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07039A - 친환경 용기 - Google Patents
친환경 용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40007039A KR20240007039A KR1020220111437A KR20220111437A KR20240007039A KR 20240007039 A KR20240007039 A KR 20240007039A KR 1020220111437 A KR1020220111437 A KR 1020220111437A KR 20220111437 A KR20220111437 A KR 20220111437A KR 20240007039 A KR20240007039 A KR 2024000703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ase
- cap
- inner case
- eco
- outer case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7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9
- 239000003814 drug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2
- 230000035515 penetr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9000010457 zeolit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29910021536 Zeolite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6
- HNPSIPDUKPIQMN-UHFFFAOYSA-N dioxosilane;oxo(oxoalumanyloxy)alumane Chemical compound O=[Si]=O.O=[Al]O[Al]=O HNPSIPDUKPIQMN-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13519 transl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02699 waste material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42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4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4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4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4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0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39000002274 desicc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4308 accommod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29940079593 drug Drug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6187 pil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4064 recyc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OKTJSMMVPCPJKN-UHFFFAOYSA-N Carbon Chemical compound [C] OKTJSMMVPCPJK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99 carb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843 powd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139 buffer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431 greenhouse ga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159 matrix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826 table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04—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 B65D77/048—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the inner and outer containers being rigid and the outer container being of curved cross-section, e.g. cylindrical
- B65D77/0486—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the inner and outer containers being rigid and the outer container being of curved cross-section, e.g. cylindrical the inner container being coaxially disposed within the outer containe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20—External fittings
- B65D25/22—External fittings for facilitating lifting or suspending of contain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14—Non-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16—Non-removable lids or covers hinged for upward or downward movement
- B65D43/162—Non-removable lids or covers hinged for upward or downward movement the container, the lid and the hinge being made of one piec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005—Containers or packages provided with a piston or with a movable bottom or partition having approximately the same section as the container
- B65D83/0027—Containers or packages provided with a piston or with a movable bottom or partition having approximately the same section as the container piston co-operating with a screw-thread in the side wall of the contain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부케이스를 외부케이스로부터 쉽게 분리 가능한 조립 구조를 가지며, 분리된 외부케이스 및 내부케이스를 재활용 가능하도록 구현하여 폐기물 감소, 재료의 순환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는 친환경 용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의 친환경 용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재활용이 가능한 소재로 이루어진 친환경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의약품은 액상제, 분말제, 정제 등의 다양한 형태로 제조되고 있다. 의약품을 다양한 형태로 제조하는 이유는 의약품에 대한 환자의 복용 편의성이나 효과를 최대 한도로 끌어올리기 위해서이다.
의약품의 최적 효과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보관 용기가 중요하다. 보관 용기는 의약품의 종류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PP나 PET 소재로 제조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PP나 PET 소재는 흡습성이 낮기 때문에 의약품의 습기를 제거할 수 없다. 액상제는 상기 소재로 제조한 경우에도 큰 문제가 나타나지 않을 수 있으나, 분말제나 정제는 습기에 치명적인 의약품의 효과 유지를 위해 별도의 건조제를 보관용기 내에 구비하는 경우가 많다.
이와 관련하여, 선행문헌(등록특허) 제 10-1726981 호는 “알약보관용기의 내부에 삽입되어 완충기능과 제습기능을 동시에 수행하는 알약보호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알약보관용기”를 개시하고 있다. 상기 알약보관용기는 별도로 구비되어 용기에 삽입되는 건조제가 용기 내부의 의약품의 습기를 흡수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그러나, 상술한 알약보관용기는 별도로 구비된 건조제를 필요로 하고, 건조제를 수용할 별도의 공간이 필요로 하여 복잡한 구성을 갖는다. 또한, 건조제가 유출되어 의약품과 혼합되거나 주변을 오염시키는 문제도 발생하며, 재활용을 위해 구성요소를 분해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따른다.
한편, 온실가스를 최대한 줄이기 위해 실질적인 탄소 배출량을 '0' 수준으로 낮춘다는 의미인 탄소중립은 4차 산업 시대의 패러다임으로 대두되고 있다.
이에 따라, 개인 측면에서 소비자는 소재의 분리 배출에 적극적으로 힘써 원활한 재활용이 이루어지도록 할 필요가 있으며, 기업 측면에서 생산자는 친환경 소재를 활용한 제품을 생산하고 제품의 소재를 분리 배출하기 쉬운 구조로 설계를 할 필요가 있다. 즉, 의약품 용기는 분리 배출이 쉽도록 설계될 필요가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내부케이스가 외부케이스로부터 쉽게 분리 가능하게 하는 조립 구조를 가지며, 분리된 외부케이스 및 내부케이스를 재활용 가능하도록 구현하여 폐기물 감소, 재료의 순환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는 친환경 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용기는 의약을 보관하는 친환경 용기에 있어서, 개구부를 포함하는 외부케이스; 상기 외부케이스의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캡; 및 상기 외부케이스의 내부에 분리 가능하게 상기 개구부를 통해 삽입되는 내부케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부케이스는 PET를 포함하는 소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내부케이스는 제올라이트를 포함하는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부케이스는 상기 내부케이스를 수용하는 제1수용공간을 더 포함하고, 상기 내부케이스는 상기 의약을 수용하는 제2수용공간을 포함하며, 상기 내부케이스는 병진하여 상기 외부케이스에서 분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부케이스는, 상기 외부케이스의 외부에서 상기 내부케이스를 밀어 올릴 수 있도록 상기 외부케이스의 하부면에 형성된 가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부케이스는, 상기 가압부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어, 상기 가압부를 변형시키는 가압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부케이스는, 상기 외부케이스의 상부에 상기 외부케이스의 둘레를 따라 돌출되어 형성된 캡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부케이스는 상기 외부케이스의 상부에 위치하여 관통영역을 형성하는 고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캡은 상기 캡의 하부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후크부를 포함하며, 상기 후크부는 상기 관통영역을 통과하여 상기 고리부와 결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캡은 상기 외부케이스의 상단부를 상기 캡의 내부에 인입시키는 끼움부 및 상기 끼움부로부터 상기 캡의 바깥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챙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후크부는 상기 챙부의 하부면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부케이스는 상기 외부케이스의 상부 외부면을 따라 형성된 끼움턱 및 상기 외부케이스와 연결되어 형성된 후크부를 포함하고, 상기 캡은 상기 끼움턱을 상기 캡의 내부에 인입시키는 끼움부 및 상기 후크부가 통과하여 결합하는 후크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부케이스는 상기 외부케이스의 내부면에 형성된 복수의 돌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는 내부케이스의 외부면에 접촉하여, 상기 제1수용공간에 공기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부케이스는 상기 내부케이스의 외부면에 형성된 복수의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는 외부케이스의 내부면에 접촉하여, 상기 제1수용공간에 공기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부케이스는 외부면이 다각 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외부면의 모서리는 상기 외부케이스의 내부면에 접촉하여 상기 제1수용공간에 내부에 공기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부케이스는 상기 내부케이스의 외부면에 나사산 형상으로 이루어진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부케이스는 내부면에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내부케이스를 고정하는 고정턱을 더 포함하고, 상기 내부케이스는 외부면에 상기 고정턱이 통과하는 고정홈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홈은 상기 내부케이스의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깊이가 얕아지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부케이스는 상단부로부터 돌출되어 사용자에 의해 파지되는 파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부케이스는 상단부가 제1높이에서 제2높이까지 하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파지부는 상기 제2높이에서 상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파지부는 상기 파지부의 외부면 및 내부면에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된 파지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파지부는 탄성을 가지며, 상기 캡이 닫힐 때 상기 내부케이스의 제2수용공간 방향으로 휨이 발생하고, 상기 캡이 열릴 때 기본 상태로 복구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용기는, 외부케이스에 내부에 삽입되고, 캡에 의해 밀폐되는 친환경 용기에 있어서, 파지부가 구비된 내부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파지부는 외부면 및 내부면에 형성된 파지홈을 포함하고, 상기 외부케이스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외부케이스의 상부로 적어도 일부가 노출되며, 상기 캡이 닫힐 때 휨이 발생하고, 상기 캡이 열릴 때 상기 캡을 밀면서 기본 상태로 복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부케이스는 상기 내부케이스 외부면에 적어도 일부 높이까지 형성된 두 개의 고정홈, 상기 내부케이스 상기 일부 높이부터 상기 고정홈에 대응하도록 형성된 두개의 고정슬릿을 포함하고, 상기 파지부는 상기 일부 높이부터 상기 두개의 고정슬릿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내부케이스가 외부케이스로부터 쉽게 분리 가능하게 하는 조립 구조를 가져 사용자가 쉽게 소재를 분리할 수 있으며, 분리된 외부케이스 및 내부케이스를 재활용 가능하도록 구현하여 폐기물 감소, 재료의 순환시스템을 구축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용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용기의 분리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압 전의 가압부 및 가압틈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압 후의 가압부 및 가압틈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압 전의 가압부 및 가압틈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압 후의 가압부 및 가압틈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후크부 및 고리부의 결합 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후크부 및 고리부의 결합 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후크부 및 고리부의 결합 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후크부 및 후크홈의 결합 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e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후크부 및 후크홈의 결합 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부케이스의 수직형 돌출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부케이스 및 공기유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부케이스 및 공기유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부케이스의 나선형 돌출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부케이스의 고정홈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외부케이스의 고정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정홈 및 고정턱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정홈 및 고정턱이 분리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휨 상태의 파지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지부의 변화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지부가 캡의 닫힘을 방지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용기의 분리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압 전의 가압부 및 가압틈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압 후의 가압부 및 가압틈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압 전의 가압부 및 가압틈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압 후의 가압부 및 가압틈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후크부 및 고리부의 결합 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후크부 및 고리부의 결합 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후크부 및 고리부의 결합 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후크부 및 후크홈의 결합 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e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후크부 및 후크홈의 결합 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부케이스의 수직형 돌출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부케이스 및 공기유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부케이스 및 공기유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부케이스의 나선형 돌출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부케이스의 고정홈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외부케이스의 고정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정홈 및 고정턱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정홈 및 고정턱이 분리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휨 상태의 파지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지부의 변화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지부가 캡의 닫힘을 방지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용기(1)에 대하여 설명한다.
통상의 기술자는 비록 본 명세서에 명확히 설명되거나 도시되지 않았지만, 발명의 원리를 구현하고 발명의 개념과 범위에 포함된 다양한 장치를 개발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열거된 모든 조건부 용어 및 실시예들은 원칙적으로, 발명의 개념이 이해되도록 하기 위한 목적으로만 명백히 의도되고, 이처럼 특별히 열거된 실시예 및 상태에 제한적이지 않은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더욱 분명해질 것이며, 그에 따라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자가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쉽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도면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다양한 실시예들을 설명하면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실시예가 다르더라도 편의상 동일한 명칭 및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기로 한다. 나아가, 이미 다른 실시예에서 설명된 구성 및 작동에 대해서는 편의상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A, B 및 C 중 적어도 하나'의 표현은 A, B 및 C 중 하나, 둘 또는 셋으로 구성된 것을 의미하고, '적어도 하나의 D'의 표현은 D가 하나 이상임을 의미한다. 또한, 'E의 상단부'의 표현은 E의 상부에 위치하는 단부를 의미한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용기(1)의 기본 구조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용기(1)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용기(1)의 분리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다른 친환경 용기(1)는 의약을 보관할 수 있으며, 개구부(100a)를 포함하는 외부케이스(100); 상기 외부케이스(100)의 상기 개구부(100a)를 개폐하는 캡(200); 및 상기 외부케이스(100)의 내부에 분리 가능하게 상기 개구부(100a)를 통해 삽입되는 내부케이스(30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외부케이스(100)는 상기 내부케이스(300)를 수용하는 제1수용공간(10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부케이스(300)는 상기 의약을 수용하는 제2수용공간(30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부케이스(300)는 병진하여 상기 외부케이스(100)에서 분리될 수 있다.
외부케이스(100)는 개구부(100a)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케이스(100)는 친환경 용기(1)에서 외부에 노출되어 사용자에 의해 파지될 수 있다. 외부케이스(100)는 외부에 노출되는 외부면과, 내부케이스(300)와 접촉하거나 대향하는 내부면을 포함할 수 있다.
외부케이스(100)는 개구부(100a)를 통하여 내부케이스(300)를 삽입하거나 분리할 수 있다. 외부케이스(100)는 원기둥, 각기둥 등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외부케이스(100)는 내부케이스(300)를 쉽게 제거할 수 있도록 내부케이스(300)와 대응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대응되는 구조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캡(200)은 외부케이스(100)의 개구부(100a)를 개방 및 폐쇄할 수 있다. 캡(200)은 외부케이스(100)와 연결부(240)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연결부(240)의 일측은 캡(200)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고, 타측은 외부케이스(100)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반드시 연결부(240)에 의해 캡(200)과 외부케이스(100)가 연결되는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서로 독립되어 분리되는 구조도 가능하다.
캡(200)이 외부케이스(100)와 분리된 구조를 갖는 경우, 캡(200)은 내부면에 나사산을 구비하고, 외부케이스(100)는 상부 외부면에 나사산을 구비하여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캡(200)이 외부케이스(100)와 연결부(240)에 의해 연결된 구조를 갖는 경우, 외부케이스(100)는 상단 또는 상부 외부면을 따라서 형성된 끼움턱(160)을 구비하여 캡(200)과 억지끼움 될 수 있다. 끼움턱(160)은 캡(200)의 닫힘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단, 상술한 억지끼움 방식의 결합은 캡(200)과 외부케이스(100)가 분리된 구조에도 적용될 수 있다.
내부케이스(300)는 외부케이스(100)의 내부에 삽입될 수 있고, 외부케이스(100)의 내부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내부케이스(300)는 외부케이스(100)의 개구부(100a)를 통해 삽입되거나 분리될 수 있다. 내부케이스(300)는 외부케이스(100)와 접촉하거나 대향하는 외부면과, 의약와 접촉하는 내부면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내부케이스(300)는 하부면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하부면은 상부로 오목지게 형성될 수 있으며, 평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내부케이스(300)는 상부에 내부개구부(300a)를 포함할 수 있으며, 내부개구부(300a)를 통해 의약을 보관할 수 있다.
내부케이스(300)가 외부케이스(100)에 완전히 삽입된 상태에서, 내부케이스(300)의 상단부는 외부케이스(100)의 상단부보다 아래에 위치할 수 있다. 즉, 내부케이스(300)의 내부개구부(300a)는 외부케이스(100)의 개구부(100a)보다 아래에 위치할 수 있고, 내부개구부(300a)는 제1수용공간(101)에 위치할 수 있다.
내부케이스(300)는 원기둥, 각기둥 등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내부케이스(300)는 외부케이스(100)로부터 쉽게 제거될 수 있도록 외부케이스(100)와 대응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대응되는 구조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외부케이스(100)는 제1수용공간(101)을 포함할 수 있고, 내부케이스(300)는 제2수용공간(301)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수용공간(101)은 내부케이스(300)가 수용되는 공간을 의미하며, 제2수용공간(301)은 의약이 수용되는 공간을 의미할 수 있다.
내부케이스(300)는 병진(竝進) 운동 또는 슬라이딩 운동하여 외부케이스(10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병진 운동 또는 슬라이딩 운동은 회전 운동과 대비되는 것으로, 내부케이스(300)를 회전 없이 외부케이스(100)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내부케이스(300)가 쉽게 분리되기 위해서는 내부케이스(300)의 분리과정에서 외부케이스(100)의 내부면의 구조를 단순화할 필요가 있다.
즉, 외부케이스(100)의 개구부(100a)가 위치하는 개구영역(100b)에 걸림 요소가 최소한으로 존재하거나, 존재하지 않아야 한다. 개구영역(100b)은 내부케이스(300)가 외부케이스(100)에 완전히 삽입되었을 때 내부케이스(300)의 상단부보다 높은 제1수용공간(101)을 의미할 수 있다.
개구영역(100b)은 도 4a에서 내부케이스(300)를 표현한 점선부터 외부케이스(100)의 상단부까지의 공간을 의미할 수 있다. 여기서, 내부케이스(300)의 상단부는 파지부(310)를 포함한 내부케이스(300)의 최 상단을 따라 형성된 라인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내부케이스(300)의 상단부는 파지부(310)를 제외한 내부케이스(300)의 최 상단을 따라 형성된 라인을 의미할 수 있다. 다시 말해, 개구영역(100b)은, 내부케이스(100)와 외부케이스(300)의 결합 상태에서, 내부케이스(100)와 외부케이스(300)가 중첩되지 않는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외부케이스(100)의 개구영역(100b)은 횡단면의 넓이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외부케이스(100)의 개구영역(100b)은 횡단면의 모양이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외부케이스(100)의 개구영역(100b)은 횡단면의 넓이가 상부로 가면서 증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개구영역(100b)의 구조는, 내부케이스(100)가 병진 운동 또는 슬라이딩 운동하여 외부케이스(300)에서 분리될 때 내부케이스(100)의 상단부가 외부케이스(300) 내부의 걸림 요소에 방해받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개구영역(100b)에서의 외부케이스(100)의 내부면은 제1수용공간(101) 방향으로의 만곡 영역, 인입 영역, 돌출 영역, 돔 영역 및 병목 영역이 없도록 구성될 수 있다.
외부케이스(100)는 형상이 제1수용공간(101) 방향으로의 만곡 영역, 인입 영역, 돌출 영역이 없도록 구성될 수 있으나, 내부케이스(300)의 병진 운동 또는 슬라이딩 운동에 방해되지 않는 후술할 돌출부(400)와 같은 구성은 있어도 무방하다.
내부케이스(300)는 외부케이스(100)에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고정은 내부케이스(300)가 외부케이스(100) 내부에 완전히 삽입된 상태를 의미하며, 분리가 불가능한 상태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이때, 내부케이스(300)는 내부케이스(300)의 외부면과 외부케이스(100)의 내부면의 마찰력만으로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내부케이스(300)가 돌출부(400)를 포함하는 경우, 내부케이스(300)의 돌출부(400)와 외부케이스(100)의 내부면의 마찰력만으로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외부케이스(300)가 돌출부(400)를 포함하는 경우, 내부케이스(300)의 외부면과 돌출부(400)의 마찰력만으로 고정될 수 있다.
내부케이스(300)와 외부케이스(100)의 마찰력만으로 내부케이스(300)를 고정하고, 내부케이스(300)를 외부케이스(100)에 고정하는 어떠한 구성도 제외하여, 쉽게 내부케이스(300)를 외부케이스(100)로부터 분리할 수 있도록 한다.
즉, 내부케이스(300)와 외부케이스(100)의 마찰력보다, 사용자의 손과 내부케이스(300)의 마찰력이 더 클 때 내부케이스(300)는 외부케이스(10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따라서, 내부케이스(300)는 회전 운동 없이 외부케이스(10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나아가, 내부케이스(300)는 내부케이스(300) 및 외부케이스(100) 중 적어도 하나의 파손 없이 병진 운동 또는 슬라이딩 운동만으로 외부케이스(10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또한, 내부케이스(300)의 원활한 분리를 위해서, 외부케이스(100)의 내부면과 내부케이스(300)의 외부면이 대응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대응되는 구조를 예를 들어 설명하면, 내부케이스(300) 또는 외부케이스(100)에 턱이 구비된 경우 외부케이스(100) 또는 내부케이스(300)에 상기 턱이 인입될 수 있는 홈이 구비되어 내부케이스(300)가 병진 운동 또는 슬라이딩 운동만으로 외부케이스(100)로부터 분리될 수 있는 구조를 의미할 수 있고, 내부케이스(300) 및 외부케이스(100) 중 하나에 턱이 구비된 구조를 의미할 수 있으며, 후술할 내부케이스(300) 및 외부케이스(100)의 나선 구조를 의미할 수 있다.
상술한 구조를 통해, 사용자는 쉽게 내부케이스(300)를 외부케이스(100)로 분리할 수 있다. 내부케이스(300)나 외부케이스(100)의 파손 없이 구성요소를 분리 배출함으로써 소재의 재활용을 촉진할 수 있다.
다음으로, 외부케이스(100) 및 내부케이스(300)의 친환경 소재에 대하여 살펴본다.
외부케이스(100)는 PP 및/또는 PET 소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외부케이스(100)는 PCR(Post-consumer recycled)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PP 및 PET 소재는 가볍고 강도가 우수하며 인체 및 환경에 무해한 친환경 소재에 해당한다.
내부케이스(300)는 제올라이트(Zeolite) 소재를 포함할 수 있다. 내부케이스(300)는 제올라이트를 포함하는 PP matrix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제올라이트는 천연 또는 합성에 의해 얻어질 수 있고, 규소와 알루미늄 비율에 따라 분류되는 제올라이트A, 제올라이트X 및 제올라이트Y 중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형태에 따라 분류되는 FAU 제올라이트, P1 제올라이트 및 Sodalite 중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외부케이스(100)는 강도가 세고 수분 유입을 방지하는 PP 및/또는 PET 소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고, 내부케이스(300)는 흡습성이 강한 제올라이트 소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로써, 친환경 용기(1)는 외부케이스(100)가 외부로부터 수분을 차단하고, 내부케이스(300)가 내부의 수분을 흡수하여 상반되는 효과를 동시에 달성할 수 있다.
특히, 내부케이스(300)는 흡습성이 강한 소재로 구성함으로써 제2수용공간(301)의 수분을 흡수할 수 있고, 수분이 의약으로 흡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의약 용기가 외부케이스(100)(단일케이스)만으로 구비되는 경우 흡습성을 담보할 수 없어 흡습제를 활용하여야 한다. 흡습제를 활용하는 경우 별도의 공간이 마련되어야 하므로 구성이 복잡해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분리 배출이 어려워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용기(1)는 외부케이스(100) 및 내부케이스(300)를 별도의 구성으로 구비하고 분리가 쉽도록 제조됨으로써, 흡습성 및 분리 배출의 용이성을 동시에 담보할 수 있다.
즉, 생산자는 친환경 재활용 소재를 활용함과 더불어 분리가 용이한 구조의 친환경 용기(1)를 제조하고, 사용자는 이를 쉽게 분리하여 배출함으로써, 폐기물 감소 및 재료의 순환이라는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다음으로, 외부케이스(100)의 하부면의 구조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3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압 전의 가압부(120) 및 가압틈(110)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압 후의 가압부(120) 및 가압틈(110)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압 전의 가압부(120) 및 가압틈(110)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압 후의 가압부(120) 및 가압틈(110)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a 및 도 3d를 참조하면, 상기 외부케이스(100)는 상기 외부케이스(100)의 외부에서 상기 내부케이스(300)를 밀어 올릴 수 있도록 상기 외부케이스(100)의 하부면에 형성된 가압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부케이스(100)는, 상기 가압부(120)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어, 상기 가압부(120)를 변형시키는 가압틈(11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외부케이스(100)는 상부에 개구부(100a)를 포함하고, 옆면 및 하부면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옆면의 상부에는 개구부(100a)가 위치하며, 하부에는 하부면이 위치할 수 있다.
외부케이스(100)는 하부면에 가압틈(110) 및/또는 가압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가압부(120)는 하부면의 중심부에 위치하고, 가압틈(110)은 가압부(120)의 둘레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가압틈(110)은 외부케이스(100)의 하부면을 관통하도록 형성(홀 구조)될 수 있으며, 외부케이스(100)의 하부면에서 상부를 향하여 인입되도록 형성(틈 구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압틈(110)은 가압부(120)의 둘레를 따라 둘레 방향의 곡선 형의 홀 구조 또는 틈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가압틈(110)은 단일 또는 복수로 구비될 수 있으며, 복수의 가압틈(110)은 각각 서로 이격되어 구비될 수 있다.
가압틈(110)은 외부케이스(100)의 내부와 외부의 공기가 소통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를 홀 구조라 한다. 이와 달리, 가압틈(110)은 외부케이스(100)의 내부와 외부의 공기가 소통할 수 없도록 인입되어 폐쇄될 수 있으며, 이를 틈 구조라 한다.
또한, 가압틈(110)은 가압부(120)가 구비되지 않은 경우에도 단독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가압틈(110)은 복수로 구비될 수 있으며, 그 형상은 제한되지 않는다. 즉, 가암틈(110)은 상술한 곡선형 외에도 직선형, 원형, 타원형 및 다각형 등의 다양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가압틈(110)이 홀 구조를 가지는 경우, 가압틈(110)은 내부케이스(300)가 외부케이스(100)에서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공기를 통과시킬 수 있다. 내부케이스(300)가 외부케이스(100)에 삽입되는 경우 내부케이스(300)의 이동에 의해 제1수용공간(101)의 공기는 가압틈(110)을 통해 외부로 유출될 수 있다.
반대로, 내부케이스(300)가 외부케이스(100)로부터 분리되는 경우 내부케이스(300)의 이동에 의해 외부의 공기는 가압틈(110)을 통해 제1수용공간(101)으로 유입될 수 있다.
가압틈(110)이 틈 구조를 가지는 경우, 가압틈(110)은 외부케이스(110)를 관통하지 않으므로 공기가 소통할 수 없다. 따라서, 외부케이스(100)는 방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외부케이스(100)의 가압틈(110)이 존재하는 영역은 가압틈(110)이 존재하지 않는 영역보다 두께가 얇게 형성될 수 있다.
가압틈(110)은 가압부(120)가 가압될 때 스스로 넓어지면서 가압부(120)를 상승 이동시킬 수 있다.(도 3a 및 도 3c) 반대로, 가압틈(110)은 가압부(120)가 가압 상태에서 해제될 때 스스로 좁아지면서 가압부(120)를 하강 이동시킬 수 있다.(도 3b 및 도 3d)
가압부(120)는 상부로 오목지게 형성될 수도 있고, 평면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가압부(120)는 외부 힘이 가해질 때 제1수용공간(101)으로 이동하여 가압 상태에 이를 수 있으며, 외부 힘이 사라질 때 외부 방향으로 다시 이동하여 기본 상태에 이를 수 있다.
친환경 용기(1)는 가압틈(110) 및 가압부(120)를 활용하여 내부케이스(300)를 외부케이스(100)로부터 쉽게 분리 가능하게 한다.
다음으로, 외부케이스(100)와 캡(200)의 구조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4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후크부(230) 및 고리부(130)의 결합 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후크부(230) 및 고리부(130)의 결합 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후크부(230) 및 고리부(130)의 결합 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외부케이스(100)는 상기 외부케이스(100)의 상부에 상기 외부케이스(100)의 둘레를 따라 돌출되어 형성된 캡턱(15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외부케이스(100)는 상기 외부케이스(100)의 상부에 위치하여 관통영역(130a)을 형성하는 고리부(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캡(200)은 상기 캡(200)의 하부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후크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후크부(230)는 상기 관통영역(130a)을 통과하여 상기 고리부(130)와 결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시예에 따른 상기 캡(200)은 상기 외부케이스(100)의 상단부를 상기 캡(200)의 내부에 인입시키는 끼움부(210) 및 상기 끼움부(210)로부터 상기 캡(200)의 바깥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챙부(2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후크부(230)는 상기 챙부(220)의 하부면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외부케이스(100)는 상부에 캡턱(150)을 포함할 수 있다. 캡턱(150)은 상단부으로부터 캡(200)의 높이 이내의 거리에 위치할 수 있다. 캡턱(150)은 외부케이스(100)의 둘레를 따라 구비될 수 있다. 캡턱(150)은 외부케이스(100)의 둘레 전체에 걸쳐 구비될 수 있으며, 그 일부는 후술할 고리부(130)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캡턱(150)은 캡(200)이 외부케이스(100)의 개구부(100a)를 폐쇄할 때, 캡(200)이 안착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캡턱(150)은 캡(200)의 하단부와 접촉할 수 있다.
즉, 캡턱(150)은 끼움부(210)가 외부케이스(100)에 삽입되는 한계를 제공할 수 있다. 이로써, 캡(200)이 과도한 힘으로 닫히더라도 외부케이스(100)의 단부에 의한 캡(200)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외부케이스(100)는 고리부(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고리부(130)는 캡(200)의 후크부(230)와 결합하여 외부케이스(100)의 개구부(100a)의 폐쇄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도 4a를 다시 참조하면, 고리부(130)는 외부케이스(100)의 상부에 위치할 수 있으며, 캡턱(150)으로부터 연장되어 구비될 수 있다. 단, 고리부(130)가 반드시 도 4a와 같은 구조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캡턱(150)과 독립되어 구비될 수 있다.
고리부(130)는 외부케이스(100)의 외부면에 일부가 접촉하여 관통영역(130a)을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고리부(130)의 좌측부 및 우측부는 외부케이스(100)의 외부면에 접촉하고, 중앙부는 외부케이스(100)로부터 이격되어 관통영역(130a)을 형성할 수 있다. 관통영역(130a)은 외부케이스(100)의 외부면과 고리부(130) 사이에 위치하여 후크부(230)가 통과하는 영역을 의미한다.
고리부(130)는 고리부(130)와 외부케이스(100)의 외부면 사이에 관통영역(130a)을 형성시킴으로써 후크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로써, 고리부(130)는 외부의 충격, 후크부(230)의 걸림 등으로부터 후크부(230)를 보호하여 캡(200)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a에서 나타나는 고리부(130)는 캡턱(150)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고, 양측이 외부케이스(100)와 접촉하여, 중심이 외부케이스(100)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구비된다. 또한, 고리부(130)는 'U'자 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러한 형태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캡(200)은 후크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후크부(230)는 캡(200)으로부터 하부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제1부(231) 및 제1부(231)로부터 외부케이스(100)의 바깥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제2부(232)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b를 참조하면, 외부케이스(100)의 개구부(100a)를 폐쇄할 때, 후크부(230)는 고리부(130)의 관통영역(130a)을 통과하여 고리부(130)의 내측과 결합할 수 있다.
이때, 고리부(130)의 내측은 턱이 구비되고, 후크부(230)의 제2부(232)는 고리부(130)의 턱에 걸려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즉, 제2부(232)는 외부케이스(100)의 바깥 방향으로 돌출되어 고리부(130)와 결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후크부(230) 및 고리부(130)의 결합 부위가 고리부(130)의 내측에 형성됨으로써 외부로부터의 캡(200)의 파손이 방지될 수 있다.
도 4c를 참조하면, 고리부(130)는 캡턱(150)으로부터 하부로 경사지게 구비될 수 있다. 이때, 고리부(130)는 외부케이스(100)로부터 이격되지 않을 수 있으며, 고리부(130)는 캡턱(150)으로부터 연장되어 구비되고, 절단된 영역인 두개의 걸림영역(130b)을 형성할 수 있다. 걸림영역(130b)은 도 4a 및 도 4b의 관통영역(130a)에 대응하는 구성에 해당한다.
이 경우, 후크부(230)는 캡(200)으로부터 하부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제1부(231)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1부(231)의 양측에서 내부로 인입된 제3부(233)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케이스(100)의 개구부(100a)를 폐쇄할 때, 후크부(230)는 고리부(130)의 걸림영역(130b)을 통과하여 고리부(130)와 결합할 수 있다. 이 경우, 걸림영역(130b)은 외부에 노출되지만 후술할 챙부(220)에 의해 외부로부터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후크부(230)와 고리부(130)는 도 4a 내지 도4C의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후크부(230) 및 고리부(130)는 내부케이스(300)를 외부케이스(100)부터 분리할 때, 걸림 요소로 작용하지 않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외부케이스(100)의 외부에 위치할 수 있다.
캡(200)은 끼움부(210)를 포함할 수 있다. 끼움부(210)는 캡(200)의 상부에서 바라볼 때 상부로 돌출된 형상으로 형성되며, 하부에서 바라볼 때 상부로 함몰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끼움부(210)는 외부케이스(100)의 상단부가 진입하는 장소를 의미할 수 있다. 캡(200)의 끼움부(210)와 외부케이스(100)의 끼움턱(160)은 서로 억지끼움 되어 개구부(100a)의 폐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캡(200)은 챙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챙부(220)는 끼움부(210)로부터 캡(200)의 바깥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챙부(220)는 사용자가 캡(200)을 열 때 힘이 작용하는 장소에 해당할 수 있다.
캡(200)은 일측에 외부케이스(100)와 연결되는 연결부(240)를 구비할 수 있으며, 타측에 챙부(220)를 구비할 수 있다. 즉, 챙부(220)가 사용자에 의해 들어 올려질 때 지렛대 원리에 의해 연결부(240)를 축으로 하여 캡(200)이 열릴 수 있다.
이때, 후크부(230)는 챙부(220)의 하부면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후크부(230)가 챙부(220)에 위치하면, 후크부(230)가 고리부(130)는 외부케이스(100)의 외부에서 결합될 수 있으므로, 고리부(130)도 외부케이스(100)의 외부면에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내부케이스(300)가 어떠한 걸림 요소에 방해받지 않고 외부케이스(100)로부터 분리될 수 있도록 한다. 즉, 후크부(230) 및 고리부(130)는 외부케이스(100)의 외부에서 서로 체결되는 구조에 의해 내부케이스(300)를 쉽게 분리할 수 있는 것이다.
챙부(220)의 돌출된 형상은 외부로부터 고리부(130) 및 후크부(230)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하며, 지렛대 원리에 의해 작은 힘으로도 쉽게 캡(200)을 열어 외부케이스(100)의 개구부(100a)를 개방할 수 있도록 한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용기(1)는 고리부(130) 및 후크부(230)를 외부케이스(100)의 외부에 위치시킴으로써 내부케이스(300)의 분리를 쉽게 하고, 고리부(130)는 후크부(230)를 숨김으로써 외부로부터 캡(200)의 파손을 방지하며, 챙부(220)는 작은 힘으로도 외부케이스(100)의 개구부(100a)를 쉽게 개방하도록 하는 효과를 발생시킨다.
다음으로, 외부케이스(100)와 캡(200)의 결합구조의 다른 실시예를 살펴본다.
도 4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후크부(230) 및 후크홈(221)의 결합 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e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후크부(230) 및 후크홈(221)의 결합 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지금까지 캡(200)이 후크부(230)를 포함하고 외부케이스(100)가 고리부(130) 고리부를 포함하여, 후크부(230)와 고리부(130)의 결합하는 구조를 살펴보았다.
한편, 도 4d 및 도 4e를 참조하면, 상기 외부케이스(100)는 상기 외부케이스(100)의 상부 외부면을 따라 형성된 끼움턱(160) 및 상기 외부케이스(100)와 연결되어 형성된 후크부(230)를 포함하고, 상기 캡(200)은 상기 끼움턱(160)을 상기 캡(200)의 내부에 인입시키는 끼움부(210) 및 상기 후크부(230)가 통과하여 결합하는 후크홈(221)을 포함할 수 있다.
외부케이스(100)는 후크부(230)를 포함할 수 있고, 캡(100)은 후크홈(221)을 포함할 수 있다. 후크부(230)는 후크홈(221)과 결합할 수 있다.
외부케이스(100)는 후크부(230), 지지부(170) 및 후크연결부(230a)를 포함할 수 있다. 후크부(23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1부(231) 및 제2부(232)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후크부(230)는 상술한 바와 달리 지지부(170)로부터 연장되어 상부를 향해 구비될 수 있고, 외부케이스(100)와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구비될 수 있다.
지지부(170)는 상술한 고리부(130)와 동일한 구조를 가질 수 있으나, 고리부(130)와 달리 관통영역(130a)을 형성하지 않을 수 있다. 이때, 지지부(170)는 후크부(230)를 외부케이스(100)로부터 이격시킬 수 있다. 단, 지지부(170)의 형상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후크부(230)를 외부케이스(100)로부터 이격시킬 수 있는 어떠한 형상으로도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지지부(170)는 제1지지부(170a) 및 제2지지부(170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지지부(170a)는 외부케이스(100)의 외부면에 위치하여 후크부(230)와 외부케이스(100)의 이격 거리를 제공할 수 있다. 제2지지부(170b)는 제1지지부(170a)에 연결되고, 후크부(230)가 연결될 수 있다.
지지부(170)는 후크부(230)와 외부케이스(100)를 이격시켜 캡(200)이 외부케이스(100)를 폐쇄할 때 끼움부(210)의 가장자리가 위치하도록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끼움부(210)는 가장자리에 제1-1실링부(211), 제1-2실링부(212) 및 제1-3실링부(213)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제1-1실링부(211) 내지 제1-3실링부(213)는 후크부(230)와 외부케이스(100)의 외부면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후크연결부(230a)는 지지부(170)와 후크부(230) 사이에 위치하여, 일단이 지지부(170)와 연결되고 타단이 후크부(230)와 연결될 수 있다. 후크연결부(230a)는 후크부(230)의 폭보다 좁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폭은 외부케이스(100)의 외부 또는 내부를 향한 방향의 길이를 의미한다.
후크연결부(230a)는 후크부(230)가 쉽게 외부케이스(100)의 내부 및 외부 방향으로 이동하게 할 수 있다. 이때, 후크부(230)는 후크연결부(230a)를 축으로 하여 외부케이스(100)의 내부 및 외부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즉, 후크연결부(230a)는 후크부(230)의 유동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캡(200)은 후크홈(221)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캡(200)의 챙부(220)는 후크홈(221)을 포함할 수 있다.
후크부(230)가 잠김 상태일 때 제2부(232)가 후크홈(221)에 걸리게 되며, 캡(200)이 개방될 수 없다. 이때, 캡(200)은 후크부(230)에 의해 상부 방향 이동이 제한되고, 캡턱(150)에 의해 하부 방향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이로써, 캡(200)이 외부케이스(100)를 폐쇄시킨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반대로, 후크부(230)가 개방 상태일 때 외부케이스(100)의 내부 방향으로 이동하여 후크홈(221)에 걸리지 않게 되며, 캡(200)이 개방될 수 있다.
캡(200)은 외부케이스(100)를 쉽게 개방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제1부(231)에 외부케이스(100)의 내부 방향 힘이 가해지는 경우, 후크부(230)는 개방 상태에 이를 수 있다. 반대로, 제1부(231)에 가해진 힘이 제거되는 경우, 후크부(230)는 잠김 상태에 이를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는 후크부(230)의 제1부(231)를 누르면서 캡(200)의 챙부(220)를 들어올리면 캡(200)이 개방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간단한 동작에 의해 캡(200)이 쉽게 열릴 수 있다.
캡(200)은 외부케이스(100)를 쉽게 폐쇄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끼움부(210)는 제1-1실링부(211), 제1-2실링부(212) 및 제1-3실링부(213)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케이스(100)는 끼움턱(16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끼움턱(160)은 제2-1실링부(161) 및 제2-2실링부(16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1실링부(211)는 캡(200) 또는 끼움부(210)의 측방 내부면에서 캡의(200) 외부 방향으로 인입된 영역에 해당한다. 제1-2실링부(212)는 제1-1실링부(211)로부터 하부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캡(200) 또는 끼움부(210)의 측방 내부면에서 캡의(200) 내부 방향으로 돌출된 영역에 해당한다. 제1-3실링부(213)는 제1-2실링부(212)로부터 하부로 연장되면서 캡의(200) 외부 방향으로 경사진 영역에 해당한다.
캡(200)이 외부케이스(100)를 폐쇄하는 구조에서, 제1-1실링부(211)와 제2-1실링부(161)는 서로 접촉 또는 인접하도록 위치할 수 있다. 이때, 제1-2실링부(212)와 제2-2실링부(162)는 서로 접촉하도록 위치할 수 있다. 특히, 제1-2실링부(212)와 제2-2실링부(162)의 접촉 상태는 제1수용공간(101)으로 수분이 유입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폐쇄 과정에서, 제2-1실링부(161)는 제1-3실링부(213)의 경사를 따라 이동하고, 제1-2실링부(212)를 넘어 이동하며, 제1-1실링부(211)에 정착할 수 있다. 제1-1실링부(211) 내지 제1-3실링부(213)는 연속되어 굴곡지게 형성되므로 제2-1실링부(161)가 쉽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며, 캡(200)이 쉽게 외부케이스(100)를 폐쇄할 수 있도록 한다.
개방 과정에서, 제2-1실링부(161)는 상술한 폐쇄 과정과 반대로 이동할 수 있다.
한편, 챙부(220)는 후크홈(221)을 포함할 수 있다. 후크홈(221)의 위치는 한정되지 않으나, 후크부(230)가 통과할 수 있는 위치에 대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후크홈(221)은 홈직선부(221a) 및 홈경사부(221b)를 포함할 수 있다. 홈직선부(221a)는 후크홈(221)의 상부에 위치하여 후크홈(221)의 수평 단면적의 모양이 동일하게 유지되는 영역을 의미한다.
홈경사부(221b)는 홈직선부(221a)로부터 하부로 연장되어 위치하여 후크홈(221)의 수평 단면적의 넓이가 하부로 가면서 증가하는 영역을 의미한다. 이때, 후크홈(221)은 내부면 및 외부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후크홈(221)의 외부면은 하부로 가면서 외부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폐쇄 과정에서, 후크부(230)는 후크홈(221)을 통과하며, 제2부(232)는 챙부(220)의 상부면에 걸려 후크홈(221)과 결합될 수 있다. 제2부(232)는 제1부(231)보다 외부케이스(100)의 외부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상부로 갈수록 외부케이스(100)의 내부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후크경사부(232a)는 제2부(232)의 경사면을 의미한다.
후크경사부(232a)는 홈경사부(221b)와 접촉하여, 제2부(232)가 쉽게 후크홈(221)을 통과하도록 할 수 있다. 제2부(232)는 후크홈(221)을 통과하여 쉽게 후크홈(221)과 결합될 수 있다.
개방 과정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제1부(231)를 누르면서 챙부(220)를 들어올리는 동작을 통해 쉽게 후크부(230)와 후크홈(221)의 결합을 해제할 수 있다. 나아가, 내부케이스(300)의 파지부(310)의 탄성력이 캡(200)에 힘을 가하여 캡(200)이 쉽게 개방될 수 있도록 한다.
다음으로, 내부케이스(300) 또는 외부케이스(100) 돌출부(400) 대하여 살펴본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부케이스(300)의 수직형 돌출부(400)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부케이스(300) 및 공기유로(101a)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부케이스 및 공기유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부케이스(300)의 나선형 돌출부(400)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a를 다시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외부케이스(100)는 상기 외부케이스(100)의 내부면에 형성된 복수의 돌출부(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돌출부(400)는 내부케이스(300)의 외부면에 접촉하여 상기 제1수용공간(101)에 공기유로(101a)를 형성할 수 있다.(도 6 참조)
외부케이스(100)는 돌출부(400)(내측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돌출부(400)는 외부케이스(100)의 내부면으로부터 내부를 향하여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400)는 복수로 구비될 수 있고 수직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그 개수 및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돌출부(400)는 내부케이스(300)의 외부면과 접촉할 수 있으며, 내부케이스(300)와 마찰을 일으켜 내부케이스(300)를 외부케이스(100)에 고정할 수 있다.
이때, 내부케이스(300)의 외부면은 매끄럽게 형성될 수 있다. 매끄럽게 형성되는 것이란, 내부케이스(300)의 외부면이 돌출된 영역이 없는 경우를 의미한다.
또한, 돌출부(400)는 내부케이스(300)의 외부면과 접촉하여 공기유로(101a)를 형성할 수 있다. 내부케이스(300)가 외부케이스(100)에 삽입되는 경우 외부케이스(100)의 내부에 있던 공기는 공기유로(101a)를 따라 이동하여 내부케이스(300)의 삽입을 쉽게 유도할 수 있다.
반대로, 내부케이스(300)가 외부케이스(100)로부터 분리되는 경우 외부케이스(100)의 외부에 있던 공기는 공기유로(101a)를 따라 이동하여 내부케이스(300)의 분리를 쉽게 유도할 수 있다.
돌출부(400)에 의해 형성된 공기유로(101a)는 단독(복수의 공기유로가 구비되는 경우도 포함)으로 구비될 수 있으나, 외부케이스(100)의 하부면에 형성된 가압틈(110)과 동시에 구비될 수 있다. 이때, 가압틈(110)은 홀 구조 또는 틈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돌출부(400)에 의해 공기유로(101a)는 복수로 구획될 수 있다.
이때, 공기유로(101a)는 외부케이스(100)의 제1수용공간(101)과 외부의 기압을 동일하게 유지하여 내부케이스(300)의 분리 및 삽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내부케이스(300)는 상기 내부케이스(300)의 외부면에 형성된 복수의 돌출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돌출부(400)는 외부케이스(100)의 내부면에 접촉하여 상기 제1수용공간(101)에 공기유로(101a)를 형성할 수 있다.
내부케이스(300)는 돌출부(400)(외측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돌출부(400)는 내부케이스(300)의 외부면으로부터 외부를 향하여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400)는 복수로 구비될 수 있고 수직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그 개수 및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돌출부(400)는 외부케이스(100)의 내부면과 접촉할 수 있으며, 외부케이스(100)와 마찰을 일으켜 내부케이스(300)를 외부케이스(100)에 고정할 수 있다.
이때, 외부케이스(100)의 내부면은 매끄럽게 형성될 수 있다. 매끄럽게 형성되는 것이란, 외부케이스(100)의 내부면이 돌출된 영역이 없는 경우를 의미한다.
또한, 돌출부(400)는 외부케이스(100)의 내부면과 접촉하여 공기유로(101a)를 형성할 수 있다. 이때, 돌출부(400)는 외부케이스(100)의 하부면에 구비된 가압틈(110)과 동시에 존재할 수 있고, 단독으로 존재할 수 있음은 상술한 바와 같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내부케이스(300)는 외부면이 다각 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외부면의 모서리는 상기 외부케이스(100)의 내부면에 접촉하여 상기 제1수용공간(101)에 내부에 공기유로(101a)를 형성할 수 있다.
내부케이스(300)는 외부면이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다각으로 이루어진 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내부케이스(300)의 외부면이 십이각 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은 하나의 실시예이므로,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내부케이스(300)의 외부면이 다각 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외부면의 모서리는 외부케이스(100)의 내부면에 접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모서리는 내부에 공기유로(101a)를 형성할 수 있다.
나아가, 외부케이스(100)의 내부면은 원기둥 또는 다각 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외부케이스(100)의 내부면이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진 경우, 내부케이스(300)의 외부면의 모서리는 외부케이스(100)의 내부면과 접촉하여 제1수용공간(101)에 공기유로(101a)를 형성할 수 있다.
반대로, 외부케이스(100)의 내부면이 외부케이스(100)의 내부면과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진 경우, 내부케이스(300)의 외부면과 외부케이스(100)의 내부면은 서로 접촉하고, 내부케이스(300)의 외부면의 모서리와 내부케이스(300)의 내부면의 모서리 또한 서로 접촉할 수 있다.
이때, 공기유로(101a)는 형성되지 않을 수 있으나, 외부케이스(100)의 하부면에 형성된 홀 구조의 가압틈(110)에 의해 공기의 이동이 유도될 수 있다. 이 경우, 내부케이스(300)는 외부케이스(100)에 더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내부케이스(300)는 상기 내부케이스(300)의 외부면에 나사산 형상으로 이루어진 돌출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내부케이스(300)는 돌출부(400)(나선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돌출부(400)는 내부케이스(300)의 외부면으로부터 외부를 향하여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외부케이스(100)는 나선홈(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나선홈은 외부케이스(100)의 내부면으로부터 인입되어 형성될 수 있다.
내부케이스(300)의 돌출부(400)와 외부케이스(100)의 나선홈은 나사 결합을 이루며, 나사 결합에 의해 내부케이스(300)는 외부케이스(100)에 삽입되고, 외부케이스(10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달리, 외부케이스(100)가 돌출부(400)를 포함하고 내부케이스(300)가 나선홈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내부케이스(300)는 외부케이스(100)에 더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 내부케이스(300)에 구비된 돌출부(400)는 내부케이스 상단부의 둘레를 따라 형성될 수 있고, 상단부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복수의 가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복수의 가닥은 내부케이스(300)의 하부면까지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도 9 참조)
다음으로, 외부케이스(100)의 고정턱(140) 및 내부케이스(300)의 고정홈(320) 구조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부케이스(300)의 고정홈(320)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외부케이스(100)의 고정턱(140)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정홈(320) 및 고정턱(140)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정홈(320) 및 고정턱(140)이 분리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외부케이스(100)는 내부면에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내부케이스(300)를 고정하는 고정턱(1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부케이스(300)는 외부면에 상기 고정턱(140)이 통과하는 고정홈(3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홈(320)은 상기 내부케이스(300)의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깊이가 얕아지게 형성될 수 있다.
외부케이스(100)는 내부면에 형성된 고정턱(140)을 포함할 수 있다. 고정턱(140)은 외부케이스(100)의 내부면에 수직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대응하는 구성으로, 내부케이스(300)는 외부면에 형성된 고정홈(320)을 포함할 수 있다. 고정홈(320)은 내부케이스(300)의 외부면에 수직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고정턱(140)과 고정홈(320)은 서로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고정턱(140)이 고정홈(320)과 접촉된 상태로 내부케이스(300)는 외부케이스(100)와 결합 및 분리될 수 있다. 이때, 내부케이스(300)는 병진 운동 또는 슬라이딩 운동만으로 외부케이스(10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고정홈(320)은 내부케이스(300)에서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깊이가 얕아질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는, 내부케이스(300)가 외부케이스(100)에 완전히 삽입되었을 때 내부케이스(300)가 견고하게 고정되는 효과를 제공한다.
반대로, 내부케이스(300)가 외부케이스(100)에 거의 분리되었을 때(완전히 분리되기 전) 내부케이스(300)를 외부케이스(100)로부터 쉽게 분리되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1a를 참조하면, 내부케이스(300)는 완전히 삽입된 상태에서 회전할 수 없으며, 병진 운동 또는 슬라이딩 운동만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효과는 상대적으로 깊게 형성된 상부 고정홈(320)에 고정턱(140)이 진입함으로써 나타날 수 있다. 이와 같이 완전 결합 상태에서 내부케이스(300)는 외부케이스(100)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도 11b를 참조하면, 내부케이스(300)는 거의 분리된 상태에서 회전할 수 있으며, 병진 운동 또는 슬라이딩 운동도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효과는 상대적으로 얕게 형성된 하부 고정홈(320)에 고정턱(140)이 진입함으로써 나타날 수 있다. 이와 같이 거의 분리된 상태에서 내부케이스(300)는 회전 운동이 가능하여 쉽게 외부케이스(10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나아가, 고정홈(320)은 내부케이스(300)의 하부로 갈수록 얕게 형성되어 최하단에서 고정홈(320)은 소멸할 수 있다. 따라서, 내부케이스(300)는 외부케이스(100)로부터 완전히 분리되기 직전 자유로운 회전 운동이 가능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즉, 고정턱(140)의 상부영역(320a)부터 하부영역(320b)까지 연속 또는 불연속적으로 깊이가 점점 감소할 수 있다.
단, 상술한 것과 달래 내부케이스(300)가 고정턱(140)을 포함하고, 외부케이스(100)가 고정홈(32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내부케이스 삽입 및 분리 과정은 상술한 방식과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내부케이스(300)가 삽입되는 과정에서 내부케이스(300)는 점점 견고하게 외부케이스(100)에 고정될 수 있으며, 내부케이스(300)가 분리되는 과정에서 점점 자유롭게 외부케이스(10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다음으로, 내부케이스(300)에 구비된 파지부(310)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12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휨 상태의 파지부(310)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지부(310)의 변화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지부가 캡의 닫힘을 방지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a, 도 5 및 11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내부케이스(300)는 상단부로부터 돌출되어 사용자에 의해 파지되는 파지부(31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부케이스(300)는 상단부가 제1높이(h1)에서 제2높이(h2)까지 하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파지부(310)는 상기 제2높이(h2)에서 상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파지부(310)는 내부케이스(300)의 상단부로부터 연장되어 구비될 수 있다. 특히, 파지부(310)는 내부케이스(300)를 외부케이스(100)로부터 분리하기 쉽도록 사용자에 의해 파지되는 부분을 의미한다.
도 5를 다시 참조하면, 제1높이(h1)는 내부케이스(300)의 옆면 중 가장 높은 상단부를 의미하고, 제2높이(h2)는 내부케이스(300)의 옆면 중 가장 낮은 상단부를 의미할 수 있다. 즉, 내부케이스(300)는 상단부가 제1높이(h1)에서 제2높이(h2)까지 하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사 구조는 파지부(310)를 길게 형성하면서도 캡(200)이 닫힐 때, 상부케이스의 외부로 파지부(310)가 돌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파지부(310)는 사용자가 파지해야 할 부분에 해당하여 너무 짧게 형성되면 그 기능을 구현할 수 없으므로 제2높이(h2)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파지부(310)는 전체가 외부케이스(100)의 상단부보다 아래에 위치하거나, 일부가 외부케이스(100)의 상단부 위로 돌출되어 위치할 수 있다. 여기서, 후자에 대하여는 후술하기로 한다.
또한, 파지부(310)의 상단부는 외부케이스(100)의 상단부와 일치하는 높이에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파지부(310)의 상단부는 캡(200)과 접촉하여 내부케이스(300)가 외부케이스(100) 내부에서 상하 방향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제1높이(h1)는 내부케이스(300)의 옆면 중(파지부(310) 제외) 가장 높은 위치를 의미하며, 이와 같은 경사 구조에 의해 의약과 접촉하는 공간인 제2수용공간(301)은 가장 넓게 확보될 수 있다.
이로써, 내부케이스(300)는 상단부가 제1높이(h1)에서 제2높이(h2)까지 경사지도록 형성되고, 제2높이(h2)에서 상부로 연장되는 형상으로 파지부(310)를 구비하여, 파지부(310)가 사용자에게 충분히 파지될 수 있는 길이를 제공함과 동시에 외부케이스(100)의 외부로 돌출되지 않는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8, 도 11a 및 도 11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파지부(310)는 상기 파지부(310)의 외부면 및 내부면에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된 파지홈(311)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지부(310)는 상기 외부케이스(100)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외부케이스(100)의 상부로 적어도 일부가 노출될 수 있다.
파지부(310)는 파지홈(311)을 포함할 수 있다. 파지홈(311)은 파지부(310)의 외부면 및/또는 내부면에 형성될 수 있다. 즉, 파지홈(311)은 파지홈(311)의 외부면에만 구비될 수 있고, 내부면에만 구비될 수 있으며, 내부면 및 외부면 모두에 구비될 수 있다.
파지홈(311)은 파지부(310)의 일면에서 내측으로 인입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8과 같이, 파지홈(311)은 동일한 너비로 깊이만큼 유지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다. 단, 파지홈(311)의 형상 및 개수는 도 8에 의한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와 달리 도 11a 및 도 11b와 같이, 파지홈(311)은 깊이 방향으로 갈수록 너비가 좁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측면에서 바라보는 파지부(310)는 파지홈(311)에 의해 복수의 굴곡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파지부(310)는 돌출영역 및 함몰영역의 반복으로 구성될 수 있다.
파지홈(311)은 사용자가 파지부(310)를 파지할 때, 파지 면적을 넓혀 내부케이스(300)의 분리를 쉽게할 수 있다.
도 12a 및 도 12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파지부(310)는 탄성을 가질 수 있다. 파지부(310)는 상기 캡(200)이 닫힐 때 상기 내부케이스(300)의 제2수용공간(301) 방향으로 휨이 발생할 수 있다. 파지부(310)는 상기 캡(200)이 열릴 때 기본 상태로 복구될 수 있다.
파지부(310)는 탄성을 가질 수 있으며, 파지홈(311)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1a 및 도 11b에 의하면, 파지부(310)는 직선을 기본 상태로 하여 유지될 수 있다. 파지부(310)는 탄성에 의해 일시적으로 휨이 발생하더라도 기본 상태로 복구될 수 있다. 즉, 파지부(310)는 탄성 변형할 수 있으며, 외력이 제거될 때 기본 상태로 복구될 수 있다.
도 12a에 의하면, 파지부(310)는 외부케이스(100)가 폐쇄될 때, 캡(200)에 의해 휨이 발생할 수 있다. 파지부(310)는 사용자가 내부케이스(300)를 쉽게 파지하기 위해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파지부(310)가 외부케이스(100)의 외부로 돌출되더라도 캡(200)에 의해 휨이 발생하여 외부케이스(100)의 개구부(100a)를 폐쇄할 수 있다. 이 경우, 파지부(310)의 탄성력은 캡(200)과 외부케이스(100)의 결합력보다 작을 수 있다.
도 12b에 의하면, 파지부(310)는 외부케이스(100)가 개방될 때, 탄성에 의해 휨이 제거될 수 있다. 이때, 파지부(310)의 탄성력은 캡(200)에 힘을 가하여 캡(200)이 쉽게 열리도록 할 수 있다.
도 12c를 참조하면, 파지부(310)는 외부케이스(100)의 외부로 돌출됨으로써 외부케이스(100)의 개구부(100a)가 개방되어 있는 경우에도 의도치 않게 캡(200)이 닫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는 원터치로 후크부(230)를 고리부(130)로부터 이탈시키면 파지부(310)에 의해 캡(200)을 완전히 개방시킬 수 있다. 즉, 원터치 개방 방식이 구현될 수 있다.
파지부(310)는 상술한 구조에 의해, 충분히 길게 형성되어 캡(200)이 의도치 않게 닫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충분히 길게 형성됨에도 불구하고 가요성을 가지므로 제2수용공간(301) 방향으로 휨이 발생하여 외부케이스(100)가 쉽게 폐쇄될 수 있으며, 탄성력에 의해 원터치로 캡(200)을 개방할 수 있는 효과를 동시에 달성할 수 있다.
또한, 도 9를 다시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내부케이스(300)는, 상기 내부케이스(300) 외부면에 적어도 일부 높이까지 형성된 두 개의 고정홈(320), 상기 내부케이스(300) 상기 일부 높이부터 상기 고정홈(320)에 대응하도록 형성된 두개의 고정슬릿(3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파지부(310)는 상기 일부 높이부터 상기 두개의 고정슬릿(33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내부케이스(300)는 상기 두개의 고정슬릿(330) 사이에 평면부(3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내부케이스(300)는 외부면에 고정홈(320)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내부케이스(300)는 서로 수직 방향으로 평행하게 형성된 두 개의 고정홈(32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고정홈(320)은 내부케이스(300)의 적어도 일부 높이까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내부케이스(300)는 적어도 일부 높이부터 형성된 두 개의 고정슬릿(33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고정슬릿(330)의 위치는 고정홈(320)에 대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대응이란 수직 방향으로 형성된 고정홈(320)으로부터 가상의 연장선이 형성되는 경우 그 연장선을 따라 고정슬릿(330)이 형성된 것을 의미한다.
즉, 내부케이스(300)의 하단에서 시작된 고정홈(320)은 적어도 일부 높이까지 연장 형성될 수 있으며, 적어도 일부 높이부터 시작된 고정슬릿(330)은 내부케이스(300)의 상단까지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파지부(310)는 적어도 일부의 높이부터 상부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고, 파지부(310)는 두 개의 고정슬릿(33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파지부(310)가 고정슬릿(330) 사이에 위치함으로써 파지부(310)를 더 길게 형성할 수 있으며, 파지부(310)가 길게 형섬됨으로써 사용자의 파지 영역을 더 넓힐 수 있고 파지부(310)에 휨이 발생할 때 파손 염려를 줄일 수 있다.
내부케이스(300)는 평면부(340)를 포함할 수 있다. 내부케이스(300)가 각기둥, 원기둥 등의 형상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내부케이스(300)이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진 경우에도 적어도 일부에 평면부(340)를 포함할 수 있다.
평면부(340)는 두 개의 고정슬릿(330) 사이에 위치할 수 있으며, 파지부(310)는 평면부(340)의 상단부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평면부(340)의 상단부는 직선으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파지부(310)와 평면부(340)의 연결부위도 직선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파지부(310)는 쉽게 휨 상태 및 기본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용기(1)는 친환경 소재로 제조되어 재활용될 수 있다. 또한, 친환경 용기(1)는 분리가 쉬운 구조로 구현되어 사용자가 쉽게 소재를 분리하여 분리 배출할 수 있다.
또한, 외부케이스(100)는 끼움턱(160)을 구비하고, 캡(200)은 끼움부(210) 구비하여, 서로 결합되면서 제1수용공간(101) 및 제2수용공간(301)에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 내부케이스(300)는 파지부(310)를 구비하여, 쉽게 외부케이스(100)로부터 분리될 수 있도록 구현되어 있다. 또한, 파지부(310)는 외부케이스(100)에 구비된 개구부(100a)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면적을 높일 수 있고, 캡(200)이 임의로 닫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탄성력에 의해 캡(200)을 원터치로 개방할 수 있는 효과를 동시에 달성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1 : 친환경 용기
100 : 외부케이스
100a : 개구부 100b : 개구영역
101 : 제1수용공간 101a : 공기유로
110 : 가압틈 120 : 가압부
130 : 고리부 130a : 관통영역
130b : 걸림영역 140 : 고정턱
150 : 캡턱 160 : 끼움턱
161 : 제2-1실링부 162 : 제2-2실링부
170 : 지지부 170a : 제1지지부
170b : 제2지지부 200 : 캡
210 : 끼움부 211 : 제1-1실링부
212 : 제1-2실링부 213 : 제1-3실링부
220 : 챙부 221 : 후크홈
221a : 홈직선부 221b : 홈경사부
230 : 후크부 230a : 후크연결부
231 : 제1부 232 : 제2부
232a : 후크경사부 233 : 제3부
240 : 연결부 300 : 내부케이스
300a : 내부개구부 301 : 제2수용공간
310 : 파지부 311 : 파지홈
320 : 고정홈 330 : 고정슬릿
340 : 평면부 400 : 돌출부
100a : 개구부 100b : 개구영역
101 : 제1수용공간 101a : 공기유로
110 : 가압틈 120 : 가압부
130 : 고리부 130a : 관통영역
130b : 걸림영역 140 : 고정턱
150 : 캡턱 160 : 끼움턱
161 : 제2-1실링부 162 : 제2-2실링부
170 : 지지부 170a : 제1지지부
170b : 제2지지부 200 : 캡
210 : 끼움부 211 : 제1-1실링부
212 : 제1-2실링부 213 : 제1-3실링부
220 : 챙부 221 : 후크홈
221a : 홈직선부 221b : 홈경사부
230 : 후크부 230a : 후크연결부
231 : 제1부 232 : 제2부
232a : 후크경사부 233 : 제3부
240 : 연결부 300 : 내부케이스
300a : 내부개구부 301 : 제2수용공간
310 : 파지부 311 : 파지홈
320 : 고정홈 330 : 고정슬릿
340 : 평면부 400 : 돌출부
Claims (20)
- 의약을 보관하는 친환경 용기에 있어서,
개구부를 포함하는 외부케이스;
상기 외부케이스의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캡; 및
상기 외부케이스의 내부에 분리 가능하게 상기 개구부를 통해 삽입되는 내부케이스;를 포함하는, 친환경 용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케이스는 상기 내부케이스를 수용하는 제1수용공간을 더 포함하고,
상기 내부케이스는 상기 의약을 수용하는 제2수용공간을 포함하며,
상기 내부케이스는 병진하여 상기 외부케이스에서 분리되는, 친환경 용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케이스는 PET를 포함하는 소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내부케이스는 제올라이트를 포함하는 소재로 이루어진, 친환경 용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케이스는,
상기 외부케이스의 외부에서 상기 내부케이스를 밀어 올릴 수 있도록 상기 외부케이스의 하부면에 형성된 가압부를 포함하는, 친환경 용기.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케이스는,
상기 가압부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어, 상기 가압부를 변형시키는 가압틈을 더 포함하는, 친환경 용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케이스는,
상기 외부케이스의 상부에 상기 외부케이스의 둘레를 따라 돌출되어 형성된 캡턱을 포함하는, 친환경 용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케이스는,
상기 외부케이스의 상부에 위치하여 관통영역을 형성하는 고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캡은,
상기 캡의 하부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후크부를 포함하며,
상기 후크부는 상기 관통영역을 통과하여 상기 고리부와 결합하는, 친환경 용기.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캡은,
상기 외부케이스의 상단부를 상기 캡의 내부에 인입시키는 끼움부 및
상기 끼움부로부터 상기 캡의 바깥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챙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후크부는 상기 챙부의 하부면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는, 친환경 용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케이스는,
상기 외부케이스의 상부 외부면을 따라 형성된 끼움턱 및 상기 외부케이스와 연결되어 형성된 후크부를 포함하고,
상기 캡은,
상기 끼움턱을 상기 캡의 내부에 인입시키는 끼움부 및 상기 후크부가 통과하여 결합하는 후크홈을 포함하는, 친환경 용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케이스는,
상기 외부케이스의 내부면에 형성된 복수의 돌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는 내부케이스의 외부면에 접촉하여, 상기 제1수용공간에 공기유로를 형성하는, 친환경 용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케이스는,
상기 내부케이스의 외부면에 형성된 복수의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는 외부케이스의 내부면에 접촉하여, 상기 제1수용공간에 공기유로를 형성하는, 친환경 용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케이스는 외부면이 다각 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외부면의 모서리는 상기 외부케이스의 내부면에 접촉하여, 상기 제1수용공간에 내부에 공기유로를 형성하는, 친환경 용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케이스는,
상기 내부케이스의 외부면에 나사산 형상으로 이루어진 돌출부를 포함하는, 친환경 용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케이스는 내부면에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내부케이스를 고정하는 고정턱을 더 포함하고,
상기 내부케이스는 외부면에 상기 고정턱이 통과하는 고정홈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홈은 상기 내부케이스의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깊이가 얕아지게 형성되는, 친환경 용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케이스는 상단부로부터 돌출되어 사용자에 의해 파지되는 파지부를 포함하는, 친환경 용기. -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케이스는, 상단부가 제1높이에서 제2높이까지 하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파지부는 상기 제2높이에서 상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친환경 용기. -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는,
상기 파지부의 외부면 및 내부면에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된 파지홈을 포함하는, 친환경 용기. -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는,
탄성을 가지며, 상기 캡이 닫힐 때 상기 내부케이스의 제2수용공간 방향으로 휨이 발생하고, 상기 캡이 열릴 때 기본 상태로 복구되는, 친환경 용기. - 외부케이스에 내부에 삽입되고, 캡에 의해 밀폐되는 친환경 용기에 있어서,
파지부가 구비된 내부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파지부는,
외부면 및 내부면에 형성된 파지홈을 포함하고, 상기 외부케이스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외부케이스의 상부로 적어도 일부가 노출되며, 상기 캡이 닫힐 때 휨이 발생하고, 상기 캡이 열릴 때 상기 캡을 밀면서 기본 상태로 복구되는, 친환경 용기. -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케이스는,
상기 내부케이스 외부면에 적어도 일부 높이까지 형성된 두 개의 고정홈,
상기 내부케이스 상기 일부 높이부터 상기 고정홈에 대응하도록 형성된 두개의 고정슬릿을 포함하고,
상기 파지부는 상기 일부 높이부터 상기 두개의 고정슬릿 사이에 위치하는, 친환경 용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PCT/KR2022/013372 WO2024010136A1 (ko) | 2022-07-07 | 2022-09-06 | 친환경 용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83954 | 2022-07-07 | ||
KR20220083954 | 2022-07-07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40007039A true KR20240007039A (ko) | 2024-01-16 |
Family
ID=897195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111437A KR20240007039A (ko) | 2022-07-07 | 2022-09-02 | 친환경 용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40007039A (ko)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726981B1 (ko) | 2016-11-04 | 2017-04-13 | 주식회사 대한화성 | 알약보관용기의 내부에 삽입되어 완충기능과 제습기능을 동시에 수행하는 알약보호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알약보관용기 |
-
2022
- 2022-09-02 KR KR1020220111437A patent/KR20240007039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726981B1 (ko) | 2016-11-04 | 2017-04-13 | 주식회사 대한화성 | 알약보관용기의 내부에 삽입되어 완충기능과 제습기능을 동시에 수행하는 알약보호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알약보관용기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S2828731T3 (es) | Conjunto de cierre para una botella, botella asociada y procedimiento de montaje | |
JP5778784B2 (ja) | 容器用分配キャップ | |
JP2013530891A (ja) | 容器用密閉器 | |
JPH0583241B2 (ko) | ||
JP7039069B1 (ja) | プルリング及びボトルキャップ | |
JP5683129B2 (ja) | バイアル用栓体とこれに用いるシール部材 | |
TW201515946A (zh) | 點眼液容器 | |
JP6390895B2 (ja) | 錠剤容器 | |
KR20240007039A (ko) | 친환경 용기 | |
US4223795A (en) | Child-resistant package | |
JP4504370B2 (ja) | ワンタッチ式の栓及びワンタッチ式の栓を有する容器 | |
JP2011024772A (ja) | 化粧品用容器 | |
JP5479029B2 (ja) | バイアル用のゴム栓(b)とプラスチック製キャップ(c)との組み合わせ | |
JP6570342B2 (ja) | 球状物用容器 | |
JP2011073795A (ja) | 蓋締め要素 | |
JP4860463B2 (ja) | 錠剤収容容器 | |
JP5566765B2 (ja) | バイアル用栓体 | |
JP5074979B2 (ja) | 混合容器 | |
RU2141916C1 (ru) | Контейнер для хранения таблеток | |
JP4688998B2 (ja) | 気密容器 | |
KR200477098Y1 (ko) | 덮개에 스토퍼가 부가된 포장용 케이스 | |
JP5719491B2 (ja) | 容器 | |
KR20240148556A (ko) | 친환경 용기 | |
KR102584456B1 (ko) | 2개의 내용물을 저장하는 용기 | |
KR101779828B1 (ko) | 외용기와 내용기 사이에 공기층을 형성하여 열을 차단하는 화장품용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