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14210A - 교량 선배수 장치 - Google Patents

교량 선배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14210A
KR20240014210A KR1020220091668A KR20220091668A KR20240014210A KR 20240014210 A KR20240014210 A KR 20240014210A KR 1020220091668 A KR1020220091668 A KR 1020220091668A KR 20220091668 A KR20220091668 A KR 20220091668A KR 20240014210 A KR20240014210 A KR 202400142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in pipe
bridge
present
longitudinal
ro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916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성진한
Original Assignee
베스트플랜에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베스트플랜에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베스트플랜에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916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14210A/ko
Publication of KR202400142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14210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8Damp-proof or other insulating layers; Drainage arrangements or devices ; Bridge deck surfacings
    • E01D19/086Drainage arrangements or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1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1Accessorie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교량 선배수 장치에 대한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부에 도로(110)가 형성되며, 도로 양단부에 돌출벽(120)이 형성된 교량(100); 및 상기 도로 및 돌출벽 모서리에 위치하며 측면이 슬릿으로 개방된 트렌치배수관(200);과 상기 교량 외부에 형성되며, 상부가 개방된 종배수관(300); 상기 트렌치배수관 및 상기 종배수관을 연통하며, 복수로 형성된 횡배수관(400);을 포함한다.

Description

교량 선배수 장치 { Bridge Drainage System }
본 발명은 교량 선배수 장치에 대한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허발명 001 내지 특허발명 004는 본 발명이 이르게 되는 관련기술의 종래발명을 제시한다.
특허문헌 001은 교량용 배수관로 및 그 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 방호벽과 일체화되는 제1배수부 및 교량 측면에 상측이 개방된 제2배수부를 형성함으로써 배수관로의 시공 및 유지ㆍ보수가 용이하고, 교량 슬래브의 파손이 유발되지 않으며, 교량 내구성을 높일 수 있는 교량용 배수관로 및 그 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교량용 배수관로 및 그 시공 방법은 내부가 중공된 관형태로 교량 슬래브의 상면 가장자리에 상기 슬래브의 폭방향으로 구비되는 제1배수부; 상면이 개방된 "ㄷ"자 형태로 교량 측면부에 형성되는 거치부; 상기 거치부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교량 측면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상기 제1배수부를 통과한 우수가 이동가능한 제2배수부; 및 상기 제1배수부를 내부에 포함하며, 상기 슬래브 가장자리의 상측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방호벽; 을 포함하여 형성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교량용 배수관로 및 그 시공 방법은 슬래브 상면에 방호벽과 일체화되는 제1배수부를 형성하고, 교량의 측면부에 상기 제1배수부와 연통되는 제2배수부를 형성함으로써 슬래브를 파손하거나 교량의 내구성을 저하하지 않고 용이하게 배수관로를 시공할 수 있으며, 구조가 간단하여 시공 기간 및 비용을 단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허문헌 002는 시공이 용이한 교량용 배수 관로와, 그 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 본 발명은 시공이 간단하며, 유지 및 보수 작업이 용이하도록 교량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제1안내부가 형성되어 교량 내부의 우수를 용이하게 포집할 수 있으며, 제2안내부 및 배수부에 의해 안정적으로 우수가 배출될 수 있는 시공이 용이한 교량용 배수 관로와, 그 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시공이 용이한 교량용 배수 관로와, 그 시공 방법은 교량 내부의 우수를 제1안내부, 제2안내부 및 배수장치를 통해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어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시공이 용이한 교량용 배수 관로와, 그 시공 방법은 구성 부품이 슬래브 또는 방호벽과 일체로 형성되며, 간단한 볼트 조립에 의해 조립이 가능하여 교량 시공 과정에서 간단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체결력을 높여 내구성을 향상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시공이 용이한 교량용 배수 관로와, 그 시공 방법은 제1안내부의 유입부가 유입판에 의해 개폐가능하게 형성되어 상기 유입부를 통해 내부 상태를 용이하게 점검할 수 있으며, 이물질이 배수관로 상에 위치되더라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어 유지 및 보수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특허문헌 003은 이물질의 막힘이 방지되고 배수능력이 향상되며, 견고하게 설치되는 배수 능력이 증대되는 교량의 선배수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교량의 방호벽 하부측에 배치되어 노면을 향하여 유입구가 위치된 횡배수관과; 상기 횡배수관의 유출구측에 끼움 결합되어 상기 방호벽의 외측에 위치되고, 하면에 유출공을 갖는 유출관과; 상기 방호벽의 밑면에 고정 설치되고, 방호벽을 따라 소정의 간격마다 배치되어 있는 고정브라켓과; 상기 고정브라켓에 연결되어 종배수관을 지지하는 행거; 및 상기 유출공의 하방에 위치함과 동시에 상기 행거에 거치되어 방호벽의 길이 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배치되어 있는 종배수관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허문헌 004는 측배수 유공관을 갖는 교량의 배수장치로서 교량의 방호벽과 교량 상판에 포설된 포장층과의 사이에 교축 방향을 따라 형성된 집수홈에 설치되고, 하부 일측 모서리부에 형성된 종방향 유공관 포켓과, 상부에 서로 대향되는 격판 삽입홈을 갖는 집수채널과; 상기 집수채널에 대향하는 격판 삽입홈을 통해 길이 방향으로 끼움 결합되어 이웃한 것끼리 집수구를 형성시키는 집수구 격판과; 이웃한 집수채널의 접합면 사이에 끼움 결합되어 그 접합면에 수밀을 형성시키는 실리콘 가스켓과; 상기 실리콘 가스켓의 밑면에 교축 직각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는 횡방향 유공관과; 상기 종방향 유공관 포켓에 배치됨과 동시에 상기 횡방향 유공관에 접속되어 집수채널과 포장층의 긴 틈새 사이로 유입된 빗물을 배수하는 종방향 유공관과; 교축 방향을 따라 일정간격마다 상기 방호벽의 하면에 두께 방향을 관통하여 배치되어 일단이 상기 집수채널에 접속되고 타단이 방호벽의 외측으로 일정량 돌출되고, 그 돌출된 구간의 하면에 수직배수구를 갖는 횡배수관과; 상기 방호벽의 측벽에 지지되고 상기 수직배수구의 하방에 위치하여 교축 방향을 따라 배치된 선배수관;을 포함하여 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KR 10-0889995 B1 (등록일자 2009년03월16일) KR 10-1124694 B1 (등록일자 2012년02월29일) KR 10-1263001 B1 (등록일자 2013년05월03일) KR 10-1755181 B1 (등록일자 2017년06월30일)
본 발명은 교량 선배수 장치에 대한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교량 선배수 장치에 대한 발명이며, 구체적으로 상부에 도로(110)가 형성되며, 도로 양단부에 돌출벽(120)이 형성된 교량(100); 및 상기 도로 및 돌출벽 모서리에 위치하며 측면이 슬릿으로 개방된 트렌치배수관(200);과 상기 교량 외부에 형성되며, 상부가 개방된 종배수관(300); 상기 트렌치배수관 및 상기 종배수관을 연통하며, 복수로 형성된 횡배수관(40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교량 선배수 장치에 대한 발명이며, 앞에서 제시한 발명에 있어서, 상기 횡배수관은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트렌치배수관과 결합되는 결합부(410); 및 타측에 형성되며, 절곡형성된 배출부(420);와 중간측에 형성되며, 길이가 신장되는 신장부(43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교량 선배수 장치에 대한 발명이며, 앞에서 제시한 발명에 있어서, 상기 종배수관은 양측면(311) 및 하측면(312)이 폐쇄되며, 상측이 개방된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교량 선배수 장치에 대한 발명이며, 앞에서 제시한 발명에 있어서, 상기 종배수관은 중간부에 형성된 연통부; 및 양단부에 형성된 이음부(32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교량 선배수 장치에 대한 발명이며, 앞에서 제시한 발명에 있어서, 상기 종배수관 하부에 관통 형성된 배수구(370); 및 상기 배수구에 결합되는 하부배수관(50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교량 선배수 장치에 대한 발명이며, 앞에서 제시한 발명에 있어서, 일측이 상기 도로의 측면에 고정되며, 타측이 상기 종배수관을 고정하는 고정브라켓(60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교량 선배수 장치는 횡배수관의 배출부 내부에 경사판으로 형성된 각도분출판이 형성되어 우수 배출 시 종배수관의 동일지점으로만 우수가 떨어지는 문제로 발생될 수 있는 종배수관 부재의 내구성 저하, 열화 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종배수관의 하단을 횡방향 편측이 경사된 형태로 형성하여 횡배수관의 배출부를 통해 배출된 우수가 종배수관의 빗면을 타고 분산되는 효과뿐만 아니라 종배수관에 퇴적되는 모래 등 이물질의 양을 줄일 수 있는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교량 선배수 장치 구조도.
도 2는 본 발명의 선배수 장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선배수 장치 분해도.
도 4는 본 발명의 횡배수관의 상세도.
도 5는 본 발명의 종배수관의 이음부 상세도.
도 6은 본 발명의 종배수관 단면 실시예.
도 7은 본 발명의 종배수관 및 하부배수관 연결 상세도.
도 8은 본 발명의 고정브라켓의 실시예.
도 9는 본 발명의 고정브라켓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아래의 실시예에서 인용하는 번호는 인용대상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모든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제시한 구성과 동일한 목적 및 효과를 발휘하는 대상은 균등한 치환대상에 해당된다. 실시예에서 제시한 상위개념은 기재하지 않은 하위개념 대상을 포함한다.
[실시예 1-1] 교량 선배수 장치에 있어서, 상부에 도로(110)가 형성되며, 도로 양단부에 돌출벽(120)이 형성된 교량(100); 및 상기 도로 및 돌출벽 모서리에 위치하며 측면이 슬릿으로 개방된 트렌치배수관(200);과 상기 교량 외부에 형성되며, 상부가 개방된 종배수관(300); 상기 트렌치배수관 및 상기 종배수관을 연통하며, 복수로 형성된 횡배수관(400);을 포함한다.
[실시예 1-2] 본 발명은 교량 선배수 장치에 대한 발명이며,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트렌치배수관(200)은 상기 트렌치배수관의 개방면과 결합되며, 복수의 통공이 형성된 유입판(240);을 포함한다.
[실시예 1-3] 본 발명은 교량 선배수 장치에 대한 발명이며, 실시예 1-2에 있어서, 상기 개방면 및 유입판(240)에 형성된 결합수단(250);을 포함한다.
[실시예 1-4] 본 발명은 교량 선배수 장치에 대한 발명이며, 실시예 1-3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은 개방면 및 유입판(240)에 형성된 홈 또는 돌기;인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1-5] 본 발명은 교량 선배수 장치에 대한 발명이며, 실시예 1-3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은 개방면 및 유입판(240)을 고정하는 볼트;인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1-6] 본 발명은 교량 선배수 장치에 대한 발명이며, 실시예 1-2에 있어서, 상기 통공은 관통되며, 복수로 형성된 거름공(241);인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1-7] 본 발명은 교량 선배수 장치에 대한 발명이며, 실시예 1-6에 있어서, 상기 거름공(241)은 수직 또는 경사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1-8] 본 발명은 교량 선배수 장치에 대한 발명이며, 실시예 1-6에 있어서, 상기 거름공(241)의 크기는 동일 또는 상이하게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1-9] 본 발명은 교량 선배수 장치에 대한 발명이며,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트렌치배수관(200)은 우수가 길이방향으로 유동하는 유동부(210); 및 우수가 측면으로 유동하는 배출부(220);와 상기 유동부 및 배출부를 결합하는 연결부(230);를 포함한다.
[실시예 1-10] 본 발명은 교량 선배수 장치에 대한 발명이며, 실시예 1-9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220)는 상기 슬릿의 대향면에 형성되며, 우수를 횡방향으로 배출하는 배출공(221); 및 상기 배출공의 외면에 돌출된 관으로 형성되며, 횡배수관에 삽입되는 배출플랜지(222);를 포함한다.
본 발명(실시예 1-1 내지 1-10)은 교량 선배수 장치 구성을 설명하고, 트렌치배수관의 형상적 특징을 구체화한다.
교량(Br., Bridge)은 하천, 골짜기 등 도로의 연속화를 위해 적용되는 구조물로서 토목분야의 대표적인 사회기반시설이다. 이러한 교량은 기초(Foundation) 및 교각(Pier)의 하부구조물(Sub Structure) 및 거더(Girder), 슬래브(Slab) 등 상부구조물(Super Structure)로 형성된다.
교량의 상부구조물인 슬래브 상부에는 차량 이동을 위한 도로가 형성되는데, 우천 시 도로에 물고임 현상에 따른 차량 사고등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 도로는 도로 중심에서 단부측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도록 구배를 적용한다.
이를 통해 우천 시 내리는 빗물은 상기 도로의 구배에 따라 측부로 이동하게 되는데 이동되는 물은 교량 돌출벽에 설치된 선배수 장치를 통해 교량 외측으로 이동되어 최종 교량 하부로 배출되게 된다.
통상의 선배수 장치는 공용 중 우수와 함께 이동되는 포장파편, 차량배출 쓰레기, 낙엽 등 각종 이물질이 걸러지거나 배출되는 구조로 형성되는데, 장기 사용에 따른 배수성능 저하로 정기적인 이물질 제거등의 작업은 필연적이며, 이로 인한 관리비용발생은 매년 감당해야 하는 숙제이다. 또한, 건조한 기후가 연속되면서 쌓인 이물질이 국지성 호우 등 간헐적으로 급작스럽게 발생되는 폭우등에 의해 한꺼번에 선배수 장치로 몰림에 따라 선배수 장치가 제 기능을 하지 못하는 사례도 왕왕 있어왔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이물질 및 우수 집중에 따른 관리 및 배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 교량 선배수 장치를 제안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구체적으로 상부에 도로가 형성되며, 도로 양단부에 돌출벽이 형성된 교량 구조물에 적용된다.
상기 돌출벽 내측에는 도로면의 구배(Gradient)를 따라 배출되는 우수가 집수되며, 교량의 종방향으로 설치되는 트렌치(Trench)배수관이 구비된다.
상기 트렌치배수관은 도로 및 돌출벽 모서리에 위치하며 도로를 향한 측면이 슬릿으로 개방된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다음으로 교량의 돌출벽 외측을 따라 형성되어 상부가 개방된 형태의 종배수관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트렌치배수관과 종배수관 사이에는 트렌치배수관으로 인입된 우수를교량 돌출벽 외측으로 배출하도록 상기 돌출벽을 가로지르는 형태 즉, 교량의 횡방향으로 복 수개 설치되는 횡배수관이 연결 설치된다.
상기 트렌치배수관은 돌출벽 내측을 향해 개방면이 형성되고, 상기 개방면에는 복수의 통공이 형성된 유입판이 결합된다.
상기 유입판은 상기 트렌치배수관에 탈착이 가능하도록 탄성변형이 큰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트렌치 유입판은 얇은 금속판 또는, 플라스틱, 고무등 플렉서블(Flexible)한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개방면 및 상기 유입판에는 상호 결합을 위한 결합수단이 형성되는데, 홈-돌기결합일 수 있다.
상기 개방면 및 상기 유입판은 결합을 견고히 하기 위해 상호간을 관통하는 볼트체결을 고려할 수 있다.
상기 통공은 상기 유입판을 관통하며, 유입판의 길이방향으로 복수개가 형성되는 거름공으로 구비된다.
상기 거름공은 수직 또는 경사방향으로 형성되어 우수 외 유입되는 이물질의 비중, 크기 등에 따라 거름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거름공은 비중이 큰 금속, 모래 등이 상기 트렌치배수관 내, 횡배수관, 종배수관에 쌓이는 것을 줄이기 위해 거름공의 크기를 동일하거나 상이하게 형성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상기 트렌치 배수관은 우수가 교량의 길이방향 즉, 종방향으로 유동하는 유동부와 상기 유동부 사이에 형성되며, 우수가 측면 즉, 교량의 횡방향으로 유동하는 배출부, 상기 유동부 및 배출부를 결합하는 연결부로 분할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배출부는 상기 트렌치배수관의 개방부 즉 슬릿의 대향면에 형성되고, 상기 트렌치배수관으로 유입되는 우수를 교량 구조물의 횡방향으로 배출하는 배출공과 상기 배출공 외면에 돌출형성되어 횡배수관에 삽입되는 배출플랜지로 형성되어 교량 돌출벽 내측 및 외측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실시예 2-1] 본 발명은 교량 선배수 장치에 대한 발명이며,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횡배수관은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트렌치배수관(200)과 결합되는 결합부(410); 및 타측에 형성되며, 절곡형성된 횡배수관 배출부(420);와 중간측에 형성되며, 길이가 신장되는 신장부(430);를 포함한다.
[실시예 2-2] 본 발명은 교량 선배수 장치에 대한 발명이며, 실시예 2-1에 있어서, 상기 횡배수관(400)은 경사형태인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2-3] 본 발명은 교량 선배수 장치에 대한 발명이며, 실시예 2-1에 있어서, 상기 신장부(430)는 텔레스코핑타입, 벨로즈타입, 유연관타입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2-4] 본 발명은 교량 선배수 장치에 대한 발명이며, 실시예 2-1에 있어서, 상기 신장부(430)는 교량의 돌출벽 외부에 위치하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2-5] 본 발명은 교량 선배수 장치에 대한 발명이며, 실시예 2-1에 있어서, 상기 횡배수관 배출부(420) 내부에 위치하며, 경사판으로 형성된 각도분출판(421);을 포함한다.
[실시예 2-6] 본 발명은 교량 선배수 장치에 대한 발명이며, 실시예 2-5에 있어서, 상기 각도분출판(421)은 하나 또는 복수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실시예 2-1 내지 2-6)는 횡배수관의 형상적 특징을 구체화한다.
상기 횡배수관은 상기 트렌치배수관에 종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복수개 형성되며, 상기 돌출벽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우수를 이동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배수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횡배수관은 횡방향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트렌치 배수관과 결합되는 결합부와 타측에 형성되어 절곡형성된 횡배수관 배출부 및 중간에 형성되어 길이가 신장되는 신장부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횡배수관은 기본적으로 우수의 이동을 도모하기 위해 중력방향 하향 경사진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중간측에 형성되는 신장부는 신장이 가능하게 되는 어떠한 형태도 적용이 될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 텔레스코핑(telescoping)타입, 벨로즈(bellows)타입, 유연관(Flexible)타입 중에 선택되어 적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횡배수관은 돌출벽의 두께, 종배수관의 설치위치등에 따라 그 길이를 조절할 수 있게 슬라이드(Slide) 확장될 수 있다.
상기 신장부는 교량의 돌출벽 외부로 돌출 위치되는데, 이는 작업자가 횡배수관의 신장작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
상기 횡배수관 배출부에는 내부에 경사판으로 형성된 각도분출판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각도분출판을 통해 우수 배출 시 종배수관의 동일지점으로만 우수가 떨어지는 문제로 발생될 수 있는 종배수관 부재의 내구성 저하, 열화 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상기 횡배수관 배출부 단부에는 ‘T’형,’Y’형 등 별도의 분지장치를 형성하여, 우수의 배출 위치를 분할하거나, 주름관 등을 연장시켜 우수 배출위치를 가변 시킬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 상기 횡배수관 배출부 내부에는 배출부 내경보다 작은 크기의 콘형상의 부재가 설치될 수 있다.
이는 횡배수관으로부터 유출되는 우수의 분산을 위해 설치되는 것이며 이를 통해 종배수관 내에 우수를 전방향으로 살포하듯이 분산하여 배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콘형상 부재에는 연속된 형태의 스파이럴(Spiral) 굴곡을 형성하여 우수의 배출 시 우수의 전방향 분산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다.
[실시예 3-1] 본 발명은 교량 선배수 장치에 대한 발명이며,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종배수관은 양측면(311) 및 하측면(312)이 폐쇄되며, 상측이 개방된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3-2] 본 발명은 교량 선배수 장치에 대한 발명이며, 실시예 3-1에 있어서, 상기 하측면(312)은 경사형성된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3-3] 본 발명은 교량 선배수 장치에 대한 발명이며, 실시예 3-1에 있어서, 상기 종배수관(300) 재질은 폴리머 또는 금속으로 형성된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3-4] 본 발명은 교량 선배수 장치에 대한 발명이며, 실시예 3-3에 있어서, 상기 금속의 표면에 형성된 부식방지 코팅층(313);을 포함한다.
[실시예 3-5] 본 발명은 교량 선배수 장치에 대한 발명이며, 실시예 3-1에 있어서, 상기 하측면(312) 내부는 형성된 제진시트(314);를 포함한다.
[실시예 3-6] 본 발명은 교량 선배수 장치에 대한 발명이며, 실시예 3-5에 있어서, 상기 제진시트(314)는 폴리머 폼으로 형성된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실시예 3-1 내지 3-6)은 종배수관의 형상적 특징을 구체화한다.
상기 종배수관은 상기 교량의 방호벽 외측에서 교량의 길이방향 즉, 종방향으로 연속된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종배수관은 상기 횡배수관의 배출부를 통해 유출된 우수 및 이물질을 수용하며 이송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상기 종배수관은 상측 개방된 형태 즉, 양측면 및 하측면이 폐쇄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종배수관은 횡배수관의 배출부 위치에 따라 국부적으로 우수의 낙차에 따른 영향을 받을 수 밖에 없고, 이러한 문제점으로 열화 등 손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의 종배수관의 하단은 횡방향 편측이 경사된 형태로 형성되어 수직 낙하되는 우수의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다.
이로써 상기 횡배수관의 배출부를 통해 배출된 우수가 종배수관의 빗면을 타고 분산되는 효과뿐만 아니라 종배수관에 퇴적되는 모래 등 이물질의 양을 줄일 수 있는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상기 종배수관은 폴리머 또는 금속으로 형성될 수 있는데, 금속으로 형성될 경우 장기간 습한 환경의 노출에 따른 부식을 방지하기 위해 부식방지 코팅을 실시할 수 있다.
상기 부식방지 코팅은 에폭시(Epoxy) 등 복수회의 코팅 프라이머 도포로 실시될 수 있다.
상기 종배수관에는 상기 횡배수관 배출부를 통해 유출된 우수의 낙차에 따른 소음/진동발생을 저감시키기 위해 종배수관 하측면 내부에는 제진시트(Vibration Reduction Sheet)를 형성시킬 수 있다.
이는 도심 내 교량 인근 주변 보행자 또는 거주민 등의 우천 시 발생되는 높은 음역대의 소음/진동에 따른 생활 불편을 저감시키기 위해 구비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제진시트는 고무(Rubber), 폴리머 폼(Polymer Foam) 등 소음/진동을 저감시킬 수 있는 재료이면 어떠한 재료라도 상관없다.
상기 제진시트는 상기 횡배수관의 배출부 위치에만 국한적으로 적용되는 것도 고려될 수 있다.
[실시예 4-1] 본 발명은 교량 선배수 장치에 대한 발명이며,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종배수관(300)은 중간부에 형성된 연통부; 및 양단부에 형성된 이음부(320);를 포함한다.
[실시예 4-2] 본 발명은 교량 선배수 장치에 대한 발명이며, 실시예 4-1에 있어서, 상기 이음부(320)는 이웃하는 각각의 종배수관 단부가 겹침으로 형성되며, 상기 이음부 사이에는 수팽창 지수재(330);가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4-3] 본 발명은 교량 선배수 장치에 대한 발명이며, 실시예 4-1에 있어서, 상기 이음부(320)에 형성되며, 중간부에 대하여 단차가 형성된 단차부(350);를 포함한다.
[실시예 4-4] 본 발명은 교량 선배수 장치에 대한 발명이며, 실시예 4-1에 있어서, 상기 이음부(320)의 상측에 위치하며, 각각의 양측면 상부를 결합하는 보강판(360);을 포함한다.
본 발명(실시예 4-1 내지 4-4)은 종배수관의 형상 및 기능적 특징을 구체화한다.
상기 종배수관은 교량의 종방향으로 연속 설치되는 것으로 교량의 신축발생에 따라서 종배수관도 교량 구조물의 신축작용(Expansion)에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상기 종배수관에는 일정간격마다 이음(Joint)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이음은 종배수관의 단순 절곡부 형상일 수도 있고, 통상의 고무 씰링(Seal)으로 형성하거나, 자바라 형태의 주름고무 등으로도 형성될 수도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상호 이웃하는 종배수관을 일부 겹침 형성하여 신축변형을 수용하도록 형성하는 것이 좋다.
상기 이음을 설치하기 위해 분절 형성된 상기 종배수관은 중간부인 연통부와 양단의 이음부로 형성된다.
상기 이음부는 분절단위의 이웃한 종배수관 단부가 겹침으로 형성된다.
이를 위해 단위 종배수관의 일측의 이음부는 외면단부가 단차진 형태로 단차부가 형성되고, 타측의 이음부는 내면단부가 단차진 형태로 이음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겹침형성되는 이음부 사이에는 수팽창지수재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수팽창지수재는 평상 시 건조상태일 때는 종배수관의 신축 수용에 방해되지 않도록 건조된 수축상태를 유지하나, 우천 시에는 수분에 의해 팽창되어 상기 겹침되는 종배수관 사이를 밀실하게 유지 함으로서 누수를 막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수팽창지수재는 변성고무를 주원료로 물과 접촉하면 서서히 팽창이 일어나 수팽창압을 유지하여 공극 및 물길을 완전히 밀폐시켜주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이음부 상측에는 상기 분절단위의 겹침 형성된 종배수관의 이음부 양측면 상부를 결합할 수 있도록 보강판이 형성된다.
이음부는 신축을 허용하는 절점의 구성으로서, 중간부보다 취약한 강도를 가진다. 또한 상부가 개방된 형태를 취하므로, 상부측이 벌어지며 파손될 우려가 존재한다.
따라서, 이음부 상부는 보강판으로 체결하여, 양측면이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며, 이는 강도를 향상시키는 효과를 가진다.
상기 보강판 및 겹침 이음부는 체결형상을 한정하여 신축 거동을 수용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보강판 및 겹침 이음부는 상호 공통으로 관통되는 볼트고정홀을 종방향으로 길게 형성하고, 볼트체결을 통해 결합 및 신축 수용을 효과적으로 도모 할 수 있다.
[실시예 5-1] 본 발명은 교량 선배수 장치에 대한 발명이며,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종배수관(300) 하부에 관통 형성된 배수구(370); 및 상기 배수구에 결합되는 하부배수관(500);을 포함한다.
[실시예 5-2] 본 발명은 교량 선배수 장치에 대한 발명이며, 실시예 5-1에 있어서, 상기 하부배수관(500)에 내부에 위치하며, 부분적으로 돌출된 나선체(510);를 포함한다.
[실시예 5-3] 본 발명은 교량 선배수 장치에 대한 발명이며, 실시예 5-2에 있어서, 상기 나선체(510)는 상기 하부배수관(500)과 선택적으로 탈부착 하는 착탈수단(520);을 포함한다.
[실시예 5-4] 본 발명은 교량 선배수 장치에 대한 발명이며, 실시예 5-3에 있어서, 상기 착탈수단(520)은 볼트, 핀, 후크고리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5-5] 본 발명은 교량 선배수 장치에 대한 발명이며, 실시예 5-2에 있어서, 상기 나선체(510)는 판재 또는 봉으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실시예 5-1 내지 5-5)은 종배수관에 연결되는 하부배수관의 형상적 특징을 구체화한다.
상기 종배수관의 일측에는 상기 우수를 교량의 하부로 배출시키는 하부배수관이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교량의 도로면으로부터 트렌치배수관으로 유입된 우수는 최종적으로 교량 인근 지반이나, 하수구로 최종 안내된다.
상기 하부배수관은 상기 종배수관으로부터 형성되는 것으로 구체적으로 상기 종배수관의 하부에는 관통된 배수구가 형성되고, 상기 배수구에 하부배수관이 결합되어 형성된다.
상기 하부배수관에는 상기 종배수관에 유입된 우수를 빠르고 원활하게 지상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내부에 부분적으로 돌출된 나선체를 형성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우수가 나선체와 접촉하면서 곡률을 따라서 우수가 흐르도록 하는 현상인 코안다 효과(Coanda Effect)를 기대할 수 있어, 유량이 급격히 증가한 상황에서 우수의 배출 방향을 안내함에 따라 하부배수관 내 공기와의 교란에 따른 역류, 월류 등 문제를 원천 차단할 수 있다.
상기 나선체는 판재 또는 봉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하부배수관에 선택적으로 탈부착할 수 있는 착탈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착탈수단은 볼트, 핀, 후크고리등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는데, 부피가 큰 이물질이 하부배수관 내 걸림 시 상기 착탈수단을 통해 나선체를 제거함으로서 해결할 수 있다.
[실시예 6-1] 본 발명은 교량 선배수 장치에 대한 발명이며, 실시예 1-1에 있어서, 일측이 상기 도로의 측면에 고정되며, 타측이 상기 종배수관(300)을 고정하는 고정브라켓(600);을 포함한다.
[실시예 6-2] 본 발명은 교량 선배수 장치에 대한 발명이며, 실시예 6-1에 있어서, 상기 고정브라켓(600)은 교량에 부착되는 플레이트부(610); 및 상기 플레이트부로부터 돌출된 돌출부(620);를 포함한다.
[실시예 6-3] 본 발명은 교량 선배수 장치에 대한 발명이며, 실시예 6-2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620)는 H형, ㄷ형, ㅁ형, O형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6-4] 본 발명은 교량 선배수 장치에 대한 발명이며, 실시예 6-2에 있어서, 상기 종배수관(300)에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620)를 고정하는 고정수단(630);을 포함한다.
[실시예 6-5] 본 발명은 교량 선배수 장치에 대한 발명이며, 실시예 6-4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630)은 돌출부(620) 및 종배수관을 관통 체결하는 고정볼트(631);를 포함한다.
[실시예 6-6] 본 발명은 교량 선배수 장치에 대한 발명이며, 실시예 6-5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630)은 상기 고정볼트(631)와 결합되며, 종배수관과 결합되는 탄성부시(632);를 더 포함한다.
[실시예 6-7] 본 발명은 교량 선배수 장치에 대한 발명이며, 실시예 6-4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630)은 돌출부(620) 및 종배수관(300)을 묶는 탄성밸트(633);를 포함한다.
[실시예 6-8] 본 발명은 교량 선배수 장치에 대한 발명이며, 실시예 6-6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시(632) 및 탄성벨트(633)는 고무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6-9] 본 발명은 교량 선배수 장치에 대한 발명이며, 실시예 6-5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630)은 상기 고정볼트(631)와 결합되며, 종배수관과 결합되는 스프링(634);을 포함한다.
[실시예 6-10] 본 발명은 교량 선배수 장치에 대한 발명이며, 실시예 6-2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부(610)는 절곡판재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실시예 6-1 내지 6-10)은 고정브라켓 구조의 형상적 특징을 구체화한다.
상기 고정브라켓은 상기 종배수관을 교량 구조물에 부착시키기 위한 장치로서 일측이 상기 도로의 측면에 고정되며, 타측이 상기 종배수관을 고정하는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고정브라켓은 앵커를 통해 교량의 외측에 부착되는 플레이트부와 상기 플레이트부로부터 돌출되며, 상기 종배수관을 상측 또는 하측에서 지지하는 돌출부를 포함한다.
상기 돌출부는 통상의 형강으로 제작될 수 있고, 구체적으로 H형, ㄷ형, ㅁ형, O형 중 선택된 어느 하나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고정브라켓은 상기 종배수관에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를 고정하는 고정수단이 구비되는데, 풍하중등의 영향으로부터 진동을 저감시키기 위해 탄성지지형태로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고정수단은 돌출부 및 종배수관의 관통구를 체결하는 고정볼트와 상기 고정볼트와 결합되며, 종배수관과 결합되는 탄성부시 및 상기 돌출부와 종배수관을 묶는 탄성벨트를 포함한다.
상기 탄성부시 및 탄성벨트는 고무, 실리콘 등 탄성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볼트에는 탄성지지의 형태로 상기 돌출부와 상기 종배수관의 연결을 위해 코일형태의 스프링이 적용될 수 있고, 반복 진동에 따른 증폭을 방지하기 위해 고감쇠 고무가 코일스프링과 함께 적용되거나, 단독으로 적용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고정브라켓의 플레이트부는 상기 교량에 부착 신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절곡판재로 형성하여 교량의 외측 2면에 접합 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절곡판재의 일면은 교량의 측면에 앵커볼트로 고정되며, 절곡판재의 타면은 교량의 상부에 안착된다. 따라서, 절곡판재의 타면에 의해 안착되므로 앵커볼트의 전단응력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이는 종배수관의 하중 및 우수낙하에 따른 피로반복하중에 대한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100 : 교량 110 : 도로
120 : 돌출벽 200 : 트렌치배수관
210 : 유동부 220 : 배출부
221 : 배출공 222 : 배출플랜지
230 : 연결부 240 : 유입판
241 : 거름공 250 : 결합수단
300 : 종배수관 311 : 양측면
312 : 하측면 313 : 코팅층
314 : 제진시트 320 : 이음부
330 : 수팽창 지수재 350 : 단차부
360 : 보강판 370 : 배수구
400 : 횡배수관 410 : 결합부
420 : 횡배수관 배출부 421 : 각도분출판
430 : 신장부 500 : 하부배수관
510 : 나선체 520 : 착탈수단
600 : 고정브라켓 610 : 플레이트부
620 : 돌출부 630 : 고정수단
631 : 고정볼트 632 : 탄성부시
633 : 탄성벨트 634 : 스프링

Claims (6)

  1. 교량 선배수 장치에 있어서,
    상부에 도로(110)가 형성되며, 도로 양단부에 돌출벽(120)이 형성된 교량(100); 및 상기 도로 및 돌출벽 모서리에 위치하며 측면이 슬릿으로 개방된 트렌치배수관(200);과 상기 교량 외부에 형성되며, 상부가 개방된 종배수관(300); 상기 트렌치배수관 및 상기 종배수관을 연통하며, 복수로 형성된 횡배수관(400);을 포함하는 교량 선배수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횡배수관은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트렌치배수관과 결합되는 결합부(410); 및 타측에 형성되며, 절곡형성된 배출부(420);와 중간측에 형성되며, 길이가 신장되는 신장부(430);를 포함하는 교량 선배수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종배수관은 양측면(311) 및 하측면(312)이 폐쇄되며, 상측이 개방된 것;을 포함하는 교량 선배수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종배수관은 중간부에 형성된 연통부; 및 양단부에 형성된 이음부(320);를 포함하는 유량에 따른 배수 분산기능을 갖는 교량 선배수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종배수관 하부에 관통 형성된 배수구(370); 및 상기 배수구에 결합되는 하부배수관(500);을 포함하는 교량 선배수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일측이 상기 도로의 측면에 고정되며, 타측이 상기 종배수관을 고정하는 고정브라켓(600);을 포함하는 교량 선배수 장치.
KR1020220091668A 2022-07-25 2022-07-25 교량 선배수 장치 KR2024001421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1668A KR20240014210A (ko) 2022-07-25 2022-07-25 교량 선배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1668A KR20240014210A (ko) 2022-07-25 2022-07-25 교량 선배수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14210A true KR20240014210A (ko) 2024-02-01

Family

ID=898592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91668A KR20240014210A (ko) 2022-07-25 2022-07-25 교량 선배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14210A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9995B1 (ko) 2008-09-05 2009-03-25 (주)신승이앤씨 교량용 배수관로 및 그 시공 방법
KR101124694B1 (ko) 2011-04-04 2012-03-20 (주)신승이앤씨 시공이 용이한 교량용 배수 관로 및 그 시공 방법
KR101263001B1 (ko) 2011-12-05 2013-05-09 신영기술개발(주) 배수 능력이 증대되는 교량의 선배수장치
KR101755181B1 (ko) 2017-01-24 2017-07-06 주식회사 로드맥스 엔지니어링 측배수 유공관을 갖는 교량의 배수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9995B1 (ko) 2008-09-05 2009-03-25 (주)신승이앤씨 교량용 배수관로 및 그 시공 방법
KR101124694B1 (ko) 2011-04-04 2012-03-20 (주)신승이앤씨 시공이 용이한 교량용 배수 관로 및 그 시공 방법
KR101263001B1 (ko) 2011-12-05 2013-05-09 신영기술개발(주) 배수 능력이 증대되는 교량의 선배수장치
KR101755181B1 (ko) 2017-01-24 2017-07-06 주식회사 로드맥스 엔지니어링 측배수 유공관을 갖는 교량의 배수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87197B2 (ja) 橋梁用導水構造及びその施工方法
KR102202700B1 (ko) 무배수시트 타입 핑거형 신축이음장치
US20090014371A1 (en) Storm drain filter for erosion control
KR101963429B1 (ko) 측구 구조체
KR101306943B1 (ko) 교량용 배수장치
KR101337024B1 (ko) 교량 신축이음장치의 누수방지 겸용 배수장치
JP5212976B2 (ja) 排水構造及びその排水構造に使用する直管継手
KR102348396B1 (ko) 선배수 기능을 겸한 점배수 장치
CN214143273U (zh) 一种公路桥梁桥面竖向排水装置
KR20240014210A (ko) 교량 선배수 장치
KR100869551B1 (ko) 교량 신축이음구간 빗물받이
CN211947936U (zh) 桥梁伸缩缝集排水装置
KR102321972B1 (ko) 유도배수관을 이용한 신축이음장치의 시공방법
KR102526838B1 (ko) 교량용 선배수 장치
KR200422723Y1 (ko) 수퍼 그레이팅.
KR20100037918A (ko) 신축이음장치
CN207685665U (zh) 一种桥梁排水装置
KR200334267Y1 (ko) 이물질 유입 차단용 교량 신축이음장치
JP5374347B2 (ja) 道路橋継目部の排水構造
KR102186237B1 (ko) 유도배수관을 이용한 신축이음장치
JP7016981B1 (ja) 橋台、橋脚の橋座面の排水システム
KR200311595Y1 (ko) 배수 홈통을 갖는 신축이음장치
CN220746571U (zh) 轨道交通伸缩缝排水结构
CN216074718U (zh) 一种桥梁伸缩缝排水装置
KR200311580Y1 (ko) 교량의 상판 슬래브 신축이음 구간의 빗물 누수받이 구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