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11384A - 에어백 커버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에어백 커버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11384A
KR20240011384A KR1020220088765A KR20220088765A KR20240011384A KR 20240011384 A KR20240011384 A KR 20240011384A KR 1020220088765 A KR1020220088765 A KR 1020220088765A KR 20220088765 A KR20220088765 A KR 20220088765A KR 20240011384 A KR20240011384 A KR 202400113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bag
airbag cover
connector
coupled
ang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887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66851B1 (ko
Inventor
정재철
고근홍
이승진
Original Assignee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filed Critical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Priority to KR10202200887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66851B1/ko
Priority claimed from KR1020220088765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666851B1/ko
Publication of KR202400113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113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68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68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15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characterised by the covers for the inflatable memb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2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for lighting specific fittings of passenger or driving compartments; mounted on specific fittings of passenger or driving compartments
    • B60Q3/283Steering wheels; Gear le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60R16/027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between relatively movable parts of the vehicle, e.g. between steering wheel and colum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15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characterised by the covers for the inflatable member
    • B60R2021/21506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characterised by the covers for the inflatable member comprising tearing tabs, legs or the like for holding the lid before deploy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15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characterised by the covers for the inflatable member
    • B60R2021/21543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characterised by the covers for the inflatable member with embl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10/00Constructional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410/10Hous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10/00Constructional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410/115Electric wiring; Electric connec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에어백 커버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스티어링 휠에 결합되는 에어백 커버, 상기 에어백 커버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에어백 커버의 외부로 빛을 조사해서 조명 엠블럼 기능을 제공하는 조명 엠블럼 모듈, 내부에 에어백 모듈이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에어백 커버에 결합되는 에어백 하우징, 상기 조명 엠블럼 모듈로 전원 및 제어신호를 전달하는 커넥터 및 상기 커넥터를 상기 에어백 하우징에 각도 조절이 가능하게 결합하는 결합부재를 포함하는 구성을 마련하여, 커넥터를 에어백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해서 회전 동작에 의해 커넥터의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커넥터와 주변에 설치되는 다른 부품 사이의 간섭을 회피할 수 있다.

Description

에어백 커버 어셈블리{AIRBAG COVER ASSEMBLY}
본 발명은 에어백 커버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차의 스티어링 휠에 결합되고 조명 엠블럼이 적용되는 에어백 커버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에 적용되는 운전석 에어백 장치는 자동차의 충돌시 발생하는 충격으로부터 운전석에 탑승한 승객을 보호하기 위하여 널리 사용된다.
이러한 운전석 에어백 장치는 일반적으로 스티어링 휠에 장착되고, 인플레이터, 에어백 쿠션 및 에어백 쿠션을 절첩 상태로 수용하는 하우징, 하우징의 개구를 커버하는 커버를 포함한다.
자동차의 충돌시, 에어백 쿠션은 인플레이터로부터 가스가 주입되면서 팽창하고, 에어백 쿠션의 팽창력에 의해 부드러운 수지로 제조된 커버가 파열되어 커버에 개구가 형성되면 상기 개구를 통해 차량의 승객을 향하여 팽창된다.
이러한 운전석 에어백 장치에는 소위 엠블럼이라 불리는 장식 플레이트를 갖는 커버가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기의 특허문헌 1 및 특허문헌 2에는 에어백 커버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한편, 엠블럼은 일반적으로 회사의 디자인이나 마크로 만든 것으로, 차량에서 단순히 제조한 회사를 의미하는 것이 아닌 엠블럼이 표현하는 차량의 가치를 부여하는 기능을 한다.
엠블럼은 차량의 외관, 내관의 곳곳에 설치되어, 엠블럼에 쌓인 신용 가치를 드러내며, 이러한 엠블럼이 설치되는 위치는 차량을 제조하는 회사에 따라 다르나, 대부분 차량의 후면 및 스티어링 휠의 전면에 설치된다.
즉, 차량을 운전하는 탑승객이 조향하는 스티어링 휠의 중앙에 설치된 아마츄어를 덮는 에어백 커버에 설치된다.
일반적으로, 종래기술에 따른 에어백 커버에는 조명 기능이 없는 엠블럼이 적용된다.
따라서 종래기술에 따른 에어백 커버는 주간에는 자연광에 의해 식별이 가능하나, 야간에는 광량이 부족하여 식별이 어려워짐에 따라, 식별이 어려워 제 기능을 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상기의 특허문헌 3 내지 특허문헌 5 등에는 엠블럼에 조명을 적용하는 기술이 개발되었으나, LED와 기판, 하우징, 확산판 등 새로운 부품의 추가로 인해 구조가 복잡해지고, 제조 비용이 불필요하게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종래기술에 따른 에어백 커버는 에어백 커버를 중심으로 양측에서 엠블럼과 조명모듈을 결합하는 구조를 가짐에 따라, 조립 작업이 어렵고, 작업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종래기술에 따른 에어백 커버에 조명모듈을 설치하는 경우, 에어백 쿠션 팽창시 에어백 커버에 결합된 조명모듈이 분리되면서 탑승자의 부상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기술에 따른 에어백 커버는 조명모듈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커넥터가 일측에 고정 설치됨에 따라, 스티어링 휠에 마련되는 다른 부품과의 간섭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10-1718689호(2017년 3월 22일 공고)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10-2005738호(2019년 7월 31일 공고)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10-1076195호(2011년 10월 26일 공고) 미국 특허번호 US 8,925,959호(2015년 1월 6일) 미국 특허번호 US 8,061,861호(2011년 11월 22일)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에어백 커버에 빛을 조사하는 조명 엠블럼을 적용해서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에어백 커버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조명모듈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커넥터의 각도를 조절 가능하게 설치해서 스티어링 휠에 마련되는 다른 부품과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는 에어백 커버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에어백 쿠션 팽창시 에어백 하우징에서 커넥터가 분리되지 않도록 에어백 하우징과 커넥터를 견고하게 결합할 수 있는 에어백 커버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에어백 커버 어셈블리는 스티어링 휠에 결합되는 에어백 커버, 상기 에어백 커버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에어백 커버의 외부로 빛을 조사해서 조명 엠블럼 기능을 제공하는 조명 엠블럼 모듈, 내부에 에어백 모듈이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에어백 커버에 결합되는 에어백 하우징, 상기 조명 엠블럼 모듈로 전원 및 제어신호를 전달하는 커넥터 및 상기 커넥터를 상기 에어백 하우징에 각도 조절이 가능하게 결합하는 결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에어백 커버 어셈블리에 의하면, 조명 엠블럼 모듈에 제어신호 및 전원을 전달하는 커넥터를 에어백 하우징의 하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고, 회전 동작에 의해 커넥터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의하면, 커넥터와 주변에 설치되는 다른 부품 사이의 간섭을 회피함으로써, 다른 부품과의 간섭으로 인한 커넥터의 손상이나 파손을 방지하고, 에어백 커버 어셈블리의 조립 및 커넥터와 상대 커넥터 조립 작업시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에어백 커버 어셈블리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에어백 커버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에어백 하우징과 커넥터가 분해된 상태를 보인 확대도,
도 4는 3에 도시된 커넥터와 결합부재를 다른 각도에서 보인 도면,
도 5 및 도 6은 각각 에어백 하우징에 결합된 커넥터의 각도를 조절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동작 상태도,
도 7은 도 5에 도시된 A-A' 선에 대한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에어백 커버 어셈블리에 적용되는 에어백 하우징과 커넥터 및 결합부재의 분해 사시도,
도 9 및 도 10은 각각 도 8에 도시된 결합부재의 회전 동작을 설명하는 동작 상태도,
도 11은 도 9에 도시된 각도조절부와 걸림돌부의 부분 확대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에어백 커버 어셈블리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에어백 커버 어셈블리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에어백 커버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에어백 하우징과 커넥터가 분해된 상태를 보인 확대도이고, 도 4는 3에 도시된 커넥터와 결합부재를 다른 각도에서 보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에어백 커버(11)에서 커넥터(50)가 설치된 방향을 '후방(B)'이라 하고, 그 반대 방향을 '전방(F)'이라 한다. 그리고 '좌측(L)', '우측(R)', '상방(U)' 및 '하방(D)'과 같은 방향을 지시하는 용어들은 각 도면에 도시된 상태에서 상기한 '전방(F)'과 '후방(B)'을 기준으로 각각의 방향을 지시하는 것으로 정의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에어백 커버 어셈블리(1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티어링 휠에 결합되는 에어백 커버(11), 에어백 커버(11)의 내부에 설치되고 에어백 커버(11)의 외부로 빛을 조사해서 조명 엠블럼 기능을 제공하는 조명 엠블럼 모듈(12), 내부에 에어백 모듈(도면 미도시)이 수용된 상태에서 에어백 커버에 결합되는 에어백 하우징(13), 조명 엠블럼 모듈(12)로 전원 및 제어신호를 전달하는 커넥터(50) 및 커넥터(50)를 에어백 하우징(13)에 각도 조절이 가능하게 결합하는 결합부재(60)를 포함한다.
에어백 커버(11)는 하면이 개구된 대략 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래서 에어백 커버(11)는 스티어링 휠을 향해 연장되는 측벽부(21)와 측벽부(21)의 상단을 차폐해서 내부에 수용되는 에어백 모듈(도면 미도시)을 덮는 상부 플레이트(22)를 포함한다.
측벽부(21)는 스티어링 휠의 상면에 형성된 결합공간에 대응되도록, 단면이 원 형상이나 타원 형상, 사각 형상 등 다양한 형상을 갖는 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측벽부(21)의 하부에는 내부에 상기 에어백 모듈이 수용되는 에어백 하우징(13)이 결합될 수 있다.
상부 플레이트(22)의 상면에는 가죽커버가 설치되고, 에어백 쿠션의 팽창에 따라 파단되는 티어라인이 형성될 수 있다.
조명 엠블럼 모듈(12)은 복수의 LED(31)가 설치되는 인쇄회로기판(32), 인쇄회로기판(32)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함께, 조명 엠블럼 모듈(12)은 인쇄회로기판(32)을 에어백 커버(11)의 상부 플레이트(22) 하면에 고정하는 브래킷(도면 미도시) 및 인쇄회로기판(32)의 상부에 설치되어 복수의 LED(31)와 기판(32)의 상면을 차폐하며, 각 LED(31)에서 조사되는 빛의 혼합 또는 교차를 방지하면서 상방으로 투과시키는 커버(도면 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32)은 대략 사각 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인쇄회로기판(32)의 상면에는 인쇄회로기판(32)의 길이 방향, 도 2에서 보았을 때 좌우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복수, 예컨대 4개의 LED(31)가 설치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2개, 3개, 5개 이상의 LED(31)를 설치하도록 변경될 수도 있다.
인쇄회로기판(32)은 일측에 연결된 케이블(33) 및 커넥터(50)를 통해 차량에 마련된 제어부(도면 미도시) 및 배터리(도면 미도시)로부터 제어신호 및 전원을 공급받아 각 LED(31)에 전달할 수 있다.
그래서 복수의 LED(31)는 서로 동일한 색상 또는 서로 다른 색상의 빛을 조사하도록 점등 또는 점멸 동작할 수 있다.
이러한 인쇄회로기판(32)은 상기 브래킷에 설치된 상태에서 에어백 커버(11)의 상부 플레이트(22) 저면에 고정될 수 있다.
하우징(13)은 상면이 개구된 대략 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개구된 에어백 커버(11)의 하부에 결합될 수 있다.
즉, 하우징(13)의 측벽(41)은 에어백 커버(11)의 측벽부(21)에 결합 가능하도록, 측벽부(21)의 내부 공간에 대응되는 크기와 형상으로 형성되고, 측벽(41)에는 측벽부(21)에 마련되는 복수의 결합공(23)에 결합되는 복수의 결합돌부(42)가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 결합공(23)은 단면이 대략 'U' 형상으로 형성되고, 각 결합돌부(42)는 각 결합공(23)의 형상에 대응되고 상단에서 하단으로 갈수록 외측으로 돌출되는 후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하우징(13)의 하면(43) 중앙부에는 인플레이터(도면 미도시)가 장착되는 장착공(44)이 형성되고, 하우징(13)의 하면(43)에는 스티어링 휠의 아마츄어에 결합 가능하도록, 하나 이상의 결합후크(도면 미도시)가 형성되거나 결합될 수 있다.
커넥터(50)는 상기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대 커넥터(도면 미도시)와 결합되어 상기 제어신호 및 전원을 인쇄회로기판(32)으로 전달하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커넥터(50)는 결합부재(60)를 통해 에어백 하우징(13)의 하면에 각도 조절이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커넥터(50)의 일측에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대 커넥터와 결합되는 단자부(51)가 마련되고, 커넥터(50)의 타측 상면에는 결합부재(60)가 결합되는 결합공간(52)이 마련될 수 있다.
결합부재(60)는 커넥터(50) 주변에 설치되는 다른 부품과의 간섭을 회피하기 위해, 일정 각도만큼 절곡 형성되는 바디(61), 바디(61)의 일측에 형성되어 에어백 하우징(13)에 결합되는 후크(62) 및 바디(61)의 타측에서 연장 형성되어 커넥터(50)의 결합공간(52)에 결합되는 결합판부(63)를 포함할 수 있다.
바디(61)는 가로 방향의 폭에 비해 세로 방향의 길이가 긴 판 부재를 미리 설정된 설정각도를 이루도록 대략 'ㄱ' 형상으로 절곡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설정각도는 스티어링 휠에 설치되는 각 부품이 배치되는 위치 및 각도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바디(61)의 상단에는 후크(62)가 마련되고, 후크(62)는 에어백 하우징(13)의 하면(43)에 형성되는 결합공(45)에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바디(61)의 일측, 도 4에서 보았을 때 우측면에는 에어백 하우징(13)의 하면(43)에 형성되는 각도조절부(46)에 걸리는 걸림돌부(64)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에어백 하우징(13)의 하면(43)에는 후크(62)가 결합되는 결합공(45)과 걸림돌부(64)가 걸리는 각도조절부(46)가 형성될 수 있다.
각도조절부(46)는 결합공(45)에서 방사상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홈부로 마련될 수 있다.
즉, 결합부재(60)의 걸림돌부(64)는 각도조절부(46)로 마련된 복수의 홈부 중에서 어느 하나에 걸려서 결합부재(60) 및 커넥터(50)를 일정 각도만큼 회전된 상태로 고정할 수 있다.
여기서, 에어백 하우징(13)의 하면(43)에 형성되는 결합공(45)과 각 홈부 사이의 거리(이하 '설정거리'라 함)는 서로 동일하게 설정되고, 후크(62)와 걸림돌부(64) 사이의 거리도 상기 설정거리와 동일하게 설정될 수 있다.
이와 함께, 에어백 하우징(13)의 하면에는 결합부재(60)가 회전할 수 있는 최대 회전 각도를 제한하도록 스토퍼 기능을 하는 각도제한부(47)가 마련될 수 있다.
각도제한부(47)는 에어백 하우징(13)의 하면(43)에 돌출 형성되는 돌기로 마련될 수 있다.
각도제한부(47)로 마련된 상기 돌기와 결합공(45) 사이의 거리는 상기 설정거리와 동일하게 설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돌기의 높이는 상기 돌기에 좌측면이 접촉된 바디(61)가 더 이상 회전할 수 없도록, 바디(61)의 두께보다 높게 설정되고, 상기 돌기는 하부에서 보았을 때 단면이 사각 형상과 같은 다각 기둥 형상이나 원기둥 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걸림돌부(64)의 상면은 일측, 도 4에서 보았을 때 전측 상단에서 후측 하방을 향해 경사진 제1 경사면(65)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각도조절부(46)로 마련된 각 홈부에는 걸림돌부(64)의 제1 경사면(65)에 대응되는 제2 경사면(48)이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제1 경사면(65)과 제2 경사면(48)의 경사 방향은 결합부재(60)의 회전 방향에 따라 반대 방향으로 변경될 수도 있다.
따라서 결합부재(60)는 바디(61)의 후단이 에어백 하우징(13)의 후단벽을 따라 배치된 상태에서 각도조절부(46)에 마련된 복수의 홈부를 따라 각도제한부(47)를 향해 회전해서 커넥터(50)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조명 엠블럼 모듈에 제어신호 및 전원을 전달하는 커넥터를 에어백 하우징의 하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고, 회전 동작에 의해 커넥터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커넥터와 주변에 설치되는 다른 부품 사이의 간섭을 회피함으로써, 다른 부품과의 간섭으로 인한 커넥터의 손상이나 파손을 방지하고, 에어백 커버 어셈블리의 조립 및 커넥터와 상대 커넥터 조립 작업시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음,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에어백 커버 조립체의 결합 관계 및 작동 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 및 도 6은 각각 에어백 하우징에 결합된 커넥터의 각도를 조절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동작 상태도이고, 도 7은 도 5에 도시된 A-A' 선에 대한 단면도이다.
먼저, 작업자는 커넥터(50)의 일측에 형성된 결합공간(52)에 결합부재(60)의 결합판부(62)를 결합한다.
그러면, 결합판부(62)는 결합공간(52)의 양단벽에 가이드되어 결합공간(52)에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결합판부(62)에는 결합공간(52)의 상면에 형성되는 고정홈이나 고정돌기에 결합 가능하도록 고정돌기나 고정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커넥터(50)의 일단에서 인출되는 케이블(33)이 조명 엠블럼 모듈(12)의 인쇄회로기판(32)에 연결된 상태에서, 인쇄회로기판(32)은 브래킷 등을 이용해서 에어백 커버(11)의 상부 플레이트(22) 하면에 결합된다.
작업자는 바디(61)의 상부에 형성된 후크(62)를 에어백 하우징(13)의 하면(43)에 형성된 결합공(45)에 결합한다.
이때, 커넥터(50)는 에어백 하우징(13)의 후측을 향해 케이블(33)이 인출되도록, 전후 방향을 따라 결합된다.
그래서 결합부재(60)의 걸림돌부(64)는 각도조절부(46)로 마련된 복수의 홈부 중에서 가강 후측에 위치한 홈부에 결합된다.
이어서, 작업자는 결합부재(60) 및 커넥터(50)를 일측 방향, 즉 도 6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을 따라 회전시켜 각도를 조절한다.
이때, 걸림돌부(64)와 각 홈부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경사면(65,48)이 형성된 상태이므로, 걸림돌기(64)는 결합부재(60)의 회전동작에 따라, 복수의 홈부에 순차적으로 결합 및 분리되면서 회전할 수 있다.
그래서 결합부재(60)는 작업자의 조작력이 제거될 때까지 회전 동작해서 각도가 조절된다.
만약, 바디(61)의 좌측면이 에어백 하우징(13)의 하면(43)에 형성된 각도제한부(47)와 접촉되면, 결합부재(60)는 더 이상 회전하지 않도록 회전 각도가 제한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정을 통해, 본 발명은 조명 엠블럼 모듈에 제어신호 및 전원을 전달하는 커넥터를 에어백 하우징의 하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고, 회전 동작에 의해 커넥터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커넥터와 주변에 설치되는 다른 부품 사이의 간섭을 회피함으로써, 커넥터의 조립 작업 및 상대 커넥터와의 조립 작업시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본 실시 예에서는 각도제한부에 복수의 홈부가 마련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은 각도제한부에 복수의 홈부 대신에 복수의 돌기를 적용하도록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에어백 커버 어셈블리에 적용되는 에어백 하우징과 커넥터 및 결합부재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9 및 도 10은 각각 도 8에 도시된 결합부재의 회전 동작을 설명하는 동작 상태도이며, 도 11은 도 9에 도시된 각도조절부와 걸림돌부의 부분 확대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에어백 커버 어셈블리(1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해서 설명한 에어백 커버 어셈블리(10)의 구성과 동일하고, 다만 각도조절부(46)는 에어백 하우징(13)의 하면(43)에 형성된 결합공(45)에서 방사상으로 돌출 형성되는 복수의 돌기부로 마련된다.
그리고 결합부재(60)의 바디(61) 우측면에는 각도조절부(46)에 마련된 복수의 돌기부에 걸리는 걸림돌부(64)가 돌출 형성된다.
여기서, 걸림돌부(64)의 전면에는 각 돌기부와 접촉된 후 회전 가능하도록, 제1 경사면(65)이 형성되고, 각 돌기부에는 걸림돌부(64)와 접촉되는 부분에 제1 경사면(65)에 대응되는 제2 경사면(48)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경사면(65)은 걸림돌부(64)의 전면에서 우측 후방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그래서 걸림돌부(64)는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돌기부 중에서 어느 하나에 걸려 결합되고 추가적인 작업자의 조작력에 의해 제1 및 제2 경사면(65,48)을 따라 이동해서 다음 돌기부에 걸려 결합된다.
이에 따라, 결합부재(60)는 걸림돌부(64)와 각 돌기부의 결합 및 해제 과정을 반복하면서 회전해서 커넥터(50)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즉, 상기의 실시 예들에서는 커넥터와 결합부재가 각각 제조되어 서로 결합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커넥터와 결합부재를 일체로 성형해서 제조하도록 변경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에어백 커버에 빛을 조사하는 조명 엠블럼을 적용해서 시인성을 향상시키는 에어백 커버 어셈블리 기술에 적용된다.
10: 에어백 커버 어셈블리
11: 에어백 커버 12: 조명 엠블럼 모듈
13: 에어백 하우징
21: 측벽부 22: 상부 플레이트
23: 결합공 24: 투과공
31: LED 32: 인쇄회로기판
33: 케이블
41: 측벽 42: 결합돌부
43: 하면 44: 장착공
45: 결합공 46: 각도조절부
47: 각도제한부 48: 제2 경사면
50: 커넥터 51: 단자부
52: 결합공간
60: 결합부재 61: 바디
62: 후크 63: 결합판부
64: 걸림돌부 65: 제1 경사면

Claims (7)

  1. 스티어링 휠에 결합되는 에어백 커버,
    상기 에어백 커버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에어백 커버의 외부로 빛을 조사해서 조명 엠블럼 기능을 제공하는 조명 엠블럼 모듈,
    내부에 에어백 모듈이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에어백 커버에 결합되는 에어백 하우징,
    상기 조명 엠블럼 모듈로 전원 및 제어신호를 전달하는 커넥터 및
    상기 커넥터를 상기 에어백 하우징에 각도 조절이 가능하게 결합하는 결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커버 어셈블리.
  2. 제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는 미리 설정된 각도만큼 절곡 형성되는 바디,
    상기 바디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에어백 하우징에 결합되는 후크 및
    상기 바디의 타측에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커넥터에 형성되는 결합공간에 결합되는 결합판부를 포함하고,
    상기 바디의 일측에는 상기 결합부재의 회전 동작에 의해 상기 에어백 커버의 하우징에 마련된 각도조절부에 걸리는 걸림돌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커버 어셈블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 하우징의 하면에는 상기 후크가 결합되는 결합공이 형성되고,
    상기 각도조절부는 상기 걸림돌부가 순차적으로 걸리도록, 상기 결합공에서 방사상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홈부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커버 어셈블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돌부에서 각 홈부에 결합되는 상면에는 일측 방향을 향해 경사지게 제1 경사면이 형성되고,
    각 홈부에는 상기 제1 경사면에 대응되는 제2 경사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커버 어셈블리.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 하우징의 하면에는 상기 후크가 결합되는 결합공이 형성되고,
    상기 각도조절부는 상기 걸림돌부가 순차적으로 걸리도록, 상기 결합공에서 방사상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돌기부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커버 어셈블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돌부에서 각 돌기부에 걸리는 일면에는 일측 방향을 향해 경사지게 제1 경사면이 형성되고,
    각 돌기부에는 상기 제1 경사면에 대응되는 제2 경사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커버 어셈블리.
  7. 제1항 내지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 하우징에는 상기 각도조절부를 따라 회전 동작하는 상기 걸림돌부의 최대 회전 각도를 제한하는 각도제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커버 어셈블리.
KR1020220088765A 2022-07-19 에어백 커버 어셈블리 KR1026668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8765A KR102666851B1 (ko) 2022-07-19 에어백 커버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8765A KR102666851B1 (ko) 2022-07-19 에어백 커버 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11384A true KR20240011384A (ko) 2024-01-26
KR102666851B1 KR102666851B1 (ko) 2024-05-20

Family

ID=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6195B1 (ko) 2009-08-31 2011-10-2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조명 엠블럼 조립체
US8061861B2 (en) 2008-10-27 2011-11-22 Autoliv Asp, Inc. Method for illuminating colors in a backlit driver airbag emblem
US8925959B2 (en) 2013-01-29 2015-01-06 Tasus Canada Corporation Illuminated emblem assembly for connection to an airbag cover
KR101718689B1 (ko) 2015-07-29 2017-03-22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에어백 커버 장치
KR102005738B1 (ko) 2017-10-13 2019-07-31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에어백 커버 어셈블리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061861B2 (en) 2008-10-27 2011-11-22 Autoliv Asp, Inc. Method for illuminating colors in a backlit driver airbag emblem
KR101076195B1 (ko) 2009-08-31 2011-10-2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조명 엠블럼 조립체
US8925959B2 (en) 2013-01-29 2015-01-06 Tasus Canada Corporation Illuminated emblem assembly for connection to an airbag cover
KR101718689B1 (ko) 2015-07-29 2017-03-22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에어백 커버 장치
KR102005738B1 (ko) 2017-10-13 2019-07-31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에어백 커버 어셈블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805666B (zh) 转向信号灯
JP4619914B2 (ja) 車両内装部材
CN112440891B (zh) 装饰部件及模块的罩体
US11628780B2 (en) Driver airbag with emblem
DE4414761A1 (de) Airbag-Sicherheitsmodul für Fahrzeuge
KR20070062211A (ko) 커튼에어백의 간섭을 방지하는 필러 램프 구조
US11305718B2 (en) Driver airbag module with lighting device
KR102352130B1 (ko) 에어백 커버 어셈블리
KR102452475B1 (ko) 차량용 운전석 에어백 장치
KR102666851B1 (ko) 에어백 커버 어셈블리
EP2468580B1 (en) Interior material mounting structure
KR20240011384A (ko) 에어백 커버 어셈블리
JP2005319906A (ja) 車両用アウトサイドミラー装置
US10202086B2 (en) Tailgate
KR102352123B1 (ko) 에어백 커버 어셈블리
US11648903B2 (en) Steering wheel module for vehicle
JP2010168044A (ja) 車両内装部材
KR100535049B1 (ko) 커튼형 에어백의 수납용 트림재의 장착구조
KR102617417B1 (ko) 에어백 커버 어셈블리
CN1718987A (zh) 车门结构
KR20090026529A (ko) 에어백 모듈의 결합 구조
KR102625020B1 (ko) 에어백 커버 어셈블리
KR20240023764A (ko) 에어백 커버 어셈블리
KR102614109B1 (ko) 에어백 커버 어셈블리 및 그의 제조방법
KR20240077813A (ko) 자동차의 에어백 커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