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28444A - 면취기 - Google Patents

면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28444A
KR20140028444A KR1020120094747A KR20120094747A KR20140028444A KR 20140028444 A KR20140028444 A KR 20140028444A KR 1020120094747 A KR1020120094747 A KR 1020120094747A KR 20120094747 A KR20120094747 A KR 20120094747A KR 20140028444 A KR20140028444 A KR 201400284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base material
grinding wheel
housing
gri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47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병화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947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28444A/ko
Publication of KR201400284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844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55/00Safety devices for grinding or polishing machines; Accessories fitted to grinding or polishing machines for keeping tools or parts of the machine in good working condition
    • B24B55/04Protective covers for the grinding whe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9/00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edges or bevels on work or for removing burrs; Accessorie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rinding And Polishing Of Tertiary Curved Surfaces And Surfaces With Complex Sha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면취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판과 한 쌍의 측판으로 구성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수용되며, 하단부에 연삭 숫돌이 장착되며, 상기 상판의 하부에 적어도 한 쌍이 크로스되어 설치되는 모터부; 및 상기 상판의 상부에 설치되는 핸들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면취기는, 연삭 처리할 모재의 모서리 양면에 대해 연삭 숫돌이 계속적으로 균등한 토크로 회전 접촉되면서 연삭 처리할 수 있으므로써, 숙련자가 아니더라도 절단된 모재의 날카로운 모서리 양면을 한번의 작업 동작으로 힘들이지 않고 간단하게 연삭 가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작업 능률 및 생산성을 향상 시킬 수 있고, 연삭 숫돌의 양측에 측판을 구비함으로써, 연삭 숫돌의 노출을 최소화 하여 작업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면취기 {A Beveling Machine}
본 발명은 면취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선소 등에서 선체의 건조 작업시 용접을 위한 사전 작업으로 크고 작은 규격의 모재(금속판재, 파이프 등)를 길이에 맞게 절단한 후, 면취기를 사용하여 모재에 용접면(면취 가공면)을 일정한 각도로 깎아내어 용접홈(root)을 만드는 개선(Beveling) 작업을 시행함으로써, 작업자는 모재에 형성된 용접면을 서로 맞대기 용접을 하여, 절단된 모재를 간편하게 상호 일체로 연결하게 된다.
그런데, 현재 사용하고 있는 대부분의 면취기는 모재의 날카로운 모서리를 일면만 가공 처리할 수 있어, 모재의 모서리 양면을 가공 처리하는 경우에는 차례로 일면씩 가공하여야 하기 때문에 가공 처리의 시간이 많이 소요되어 작업 능률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고, 연삭 숫돌이 노출된 상태에서 작업을 하기 때문에 작업 안정성을 확보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발명의 목적은 한번의 작업 동작으로도 모재의 모서리 양면을 동시에 연삭 가공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숙련자가 아니더라도 절단된 모재의 날카로운 모서리 일면은 물론 양면을 한번에 간단하고 균등하게 연삭 처리할 수 있는 면취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취기는, 상판과 한 쌍의 측판으로 구성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수용되며, 하단부에 연삭 숫돌이 장착되며, 상기 상판의 하부에 적어도 한 쌍이 크로스되어 설치되는 모터부; 및 상기 상판의 상부에 설치되는 핸들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면취기는, 연삭 처리할 모재의 모서리 양면에 대해 연삭 숫돌이 계속적으로 균등한 토크로 회전 접촉되면서 연삭 처리할 수 있으므로써, 숙련자가 아니더라도 절단된 모재의 날카로운 모서리 양면을 한번의 작업 동작으로 힘들이지 않고 간단하게 연삭 가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작업 능률 및 생산성을 향상 시킬 수 있고, 연삭 숫돌의 양측에 측판을 구비함으로써, 연삭 숫돌의 노출을 최소화 하여 작업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취기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취기의 측면도이다.
도 3은 작업별 연삭 숫돌의 타입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취기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취기의 측면도이고, 도 3은 작업별 연삭 숫돌의 타입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취기(1)는, 하우징(Housing; 10), 연삭부(Grinding Unit; 20), 핸들부(Handle Unit; 30), 제 1 및 제2 가이드 부(40a 및 40b)를 포함한다.
하우징(10)은, 내부에 후술할 연삭부(20)를 수용하고, 외부에 후술할 핸들부(30)를 장착할 수 있다. 하우징(10)은 상판(11), 제1 및 제2 측판(12a 및 12b)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연삭부(20)의 작업 동작이 이루어지는 전후면과, 모서리 부분을 연삭 처리할 모재(100)가 위치되는 하부면이 개방(Open)될 수 있다.
상판(11)은, 본 실시예의 주요 구성 요소들이 설치 고정되는 판으로서, 일 단부에 후술할 제1 측판(12a)의 상단부가 연결될 제1 회동축(11a)이 구비되고, 타단부에 후술할 제2 측판(12b)의 상단부가 연결될 제2 회동축(11b)이 구비된다. 상판(11)의 하부에는 후술할 연삭부(20)가 고정 설치되고, 상부에는 후술할 핸들부(30)가 고정 설치된다.
제1 및 제2 회동축(11a 및 11b) 각각은, 제1 및 제2 측판(12a 및 12b) 각각이 개폐 가능하도록 할 뿐만 아니라, 하우징(10)의 내측으로 조여지도록 구성되어 제1 및 제2 측판(12a 및 12b)의 하단부에 연결된 제1 및 제2 가이드 부(40a 및 40b)가 모재(100)에 밀착되면서 면취기(1)를 모재(100)에 고정시킬 수 있게 한다.
제1 측판(12a)은, 상단부가 제1 회동축(11a)에 의해 상판(11)의 일단부에 연결되며, 하단부에 후술할 제1 가이드 부(40a)가 연결된다.
제2 측판(12b)은, 상기한 제1 측판(12a)과 한 쌍을 이루며, 상단부가 제2 회동축(11b)에 의해 상판(11)의 타단부에 연결되고, 하단부에 후술할 제2 가이드 부(40b)가 연결된다.
제1 및 제2 측판(12a 및 12b) 각각은, 제1 및 제2 회동축(11a 및 11b)에 의해 개폐가 가능하며, 제1 및 제2 회동축(11a 및 11b)이 하우징(100)의 내측으로 조여지도록 구성되어, 제1 및 제2 측판(12a 및 12b)의 하단부에 연결된 제1 및 제2 가이드 부(40a 및 40b)가 모재(100)에 밀착되면서 면취기(1)를 모재(100)에 고정시킬 수 있게 한다.
이를 통해 본 실시예는, 제1 및 제2 측판(12a 및 12b)이 후술할 연삭부(20)의 좌우측에 각각 설치됨으로써, 연삭 작업시에 발생되는 분진이나 가루 등이 작업자에게 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후술할 제1 및 제2 연삭 숫돌(22a 및 22b)의 노출이 최소화되어 연삭 작업시 작업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측판(12a 및 12b)은 제1 및 제2 가이드 부(40a 및 40b)에 의해 면취기(1)를 모재(100)에 고정시킬 수 있음으로써, 연삭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더욱이, 제1 및 제2 측판(12a 및 12b)은 제1 및 제2 회동축(11a 및 11b)에 의해 개폐할 수 있음으로써, 제1 및 제2 연삭 숫돌(22a 및 22b)의 탈부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연삭부(20)는, 하우징(10)에 수용되어 모재(100)의 날카로운 모서리 부분을 연삭하는 장치로서, 제1 및 제2 모터부(21a 및 21b), 제1 및 제2 연삭 숫돌(22a 및 22b), 제1 및 제2 탄성 부재(23a 및 23b)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1 모터부(21a)는, 후술할 전선(50)을 통해 외부 전원부(도시하지 않음)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제1 연삭 숫돌(22a)을 회전시키며, 상단부가 하우징(10)의 상판(11) 일측 하부에 고정 설치되고, 하단부에 제1 연삭 숫돌(22a)이 장착된다.
제1 모터부(21a)는 모재(100)의 타단부 모서리를 용이하게 연삭할 수 있도록 직하방으로부터 제2 측판(12b) 쪽으로 일정 각도로 기울어지게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제1 모터부(21a)는 제1 연삭 숫돌(22a)이 모재(100)의 타단부 모서리를 조일수 있도록 상단부에 강약을 조절할 수 있는 스프링과 같은 제1 탄성 부재(23a)를 장착할 수 있다. 더욱이, 제1 모터부(21a)는 상단부에 회동 장치(도시하지 않음)를 구비시켜 좌우로 회동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모터부(21a)는 하나 또는 복수 개가 설치된다.
제2 모터부(21b)는, 상기한 제1 모터부(21a)와 쌍을 이루며, 제1 모터부(21a)와 크로스 되도록 설치된다. 제2 모터부(21b)는, 후술할 전선(50)을 통해 외부 전원부(도시하지 않음)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제2 연삭 숫돌(22b)을 회전시키며, 상단부가 하우징(10)의 상판(11) 타측 하부에 고정 설치되고, 하단부에 제2 연삭 숫돌(22b)이 장착된다.
제2 모터부(21b)는 모재(100)의 일단부 모서리를 용이하게 연삭할 수 있도록 직하방으로부터 제1 측판(12a) 쪽으로 일정 각도로 기울어지게 설치할 수 있으며,이로써 제1 모터부(21a)와 제2 모터부(21b)는 크로스 형태가 된다. 또한, 제2 모터부(21b)는 제2 연삭 숫돌(22b)이 모재(100)의 일단부 모서리를 조일수 있도록 상단부에 강약을 조절할 수 있는 스프링과 같은 제2 탄성 부재(23b)를 장착할 수 있다. 더욱이, 제2 모터부(21b)는 상단부에 회동 장치(도시하지 않음)를 구비시켜 좌우로 회동할 수 있다.
이러한 제2 모터부(21b)는 하나 또는 복수 개가 설치된다.
이에 따라, 제1 모터부(21a)와 제2 모터부(21b)는 함께 하우징(10)의 상판(11)에 적어도 한 쌍이 설치된다.
제1 및 제2 연삭 숫돌(22a 및 22b) 각각은, 제1 및 제2 모터부(21a 및 21b) 각각의 하단부에 장착되며, 모재(100)의 모서리 부분을 연삭할 수 있도록 제1 및 제2 모터부(21a 및 21b)의 구동에 의해 회전된다.
제1 및 제2 연삭 숫돌(22a 및 22b)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류가 다양하며, 작업별로 선택적으로 사용하여 모재(100)의 모서리 부분을 다양하게 연삭할 수 있다. 즉, 도 3의 (a)에 도시된 연삭 숫돌(22a, 22b)은 테이퍼 타입(Taper Type)으로 연삭된 모재(100)의 모서리 양면이 경사지며, 도 3의 (b)에 도시된 연삭 숫돌(22a, 22b)은 오목 타입(Concave Type)으로 연삭된 모재(100)의 모서리 양면이 볼록하게 되며, 도 3의 (c)에 도시된 연삭 숫돌(22a, 22b)은 볼록 타입(Convex Type)으로 연삭된 모재(100)의 모서리 양면이 오목하게 된다.
제1 및 제2 탄성 부재(23a 및 23b) 각각은, 제1 및 제2 모터부(21a 및 21b) 각각의 상단부에 장착되며, 제1 및 제2 연삭 숫돌(22a 및 22b)이 모재(100)의 양단부 모서리를 조일수 있도록 한다.
제1 및 제2 탄성 부재(23a 및 23b)는 강약을 조절할 수 있는 스프링 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실시예는, 제1 및 제2 모터부(21a 및 21b)가 좌우로 회동할 수 있어, 모재(100)의 두께에 따라 제1 및 제 2 연삭 숫돌(22a 및 22b)이 모재(100)의 양단부 모서리에 접촉될 수 있도록 적절하게 기울기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는 제1 및 제2 탄성 부재(23a 및 23b)에 의해 제1 및 제2 연삭 숫돌(22a 및 22b)이 모재(100)의 양단부 모서리를 조일수 있도록 할 수 있어, 연삭 정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더욱이, 실시예는 제1 모터부(21a)와 제2 모터부(21b)가 크로스 되도록 배치함으로써, 모재(100)의 양단부 모서리를 용이하게 연삭할 수 있다.
핸들부(30)는, 작업자가 연삭 작업시 면취기(1)를 전후진을 용이하게 하고, 작업자가 면취기(1)를 다른 곳으로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게 한다. 핸들부(30)는 핸들 지지대(31), 경첩(32), 회전 핸들(33)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핸들 지지대(31)는, 하단부가 하우징(10)의 상판(11)에 고정 설치되고, 상단부가 후술할 회전 핸들(33)에 연결되어, 회전 핸들(33)을 지지하게 된다.
경첩(32)은, 핸들 지지대(31)와 후술할 회전 핸들(33) 사이에 구비되어, 이들을 연결시킨다. 경첩(32)은 회전 핸들(33)이 적어도 90도의 각도로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회전 핸들(33)은, 핸들 지지대(32)에 의해 하우징(10)의 상판(11) 상부에 고정 설치된다. 회전 핸들(33)은 핸들 지지대(31)로 부터 적어도 90도의 각도로 회전할 수 있도록 구비됨으로써, 작업자가 바닥에서 작업할 때, 면취기의 전후진 이동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적어도 90도의 각도로 회전 핸들(33)을 고정 시켜 작업할 수 있고, 면취기(1)를 다른 작업장으로 옮길 때는 상방으로 펴서 작업자가 용이하게 이송할 수 있다.
제1 및 제2 가이드 부(40a 및 40b) 각각은, 제1 및 제2 측판(12a 및 12b) 각각의 하단 내측부 양쪽에 수직되게 구비되며, 연삭 작업시 면취기(1)가 좌우 방향으로 움직이지 못하게 면취기(1)를 모재(100)에 고정시키면서, 연삭 작업시 면취기(1)가 모재(100)의 면을 따라 연삭 작업 방향인 전후 방향으로 용이하게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제1 및 제2 가이드 부(40a 및 40b) 각각은 제3 및 제4 탄성 부재(41a 및 41b), 제1 및 제2 바퀴(42a 및 42b)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3 탄성 부재(41a)는, 일단부가 제1 측판(12a)의 하단 내측부에 수직되게 연결되며, 타단부가 제1 바퀴(42a)에 연결된다. 제3 탄성 부재(41a)는 제1 측판(12a)의 하단 내측부 양쪽에 수직되게 구비된다.
제4 탄성 부재(41b)는, 일단부가 제2 측판(12b)의 하단 내측부에 수직되게 연결되며, 타단부가 제2 바퀴(42b)에 연결된다. 제4 탄성 부재(41b)는 제2 측판(12b)의 하단 내측부 양쪽에 수직되게 구비된다.
제3 및 제4 탄성 부재(41a 및 42b) 각각은, 스프링 장치를 사용할 수 있고, 하우징(100)의 내측으로 조여지는 제1 및 제2 측판(12a 및 12b)과 함께 모재(100)에 연삭부(20)를 더욱 밀착 고정되게 한다.
제1 및 제2 바퀴(42a 및 42b) 각각은, 작업자가 연삭 작업시 작업 방향으로 면취기(1)를 전후 이동시킬 때, 모재(100)의 면을 따라 작업 움직임을 용이하게 한다.
전선(50)은, 외부 전원부(도시하지 않음)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제1 및 제2 모터부(21a 및 21b)를 구동시킨다.
전선(50)은, 작업 움직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나선형 전선을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는, 연삭 처리할 모재(100)의 모서리 양면에 대해 연삭 숫돌(22a 및 22b)이 계속적으로 균등한 토크로 회전 접촉되면서 연삭 처리할 수 있으므로써, 숙련자가 아니더라도 절단된 모재(100)의 날카로운 모서리 양면을 한번의 작업 동작으로 힘들이지 않고 간단하게 연삭 가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작업 능률 및 생산성을 향상 시킬 수 있고, 연삭 숫돌(22a 및 22b)의 양측에 측판(12a 및 12b)을 구비함으로써, 연삭 숫돌(22a 및 22b)의 노출을 최소화 하여 작업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는, 모재(100)의 날카로운 모서리를 일면만 가공 처리할 수 있는 면취기를 사용할 경우, 가공 처리의 시간이 많이 소요되어 작업 능률이 저하되는 종래의 문제와, 연삭 숫돌이 노출된 상태에서 작업을 하기 때문에 작업 안정성을 확보하기 어려운 종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 면취기 10: 하우징
11: 상판 11a 및 11b: 제1 및 제2 회동축
12a 및 12b: 제1 및 제2 측판 20: 연삭부
21a 및 21b: 제1 및 제2 모터부 22a 및 22b: 제1 및 제2 연삭 숫돌
23a 및 23b: 제1 및 제2 탄성 부재 30: 핸들부
30: 핸들부 31: 핸들 지지대
32: 경첩 33: 핸들
40a 및 40b: 제1 및 제2 가이드 부 41a 및 41b: 제3 및 제4 탄성 부재
42a 및 42b: 제1 및 제2 바퀴 50: 전선
100: 모재

Claims (7)

  1. 상판과 한 쌍의 측판으로 구성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수용되며, 하단부에 연삭 숫돌이 장착되며, 상기 상판의 하부에 적어도 한 쌍이 크로스되어 설치되는 모터부; 및
    상기 상판의 상부에 설치되는 핸들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취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측판은,
    상기 상판의 양단부에 구비되는 회동축에 연결되어 개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취기.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축은,
    상기 하우징의 내측으로 조여지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취기.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부는,
    외부 전원부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연삭 숫돌을 회전시키며, 상기 연삭 숫돌이 상기 모재의 모서리 양면을 조일수 있도록 상단부에 강약을 조절할 수 있는 탄성 부재가 장착되고, 좌우로 회동할 수 있도록 상단부에 회동 장치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취기.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부는,
    하단부가 상기 하우징의 상기 상판에 고정 설치되는 핸들 지지대;
    상기 핸들 지지대에 연결되는 회전 핸들; 및
    상기 핸들 지지대에 상기 회전 핸들을 연결시키고, 상기 핸들이 적어도 90도의 각도로 회전 되도록 하는 경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취기.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모재에 면취기를 고정시키면서, 상기 모재의 면을 따라 면취기가 용이하게 이동되도록, 상기 측판의 하단 내측부 양쪽에 가이드 부가 설치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취기.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부는,
    일단부가 상기 측판의 하단 내측부에 수직되게 연결되는 탄성 부재; 및
    상기 탄성 부재의 타단부에 연결되는 바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취기.
KR1020120094747A 2012-08-29 2012-08-29 면취기 KR2014002844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4747A KR20140028444A (ko) 2012-08-29 2012-08-29 면취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4747A KR20140028444A (ko) 2012-08-29 2012-08-29 면취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8444A true KR20140028444A (ko) 2014-03-10

Family

ID=506418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4747A KR20140028444A (ko) 2012-08-29 2012-08-29 면취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2844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923067B2 (en) 2017-12-12 2021-02-16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nd a method of driving the same
CN114083387A (zh) * 2021-12-07 2022-02-25 南通佳饰集成家居有限公司 一种橱柜门边框加工用数控磨边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923067B2 (en) 2017-12-12 2021-02-16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nd a method of driving the same
CN114083387A (zh) * 2021-12-07 2022-02-25 南通佳饰集成家居有限公司 一种橱柜门边框加工用数控磨边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99831B1 (ko) 휴대폰케이스 가공용 버핑머신
JP2015522431A (ja) 例えばドリル又は切削工具等のような切刃を備える工具を研ぐための装置
US20150266121A1 (en) Gear grinding apparatus providing tool modification function
KR101206367B1 (ko) 윈도우 글래스 연마장치
JP2019034396A (ja) 全自動バリ取り機およびフローティング機構
KR20140028444A (ko) 면취기
CN206154020U (zh) 一种打磨设备
JP2008023558A (ja) 溶接ビード除去装置
CN204470674U (zh) 一种焊缝铣削工具
JP2009142974A (ja) ワーク加工面のバリ取り装置
KR200474400Y1 (ko) 면취용 회전커터
JP3217679U (ja) 電動グラインダ、位置決め具付き電動グラインダ
JP2017007001A (ja) 手持ち式電動工具
CN210024933U (zh) 一种砂轮修正器
KR100820186B1 (ko) 연삭기용 탈착형 면취기
KR101197390B1 (ko) 드릴연마기
KR20130090510A (ko) 용접 비드 자동 절삭 장치 및 방법
KR20180017253A (ko) 유지보수가 용이한 벨트 그라인더
KR20070117766A (ko) 연마 겸용 면취장치
KR101426452B1 (ko) 앵글홀 엣지 가공용 그라인더
KR101894366B1 (ko) 에어 그라인더
CN204262932U (zh) 砂带机
CN211071961U (zh) 一种镜面加工设备
CN212706072U (zh) 抛光机
CN216939769U (zh) 数控自动磨刀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