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5926B1 - 과일 및 채소 냉장고 - Google Patents

과일 및 채소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5926B1
KR102445926B1 KR1020200137325A KR20200137325A KR102445926B1 KR 102445926 B1 KR102445926 B1 KR 102445926B1 KR 1020200137325 A KR1020200137325 A KR 1020200137325A KR 20200137325 A KR20200137325 A KR 20200137325A KR 102445926 B1 KR102445926 B1 KR 1024459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cooling
case
heat
cold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73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53183A (ko
Inventor
김영배
Original Assignee
김영배
주식회사 에스티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배, 주식회사 에스티아이 filed Critical 김영배
Priority to KR10202001373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5926B1/ko
Publication of KR202200531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31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59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59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5/00Devices not covered by group F25D11/00 or F25D13/00, e.g. non-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6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03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for cooling refrigerating machiner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06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for mounting refrigerating machinery compon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25D25/005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using contai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 Food Preservation Except Freezing, Refrigeration, And Dr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하면, 상단이 개구된 보울 형상을 가지고 공기가 통기되도록 구조를 가지는 하부케이스부; 하부케이스부의 상측부에 연장 구성되고 상단이 개구된 보울 형상을 가지는 상부케이스부; 상부케이스부의 상측부에 안착 구성되고 상단이 개구된 보울 형상을 가지며 냉기순환부가 설치 구성되고 수납 공간을 제공하는 수납케이스부; 고정부를 통하여 상부케이스부에 설치 구성되고 공기의 접촉시 열교환을 통하여 냉기로 변환시키는 냉각부; 고정부를 통하여 하부케이스부에 설치 구성되고 냉각부로부터 발생되는 열을 하부케이스부의 외부로 방열시키는 방열부; 냉각부에 연통된 상태로 수납케이스부에 노출 구성되고 수납케이스부 내부의 공기를 하부로 유입시키고 냉각부를 통해 냉기로 변환되도록 한 후 수납케이스부 내부의 상부로 배출되는 순환 구조를 제공하는 냉기순환부; 및 수납케이스부의 상측을 커버하는 덮개부를 포함하는 냉장고가 제공된다.

Description

과일 및 채소 냉장고{Refrigerator for fruits and vegetables}
본 발명은 과일 및 채소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가정 내 식탁 등에 위치된 상태에서 과일이나 채소를 신선하게 보관하도록 하여 식사 중 또는 휴식 중 간편하게 과일이나 채소를 꺼내어 섭취하도록 하는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는 과일 및 채소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냉장고는 음식이나 반찬 또는 과일 및 채소 등을 신선하게 장시간 보관하기 위한 것으로서, 식생활이 점점 다양해지고 현대인의 식생활 변화로 가정마다 여러 대의 냉장고를 보유하고 있으며, 그 용도와 종류 또한 다양하다.
대부분의 가정 내에서는 반찬이나 과일 및 채소 등의 식자재는 대형 냉장고에 보관하다가 식사 준비시 냉장고에서 과일이나 채소 등을 꺼내어 조리를 하고 식사 후 다시 반찬이나 남은 식자재를 대형 냉장고에 수납하여 냉장 보관하고 있다.
그러나 반찬이나 과일 또는 채소 등을 대형 냉장고에 보관하는 경우, 필요할 때마다 인출하여 식탁이나 조리대로 이동시키고 다시 식탁이나 조리대로부터 대형 냉장고의 위치까지 이동시켜 수납 및 보관하도록 하는 과정이 상당히 번거롭고 시간이 촉박한 경우 건강에 필수 또는 보조 영양소를 제공하는 과일이나 채소를 섭취하지 않는 경우가 빈번하여 건강도 나빠지게 되는 문제점이 유발된다.
이에,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소형 크기의 냉장고로서 식탁 주변에 위치되어 과일이나 채소를 수납하도록 하는 과일 및 채소 냉장고가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특허문헌 0001) 등록실용 20-0159909
(특허문헌 0002) 등록특허 10-1650379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가정 내 식탁 등에 위치된 상태에서 과일이나 채소를 신선하게 보관하도록 하여 식사 중 또는 휴식 중 간편하게 과일이나 채소를 꺼내어 섭취하도록 하는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는 과일 및 채소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수납케이스의 하부에 위치된 냉각부를 통해 냉각된 공기를 통하여 수납케이스의 내부에 냉기가 순환되도록 함과 동시에 냉각부의 열기가 수납케이스의 하부로 방열되는 구조를 가지도록 하여 냉기 순환 효율이 향상되도록 할 수 있는 과일 및 채소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단이 개구된 보울 형상을 가지고 공기가 통기되도록 구조를 가지는 하부케이스부; 하부케이스부의 상측부에 연장 구성되고 상단이 개구된 보울 형상을 가지는 상부케이스부; 상부케이스부의 상측부에 안착 구성되고 상단이 개구된 보울 형상을 가지며 냉기순환부가 설치 구성되고 수납 공간을 제공하는 수납케이스부; 고정부를 통하여 상부케이스부에 설치 구성되고 공기의 접촉시 열교환을 통하여 냉기로 변환시키는 냉각부; 고정부를 통하여 하부케이스부에 설치 구성되고 냉각부로부터 발생되는 열을 하부케이스부의 외부로 방열시키는 방열부; 냉각부에 연통된 상태로 수납케이스부에 노출 구성되고 수납케이스부 내부의 공기를 하부로 유입시키고 냉각부를 통해 냉기로 변환되도록 한 후 수납케이스부 내부의 상부로 배출되는 순환 구조를 제공하는 냉기순환부; 및 수납케이스부의 상측을 커버하는 덮개부를 포함하는 냉장고가 제공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가정 내 식탁 등에 위치된 상태에서 과일이나 채소를 신선하게 보관하도록 하여 식사 중 또는 휴식 중 간편하게 과일이나 채소를 꺼내어 섭취하도록 하는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수납케이스의 하부에 위치된 냉각부를 통해 냉각된 공기를 통하여 수납케이스의 내부에 냉기가 순환되도록 함과 동시에 냉각부의 열기가 수납케이스의 하부로 방열되는 구조를 가지도록 하여 냉기 순환 효율이 향상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과일 및 채소 냉장고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과일 및 채소 냉장고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도 1의 과일 및 채소 냉장고에 있어서 하부케이스부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1의 과일 및 채소 냉장고에 있어서 냉각부, 방열부 및 고정부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도 1의 과일 및 채소 냉장고에 있어서 냉기순환부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6과 도 7은 도 1의 과일 및 채소 냉장고에 있어서 냉기 순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과일 및 채소 냉장고는, 상단이 개구된 보울(bowl) 형상을 가지고 공기가 통기되도록 구조를 가지며 방열부(150)가 설치 구성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하부케이스부(110), 하부케이스부(110)의 상측부에 연장 구성되고 상단이 개구된 보울 형상을 가지며 냉각부(140)가 설치 구성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상부케이스부(120), 상부케이스부(120)의 상측부에 안착 구성되고 상단이 개구된 보울 형상을 가지며 냉기순환부(170)가 설치 구성되고 과일 및 채소가 수납될 수납 공간을 제공하는 수납케이스부(130), 고정부(160)를 통하여 상부케이스부(120)에 설치 구성되고 전기에너지를 통해 냉각 동작되어 공기의 접촉시 열교환을 통하여 냉기로 변환시키는 냉각부(140), 고정부(160)를 통하여 하부케이스부(110)에 설치 구성되고 냉각부(140)로부터 발생되는 열을 외기를 통하여 하부케이스부(110)의 외부로 방열시키는 방열부(150), 냉각부(140)에 연통된 상태로 수납케이스부(130)에 노출 구성되고 수납케이스부(130) 내부의 공기를 하부로 유입시키고 냉각부(140)를 통해 냉기로 변환되도록 한 후 수납케이스부(130) 내부의 상부로 배출되는 순환 구조를 제공하여 수납케이스부(130)의 내부에 냉장 기능을 제공하는 냉기순환부(170) 및 수납케이스부(130)의 상측을 커버하는 덮개부(180) 등을 포함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과일 및 채소 냉장고는, 냉각부(140), 방열부(150) 및 냉기순환부(17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 하부케이스(111)가 소정의 높이를 가지도록 지지하는 레그부(190) 및 수납케이스부(130)의 수납 공간에 구성되어 별도의 수납공간을 제공하는 수납용기부(B) 등을 더 포함한다.
하부케이스부(110)는, 상단이 개구된 보울(bowl) 형상을 가지고 공기가 통기되도록 구조를 가지며 방열부(150)가 설치 구성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수단으로서, 보울 형상을 가지는 하부케이스(111), 하부케이스(111)의 바닥 중앙부에 형성되어 후술된 방열부(150)의 방열팬(152)이 설치 구성되도록 하고 외기가 유입되도록 하는 방열팬설치구(112), 하부케이스(111)의 측벽에 형성되어 방열팬(152)에 의해 외기가 유입 및 배출되도록 하는 다수개의 통기공(113) 및 하부케이스(111)의 내부에 공간을 구획하면서 방열팬(152)의 양측에 설치되어 방열팬(152)에 의해 다수개의 통기공(113)을 통해 외기가 유입되고 배출되는 경로를 제공함과 동시에 냉각부(140)의 발열 및 방열이 다른 공간으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는 에어벤트(114) 등을 포함한다.
따라서 하부케이스부(110)에 의하면, 냉각부(140)를 방열시키는 방열부(150)의 방열 동작시 열기가 다른 구성부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최소화하여 냉각부(140)를 통한 냉장 효율이 극대화되도록 할 수 있다.
상부케이스부(120)는, 하부케이스부(110)의 상측부에 연장 구성되고 상단이 개구된 보울 형상을 가지며 냉각부(140)가 설치 구성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수단으로서, 보울 형상을 가지고 하부케이스(111)의 상측단에 연장 구성되는 상부케이스(121), 상부케이스(121)의 바닥 중앙부 상면에 소정의 높이로 돌출 형성되어 후술된 고정부(160)를 통하여 냉각부(140)가 설치 구성되도록 하는 냉각부설치구(122) 및 상부케이스(121)의 바닥 중앙부 하면에 소정의 높이로 돌출 형성되어 후술된 고정부(160)를 통하여 방열부(150)의 히트싱크(151)가 지지되도록 하는 방열부설치구(123) 등을 포함한다.
따라서 상부케이스부(120)에 의하면, 고정부(160)를 통한 냉각부(140)와 방열부(150)의 설치와 유지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수납케이스부(130)는, 상부케이스부(120)의 상측부에 안착 구성되고 상단이 개구된 보울 형상을 가지며 냉기순환부(170)가 설치 구성되고 과일 및 채소가 수납될 수납 공간을 제공하는 수단으로서, 보울 형상을 가지고 상부케이스(121)의 상단에 안착 구성되는 수납케이스(131)와, 수납케이스(131)의 바닥 중앙부에 소정의 크기로 관통 형성되어 후술된 냉기순환부(170)가 설치되도록 하는 냉기순환부설치공(미부호) 등을 포함한다.
따라서 수납케이스부(130)에 의하면, 방열부(150)가 구성되는 하부케이스(111) 및 상부케이스(121)로부터 소정 높이 이격된 상태에 과일이나 채소가 수납될 공간을 제공함으로써, 냉기순환부(170)에 의해 제공되는 냉장 기능이 극대화되도록 할 수 있다.
냉각부(140)는, 고정부(160)를 통하여 상부케이스(121)의 냉각부설치구(122)에 설치 구성되고 전기에너지를 통해 냉각 동작되어 공기의 접촉시 열교환을 통하여 냉기로 변환시키는 수단으로서, 전기에너지를 열에너지로 변환하여 상면이 냉각되고 하면이 가열되는 전열소자(141)와, 전열소자(141)의 상면에 접촉 구성되고 수납케이스부(130)의 냉기순환부설치공(미부호) 상부로 노출되며 냉각 상태를 유지하는 냉각싱크(142) 등을 포함한다.
방열부(150)는, 고정부(160)를 통하여 상부케이스부(120)의 방열부설치구(123)와 하부케이스부(110)의 방열팬설치구(112)에 설치 구성되어 전열소자(141)의 하면의 열기가 방열되도록 하는 수단으로서, 상부케이스부(120)의 방열부설치구(123)에 위치되고 전열소자(141)의 하면에 접촉 구성되어 전열소자(141)의 열기를 흡수하는 히트싱크(151)와, 하부케이스부(110)의 방열팬설치구(112)에 설치 구성되고 히트싱크(151)의 열기를 외기의 유입 및 배출을 통해 열교환 시킨 후 하부케이스(111) 외부로 배출 및 방열시키는 방열팬(152) 등을 포함한다.
고정부(160)는, 전열소자(141), 냉각싱크(142) 및 히트싱크(151)가 상부케이스(121)의 냉각부설치구(122)와 방열부설치구(123)에 콤팩트하게 설치 구성되도록 하는 수단으로서, 냉각싱크(142)의 하단부와 전열소자(141)의 상면 및 전열소자(141)의 하면과 히트싱크(151)의 상면 부분들을 단열 지지하는 단열케이스(161), 단열케이스(161)의 상측단에 설치되고 냉각싱크(142)의 상단부를 지지하며 냉각부설치구(122)의 내부에 설치되는 설치커버(162) 및 전열소자(141)의 상면과 하면에 접촉되는 냉각싱크(142)와 히트싱크(151) 사이에 구성되어 단열 기능을 제공하는 단열패드(163) 등을 포함한다.
따라서 고정부(160)에 의하면, 전열소자(141), 냉각싱크(142) 및 히트싱크(151)가 상부케이스(121)에 간편하게 설치 구성되도록 하고 전열소자(141)의 냉기와 열기가 단열 기능에 의해 상호간 영향을 주지 않도록 하여 수납케이스(131)에 제공되는 냉장 기능이 극대화되도록 할 수 있다.
냉기순환부(170)는, 냉각부(140)에 연통된 상태로 수납케이스부(130)에 노출 구성되고 수납케이스부(130) 내부의 공기를 하부로 유입시키고 냉각부(140)를 통해 냉기로 변환되도록 한 후 수납케이스부(130) 내부의 상부로 배출되는 순환 구조를 제공하여 수납케이스부(130)의 내부에 냉장 기능을 제공하는 수단으로서, 하단이 개방된 하광상협의 통체 형상을 가지고 수납케이스부(130)의 냉기순환부설치공(미부호)에 냉각싱크(142)의 상단부를 커버하면서 설치되는 냉기순환타워(171), 냉기순환타워(171)의 내부 하측에 설치 구성되는 냉각팬(172), 냉기순환타워(171)의 하단부에 개구 형성되어 수납케이스(131) 내부의 공기가 냉각팬(172)의 구동시 냉각순환타워(171)의 하단 내부로 유입되어 냉각싱크(142)에 의해 냉기로 열교환되도록 하는 내기유입공(173), 냉기순환타워(171)의 상단부에 개구 형성되어 냉각싱크(142)에 의해 열교환된 냉기가 수납케이스(131)의 내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냉기배출공(174) 및 냉기순환타워(171)에 냉각팬(172)이 설치되도록 하고 냉각싱크(142)의 상단부 가장자리를 커버하면서 구성되어 내기유입공(173)으로 유입된 수납케이스(131) 내부의 공기가 냉각싱크(142)의 가장자리 부분에만 열교환된 후 냉기배출공(174)으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냉각싱크(142)의 중심부까지 이동되면서 열교환되도록 하는 냉각팬설치단(175) 등을 포함한다.
따라서 냉기순환부(170)에 의하면, 냉각부(140)에 연통된 상태로 수납케이스부(130)에 노출 구성되고 수납케이스부(130) 내부의 공기를 하부로 유입시키고 냉각부(140)를 통해 냉기로 변환되도록 한 후 수납케이스부(130) 내부의 상부로 배출되는 순환 구조를 제공하여 수납케이스부(130)의 내부에 냉장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덮개부(180)는, 수납케이스부(130)의 상측을 커버하는 수단으로서, 공지의 구성을 가질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제어부(미도시)는, 냉각부(140), 방열부(150) 및 냉기순환부(170)의 동작을 제어하는 수단으로서, 냉각부(140)에 의해 냉각되는 냉기의 온도 등을 측정하는 온도센서를 통하여 전열소자(141), 방열팬(152) 및 냉각팬(172) 등의 동작을 제어하고 수납케이스(131)에 제공되는 냉장온도 등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통해 표시하며 입력부를 통해 다양한 동작을 위한 입력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레그부(190)는, 하부케이스(111)가 소정의 높이를 가지도록 지지하는 수단으로서, 공지의 구성을 가질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수납용기부(B)는, 수납케이스부(130)의 수납 공간에 구성되어 별도의 수납공간을 제공하는 수단으로서, 보울 형상을 가지고 수납케이스(131)의 바닥으로부터 소정 높이로 이격 위치되는 수납용기와, 수납용기를 개폐하는 덮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과일 및 채소 냉장고의 작용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수납케이스(131)의 내부에 과일 또는 채소가 수납된다.
이후,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에 의해 수납케이스(131)를 지지하는 상부케이스(121)에 구성된 냉각부(140)의 전열소자(141)가 동작되어 전기에너지가 열에너지로 변환되는데, 전열소자(141)의 상면은 냉각되고 하면은 가열된다.
이후, 수납케이스(131)에 구성된 냉기순환타워(171)의 냉각팬(172)의 구동되어 전열소자(141)의 상면에 접촉되고 수납케이스(131)의 상단으로 노출된 냉각싱크(142)에 수납케이스(131)의 내기가 열교환되어 냉각된 후 냉기로 배출 및 순환되면서 수납케이스(131)의 내부에 냉장 기능이 제공된다.
이때, 상부케이스(121)를 지지하는 하부케이스(111)에 구성된 방열부(150)의 방열팬(152)에 의해 전열소자(141)의 하면에 접촉되고 수납케이스(131)의 하부로 노출된 히트싱크(151)에 하부케이스(111) 외부의 공기가 열교환되어 방열되어 전열소자(141)의 기능이 극대화되어 수납케이스(131)에 제공되는 냉장 기능이 극대화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가정 내 식탁 등에 위치된 상태에서 과일이나 채소를 신선하게 보관하도록 하여 식사 중 또는 휴식 중 간편하게 과일이나 채소를 꺼내어 섭취하도록 하는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수납케이스(131)의 하부에 위치된 냉각부(140)를 통해 냉각된 공기를 통하여 수납케이스(131)의 내부에 냉기가 순환되도록 함과 동시에 냉각부(140)의 열기가 수납케이스(131)의 하부로 방열되는 구조를 가지도록 하여 냉기 순환 효율이 향상되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청구 범위와 청구 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7)

  1. 상단이 개구된 보울 형상을 가지고 공기가 통기되도록 구조를 가지는 하부케이스부(110); 하부케이스부(110)의 상측부에 연장 구성되고 상단이 개구된 보울 형상을 가지는 상부케이스부(120); 상부케이스부(120)의 상측부에 안착 구성되고 상단이 개구된 보울 형상을 가지며 냉기순환부(170)가 설치 구성되고 수납 공간을 제공하는 수납케이스부(130); 고정부(160)를 통하여 상부케이스부(120)에 설치 구성되고 공기의 접촉시 열교환을 통하여 냉기로 변환시키는 냉각부(140); 고정부(160)를 통하여 하부케이스부(110)에 설치 구성되고 냉각부(140)로부터 발생되는 열을 하부케이스부(110)의 외부로 방열시키는 방열부(150); 냉각부(140)에 연통된 상태로 수납케이스부(130)에 노출 구성되고 수납케이스부(130) 내부의 공기를 하부로 유입시키고 냉각부(140)를 통해 냉기로 변환되도록 한 후 수납케이스부(130) 내부의 상부로 배출되는 순환 구조를 제공하는 냉기순환부(170); 및 수납케이스부(130)의 상측을 커버하는 덮개부(180)를 포함하고,
    하부케이스부(110)는,
    보울 형상을 가지는 하부케이스(111); 하부케이스(111)의 바닥 중앙부에 형성되어 방열부(150)의 방열팬(152)이 설치 구성되도록 하는 방열팬설치구(112); 하부케이스(111)의 측벽에 형성되어 방열팬(152)에 의해 유입된 외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다수개의 통기공(113); 및 하부케이스(111)의 내부에 공간을 구획하면서 방열팬(152)의 양측에 설치되어 방열팬(152)에 의해 다수개의 통기공(113)을 통해 외기가 유입되고 배출되는 경로를 제공함과 동시에 냉각부(140)의 발열 및 방열이 다른 공간으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는 에어벤트(114)를 포함하며,
    상부케이스부(120)는,
    보울 형상을 가지고 하부케이스(111)의 상측단에 연장 구성되는 상부케이스(121); 상부케이스(121)의 바닥 중앙부 상면에 소정의 높이로 돌출 형성되어 고정부(160)를 통하여 냉각부(140)가 설치 구성되도록 하는 냉각부설치구(122); 및 상부케이스(121)의 바닥 중앙부 하면에 소정의 높이로 돌출 형성되어 고정부(160)를 통하여 방열부(150)의 히트싱크(151)가 지지되도록 하는 방열부설치구(123)를 포함하고,
    냉각부(140)는,
    전기에너지를 열에너지로 변환하여 상면이 냉각되고 하면이 가열되는 전열소자(141)와; 전열소자(141)의 상면에 접촉 구성되고 수납케이스부(130)의 냉기순환부설치공(미부호) 상부로 노출되며 냉각 상태를 유지하는 냉각싱크(142)를 포함하며,
    냉기순환부(170)는,
    하단이 개방된 하광상협의 통체 형상을 가지고 수납케이스부(130)의 냉기순환부설치공(미부호)에 냉각싱크(142)의 상단부를 커버하면서 설치되는 냉기순환타워(171); 냉기순환타워(171)의 내부 하측에 설치 구성되는 냉각팬(172); 냉기순환타워(171)의 하단부에 개구 형성되어 수납케이스(131) 내부의 공기가 냉각팬(172)의 구동시 냉각순환타워(171)의 하단 내부로 유입되어 냉각싱크(142)에 의해 냉기로 열교환되도록 하는 내기유입공(173); 냉기순환타워(171)의 상단부에 개구 형성되어 냉각싱크(142)에 의해 열교환된 냉기가 수납케이스(131)의 내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냉기배출공(174); 및 냉기순환타워(171)에 냉각팬(172)이 설치되도록 하고 냉각싱크(142)의 상단부 가장자리를 커버하면서 구성되어 수납케이스(131) 내부의 공기가 냉각싱크(142)의 중심부까지 이동되면서 열교환되도록 하는 냉각팬설치단(17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방열부(150)는,
    상부케이스부(120)의 방열부설치구(123)에 위치되고 전열소자(141)의 하면에 접촉 구성되어 전열소자(141)의 열기를 흡수하는 히트싱크(151)와;
    하부케이스부(110)의 방열팬설치구(112)에 설치 구성되고 히트싱크(151)의 열기를 외기를 유입시켜 하부케이스(111) 외부로 배출 및 방열시키는 방열팬(15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6. 제5항에 있어서, 고정부(160)는,
    냉각싱크(142)의 하단부와 전열소자(141)의 상면 및 전열소자(141)의 하면과 히트싱크(151)의 상면 부분들을 단열 지지하는 단열케이스(161);
    단열케이스(161)의 상측단에 설치되고 냉각싱크(142)의 상단부를 지지하며 냉각부설치구(122)의 내부에 설치되는 설치커버(162); 및
    전열소자(141)의 상면과 하면에 접촉되는 냉각싱크(142)와 히트싱크(151) 사이에 구성되어 단열 기능을 제공하는 단열패드(16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7. 삭제
KR1020200137325A 2020-10-22 2020-10-22 과일 및 채소 냉장고 KR1024459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7325A KR102445926B1 (ko) 2020-10-22 2020-10-22 과일 및 채소 냉장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7325A KR102445926B1 (ko) 2020-10-22 2020-10-22 과일 및 채소 냉장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3183A KR20220053183A (ko) 2022-04-29
KR102445926B1 true KR102445926B1 (ko) 2022-09-22

Family

ID=814287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7325A KR102445926B1 (ko) 2020-10-22 2020-10-22 과일 및 채소 냉장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592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006997A1 (en) * 2002-07-10 2004-01-15 Clark George A. Food chiller with optimized air flow
KR101203600B1 (ko) * 2003-10-22 2012-11-21 소레마떼끄 에스. 에이. 열에 의해 손상될 수 있는 낱개 판매용 과자류 제품을냉각된 상태로 보존하고 진열하는 방법 및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14848B1 (ko) * 1994-06-13 1996-10-21 제일사료 주식회사 고도다중 불포화지방산 함량이 높은 우유를 생산키 위한 사료첨가제의 제조방법
KR200159909Y1 (ko) 1997-08-20 1999-11-01 전주범 냉장고용 포켓 커버의 결합구조
KR20060081938A (ko) * 2005-01-11 2006-07-14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KR101650379B1 (ko) 2009-05-18 2016-08-23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1829222B1 (ko) * 2011-02-15 2018-02-19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20180087618A (ko) * 2017-01-25 2018-08-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저장 용기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006997A1 (en) * 2002-07-10 2004-01-15 Clark George A. Food chiller with optimized air flow
KR101203600B1 (ko) * 2003-10-22 2012-11-21 소레마떼끄 에스. 에이. 열에 의해 손상될 수 있는 낱개 판매용 과자류 제품을냉각된 상태로 보존하고 진열하는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3183A (ko) 2022-04-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0021555A (ko) 전자렌지
US20180028012A1 (en) Slow cooker appliance and method of operation
CN111603036B (zh) 蒸烤箱、蒸烤箱的控制方法及具有蒸烤箱的集成灶
KR102445926B1 (ko) 과일 및 채소 냉장고
KR20040009601A (ko) 빌트인 냉장고
JP2000105058A (ja) 冷却貯蔵庫
JP2016090131A (ja) 冷蔵庫
JP2017113239A6 (ja) 消毒保管庫
CN215305126U (zh) 一种空气炸锅的冷却系统及具有该冷却系统的空气炸锅
WO2007052907A1 (en) Structure of food storage for cooling and warming
KR20050026600A (ko) 냉온장 보관 장치
JPH11318695A (ja) 家庭用加熱機器
CN114587131A (zh) 烹饪器具
CN112113366A (zh) 制冷制热装置及家用电器
KR200342789Y1 (ko) 간이 냉온장고
CN114010054A (zh) 电饭煲
CN215533553U (zh) 更高效地对待烹饪食物降温保鲜的烹饪机
CN104859957A (zh) 温度可控的食物储存箱
CN208524619U (zh) 一种带隔热系统的煎烤器
KR200323582Y1 (ko) 열전소자를 이용한 반찬저장고
CN211795977U (zh) 一种烤箱
KR200276813Y1 (ko) 냉장 기능을 갖는 식탁
CN211582599U (zh) 煲体及具有其的烹饪器具
CN217275050U (zh) 制冷装置
CN214608795U (zh) 一种改进保温效果的控氧水果保鲜盒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