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16036A - 연속가공이 가능한 앵커 제조 장치 - Google Patents

연속가공이 가능한 앵커 제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16036A
KR20240016036A KR1020220094058A KR20220094058A KR20240016036A KR 20240016036 A KR20240016036 A KR 20240016036A KR 1020220094058 A KR1020220094058 A KR 1020220094058A KR 20220094058 A KR20220094058 A KR 20220094058A KR 20240016036 A KR20240016036 A KR 202400160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cessing
unit
transfer
base materials
spl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940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영복
Original Assignee
손영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영복 filed Critical 손영복
Priority to KR10202200940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16036A/ko
Publication of KR202400160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16036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35/00Combined processes according to or processes combined with methods covered by groups B21D1/00 - B21D31/00
    • B21D35/001Shaping combined with punching, e.g. stamping and perfor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43/00Feeding, positioning or storing devices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pparatus for working or processing sheet metal, metal tubes or metal profiles; Associations therewith of cutting devices
    • B21D43/003Position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1/00Making hollow objects
    • B21D51/02Making hollow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objects
    • B21D51/10Making hollow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objects conically or cylindrically shaped obje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3/00Making other particular articles
    • B21D53/88Making other particular articles other parts for vehicles, e.g. cowlings, mudguard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95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shape of the object to be examin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Press Drives And Press Lines (AREA)

Abstract

본 개시는, 단일의 가공모재로부터 두 개의 앵커부재를 형성하는 가공모듈; 복수 개의 가공모재를 수용하고, 상기 가공모듈로 상기 복수 개의 가공모재를 연속으로 공급하도록 구성된 공급모듈; 및 상기 가공모듈에서 형성된 앵커부재를 공급받고, 상기 앵커부재의 양품여부를 결정하는 검사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가공모듈은, 상기 복수 개의 가공모재 중 어느 하나의 가공모재를 가공에 필요한 정위치로 정렬시키는 위치보정부; 상기 어느 하나의 가공모재를 기 결정된 기준에 따라 2분할하도록 구성된 분할가공부; 및 상기 가공모재가 분할되어 형성된 두 개의 분할모재를 프레스(Press) 가공을 통해 상기 앵커부재로 가공하는 프레스가공부를 포함하는 것인, 연속가공이 가능한 앵커 제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연속가공이 가능한 앵커 제조 장치{ANCHOR MANUFACTURING APPARATUS CAPABLE OF CONTINUOUS PROCESSING}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연속가공이 가능한 앵커 제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단일의 가공모재로부터 두 개의 앵커부재를 형성할 수 있는 연속가공이 가능한 앵커 제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실내 측벽 상부에는 탑승자용 안전벨트를 고정하기 위한 필러앵커가 설치될 수 있다. 필러앵커에는 앵커홀이 형성되며, 안전벨트는 앵커홀을 통과하여 설치되며, 탑승자가 안전벨트를 착용할 때 안전벨트의 상부를 차량의 측벽에 고정할 수 있다.
종래에 위와 같은 필러앵커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필러앵커 제조를 위한 가공모재를 원하는 크기로 가공하는 절단 가공, 앵커홀 가공, 모서리의 라운드 절삭 가공, 앵커홀의 챔퍼 가공들이 수행되어야 하며, 각각의 가공을 위해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프레스 금형을 조작해야 했다.
이 과정에서, 프레스 금형에 작업자의 손가락 또는 손이 끼여 부상당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였으며, 각각의 공정이 서로 독립적으로 분리되어 있어 각 공정간의 가공품 이동 과정에서 불필요한 인력 및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가 존재하였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22-0050593호(2022.04.25)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전술한 문제점들을 개선한 연속가공이 가능한 앵커 제조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가공모재를 가공하기 위한 복수의 가공 공정을 모두 자동화 및 일체화 하여 작업자의 부상 위험을 최소화하고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앵커 제조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사항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이하 설명할 다양한 실시예들로부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고려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단일의 가공모재로부터 두 개의 앵커부재를 형성하는 가공모듈; 복수 개의 가공모재를 수용하고, 상기 가공모듈로 상기 복수 개의 가공모재를 연속으로 공급하도록 구성된 공급모듈; 및 상기 가공모듈에서 형성된 앵커부재를 공급받고, 상기 앵커부재의 양품여부를 결정하는 검사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가공모듈은, 상기 복수 개의 가공모재 중 어느 하나의 가공모재를 가공에 필요한 정위치로 정렬시키는 위치보정부; 상기 어느 하나의 가공모재를 기 결정된 기준에 따라 2분할하도록 구성된 분할가공부; 및 상기 가공모재가 분할되어 형성된 두 개의 분할모재를 프레스(Press) 가공을 통해 상기 앵커부재로 가공하는 프레스가공부를 포함하는 것인, 연속가공이 가능한 앵커 제조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프레스가공부에서, 상기 두 개의 분할모재는 상기 분할가공부에서의 위치에 비해 서로 더 먼 거리로 이격된 상태로 위치되고, 상기 프레스가공부는, 프레스 가공이 수행되도록 상기 두 개의 분할모재가 위치되는 프레스안착부; 및 상기 프레스안착부의 상부에 배치되고, 구동됨에 따라 하방 이동하여 상기 프레스 안착부 상에 위치된 복수 개의 분할모재를 동시에 가공하는 프레스가압부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스안착부는, 제1 가공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두 개의 분할모재가 각각 위치되는 한 쌍의 제1 가공부; 상기 한 쌍의 제1 가공부를 통과한 상기 두 개의 분할모재에 제2 가공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두 개의 분할모재가 각각 위치되는 한 쌍의 제2 가공부; 상기 한 쌍의 제2 가공부를 통과한 상기 두 개의 분할모재에 제3 가공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두 개의 분할모재가 각각 위치되는 한 쌍의 제3 가공부; 및 상기 한 쌍의 제3 가공부를 통과한 상기 두 개의 분할모재에 제4 가공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두 개의 분할모재가 각각 위치되는 한 쌍의 제4 가공부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스가압부는 단일체로 구성되어 일체로 상하 이동되고, 상기 프레스가압부의 구동 시, 상기 제1 가공, 상기 제2 가공, 상기 제3 가공 및 상기 제4 가공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가공모재는, 타원형의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된 피가공몸체; 및 상기 피가공몸체의 장축 방향 양단부에서 상기 장축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고, 상기 피가공몸체의 두께보다 큰 직경 크기를 갖는 원통형의 막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가공모재는 상기 장축 방향을 따라 기 결정된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분할가공부는, 상기 가공모재의 길이 방향 중심에서 상기 피가공몸체를 절단하여 두 개의 분할모재로 분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가공모재 및 상기 분할모재는 상기 가공모듈에서 기 결정된 방향을 따라 이동되고, 상기 가공모듈은, 상기 위치보정부 및 상기 분할가공부 상에 마련된 제1 이송모듈로서, 상기 가공모재의 이동 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되어 상기 가공모재를 파지하여 이동시키는 복수의 제1 이송부재를 포함하는 제1 이송모듈; 상기 프레스안착부 상에 마련된 제2 이송모듈로서, 상기 두 개의 분할모재의 이동 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되어 상기 분할모재를 파지하여 이동시키는 복수의 제2 이송부재를 포함하는 제2 이송모듈; 및 상기 분할가공부 및 상기 프레스가공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두 개의 분할모재의 배치 방향을 전환하는 한 쌍의 방향전환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제1 이송부재는, 상기 가공모재의 이동 방향을 따라 두 개씩 서로 대향하여 배치되고, 대향하는 두 개의 제1 이송부재는 상기 가공모재의 길이 방향 양측에 배치되고, 상기 한 쌍의 방?h전환부는, 상기 두 개의 분할모재를 서로 이격시키고, 상기 두 개의 분할모재 각각을 상기 분할모재의 이송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180도 전환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복수의 제2 이송부재는, 상기 분할모재의 이송 방향을 따라 두 개씩 서로 반대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되고, 서로 반대 방향을 향해 배치된 상기 두 개의 제2 이송부재는, 상호 이격되도록 배치된 상기 두 개의 분할모재 사이에서 상기 두 개의 분할모재의 이격 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이송모듈은, 상기 복수의 제1 이송부재를 지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상하 구동하는 제1-1 이송구동부; 및 지면에 평행한 평면에서 상기 복수의 제1 이송부재를 상기 가공모재의 이송 방향을 따라 전후진 수평 구동하는 제1-2 이송구동부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이송모듈은, 상기 복수의 제2 이송부재를 지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상하 구동하는 제2-1 이송구동부; 및 지면에 평행한 평면에서 상기 복수의 제2 이송부재를 상기 가공모재의 이송 방향을 따라 전후진 수평 구동하는 제2-2 이송구동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제1 이송부재는, 상기 제1-1 이송구동부에 의해 일체로 동시에 상하 구동되고, 상기 제1-2 이송구동부에 의해 일체로 동시에 수평 구동되고, 상기 복수의 제2 이송부재는, 상기 제2-1 이송구동부에 의해 일체로 동시에 상하 구동되고, 상기 제2-2 이송구동부에 의해 일체로 동시에 수평 구동될 수 있다.
상기 공급모듈은, 상부가 개방되어 노출된 중공의 원통형의 하우징몸체; 상기 하우징몸체의 기 결정된 높이에 설치된 오일제거부로서, 상기 오일제거부는 복수의 오일배출구가 마련되도록 그물망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오일제거부 상에는 복수의 가공모재가 공급되어 위치되는 것인, 오일제거부; 상기 오일제거부의 상부에 마련되고, 상기 오일제거부 상에 위치된 복수의 가공모재를 상기 가공모듈 내로 공급하기 위한 공급밸트를 포함하고, 상기 오일제거부는 상기 하우징몸체의 길이 방향 중심 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오일제거부는 상기 하우징몸체의 길이 방향 중심 축에서 반경 방향 외측으로 갈수록 지면에 대한 높이가 점차 낮아지는 원추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오일제거부에 가장 인접하게 위치되는 상기 공급밸트의 유입단부는 상기 오일제거부의 외주연에 배치되며, 상기 오일제거부가 회전됨에 따라, 상기 오일제거부 상에 위치된 복수의 가공모재 중 일부가 상기 공급밸트 상으로 유입될 수 있다.
상기 검사모듈은, 상기 공급모듈로부터 공급받은 복수의 앵커부재 중 어느 하나의 앵커부재를 기 결정된 위치로 이동시키는 검사이송부; 상기 기 결정된 위치 상에 위치된 상기 어느 하나의 앵커부재를 촬상하여 이미지 데이터를 취득하는 촬상부; 및 상기 촬상부에서 취득된 이미지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어느 하나의 앵커부재의 양품여부를 판단하는 검사판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검사판단부는, 상기 이미지 데이터 상의 앵커부재의 외형에 대해 복수의 길이 및 폭 크기를 감지하고, 감지된 상기 복수의 길이 및 폭 크기와 미리 설정된 복수의 기준 크기를 비교함으로써 상기 앵커부재의 양품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단일의 가공모재로부터 두 개의 앵커부재를 취득 가능한바, 앵커부재의 생산 효율이 크게 증가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앵커부재의 형성을 위한 일체의 가공 공정을 모두 자동화한바, 생산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작업자의 부상 위험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가공모듈에서 프레스몸체가 한번 승하강됨에 따라 앵커부재의 형성을 위한 복수의 가공이 동시에 수행되는바, 복수의 프레스 가공을 구성하기 위한 구조가 단순화되어 유지 보수가 용이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상세한 설명의 일부로 포함된, 첨부 도면은 다양한 실시예들을 제공하고, 상세한 설명과 함께 다양한 실시예들의 기술적 특징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가공이 가능한 앵커 제조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가공이 가능한 앵커 제조 장치의 가공모듈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가공이 가능한 앵커 제조 장치의 가공모듈을 상측에서 바라본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가공이 가능한 앵커 제조 장치의 가공모듈에 포함되는 분할가압부 및 프레스가압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가공이 가능한 앵커 제조 장치의 가공모듈에 투입되는 가공모재, 가공모듈에 의해 가공되어 형성되는 제1 내지 제4 분할모재 및 앵커부재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가공이 가능한 앵커 제조 장치의 가공모듈에 포함되는 투입대기부 및 위치보정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가공이 가능한 앵커 제조 장치의 가공모듈에 포함되는 제1 이송부재에 분할모재가 파지되기 전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가공이 가능한 앵커 제조 장치의 가공모듈에 포함되는 제1 이송부재에 분할모재가 파지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가공이 가능한 앵커 제조 장치의 가공모듈에 포함되는 방향전환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10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가공이 가능한 앵커 제조 장치의 공급모듈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1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가공이 가능한 앵커 제조 장치의 검사모듈에 의해 촬상된 이미지 데이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개시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개시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개시와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개시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개시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의 실시예는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을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가공이 가능한 앵커 제조 장치(1)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가공이 가능한 앵커 제조 장치(1)의 가공모듈(30)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가공이 가능한 앵커 제조 장치(1)의 가공모듈(30)을 상측에서 바라본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가공이 가능한 앵커 제조 장치(1)의 가공모듈(30)에 포함되는 분할가압부(332) 및 프레스가압부(352)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며,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가공이 가능한 앵커 제조 장치(1)의 가공모듈(30)에 투입되는 가공모재, 가공모듈(30)에 의해 가공되어 형성되는 제1 내지 제4 분할모재 및 앵커부재를 나타낸 도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가공이 가능한 앵커 제조 장치(1)는, 모재수용부(10), 공급모듈(20), 가공모듈(30), 검사모듈(40) 및 완성품수용부(50)를 포함할 수 있다.
모재수용부(10)는 중공의 박스 형상으로 구성된 모재수용하우징(110) 및 모재수용하우징(110)에 수용된 가공모재를 공급모듈(20)로 이송하기 위한 모재이송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모재수용하우징(110)에는 복수의 가공모재가 수용될 수 있다. 모재수용하우징(110)의 상측 일부에는 모재이송부(120)의 일단이 연결될 수 있고, 모재수용하우징(110)에 수용된 복수의 가공모재 중 적어도 일부는 모재이송부(120)를 통해 공급모듈(20)로 이송될 수 있다.
모재이송부(120)는, 모재수용하우징(110)에 수용된 복수의 가공모재를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미리 설정된 개수만큼만 이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예를 들어 가공모재의 이송 경로를 개폐하는 개폐부재(미도시 됨)를 구비할 수 있다.
공급모듈(20)은 모재수용부(10)로부터 이동된 복수 개의 가공모재를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공급모듈(20)은 가공모듈(30)로 복수 개의 가공모재를 연속으로 공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공급모듈(20)은 가공모듈(30)로 복수 개의 가공모재를 하나씩 순차적으로 연속하여 공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공급모듈(20)은, 공급모듈(20)에 수용된 복수 개의 가공모재를 가공모듈(30)로 연속하여 순차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공급밸트(230)를 포함할 수 있다. 공급밸트(230)의 말단은 가공모듈(30) 내측으로 연장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후술할 가공모듈(30)의 투입대기부(310)까지 연장될 수 있다. 공급벨트는 예를 들어 컨베이어벨트와 같은 무단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 복수 개의 가공모재는 공급벨트 상에서 공급벨트의 이송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순차적으로 이송될 수 있다.
가공모듈(30)은 공급모듈(20)로부터 복수 개의 가공모재를 하나씩 순차적으로 공급받을 수 있고, 단일의 가공모재로부터 두 개의 앵커부재를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앵커부재의 생산성이 종래 대비 두 배로 크게 향상될 수 있다.
검사모듈(40)은 가공모듈(30)에서 형성된 앵커부재를 공급받도록 구성될 수 있고, 앵커부재의 양품여부를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검사모듈(40)은 양품으로 결정된 앵커부재를 왕성품수용부로 이송할 수 있고, 불량으로 결정된 앵커부재를 외부의 불량수용부(미도시 됨)로 이송할 수 있다.
완성품수용부(50)는 검사모듈(40)로부터 이송된 양품의 앵커부재들을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가공모재(도 5의 (a)에 도시됨)는, 타원형의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된 피가공몸체, 및 피가공몸체의 장축 방향 양단부에서 장축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된 한 쌍의 막대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막대부재 각각은 피가공몸체의 두께보다 큰 직경 크기를 갖는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가공모재는 장축 방향을 따라 기 결정된 길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공급벨트에는 폭 방향 양측의 가장자리를 따라 한 쌍의 안내측벽이 마련될 수 있고, 공급벨트의 상면에는 한 쌍의 안내측벽 사이에 소정 폭이 형성될 수 있다. 공급벨트 상면의 소정 폭은 가공모재의 단축(피가공몸체의 장축에 직교하는 방향) 방향 최장폭에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즉, 가공모재는, 공급벨트 상에서 그 길이 방향이 공급벨트의 이송 방향과 평행하게 위치되어 이송될 수 있다.
상술한 가공모듈(30)은, 투입대기부(310), 위치보정부(320), 분할가공부(330), 방향전환부(340), 프레스가공부(350), 제1 이송모듈(370), 제2 이송모듈(380), 가공칩배출부(391) 및 앵커이송부(392)를 포함할 수 있다.
투입대기부(310), 위치보정부(320), 분할가공부(330), 방향전환부(340) 및 프레스가공부(350)는 가공모듈(30) 내에서 기 결정된 방향을 따라 일렬로 배치될 수 있다. 가공모재 및 가공모재가 분할되어 형성되는 분할모재는, 제1 이송모듈(370) 및 제2 이송모듈(380)에 의해 기 결정된 방향을 따라 이송될 수 있다.
투입대기부(310)는 공급벨트의 말단부에 인접하게 위치될 수 있다. 투입대기부(310)는, 상면 및 일측면이 개방되어 공급벨트로부터 이송된 복수 개의 가공모재 중 어느 하나가 안착되도록 구성된 대기안착부(311)를 포함할 수 있다. 대기안착부(311)의 상면에는 직사각 형상의 안착홈이 마련될 수 있고, 안착홈의 폭 크기는 가공모재의 단축 방향 최장폭 크기에 대응될 수 있다.
대기안착부(311)의 개방된 일측면은 공급벨트를 향해 위치될 수 있고, 공급벨트의 말단은 대기안착부(311)의 개방된 일측면에 접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공급벨트를 통해 이송된 가공모재는 대기안착부(311)의 개방된 일측면을 통해 대기안착부(311) 상에 위치될 수 있다.
위치보정부(320)는 복수 개의 가공모재 중 어느 하나의 가공모재를 가공에 필요한 정위치로 정렬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대기안착부(311) 상에 안착된 가공모재는 위치보정부(320)로 이동될 수 있고, 위치보정부(320)로 이동된 가공모재는 위치보정부(320) 상에서 미리 설정된 정위치로 위치될 수 있다. 미리 설정된 정위치란, 가공모재가 분할가공부(330)에서 분할 가공될 수 있도록 플레이트 형상의 피가공몸체가 지면에 평행하게 위치된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분할가공부(330)는, 위치보정부(320)로부터 이동된 어느 하나의 가공모재를 기 결정된 기준에 따라 2분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분할가공부(330)는, 가공모재가 안착되는 분할안착부(331), 및 분할안착부(331)의 상부에 위치되어 가공모재를 분할하기 위해 하방 가압하는 분할가압부(332)를 포함할 수 있다. 위치보정부(320)로부터 이동된 가공모재는 분할안착부(331) 상에 위치될 수 있고, 분할가압부(332)는 분할안착부(331)에 안착된 가공모재의 상면을 가압함으로써 가공모재를 2분할할 수 있다.
분할가공부(330)는, 가공모재의 장축 길이 방향 중심에서 단축 방향을 따라 피가공몸체를 절단하여 두 개의 분할모재로 분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분할가공부(330)에서 분할된 가공모재는 가공모재의 장축 방향 중심선을 따라 분할되어 2개의 분할모재로 가공될 수 있다. 분할가공부(330)에서 가공모재가 분할되어 형성된 분할모재는 제1 분할모재(도 5의 (b)에 도시됨)로 정의될 수 있다. 제1 분할모재는 플레이트 형상의 피가공몸체(3) 및 단일의 막대부재(3b)를 포함할 수 있다.
분할가공부(330)는 상하 이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고, 하방 이동됨에 따라 가공모재를 가압하여 분할할 수 있다. 분할가공부(330)의 하면에는 가공모재를 2분할 하기 위해 하방으로 돌출 형성된 직선형의 절단돌기(미도시 됨)가 마련될 수 있다.
프레스가공부(350)는 가공모재가 분할되어 형성된 두 개의 분할모재를 프레스(Press) 가공을 통해 앵커부재로 가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두 개의 분할모재가 프레스가공부(350)로 이동되기 전에 두 개의 제1 분할모재(3)는 방향전환부(340)에서 서로 멀어지도록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즉, 프레스가공부(350)에서, 두 개의 제1 분할모재(3)는 분할가공부(330)에서의 위치에 비해 서로 더 먼 거리로 이격된 상태로 위치될 수 있다.
프레스가공부(350)는, 프레스 가공이 수행되도록 두 개의 분할모재가 위치되는 프레스안착부(351), 및 프레스안착부(351)의 상부에 배치되고 구동됨에 따라 하방 이동하여 프레스안착부(351) 상에 위치된 복수 개의 분할모재를 동시에 가공하는 프레스가압부(352)를 포함할 수 있다.
프레스안착부(351)는, 지면에 평행한 평면에서 가공모듈(30)에서의 기 결정된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즉, 프레스안착부(351)의 폭 방향)으로 이격 배치된 한 쌍의 제1 가공부(351a), 한 쌍의 제2 가공부(351b), 한 쌍의 제3 가공부(351c) 및 한 쌍의 제4 가공부(351d)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제2 가공부(351b)는 한 쌍의 제1 가공부(351a)의 이격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고, 한 쌍의 제3 가공부(351c)는 한 쌍의 제1 가공부(351a)의 이격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고, 한 쌍의 제4 가공부(351d)는 한 쌍의 제1 가공부(351a)의 이격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제1 가공부(351a), 한 쌍의 제2 가공부(351b), 한 쌍의 제3 가공부(351c) 및 한 쌍의 제4 가공부(351d)는, 가공모듈(30)의 기 결정된 방향(가공모재 및 분할모재가 이송되는 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프레스안착부(351)는 제1 내지 제4 가공부(351d)가 배치된 기 결정된 방향을 따라 소정 길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고, 수평 평면에 있어서 기 결정된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소정 폭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제1 가공부(351a) 상에는 제1 가공이 이루어지도록 두 개의 제1 분할모재(3)가 각각 위치될 수 있다. 한 쌍의 제1 가공부(351a) 상에서 두 개의 제1 분할모재(3)에 제1 가공이 이루어짐에 따라, 두 개의 제1 분할모재(3)는 두 개의 제2 분할모재(4)로 가공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가공에 의해, 제1 분할모재(3)의 피가공몸체(3a)의 중심부 일부가 관통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2 분할모재(4)의 피가공몸체(4a)에 앵커홀(4c)이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제2 가공부(351b) 상에는, 한 쌍의 제1 가공부(351a)를 통과한 두 개의 제2 분할모재(4)에 제2 가공이 이루어지도록 두 개의 제2 분할모재(4)가 각각 위치될 수 있다. 한 쌍의 제2 가공부(351b) 상에서 두 개의 제2 분할모재(4)에 제2 가공이 이루어짐에 따라, 두 개의 제2 분할모재(4)는 두 개의 제3 분할모재(5)로 가공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가공에 의해, 제2 분할모재(4)의 피가공몸체(4a)의 막대부재(4c) 반대측 말단면 양측의 코너부에 라운드(round) 절삭 가공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를 통해, 제3 분할모재(5)의 피가공몸체(5a)의 말단면 양측의 코너부는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제3 가공부(351c) 상에는, 한 쌍의 제2 가공부(351b)를 통과한 두 개의 제3 분할모재(5)에 제3 가공이 이루어지도록 두 개의 제3 분할모재(5)가 각각 위치될 수 있다. 한 쌍의 제3 가공부(351c) 상에서 두 개의 제3 분할모재(5)에 제3 가공이 이루어짐에 따라, 두 개의 제3 분할모재(5)는 두 개의 제4 분할모재(6)로 가공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3 가공에 의해, 제3 분할모재(5)의 두께 방향 일측면(바람직하게는 상면)에서 앵커홀(5c)의 외주를 따라 챔퍼링(chamfering) 가공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한 쌍의 제4 가공부(351d) 상에는, 한 쌍의 제3 가공부(351c)를 통과한 두 개의 제4 분할모재(6)에 제4 가공이 이루어지도록 두 개의 제4 분할모재(6)가 각각 위치될 수 있다. 한 쌍의 제4 가공부(351d) 상에서 두 개의 제4 분할모재(6)에 제4 가공이 이루어짐에 따라, 두 개의 제4 분할모재(6)는 두 개의 앵커부재로 가공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4 가공에 의해, 제4 분할모재(6)의 두께 방향 타측면(바람직하게는 하면)에서 앵커홀(6c)의 외주를 따라 챔퍼링(chamfering) 가공이 이루어질 수 있다.
위와 같이, 프레스가공부(350)로 투입된 제1 분할모재(3)는 제1 가공부(351a), 제2 가공부(351b), 제3 가공부(351c) 및 제4 가공부(351d)를 순차적으로 통과하며 가공됨에 따라, 앵커부재로 가공될 수 있다. 즉, 가공모듈(30)에 단일의 가공모재가 투입된 경우, 단일의 가공모재는 두 개의 앵커부재로 가공될 수 있다.
또한, 가공모듈(30)은, 프레스가공부(350)에서 형성된 복수의 앵커부재를 이송하기 위한 앵커이송부(392), 및 프레스가공부(350)에서의 제1 내지 제4 가공 동안 발생되는 가공칩 및/또는 절삭물을 배출하기 위한 가공칩배출부(39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가공칩배출부(391)는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고, 한 쌍의 가공칩배출부(391)는 프레스안착부(351)의 폭 방향 양측에 배치될 수 있다.
한 쌍의 가공칩배출부(391) 각각은 가공모듈(30)에서의 기 결정된 방향을 따라 소정 길이를 갖는 가공칩컨베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가공칩컨베이어는 가공칩 및/또는 절삭물을 기 결정된 방향으로 이송할 수 있고, 가공칩 및/또는 절삭물을 가공칩컨베이어의 기 결정된 방향 말단에 배치된 칩수거부(미도시 됨)로 이송할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가공칩배출부(391)는 제1 내지 제4 가공부(351a-351d)보다 낮은 높이로 위치될 수 있고, 프레스가공에서의 제1 내지 제4 가공이 수행되는 동안 발생된 가공칩 및/또는 절삭물은 한 쌍의 가공칩배출부(391)로 떨어져 가공칩컨베이어를 통해 칩수거부로 배출될 수 있다.
앵커이송부(392)는, 프레스안착부(351)의 기 결정된 방향 말단에 배치된 한 쌍의 경사안내부(3921), 및 한 쌍의 경사안내부(3921)의 말단에 인접하게 배치된 앵커이송밸트를 포함할 수 있다. 즉, 경사안내부(3921) 및 앵커이송벨트(3922)는 가공모재 및 분할모재가 이송되는 기 결정된 방향에 있어서 제4 가공부(351d)의 하류측에 배치될 수 있다.
한 쌍의 경사안내부(3921)는 프레스안착부(351)에서 앵커이송벨트(3922)로 갈수록 높이가 낮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고,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경사안내부(3921) 상으로 이송된 앵커부재는 자중에 의해 경사안내부(3921)를 따라 하방 이동되어 앵커이송벨트(3922) 상으로 이동될 수 있다.
앵커이송벨트(3922)는 프레스안착부(351)의 폭 방향으로 소정 길이를 갖도록 배치될 수 있고, 앵커이송벨트(3922) 상에 위치된 앵커부재들을 앵커이송벨트(3922)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앵커이송벨트(3922)의 말단은 상술한 검사모듈(40)까지 연장될 수 있다. 즉, 앵커이송벨트(3922)를 통해 이송되는 앵커부재들은 검사모듈(40)로 이동될 수 있다.
프레스가압부(352)는 한 쌍의 제1 프레스부재(352a), 한 쌍의 제2 프레스부재(352b), 한 쌍의 제3 프레스부재(352c) 및 한 쌍의 제4 프레스부재(352d)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제1 프레스부재(352a)는 각각 한 쌍의 제1 가공부(351a)의 바로 상부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제1 프레스부재(352a)는 상하 구동되어 이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프레스부재(352a)가 하방 이동되어 제1 가공부(351a)와 접촉됨에 따라, 제1 가공부(351a) 상에 위치된 제1 분할모재(3)에는 제1 가공이 수행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한 쌍의 제1 프레스부재(352a) 각각의 하면에는 제1 분할모재(3)에 제1 가공(즉, 앵커홀 관통 형성)을 수행하기 위한 제1 금형(미도시 됨)이 마련될 수 있다. 제1 금형은 제1 분할모재(3)의 피가공몸체(3a) 상에 앵커홀을 관통 형성하기 위한 상보적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제2 프레스부재(352b)는 각각 한 쌍의 제2 가공부(351b)의 바로 상부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제2 프레스부재(352b)는 상하 구동되어 이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2 프레스부재(352b)가 하방 이동되어 제2 가공부(351b)와 접촉됨에 따라, 제2 가공부(351b) 상에 위치된 제2 분할모재(4)에는 제2 가공이 수행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한 쌍의 제2 프레스부재(352b) 각각의 하면에는 제2 분할모재(4)에 제2 가공(즉, 피가공몸체(4a)의 말단면 양측 코너부에 라운드 절삭 가공)을 수행하기 위한 제2 금형(미도시 됨)이 마련될 수 있다. 제2 금형은 제2 분할모재(4)의 피가공몸체(4a)의 양측 코너부 상에 라운드 절삭 가공을 수행하기 위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제3 프레스부재(352c)는 각각 한 쌍의 제3 가공부(351c)의 바로 상부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제3 프레스부재(352c)는 상하 구동되어 이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3 프레스부재(352c)가 하방 이동되어 제3 가공부(351c)와 접촉됨에 따라, 제3 가공부(351c) 상에 위치된 제3 분할모재(5)에는 제3 가공이 수행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한 쌍의 제3 프레스부재(352c) 각각의 하면에는 제3 분할모재(5)에 제3 가공(즉, 피가공몸체(5a)의 상면에서 앵커홀(5c)의 외주를 따라 챔퍼링 가공)을 수행하기 위한 제3 금형(미도시 됨)이 마련될 수 있다. 제3 금형은 제3 분할모재(5)의 피가공몸체(5a)의 상면에 챔퍼링 가공을 수행하기 위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제4 프레스부재(352d)는 각각 한 쌍의 제4 가공부(351d)의 바로 상부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제4 프레스부재(352d)는 상하 구동되어 이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4 프레스부재(352d)가 하방 이동되어 제4 가공부(351d)와 접촉됨에 따라, 제4 가공부(351d) 상에 위치된 제4 분할모재(6)에는 제4 가공이 수행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한 쌍의 제4 가공부(351d) 각각의 상면에는 제4 분할모재(6)에 제4 가공(즉, 피가공몸체(6a)의 하면에서 앵커홀(6c)의 외주를 따라 챔퍼링 가공)을 수행하기 위한 제4 금형(미도시 됨)이 마련될 수 있다. 제4 금형은 제4 분할모재(6)의 피가공몸체(6a)의 하면에 챔퍼링 가공을 수행하기 위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프레스가압부(352)는 단일체로 구성되어 일체로 상하 이동될 수 있다. 즉, 한 쌍의 제1 프레스부재(352a), 한 쌍의 제2 프레스부재(352b), 한 쌍의 제3 프레스부재(352c) 및 한 쌍의 제4 프레스부재(352d)는 단일체로 구성되어 일체로 상하 이동될 수 있다. 프레스가압부(352)의 하방 구동 시, 제1 가공, 제2 가공, 제3 가공 및 제4 가공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이송모듈(370)은 투입대기부(310), 위치보정부(320) 및 분할가공부(330)의 상부에 마련될 수 있고, 제2 이송모듈(380)은 프레스안착부(351) 상에 마련될 수 있다.
제1 이송모듈(370)은 가공모재의 이동 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되어 가공모재를 파지하여 이동시키는 복수의 제1 이송부재(37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이송부재(372)는 가공모듈(30)에서 상술한 기 결정된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제2 이송모듈(380)은 두 개의 분할모재의 이동 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되어 분할모재를 파지하여 이동시키는 복수의 제2 이송부재(382)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제2 이송부재(382)는 가공모듈(30)에서 상술한 기 결정된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한 쌍의 방향전환부(340)는, 분할가공부(330) 및 프레스가공부(350) 사이에 배치되어, 두 개의 분할모재의 배치 방향을 전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분할가공부(330)에서 가공모재가 분할되어 형성된 두 개의 제1 분할모재(3)는 제1 이송부재(372)에 의해 한 쌍의 방향전환부(340)로 이동될 수 있고, 방향전환부(340)로 이송된 두 개의 제1 분할모재(3) 각각은 지면에 평행한 방향으로 180˚ 회전될 수 있다.
한 쌍의 방?h전환부는, 두 개의 분할모재를 서로 이격시키고, 두 개의 분할모재 각각을 분할모재의 이송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180˚ 전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피가공몸체(3a)가 서로를 향하도록 배치된 두 개의 제1 분할모재(3)는 방향전환부(340)에 의해 막대부재(3b)가 서로를 향하도록 배치 방향이 전환될 수 있다.
복수의 제1 이송부재(372)는, 가공모재의 이동 방향을 따라 두 개씩 짝을 이루어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대향하는 두 개의 제1 이송부재(372)는 투입대기부(310), 위치보정부(320) 및 분할가공부(330) 각각에서 가공모재의 길이 방향 양측에 위치될 수 있다. 즉, 짝을 이루어 대향하는 두 개의 제1 이송부재(372)는, 가공모듈(30)에서 가공모재가 이송되는 기 결정된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두 개씩 짝을 이루어 형성된 제1 이송부재(372) 쌍들은 기 결정된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제1 이송부재(372) 쌍들이 이격 배치된 소정 간격은, 투입대기부(310)로부터 위치보정부(320)까지의 수평 직선 거리, 위치보정부(320)로부터 분할가공부(330)까지의 수평 직선 거리, 및 분할가공부(330)로부터 방향전환부(340)까지의 수평 직선 거리에 대응될 수 있다.
복수의 제2 이송부재(382)는, 프레스가공부(350)에서 분할모재의 이송 방향을 따라 두 개씩 짝을 이루어 서로 반대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서로 반대 방향을 향해 배치된 두 개의 제2 이송부재(382)는, 상호 이격되도록 배치된 두 개의 분할모재 사이에서 두 개의 분할모재의 이격 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두 개씩 짝을 이루어 형성된 제2 이송부재(382) 쌍들은 기 결정된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제2 이송부재(382) 쌍들이 이격 배치된 소정 간격은, 방향전환부(340)로부터 제1 가공부(351a)까지의 수평 직선 거리, 제1 가공부(351a)로부터 제2 가공부(351b)까지의 수평 직선 거리, 제2 가공부(351b)로부터 제3 가공부(351c)까지의 수평 직선 거리, 및 제3 가공부(351c)로부터 제4 가공부(351d)까지의 수평 직선 거리에 대응될 수 있다.
또한, 제1 이송모듈(370)은, 각각에 복수 개의 제1 이송부재(372)가 결합되는 한 쌍의 제1 이동몸체(37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제1 이동몸체(371)는 투입대기부(310), 위치보정부(320) 및 분할가공부(330)의 좌우 양측(수평면에서 기 결정된 방향에 수직한 방향 양측)에 배치될 수 있다. 한 쌍이 제1 이동몸체(371)는 기 결정된 방향을 따라 기 설정된 길이를 갖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이동몸체(371)의 기 설정된 길이는, 투입대기부(310)로부터 분할가공부(330)까지 이르는 기 결정된 방향으로의 직선 거리, 및 위치보정부(320)로부터 방향전환부(340)까지 이르는 기 결정된 방향으로의 직선 거리에 대응될 수 있다.
한 쌍의 제1 이동몸체(371) 각각에는 기 결정된 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된 복수 개의 제1 이송부재(372)가 결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한 쌍의 제1 이동몸체(371) 각각에는 3개의 제1 이송부재(372)가 결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 이동몸체(371) 및 3개의 제1 이송부재(372)는 일체로 상하 또는 수평 구동될 수 있다. 3개의 제1 이송부재(372)는 단일의 제1 이동몸체(371) 상에서 제1 이동몸체(37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서로 대향하는 두 개의 제1 이송부재(372)는 한 쌍의 제1 이동몸체(371) 각각에 배치될 수 있다. 즉, 두 개의 제1 이송부재(372)는 한 쌍의 제1 이동몸체(371)에서 서로 대향하는 외면 상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제1 이송모듈(370)은, 한 쌍의 제1 이동몸체(371) 및 복수의 제1 이송부재(372)를 지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상하 구동하기 위한 제1-1 이송구동부(373), 및 지면에 평행한 평면에서 한 쌍의 제1 이동몸체(371) 및 복수의 제1 이송부재(372)를 가공모재의 이송 방향을 따라 전후진 수평 구동하는 제1-2 이송구동부(37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1 이송구동부(373)는 한 쌍으로 마련될 수 있고, 한 쌍의 제1-1 이송구동부(373)는 각각 한 쌍의 제1 이동몸체(371)의 수평 방향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한 쌍의 제1-1 이송구동부(373) 각각의 일부는 한 쌍의 제1 이동몸체(371)의 후방(제1 이송부재(372)가 결합된 측면의 반대측면)에 결합될 수 있다. 제1-1 이송구동부(373)는 구동됨에 따라 결합된 제1 이동몸체(371)를 상하 방향으로 승하강 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2 이송구동부(374)는 한 쌍으로 마련될 수 있고, 한 쌍의 제1-2 이송구동부(374)는 각각 한 쌍의 제1 이동몸체(371)의 수평 방향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한 쌍의 제1-2 이송구동부(374) 각각의 일부는 한 쌍의 제1 이동몸체(371)의 후방(제1 이송부재(372)가 결합된 측면의 반대측면)에 결합될 수 있다. 제1-2 이송구동부(374)는 구동됨에 따라 결합된 제1 이동몸체(371)를 수평 평면에서 기 결정된 방향(가공모재의 이송 방향)을 따라 전후진 수평 이동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원 도 2 및 도 3에는, 제1-1 이송구동부(373) 및 제1-2 이송구동부(374)가 하나씩만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으로, 한 쌍의 제1-1 이송구동부(373) 및 한 쌍의 제1-2 이송구동부(374)는 가공모듈(30)의 좌우 양측에서 서로 대칭이되는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제1-1 이송구동부(373) 및 제1-2 이송구동부(374)는, 랙과 피니언 결합 또는 유압실린더 구조 또는 나사축과 승하강너트 결합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2 이송모듈(380)은, 복수 개의 제2 이송부재(382)가 결합되는 제2 이동몸체(381), 복수의 제2 이송부재(382)를 지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상하 구동하는 제2-1 이송구동부, 및 지면에 평행한 평면에서 복수의 제2 이송부재(382)를 가공모재의 이송 방향을 따라 전후진 수평 구동하는 제2-2 이송구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이동몸체(381)는 가공모듈(30)의 기 결정된 방향(분할모재의 이송 방향)을 따라 소정 길이를 갖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제2 이송부재(382)는 제2 이동몸체(381)의 양측면에 결합되어 제2 이동몸체(381)와 일체로 이동 또는 구동될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의 제2 이송부재(382) 중 서로 반대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된 두 개의 이송부재는 제2 이동몸체(381)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 동일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고, 제2 이동몸체(381)의 양측면에 결합되어 서로 반대 방향(즉, 가공모듈(30)의 수평 방향 외측)을 향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제2 이동몸체(381)는 프레스안착부(351)의 상면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복수의 제2 이송부재(382)는 제1 내지 제4 가공부(351a-351d)의 상부에 위치될 수 있다.
제2-1 이송구동부 및 제2-2 이송구동부는 제2 이동몸체(381)의 하부에 마련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제2 이동몸체(381)는 하면이 개방된 중공의 직육면체로 형성될 수 있고, 제2-1 이송구동부 및 제2-2 이송구동부는 제2 이동몸체(381)의 내측 하부에 구비되어 제2 이동몸체(381)와 연결될 수 있다.
제2-1 이송구동부는 구동됨에 따라 결합된 제2 이동몸체(381)를 상하 방향으로 승하강 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때, 제2 이동몸체(381)에 결합된 복수의 제2 이송부재(382) 또한 제2 이동몸체(381)와 일체로 승하강될 수 있다. 제2-2 이송구동부는 구동됨에 따라 결합된 제2 이동몸체(381)를 수평 평면에서 기 결정된 방향(가공모재의 이송 방향)을 따라 전후진 수평 이동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때, 제2 이동몸체(381)에 결합된 복수의 제2 이송부재(382) 또한 제2 이동몸체(381)와 일체로 전후진될 수 있다.
제2-1 이송구동부 및 제2-2 이송구동부는, 랙과 피니언 결합 또는 유압실린더 구조 또는 나사축과 승하강너트 결합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한편, 상술한 분할가압부(332)는, 서로 이격되어 대향하도록 배치된 복수의 제1 이송부재(372) 사이로 삽입 이동될 수 있다.
상술한 한 쌍의 제1 가공부(351a)는 제2 이송모듈(380)을 사이에 두고 수평 평면에서 기 결정된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고, 상술한 한 쌍의 제2 가공부(351b)는 제2 이송모듈(380)을 사이에 두고 수평 평면에서 기 결정된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고, 상술한 한 쌍의 제3 가공부(351c)는 제2 이송모듈(380)을 사이에 두고 수평 평면에서 기 결정된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고, 상술한 한 쌍의 제4 가공부(351d)는 제2 이송모듈(380)을 사이에 두고 수평 평면에서 기 결정된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한 쌍의 제1 프레스부재(352a)는 제2 이송모듈(380)을 사이에 두고 이격 배치될 수 있고, 한 쌍의 제2 프레스부재(352b)는 제2 이송모듈(380)을 사이에 두고 이격 배치될 수 있고, 한 쌍의 제3 프레스부재(352c)는 제2 이송모듈(380)을 사이에 두고 이격 배치될 수 있고, 한 쌍의 제4 프레스부재(352d)는 제2 이송모듈(380)을 사이에 두고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제1 내지 제4 프레스부재(352a-352d)가 하강 구동되어 제1 내지 제4 가공부(351a-351d)와 접촉되는 경우, 제2 이송모듈(380)은 한 쌍의 제1 프레스부재(352a) 사이의 공간, 한 쌍의 제2 프레스부재(352b) 사이의 공간, 한 쌍의 제3 프레스부재(352c) 사이의 공간 및 한 쌍의 제4 프레스부재(352d) 사이의 공간으로 삽입될 수 있다.
제1 이송모듈(370)의 복수의 제1 이송부재(372)에 의해, 투입대기부(310)에 위치된 가공모재의 위치보정부(320)로의 이동, 위치보정부(320)에 위치된 가공모재의 분할가공부(330)로의 이동, 그리고 분할가공부(330)에 위치된 두 개의 제1 분할모재(3)의 한 쌍의 방향전환부(340)로의 이동이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제2 이송모듈(380)의 복수의 제2 이송부재(382)에 의해, 한 쌍의 방향전환부(340)에 위치되어 분할가공부(330)에서의 위치에 비해 방향 전환된 상태의 두 개의 제1 분할모재(3)의 한 쌍의 제1 가공부(351a)로의 이동, 한 쌍의 제1 가공부(351a)에 위치된 두 개의 제2 분할모재(4)의 한 쌍의 제2 가공부(351b)로의 이동, 한 쌍의 제2 가공부(351b)에 위치된 두 개의 제3 분할모재(5)의 한 쌍의 제3 가공부(351c)로의 이동, 한 쌍의 제3 가공부(351c)에 위치된 두 개의 제4 분할모재(6)의 한 쌍의 제4 가공부(351d)로의 이동, 한 쌍의 제4 가공부(351d)에 위치된 두 개의 앵커부재의 한 쌍의 경사안내부(3921)로의 이동이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분할가압부(332) 및 프레스가압부(352)는 일체의 구조체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분할가압부(332) 및 프레스가압부(352)의 상면에는 직사각 플레이트 형상의 프레스몸체(361)가 일체로 결합될 수 있다. 즉, 분할가압부(332) 및 프레스가압부(352)는 프레스몸체(361)의 하면에서 하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프레스몸체(361)의 상면에는 복수 개의 승하강실린더(362)가 연결될 수 있다. 승하강실린더(362)이 하단은 프레스몸체(361)에 결합될 수 있고, 승하강실린더(362)의 상단은 가공모듈(30) 하우징(미도시 됨)의 천장면에 결합될 수 있다. 승하강실린더(362)는 지면에 수직한 방향을 따라 소정 길이를 갖도록 구성되고, 그 길이가 조절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승하강실린더(362)의 길이가 조절됨에 따라 프레스몸체(361), 분할가압부(332) 및 프레스가압부(352)는 일체로 상하 이동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분할가공부(330)에서의 분할 가공 및 프레스가공부(350)에서의 복수의 분할모재에 대한 제1 내지 제4 가공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분할가압부(332) 및 프레스가압부(352)가 일체로 1회 하강되는 경우, 분할안착부(331) 상에 위치된 가공모재에 대한 분할 가공, 제1 가공부(351a) 상에 안착된 제1 분할모재(3)에 대한 제1 가공, 제2 가공부(351b) 상에 안착된 제2 분할모재(4)에 대한 제2 가공, 제3 가공부(351c) 상에 안착된 제3 분할모재(5)에 대한 제3 가공, 및 제4 가공부(351d) 상에 안착된 제4 분할모재(6)에 대한 제4 가공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가공이 가능한 앵커 제조 장치(1)의 가공모듈(30)에 포함되는 투입대기부(310) 및 위치보정부(320)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투입대기부(310)는 공급벨트의 말단부에 인접하게 위치될 수 있다. 투입대기부(310)는, 상면 및 일측면이 개방되어 공급벨트로부터 이송된 복수 개의 가공모재 중 어느 하나가 안착되도록 구성된 대기안착부(311)를 포함할 수 있다. 대기안착부(311)의 상면에는 직사각 형상의 안착홈이 마련될 수 있고, 안착홈의 폭 크기는 가공모재의 단축 방향 최장폭 크기에 대응될 수 있다.
공급벨트에 의해 투입대기부(310)로 이송되는 가공모재는 대기안착부(311)로 이동되어 대기안착부(311)의 폐쇄된 타측면에 접촉 간섭됨으로써 대기안착부(311) 상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투입대기부(310)는 대기안착부(311)를 상하 이동시키도록 구성된 승하강구동부(31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승하강구동부(312)는 유압실린더로 구성될 수 있다. 가공모재가 유입되기 이전에 대기안착부(311)는 승하강구동부(312)에 의해 하방 이동되어 최하단 높이로 위치될 수 있고, 공급벨트에서 공급된 가공모재는 용이하게 대기안착부(311)로 이동될 수 있다.
가공모재가 안착된 경우, 대기안착부(311)는 승하강구동부(312)에 의해 상방 이동되어 최상단 높이로 위치될 수 있고, 대기안착부(311)는 위치보정부(320)의 보정안착부(321)와 동일한 높이로 위치될 수 있다. 대기안착부(311)가 보정안착부(321)와 동일한 높이로 위치됨에 따라 대기안착부(311) 상에 위치된 가공모재는 제1 이송부재(372)에 의해 파지되어 보정안착부(321)로 이송될 수 있다.
위치보정부(320)는, 가공모재가 안착되는 보정안착부(321), 보정안착부(321)의 양측에 마련된 한 쌍의 위치보정날개(322), 및 한 쌍의 위치보정날개(322) 상호간의 이격 거리를 조절하도록 구성된 이격구동부(323)를 포함할 수 있다.
보정안착부(321)의 상면에는 가공모재의 피가공몸체(2a)가 삽입되어 안착되도록 개방되어 형성된 직사각형 형상의 몸체안착홈이 마련될 수 있다. 즉, 보정안착부(321)는 수평 평면에서 기 결정된 방향에 수직한 방향(즉, 가공모재의 길이 방향)으로 장축을 갖는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보정안착부(321) 상면의 길이 방향 양단부에는 가공모재의 한 쌍의 막대부재(2b)가 삽입 안착되는 막대안착홈(321a)이 마련될 수 있다. 즉, 제1 이송부재(372)에 의해 가공모재가 위치보정부(320)로 이송되는 경우, 보정안착부(321) 상에 안착되는 가공모재는 몸체안착홈 및 한 쌍의 막대안착홈(321a)에 의해 정위치로 위치될 수 있다.
한 쌍의 위치보정날개(322)는 보정안착부(321)의 길이 방향 양측부에 위치될 수 있고, 이격구동부(323)에 의해 보정안착부(321)로 더 인접하게 접근하거나 보정안착부(321)로부터 멀어지도록 이격될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위치보정날개(322) 각각에서 보정안착부(321)를 대향하는 외면에는, 가공모재(2)의 막대부재(2b)의 말단부에 접하도록 구성된 위치보정블록(322a)이 돌출되어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공모재(2)의 막대부재(2b)는 중공 형성될 수 있고, 말단이 개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위치보정블록(322a)은 볼록한 반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한 쌍의 위치보정날개(322)가 보정안착부(321)로 접근할 때 위치보정블록(322a)의 적어도 일부는 막대부재(2b)의 개방된 말단에 삽입 지지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한 쌍의 막대부재(2b)는 가공모듈(30)의 기 결정된 방향에 대해 완전한 수직한 방향으로 위치 보정될 수 있다. 위치 보정된 상태의 가공모재(2)는 제1 이송부재(372)에 의해 분할가공부(330)로 이송될 수 있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가공이 가능한 앵커 제조 장치(1)의 가공모듈(30)에 포함되는 제1 이송부재(372)에 분할모재가 파지되기 전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가공이 가능한 앵커 제조 장치(1)의 가공모듈(30)에 포함되는 제1 이송부재(372)에 분할모재가 파지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의 (a)는 제1 분할모재(3)를 파지하기 하기 위해 준비된 상태의 제1 이송부재(372)를 상부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의 (b)는 제1 분할모재(3)를 파지하기 하기 위해 준비된 상태의 제1 이송부재(372)를 제1 이송부재(372)의 후방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의 (a)는 제1 분할모재(3)를 파지한 상태의 제1 이송부재(372)를 상부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의 (b)는 제1 분할모재(3)를 파지한 상태의 제1 이송부재(372)를 제1 이송부재(372)의 후방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복수의 제1 이송부재(372) 각각은, 가공모재의 어느 한 막대부재(2b)를 그 사이에 파지하기 위한 한 쌍의 제1 그리퍼(3721), 및 한 쌍의 제1 그리퍼(3721)의 이격 거리를 조절하는 제1 그립구동부(3723)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제1 그리퍼(3721) 각각은 'ㄹ'자 형상으로 절곡된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가공모듈(30)의 기 결정된 방향을 따라 서로 소정 거리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제1 이송부재(372)가 하강됨에 따라, 가공모재(2) 또는 제1 분할모재(3)의 막대부재(2b, 3b)는 한 쌍의 제1 그리퍼(3721) 사이의 이격 공간으로 삽입 위치될 수 있고, 제1 그립구동부(3723)의 작동에 의해 한 쌍의 제1 그리퍼(3721)가 서로 가까워지도록 이동됨에 따라 가공모재(2) 또는 제1 분할모재(3)의 막대부재(2b, 3b)는 한 쌍의 제1 그리퍼(3721)에 의해 파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그립구동부(3723)는 유압실린더로 형성될 수 있고, 한 쌍의 제1 그리퍼(3721) 중 어느 하나는 제1 그립구동부(3723)에 연결되어 수평 이동될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제1 그리퍼(3721) 중 어느 하나에는 나머지 하나의 제1 그리퍼(3721)를 향해 돌출 형성된 그립가이드핀(3722)이 마련될 수 있다. 이 때, 나머지 하나의 제1 그리퍼(3721)에는 그립가이드핀(3722)이 삽입되는 가이드홀(미도시 됨)이 마련될 수 있다. 제1 그립구동부(3723)의 작동에 의해 한 쌍의 제1 그리퍼(3721)의 이격 거리가 좁아져 서로 접근하는 경우, 일측 제1 그리퍼(3721)의 그립가이드핀(3722)은 다른 제1 그리퍼(3721)의 가이드홀 내로 삽입될 수 있고, 그립가이드핀(3722)과 가이드홀 상호간의 삽입 안내 구조를 통해 한 쌍의 제1 그리퍼(3721)의 안정적인 수평 그립 구조가 구현될 수 있다. 즉, 제1 그리퍼(3721)에 의한 가공모재 또는 분할모재의 파지 과정에서 가공모재 또는 분할모재가 뒤틀리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 한 쌍의 제1 그리퍼(3721) 각각에서 서로 대향하는 외면에는 막대부재(2b, 3b)의 외주면 일부와 상보적인 형상을 갖는 파지홈(3721a)이 마련될 수 있다. 즉, 한 쌍의 제1 그리퍼(3721)에 마련된 한 쌍의 파지홈(3721a)은 서로 대향하도록 형성될 수 있고, 한 쌍의 제1 그리퍼(3721)의 이격 거리가 좁아지는 경우, 막대부재(2b, 3b)는 한 쌍의 제1 그리퍼(3721)의 파지홈(3721a)에 지지되어 안정적으로 파지될 수 있다.
한편, 제2 이송부재(382) 각각은, 제2 그리퍼, 제2 그립구동부, 그립가이드핀(3722) 및 파지홈(3721a)을 동일하게 구비할 수 있다. 복수의 제2 이송부재(382) 각각은 제1 이송부재(372)와 동일한 구조 및 작동 성능을 갖도록 구성되는바, 제2 이송부재(382)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가공이 가능한 앵커 제조 장치(1)의 가공모듈(30)에 포함되는 방향전환부(340)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한 쌍의 방향전환부(340) 중 어느 하나를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도 9를 참조하면, 각각의 방향전환부(340)는, 제1 지지플레이트(341), 제2 지지플레이트(342), 슬라이더(343), 전후진실린더(344), 회전플레이트(345) 및 회전구동부재(346)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지지플레이트(341)는 지면에 평행한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지면 또는 가공모듈(30)의 하우징의 바닥면에 고정되어 위치될 수 있다. 제2 지지플레이트(342)는 제1 지지플레이트(341)의 일측에 결합될 수 있고, 지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기립된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지지플레이트(341) 및 제2 지지플레이트(342)는 서로 직교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슬라이더(343)는 제1 지지플레이트(341) 상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1 지지플레이트(341)의 상면에는 프레스안착부(351)의 폭 방향을 따라 소정 길이를 갖도록 슬라이딩가이드(341a)가 형성될 수 있다. 슬라이딩가이드(341a)는 예를 들어 레일 형상일 수 있다. 슬라이더(343)는 슬라이딩가이드(341a) 상에 결합될 수 있고, 슬라이딩가이드(341a) 상에서 슬라이딩가이드(341a)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슬라이더(343)는, 슬라이딩가이드(341a)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딩몸체(3431), 슬라이딩몸체(3431)에서 상측으로 연장 형성되고 지면에 수직하게 배치된 수직플레이트(3432), 및 수직플레이트(3432)의 상단에서 지면에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수평플레이트(3433)를 포함할 수 있다. 수평플레이트(3433)는 제1 지지플레이트(341)와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고, 수평플레이트(3433)는 수직플레이트(3432)를 기준으로 제2 지지플레이트(342)와 서로 반대측에 배치될 수 있다. 수직플레이트(3432)와 제2 지지플레이트(342)는 서로 대향하도록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2 지지플레이트(342)의 후방(제2 지지플레이트(342)를 기준으로 슬라이더(343) 반대측)에는 전후진실린더(344)가 배치될 수 있다. 제2 지지플레이트(342)의 하부 일부는 슬라이딩가이드(341a)의 길이 방향을 따라 관통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제2 지지플레이트(342)의 하부에는 관통홀(342a)이 형성될 수 있다. 전후진실린더(344)의 일부는 관통홀(342a)을 통해 제2 지지플레이트(342)의 전방에 위치된 슬라이더(343)(바람직하게는 슬라이딩몸체(3431))에 연결될 수 있다. 전후진실린더(344)는 작동됨에 따라 슬라이더(343)를 수평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슬라이더(343)는 전후진실린더(344)에 의해 슬라이딩가이드(341a)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다.
한 쌍의 방향전환부(340)의 회전플레이트(345) 상에 분할 가공된 두 개의 제1 분할모재(3)가 안착되는 경우, 두 개의 전후진실린더(344)에 의해 한 쌍의 방향전환부(340)의 슬라이더(343)가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고, 두 개의 제1 분할모재(3)는 프레스안착부(351)의 폭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수평플레이트(3433)의 상측에는 회전플레이트(345)가 배치될 수 있다. 회전플레이트(345)는 수평플레이트(3433)와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고, 수평플레이트(3433)에 대해 지면에 평행한 평면 상에서 회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수평플레이트(3433)의 하측에는 회전구동부재(346)가 결합될 수 있고, 회전구동부재(346)의 회전축(미도시 됨)은 수평플레이트(3433)를 관통하여 상측의 회전플레이트(345)에 결합될 수 있다. 회전구동부재(346)가 구동됨에 따라 회전플레이트(345)는 수평플레이트(3433)에 대해 수평 평면에서 180° 또는 360° 회전될 수 있다.
회전플레이트(345) 상에는 한 쌍의 회전안착부(345a)가 마련될 수 있다. 한 쌍의 회전안착부(345a) 각각에는 제1 분할모재(3)가 안착되는 안착홈이 함입 형성될 수 있다. 회전안착부(345a)의 안착홈은 제1 분할모재(3)와 상보적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한 쌍의 안착홈은 한 쌍의 회전안착부(345a)에 안착되는 제1 분할모재(3)의 막대부재(3b)가 서로 대향하게 위치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특히, 한 쌍의 안착홈 중 인접한 다른 방향전환부(340) 측에 배치된 안착홈은, 분할가공부(330)에서 분할되어 위치된 상태 그대로 이송되어 안착될 수 있도록, 그 위에 배치된 제1 분할모재(3)의 피가공몸체(3a)가 인접한 다른 방향전환부(340)를 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두 개의 제1 분할모재(3)가 회전플레이트(345) 상에 안착되어 프레스안착부(351)의 폭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된 경우, 회전플레이트(345)는 수평 평면에서 수평플레이트(3433)에 대해 180° 회전될 수 있고, 이를 통해 두 개의 제1 분할모재(3)는 각각의 막대부재(3b)가 서로를 향하는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후, 두 개의 제1 분할모재(3)는 제2 이송부재(382)에 의해 한 쌍의 제1 가공부(351a)로 이송될 수 있다.
도 10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가공이 가능한 앵커 제조 장치(1)의 공급모듈(20)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공급모듈(20)은, 상부가 개방되어 노출된 중공의 원통형의 하우징몸체(210), 하우징몸체(210) 내측에 배치되어 하우징몸체(210)의 기 결정된 높이에 설치된 오일제거부(220), 및 오일제거부(220) 상에 위치된 복수의 가공모재를 가공모듈(30) 내로 공급하기 위한 공급밸트(230)를 포함할 수 있다. 모재수용부(10)로부터 모재이송부(120)를 통해 공급된 복수의 가공모재들은 공급모듈(20)의 하우징몸체(210) 내로 수용될 수 있다.
오일제거부(220)는 복수의 오일배출구가 마련되도록 그물망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하우징몸체(210) 내로 이송된 복수의 가공모재들은 오일제거부(220) 상에 위치될 수 있다. 복수의 가공모재의 표면에는 사전 가공 과정에서 부가된 절삭유 또는 윤활유가 남아있을 수 있는데, 이러한 절삭유 또는 윤활유가 과도하게 잔류된 경우 가공모듈(30)에서의 앵커 가공에 가공 오차가 발생하는 요인이 될 수 있다. 이 때, 오일제거부(220) 상의 가공모재의 절삭유 또는 윤활유는 자중에 의해 오일배출구를 통해 하우징몸체(210)의 하부로 배출될 수 있다.
오일제거부(220)는 하우징몸체(210)의 길이 방향 중심 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오일제거부(220)의 하부에는 오일제거부(220)를 회전 구동하기 위한 회전모터(미도시 됨)이 마련될 수 있고, 오일제거부(220)가 회전됨에 따라 오일제거부(220) 상에 위치된 복수의 가공모재 표면의 절삭유 또는 윤활유는 오일배출구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또한, 오일제거부(220)는 하우징몸체(210)의 길이 방향 중심 축에서 반경 방향 외측으로 갈수록 지면에 대한 높이가 점차 낮아지는 원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오일제거부(220)의 중앙부로 공급된 복수의 가공모재는 오일제거부(220)가 회전됨에 따라 점차 오일제거부(220)의 외주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공급벨트는 오일제거부(220)의 상부에 마련될 수 있다. 공급벨트는 하우징몸체(210)의 내측 오일제거부(220) 상면에서 가공모듈(30) 내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공급벨트의 일단은 오일제거부(220)의 상면에 배치될 수 있고, 공급벨트의 타단은 가공모듈(30)의 투입대기부(310)의 측부에 위치될 수 있다. 즉, 오일제거부(220)에 가장 인접하게 위치되는 공급밸트(230)의 유입단부(공급벨트의 일단)는 오일제거부(220)의 외주연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오일제거부(220)가 회전됨에 따라, 오일제거부(220) 상에 위치된 복수의 가공모재 중 일부는 공급밸트(230)의 일단으로 유입될 수 있다. 공급벨트로 유입된 가공모재는 공급벨트의 구동에 의해 가공모듈(30)로 이송될 수 있다.
한편, 공급벨트의 일부는 하우징몸체(210)의 내측벽을 따라 나선형으로 배치될 수 있고, 공급벨트 중 일부는 하우징몸체(210)의 상면을 통해 외부로 연장되어 하우징몸체(210)의 외측벽을 따라 나선형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가공모재의 이송을 위한 공급벨트의 지면에 대한 경사도를 낮은 수준으로 설치할 수 있고, 공급벨트 상에 위치된 가공모재가 공급벨트 밖으로 떨어져 이탈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도 1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가공이 가능한 앵커 제조 장치(1)의 검사모듈(40)에 의해 취득된 이미지 데이터(420)의 일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검사모듈(40)은, 공급모듈(20)로부터 공급받은 복수의 앵커부재 중 어느 하나의 앵커부재를 기 결정된 위치로 이동시키는 검사이송부(미도시 됨), 기 결정된 위치 상에 위치된 어느 하나의 앵커부재를 촬상하여 이미지 데이터(420)를 취득하는 촬상부(미도시 됨), 촬상부에서 취득된 이미지 데이터(420)에 기초하여 어느 하나의 앵커부재의 양품여부를 판단하는 검사판단부(미도시 됨), 및 이미지 데이터(420)를 외부에 디스플레이 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410)를 포함할 수 있다.
검사판단부는, 상기 이미지 데이터(420) 상의 앵커부재의 외형에 대해 복수의 길이 및 폭 크기(도 11의 a, b, c, d)를 감지할 수 있고, 감지된 복수의 길이 및 폭 크기(도 11의 a, b, c, d)와 미리 설정된 복수의 기준 크기를 비교함으로써 앵커부재의 양품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검사판단부에서 감지되는 복수의 길이 및 폭 크기는 앵커부재의 장축 방향 최장 길이(a), 앵커부재의 막대부재 폭 크기(d)를 포함할 수 있다.
촬상부에 의해 취득된 이미지 데이터(420)는 디스플레이부(410)를 통해 외부로 출력될 수 있고, 디스플레이부(410)에 출력된 이미지 데이터(420)에는 검사판단부에서 감지된 복수의 길이 및 폭 크기가 앵커부재의 이미지 상에 중첩되어 출력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410)에는 출력중인 이미지 데이터(420)에 포함된 앵커부재가 양품인지 여부가 함께 출력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410)에 출력된 이미지 데이터(420)를 통해 앵커부재의 양품여부를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검사모듈(40)은 양품으로 결정된 앵커부재를 왕성품수용부로 이송하기 위한 양품이송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검사모듈(40)은, 검사판단부에서 불량으로 결정된 앵커부재를 외부의 불량수용부(미도시 됨)로 이송할 수 있다.
또한, 검사모듈(40)은 외부의 사용자 단말과 무선 통신 가능한 통신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촬영부에서 촬상된 이미지 데이터(420) 및 검사판단부에서 감지된 복수의 길이 및 폭 크기는, 통신모듈을 통해 외부의 사용자 단말로 전송될 수 있다. 또한, 앵커부재의 양품 판별 결과 또한 사용자 단말로 전송될 수 있고,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을 통해 전체 앵커부재 대비 양품 판정 비율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검사모듈(40)에 앵커부재가 공급되지 않는 경우 경보 메시지가 사용자 단말로 전송될 수 있고, 사용자는 원격에서 앵커 제조 장치(1)의 구성 모듈들 중 어느 하나의 모듈에서 작동 이상이 발생했다는 것을 바로 인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대표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개시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개시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개시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 앵커 제조 장치
10: 모재수용부
110: 모재수용하우징
120: 모재이송부
20: 공급모듈
210: 하우징몸체
220: 오일제거부
230: 공급밸트
30: 가공모듈
310: 투입대기부
311: 대기안착부
312: 승하강구동부
320: 위치보정부
321: 보정안착부
321a: 막대안착홈
322: 위치보정날개
322a: 위치보정블록
323: 이격구동부
330: 분할가공부
331: 분할안착부
332: 분할가압부
340: 방향전환부
341: 제1 지지플레이트
341a: 슬라이딩가이드
342: 제2 지지플레이트
342a: 관통홀
343: 슬라이더
3431: 슬라이딩몸체
3432: 수직플레이트
3433: 수평플레이트
344: 전후진실린더
345: 회전플레이트
345a: 회전안착부
346: 회전구동부재
350: 프레스가공부
351: 프레스안착부
351a: 제1 가공부
351b: 제2 가공부
351c: 제3 가공부
351d: 제4 가공부
352: 프레스가압부
352a: 제1 프레스부재
352b: 제2 프레스부재
352c: 제3 프레스부재
352d: 제4 프레스부재
361: 프레스몸체
362: 승하강실린더
370: 제1 이송모듈
371: 제1 이동몸체
372: 제1 이송부재
3721: 제1 그리퍼
3721a: 파지홈
3722: 그립가이드핀
3723: 제1 그립구동부
373: 제1-1 이송구동부
374: 제1-2 이송구동부
380: 제2 이송모듈
381: 제2 이동몸체
382: 제2 이송부재
391: 가공칩배출부
392: 앵커이송부
3921: 경사안내부
3922: 앵커이송벨트
40: 검사모듈
410: 디스플레이부
420: 이미지 데이터
50: 완성품수용부
2: 가공모재
2a: 피가공몸체
2b: 막대부재
3, 4, 5, 6: 분할모재
3a, 4a, 5a, 6a: 피가공몸체
3b, 4b, 5b, 6b: 막대부재
4c, 5c, 6c: 앵커홀
7: 앵커부재

Claims (7)

  1. 단일의 가공모재로부터 두 개의 앵커부재를 형성하는 가공모듈;
    복수 개의 가공모재를 수용하고, 상기 가공모듈로 상기 복수 개의 가공모재를 연속으로 공급하도록 구성된 공급모듈; 및
    상기 가공모듈에서 형성된 앵커부재를 공급받고, 상기 앵커부재의 양품여부를 결정하는 검사모듈
    을 포함하고,
    상기 가공모듈은,
    상기 복수 개의 가공모재 중 어느 하나의 가공모재를 가공에 필요한 정위치로 정렬시키는 위치보정부;
    상기 어느 하나의 가공모재를 기 결정된 기준에 따라 2분할하도록 구성된 분할가공부; 및
    상기 가공모재가 분할되어 형성된 두 개의 분할모재를 프레스(Press) 가공을 통해 상기 앵커부재로 가공하는 프레스가공부
    를 포함하는 것인, 연속가공이 가능한 앵커 제조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레스가공부에서, 상기 두 개의 분할모재는 상기 분할가공부에서의 위치에 비해 서로 더 먼 거리로 이격된 상태로 위치되고,
    상기 프레스가공부는,
    프레스 가공이 수행되도록 상기 두 개의 분할모재가 위치되는 프레스안착부; 및
    상기 프레스안착부의 상부에 배치되고, 구동됨에 따라 하방 이동하여 상기 프레스 안착부 상에 위치된 복수 개의 분할모재를 동시에 가공하는 프레스가압부
    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스안착부는,
    제1 가공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두 개의 분할모재가 각각 위치되는 한 쌍의 제1 가공부;
    상기 한 쌍의 제1 가공부를 통과한 상기 두 개의 분할모재에 제2 가공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두 개의 분할모재가 각각 위치되는 한 쌍의 제2 가공부;
    상기 한 쌍의 제2 가공부를 통과한 상기 두 개의 분할모재에 제3 가공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두 개의 분할모재가 각각 위치되는 한 쌍의 제3 가공부; 및
    상기 한 쌍의 제3 가공부를 통과한 상기 두 개의 분할모재에 제4 가공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두 개의 분할모재가 각각 위치되는 한 쌍의 제4 가공부
    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스가압부는 단일체로 구성되어 일체로 상하 이동되고,
    상기 프레스가압부의 구동 시, 상기 제1 가공, 상기 제2 가공, 상기 제3 가공 및 상기 제4 가공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것인, 연속가공이 가능한 앵커 제조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가공모재는,
    타원형의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된 피가공몸체; 및
    상기 피가공몸체의 장축 방향 양단부에서 상기 장축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고, 상기 피가공몸체의 두께보다 큰 직경 크기를 갖는 원통형의 막대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가공모재는 상기 장축 방향을 따라 기 결정된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분할가공부는, 상기 가공모재의 길이 방향 중심에서 상기 피가공몸체를 절단하여 두 개의 분할모재로 분할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연속가공이 가능한 앵커 제조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가공모재 및 상기 분할모재는 상기 가공모듈에서 기 결정된 방향을 따라 이동되고,
    상기 가공모듈은,
    상기 위치보정부 및 상기 분할가공부 상에 마련된 제1 이송모듈로서, 상기 가공모재의 이동 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되어 상기 가공모재를 파지하여 이동시키는 복수의 제1 이송부재를 포함하는 제1 이송모듈;
    상기 프레스안착부 상에 마련된 제2 이송모듈로서, 상기 두 개의 분할모재의 이동 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되어 상기 분할모재를 파지하여 이동시키는 복수의 제2 이송부재를 포함하는 제2 이송모듈; 및
    상기 분할가공부 및 상기 프레스가공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두 개의 분할모재의 배치 방향을 전환하는 한 쌍의 방향전환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제1 이송부재는, 상기 가공모재의 이동 방향을 따라 두 개씩 서로 대향하여 배치되고,
    대향하는 두 개의 제1 이송부재는 상기 가공모재의 길이 방향 양측에 배치되고,
    상기 한 쌍의 방?h전환부는, 상기 두 개의 분할모재를 서로 이격시키고, 상기 두 개의 분할모재 각각을 상기 분할모재의 이송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180도 전환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복수의 제2 이송부재는, 상기 분할모재의 이송 방향을 따라 두 개씩 서로 반대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되고,
    서로 반대 방향을 향해 배치된 상기 두 개의 제2 이송부재는, 상호 이격되도록 배치된 상기 두 개의 분할모재 사이에서 상기 두 개의 분할모재의 이격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것인, 연속가공이 가능한 앵커 제조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1 이송모듈은,
    상기 복수의 제1 이송부재를 지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상하 구동하는 제1-1 이송구동부; 및
    지면에 평행한 평면에서 상기 복수의 제1 이송부재를 상기 가공모재의 이송 방향을 따라 전후진 수평 구동하는 제1-2 이송구동부
    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이송모듈은,
    상기 복수의 제2 이송부재를 지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상하 구동하는 제2-1 이송구동부; 및
    지면에 평행한 평면에서 상기 복수의 제2 이송부재를 상기 가공모재의 이송 방향을 따라 전후진 수평 구동하는 제2-2 이송구동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제1 이송부재는, 상기 제1-1 이송구동부에 의해 일체로 동시에 상하 구동되고, 상기 제1-2 이송구동부에 의해 일체로 동시에 수평 구동되고,
    상기 복수의 제2 이송부재는, 상기 제2-1 이송구동부에 의해 일체로 동시에 상하 구동되고, 상기 제2-2 이송구동부에 의해 일체로 동시에 수평 구동되는 것인, 연속가공이 가능한 앵커 제조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공급모듈은,
    상부가 개방되어 노출된 중공의 원통형의 하우징몸체;
    상기 하우징몸체의 기 결정된 높이에 설치된 오일제거부로서, 상기 오일제거부는 복수의 오일배출구가 마련되도록 그물망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오일제거부 상에는 복수의 가공모재가 공급되어 위치되는 것인, 오일제거부;
    상기 오일제거부의 상부에 마련되고, 상기 오일제거부 상에 위치된 복수의 가공모재를 상기 가공모듈 내로 공급하기 위한 공급밸트
    를 포함하고,
    상기 오일제거부는 상기 하우징몸체의 길이 방향 중심 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오일제거부는 상기 하우징몸체의 길이 방향 중심 축에서 반경 방향 외측으로 갈수록 지면에 대한 높이가 점차 낮아지는 원추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오일제거부에 가장 인접하게 위치되는 상기 공급밸트의 유입단부는 상기 오일제거부의 외주연에 배치되며,
    상기 오일제거부가 회전됨에 따라, 상기 오일제거부 상에 위치된 복수의 가공모재 중 일부가 상기 공급밸트 상으로 유입되는 것인, 연속가공이 가능한 앵커 제조 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검사모듈은,
    상기 공급모듈로부터 공급받은 복수의 앵커부재 중 어느 하나의 앵커부재를 기 결정된 위치로 이동시키는 검사이송부;
    상기 기 결정된 위치 상에 위치된 상기 어느 하나의 앵커부재를 촬상하여 이미지 데이터를 취득하는 촬상부; 및
    상기 촬상부에서 취득된 이미지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어느 하나의 앵커부재의 양품여부를 판단하는 검사판단부
    를 포함하고,
    상기 검사판단부는, 상기 이미지 데이터 상의 앵커부재의 외형에 대해 복수의 길이 및 폭 크기를 감지하고, 감지된 상기 복수의 길이 및 폭 크기와 미리 설정된 복수의 기준 크기를 비교함으로써 상기 앵커부재의 양품여부를 판단하는 것인, 연속가공이 가능한 앵커 제조 장치.
KR1020220094058A 2022-07-28 2022-07-28 연속가공이 가능한 앵커 제조 장치 KR2024001603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4058A KR20240016036A (ko) 2022-07-28 2022-07-28 연속가공이 가능한 앵커 제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4058A KR20240016036A (ko) 2022-07-28 2022-07-28 연속가공이 가능한 앵커 제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16036A true KR20240016036A (ko) 2024-02-06

Family

ID=898586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94058A KR20240016036A (ko) 2022-07-28 2022-07-28 연속가공이 가능한 앵커 제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16036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50593A (ko) 2020-10-16 2022-04-25 주식회사 하모니 자동차용 필러앵커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50593A (ko) 2020-10-16 2022-04-25 주식회사 하모니 자동차용 필러앵커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84336B1 (ko) 단조소재 이송공급 장치
KR101934844B1 (ko) 환봉 절단장치
KR101700130B1 (ko) 서스펜션 베어링의 이중 사출 성형 방법
CN109404425A (zh) 一种圆柱滚子轴承全自动装配生产线
KR20160139157A (ko) 핸들 조립용 홀 개공기
KR101893511B1 (ko) 차량용 그로밋 디버링 장치
KR20240016036A (ko) 연속가공이 가능한 앵커 제조 장치
CN111846929B (zh) 取料机构
KR101700129B1 (ko) 이중 사출 시스템
KR100345438B1 (ko) 반도체칩 패키지 분리용 싱글레이션 시스템
KR102393053B1 (ko) 환봉 절단장치
CN111874596B (zh) 光轴机械自动加工系统
CN211660514U (zh) 端面磨床的上料装置
CN116174322A (zh) 一种轴类零件长度自动检测设备
CN108908514A (zh) 对心机构
CN111846744B (zh) 滚筒输送机
CN211890021U (zh) 一种丝锥加工装置
KR101971214B1 (ko) 이너파이프 제조장치
CN110000558B (zh) 一种水龙头阀芯组装设备及组装方法
KR101328659B1 (ko) 차량용 연료분배관의 연결캡 검사장치
CN112374108A (zh) 一种方便手机屏玻璃幕盖板自动下料整理系统
KR20170114080A (ko) 사출물 비전검사 및 적재시스템
KR102324794B1 (ko) 스포이트 캡 선별 공급장치
CN219541000U (zh) 产品外观尺寸检测及分类系统
CN217837491U (zh) 一种半导体收料装置的传动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