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12275A - 정보 처리 장치, 표시 시스템 및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정보 처리 장치, 표시 시스템 및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12275A
KR20240012275A KR1020230048547A KR20230048547A KR20240012275A KR 20240012275 A KR20240012275 A KR 20240012275A KR 1020230048547 A KR1020230048547 A KR 1020230048547A KR 20230048547 A KR20230048547 A KR 20230048547A KR 20240012275 A KR20240012275 A KR 202400122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unit
coupon
customer
produ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485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부유키 마루모
Original Assignee
도시바 테크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시바 테크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시바 테크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400122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1227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81Customer communication at a business location, e.g. providing product or service information, consul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1Customer relationship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1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on user lo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41Shopping interfaces
    • G06Q30/0643Graphical representation of items or shopp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7Computer-aided management of electronic mailing [e-mai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06Q30/0236Incentive or reward received by requiring registration or ID from us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06Q30/023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at kiosk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9Item lo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41Shopping interfa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1Services related to particular areas, e.g. point of interest [POI] services, venue services or geofen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Cash Registers Or Receiv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발행된 쿠폰이 유효하게 활용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정보 처리 장치, 표시 시스템 및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실시 형태의 정보 처리 장치는, 상품을 진열하는 진열 에어리어마다 대응지어 점포 내에 마련된 복수의 표시 장치와 통신 가능한 정보 처리 장치이며, 고객을 식별하는 고객 식별 정보와, 당해 고객의 위치를 나타내는 고객 위치 정보를 취득하는 취득부와, 상기 취득부에 의해 취득된 상기 고객 식별 정보로 식별되는 고객이 이용 가능한 쿠폰을 선정하는 선정부와, 상기 취득부에 의해 취득된 고객 위치 정보와, 상기 선정부에 의해 선정된 쿠폰의 대상 상품의 진열 에어리어를 나타내는 에어리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표시 장치 중, 대응하는 진열 에어리어의 상품이 쿠폰 대상 상품인 것을 표시하는 표시 장치를 특정하는 특정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정보 처리 장치, 표시 시스템 및 표시 장치{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DISPLAY SYSTEM, AND DISPLAY DEVICE}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정보 처리 장치, 표시 시스템 및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판매 촉진을 목적으로 하여, 상품이나 서비스(이하, 총칭하여 「상품」이라고도 함)를 판매하는 점포나 사업자(이하, 총칭하여 「점포」라고도 함)에 의한 쿠폰의 발행이 행해지고 있다. 예를 들어, 점포는, 상품을 구입한 고객에 대하여, 영수증의 일부에 쿠폰의 내용이 인자된 종이 쿠폰을 발행한다. 또한, 점포는, 메일 어드레스를 등록한 점포 회원 등에 대하여, 네트워크를 통해 디지털 쿠폰을 발행한다.
또한, 판매장 내의 고객에게 쿠폰의 대상 상품을 알리는 시스템이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이용 가능한 쿠폰의 대상 상품에 접근한 고객에 대하여, 당해 상품이 쿠폰 대상의 상품인 것을 통지하는 시스템이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이 시스템은, 고객이 이용하는 쇼핑카트에 설치된 태블릿 단말기에, 당해 고객의 근처에 있는 상품이 쿠폰의 대상 상품인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통지한다. 태블릿 단말기는, 통지된 정보를 표시한다.
그러나, 고객은 진열된 상품을 둘러보면서 판매장 내를 이동하므로, 쇼핑카트에 설치된 태블릿에 표시된 정보를 간과하기 쉽다. 결과적으로, 고객은, 근처에 진열된 상품이 자신의 이용 가능한 쿠폰의 대상 상품인 것을 알아차리지 못하는 경우가 많은 것이 실정이다. 이 때문에, 발행된 쿠폰이 유효하게 활용되고 있다고는 할 수 없어, 그 개선이 요망되고 있다.
국제 공개 제2017/065187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발행된 쿠폰이 유효하게 활용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정보 처리 장치, 표시 시스템 및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실시 형태의 정보 처리 장치는, 상품을 진열하는 진열 에어리어마다 대응지어 점포 내에 마련된 복수의 표시 장치와 통신 가능한 정보 처리 장치이며, 고객을 식별하는 고객 식별 정보와, 당해 고객의 위치를 나타내는 고객 위치 정보를 취득하는 취득부와, 상기 취득부에 의해 취득된 상기 고객 식별 정보로 식별되는 고객이 이용 가능한 쿠폰을 선정하는 선정부와, 상기 취득부에 의해 취득된 고객 위치 정보와, 상기 선정부에 의해 선정된 쿠폰의 대상 상품의 진열 에어리어를 나타내는 에어리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표시 장치 중, 대응하는 진열 에어리어의 상품이 쿠폰 대상 상품인 것을 표시하는 표시 장치를 특정하는 특정부를 구비한다.
도 1은 제1 실시 형태의 표시 시스템을 포함하는 점포 시스템의 개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제1 실시 형태의 서버 장치의 주된 하드웨어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제1 실시 형태의 서버 장치의 메모리부에 기억되는 고객 마스터의 데이터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제1 실시 형태의 서버 장치의 메모리부에 기억되는 쿠폰 마스터의 데이터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제1 실시 형태의 서버 장치의 메모리부에 기억되는 고객 정보 관리 파일의 데이터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제1 실시 형태의 서버 장치의 메모리부에 기억되는 에어리어 관리 파일의 데이터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제1 실시 형태의 서버 장치의 메모리부에 기억되는 비콘 관리 파일의 데이터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점포의 진열 에어리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제1 실시 형태의 서버 장치의 제어부의 주된 기능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0은 제1 실시 형태의 표시 장치의 주된 하드웨어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1은 제1 실시 형태의 표시 장치의 메모리부에 기억되는 상품 정보 관리 파일의 데이터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제1 실시 형태의 표시 장치에 의한 표시 형태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제1 실시 형태의 표시 장치의 제어부의 주된 기능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4는 제1 실시 형태의 단말 장치의 주된 하드웨어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5는 제1 실시 형태의 단말 장치의 제어부의 주된 기능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6은 제1 실시 형태의 점포 시스템의 동작의 흐름을 나타내는 시퀀스 차트이다.
도 17은 제1 실시 형태의 서버 장치의 제어부에 의한 표시 장치 선택 처리의 흐름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8은 제1 실시 형태의 표시 장치의 제어부에 의한 표시 전환 처리의 흐름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9는 제2 실시 형태의 표시 장치의 주된 하드웨어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0은 제2 실시 형태의 표시 장치의 메모리부에 기억되는 대상 쿠폰 관리 파일의 데이터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1은 제2 실시 형태의 표시 장치의 제어부의 주된 기능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2는 제2 실시 형태의 단말 장치의 주된 하드웨어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3은 제2 실시 형태의 단말 장치의 제어부의 주된 기능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4는 제2 실시 형태의 표시 시스템의 동작의 흐름을 나타내는 시퀀스 차트이다.
도 25는 제2 실시 형태의 표시 장치의 제어부에 의한 표시 전환 처리의 흐름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 형태의 정보 처리 장치, 표시 시스템 및 표시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 설명하는 실시 형태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이하에 설명하는 실시 형태에서는, 정보 처리 장치를 서버 장치에 적용한 예에 대하여 설명하지만, 정보 처리 장치를 표시 장치에 적용해도 된다. 또한, 이하에 설명하는 실시 형태에서는, 고객이 소유하는 스마트폰을 단말 장치로 한 예에 대하여 설명하지만, 단말 장치는 점포가 준비한 태블릿 단말기 등이어도 된다.
(제1 실시 형태)
이하, 제1 실시 형태의 정보 처리 장치, 표시 시스템 및 표시 장치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표시 시스템을 포함하는 점포 시스템의 개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실시 형태의 점포 시스템(1)은, 예를 들어 슈퍼마켓 등 상품을 판매하는 점포에 적용된다. 점포 시스템(1)은, 복수의 회계 장치(2)와 표시 시스템(3)을 포함한다.
표시 시스템(3)은, 서버 장치(4)와, 점포 내의 판매장에 마련되는 복수의 표시 장치(5)와, 고객 C가 소유하는 단말 장치(6)를 구비한다. 회계 장치(2), 서버 장치(4) 및 표시 장치(5)는, LAN(Local Area Network) 등의 네트워크 N을 통해 서로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단말 장치(6)는, 인스톨된 쇼핑용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하, 「쇼핑 애플리케이션」이라고도 함)이 기동하면, 무선 LAN 등을 통해 회계 장치(2), 서버 장치(4) 및 표시 장치(5)와 통신 가능하게 접속된다. 또한, 단말 장치(6)는, 쇼핑 애플리케이션이 기동하면, 판매장 내에 복수 마련된 비콘 장치(도시하지 않음)와 근거리 무선 통신에 의해 통신 가능하다. 비콘 장치는, 고객 C의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것이고, 판매장 내의 각 에어리어에 마련된다.
회계 장치(2)는, 예를 들어 고객 C가 스스로 회계 조작을 행하는, 소위 셀프식의 회계 장치이다. 회계 장치(2)는, 단말 장치(6)로부터 수신한 회계 정보에 기초하여, 현금 결제, 혹은 크레디트 결제 등의 캐시리스 결제에 의한 지불에 관한 회계 처리를 실행한다. 회계 처리란, 고객 C가 구입하는 상품의 대금의 지불을 행하기 위한 처리이다. 회계 장치(2)는, 고객 C가 보유하는 쿠폰을 이용한 회계 처리를 실행 가능하다.
회계 장치(2)는, 회계 처리된 거래에 관한 거래 정보를 서버 장치(4)로 송신한다. 거래 정보는, 고객 C를 식별하는 고객 식별 정보, 구입된 상품의 상품 정보, 쿠폰 정보, 합계 금액 등을 포함한다. 고객 식별 정보는, 예를 들어 쇼핑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는 점포 회원의 회원 ID이다. 쿠폰 정보는, 거래에 있어서 이용된 쿠폰을 특정하는 쿠폰 코드, 당해 거래에 관한 영수증에 인쇄된 쿠폰을 특정하는 쿠폰 코드이다. 바꾸어 말하면, 회계 장치(2)는, 고객 C가 이용한 쿠폰의 쿠폰 코드 및 고객 C에게 새롭게 발행된 쿠폰의 쿠폰 코드를 서버 장치(4)로 송신한다. 또한, 회계 장치(2)는, 점원이 조작하는 POS(Point Of Sales) 단말기 등이어도 된다.
서버 장치(4)는, 점포의 각종 정보를 관리하는 점포 서버로서 기능한다. 서버 장치(4)는, 각 회계 장치(2)로부터 거래 정보를 수신한다. 서버 장치(4)는, 각 회계 장치(2)로부터 수신한 거래 정보를 고객 C마다 관리한다. 또한, 서버 장치(4)는, 도시하지 않은 쿠폰 서버로부터, 당해 쿠폰 서버가 고객 C에게 발행한 디지털 쿠폰의 쿠폰 코드를 취득한다. 또한, 서버 장치(4)는, 각 회계 장치(2)로부터, 고객 C에게 발행한 종이 쿠폰의 쿠폰 코드를 취득한다. 또한, 서버 장치(4)는, 각 회계 장치(2)로부터, 거래에 있어서 고객 C가 이용한 쿠폰의 쿠폰 코드를 취득한다. 서버 장치(4)는, 취득한 쿠폰 코드에 기초하여, 고객이 보유하는 쿠폰, 즉 고객이 이용 가능한 쿠폰의 쿠폰 코드를 관리한다. 또한, 서버 장치(4)는, 점포에서 취급하고 있는 상품에 대하여, 상품 코드와 상품 정보(상품명, 가격 등)를 대응지은 상품 마스터를 기억하여, 적절히 단말 장치(6)로 송신한다.
서버 장치(4)는, 판매장 내의 고객 C의 위치 정보를 취득한다. 예를 들어, 서버 장치(4)는, 위치 정보로서, 고객 C의 단말 장치(6)로부터 비콘 ID를 취득한다. 서버 장치(4)는, 비콘 ID와 판매장의 에어리어 정보를 대응지은 비콘 관리 파일을 참조하여, 고객 C의 위치를 인식한다. 에어리어 정보는, 판매장에 구획된 진열 에어리어를 나타내는 정보이다. 진열 에어리어는, 상품을 진열하는 에어리어이며, 진열되는 상품에 대응지어져 있다. 비콘 ID는, 고객 위치 정보의 일례이다. 또한, 서버 장치(4)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기술 등을 사용하여, 고객 C의 위치 정보를 취득해도 된다.
서버 장치(4)는, 표시 장치(5)의 표시 내용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는, 서버 장치(4)는, 고객 C가 이용 가능한 쿠폰의 대상 상품의 진열 에어리어에 당해 고객 C가 위치한 경우, 당해 진열 에어리어에 대응지어진 표시 장치(5)에 표시 변경 지시를 출력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고객 C가 이용 가능한 쿠폰의 대상 상품을 「쿠폰 대상 상품」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표시 장치(5)는, 표시 변경 지시를 수신하면, 대응하는 진열 에어리어에 진열된 상품이 쿠폰 대상 상품인 취지의 표시를 행한다. 또한, 서버 장치(4)는, 고객 C가 쿠폰 대상 상품의 진열 에어리어에 위치한 경우, 단말 장치(6)에 진동 지시를 출력한다. 단말 장치(6)는, 진동 지시를 수신하면, 내장하는 바이브레이터를 동작시킨다. 서버 장치(4)는, 정보 처리 장치의 일례이다.
표시 장치(5)는, 상품을 진열하는 진열 에어리어마다 대응지어 점포 내에 배치된다. 표시 장치(5)는, 대응지어진 진열 에어리어에 진열된 상품에 관한 정보 등을 표시한다. 표시 장치(5)는, 대응지어진 진열 에어리어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당해 진열 에어리어에 위치하는 고객 C가 표시 내용을 인식할 수 있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으면 되고, 설치 위치는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표시 장치(5)는, 진열 에어리어와 일대일로 대응하고 있지 않아도 된다. 예를 들어, 하나의 진열 에어리어에 복수의 표시 장치(5)가 대응지어져 있어도 되고, 복수의 진열 에어리어에 하나의 표시 장치(5)가 대응지어져도 된다. 또한, 진열 에어리어마다 진열되는 상품이 정해져 있으므로, 표시 장치(5)는, 진열되는 상품에 대응지어져 있다고 할 수도 있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표시 장치(5)에 대응지어진 진열 에어리어에 진열되는 상품을, 「표시 장치(5)에 대응하는 상품」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표시 장치(5)는, 예를 들어 통상 시에는 광고 정보를 표시한다. 광고 정보는, 이것을 표시하는 표시 장치(5)에 대응하는 상품의 광고 정보여도 되고, 다른 상품의 광고 정보여도 된다. 여기서, 통상 시란, 표시 장치(5)가 표시 변경 지시를 수신하여 당해 표시 변경 지시에 따른 표시를 행하고 있을 때 이외의 때를 말하는 것으로 한다. 표시 장치(5)는, 서버 장치(4)로부터의 표시 변경 지시에 따라 표시 내용을 변경한다. 구체적으로는, 표시 장치(5)는, 표시 변경 지시를 수신하면, 자장치가 대응하는 진열 에어리어에 있는 고객 C에 대하여, 당해 진열 에어리어에 진열된 상품이 쿠폰 대상 상품인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소정 시간 표시한다. 이에 의해, 고객 C는, 자신이 위치하는 진열 에어리어에 진열된 상품에 관한 쿠폰을 보유하고 있는 것을 인식할 수 있다.
그런데, 통상, 고객 C는, 진열된 상품을 둘러보면서 판매장 내를 이동한다. 상기 표시 시스템(3)에 의하면, 진열 에어리어에 설치된 표시 장치(5)에 의해, 고객 C가 위치하는 진열 에어리어에 진열된 상품이 쿠폰 대상 상품인 것을 알리는 통지(이하, 「쿠폰 대상 상품 통지」라고도 함)가 이루어지므로, 고객 C는 확실하게 쿠폰 대상 상품 통지를 인식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표시 장치(5)의 표시 및 단말 장치(6)의 진동에 의해 쿠폰 대상 상품 통지가 이루어지는 것으로 되어 있다.
표시 장치(5)는, 자장치가 대응하는 진열 에어리어에 있는 고객 C가, 당해 진열 에어리어에 진열된 상품을 대상으로 하는 쿠폰을 보유하고 있지 않은 경우, 표시 내용을 변경하지 않는다. 이에 의해, 표시 장치(5)는, 필요 이상으로 표시의 전환을 행하여 고객 C가 표시되는 정보를 인식하기 어려워져 버리는 것을 억제한다. 또한, 표시 장치(5)는, 통상 시에는 정보를 전혀 표시하지 않아도 되고, 혹은 광고 정보 이외의 임의의 정보를 표시시켜도 된다. 그러나, 통상 시에 광고 정보를 표시함으로써, 표시 장치(5)를 광고 표시용과 쿠폰 대상 상품 통지용으로 겸용할 수 있다.
단말 장치(6)는, 예를 들어 고객 C가 소유하는 스마트폰 등의 정보 기기이다. 단말 장치(6)는, 쇼핑카트 B에 보유 지지 가능하게 되어 있다. 쇼핑카트 B는, 점포의 판매장에 배치되어 고객 C가 구입하는 상품의 운반에 사용된다. 쇼핑카트 B는, 보유 지지부 BA와 핸들 BB를 구비한다. 보유 지지부 BA는, 단말 장치(6)를 보유 지지한다. 핸들 BB는, 쇼핑카트 B를 이동시키기 위해 고객 C가 파지하는 부분이다. 보유 지지부 BA와 핸들 BB는 진동 전달 부재를 통해 연결되어 있다. 보유 지지부 BA에 보유 지지된 단말 장치(6)가 진동하면, 당해 진동이 핸들 BB로 전달된다. 이에 의해, 핸들 BB를 파지하고 있는 고객 C는, 단말 장치(6)가 진동하고 있는 것을 인식할 수 있다.
단말 장치(6)는, 서버 장치(4)로부터의 진동 지시에 따라 내장한 바이브레이터를 동작시킨다. 단말 장치(6)는, 바이브레이터에 의한 진동을 고객 C에게 전함으로써, 쿠폰 대상 상품 통지를 행할 수 있다.
단말 장치(6)에는, 쇼핑 애플리케이션이 인스톨되어 있다. 단말 장치(6)는, 점포 내에서 쇼핑 애플리케이션을 동작시킴으로써, 상품 등록을 실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단말 장치(6)는, 고객 C의 조작에 의해 상품에 부착된 바코드 등의 코드 심볼(이하, 「상품 바코드」라고도 함)을 촬상하여, 상품 바코드가 나타내는 상품 코드를 판독한다. 상품 코드는, 상품을 식별하는 상품 식별 정보이다. 단말 장치(6)는, 판독한 상품 코드에 기초하여 상품명, 가격 등의 상품 정보를 취득하고, 기억 장치에 기억시킴으로써 상품 등록을 실행한다. 또한, 단말 장치(6)는, 일반 물체 인식(오브젝트 인식)에 의해 상품 코드를 판독해도 된다.
이어서, 표시 시스템(3)을 구성하는 각 장치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서버 장치(4)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서버 장치(4)의 주된 하드웨어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서버 장치(4)는, 제어부(40)와, 메모리부(41)와, 표시부(42)와, 조작부(43)와, 통신부(44)를 구비하고 있다. 제어부(40), 메모리부(41), 표시부(42), 조작부(43) 및 통신부(44)는, 버스(45) 등을 통해 서로 접속되어 있다.
제어부(40)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401), ROM(Read Only Memory)(402), RAM(Random Access Memory)(403)을 구비한 컴퓨터로 구성되어 있다. CPU(401), ROM(402) 및 RAM(403)은, 버스(45)를 통해 서로 접속되어 있다.
CPU(401)는 서버 장치(4)의 전체의 동작을 제어한다. ROM(402)은, CPU(401)의 구동에 사용되는 프로그램 등의 각종 프로그램이나 각종 데이터를 기억한다. RAM(403)은, CPU(401)의 워크 에어리어로서 사용되어, ROM(402)이나 메모리부(41)에 기억된 각종 프로그램이나 각종 데이터를 전개한다. 제어부(40)는, CPU(401)가 ROM(402)이나 메모리부(41)에 기억되어 RAM(403)에 전개된 제어 프로그램에 따라 동작함으로써, 서버 장치(4)의 각종 제어 처리를 실행한다.
메모리부(41)는, HDD(Hard Disk Drive)나 플래시 메모리 등의 기억 매체로 구성되어 있고, 전원을 차단해도 기억 내용을 유지한다. 메모리부(41)는, 제어 프로그램(411), 상품 마스터(412), 고객 마스터(413), 쿠폰 마스터(414), 고객 정보 관리 파일(415), 에어리어 관리 파일(416) 및 비콘 관리 파일(417)을 기억한다.
제어 프로그램(411)은, 고객 C를 식별하는 회원 ID나 당해 고객 C의 위치를 나타내는 고객 위치 정보를 단말 장치(6)로부터 취득하는 기능, 취득한 회원 ID로 식별되는 고객이 이용 가능한 쿠폰을 선정하는 기능, 취득한 회원 ID나 고객 위치 정보 등에 기초하여 표시 장치(5)에 쿠폰 대상 상품 통지를 지시하는 표시 변경 지시를 출력하는 기능 등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등이다.
상품 마스터(412)는, 점포에서 취급하고 있는 상품의 정보를 기억한 마스터 파일이다. 상품 마스터(412)는, 상품 코드에 대응지어, 상품명, 가격 등의 상품 정보를 기억한다. 또한, 점포에서 취급하는 상품은 매일 변화되기 때문에, 상품 마스터(412)는 적절히 갱신된다. 갱신된 상품 마스터(412)는, 각 단말 장치(6)에 배신된다.
고객 마스터(413)는, 점포 회원인 고객 C의 정보를 기억한 마스터 파일이다. 고객 마스터(413)에 등록(기억)되는 각 정보는, 고객 C가 쇼핑 애플리케이션을 인스톨하여 회원 등록할 때 당해 고객 C로부터 취득된다. 도 3은, 고객 마스터(413)의 데이터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고객 마스터(413)는, 회원 ID에 대응지어, 성명, 주소, 통지처를 기억한다.
회원 ID는, 고객 C를 식별하는 정보이며, 고객 식별 정보의 일례이다. 회원 ID는, 고객 C가 회원 등록했을 때 점포에 의해 부여된다. 통지처는, 예를 들어 고객 C가 소유하는 단말 장치(6)의 메일 어드레스이다. 서버 장치(4)는, 통지처를 참조함으로써 고객 C의 단말 장치(6)로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쿠폰 마스터(414)는, 점포가 발행한 쿠폰을 관리하는 마스터 파일이다. 점포가 새로운 쿠폰을 발행하면, 쿠폰 마스터(414)에 정보가 등록된다. 쿠폰 마스터(414)에 등록된 쿠폰의 유효 기한이 경과하면, 당해 쿠폰에 관한 정보가 쿠폰 마스터(414)로부터 소거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쿠폰 마스터(414)는, 쿠폰 서버(도시하지 않음)가 발행한 디지털 쿠폰 및 회계 장치(2)가 발행한 종이 쿠폰의 정보를 기억한다. 도 4는, 쿠폰 마스터(414)의 데이터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쿠폰 마스터(414)는, 쿠폰 코드에 대응지어, 상품 코드, 특전, 에어리어를 기억한다.
쿠폰 코드는, 발행된 쿠폰을 식별하는 정보이다. 상품 코드는, 쿠폰 대상 상품의 상품 코드이다. 쿠폰 대상 상품은, 쿠폰에 의한 특전이 얻어지는 대상의 상품이다. 특전은, 쿠폰에 의한 특전의 내용 및 기간을 나타내는 정보이다. 내용은, 쿠폰에 의해 얻어지는 특전의 내용이고, 예를 들어 가격 인하액, 할인율, 노벨티 상품의 부여 등을 나타내는 정보이다. 기간은, 쿠폰을 이용 가능한 유효 기간을 나타내는 정보이다. 에어리어는, 판매장 내의 상품을 진열하는 진열 에어리어를 식별하는 정보(에어리어 정보)이다.
고객 정보 관리 파일(415)은, 고객의 정보를 관리하는 파일이다. 고객 정보 관리 파일(415)은, 고객 C에 대한 쿠폰의 발행 상황, 고객 C에 의한 쿠폰의 이용 상황, 고객 C의 고객 위치 정보에 따라 적절히 갱신된다. 도 5는, 고객 정보 관리 파일(415)의 데이터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고객 정보 관리 파일(415)은, 회원 ID에 대응지어, 쿠폰 코드 및 입점 상태를 기억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회원 ID는 회원인 고객 C를 식별하는 정보이다. 쿠폰 코드는, 대응하는 회원 ID의 고객 C가 이용 가능한 쿠폰을 식별하는 정보이다. 입점 상태는, 고객 C가 점포 내에 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이다.
에어리어 관리 파일(416)은, 진열 에어리어의 정보를 관리하는 파일이다. 에어리어 관리 파일(416)에 등록되는 정보는, 점포에 의해 임의로 설정 가능하다. 도 6은, 에어리어 관리 파일(416)의 데이터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에어리어 관리 파일(416)은, 에어리어에 대응지어, 상품 코드, 표시 장치 코드를 기억한다. 또한, 에어리어 관리 파일(416)은, 표시 장치 코드에 대응지어, 표시 장치의 설치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를 기억해도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에어리어는 상품을 진열하는 진열 에어리어를 식별하는 정보이고, 상품 코드는 상품을 식별하는 정보이다. 표시 장치 코드는, 판매장 내에 설치된 표시 장치(5)를 식별하는 정보이다.
도 8은, 판매장의 진열 에어리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 예에서는, 판매장에는 1-1에서 4-4까지의 16의 진열 에어리어가 형성되어 있다. 도 6의 에어리어 관리 파일(416)의 예의 경우, 1-1의 진열 에어리어에는, 상품 코드 000001 및 상품 코드 000002의 상품이 진열되어 있게 된다. 마찬가지로, 1-2의 진열 에어리어에는, 상품 코드 000003 및 상품 코드 000004의 상품이 진열되어 있게 된다. 또한, 에어리어 관리 파일(416)은, 하나의 에어리어에 3 이상의 상품 코드가 대응지어져 있어도 된다. 또한, 에어리어 관리 파일(416)은, 복수의 진열 에어리어에 하나의 상품 코드가 대응지어져 있어도 된다.
또한, 도 6의 에어리어 관리 파일(416)의 예의 경우, 1-1의 진열 에어리어 및 1-2의 진열 에어리어에 코드 01의 표시 장치(5)가 대응지어져 있다. 이것은, 코드 01의 표시 장치(5)가 1-1의 진열 에어리어 및 1-2의 진열 에어리어에 위치하는 고객 C에 대하여 정보를 표시하는 것인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코드 01의 표시 장치(5)는, 인접하는 1-1의 진열 에어리어와 1-2의 진열 에어리어를 걸친 위치에 설치되지만, 그 설치 위치는 상관없는 것으로 한다. 또한, 에어리어 관리 파일(416)은, 하나의 진열 에어리어에 복수의 표시 장치 코드가 대응지어져 있어도 된다.
비콘 관리 파일(417)은, 판매장 내에 배치되는 비콘 장치와 진열 에어리어의 대응 관계를 관리하는 파일이다. 도 7은, 비콘 관리 파일(417)의 데이터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비콘 관리 파일(417)은, 비콘 ID와 에어리어를 대응지어 기억한다.
비콘 ID는, 비콘 장치를 식별하는 정보이다. 에어리어는, 비콘이 설치된 진열 에어리어를 식별하는 정보이다. 비콘 ID는, 하나의 진열 에어리어에 복수 대응지어져 있어도 된다. 서버 장치(4)는, 단말 장치(6)가 근거리 무선 통신으로 비콘 장치로부터 수신한 비콘 ID를 당해 단말 장치(6)로부터 수신함으로써, 당해 단말 장치(6)의 위치를 인식할 수 있다. 서버 장치(4)는, 단말 장치(6)의 위치를 인식함으로써, 당해 단말 장치(6)를 소지하는 고객 C가 위치하는 진열 에어리어를 인식할 수 있다.
도 2로 돌아가 서버 장치(4)의 하드웨어에 대하여 설명한다.
표시부(42)는, 예를 들어 액정 패널로 구성되어 있고, 각종 정보를 표시한다. 표시부(42)는, 예를 들어 상품 마스터(412), 고객 마스터(413), 쿠폰 마스터(414), 고객 정보 관리 파일(415), 에어리어 관리 파일(416) 및 비콘 관리 파일(417)에 기억된 정보 등을 필요에 따라 표시한다.
조작부(43)는, 제어부(40)에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것이고, 키보드, 터치 패널, 마우스 등으로 구성된다.
통신부(44)는, 회계 장치(2), 표시 장치(5), 단말 장치(6) 등의 외부 장치와 통신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이다. 제어부(40)는, 통신부(44)를 통해 외부 장치와 접속됨으로써, 외부 장치와 정보(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해진다.
계속해서, 서버 장치(4)의 제어부(40)의 주된 기능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9는, 서버 장치(4)의 제어부(40)의 주된 기능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제어부(40)는, CPU(401)가 ROM(402)이나 메모리부(41)에 기억된 제어 프로그램에 따라 동작함으로써, 수신부(4001), 정보 관리부(4002), 특정부(4003) 및 송신부(4004)로서 기능한다. 또한, 이들 각 기능을 전용 회로 등의 하드웨어로 구성해도 된다.
수신부(4001)는, 회계 장치(2)로부터 거래 정보를 수신한다. 거래 정보에는, 거래에서 이용된 쿠폰의 쿠폰 코드가 포함된다. 또한, 거래 정보에는, 거래에 있어서 발행된 쿠폰의 쿠폰 정보가 포함된다. 수신부(4001)는, 도시하지 않은 쿠폰 서버로부터 회원 ID와 당해 회원 ID의 고객 C에 대하여 발행한 쿠폰의 쿠폰 코드를 수신한다.
수신부(4001)는, 단말 장치(6)로부터 회원 ID 및 비콘 ID를 수신한다. 수신부(4001)는, 고객을 식별하는 고객 식별 정보와, 당해 고객의 위치를 나타내는 고객 위치 정보를 취득하는 취득부로서 기능한다.
정보 관리부(4002)는, 메모리부(41)에 기억되는 정보를 관리한다. 여기서, 정보를 관리한다는 것은, 필요에 따라 메모리부(41)에 정보를 기억시키는 것, 혹은 메모리부(41)로부터 정보를 읽어내는 것을 말하는 것으로 한다.
정보 관리부(4002)는, 수신부(4001)가 회계 장치(2)로부터 수신한 거래 정보에 기초하여, 고객 정보 관리 파일(415)을 갱신한다. 구체적으로는, 정보 관리부(4002)는, 거래 정보에 새롭게 발행한 쿠폰의 쿠폰 코드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당해 거래 정보에 포함되는 회원 ID에 대응지어 당해 쿠폰 코드를 추가한다. 또한, 정보 관리부(4002)는, 거래 정보에 이용된 쿠폰의 쿠폰 코드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당해 거래 정보에 포함되는 회원 ID에 대응지어 기억되어 있는 쿠폰 코드로부터 당해 쿠폰 코드를 소거한다. 또한, 정보 관리부(4002)는, 수신부(4001)가 쿠폰 서버로부터 수신한 회원 ID 및 쿠폰 코드에 기초하여 고객 정보 관리 파일(415)을 갱신한다.
정보 관리부(4002)는, 수신부(4001)가 회원 ID 및 비콘 ID를 수신하면, 고객 정보 관리 파일(415)로부터, 수신부(4001)가 수신한 회원 ID에 대응하는 쿠폰 코드를 읽어낸다. 바꾸어 말하면, 정보 관리부(4002)는, 수신부(4001)가 수신한 회원 ID로 식별되는 고객 C가 이용 가능한 쿠폰을 선정한다. 정보 관리부(4002)는, 고객 C가 이용 가능한 쿠폰을 선정하는 선정부로서 기능한다. 또한, 정보 관리부(4002)는, 쿠폰 마스터(414)를 참조하여, 고객 정보 관리 파일(415)로부터 읽어낸 쿠폰 코드에 대응하는 상품 코드를 선정한다.
특정부(4003)는, 수신부(4001)가 수신한 비콘 ID와, 정보 관리부(4002)가 선정한 쿠폰의 대상 상품의 진열 에어리어를 나타내는 에어리어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표시 장치(5) 중, 쿠폰 대상 상품 통지를 행하는 표시 장치(5)를 특정한다. 구체적으로는, 먼저 특정부(4003)는, 비콘 관리 파일(417)을 참조하여, 수신부(4001)가 수신한 비콘 ID에 대응하는 에어리어 정보를 특정한다. 바꾸어 말하면, 특정부(4003)는, 고객 C가 위치하고 있는 진열 에어리어를 특정한다. 그리고, 특정부(4003)는, 쿠폰 마스터(414)를 참조하여, 특정한 에어리어 정보가, 정보 관리부(4002)가 선정한 쿠폰 코드에 대응하는 에어리어 정보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바꾸어 말하면, 고객 C가 위치하는 진열 에어리어가, 쿠폰 대상 상품을 진열하는 진열 에어리어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특정부(4003)는, 쿠폰 마스터(414)에 있어서, 특정부(4003)가 특정한 에어리어 정보가, 정보 관리부(4002)가 선정한 쿠폰 코드에 대응하는 에어리어 정보에 포함되는 경우, 에어리어 관리 파일(416)을 참조하여, 특정부(4003)가 특정한 에어리어 정보에 대응하는 표시 장치 코드를 특정한다. 바꾸어 말하면, 특정부(4003)는, 고객 C가 위치하는 진열 에어리어가, 쿠폰 대상 상품을 진열하는 진열 에어리어인 경우, 당해 진열 에어리어에 대응하는 표시 장치(5)를 특정한다. 특정부(4003)가 특정한 표시 장치(5)는, 표시 변경 지시의 송신처가 되는 표시 장치(5)이다.
송신부(4004)는, 특정부(4003)가 특정한 표시 장치(5)에 대하여, 표시 변경 지시를 송신한다. 송신부(4004)는, 표시 변경 지시를 출력하는 출력부로서 기능한다. 표시 변경 지시에는, 정보 관리부(4002)가 선정한 상품 코드가 포함된다. 또한, 송신부(4004)는, 단말 장치(6)에 대하여 진동 지시를 송신한다. 진동 지시는, 특정부(4003)에 의해 표시 장치(5)가 특정된 것을 나타내는 정보의 일례이다.
이어서, 표시 장치(5)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0은, 표시 장치(5)의 주된 하드웨어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표시 장치(5)는, 제어부(50)와, 메모리부(51)와, 표시부(52)와, 통신부(53)를 구비하고 있다. 제어부(50), 메모리부(51), 표시부(52), 통신부(53)는, 버스(54) 등을 통해 서로 접속되어 있다.
제어부(50)는, CPU(501), ROM(502), RAM(503)을 구비한 컴퓨터로 구성되어 있다. CPU(501), ROM(502) 및 RAM(503)은, 버스(54)를 통해 서로 접속되어 있다.
CPU(501)는 표시 장치(5)의 전체의 동작을 제어한다. ROM(502)은, CPU(501)의 구동에 사용되는 프로그램 등의 각종 프로그램이나 각종 데이터를 기억한다. RAM(503)은, CPU(501)의 워크 에어리어로서 사용되어, ROM(502)이나 메모리부(51)에 기억된 각종 프로그램이나 각종 데이터를 전개한다. 제어부(50)는, CPU(501)가 ROM(502)이나 메모리부(51)에 기억되어 RAM(503)에 전개된 제어 프로그램에 따라 동작함으로써, 표시 장치(5)의 각종 제어 처리를 실행한다.
또한, RAM(503)은, 상품 코드부(5031)를 구비한다. 상품 코드부(5031)는, 서버 장치(4)로부터 수신한 표시 변경 지시에 포함되는 상품 코드를 기억한다.
메모리부(51)는, HDD나 플래시 메모리 등의 기억 매체로 구성되어 있고, 전원을 차단해도 기억 내용을 유지한다. 메모리부(51)는, 제어 프로그램(511) 및 상품 정보 관리 파일(512)을 기억한다.
제어 프로그램(511)은, 서버 장치(4)로부터 표시 변경 지시를 수신하는 기능, 표시부(52)에 각종 정보를 표시하는 기능 등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등이다.
상품 정보 관리 파일(512)은, 표시 장치(5)가 쿠폰 대상 상품 통지를 행할 때, 표시부(52)에 표시하는 상품 정보를 관리하는 파일이다. 상품 정보 관리 파일(512)에 등록되는 정보는, 표시 장치(5)에 대응지어지는 진열 에어리어에 진열되는 상품에 따라 설정된다. 도 11은, 상품 정보 관리 파일(512)의 데이터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품 정보 관리 파일(512)은, 상품 코드에 대응지어 표시 정보를 기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품 코드는, 상품을 식별하는 상품 식별 정보이다. 표시 정보는, 상품명 및 상품 화상을 포함한다. 또한, 표시 정보는, 가격 등 그밖의 상품 정보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여기서, 표시 장치(5)가 서버 장치(4)로부터 표시 변경 지시를 수신한 경우의 표시부(52)의 표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2는, 표시 장치(5)가 서버 장치(4)로부터 표시 변경 지시를 수신한 경우의 표시부(52)의 표시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표시부(52)에는, 상품명 표시부(521), 상품 화상 표시부(522) 및 통지 표시부(523)가 형성된다.
상품명 표시부(521)는 상품명을 표시한다. 표시되는 상품명은, 표시 장치(5)에 대응하는 진열 에어리어에 위치하는 쿠폰 대상 상품의 명칭이다. 상품 화상 표시부(522)는 상품 화상을 표시한다. 표시되는 상품 화상은, 쿠폰 대상 상품의 화상이며, 사진이나 일러스트 등이다. 표시 장치(5)는, 서버 장치(4)로부터 표시 변경 지시를 수신하면, 상품 정보 관리 파일(512)을 참조하여, 당해 표시 변경 지시에 포함되는 상품 코드에 대응하는 상품명 및 상품 화상을 추출하여 표시부(52)에 표시한다.
통지 표시부(523)는, 표시 장치(5)에 대응하는 진열 에어리어에 위치하는 고객 C에 대하여, 당해 진열 에어리어에 진열되어 있는 상품이 쿠폰 대상 상품인 것을 통지하는 정보를 표시한다. 통지 표시부(523)는, 예를 들어 「가지고 계신 쿠폰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 등의 메시지를 통지한다. 통지 표시부(523)는, 메시지 이외의 정보를 표시해도 되고, 예를 들어 「쿠폰 대상 상품」의 문언만을 표시해도 된다. 표시 장치(5)가 서버 장치(4)로부터 표시 변경 지시를 수신한 경우의 표시 포맷은 미리 정해져 있고, 당해 표시 변경 지시에 포함되는 상품 코드에 따라, 상품명 표시부(521) 및 상품 화상 표시부(522)의 표시가 설정된다.
도 10으로 돌아가 표시 장치(5)의 하드웨어에 대하여 설명한다.
표시부(52)는, 예를 들어 액정 패널로 구성되어 있고, 각종 정보를 표시한다. 예를 들어, 표시부(52)는, 통상 시에는 광고 정보를 표시한다. 또한, 표시부(52)는, 표시 장치(5)가 서버 장치(4)로부터 표시 변경 지시를 수신하면, 도 12에 나타내는 표시 형태로 상품 정보나 메시지 등을 표시한다.
통신부(53)는, 서버 장치(4), 단말 장치(6) 등의 외부 장치와 통신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이다. 제어부(50)는, 통신부(53)를 통해 외부 장치와 접속됨으로써, 외부 장치와 정보(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해진다.
계속해서, 표시 장치(5)의 제어부(50)의 주된 기능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3은, 표시 장치(5)의 제어부(50)의 주된 기능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제어부(50)는, CPU(501)가 ROM(502)이나 메모리부(51)에 기억된 제어 프로그램에 따라 동작함으로써, 수신부(5001), 추출부(5002) 및 표시 제어부(5003)로서 기능한다. 또한, 이들 각 기능을 전용 회로 등의 하드웨어로 구성해도 된다.
수신부(5001)는, 서버 장치(4)로부터 표시 변경 지시를 수신한다. 수신부(5001)가 수신하는 표시 변경 지시에는, 상품 코드가 포함된다.
추출부(5002)는, 상품 정보 관리 파일(512)로부터 표시 정보를 추출한다. 구체적으로는, 추출부(5002)는, 표시 변경 지시에 포함되는 상품 코드에 대응하는 상품명 및 상품 화상을 상품 정보 관리 파일(512)로부터 추출한다.
표시 제어부(5003)는, 수신부(5001)가 표시 변경 지시를 수신한 경우, 표시부(52)의 표시를 전환한다. 예를 들어, 표시 제어부(5003)는, 통상 시에는 광고 정보를 표시부(52)에 표시시키고, 수신부(5001)가 표시 변경 지시를 수신한 경우, 도 12에 나타내는 표시 형태로 상품명, 상품 화상, 메시지 등을 표시부(52)에 표시시킨다.
이어서, 단말 장치(6)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4는, 단말 장치(6)의 주된 하드웨어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단말 장치(6)는, 제어부(60)와, 메모리부(61)와, 표시부(62)와, 조작부(63)와, 촬상부(64)와, 근거리 무선 통신부(65)와, 바이브레이터(66)와, 통신부(67)를 구비하고 있다. 제어부(60), 메모리부(61), 표시부(62), 조작부(63), 촬상부(64), 근거리 무선 통신부(65), 바이브레이터(66) 및 통신부(67)는, 버스(68) 등을 통해 서로 접속되어 있다.
제어부(60)는, CPU(601), ROM(602), RAM(603)을 구비한 컴퓨터로 구성되어 있다. CPU(601), ROM(602) 및 RAM(603)은, 버스(68)를 통해 서로 접속되어 있다.
CPU(601)는 단말 장치(6)의 전체의 동작을 제어한다. ROM(602)은, CPU(601)의 구동에 사용되는 프로그램 등의 각종 프로그램이나 각종 데이터를 기억한다. RAM(603)은, CPU(601)의 워크 에어리어로서 사용되어, ROM(602)이나 메모리부(61)에 기억된 각종 프로그램이나 각종 데이터를 전개한다. 제어부(60)는, CPU(601)가 ROM(602)이나 메모리부(61)에 기억되어 RAM(603)에 전개된 제어 프로그램에 따라 동작함으로써, 단말 장치(6)의 각종 제어 처리를 실행한다.
또한, RAM(603)은, 상품 정보부(6031)를 구비한다. 상품 정보부(6031)는, 촬상부(64)가 상품 바코드를 촬상한 상품의 상품 정보를 기억한다. 상품 정보부(6031)에 기억되는 상품 정보는, 상품 코드, 상품명, 가격, 개수, 이용된 쿠폰의 쿠폰 코드 등의 정보를 포함한다. 상품 정보부(6031)에 상품 정보가 기억됨으로써 상품 등록이 실행된다.
메모리부(61)는, HDD나 플래시 메모리 등의 기억 매체로 구성되어 있고, 전원을 차단해도 기억 내용을 유지한다. 메모리부(61)는, 제어 프로그램(611), 상품 마스터(612) 및 회원 ID 파일(613)을 기억한다.
제어 프로그램(611)은, 상품 등록을 실행하는 기능, 상품 정보부(6031)에 기억된 상품 정보 및 회원 ID 파일(613)에 기억된 회원 ID를 대응지어 회계 정보로서 회계 장치(2)로 송신하는 기능, 서버 장치(4)로부터 수신한 진동 지시에 기초하여 바이브레이터(66)를 구동시키는 기능 등을 실현하기 위한 쇼핑 애플리케이션 등이다.
상품 마스터(612)는, 서버 장치(4)로부터 수신한 상품 마스터이다. 상품 마스터(612)는, 서버 장치(4)의 상품 마스터(412)와 마찬가지이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회원 ID 파일(613)은, 단말 장치(6)의 소유자의 회원 ID를 기억한다.
표시부(62)는, 예를 들어 액정 패널로 구성되어 있고, 각종 정보를 표시한다. 예를 들어, 표시부(62)는, 상품 등록된 상품의 상품 정보를 표시한다. 또한, 표시부(62)는, 상품 바코드가 부착되어 있지 않은 상품을 상품 등록하기 위한 등록 화면 등을 표시한다.
조작부(63)는, 제어부(60)에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것이고, 표시부(62)의 표면에 마련되는 터치 패널 등으로 구성된다. 예를 들어, 조작부(63)는, 상품 바코드가 부착되어 있지 않은 상품의 상품 코드를 제어부(60)에 입력한다.
촬상부(64)는, 예를 들어 상품 바코드를 촬상한다. 촬상부(64)는, 상품 바코드의 촬상 데이터를 제어부(60)에 입력한다.
근거리 무선 통신부(65)는, 근거리 무선 통신에 의해 점내에 배치된 비콘 장치와 통신을 실행한다. 근거리 무선 통신부(65)는, 비콘 장치가 정기적으로 발신하는 비콘 ID를 수신한다.
바이브레이터(66)는 진동을 발생시킨다. 바이브레이터(66)는, 제어부(60)의 제어에 의해 동작을 개시하여, 소정 시간 혹은 조작부(63)에 정지 지시가 입력될 때까지 진동을 발생시킨다.
통신부(67)는, 회계 장치(2), 서버 장치(4), 표시 장치(5) 등의 외부 장치와 통신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이다. 제어부(60)는, 통신부(67)를 통해 외부 장치와 접속됨으로써, 외부 장치와 정보(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해진다.
계속해서, 단말 장치(6)의 제어부(60)의 주된 기능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5는, 단말 장치(6)의 제어부(60)의 주된 기능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제어부(60)는, CPU(601)가 ROM(602)이나 메모리부(61)에 기억된 제어 프로그램에 따라 동작함으로써, 입력부(6001), 등록부(6002), 수신부(6003) 및 송신부(6004)로서 기능한다. 또한, 이들 각 기능을 전용 회로 등의 하드웨어로 구성해도 된다.
입력부(6001)에는, 조작부(63)나 촬상부(64)로부터 각종 정보가 입력된다. 예를 들어, 입력부(6001)에는, 조작부(63)로부터 거래 개시 지시, 회계 지시 및 상품 코드 등이 입력된다. 또한, 입력부(6001)에는, 촬상부(64)로부터 상품 바코드의 촬상 데이터 등이 입력된다.
등록부(6002)는 상품 등록을 실행한다. 구체적으로는, 등록부(6002)는, 입력부(6001)에 입력된 상품 바코드의 촬상 데이터를 해석하여 상품 코드를 판독한다. 등록부(6002)는, 판독한 상품 코드에 대응지어진 상품명이나 가격 등의 상품 정보를 상품 마스터(612)로부터 읽어낸다. 그리고, 등록부(6002)는, 읽어낸 상품 정보를 상품 정보부(6031)에 등록한다.
또한, 등록부(6002)는, 상품 코드를 판독했을 때, 상품 마스터(412)를 저장한 서버 장치(4)에 대하여 당해 상품 코드에 기초하는 상품 정보의 문의를 출력하고, 서버 장치(4)로부터 상품 정보를 취득하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 메모리부(61)는 상품 마스터(612)를 기억하고 있지 않아도 된다.
수신부(6003)는, 비콘 장치로부터 비콘 ID를 수신한다. 또한, 수신부(6003)는, 서버 장치(4)로부터 진동 지시를 수신한다.
송신부(6004)는, 입력부(6001)에 회계 지시가 입력되면, 회계 정보를 회계 장치(2)로 송신한다. 또한, 송신부(6004)는, 수신부(6003)가 비콘 ID를 수신하면, 당해 비콘 ID와 회원 ID 파일(613)에 기억된 회원 ID를 대응지어, 서버 장치(4)로 송신한다.
상기 구성에 기초하는 점포 시스템(1)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6은, 점포 시스템(1)의 동작의 흐름을 나타내는 시퀀스 차트이다. 먼저, 표시 장치(5)의 표시 전환에 관한 동작(표시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여기서는, 고객 C의 판매장 내의 이동에 따라 표시 장치(5)의 표시가 전환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고객 C가 쇼핑을 하는 데 있어서, 단말 장치(6)는 쇼핑 애플리케이션을 기동한다(스텝 S1). 예를 들어, 단말 장치(6)는, 매장에 나타난 입점 확인용 이차원 코드를 촬상함으로써, 쇼핑 애플리케이션을 기동시킨다. 고객 C가 판매장 내(진열 지역)를 이동하면, 단말 장치(6)는, 각 진열 에어리어에 설치된 비콘 장치의 어느 것으로부터 비콘 ID를 수신한다(스텝 S2). 단말 장치(6)는, 가장 가깝게 위치하는 비콘 장치로부터 당해 비콘 장치를 특정하는 비콘 ID를 수신한다. 단말 장치(6)는, 자장치가 보유하고 있는 회원 ID와 수신한 비콘 ID를 대응지어 서버 장치(4)로 송신한다(스텝 S3).
서버 장치(4)는, 수신한 회원 ID 및 비콘 ID를 사용하여 표시 장치 선택 처리를 실행한다(스텝 S4). 표시 장치 선택 처리는, 표시 내용을 변경하여 쿠폰 대상 상품 통지를 행하는 표시 장치(5)를 선택하기 위한 처리이다. 바꿔 말하면, 표시 장치 선택 처리는, 표시 변경 지시의 출력처를 선택하는 처리이다. 표시 장치 선택 처리의 상세는 후술한다.
서버 장치(4)는, 표시 장치 선택 처리에 의해 선택된 표시 장치(5)에 대하여, 표시 변경 지시를 송신한다(스텝 S5). 표시 변경 지시는, 표시 장치 선택 처리에서 특정된 상품 코드를 포함한다. 또한, 서버 장치(4)는, 단말 장치(6)에 대하여 진동 지시를 송신한다(스텝 S6).
표시 장치(5)는, 표시 변경 지시를 수신하면, 표시 전환 처리를 실행한다(스텝 S7). 표시 전환 처리는, 표시 장치(5)에 의한 표시 내용을 전환하기 위한 처리이다. 표시 전환 처리의 상세는 후술한다. 단말 장치(6)는, 진동 지시를 수신하면, 바이브레이터(66)를 구동한다(스텝 S8).
이상의 동작에 의해, 쿠폰 대상 상품의 진열 에어리어에 위치하는 고객 C에 대하여, 당해 진열 에어리어에 진열된 상품이 쿠폰 대상 상품인 것을 통지할 수 있다.
계속해서, 점포 시스템(1)에 있어서의 회계 처리에 관한 동작(회계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쇼핑 애플리케이션이 기동한 상태에서, 단말 장치(6)가 상품 바코드를 촬상하면, 단말 장치(6)는, 상품 코드를 판독하여, 상품 등록을 실행한다(스텝 S11). 고객 C가 구입하는 상품 모두에 대하여, 상품 등록이 실행된다. 고객 C가 지불을 행할 때는 단말 장치(6)에 회계 지시가 입력된다(스텝 S12). 단말 장치(6)는, 회계 지시가 입력되면, 회계 정보를 회계 장치(2)로 송신한다(스텝 S13). 이때, 단말 장치(6)는, 상품 정보부(6031)에 등록되어 있는 등록 정보를 클리어한다.
회계 장치(2)는, 수신한 회계 정보에 기초하여 회계 처리를 실행한다(스텝 S14). 회계 처리는, 고객 C가 구입 대금의 지불을 행하기 위한 처리이고, 현금 결제, 캐시리스 결제 등에 관한 처리이다. 회계 장치(2)는, 회계 처리가 완료되면, 필요에 따라 쿠폰을 발행한다(스텝 S15). 예를 들어, 회계 장치(2)는, 발행하는 영수증의 일부로서, 혹은 영수증과는 별도로 종이 쿠폰을 발행한다. 회계 장치(2)는, 거래 정보를 서버 장치(4)로 송신한다(스텝 S16). 거래 정보는, 거래를 행한 회원의 회원 ID, 거래에서 이용된 쿠폰의 쿠폰 코드, 발행된 종이 쿠폰의 쿠폰 코드 등을 포함한다.
서버 장치(4)는, 수신한 거래 정보에 기초하여, 고객 정보 관리 파일(415)을 갱신한다(스텝 S17). 서버 장치(4)는, 수신한 회원 ID에 대응하는 쿠폰 코드를 재기입함으로써, 고객 정보 관리 파일(415)을 갱신한다.
이상의 동작에 의해, 고객 C는 단말 장치(6)를 사용하여 쇼핑을 행할 수 있음과 함께, 서버 장치(4)는 고객 C가 이용 가능한 쿠폰을 관리할 수 있다. 서버 장치(4)는, 고객 C가 이용 가능한 쿠폰을 관리함으로써, 표시 장치(5)나 단말 장치(6)를 사용하여 적절하게 쿠폰 대상 상품 통지를 행할 수 있다.
이어서, 서버 장치(4)가 실행하는 표시 장치 선택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7은, 서버 장치(4)의 제어부(40)에 의한 표시 장치 선택 처리의 흐름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제어부(40)는, 수신부(4001)가 단말 장치(6)로부터 회원 ID와 비콘 ID를 수신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스텝 S21), 수신하고 있지 않으면(스텝 S21의 N), 스텝 S21의 처리로 복귀되어 대기한다.
수신부(4001)가 회원 ID와 비콘 ID를 수신하면(스텝 S21의 Y), 특정부(4003)는, 고객 C가 존재하는 에어리어를 특정한다(스텝 S22). 구체적으로는, 특정부(4003)는, 비콘 관리 파일(417)을 참조하여, 수신부(4001)가 수신한 비콘 ID에 대응하는 에어리어 정보를 특정한다.
정보 관리부(4002)는, 수신부(4001)가 수신한 회원 ID의 고객 C가 이용 가능한 쿠폰 코드를 읽어낸다(스텝 S23). 구체적으로는, 정보 관리부(4002)는, 고객 정보 관리 파일(415)로부터, 수신부(4001)가 수신한 회원 ID에 대응하는 쿠폰 코드를 읽어낸다.
이어서, 특정부(4003)는, 고객 C가 위치하는 진열 에어리어에 쿠폰 대상 상품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24). 구체적으로는, 특정부(4003)는, 쿠폰 마스터(414)를 참조하여, 스텝 S22에서 특정된 에어리어 정보가, 스텝 S23에서 읽어내진 쿠폰 코드에 대응하는 에어리어 정보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고객 C가 위치하는 진열 에어리어에 쿠폰 대상 상품이 없는 경우(스텝 S24의 N), 제어부(40)는, 스텝 S21의 처리로 복귀된다. 고객 C가 위치하는 진열 에어리어에 쿠폰 대상 상품이 있는 경우(스텝 S24의 Y), 특정부(4003)는, 쿠폰 대상 상품의 상품 코드를 특정한다(스텝 S25). 구체적으로는, 특정부(4003)는, 쿠폰 마스터(414)를 참조하여, 스텝 S23에서 읽어내진 쿠폰 코드에 대응하는 상품 코드를 특정한다. 계속해서, 특정부(4003)는, 표시 변경 지시의 출력처가 되는 표시 장치(5)를 특정한다(스텝 S26). 구체적으로는, 특정부(4003)는, 에어리어 관리 파일(416)을 참조하여, 스텝 S22에서 특정된 에어리어 정보에 대응하는 표시 장치 코드를 특정한다.
송신부(4004)는, 스텝 S26에서 특정된 표시 장치(5)로 표시 변경 지시를 송신함과 함께, 단말 장치(6)로 진동 지시를 송신한다(스텝 S27). 그리고, 제어부(40)는, 스텝 S21의 처리로 복귀된다. 또한, 스텝 S27의 처리는, 도 16의 시퀀스 차트에 있어서의 스텝 S5 및 스텝 S6의 처리에 상당한다.
상기 표시 장치 선택 처리에 의해, 서버 장치(4)는, 고객 C가 위치하는 진열 에어리어에 쿠폰 대상 상품이 있는 경우, 당해 진열 에어리어에 대응하는 표시 장치(5)로 표시 변경 지시를 송신할 수 있다. 표시 변경 지시를 수신한 표시 장치(5)는, 상기 진열 에어리어에 있는 고객 C에 대하여 쿠폰 대상 상품 통지를 행할 수 있다.
이어서, 표시 장치(5)가 실행하는 표시 전환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8은, 표시 장치(5)의 제어부(50)에 의한 표시 전환 처리의 흐름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표시 제어부(5003)는, 통상 시에는 광고 정보를 표시부(52)에 표시시킨다(스텝 S31). 이어서, 제어부(50)는, 수신부(5001)가 서버 장치(4)로부터 표시 변경 지시를 수신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스텝 S32), 수신하고 있지 않으면(스텝 S32의 N), 스텝 S31의 처리로 복귀된다.
수신부(5001)가 서버 장치(4)로부터 표시 변경 지시를 수신하면(스텝 S32의 Y), 제어부(50)는, 표시 변경 지시에 포함되는 상품 코드를 상품 코드부(5031)에 기억시킨다(스텝 S33). 표시 제어부(5003)는, 상품 코드부(5031)에 기억된 상품 코드에 기초하여 상품의 정보를 표시부(52)에 표시시킨다(스텝 S34). 구체적으로는, 표시 제어부(5003)는, 상품 코드부(5031)에 기억된 상품 코드에 대응하는 상품명 및 상품 화상을 상품 정보 관리 파일(512)로부터 읽어낸다. 그리고, 표시 제어부(5003)는, 읽어낸 상품명 및 상품 화상을 도 12에 나타내는 표시 형태로 표시부(52)에 표시시킨다. 이 표시에 의해, 고객 C에 대하여 쿠폰 대상 상품 통지가 이루어진다.
계속해서, 제어부(50)는, 소정 시간 경과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35). 소정 시간 경과하고 있지 않으면(스텝 S35의 N), 제어부(50)는, 수신부(5001)가 다른 표시 변경 지시를 수신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36). 다른 표시 변경 지시란, 스텝 S32의 처리에서 수신했다고 판단된 표시 변경 처리에 포함되는 상품 코드와 다른 상품 코드를 포함하는 표시 변경 지시를 말한다. 바꾸어 말하면, 스텝 S36의 처리에 있어서, 제어부(50)는, 표시부(52)에 정보를 표시 중인 상품과는 다른 쿠폰 대상 상품에 대한 표시 변경 지시를 수신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수신부(5001)가 다른 표시 변경 지시를 수신하면(스텝 S36의 Y), 제어부(50)는, 당해 표시 변경 지시에 포함되는 상품 코드를 상품 코드부(5031)에 기억시키고(스텝 S37), 스텝 S35의 처리로 복귀된다. 수신부(5001)가 다른 표시 변경 지시를 수신하고 있지 않은 경우(스텝 S36의 N), 제어부(50)는, 스텝 S37의 처리를 스킵하고 스텝 S35의 처리로 복귀된다.
스텝 S35의 처리에 있어서, 소정 시간 경과하면(스텝 S35의 Y), 제어부(50)는, 그때까지 정보를 표시하고 있던 쿠폰 대상 상품의 상품 코드를 상품 코드부(5031)로부터 소거한다(스텝 S38). 그리고, 제어부(50)는, 상품 코드부(5031)에 다른 상품 코드가 기억되어 있지 않은지 판단한다(스텝 S39). 제어부(50)는, 상품 코드부(5031)에 다른 상품 코드가 기억되어 있지 않으면(스텝 S39의 Y), 스텝 S31의 처리로 복귀된다. 제어부(50)는, 상품 코드부(5031)에 다른 상품 코드가 기억되어 있으면(스텝 S39의 N), 스텝 S34의 처리로 복귀된다. 그리고, 표시 제어부(5003)는, 상품 코드부(5031)에 기억되어 있는 상품 코드에 기초하여 상품의 정보를 표시부(52)에 표시시킨다.
상기 표시 전환 처리에 의해, 표시 장치(5)는, 표시 변경 지시를 수신하면 당해 표시 변경 지시에 포함되는 상품 코드의 상품이 쿠폰 대상 상품인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표시하여, 쿠폰 대상 상품 통지를 행할 수 있다. 또한, 표시 장치(5)는, 쿠폰 대상 상품 통지 중에 당해 쿠폰 대상 상품 통지에 관한 상품과는 다른 상품에 대한 표시 변경 지시를 수신한 경우, 당해 쿠폰 대상 상품 통지 후에 다른 상품에 대하여 쿠폰 대상 상품 통지를 행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실시 형태의 서버 장치(4)는, 상품을 진열하는 진열 에어리어에 대응지어 점포 내에 마련된 복수의 표시 장치(5)와 통신 가능한 것이며, 고객 C를 식별하는 회원 ID와, 당해 고객 C의 위치를 나타내는 비콘 ID를 취득하는 수신부(4001)와, 수신부(4001)에 의해 취득된 회원 ID로 식별되는 고객 C가 이용 가능한 쿠폰을 선정하는 정보 관리부(4002)와, 수신부(4001)에 의해 취득된 비콘 ID와, 정보 관리부(4002)에 의해 선정된 쿠폰의 대상 상품의 진열 에어리어를 나타내는 에어리어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표시 장치(5) 중 표시 내용을 변경하는 표시 장치를 특정하는 특정부(4003)를 구비한다.
이에 의해, 서버 장치(4)는, 고객 C가 위치하는 진열 에어리어에 쿠폰 대상 상품이 있는 경우, 당해 진열 에어리어의 고객 C에 대하여 표시를 행하는 표시 장치(5)로 표시 변경 지시를 송신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제1 실시 형태의 서버 장치(4)는, 특정부(4003)가 특정한 표시 장치(5)에 대하여, 표시 내용의 변경을 지시하는 표시 변경 지시를 출력하는 송신부(4004)를 더 구비한다.
이에 의해, 서버 장치(4)는, 표시 장치(5)에 표시 변경 지시를 출력함으로써, 당해 표시 장치(5)에 쿠폰 대상 상품 통지를 행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제1 실시 형태의 서버 장치(4)에 있어서, 수신부(4001)는, 고객과 함께 이동하는 단말 장치(6)로부터 회원 ID 및 비콘 ID를 취득하고, 송신부(4004)는, 단말 장치(6)에 대하여, 특정부(4003)에 의해 표시 장치(5)가 특정된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출력한다.
이에 의해, 단말 장치(6)는 진동을 발생시키거나 하여 쿠폰 대상 상품 통지를 행할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서버 장치(4)는, 단말 장치(6)에 대하여, 특정부(4003)에 의해 표시 장치(5)가 특정된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출력함으로써, 단말 장치(6)에 쿠폰 대상 상품 통지를 행하게 할 수 있다.
(제2 실시 형태)
이어서, 제2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2 실시 형태에서는, 표시 장치(5)가 단말 장치(6)로부터 쿠폰 코드를 수신하고, 이 수신한 쿠폰 코드에 기초하여 표시 전환 처리를 실행하는 점에 있어서 제1 실시 형태와 다르다. 이하,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구성, 기능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는 경우가 있다. 이하의 설명이 불필요하게 용장해지는 것을 피하여, 당업자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이다.
도 19는, 표시 장치(5)의 주된 하드웨어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표시 장치(5)는, 제어부(50), 메모리부(51), 표시부(52), 통신부(53)에 더하여, 사람 감지 센서(55) 및 근거리 무선 통신부(56)를 구비하고 있다. 사람 감지 센서(55) 및 근거리 무선 통신부(56)는, 버스(54) 등을 통해 다른 하드웨어에 접속되어 있다.
메모리부(51)는, 제어 프로그램(511) 및 상품 정보 관리 파일(512)에 더하여, 쿠폰 대상 관리 파일(513)을 기억한다.
쿠폰 대상 관리 파일(513)은, 쿠폰 코드와 상품 코드를 대응지은 쿠폰 대상 정보를 관리하는 파일이다. 쿠폰 대상 관리 파일(513)에 등록되는 정보는, 표시 장치(5)에 대응지어지는 진열 에어리어에 진열되는 상품에 따라 설정된다. 도 20은, 쿠폰 대상 관리 파일(513)의 데이터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쿠폰 대상 관리 파일(513)은, 쿠폰 코드와 상품 코드를 대응지어 기억한다.
쿠폰 코드는, 표시 장치(5)에 대응하는 진열 에어리어에 진열되는 상품에 관한 쿠폰을 특정하는 정보이다. 상품 코드는, 쿠폰의 대상이 되는 상품의 상품 코드이다.
사람 감지 센서(55)는, 자장치로부터 소정 범위 내에 위치하는 사람(고객 C)을 검출하면, 제어부(50)에 검출 신호를 입력한다. 사람 감지 센서(55)에는, 예를 들어 적외선을 사용한 것 등 주지의 센서가 채용된다. 사람 감지 센서(55)가 고객 C를 검출 가능한 범위는, 근거리 무선 통신부(56)가 단말 장치(6)와 통신 가능한 범위로 설정된다.
근거리 무선 통신부(56)는, 근거리 무선 통신에 의해 단말 장치(6)와의 통신을 실행한다. 근거리 무선 통신부(56)는, 사람 감지 센서(55)가 고객 C를 검출하면, 쿠폰 코드 요구를 출력한다. 바꾸어 말하면, 근거리 무선 통신부(56)는, 고객 C가 통신 가능 범위에 위치하면, 당해 고객 C가 소지하는 단말 장치(6)에 대하여 쿠폰 코드 요구를 출력한다. 통신 가능 범위는, 임의로 설정 가능하다. 또한, 근거리 무선 통신부(56)는, 단말 장치(6)로부터 쿠폰 코드를 수신한다.
계속해서, 표시 장치(5)의 제어부(50)의 주된 기능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1은, 표시 장치(5)의 제어부(50)의 주된 기능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제어부(50)는, CPU(501)가 ROM(502)이나 메모리부(51)에 기억된 제어 프로그램에 따라 동작함으로써, 수신부(5001), 표시 제어부(5003), 검출부(5004), 송신부(5005) 및 판정부(5006)로서 기능한다. 또한, 이들 각 기능을 전용 회로 등의 하드웨어로 구성해도 된다.
수신부(5001)는, 쿠폰 대상 관리 파일(513)에 기억되는 쿠폰 대상 정보를 서버 장치(4)로부터 수신한다. 수신부(5001)가 수신하는 쿠폰 대상 정보는, 표시 장치(5)에 대응하는 상품에 관한 쿠폰 대상 정보이다. 수신부(5001)가 서버 장치(4)로부터 수신하는 쿠폰 대상 정보에 포함되는 쿠폰 코드는, 대상 쿠폰 식별 정보의 일례이다.
또한, 수신부(5001)는, 근거리 무선 통신부(56)를 통해 단말 장치(6)로부터 쿠폰 코드를 수신한다. 수신부(5001)는, 자장치로부터 소정 범위 내에 위치하는 단말 장치(6)를 소유하는 고객이 이용 가능한 쿠폰을 식별하는 쿠폰 코드를 취득하는 취득부로서 기능한다. 수신부(5001)가 단말 장치(6)로부터 수신하는 쿠폰 코드는, 취득 쿠폰 식별 정보의 일례이다.
검출부(5004)는, 자장치로부터 소정 범위 내에 있는 고객 C를 검출한다. 검출부(5004)는, 사람 감지 센서(55)로부터의 검출 신호에 기초하여 고객 C를 검출한다.
송신부(5005)는, 검출부(5004)가 고객 C를 검출하면, 근거리 무선 통신에 의해 쿠폰 코드 요구를 출력한다.
판정부(5006)는, 수신부(5001)에 의해 취득된 취득 쿠폰 식별 정보가, 자장치에 대응지어진 상품을 대상으로 하는 대상 쿠폰 식별 정보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구체적으로는, 판정부(5006)는, 수신부(5001)가 단말 장치(6)로부터 수신한 쿠폰 코드가, 쿠폰 대상 관리 파일(513)에 기억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표시 제어부(5003)는, 판정부(5006)의 판정 결과에 따라 표시부(52)의 표시를 전환한다. 예를 들어, 표시 제어부(5003)는, 통상 시에는 광고 정보를 표시부(52)에 표시시키고, 판정부(5006)에 의해 단말 장치(6)로부터 취득한 쿠폰 코드가 쿠폰 대상 관리 파일(513)에 기억되어 있는 경우, 당해 쿠폰 코드에 대응하는 상품이 쿠폰 대상 상품인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표시부(52)에 표시시킨다.
이어서, 단말 장치(6)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2는, 단말 장치(6)의 주된 하드웨어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단말 장치(6)의 메모리부(61)는, 제1 실시 형태의 메모리부(61)에 기억되어 있는 정보 외에, 쿠폰 코드부(614)를 구비하고 있다.
쿠폰 코드부(614)는, 단말 장치(6)를 소유하는 고객 C가 이용 가능한 쿠폰 코드를 기억한다. 쿠폰 코드부(614)에 기억되는 쿠폰 코드는, 서버 장치(4)로부터 수신한다. 단말 장치(6)의 그밖의 하드웨어 구성은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이다.
계속해서, 단말 장치(6)의 제어부(60)의 주된 기능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3은, 단말 장치(6)의 제어부(60)의 주된 기능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제어부(60)는, CPU(601)가 ROM(602)이나 메모리부(61)에 기억된 제어 프로그램에 따라 동작함으로써, 입력부(6001), 등록부(6002), 수신부(6003), 송신부(6004)에 더하여, 데이터 관리부(6005)로서 기능한다. 또한, 이들 각 기능을 전용 회로 등의 하드웨어로 구성해도 된다.
입력부(6001) 및 등록부(6002)의 기능은,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이다.
수신부(6003)는, 서버 장치(4)로부터 쿠폰 코드를 수신한다. 수신하는 쿠폰 코드는, 서버 장치(4)의 고객 정보 관리 파일(415)에 있어서, 회원 ID 파일(613)에 기억된 회원 ID에 대응하는 쿠폰 코드이다. 바꿔 말하면, 수신하는 쿠폰 코드는, 단말 장치(6)를 소유하는 고객 C가 이용 가능한 쿠폰의 쿠폰 코드이다. 또한, 수신부(6003)는, 표시 장치(5)로부터 근거리 무선 통신부(65)를 통해 쿠폰 코드 요구를 수신한다.
송신부(6004)는, 수신부(6003)가 쿠폰 코드 요구를 수신하면, 근거리 무선 통신에 의해 쿠폰 코드를 출력한다.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점포 시스템(1)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4는, 점포 시스템(1)의 동작의 흐름을 나타내는 시퀀스 차트이다. 먼저, 서버 장치(4)에 의한 정보 송신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서버 장치(4)는, 표시 장치(5)로 쿠폰 대상 정보를 송신한다(스텝 S41). 서버 장치(4)는, 표시 장치(5)에 대응하는 상품의 상품 코드와, 당해 상품 코드에 대응하는 쿠폰 코드를 포함하는 쿠폰 대상 정보를 당해 표시 장치(5)로 송신한다.
예를 들어, 서버 장치(4)는, 코드 01의 표시 장치(5)에 대하여, 이하와 같이 하여 쿠폰 대상 정보를 송신한다. 서버 장치(4)는, 에어리어 관리 파일(416)로부터 코드 01에 대응하는 에어리어 정보 1-1, 1-2를 추출한다. 이어서, 서버 장치(4)는, 쿠폰 마스터(414)로부터 에어리어 정보 1-1, 1-2에 대응하는 모든 쿠폰 코드와 당해 쿠폰 코드에 대응하는 상품 코드를 포함하는 쿠폰 대상 정보를 추출한다. 그리고, 서버 장치(4)는, 추출한 쿠폰 대상 정보를 코드 01의 표시 장치(5)로 송신한다. 서버 장치(4)는, 다른 표시 장치(5)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쿠폰 대상 정보를 송신한다. 서버 장치(4)는, 정기적으로, 혹은 진열 에어리어에 진열되는 상품에 변경이 있는 경우에 쿠폰 대상 정보를 각 표시 장치(5)로 송신한다.
표시 장치(5)는, 수신한 쿠폰 대상 정보를 등록한다(스텝 S42). 구체적으로는, 표시 장치(5)는, 수신한 쿠폰 대상 정보를 쿠폰 대상 관리 파일(513)에 등록한다.
또한, 서버 장치(4)는, 단말 장치(6)로 쿠폰 코드를 송신한다(스텝 S43). 서버 장치(4)는, 고객 정보 관리 파일(415)로부터 회원 ID에 대응하는 쿠폰 코드를 추출한다. 서버 장치(4)는, 고객 마스터(413)로부터 상기 회원 ID에 대응하는 통지처를 읽어낸다. 그리고, 서버 장치(4)는, 읽어낸 통지처를 송신처로 하여, 추출한 쿠폰 코드를 송신한다. 서버 장치(4)는, 소정의 타이밍, 예를 들어 단말 장치(6)가 쇼핑 애플리케이션을 기동했을 때 당해 단말 장치(6)로부터 쿠폰 코드 요구를 받은 타이밍에 쿠폰 코드를 단말 장치(6)로 송신한다.
단말 장치(6)는, 수신한 쿠폰 코드를 등록한다(스텝 S44). 구체적으로는, 단말 장치(6)는, 수신한 쿠폰 코드를 쿠폰 코드부(614)에 등록한다.
계속해서, 표시 장치(5)의 표시 전환에 관한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여기서는, 고객 C의 판매장 내의 이동에 따라 표시 장치(5)의 표시가 전환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고객 C가 쇼핑을 하는 데 있어서, 단말 장치(6)는 쇼핑 애플리케이션을 기동한다(스텝 S51). 고객 C가 판매장 내(진열 지역)를 이동하여, 어느 표시 장치(5)로 접근하면, 당해 표시 장치(5)는 고객 C를 검출한다(스텝 S52). 표시 장치(5)는, 근거리 무선 통신에 의해 쿠폰 코드 요구를 출력한다(스텝 S53).
표시 장치(5)에 접근한 고객 C가 소지하는 단말 장치(6)는, 쿠폰 코드 요구를 수신한다. 단말 장치(6)는, 쿠폰 코드부(614)로부터 쿠폰 코드를 읽어낸다(스텝 S54). 단말 장치(6)는, 읽어낸 쿠폰 코드를 근거리 무선 통신에 의해 출력한다(스텝 S55).
표시 장치(5)는, 단말 장치(6)가 출력한 쿠폰 코드를 수신하면 표시 전환 처리를 실행한다(스텝 S56). 표시 전환 처리의 상세는 후술한다.
이상의 동작에 의해, 표시 장치(5)는, 판매장 내를 이동하는 고객 C에 대하여 적절하게 쿠폰 대상 상품 통지를 행할 수 있다.
이어서, 표시 장치(5)가 실행하는 표시 전환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5는, 표시 장치(5)의 제어부(50)에 의한 표시 전환 처리의 흐름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표시 제어부(5003)는, 통상 시에는 광고 정보를 표시부(52)에 표시시킨다(스텝 S61). 이어서, 제어부(50)는, 수신부(5001)가 단말 장치(6)로부터 쿠폰 코드를 수신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스텝 S62), 수신하지 않으면(스텝 S62의 N), 스텝 S61의 처리로 복귀된다.
수신부(5001)가 서버 장치(4)로부터 쿠폰 코드를 수신하면(스텝 S62의 Y), 판정부(5006)는, 수신한 쿠폰 코드가 쿠폰 대상 관리 파일(513)에 등록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63). 등록되어 있지 않으면(스텝 S63의 N), 제어부(50)는, 스텝 S61의 처리로 복귀된다. 이 경우, 제어부(50)는, 자장치의 근처에 있는 고객 C가, 자장치에 대응하는 상품을 대상 상품으로 하는 쿠폰을 보유하고 있지 않다고 판단하여 광고 정보의 표시를 계속시킨다.
수신부(5001)가 수신한 쿠폰 코드가 쿠폰 대상 관리 파일(513)에 등록되어 있으면(스텝 S63의 Y), 제어부(50)는, 수신한 쿠폰 코드에 대응하는 상품 코드를 쿠폰 대상 관리 파일(513)로부터 읽어내어 상품 코드부(5031)에 기억시킨다(스텝 S64). 바꾸어 말하면, 제어부(50)는, 자장치의 근처에 있는 고객 C가 보유하는 쿠폰의 쿠폰 대상 상품의 상품 코드를 상품 코드부(5031)에 기억시킨다.
표시 제어부(5003)는, 상품 코드부(5031)에 기억된 상품 코드에 기초하여 상품의 정보를 표시부(52)에 표시시킨다(스텝 S65). 표시 제어부(5003)는,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하여, 상품의 정보를 도 12에 나타내는 표시 형태로 표시부(52)에 표시시킨다. 이 표시에 의해, 고객 C에 대하여 쿠폰 대상 상품 통지가 이루어진다.
계속해서, 제어부(50)는, 소정 시간 경과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66). 소정 시간 경과하고 있지 않으면(스텝 S66의 N), 제어부(50)는, 수신부(5001)가 다른 쿠폰 코드를 수신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67). 수신하지 않으면(스텝 S67의 N), 제어부(50)는, 스텝 S66의 처리로 복귀된다.
수신부(5001)가 다른 쿠폰 코드를 수신하면(스텝 S67의 Y), 판정부(5006)는, 수신한 쿠폰 코드가 쿠폰 대상 관리 파일(513)에 등록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68). 등록되어 있지 않으면(스텝 S68의 N), 제어부(50)는, 스텝 S66의 처리로 복귀된다. 등록되어 있으면, (스텝 S68의 Y), 제어부(50)는, 수신한 쿠폰 코드에 대응하는 상품 코드를 쿠폰 대상 관리 파일(513)로부터 읽어내어 상품 코드부(5031)에 기억시킨다(스텝 S69). 그리고, 제어부(50)는, 스텝 S66의 처리로 복귀된다.
스텝 S66의 처리에 있어서, 소정 시간 경과하면(스텝 S66의 Y), 제어부(50)는, 그때까지 정보를 표시하고 있던 쿠폰 대상 상품의 상품 코드를 상품 코드부(5031)로부터 소거한다(스텝 S70). 그리고, 제어부(50)는, 상품 코드부(5031)에 다른 상품 코드가 기억되어 있지 않은지 판단한다(스텝 S71). 제어부(50)는, 상품 코드부(5031)에 다른 상품 코드가 기억되어 있지 않으면(스텝 S71의 Y), 스텝 S61의 처리로 복귀된다. 제어부(50)는, 상품 코드부(5031)에 다른 상품 코드가 기억되어 있으면(스텝 S71의 N), 스텝 S65의 처리로 복귀된다. 그리고, 표시 제어부(5003)는, 상품 코드부(5031)에 기억되어 있는 상품 코드에 기초하여 상품의 정보를 표시부(52)에 표시시킨다.
상기 표시 전환 처리에 의해, 표시 장치(5)는, 자장치의 근처에 위치한 단말 장치(6)로부터 수신한 쿠폰 코드에 기초하여, 쿠폰 대상 상품 통지를 행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제2 실시 형태의 표시 장치(5)는, 진열되는 상품에 대응지어 점포 내에 마련된 표시 장치(5)이며, 자장치로부터 소정 범위 내에 위치하는 단말 장치(6)를 소유하는 고객 C가 이용 가능한 쿠폰을 식별하는 쿠폰 코드를 취득하는 수신부(5001)와, 수신부(5001)에 의해 취득된 쿠폰 코드(취득 쿠폰 식별 정보)가, 자장치에 대응지어진 상품을 대상으로 하는 쿠폰 코드(대상 쿠폰 식별 정보)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판정부(5006)와, 판정부(5006)에 의해, 상기 취득 쿠폰 식별 정보가 상기 대상 쿠폰 식별 정보와 일치한다고 판정된 경우, 표시부(52)의 표시를 전환하는 표시 제어부(5003)를 구비한다.
이에 의해, 표시 장치(5)는, 자장치에 가까워진 고객 C가, 자장치에 대응하는 상품을 대상 상품으로 하는 쿠폰을 보유하고 있는 경우, 당해 고객 C에 대하여 쿠폰 대상 상품 통지를 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 실시 형태에 있어서, 서버 장치(4), 표시 장치(5) 및 단말 장치(6)의 각 장치에서 실행되는 제어 프로그램은, CD-ROM 등의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하여 제공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또한, 상기 각 실시 형태의 각 장치에서 실행되는 제어 프로그램을,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에 접속된 컴퓨터상에 저장하고, 네트워크 경유로 다운로드시킴으로써 제공하도록 구성해도 되고, 또는,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 경유로 제공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설명했지만, 이 실시 형태는, 예로서 제시한 것이고,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의도하고 있지 않다. 이 실시 형태는, 그밖의 다양한 형태로 실시되는 것이 가능하고,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생략, 치환, 변경을 행할 수 있다.
3: 표시 시스템
4: 서버 장치(정보 처리 장치)
5: 표시 장치
6: 단말 장치
52: 표시부
4001: 수신부(취득부)
4002: 정보 관리부(선정부)
4003: 특정부
4004: 송신부(출력부)
5001: 수신부
5003: 표시 제어부
5006: 판정부

Claims (6)

  1. 상품을 진열하는 진열 에어리어마다 대응지어 점포 내에 마련된 복수의 표시 장치와 통신 가능한 정보 처리 장치이며,
    고객을 식별하는 고객 식별 정보와, 당해 고객의 위치를 나타내는 고객 위치 정보를 취득하는 취득부와,
    상기 취득부에 의해 취득된 상기 고객 식별 정보로 식별되는 고객이 이용 가능한 쿠폰을 선정하는 선정부와,
    상기 취득부에 의해 취득된 고객 위치 정보와, 상기 선정부에 의해 선정된 쿠폰의 대상 상품의 진열 에어리어를 나타내는 에어리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표시 장치 중, 대응하는 진열 에어리어의 상품이 쿠폰 대상 상품인 것을 표시하는 표시 장치를 특정하는 특정부
    를 구비하는, 정보 처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부가 특정한 표시 장치에 대하여, 표시 내용의 변경을 지시하는 표시 변경 지시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더 구비하는,
    정보 처리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취득부는, 고객과 함께 이동하는 단말 장치로부터 상기 고객 식별 정보 및 상기 고객 위치 정보를 취득하고,
    상기 출력부는, 상기 단말 장치에 대하여, 상기 특정부에 의해 상기 표시 장치가 특정된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출력하는,
    정보 처리 장치.
  4. 상품을 진열하는 진열 에어리어마다 대응지어 점포 내에 마련된 복수의 표시 장치와, 당해 복수의 표시 장치와 통신 가능한 정보 처리 장치를 갖는 표시 시스템이며,
    상기 정보 처리 장치는,
    고객을 식별하는 고객 식별 정보와, 당해 고객의 위치를 나타내는 고객 위치 정보를 취득하는 취득부와,
    상기 취득부에 의해 취득된 상기 고객 식별 정보로 식별되는 고객이 이용 가능한 쿠폰을 선정하는 선정부와,
    상기 취득부에 의해 취득된 고객 위치 정보와, 상기 선정부에 의해 선정된 쿠폰의 대상 상품의 진열 에어리어를 나타내는 에어리어 정보에 기초하여, 표시 내용을 변경하는 표시 장치를 특정하는 특정부와,
    상기 특정부가 특정한 표시 장치에 대하여, 표시 내용의 변경을 지시하는 표시 변경 지시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구비하고,
    상기 표시 장치는,
    상기 정보 처리 장치로부터 상기 표시 변경 지시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수신부가 상기 표시 변경 지시를 수신한 경우에 표시부의 표시를 전환하는 표시 제어부
    를 구비하는, 표시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수신부가 상품을 식별하는 상품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표시 변경 지시를 수신하면, 당해 상품 식별 정보로 식별되는 상품이 쿠폰 대상 상품인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표시시키는,
    표시 시스템.
  6. 진열되는 상품에 대응지어 점포 내에 마련된 표시 장치이며,
    자장치로부터 소정 범위 내에 위치하는 단말 장치를 소유하는 고객이 이용 가능한 쿠폰을 식별하는 쿠폰 식별 정보를 취득하는 취득부와,
    상기 취득부에 의해 취득된 취득 쿠폰 식별 정보가, 자장치에 대응지어진 상품을 대상으로 하는 대상 쿠폰 식별 정보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판정부와,
    상기 판정부에 의해, 상기 취득 쿠폰 식별 정보가 상기 대상 쿠폰 식별 정보와 일치한다고 판정된 경우, 표시부의 표시를 전환하는 표시 제어부
    를 구비하는, 표시 장치.
KR1020230048547A 2022-07-20 2023-04-13 정보 처리 장치, 표시 시스템 및 표시 장치 KR2024001227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2115532A JP2024013446A (ja) 2022-07-20 2022-07-20 情報処理装置、表示システム、および表示装置
JPJP-P-2022-115532 2022-07-2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12275A true KR20240012275A (ko) 2024-01-29

Family

ID=866036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48547A KR20240012275A (ko) 2022-07-20 2023-04-13 정보 처리 장치, 표시 시스템 및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40029120A1 (ko)
EP (1) EP4310762A1 (ko)
JP (1) JP2024013446A (ko)
KR (1) KR20240012275A (ko)
CN (1) CN117436964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65187A1 (ja) 2015-10-15 2017-04-20 三井物産株式会社 情報表示端末装置及び商品情報提供システム並びに商品販売促進方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02636A (en) * 1992-01-31 1996-03-26 R.R. Donnelley & Sons Company Personalized coupon generating and processing system
JP2002236853A (ja) * 2001-02-08 2002-08-23 Hitachi Ltd 電子広告の掲載料金算出方法及びそのシステム
US9524502B2 (en) * 2007-06-20 2016-12-20 Qualcomm Incorporated Management of dynamic electronic coupons
JP2021149539A (ja) * 2020-03-19 2021-09-27 ネレウス株式会社 クーポン券発行システム
JP6919143B1 (ja) * 2020-05-18 2021-08-18 楽天グループ株式会社 端末装置、報酬付与システム、報酬要求方法、ならびに、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65187A1 (ja) 2015-10-15 2017-04-20 三井物産株式会社 情報表示端末装置及び商品情報提供システム並びに商品販売促進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7436964A (zh) 2024-01-23
JP2024013446A (ja) 2024-02-01
EP4310762A1 (en) 2024-01-24
US20240029120A1 (en) 2024-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29405B2 (en) Merchandise sales data processing apparatus, and program therefor
JP6243261B2 (ja) 買物支援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12185664A (ja) 携帯通信端末、及びプログラム
US20170293965A1 (en) Shopping support device and shopping support method
US20180068369A1 (en) Shopping support device and shopping support method
JP7448074B2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およ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US20150348005A1 (en) System for wirelessly transmitting transaction data to a mobile computing device of a user
US20210406863A1 (en) Sales data processing apparatus
JP2021096620A (ja) 販促システム
JP2024028307A (ja) チェックアウトシステム
JP2022141481A (ja) 情報処理装置、プログラム及び情報処理システム
JP2021144765A (ja) 携帯端末及びプログラム
JP6737058B2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6223118B2 (ja) 買物支援システム
KR20240012275A (ko) 정보 처리 장치, 표시 시스템 및 표시 장치
KR20200000606A (ko) 배달 주문 처리 방법 및 그를 수행하기 위한 결제 단말 장치
JP6006385B2 (ja) サーバ
JP7445286B2 (ja) 商品販売データ処理システム、商品登録処理方法、携帯端末及びプログラム
JP5792863B2 (ja) 携帯通信端末、及びプログラム
JP2015082249A (ja) タグ発行装置、情報処理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JP7461261B2 (ja) 棚卸しシステム、データ処理装置及びその制御プログラム
JP7428755B1 (ja) サーバ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12181760A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JP6329222B2 (ja) サーバ
JP2023024001A (ja) 店舗端末装置、情報出力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