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14822A - 차량용 컴프레서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컴프레서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14822A
KR20240014822A KR1020220092459A KR20220092459A KR20240014822A KR 20240014822 A KR20240014822 A KR 20240014822A KR 1020220092459 A KR1020220092459 A KR 1020220092459A KR 20220092459 A KR20220092459 A KR 20220092459A KR 20240014822 A KR20240014822 A KR 202400148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ue
calculated
torque
compressor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924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준행
박현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두원공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두원공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두원공조
Priority to KR10202200924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14822A/ko
Publication of KR202400148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1482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1/3204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 B60H1/3205Control means therefor
    • B60H1/3208Vehicle drive related control of the compressor drive means, e.g. for fuel saving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2001/3236Cooling devices information from a variable is obtained
    • B60H2001/3248Cooling devices information from a variable is obtained related to pressure
    • B60H2001/325Cooling devices information from a variable is obtained related to pressure of the refrigerant at a compressing un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2001/3236Cooling devices information from a variable is obtained
    • B60H2001/3266Cooling devices information from a variable is obtained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2001/3269Cooling devices output of a control signal
    • B60H2001/327Cooling devices output of a control signal related to a compressing unit
    • B60H2001/3273Cooling devices output of a control signal related to a compressing unit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vehicle, e.g. the compressor driving torqu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 Control Of Positive-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컴프레서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컴프레서의 일측에 설치된 압력센서로부터 토출 체크밸브 후단에서의 제1 측정값과 토출 포트 전단에서의 제2 측정값을 각각 입력받는 데이터 입력부, 차량의 시동이 ON된 시점에서부터 에어컨 시스템이 ON/OFF되는 시점까지를 복수의 구간으로 구분하고, 현재 시점이 어느 구간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 상기 판단된 구간 정보에 따라 상기 제1 측정값과 제2 측정값을 이용하여 차이값을 산출하고, 산출된 차이값을 이용하여 연산 토크값을 연산하는 연산부, 그리고 상기 연산된 연산 토크값을 ECU(electronic control unit)로 전달하는 출력부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컴프레서의 고압값 및 저압값을 실시간으로 취득하고, 그 차이값을 이용하여 현재 컴프레서의 출력값을 예측하고 그에 맞는 연산 토크를 히터 컨트롤에서 계산하여 출력함으로써 어떤 부하 조건에서도 정확한 연산 토크 보상을 할 수 있어, 에어컨 시스템 작동 시 발생되는 엔진 성능의 영향성을 최소화하여, 연비 및 엔진 성능 향상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컴프레서 제어장치{APPARATUS FOR COMPRESSOR CONTROLING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컴프레서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컴프레서의 토출 체크밸브 후단과 토출 포트 전단에서 각각 측정된 압력차를 이용하여 현재 시점에서의 컴프레서 출력값을 예측하여 토크를 보상하는 차량용 컴프레서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에어컨 시스템을 작동시킬 때 발생되는 컴프레서의 실부하 토크는 아래와 같이 엔진 성능에 영향을 준다.
첫째, 에어컨 시스템 작동 시 컴프레서가 필요한 실부하 토크 보다 큰 연산 토크를 출력할 경우, 컴프레서에 토크를 보상해야 하는 만큼 엔진 토크가 상승하여 과보상이 발생하기 때문에 연비성능이 저하된다.
둘째, 실부하 토크 보다 큰 연산 토크를 출력할 경우, 소음과 진동이 크게 발생하여 운전자에게 불쾌감을 줄 수 있다.
셋째, 실부하 토크 보다 연산 토크를 적게 출력할 경우, 컴프레서에 토크 보상을 해야하는 만큼의 엔진 토크가 부족하기 때문에 순간적인 RPM 저하가 발생된다. 이는 소음과 진동 뿐 아니라 시동이 꺼지는 현상도 발생될 수 있다.
위와 같은 에어컨 작동 시 발생되는 토크에 대한 영향성을 줄이기 위해 공조 컨트롤은 APT(Automotive Pressure Transmitter) 압력센서의 값을 기준으로 컴프레서의 실부하 토크에 따른 연산 토크의 보상값을 출력하여 에어컨 작동 시 발생되는 엔진 성능 저하를 개선한다.
연산 토크란 에어컨 시스템이 작동할 때 컴프레서에 실부하 토크를 예측하여 엔진 토크의 갑작스러운 변동을 방지하기 위한 값으로 그 연산 토크에 공조 컨트롤의 제어를 통해 추가 보상값을 반영하여, 보다 정교한 연산이 가능해진다.
종래에는 보상값 설정 방법으로 특정부하 조건(환경)에서 평가를 통해 차량 에어컨 시스템을 작동 시켰을 때 발생되는 실부하 토크를 측정하고 APT(Automotive Pressure Transmitter) 압력센서의 값을 기준으로 연산 토크의 보상값을 출력한다.
여기서, 특정부하 조건으로는 외기온도 및 공조컨트롤의 BLOWER 강도 및 엔진 OFF→ON 조건 등을 포함하며, 각 부하 조건 별로 에어컨 시스템의 ON/OFF를 반복하는 평가를 통해 유저가 실제 사용 할 수 있는 유사한 조건에서 보상값을 선정 한다.
그러나, 공조 컨트롤에서 출력되는 연산 토크는 대표 외기온 및 냉매 압력에 따라 특정 부하 조건에서 평가된 값을 출력하며, 평가된 조건 외의 부하 발생 시 근접한 평가조건의 값을 출력한다. 하지만 해당 출력은 평가를 통해 확인되지 않은 예상값으로 평가 조건의 출력값보다 정확도가 떨어지기 때문에 에어컨 시스템 작동 시 실부하 토크 대비 연산 토크가 과도하게 출력되거나 적게 출력되어 엔진 성능 저하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03851호(2014.05.28. 공고)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컴프레서의 토출 체크밸브 후단과 토출 포트 전단에서 각각 측정된 압력차를 이용하여 현재 시점에서의 컴프레서 출력값을 예측하여 토크를 보상하는 차량용 컴프레서 제어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컴프레서의 일측에 설치된 압력센서로부터 토출 체크밸브 후단에서의 제1 측정값과 토출 포트 전단에서의 제2 측정값을 각각 입력받는 데이터 입력부, 차량의 시동이 ON된 시점에서부터 에어컨 시스템이 ON/OFF되는 시점까지를 복수의 구간으로 구분하고, 현재 시점이 어느 구간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 상기 판단된 구간 정보에 따라 상기 제1 측정값과 제2 측정값을 이용하여 차이값을 산출하고, 산출된 차이값을 이용하여 연산 토크값을 연산하는 연산부, 그리고 상기 연산된 연산 토크값을 ECU(electronic control unit)로 전달하는 출력부를 포함한다.
상기 판단부는, 차량의 시동이 ON된 시점에서 에어컨 시스템이 ON되는 시점까지를 제1 구간으로 설정하고, 에어컨 시스템이 ON된 시점에서부터 릴레이(relay)가 ON되기 이전 시점까지를 제2 구간으로 설정하고, 릴레이(relay)가 ON된 시점에서부터 에어컨 시스템이 OFF되는 시점까지를 제3 구간으로 설정한 다음, 사용자가 에어컨의 버튼을 눌러 입력 신호가 발생되면, 현재 시점을 제2 구간으로 판단하고, 컴프레서의 작동 신호가 발생되면, 현재 시점을 제3 구간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연산부는, 현재 시점이 제1 구간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차이값이 영점에 수렴되도록 제1 측정값을 이용하여 임의의 값을 산출할 수 있다.
상기 연산부는, 현재 시점이 제2 구간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현재 시점에서 측정된 제1 측정값과 제2 측정값을 이용하여 차이값을 산출하고, 산출된 차이값으로부터 상기 임의의 값을 차감시켜 획득한 제1 보정값을 기 설정된 토크 테이블에 대입하여 초기 연산 토크값을 획득할 수 있다.
상기 연산부는, 현재 시점이 제3 구간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초기 연산 토크값을 이용하여 구동된 컴프레서의 토출 체크밸브 후단에서 측정된 제1 측정값을 획득하고, 획득한 제1 측정값을 하기의 수학식에 대입하여 고압[bar]을 산출한 다음, 산출된 고압[bar]을 이용하여 토크 특성맵의 테이블을 선정할 수 있다.
상기 연산부는, 현재시점에서 차량의 엔진 회전수(RPM)를 이용하여 상기 선정된 토크 특성맵의 테이블로부터 가변영역에서의 토크 연산 최대값을 획득하고, 상기 획득한 가변영역에서의 토크 연산 최대값이 상기 차이값보다 작거나 같으면, 하기의 수학식을 이용하여 연산 토크(TQ)를 산출할 수 있다.
상기 연산부는, 상기 획득한 가변영역에서의 토크 연산 최대값이 상기 차이값보다 크면, 하기의 수학식을 이용하여 연산 토크(TQ)를 산출할 수 있다.
상기 연산부는, 제3 구간 동안 기 설정된 시간마다 상기 연산 토크(TQ)를 n번 반복하여 산출하고, 반복하여 산출된 n개의 연산 토크(TQ) 들의 평균값을 최종 연산 토크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컴프레서의 고압값 및 저압값을 실시간으로 취득하고, 그 차이값을 이용하여 현재 컴프레서의 출력값을 예측하고 그에 맞는 연산 토크를 공조컨트롤에서 계산하여 출력함으로써 어떤 부하 조건에서도 정확한 연산 토크 보상을 할 수 있어, 에어컨 시스템 작동 시 발생되는 엔진 성능의 영향성을 최소화하여, 연비 및 엔진 성능 향상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컴프레서 제어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차량용 컴프레서 제어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컴프레서 제어장치를 이용한 차량용 컴프레서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컴프레서의 토크값을 제어하기 위하여 분류된 구간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S340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토크 테이블 예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면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도 1 및 도 2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컴프레서 제어장치에 대해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컴프레서 제어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차량용 컴프레서 제어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차량용 컴프레서 제어장치(100)는 컴프레서(200)로부터 전달받은 측정값을 이용하여 연산 토크값을 산출하고, 산출된 연산 토크값을 ECU(electronic control unit)(400)에 전달하여 상기 컴프레서(200)의 회전을 제어한다.
이때, 상기 컴프레서 제어장치(100)는 히터 컨트롤(300)의 내부에 포함되어 설치될 수도 있고, 상기 히터 컨트롤(300)과 분리되어 설치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컴프레서(200)의 토출 체크밸브(미도시)의 후단과 토출 포트(미도시) 전단에는 압력센서(미도시)를 설치하며, 상기 압력센서(미도시)는 토출 체크밸브(미도시)에서서의 압력과 토출 포트(미도시) 전단에서의 압력을 각각 측정한다. 그리고, 측정된 각각의 압력은 상기 컴프레서 제어장치(100)에 전달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컴프레서 제어장치(100)는 전달받은 각각의 압력의 차이값을 이용하여 연산 토크를 산출한다. 이때, 산출되는 차이값의 크기가 미비하므로 상기 컴프레서(200)의 일측에는 증폭회로를 추가로 설치할 수 있으며, 상기 증폭회로(미도시)는 상기 압력센서(미도시)에서 측정된 압력값을 증폭하여 상기 컴프레서 제어장치(100)에 전달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컴프레서 제어장치(100)는 입력부(110), 판단부(120), 연산부(130) 및 출력부(140)를 포함한다.
먼저, 상기 입력부(110)는 상기 컴프레서(200)의 일측에 설치된 압력센서(미도시)로부터 압력에 대한 측정값을 입력받는다. 부연하자면, 상기 입력부(110)는 토출 체크밸브(미도시)의 후단에서 측정된 제1 측정값과 토출 포트(미도시) 전단에서 측정된 제2 측정값을 각각 입력받는다.
상기 판단부(120)는 차량의 시동이 ON된 시점에서부터 에어컨 시스템이 ON/OFF되는 시점까지를 복수개의 구간으로 구분하고, 현재 시점이 어느 구간에 해당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연산부(130)는 상기 판단부(120)에서 판단된 구간에 따라 대응되는 연산 토크값을 산출한다.
상기 출력부(140)는 산출된 연산 토크값을 ECU(electronic control unit)(400)로 전달하여 상기 컴프레서(200)의 압력을 제어한다.
이하에서는 도 3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차량용 컴프레서 제어장치(100)를 이용하여 상기 컴프레서의 작동을 제어하는 방법에 대해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컴프레서 제어장치를 이용한 차량용 컴프레서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부(110)는 상기 컴프레서(200)의 일측에 설치된 압력센서(미도시)로부터 제1 측정값 및 제2 측정값을 입력받는다(S310).
부연하자면, 상기 압력센서(미도시)는 차량의 시동이 ON되면 실시간으로 토출 체크밸브(미도시) 후단 및 토출 포트(미도시) 전단에서의 압력을 각각 측정한다. 이때, 상기 토출 체크밸브(미도시) 후단에서 측정된 압력을 제1 측정값이라고 하고, 상기 토출 포트(미도시) 전단에서 측정된 압력을 제2 측정값이라고 한다.
연산부(130)는 입력된 제1 측정값과 제2 측정값의 차이값을 산출하고, 산출된 차이값을 이용하여 상기 토출 체크밸브(미도시) 후단에 출력되는 압력을 제어한다(S320).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컴프레서의 토크값을 제어하기 위하여 분류된 구간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먼저, 개발자는 상기 컴프레서(200)의 압력을 제어하기 위하여 차량의 시동이 ON된 시점에서부터 에어컨 시스템이 ON/OFF되는 시점까지를 복수의 구간으로 분류하여 설정한다.
부연하자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발자는 차량의 시동이 ON된 시점에서 에어컨 시스템이 ON되는 시점까지를 제1 구간으로 설정하고, 에어컨 시스템이 ON된 시점에서부터 릴레이(relay)가 ON되기 이전 시점까지를 제2 구간으로 설정하고, 릴레이(relay)가 ON 된 시점에서부터 에어컨 시스템이 OFF되는 시점까지를 제3 구간으로 설정한다.
그 다음, 판단부(120)는 현재 시점에서 입력된 제1 측정값 및 제2 측정값이 어느 구간에서 측정된 것인지 판단한다.
그리고, 제1 구간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연산부(130)는 제1 측정값과 제2 측정값이 차이값을 산출하고, 산출된 차이값을 하기 수학식에 대입하여 제1 설정값을 산출한다.
그 다음, 연산부(130)는 산출된 제1 설정값을 상기 제2 측정값에 합하여 상기 토출 체크밸브(미도시) 후단에 출력되는 압력을 산출한다. 그리고, 산출된 압력은 ECU(electronic control unit)(400)를 통해 상기 컴프레서(200)에 전달하여 제1 구간에서의 제1 측정값과 제2 측정값의 편차를 최소화한다.
S320 단계가 완료된 상태에서 에어컨 시스템이 ON되면, 연산부(130)는 현재 시점에서 입력된 제1 측정값과 제2 측정값의 차이값을 이용하여 초기 연산 토크값을 산출한다(S330).
먼저, 판단부(120)는 현재 시점이 제2 구간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그리고 제2 구간으로 판단되면, 연산부(130)는 현재 시점에서 입력된 제1 측정값과 제2 측정값의 차이값을 산출한다. 그리고, 산출된 차이값을 하기의 수학식 2에 대입하여 초기 연산 토크값을 산출한다.
그리고, 출력부(140)는 산출된 초기 연산 토크값을 상기 ECU(400)에 전달한다. 그러면, 상기 ECU(400)는 전달받은 초기 연산 토크값을 이용하여 상기 컴프레서(200)를 제어한다.
이때, 제2 구간에서 차이값이 발생되지 않을 경우, 출력부(140)는 토크 테이블을 이용하여 임의의 값을 추출하여 상기 ECU(400)에 전달한다.
에어컨 시스템이 ON된 상태에서 릴레이가 ON되면, 현재 시점에서 입력된 제1 측정값과 제2 측정값의 차이값을 이용하여 최종 연산 토크값을 산출한다(S340).
부연하자면, 출력된 상기 초기 연산 토크를 이용하여 상기 컴프레서(200)가 작동되면 차압값이 정상적으로 발생된다. 그러면, 연산부(130)는 하기의 수학식 3을 이용하여 토크 테이블을 선정한다.
여기서 고압은 압력센서(미도시)를 통해 입력되었던 냉매 압력을 나타내는 것으로 상기의 수학식 3으로 대체되어 토크 테이블을 선정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하면, 현재 시점에서 측정된 1의 측정값이 1.2V이면, 연산부(130)는 고압[bar]에 대한 토크 테이블을 선정한다.
그 다음, 연산부(130)는 현재시점에서 측정된 차량의 엔진(ENG, Engine) 회전수(RPM, Rounds per minute), 제1 측정값 및 제2 측정값을 입력받는다. 그리고 연산부(130)는 입력된 제1 측정값 및 제2 측정값을 이용하여 차이값을 산출하고, 산출된 차이값과 선정된 상기 토크 테이블의 토크 연산 최대값을 비교한다.
이때, 상기 차이값이 상기 토크 테이블의 토크 연산 최대값보다 작거나 같으면, 연산부(130)는 상기 토크 테이블로부터 제1 가변값 및 제2 가변값을 각각 추출한다.
그리고, 연산부(130)는 추출된 제1 가변값 및 제2 가변값을 하기의 수학식 4에 대입하여 최종 연산 토크값을 산출한다.
여기서, 가변값은 일반 상수를 나타낸다.
반면에, 상기 차이값이 상기 토크 테이블의 토크 연산 최대값보다 크면, 연산부(130)는 상기 토크 테이블로부터 제1 최대각 및 제2 최대각을 각각 추출한다.
그리고, 연산부(130)는 추출된 제1 최대각 및 제2 최대각을 하기의 수학식 5에 대입하여 최종 연산 토크값을 산출한다.
여기서, 최대값은 일반 상수를 나타낸다.
그 다음, 연산부(130)는 산출된 상기 최종 연산 토크값을 상기 ECU(400)에 전달한다. 그러면, 상기 ECU(400)는 전달받은 초기 연산 토크값을 이용하여 상기 컴프레서(200)를 제어한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S340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토크 테이블 예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재시점에서 측정된 엔진 회전수(RPM)가 800이고, 차이값이 1.2라고 가정한다. 그러면, 상기 차이값이 상기 토크 연산 최대값보다 작으므로, 상기 연산부(130)는 상기 제1 가변값(a1 Value)에 해당하는 8.25, 상기 제2 가변값(b1 Value)에 해당하는 -2.91를 각각 추출한다.
그 다음, 연산부(130)는 추출된 상기 제1 가변값(a1 Value) 및 상기 제2 가변값(b1 Value)을 수학식 4에 대입하여 최종 연산 토크값인, 6.99를 산출한다.
또한, 현재시점에서 측정된 엔진 회전수(RPM)가 800이고, 차이값이 1.7라고 가정한다. 그러면, 상기 차이값이 상기 토크 연산 최대값보다 크므로, 상기 연산부(130)는 상기 제1 최대각(a2 Value)에 해당하는 1.04, 상기 제2 최대각(b2 Value)에 해당하는 8.18를 각각 추출한다.
그 다음, 연산부(130)는 추출된 상기 상기 제1 최대각(a2 Value) 및 상기 제2 최대각(b2 Value)을 수학식 5에 대입하여 최종 연산 토크값인, 9.95를 산출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차량용 컴프레서 제어장치(100)는 제1 구간, 제2 구간 및 제3 구간에서 각각 연산된 값들의 편차를 줄이기 위하여, 제3 구간 동안 기 설정된 시간마다 상기 연산 토크(TQ, Torque)를 n번 반복하여 산출하고, 반복하여 산출된 n개의 상기 연산 토크(TQ) 들의 평균값을 최종 연산 토크값으로 설정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차량용 컴프레서 제어장치(100)는 컴프레서(200)의 고압값 및 저압값을 실시간으로 취득하고, 그 차이값을 이용하여 현재 컴프레서의 출력값을 예측하고 그에 맞는 연산 토크를 히터 컨트롤(300)에서 계산하여 출력함으로써 어떤 부하 조건에서도 정확한 연산 토크 보상을 할 수 있어, 에어컨 시스템 작동 시 발생되는 엔진 성능의 영향성을 최소화하여, 연비 및 엔진 성능 향상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이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 차량용 컴프레서 제어장치 110 : 입력부
120 : 판단부 130 : 연산부
140 : 출력부 200 : 컴프레서
300 : 히터 컨트롤 400 : ECU

Claims (8)

  1. 컴프레서의 일측에 설치된 압력센서로부터 토출 체크밸브 후단에서의 제1 측정값과 토출 포트 전단에서의 제2 측정값을 각각 입력받는 데이터 입력부,
    차량의 시동이 ON된 시점에서부터 에어컨 시스템이 ON/OFF되는 시점까지를 복수의 구간으로 구분하고, 현재 시점이 어느 구간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
    상기 판단된 구간 정보에 따라 상기 제1 측정값과 제2 측정값을 이용하여 차이값을 산출하고, 산출된 차이값을 이용하여 연산 토크값을 연산하는 연산부, 그리고
    상기 연산된 연산 토크값을 ECU(electronic control unit)로 전달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컴프레서 제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부는,
    차량의 시동이 ON된 시점에서 에어컨 시스템이 ON되는 시점까지를 제1 구간으로 설정하고, 에어컨 시스템이 ON된 시점에서부터 릴레이(relay)가 ON되기 이전 시점까지를 제2 구간으로 설정하고, 릴레이(relay)가 ON된 시점에서부터 에어컨 시스템이 OFF되는 시점까지를 제3 구간으로 설정한 다음,
    사용자가 에어컨의 버튼을 눌러 입력 신호가 발생되면, 현재 시점을 제2 구간으로 판단하고,
    컴프레서의 작동 신호가 발생되면, 현재 시점을 제3 구간으로 판단하는 차량용 컴프레서 제어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산부는,
    현재 시점이 제1 구간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차이값이 영점에 수렴되도록 제1 측정값을 이용하여 임의의 값을 산출하는 차량용 컴프레서 제어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산부는,
    현재 시점이 제2 구간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현재 시점에서 측정된 제1 측정값과 제2 측정값을 이용하여 차이값을 산출하고,
    산출된 차이값으로부터 상기 임의의 값을 차감시켜 획득한 제1 보정값을 기 설정된 토크 테이블에 대입하여 초기 연산 토크값을 획득하는 차량용 컴프레서 제어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연산부는,
    현재 시점이 제3 구간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초기 연산 토크값을 이용하여 구동된 컴프레서의 토출 체크밸브 후단에서 측정된 제1 측정값을 획득하고, 획득한 제1 측정값을 하기의 수학식에 대입하여 고압[bar]을 산출한 다음, 산출된 고압[bar]을 이용하여 토크 특성맵의 테이블을 선정하는 차량용 컴프레서 제어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연산부는,
    현재시점에서 차량의 엔진 회전수(RPM)를 이용하여 상기 선정된 토크 특성맵의 테이블로부터 가변영역에서의 토크 연산 최대값을 획득하고,
    상기 획득한 가변영역에서의 토크 연산 최대값이 상기 차이값보다 작거나 같으면, 하기의 수학식을 이용하여 연산 토크(TQ)를 산출하는 차량용 컴프레서 제어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연산부는,
    상기 획득한 가변영역에서의 토크 연산 최대값이 상기 차이값보다 크면, 하기의 수학식을 이용하여 연산 토크(TQ)를 산출하는 차량용 컴프레서 제어장치.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연산부는,
    제3 구간 동안 기 설정된 시간마다 상기 연산 토크(TQ)를 n번 반복하여 산출하고, 반복하여 산출된 n개의 연산 토크(TQ) 들의 평균값을 최종 연산 토크값으로 설정하는 차량용 컴프레서 제어장치.
KR1020220092459A 2022-07-26 2022-07-26 차량용 컴프레서 제어장치 KR2024001482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2459A KR20240014822A (ko) 2022-07-26 2022-07-26 차량용 컴프레서 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2459A KR20240014822A (ko) 2022-07-26 2022-07-26 차량용 컴프레서 제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14822A true KR20240014822A (ko) 2024-02-02

Family

ID=899005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92459A KR20240014822A (ko) 2022-07-26 2022-07-26 차량용 컴프레서 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1482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13622B2 (ja) 超音波式物体検出装置
KR101427955B1 (ko) 차량의 워터 펌프 제어 방법 및 시스템
US9021820B2 (en) Optimization of an overall heating capacity of an air conditioning system
EP2206617B1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
US7392662B2 (en)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a climate control system
CA3040545C (en)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air flow within a ventilation system
CN107571713B (zh) 基于内置温度检测单元的汽车自动空调控制方法及控制器
JP5069742B2 (ja) 圧力制限弁によるブレーキ圧力の制御装置および方法
EP1106406A2 (en) Motor vehicle automatic HVAC control with open loop transient compensation
KR20240014822A (ko) 차량용 컴프레서 제어장치
JP3325014B2 (ja) 冷媒の充填レベルをモニターする方法
US7900466B2 (en) Air-conditioning system for a motor vehicle
KR20170136622A (ko) 센서를 사용하지 않고 압력 검출 정확도를 증가시키는 방법
JP2000145831A (ja) 車両を作動する方法、および車両
KR102256653B1 (ko) 차량용 공조장치
US7668686B2 (en) External temperature display control algorithm
JP3388136B2 (ja) 車両用空調制御方法および空調制御装置
JP2004115012A (ja) 制御装置を備える空調機
US9987905B2 (en) Method of torque prediction for automotive air conditioning compressor
JP4751239B2 (ja) 車両の積載重量算出方法及びその装置
US6378316B2 (en) Method for checking the state of a closed loop air-conditioning system comprising a variable-throughput compressor
JP5013189B2 (ja) 車両用空調装置
KR101981883B1 (ko) 연료 전달 시스템을 조절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장치
US6732938B1 (en) Quasi-steady-state control method for a vehicle automatic climate control
CN116674347A (zh) 一种车载空调自干燥方法、装置、设备及介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