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09052A - 철근 지지대 - Google Patents

철근 지지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09052A
KR20240009052A KR1020220086076A KR20220086076A KR20240009052A KR 20240009052 A KR20240009052 A KR 20240009052A KR 1020220086076 A KR1020220086076 A KR 1020220086076A KR 20220086076 A KR20220086076 A KR 20220086076A KR 20240009052 A KR20240009052 A KR 202400090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inforcing bar
support
screw
mounting protrusion
forci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860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식
Original Assignee
김영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식 filed Critical 김영식
Priority to KR10202200860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09052A/ko
Publication of KR202400090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0905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E04C5/168Spacers connecting parts for reinforcements and spacing the reinforcements from the for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inforcement Elements For Buildings (AREA)

Abstract

철근을 지지하는 안착 면을 갖춘 철근 지지대에서 거푸집과 마주하는 면에 장착 돌기가 돌출 형성하게 구성하고, 이 장착 돌기에는 스크루를 강제로 끼워서 조립할 수 있게 구성함으로, 거푸집에 철근 지지대를 강제로 고정해 놓은 상태에서 철근을 지지하게 하여 항상 정해진 철근 간격을 유지할 수 있다. 이때, 장착 돌기에 미리 스크루를 강제로 끼운 다음 거푸집에 체결하거나, 거푸집에 미리 체결한 스크루에 장착 돌기를 강제로 끼워서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작업 현장에서 편리한 방법으로 철근 지지대를 고정하여 철근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장착 돌기가 각기둥 형태로 형성함으로, 여기에 강제로 끼워서 조립되는 스크루가 쉽게 이탈하거나 빠지지 않게 하면서도 거푸집에 스크루 체결이 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

Description

철근 지지대{REBAR SUPPORT CHAIR}
본 발명은 철근 지지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철근 지지대에 거푸집을 향하게 설치되는 면에 지지 돌기를 돌출 형성하고, 이 지지 돌기에 스크루를 장착함으로써, 철근 지지대를 거푸집에 견고하게 고정하여 철근이 배근된 상태에서 이를 지지하는 철근 지지대가 정해진 위치에서 쓰러지거나 넘어지지 않게 하여 안정적으로 콘크리트 타설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지지 돌기에는 각기둥 형상으로 장착 구멍을 형성함으로써, 이 장착 구멍에 조립되는 스크루를 견고하게 지지 고정할 뿐만 아니라 헛돌지 않게 하여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이때, 상기 스크루는 미리 거푸집에 고정한 상태에서 그 위에 철근 지지대를 강제로 끼워서 조립하게 하거나, 철근 지지대에 미리 스크루를 고정한 상태에서 거푸집에 시공할 수 있어 편리한 방법으로 시공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철근 콘크리트는 시공하려는 건축물의 형상에 맞춰 거푸집을 제작하고, 거푸집 안에 철근을 배근한 다음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양생하여 시공하게 된다. 이때, 철근은 콘크리트를 양생한 뒤에 외부에 노출되면 바로 부식과 녹 등이 발생하여 철근 콘크리트의 강성을 약화하게 되므로, 철근은 콘크리트에서 노출하지 않게 철근 지지대가 사용된다. 이러한 철근 지지대는, 아래의 (특허문헌 1) 내지 (특허문헌 3)과 같이, 다양한 형태로 제작하여 사용된다.
(특허문헌 1) 한국등록실용 제20-0494198호
건축물용 전선 안내관의 지지철근 고정홀더에 관한 것으로, 개시된 건축물용 전선 안내관의 지지철근 고정홀더는, 금속 고정구에 상응하는 넓이의 환형 플랜지를 갖게 함과 아울러 환형 플랜지는 보강 리브에 지지 되는 구조를 이루게 개량한 고정홀더 몸체에 의해, 거푸집 측으로 재사용할 수 있게 고정되는 금속 고정구의 전(全)표면으로 슬라브 형성시 타설되는 콘크리트 등의 접촉이 없도록 하여 거푸집과 같이 금속 고정구의 탈리(脫離) 작업을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게 하는 작업성 향상과, 그리고 물리적 혹은 화학적 변형이 없는 내성을 갖게 하였다.
(특허문헌 2) 한국등록특허 제10-1960241호
건축용 철근 콘크리트 슬래브 시공 시 이용되는 작업발판과 레벨링 기능을 겸비한 전도방지 다기능 철근받침대는 복수의 기둥부와, 상기 기둥부 사이 사이에 형성되는 상부지지부와, 상기 상부지지부 아래에서 기둥부 사이 사이에 형성되는 중간거치부를 포함하며, 상기 기둥부와 상부지지부와 중간거치부는 합성수지재로써 일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상부 철근과 하부 철근을 함께 지지하면서도 철근받침대의 전도를 방지하여 철근이 하부로 몰려 배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콘크리트 타설 시 타설의 기준 높이를 제공함으로써, 비숙련자에 의해서도 일정한 타설 기준높이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콘크리트 타설 작업자의 발 받침으로서의 역할을 제공하여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콘크리트 양생 후 각종 배관의 시공이 보다 용이해진다.
(특허문헌 3) 한국공개실용 제20-2019-0000695호
철근 받침대에 관한 것으로, 특히 종 방향 또는 횡 방향으로 지지가 되는 철근이 수평상태를 유지하면서 안정적으로 놓이도록 한 철근 받침대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사각의 판재로 바닥부가 형성되고, 상기 바닥부의 각 모서리 부위에서 상측으로 돌출된 돌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각 돌출부로부터 상측으로는 지지기둥이 세워지면서 그 지지기둥에는 철근을 압박하기 위한 탄지편이 형성된 철근고정부; 상기 철근고정부의 하측에 상측이 결합되는 길이 조절봉; 상기 길이조절봉의 하측에 결합되며, 측 방향으로 돌출된 복수의 다리부가 형성된 받침부;로 구성된다.
특히, 이러한 철근 받침대(C)는, [도 1] 및 [도 2]와 같이, 거푸집(M)의 바닥, 즉 건축물의 천장을 철근 콘크리트로 시공할 때는, 철근(R)이 배근되는 위치를 고려하여 거푸집(M) 바닥에 올려놓고 그 위에 철근(R)을 배근하게 된다.
한국등록실용 제20-0494198호 (등록일: 2021.08.18) 한국등록특허 제10-1960241호 (등록일: 2019.03.14) 한국공개실용 제20-2019-0000695호 (공개일: 2019.03.18)
하지만, 이처럼 거푸집 바닥 위에 올려놓고 그 위에 철근을 배근해서 사용하는 종래의 철근 지지대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발생한다.
(1) 철근을 배근한 상태에서 바로 콘크리트를 타설하면 큰 문제가 없으나, 철근을 배근하거나 철근 배근이 끝난 다음, 배수관과 전기선로 등을 시공하는 등 여러 작업이 이루어지게 된다.
(2) 이처럼 다양한 작업이 이루어짐에 따라 작업자는 철근 위를 밟고 지나갈 때가 많은 데, 이처럼 철근 위를 밟고 지나다니다 보면 기존 철근 지지대가 쓰러지게 하거나 넘어지게 할 우려가 있다.
(3) 이처럼 철근 지지대가 넘어지거나 쓰러지게 되면, 길이가 긴 철근이 아래로 처지게 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면 철근이 거푸집 면에 닿아 콘크리트를 시공한 뒤에는 철근이 외부에 노출될 우려가 있다.
(4) 만일, 콘크리트를 타설한 뒤에 철근이 외부에 노출되면, 공기와 만나 산화되어 부식이 일어날 뿐만 아니라, 녹이 발생하게 되어 철근의 강성을 약화한다.
(5) 또한, 빗물 등이 철근을 타고 콘크리트 안까지 쉽게 스며들게 되어 철근 콘크리트의 강성을 떨어뜨리게 되는 한 가지 요인으로 작용한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고려한 것으로, 철근을 지지하는 안착 면을 갖춘 철근 지지대에서 거푸집과 마주하는 면에 장착 돌기가 돌출 형성하게 구성하고, 이 장착 돌기에는 스크루를 강제로 끼워서 조립할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거푸집에 철근 지지대를 강제로 고정해 놓은 상태에서 철근을 지지하게 하여 항상 정해진 철근 간격을 유지할 수 있게 한 철근 지지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때, 본 발명은 상기 장착 돌기에 미리 스크루를 강제로 끼운 다음 거푸집에 체결해서 사용하거나, 거푸집에 미리 체결해 놓은 스크루에 장착 돌기를 강제로 끼워서 조립한 다음 사용할 수 있게 되므로, 작업 현장에서 편리한 방법으로 철근 지지대를 고정하여 철근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한 철근 지지대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장착 돌기가 각기둥 형태로 형성함으로써, 여기에 강제로 끼워서 조립되는 스크루가 쉽게 이탈하거나 빠지지 않게 하면서도 거푸집에 스크루 체결이 쉽게 이루어질 수 있게 한 철근 지지대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철근 지지대는, 한쪽 면에 거푸집(M) 면에 닿는 적어도 세 개의 지지 돌기(110)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지지 돌기(110)가 형성된 면과 마주하는 면에는 철근(B)을 안착하여 지지하도록 "+"자 형상으로 안착 면(120)이 형성된 철근 지지대에서; 상기 지지 돌기(110)가 형성된 면에는, 장착 돌기(130)가 형성되되, 상기 장착 돌기(130)에는 거푸집(M)에 체결 방식으로 체결되는 스크루(140)가 강제로 끼워져서 철근 지지대가 쓰러지거나 넘어지지 않게 지지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장착 돌기(130)에는, 상기 스크루(140)가 강제로 끼워질 수 있도록 각기둥 형상으로 장착 구멍(131)이 형성되고, 상기 스크루(140)는 머리 부분이 상기 각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스크루(140)는, 철근 지지대가 설치되는 거푸집(M) 위치에 미리 체결해 놓고 그 위에 상기 장착 돌기(130)를 강제로 끼워서 시공하게 하거나, 상기 스크루(140)를 미리 장착 돌기(130)에 강제로 끼운 다음 거푸집(M)에 체결하게 해서 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철근 지지대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1) 철근 지지대에 스크루를 강제로 끼워서 조립할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철근 지지대를 거푸집에 고정해서 사용할 수 있다. 이에, 배근된 철근을 철근 지지대 위에 올려놓고 사용할 때, 철근 지지대가 쓰러지거나 넘어지는 현상을 방지하여 안전하고 편리하게 작업할 수 있다.
(2) 이때, 상기 스크루는 철근 지지대에 미리 강제로 끼운 상태에서 이 철근 지지대를 거푸집에 고정하게 해서 사용하거나, 철근 지지대를 설치할 거푸집 위치에 스크루를 먼저 체결한 상태에서 이 스크루에 철근 지지대를 강제로 끼워서 철근 배근 작업할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원하는 방법으로 쉽고 편리하게 작업할 수 있다.
(3) 또한, 상기 스크루가 강제로 조립되게 철근 지지대에 형성되는 장착 돌기에는 각기둥 형태로 장착 구멍이 형성되게 구성함으로써, 장착 구멍에 강제로 끼운 스크루가 쉽게 이탈하지 않게 하면서도 철근 지지대를 돌리더라도 스크루가 헛돌지 않게 하여 견고하게 지지하거나, 스크루를 체결할 수 있어 편리하게 작업할 수 있다.
(4) 철근 지지대에서 거푸집에 마주하는 면에는 적어도 세 개의 지지 돌기를 돌출하게 형성함으로써, 콘크리트 타설 후 거푸집을 철거하더라도 건축물의 천장 부분에서 외부에 노출되는 부분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철근 지지대를 사용하여 철근을 배근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 철근 지지대를 사용하여 철근을 배근한 상태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철근 지지대의 구성을 보여주려고 분해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스크루가 분리된 철근 지지대의 본체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로, (a)는 정면 사시도이고, (b)는 배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철근 지지대로 철근을 지지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라 스크루를 철근 지지대에 먼저 고정한 상태에서 철근 지지대를 거푸집에 장착한 예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라 거푸집에 스크루를 먼저 고정한 다음, 스크루에 본 발명에 따른 철근 지지대를 강제로 끼워서 조립한 예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최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따라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례가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철근 지지대의 구성]
본 발명에 따른 철근 지지대에는, [도 3] 내지 [도 8]과 같이, 한쪽 면에 적어도 세 개의 지지 돌기(110)가 돌출 형성되고, 다른 한쪽 면에 철근(B)을 안착할 수 있는 안착 면(120)이 형성된 본체(100)가 포함된다.
특히, 상기 본체(100)에는 상기 지지 돌기(110)가 형성된 면에 장착 돌기(130)가 돌출하게 성형이 되고, 이 장착 돌기(130)에는 스크루(140)를 강제로 끼워서 조립하게 구성함으로써, 거푸집(M)에 스크루(140)를 체결함에 따라 철근 지지대가 넘어지거나 쓰러지지 않게 하여 배근된 철근(B)이 외부에 노출되지 않게 한 것이다.
이때, 상기 장착 돌기(130)에는 각기둥 형상으로 장착 구멍(131)을 형성하여 스크루(140)를 강제로 끼울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거푸집(M)에 스크루(140)를 체결할 때 본체(100)가 헛돌지 않고 견고하게 체결 고정하게 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스크루(140)는 상기 장착 구멍(131)에 미리 강제로 끼워서 본체(100)를 사용해서 거푸집(M)에 체결하게 하거나, 거푸집(M)에 미리 스크루(140)를 체결한 상태에서 본체(100)를 강제로 끼워서 조립할 수 있으므로, 작업자가 편리하게 스크루(140)를 사용하여 철근 지지대를 견고하게 지지 고정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이하, 이러한 구성에 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도면부호 "M"은 건축물 시공을 위해 조립된 거푸집을, "B"는 건축물의 강성 보강을 위해 거푸집에 배근된 철근을 각각 나타낸다.
가. 본체
본체(100)는, [도 3] 내지 [도 5]와 같이, 거푸집(M) 위에 올려놓고 그 위에 철근(B)을 올려놓고 지지하면서도 쓰러지지 않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본체(100)는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한 다음 거푸집(M)을 제거했을 때 콘크리트 면에서 노출되는 부분을 최소화하면서도 철근(B)이 콘크리트 면을 기준으로 일정 간격을 유지할 수 있게 형성된다.
이러한 본체(100)에는, [도 3] 내지 [도 7]과 같이, 적어도 세 개의 지지 돌기(110), 안착 면(120), 장착 돌기(130), 그리고 스크루(140)가 포함된다.
나. 지지 돌기
지지 돌기(110)는, [도 4] 및 [도 6]과 같이, 거푸집(M)과 마주하는 본체(100) 면에 돌출 형성된다. 이때, 상기 지지 돌기(110)는 거푸집(M)에 닿아 상기 본체(100)가 거푸집(M) 면에 닿는 면적을 최소화하기 위한 것으로, 거푸집(M) 위에 상기 본체(100)를 올려놓았을 때 쓰러지지 않도록 적어도 세 개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지지 돌기(110)는 본체(100) 면에서 밖으로 갈수록 점차 단면적이 좁아지게 형성함으로써, 거푸집(M)에 닿는 지지 돌기(110)의 면적을 최소화하여 콘크리트 양생 후에 거푸집(M)을 제거하더라도 콘크리트 면에서 지지 돌기(110)가 노출되는 부분을 최소화할 수 있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 안착 면
안착 면(120)은, [도 3] 내지 [도 6]과 같이, 상기 본체(100)에서 상술한 지지 돌기(110)가 형성된 면과 마주하는 면에 돌출 형성된다. 이때, 상기 안착 면(120)은 상기 본체(100)를 거푸집(M)에 장착했을 때 그 위에 배근되는 철근(B)이 놓이게 해서 철근(B)이 정해진 위치와 높이에서 벗어나지 않게 지지하기 위한 면이다. 이에, 상기 안착 면(120)은 철근(B)을 배근할 수 있는 넓이로 제작하며, 또한 "+"자 형태가 되게 제작하여 상하로 중첩하여 격자 형태로 배근하는 철근(B)도 지지할 수 있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안착 면(120)은 거푸집(M)에서 사용되는 철근 중 그 지름이 큰 것을 지지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함으로써, 이보다 작은 지름을 가진 철근도 수비게 지지할 수 있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라. 장착 돌기
장착 돌기(130)는, [도 4] 및 [도 6]과 같이, 상술한 지지 돌기(110)가 형성된 면에 형성된다. 이때, 상기 장착 돌기(130)는 상술한 거푸집(M) 위에 지지 돌기(110)가 맞닿게 본체(100)를 올려놓았을 때, 거푸집(M) 면에 닿거나 닿지 않을 정도, 가장 바람직하게는 상기 장착 돌기(130)에 후술할 스크루(140)를 장착하여 거푸집(M)에 조립했을 때 상기 지지 돌기(110)가 거푸집(M) 면에 닿을 수 있는 크기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장착 돌기(130)에는, [도 4] 및 [도 6]과 같이, 후술할 스크루(140)를 장착할 수 있도록 장착 구멍(131)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장착 구멍(131)은 각기둥 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여기에 강제로 끼워서 조립되는 스크루(140)가 헛돌지 않고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 스크루
스크루(140)는, [도 3] 및 [도 6]과 같이, 상술한 장착 구멍(131)에 강제로 끼워서 조립되게 해서 스크루(140)가 거푸집(M)에 체결 고정됨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철근 지지대도 거푸집(M)에 고정되어 쓰러지거나 넘어지지 않게 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스크루(140)는 통상의 기술로 제작된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특히 머리 부분이 각기둥 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사용함으로써, 상술한 장착 구멍(131)에 스크루(140)를 강제로 끼워서 조립할 때 견고하게 고정하여 쉽게 이탈하거나 빠지지 않고 사용할 수 있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스크루(140)는, [도 6] 및 [도 7]과 같이 상기 장착 구멍(131)에 미리 강제로 끼워서 조립한 다음 거푸집(M)에 조립하여 철근(B)을 배근하게 할 수도 있고, [도 8]과 같이 거푸집(M)에 미리 스크루(140)를 체결한 상태에서 이 스크루(140)에 장착 구멍(131)을 맞춰 끼워서 조립하여 철근(B)을 배근하게 구성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철근 지지대가 스크루로 거푸집에 고정된 상태에서 배근된 철근을 지지할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거푸집 위에서 철근 지지대가 쓰러지거나 넘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철근이 항상 정해진 위치에서 지지를 받을 수 있게 된다.
100: 본체
110: 지지 돌기
120: 안착 면
130: 장착 돌기
131: 장착 구멍
140: 스크루
B: 철근

Claims (3)

  1. 한쪽 면에 거푸집(M) 면에 닿는 적어도 세 개의 지지 돌기(110)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지지 돌기(110)가 형성된 면과 마주하는 면에는 철근(B)을 안착하여 지지하도록 "+"자 형상으로 안착 면(120)이 형성된 철근 지지대에서,
    상기 지지 돌기(110)가 형성된 면에는,
    장착 돌기(130)가 형성되되, 상기 장착 돌기(130)에는 거푸집(M)에 체결 방식으로 체결되는 스크루(140)가 강제로 끼워져서 철근 지지대가 쓰러지거나 넘어지지 않게 지지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지지대.
  2. 제1항에서,
    상기 장착 돌기(130)에는,
    상기 스크루(140)가 강제로 끼워질 수 있도록 각기둥 형상으로 장착 구멍(131)이 형성되고, 상기 스크루(140)는 머리 부분이 상기 각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지지대.
  3. 제1항 또는 제2항에서,
    상기 스크루(140)는,
    철근 지지대가 설치되는 거푸집(M) 위치에 미리 체결해 놓고 그 위에 상기 장착 돌기(130)를 강제로 끼워서 시공하게 하거나,
    상기 스크루(140)를 미리 장착 돌기(130)에 강제로 끼운 다음 거푸집(M)에 체결하게 해서 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지지대.
KR1020220086076A 2022-07-13 2022-07-13 철근 지지대 KR2024000905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6076A KR20240009052A (ko) 2022-07-13 2022-07-13 철근 지지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6076A KR20240009052A (ko) 2022-07-13 2022-07-13 철근 지지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09052A true KR20240009052A (ko) 2024-01-22

Family

ID=897165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6076A KR20240009052A (ko) 2022-07-13 2022-07-13 철근 지지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09052A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0695U (ko) 2017-09-08 2019-03-18 (주)해밀하이텍 철근 받침대
KR101960241B1 (ko) 2018-07-25 2019-07-15 박수부 건축용 철근 콘크리트 슬래브 시공 시 이용되는 작업발판과 레벨링 기능을 겸비한 전도방지 다기능 철근받침대
KR200494198Y1 (ko) 2019-11-06 2021-08-24 주식회사 탐진 건축물용 전선 안내관의 지지철근 고정홀더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0695U (ko) 2017-09-08 2019-03-18 (주)해밀하이텍 철근 받침대
KR101960241B1 (ko) 2018-07-25 2019-07-15 박수부 건축용 철근 콘크리트 슬래브 시공 시 이용되는 작업발판과 레벨링 기능을 겸비한 전도방지 다기능 철근받침대
KR200494198Y1 (ko) 2019-11-06 2021-08-24 주식회사 탐진 건축물용 전선 안내관의 지지철근 고정홀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037677A (ko) Pc벽체 시공중 자립을 위한 구조물 및 이의 시공 방법
KR101777746B1 (ko) 지주받침대
KR20240009052A (ko) 철근 지지대
JP6632290B2 (ja) 鋼製柱の脚部構造及び鋼製柱脚部の施工方法
KR20240009053A (ko) 2단 철근 지지대
CN114382170B (zh) 一种上层预制竖向构件施工方法
JP2018123537A (ja) べた基礎の施工方法、筒状型枠及びべた基礎構造
KR20220080604A (ko) 고소작업용 합벽지지대 설치장치
JP3453895B2 (ja) 大型鉄骨架構のアンカーボルト据付け方法
JPH1136442A (ja) 鉄筋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構築方法および構築部材
JP3096317U (ja) 既設床スラブの改修構造
JP2004003168A (ja) コンクリート型枠の固定金具
JP4010937B2 (ja) ハーフpc板とそれを用いる施工法
JP2003013535A (ja) ボイド型枠ユニットの床型枠への固定構造及び固定方法
KR20120002954A (ko) 철근 및 행커볼트 고정 기능을 갖는 받침대
KR20120133871A (ko) 철근받침구조체
KR200322141Y1 (ko) 교각 코핑 시공을 위한 가시설 하부 받침틀 구조
JP2002303043A (ja) 配管用スリーブの固定方法及び固定具
JPH08209939A (ja) 梁鉄筋上の搬送路支持金具
JPS5845391Y2 (ja) 手摺子部材の組付構造
JP2002106173A (ja) 鉄筋受け架台及びそれを使用した配筋方法
JP2001173086A (ja) 手摺構造体
JP2021085147A (ja) 免震上基礎梁の構築方法
JP5501294B2 (ja) 基礎用アンカーボルトの支持装置
KR200268236Y1 (ko) 다층 건축물의 계단 형성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