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09799A - 전극판 전착금속 박리 장치 및 박리 방법 - Google Patents

전극판 전착금속 박리 장치 및 박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09799A
KR20240009799A KR1020220087139A KR20220087139A KR20240009799A KR 20240009799 A KR20240009799 A KR 20240009799A KR 1020220087139 A KR1020220087139 A KR 1020220087139A KR 20220087139 A KR20220087139 A KR 20220087139A KR 20240009799 A KR20240009799 A KR 202400097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plate
electrodeposited metal
frame
moving
me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871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영훈
Original Assignee
이영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영훈 filed Critical 이영훈
Priority to KR10202200871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09799A/ko
Publication of KR202400097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09799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BPRODUCTION AND REFINING OF METALS; PRETREATMENT OF RAW MATERIALS
    • C22B7/00Working up raw materials other than ores, e.g. scrap, to produce non-ferrous metals and compounds thereof; Methods of a general interest or applied to the winning of more than two metals
    • C22B7/005Separation by a physical processing technique only, e.g. by mechanical break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BPRODUCTION AND REFINING OF METALS; PRETREATMENT OF RAW MATERIALS
    • C22B15/00Obtaining copper
    • C22B15/0026Pyrometallurgy
    • C22B15/0056Scrap treat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54Reclaiming serviceable parts of waste accumula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10/00Technologies related to metal processing
    • Y02P10/20Recycl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84Recycling of batteries or fuel ce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tallur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ology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lectrolytic Production Of Metals (AREA)

Abstract

전극판으로부터 전착 금속을 보다 효과적으로 분리하여 수거할 수 있도록, 프레임, 상기 프레임 상부 작업대에 설치되어 전극판 상단을 지지하여 상기 작업대에 형성된 슬릿을 통해 전극판을 수직으로 내려뜨리기 위한 안착부,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전극판을 선택적으로 고정하는 고정부, 상기 전극판에 압력을 가해 만곡시켜 전극판과 전착금속 사이를 분리시키기 위한 밴딩부, 상기 전극판과 전착금속 사이를 벌려 전극판에서 전착금속을 떨어뜨리기 위한 분리부, 상기 프레임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전극판에서 떨어져 낙하되는 전착금속을 회수 처리하기 위한 수거부를 포함하는 전극판 전착금속 박리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전극판 전착금속 박리 장치 및 박리 방법{APPARATUS FOR SEPARATING ELECTRODEPOSITED METAL FROM CATHODE PLATE AND METHOD FOR THE SAME}
본 개시내용은 전극판으로부터 전착금속을 박리시키기 위한 전극판 전착금속 박리 장치 및 박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순도 높은 금속을 추출하기 위해 전해 제련이 행해지고 있다. 전해 제련은 전해액이 수용된 전해조 내부에 담겨져 있는 전극판에 전류를 인가하여 전해액을 전기분해하는 과정을 통해 이루어진다. 전극판에 전류를 인가하게 되면 전해액 속에 전리되어 있는 이온이 전극판으로 이동되면서 전극판 표면에 전착된다.
예를 들어, 구리의 전해 침착 과정을 살펴보면, 스테인레스 강 재질의 음극판에 전류를 인가하면, 전해액 속에 이온화된 구리 이온이 음극판으로 이동되어 표면에 전착된다. 이에 순도 높은 구리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전해가 진행됨에 따라 음극판에 구리층이 적절한 두께로 전착된다.
금속이 전극판에 적절한 두께로 전착되면, 전극판으로부터 전착된 금속을 박리함으로써 원하는 금속을 얻을 수 있게 된다.
최근 들어, 이차 전지의 사용량이 증가하면서 폐기된 전지로부터 유가금속을 회수하여 재활용하는 것에 대한 필요성과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이에, 재사용되는 전극판의 손상을 최소화하면서 전극판으로부터 전착 금속을 보다 효과적으로 박리시켜 생산성을 높일 수 있도록, 종래 박리 장치를 개선하여 제공하는 것은 사용자에게 많은 장점을 제공할 수 있다.
본 과제는 전극판으로부터 전착 금속을 보다 효과적으로 분리하여 수거할 수 있도록 된 전극판 전착금속 박리 장치 및 박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과제는 전극판으로부터 전착금속을 분리하는 일련의 공정을 보다 효율적으로 수행하여 생산성을 높일 수 있도록 된 전극판 전착금속 박리 장치 및 박리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과제는 각 공정을 기계적으로 수행하여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과 노력을 줄일 수 있도록 된 전극판 전착금속 박리 장치 및 박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구현예의 박리 장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 상부 작업대에 설치되어 전극판 상단을 지지하여 상기 작업대에 형성된 슬릿을 통해 전극판을 수직으로 내려뜨리기 위한 안착부,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전극판을 선택적으로 고정하는 고정부, 상기 전극판에 압력을 가해 만곡시켜 전극판과 전착금속 사이를 분리시키기 위한 밴딩부, 상기 전극판과 전착금속 사이를 벌려 전극판에서 전착금속을 떨어뜨리기 위한 분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박리 장치는, 상기 프레임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전극판에서 떨어져 낙하되는 전착금속을 회수 처리하기 위한 수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박리 장치는, 상기 전극판에 진동을 가하기 위한 진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착부는 상기 프레임의 작업대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슬릿 상부에 위치하는 고정부재, 상기 고정부재 상단에 설치되어 상기 전극판의 상단바가 안착되는 홀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착부는 상기 고정부재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홀더를 개폐하는 개폐부재, 상기 고정부재에 설치되고 상기 개폐부재에 연결되어 개폐부재를 회동시켜 홀더를 개폐하는 개폐실린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는 상기 슬릿을 사이에 두고 상기 작업대 상에 대향 배치되는 이동레일, 상기 각 이동레일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슬릿을 통해 내려뜨려진 전극판의 양면으로 각각 이동하는 한 쌍의 이동프레임, 상기 이동프레임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설치되어 전극판의 상부와 하부에 밀착되는 상부가압부재와 하부가압부재, 상기 프레임과 상기 이동프레임 사이에 설치되어 이동프레임을 이동레일을 따라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실린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진동부는 상기 프레임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프레임에 설치되는 가이드바, 상기 가이드바를 따라 슬라이딩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블럭, 상기 이동프레임에 설치되고 상기 이동블럭에 연결되어 이동블럭을 이동시키기 위한 진동실린더, 상기 이동블럭에 설치되어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기, 상기 진동기에 연결되어 전극판에 밀착되어 전극판에 진동을 가하는 진동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밴딩부는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는 구동모터,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축에 연결되고 상기 슬릿을 따라 상기 전극판을 가로질러 연장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에 설치되고 외측으로 연장되는 회전바, 상기 회전바 선단에 설치되어 상기 전극판을 주기적으로 가압하는 가압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밴딩부는 상기 전극판을 중심으로 양측에 구비되고, 상기각 밴딩부에 구비된 가압롤러는 서로 엇갈리게 배치되어, 전극판을 양 방향에서 교대로 만곡시키는 구조일 수 있다.
상기 각 밴딩부에 구비된 가압롤러는 90도 각도로 엇갈리게 배치된 구조일 수 있다.
상기 분리부는 상기 프레임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프레임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부재, 상기 회전부재 선단에 설치되어 회전부재 회전에 따라 상기 전극판과 전착금속 사이에 삽입되어 그 사이를 벌리는 분리날, 상기 이동프레임과 상기 회전부재 사이에 설치되어 회전부재를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실린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리부는 상기 전극판의 양 측단에서 전착금속을 분리하는 측단분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측단분리부는 상기 프레임의 작업대 상에 설치되는 측단모터, 상기 측단모터의 회전축에 설치되어 상기 전극판의 측단에서 전극판과 전착금속 사이를 지나는 측분리날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거부는 상기 프레임 하부에 설치되어 낙하되는 전착금속을 받기 위한 수거통, 상기 수거통을 회전시켜 수거된 전착금속을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모터, 상기 프레임을 따라 설치되어 전착금속을 이동시키는 컨베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거부는 상기 컨베이어를 따라 이동된 전착금속을 적재대로 이송하여 적재하기 위한 스태킹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태킹부는 상기 컨베이어 상부의 프레임에 설치되는 레일,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대차, 상기 프레임과 이동대차 사이에 설치되어 레일을 따라 이동대차를 이동시키기 위한 수평실린더, 상기 이동대차에 설치되는 수직실린더, 상기 수직실린더 하단에 설치되는 승강블럭, 상기 승강블럭에 설치되어 상기 컨베이어에 놓인 전착금속을 들어올리기 위한 클램핑바, 상기 승강블럭에 설치되어 상기 클램핑바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실린더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구현예의 박리 방법은, 전극판을 수직 상태로 고정하는 단계, 상기 전극판의 양면을 교대로 밴딩하여 전극판에서 전착금속을 분리하는 단계, 및 상기 전극판에서 전착금속을 외측으로 당겨 그 사이를 벌려 전극판으로부터 전착금속을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박리 방법은, 전극판을 밴딩하기 전에 전극판에 진동을 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박리 방법은, 분리된 전착금속을 수거하여 적재대에 적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구현예에 의하면, 전극판을 고정하고 전착금속을 박리하여 수거하는 일련의 공정이 기계적으로 이루어져, 전착 금속 박리 작업을 보다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에, 전극판에서 전착 금속을 박리하는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과 노력을 줄이고, 전착 금속의 생산성을 극대화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전극판에서 전착금속을 외측으로 당겨 분리시킴으로써, 보다 적은 힘으로도 효과적으로 전착극속을 박리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기계적으로 균일한 작업을 통해 전착 금속 분리 과정에서 전극판이 손상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전극판 전착금속 박리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전극판 전착금속 박리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전극판 전착금속 박리 장치의 일부 절개사시도이다.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전극판 전착금속 박리 장치의 일부 절개단면도이다.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전극판 전착금속 박리 장치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이는 예시로서 제시되는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지는 않으며, 본 발명은 후술할 청구범위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후술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념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가능한 한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분은 도면에서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여 나타낸다.
이하에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기재한다. 그러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일 뿐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실시예는 스테인레스 강 재질의 음극판(이하 전극판이라 한다)에 전착된 구리(이하 전착금속이라 한다)을 분리하는 구조를 예로서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전해 제련된 모든 전극판으로부터 전착된 금속을 박리시키는 데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예의 따른 전극판 전착금속 박리 장치를 도시하고 있고, 도 2은 전극판 전착금속 박리 장치의 측면도이며, 도 3과 도4는 전극판 전착금속 박리 장치의 단면 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이하 설명에서, 도 1의 y축 방향을 지면에 대해 수직방향이라 하고, y축 방향을 따라 위쪽을 상 또는 상부라 하며, 아래쪽을 하 또는 하부라 한다. 또한, 도 1에서 x축 방향을 길이방향이라 하고, z축 방향을 측방향이라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박리 장치(10)는 뼈대를 이루는 프레임(12), 프레임(12)에 설치되어 전극판(P)으로부터 전착금속(C)을 분리 회수하기 위한 구성부로 안착부, 고정부, 진동부(50), 밴딩부(60), 분리부(70), 수거부(8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본 장치(10)로 이송된 전극판(P)은 프레임(12)의 안착부와 고정부에 의해 고정되고, 진동부(50)와 밴딩부(60) 및 분리부(70)에 의해 표면에 전착되어 있는 전착금속(C)을 분리하여 수거부(80)를 통해 회수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장치(10)를 통해 전극판(P)으로부터 전착금속(C)을 박리하여 수거하는 일련의 공정을 기계적으로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프레임(12)은 장치(10)의 뼈대를 이루어 각 구성부를 고정한다. 프레임(12)의 상부에 작업대(14)가 설치된다. 작업대(14)는 수평으로 놓인 상판 구조물이다. 작업대(14)의 중간 부분은 전극판(P)이 수직으로 통과될 수 있도록 슬릿(13)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슬릿(13)을 통해 전극판(P)이 작업대(14)를 지나 아래로 내려뜨려지고, 전극판(P)에서 분리된 전착금속(C)이 밑으로 낙하될 수 있다. 프레임(12)의 배치 구조나 형태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안착부는 프레임(12) 상부 작업대(14)에 설치되어 전극판(P) 상단을 지지한다. 전극판(P)은 안착부에 지지된 상태로 작업대(14)의 슬릿(13)을 통해 수직으로 내려뜨려진다.
안착부는 프레임(12)의 폭방향을 따라 양 측에 각각 구비되며, 각각의 안착부는 동일한 구조일 수 있다.
안착부는 전극판(P) 상단에 형성되어 양측으로 돌출된 상단바(PT)가 걸쳐져 안착되는 구조일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안착부는, 프레임(12)의 작업대(14)에 고정 설치되어 슬릿(13) 상부에 위치하는 고정부재(20), 고정부재(20) 상단에 설치되어 전극판(P)의 상단바(PT)가 안착되는 홀더(22)를 포함할 수 있다.
홀더(22)는 작업대(14)의 슬릿(13) 형성 위치에 맞춰 고정부재(20)에 설치된다. 홀더(22)는 전극판(P)의 상단바(PT)가 끼워지도록 상단에 홈(23)이 파여져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다.
이에, 본 장치(10)로 이송된 전극판(P)은 상단바(PT)의 양 선단이 홀더(22)의 홈(23)에 끼워져 양단이 지지되고, 하단은 수직으로 내려뜨려진 상태로 프레임(12)에 고정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안착부는 홀더(22)에 끼워진 전극판(P)의 상단바(PT)를 고정하여 홀더(22)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구조일 수 있다.
이를 위해, 안착부는 고정부재(2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홀더(22)를 개폐하는 개폐부재(30), 고정부재(20)에 설치되고 개폐부재(30)에 연결되어 개폐부재(30)를 회동시켜 홀더(22)를 개폐하는 개폐실린더(3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개폐부재(30)는 고정부재(20)에 설치된 축부재에 힌지축(32)을 매개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힌지축(32)을 중심으로 개폐부재(30)의 일측 선단은 홀더(22)쪽으로 연장되어 홀더(22)의 개방된 홈(23) 상부를 막는 구조로 되어 있다. 개폐부재(30)의 타측 선단은 개폐실린더(34)의 피스톤로드 선단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개폐실린더(34)가 신축 구동되면 개폐부재(30)가 힌지축(32)을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선단이 홀더(22)의 홈(23) 상부를 막거나 개방하게 된다.
따라서, 홀더(22)의 홈(23)에 전극판(P)의 상단바(PT)가 끼워진 상태에서 개폐부재(30)가 홀더(22) 상단을 막아줌으로써, 전극판(P)의 상단바(PT)가 홀더(22)의 홈(23)에서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전극판(P)의 상단바(PT)가 홀더(22)에 견고하게 고정됨으로써, 전극판(P)에서 전착금속(C)을 분리하는 과정에서 전극판(P)이 유동되더라도 상단바(PT)가 홀더(22)에서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전극판(P)은 프레임(12)에 안정적으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고정부는 프레임(12)에 지지되어 아래로 내려뜨려진 전극판(P)의 양면을 가압하여 고정한다. 고정부는 필요시 전극판(P)쪽으로 이동되어 전극판(P)의 양면을 가압하여 고정할 수 있다.
고정부는 프레임(12)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릿(13)을 사이에 두고 양 쪽에 각각 구비되어 전극판(P)의 양면을 각각 가압 고정한다. 각각의 고정부는 동일한 구조일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고정부는, 슬릿(13)을 사이에 두고 작업대(14) 상에 대향 배치되는 이동레일(40), 각 이동레일(40)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슬릿(13)을 통해 내려뜨려진 전극판(P)의 양면으로 각각 이동하는 한 쌍의 이동프레임(42), 이동프레임(42)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설치되어 전극판(P)의 상부와 하부에 밀착되는 상부가압부재(44)와 하부가압부재(45), 프레임(12)과 이동프레임(42) 사이에 설치되어 이동프레임(42)을 이동레일(40)을 따라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실린더(46)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레일(40)은 작업대(14) 상에 설치되어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다. 이동레일(40) 상에 이동프레임(42)이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동프레임(42)은 구성부의 설치 구조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으며 그 형태에 있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이동실린더(46)가 신축 구동됨에 따라 이동레일(40)을 따라 이동프레임(42)이 전진 또는 후진되어 길이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에, 이동프레임(42)은 전극판(P)을 사이에 두고 이동레일(40)을 따라 이동되어, 전극판(P)에 근접하거나 전극판(P)에서 이격된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이동실린더(46)가 신장구동되어 이동프레임(42)이 전극판(P)쪽으로 이동되는 것을 전진이라 하고, 그 반대로 이동하는 것을 후진이라 한다.
이동레일(40)을 따라 이동프레임(42)이 전극판(P)쪽으로 전진 이동함에 따라 이동프레임(42)에 설치된 상부가압부재(44)와 하부가압부재(45)가 전극판(P) 양쪽에서 전극판(P)에 가압 밀착되어 전극판(P)을 고정할 수 있다. 반대로 이동프레임(42)이 후진하게 되면 사부가압부재와 하부가압부재(45)가 전극판(P)에서 이격되어 전극판(P)에 대한 고정이 해제된다.
이동프레임(42)의 상부에는 폭방향을 따라 두 개의 상부가압부재(44)가 길이방향으로 돌출 설치된다. 두 개의 상부가압부재(44)는 이동프레임(42)의 이동에 따라 전극판(P)에 접하여 전극판(P)을 가압 고정한다.
이동프레임(42)의 하부에 폭방향을 따라 두 개의 하부가압부재(45)가 길이방향으로 돌출 설치된다. 두 개의 하부가압부재(45) 역시 이동프레임(42)의 이동에 따라 전극판(P)에 접하여 전극판(P)을 가압 고정한다.
이와 같이, 전극판(P)은 상단바(PT)가 홀더(22)에 걸려 지지된 상태로, 양면에 밀착되는 상부가압부재(44)와 하부가압부재(45)에 의해 눌려져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부가압부재(44)와 하부가압부재(45)는 이동프레임(42)에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가능하게 설치되고, 이동프레임(42)과 상부가압부재(44) 및 이동프레임(42)과 하부가압부재(45) 사이에는 탄성스프링이 설치될 수 있다. 이에, 상부가압부재(44)와 하부가압부재(45)는 전극판(P)에 접하면서 탄성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전극판(P)에 가압 밀착될 수 있다.
따라서, 전극판(P)에 진동을 가하고 밴딩하는 과정에서 전극판(p)의 유동을 억제하고 고정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의 진동부(50)는 각 이동프레임(42)에 대향 설치된다. 진동부(50)는 이동프레임(42)의 전진 이동에 따라 전극판(P) 쪽으로 이동되어 전극판(P)에 진동을 가하게 된다. 진동부(50)에 의해 전극판(P)에 진동을 가함으로써, 전극판(P)과 전착금속(C)의 분리 효과를 보다 더 높일 수 있게 된다.
진동부(50)는, 이동프레임(42)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가이드바(51), 가이드바(51)를 따라 슬라이딩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블럭(52), 이동프레임(42)에 설치되고 이동블럭(52)에 연결되어 이동블럭(52)을 이동시키기 위한 진동실린더(53), 이동블럭(52)에 설치되어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기(54), 진동기(54)에 연결되어 전극판(P)에 밀착되어 전극판(P)에 진동을 가하는 진동자(55)를 포함할 수 있다.
진동기(54)는 예를 들어, 공압을 공급받아 진동하는 구조일 수 있다. 진동기(54)는 전극판(P)에 진동을 가하는 구조면 모두 적용될 수 있다. 진동기(54)에서 발생되는 진동에너지는 진동자(55)를 통해 전극판(P)으로 전달되어 전극판(P)을 진동시키게 된다.
이에, 필요시 진동실린더(53)가 구동되면 가이드바(51)를 따라 이동블럭(52)이 전진 이동하게 되고, 이동블럭(52)에 설치되어 있는 진동자(55)가 전극판(P)에 밀착된다. 이 상태에서 진동기(54)가 구동되어 진동자(55)를 통해 전극판(P)에 진동을 가할 수 있게 된다.
진동부(50)는 진동실린더(53)의 구동에 의해 필요에 따라 전극판(P)에서 이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밴딩부(60) 구동시 전극판(P)에서 진동자(55)를 이격시킬 수 있다. 진동실린더(53)가 수축 구동되면 이동블럭(52)이 가이드바(51)를 따라 후진하게 되고, 이동블럭(52)에 연결된 진동자(55)가 후진하면서 전극판(P)에서 이격된다.
이와 같이, 전극판(P)에 진동을 가함에 따라 전극판(P)과 전극판(P) 표면에 전착되어 있는 전착금속(C) 간의 결합이 약해지게 된다. 따라서, 이후 전극판(P)을 밴딩하고 분리하는 과정에서 전착금속(C)을 보다 효과적으로 전극판(P) 표면에서 분리시킬 수 있게 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극판(P)에 진동에너지를 가한 후 밴딩부(60)가 구동된다. 밴딩부(60)는 전극판(P)에 압력을 가해 만곡시킴으로써, 전극판(P)과 전착금속(C) 사이를 분리시킨다.
밴딩부(60)는 길이방향을 따라 전극판(P)을 사이에 두고 양쪽에 구비되어 전극판(P)의 양면을 교대로 밴딩시키는 구조일 수 있다. 각각의 밴딩부(60)는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밴딩부(60)는, 프레임(12)에 설치되는 구동모터(61), 구동모터(61)의 구동축에 연결되고 슬릿(13)을 따라 전극판(P)을 가로질러 연장되는 회전축(62), 회전축(62)에 설치되고 외측으로 연장되는 회전바(63), 회전바(63) 선단에 설치되어 전극판(P)을 주기적으로 가압하는 가압롤러(64)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축(62)은 폭방향을 따라 연장된다. 회전바(63)는 중심부가 회전축(62)에 고정 설치고, 양 선단은 회전축(62)의 방사방향으로 소정 길이 연장된다. 회전바(63)의 양 선단에 가압롤러(64)가 설치된다.
가압롤러(64)는 회전바(63)에 자유롭게 회전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에, 가압롤러(64)가 전극판(P)에 접하여 자유롭게 회전되면서 전극판(P)과의 마찰을 방지할 수 있다.
회전축(62)에서 회전바(63) 선단 사이의 거리는 회전축(62)에서 전극판(P) 사이 간격보다 충분히 크게 형성된다. 이에, 구동모터(61)의 구동에 따라 회전축(62)이 회전되어 회전바(63) 선단에 설치된 가압롤러(64)가 전극판(P)을 지나게 되면, 가압롤러(64)에 의해 눌러져 전극판(P)이 활처럼 휘게 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극판(P)을 중심으로 양측에 배치된 각 밴딩부(60)의 가압롤러(64)는 서로 엇갈리게 배치되어, 전극판(P)을 양 방향에서 교대로 만곡시키는 구조일 수 있다. 각 밴딩부(60)에 구비된 가압롤러(64)는 90도 각도로 엇갈리게 배치된 구조일 수 있다.
이에, 전극판(P)의 양쪽에서 각각의 회전바(63)는 90도의 위상차를 두고 회전된다. 따라서, 전극판(P)의 일면쪽에 위치한 밴딩부(60)의 회전바(63)가 수평 상태가 되어 가압롤러(64)가 전극판(P)에 접하여 전극판(P)을 만곡시킬 때, 반대쪽에 위치한 가압롤러(64)는 수직상태가 되어 가압롤러는 전극판(P)과 접하지 않는다.
이와 같이, 전극판(P)의 양측에 배치된 각 밴딩부(60)가 교대로 전극판(P)을 서로 반대방향으로 가압하여 만곡시킴으로써, 전극판(P)에 전착되어 있는 전착금속(C)를 보다 효과적으로 박리시킬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전극판(P)은 상부가압부재(44)와 하부가압부재(45)에 의해 상하부가 클램핑되어 있는 상태로, 가압롤러(64)에 의해 상부가압부재(44)와 하부가압부재(45) 사이 부분이 원활하게 만곡될 수 있다.
밴딩부(60)의 가압롤러(64)에 의해 전극판(P)은 길이방향으로 휘어지게 된다. 전극판(P)의 상하부가 고정되어 있으므로, 전극판(P)은 활처럼 만곡된다. 이러한 전극판(P)의 밴딩은 양면에도 교대로 반복적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전극판(P)의 양면에서 전착금속(C)의 박리가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전극판(P)과 전착금속(C)의 접면 사이가 박리되면서 간극이 형성된다. 즉, 가압롤러(64)에 의해 눌려지는 밴딩 과정에서 전착금속(C)의 인장응력이 전극판(P)에 대한 전착금속(C)의 부착력보다 커지면서 전착금속(C)의 박리가 이루어진다. 전극판(P)에 대한 전착금속(C)의 부착력은 상부보다 하부로 갈수록 강하기 때문에 밴딩부(60)의 구동에 따라 전착금속(C)은 전극판(P)의 상부에서부터 박리가 이루어지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분리부(70)는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프레임(42)을 이용하여, 전극판(P)으로부터 전착금속(C)을 외측으로 당겨줌으로써 두 부재 사이를 벌려서 전착금속(C)을 떼어내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의 분리부(70)는, 이동프레임(42)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부재(71), 회전부재(71) 선단에 설치되어 회전부재(71) 회전에 따라 전극판(P)과 전착금속(C) 사이에 삽입되어 그 사이를 벌리기 위한 분리날(72), 이동프레임(42)과 회전부재(71) 사이에 설치되어 회전부재(71)를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실린더(73)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전극판(P)과 전착금속(C)의 박리된 사이로 분리날(72)을 삽입하고 이동프레임(42)을 후진시키게 되면, 분리날(72)에 의해 전착금속(C)이 전극판(P)으로부터 외측으로 당겨지면서 이격되어 두 부재 사이가 완전히 분리될 수 있다.
분리부(70)는 각각의 이동프레임(42)에 설치되어 전극판(P)을 사이에 두고 양측에 배치된다. 이에, 각각의 분리부(70)에 의해 전극판(P) 양면에서 전착금속(C)을 분리시킬 수 있다. 각 분리부(70)는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회전부재(71)는 일측 선단이 이동프레임(42) 상부에 힌지축(74)을 매개로 축결합되고, 외측으로 연장된 타측 선단에는 분리날(72)이 설치된다.
분리날(72)은 길게 연장된 스트립 형태의 구조물일 수 있다. 회전부재(71) 회전시 분리날(72)의 선단이 이루는 회전반경은 전극판(P)과 전착금속(C)의 상단 사이에 맞춰질 수 있다. 이에, 회전부재(71) 회전에 따라 분리날(72)의 선단이 정확히 전극판(P)과 전착금속(C)의 벌어진 사이로 삽입될 수 있다.
분리날(72)의 선단은 전극판(P)과 전착금속(C) 사이로 효과적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끝으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지도록 테이퍼진 구조일 수 있다. 또한, 분리날(72)의 선단은 소정 각도로 절곡된 구조일 수 있다. 이에, 분리날(72) 선단이 전극판(P)과 전착금속(C) 상단 사이로 용이하게 진입할 수 있게 된다.
분리날(72)의 길이는 이동프레임(42)이 후진하면서 분리날(72)이 전착금속(C)을 당겨 분리시킬 때 전착금속(C)에서 분리날(72)이 이탈되지 않는 정도의 길이면 충분하며,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이에, 회전실린더(73)가 신장 구동되면 회전부재(71)가 힌지축(74)을 중심으로 회전되고 회전부재(71)에 설치된 분리날(72)의 선단이 전극판(P)과 전착금속(C)의 이격된 사이로 강제로 삽입된다.
회전실린더(73)가 완전히 신장 구동되면, 분리날(72)은 하방향으로 더 이동되어 전극판(P)과 전착금속(C) 사이로 완전히 삽입된다.
이 상태에서, 이동실린더(46)가 구동하여 이동프레임(42)이 후진 이동함에 따라 분리날(72)이 전착금속(C)을 외측으로 당겨주게 된다. 따라서, 전극판(P)의 상단에서부터 하방향을 따라 마치, 껍질이 벗겨지듯이 전착금속(C)이 전극판에서 분리된다. 이에, 고정되어 있는 전극판(P)에 대해 전착금속(C)이 완전히 분리되어 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전착금속(C)을 외측으로 당겨서 전극판(P)으로부터 분리시킴으로써, 효과적으로 전착금속(C)을 박리시킬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의 분리부(70)는 전극판(P)의 양 측단에서 전착금속(C)을 분리하는 측단분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측단분리부는 전극판(P)의 양 측단에서 전착금속(C)을 전극판(P)에서 강제로 떨어뜨리는 구조로 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측단분리부는, 프레임(12)의 작업대(14) 상에 설치되는 측단모터(75), 측단모터(75)의 회전축(62)에 설치되어 전극판(P)의 측단에서 전극판(P)과 전착금속(C) 사이를 지나는 측분리날(76)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전극판(P)의 측면에서도 전착금속(C)과 전극판(P) 사이로 측분리날(76)이 삽입되어 두 부재 사이를 강제로 분리시킬 수 있다.
측단분리부는 폭방향을 따라 전극판(P)의 양 측단에 각각 배치된다. 이에, 각각의 측단분리부에 의해 전극판(P) 양 측단에서 각면의 전착금속(C)을 분리시킬 수 있다. 각 측단분리부는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구동모터(61)의 회전축(62)은 길이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되고, 측분리날(76)은 구동모터(61)의 회전축(62)에 직각으로 설치되어 폭방향으로 회전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측분리날(76)은 길게 연장된 평판 형태의 구조물일 수 있다. 측분리날(76)은 전극판(P)의 측선단과 대응되는 위치 즉, 전극판(P)과 전착금속(C) 사이에 맞춰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측분리날(76)은 구동모터(61) 회전 구동시 측분리날(76)의 선단이 이루는 회전반경이 전극판(P)과 충분히 겹치도록 충분한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구동모터(61) 회전 구동시 측분리날(76) 선단이 정확히 전극판(P)과 전착금속(C)의 측단 사이를 통해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다.
측분리날(76)의 선단은 전극판(P)과 전착금속(C) 사이로 효과적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끝으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지도록 테이퍼진 구조일 수 있다.
또한, 측분리날(76)은 전극판(P)이 삽입될 수있도록 중간에 슬릿이 형성된 구조일 수있다. 이에, 측분리날(76)의 슬릿으로 전극판이 삽입되고 전극판 양면에서 측분리날이 전착금속과 전극판 사이를 지나면서 양면의 전착금속을 동시에 분리시킬 수 있다.
이에, 구동모터(61)가 회전 구동되면 측분리날(76)이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측분리날(76)의 선단이 전극판(P) 측단에서 전극판(P)과 전착금속(C)의 이격된 사이로 강제로 삽입된다.
측단모터(75)는 측분리날(76)을 약 180도 회전 구동시키는 구조일 수 있다. 측분리날(76)은 회전방경을 따라 180도 회전되어 전극판(P)의 측단쪽을 통과한 후 전극판 외측으로 나오게 된다. 이 과정에서, 전극판(P)과 전착금속(C) 사이가 측분리날(76)에 의해 완전히 분리되어 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분리날(72)에 의해 전극판(P)의 상부에서 전착금속(C)이 당겨져 떨어짐과 더불어, 전극판(P)의 양 측단에서도 측분리날(76)에 의해 전착금속(C)과 전극판(P) 사이가 강제로 분리됨으로써, 전착금속(C)을 보다 효과적으로 분리시킬 수 있게 된다.
전극판(P)에서 외측으로 당겨져 분리된 전착금속(C)은 전극판(P)으로부터 떨어져 하부에 위치한 수거부(80)로 낙하될 수 있다.
수거부(80)는 프레임(12) 하부에 배치되어 전극판(P)에서 떨어져 낙하되는 전착금속(C)을 받아 회수 처리한다.
본 실시예의 수거부(80)는 프레임(12) 하부에 설치되어 낙하되는 전착금속(C)을 받기 위한 수거통(81), 수거통(81)을 회전시켜 수거된 전착금속(C)을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모터(82), 프레임(12)을 따라 설치되어 전착금속(C)을 이동시키는 컨베이어(84)를 포함할 수 있다.
수거통(81)은 상단이 개방되고 하단은 막힌 용기 구조물로, 상부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단면적이 커지는 구조일 수 있다. 이에, 전극판(P)의 양면에서 분리되어 낙하되는 전착금속(C)이 넓게 확장된 수거통(81)의 상단 입구를 통해 내부로 용이하게 들어갈 수 있게 된다.
수거통(81)은 프레임(12) 하부에 폭방향으로 배치되고 하단은 프레임(12)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이에, 배출모터(82)가 회전 구동되면 수거통(81)이 회전되면서 내부에 수용된 전착금속(C)을 컨베이어(84)로 배출할 수 있다.
수거통(81)은 전착금속(C)을 컨베이어(84)로 이송하는 과정에서 컨베이어(84)와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도록 전면에 홀(83)이 형성된 구조일 수 있다.
홀(83)은 상단에서 전체에 걸쳐 형성되며, 그 크기는 대략 전착금속(C)보다는 작고, 컨베이어(84) 보다는 큰 구조일 수 있다.
이에, 수거통(81)으로 삽입된 전착금속(C)이 홀(83)을 통해 외부로 이탈되지 않으며, 수거통(81) 회전시 컨베이어(84)의 체인(86)이 홀(83)을 통과할 수 있어, 수거통(81)과 컨베이어(84) 두 부재 간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다.
컨베이어(84)는 프레임(12) 하부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된다. 컨베이어(84)는 예를 들어, 스프로켓휠(85)과 스프로켓휠에 설치되는 체인(86), 스프로켓휠을 구동하기 위한 기어드모터(87)를 포함하는 구조일 수 있다. 이에, 기어드모터(87) 작동에 따라 스프로켓휠(85)이 회전 구동되면 체인(86)이 움직이면서 체인(86) 상에 놓인 전착금속(C)을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컨베이어(84)는 전착금속(C)을 이동시킬 수 있는 구조면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이에, 구동모터(61)가 회전구동되면 수거통(81)은 컨베이어(84)쪽으로 기울어지게 되고, 수거통(81)의 홀(83)을 통해 컨베이어(84)의 체인(86)이 상대적으로 수거통(81) 내부로 들어오면서 수거통(81)에 적재되어 있는 전착금속(C)이 체인(86) 상에 올려 지게 된다.
따라서, 컨베이어(84)가 구동되면서 체인(86)에 올려진 전착금속(C)이 체인(86)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의 수거부(80)는 컨베이어(84)를 따라 이동된 전착금속(C)을 적재대로 이송하여 적재하기 위한 스태킹부(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스태킹부(90)는 컨베이어(84) 상부의 프레임(12)에 설치되는 레일(91), 레일(91)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대차(92), 프레임(12)과 이동대차(92) 사이에 설치되어 레일(91)을 따라 이동대차(92)를 이동시키기 위한 수평실린더(93), 이동대차(92)에 설치되는 수직실리더(94), 수직실리더(94) 하단에 설치되는 승강블럭(95), 승강블럭(95)에 설치되어 컨베이어(84)에 놓인 전착금속(C)을 들어올리기 위한 클램핑바(96), 승강블럭(95)에 설치되어 클램핑바(96)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실린더(97)를 포함할 수 있다.
승강블럭(95)의 정확한 승하강을 위해, 승강블럭(95)에는 복수개의 수직가이드바(98)가 설치되고, 이동대차(92)에는 수직가이드바(98)가 안내되는 가이드홀더(99)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스태킹부(90)는 컨베이어(84)를 따라 이동된 전착금속(C)을 예를 들어, 컨베이어(84) 출측에 배치된 적재대(도시되지 않음)로 옮겨 적재할 수 있다.
클램핑바(96)는 두 개가 한 쌍을 이루어 폭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대향 배치될 수 있다. 각 클램핑바(96)는 판재 형태의 전착금속(C)을 들어올릴 수 있도록, 하단이 내측으로 절곡되어 걸림턱을 이루는 구조일 수 있다. 이에, 구동실린더(97)가 신축 구동되면 클램핑바(96)가 벌어지거나 모아지면서 전착금속(C)을 걸림턱으로 클램핑할 수 있게 된다.
클램핑바(96)에 의해 전착금속(C)이 클램핑되면 수직실리더(94)를 구동하여 승강블럭(95)을 승강시키고 수평실린더(93)를 구동하여 레일(91)을 따라 이동대차(92)를 이동시킨다. 따라서, 컨베이어(84)로부터 전착금속(C)을 적재대쪽으로 이동하여 적재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상기한 본 실시예의 장치(10)를 참조하여 전극판(P)에서 금속판을 분리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장치(10)로 이동된 전극판(P)은 수직 상태로 고정된다. 호이스트에 의해 이동된 전극판(P)은 작업대(14)의 슬릿(13)으로 내려지고, 전극판(P)의 상단바(PT)는 홀더(22)의 홈(23)에 안착된다.
전극판(P)이 홀더(22)에 안착되면, 개폐실린더(34)가 신장 구동되어 홀더(22)를 폐쇄한다. 개폐실린더(34)가 구동되면 개폐부재(30)가 회동되어 홀더(22)를 홈(23)을 막음으로써, 정극판을 고정한다.
전극판(P)이 수직 상태로 고정되면 전극판(P)의 상부와 하부에서 양면을 고정하여 유동을 억제한다. 개폐실린더(34)가 신장 구동되고 설정된 시간 경과 후 이동실린더(46)가 신장구동되어 이동프레임(42)을 전극판(P)쪽으로 이동시킨다.
이동프레임(42)이 전극판(P)쪽으로 이동함에 따라 이동프레임(42)에 설치된 상부가압부재(44)와 하부가압부재(45)가 전극판(P)의 상부와 하부에 밀착되어 전극판(P)을 고정한다.
그리고, 전극판(P)이 고정된 상태에서 진동부(50)가 구동되어 전극판(P)에 진동을 가하게 된다. 즉, 개폐실린더(34)가 전진 구동되고 설정된 시간이 경과되면, 진동실린더(53)가 신장 구동되어 진동자(55)를 전진 이동시킨다. 이에, 진동자(55)는 전극판(P) 양면에 접하게 된다. 진동실린더(53)가 신장 구동 후 설정된 시강이 경과되면 진동기(54)가 구동되어 진동자(55)를 통해 전극판(P)에 진동을 가하게 된다. 전극판(P)에 진동을 가함으로써, 전착금속(C)의 박리 효과를 높일 수 있게 된다.
진동기(54)는 설정된 시간동안 구동될 수 있다. 설정 시간 경과 후 진동기(54)의 구동이 정지되면 진동실린더(53)는 수축 구동되고 진동자(55)는 전극판(P)에서 이격된다.
전동실린더가 수축 구동되고 설정 시간이 경과되면 전극판(P)에 대한 밴딩 작업이 진행된다. 이에, 전극판(P)의 양면을 교대로 밴딩하여 전극판(P)에서 전착금속(C)을 분리할 수 있다.
밴딩부(60)가 구동되면 구동모터(61)는 설정된 회수만큼 회전 구동된다. 이에, 구동모터(61)의 회전축(62)에 설치된 회전바(63)가 회전되면서 회전바(63)에 설치된 가압롤러(64)가 전극판(P)을 지나면서 전극판(P)을 만곡시키게 된다.
전극판(P)의 양쪽에 각각 배치된 밴딩부(60)는 각 가압롤러(64)가 90도 각도로 배치되어 있어 전극판(P)의 양면을 교대로 가압하여 밴딩시키게 된다. 이에, 전극판(P)은 양면이 서로 교대로 활처럼 휘어지면서 전착금속(C)의 분리가 이루어게 된다.
구동모터(61)가 설정된 회수만큼 회전한 후 설정 시간이 경과되면, 회전실린더(73)가 신장 구동된다. 회전실린더(73)의 신장 구동에 따라 분리날(72)이 전극판(P)과 전착금속(C) 사이로 강제 삽입된다.
그리고, 이동실린더(46)가 수축 구동되어 이동프레임(42)이 전극판(P)으로부터 후진 이동된다. 이에, 전극판(P)과 전착금속(C) 사이가 분리날(72)에 의해 벌어지면서 전극판(P)으로부터 전착금속(C)을 떨어뜨려 완전히 분리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회전실린더(73)가 신장 구동되고 설정된 시간이 경과되면, 측단모터(75)가 작동하여 측분리날(76)을 설정된 각도로 회전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측단모터(75)는 측분리날(76)을 약 180도 정도 회전시키는 구조일 수 있다. 측단모터(75) 구동에 따라 회전되는 측분리날(76)에 의해 전극판(P)의 측단에서 전극판(P)과 전착금속(C) 사이가 분리될 수 있다.
측분리날(76) 회전 후 설정시간이 경과되면 측단모터(75)는 역회전 구동되고, 측분리날(76)은 원위치로 복귀된다.
상기한 과정을 거쳐 전착금속(C)은 전극판(P)으로부터 분리되어 하부로 낙하된다. 낙하되는 전착금속(C)은 하부에 위치한 수거통(81)으로 떨어지고, 컨베이어(84)를 따라 적재대로 이송되어 회수될 수 있다.
전착금속(C)이 수거통(81)으로 낙하되면, 배출모터(82)가 구동되어 수거통(81)을 회전시키게 되고, 컨베이어(84)가 구동된다. 수거통(81)이 약 120도로 회전되면서 전착금속(C)은 컨베이어(84)의 체인(86) 위에 올려져 체인(86)을 따라 이송된다. 컨베이어(84)를 따라 전착금속(C)이 설정된 위치에 도달하게 되면 컨베이어(84)의 구동이 정지된다.
설정된 시간 경과 후 수직실리더(94)가 신장 구동되어 승강블럭(95)이 하강한다. 승강블럭(95)이 하강하고, 설정 시간 경과 후 구동실린더(97)가 수축 구동되면서 클램핑바(96)가 컨베이어(84)의 체인(86) 위에 놓여 있는 전착금속(C)을 클램핑하게 된다.
그리고, 수직실리더(94)가 수축구동되면서 승강블럭(95)이 상승하여 컨베이어(84)로부터 전착금속(C)을 들어올린다. 이후, 수평실린더(93)가 신장 작동되면 이동대차(92)가 레일(91)을 따라 이동되고, 이동대차(92)에 연결된 승강블럭(95)이 적재대 위쪽으로 이동된다.
승강블럭(95)이 적재대 위로 이동되면 수직실리더(94)가 다시 신장작동되어 승강블럭(95)을 하강시키고, 구동실리더가 신장구동되면서 전착금속(C)의 클램핑을 해제하게 된다. 이에, 전착금속(C)이 컨베이어(84)에서 적재대 상에 이동 적재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를 통해 전극판(P)으로부터 전착금속(C)을 분리하여 회수하는 일련의 공정이 연속적으로 이루질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전착금속 분리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과 노력을 줄여 생산성을 극대화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가 도시되어 설명되었지만, 다양한 변형과 다른 실시예가 본 분야의 숙련된 기술자들에 의해 행해질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변형과 다른 실시예들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모두 고려되고 포함되어 본 발명의 진정한 취지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다 할 것이다.
10 : 박리장치 12 : 프레임
13 : 슬릿 14 : 작업대
20 : 고정부재 22 : 홀더부재
23 : 홈 30 : 개폐부재
32,74 : 힌지축 34 : 개폐실린더
40 : 이동레일 42 : 이동프레임
44 : 상부가압부재 45 : 하부가압부재
46 : 이동실린더 50 : 진동부
51 : 가이드바 52 : 이동블럭
53 : 진동실린더 54 : 진동기
55 : 진동자 60 : 밴딩부
61 : 구동모터 62 : 회전축
63 : 회전바 64 : 가압롤러
70 : 분리부 71 : 분리부재
72 : 분리날 73 : 회전실린더
75 : 측단모터 76 : 측분리날
80 : 수거부 81 : 수거통
82 : 배출모터 83 : 홀
84 : 컨베이어 85 : 스프로켓휠
86 : 체인 87 : 기어드모터
90 : 스태킹부 91 : 레일
92 : 이동대차 93 : 수평실린더
94 : 수직실린더 95 :승강블럭
96 : 클램핑바 97 : 구동실린더
98 : 수직가이드바 99 : 가이드홀더

Claims (8)

  1. 프레임, 상기 프레임 상부 작업대에 설치되어 전극판 상단을 지지하여 상기 작업대에 형성된 슬릿을 통해 전극판을 수직으로 내려뜨리기 위한 안착부,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전극판을 선택적으로 고정하는 고정부, 상기 전극판에 압력을 가해 만곡시켜 전극판과 전착금속 사이를 분리시키기 위한 밴딩부, 상기 전극판과 전착금속 사이를 벌려 전극판에서 전착금속을 떨어뜨리기 위한 분리부를 포함하는 전극판 전착금속 박리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슬릿을 사이에 두고 상기 작업대 상에 대향 배치되는 이동레일, 상기 각 이동레일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슬릿을 통해 내려뜨려진 전극판의 양면으로 각각 이동하는 한 쌍의 이동프레임, 상기 이동프레임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설치되어 전극판의 상부와 하부에 밀착되는 상부가압부재와 하부가압부재, 상기 프레임과 상기 이동프레임 사이에 설치되어 이동프레임을 이동레일을 따라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실린더를 포함하는 전극판 전착금속 박리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판에 진동을 가하기 위한 진동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진동부는 상기 프레임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프레임에 설치되는 가이드바, 상기 가이드바를 따라 슬라이딩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블럭, 상기 이동프레임에 설치되고 상기 이동블럭에 연결되어 이동블럭을 이동시키기 위한 진동실린더, 상기 이동블럭에 설치되어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기, 상기 진동기에 연결되어 전극판에 밀착되어 전극판에 진동을 가하는 진동자를 포함하는 전극판 전착금속 박리 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부는 상기 프레임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프레임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부재, 상기 회전부재 선단에 설치되어 회전부재 회전에 따라 상기 전극판과 전착금속 사이에 삽입되어 그 사이를 벌리는 분리날, 상기 이동프레임과 상기 회전부재 사이에 설치되어 회전부재를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실린더를 포함하는 전극판 전착금속 박리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밴딩부는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는 구동모터,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축에 연결되고 상기 슬릿을 따라 상기 전극판을 가로질러 연장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에 설치되고 외측으로 연장되는 회전바, 상기 회전바 선단에 설치되어 상기 전극판을 주기적으로 가압하는 가압롤러를 포함하는 전극판 전착금속 박리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전극판에서 떨어져 낙하되는 전착금속을 회수 처리하기 위한 수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거부는 상기 프레임 하부에 설치되어 낙하되는 전착금속을 받기 위한 수거통, 상기 수거통을 회전시켜 수거된 전착금속을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모터, 상기 프레임을 따라 설치되어 전착금속을 이동시키는 컨베이어를 포함하는 전극판 전착금속 박리 장치.
  7. 전극판을 수직 상태로 고정하는 단계,
    상기 전극판의 양면을 교대로 밴딩하여 전극판에서 전착금속을 분리하는 단계, 및
    상기 전극판에서 전착금속을 외측으로 당겨 그 사이를 벌려 전극판으로부터 전착금속을 분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전극판 전착금속 박리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싱기 전극판을 밴딩하기 전에 전극판에 진동을 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극판 전착금속 박리 방법.
KR1020220087139A 2022-07-14 2022-07-14 전극판 전착금속 박리 장치 및 박리 방법 KR2024000979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7139A KR20240009799A (ko) 2022-07-14 2022-07-14 전극판 전착금속 박리 장치 및 박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7139A KR20240009799A (ko) 2022-07-14 2022-07-14 전극판 전착금속 박리 장치 및 박리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09799A true KR20240009799A (ko) 2024-01-23

Family

ID=897138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7139A KR20240009799A (ko) 2022-07-14 2022-07-14 전극판 전착금속 박리 장치 및 박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0979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318571B1 (en) Stripping apparatus and method for removing an electrodeposited metal layer from a cathode plate
JP4294058B2 (ja) 電着金属剥ぎ取り方法及びそれに使用する癖付装置
CN113042462B (zh) 除胶设备
JP2012516943A (ja) 陰極板から金属を剥離する装置
JP2013040366A (ja) 電着金属の剥ぎ取り装置および電着金属の剥ぎ取り方法
KR20240009799A (ko) 전극판 전착금속 박리 장치 및 박리 방법
JP3803700B2 (ja) 種板自動剥ぎ取り方法およびその装置
CN101343759B (zh) 阴极剥离装置
JP4267014B2 (ja) 電着金属の剥取装置
JP5974966B2 (ja) 電着金属の剥離装置及び電着金属の剥離方法
CN212655879U (zh) 一种上下料开夹机构
JP5565337B2 (ja) 電着金属の剥離装置
CN211112266U (zh) 阴极沉积金属片预开口装置
MXPA03010798A (es) Sistema de remocion de zinc en catodos.
AU712612B2 (en) An apparatus for stripping electrolytically deposited metal from a cathode
JP5565342B2 (ja) 電着金属剥離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電着金属分離装置
CN117819270B (zh) 箔材回收设备
SE534424C2 (sv) Apparat och förfarande för att avlägsna metall från en katodplatta
CN219396233U (zh) 烟叶脱叶设备
JP3361184B2 (ja) メッキ工程の搬送装置
CN210403780U (zh) 一种锂电池外壳压印设备
CN112030216A (zh) 一种上下料开夹机构
CN111846368A (zh) 一种锂电池全自动贴膜机
CN117600542A (zh) 一种锂电拆壳设备
CN117505332A (zh) 一种阳极电解质清理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