으로부터 급송 구성으로 테이프 덕트를 이동시키도록 한다.
대안적으로, 예를 들어 한 구성으로부터 다른 구성으로 테이프 덕트의 전부 또는 일부를 미는 선형 액추에이터, 전용 전자기 모터, 열 액추에이터, 공압 액추에이터, 유압 액추에이터, 피에조 액추에이터 등을 포함하는 덕트 액추에이터가 직접 구동되는 다양한 형태의 능동 시스템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능동 시스템으로, 테이프 덕트를 후퇴 구성으로 편향시킬 필요가 없거나, 배치 기계에서의 작동 섹션이 필요하지 않을 수 있다.
유사하게, 테이프 덕트 자체는 전술한 특정 예들 이외의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특정한 예로서, 테이프 덕트는,
- 플라스틱 또는 고무와 같은 가요성 재료로 형성된 덕트;
- 상대적으로 회전 가능한 복수의 섹션;
- 유연하고 탄력적인 금속 시트로 형성된 가요성 구조를 포함한다.
전술한 실시예는 예시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다른 가능성 및 대안이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1 - 급송기
2 - 배치 기계
3 - 부품 테이프
3' - 부품 테이프의 자유 단부
4 - 테이프 스풀
5 - 테이프 스프로킷 휠
6 - 픽업 영역
7 - 테이프 커터
8 - 결합 섹션
9 - 호일 권취 스풀
10 - 베이스
11 - 급송기
12 - 배치 기계
13 - 베이스
14 - 스풀
15 - 테이프 스프로킷 휠
16 - 픽업 영역
17 - 테이프 커터
18 - 결합 섹션
19 - 에너지 체인
20 - 체인 요소
21 - 암형 정합 부재
22 - 피니언
23 - 스퍼 기어
24 - 레버
25 - 수형 정합 부재
31 - 급송기
32 - 배치 기계
33 - 오목부
34 - 선회 채널
35 - 선회부
36 - 상부 캠 표면
37 - 셔틀
38 - 제1 접합 표면
39 - 하부 캠 표면
40 - 작동 부재
41 - 제2 접합 표면

Claims (15)

  1. 부품 테이프 내에 위치된 부품을 배치 기계에 급송하며, 상기 배치 기계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는데 적합한 급송기로서,
    베이스;
    부품이 상기 배치 기계에 의해 픽업되어 상기 부품 테이프를 비울 수 있는 픽업 영역;
    사용시에 상기 부품 테이프를 상기 픽업 영역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픽업 영역으로부터 빈 부품 테이프를 이동시키기 위한 테이프 액추에이터; 및
    사용시에 상기 픽업 영역으로부터 상기 빈 부품 테이프를 수용하고 출구 경로를 따라서 상기 빈 부품 테이프를 안내하기 위해 연장되는 테이프 덕트를 포함하며;
    상기 테이프 덕트는 상기 출구 경로가 상기 픽업 영역으로부터 상기 베이스를 향해 이어지는 급송 구성과, 상기 출구 경로가 상기 베이스로부터 멀어지게 적어도 부분적으로 전환되는 후퇴 구성 사이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이동 가능한, 급송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프 덕트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가요성인 채널을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부분적으로 가요성인 채널의 굽힘은 상기 테이프 덕트가 상기 급송 구성과 상기 후퇴 구성 사이에서 이동하게 하는, 급송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부분적으로 가요성인 채널은 에너지 체인을 포함하는, 급송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프 덕트는 선회 섹션을 포함하며, 상기 선회 섹션의 선회는 상기 테이프 덕트가 상기 급송 구성과 상기 후퇴 구성 사이에서 이동하게 하는, 급송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프 덕트는 후퇴 구성으로 편향되는, 급송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퇴 구성과 상기 급송 구성 사이에서 상기 테이프 덕트를 이동시키는데 적합한 덕트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는, 급송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 액추에이터는 선회 레버를 포함하는, 급송기.
  8.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 액추에이터는 선형 이동 셔틀을 포함하는, 급송기.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 액추에이터는 보우든 케이블을 포함하는, 급송기.
  10. 제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 액추에이터는 상기 배치 기계의 작동 섹션과 협력하는데 적합하며, 상기 협력은 상기 덕트 액추에이터가 상기 후퇴 구성으로부터 상기 급송 구성으로 상기 테이프 덕트를 이동시키도록 하는, 급송기.
  11.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 액추에이터는 상기 급송 구성과 상기 후퇴 구성 사이에서 상기 테이프 덕트를 제어 가능하게 이동시키기 위한 모터를 포함하는, 급송기.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빈 부품 테이프를 절단하기 위한 테이프 커터를 포함하며, 상기 테이프 커터는 상기 베이스에 근접하여 위치되는, 급송기.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치 기계를 결합하기 위한 결합 섹션을 포함하며, 상기 후퇴 구성에서, 상기 부품 테이프는 상기 급송 구성에 대해 상기 결합 섹션으로부터 멀어지게 이동되는, 급송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섹션은 상기 베이스에 근접하여 위치되는, 급송기.
  15. 제10항에 따른 급송기의 덕트 액추에이터와 협력하는데 특히 적합한 작동 섹션을 포함하는, 배치 기계.
KR1020230097312A 2022-07-28 2023-07-26 신축식 급송기 KR2024001621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22118945.7 2022-07-28
DE102022118945.7A DE102022118945B3 (de) 2022-07-28 2022-07-28 Zurückziehbare Zuführeinrichtung und Bestückungsmaschin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16217A true KR20240016217A (ko) 2024-02-06

Family

ID=895081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97312A KR20240016217A (ko) 2022-07-28 2023-07-26 신축식 급송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24019123A (ko)
KR (1) KR20240016217A (ko)
CN (1) CN117479522A (ko)
DE (1) DE102022118945B3 (ko)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52690A1 (ja) 2020-01-28 2021-08-05 株式会社Fuji 部品実装機およびフィー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4019123A (ja) 2024-02-08
CN117479522A (zh) 2024-01-30
DE102022118945B3 (de) 2024-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69706B1 (ko) 부품 공급 장치
JP6681344B2 (ja) フィーダ装置
US5725140A (en) Tape feeder for a surface mount placement system
JP4820728B2 (ja) 部品供給装置、並びに表面実装機
JP5269714B2 (ja) 電子部品供給装置及び電子部品装着装置
EP2830406B1 (en) Tape feeder
JP6554440B2 (ja) 部品供給装置、部品供給方法および表面実装機
WO2008035764A1 (fr) Appareil de fourniture de composants et appareil de montage en surface
US20180054928A1 (en) Feeder
EP2077707B1 (en) Component supply apparatus and surface mounter
CN108781527B (zh) 元件供给装置
US11765876B2 (en) Exchange device
JP6641444B2 (ja) テープフィーダ
JP2011204961A (ja) 電子部品供給装置及び装着装置
KR20240016217A (ko) 신축식 급송기
CN111418275B (zh) 供料器
EP3809809B1 (en) Exchange device
EP3806601B1 (en) Tape feeder
JP7229405B2 (ja) 部品装着システム
JP7225448B2 (ja) テープ供給装置
JP7260343B2 (ja) パーツフィーダ
WO2023007658A1 (ja) 部品装着機
CN112292922B (zh) 供料器
WO2024095838A1 (ja) 部品供給装置
JP2024065269A (ja) 部品供給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