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10083A - 조리기기 및 조리기기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조리기기 및 조리기기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10083A
KR20230110083A KR1020220006162A KR20220006162A KR20230110083A KR 20230110083 A KR20230110083 A KR 20230110083A KR 1020220006162 A KR1020220006162 A KR 1020220006162A KR 20220006162 A KR20220006162 A KR 20220006162A KR 20230110083 A KR20230110083 A KR 202301100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king
air
guide
station
circul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061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대웅
소일섭
김현기
이원진
차현병
조연아
육지민
이상윤
오민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061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10083A/ko
Priority to PCT/KR2022/018723 priority patent/WO2023136463A1/ko
Publication of KR202301100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10083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12Multiple-unit cooking vessels
    • A47J27/13Tier 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9/00Heat-insulated warming chambers; Cupboards with heating arrangements for warming kitchen utensi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9/00Heat-insulated warming chambers; Cupboards with heating arrangements for warming kitchen utensils
    • A47J39/003Heat-insulated warming chambers; Cupboards with heating arrangements for warming kitchen utensil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9/00Heat-insulated warming chambers; Cupboards with heating arrangements for warming kitchen utensils
    • A47J39/02Dish-warmers; Devices to keep food ho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리기기와 조리기기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내부에 조리실(S)이 형성되는 조리하우징(500)과, 상기 조리하우징(500)의 일면을 구성하는 베이스 스테이션(10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베이스 스테이션(100)에 배치되는 공기조절장치(1700)는 상기 조리실(S)의 공기를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하거나, 다시 상기 조리실(S)로 공급하여 상기 조리실(S)의 공기를 순환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공기조절장치(1700)가 (i) 조리실(S)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키면 음식물의 습도를 유지할 수 있고, (ii) 공기를 배출시키면 음식물의 습도를 낮출 수 있다.

Description

조리기기 및 조리기기의 제어방법{Cooking applian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조리기기 및 조리기기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가정이나 식당에서 음식을 가열하기 위한 다양한 방식의 조리기기들이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마이크로파 오븐, 유도 가열 방식의 전기 레인지, 그릴 히터 등의 다양한 조리기기가 사용되고 있다.
이처럼 음식물을 조리하기 위한 장치들과 함께, 최근에는 음식물이 식지 않도록 보온하기 위한 조리기기들도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한국공개특허 10-2013-0062038(선행기술1)에는 음식물을 지속적으로 보온하기 위한 가열장치가 공개되어 있고, 한국등록특허 10-1944012(선행기술2)에는 음식물을 용기에 담겨진 상태로 일정한 온도로 가열 및 보온하기 위한 보온장치가 공개되어 있다. 그리고, 한국등록실용신안 20-0215693(선행기술3)에는 열전소자를 이용하여 조리된 음식물의 온도를 유지하는 장치가 공개되어 있다.
또한, 위의 선행기술들은 한가지 음식물을 조리하거나 보온하기 위한 것이며, 여러 음식을 동시에 조리 또는 보온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미국공개특허 US20060185527A1(선행기술4)는 벽고정물을 사이에 두고 구획된 두 개의 격실에 각각 음식물을 동시에 보온할 수 있는 장치를 제시하고 있다. 하지만 위 선행기술4는 두 격실의 온도를 제어할 수는 있으나, 조리물의 성질에 맞도록 습도를 조절하거나, 조리 방식을 선택하지는 못하는 한계가 있다.
그리고, 위의 선행기술들은 하부에 배치된 열원을 이용하여 음식물을 가열하는 방식이므로, 음식물의 아래쪽만 원활하게 가열 및 보온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의 조리기기들은 음식물을 전체적으로 고르게 가열하거나 보온하기 어려운 단점도 있다.
한국공개특허 10-2013-0062038(선행기술1) 한국등록특허 10-1944012(선행기술2) 한국등록실용 20-0215693(선행기술3) 미국공개특허 US20060185527A1(선행기술4)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음식물을 가열하는 온도 뿐 아니라, 음식물의 습도를 조절하여 다양한 조리/보관모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다른 목적은 하나의 공기조절장치로 다양한 조리/보관모드를 구현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또 다른 목적은 음식물의 하부 뿐 아니라, 대류방식을 이용하여 음식물을 전체적으로 고르게 가열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복수의 음식물을 독립적으로 조리/보관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음식물이 조리기기에서 꺼내진 상태에서도 음식물의 온도가 유지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내부에 조리실이 형성되는 조리하우징과, 상기 조리하우징의 일면을 구성하는 베이스 스테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베이스 스테이션에 배치되는 공기조절장치는 상기 조리실의 공기를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하거나, 다시 상기 조리실로 공급하여 상기 조리실의 공기를 순환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공기조절장치가 (i) 조리실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키면 음식물의 습도를 유지할 수 있고, (ii) 공기를 배출시키면 음식물의 습도를 낮출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공기조절장치의 고정가이드는 상기 조리실로 개방되는 순환개구부 및 상기 베이스 스테이션의 외부로 개방되는 배출개구부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기조절장치의 무빙가이드는 상기 고정가이드와 상대이동하면서 상기 순환개구부 또는 상기 배출개구부 중 어느 하나를 차단시킬 수 있다. 따라서 하나의 공기조절장치로 조리실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키거나 배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기조절장치에는 상기 조리실의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고정가이즈로 공급하는 조절팬이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가이드는 상기 조절팬을 사이에 두고 양쪽에 각각 배치되는 제1고정가이드와 제2고정가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고정가이드와 상기 제2고정가이드는 서로 결합되어 연속된 원호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 스테이션에는 상기 조리실과 연결되는 공기흡입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고정가이드에는 상기 공기흡입부와 연결되는 흡입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고정가이드에는 상기 조절팬을 통해 상기 흡입공간에 연결되는 연결통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통로는 상기 순환개구부 및 상기 배출개구부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통로에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각각 개구되는 상기 순환개구부와 상기 배출개구부가 연결될 수 있고, 상기 순환개구부는 상기 무빙가이드의 상기 순환연결부와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배출개구부는 상기 무빙가이드의 상기 배출연결부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복수개의 상기 순환연결부와 복수개의 상기 배출연결부는 상기 무빙가이드의 동작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순환개구부와 상기 배출개구부는 상기 제2고정가이드와 상기 무빙가이드의 상대이동 방향을 따라 같은 위치에서 서로 다른 방향으로 개방될 수 있고, 상기 순환연결부와 상기 배출연결부는 상기 제2고정가이드와 상기 무빙가이드의 상대이동 방향을 따라 서로 엇갈린 위치에서 서로 다른 방향으로 개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빙가이드는 제2고정가이드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무빙가이드와 상기 제2고정가이드는 서로 동심인 두 원형상의 일부를 각각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무빙가이드는 상기 순환개구부와 인접한 장착슬릿에 끼워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무빙가이드는 상기 순환연결부가 형성된 제1바디와, 상기 배출연결부가 형성된 제2바디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순환연결부가 상기 순환개구부와 엇갈리게 배치되면 상기 배출연결부는 상기 배출개구부와 연결될 수 있고, 상기 배출연결부가 상기 배출개구부와 엇갈리게 배치되면 상기 순환연결부가 상기 순환개구부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고정가이드에는 상기 순환개구부의 일측에 순환가이드펜스가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순환가이드펜스는 상기 순환개구부가 개방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고정가이드에는 상기 배출개구부의 일측에 배출가이드펜스가 구비될 수 있고, 상기 배출가이드펜스는 상기 배출개구부가 개방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공기조절장치는 상기 베이스 스테이션 내부에 형성된 제1수납공간의 중심보다 상기 베이스 스테이션의 반경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베이스 스테이션의 말단부에 더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조리모드가 선택되는 단계에 이어서, 습도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무빙가이드에 의해 상기 고정가이드의 순환개구부가 개방되고, 상기 고정가이드의 배출개구부는 차단되는 습도조리단계가 포함될 수 있다. 또는 건조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무빙가이드에 의해 상기 순환개구부가 차단되고, 상기 배출개구부는 개방되는 건조조리단계가 포함될 수 있다.
위에서 살핀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 및 조리기기의 제어방법에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는 공기조절장치가 구비되어, 조리실 내부의 공기를 순환하거나 배출시킬 수 있다. 이때, (i) 조리실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키면 음식물의 습도를 유지할 수 있고, (ii) 공기를 배출시키면 음식물의 습도를 낮출 수 있다. 따라서, 하나의 조리기기로 다양한 조리/보관모드를 제공할 수 있고, 조리기기의 활용도가 높아지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공기조절장치를 구성하는 무빙가이드가 이동하면서 조리실 내부의 온도를 순환시키거나, 외부로 배출할 수도 있다. 즉, 하나의 공기조절장치를 이용하여 두 가지 모드의 음식물 조리/보관이 모두 가능하다. 따라서 기능을 추가하면서도 조릭기기의 구조를 간단하게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공기조절장치는 무빙가이드의 이동거리에 따라 순환개구부 또는 배출개구부의 개방면적을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음식물을 보다 세밀하게 조리/보관할 수 있고, 조리기기의 제어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그리고, 트레이를 이용하여 음식물의 하부를 가열함과 동시에, 공기조절장치를 이용하여 조리실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킴으로써, 열대류방식을 이용하여 음식물을 전체적으로 고르게 가열할 수 있다. 따라서, 음식물의 조리 및 보관 품질을 높일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제1트레이와 제2트레이가 각각 제1스테이션과 제2스테이션에 장착될 수 있고, 제1트레이와 제2트레이에는 히터부가 각각 내장될 수 있다. 제1트레이와 제2트레이의 온도를 다르게 설정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여러 음식물의 온도를 기호에 맞춰 독립적으로 설정할 수 있고, 따라서 사용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조리기기의 스테이션으로부터 트레이를 분리하더라도, 트레이에 내장된 히터부가 음식물을 가열할 수 있다. 따라서, 조리기기로부터 음식물을 꺼낸 후에도 트레이가 음식물의 온도를 유지할 수 있고, 식사과정에서 음식물의 맛과 향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조리실의 내벽은 곡면으로 형성되고, 공기조절장치를 향한 상단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조리실 내벽의 형상으로 인해 공기가 조리실 내부를 원활하게 순환할 수 있고, 열대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외부형상은 원형이나 곡면 형상으로 만들어져, 전체적으로 곡면형태의 외관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조리기기는 전체적으로 통일성이 있는 미감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스테이션, 트레이 및 손잡이에는 각각 조명이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조명은 조리실 내부 뿐 아니라, 조리기기의 주변을 발광시킬 수 있다. 따라서 조리기기의 심미감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의 일실시례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일실시례에서 도어가 일부 열린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일실시례에서 도어가 완전히 열린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도 1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제1트레이와 제2트레이가 각각 제1스테이션 및 제2스테이션에서 분해된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5는 도 1의 V-V'선에 대한 단면도.
도 6은 도 1의 VI-VI'선에 대한 단면도.
도 7은 도 6에서 제1스테이션 및 제1트레이의 부분을 보인 단면도.
도 8은 도 7의 일부 구조를 확대하여 보인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제1스테이션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제1스테이션의 구조를 도 9와 다른 각도에서 보인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제1스테이션을 구성하는 부품을 분해하여 보인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제1스테이션의 내부구조를 보인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제1스테이션에 제1베어링이 장착된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제1스테이션에 도어가 결합된 모습을 보인 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제1스테이션에 포함된 제1공기조절장치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16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제1스테이션의 제1공기조절장치가 공기를 배기시키는 모습을 보인 단면도.
도 17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제1스테이션에 포함된 제1공기조절장치의 구성을 도 15와 다른 각도에서 보인 사시도.
도 18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제1스테이션의 제1공기조절장치가 공기를 배기시키는 모습을 도 16과 다른 각도에서 보인 단면도.
도 19는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제1트레이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20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제1트레이의 구조를 도 19와 다른 각도에서 보인 사시도.
도 21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제1트레이를 구성하는 부품을 분해하여 보인 사시도.
도 22는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제1트레이의 내부 구조를 보인 단면도.
도 23은 도 22는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제2트레이가 제2스테이션 위에 배치된 모습을 보인 단면도.
도 24는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제2스테이션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25는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제2스테이션의 구조를 도 24와 다른 각도에서 보인 사시도.
도 26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제2스테이션을 구성하는 부품을 분해하여 보인 사시도.
도 27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제2스테이션의 내부 구조를 보인 단면도.
도 28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제2스테이션와 도어가 결합된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29는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제2스테이션에 제2베어링이 결합된 모습을 보인 단면도.
도 30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제2공기조절장치가 제2스테이션에 구비된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31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제2스테이션의 하부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32는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전원어댑터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33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전원어댑터의 내부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34는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전원어댑터가 제1스테이션의 전원부에 결합된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35와 도 36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전원어댑터가 제1스테이션의 전원부에 결합되기 전/후의 모습을 각각 보인 단면도.
도 37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의 조리실 내부에서 공기가 제1모드로 순환되는 모습을 보인 단면도.
도 38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의 조리실 내부에서 공기가 제2모드로 순환되는 모습을 보인 단면도.
도 39는 본 발명의 일실시례의 조리실 내부에서 공기가 제3모드로 순환되는 모습을 보인 단면도.
도 40은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의 다른 실시례를 보인 사시도.
도 41은 도 40에 도시된 실시례를 구성하는 제1스테이션의 부품을 분해하여 보인 사시도.
도 42는 도 40에 도시된 실시례를 구성하는 제1스테이션의 부품을 분해하여 도 41과 다른 각도에서 보인 사시도.
도 43은 도 40에 도시된 실시례를 구성하는 제1스테이션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44는 도 40에 도시된 실시례의 제1스테이션을 구성하는 공기조절장치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45는 도 40에 도시된 실시례의 제1스테이션을 구성하는 공기조절장치의 구성을 도 44와 다른 각도에서 보인 사시도.
도 46은 도 40에 도시된 실시례의 제1스테이션을 구성하는 공기조절장치가 공기순환모드인 상태를 보인 평면도.
도 47은 도 40에 도시된 실시례의 제1스테이션을 구성하는 공기조절장치가 공기순환모드인 상태를 보인 정면도.
도 48은 도 40에 도시된 실시례의 제1스테이션을 구성하는 공기조절장치가 공기배출모드인 상태를 보인 평면도.
도 49는 도 40에 도시된 실시례의 제1스테이션을 구성하는 공기조절장치가 공기배출모드인 상태를 보인 정면도.
도 50은 도 40에 도시된 실시례의 제1스테이션을 구성하는 공기조절장치의 제1순환프레임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51은 도 40에 도시된 실시례의 제1스테이션을 구성하는 공기조절장치의 제1순환프레임의 구조를 도 50과 다른 각도에서 보인 사시도.
도 52는 도 40에 도시된 실시례의 제1스테이션을 구성하는 공기조절장치의 제2순환프레임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53 및 도 54는 도 40에 도시된 실시례의 제1스테이션을 구성하는 공기조절장치가 공기순환모드 및 공기배출모드인 상태를 각각 보인 사시도.
도 55는 도 40에 도시된 실시례의 조리실 내부에서 공기가 공기순환모드로 순환되는 모습을 보인 단면도.
도 56은 도 40에 도시된 실시례의 조리실 내부에서 공기가 공기배출모드로 순환되는 모습을 보인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례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례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은 조리기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음식물(피조리물)을 가열하여 조리를 하거나, 음식물의 온도를 유지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본 발명에는 음식물을 가열할 수 있는 트레이가 포함되고, 상기 트레이는 스테이션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스테이션과 상기 트레이의 구조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1을 보면,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의 일실시례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보듯이, 본 실시례의 조리기기는 대략 원통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조리기기를 구성하는 제1스테이션(100)과 제2스테이션(300)은 원판형상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스테이션(100)과 상기 제2스테이션(300) 사이를 연결하는 조리하우징(500)은 대략 원통형상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스테이션(100)과 제2스테이션(300) 및 상기 조리하우징(500)이 만드는 조리기기의 전체 외관형상은 대부분 곡면형태를 띄는 원통이 될 수 있다.
본 실시례의 조리기기는 서로 구획된 두 개의 조리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두 개의 조리공간 중 조리실(S)은 제1조리공간이 되고, 제2트레이(200B)의 상부는 제2조리공간이 될 수 있다. 여기서 조리실(S)은 상기 제1스테이션(100)과 제2스테이션(300) 및 상기 조리하우징(500)에 의해 감싸지는 빈 공간일 수 있다. 도 2와 도 3을 보면, 아래에서 설명될 도어(550)가 열리면서 상기 조리실(S)이 외부로 드러나는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도 2는 상기 도어(550)가 절반 정도 열린 상태라면, 도 3은 상기 도어(550)가 완전히 개방된 상태로 볼 수 있다.
도 3과 같이 상기 도어(550)가 완전히 개방되면, 제1트레이(200A)를 조리실(S) 외부로 꺼낼 수 있는 상태가 된다. 도 4를 보면, 상기 제1트레이(200A)와, 상기 제2스테이션(300)에 배치된 제2트레이(200B)가 모두 조리기기에서 이탈된 모습을 볼 수 있다. 이처럼, 본 실시례에서는 음식물이 담기는 상기 제1트레이(200A)와 상기 제2트레이(200B)가 조리기기에서 분리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트레이(200A)와 상기 제2트레이(200B)는 모두 히터부(280)를 가지고 있고 별도의 배터리(270)를 내장하고 있으므로, 상기 제1트레이(200A)나 제2트레이(200B)는 사용자가 식사를 하는 동안 음식물의 온도를 유지해줄 수 있다.
도 5를 보면, 본 실시례의 조리기기의 내부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보듯이, 제1조리공간인 상기 조리실(S)은 밀폐된 공간일 수 있다. 그리고 제2조리공간인 상기 제2트레이(200B)의 상부는 개방된 공간일 수 있다. 물론, 상기 도어(550)가 열리면 상기 조리실(S)도 개방된 공간으로 변경될 수 있다.
상기 조리실(S)은 단순히 음식물을 가열하는데 그치지 않고, 상기 조리실(S)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켜서 음식물의 습도를 유지하거나, 공기를 연속적으로 배출시키면서 음식물의 습도를 낮추는데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리실(S)에서는 제1트레이(200A)에 의해 음식물의 하부가 직접 가열될 수 있고, 상기 조리실(S) 내부를 순환하는 대류열을 통해 음식물이 가열될 수도 있다.
도 6을 보면, 본 실시례에서는 복수의 조명부가 상기 조리실(S) 내부와, 조리기기 외부로 빛을 조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보면, 상기 제2스테이션(300)에 스테이션조명부(390)가 구비되고, 상기 제1트레이(200A)와 제2트레이(200B)에 각각 트레이조명부(290)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스테이션(100)과 상기 제2스테이션(300)의 주변을 감싸는 형태로 구비된 손잡이(600)에도 손잡이조명부(620)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조명장치들은 아래에서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와 도 8에는 제1스테이션(100)과 제1트레이(200A)의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보듯이, 상기 제1스테이션(100)의 위에 제1트레이(200A)가 안착될 수 있다. 상기 제1스테이션(100)은 조리기기의 하부구조를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제1트레이(200A)가 안착되는 장소일 수 있다. 상기 제1스테이션(100)은 상기 제1트레이(200A)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제1스테이션(100)이 상기 제1트레이(200A)에 전원을 공급하는 구조는 아래에서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
도 9와 도 10을 보면, 상기 제1스테이션(100)의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보듯이, 상기 제1스테이션(100)은 대략 원판구조일 수 있다. 상기 제1스테이션(100)의 위쪽에는 상기 제1트레이(200A)가 안착될 수 있고, 아래쪽은 조리기기의 바닥면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스테이션(100)은 조리기기의 제1스테이션(100)으로 볼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제1스테이션(100)은 다각형상을 비롯해 다른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상기 제1스테이션(100)의 가장자리에는 복수의 안착레그(11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안착레그(112)는 상기 제1스테이션(100)이 지면에 지지될 수 있게 한다. 상기 안착레그(112)는 아래에서 설명될 손잡이(600)의 하단과 함께 조리기기가 지면에 안착되는 부분이 될 수 있다.
상기 제1스테이션(100)은 복수의 부품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1을 보면, 상기 제1스테이션(100)이 분해된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이에 보듯이, 상기 제1스테이션(100)에는 하부플레이트(110)와 상부플레이트(120)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하부플레이트(110)는 아래로 함몰된 구조일 수 있다. 상기 상부플레이트(120)는 상기 하부플레이트(110)의 상부에 결합되어 그 사이에 제1수납공간(111)(도 5참조)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하부플레이트(110)에는 공기배출부(115)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공기배출부(115)는 상기 제1수납공간(111)을 외부와 연결하는 일종의 통로로 볼 수 있다. 상기 공기배출부(115)는 상기 하부플레이트(110)의 외주면을 따라 길게 형성되는 슬릿구조일 수 있다. 상기 공기배출부(115)는 상기 하부플레이트(110)에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공기배출부(115)는 공기가 원활하게 배출되도록 상기 하부플레이트(110)의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공기배출부(115)는 상기 하부플레이트(110)의 상단부 보다 하단부에 가깝게 형성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하부플레이트(110)에는 전원부(19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전원부(190)에는 외부의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어댑터(700)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전원어댑터(700)가 상기 전원부(190)에 결합되면, 외부의 교류전류가 상기 전원어댑터(700)에 의해 직류로 변환된 후에 상기 제1스테이션(100)에 공급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전원부(190)는 수신모듈이라할 수 있고, 상기 전원어댑터(700)는 공급모듈로 볼 수 있고, 상기 전원부(190)와 상기 전원어댑터(700)는 전원공급장치를 구성할 수 있다. 도면부호 190a는 상기 전원어댑터(700)가 삽입되는 입구를 나타낸다. 상기 전원부(190)와 상기 전원어댑터(700)는 아래에서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
도 9를 보면, 상기 상부플레이트(120)에는 베어링장착부(12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베어링장착부(122)는 상기 상부플레이트(120)의 중심에 배치되는 안착베이스(130)의 바깥쪽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베어링장착부(122)는 상부플레이트(120)의 아래쪽으로 함몰된 구조일 수 있다. 상기 베어링장착부(122)는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여기에는 링형태의 제1베어링(140)이 배치될 수 있다. 도 8에는 상기 베어링장착부(122)에 제1베어링(140)이 배치된 모습이 되시되어 있다.
다시 도 9를 보면, 상기 상부플레이트(120)에는 공기흡입부(125)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공기흡입부(125)는 상기 조리실(S)을 향해 개방될 수 있다. 상기 공기흡입부(125)를 통해 흡입된 공기는 상기 공기배출부(115)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거나, 또는 다시 공기흡입부(125)를 통해 조리실(S)로 공급될 수도 있다. 복수개의 공기흡입부(125)들이 대략 원형의 경로를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공기흡입부(125)는 연속된 하나의 구멍형태일 수도 있다.
상기 공기흡입부(125)는 상기 상부플레이트(120)에 경사진 형태로 형성된 플레이트경사부(123,124)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경사부(123,124)는 제1경사부(123)와 제2경사부(12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경사부(123)는 상기 제2경사부(124)와 연결되고, 상기 조명장착부(314)를 향해 하향경사진 구조일 수 있다. 상기 제2경사부(124)는 상기 안착베이스(130)로부터 상향경사진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경사부(124)는 상기 제1스테이션(100)의 중심부에 오목한 형태를 만들어낼 수 있고, 그 안쪽에 상기 안착베이스(130)가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트레이(200A)가 상기 안착베이스(130)에 정렬될 수 있다.
상기 안착베이스(130)는 아래에서 설명될 제1전원공급장치(150)와 수신모듈(250) 사이의 무선충전을 방해하지 않도록 비금속재질로 만들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안착베이스(130)는 대략 원판구조일 수 있다. 상기 안착베이스(130)는 상기 상부플레이트(120)에 조립되는 별개물로 구성될 수도 있으나, 이와 달리 상기 상부플레이트(120)와 일체일 수도 있다.
상기 제1베어링(140)은 대략 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베어링(140)은 상기 도어(550)의 하단에 연결되어, 상기 도어(550)가 원활하게 슬라이딩될 수 있게 한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제1베어링(140)에는 볼이 포함되어 상기 도어(550)가 슬라이딩되면서 여닫힐 때 마찰을 줄일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상기 제1베어링(140)은 원주방향을 따라 두께가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베어링(140)에는 상기 제1베어링(140)의 원주방향을 따라 제1마찰부(141), 제2마찰부(143) 및 제3마찰부(145)가 연속적으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1마찰부(141)와 상기 제2마찰부(143)가 서로 두께가 달라 둘 사이에 단차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마찰부(143)와 상기 제3마찰부(145)도 서로 두께가 달라 둘 사이에 단차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단차는 도어(550)의 하단부(560)에 형성된 단차(미도시)와 맞물리는 부분이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베어링(140)의 단차는 상기 도어(550)가 상기 제1베어링(140)에 끼워진 후에 다시 분리되지 못하도록 스토퍼역할도 할 수 있다. 상기 제1마찰부(141)와 상기 제2마찰부(143)는 조리기기의 조립시에 상기 도어(550)가 상기 제1스테이션(100)에 끼워지는 부분으로 볼 수 있다. 상기 제1마찰부(141)와 상기 제2마찰부(143)는 상기 도어(550)가 회전할 때 열리는 구역에 형성될 수 있고, 제3마찰부(145)는 회전된 도어(550)가 조리하우징(500)의 고정하우징(510)과 겹치는 구역에 구비된다고 볼 수 있다.
도 14를 보면, 상기 제1베어링(140)에는 상기 도어(550)의 하단부(560)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도어(550)의 하단부(560)는 상기 제1베어링(140)과 접촉된 상태로 슬라이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도어(550)의 하단부(560)에는 자석부(57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자석부(570)는 상기 도어(550)의 하단부(560)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자석부(570)는 상기 도어(550)와 함께 회전할 수 있고, 특정 위치에서 상대자석 또는 금속에 고정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이러한 상대자석 또는 금속은 상기 제1스테이션(100) 또는 상기 제1베어링(140)에 구비된 것일 수 있다.
다시 도 11을 보면, 상기 제1수납공간(111)에는 메인제어부(160)와 제1전원공급장치(15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메인제어부(160)는 상기 제1전원공급장치(150)와 아래에서 설명될 제1공기조절장치(17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제어부(160)는 아래에서 설명될 제2전원공급장치(350)와 제2공기조절장치(370)도 함께 제어할 수도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제2스테이션(300)에는 별도의 제2제어부(미도시)가 구비되고, 상기 제2제어부가 상기 제2전원공급장치(350)와 상기 제2공기조절장치(370)를 제어할 수도 있다.
상기 제1전원공급장치(150)는 상기 제1트레이(200A)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제1전원공급장치(150)는 유선 또는 무선 방식으로 상기 제1트레이(200A)의 수신모듈(25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트레이(200A)가 상기 제1스테이션(100)에 안착되면, 상기 제1전원공급장치(150)의 단자부(미도시)와 상기 제1트레이(200A)의 상대단자부(미도시)가 서로 맞물려 제1트레이(200A)의 히터부(280)에 전원이 공급될 수 있다. 상기 제1전원공급장치(150)는 상기 수신모듈(250)과 함께 하나의 전원공급부(WC1)를 형성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제1전원공급장치(150)에는 제1송신모듈이 포함되고, 상기 제1송신모듈은 상기 제1트레이(200A)의 수신모듈(250)에 무선으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즉, 각각 코일을 포함하는 상기 제1송신모듈과 상기 수신모듈(250) 사이의 자기공명결합(Magnetic resonant coupling)에 의해 무선충전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송신모듈은 소스코일(Source coil)과 송신 공진코일(Tx resonant coil)로 구성될 수 있고, 상기 수신모듈(250)은 수신 공진코일(Rx resonant coil)과 로드 코일(Load coil)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스테이션(100)에는 제1공기조절장치(170)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1공기조절장치(170)는 상기 조리실(S) 내부의 공기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공기조절장치(170)가 작동하면 상기 조리실(S)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렇게 되면, 상기 조리물의 가열과정에서 발생한 습기가 외부로 배출되고, 상기 조리실(S)은 건조한 상태가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조리물의 습기도 낮아져, 조리물이 바삭한 식감을 제공할 수 있다.
반대로 상기 제1공기조절장치(170)가 작동하지 않으면, 상기 조리실(S)의 공기가 배기되지 않으므로 습도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공기조절장치(170)를 구성하는 제1모터(미도시)가 반대로 작용하여, 상기 조리실(S)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도 있다.
상기 제1공기조절장치(170)는 상기 상부플레이트(120)의 아래쪽에 배치되어 상기 상부플레이트(120)의 공기흡입부(125)와, 상기 하부플레이트(110)의 공기배출부(115) 사이를 연결할 수 있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제1공기조절장치(170)는 상기 공기흡입부(125)를 통해 상기 조리실(S)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고, 흡입한 공기를 공기배출부(115)를 통해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상기 제1공기조절장치(170)에는 공기의 흡입을 위한 구조와 배출을 위한 구조가 포함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제1공기조절장치(170)는 상기 제1수납공간(111)의 바깥쪽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공기조절장치(170)는 상기 제1수납공간(111)의 중심에서 벗어난 바깥쪽에 배치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조리실(S) 내부의 공기는 상기 조리하우징(500)의 내벽을 따라 순환되면서 상기 조리하우징(500)의 아래쪽으로 이동하므로, 상기 제1공기조절장치(170)가 제1스테이션(100)의 바깥쪽에 배치되면 흡입되는 공기량이 증가될 수 있다.
상기 제1공기조절장치(170)의 구조를 보면, 상기 제1공기조절장치(170)는 제1흡기덕트(171)와, 제1조절팬(180), 그리고 제1배기덕트(18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흡기덕트(171)는 상기 공기흡입부(125)와 연결될 수 있고, 상기 제1배기덕트(185)는 상기 공기배출부(115)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조절팬(180)은 상기 제1흡기덕트(171)와 상기 제1배기덕트(185)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흡기덕트(171)는 상기 제1수납공간(111)의 내부에서 제1스테이션(100)의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보다 정확하게는, 도 17에서 보듯이, 상기 제1흡기덕트(171)는 상기 상부플레이트(120)와 동심을 이루면서 원호형상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렇게 되면, 상기 조리실(S) 내부의 공기가 여러방향에서 상기 제1흡기덕트(171)로 흡입될 수 있다. 참고로 도 17에는 상기 상부플레이트(120)의 중심에 배치되는 가열플레이트(230)가 생략되고, 상기 제1공기조절장치(170)가 드러난 상태이다.
도 16와 도 18을 보면, 상기 제1흡기덕트(171)의 내부에는 흡입공간(17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흡입공간(172)은 일종의 빈 공간으로, 상기 제1흡기덕트(171)와 같은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흡입공간(172)의 한쪽에는 상기 공기흡입부(125)를 향해 개방되는 흡기구(17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흡기구(173)는 상기 제1흡기덕트(171)의 가장자리를 따라 원호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흡입공간(172)의 아래쪽에는 팬연결구(175)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팬연결구(175)는 상기 제1조절팬(180)을 향해 개구된 부분이다. 상기 팬연결구(175)를 통해서 상기 흡입공간(172)의 공기가 상기 제1조절팬(180)으로 전달될 수 있다. 상기 팬연결구(175)는 상기 제1조절팬(180)에 대응하는 원형상일 수 있다.
상기 팬연결구(175)의 아래쪽에는 제1조절팬(180)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조절팬(180)은 제1모터(미도시)에 의해 회전하면서 공기를 흡입 및 배출할 수 있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제1조절팬(180)은 상기 제1흡기덕트(171)를 통해 조리실(S)의 공기를 흡입하고, 흡입된 공기를 상기 제1배기덕트(185)로 배출할 수 있다.
도 15에서 보듯이, 본 실시례에서 상기 제1조절팬(180)은 한 쌍(180A,180B)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제1조절팬(180A,180B)은 동일한 구조를 가질 수 있고, 상기 제1흡기덕트(171)의 원주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제1조절팬(180A,180B)은 서로 동일한 구조를 가지고 동일한 역할을 하므로, 이하에서는 상기 제1조절팬(180A,180B)에는 하나의 부호(180)를 부여하고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제1조절팬(180)에는 제1배기덕트(185)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배기덕트(185)는 상기 제1조절팬(180)에 연결되고, 상기 제1조절팬(180)에 의해 흡입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15를 보면, 본 실시례에서 상기 제1배기덕트(185)도 상기 제1조절팬(180)과 마찬가지로 한 쌍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한 쌍의 제1배기덕트(185) 중 어느 하나를 기준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6을 보면, 상기 제1조절팬(180)에는 상기 팬연결구(175)와의 연결을 위한 팬연통구(181)가 개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1배기덕트(185)는 상기 하부플레이트(110)의 반경 방향으로 개방될 수 있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제1배기덕트(185)에는 상기 하부플레이트(110)의 반경방향을 따라 바깥쪽으로 개구되는 배기구(186)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배기덕트(185)에서 배출된 공기는 상기 하부플레이트(110)의 공기배출부(115)를 통해 조리기기의 바깥쪽으로 배출될 수 있다.
도 15에서 보듯이, 상기 제1배기덕트(185)는 상기 하부플레이트(110)의 반경방향을 따라 점점 넓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제1배기덕트(185)는 상기 조리실(S) 내부의 공기를 보다 원활하게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위의 실시례와 달리, 상기 제1배기덕트(185)는 상기 제1공기조절장치(170)에 하나만 구비될 수도 있다.
도 16에는 공기의 흐름이 표시되어 있다. 먼저 상기 제1조절팬(180)이 작동하면, 상기 상부플레이트(120)의 공기흡입부(125)와 연결되어 있는 상기 제1흡기덕트(171)를 통해 상기 조리실(S) 내부의 공기가 상기 흡입공간(172)으로 흡입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흡입공간(172)의 공기는 상기 팬연결구(175)를 통해 상기 제1조절팬(180)으로 전달되고, 상기 제1조절팬(180)은 공기를 상기 제1배기덕트(185)로 토출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제1배기덕트(185)의 배기구(187)를 통해 공기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도 18에도 공기의 흐름이 도시되어 있는데, 도 18에는 상기 하부플레이트(110)가 생략되고, 상기 제1공기조절장치(170)만 도시되어 있다. 이에 보듯이, 상기 제1흡기덕트(171)의 흡기구(173)는 상기 제1흡기덕트(171)의 길이방향인 원주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흡기구(173)를 통한 공기의 흡입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면부호 186은 상기 제1배기덕트(185)에서 상기 제1조절팬(180) 방향으로 개구된 배기전달구를 나타낸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제1트레이(200A)를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제1트레이(200A)는 상기 제1스테이션(100)의 상부에 안착되거나, 상기 제1스테이션(100)에서 분리될 수 있다. 상기 제1트레이(200A)가 상기 제1스테이션(100)에 안착되면 상기 제1스테이션(100)에서 전원을 공급받고, 상기 제1조리실(S) 내부의 조리물을 가열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그리고, 상기 제1트레이(200A)가 상기 제1스테이션(100)에서 분리되면, 사용자가 상기 제1트레이(200A)를 일종의 용기로 사용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제1트레이(200A)에는 히터부(280)와 배터리(270)가 구비되므로, 상기 제1트레이(200A)를 제1스테이션(100)에서 분리해도 소정의 시간 동안 히터부(280)가 작동하면서 음식물의 온도를 유지해줄 수 있다.
참고로, 상기 제1트레이(200A)는 상기 제2스테이션(300)에 배치되는 제2트레이(200B)와 동일한 구조일 수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제1트레이(200A)를 기준으로 설명하고, 상기 제2트레이(200B)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9 내지 도 21에는 상기 제1트레이(200A)의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보듯이, 상기 제1트레이(200A)는 대략 원판형상일 수 있다. 상기 제1트레이(200A)는 그 위에 조리물을 올려두는 용도(도 4참조)로 사용되므로, 상면이 평면이거나 오목한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트레이(200A)의 저면은 상기 제1스테이션(100)에 안착되고, 상면은 음식물을 올려두는 곳이 된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제1트레이(200A)는 히터부(280)를 내장하여 음식물을 가열할 수 있다. 특히, 상기 히터부(280)는 배터리(270)를 통해서도 구동될 수 있으므로, 상기 제1트레이(200A)가 상기 제1스테이션(100)에서 분리되어도 소정의 시간 동안 상기 음식물을 가열할 수 있다.
도 21을 보면, 상기 제1트레이(200A)에는 지지플레이트(210), 안착플레이트(220), 수신모듈(250), 트레이제어부(260), 배터리(270) 및 히터부(280)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지지플레이트(210)와 상기 안착플레이트(220)는 결합되어 그 사이에 가열공간(211)이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열공간(211)에는 상기 수신모듈(250), 상기 트레이제어부(260), 상기 배터리(270) 및 상기 히터부(28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지지플레이트(210)는 하부로 함몰된 그릇형태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플레이트(210)의 상부에는 상기 지지플레이트(210) 보다 직경이 큰 안착플레이트(22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안착플레이트(220)의 중심에는 상기 히터부(280)의 열을 상기 조리물에 전달하는 가열플레이트(23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가열플레이트(230)는 상기 히터부(280)의 열을 음식물에 전달할 수 있는 다양한 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가열플레이트(230)는 금속재질로 만들어진다.
상기 수신모듈(250)은 상기 제1스테이션(100)의 제1송신모듈과의 사이에 유도 결합(inductive coupling)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수신모듈(250)은 수신 공진코일(Rx resonant coil)과 로드 코일(Load coil)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신모듈(250)은 상기 배터리(270)와 연결되어 상기 배터리(270)를 충전할 수 있다. 상기 제1송신모듈의 소스코일에 교류 전원이 인가되면 특정한 진동 주파수를 가진 자기장이 형성될 수 있다. 이 자기장이 송신 공진코일에 인가되어 소스코일과 송신 공진코일 간에 유도 결합(inductive coupling)이 형성된다. 그리고 송신 공진코일은 같은 공진 주파수를 갖는 상기 수신모듈(250)의 수신 공진코일과 자기공명결합을 형성하여 전력을 전달할 수 있다. 그리고 수신 공진코일은 다시 로드 코일과 유도 결합을 형성하여 로드 코일에 전류를 유도하고, 부하(load)에 전류를 전달할 수 있다.
상기 트레이제어부(260)는 상기 수신모듈(250)과 상기 히터부(28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트레이제어부(260)는 상기 수신모듈(250)을 제어하여 상기 배터리(270)를 충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트레이제어부(260)는 상기 히터부(280)를 온/오프시킬 수 있다. 상기 트레이제어부(260)는 상기 제1스테이션(100)의 메인제어부(160)와 연결되어, 상기 메인제어부(160)에 의해 제어될 수도 있다.
상기 히터부(280)는 상기 배터리(270)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히터부(280)는 상기 배터리(27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열을 발생시킬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히터부(280)는 평판타입의 히터일 수 있다. 상기 히터부(280)는 카본히터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히터부(280)는 상기 가열플레이트(230)에 밀착되고, 상기 트레이제어부(260)의 제어신호에 따라 원적외선 열을 발생시킬 수 있다.
만약 상기 전원부(190)를 통해 외부 전원이 공급되고 있는 상태라면, 상기 트레이제어부(260)는 상기 배터리(270)가 상기 히터부(280)에 전원을 공급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전원부(190)의 전원이 직접 히터부(280)에 전달되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배터리(270)는 생략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외부전원을 통해서만 상기 히터부(280)가 가열될 수 있다. 배터리(270)가 생략되더라도, 상기 히터부(280)는 가열된 후에 서서히 식기 때문에, 그 동안에 음식물을 보온할 수 있다.
상기 제1트레이(200A)에는 트레이조명부(29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트레이조명부(290)는 상기 제1트레이(200A)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트레이조명부(290)는 대략 링 형상이고, 상기 트레이조명부(290)의 내부에는 복수의 LED가 실장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지지플레이트(210) 보다 큰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이렇게 되면, 도 20에서 보듯이, 상기 트레이조명부(290)는 상기 지지플레이트(210)를 감싸는 구조가 될 수 있다. 상기 트레이조명부(290)는 상기 제1트레이(200A)의 아래쪽으로 빛을 조사하여 조리기기의 미감을 높일 수 있다.
도 22를 보면, 상기 가열공간(211) 내부의 중심에는 트레이제어부(26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트레이제어부(260)의 양쪽에는 한 쌍의 배터리(270)가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트레이제어부(260)의 아래쪽에 상기 수신모듈(250)이 배치되고, 반대편인 위쪽에는 히터부(280)가 배치될 수 있다.
도 23을 보면, 상기 히터부(280)와 상기 트레이제어부(260) 사이에는 단열플레이트(285)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단열플레이트(285)는 상기 히터부(280)의 열이 상기 트레이제어부(260), 배터리(270), 수신모듈(250) 등에 전달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상기 단열플레이트(285)는 단열성이 높은 재질로 만들어지고, 상기 히터부(280) 보다 큰 직경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단열플레이트(285)는 상기 제1트레이(200A)에서 생략될 수도 있다.
도 23에는 제2스테이션(300)과 제2트레이(200B)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제2스테이션(300)은 상기 제1스테이션(100)과 높이를 달리하여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제2스테이션(300)은 상기 제1스테이션(100) 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제1스테이션(100)과 상기 제2스테이션(300) 사이에 상기 조리실(S)이 마련된다. 이와 달리, 상기 제1스테이션(100)이 상기 제2스테이션(300)의 위쪽에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제2스테이션(300)의 위에는 제2트레이(200B)가 배치되는데, 상기 조리실(S)과 달리 상기 제2트레이(200B)의 위쪽은 노출된 공간일 수 있다.
상기 제1스테이션(100)이 상기 조리실(S)의 바닥면을 구성한다고 보면, 상기 제2스테이션(300)은 상기 조리실(S)의 천장면을 구성한다고 볼 수 있다. 상기 제2스테이션(300)은 (i) 상기 제2트레이(200B)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고, (ii) 상기 조리실(S)의 공기를 순환시킬 수 있으며, (iii) 상기 조리실(S)에 빛을 조사할 수 있으며, (iv) 제2베어링(340)을 사이에 두고 상기 조리하우징(500)이 상단부를 지지할 수 있다.
도 24 내지 도 26을 참조하여 상기 제2스테이션(300)의 구조를 보면, 상기 제2스테이션(300)은 수납플레이트(310), 커버플레이트(330) 및 제2공기조절장치(37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5에서 보듯이, 상기 수납플레이트(310)는 대략 원판구조일 수 있다. 상기 수납플레이트(310)는 상기 제2스테이션(300)의 골격을 형성할 수 있다.
도 26을 보면, 상기 수납플레이트(310)의 상부에는 제2수납공간(31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수납공간(311)은 상기 수납플레이트(310)의 일부가 아래쪽으로 함몰된 구조일 수 있다. 상기 제2수납공간(311)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제2공기조절장치(370)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수납공간(311)에는 무선충전을 위한 제2전원공급장치(35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전원공급장치(350)는 상기 제2트레이(200B)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제2전원공급장치(350)는 유선 또는 무선 방식으로 상기 제2트레이(200B)의 수신모듈(25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트레이(200B)가 상기 제2스테이션(300)에 안착되면, 상기 제2전원공급장치(350)의 단자부(미도시)와 상기 제2트레이(200B)의 상대단자부(미도시)가 서로 맞물려 제2트레이(200B)의 히터부(280)에 전원이 공급될 수 있다. 상기 제2전원공급장치(350)는 상기 수신모듈(250)과 함께 하나의 전원공급부(WC2)를 형성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제2전원공급장치(350)에는 제2송신모듈이 포함되고, 상기 제1송신모듈은 상기 제2트레이(200B)의 수신모듈(250)에 무선으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즉, 각각 코일을 포함하는 상기 제2송신모듈과 상기 수신모듈(250) 사이의 자기공명결합(Magnetic resonant coupling)에 의해 무선충전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2전원공급장치(350)의 구조는 상기 제1전원공급장치(150)이 구조와 유사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수납플레이트(310)에는 조명장착부(314)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조명장착부(314)는 상기 제2수납공간(311)과 마찬가지로, 상기 수납플레이트(310)의 일부가 아래쪽으로 함몰된 구조일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조명장착부(314)는 상기 제2수납공간(311)과 동심구조이고, 상기 제2수납공간(311)을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수납공간(311)은 상기 조명장착부(314)와 구획되어, 제2수납공간(311)의 열기가 상기 조명장착부(314)에 전달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조명장착부(314)의 바깥쪽에는 상기 조명장착부(314)와 구별되는 빈 공간인 에어덕트(31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에어덕트(313)는 상기 제2수납공간(311)과 연결되어, 상기 조리실(S)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경로의 일부가 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에어덕트(313)와 상기 제2수납공간(311) 사이를 연결하는 별도의 파이프구조가 추가될 수도 있다.
상기 수납플레이트(310)의 바깥쪽에는 확장플레이트(320)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확장플레이트(320)는 대략 중심이 비어 있는 원판구조일 수 있다. 상기 확장플레이트(320)는 상기 수납플레이트(310)의 외측단부를 감싸면서, 상기 제2스테이션(300)의 전체 직경을 크게 하는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확장플레이트(320)는 상기 제2스테이션(300)의 직경을 크게 하여, 상기 제2트레이(200B)가 안착되는 면적을 넓힐 수 있다. 상기 확장플레이트(320)는 생략되거나, 상기 수납플레이트(310)에 일체로 만들어질 수도 있다.
상기 수납플레이트(310)의 상부에는 커버플레이트(33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커버플레이트(330)는 상기 제2수납공간(311)과 상기 조명장착부(314)를 덮을 수 있다. 상기 커버플레이트(330)는 상기 제2송신모듈과 상기 제2트레이(200B)의 수신모듈(250) 사이의 무선충전을 방해하지 않도록 비금속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커버플레이트(330)의 위에 상기 제2트레이(200B)가 안착된다고 볼 수 있다.
상기 제2스테이션(300)에는 제2베어링(340)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베어링(340)은 상기 도어(550)의 상단부(580)와 연결되어, 상기 도어(550)가 원활하게 회전될 수 있게 할 수 있다. 상기 제2베어링(340)은 도 26에서 보듯이, 대략 링형태일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제2베어링(340)은 상기 수납플레이트(310)와 상기 확장플레이트(32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도 29를 참조하면, 상기 제2베어링(340)에는 상기 도어(550)의 상단부(580)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도어(550)의 상단부(580)는 상기 제2베어링(340)과 접촉된 상태로 슬라이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도어(550)의 상단부(580)에는 자석부(59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자석부(590)는 상기 도어(550)의 상단부(580)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자석부(590)는 상기 도어(550)와 함께 회전할 수 있고, 특정 위치에서 상대자석 또는 금속에 고정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이러한 상대자석 또는 금속은 상기 제2스테이션(300) 또는 상기 제2베어링(340)에 구비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제2스테이션(300)에는 제2공기조절장치(37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공기조절장치(370)는 상기 제2스테이션(300)에 배치되어, 상기 조리실(S)의 공기를 순환시킬 수 있다. 상기 제2공기조절장치(370)는 상기 조리실(S)의 공기를 흡입한 후에 다시 조리실(S)로 배출할 수 있다. 상기 제2공기조절장치(370)는 상기 조리실(S)의 천장에 해당하는 위치에 배치되는데, 상기 제1트레이(200A)에 의해 가열된 공기가 상기 조리실(S)의 위쪽으로 올라오므로 상기 제2공기조절장치(370)는 조리실(S)의 공기를 효과적으로 순환시킬 수 있다.
상기 제2공기조절장치(370)의 구조를 보면, 상기 제2공기조절장치(370)는 제2흡기덕트(380)와, 제2조절팬(M2), 그리고 제2배기덕트(37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흡기덕트(380)는 상기 조리실(S)과 연결될 수 있고, 상기 제2배기덕트(371)도 상기 제2흡기덕트(380)와 다른 위치에서 상기 조리실(S)과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조절팬(M2)은 상기 제2흡기덕트(380)와 상기 제2배기덕트(371)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제2조절팬(M2)은 상기 제2흡기덕트(380)에 결합되어 있다.
도 27을 보면, 상기 제2흡기덕트(380)는 상기 제2수납공간(311)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수납공간(311)은 상기 조리실(S)을 향해 개방되거나, 상기 에어덕트(313)를 통해 조리실(S)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조절팬(M2)이 작동되면, 상기 제2흡기덕트(380)는 상기 조리실(S)의 공기를 흡입할 수 있다. 상기 제2흡기덕트(380)에는 덕트바디(381)가 구비되고, 상기 덕트바디(381)의 내부에는 흡기공간(382)이 형성될 수 있다. 도면부호 383은 상기 제2흡기덕트(380)의 덕트출구를 나타낸 것이다.
도 27을 보면, 상기 제2흡기덕트(380)에 덕트몸체(385)는 도면을 기준으로 좌우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덕트몸체(385)의 말단에는 상기 덕트출구(383)가 개방될 수 있다. 상기 덕트출구(383)에는 상기 제2배기덕트(371)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배기덕트(371)는 상기 제2흡기덕트(380)를 통해 상기 제2조절팬(M2)으로 전달된 공기를 토출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서, 상기 제2배기덕트(371)의 토출구(375)는 상기 조리실(S) 방향으로 개구되어 있다. 도 27을 보면, 상기 제2배기덕트(371)의 입구(373)는 상기 제2흡기덕트(380)의 출구(387)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2배기덕트(371)의 토출구(375)는 상기 조리실(S)을 향해 개방되어 있다. 상기 제2배기덕트(371)의 토출구(375)는 상기 제2수납공간(311)의 바닥면에 형성된 배기홀(315, 도 31참조)을 통해 조리실(S)로 개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조절팬(M2)은 상기 제2송신모듈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조절팬(M2)은 공기를 흡입 및 배출하는 과정에서 상기 제2송신모듈을 냉각하는 냉각팬역할을 할 수도 있다.
한편, 도 24와 도 25를 보면, 상기 제2스테이션(300)에는 상기 도어(550)를 개방하는 도어레버(387)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도어레버(387)는 상기 도어(550)에 연결되고, 상기 확장플레이트(320)에 형성된 가이드슬릿(327)을 따라 회전할 수 있다. 상기 도어레버(387)가 상기 제2스테이션(300)의 원주방향을 따라 회전하면, 상기 도어(550)는 상기 도어레버(387)에 연동하여 여닫힐 수 있다. 상기 도어레버(387)를 이용해서 상기 도어(550)를 어느 정도 회전한 후에는 사용자가 상기 도어(550)를 직접 파지해서 도어(550)를 회전시킬 수도 있다. 도 28에는 상기 도어레버(387)가 상기 손잡이(600)에 인접한 위치까지 회전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제2스테이션(300)에는 상기 제2배기덕트(371)를 여닫는 순환조절레버(388)가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순환조절레버(388)는 상기 제2배기덕트(371)를 여닫는 블레이드(미도시)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순환조절레버(388)는 상기 확장플레이트(320)에 형성된 조절슬릿(328)을 따라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순환조절레버(388)가 상기 제2스테이션(300)의 원주방향을 따라 회전하면, 상기 블레이드가 회전하면서 상기 제2배기덕트(371)의 출구(375)의 개구면적을 조절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공기조절장치(370)에 의해 배출되는 공기의 양이 달라지고, 상기 조리실(S)에서 순환되는 공기양이 조절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순환조절레버(388)는 상기 메인제어부(160)에 연결되어, 상기 제2조절팬(M2)의 속도를 직접 조절하는데 사용될 수도 있다.
상기 수납플레이트(310)에는 상기 조리실(S)을 향하도록 스테이션조명부(39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스테이션조명부(390)는 상기 조명장착부(314)에 배치되고, 아래쪽, 즉 상기 조리실(S)로 빛을 조사할 수 있다. 도 26과 도 27에서 보듯이, 상기 스테이션조명부(390)는 대략 링형태의 골격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스테이션조명부(390)의 내부에는 복수의 LED(395)가 구비되어, 아래쪽을 조사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조리실(S)은 상기 스테이션조명부(390)에 의해 밝아질 수 있다.
도 30에는 상기 스테이션조명부(390)가 상기 수납플레이트(310)에 장착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스테이션조명부(390)는 상기 제2공기조절장치(370)를 둘러 배치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스테이션조명부(390)는 상기 조명장착부(314)를 따라 배치되는 복수개의 개별 LED들로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도 31에는 상기 제2스테이션(300)을 아래에서 바라본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제2스테이션(300)의 저면에는 상기 스테이션조명부(390)가 원형으로 노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스테이션(300)의 중심부에는 배기홀(315)이 형성되고, 상기 배기홀(315)을 통해 상기 제2배기덕트(371)의 토출구(375)가 아래쪽, 즉 상기 조리실(S) 방향으로 노출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조리하우징(500)을 살펴보면, 상기 조리하우징(500)은 상기 제1스테이션(100)과 상기 제2스테이션(3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조리하우징(500)은 상기 조리실(S)의 측면을 구성한다고 볼 수 있다. 즉, 상기 제1스테이션(100)과 상기 제2스테이션(300) 사이에는 내부에 조리실(S)이 형성된 조리하우징(500)이 배치되는 것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조리하우징(500)에는 상기 제1스테이션(100)과 상기 제2스테이션(300) 사이에 고정된 고정하우징(510)이 포함된다. 상기 고정하우징(510)은 상기 제1스테이션(100)과 상기 제2스테이션(300) 사이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고정하우징(510)은 대략 반원의 횡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조리하우징(500)에는 상기 고정하우징(510)에 대해 상대회전하는 도어(550)가 포함될 수 있다. 사익 도어(550)는 상기 제1스테이션(100)과 상기 제2스테이션(300) 사이에서 회전되면서 상기 조리실(S)의 입구를 개폐할 수 있다. 상기 도어(550)도 상기 고정하우징(510)과 마찬가지로 대략 반원의 횡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상기 도어(550)의 하단부(560)와 상기 도어(550)의 상단부(580)는 각각 제1베어링(140) 및 제2베어링(340)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도어(550)의 하단부(560)와 상기 도어(550)의 상단부(580)는 각각 제1베어링(140) 및 제2베어링(340)을 통해서 상기 제1스테이션(100)과 상기 제2스테이션(300)에 연결된다고 볼 수 있다. 상기 도어(550)의 하단부(560)가 상기 제1베어링(140)에 연결된 모습은 도 14에 도시되어 있고, 상기 도어(550)의 상단부(580)가 상기 제2베어링(340)에 연결된 모습은 도 29에 도시되어 있다.
위의 실시례와 달리, 상기 조리하우징(500)은 원통형상이 아닐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조리하우징(500)은 대략 육면체형상일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550)는 상기 고정하우징(510)에 겹쳐지거나 펼쳐지는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이 아니라, 별도의 힌지를 기준으로 회전될 수 있고, 또는 직선경로를 따라 이동하는 미닫이 방식일 수도 있다.
본 실시례의 조리기기에는 손잡이(600)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손잡이(600)는 상기 조리기기를 파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제1스테이션(100) 및 상기 제2스테이션(300)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손잡이(600)는 상기 제1스테이션(100)과 상기 제2스테이션(300)을 연결하는 역할도 할 수 있고, 손잡이조명부(620)를 통해, 상기 제2트레이(200B)를 밝히는 역할도 할 수 있다.
도 4에서 보듯이, 상기 손잡이(600)의 상단부(610)는 상기 제2스테이션(300) 보다 위쪽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손잡이(600)의 상부는 아치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조리기기가 전체적으로 통일성이 있는 미감을 줄 수 있다.
도 6을 보면, 상기 손잡이(600)의 내부에는 빈 공간인 실장공간(615)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실장공간(615)에는 와이어하네스(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손잡이(600)의 상단부(610) 내부에는 손잡이조명부(62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손잡이조명부(620)는 상기 제2스테이션(300) 방향으로 빛을 조사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는 손잡이조명부(620)의 내부에 복수의 LED광원(625)들이 상기 손잡이(600)의 상단부(610)를 따라 배치될 수 있다.
도 32 내지 도 36에는 전원어댑터(700)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전원어댑터(700)는 상기 제1스테이션(100)의 전원부(190, 도 10참조)에 결합되어, 상기 제1전원공급장치(150) 및 상기 제2전원공급장치(35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전원어댑터(700)에는 파워케이블(PC)이 연결되고, 상기 파워케이블(PC)의 타단에는 플러그(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전원어댑터(700)는 공급모듈이고, 상기 전원부(190)는 수신모듈로 볼 수도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전원어댑터(700)는 상기 전원부(190)를 통해 조리기기에 직류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전원어댑터(700)의 어댑터바디(710)에는 출력단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출력단자는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제1출력단자(720)와 제2출력단자(7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출력단자(720)는 중심에 배치된 제2출력단자(730)를 감싸는 원형일 수 있다. 상기 제1출력단자(720)와 상기 제2출력단자(730)는 각각 마이너스단자와 플러스단자일 수 있다.
도 33을 보면, 상기 전원어댑터(700)의 내부에는 스위치부(740)와 홀센서(75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스위치부(740)는 릴레이와 같이 전원을 단락시킬 수 있는 부품이다. 이때, 상기 스위치부(740)에는 상기 제2출력단자(730)와 외부전원의 플러스입력단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홀센서(750)는 수신모듈인 상기 전원부(190)로부터 자기력선이 공급되지 않으면 상기 스위치부(740)에 신호를 인가하지 않을 수 있다.
즉, 상기 홀센서(750)는 상기 전원부(190)의 구동자석부(195)에 의한 자기력선에 의해 오프 상태로부터 온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그리고, 온 상태가 된 홀센서는 상기 스위치부(740)에 신호를 인가하고, 그에 따라 상기 스위치부(740)는 오픈 상태에서 클로즈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스위치부(740)는 평소에 오픈 상태이므로 상기 스위치부(740)의 Common 단자에 연결된 외부전원의 플러스입력단과, 스위치부(740)의 NC(Normal Close) 단자에 연결된 상기 제2출력단자(730)는 서로 연결되지 않게 된다. 상기 스위치부(740)의 NC(Normal Close) 단자는 상기 제2출력단자(730)와 연결된 상태로 상기 스위치부(74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스테이션(100)에 구비된 상기 전원부(190)의 구동자석부(195)에서 자기력선이 홀센서(750)에 전달되면, 상기 홀센서(750)는 홀 효과(Hall effect)에 의해 상기 스위치부(740)에 신호를 보낼 수 있다. 이때, 상기 스위치부(740)는 클로즈 상태로 변경되고, Common 단자에 연결된 외부전원의 플러스입력단과 NC(Normal Close) 단자에 연결된 상기 제2출력단자(730)는 서로 연결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외부전원의 플럭스입력단-스위치부(740)-제2출력단자(730)-제2입력단자(193)를 통해 조리기기에 전원이 공급될 수 있다.
이처럼 본 실시례에서 상기 전원어댑터(700)의 상기 제1출력단자(720) 및 상기 제2출력단자(730)는 외부로 노출되어 있지만, 상기 전원어댑터(700)가 상기 전원부(190)에 결합되기 전에는 상기 전원어댑터(700)의 제2출력단자(730)에 외부전원이 인가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제1출력단자(720) 및 상기 제2출력단자(730)가 외부로 노출되어, 액체나 신체가 접촉되더라도, 쇼트나 감전이 방지될 수 있다. 즉, 상기 전원어댑터(700)가 외부로 노출되더라도, 전류가 인가되지 않으므로 안전성을 높일 수 있는 것이다.
도 35를 보면, 상기 전원어댑터(700)는 중심에 배치된 상기 제2출력단자(730)를 향해 점점 높이가 높아지게 형성될 수 있다. 반대로, 상기 전원부(190)는 중심이 함몰된 구조일 수 있다. 상기 전원부(190)의 중심에 함몰된 부분에는 상기 전원어댑터(700)의 돌출된 부분이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전원어댑터(700)과 상기 전원부(190)의 서로 마주보는 표면은 각각 곡면형상인 것이다. 이러한 구조를 통해서 상기 전원어댑터(700)와 상기 전원부(190)가 서로 정확하게 정렬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원부(190)에 구비된 제1입력단자(192)는 상기 제1출력단자(720)와 마주보고, 상기 전원부(190)에 구비된 제2입력단자(193)는 상기 제2출력단자(730)와 마주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원부(190)에는 구동자석부(195)가 구비되는데, 상기 구동자석부(195)는 상기 전원어댑터(700)의 홀센서(750)를 마주볼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제1입력단자(192) 및 상기 제2입력단자(193)는 핀구조이다.
도 35를 기준으로 보면, 상기 구동자석부(195)에서 생성된 자기력선이 전원어댑터(700)의 홀센서(750)에 영향을 주지 못하는 거리에 있다. 따라서 상기 홀센서(750)에 의해 상기 스위치부(740)가 클로즈 상태로 전환되기 전이고, 상기 파워케이블(PC)로부터 인가된 플러스전압은 상기 전원어댑터(700)의 제2출력단자(730, 플러스단자)에 전달되지 못한다. 따라서, 상기 제1출력단자(720)와 상기 제2출력단자(730) 사이에 도전체가 구비되더라도 이들 사이가 통전되지 않고, 신체가 접촉하더라도 감전되지 않을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상기 전원어댑터(700)를 상기 전원부(190)에 가깝게 이동시키면, 도 36과 같이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구동자석부(195)의 자기력선이 전원어댑터(700)의 홀센서(750)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홀센서(750)는 스위치부(740)에 신호를 인가한다.
상기 홀센서(750)에 인가된 신호를 받아 상기 스위치부(740)가 클로즈 상태가 되면, 상기 스위치부(740)의 Common 단자는 NC (Normally closed) 단자와 연결되고, Common 단자에 연결되어 있는 파워케이블(PC)의 플러스전압은 NC (Normally closed) 단자를 통해 상기 제2출력단자(730)에 전달될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출력단자(730)는 상기 전원부(190)의 제2입력단자(193)와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전원어댑터(700)는 상기 전원부(190)에 플러스전압을 공급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전원어댑터(700)에는 상기 구동자석부(195)와 마주보는 위치에 자성체인 결합블록이 내장될 수도 있다. 상기 결합블록은 상기 구동자석부(195)와의 사이에 자력을 발생시키고, 이에 따라 상기 전원어댑터(700)는 상기 전원부(190)와 결합된 상태를 자력으로 유지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전원부(190)는 상기 제1스테이션(100)의 바닥면으로부터 상부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는데, 이와 같은 자력에 의해 상기 전원어댑터(700)는 상기 전원부(190)와 결합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도 37 내지 도 39에는 본 실시례에 의한 조리실(S)의 공기순환모드가 도시되어 있다. 먼저, 음식물의 습도를 유지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도 37에서 보듯이 상기 조리실(S)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킬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 상기 제1스테이션(100)의 제1공기조절장치(170)는 동작되지 않고, 상기 제2스테이션(300)의 제2공기조절장치(370)만 동작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공기조절장치(370)의 제2조절팬(M2)이 동작되면, 제2흡기덕트(380)가 상기 조리실(S) 내부의 공기를 흡입할 수 있다. 화살표①은 상기 제2공기조절장치(370)가 상기 조리실(S)의 공기를 흡입하는 방향을 나타낸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2조절팬(M2)에 연결된 상기 제2배기덕트(371)는 흡입된 공기를 상기 조리실(S)로 토출한다. 토출된 공기는 상기 조리하우징(500)의 내벽을 따라 순환되면서 다시 상기 제2공기조절장치(370)에 의해 흡입될 수 있다. 화살표②은 상기 제2공기조절장치(370)가 상기 조리실(S)의 공기를 토출하는 방향을 나타낸 것이다.
이러한 동작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지면, 조리실(S) 내부의 공기순환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조리실(S)에서는 제1트레이(200A)에 의해 음식물의 하부가 직접 가열될 수 있고, 상기 조리실(S) 내부를 순환하는 대류열을 통해 음식물이 가열될 수도 있다. 또한,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지 않으므로, 음식물의 습도를 유지할 수도 있다.
한편, 음식물의 습도를 낮출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도 38에서 보듯이 상기 조리실(S)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킬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 상기 제2스테이션(300)의 제2공기조절장치(370)는 동작되지 않고, 상기 제1스테이션(100)의 제1공기조절장치(170)만 동작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공기조절장치(170)의 제1조절팬(180)이 동작되면, 제1흡기덕트(171)가 상기 조리실(S) 내부의 공기를 흡입할 수 있다. 화살표①은 상기 제1공기조절장치(170)가 상기 조리실(S)의 공기를 흡입하는 방향을 나타낸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1조절팬(180)에 연결된 상기 제1배기덕트(185)는 흡입된 공기를 조리기기의 외부로 토출한다. 이 과정에서 조리실(S)의 습도가 낮아질 수 있고, 음식물의 습도도 함께 낮아질 수 있다. 화살표②은 상기 제1공기조절장치(170)가 상기 조리실(S)의 공기를 외부로 토출하는 방향을 나타낸 것이다.
그리고, 도 39에는 공기순환 및 배출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과정이 도시되어 있다. 음식물의 습도를 낮추되, 대류에 의한 가열이 필요한 경우에는, 상기 조리실(S)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면서도, 공기를 순환시킬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 상기 제1스테이션(100)의 제1공기조절장치(170)도 동작되고, 상기 제2스테이션(300)의 제2공기조절장치(370)도 함께 동작될 수 있다.
상기 제1공기조절장치(170)의 제1조절팬(180)이 동작되면, 제1흡기덕트(171)가 상기 조리실(S) 내부의 공기를 흡입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조절팬(180)에 연결된 상기 제1배기덕트(185)는 흡입된 공기를 조리기기의 외부로 토출한다. 이 과정에서 조리실(S)의 습도가 낮아질 수 있고, 음식물의 습도도 함께 낮아질 수 있다. 화살표②은 상기 제1공기조절장치(170)가 상기 조리실(S)의 공기를 외부로 토출하는 방향을 나타낸 것이다.
이와 동시에, 상기 제2공기조절장치(370)의 제2조절팬(M2)이 동작되면, 제2흡기덕트(380)가 상기 조리실(S) 내부의 공기를 흡입할 수 있다. 화살표③은 상기 제2공기조절장치(370)가 상기 조리실(S)의 공기를 흡입하는 방향을 나타낸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2조절팬(M2)에 연결된 상기 제2배기덕트(371)는 흡입된 공기를 상기 조리실(S)로 토출한다. 토출된 공기는 상기 조리하우징(500)의 내벽을 따라 순환되면서 다시 상기 제2공기조절장치(370)에 의해 흡입될 수 있다. 화살표①은 상기 제2공기조절장치(370)가 상기 조리실(S)의 공기를 토출하는 방향을 나타낸 것이다.
한편, 도 40 내지 도 56에는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의 다른 실시례가 도시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앞선 실시례와 다른 구조를 중심으로 설명하고, 앞선 실시례와 동일한 구조에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40에을 보면, 제1스테이션(100)에는 공기조절장치(1700)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제1스테이션(100)에는 공기조절장치(1700)가 배치되지만, 제2스테이션(300)에는 별도의 공기조절장치(1700)가 배치되지 않는다. 상기 공기조절장치(1700)는 상기 조리실(S)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키거나, 또는 공기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이러한 두 가지 동작은 상기 공기조절장치(1700)에 포함된 무빙가이드(1730)의 동작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스테이션(100)과 상기 제2스테이션(300)은 서로 높이를 달리 하여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상기 제2스테이션(300)은 생략될 수도 있다. 이렇게 되면, 상기 제1스테이션(100)은 상기 조리하우징(500)과 함께 조리실(S)을 형성할 수 있고, 제2트레이(200B)도 생략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 제1스테이션(100)은 조리기기의 하부를 구성하는 베이스 스테이션(100)으로 볼 수 있다.
도 41과 도 42를 보면, 상기 제1스테이션(100)에는 공기조절장치(170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공기조절장치(1700)는 상기 조리실(S)의 공기를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하거나, 다시 상기 조리실(S)로 공급하여 상기 조리실(S)의 공기를 순환시킬 수 있다.
상기 공기조절장치(1700)는 상기 제1스테이션(100)에 고정되고, 상기 조리실(S)과 연결되는 연결통로(1723)를 갖는 고정가이드(1710,172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가이드(1710,1720)에는 무빙가이드(1730)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무빙가이드(1730)에는 상기 연결통로(1723, 도 51참조)를 상기 조리실(S)로 개방시키는 순환개구부(1735a)와 상기 상기 연결통로(1723)를 외부로 개방시키는 배출개구부(1735b)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무빙가이드(1730)가 상기 고정가이드(1710,1720)에 대해 상대이동하면, 상기 순환개구부(1735a) 또는 상기 배출개구부(1735b)가 선택적으로 개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고정가이드(1710,1720)는 제1고정가이드(1710)과 제2고정가이드(1720)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1고정가이드(1710)과 제2고정가이드(1720) 사이에는 조절팬(M1)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조절팬(M1)은 상기 제1고정가이드(1710)으로부터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제2고정가이드(1720)으로 배출할 수 있다.
상기 제1고정가이드(1710)과 상기 제2고정가이드(1720)는 서로 결합되어 연속된 원호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고정가이드(1710)과 상기 제2고정가이드(1720)는 상기 제1스테이션(100)의 중심을 둘러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공기조절장치(1700)는 상기 제1스테이션(100) 내부에 형성된 제1수납공간(111)의 바깥쪽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스테이션(100)에는 상기 조리실(S)과 연결되는 공기흡입부(125)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고정가이드(1710)에는 상기 공기흡입부(125)와 연결되는 흡입공간(1712)이 형성될 수 있다. 도 42에서 보듯이, 상기 흡입공간(1712)에는 상기 조절팬(M1)을 향해 팬연결구(1715)가 개구될 수 있다. 상기 팬연결구(1715)의 하부에는 상기 조절팬(M1)이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고정가이드(1720)에는 상기 조절팬(M1)을 통해 상기 흡입공간(1712)에 연결되는 연결통로(1723)가 형성될 수 있다. 도 45를 보면, 상기 제1고정가이드(1710)의 흡입공간(1712)으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조절팬(M1)을 거쳐 상기 제2고정가이드(1720)의 연결통로(1723)로 전달될 수 있다. 화살표①은 흡입공간(1712)을 따라 유동하는 공기의 방향을 나타낸 것이고, 화살표②는 공기가 상기 조절팬(M1)으로 흡입되는 방향이며, 화살표③은 공기가 제2고정가이드(1720)의 연결통로(1723)를 따라 이동하는 모습이고, 화살표④는 공기가 제2고정가이드(1720)의 배출연결구(1725b)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방향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 연결통로(1723)에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각각 개구되는 순환연결구(1725a)와 배출연결구(1725b)가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순환연결구(1725a)는 상기 무빙가이드(1730)의 상기 순환개구부(1735a)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배출연결구(1725b)는 상기 무빙가이드(1730)의 상기 배출개구부(1735b)와 연결될 수 있다.
복수개의 상기 순환개구부(1735a)와 복수개의 상기 배출개구부(1735b)는 상기 무빙가이드(1730)의 원호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순환개구부(1735a)와 상기 배출개구부(1735b)는 각각 하나의 긴 장공형태가 될 수도 있다.
상기 무빙가이드(1730)는 제2고정가이드(1720)에 이동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도 52를 보면, 상기 무빙가이드(1730)는 순환개구부(1735a)가 형성된 제1바디(1731)와, 상기 제1바디(1731)와 연결되고 배출개구부(1735b)가 형성된 제2바디(173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빙가이드(1730)의 상기 제1바디(1731)와 상기 제2바디(1732)는 상기 순환연결구(1725a)가 개구된 방향과 상기 배출연결구(1725b)가 개구된 방향으로 각각 연장된다고 볼 수 있다. 도면부호 1737은 조작부로, 사용자는 상기 조작부(1737)를 직접 파지하거나, 또는 조작부(1737)에 연결된 별도의 레버(미도시)를 파지하고 상기 무빙가이드(1730)를 회전시킬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무빙가이드(1730)과 상기 제2고정가이드(1720)는 서로 동심인 두 원형상의 일부를 각각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무빙가이드(1730)는 상기 제2고정가이드(1720)를 따라 회전할 수 있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무빙가이드(1730)는 상기 순환연결구(1725a)와 인접한 장착슬릿(1726, 도 50참조)에 끼워지고, 상기 장착슬릿(1726)을 따라 회전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무빙가이드(1730)는 상기 제2고정가이드(1720)를 따라 직선이동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순환개구부(1735a)가 상기 순환연결구(1725a)와 엇갈리게 배치되면 상기 배출개구부(1735b)는 상기 배출연결구(1725b)와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모습이 도 46 및 도 47에 도시되어 있다. 반대로, 상기 배출개구부(1735b)가 상기 배출연결구(1725b)와 엇갈리게 배치되면 상기 순환개구부(1735a)가 상기 순환연결구(1725a)와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모습이 도 48 및 도 49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 제2고정가이드(1720)를 구성하는 가이드바디(1721)에는 상기 제1바디(1731)의 일단부가 접하는 가이드펜스(172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펜스(1722)는 상기 순환연결구(1725a) 및 순환개구부(1735a)가 개구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연결통로(1723)는 상기 가이드바디(1721)의 내부를 따라 형성된다고 볼 수 있다.
도 55를 보면, 상기 조리실(S) 내부에서 공기가 순환되는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이때는 상기 무빙가이드(1730)의 상기 순환개구부(1735a)가 상기 제2고정가이드(1720)의 순환연결구(1725a)와 연결되면서, 상기 무빙가이드(1730)의 상기 배출개구부(1735b)는 상기 제2고정가이드(1720)의 상기 배출연결구(1725b)와 엇갈려 닫힌 상태이다.
이에 따라 상기 공기조절장치(1700)로 흡입된 공기(화살표①방향)는 상기 공기조절장치(1700) 내부를 지나고(화살표②방향), 다시 순환개구부(1735a)로 토출될 수 있다.(화살표③방향) 이렇게 연속적으로 순환되는 공기는 조리실(S) 내부의 습도를 유지할 수 있다.
도 56을 보면, 상기 조리실(S) 내부에서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이때는 상기 무빙가이드(1730)의 상기 순환개구부(1735a)가 상기 제2고정가이드(1720)의 순환연결구(1725a)와 엇갈리게 배치되어 닫히고, 상기 무빙가이드(1730)의 상기 배출개구부(1735b)는 상기 제2고정가이드(1720)의 상기 배출연결구(1725b)와 연결되어 열린 상태이다.
이에 따라 상기 공기조절장치(1700)로 흡입된 공기(화살표①방향)는 상기 공기조절장치(1700) 내부를 지나고(화살표②방향), 상기 배출연결구(1725b) 및 상기 배출개구부(1735b)를 통해서 바깥쪽으로 토출될 수 있다.(화살표③방향) 이렇게 되면, 상기 조리실(S) 내부의 습도는 낮아질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례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례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제1스테이션 110: 하부플레이트
115: 공기배출부 120: 상부플레이트
125: 공기흡입부 130: 안착베이스
140: 제1베어링 150: 제1전원공급장치
160: 메인제어부 170: 제1공기조절장치
171: 제1흡기덕트 180: 제1조절팬
185: 제1배기덕트 190: 전원부
200A: 제1트레이 200B: 제2트레이
210: 지지플레이트 220: 안착플레이트
230: 가열플레이트 250: 수신모듈
260: 트레이제어부 270: 배터리
280: 히터부 290: 트레이조명부
300: 제2스테이션 310: 수납플레이트
330: 커버플레이트 370: 제2공기조절장치
371: 제2배기덕트 380: 제2흡기덕트
390: 스테이션조명부 500: 조리하우징
510: 고정하우징 550: 도어
600: 손잡이 700: 전원어댑터
720: 제1출력단자 730: 제2출력단자
740: 스위치부 750: 홀센서

Claims (24)

  1. 내부에 조리실이 형성되는 조리하우징;
    상기 조리하우징의 일면을 구성하는 베이스 스테이션;
    상기 베이스 스테이션에 배치되고, 상기 조리실의 공기를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하거나, 다시 상기 조리실로 공급하여 상기 조리실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공기조절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공기조절장치는
    상기 베이스 스테이션에 구비되고, 상기 조리실로 개방되는 순환개구부 및 상기 베이스 스테이션의 외부로 개방되는 배출개구부를 갖는 고정가이드;와
    상기 고정가이드와 상대이동하면서 상기 순환개구부 또는 상기 배출개구부 중 어느 하나를 차단시키는 무빙가이드;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공기조절장치에는 상기 조리실의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고정가이드로 공급하는 조절팬이 구비되는 조리기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고정가이드는 상기 조절팬을 사이에 두고 양쪽에 각각 배치되는 제1고정가이드와 제2고정가이드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가이드와 상기 제2고정가이드는 서로 결합되어 연속된 원호형상을 갖는 조리기기.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스테이션에는 상기 조리실과 연결되는 공기흡입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고정가이드에는 상기 공기흡입부와 연결되는 흡입공간이 형성되는 조리기기.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흡입공간에는 상기 조절팬을 향해 팬연결구가 개구되고, 상기 팬연결구에는 상기 조절팬이 배치되는 조리기기.
  7.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2고정가이드에는 상기 조절팬을 통해 상기 흡입공간에 연결되는 연결통로가 형성되는 조리기기.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연결통로는 상기 순환개구부 및 상기 배출개구부와 연결되는 조리기기.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연결통로에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각각 개구되는 상기 순환개구부와 상기 배출개구부가 연결되고, 상기 순환개구부는 상기 무빙가이드의 상기 순환연결부와 연결되고, 상기 배출개구부는 상기 무빙가이드의 상기 배출연결부와 연결되는 조리기기.
  10. 청구항 9에 있어서, 복수개의 상기 순환연결부와 복수개의 상기 배출연결부는 상기 무빙가이드의 동작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조리기기.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순환개구부와 상기 배출개구부는 상기 제2고정가이드와 상기 무빙가이드의 상대이동 방향을 따라 같은 위치에서 서로 다른 방향으로 개방되고, 상기 순환연결부와 상기 배출연결부는 상기 제2고정가이드와 상기 무빙가이드의 상대이동 방향을 따라 서로 엇갈린 위치에서 서로 다른 방향으로 개방되는 조리기기.
  12.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무빙가이드는 제2고정가이드에 결합되는 조리기기.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무빙가이드와 상기 제2고정가이드는 서로 동심인 두 원형상의 일부를 각각 형성하는 조리기기.
  1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무빙가이드는 상기 제2고정가이드에서 상기 순환개구부와 인접한 장착슬릿에 끼워지는 조리기기.
  15.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무빙가이드는
    상기 순환연결부가 형성된 제1바디;와
    상기 제1바디와 연결되고, 상기 배출연결부가 형성된 제2바디;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16.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순환연결부가 상기 순환개구부와 엇갈리게 배치되면 상기 배출연결부는 상기 배출개구부와 연결되고, 상기 배출연결부가 상기 배출개구부와 엇갈리게 배치되면 상기 순환연결부가 상기 순환개구부와 연결되는 조리기기.
  17.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2고정가이드에는 상기 순환개구부의 일측에 순환가이드펜스가 구비되고, 상기 순환가이드펜스는 상기 순환개구부가 개방된 방향으로 연장되는 조리기기.
  18.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2고정가이드에는 상기 배출개구부의 일측에 배출가이드펜스가 구비되고, 상기 배출가이드펜스는 상기 배출개구부가 개방된 방향으로 연장되는 조리기기.
  1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공기조절장치는 상기 베이스 스테이션 내부에 형성된 제1수납공간의 중심보다 상기 베이스 스테이션의 반경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베이스 스테이션의 말단부에 더 가깝게 배치되는 조리기기.
  2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스테이션은 서로 높이를 달리하는 제1스테이션 및 제2스테이션을 포함하고, 상기 제1스테이션과 상기 제2스테이션 사이에는 상기 조리실의 측면을 형성된 상기 조리하우징이 배치되는 조리기기.
  2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스테이션의 상부에는 트레이가 안착되고, 상기 베이스 스테이션에는 전원공급장치가 구비되며, 상기 트레이에 내장된 히터부는 상기 전원공급장치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조리기기.
  22. 청구항 21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장치에는 송신모듈이 포함되고, 상기 트레이에는 상기 송신모듈로부터 자기공진 방식으로 전력을 수신하는 수신모듈이 포함되는 조리기기.
  23. 내부에 조리실이 형성되는 조리하우징;
    상기 조리하우징의 일면을 구성하는 베이스 스테이션;
    상기 베이스 스테이션에 배치되고, 상기 조리실의 공기를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하거나, 다시 상기 조리실로 공급하여 상기 조리실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공기조절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공기조절장치는
    상기 베이스 스테이션에 고정되고, 상기 조리실과 연결되는 연결통로를 갖는 고정가이드;와
    상기 고정가이드에 대해 상대이동하는 무빙가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가이드에는
    상기 연결통로에 연결되고 상기 조리실로 개방되는 순환개구부;와
    상기 연결통로에 연결되고 외부로 개방되는 배출개구부;가 포함되며,
    상기 무빙가이드는 상기 순환개구부 또는 상기 배출개구부 중 어느 하나를 개방하는 조리기기.
  24. 내부에 조리실이 형성되는 조리하우징;
    상기 조리하우징의 일면을 구성하는 베이스 스테이션;과
    상기 베이스 스테이션에 배치되고, 상기 조리실과 연결되는 고정가이드 및 상기 고정가이드에 대해 상대이동되는 무빙가이드를 갖는 공기조절장치;를 이용한 조리기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조리모드가 선택되는 단계;
    습도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무빙가이드에 의해 상기 고정가이드의 순환개구부가 개방되고, 상기 고정가이드의 배출개구부는 차단되는 습도조리단계;와
    건조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무빙가이드에 의해 상기 순환개구부가 차단되고, 상기 배출개구부는 개방되는 건조조리단계;를 포함하는 조리기기의 제어방법.
KR1020220006162A 2022-01-14 2022-01-14 조리기기 및 조리기기의 제어방법 KR20230110083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6162A KR20230110083A (ko) 2022-01-14 2022-01-14 조리기기 및 조리기기의 제어방법
PCT/KR2022/018723 WO2023136463A1 (ko) 2022-01-14 2022-11-24 조리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6162A KR20230110083A (ko) 2022-01-14 2022-01-14 조리기기 및 조리기기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10083A true KR20230110083A (ko) 2023-07-21

Family

ID=872793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6162A KR20230110083A (ko) 2022-01-14 2022-01-14 조리기기 및 조리기기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30110083A (ko)
WO (1) WO2023136463A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5693Y1 (ko) 2000-09-28 2001-03-15 송정곤 열전소자를 이용한 조리된 음식물의 온도유지장치
US20060185527A1 (en) 2002-07-10 2006-08-24 Duke Manufacturing Company Food warming apparatus and method
KR20130062038A (ko) 2011-12-02 2013-06-12 현 우 박 음식물 보온용 가열장치
KR101944012B1 (ko) 2018-04-04 2019-04-17 김병훈 음식물 보온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82336B2 (ja) * 1998-05-14 2007-02-14 株式会社島津製作所 ガスクロマトグラフ用オーブン
KR20100114758A (ko) * 2009-04-16 2010-10-26 주식회사에스타 직화 조리기
KR101590639B1 (ko) * 2009-07-20 2016-02-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리기기 및 그 제어방법
CN206543143U (zh) * 2016-09-28 2017-10-10 浙江天隆厨房设备工程有限公司 一种用于厨房的可换气的节电型保温柜
KR101852716B1 (ko) * 2017-03-21 2018-04-26 전희성 사각 화구를 갖는 구이 화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5693Y1 (ko) 2000-09-28 2001-03-15 송정곤 열전소자를 이용한 조리된 음식물의 온도유지장치
US20060185527A1 (en) 2002-07-10 2006-08-24 Duke Manufacturing Company Food warming apparatus and method
KR20130062038A (ko) 2011-12-02 2013-06-12 현 우 박 음식물 보온용 가열장치
KR101944012B1 (ko) 2018-04-04 2019-04-17 김병훈 음식물 보온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136463A1 (ko) 2023-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81702B2 (en) Cooking apparatus
US9341382B2 (en) Cooking apparatus
US20060137675A1 (en) Hea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oking
US20140318389A1 (en) Cooking apparatus
CN109563998B (zh) 烹饪器具
US20060081623A1 (en) Microwave oven provided with a separate heater cooking chamber
JP2001153371A (ja) 電子レンジ
JPH03140712A (ja) 電子レンジ
CN110916485A (zh) 蒸烤装置
US11683865B2 (en) Cooking appliance
US6965101B2 (en) Cooling structure for oven door of microwave oven usable as pizza oven
KR20230110083A (ko) 조리기기 및 조리기기의 제어방법
KR20230110082A (ko) 조리기기 및 조리기기의 제어방법
KR20230110084A (ko) 조리기기
KR20230110087A (ko) 전원공급장치 및 이를 갖는 조리기기
KR20240011511A (ko) 조리기기
JP4348865B2 (ja) 誘導加熱調理器
CN109820411B (zh) 厨房电器
KR101082727B1 (ko) 가스오븐레인지
CN216907591U (zh) 锅体组件和烹饪器具
KR20050077334A (ko) 벽걸이형 전자레인지
CN220321376U (zh) 一种带空气炸功能的电陶炉
KR20120020769A (ko) 조리기기
KR100643883B1 (ko) 피자 오븐
JP2016142429A (ja) 調理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