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11511A - 조리기기 - Google Patents

조리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11511A
KR20240011511A KR1020220089026A KR20220089026A KR20240011511A KR 20240011511 A KR20240011511 A KR 20240011511A KR 1020220089026 A KR1020220089026 A KR 1020220089026A KR 20220089026 A KR20220089026 A KR 20220089026A KR 20240011511 A KR20240011511 A KR 202400115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tion
cooking
disposed
heat source
cooking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890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현기
김대웅
이원진
차현병
조연아
소일섭
육지민
이상윤
오민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890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11511A/ko
Priority to PCT/KR2023/008214 priority patent/WO2024019329A1/ko
Publication of KR202400115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1151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12Multiple-unit cooking vessels
    • A47J27/13Tier 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2Construction of cooking-vessels; Methods or processes of manufacturing specially adapted for 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9/00Heat-insulated warming chambers; Cupboards with heating arrangements for warming kitchen utensi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9/00Heat-insulated warming chambers; Cupboards with heating arrangements for warming kitchen utensils
    • A47J39/003Heat-insulated warming chambers; Cupboards with heating arrangements for warming kitchen utensil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9/00Heat-insulated warming chambers; Cupboards with heating arrangements for warming kitchen utensils
    • A47J39/02Dish-warmers; Devices to keep food ho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lectric Stoves And Ran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리기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는 제1전원공급장치(150)가 구비된 제1스테이션(100)이 포함되고, 상기 제1스테이션(100)에는 제1트레이(200A)가 안착될 수 있다. 상기 제1트레이(200A)는 상기 제1전원공급장치(15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되는 제1히터부(280)가 내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스테이션(100)과의 사이에 조리실(S)을 형성하는 제2스테이션(300)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2스테이션(300)에 제2트레이(200B)가 안착되면, 상기 제2스테이션(300)의 제2전원공급장치(35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은 제2트레이(200B)의 제2히터부(280)가 동작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스테이션(300)의 하부에서 상기 제1트레이(200A)를 향하도록 상부열원(400)이 배치될 수 있다.

Description

조리기기{Cooking appliance}
본 발명은 조리기기에 관한 것이다.
가정이나 식당에서 음식을 가열하기 위한 다양한 방식의 조리기기들이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마이크로파 오븐, 유도 가열 방식의 전기 레인지, 그릴 히터 등의 다양한 조리기기가 사용되고 있다.
이처럼 음식물을 조리하기 위한 장치들과 함께, 최근에는 음식물이 식지 않도록 보온하기 위한 조리기기들도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한국공개특허 10-2013-0062038(선행기술1)에는 음식물을 지속적으로 보온하기 위한 가열장치가 공개되어 있고, 한국등록특허 10-1944012(선행기술2)에는 음식물을 용기에 담겨진 상태로 일정한 온도로 가열 및 보온하기 위한 보온장치가 공개되어 있다. 그리고, 한국등록실용신안 20-0215693(선행기술3)에는 열전소자를 이용하여 조리된 음식물의 온도를 유지하는 장치가 공개되어 있다. 또한, 미국공개특허 US20060185527A1(선행기술4)는 벽고정물을 사이에 두고 구획된 두 개의 격실에 각각 음식물을 동시에 보온할 수 있는 장치를 제시하고 있다.
이러한 조리기기들은 비교적 부피가 크고 많은 전력을 필요로 하므로 고정된 상태로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식탁에서 식사를 하면서 조리기기를 이용하여 음식물을 계속 조리하거나, 음식물을 보온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특히, 음식물을 조리기기에서 꺼내는 순간부터 음식물의 온도가 떨어지게 되고, 따라서 식사시간 동안 음식물의 맛과 향을 계속 유지하기 어렵다.
그리고, 위의 선행기술들은 하부에 배치된 열원을 이용하여 음식물을 가열하는 방식이므로, 음식물의 아래쪽만 원활하게 가열 및 보온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의 조리기기들은 음식물의 상부를 포함하여 음식물을 전체적으로 고르게 가열하거나 보온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특히, 위의 선행기술들은 음식물을 가열할 때 조리기기의 열원이 음식물의 일부와 직접 접촉하여 가열하는 전도방식을 이용한다. 음식물을 가열하는 방법에는 전도 이외에, 대류나 복사의 방법도 있는데, 위의 선행기술들은 이러한 대류나 복사 방식의 조리방법은 제공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다.
이에 더하여, 위 선행기술들은 음식물을 가열하여 조리할 뿐 음식물의 습도를 조절하지는 못하는 단점이 있다. 음식물에 따라 습도가 높을 때 맛과 향이 좋은 경우가 있는데, 위 선행기술들은 습도를 조절할 수 있는 조리법은 제공하지 못하는 것이다.
한국공개특허 10-2013-0062038(선행기술1) 한국등록특허 10-1944012(선행기술2) 한국등록실용 20-0215693(선행기술3) 미국공개특허 US20060185527A1(선행기술4)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조리기기로부터 음식물을 꺼낸 후에도 음식물의 온도를 유지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음식물의 하부 뿐 아니라 상부도 고르게 가열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음식물을 전도 방식으로 가열함과 동시에, 복사 및 대류 방식으로도 가열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음식물의 조리시에 가습환경에서 음식물을 조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에는 제1전원공급장치가 구비된 제1스테이션이 포함되고, 상기 제1스테이션에는 제1트레이가 안착될 수 있다. 상기 제1트레이는 상기 제1전원공급장치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되는 제1히터부가 내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스테이션과의 사이에 조리실을 형성하는 제2스테이션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2스테이션에 제2트레이가 안착되면, 상기 제2스테이션의 제2전원공급장치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은 제2트레이의 제2히터부가 동작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스테이션의 하부에는 상기 조리실의 내부를 향하도록 상부열원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스테이션은 조리실에 배치된 음식물의 하부를 가열할 수 있고, 상부열원은 음식물의 상부를 가열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조리기기는 음식물의 표면적을 전체적으로 고르게 가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스테이션에서 상기 상부열원의 상부에는 순환팬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순환팬은 상기 조리실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킬 수 있다. 상기 순환팬은 상기 조리실의 내부의 음식물이 대류방식으로 가열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스테이션에는 상기 순환팬이 배치된 상기 제2스테이션의 내부와 상기 조리실 사이를 연결하는 공기흡입구 및 공기배출구가 서로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공기흡입구는 상기 순환팬의 중심부와 상기 조리실 사이를 연결할 수 있다. 상기 공기배출구는 상기 순환팬의 반경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순환팬의 바깥쪽 공간과 상기 조리실 사이를 연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열원은 상기 조리실의 중심을 향해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열원의 전체 또는 일부는 상기 조리실 내로 돌출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스테이션과 상기 제2스테이션 사이에는 내부에 조리실이 형성된 조리하우징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조리하우징에는 상기 조리실을 개폐하는 도어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스테이션에는 내부에 저수공간을 갖는 가습장치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가습장치에는 상기 저수공간과 상기 조리실 사이를 연결하는 가습통로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습장치는 상기 제2스테이션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저수공간은 상기 상부열원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스테이션에는 상기 조리실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순환팬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저수공간은 상기 순환팬에 의해 상기 조리실 내부의 공기가 흡입 및 토출되는 경로상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순환팬의 상부에는 상기 저수공간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순환팬의 하부에는 상기 하부열원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수공간은 상기 상부열원 보다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저수공간은 상기 상부열원을 상하로 지나는 가상의 중심선을 둘러 바깥쪽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습장치에는 상기 저수공간에서 부력으로 승강되는 수위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위부재는 상기 저수공간의 입구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하강하거나 상기 저수공간의 입구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상승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수위부재가 상승하면 상기 수위부재는 상기 저수공간의 입구를 가로막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습장치는 상기 제2스테이션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가습장치의 중심에는 상기 상부열원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습장치의 저수공간은 상기 상부열원을 둘러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습장치의 하부에는 상기 상부열원이 배치되는 열원공간과 연결되는 중심흡입홀이 개구될 수 있다. 상기 가습장치의 측부에는 상기 저수공간을 외부로 연결하는 배출경로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출경로는 상기 가습장치의 측부에서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습장치는 상기 제2스테이션의 하부에 나사체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스테이션의 하부에는 상기 열원공간과 상기 제2스테이션의 내부를 연결하는 공기흡입구가 개방될 수 있다. 상기 제2스테이션의 하부에서 상기 가습장치를 벗어난 위치에는 상기 제2스테이션의 내부와 상기 조리실 사이를 연결하는 공기배출구가 개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스테이션의 내부에는 상기 공기흡입구를 통해 조리실의 공기를 흡입하고 상기 공기배출구로 공기를 배출시키는 순환팬이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저수공간은 상기 제2스테이션의 하부에서 상기 공기흡입구와 상기 공기배출구의 사이에 해당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스테이션의 하부에는 반사판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상부열원은 상기 반사판의 저면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반사판의 중심부는 상부를 향해 함몰될 수 있다. 상기 반사판의 함몰된 중심부에 상기 상부열원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반사판의 상부에는 단열판이 적층될 수 있다. 상기 단열판은 상기 반사판과 상기 제2스테이션의 내부에 배치된 전장품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위에서 살핀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에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조리기기의 스테이션으로부터 트레이를 분리하더라도, 트레이에 내장된 히터부가 음식물을 가열할 수 있다. 따라서, 조리기기로부터 음식물을 꺼낸 후에도 트레이가 음식물의 온도를 유지할 수 있고, 식사과정에서 음식물의 맛과 향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조리기기에는 서로 높이를 달리하는 제1스테이션 및 제2스테이션이 포함될 수 있고, 그 사이에 조리실이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조리실의 상부에는 상부열원이 구비될 수 있다. 제1스테이션은 조리실에 배치된 음식물의 하부를 가열할 수 있고, 상부열원은 음식물의 상부를 가열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조리기기는 음식물의 표면적을 전체적으로 고르게 가열할 수 있고, 따라서 조리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부열원은 제1스테이션과 함께 음식물을 가열하게 되므로, 음식물의 조리속도가 빨라지는 효과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제1스테이션은 음식물을 전도 방식으로 가열할 수 있고, 상부열원은 복사 방식으로 음식물을 가열할 수 있다. 따라서 음식물을 동시에 다양한 방식으로 가열할 수도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제2스테이션에는 순환팬이 배치되어, 조리실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킬 수 있다. 조리실에서 순환되는 공기는 대류 방식으로 음식물을 가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음식물을 전도, 복사 및 대류 방식으로 가열할 수 있어, 사용자에게 다양한 가열방식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순환팬은 상부열원의 주변에 배치될 수 있다. 이렇게 되면 순환팬에 의해 공기가 순환되는 과정에서 상부열원에 의해 공기의 온도가 자연스럽게 높아질 수 있고, 대류효과가 높아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는 가습장치가 포함될 수 있고, 가습장치는 조리실의 습도를 높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음식물의 습도가 높아야 하는 경우에 가습환경에서 음식물을 조리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르면 하나의 조리기기로 여러가지 모드의 음식물 조리가 가능하여, 조리기기의 활용도가 높아지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가습장치는 상부열원과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부열원은 인접한 가습장치를 가열하여, 저장된 물이 자연스럽게 증발되면서 조리실의 습도를 높이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별도의 히터 없이도 조리기기가 가습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이때, 가습장치에 저장된 물은 제2스테이션에 내장된 부품들을 냉각시키는 역할을 할 수도 있다. 가습장치가 제2스테이션의 내부 또는 하부에 배치되면, 제2스테이션에 내장된 다른 부품들의 온도를 낮출 수 있고, 이에 따라 조리기기의 내구성을 높일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부열원은 발광체가 되어 일종의 조명이 될 수도 있다. 이러한 조명은 조리실 내부의 조도를 높여 사용자가 조리실을 보다 쉽게 관찰할 수 있도록 하고, 조리기기의 심미감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의 일실시례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일실시례에서 도어가 일부 열린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일실시례에서 도어가 완전히 열린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도 1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제1트레이와 제2트레이가 각각 제1스테이션 및 제2스테이션에서 분해된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5는 도 1의 V-V'선에 대한 단면도.
도 6은 도 1의 VI-VI'선에 대한 단면도.
도 7은 도 6에서 제1스테이션 및 제1트레이의 부분을 보인 단면도.
도 8은 도 7의 일부 구조를 확대하여 보인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제1스테이션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제1스테이션의 구조를 도 9와 다른 각도에서 보인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제1스테이션을 구성하는 부품을 분해하여 보인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제1스테이션의 내부구조를 보인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제1스테이션에 제1베어링이 장착된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제1스테이션에 도어가 결합된 모습을 보인 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제1스테이션에 포함된 제1공기조절장치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16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제1스테이션의 제1공기조절장치가 공기를 배기시키는 모습을 보인 단면도.
도 17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제1스테이션에 포함된 제1공기조절장치의 구성을 도 15와 다른 각도에서 보인 사시도.
도 18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제1스테이션의 제1공기조절장치가 공기를 배기시키는 모습을 도 16과 다른 각도에서 보인 단면도.
도 19는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제1트레이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20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제1트레이의 구조를 도 19와 다른 각도에서 보인 사시도.
도 21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제1트레이를 구성하는 부품을 분해하여 보인 사시도.
도 22는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제1트레이의 내부 구조를 보인 단면도.
도 23은 도 22는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제2스테이션과, 제2스테이션게 구비된 가습장치의 구조를 보인 단면도.
도 24는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를 구성하는 제2스테이션의 다른 실시례의 구조를 보인 단면도.
도 25는 도 24에 도시된 실시례를 구성하는 가습장치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26은 도 24에 도시된 실시례를 구성하는 가습장치의 구조를 도 25와 다른 각도에서 보인 사시도.
도 27은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를 구성하는 제2스테이션의 또 다른 실시례의 구조를 보인 단면도.
도 28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제2스테이션와 도어가 결합된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29는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제2스테이션에 제2베어링이 결합된 모습을 보인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례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례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은 조리기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음식물(피조리물)을 가열하여 조리를 하거나, 음식물의 온도를 유지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본 발명에는 음식물을 가열할 수 있는 트레이가 포함되고, 상기 트레이는 스테이션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스테이션과 상기 트레이의 구조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1을 보면,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의 일실시례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보듯이, 본 실시례의 조리기기는 대략 원통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조리기기를 구성하는 제1스테이션(100)과 제2스테이션(300)은 원판형상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스테이션(100)과 상기 제2스테이션(300) 사이를 연결하는 조리하우징(500)은 대략 원통형상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스테이션(100)과 제2스테이션(300) 및 상기 조리하우징(500)이 만드는 조리기기의 전체 외관형상은 대부분 곡면형태를 띄는 원통이 될 수 있다.
본 실시례의 조리기기는 서로 구획된 두 개의 조리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두 개의 조리공간 중 조리실(S)은 제1조리공간이 되고, 제2트레이(200B)의 상부는 제2조리공간이 될 수 있다. 여기서 조리실(S)은 상기 제1스테이션(100)과 제2스테이션(300) 및 상기 조리하우징(500)에 의해 감싸지는 빈 공간일 수 있다. 다른 예로는, 상기 제2트레이(200B)가 생략되고 제1조리공간인 조리실(S)만 존재할 수도 있다.
도 2와 도 3을 보면, 아래에서 설명될 도어(550)가 열리면서 상기 조리실(S)이 외부로 드러나는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도 2는 상기 도어(550)가 절반 정도 열린 상태라면, 도 3은 상기 도어(550)가 완전히 개방된 상태로 볼 수 있다.
도 3과 같이 상기 도어(550)가 완전히 개방되면, 제1트레이(200A)를 조리실(S) 외부로 꺼낼 수 있는 상태가 된다. 도 4를 보면, 상기 제1트레이(200A)와, 상기 제2스테이션(300)에 배치된 제2트레이(200B)가 모두 조리기기에서 이탈된 모습을 볼 수 있다. 이처럼, 본 실시례에서는 음식물이 담기는 상기 제1트레이(200A)와 상기 제2트레이(200B)가 조리기기에서 분리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트레이(200A)와 상기 제2트레이(200B)는 모두 히터부(280)를 가지고 있고 별도의 배터리(270)를 내장하고 있으므로, 상기 제1트레이(200A)나 제2트레이(200B)는 사용자가 식사를 하는 동안 음식물의 온도를 유지해줄 수 있다.
도 5를 보면, 본 실시례의 조리기기의 내부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보듯이, 제1조리공간인 상기 조리실(S)은 밀폐된 공간일 수 있다. 그리고 제2조리공간인 상기 제2트레이(200B)의 상부는 개방된 공간일 수 있다. 물론, 상기 도어(550)가 열리면 상기 조리실(S)도 개방된 공간으로 변경될 수 있다.
상기 조리실(S)은 단순히 음식물을 가열하는데 그치지 않고, 상기 조리실(S)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켜서 음식물의 습도를 유지하거나, 공기를 연속적으로 배출시키면서 음식물의 습도를 낮추는데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리실(S)에서는 제1트레이(200A)에 의해 음식물의 하부가 직접 가열될 수 있고, 상기 조리실(S) 내부를 순환하는 대류열을 통해 음식물이 가열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조리실(S)의 내부는 아래에서 설명될 상부열원(400)에 의해서도 가열될 수 있다. 상기 상부열원(400)은 상기 조리실(S)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는데,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제2스테이션(30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상부열원(400)은 상기 제1트레이(200A)를 향하도록 상기 제2스테이션(300)에 배치됨으로써, 음식물의 상부를 복사열로 가열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상기 상부열원(400)은 아래에서 설명될 제2공기조절장치(370)에 의해 조리시(S)의 공기가 순환될 때 대류열을 높일 수도 있다. 상기 상부열원(400)은 상기 제2공기조절장치(370)에 의해 순환되는 공기의 흡입/토출 경로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상부열원(400)은 순환되는 공기의 온도를 더욱 높일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상부열원(400)은 가습장치(450)의 저수공간(452)을 가열하여 가습기능을 도울 수도 있다. 이러한 상부열원(400)과 가습장치(450)의 구조는 아래에서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을 보면, 본 실시례에서는 복수의 조명부가 상기 조리실(S) 내부와, 조리기기 외부로 빛을 조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보면, 상기 제2스테이션(300)에 스테이션조명부(390)가 구비되고, 상기 제1트레이(200A)와 제2트레이(200B)에 각각 트레이조명부(290)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스테이션(100)과 상기 제2스테이션(300)의 주변을 감싸는 형태로 구비된 손잡이(600)에도 손잡이조명부(620)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조명장치들은 아래에서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와 도 8에는 제1스테이션(100)과 제1트레이(200A)의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보듯이, 상기 제1스테이션(100)의 위에 제1트레이(200A)가 안착될 수 있다. 상기 제1스테이션(100)은 조리기기의 하부구조를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제1트레이(200A)가 안착되는 장소일 수 있다. 상기 제1스테이션(100)은 상기 제1트레이(200A)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제1스테이션(100)이 상기 제1트레이(200A)에 전원을 공급하는 구조는 아래에서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
도 9와 도 10을 보면, 상기 제1스테이션(100)의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보듯이, 상기 제1스테이션(100)은 대략 원판구조일 수 있다. 상기 제1스테이션(100)의 위쪽에는 상기 제1트레이(200A)가 안착될 수 있고, 아래쪽은 조리기기의 바닥면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스테이션(100)은 조리기기의 제1스테이션(100)으로 볼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제1스테이션(100)은 다각형상을 비롯해 다른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상기 제1스테이션(100)의 가장자리에는 복수의 안착레그(11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안착레그(112)는 상기 제1스테이션(100)이 지면에 지지될 수 있게 한다. 상기 안착레그(112)는 아래에서 설명될 손잡이(600)의 하단과 함께 조리기기가 지면에 안착되는 부분이 될 수 있다.
상기 제1스테이션(100)은 복수의 부품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1을 보면, 상기 제1스테이션(100)이 분해된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이에 보듯이, 상기 제1스테이션(100)에는 하부플레이트(110)와 상부플레이트(120)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하부플레이트(110)는 아래로 함몰된 구조일 수 있다. 상기 상부플레이트(120)는 상기 하부플레이트(110)의 상부에 결합되어 그 사이에 제1수납공간(111)(도 5참조)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하부플레이트(110)에는 공기배출부(115)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공기배출부(115)는 상기 제1수납공간(111)을 외부와 연결하는 일종의 통로로 볼 수 있다. 상기 공기배출부(115)는 상기 하부플레이트(110)의 외주면을 따라 길게 형성되는 슬릿구조일 수 있다. 상기 공기배출부(115)는 상기 하부플레이트(110)에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공기배출부(115)는 공기가 원활하게 배출되도록 상기 하부플레이트(110)의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공기배출부(115)는 상기 하부플레이트(110)의 상단부 보다 하단부에 가깝게 형성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하부플레이트(110)에는 전원부(19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전원부(190)에는 외부의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어댑터(700, 도 11참조)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전원어댑터(700)가 상기 전원부(190)에 결합되면, 외부의 교류전류가 상기 전원어댑터(700)에 의해 직류로 변환된 후에 상기 제1스테이션(100)에 공급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전원부(190)는 수신모듈이라할 수 있고, 상기 전원어댑터(700)는 공급모듈로 볼 수 있고, 상기 전원부(190)와 상기 전원어댑터(700)는 전원공급장치를 구성할 수 있다. 도면부호 190a는 상기 전원어댑터(700)가 삽입되는 입구를 나타낸다. 상기 전원부(190)와 상기 전원어댑터(700)는 아래에서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
도 9를 보면, 상기 상부플레이트(120)에는 베어링장착부(12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베어링장착부(122)는 상기 상부플레이트(120)의 중심에 배치되는 안착베이스(130)의 바깥쪽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베어링장착부(122)는 상부플레이트(120)의 아래쪽으로 함몰된 구조일 수 있다. 상기 베어링장착부(122)는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여기에는 링형태의 제1베어링(140)이 배치될 수 있다. 도 8에는 상기 베어링장착부(122)에 제1베어링(140)이 배치된 모습이 되시되어 있다.
다시 도 9를 보면, 상기 상부플레이트(120)에는 공기흡입부(125)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공기흡입부(125)는 상기 조리실(S)을 향해 개방될 수 있다. 상기 공기흡입부(125)를 통해 흡입된 공기는 상기 공기배출부(115)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거나, 또는 다시 공기흡입부(125)를 통해 조리실(S)로 공급될 수도 있다. 복수개의 공기흡입부(125)들이 대략 원형의 경로를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공기흡입부(125)는 연속된 하나의 구멍형태일 수도 있다.
상기 공기흡입부(125)는 상기 상부플레이트(120)에 경사진 형태로 형성된 플레이트경사부(123,124)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경사부(123,124)는 제1경사부(123)와 제2경사부(12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경사부(123)는 상기 제2경사부(124)와 연결되고, 상기 조명장착부(314)를 향해 하향경사진 구조일 수 있다. 상기 제2경사부(124)는 상기 안착베이스(130)로부터 상향경사진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경사부(124)는 상기 제1스테이션(100)의 중심부에 오목한 형태를 만들어낼 수 있고, 그 안쪽에 상기 안착베이스(130)가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트레이(200A)가 상기 안착베이스(130)에 정렬될 수 있다.
상기 안착베이스(130)는 아래에서 설명될 제1전원공급장치(150)와 수신모듈(250) 사이의 무선충전을 방해하지 않도록 비금속재질로 만들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안착베이스(130)는 대략 원판구조일 수 있다. 상기 안착베이스(130)는 상기 상부플레이트(120)에 조립되는 별개물로 구성될 수도 있으나, 이와 달리 상기 상부플레이트(120)와 일체일 수도 있다.
상기 제1베어링(140)은 대략 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베어링(140)은 상기 도어(550)의 하단에 연결되어, 상기 도어(550)가 원활하게 슬라이딩될 수 있게 한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제1베어링(140)에는 볼이 포함되어 상기 도어(550)가 슬라이딩되면서 여닫힐 때 마찰을 줄일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상기 제1베어링(140)은 원주방향을 따라 두께가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베어링(140)에는 상기 제1베어링(140)의 원주방향을 따라 제1마찰부(141), 제2마찰부(143) 및 제3마찰부(145)가 연속적으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1마찰부(141)와 상기 제2마찰부(143)가 서로 두께가 달라 둘 사이에 단차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마찰부(143)와 상기 제3마찰부(145)도 서로 두께가 달라 둘 사이에 단차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단차는 도어(550)의 하단부(560)에 형성된 단차(미도시)와 맞물리는 부분이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베어링(140)의 단차는 상기 도어(550)가 상기 제1베어링(140)에 끼워진 후에 다시 분리되지 못하도록 스토퍼역할도 할 수 있다. 상기 제1마찰부(141)와 상기 제2마찰부(143)는 조리기기의 조립시에 상기 도어(550)가 상기 제1스테이션(100)에 끼워지는 부분으로 볼 수 있다. 상기 제1마찰부(141)와 상기 제2마찰부(143)는 상기 도어(550)가 회전할 때 열리는 구역에 형성될 수 있고, 제3마찰부(145)는 회전된 도어(550)가 조리하우징(500)의 고정하우징(510)과 겹치는 구역에 구비된다고 볼 수 있다.
도 14를 보면, 상기 제1베어링(140)에는 상기 도어(550)의 하단부(560)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도어(550)의 하단부(560)는 상기 제1베어링(140)과 접촉된 상태로 슬라이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도어(550)의 하단부(560)에는 자석부(57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자석부(570)는 상기 도어(550)의 하단부(560)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자석부(570)는 상기 도어(550)와 함께 회전할 수 있고, 특정 위치에서 상대자석 또는 금속에 고정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이러한 상대자석 또는 금속은 상기 제1스테이션(100) 또는 상기 제1베어링(140)에 구비된 것일 수 있다.
다시 도 11을 보면, 상기 제1수납공간(111)에는 메인제어부(160)와 제1전원공급장치(15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메인제어부(160)는 상기 제1전원공급장치(150)와 아래에서 설명될 제1공기조절장치(17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제어부(160)는 아래에서 설명될 제2전원공급장치(350)와 제2공기조절장치(370)도 함께 제어할 수도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제2스테이션(300)에는 별도의 제2제어부(미도시)가 구비되고, 상기 제2제어부가 상기 제2전원공급장치(350)와 상기 제2공기조절장치(370)를 제어할 수도 있다.
상기 제1전원공급장치(150)는 상기 제1트레이(200A)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제1전원공급장치(150)는 유선 또는 무선 방식으로 상기 제1트레이(200A)의 수신모듈(25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트레이(200A)가 상기 제1스테이션(100)에 안착되면, 상기 제1전원공급장치(150)의 단자부(미도시)와 상기 제1트레이(200A)의 상대단자부(미도시)가 서로 맞물려 제1트레이(200A)의 히터부(280)에 전원이 공급될 수 있다. 상기 제1전원공급장치(150)는 상기 수신모듈(250)과 함께 하나의 전원공급부(WC1)를 형성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제1전원공급장치(150)에는 제1송신모듈이 포함되고, 상기 제1송신모듈은 상기 제1트레이(200A)의 수신모듈(250)에 무선으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즉, 각각 코일을 포함하는 상기 제1송신모듈과 상기 수신모듈(250) 사이의 자기공명결합(Magnetic resonant coupling)에 의해 무선충전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송신모듈은 소스코일(Source coil)과 송신 공진코일(Tx resonant coil)로 구성될 수 있고, 상기 수신모듈(250)은 수신 공진코일(Rx resonant coil)과 로드 코일(Load coil)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스테이션(100)에는 제1공기조절장치(170)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1공기조절장치(170)는 상기 조리실(S) 내부의 공기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공기조절장치(170)가 작동하면 상기 조리실(S)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렇게 되면, 상기 조리물의 가열과정에서 발생한 습기가 외부로 배출되고, 상기 조리실(S)은 건조한 상태가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조리물의 습기도 낮아져, 조리물이 바삭한 식감을 제공할 수 있다.
반대로 상기 제1공기조절장치(170)가 작동하지 않으면, 상기 조리실(S)의 공기가 배기되지 않으므로 습도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공기조절장치(170)를 구성하는 제1모터(미도시)가 반대로 작용하여, 상기 조리실(S)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도 있다.
상기 제1공기조절장치(170)는 상기 상부플레이트(120)의 아래쪽에 배치되어 상기 상부플레이트(120)의 공기흡입부(125)와, 상기 하부플레이트(110)의 공기배출부(115) 사이를 연결할 수 있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제1공기조절장치(170)는 상기 공기흡입부(125)를 통해 상기 조리실(S)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고, 흡입한 공기를 공기배출부(115)를 통해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상기 제1공기조절장치(170)에는 공기의 흡입을 위한 구조와 배출을 위한 구조가 포함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제1공기조절장치(170)는 상기 제1수납공간(111)의 바깥쪽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공기조절장치(170)는 상기 제1수납공간(111)의 중심에서 벗어난 바깥쪽에 배치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조리실(S) 내부의 공기는 상기 조리하우징(500)의 내벽을 따라 순환되면서 상기 조리하우징(500)의 아래쪽으로 이동하므로, 상기 제1공기조절장치(170)가 제1스테이션(100)의 바깥쪽에 배치되면 흡입되는 공기량이 증가될 수 있다.
상기 제1공기조절장치(170)의 구조를 보면, 상기 제1공기조절장치(170)는 제1흡기덕트(171)와, 제1조절팬(180), 그리고 제1배기덕트(18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흡기덕트(171)는 상기 공기흡입부(125)와 연결될 수 있고, 상기 제1배기덕트(185)는 상기 공기배출부(115)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조절팬(180)은 상기 제1흡기덕트(171)와 상기 제1배기덕트(185)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흡기덕트(171)는 상기 제1수납공간(111)의 내부에서 제1스테이션(100)의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보다 정확하게는, 도 17에서 보듯이, 상기 제1흡기덕트(171)는 상기 상부플레이트(120)와 동심을 이루면서 원호형상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렇게 되면, 상기 조리실(S) 내부의 공기가 여러방향에서 상기 제1흡기덕트(171)로 흡입될 수 있다. 참고로 도 17에는 상기 상부플레이트(120)의 중심에 배치되는 가열플레이트(230)가 생략되고, 상기 제1공기조절장치(170)가 드러난 상태이다.
도 16와 도 18을 보면, 상기 제1흡기덕트(171)의 내부에는 흡입공간(17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흡입공간(172)은 일종의 빈 공간으로, 상기 제1흡기덕트(171)와 같은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흡입공간(172)의 한쪽에는 상기 공기흡입부(125)를 향해 개방되는 흡기구(17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흡기구(173)는 상기 제1흡기덕트(171)의 가장자리를 따라 원호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흡입공간(172)의 아래쪽에는 팬연결구(175)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팬연결구(175)는 상기 제1조절팬(180)을 향해 개구된 부분이다. 상기 팬연결구(175)를 통해서 상기 흡입공간(172)의 공기가 상기 제1조절팬(180)으로 전달될 수 있다. 상기 팬연결구(175)는 상기 제1조절팬(180)에 대응하는 원형상일 수 있다.
상기 팬연결구(175)의 아래쪽에는 제1조절팬(180)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조절팬(180)은 제1모터(미도시)에 의해 회전하면서 공기를 흡입 및 배출할 수 있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제1조절팬(180)은 상기 제1흡기덕트(171)를 통해 조리실(S)의 공기를 흡입하고, 흡입된 공기를 상기 제1배기덕트(185)로 배출할 수 있다.
도 15에서 보듯이, 본 실시례에서 상기 제1조절팬(180)은 한 쌍(180A,180B)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제1조절팬(180A,180B)은 동일한 구조를 가질 수 있고, 상기 제1흡기덕트(171)의 원주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제1조절팬(180A,180B)은 서로 동일한 구조를 가지고 동일한 역할을 하므로, 이하에서는 상기 제1조절팬(180A,180B)에는 하나의 부호(180)를 부여하고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제1조절팬(180)에는 제1배기덕트(185)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배기덕트(185)는 상기 제1조절팬(180)에 연결되고, 상기 제1조절팬(180)에 의해 흡입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15를 보면, 본 실시례에서 상기 제1배기덕트(185)도 상기 제1조절팬(180)과 마찬가지로 한 쌍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한 쌍의 제1배기덕트(185) 중 어느 하나를 기준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6을 보면, 상기 제1조절팬(180)에는 상기 팬연결구(175)와의 연결을 위한 팬연통구(181)가 개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1배기덕트(185)는 상기 하부플레이트(110)의 반경 방향으로 개방될 수 있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제1배기덕트(185)에는 상기 하부플레이트(110)의 반경방향을 따라 바깥쪽으로 개구되는 배기구(186)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배기덕트(185)에서 배출된 공기는 상기 하부플레이트(110)의 공기배출부(115)를 통해 조리기기의 바깥쪽으로 배출될 수 있다.
도 15에서 보듯이, 상기 제1배기덕트(185)는 상기 하부플레이트(110)의 반경방향을 따라 점점 넓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제1배기덕트(185)는 상기 조리실(S) 내부의 공기를 보다 원활하게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위의 실시례와 달리, 상기 제1배기덕트(185)는 상기 제1공기조절장치(170)에 하나만 구비될 수도 있다.
도 16에는 공기의 흐름이 표시되어 있다. 먼저 상기 제1조절팬(180)이 작동하면, 상기 상부플레이트(120)의 공기흡입부(125)와 연결되어 있는 상기 제1흡기덕트(171)를 통해 상기 조리실(S) 내부의 공기가 상기 흡입공간(172)으로 흡입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흡입공간(172)의 공기는 상기 팬연결구(175)를 통해 상기 제1조절팬(180)으로 전달되고, 상기 제1조절팬(180)은 공기를 상기 제1배기덕트(185)로 토출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제1배기덕트(185)의 배기구(187)를 통해 공기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도 18에도 공기의 흐름이 도시되어 있는데, 도 18에는 상기 하부플레이트(110)가 생략되고, 상기 제1공기조절장치(170)만 도시되어 있다. 이에 보듯이, 상기 제1흡기덕트(171)의 흡기구(173)는 상기 제1흡기덕트(171)의 길이방향인 원주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흡기구(173)를 통한 공기의 흡입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면부호 186은 상기 제1배기덕트(185)에서 상기 제1조절팬(180) 방향으로 개구된 배기전달구를 나타낸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제1트레이(200A)를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제1트레이(200A)는 상기 제1스테이션(100)의 상부에 안착되거나, 상기 제1스테이션(100)에서 분리될 수 있다. 상기 제1트레이(200A)가 상기 제1스테이션(100)에 안착되면 상기 제1스테이션(100)에서 전원을 공급받고, 상기 제1조리실(S) 내부의 조리물을 가열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그리고, 상기 제1트레이(200A)가 상기 제1스테이션(100)에서 분리되면, 사용자가 상기 제1트레이(200A)를 일종의 용기로 사용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제1트레이(200A)에는 히터부(280)와 배터리(270)가 구비되므로, 상기 제1트레이(200A)를 제1스테이션(100)에서 분리해도 소정의 시간 동안 히터부(280)가 작동하면서 음식물의 온도를 유지해줄 수 있다.
참고로, 상기 제1트레이(200A)는 상기 제2스테이션(300)에 배치되는 제2트레이(200B)와 동일한 구조일 수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제1트레이(200A)를 기준으로 설명하고, 상기 제2트레이(200B)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9 내지 도 21에는 상기 제1트레이(200A)의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보듯이, 상기 제1트레이(200A)는 대략 원판형상일 수 있다. 상기 제1트레이(200A)는 그 위에 조리물을 올려두는 용도(도 4참조)로 사용되므로, 상면이 평면이거나 오목한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트레이(200A)의 저면은 상기 제1스테이션(100)에 안착되고, 상면은 음식물을 올려두는 곳이 된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제1트레이(200A)는 히터부(280)를 내장하여 음식물을 가열할 수 있다. 특히, 상기 히터부(280)는 배터리(270)를 통해서도 구동될 수 있으므로, 상기 제1트레이(200A)가 상기 제1스테이션(100)에서 분리되어도 소정의 시간 동안 상기 음식물을 가열할 수 있다.
도 21을 보면, 상기 제1트레이(200A)에는 지지플레이트(210), 안착플레이트(220), 수신모듈(250), 트레이제어부(260), 배터리(270) 및 히터부(280)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지지플레이트(210)와 상기 안착플레이트(220)는 결합되어 그 사이에 가열공간(211)이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열공간(211)에는 상기 수신모듈(250), 상기 트레이제어부(260), 상기 배터리(270) 및 상기 히터부(28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지지플레이트(210)는 하부로 함몰된 그릇형태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플레이트(210)의 상부에는 상기 지지플레이트(210) 보다 직경이 큰 안착플레이트(22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안착플레이트(220)의 중심에는 상기 히터부(280)의 열을 상기 조리물에 전달하는 가열플레이트(23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가열플레이트(230)는 상기 히터부(280)의 열을 음식물에 전달할 수 있는 다양한 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가열플레이트(230)는 금속재질로 만들어진다.
상기 수신모듈(250)은 상기 제1스테이션(100)의 제1송신모듈과의 사이에 유도 결합(inductive coupling)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수신모듈(250)은 수신 공진코일(Rx resonant coil)과 로드 코일(Load coil)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신모듈(250)은 상기 배터리(270)와 연결되어 상기 배터리(270)를 충전할 수 있다. 상기 제1송신모듈의 소스코일에 교류 전원이 인가되면 특정한 진동 주파수를 가진 자기장이 형성될 수 있다. 이 자기장이 송신 공진코일에 인가되어 소스코일과 송신 공진코일 간에 유도 결합(inductive coupling)이 형성된다. 그리고 송신 공진코일은 같은 공진 주파수를 갖는 상기 수신모듈(250)의 수신 공진코일과 자기공명결합을 형성하여 전력을 전달할 수 있다. 그리고 수신 공진코일은 다시 로드 코일과 유도 결합을 형성하여 로드 코일에 전류를 유도하고, 부하(load)에 전류를 전달할 수 있다.
상기 트레이제어부(260)는 상기 수신모듈(250)과 상기 히터부(28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트레이제어부(260)는 상기 수신모듈(250)을 제어하여 상기 배터리(270)를 충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트레이제어부(260)는 상기 히터부(280)를 온/오프시킬 수 있다. 상기 트레이제어부(260)는 상기 제1스테이션(100)의 메인제어부(160)와 연결되어, 상기 메인제어부(160)에 의해 제어될 수도 있다.
상기 히터부(280)는 상기 배터리(270)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히터부(280)는 상기 배터리(27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열을 발생시킬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히터부(280)는 평판타입의 히터일 수 있다. 상기 히터부(280)는 카본히터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히터부(280)는 상기 가열플레이트(230)에 밀착되고, 상기 트레이제어부(260)의 제어신호에 따라 원적외선 열을 발생시킬 수 있다.
만약 상기 전원부(190)를 통해 외부 전원이 공급되고 있는 상태라면, 상기 트레이제어부(260)는 상기 배터리(270)가 상기 히터부(280)에 전원을 공급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전원부(190)의 전원이 직접 히터부(280)에 전달되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배터리(270)는 생략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외부전원을 통해서만 상기 히터부(280)가 가열될 수 있다. 배터리(270)가 생략되더라도, 상기 히터부(280)는 가열된 후에 서서히 식기 때문에, 그 동안에 음식물을 보온할 수 있다.
상기 제1트레이(200A)에는 트레이조명부(29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트레이조명부(290)는 상기 제1트레이(200A)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트레이조명부(290)는 대략 링 형상이고, 상기 트레이조명부(290)의 내부에는 복수의 LED가 실장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지지플레이트(210) 보다 큰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이렇게 되면, 도 20에서 보듯이, 상기 트레이조명부(290)는 상기 지지플레이트(210)를 감싸는 구조가 될 수 있다. 상기 트레이조명부(290)는 상기 제1트레이(200A)의 아래쪽으로 빛을 조사하여 조리기기의 미감을 높일 수 있다.
도 22를 보면, 상기 가열공간(211) 내부의 중심에는 트레이제어부(26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트레이제어부(260)의 양쪽에는 한 쌍의 배터리(270)가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트레이제어부(260)의 아래쪽에 상기 수신모듈(250)이 배치되고, 반대편인 위쪽에는 히터부(280)가 배치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히터부(280)와 상기 트레이제어부(260) 사이에는 단열플레이트(285)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단열플레이트(285)는 상기 히터부(280)의 열이 상기 트레이제어부(260), 배터리(270), 수신모듈(250) 등에 전달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상기 단열플레이트(285)는 단열성이 높은 재질로 만들어지고, 상기 히터부(280) 보다 큰 직경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단열플레이트(285)는 상기 제1트레이(200A)에서 생략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제2스테이션(300)은 상기 제1스테이션(100)과 높이를 달리하여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제2스테이션(300)은 상기 제1스테이션(100) 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제1스테이션(100)과 상기 제2스테이션(300) 사이에 상기 조리실(S)이 마련된다. 이와 달리, 상기 제1스테이션(100)이 상기 제2스테이션(300)의 위쪽에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제2스테이션(300)의 위에는 제2트레이(200B)가 배치되는데, 상기 조리실(S)과 달리 상기 제2트레이(200B)의 위쪽은 노출된 공간일 수 있다.
상기 제1스테이션(100)이 상기 조리실(S)의 바닥면을 구성한다고 보면, 상기 제2스테이션(300)은 상기 조리실(S)의 천장면을 구성한다고 볼 수 있다. 상기 제2스테이션(300)은 (i) 상기 제2트레이(200B)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고, (ii) 상기 조리실(S)의 공기를 순환시킬 수 있으며, (iii) 상기 조리실(S)에 빛을 조사할 수 있으며, (iv) 제2베어링(340, 도 29참조)을 사이에 두고 상기 조리하우징(500)이 상단부를 지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상기 제2스테이션(300)의 구조를 보면, 상기 제2스테이션(300)은 수납플레이트(310), 커버플레이트(330) 및 제2공기조절장치(37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납플레이트(310)는 대략 원판구조일 수 있다. 상기 수납플레이트(310)는 상기 제2스테이션(300)의 골격을 형성할 수 있다. 참고로, 상기 제2스테이션(300)은 상기 제1스테이션(100)의 구조와 유사하므로, 제1스테이션(100)의 구조와 유사한 부분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수납플레이트(310)의 내부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제2공기조절장치(370)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납플레이트(310)의 내부에는 무선충전을 위한 제2전원공급장치(35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전원공급장치(350)는 상기 제2트레이(200B)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제2전원공급장치(350)는 유선 또는 무선 방식으로 상기 제2트레이(200B)의 수신모듈(25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트레이(200B)가 상기 제2스테이션(300)에 안착되면, 상기 제2전원공급장치(350)의 단자부(미도시)와 상기 제2트레이(200B)의 상대단자부(미도시)가 서로 맞물려 제2트레이(200B)의 히터부(280)에 전원이 공급될 수 있다. 상기 제2전원공급장치(350)는 상기 수신모듈(250)과 함께 하나의 전원공급부(WC2)를 형성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제2전원공급장치(350)에는 제2송신모듈이 포함되고, 상기 제1송신모듈은 상기 제2트레이(200B)의 수신모듈(250)에 무선으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즉, 각각 코일을 포함하는 상기 제2송신모듈과 상기 수신모듈(250) 사이의 자기공명결합(Magnetic resonant coupling)에 의해 무선충전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2전원공급장치(350)의 구조는 상기 제1전원공급장치(150)이 구조와 유사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23을 보면, 상기 수납플레이트(310)의 바깥쪽에는 확장플레이트(320)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확장플레이트(320)는 대략 중심이 비어 있는 원판구조일 수 있다. 상기 확장플레이트(320)는 상기 수납플레이트(310)의 외측단부를 감싸면서, 상기 제2스테이션(300)의 전체 직경을 크게 하는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확장플레이트(320)는 상기 제2스테이션(300)의 직경을 크게 하여, 상기 제2트레이(200B)가 안착되는 면적을 넓힐 수 있다. 상기 확장플레이트(320)는 생략되거나, 상기 수납플레이트(310)에 일체로 만들어질 수도 있다.
상기 수납플레이트(310)의 상부에는 커버플레이트(33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커버플레이트(330)는 상기 제2스테이션(300)의 상부를 덮을 수 있다. 상기 커버플레이트(330)는 상기 제2송신모듈과 상기 제2트레이(200B)의 수신모듈(250) 사이의 무선충전을 방해하지 않도록 비금속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커버플레이트(330)의 위에 상기 제2트레이(200B)가 안착된다고 볼 수 있다.
도 29를 참조하면, 상기 제2스테이션(300)에는 제2베어링(340)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베어링(340)은 상기 도어(550)의 상단부(580)와 연결되어, 상기 도어(550)가 원활하게 회전될 수 있게 할 수 있다. 상기 제2베어링(340)은 대략 링형태일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제2베어링(340)은 상기 수납플레이트(310)와 상기 확장플레이트(32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베어링(340)에는 상기 도어(550)의 상단부(580)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도어(550)의 상단부(580)는 상기 제2베어링(340)과 접촉된 상태로 슬라이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도어(550)의 상단부(580)에는 자석부(59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자석부(590)는 상기 도어(550)의 상단부(580)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자석부(590)는 상기 도어(550)와 함께 회전할 수 있고, 특정 위치에서 상대자석 또는 금속에 고정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이러한 상대자석 또는 금속은 상기 제2스테이션(300) 또는 상기 제2베어링(340)에 구비된 것일 수 있다.
다시 도 23을 참조하면, 상기 제2스테이션(300)에는 제2공기조절장치(37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공기조절장치(370)는 상기 제2스테이션(300)에 배치되어, 상기 조리실(S)의 공기를 순환시킬 수 있다. 상기 제2공기조절장치(370)는 상기 조리실(S)의 공기를 흡입한 후에 다시 조리실(S)로 배출할 수 있다. 상기 제2공기조절장치(370)는 상기 조리실(S)의 천장에 해당하는 위치에 배치되는데, 상기 제1트레이(200A)에 의해 가열된 공기가 상기 조리실(S)의 위쪽으로 올라오므로 상기 제2공기조절장치(370)는 조리실(S)의 공기를 효과적으로 순환시킬 수 있다.
상기 제2공기조절장치(370)의 구조를 보면, 상기 제2공기조절장치(370)는 제2조절팬으로 볼 수 있다. 상기 제2조절팬은 회전을 통해 공기를 흡입한 후에 토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조절팬은 시로코팬일 수도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제2공기조절장치(370)의 주변에 해당하는 상기 제2스테이션(300)에는 제2흡기덕트(372)와, 제2배기덕트(37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흡기덕트(372)는 상기 조리실(S)과 연결될 수 있고, 상기 제2배기덕트(371)도 상기 제2흡기덕트(372)와 다른 위치에서 상기 조리실(S)과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공기조절장치(370)는 상기 제2흡기덕트(372)와 상기 제2배기덕트(371)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제2공기조절장치(370)는 상기 제2흡기덕트(372)의 상부에 배치된다.
이때, 상기 제2공기조절장치(370)는 순환팬이라고 볼 수 있다. 상기 제2공기조절장치(370)는 상기 조리실(S)의 내부공기를 순환시키므로 순환팬이라고 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2흡기덕트(372)는 공기흡입구(372)로 볼 수 있고, 상기 제2배기덕트(371)는 공기배출구(371)로 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제2공기조절장치(370), 상기 제2흡기덕트(372) 및 제2배기덕트(371)은 각각 순환팬(370), 공기흡입구(372) 및 공기배출구(371)라 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먼저 상부열원(400)을 설명하면, 상기 상부열원(400)은 상기 제2스테이션(30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상부열원(400)은 상기 조리실(S)의 내부로 열을 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상부열원(400)은 내부에 필라멘트가 봉입되는 카본 히터, 세라믹 히터, 할로겐 히터 등일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상부열원(400)은 상기 제1트레이(200A)에 놓인 음식물에 복사열을 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열원(400)은 상기 순환팬(370)에 의해 순환되는 조리실(S) 내부의 공기를 가열함으로써 대류효율을 높일 수도 있다. 이를 위해서, 상기 상부열원(400)은 상기 순환팬(370)에 의해 공기가 순환되는 경로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부열원(400)의 일단부는 상기 제2스테이션(300)의 하부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열원(400)의 타단부는 상기 조리실(S)을 향해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상부열원(400)의 일단부는 상기 제2스테이션(300)에 구비된 터미널(미도시)에 연결되어, 상기 터미널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열원(400)의 타단부는 상기 조리실(S)의 중심을 향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상부열원(400)의 타단부가 상기 조리실(S)의 중심을 향하면, 상기 상부열원(400)은 상기 조리실(S)을 전체적으로 고르게 가열할 수 있다. 다른 예로는, 상기 상부열원(400)이 상기 조리실(S)의 중심이 아니라, 상기 조리실(S)의 중심으로부터 어느 한쪽으로 치우친 위치에 배치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로는, 상기 제2스테이션(300)에는 복수의 상부열원(400)들이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상부열원(400)의 전체 또는 일부는 상기 조리실(S) 내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상부열원(400)이 상기 조리실(S)의 내부로 돌출되면, 상기 상부열원(400)이 상기 음식물에 보다 가깝에 위치할 수 있어서 가열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열원(400)은 상기 조리실(S)에 빛을 조사하는 일종의 조명기능을 할 수 있는데, 상기 상부열원(400)이 상기 조리실(S)로 돌출되면 상기 조리실(S) 내부의 조도를 더욱 높일 수 있다.
상기 상부열원(400)의 인접한 위치에는 상기 순환팬(370)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공기흡입구(372) 및 상기 공기배출구(371)도 상기 상부열원(400)과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아래에서 설명될 습도장치도 상기 상부열원(400)에 인접할 수 있다. 상기 상부열원(400)은 상기 습도장치에 저장된 물을 가열하여 증발시키는 역할도 할 수 있다.
도 23을 보면, 상기 순환팬(370)은 상기 상부열원(400)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공기흡입구(372)는 상기 상부열원(400)의 주변에 개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조리실(S) 내부의 공기는 상기 순환팬(370)에 의해 상방으로 흡입될 수 있고, 이 과정에서 상기 상부열원(400)의 주변을 지나게 된다. 이 과정에서 흡입되는 상기 조리실(S) 내부의 공기는 가열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순환팬(370)은 상기 제2스테이션(30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공기흡입구(372)와 상기 공기배출구(371)는 각각 상기 제2스테이션(300)의 내부와 상기 조리실(S) 사이를 연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공기흡입구(372)를 통해 흡입된 조리실(S)의 공기는 상기 제2스테이션(300)의 내부를 거쳐 다시 상기 조리실(S)로 토출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상기 조리실(S)의 공기가 순환될 수 있다.
상기 순환팬(370)은 상기 제2송신모듈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순환팬(370)은 공기를 흡입 및 배출하는 과정에서 상기 제2송신모듈을 냉각하는 냉각팬역할을 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공기흡입구(372) 및 상기 공기배출구(371)는 서로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공기흡입구(372)는 상기 공기배출구(371) 보다 상대적으로 상기 제2스테이션(300)의 중심에 가깝게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공기흡입구(372)는 상기 순환팬(370)의 중심부와 상기 조리실(S) 사이를 연결할 수 있고, 상기 공기배출구(371)는 상기 순환팬(370)의 반경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순환팬(370)의 바깥쪽 공간과 상기 조리실(S) 사이를 연결할 수 있다.
이처럼, 본 실시례에서 상기 공기흡입구(372) 및 상기 공기배출구(371)는 모두 상기 제2스테이션(300)의 저면에 개구되지만, 상기 공기배출구(371)가 공기흡입구(372) 보다 상대적으로 상기 제2스테이션(300)의 가장자리에 가깝게 형성될 수 있다. 이렇게 되면, 상기 공기배출구(371)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는 상기 조리하우징(500)의 내벽을 따라 아래쪽으로 자연스럽게 이동할 수 있다.
도 23에서 보듯이, 상기 제2스테이션(300)에는 가습장치(45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습장치(450)는 내부에 저장된 물이 증발하면서 상기 조리실(S) 내부의 습도를 높이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러한 가습기능을 위해서, 상기 가습장치(450)에는 물이 저장될 수 있고, 저장된 물은 증발될 수 있으며, 증발된 물은 가습장치(450)의 외부로 배출되어 상기 조리실(S)의 내부로 공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보면, 상기 가습장치(450)는 상기 제2스테이션(30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가습장치(450)는 상기 제2스테이션(300)의 일부로 볼 수 있다. 상기 가습장치(450)의 골격은 가습하우징(451)이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가습하우징(451)은 대략 링구조일 수 있다. 즉, 상기 가습하우징(451)은 중심은 비어 있고, 중심을 둘러 배치되는 링형상일 수 있다.
상기 제2스테이션(300)의 내부에는 다양한 부품이 배치되므로, 상기 가습장치(450)는 이러한 부품들과의 간섭을 피해서 상기 제2스테이션(300)의 바깥쪽을 따라 연장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가습하우징(451)의 내부에는 저수공간(452)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저수공간(452)은 상기 가습하우징(451)의 내부에 형성된 빈 공간일 수 있다. 상기 저수공간(452)에는 물이 채워질 수 있다. 상기 저수공간(452)에 채워진 물은 증발하여 상기 조리실(S)의 내부로 공급될 수 있고, 조리실(S)의 습도를 높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저수공간(452)에 저장된 물은 상기 제2스테이션(300)에 내장된 부품들을 냉각시키는 역할을 할 수도 있다. 가습장치(450)가 제2스테이션(300)의 내부 또는 하부에 배치되면, 제2스테이션(300)에 내장된 다른 부품들의 온도를 낮출 수 있고, 이에 따라 조리기기의 내구성을 높일 수도 있다.
상기 저수공간(452)은 상기 가습하우징(451)과 마찬가지로, 상기 제2스테이션(300)의 바깥쪽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저수공간(452)은 상기 상부열원(400) 보다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저수공간(452)은 상기 상부열원(400)을 상하로 지나는 가상의 중심선을 둘러 바깥쪽에 배치될 수 있다.
도 23의 아래쪽 확대도를 보면, 상기 가습하우징(451)에는 상기 저수공간(452)과 상기 조리실 사이를 연결하는 가습통로(46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습통로(460)를 통해서 상기 저수공간(452)에서 증발된 수증기가 상기 조리실(S)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상기 가습하우징(451)을 둘러서 복수개의 가습통로(460)들이 구비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가습통로(460)는 상기 저수공간(452)에 물을 채울 때 공기가 빠져나가는 통로가 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가습통로(460)는 상기 저수공간(452)에 물이 원활하게 채워지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가습통로(460)의 일단은 상기 저수공간(452)의 상부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습통로(460)의 타단은 상기 제2스테이션(300)의 바깥쪽에 연결될 수 있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가습통로(460)의 타단은 상기 제2스테이션(300)의 저면이 아니라 측면에 개구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제2스테이션(300)의 측면은 경사면이므로, 상기 가습통로(460)의 타단도 경사진 방향으로 개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가습통로(460)를 통해 배출된 수증기는 곧바로 상기 조리실(S)의 중심을 향하지 않고, 상기 하우징(50)의 측벽을 향할 수 있고, 상기 조리실(S)을 전체적으로 고르게 가습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저수공간(452)은 상기 순환팬(370)에 의해 상기 조리실 내부의 공기가 흡입 및 토출되는 공기순환경로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저수공간(452)은 상기 순환팬(370)의 반경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순환팬(370)의 바깥쪽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저수공간(452)의 하부에 상기 공기배출구(371)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순환팬(370)에서 토출된 공기가 상기 공기배출구(371)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저수공간(452)의 하부를 지나게 되고, 상기 저수공간(452)을 가열할 수 있다.
상기 순환팬(370)의 상부에는 상기 저수공간(452)이 배치될 수 있다. 동시에, 상기 순환팬(370)의 하부에는 상기 하부열원이 배치될 수 있다. 도 23에서 보듯이, 상기 순환팬(370)을 기준으로, 상기 순환팬(370)의 상부에는 저수공간(452)이 배치되고, 하부에는 하부열원이 배치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순환팬(370)이 조리실(S)의 공기를 흡입할 때 상기 하부열원을 지나게 되고, 하부열원을 지나면서 가열된 공기가 상기 순환팬(370)에 의해 상부로 흡입됨에 따라 상기 순환팬(370)의 상부에 배치된 저수공간(452)의 저면을 가열시킬 수 있다. 도 23에서 화살표는 이러한 공기의 흡입 및 배출 경로를 표시한 것이다.
이처럼, 조리실(S)의 공기가 순환되는 과정에서 가습장치(450)를 자연스럽게 가열시킬 수 있다. 그리고, 이 과정에서 저수공간(452)에 저장된 물이 자연스럽게 증발되면서 조리실의 습도를 높이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별도의 히터 없이도 가습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가습장치(450)에는 수위부재(46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수위부재(465)는 상기 저수공간(452)에서 부력으로 승강될 수 있다. 상기 수위부재(465)는 물 보다 비중이 작은 재질로 만들어져, 상기 저수공간(452)에 채워진 물 위에 떠 있을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수위부재(465)는 상기 저수공간(452)에 저장된 물의 양을 사용자가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게 하거나, 또는 상기 저수공간(452)의 입구를 막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수위부재(465)는 상기 저수공간(452)의 입구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하강하거나 상기 저수공간(452)의 입구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상승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상기 수위부재(465)는 상기 저수공간(452)에 배치된 수위가이드(46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수위가이드(460)는 상기 수위부재(465)가 상기 수위가이드(460)를 따라서 승강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수위부재(465)가 상승하면 상기 수위부재(465)는 상기 저수공간(452)의 입구를 가로막을 수 있다. 상기 저수공간(452)의 입구는 리드(453)가 가로막을 수 있다. 상기 리드(453)가 제거된 상태로 상기 저수공간(452)의 입구로 물을 채울 때, 상기 수위부재(465)가 상승하면서 상기 저수공간(452)의 입구를 가릴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상기 저수공간(452)에 물이 다 찼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위부재(465)가 상기 저수공간(452)의 입구를 막고 있어서 더 이상 물을 주입할 수도 없게 된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수위부재(465)는 합성수지재질이고, 대략 육면체 형상일 수 있다. 다른 예로는, 상기 수위부재(465)는 물 보다 비중이 낮은 다양한 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고, 그 형태도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한편, 도 24 내지 도 26에는 본 발명의 가습장치(1450)의 다른 실시례가 도시되어 있다. 앞선 실시례와 동일한 구조에는 1000번대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가습장치(1450)는 상기 제2스테이션(30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가습장치(1450)는 상기 제2스테이션(300)의 내부가 아니라, 하부에 배치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가습장치(1450)는 상기 조리실(S)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가습장치(1450)의 중심에는 상기 상부열원(1400)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상부열원(1400)은 상기 가습장치(1450)에 의해 둘러 싸이는 구조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상부열원(1400)을 둘러싼 상기 가습장치(1450)의 측벽은 모두 상기 상부열원(1400)에 의해 가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습장치(1450)가 상기 조리실(S)의 내부에 노출되므로, 상기 조리실(S) 내부의 열에 의해서도 상기 가습장치(1450)가 가열될 수 있다.
상기 가습장치(1450)의 구조를 보면, 상기 가습장치(1450)는 대략 원통형상의 구조일 수 있다. 상기 가습장치(1450)의 저수공간(1452)은 상기 가습장치(1450)의 골격을 형성하는 가습하우징(1451)의 바깥쪽을 둘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저수공간(452)에 의해 둘러 싸이는 상기 가습하우징(451)의 중심에는 열원공간(H)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열원공간(H)은 대략 원기둥형상일 수 있다. 상기 열원공간(H)에 상기 상부열원(1400)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가습하우징(1451)의 바닥면(1453)에는 하부흡입홀(1455)이 개구될 수 있다. 상기 하부흡입홀(1455)은 상기 가습하우징(451)의 바닥면(1453),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열원공간(H)의 바닥면(1453)에 개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하부흡입홀(1455)은 상기 조리실(S)과 상기 열원공간(H) 사이를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열원공간(H)의 바닥면(1453)에는 복수의 하부흡입홀(1455)들이 형성될 수도 있다. 본 실시례에서 복수의 하부흡입홀(1455)들은 상기 열원공간(H)의 바닥 중심으로부터 방사상으로 배치된다.
상기 가습하우징(1451)의 측부에는 측부배출홀(1458)이 개구될 수 있다. 상기 측부배출홀(1458)은 상기 저수공간(1452)을 외부, 즉 상기 조리실(S)과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저수공간(1452)에서 증발된 수증기는 상기 측부배출홀(1458)을 통해서 상기 조리실(S)로 공급될 수 있다. 도면부호 1454는 상기 저수공간(1452)에 물이 채워진 수위를 표시한 것이다.
상기 측부배출홀(1458)는 상기 가습장치(1450)의 측부에서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즉, 상기 측부배출홀(1458)은 일종의 슬릿형상일 수 있다. 상기 가습하우징(1451)에는 복수의 측부배출홀(1458)들이 서로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가습장치(1450)는 상기 제2스테이션(300)의 하부에 나사체결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상기 가습장치(1450)의 상부에는 나사산(1457)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나사산(1457)은 상기 제2스테이션(300)에 구비된 상대나사산(미도시)에 결합될 수 있다. 다른 예로는, 상기 가습장치(1450)는 상기 제2스테이션(300)의 하부에 압입되거나, 볼트와 같은 별도의 체결구로 상기 제2스테이션(300)의 하부에 고정될 수도 있다.
이처럼 상기 가습장치(1450)는 상기 제2스테이션(300)의 하부에서 분리될 수 있다. 상기 가습장치(1450)가 제2스테이션(300)의 하부에서 분리되면, 사용자는 분리된 가습장치(1450)의 저수공간(1452)에 물을 채울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가습장치(1450)에 물을 채우는 작업이 보다 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스테이션(300)의 하부에는 상기 열원공간(H)과 상기 제2스테이션(300)의 내부를 연결하는 공기흡입구(미도시)가 개방될 수 있다. 상기 공기흡입구는 상기 열원공간(H)의 상단과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순환팬(370)이 작동하면, 상기 조리실(S)의 공기는 상기 하부흡입홀(1455)을 통해 상기 열원공간(H)에 유입되고, 이어서 상기 공기흡입구를 통해 상기 순환팬(370) 내부로 흡입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스테이션(300)의 하부에서 상기 가습장치(1450)를 벗어난 위치에는 상기 제2스테이션(300)의 내부와 상기 조리실(S) 사이를 연결하는 공기배출구(371)가 개방될 수 있다. 상기 순환팬(370)에서 토출된 공기는 상기 공기배출구(371)를 통해서 상기 조리실(S)의 내부로 다시 공급될 수 있다.
이때, 도 24에서 보듯이, 상기 저수공간(1452)은 상기 제2스테이션의 하부에서 상기 공기흡입구와 상기 공기배출구(371)의 사이에 해당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저수공간(1452)은 자연스럽게 상기 공기의 순환경로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도 27에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상부열원(2400)과 가습장치(2450)의 또 다른 실시례가 도시되어 있다. 앞선 실시례와 동일한 구조에는 2000번대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상부열원(2400)에는 브라켓(2410)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브라켓(2410)을 통해서 상기 상부열원(2400)은 상기 제2스테이션(300)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브라켓(2410)은 상기 상부열원(2400)을 고정할 뿐 아니라, 상기 상부열원(2400)에 전원을 공급할 수도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상부열원(2400)은 상기 조리실(S)의 내부로 완전히 노출될 수 있다. 이처럼, 상기 상부열원(2400)이 상기 조리실(S)의 내부로 완전히 노출되면, 상기 상부열원(2400)은 보다 쉽게 교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브라켓(2410)을 기준으로, 상기 상부열원(2400)은 하방을 향하거나 또는 조리하우징(500)의 측벽을 향하도록 회전(도 27의 화살표 참조)할 수도 있다. 상기 상부열원(2400)이 조리하우징(500)의 측벽을 향하면, 상기 상부열원(2400)이 조리실(S)의 내부에서 차지하는 높이가 줄어들게 된다.
한편, 상기 제2스테이션(300)의 하부에는 반사판(247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반사판(2470)은 알루미늄 또는 스테인레스(STS, SUS)강 재질일 수 있다. 상기 반사판(2470)은 상기 상부열원(2400)의 복사열을 하방, 즉 상기 조리실(S)의 중심 방향으로 모아주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반사판(2470)은 상기 상부열원(2400)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반사판(2470)의 중심부는 상부를 향해 함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반사판(2470)의 함몰된 중심부에 상기 상부열원(2400)이 배치될 수 있다. 이처럼 상기 반사판(2470)의 중심부가 상부로 함몰되면, 상기 함몰부의 측벽이 상기 상부열원(2400)의 복사열을 상기 조리실(S)의 중심방향으로 효과적으로 반사시켜줄 수 있다.
상기 반사판(2470)의 상부에는 단열판(2450)이 적층될 수 있다. 상기 단열판(2450)은 상기 반사판(2470)과 상기 제2스테이션(300)의 내부에 배치된 전장품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단열판(2450)은 상기 상부열원(400)의 열이 상기 제2스테이션(300)의 내부로 전달되지 않도록 단열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례에서 상기 단열판(2450)은 상기 제2스테이션(300)의 바닥면이 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제2스테이션(300)의 내부에는 저수공간(2452)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단열판(2450)이 일종의 가습장치가 될 수 있다. 상기 저수공간(2452)에 채워진 물은 증발하면서 상기 조리실(S)에 공급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저수공간(2452)에 채워진 물은 그 자체가 단열재 역할을 할 수도 있다.
한편, 도 28을 보면, 상기 제2스테이션(300)에는 상기 도어(550)를 개방하는 도어레버(387)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도어레버(387)는 상기 도어(550)에 연결되고, 상기 확장플레이트(320)에 형성된 가이드슬릿(327)을 따라 회전할 수 있다. 상기 도어레버(387)가 상기 제2스테이션(300)의 원주방향을 따라 회전하면, 상기 도어(550)는 상기 도어레버(387)에 연동하여 여닫힐 수 있다. 상기 도어레버(387)를 이용해서 상기 도어(550)를 어느 정도 회전한 후에는 사용자가 상기 도어(550)를 직접 파지해서 도어(550)를 회전시킬 수도 있다. 도 28에는 상기 도어레버(387)가 상기 손잡이(600)에 인접한 위치까지 회전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다음으로 상기 조리하우징(500)을 살펴보면, 상기 조리하우징(500)은 상기 제1스테이션(100)과 상기 제2스테이션(3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조리하우징(500)은 상기 조리실(S)의 측면을 구성한다고 볼 수 있다. 즉, 상기 제1스테이션(100)과 상기 제2스테이션(300) 사이에는 내부에 조리실(S)이 형성된 조리하우징(500)이 배치되는 것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조리하우징(500)에는 상기 제1스테이션(100)과 상기 제2스테이션(300) 사이에 고정된 고정하우징(510)이 포함된다. 상기 고정하우징(510)은 상기 제1스테이션(100)과 상기 제2스테이션(300) 사이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고정하우징(510)은 대략 반원의 횡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조리하우징(500)에는 상기 고정하우징(510)에 대해 상대회전하는 도어(550)가 포함될 수 있다. 사익 도어(550)는 상기 제1스테이션(100)과 상기 제2스테이션(300) 사이에서 회전되면서 상기 조리실(S)의 입구를 개폐할 수 있다. 상기 도어(550)도 상기 고정하우징(510)과 마찬가지로 대략 반원의 횡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상기 도어(550)의 하단부(560)와 상기 도어(550)의 상단부(580)는 각각 제1베어링(140) 및 제2베어링(340)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도어(550)의 하단부(560)와 상기 도어(550)의 상단부(580)는 각각 제1베어링(140) 및 제2베어링(340)을 통해서 상기 제1스테이션(100)과 상기 제2스테이션(300)에 연결된다고 볼 수 있다. 상기 도어(550)의 하단부(560)가 상기 제1베어링(140)에 연결된 모습은 도 14에 도시되어 있고, 상기 도어(550)의 상단부(580)가 상기 제2베어링(340)에 연결된 모습은 도 29에 도시되어 있다.
위의 실시례와 달리, 상기 조리하우징(500)은 원통형상이 아닐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조리하우징(500)은 대략 육면체형상일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550)는 상기 고정하우징(510)에 겹쳐지거나 펼쳐지는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이 아니라, 별도의 힌지를 기준으로 회전될 수 있고, 또는 직선경로를 따라 이동하는 미닫이 방식일 수도 있다.
본 실시례의 조리기기에는 손잡이(600)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손잡이(600)는 상기 조리기기를 파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제1스테이션(100) 및 상기 제2스테이션(300)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손잡이(600)는 상기 제1스테이션(100)과 상기 제2스테이션(300)을 연결하는 역할도 할 수 있고, 손잡이조명부(620)를 통해, 상기 제2트레이(200B)를 밝히는 역할도 할 수 있다.
도 4에서 보듯이, 상기 손잡이(600)의 상단부(610)는 상기 제2스테이션(300) 보다 위쪽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손잡이(600)의 상부는 아치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조리기기가 전체적으로 통일성이 있는 미감을 줄 수 있다.
도 6을 보면, 상기 손잡이(600)의 내부에는 빈 공간인 실장공간(615)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실장공간(615)에는 와이어하네스(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손잡이(600)의 상단부(610) 내부에는 손잡이조명부(62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손잡이조명부(620)는 상기 제2스테이션(300) 방향으로 빛을 조사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는 손잡이조명부(620)의 내부에 복수의 LED광원(625)들이 상기 손잡이(600)의 상단부(610)를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례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례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제1스테이션 110: 하부플레이트
115: 공기배출부 120: 상부플레이트
125: 공기흡입부 130: 안착베이스
140: 제1베어링 150: 제1전원공급장치
160: 메인제어부 170: 제1공기조절장치
171: 제1흡기덕트 180: 제1조절팬
185: 제1배기덕트 190: 전원부
200A: 제1트레이 200B: 제2트레이
210: 지지플레이트 220: 안착플레이트
230: 가열플레이트 250: 수신모듈
260: 트레이제어부 270: 배터리
280: 히터부 290: 트레이조명부
300: 제2스테이션 310: 수납플레이트
330: 커버플레이트 370: 제2공기조절장치, 순환팬
371: 공기배출구 372: 공기흡입구
400: 상부열원 450: 가습장치
452: 저수공간 500: 조리하우징
510: 고정하우징 550: 도어
600: 손잡이 700: 전원어댑터

Claims (26)

  1. 제1전원공급장치가 구비된 제1스테이션;
    상기 제1스테이션에 안착되어 상기 제1전원공급장치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고, 제1히터부를 내장한 제1트레이;
    상기 제1스테이션과의 사이에 조리실을 형성하고, 제2전원공급장치가 구비된 제2스테이션;과
    상기 제2스테이션에 안착되어 상기 제2전원공급장치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고, 제2히터부를 내장한 제2트레이;
    상기 제2스테이션의 하부에 상기 조리실 내부를 향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조리실을 가열하는 상부열원;을 포함하는 조리기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스테이션과 상기 제2스테이션 사이에는 상기 조리실을 감싸는 조리하우징이 배치되고, 상기 제2스테이션에서 상기 상부열원의 상부에는 상기 조리실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순환팬이 배치되는 조리기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2스테이션에는 상기 순환팬이 배치된 상기 제2스테이션의 내부와 상기 조리실 사이를 연결하는 공기흡입구 및 공기배출구가 서로 이격되게 형성되는 조리기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공기흡입구는 상기 순환팬의 중심부와 상기 조리실 사이를 연결하고, 상기 공기배출구는 상기 순환팬의 반경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순환팬의 바깥쪽 공간과 상기 조리실 사이를 연결하는 조리기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부열원은 상기 조리실의 중심을 향해 배치되는 조리기기.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부열원의 전체 또는 일부는 상기 조리실 내로 돌출되는 조리기기.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스테이션과 상기 제2스테이션 사이에는 내부에 상기 조리실이 형성된 조리하우징이 배치되고, 상기 조리하우징에는 상기 조리실을 개폐하는 도어가 구비되는 조리기기.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스테이션에는 내부에 저수공간을 갖는 가습장치가 배치되고, 상기 가습장치에는 상기 저수공간과 상기 조리실 사이를 연결하는 가습통로가 형성되는 조리기기.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가습통로의 일단은 상기 저수공간의 상부에 연결되고, 상기 가습통로의 타단은 상기 제2스테이션의 측면에서 상기 조리실을 향해 개구되는 조리기기.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가습장치는 상기 제2스테이션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저수공간은 상기 상부열원의 상부에 배치되는 조리기기.
  11.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2스테이션에는 상기 조리실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순환팬이 구비되고, 상기 저수공간은 상기 순환팬에 의해 상기 조리실 내부의 공기가 흡입 및 토출되는 경로상에 배치되는 조리기기.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순환팬의 상부에는 상기 저수공간이 배치되고, 상기 순환팬의 하부에는 상기 하부열원이 배치되는 조리기기.
  13.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저수공간은 상기 상부열원 보다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저수공간은 상기 상부열원을 상하로 지나는 가상의 중심선을 둘러 바깥쪽에 배치되는 조리기기.
  14.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가습장치에는 상기 저수공간에서 부력으로 승강되는 수위부재가 구비되는 조리기기.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수위부재는 상기 저수공간의 입구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하강하거나 상기 저수공간의 입구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상승하고, 상기 수위부재가 상승하면 상기 수위부재는 상기 저수공간의 입구를 가로막는 조리기기.
  1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스테이션의 하부에는 가습장치가 배치되고, 상기 가습장치의 내부에는 저수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가습장치의 중심에는 상기 상부열원이 배치되는 조리기기.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저수공간은 상기 상부열원을 둘러 배치되는 조리기기.
  18.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가습장치의 하부에는 상기 상부열원이 배치되는 열원공간과 상기 조리실의 사이를 연결하는 하부흡입홀이 개구되고, 상기 가습장치의 측부에는 상기 저수공간을 외부로 연결하는 측부배출홀가 개구되는 조리기기.
  19.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측부배출홀는 상기 가습장치의 측부에서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조리기기.
  20.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가습장치는 상기 제2스테이션의 하부에 나사체결되는 조리기기.
  21.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제2스테이션의 하부에는 상기 열원공간과 상기 제2스테이션의 내부를 연결하는 공기흡입구가 개방되고, 상기 제2스테이션의 하부에서 상기 가습장치를 벗어난 위치에는 상기 제2스테이션의 내부와 상기 조리실 사이를 연결하는 공기배출구가 개방되며, 상기 제2스테이션의 내부에는 상기 공기흡입구를 통해 조리실의 공기를 흡입하고 상기 공기배출구로 공기를 배출시키는 순환팬이 배치되는 조리기기.
  22. 청구항 21에 있어서, 상기 저수공간은 상기 제2스테이션의 하부에서 상기 공기흡입구와 상기 공기배출구의 사이에 해당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조리기기.
  2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스테이션의 하부에는 반사판이 구비되고, 상기 상부열원은 상기 반사판의 저면에 배치되는 조리기기.
  24. 청구항 23에 있어서, 상기 반사판의 중심부는 상부를 향해 함몰되고, 상기 반사판의 함몰된 중심부에 상기 상부열원이 배치되는 조리기기.
  25. 청구항 23에 있어서, 상기 반사판의 상부에는 단열판이 적층되고, 상기 단열판은 상기 반사판과 상기 제2스테이션의 내부에 배치된 전장품 사이에 배치되는 조리기기.
  26. 제1전원공급장치가 구비된 제1스테이션;
    상기 제1스테이션에 안착되어 상기 제1전원공급장치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고, 제1히터부를 내장한 제1트레이;
    상기 제1스테이션과의 사이에 조리실을 형성하는 제2스테이션;
    상기 제1트레이를 마주보도록 상기 제2스테이션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조리실을 가열하는 상부열원;과
    상기 제2스테이션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조리실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순환팬;을 포함하는 조리기기.
KR1020220089026A 2022-07-19 2022-07-19 조리기기 KR20240011511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9026A KR20240011511A (ko) 2022-07-19 2022-07-19 조리기기
PCT/KR2023/008214 WO2024019329A1 (ko) 2022-07-19 2023-06-14 조리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9026A KR20240011511A (ko) 2022-07-19 2022-07-19 조리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11511A true KR20240011511A (ko) 2024-01-26

Family

ID=896181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9026A KR20240011511A (ko) 2022-07-19 2022-07-19 조리기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40011511A (ko)
WO (1) WO2024019329A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5693Y1 (ko) 2000-09-28 2001-03-15 송정곤 열전소자를 이용한 조리된 음식물의 온도유지장치
US20060185527A1 (en) 2002-07-10 2006-08-24 Duke Manufacturing Company Food warming apparatus and method
KR20130062038A (ko) 2011-12-02 2013-06-12 현 우 박 음식물 보온용 가열장치
KR101944012B1 (ko) 2018-04-04 2019-04-17 김병훈 음식물 보온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1649B1 (ko) * 2004-12-22 2007-02-09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유아용 다기능 보관고
KR100928392B1 (ko) * 2008-09-10 2009-11-23 이진희 양방향 가열 조리기
JP2011050268A (ja) * 2009-08-31 2011-03-17 Sanyo Electric Co Ltd 食品保存庫
KR101695410B1 (ko) * 2015-03-13 2017-01-11 범일산업 주식회사 전자유도장치를 이용한 가마솥형 인덕션 밥솥
KR101975325B1 (ko) * 2018-05-25 2019-05-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복합 조리기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5693Y1 (ko) 2000-09-28 2001-03-15 송정곤 열전소자를 이용한 조리된 음식물의 온도유지장치
US20060185527A1 (en) 2002-07-10 2006-08-24 Duke Manufacturing Company Food warming apparatus and method
KR20130062038A (ko) 2011-12-02 2013-06-12 현 우 박 음식물 보온용 가열장치
KR101944012B1 (ko) 2018-04-04 2019-04-17 김병훈 음식물 보온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4019329A1 (ko) 2024-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50250187A1 (en) Heating cooker
CN108771489B (zh) 一种高效散热的电烹饪器具
US20060027560A1 (en) Convection part for electric oven range
EP3536198B1 (en) Steam generator for cooker
EP2418432A2 (en) Cooking apparatus
JP2001153371A (ja) 電子レンジ
US7045751B2 (en) Heating apparatus of microwave oven and food heating method
CN113854855A (zh) 空气炸锅烤箱
KR20240011511A (ko) 조리기기
CN112432264B (zh) 厨房空调一体机
KR20230110084A (ko) 조리기기
KR20230110082A (ko) 조리기기 및 조리기기의 제어방법
KR20230110083A (ko) 조리기기 및 조리기기의 제어방법
KR100646879B1 (ko) 전기오븐레인지의 오븐부 구조
CN109820411B (zh) 厨房电器
KR101411760B1 (ko) 전기오븐
KR20230110087A (ko) 전원공급장치 및 이를 갖는 조리기기
CN217488352U (zh) 一种烹饪器具及灶具
CN221012959U (zh) 一种烹饪器具
KR200365631Y1 (ko) 전기오븐레인지의 오븐부 구조
KR100646880B1 (ko) 전기오븐레인지의 오븐부 구조
CN216364716U (zh) 底座组件和烹饪装置
CN216907591U (zh) 锅体组件和烹饪器具
KR102445926B1 (ko) 과일 및 채소 냉장고
KR20050077334A (ko) 벽걸이형 전자레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