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08114A - 러그 잔재물 제거 장치 - Google Patents

러그 잔재물 제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08114A
KR20240008114A KR1020220085093A KR20220085093A KR20240008114A KR 20240008114 A KR20240008114 A KR 20240008114A KR 1020220085093 A KR1020220085093 A KR 1020220085093A KR 20220085093 A KR20220085093 A KR 20220085093A KR 20240008114 A KR20240008114 A KR 202400081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moving
rotation
rug
removal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850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영덕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850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08114A/ko
Publication of KR202400081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0811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27/00Other grinding machines or devices
    • B24B27/06Grinders for cutting-off
    • B24B27/08Grinders for cutting-off being portable
    • B24B27/085Stand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23/00Portable grinding machines, e.g. hand-guided; Accessories therefor
    • B24B23/005Auxiliary devices used in connection with portable grinding machines, e.g. hol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23/00Portable grinding machines, e.g. hand-guided; Accessories therefor
    • B24B23/02Portable grinding machines, e.g. hand-guided; Accessories therefor with rotating grinding tools; Accessories therefor
    • B24B23/03Portable grinding machines, e.g. hand-guided; Accessories therefor with rotating grinding tools; Accessories therefor the tool being driven in a combined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27/00Other grinding machines or devices
    • B24B27/0007Movable machines

Abstract

본 발명은 러그 잔재물 제거 장치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러그 잔재물 제거 장치는, 전후방이 개구된 본체; 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본체의 전방 측에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 이동 유닛; 제1 이동 유닛에 본체의 폭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 이동 유닛; 및 제2 이동 유닛에 본체의 높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본체의 후방 측에 배치된 러그 잔재물을 제거하는 그라인더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부를 구비하는 제3 이동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러그 잔재물 제거 장치{APPARATUS FOR REMOVING REMNANT OF LUG}
본 발명은 러그 잔재물 제거 장치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은 다양한 크기로 제작된 블록(block)들을 용접 등을 통해 조립되어 완성된다. 이러한 블록의 조립을 위해 육상 작업장에서 제작된 블록(block)들이 도크(dock)로 운반된다.
이러한 블록은 크기가 크고 무겁기 때문에 크레인 등을 통해 운반된다. 블록을 크레인으로 운반하기 위해 각 블록의 상부에는 크레인의 훅(hook)이 체결될 수 있는 러그(lug)가 설치된다.
한편, 러그는 블록과 용접 접합되며, 크레인으로 블록을 운반 후 더 이상 불필요해진 러그는 제거된다. 종래에는 러그를 제거하기 위해, 먼저, 작업자가 산소 절단기를 이용하여 러그의 아랫부분을 대략 30mm 내지 40mm 남겨두고 절단한 후, 밀링머신 또는 그라인더로 남겨진 러그 잔재물을 절삭하여 제거한다.
그러나, 종래의 러그 제거 방법은 러그 잔재물이 산소 절단기를 통해 절단되는 과정에서 작업자의 부주의나 작업 숙련도에 의해 블록이 파손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의 러그 제거 방법은 작업자가 장시간 밀링머신 또는 그라인더를 들고 지속적으로 작업을 수행해야 하기 때문에, 작업자에게 근골격 질환이 발생될 가능성이 높으며, 러그 잔재물 제거 작업의 생산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러그 잔재물을 제거하는 작업 과정에서 작업자의 육체적인 노동을 최소화하여 작업자의 근골격 질환을 방지하고,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러그 잔재물 제거 장치에 대한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있는 러그 잔재물을 제거하는 작업 과정에서 작업자의 육체적인 노동을 최소화하여 작업자의 근골격 질환을 방지하고,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러그 잔재물 제거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전후방이 개구된 본체; 상기 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본체의 전방 측에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 이동 유닛; 상기 제1 이동 유닛에 상기 본체의 폭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 이동 유닛; 및 상기 제2 이동 유닛에 상기 본체의 높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본체의 후방 측에 배치된 러그 잔재물을 제거하는 그라인더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부를 구비하는 제3 이동 유닛을 포함하는, 러그 잔재물 제거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의 후방 측에 연결되고, 상기 러그 잔재물이 위치하는 선체에 상기 본체를 선택적으로 부착시키는 부착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부착 유닛은, 상기 본체의 후방 측에 결합되는 지지 부재; 및 상기 지지 부재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동홈을 구비하는 자성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이동 유닛은, 상기 본체에 결합되는 제1 결합 부재; 상기 제1 결합 부재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회전 부재; 상기 제1 회전 부재와 연결되고, 상기 제1 회전 부재에 선택적으로 회전력을 제공하는 제1 구동 부재; 및 상기 제1 회전 부재의 회전과 연동하여 상기 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되는 제1 이동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이동 유닛은, 상기 제1 결합 부재에 결합되는 제2 결합 부재; 상기 제2 결합 부재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회전 부재; 상기 제2 회전 부재와 연결되고, 상기 제2 회전 부재에 회전력을 선택적으로 제공하는 제2 구동 부재; 및 상기 제2 회전 부재의 회전과 연동하여 상기 본체의 폭 방향을 따라 이동되는 제2 이동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이동 유닛은, 상기 제2 이동 부재에 상기 본체의 두께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본체의 후방 측에 위치하는 면에 상기 결합부가 구비되는 제3 이동 부재; 상기 제3 이동 부재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3 회전 부재; 및 상기 제3 회전 부재와 연결되고, 상기 제3 회전 부재에 회전력을 선택적으로 제공하는 제3 구동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3 이동 부재는 상기 제3 구동 부재의 회전과 연동하여 상기 본체의 두께 방향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이동 유닛은, 상기 제2 이동 부재에 대한 상기 제3 이동 부재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제2 이동 부재 및 상기 제3 이동 부재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는 제1 가이드 부재; 및 상기 제2 이동 부재 및 상기 제3 이동 부재 중 다른 하나에 구비되고, 상기 제1 가이드 부재와 계합되는 제2 가이드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러그 잔재물을 제거하는 작업 과정에서 작업자의 육체적인 노동을 최소화하여 작업자의 근골격 질환을 방지하고,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러그 잔재물 제거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러그 잔재물 제거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러그 잔재물 제거 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러그 잔재물 제거 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러그 잔재물 제거 장치의 제2 이동 유닛에 대한 제3 이동 유닛의 이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3의 A-A 단면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도 1의 러그 잔재물 제거 장치가 러그 잔재물을 제거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동작 상태도들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된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로 사용된 것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일 측, 타 측 등의 표현은 도면에 도시를 기준으로 설명한 것이며 해당 대상의 방향이 변경되면 다르게 표현될 수 있음을 미리 밝혀 둔다. 마찬가지의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또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해당 구성요소들은 이와 같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들을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러그 잔재물 제거 장치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러그 잔재물 제거 장치(1)는 본체(10), 제1 이동 유닛(20), 제2 이동 유닛(30), 제3 이동 유닛(40) 및 부착 유닛(5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러그 잔재물(3)이 작업자의 머리 위에 위치하여 러그 잔재물 제거 장치(1)의 러그 잔재물 제거 작업이 위 보기 자세로 수행되는 경우를 일 예로 들어 설명하겠다. 다만,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예시에 불과하고, 이로 인해 본 발명의 사상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러그 잔재물 제거 장치(1)의 러그 잔재물 제거 작업은 아래 보기 자세, 수직 자세 등과 같은 다양한 자세로도 수행될 수 있다.
본체(10)는 부착 유닛(50)을 통해 러그 잔재물(3, 도 7 참조)이 위치하는 선체(2, 도 7 참조)에 선택적으로 부착될 수 있다. 이때, 본체(10)의 전후방은 개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체(10)는 전후방이 개구된 사각 틀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렇게 본체(10)의 전후방이 개구됨에 따라, 후술할 제3 이동 유닛(40)의 제3 이동 부재(41)가 본체(10)의 두께 방향으로 이동되어 러그 잔재물(3)에 가까워질 수 있다. 제3 이동 부재(41)가 러그 잔재물(3)에 가까워지면, 제3 이동 부재(41)에 장착된 그라인더(4, 도 7 참조)가 러그 잔재물(3)에 가까워져서 러그 잔재물(3)을 그라인딩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겠다.
제1 이동 유닛(20)은 본체(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본체(10)의 전방 측에 이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본체(10)의 길이 방향은 도 1의 x축 방향을 의미하고, 본체(10)의 전방은 도 1의 y축 방향을 의미한다.
이때, 제1 이동 유닛(20)은 본체(10)에 결합되는 제1 결합 부재(21), 제1 결합 부재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회전 부재(22), 제1 회전 부재(22)와 연결되고, 제1 회전 부재(22)에 선택적으로 회전력을 제공하는 제1 구동 부재(23) 및 제1 회전 부재(22)의 회전과 연동하여 본체(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되는 제1 이동 부재(2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결합 부재(21)는 제1 회전 부재(22)가 연결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 결합 부재(22)는 본체(10)의 전방 측 모서리에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결합 부재(21)는 일 예로 사각 평판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제1 회전 부재(22)는 적어도 하나로 구비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제1 회전 부재(22)는 제1 결합 부재(21)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 결합 부재(21)는 제1 구동 부재(23)의 구동축과 직결되어 있을 수 있다. 본 실시예처럼 제1 회전 부재(22)가 한 쌍으로 구비되는 경우, 한 쌍의 제1 회전 부재(22)는 제1 결합 부재(2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상호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결합 부재(21)의 길이 방향은 도 1의 z축 방향을 의미한다.
이때, 제1 회전 부재(22)의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회전 부재(22)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은 제1 이동 부재(24)의 연결부(241)의 내주면에 마련되는 나사산과 맞물릴 수 있다. 제1 회전 부재(22)의 나사산과 제1 이동 부재(24)의 연결부(241)의 나사산의 맞물림 결합은 본체(10)의 길이 방향에 대한 제1 이동 부재(24)의 이동을 유도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겠다.
제1 구동 부재(23)는 제1 결합 부재(21)와 결합될 수 있다. 제1 구동 부재(23)는 제1 회전 부재(22)를 일 방향 또는 타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제1 구동 부재(23)는 서보 모터로 구비될 수 있다.
제1 이동 부재(24)는 제1 회전 부재(22)에 이동 가능하게 제공되어 후술할 제3 이동 유닛(40)의 제3 이동 부재(41)에 연결된 그라인더(4)가 작업자가 소망하는 위치에 위치될 수 있도록 한다. 제1 회전 부재(22)의 일 방향 회전시 제1 이동 부재(24)는 제1 회전 부재(22)의 길이 방향 내측으로 이동될 수 있고, 제1 회전 부재(22)의 타 방향 회전시 제1 이동 부재(24)는 제1 회전 부재(22)의 길이 방향 외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회전 부재(22)의 길이 방향은 도 1의 x축 방향을 의미한다.
이때, 제1 이동 부재(24)의 둘레면 중 본체(10)의 후방 측에 위치하는 면에 연결된 연결부(241)에 의해, 제1 이동 부재(24)가 제1 회전 부재(22)에 이동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연결부(241)의 내주면에는 제1 회전 부재(22)의 외주면에 구비된 나사산과 맞물릴 수 있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상술한 바 있으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제2 이동 유닛(30)은 제1 이동 유닛(20)에 본체(10)의 폭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본체(10)의 폭 방향은 도 1의 z축 방향을 의미한다.
이때, 제2 이동 유닛(30)은 제1 결합 부재에 결합되는 제2 결합 부재(31), 제2 결합 부재(31)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회전 부재(32), 제2 회전 부재(32)와 연결되고, 제2 회전 부재(32)에 회전력을 선택적으로 제공하는 제2 구동 부재(33) 및 제2 회전 부재(32)의 회전과 연동하여 본체(10)의 폭 방향을 따라 이동되는 제2 이동 부재(34)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결합 부재(31)는 제1 이동 부재(24)의 둘레면 중 본체(10)의 전방 측에 위치하는 면에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결합 부재(31)는 제2 회전 부재(32)가 연결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부분으로서, 일 예로 사각 평판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제2 회전 부재(32)는 적어도 하나로 구비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제2 회전 부재(32)는 제2 결합 부재(31)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2 회전 부재(32)는 제2 구동 부재(33)의 구동축과 직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와 같이, 제2 회전 부재(32)가 한 쌍으로 마련되는 경우, 한 쌍의 제2 회전 부재(32)는 제2 결합 부재(31)의 폭 방향으로 상호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결합 부재(31)의 폭 방향은 도 1의 y축 방향을 의미한다.
이때, 제2 회전 부재(32)의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구비될 수 있다. 제2 회전 부재(32)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은 제2 이동 부재(34)의 연결부(3411)의 내주면에 구비된 나사산과 맞물려서 결합될 수 있다. 제2 회전 부재(32)의 나사산과 제2 이동 부재(34)의 연결부(3411)의 나사산의 맞물림 결합은 본체(10)의 폭 방향에 대한 제2 이동 부재(34)의 이동을 유도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겠다.
제2 구동 부재(33)는 제2 결합 부재(31)와 결합될 수 있다. 제2 구동 부재(33)는 제2 회전 부재(32)를 일 방향 또는 타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제2 구동 부재(33)는 서보 모터로 구비될 수 있다.
제2 이동 부재(34)는 제2 회전 부재(32)에 이동 가능하게 제공되어 후술할 제3 이동 유닛(40)의 제3 이동 부재(41)에 연결된 그라인더(4)가 작업자가 소망하는 위치에 위치될 수 있도록 한다. 제2 회전 부재(32)의 일 방향 회전시 제2 이동 부재(34)는 제2 회전 부재(32)의 길이 방향 내측으로 이동될 수 있고, 제2 회전 부재(32)의 타 방향 회전시 제2 이동 부재(34)는 제2 회전 부재(32)의 길이 방향 외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회전 부재(32)의 길이 방향은 도 1의 z축 방향을 의미한다.
한편, 제2 이동 부재(34)는 후술할 제3 이동 유닛(40)의 제1 연장부(341) 및 연장부(341)의 연장 방향과 실질적으로 수직한 방향으로 제1 연장부(341)의 단부에 연결되는 제2 연장부(342)로 구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연장부(341)와 제2 연장부(342)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필요에 따라, 제1 연장부(341) 및 제2 연장부(342)는 별도로 제작된 후, 용접 등에 의해 상호 결합될 수도 있다.
제1 연장부(341)에는 제2 회전 부재(32)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부(3411)가 연결될 수 있다. 제2 연장부(342)의 둘레면 중 본체(10)의 후방 측에 위치하는 면에는 후술할 제3 이동 유닛(40)의 제3 구동 부재(43)가 연결될 수 있고, 제2 연장부(342)의 둘레면 중 본체(10)의 전방 측에 위치하는 면에는 후술할 제3 이동 유닛(40)의 제3 회전 부재(42)가 상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제3 이동 유닛(40)은 제2 이동 유닛(30)에 본체(10)의 높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본체(10)의 높이 방향은 도 1의 y축 방향을 의미한다.
이때, 제3 이동 유닛(40)은 제2 이동 부재(34)에 본체(10)의 두께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본체(10)의 후방 측에 위치하는 면에 결합부(411)가 구비되는 제3 이동 부재(41), 제3 이동 부재(41)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3 회전 부재(42), 제3 회전 부재(42)와 연결되고, 제3 회전 부재(42)에 회전력을 선택적으로 제공하는 제3 구동 부재(43) 및 제2 이동 부재(34)에 대한 제3 이동 부재(41)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44)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이동 부재(41)는 제1 이동 부재(24) 및 제2 이동 부재(34)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작업자가 소망하는 위치로 이동된 그라인더(4)가 러그 잔재물(3)에 가까워질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제3 이동 부재(41)는 제2 이동 부재(34)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이동 부재(34)에 대한 제3 이동 부재(41)의 이동 방향은 본체(10)의 두께 방향과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이때, 제3 이동 부재(41)의 둘레면 중 본체(10)의 후방 측에 위치하는 면에는 결합부(411)가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결합부(411)는 그라인더(4)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부분으로, 제3 이동 부재(41)가 제2 이동 부재(34)에 대하여 이동될 때, 제3 이동 부재(41)와 연결된 결합부(411)의 위치 역시 이동되므로, 러그 잔재물(3)과 결합부(411) 사이의 거리가 달라질 수 있다.
한편, 제3 이동 부재(41)의 둘레면 중 본체(10)의 전방 측에 위치하는 면에는 제3 회전 부재(42)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부(412)가 구비될 수 있다. 연결부(412)의 내주면에는 나사산(4121)이 구비될 수 있으며, 연결부(412)의 내주면에 구비된 나사산(4121)은 제3 회전 부재(42)의 나사산(421)과 맞물릴 수 있다.
제3 회전 부재(42)는 제2 이동 부재(34)의 제2 연장부(342)를 관통하여 제3 구동 부재(43)의 구동축과 직결되게 연결될 수 있다. 제3 회전 부재(42)는 제3 구동 부재(43)의 구동축의 회전 방향에 따라 일 방향 또는 타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제3 구동 부재(43)는 제2 이동 부재(34)의 제2 연장부(342)에 결합될 수 있다. 제3 구동 부재(43)는 제3 회전 부재(42)를 일 방향 또는 타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제3 구동 부재(43)는 서보 모터로 구비될 수 있다.
가이드부(44)는 제2 이동 부재(34) 및 제3 이동 부재(41)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는 제1 가이드 부재(441) 및 제2 이동 부재(34) 및 제3 이동 부재(41) 중 다른 하나에 구비되고, 제1 가이드 부재(441)와 계합되는 제2 가이드 부재(44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가이드 부재(441)는 제3 이동 부재(41)의 둘레면 중 본체(10)의 전방 측에 위치하는 면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가이드 부재(441)는 3 이동 부재(41)의 둘레면 중 본체(10)의 전방 측에 위치하는 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가이드 돌기일 수 있다.
제2 가이드 부재(442)는 제2 이동 부재(34)의 제1 연장부(341)에 제공될 수 있으며, 일 예로 제1 연장부(34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가이드 홈으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연장부(341)의 길이 방향은 도 5의 y축 방향을 의미한다.
부착 유닛(50)은 러그 잔재물(3)이 위치하는 선체(2)에 본체(10)를 선택적으로 부착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부착 유닛(50)은 본체(10)의 후방 측에 연결될 수 있다.
이때, 부착 유닛(50)은 복수 개로 제공될 수 있다. 복수의 부착 유닛(50) 중 적어도 일부는 본체(10)의 후방 측에서 본체(10)의 길이 방향 일 측에 연결될 수 있고, 복수의 부착 유닛(50) 중 나머지는 본체(10)의 후방 측에서 본체(10)의 길이 방향 타측에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본체(10)의 길이 방향 일 측에 연결된 부착 유닛(50)과 본체(10)의 길이 방향 타 측에 연결된 부착 유닛(50)은 서로 엇갈리게 배치될 수 있다.
부착 유닛(50)은 본체(10)의 후방 측에 결합되는 지지 부재(51) 및 지지 부재(51)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동홈(521)을 구비하는 자성 부재(52)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 부재(51)는 회동부(511)와 연장 지지부(512)로 구분될 수 있다. 회동부(511)와 연장 지지부(512)는 일체로 형성되거나, 별도로 제작된 후 상호 결합될 수 있다. 자성 부재(52)는 일 예로 네오디뮴 자석으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러그 잔재물(3)이 위치하는 선체(2)는 소정의 곡률을 갖는 곡면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선체(2)가 평면으로 이루어지는 경우에 비해 자성 부재(52)가 선체(2)에 밀착되는 것이 어려울 수 있다. 하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지지 부재(51)의 회동부(511)가 자성 부재(52)의 회동홈(521)에 회동 가능하게 삽입됨에 따라, 선체(2)의 곡률에 대응하여 회동부(511)가 자성 부재(52)에 대하여 회동될 수 있다. 이로써, 자성 부재(52)가 선체(2)의 곡면에 밀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러그 잔재물 제거 장치(1)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7을 참조하면, 먼저, 작업자는 러그 잔재물(3)의 위치를 파악하여 러그 잔재물(3)이 위치하는 선체(2)에 러그 잔재물 제거 장치(1)를 부착한다. 이하에서는, 러그 잔재물(3)이 작업자의 머리 위에 위치하여 러그 잔재물 제거 장치(1)의 러그 잔재물 제거 작업이 위 보기 자세로 수행되는 경우를 일 예로 들어 설명하겠다. 다만,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예시에 불과한 바, 러그 잔재물 제거 장치(1)의 러그 잔재물 제거 작업은 아래 보기 자세, 수직 자세 등과 같은 다양한 자세로도 수행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러그 잔재물 제거 장치(1)를 선체(2)에 부착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면, 본체(10)의 후방 측에 연결된 자성 부재(52)가 선체(2)에 자성 결합된다. 이렇게 자성 부재(52)가 선체(2)에 자성 결합되면, 지지 부재(51)를 매개로 자성 부재(52)와 연결된 본체(10)가 선체(2)에 부착될 수 있다.
이때, 러그 잔재물(3)이 위치하는 선체(2)는 소정의 곡률을 갖는 곡면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선체(2)가 평면으로 이루어지는 경우에 비해 자성 부재(52)가 선체(2)에 밀착되는 것이 어려울 수 있다. 이에, 본 실시예에서는 지지 부재(51)의 회동부(511)가 자성 부재(52)의 회동홈(521)에 회동 가능하게 삽입됨에 따라, 선체(2)의 곡률에 대응하여 회동부(511)가 자성 부재(52)에 대하여 회동될 수 있다.
다음으로, 작업자는 러그 잔재물(3)을 제거하기 위한 그라인더(4)를 결합부(411)에 장착한다. 결합부(411)에는 그라인더(4) 뿐만 아니라 그라인더(4)에 에어를 공급하는 에어 호스(5)의 적어도 일부도 결합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는 러그 잔재물 제거 장치(1)가 선체(2)에 부착된 상태에서 러그 잔재물 제거 장치(1)에 그라인더(4)가 장착되는 경우를 일 예로 들어 설명하나, 필요에 따라, 러그 잔재물 제거 장치(1)에 먼저 그라인더(4)가 장착되고, 이 상태로 러그 잔재물 제거 장치(1)가 선체(2)에 부착되는 것도 가능하다.
결합부(411)에 그라인더(4)가 장착되면, 작업자는 별도의 조정부(미도시)를 이용하여 결합부(411)를 러그 잔재물(3)에 대향하는 위치로 이동시켜서 그라인더(4)가 러그 잔재물(3)에 대향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제1 구동 부재(23)가 구동되어 제1 회전 부재(22)가 제1 결합 부재(21)에 대하여 상대 회전된다. 제1 회전 부재(22)가 제1 결합 부재(21)에 대하여 상대 회전될 때, 제1 회전 부재(22)의 외주면에 구비된 나사산이 제1 이동 부재(24)의 연결부(241)의 내주면에 구비된 나사산과 맞물리면서 제1 이동 부재(24)가 본체(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된다. 본체(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제1 이동 부재(24)가 작업자가 소망하는 위치에 도달하면, 작업자는 조정부를 이용하여 제1 구동 부재(23)의 구동을 중지한다.
한편, 러그 잔재물(3)에 대한 결합부(411)의 위치 조정이 더욱 필요한 경우, 작업자는 조정부를 통해 제2 구동 부재(33)를 구동시킨다. 제2 구동 부재(33)가 구동되면, 제2 회전 부재(32)가 제2 결합 부재(31)에 대하여 상대 회전된다. 제2 회전 부재(32)가 제2 결합 부재(31)에 대하여 상대 회전될 때, 제2 회전 부재(32)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이 제2 이동 부재(34)의 연결부(3411)의 내주면에 제공되는 나사산과 맞물리면서 제2 이동 부재(34)가 본체(10)의 폭 방향을 따라 이동된다. 본체(10)의 폭 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제2 이동 부재(34)가 작업자가 소망하는 위치에 도달하면, 작업자는 조정부를 이용하여 제2 구동 부재(33)의 구동을 중지한다.
도 8을 참조하면, 작업자는 조정부를 통해 결합부(411)를 러그 잔재물(3)과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시켜서 그라인더(4)가 러그 잔재물(3)과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작업자는 조정부를 통해 제3 구동 부재(43)를 구동시킨다. 제3 구동 부재(43)가 구동되면, 제3 구동 부재(43)의 구동력을 전달받은 제3 회전 부재(42)가 제3 이동 부재(41)에 대하여 상대 회전된다.
제3 회전 부재(42)가 제3 이동 부재(41)에 대하여 상대 회전될 때, 제3 회전 부재(42)의 외주면에 구비된 나사산(421)이 제3 이동 부재(41)의 결합부(411)의 내주면에 구비된 나사산(4121)과 맞물릴 수 있다. 제3 회전 부재(42)의 나사산(421)과 제3 이동 부재(41)의 나사산(4121)이 맞물릴 때, 제3 이동 부재(41)는 본체(10)의 두께 방향을 따라 이동된다. 본체(10)의 두께 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제3 이동 부재(41)가 작업자가 소망하는 위치에 도달하면, 작업자는 조정부를 이용하여 제3 구동 부재(43)의 구동을 중지하고, 에어 호스(5)에 에어를 공급하여 그라인더(4)가 러그 잔재물(3)을 그라이딩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러그 잔재물(3)을 제거하는 작업 과정에서 작업자의 육체적인 노동이 최소화됨에 따라, 작업자의 근골격 질환이 방지되고, 러그 잔재물 제거 작업의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구체적인 실시 형태로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 것이며,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초 사상에 따르는 최광의 범위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당업자는 개시된 실시형태들을 조합/치환하여 적시되지 않은 형상의 패턴을 실시할 수 있으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다. 이외에도 당업자는 본 명세서에 기초하여 개시된 실시형태를 용이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변경 또는 변형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명백하다.
1: 러그 잔재물 제거 장치 2: 선체
3: 러그 잔재물 4: 그라인더
5: 에어 호스 10: 본체
20: 제1 이동 유닛 21: 제1 결합 부재
22: 제1 회전 부재 23: 제1 구동 부재
24: 제1 이동 부재 30: 제2 이동 유닛
31: 제2 결합 부재 32: 제2 회전 부재
33: 제2 구동 부재 34: 제2 이동 부재
40: 제3 이동 유닛 41: 제3 이동 부재
42: 제3 회전 부재 43: 제3 구동 부재
44: 가이드부 50: 부착 유닛
51: 지지 부재 52: 자성 부재
241, 412, 3411: 연결부 341: 제1 연장부
342: 제2 연장부 411: 결합부
421, 4121: 나사산 441: 제1 가이드 부재
442: 제2 가이드 부재 511: 회동부
512: 연장 지지부 521: 회동홈

Claims (6)

  1. 전후방이 개구된 본체;
    상기 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본체의 전방 측에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 이동 유닛;
    상기 제1 이동 유닛에 상기 본체의 폭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 이동 유닛; 및
    상기 제2 이동 유닛에 상기 본체의 높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본체의 후방 측에 배치된 러그 잔재물을 제거하는 그라인더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부를 구비하는 제3 이동 유닛을 포함하는,
    러그 잔재물 제거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후방 측에 연결되고, 상기 러그 잔재물이 위치하는 선체에 상기 본체를 선택적으로 부착시키는 부착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부착 유닛은,
    상기 본체의 후방 측에 결합되는 지지 부재; 및
    상기 지지 부재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동홈을 구비하는 자성 부재를 포함하는,
    러그 잔재물 제거 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동 유닛은,
    상기 본체에 결합되는 제1 결합 부재;
    상기 제1 결합 부재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회전 부재;
    상기 제1 회전 부재와 연결되고, 상기 제1 회전 부재에 선택적으로 회전력을 제공하는 제1 구동 부재; 및
    상기 제1 회전 부재의 회전과 연동하여 상기 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되는 제1 이동 부재를 포함하는,
    러그 잔재물 제거 장치.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이동 유닛은,
    상기 제1 결합 부재에 결합되는 제2 결합 부재;
    상기 제2 결합 부재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회전 부재;
    상기 제2 회전 부재와 연결되고, 상기 제2 회전 부재에 회전력을 선택적으로 제공하는 제2 구동 부재; 및
    상기 제2 회전 부재의 회전과 연동하여 상기 본체의 폭 방향을 따라 이동되는 제2 이동 부재를 포함하는,
    러그 잔재물 제거 장치.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이동 유닛은,
    상기 제2 이동 부재에 상기 본체의 두께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본체의 후방 측에 위치하는 면에 상기 결합부가 구비되는 제3 이동 부재;
    상기 제3 이동 부재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3 회전 부재; 및
    상기 제3 회전 부재와 연결되고, 상기 제3 회전 부재에 회전력을 선택적으로 제공하는 제3 구동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3 이동 부재는 상기 제3 구동 부재의 회전과 연동하여 상기 본체의 두께 방향을 따라 이동되는,
    러그 잔재물 제거 장치.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이동 유닛은,
    상기 제2 이동 부재에 대한 상기 제3 이동 부재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제2 이동 부재 및 상기 제3 이동 부재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는 제1 가이드 부재; 및
    상기 제2 이동 부재 및 상기 제3 이동 부재 중 다른 하나에 구비되고, 상기 제1 가이드 부재와 계합되는 제2 가이드 부재를 포함하는,
    러그 잔재물 제거 장치.
KR1020220085093A 2022-07-11 2022-07-11 러그 잔재물 제거 장치 KR2024000811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5093A KR20240008114A (ko) 2022-07-11 2022-07-11 러그 잔재물 제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5093A KR20240008114A (ko) 2022-07-11 2022-07-11 러그 잔재물 제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08114A true KR20240008114A (ko) 2024-01-18

Family

ID=897162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5093A KR20240008114A (ko) 2022-07-11 2022-07-11 러그 잔재물 제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08114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90784B2 (ja) 超音波トリム装置
CA2966681C (en) Machine for cutting stone material
EP3038806B1 (en) Window cleaning system and method
KR200480839Y1 (ko) 세팅각도 조정형 연마장치
EP2529881B1 (en) Machine tool
JP2010253613A (ja) ワーク加工装置とその制御方法
CN213054123U (zh) 工业机器人的打磨工作站
JP5428740B2 (ja) 複合研削盤
KR20240008114A (ko) 러그 잔재물 제거 장치
EP2781281A1 (en) Die-less casting and forming machine
JP2009142974A (ja) ワーク加工面のバリ取り装置
JP5996362B2 (ja) 円筒研削盤
JP5811598B2 (ja) 工作機械
CN210189041U (zh) 一种大角度旋转机构
KR101863027B1 (ko) 인서트팁 연마장치
KR20130074180A (ko) 용접용 토치케이블의 스윙지그
JP2000288932A (ja) 研削盤の背面カバー構造
KR200493130Y1 (ko) 이동형 러그 잔재 제거장치
KR20140028444A (ko) 면취기
EP3215329B1 (en) Machine for cutting stone material
CN211073104U (zh) 一种抛光机构
KR20180010744A (ko) 고소 작업용 드론 장비 및 이를 이용한 고소 작업 방법
CN219853837U (zh) 焊接件的工件打磨装置
CN219767657U (zh) 一种工业机器人用力控限位铣削机构
CN211615064U (zh) 刀具倒角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