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12781A - 전주 홀딩 조정장치 - Google Patents
전주 홀딩 조정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40012781A KR20240012781A KR1020220090162A KR20220090162A KR20240012781A KR 20240012781 A KR20240012781 A KR 20240012781A KR 1020220090162 A KR1020220090162 A KR 1020220090162A KR 20220090162 A KR20220090162 A KR 20220090162A KR 20240012781 A KR20240012781 A KR 2024001278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lectric pole
- hinge
- adjustment device
- members
- locking pin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12856 pack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1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4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4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4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4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3459 approach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602 contr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212 insula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34—Arrangements for erecting or lowering towers, masts, poles, chimney stack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전주 홀딩 조정장치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전주 홀딩 조정장치는, 양손으로 각각 잡을 수 있는 한 쌍의 손잡이부재와, 손잡이부재에 연결되고, 힌지부를 기준으로 손잡이부재의 오므려짐과 벌려짐으로 회동하여 패킹부를 통해 전주를 고정하는 한 쌍의 집게부재와, 패킹부에 마주 보도록 집게부재의 내측에 각각 링크 연결되어 전주를 회동 고정하는 링크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전주 홀딩 조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한 쌍의 손잡이부재에 연결되어 힌지에 의해 회전하는 집게부재 단부에 구비된 패킹부로 전주를 2개지점에서 잡고, 집게부재의 내측에 구비된 링크지지부로 2개지점에서 전주를 잡아 모두 4개지점에서 동시에 지지함으로써, 전주를 작업자가 직접 잡지 않도록 하여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전주 홀딩 조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주작업은 전주를 지상에 세우기 위해 수행하는 작업으로서, 오가크레인 또는 백호(backhoe) 등으로 전주를 지상에 세우는 상태에서 작업자가 전주를 손으로 잡고서 세밀한 위치 조정을 수행하고 있다.
그런데, 건주작업을 진행할 때, 작업자가 전주를 손으로 잡고서 보조하는 가운데, 경우에 따라 전주에 의한 작업자 끼임, 맞음, 떨어짐, 감전 사고등이 발생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아울러 크레인의 하측부위(회전반경 이내)에 작업자가 위치하여 크레인으로 잡고 있는 붐대에 의한 추가적인 위험성을 내포하는 등 여러가지 문제점을 갖는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관련 배경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435071호(2006.12.29, 발명의 명칭: 접지봉 매설용 홀딩장치)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창출된 것으로서, 한 쌍의 손잡이부재에 연결되어 힌지에 의해 회전하는 집게부재 각각의 단부에 구비된 패킹부로 전주를 외측 2개지점에서 잡고, 집게부재의 내측에 구비된 링크지지부로 전주를 2개지점에서 잡아 모두 4개지점에서 동시에 밀착 지지함으로써, 전주를 작업자가 직접 잡지 않도록 하여 끼임, 충돌, 감전 등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전주 홀딩 조정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주 홀딩 조정장치는, 양손으로 각각 잡을 수 있는 한 쌍의 손잡이부재; 상기 손잡이부재에 연결되고, 힌지부를 기준으로 상기 손잡이부재의 오므려짐과 벌려짐으로 회동하여 패킹부를 통해 전주를 고정하는 한 쌍의 집게부재; 및 상기 패킹부에 마주 보도록 상기 집게부재의 내측에 각각 링크 연결되어 상기 전주를 회동 고정하는 링크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힌지부는, 상기 집게부재 중 어느 하나에 관통 형성되는 관통홀이 형성되는 제1힌지부; 상기 관통홀에 대응하도록 상기 집게부재 중 다른 하나에 관통 형성되는 결합홀이 형성되는 제2힌지부; 및 상기 제1힌지부의 관통홀을 관통하여 상기 제2힌지부의 상기 결합홀에 결합되어 상기 집게부재 각각의 회전을 안내하는 힌지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힌지부는, 상기 집게부재 중 어느 하나에 함몰 형성되는 제1힌지결합홈; 및 상기 제1힌지결합홈에 안착되도록 상기 집게부재 중 다른 하나에 함몰 형성되는 제2힌지결합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힌지결합홈과 상기 제2힌지결합홈은 상기 집게부재의 두께의 반에 해당하는 깊이로 각각 형성되어 상호 겹치는 부위가 상기 집게부재의 두께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패킹부는, 상기 집게부재 중 어느 하나의 단부의 내면에 구비되어 상기 전주를 가압 밀착하는 제1패킹부재; 및 상기 제1패킹부재에 마주보도록 상기 집게부재 중 다른 하나의 단부의 내면에 구비되어 상기 전주를 가압 밀착하는 제2패킹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링크지지부는, 상기 집게부재 중 어느 하나의 내측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링크부재; 상기 제1링크부재와 마주 보도록 상기 집게부재 중 다른 하나의 내측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2링크부재; 상기 제1링크부재에 구비되어 상기 전주를 가압 밀착하는 제1지지부재; 및 상기 제2링크부재에 구비되어 상기 전주를 가압 밀착하는 제2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링크지지부는, 상기 제1링크부재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힌지부를 기준으로 마주보는 다른 하나의 상기 집게부재에 연결되는 제1보조링크부재; 및 상기 제2링크부재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힌지부를 기준으로 마주보는 어느 하나의 상기 집게부재에 연결되는 제2보조링크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링크부재는 상기 집게부재 중 어느 하나의 일측면에 함몰 형성되는 제1회동안내홈에 안착되고, 다른 하나의 상기 집게부재의 개폐에 연동하는 상기 제1보조링크부재에 의해 상기 제1회동안내홈에서 회동되고, 상기 제2링크부재는 상기 집게부재 중 다른 하나의 일측면에 함몰 형성되는 제2회동안내홈에 안착되고, 어느 하나의 상기 집게부재의 개폐에 연동하는 상기 제2보조링크부재에 의해 상기 제2회동안내홈에서 회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보조링크부재와 상기 제2보조링크부재는 한 쌍의 집게부재의 외측면에 각각 반대면에 위치하여 X자 형태로 상호 어긋나게 구비되고, 상기 제1회동안내홈부와 상기 제2회동안내홈부는 한 쌍의 집게부재의 외측면에서 각각 반대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힌지부는 풀림방지부를 구비하여 상기 집게부재를 오므릴 때 역회전을방지하여 상기 전주의 풀림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풀림방지부는, 상기 힌지부에 구비된 제1힌지부의 중심에서 설정거리 이격되어 상하로 관통 형성되는 슬롯홀; 상기 힌지부에 구비된 제2힌지부의 중심에서 설정거리 이격되고, 상기 집게부재가 상기 전주를 잡은 후 풀려짐을 차단하도록 다단으로 걸림 가능하게 형성되는 다단걸림턱부; 상기 슬롯홀에 끼워서 상기 다단걸림턱 중 어느 하나에 걸려지거나 걸림 해제되어 상기 집게부재 각각의 풀림을 방지하거나 풀림을 해제하는 걸림핀부재; 및 상기 걸림핀부재가 다단걸림턱부에 탄성력으로 걸려지거나 당김에 의해 걸림 해제되도록 상기 걸림핀부재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탄성부는, 상기 슬롯홀의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슬롯홀에 비해 확장 형성되는 작동홈; 상기 걸림핀부재에서 설정길이의 둘레에 돌출 형성되는 걸림플랜지; 상기 걸림플랜지에 걸려져 상기 걸림핀부재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 및 상기 걸림플랜지에 걸려진 상기 스프링이 상기 걸림핀부재를 밀어 상기 다단걸림턱부 중 어느 하나에 걸려지게 하기 위해 상기 스프링의 상측을 구속하도록 상기 제1힌지부에 설치되는 설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설치부는, 상기 걸림핀부재의 상측이 삽입되어 상부로 노출되고, 상기 작동홈의 상측에 형성된 안착홈에 안착되어 상기 스프링의 상측을 차단하는 설치부재; 상기 설치부재의 가장자리에 함몰 형성된 고정턱부; 상기 고정턱부에 대응하도록 상기 제1힌지부에 형성되는 나사홀부; 및 상기 고정턱부에 걸려 고정되도록 상기 나사홀부에 체결되어 상기 설치부재를 상기 제1힌지부에 고정하여 상기 스프링을 구속하는 체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걸림핀부재에는 상기 걸림핀부재를 상측으로 당겨주어 걸림을 해제하는 그립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그립부는, 상기 설치부재의 상측에 함몰 형성되고, 상기 걸림핀부재가 상측으로 노출되는 삽입홈;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고, 머리부를 통해 상기 설치부재의 상면에 안착되어 상기 걸림핀부재와 결합되는 그립부재; 및 상기 그립부재를 상기 걸림핀부재에 결속하는 결속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힌지부에 구비되어 상기 전주의 수평 위치를 측정하는 수평위치측정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주 홀딩 조정장치는, 한 쌍의 손잡이부재에 연결되어 힌지에 의해 회전하는 집게부재 각각의 단부에 구비된 패킹부로 전주를 외측 2개지점에서 잡고, 집게부재의 내측에 구비된 링크지지부로 전주를 2개지점에서 잡아 모두 4개지점에서 동시에 밀착 지지함으로써, 전주를 작업자가 직접 잡지 않도록 하여 끼임, 충돌, 감전 등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풀림방지부를 이용하여 힌지부에서 한 쌍의 집게부재가 전주를 잡아서 오므려진 상태에서 풀려지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작업자가 손잡이부재를 강하게 지속적으로 잡아주지 않아도 홀딩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힌지부에 전주의 중심라인과 일치하는 수평위치측정부를 설치하므로 한 쌍의 집게부재로 잡아준 전주의 수평 상태를 간편하게 측정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주 홀딩 조정장치를 이용하여 전주를 잡은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주 홀딩 조정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주 홀딩 조정장치의 주요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주 홀딩 조정장치에서, 풀림방지부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주 홀딩 조정장치를 벌린 상태에서 전주를 진입시키는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주 홀딩 조정장치를 오므린 상태에서 전주는 잡고 고정한 상태도이다.
도 7은 도 5의 "A" 부의 확대 단면도로서, 전주를 잡기 위해서 집게부재가 벌려져서 풀림방지부가 걸림을 해제한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8은 도 6의 "B" 부의 확대 단면도로서, 집게부재를 오므려서 집게부재의 벌림을 방지하기 위해서 풀림방지부가 걸림을 유지하는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주 홀딩 조정장치에서, 수평위치측정부를 보인 사용 상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주 홀딩 조정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주 홀딩 조정장치의 주요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주 홀딩 조정장치에서, 풀림방지부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주 홀딩 조정장치를 벌린 상태에서 전주를 진입시키는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주 홀딩 조정장치를 오므린 상태에서 전주는 잡고 고정한 상태도이다.
도 7은 도 5의 "A" 부의 확대 단면도로서, 전주를 잡기 위해서 집게부재가 벌려져서 풀림방지부가 걸림을 해제한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8은 도 6의 "B" 부의 확대 단면도로서, 집게부재를 오므려서 집게부재의 벌림을 방지하기 위해서 풀림방지부가 걸림을 유지하는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주 홀딩 조정장치에서, 수평위치측정부를 보인 사용 상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주 홀딩 조정장치를 설명하도록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주 홀딩 조정장치를 이용하여 전주를 잡은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주 홀딩 조정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주 홀딩 조정장치의 주요부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주 홀딩 조정장치에서, 풀림방지부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주 홀딩 조정장치를 벌린 상태에서 전주를 진입시키는 상태를 보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주 홀딩 조정장치를 오므린 상태에서 전주는 잡고 고정한 상태도이며, 도 7은 도 5의 "A" 부의 확대 단면도로서, 전주를 잡기 위해서 집게부재가 벌려져서 풀림방지부가 걸림을 해제한 상태를 보인 도면이고, 도 8은 도 6의 "B" 부의 확대 단면도로서, 집게부재를 오므려서 집게부재의 벌림을 방지하기 위해서 풀림방지부가 걸림을 유지하는 상태를 보인 도면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주 홀딩 조정장치에서, 수평위치측정부를 보인 사용 상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주 홀딩 조정장치는, 손잡이부재(100), 힌지부(200), 집게부재(300), 패킹부(400) 및 링크지지부(500)를 포함한다.
손잡이부재(100)는 양손으로 각각 잡을 수 있도록 한 쌍 구비된다. 손잡이부재(100)의 단부에는 손이 직접 위치하는 악력부가 형성된다.
손잡이부재(100)는 사용중에 감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외부면에 절연체가 피복 또는 도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손잡이부재(100)는 직선형으로 도시하였으나 필요에 따라 미세하게 굴곡지게 형성할 수도 있다.
집게부재(300)는 손잡이부재(100)에 각각 연결되고, 힌지부(200)를 기준으로 손잡이부재(100)의 오므려짐과 벌려짐으로 회동하여 패킹부(400)를 통해 전주(10)를 고정하도록 한 쌍 구비된다.
집게부재(300)는 힌지부(200)를 기준으로 S자 형태로 굴곡지게 형성되어 한 쌍의 손잡이부재(100)의 작동에 의해 전주(10)의 외측면을 가압 고정하여 오가크레인이나 백호에 부가하여 위험지역을 벗어나 안전지대에서 전주(10)의 홀딩작업을 안전하게 도와줄 수 있다.
힌지부(200)는, 집게부재(300) 중 어느 하나에 관통 형성되는 관통홀(212)이 형성되는 제1힌지부(210)와, 관통홀(212)에 대응하도록 집게부재(300) 중 다른 하나에 관통 형성되는 결합홀(222)이 형성되는 제2힌지부(220)와, 제1힌지부(210)의 관통홀(212)을 관통하여 제2힌지부(220)의 결합홀(222)에 결합되어 집게부재(100) 각각의 회전을 안내하는 힌지축부재(230)를 포함한다.
힌지부(200)는, 집게부재(300) 중 어느 하나에 함몰 형성되는 제1힌지결합홈(240)과, 제1힌지결합홈(240)에 안착되도록 집게부재(300) 중 다른 하나에 함몰 형성되는 제2힌지결합홈(250)을 더 포함한다.
한편, 제1힌지결합홈(240)과 제2힌지결합홈(250)은 집게부재(300)의 두께의 반에 해당하는 깊이로 각각 형성되어 상호 겹치는 부위가 집게부재(300)의 두께에 대응할 수 있다.
패킹부(400)는, 집게부재(300) 중 어느 하나의 단부의 내면에 구비되어 전주(10)를 가압 밀착하는 제1패킹부재(410)와, 제1패킹부재(410)에 마주보도록 집게부재(300) 중 다른 하나의 단부의 내면에 구비되어 전주(10)를 가압 밀착하는 제2패킹부재(420)를 포함한다.
제1,제2패킹부재(410)는 집게부재(300)의 설치면에 대하여 직각방향으로 배치되고, 단부로 갈수록 점차 협소하게 형성되는 원뿔대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제2패킹부재(410)는 집게부재(300)의 단부의 내면에서 전주(10)에 대해 2개지점에서 잡아주게 된다. 또한, 후술하는 집게부재(30)의 내측에 구비된 후술하는 링크지지부(500)의 제1,제2지지부재(530)(540)을 통해 2개 지점에서 잡아주게 된다.
이로써, 본 일시예에 따른 전주 홀딩 조정장치의 작동으로, 전주(10)는 제1,제2패킹부재(410)(420)와 제1,제2지지부재(530)(540)를 통해 집게부재(300)의 오므려짐을 통해 4개지점에서 홀딩되어 안정적으로 전주(10)의 홀딩작업이 수행될 수 있다.
한편, 본 일시예에 따른 전주 홀딩 조정장치는 힌지부(200)에 구비되어 전주(10)의 수평 위치를 측정하는 수평위치측정부(700)가 구비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수평위치측정부(700)는 힌지부(200)의 중심부 상면에 구비되어 상측으로 연결되는 수직연결봉(710)과, 수직연결봉(710)에서 전주(10)측으로 수평으로 연결되는 수평연결봉(720)과, 수평연결봉(720)의 단부에 구비되어 전주(10)의 측면에 근접하여 수평을 유지 여부를 표시하는 수평계(730)를 포함한다.
이러한 수평계(730)는 손잡이부(100)를 잡고 집게부재(300)를 오므려 전주(10)를 잡은 상태에서 작업자가 전주(10)가 수평 상태를 유지하는 지 여부를 파악할 수 있게 함으로써, 전주(10)를 간편하게 수평으로 세우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수평계(730)를 힌지부(200)의 중심에서 수직과 수평으로 연결하여 전주(10)의 중심측에 근접시키는 이유는 본 일 실시예의 전주 홀딩 조정장치에서 힌지부(200)는 전주(10)의 중심라인(도 6 참조)과 일치하고, 힌지부(200)의 중심에 설치된 수평계 역시 전주(10)의 중심과 일치함으로써, 수평계(730)가 힌지부(20)의 중심라인에 설치되면, 자동적으로 전주(10)의 중심과 일치하여 전주(10)의 수평 상태를 판단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때, 수평계(730)가 정중앙에 위치하면, 수평계(730)의 상면에 구비된 투명유리 또는 투명수지를 통해 보이는 내부 공기방울이 중앙에 위치하는 상태를 보면서 수평상태를 판단하게 된다. 한편, 수평위치측정부(700)는 본 일시예에 따른 전주 홀딩 조정장치에서 적절한 다른 위치에 구비될 수도 있다.
링크지지부(500)는 패킹부(400)에 마주 보도록 집게부재(300)의 내측에 각각 링크 연결되어 전주(10)를 회동 고정하는 구성이다.
링크지지부(500)는, 집게부재(300) 중 어느 하나의 내측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링크부재(510)와, 제1링크부재(510)와 마주 보도록 집게부재(300) 중 다른 하나의 내측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2링크부재(520)와, 제1링크부재(510)에 구비되어 전주(10)를 가압 밀착하는 제1지지부재(530)와, 제2링크부재(520)에 구비되어 전주(10)를 가압 밀착하는 제2지지부재(540)를 포함한다.
링크지지부(500)는, 제1링크부재(510)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힌지부(200)를 기준으로 마주보는 다른 하나의 집게부재(300)에 연결되는 제1보조링크부재(550)와, 제2링크부재(520)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힌지부(200)를 기준으로 마주보는 어느 하나의 집게부재(300)에 연결되는 제2보조링크부재(560)를 포함한다.
제1,제2보조링크부재(550)(560)는 제1,제2링크부재(510)(520)의 길이보다 더 길게 형성되어 상호 마주보는 반대측 집게부재(300)에 각각 연결됨으로써, 제1,제2링크부재(510)(520)가 안정적으로 지지되도록 해준다.
제1,제2보조링크부재(550)(560)는 한 쌍의 집게부재(300)의 오므려짐과 벌려짐으로 인해 제1,제2링크부재(510)(520)를 설정거리 당겨주거나 밀어줌으로써, 전주(10)의 둘레에서 이격되거나 전주(10)의 둘레에 밀착될 수 있다.
제1링크부재(510)는 집게부재(300) 중 어느 하나의 일측면에 함몰 형성되는 제1회동안내홈(512)에 안착되고, 다른 하나의 집게부재(300)의 개폐에 연동하는 제1보조링크부재(550)에 의해 제1회동안내홈(512)에서 회동될 수 있다.
제2링크부재(520)는 집게부재(300) 중 다른 하나의 일측면에 함몰 형성되는 제2회동안내홈(522)에 안착되고, 어느 하나의 집게부재(300)의 개폐에 연동하는 제2보조링크부재(560)에 의해 제2회동안내홈(522)에서 회동될 수 있다.
제1보조링크부재(550)와 제2보조링크부재(560)는 한 쌍의 집게부재(300)의 외측면에 각각 반대면에 위치하여 X자 형태로 상호 어긋나게 구비된다.
제1회동안내홈(512)과 제2회동안내홈(522)은 한 쌍의 집게부재(300)의 외측면에서 각각 반대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제2회동안내홈(512)(522)은 삼각홈 형상으로 형성되어 한 쌍의 집게부재(300)를 힌지부(200)를 기준으로 최대한 오므릴 때, 제1,제2링크부재(510)(520)는 삼각홈의 길이가 짧은 변에 해당하는 면에 각각 걸려져서 회동이 제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힌지부(200)는 풀림방지부(600)를 구비하여 집게부재(300)를 오므릴 때 역회전을 방지하여 전주(10)의 풀림을 방지한다.
풀림방지부(600)는, 힌지부(300)에 구비된 제1힌지부(310)의 중심에서 설정거리 이격되어 상하로 관통 형성되는 슬롯홀(610)과, 힌지부(300)에 구비된 제2힌지부(320)의 중심에서 설정거리 이격되고, 집게부재(300)가 전주(10)를 잡은 후 풀려짐을 차단하도록 다단으로 걸림 가능하게 형성되는 다단걸림턱부(620)와, 슬롯홀(610)에 끼워서 다단걸림턱(620) 중 어느 하나에 걸려지거나 걸림 해제되어 집게부재(300) 각각의 풀림을 방지하거나 풀림을 해제하는 걸림핀부재(630)와, 걸림핀부재(630)가 다단걸림턱부(620)에 탄성력으로 걸려지거나 당김에 의해 걸림 해제되도록 걸림핀부재(630)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640)를 포함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다단걸림턱부(620)는 한 쌍의 집게부재(300)가 오므려지는 방향으로 단차가 점차 낮아지도록 형성되어 전주(10)를 잡은 한 쌍의 집게부재(300)가 오므려진 후에는 다단걸림턱부(620) 중 어느 하나의 턱에 걸려 걸림이 유지되도록 구성된다.
걸림핀부재(630)는 원형 기둥형태로 형성되고, 다단걸림턱부(620)의 내측 접촉면에 접촉된 면부위가 접촉성을 높이기 위해 평면으로 가공되는 면삭가공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탄성부(640)는, 슬롯홀(610)의 상부에 위치하고, 슬롯홀(610)에 비해 확장 형성되는 작동홈(650)과, 걸림핀부재(630)에서 설정길이의 둘레에 돌출 형성되는 걸림플랜지(660)와, 걸림플랜지(660)에 걸려져 걸림핀부재(630)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670)과, 걸림플랜지(660)에 걸려진 스프링(670)이 걸림핀부재(630)를 밀어 다단걸림턱부(620) 중 어느 하나에 걸려지게 하기 위해 스프링(670)의 상측을 구속하도록 제1힌지부(210)에 설치되는 설치부(680)를 포함한다.
스프링(670)은 걸림핀부재(630)에 끼워지도록 걸림핀부재(630)의 외경보다 더 큰 내경을 갖는 코일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670)은 걸림플랜지(660)에 걸려져 걸림핀부재(630)를 하측으로 밀어주어 걸림핀부재(630)가 항상 다단걸림턱부(620) 중 어느 하나에 걸려지게 해주어 집게부재(300)가 설정거리 오므려지면 그 상태에서 벌려지는 것을 방지하게 해준다.
이때, 도 7을 참조하면, 집게부재(300)의 벌려지기 위한 풀림은 후술하는 그립부(690)를 통해 걸림핀부재(630)를 상측으로 강제적으로 잡아당겨 걸림플랜지(660)의 상측 이동에 의한 스프링(670)의 수축을 통해 걸림핀부재(630)가 다단걸림턱부(620)에서 벗어나게 함으로써, 걸림 해제를 수행하도록 한다.
설치부(680)는, 걸림핀부재(630)의 상측이 삽입되어 상부로 노출되고, 작동홈(650)의 상측에 형성된 안착홈(681)에 안착되어 스프링(670)의 상측을 차단하는 설치부재(682)와, 설치부재(682)의 가장자리에 함몰 형성된 고정턱부(683)와, 고정턱부(683)에 대응하도록 제1힌지부(210)에 형성되는 나사홀부(684)와, 고정턱부(683)에 걸려 고정되도록 나사홀부(684)에 체결되어 설치부재(682)를 제1힌지부(210)에 고정하여 스프링(670)을 구속하는 체결부재(685)를 포함한다.
설치부(68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하는 그립부(690)를 통해 걸림핀부재(630)를 상측으로 강제적으로 잡아당겨 걸림플랜지(660)의 상측 이동에 의한 스프링(670)의 수축으로 한 쌍의 집게부재(300)의 걸림을 해제할 때, 스프링(670)의 상측 이동을 제한하기 위해 스프링(670)의 상측 이동을 제한하는 구성이다.
걸림핀부재(630)에는 걸림핀부재(630)를 상측으로 당겨주어 걸림을 해제하는 그립부(690)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립부(690)는, 설치부재(682)의 상측에 함몰 형성되고, 걸림핀부재(630)가 상측으로 노출되는 삽입홈(691)과, 삽입홈(691)에 삽입되고, 머리부를 통해 설치부재(682)의 상면에 안착되어 걸림핀부재(630)와 결합되는 그립부재(692)와, 그립부재(692)를 걸림핀부재(630)에 결속하는 결속부(693)를 포함한다.
결속부(693)는, 걸림핀부재(630)에 측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끼움홀(694)과, 끼움홀(694)에 대응하도록 그립부재(692)의 측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장착홀(695)와, 장착홀(695)을 관통하여 끼움홀(694)에 끼워져 그립부재(692)를 걸림핀부재(630)에 결속하는 결속핀(696)을 포함한다.
한편, 걸림핀부재(630)의 상측 둘레에는 수나사부가 구비되어 그립부재(692)의 끼움구멍에 형성된 암나사부에 체결되어 결합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주 홀딩 조정장치는, 한 쌍의 손잡이부재에 연결되어 힌지에 의해 회전하는 집게부재 각각의 단부에 구비된 패킹부로 전주를 외측 2개지점에서 잡고, 집게부재의 내측에 구비된 링크지지부로 전주를 2개지점에서 잡아 모두 4개지점에서 동시에 밀착 지지함으로써, 전주를 작업자가 직접 잡지 않도록 하여 끼임, 충돌, 감전 등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풀림방지부를 이용하여 힌지부에서 한 쌍의 집게부재가 전주를 잡아서 오므려진 상태에서 풀려지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작업자가 손잡이부재를 강하게 지속적으로 잡아주지 않아도 홀딩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힌지부에 전주의 중심라인과 일치하는 수평위치측정부를 설치하므로 한 쌍의 집게부재로 잡아준 전주의 수평 상태를 간편하게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전주 100: 손잡이부재
200: 힌지부 210: 제1힌지부
212: 관통홀 220: 제2힌지부
222: 결합홀 230: 힌지축부재
240: 제1힌지결합홈 250: 제2힌지결합홈
400: 패킹부 410: 제1패킹부재
420: 제2패킹부재 500: 링크지지부
510: 제1링크부재 512: 제1회동안내홈
520: 제2링크부재 522: 제2회동안내홈
530: 제1지지부재 540: 제2지지부재
550: 제1보조링크부재 560: 제2보조링크부재
600: 풀림방지부 610: 슬롯홀
620: 다단걸림턱부 630: 걸림핀부재
640: 탄성부 650: 작동홈
660: 걸림플랜지 670: 스프링
680: 설치부 681: 안착홈
682: 설치부재 683: 고정턱부
684: 나사홀부 685: 체결부재
690: 그립부 691: 삽입홈
692: 그립부재 693: 결속부
694: 끼움홀 695: 장착홀
696: 결속핀 700: 수평위치측정부
710: 수직연결봉 720: 수평연결봉
730: 수평계
200: 힌지부 210: 제1힌지부
212: 관통홀 220: 제2힌지부
222: 결합홀 230: 힌지축부재
240: 제1힌지결합홈 250: 제2힌지결합홈
400: 패킹부 410: 제1패킹부재
420: 제2패킹부재 500: 링크지지부
510: 제1링크부재 512: 제1회동안내홈
520: 제2링크부재 522: 제2회동안내홈
530: 제1지지부재 540: 제2지지부재
550: 제1보조링크부재 560: 제2보조링크부재
600: 풀림방지부 610: 슬롯홀
620: 다단걸림턱부 630: 걸림핀부재
640: 탄성부 650: 작동홈
660: 걸림플랜지 670: 스프링
680: 설치부 681: 안착홈
682: 설치부재 683: 고정턱부
684: 나사홀부 685: 체결부재
690: 그립부 691: 삽입홈
692: 그립부재 693: 결속부
694: 끼움홀 695: 장착홀
696: 결속핀 700: 수평위치측정부
710: 수직연결봉 720: 수평연결봉
730: 수평계
Claims (15)
- 양손으로 각각 잡을 수 있는 한 쌍의 손잡이부재;
상기 손잡이부재에 연결되고, 힌지부를 기준으로 상기 손잡이부재의 오므려짐과 벌려짐으로 회동하여 패킹부를 통해 전주를 고정하는 한 쌍의 집게부재; 및
상기 패킹부에 마주 보도록 상기 집게부재의 내측에 각각 링크 연결되어 상기 전주를 회동 고정하는 링크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주 홀딩 조정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는,
상기 집게부재 중 어느 하나에 관통 형성되는 관통홀이 형성되는 제1힌지부;
상기 관통홀에 대응하도록 상기 집게부재 중 다른 하나에 관통 형성되는 결합홀이 형성되는 제2힌지부; 및
상기 제1힌지부의 관통홀을 관통하여 상기 제2힌지부의 상기 결합홀에 결합되어 상기 집게부재 각각의 회전을 안내하는 힌지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주 홀딩 조정장치.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는,
상기 집게부재 중 어느 하나에 함몰 형성되는 제1힌지결합홈; 및
상기 제1힌지결합홈에 안착되도록 상기 집게부재 중 다른 하나에 함몰 형성되는 제2힌지결합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힌지결합홈과 상기 제2힌지결합홈은 상기 집게부재의 두께의 반에 해당하는 깊이로 각각 형성되어 상호 겹치는 부위가 상기 집게부재의 두께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주 홀딩 조정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패킹부는,
상기 집게부재 중 어느 하나의 단부의 내면에 구비되어 상기 전주를 가압 밀착하는 제1패킹부재; 및
상기 제1패킹부재에 마주보도록 상기 집게부재 중 다른 하나의 단부의 내면에 구비되어 상기 전주를 가압 밀착하는 제2패킹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주 홀딩 조정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지지부는,
상기 집게부재 중 어느 하나의 내측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링크부재;
상기 제1링크부재와 마주 보도록 상기 집게부재 중 다른 하나의 내측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2링크부재;
상기 제1링크부재에 구비되어 상기 전주를 가압 밀착하는 제1지지부재; 및
상기 제2링크부재에 구비되어 상기 전주를 가압 밀착하는 제2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주 홀딩 조정장치.
-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지지부는,
상기 제1링크부재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힌지부를 기준으로 마주보는 다른 하나의 상기 집게부재에 연결되는 제1보조링크부재; 및
상기 제2링크부재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힌지부를 기준으로 마주보는 어느 하나의 상기 집게부재에 연결되는 제2보조링크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주 홀딩 조정장치.
-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1링크부재는 상기 집게부재 중 어느 하나의 일측면에 함몰 형성되는 제1회동안내홈에 안착되고, 다른 하나의 상기 집게부재의 개폐에 연동하는 상기 제1보조링크부재에 의해 상기 제1회동안내홈에서 회동되고,
상기 제2링크부재는 상기 집게부재 중 다른 하나의 일측면에 함몰 형성되는 제2회동안내홈에 안착되고, 어느 하나의 상기 집게부재의 개폐에 연동하는 상기 제2보조링크부재에 의해 상기 제2회동안내홈에서 회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주 홀딩 조정장치.
-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1보조링크부재와 상기 제2보조링크부재는 한 쌍의 집게부재의 외측면에 각각 반대면에 위치하여 X자 형태로 상호 어긋나게 구비되고,
상기 제1회동안내홈부와 상기 제2회동안내홈부는 한 쌍의 집게부재의 외측면에서 각각 반대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주 홀딩 조정장치.
-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는 풀림방지부를 구비하여 상기 집게부재를 오므릴 때 역회전을방지하여 상기 전주의 풀림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주 홀딩 조정장치.
-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풀림방지부는,
상기 힌지부에 구비된 제1힌지부의 중심에서 설정거리 이격되어 상하로 관통 형성되는 슬롯홀;
상기 힌지부에 구비된 제2힌지부의 중심에서 설정거리 이격되고, 상기 집게부재가 상기 전주를 잡은 후 풀려짐을 차단하도록 다단으로 걸림 가능하게 형성되는 다단걸림턱부;
상기 슬롯홀에 끼워서 상기 다단걸림턱 중 어느 하나에 걸려지거나 걸림 해제되어 상기 집게부재 각각의 풀림을 방지하거나 풀림을 해제하는 걸림핀부재; 및
상기 걸림핀부재가 다단걸림턱부에 탄성력으로 걸려지거나 당김에 의해 걸림 해제되도록 상기 걸림핀부재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주 홀딩 조정장치.
-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는,
상기 슬롯홀의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슬롯홀에 비해 확장 형성되는 작동홈;
상기 걸림핀부재에서 설정길이의 둘레에 돌출 형성되는 걸림플랜지;
상기 걸림플랜지에 걸려져 상기 걸림핀부재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 및
상기 걸림플랜지에 걸려진 상기 스프링이 상기 걸림핀부재를 밀어 상기 다단걸림턱부 중 어느 하나에 걸려지게 하기 위해 상기 스프링의 상측을 구속하도록 상기 제1힌지부에 설치되는 설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주 홀딩 조정장치.
-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부는,
상기 걸림핀부재의 상측이 삽입되어 상부로 노출되고, 상기 작동홈의 상측에 형성된 안착홈에 안착되어 상기 스프링의 상측을 차단하는 설치부재;
상기 설치부재의 가장자리에 함몰 형성된 고정턱부;
상기 고정턱부에 대응하도록 상기 제1힌지부에 형성되는 나사홀부; 및
상기 고정턱부에 걸려 고정되도록 상기 나사홀부에 체결되어 상기 설치부재를 상기 제1힌지부에 고정하여 상기 스프링을 구속하는 체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주 홀딩 조정장치.
-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핀부재에는 상기 걸림핀부재를 상측으로 당겨주어 걸림을 해제하는 그립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주 홀딩 조정장치.
-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그립부는,
상기 설치부재의 상측에 함몰 형성되고, 상기 걸림핀부재가 상측으로 노출되는 삽입홈;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고, 머리부를 통해 상기 설치부재의 상면에 안착되어 상기 걸림핀부재와 결합되는 그립부재; 및
상기 그립부재를 상기 걸림핀부재에 결속하는 결속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주 홀딩 조정장치.
-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에 구비되어 상기 전주의 수평 위치를 측정하는 수평위치측정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주 홀딩 조정장치.
Priorit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90162A KR102702432B1 (ko) | 2022-07-21 | 2022-07-21 | 전주 홀딩 조정장치 |
KR1020240116115A KR20240134806A (ko) | 2022-07-21 | 2024-08-28 | 전주 설치용 고정장치 |
KR1020240116111A KR20240136265A (ko) | 2022-07-21 | 2024-08-28 | 전주 위치 고정장치 |
KR1020240116113A KR20240134805A (ko) | 2022-07-21 | 2024-08-28 | 전주 집게 홀딩장치 |
KR1020240116897A KR20240133960A (ko) | 2022-07-21 | 2024-08-29 | 전주 지지용 집게장치 |
KR1020240116876A KR20240133958A (ko) | 2022-07-21 | 2024-08-29 | 전주 설치용 집게 그립장치 |
KR1020240117853A KR20240134819A (ko) | 2022-07-21 | 2024-08-30 | 전주 그립 장치 |
KR1020240117855A KR20240134274A (ko) | 2022-07-21 | 2024-08-30 | 전주 집게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90162A KR102702432B1 (ko) | 2022-07-21 | 2022-07-21 | 전주 홀딩 조정장치 |
Related Child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40116113A Division KR20240134805A (ko) | 2022-07-21 | 2024-08-28 | 전주 집게 홀딩장치 |
KR1020240116111A Division KR20240136265A (ko) | 2022-07-21 | 2024-08-28 | 전주 위치 고정장치 |
KR1020240116115A Division KR20240134806A (ko) | 2022-07-21 | 2024-08-28 | 전주 설치용 고정장치 |
KR1020240116876A Division KR20240133958A (ko) | 2022-07-21 | 2024-08-29 | 전주 설치용 집게 그립장치 |
KR1020240116897A Division KR20240133960A (ko) | 2022-07-21 | 2024-08-29 | 전주 지지용 집게장치 |
KR1020240117855A Division KR20240134274A (ko) | 2022-07-21 | 2024-08-30 | 전주 집게 장치 |
KR1020240117853A Division KR20240134819A (ko) | 2022-07-21 | 2024-08-30 | 전주 그립 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40012781A true KR20240012781A (ko) | 2024-01-30 |
KR102702432B1 KR102702432B1 (ko) | 2024-09-05 |
Family
ID=89715178
Famil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090162A KR102702432B1 (ko) | 2022-07-21 | 2022-07-21 | 전주 홀딩 조정장치 |
KR1020240116115A KR20240134806A (ko) | 2022-07-21 | 2024-08-28 | 전주 설치용 고정장치 |
KR1020240116113A KR20240134805A (ko) | 2022-07-21 | 2024-08-28 | 전주 집게 홀딩장치 |
KR1020240116111A KR20240136265A (ko) | 2022-07-21 | 2024-08-28 | 전주 위치 고정장치 |
KR1020240116897A KR20240133960A (ko) | 2022-07-21 | 2024-08-29 | 전주 지지용 집게장치 |
KR1020240116876A KR20240133958A (ko) | 2022-07-21 | 2024-08-29 | 전주 설치용 집게 그립장치 |
KR1020240117855A KR20240134274A (ko) | 2022-07-21 | 2024-08-30 | 전주 집게 장치 |
KR1020240117853A KR20240134819A (ko) | 2022-07-21 | 2024-08-30 | 전주 그립 장치 |
Family Applications After (7)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40116115A KR20240134806A (ko) | 2022-07-21 | 2024-08-28 | 전주 설치용 고정장치 |
KR1020240116113A KR20240134805A (ko) | 2022-07-21 | 2024-08-28 | 전주 집게 홀딩장치 |
KR1020240116111A KR20240136265A (ko) | 2022-07-21 | 2024-08-28 | 전주 위치 고정장치 |
KR1020240116897A KR20240133960A (ko) | 2022-07-21 | 2024-08-29 | 전주 지지용 집게장치 |
KR1020240116876A KR20240133958A (ko) | 2022-07-21 | 2024-08-29 | 전주 설치용 집게 그립장치 |
KR1020240117855A KR20240134274A (ko) | 2022-07-21 | 2024-08-30 | 전주 집게 장치 |
KR1020240117853A KR20240134819A (ko) | 2022-07-21 | 2024-08-30 | 전주 그립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8) | KR102702432B1 (ko)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6092857A (ja) * | 2014-10-29 | 2016-05-23 | 中国電力株式会社 | 電柱挟持工具 |
KR101640576B1 (ko) * | 2015-10-01 | 2016-07-21 | 유광희 | 지주 뽑기용 장치 |
KR102102989B1 (ko) * | 2019-07-17 | 2020-04-22 | 이종하 | 락킹 플라이어 |
KR20210115683A (ko) * | 2020-03-16 | 2021-09-27 | 윤종호 | 호스클립용 체결공구 |
-
2022
- 2022-07-21 KR KR1020220090162A patent/KR102702432B1/ko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24
- 2024-08-28 KR KR1020240116115A patent/KR20240134806A/ko unknown
- 2024-08-28 KR KR1020240116113A patent/KR20240134805A/ko unknown
- 2024-08-28 KR KR1020240116111A patent/KR20240136265A/ko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24-08-29 KR KR1020240116897A patent/KR20240133960A/ko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24-08-29 KR KR1020240116876A patent/KR20240133958A/ko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24-08-30 KR KR1020240117855A patent/KR20240134274A/ko unknown
- 2024-08-30 KR KR1020240117853A patent/KR20240134819A/ko unknown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6092857A (ja) * | 2014-10-29 | 2016-05-23 | 中国電力株式会社 | 電柱挟持工具 |
KR101640576B1 (ko) * | 2015-10-01 | 2016-07-21 | 유광희 | 지주 뽑기용 장치 |
KR102102989B1 (ko) * | 2019-07-17 | 2020-04-22 | 이종하 | 락킹 플라이어 |
KR20210115683A (ko) * | 2020-03-16 | 2021-09-27 | 윤종호 | 호스클립용 체결공구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40133960A (ko) | 2024-09-05 |
KR20240134274A (ko) | 2024-09-09 |
KR20240134819A (ko) | 2024-09-10 |
KR20240134806A (ko) | 2024-09-10 |
KR20240136265A (ko) | 2024-09-13 |
KR20240134805A (ko) | 2024-09-10 |
KR20240133958A (ko) | 2024-09-05 |
KR102702432B1 (ko) | 2024-09-0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080178455A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installing a waste disposer sink mount | |
KR20240012781A (ko) | 전주 홀딩 조정장치 | |
US6601838B1 (en) | Clamp for use in wood framing | |
JP2008081305A (ja) | 長尺材縦吊り装置 | |
US9964132B2 (en) | Quick hook | |
JP6917048B2 (ja) | 介錯アーム、および介錯アームを備えたクレーンアーム | |
JP2618614B2 (ja) | 杭用の吊り金具 | |
JP6359591B2 (ja) | 親綱フック着脱装置 | |
US6814334B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limiting movement of insulation during building construction | |
KR20190048555A (ko) | 3중 잠금장치가 적용된 드릴링 파이프 엘리베이터 클램핑 장치 | |
JP7455422B2 (ja) | 支持具 | |
JP4002664B2 (ja) | 重量物吊上げ用フック装置 | |
US20180161963A1 (en) | Strain Device Tool | |
JP2556438B2 (ja) | 既設固定物に対する後付け部材のネジ締結方法とその装置 | |
JPH038701Y2 (ko) | ||
CA2924588C (en) | Quick hook | |
JPH0544148U (ja) | 吊りボルト用安全帯取付具 | |
JP2525650Y2 (ja) | 地下構造物用蓋受枠 | |
JPH09278345A (ja) | H鋼梁吊り具兼取付具 | |
JPH0633143Y2 (ja) | 複合小柱の建柱等に使用するガイドポール取付金具 | |
JP3006174U (ja) | 工具等携行用具 | |
JP3021519U (ja) | マンホールカバー | |
JPH0353951B2 (ko) | ||
JPH0489989A (ja) | アースアンカー工法における二重管の接続方法及び該方法に使用する削孔機への二重管自動セット装置 | |
CA3210510A1 (en) | Locking clamp and tubular elevator assembly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