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15795A - 분할형 커튼 원단 - Google Patents
분할형 커튼 원단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40015795A KR20240015795A KR1020220093258A KR20220093258A KR20240015795A KR 20240015795 A KR20240015795 A KR 20240015795A KR 1020220093258 A KR1020220093258 A KR 1020220093258A KR 20220093258 A KR20220093258 A KR 20220093258A KR 20240015795 A KR20240015795 A KR 2024001579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nection
- split
- separation
- section
- connection section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04744 fabric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6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0
- 239000000155 mel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0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1939 induct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claims 1
- 238000009941 weav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9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2844 mel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018 melt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940 knit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759 woven fabr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H—MARKING, INSPECTING, SEAMING OR SEVERING TEXTILE MATERIALS
- D06H5/00—Seaming textile materials
-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02—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 E06B9/08—Roll-type closures
- E06B9/11—Roller shutters
- E06B9/15—Roller shutters with closing members formed of slats or the like
-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3/00—Domestic or personal
- D10B2503/02—Curtains
-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02—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 E06B9/08—Roll-type closures
- E06B9/11—Roller shutters
- E06B9/15—Roller shutters with closing members formed of slats or the like
- E06B2009/1533—Slat conne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Curtains And Furnishings For Windows Or Doors (AREA)
Abstract
분할형 커튼 원단을 개시한다.
이러한 분할형 커튼 원단은, 복수 개의 슬랫부(SLAT)와, 이 슬랫부들 간을 서로 분리 가능하게 연결하는 스플릿부를 포함한다.
이러한 분할형 커튼 원단은, 복수 개의 슬랫부(SLAT)와, 이 슬랫부들 간을 서로 분리 가능하게 연결하는 스플릿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분할형 커튼 원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커튼용 원단들은 주로 실내 커튼장치 측에 설치되어 창호 부분을 차광 또는 채광 가능하게 가림 처리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커튼용 원단은 제직(WEAVING)이나, 편직(KNITTING) 방식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차광이나 채광 처리와 부합하도록 펼침 또는 접힘 조작이 가능하게 커튼장치 측에 연결 설치된 상태로 사용된다.
이러한 커튼용 원단은 대부분 일체형의 원단 형태로 이루어지며, 차광 처리를 위한 차광부 및 채광 처리를 위한 망사 형태의 채광부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근래에는 일체형의 커튼용 원단 이외에도, 복수 개의 슬랫부(SLAT)들이 서로 분리 가능하게 연결 형성된 상태로 제조된 분할형 커튼 원단들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분할형 커튼 원단은 원단 제조 후, 별도의 스플릿 작업에 의해 슬랫부들이 서로 분리된 상태로 하나의 커튼장치 측에 복수 개가 각각 개별적인 분할 가림 면적을 이루도록 연결 설치된 상태로 사용된다.
그러므로, 분할형 커튼 원단들은 커튼 본연의 기능(차광 및 채광) 구현은 물론이거니와, 특히 스플릿 작업시 슬랫부들이 서로 원활하게 분리될 수 있는 원단 구조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복수 개의 슬랫부(SLAT)를 구비하고, 이 슬랫부들이 서로 분리 가능한 제직 상태로 연결 형성된 분할형 커튼 원단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복수 개의 슬랫부(SLAT)와, 이 슬랫부들 간을 서로 분리 가능하게 연결하는 스플릿부를 포함하도록 제직된 분할형 커튼 원단으로서,
상기 스플릿부는,
상기 슬랫부들 사이를 지그재그 모양으로 서로 연결하는 복수 개의 분리 연결구간을 갖도록 형성되는 제1 연결부와, 상기 슬랫부 사이에서 상기 제1 연결부의 분리 연결구간들을 잡아주는 상태로 연결되는 고정 연결구간을 갖도록 형성되는 제2 연결부, 및 이 제2 연결부 측에 감겨지는 상태로 형성되되, 상기 고정 연결구간과 상기 분리 연결구간의 연결 부위 측을 용융 접합력으로 결속하기 위한 용융 접합구간을 갖도록 형성되는 용융 연결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분할형 커튼 원단을 제공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복수 개의 슬랫부들이 스플릿부의 제1 연결부 및 제2 연결부에 의해 서로 분리 가능하게 연결 형성되되, 특히 스플릿부의 제1 연결부와 제2 연결부 측이 용융 연결부의 용융 접합력에 의해 안정적인 연결 결속 상태를 이룰 수 있도록 제직된 분할형 원단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제직된 원단의 슬랫부들을 서로 분리하는 스플릿 작업을 진행할 때, 스플릿부의 제1 연결부 측이 제2 연결부에 의해 더욱 안정적으로 당겨지는 상태로 슬랫부 측에서 분리 제거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원단의 스플릿 작업 효율성 및 작업 품질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분할형 커튼 원단의 전체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분할형 커튼 원단의 세부 구조 및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2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분할형 커튼 원단의 세부 구조 및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들이 본 발명의 실시가 가능한 범위 내에서 설명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는 것이므로, 본 발명의 청구범위는 아래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들로 인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도면에서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분할형 커튼 원단의 전체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 내지 도 6은 세부 구조 및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로서,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분할형 커튼 원단(F)은, 복수 개의 슬랫부(10)와, 이 슬랫부(10, SLAT)들 간을 서로 분리 가능하게 연결하는 스플릿부(20)를 포함하며, 통상의 제직(WEAVING) 작업 방식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이러한 제직 작업은 예를 들어, 제직장치(미도시)에 의해 제직용 실들을 위사 방향 및 경사 방향으로 서로 제직 처리하는 방식으로 진행할 수 있다.
즉, 슬랫부(10)는 도 1에서와 같이 복수 개가 서로 평면을 이루면서 평행하게 배열되도록 제직된 상태로 형성될 수 있다.
슬랫부(10)는 요구되는 커튼 환경과 부합하도록 예를 들어, 도 1에서와 같이 차광부(S1) 및 채광부(S2)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슬랫부(10)는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예를 들어, 제직 방식 또는 프린트 방식 등에 의해 표면 측에 각종 장식용 무늬가 표현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슬랫부(10)는 제직 여건에 따라 적어도 두 개 이상이 하나의 원단(F)을 이루는 상태로 제직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스플릿부(20)는 슬랫부(10)의 제직 작업과 연계하여 이 슬랫부(10)들 간을 서로 분리 가능하게 연결하는 제직 상태로 형성된다.
특히, 스플릿부(20)는 슬랫부(10)들을 서로 분리하는 스플릿 작업을 진행할 때, 슬랫부(10) 측에서 원활하게 분리 제거될 수 있는 구조를 갖도록 형성된다.
스플릿부(20)는 도 1 내지 도 3에서와 같이 제1 연결부(22), 제2 연결부(24) 및 용융 연결부(26)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제1 연결부(22)는 도 2에서와 같이 복수 개의 분리 연결구간(A)으로 구성되며, 이 분리 연결구간(A)들은 슬랫부(10)들 사이에서 지그재그 모양의 연결 구간을 이루면서 슬랫부(10)들 간을 서로 분리 가능하게 연결하는 구조를 갖도록 형성된다.
즉, 제1 연결부(22)는 제직장치(미도시)의 작동에 의해 슬랫부(10)의 제직 처리와 연계하여 도 2에서와 같이 슬랫부(10)들 간을 지그재그 모양으로 연결하는 분리 연결구간(A)들을 갖도록 제직 처리되는 상태로 형성될 수 있다.
분리 연결구간(A)들은 슬랫부(10) 측과 연결된 단부 측이 당김 동작에 의해 쉽게 분리되고, 슬랫부(10)의 분리 지점에 보풀 발생이 억제될 수 있는 연결 상태를 이루도록 제직 처리되는 것이 바림직하다.
이를 위하여 분리 연결구간(A)은 예를 들어, 인장 강도가 낮은 모노사 형태의 제직용 실을 사용하여 단심 구조를 갖도록 형성할 수 있다.
제2 연결부(24)는 제1 연결부(22)의 제직과 연계하여 형성되되, 이 제1 연결부(22)의 분리 제거와 부합하는 상태로 분리 연결구간(A)들을 잡아줄 수 있는 연결 결속 구조를 갖도록 형성된다.
제2 연결부(24)는 도 2에서와 같이 슬랫부(10) 사이에 형성되는 고정 연결구간(B)으로 구성되며, 이 고정 연결구간(B)은 분리 연결구간(A) 측이 지그재그 모양으로 제직될 때, 이와 연계하여 서로 연결 결속되는 상태로 제직되면서 슬랫부(10)의 연장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즉, 고정 연결구간(B)은 도 3에서와 같이 분리 연결구간(A) 측이 슬랫부(10) 사이를 지그재그 모양으로 오가는 상태로 제직될 때, 분리 연결구간(A) 측과 서로 교차하는 지점에서 이 분리 연결구간(A)이 둘레부 측에 적어도 1회 이상 감겨진 연결 결속 상태를 이루도록 제직 형성될 수 있다.
그러면, 제2 연결부(24)는 상기와 같이 제1 연결부(22) 측과 서로 연결 결속된 상태로 제직되어 이 제1 연결부(22) 측을 분리 제거와 부합하는 상태로 잡아줄 수 있는 고정 연결구간(B)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고정 연결구간(B)은 분리 연결구간(A) 측과의 안정적인 연결 결속이 가능하도록 예를 들어, 합사 형태의 제직용 실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두 가닥 이상의 합사가 한 조로 구성되어 복심 구조의 연결구간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용융 연결부(26)는 제1 연결부(22) 및 제2 연결부(24)의 제직과 연계하여 이 연결부(22, 24)들 측에 용융 접합력으로 연결 결속력을 부여할 수 있도록 제직된 상태로 형성된다.
즉, 용융 연결부(26)는 도 3에서와 같이 용융 접합구간(C)으로 이루어지며, 이 용융 접합구간(C)은 제2 연결부(24)의 고정 연결구간(B)의 둘레부 측을 나선 모양으로 감는 제직 상태로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이때, 용융 접합구간(C)은 고정 연결구간(B)의 둘레부 측을 나선 모양으로 감는 제직 상태로 연장 형성되되, 고정 연결구간(B)과 분리 연결구간(A)이 서로 연결 결속된 부위의 둘레부 측을 적어도 1회 이상 감는 상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용융 접합구간(C)은 특정 온도 이상의 열에 의해 융용 접합력 발생이 가능하게 용융될 수 있는 특성을 갖도록 형성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원단(F) 제조 후 진행하는 통상의 후처리 공정시 용융에 의한 용융 접합력 발생 및 부여가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용융 연결부(26)는 원단(F)의 후처리 공정 중에서 텐터링(TENTERING, 원단 폭내기 처리) 작업 환경의 건조 분위기(대략 섭씨 180도 내지 190도)에 의해 용융 접합구간(C) 측이 용융되는 상태로 용융 접합력 발생 및 부여가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용융 연결부(26)는 도 1 내지 도 3에서와 같이 슬랫부(10)들이 제1 연결부(22) 및 제2 연결부(24)에 의해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는 상태로 원단(F) 제직이 이루어질 때, 제1 연결부(22)와 제2 연결부(24) 간의 연결 결속력 확보와 부합하는 용융 접합력을 발생 및 부여할 수 있는 용융 접합구간(C)을 제공할 수 있다.
즉, 용융 접합구간(C)은 특정 온도 이상의 고온 분위기에 의해 용융되는 상태로 용융 접합력을 발생하고, 고온 분위기가 해제되면 경화되면서 도 4에서와 같이 제1 연결부(22)와 제2 연결부(24) 간의 연결 결속력 향상과 부합하는 용융 접합력을 부여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복수 개의 슬랫부(10)들이 서로 분리 가능하게 연결된 상태로 제직 형성되되, 특히 서로 인접한 슬랫부(10)들이 스플릿부(20)에 의해 안정적인 분리 제거와 부합하는 상태로 연결 형성된 분할형 커튼 원단(F)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특히, 스플릿부(20)는 도 2 내지 도 3에서와 같이 슬랫부(10) 측과 직접 연결된 제1 연결부(22) 측이 제2 연결부(24) 측과 서로 엮여진 연결 결속 상태로 형성될 뿐만 아니라, 이들의 엮임 부분이 용융 연결부(26)에 의해 더욱 안정적으로 연결 결속된 구조를 갖도록 형성된다.
그러므로, 이와 같이 제직 형성된 원단(F) 구조에 의하면, 도 5에서와 같이 스플릿부(20)를 잡아당기는 방식으로 슬랫부(10)를 서로 분리하는 스플릿 작업을 진행할 때, 스플릿부(20) 중에서 슬랫부(10) 측과 직접 연결된 제1 연결부(22) 측이 제2 연결부(24)에 의해 더욱 안정적으로 당겨지도록 유도되는 상태로 스플릿부(20)의 분리 제거가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스플릿 작업 효율성 및 작업 품질이 한층 더 향상되도록 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스플릿부(20)는 분리 유도부(28)를 더 구비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분리 유도부(28)는 원단(F)의 스플릿 작업시 제1 연결부(22)의 복수 개의 분리 연결구간(A)들의 안정적인 분리 제거가 가능하게 유도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분리 유도부(28)는 도 6에서와 같이 분리 유도구간(D)으로 구성되며, 이 분리 유도구간(D)은 슬랫부(10)들 사이에서 제2 연결부(24)의 고정 연결구간(B)을 사이에 두고 제1 연결부(22)의 분리 연결구간(A) 측을 분리 제거 유도가 가능하게 각각 잡아줄 수 있도록 제직된 상태로 형성된다.
즉, 분리 유도부(28)는 도 6에서와 같이 슬랫부(10) 사이에서 제2 연결부(24)의 고정 연결구간(B)을 사이에 두고 이 고정 연결구간(B) 측과 서로 평행한 상태로 분리 유도구간(D)이 각각 형성되되, 지그재그 모양으로 제직되는 분리 연결구간(A) 측과 서로 교차하는 지점에서 이 분리 연결구간(A)이 분리 유도구간(D)의 둘레부 측에 적어도 1회 이상 감겨진 연결 결속 상태를 이루도록 제직 형성될 수 있다.
그러면, 분리 유도부(28)는 슬랫부(10) 사이에서 제1 연결부(22)의 지그재그 모양의 분리 연결구간(A)들을 분리 유도구간(D)으로 잡아줄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분리 유도구간(D)은 분리 연결구간(A) 측과의 안정적인 연결 결속이 가능하도록 예를 들어, 모노사 형태의 제직용 실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단심 구조의 유도구간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분리 유도부(28)의 구조에 의하면, 원단(F) 제조 후 스플릿부(20) 측을 잡아당기는 방식으로 슬랫부(10)의 스플릿 작업을 진행할 때, 슬랫부(10) 측과 연결된 제1 연결부(22) 측의 분리 제거와 부합하도록 제2 연결부(24) 측과 연계하여 분리 연결구간(A)들을 더욱 안정적으로 잡아준 상태로 분리 당김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그러므로, 분리 유도부(28)는 제2 연결부(24) 측과 연계하여 분리 연결구간(A) 측을 한 번 더 잡아줌으로써, 당김 동작에 의해 분리 연결구간(A)이 더욱 안정적으로 분리 제거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또한, 분리 유도부(28)는 분리 유도구간(D)으로 분리 연결구간(A)들 간을 서로 연결하는 상태로 형성되므로, 분리 연결구간(A)들이 당김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분리되는 상태로 제거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
10: 슬랫부 20: 스플릿부 22: 제1 연결부
24: 제2 연결부 26: 용융 연결부 F: 커튼 원단
24: 제2 연결부 26: 용융 연결부 F: 커튼 원단
Claims (4)
- 복수 개의 슬랫부(SLAT)와, 이 슬랫부들 간을 서로 분리 가능하게 연결하는 스플릿부를 포함하도록 제직된 분할형 커튼 원단으로서,
상기 스플릿부는,
상기 슬랫부들 사이를 지그재그 모양으로 서로 연결하는 복수 개의 분리 연결구간을 갖도록 형성되는 제1 연결부와, 상기 슬랫부 사이에서 상기 제1 연결부의 분리 연결구간들을 잡아주는 상태로 연결되는 고정 연결구간을 갖도록 형성되는 제2 연결부, 및 이 제2 연결부 측에 감겨지는 상태로 형성되되, 상기 고정 연결구간과 상기 분리 연결구간의 연결 부위 측을 용융 접합력으로 결속하기 위한 용융 접합구간을 갖도록 형성되는 용융 연결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분할형 커튼 원단.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부 및 상기 제2 연결부는,
상기 슬랫부 사이에서 상기 분리 연결구간과 상기 고정 연결구간의 교차 지점들이 서로 감겨진 연결 결속 상태로 형성되는 분할형 커튼 원단.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용융 연결부는,
원단 제조 후, 텐터링 공정 중에 발생하는 건조열에 의해 용융 접합력 발생이 가능하게 상기 용융 접합구간이 용융되도록 형성되는 분할형 커튼 원단.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플릿부는, 분리 유도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분리 유도부는,
상기 슬랫부 사이에서 상기 제1 연결부의 분리 제거와 부합하는 상태로 분리 연결구간 측을 잡아주기 위한 분리 유도구간을 갖도록 형성되는 분할형 커튼 원단.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93258A KR102683276B1 (ko) | 2022-07-27 | 2022-07-27 | 분할형 커튼 원단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93258A KR102683276B1 (ko) | 2022-07-27 | 2022-07-27 | 분할형 커튼 원단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40015795A true KR20240015795A (ko) | 2024-02-06 |
KR102683276B1 KR102683276B1 (ko) | 2024-07-10 |
Family
ID=898586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093258A KR102683276B1 (ko) | 2022-07-27 | 2022-07-27 | 분할형 커튼 원단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683276B1 (ko)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0295537A (ja) * | 1997-02-28 | 1998-11-10 | Munehiro Takiguchi | 分割式カーテン |
KR20160122559A (ko) * | 2015-04-14 | 2016-10-24 | 세원섬유(주) | 원단, 원단의 제조 방법 및 원단을 이용한 차광 구조물 |
KR101908979B1 (ko) * | 2018-05-09 | 2018-10-17 | 손윤정 | 커튼 일체형 버티컬 블라인드 |
KR102369930B1 (ko) | 2021-07-15 | 2022-03-03 | 박수미 | 버티컬 블라인드용 경편직물 및 이의 제조방법 |
KR20220068571A (ko) * | 2020-11-19 | 2022-05-26 | 권영택 | 선택적 분리가 가능한 수직형 블라인드 |
-
2022
- 2022-07-27 KR KR1020220093258A patent/KR102683276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0295537A (ja) * | 1997-02-28 | 1998-11-10 | Munehiro Takiguchi | 分割式カーテン |
KR20160122559A (ko) * | 2015-04-14 | 2016-10-24 | 세원섬유(주) | 원단, 원단의 제조 방법 및 원단을 이용한 차광 구조물 |
KR101908979B1 (ko) * | 2018-05-09 | 2018-10-17 | 손윤정 | 커튼 일체형 버티컬 블라인드 |
KR20220068571A (ko) * | 2020-11-19 | 2022-05-26 | 권영택 | 선택적 분리가 가능한 수직형 블라인드 |
KR102369930B1 (ko) | 2021-07-15 | 2022-03-03 | 박수미 | 버티컬 블라인드용 경편직물 및 이의 제조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683276B1 (ko) | 2024-07-1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S2048845T5 (es) | Cortinas de ventanas. | |
JP2001522950A5 (ko) | ||
JP2005509755A5 (ko) | ||
JP2005529249A5 (ko) | ||
KR102683276B1 (ko) | 분할형 커튼 원단 | |
US7455079B2 (en) | Venetian blind tape | |
US3335762A (en) | Manufacture of curtains, shades and the like | |
JP2007181699A (ja) | 垂れ紐状間仕切り、カーテン | |
JP5213732B2 (ja) | 水処理用固定床エレメントの製造方法 | |
JP2007169801A (ja) | カーテン用芯地 | |
KR100932657B1 (ko) | 자카드방식으로 제직되는 트리플블라인드지 및 그의 제직방법 | |
JP2005522595A (ja) | 少なくとも一つの、パーマネント加工を施した折り目を有する布地、および、その製造方法 | |
JPH0860490A (ja) | 湾曲付き針によるビーズ織り機 | |
JP2019088266A (ja) | 漁網の製造方法 | |
KR101881111B1 (ko) | 인터레이스 원사를 이용한 방수 원단 | |
KR101528304B1 (ko) | 도트를 가지는 이중직물 및 그 이중직물을 제조하는 방법 | |
JP2010156084A (ja) | 二重構造プリーツ布地およびその製造方法 | |
KR20010092187A (ko) | 파일직 및 그 제조방법 | |
KR101951282B1 (ko) | 손누비 명주 제조 방법 | |
JP3777551B2 (ja) | ピンテンター滑脱防止織物 | |
JP3120452U (ja) | 垂れ紐状間仕切り、カーテン | |
JP2593849Y2 (ja) | ドラム式乾燥機用ネット | |
US6834518B1 (en) | Knitting process for fabric curtain with trimming | |
US1537510A (en) | Method of producing leaflike figure work in braided lace | |
CA1060312A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forming a double catch thread narrow weav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