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07491A - 수평유지하는 유모차 - Google Patents

수평유지하는 유모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07491A
KR20240007491A KR1020220084464A KR20220084464A KR20240007491A KR 20240007491 A KR20240007491 A KR 20240007491A KR 1020220084464 A KR1020220084464 A KR 1020220084464A KR 20220084464 A KR20220084464 A KR 20220084464A KR 20240007491 A KR20240007491 A KR 202400074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oller
capsule
front auxiliary
tilt
boar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844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정현
맹장석
Original Assignee
문정현
맹장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정현, 맹장석 filed Critical 문정현
Priority to KR10202200844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07491A/ko
Publication of KR202400074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07491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62B9/10Perambulator bodies; Equipment therefor
    • B62B9/14Equipment protecting from environmental influences, e.g. Hoods; Weather screens; Cat n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7/00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 B62B7/04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62B9/02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providing for travelling up or down a flight of stai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80Other vehicles not covered by groups B60Y2200/10 - B60Y2200/60
    • B60Y2200/83Perambulators; Buggies; Stroll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arriages For Children, Sleds, And Other Hand-Operated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평유지하는 유모차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침수를 몸체 연결부와 분리되어 방지하며, 기울어짐에 따른 충돌을 방지해주는 캡슐 형태의 부력 탑승부와 기울어짐에 따른 충돌을 앞 바퀴 다리 관절을 조절하여 앞 보조 작은 바퀴부와 앞 보조 큰 바퀴부가 막아준다.

Description

수평유지하는 유모차{none}
본 발명은 수평유지하는 유모차에 관한 것으로, 특히 유모차의 캡슐 형태의 부력 탑승부가 침수와 기울어짐을 방지하는 수평유지하는 유모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모차는 아이를 태울 수 있는 탑승부와 하단에 형성된 다방면으로 움직일 수 있는 4개의 바퀴, 유모차를 끌 수 있는 일체형 손잡이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동이 더욱 편리하도록 손잡이와 하단 바퀴가 접혀 부피가 줄어드는 접이식 형태를 도입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유모차는 대부분 탑승부가 몸체의 연결부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평지가 아닌 곳이나 급격히 기울어지는 상황에서는 탑승자의 안전이 보장되지 않으며 일반적인 탑승자가 영유아일 경우 물에 빠질 때의 즉각적 반응이 어려우며, 계단이나 장애물이 많은 길에서의 운행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 특허공보 제 10-0026213호(2015.02.25.) 한국 특허공보 제 10-0185094호(2014.12.20.) 등록특허공보 제 10-0168709호(2019.12.17.)
없음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유모차의 운행에 있어 있어 캡슐 형태의 부력 탑승부가 침수를 방지하면서 탑승자의 안전과 안정을 유지하고자하는 기술의 유모차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과제는 경사먼에 따른 캡슐 형태의 부력 탑승구가 기울어지면서 탑승자에게 가해지는 피해를 방지해주고자하는 기술의 유모차를 제공함에 있다.
1. 자이로스코프를 이용한 중심수평유지장치를 부착하여 탑승자의 시야가 항상 정면을 향하도록 하며 유모차의 기울어짐이 탑승부에 영향이 거의 가지 않도록 한다.
2. 캡술 형태의 부력 탑승부를 부력제를 이용하여 물이 침수할 경우, 탑승부가 바퀴와 분리되면서 수면 위로 떠오를 수 있는 것이 가능하도록 한다.
3. 계단을 오를 때나 경사가 크게 지는 곳일 때 큰 힘이나 위험이 발생하지 않도록 2개의 추가 다리를 앞면 바퀴에 부착하여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수평유지하는 유모차에 따르면, 탑승자가 물에 빠지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수평유지하는 유모차에 따르면, 기울어짐이나 넘어짐에 탑승자가 추락하거나 지면에 충돌하는 것을 캡슐 형태의 탑승부가 방지해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수평유지하는 유모차에 따르면, 계단이나 차 트렁크 등 큰 폭의 이동을 시킬 때 앞 보조 작은 바퀴부와 앞 바퀴 다리 관절, 그리고 앞 보조 큰 바퀴부를 이용하여 필요한 힘이 적게 드는 것을 도와주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평유지하는 유모차의 사시도.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평유지하는 유모차를 나타낸다.
도 1은 도시한 바와 같이, 몸체 연결부(10), 앞 보조 작은 바퀴부(20), 앞 바퀴 다리 관절(21), 앞 보조 큰 바퀴부(22), 캡슐 형태의 부력 탑승부(30)을 포함하여 구성한다.
캡슐 형태의 부력 탑승부(30)은 수평유지하는 유모차가 침수가 될 경우 몸체 연결부(10)와 분리가 되고, 또한 기울어짐에 따른 충돌을 방지해준다. 앞 보조 작은 바퀴부(20), 앞 바퀴 다리 관절(21), 앞 보조 큰 바퀴부(22)는 몸체 연결부(10)과 연결되어 있으며, 경사면이나 계단을 올라가는 것이 가능하기 위해 설치된다.
10. 몸체 연결부
20. 앞 보조 작은 바퀴부
21. 앞 바퀴 다리 관절
22. 앞 보조 큰 바퀴부
30. 캡슐 형태의 부력 탑승부

Claims (2)

  1. 본 발명은 침수와 기울어짐을 방지하는 유모차에 있어서, 캡슐 형태의 부력 탑승부(30)와 몸체 연결부(10) 하면에 형성되어있는 앞 보조 작은 바퀴부(20), 앞 바퀴 다리 관절(21), 앞 보조 큰 바퀴부(22)와 몸체 연결부(10)의 뒷면에 부착횐 손잡이로 이루어진 방법;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유지하는 유모차.
  2. 제 1항에 있어서, 양측에 자이로스코프가 형성되는 캡술 형태의 부력 탑승부(3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유지하는 유모차.


KR1020220084464A 2022-07-08 2022-07-08 수평유지하는 유모차 KR2024000749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4464A KR20240007491A (ko) 2022-07-08 2022-07-08 수평유지하는 유모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4464A KR20240007491A (ko) 2022-07-08 2022-07-08 수평유지하는 유모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07491A true KR20240007491A (ko) 2024-01-16

Family

ID=897194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4464A KR20240007491A (ko) 2022-07-08 2022-07-08 수평유지하는 유모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07491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68709B1 (ko) 1992-09-24 1999-01-15 윌리엄 지. 그린 N-치환 올리고머의 합성
KR0185094B1 (ko) 1996-10-21 1999-05-01 대우전자주식회사 냉장고 운반용 손잡이조립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68709B1 (ko) 1992-09-24 1999-01-15 윌리엄 지. 그린 N-치환 올리고머의 합성
KR0185094B1 (ko) 1996-10-21 1999-05-01 대우전자주식회사 냉장고 운반용 손잡이조립체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없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58372B1 (ko) 도립 차륜형 이동체 및 그 제어 방법
KR101938094B1 (ko) 안장을 구비한 접이식 전동 킥보드
KR101594767B1 (ko) 3­바퀴형 후방­조향 스쿠터
JP5177692B2 (ja) 一対の片足載置型移動体を組み合わせた乗用移動装置
JP2011178196A (ja) 同軸二輪車及びその制御方法
JP6464283B2 (ja) 一人乗り移動機器
US20180265154A1 (en) Enclosed electric cargo tricycle
JP2009119014A (ja) 歩行補助装置
EP1249215A1 (en) Articulated front axle assembly for small electric vehicles
KR20240007491A (ko) 수평유지하는 유모차
KR101996757B1 (ko) 틸팅 억제 기능이 있는 이동수단
KR102405249B1 (ko) 가변시트를 구비한 장애물 극복형 전동 휠체어
KR101814504B1 (ko) 전복 방지 기능을 강화한 유아용 보행기
US3632124A (en) Snow coaster
KR101783202B1 (ko) 스토퍼 어셈블리를 구비한 유아용 보행기
CN211403239U (zh) 一种自主遛娃机器人
KR102152167B1 (ko) 서서 타는 이동수단
KR200298564Y1 (ko) 유모차 장착용 어린이 승차대
KR102393474B1 (ko) 전동보장구
JP2006263104A (ja) 電動車椅子
CN210540261U (zh) 车体稳定的幼儿手推车
CN218839657U (zh) 一种防侧翻儿童溜溜车
KR102230849B1 (ko) 킥보드
KR101613451B1 (ko) 자이로스코프를 이용한 차량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JP2018034708A (ja) 作業用運搬車