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0695U - 철근 받침대 - Google Patents

철근 받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0695U
KR20190000695U KR2020170004799U KR20170004799U KR20190000695U KR 20190000695 U KR20190000695 U KR 20190000695U KR 2020170004799 U KR2020170004799 U KR 2020170004799U KR 20170004799 U KR20170004799 U KR 20170004799U KR 20190000695 U KR20190000695 U KR 2019000069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inforcing bar
protruding
adjusting rod
length adjusting
reinforc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479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한의
Original Assignee
(주)해밀하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해밀하이텍 filed Critical (주)해밀하이텍
Priority to KR202017000479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00695U/ko
Publication of KR2019000069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0695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E04C5/18Spacers of metal or substantially of met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E04C5/20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of material other than metal or with only additional metal parts, e.g. concrete or plastics spacers with metal binding wi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inforcement Elements For Build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철근 받침대에 관한 것으로, 특히 종방향 또는 횡방향으로 지지되는 철근이 수평상태를 유지하면서 안정적으로 놓이도록 한 철근 받침대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고안은 사각의 판재로 바닥부가 형성되고, 상기 바닥부의 각 모서리 부위에서 상측으로 돌출된 돌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각 돌출부로부터 상측으로는 지지기둥이 세워지면서 그 지지기둥에는 철근을 압박하기 위한 탄지편이 형성된 철근고정부; 상기 철근고정부의 하측에 상측이 결합되는 길이조절봉; 상기 길이조절봉의 하측에 결합되며, 측방향으로 돌출된 복수의 다리부가 형성된 받침부;로 구성된다.

Description

철근 받침대{The supporter of reinforcing bar}
본 고안은 철근 받침대에 관한 것으로, 특히 종방향 또는 횡방향으로 지지되는 철근이 수평상태를 유지하면서 안정적으로 놓이도록 한 철근 받침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크리트로 타설된 건물의 슬라브 내에는 다수개의 철근이 종방향 또는 횡방향으로 매설되어 그 강도를 보강하게 되며, 이러한 철근이 거푸집으로부터 간격을 유지시키면서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하여 철근 받침대를 사용하게 된다.
이러한 철근 받침대의 한 예로서, 등록실용신안 제20-0276648호에서는 도1에서와 같이 "몸체(1)의 중간부에 수평방향으로 재치부(2)가 형성되고, 상기 재치부(2)로부터 하방향으로 4개의 다리부(3)가 연장되며, 상기 몸체(1)의 상부측으로 4개의 탄력날개(4)가 형성된 철근 받침대에 있어서, 상기 재치부(2)는 상기 몸체(1)의 중간부를 가로지르는 형상으로 일자형으로 구성하되, 강성 보강을 위해 상기 재치부(2)의 중간부에 다른 부위에 비해 넓은 면적으로 안착부(5)를 구성하며, 상기 탄력날개(4)는 상기 몸체(1)와 일체로 상방향으로 연장하여 형성"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 기술은 몸체(10)의 중간부에만 재치부(2)가 형성되므로, 종방향 또는 횡방으로 철근이 놓일 때 그 재치부(2)가 교차되는 방향으로 철근이 놓이게 되면 철근이 수평을 유지하지 못하고 약간 기울어지게 되며, 그 철근의 기울어짐에 의해 몸체(1)가 기울어지거나 또는 넘어짐으로써 안정적으로 철근을 받쳐서 지지하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철근의 배근 불량에 따는 건축물의 시공불량이 발생할 소지가 매우 높은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철근을 받쳐서 고정하는 부위의 바닥부를 평평하게 하고, 또한 바닥부의 가장자리 부위의 철근이 안착되는 부위에 안착홈부를 형성하여 안정적으로 철근을 받칠 수 있도록 한 철근 받침대를 제공한다.
이를 위하여 본 고안에 의한 철근 받침대는,
사각의 판재로 바닥부가 형성되고, 상기 바닥부의 각 모서리 부위에서 상측으로 돌출된 돌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각 돌출부로부터 상측으로는 지지기둥이 세워지면서 그 지지기둥에는 철근을 압박하기 위한 탄지편이 형성된 철근고정부;
상기 철근고정부의 하측에 상측이 결합되는 길이조절봉;
상기 길이조절봉의 하측에 결합되며, 측방향으로 돌출된 복수의 다리부가 형성된 받침부;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길이조절봉은 철근고정부와 받침부에 나사결합되어 그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받침부의 다리부에는 상하방향으로 복수의 돌출부가 형성되고, 각 다리부와 다리부는 라운드 형태의 리브가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에 의하면, 철근이 기울어지지 않도록 안정적으로 받칠 수 있으므로, 배근의 불량이 발생하지 않으며, 또한 철근의 받침 높이를 손쉽게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철근 받침대의 구조를 보인 도.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철근 받침대의 구조를 보인 도.
도3은 바닥부의 하부면을 보인 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철근 받침대의 바람직한 구현 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철근 받침대의 구조를 보인 도이고, 도3은 바닥부(111)의 하부를 보인 도이다.
도2 및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철근 받침대는 크게 철근고정부(110), 길이조절봉(120), 그리고 받침부(130)로 구성된다.
철근고정부(110)는 사각의 판 형태로 된 바닥부(111)가 형성되고, 그 바닥부(111)의 각 모서리 부위에서는 상측으로 돌출된 돌출부(112)가 형성된다.
돌출부(112)의 간격은 철근의 두께만큼이고, 그 측벽부위는 경사가 져서 철근이 종방향 또는 횡방향으로 바닥부(111)에 놓일 때 철근의 하측의 양측부위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게 된다.
각 돌출부(112)에는 상측방향으로 세워지는 지지기둥(113)이 형성되어 있고, 그 지지기둥(113)으로 측방향으로 연장되어 탄성력을 가지고 철근의 측부위를 압박하기 위한 탄지편(115)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탄지편(115)에 의해 돌출부(112) 사이에 놓인 철근이 압박되어 쉽게 이탈되지 않으며, 아울러 압박된 철근이 바닥부(111)에 기울어짐이 없이 안정적을 놓이게 되는 것이다.
또한, 바닥부(111)의 하부로는 상부결합부(117)가 형성되어 길이조절봉(120)의 상측이 나사결합되면서 삽입되고, 도3에서와 같이 돌출부(112)가 형성된 위치로부터 상부결합부(117) 사이에는 리브(116)가 형성되어 안정적으로 바닥부(111)를 지지하게 된다.
상기 길이조절봉(120)은 철근고정부(110)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측은 상부결합부(117)에 나사결합되고, 하측은 받침부(130)에 나사결합된다.
따라서, 그 나사결합되는 깊이를 조절함으로써 철근고정부(11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아연으로 도금이 되어 습기에 의한 부식을 방지하게 된다.
받침부(130)는 가운데 부분에 나사구멍 형태의 하부결합부(134)가 형성되어 길이조절봉(120)의 하측이 나사결합되며, 네방향의 측방향으로 세워진 판 형태로 돌출된 다리부(131)를 갖는다.
이러한 각 다리부(131)에는 상하방향으로 돌출된 복수의 돌출부(132)가 형성되어 콘크리트가 타설되었을 때 콘크리트의 크랙을 방지하게 된다.
즉, 콘크리트가 다리부(131)의 면과 접촉한 상태에서 그 접촉면에 크랙이 발생하면 연속적으로 크랙으로 이어질 수 있어서 건축물의 수명을 단축시키지만, 돌출된 돌출부(132)에 의해 콘크리트의 접촉면에 홈이 형성됨으로써 크랙의 진행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다리부(131)의 상단에는 서로 높낮이를 달리하면서 철근을 지지하기 위한 안착홈(135)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횡방향과 종방향으로 교차되는 철근이 서로 간섭되지 않도록 지지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다리부(131)와 다리부(131)의 사이에는 라운드 형태의 리브(133)가 형성되어 있어서, 받침부(130)가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며, 또한 다리부(131)가 측방향으로 꺾여서 부러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철근 받침대를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이러한 설명에 의하여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실용신안청구범위가 갖는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서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및 변경 또한 본 고안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10 : 철근고정부
111 : 바닥부
112 : 돌출부
113 : 지지기둥
114 : 안착홈부
115 : 탄지편
116 : 리브
117 : 상부결합부
120 : 길이조절봉
130 : 받침부
131 : 다리부
132 : 돌출부
133 ; 리브
134 : 하부결합부
135 : 안착홈

Claims (4)

  1. 사각의 판재로 바닥부가 형성되고, 상기 바닥부의 각 모서리 부위에서 상측으로 돌출된 돌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각 돌출부로부터 상측으로는 지지기둥이 세워지면서 그 지지기둥에는 철근을 압박하기 위한 탄지편이 형성된 철근고정부;
    상기 철근고정부의 하측에 상측이 결합되는 길이조절봉;
    상기 길이조절봉의 하측에 결합되며, 측방향으로 돌출된 복수의 다리부가 형성된 받침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받침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조절봉은 철근고정부와 받침부에 나사결합되어 그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받침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의 다리부에는 상하방향으로 복수의 돌출부가 형성되고, 각 다리부와 다리부는 라운드 형태의 리브가 연결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받침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의 하부에는 각 돌출부가 형성된 부위에 리브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받침대.
KR2020170004799U 2017-09-08 2017-09-08 철근 받침대 KR20190000695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4799U KR20190000695U (ko) 2017-09-08 2017-09-08 철근 받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4799U KR20190000695U (ko) 2017-09-08 2017-09-08 철근 받침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0695U true KR20190000695U (ko) 2019-03-18

Family

ID=658911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4799U KR20190000695U (ko) 2017-09-08 2017-09-08 철근 받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00695U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494155A (zh) * 2021-07-28 2021-10-12 广州工程总承包集团有限公司 一种用于钢筋混凝土的板间厚度控制装置
KR20240009053A (ko) 2022-07-13 2024-01-22 김영식 2단 철근 지지대
KR20240009052A (ko) 2022-07-13 2024-01-22 김영식 철근 지지대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494155A (zh) * 2021-07-28 2021-10-12 广州工程总承包集团有限公司 一种用于钢筋混凝土的板间厚度控制装置
KR20240009053A (ko) 2022-07-13 2024-01-22 김영식 2단 철근 지지대
KR20240009052A (ko) 2022-07-13 2024-01-22 김영식 철근 지지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00695U (ko) 철근 받침대
KR102285238B1 (ko) 건축물 내외장재 및 트러스 프로파일 고정용 브라켓
US10149558B2 (en) Picture frame wall hanging and leveling assembly
KR100773774B1 (ko) 각도조절이 가능한 동바리장치
KR101617441B1 (ko) 거푸집 고정장치
US9670681B2 (en) Anchoring member
KR20190071060A (ko) 물탱크용 패드
RU2762934C1 (ru) Опорно-усиливающий элемент, плоский металлический лист для его изготовления и осушительная система
KR101721522B1 (ko) 가변 앵커
KR101420303B1 (ko) 기초용 철근 스페이서
KR101616012B1 (ko) 교량용 슬래브패널의 각도조절기능을 구비한 지지대
CN105508821A (zh) 一种高度调整装置及用于雷达基座调平的调整装置
JP6399677B1 (ja) 型枠レベル調整装置
KR200169480Y1 (ko) 바닥 시공용 레벨링 장치
KR20110078593A (ko) 상부철근 받침대,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건물 기초 시공방법
KR101208411B1 (ko) 콘크리트 바닥 시공용 조인트 장치
KR20120106172A (ko) 배관 거치대
EP1598498A1 (en) Connecting stake with a fixing stirrup with clamps, for the assembly of a concrete floor on wooden beams
KR100407860B1 (ko) 바닥 시공용 레벨링 장치
KR200354079Y1 (ko) 건축용 파이프 지지대
KR100485262B1 (ko) 거푸집 패널용 수평 고정장치
JP2014047500A (ja) デッキ
KR102409032B1 (ko) 별도의 장선재 없는 리브드 슬래브 거푸집 시스템
US20230279676A1 (en) Supporting beam for a formwork panel
JP6796859B2 (ja) プレキャスト型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