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4010136A1 - 친환경 용기 - Google Patents

친환경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4010136A1
WO2024010136A1 PCT/KR2022/013372 KR2022013372W WO2024010136A1 WO 2024010136 A1 WO2024010136 A1 WO 2024010136A1 KR 2022013372 W KR2022013372 W KR 2022013372W WO 2024010136 A1 WO2024010136 A1 WO 2024010136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case
cap
inner case
outer case
ec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2/013372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허동규
이현용
Original Assignee
허동규
이현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220111437A external-priority patent/KR20240007039A/ko
Application filed by 허동규, 이현용 filed Critical 허동규
Publication of WO2024010136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4010136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14Non-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16Non-removable lids or covers hinged for upward or downward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04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co-friendly container, and more specifically, to an eco-friendly container made of recyclable materials.
  • Medicines are manufactured in various forms such as liquid, powder, and tablets. The reason why medicines are manufactured in various forms is to maximize the patient's convenience and effectiveness in taking medicines.
  • Storage containers are important to maintain optimal effectiveness of medicines. Storage containers may vary depending on the type of medicine, and are often made of PP or PET materials.
  • PP or PET materials have low hygroscopicity, so they cannot remove moisture from pharmaceuticals.
  • Liquid drugs may not cause major problems even when manufactured with the above materials, but powders and tablets are often equipped with a separate desiccant in the storage container to maintain the effectiveness of medicines that are fatal to moisture.
  • prior document (registered patent) No. 10-1726981 discloses "a pill protection device that is inserted into the inside of a pill storage container and performs both a buffering and dehumidifying function at the same time, and a pill storage container using the same.”
  • the pill storage container is provided separately, and the desiccant inserted into the container serves to absorb moisture from the medicine inside the container.
  • the above-mentioned pill storage container has a complicated configuration because it requires a separately provided desiccant and a separate space to accommodate the desiccant.
  • the desiccant leaks and mixes with medicine or contaminates the surrounding area, and it is inconvenient to disassemble the components for recycling.
  • carbon neutrality which means lowering actual carbon emissions to 'zero' level in order to reduce greenhouse gases as much as possible, is emerging as a paradigm for the 4th industrial era.
  • Patent Document 1 Registered Patent Gazette No. 10-1726981
  •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ssembly structure that allows the inner case to be easily separated from the outer case, and the separated outer and inner cases can be recycled to reduce waste and establish a material circulation system.
  • the purpose is to provide eco-friendly containers.
  • an eco-friendly container for storing medicine, comprising: an external case including an opening; a cap that opens and closes the opening of the external case; and an inner case detachably inserted into the outer case through the opening.
  • the outer case may be made of a material containing PET
  • the inner case may be made of a material containing zeolite.
  • the outer case further includes a first receiving space for accommodating the inner case
  • the inner case includes a second accommodating space for accommodating the medicine
  • the inner case can be separated from the outer case by translation. You can.
  • the outer case may include a pressing portion formed on a lower surface of the outer case to push the inner case up from the outside of the outer case.
  • the external case may further include a pressing gap form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pressing unit to deform the pressing unit.
  • the outer case may include a cap tuck form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outer case and protruding along a circumference of the outer case.
  • the outer case further includes a ring portion locat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outer case to form a penetration area
  • the cap includes a hook portion extending in a downward direction of the cap, and the hook portion passes through the penetration region.
  • the cap further includes a fitting part that inserts the upper end of the outer case into the interior of the cap, and a brim part extending from the fitting part in an outward direction of the cap, and the hook part extends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brim part. It can be formed by extending it.
  • the outer case includes a fitting protrusion formed along an upper outer surface of the outer case and a hook part formed in connection with the outer case
  • the cap includes a fitting part for inserting the fitting protrusion into the interior of the cap and the hook. It may include a hook groove through which the unit passes and engages.
  • the outer case further includes a plurality of protrusion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case, and the protrusions may contact the outer surface of the inner case to form an air flow path in the first accommodation space.
  • the inner case includes a plurality of protrusion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inner case, and the protrusions may contact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case to form an air flow path in the first accommodation space.
  • the inner case has an outer surface in the shape of a polygonal pillar, and corners of the outer surface contact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case to form an air flow path inside the first accommodation space.
  • the inner case may include a protrusion in the shape of a screw threa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inner case.
  • the outer case further includes a fixing jaw formed in a vertical direction on the inner surface to fix the inner case
  • the inner case includes a fixing groove on the outer surface through which the fixing jaw passes, and the fixing groove is The depth of the inner case may become shallower from the top to the bottom.
  • the inner case may include a grip portion that protrudes from the upper end and is held by the user.
  • the upper end of the inner case may be formed to be inclined downward from the first height to the second height, and the grip part may be formed to extend upward from the second height.
  • the gripping part may include a gripping groove formed on at least one of the outer and inner surfaces of the gripping part.
  • the grip portion has elasticity, and when the cap is closed, bending occurs in the direction of the second receiving space of the inner case, and can be restored to its default state when the cap is opened.
  • an eco-friendly container is an eco-friendly container inserted into an external case and sealed with a cap, and includes an inner case provided with a gripper, and the gripper is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and the inner surface. It includes a formed grip groove, and at least a portion is exposed to the upper part of the outer case when inserted into the outer case.
  • the inner case includes two fixing groove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inner case to at least a partial height, and two fixing slits formed to correspond to the fixing grooves from the partial height of the inner case, and the gripper is positioned at the partial height. It may be located between the two fixed slits.
  •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ssembly structure that allows the inner case to be easily separated from the outer case, so that the user can easily separate the materials, and the separated outer and inner cases can be recycled to reduce waste and establish a material circulation system. It can provide the effect of:
  • FIG. 1 is a diagram showing an eco-friendly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 is a diagram showing the separated state of an eco-friendly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3a is a diagram showing a pressing portion and a pressing gap before press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3b is a diagram showing the pressing portion and pressing gap after press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3c is a diagram showing a pressing portion and a pressing gap before press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3D is a diagram showing the pressing portion and pressing gap after press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4a is a diagram showing a state before coupling of the hook portion and the ring por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4b is a diagram showing the state after coupling of the hook portion and the ring por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4c is a diagram showing the state after coupling of the hook portion and the ring por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4d is a view showing a state before coupling of the hook portion and the hook groo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4e is a diagram showing the state after coupling of the hook portion and the hook groo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5 is a diagram showing a vertical protrusion of the inner ca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6 is a diagram showing an internal case and an air flow pat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7 is a diagram showing an internal case and an air flow pat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8 is a diagram showing a spiral protrusion of the inner ca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9 is a diagram showing a fixing groove of the inner ca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10 is a diagram showing a fixing jaw of an external ca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11a is a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ixing groove and the fixing jaw are combin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11b is a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ixing groove and the fixing jaw are separa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12a is a diagram showing the gripping part in a bent st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12b is a diagram showing changes in the grip pa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12c is a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gripper prevents the cap from being clos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expression 'at least one of A, B and C' means consisting of one, two or three of A, B and C, and the expression 'at least one D' means that there is one or more D. Additionally, the expression 'upper part of E' refers to the end located at the top of E.
  • Figure 1 is a diagram showing an eco-friendly container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 is a diagram showing the separated state of the eco-friendly container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an eco-friendly container 1 can store medicine, and includes an external case 100 including an opening 100a; A cap 200 that opens and closes the opening 100a of the external case 100; and an inner case 300 detachably inserted into the outer case 100 through the opening 100a.
  • the outer case 100 may further include a first receiving space 101 for accommodating the inner case 300.
  • the inner case 300 may include a second receiving space 301 for accommodating the medicine.
  • the inner case 300 may be separated from the outer case 100 by being translated.
  • the external case 100 may include an opening 100a.
  • the external case 100 is exposed to the outside in the eco-friendly container 1 and can be held by the user.
  • the outer case 100 may include an outer surface exposed to the outside and an inner surface that contacts or faces the inner case 300.
  • the outer case 100 can be inserted into or separated from the inner case 300 through the opening 100a.
  • the external case 100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cylinder, a prism, etc.
  • the outer case 100 may be formed in a structure corresponding to the inner case 300 so that the inner case 300 can be easily removed. Here, the corresponding structure will be described later.
  • the cap 200 can open and close the opening 100a of the external case 100.
  • the cap 200 may be connected to the external case 100 through a connection portion 240.
  • One side of the connection portion 240 may extend from the cap 200, and the other side may extend from the external case 100.
  • i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a structure in which the cap 200 and the external case 100 are connected by the connecting portion 240, and a structure in which the cap 200 and the external case 100 are independent and separated from each other is also possible.
  • the cap 200 When the cap 200 has a separate structure from the outer case 100, the cap 200 has a screw thread on the inner surface, and the outer case 100 has a screw thread on the upper outer surface and can be coupled to each other. .
  • the outer case 100 is provided with a fitting protrusion 160 formed along the top or upper outer surface to form a cap ( 200) and can be forced into place.
  • the insertion jaw 160 can maintain the cap 200 in a closed state.
  • the above-described interference fitting method can also be applied to a structure in which the cap 200 and the external case 100 are separated.
  • the inner case 300 can be inserted into the outer case 100 and can be separated from the inner case 100.
  • the inner case 300 may be inserted or separated through the opening 100a of the outer case 100.
  • the inner case 300 may include an outer surface that contacts or faces the outer case 100 and an inner surface that contacts the medicine.
  • the inner case 300 may further include a lower surface, and the lower surface may be concave upward or may be formed as a flat surface. Additionally, the internal case 300 may include an internal opening 300a at the top, and medicine may be stored through the internal opening 300a.
  • the upper end of the inner case 300 may be located below the upper end of the outer case 100. That is, the internal opening 300a of the internal case 300 may be located below the opening 100a of the external case 100, and the internal opening 300a may be located in the first receiving space 101. .
  • the inner case 300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cylinder, a prism, etc.
  • the inner case 300 may be formed in a structure corresponding to the outer case 100 so that it can be easily removed from the outer case 100.
  • the corresponding structure will be described later.
  • the outer case 100 may include a first accommodating space 101
  • the inner case 300 may include a second accommodating space 301.
  • the first receiving space 101 may refer to a space in which the internal case 300 is accommodated
  • the second receiving space 301 may refer to a space in which medicine is accommodated.
  • the inner case 300 may be separated from the outer case 100 through a translational or sliding motion. Translational movement or sliding movement is in contrast to rotational movement, and the inner case 300 can be separated from the outer case 100 without rotation. In order for the inner case 300 to be easily separated, it is necessary to simplify the structure of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case 100 during the separation process of the inner case 300.
  • the opening area 100b may mean a first receiving space 101 that is higher than the upper end of the inner case 300 when the inner case 300 is completely inserted into the outer case 100.
  • the opening area 100b may refer to the space from the dotted line representing the inner case 300 in FIG. 4A to the upper end of the outer case 100.
  • the upper part of the inner case 300 may mean a line formed along the uppermost part of the inner case 300 including the gripper 310.
  • the upper part of the inner case 300 may refer to a line formed along the uppermost part of the inner case 300 excluding the gripper 310.
  • the opening area 100b may mean an area where the inner case 100 and the outer case 300 do not overlap when the inner case 100 and the outer case 300 are combined.
  • the opening area 100b of the external case 100 may have the same cross-sectional area. Additionally, the opening area 100b of the outer case 100 may have the same cross-sectional shape. Additionally, the opening area 100b of the outer case 100 may be formed so that the cross-sectional area increases toward the top.
  • the structure of the opening area 100b is such that when the inner case 100 is separated from the outer case 300 through a translational or sliding movement, the upper end of the inner case 100 is not disturbed by a blocking element inside the outer case 300. You can avoid it.
  •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case 100 in the opening area 100b may be configured to have no curved area, lead-in area, protruding area, dome area, or bottleneck area in the direction of the first receiving space 101. .
  • the outer case 100 may be configured so that there is no curved area, recessed area, or protruding area in the direction of the first receiving space 101, but it does not interfere with the translational or sliding movement of the internal case 30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 a configuration such as the protrusion 400 may be used.
  • the inner case 300 may be fixed to the outer case 100.
  • fixed means a state in which the inner case 300 is completely inserted into the outer case 100, and does not mean a state in which separation is impossible.
  • the inner case 300 can be fixed only by friction between the outer surface of the inner case 300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case 100. Additionally, when the inner case 300 includes the protrusion 400, it can be fixed only by friction between the protrusion 400 of the inner case 300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case 100. Additionally, when the outer case 300 includes the protrusion 400, it can be fixed only by friction between the outer surface of the inner case 300 and the protrusion 400.
  • the inner case 300 is fixed only by the frictional force between the inner case 300 and the outer case 100, and by excluding any configuration for fixing the inner case 300 to the outer case 100, the inner case 300 can be easily fixed. It can be separated from the external case (100).
  • the inner case 300 can be separated from the outer case 100.
  • the inner case 300 can be separated from the outer case 100 without rotational movement. Furthermore, the inner case 300 can be separated from the outer case 100 only through a translational or sliding motion without damage to at least one of the inner case 300 and the outer case 100.
  •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case 100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inner case 300 may be configured to correspond to each other.
  • the outer case 100 or the inner case 300 is provided with a groove into which the chin can be inserted.
  • This may refer to a structure in which the inner case 300 can be separated from the outer case 100 only through a translational or sliding movement, and refers to a structure in which a jaw is provided on one of the inner case 300 and the outer case 100. It can refer to the spiral structure of the inner case 300 and the outer case 10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 the user can easily separate the inner case 300 into the outer case 100. Recycling of materials can be promoted by separating and discharging the components without damaging the inner case 300 or the outer case 100.
  • the outer case 100 may include PP and/or PET materials. Additionally, the outer case 100 may be made of PCR (Post-consumer recycled) material. PP and PET materials are lightweight, have excellent strength, and are eco-friendly materials that are harmless to the human body and the environment.
  • PCR Post-consumer recycled
  • the inner case 300 may include a zeolite material.
  • the inner case 300 may be made of a PP matrix containing zeolite, but is not limited thereto.
  • zeolite can be obtained naturally or synthetically, and can be composed of at least one of zeolite A, zeolite It can be done at least as one.
  • the outer case 100 may be made of PP and/or PET material that is strong and prevents moisture from entering, and the inner case 300 may be made of a zeolite material that has strong hygroscopicity.
  • the eco-friendly container 1 can achieve opposite effects at the same time, with the outer case 100 blocking moisture from the outside and the inner case 300 absorbing moisture from the inside.
  • the inner case 300 is made of a material with strong hygroscopicity, so it can absorb moisture in the second receiving space 301 and prevent moisture from being absorbed into the medicine.
  • the medicine container is equipped with only the external case 100 (single case), hygroscopicity cannot be guaranteed and a desiccant must be used.
  • a desiccant When using a desiccant, a separate space must be provided, which may result in complex configuration and make separate discharge difficult.
  • the eco-friendly container 1 has an outer case 100 and an inner case 300 in separate configurations and is manufactured to be easily separated, thereby ensuring both hygroscopicity and ease of separate discharge. You can.
  • the producer uses eco-friendly recycled materials and manufactures an eco-friendly container (1) with an easy-to-separate structure, and the user easily separates and discharges the containers, thereby achieving the effect of reducing waste and recycling materials.
  • Figure 3a is a diagram showing the pressing portion 120 and the pressing gap 110 before press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3b is a diagram showing the pressing portion 120 and the pressing gap 110 after press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3c is a diagram showing the pressing portion 120 and the pressing gap 110 before press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3D is a diagram showing the pressing portion 120 and the pressing gap 110 after press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outer case 100 has a pressing portion ( 120) may be included.
  • the external case 100 may further include a pressing gap 110 form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pressing part 120 to deform the pressing part 120.
  • the external case 100 may include an opening 100a at the top and may further include side and bottom surfaces.
  • An opening 100a may be located at the top of the side surface, and a lower surface may be located at the bottom.
  • the external case 100 may include a pressing gap 110 and/or a pressing portion 120 on its lower surface.
  • the pressing part 120 is located in the center of the lower surface, and the pressing gap 110 may be form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pressing part 120.
  • the pressure gap 110 may be formed to penetrate the lower surface of the outer case 100 (hole structure), or may be formed to be drawn upward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external case 100 (gap structure).
  • the pressing gap 110 may be formed as a curved hole structure or gap structure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pressing portion 120.
  • the pressing gap 110 may be provided single or in plural, and the plurality of pressing gaps 110 may be provid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 the pressure gap 110 allows air to communicate between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outer case 100, and this is called a hole structure.
  • the pressurized gap 110 may be drawn in and closed so that the air inside and outside the external case 100 cannot communicate, and this is called a gap structure.
  • the pressing gap 110 may be provided alone even when the pressing part 120 is not provided.
  • a plurality of pressure gaps 110 may be provided, and their shape is not limited. That is, the arm gap 110 may be provided in various shapes such as straight, circular, oval, and polygonal shapes in addition to the curved shape described above.
  • the pressure gap 110 When the pressure gap 110 has a hole structure, the pressure gap 110 can pass air so that the inner case 300 can move smoothly in the outer case 100. When the inner case 300 is inserted into the outer case 100, the air in the first receiving space 101 may leak out through the pressurizing gap 110 due to the movement of the inner case 300.
  • the pressure gap 110 When the pressure gap 110 has a gap structure, the pressure gap 110 does not penetrate the external case 110, so air cannot communicate. Therefore, the external case 100 can perform a waterproof function.
  • the area of the outer case 100 where the pressing gap 110 exists may be formed to be thinner than the area where the pressing gap 110 does not exist.
  • the pressing gap 110 When the pressing part 120 is pressed, the pressing gap 110 can expand itself and move the pressing part 120 upward (FIGS. 3A and 3C). Conversely, the pressing gap 110 can move the pressing part 120 upward. When the pressure is released from the pressurized state, the pressing part 120 can be moved downward by narrowing on its own (FIGS. 3B and 3D).
  • the pressing portion 120 may be formed concave upward or may be formed flat.
  • the pressing unit 120 can move to the first receiving space 101 and reach a pressurized state, and when the external force disappears, it can move back to the outside direction to reach the default state.
  • the eco-friendly container 1 uses the pressurizing gap 110 and the pressurizing part 120 to enable the inner case 300 to be easily separated from the outer case 100.
  • Figure 4a is a diagram showing a state before coupling of the hook portion 230 and the ring portion 1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4b is a view showing the state after coupling of the hook portion 230 and the ring portion 1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4c is a diagram showing the state after coupling of the hook portion 230 and the ring portion 1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external case 100 may include a cap tuck 150 formed on the upper part of the external case 100 and protruding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external case 100. there is.
  • the outer case 100 further includes a ring portion 130 located on the upper part of the outer case 100 to form a penetration area 130a. can do.
  • the cap 200 may include a hook portion 230 extending downward of the cap 200. The hook portion 230 may pass through the penetration area 130a and be coupled to the ring portion 130.
  • the cap 200 includes a fitting part 210 that inserts the upper end of the external case 100 into the interior of the cap 200, and It may further include a visor 220 extending in an outward direction of 200.
  • the hook portion 230 may be formed to extend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brim portion 220.
  • the external case 100 may include a cap tuck 150 at the top.
  • the cap tuck 150 may be located at a distance within the height of the cap 200 from the upper end. Captuck 150 may be provided along the perimeter of the external case 100.
  • the cap tuck 150 may be provided around the entire circumference of the outer case 100, and a portion of it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ring portion 13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 the cap tuck 150 may provide a space in which the cap 200 is seated when the cap 200 closes the opening 100a of the external case 100. Specifically, the cap tuck 150 may contact the lower end of the cap 200.
  • the cap tuck 150 may provide a limit for inserting the fitting portion 210 into the external case 100. Accordingly, even if the cap 200 is closed with excessive force, damage to the cap 200 by the end of the external case 100 can be prevented.
  • the outer case 100 may further include a ring portion 130.
  • the ring portion 130 may be combined with the hook portion 230 of the cap 200 to maintain the opening 100a of the outer case 100 in a closed state.
  • the ring portion 130 may be located at the top of the outer case 100 and may be provided extending from the cap tuck 150.
  • the ring portion 130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 structure shown in FIG. 4A and may be provided independently from the cap tuck 150.
  • a portion of the ring portion 130 may contact the outer surface of the outer case 100 to form a penetration area 130a.
  • the left and right portions of the ring portion 130 may contact the outer surface of the outer case 100, and the central portion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outer case 100 to form a penetration area 130a.
  • the penetration area 130a is located between the outer surface of the outer case 100 and the ring part 130 and refers to an area through which the hook part 230 passes.
  • the ring portion 130 can prevent the hook from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by forming a penetration area 130a between the ring portion 130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outer case 100. As a result, the ring portion 130 can prevent damage to the cap 200 by protecting the hook portion 230 from external impact, catching of the hook portion 230, etc.
  • the ring portion 130 shown in FIG. 4A is formed extending from the cap tuck 150, and both sides are in contact with the outer case 100, so that the center is spaced apart from the outer case 100. Additionally, the ring portion 130 may be formed in a 'U' shape,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is shape.
  • the cap 200 may include a hook portion 230.
  • the hook portion 230 includes a first portion 231 extending downward from the cap 200 and a second portion 232 protruding from the first portion 231 toward the outside of the outer case 100. It can be included.
  • the hook portion 230 passes through the penetration area 130a of the ring portion 130 and is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ring portion 130. can do.
  • the inside of the ring portion 130 is provided with a jaw, and the second part 232 of the hook portion 230 can be hooked on the jaw of the ring portion 130 and coupled to each other. That is, the second part 232 may protrude outward from the outer case 100 and be coupled to the ring part 130.
  • the coupling portion of the hook portion 230 and the ring portion 130 is formed inside the ring portion 130, thereby preventing damage to the cap 200 from the outside.
  • the ring portion 130 may be provided to be inclined downward from the cap tuck 150. At this time, the ring portion 130 may not be spaced apart from the outer case 100, and the ring portion 130 is provided to extend from the cap tuck 150 and forms two locking areas 130b, which are cut areas. You can.
  • the catching area 130b corresponds to the penetration area 130a of FIGS. 4A and 4B.
  • the hook portion 230 may include a first portion 231 extending downward from the cap 200, and a third portion 233 drawn in from both sides of the first portion 231. ) may include.
  • the hook portion 230 may pass through the catching area 130b of the ring portion 130 and be coupled to the ring portion 130.
  • the catching area 130b is exposed to the outside, but damage from the outside can be prevented by the visor 22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 the hook portion 230 and the ring portion 130 are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of FIGS. 4A to 4C and may have various structures. That is, the hook portion 230 and the ring portion 130 may be structured so that they do not act as a catching element when separating the inner case 300 from the outer case 100, and are preferably used when the inner case 300 is separated from the outer case 100. It can be located outside of.
  • the cap 200 may include a fitting portion 210.
  • the fitting portion 210 may be formed in a shape that protrudes upward when viewed from the top of the cap 200, and may be formed in a shape that is recessed toward the top when viewed from the bottom. In other words, the fitting portion 210 may refer to a place where the upper end of the external case 100 enters.
  • the fitting portion 210 of the cap 200 and the fitting jaw 160 of the outer case 100 are press-fitted with each other to maintain the closed state of the opening 100a.
  • Cap 200 may include a visor 220.
  • the brim portion 220 may be formed to extend from the fitting portion 210 toward the outside of the cap 200 .
  • the visor 220 may correspond to a place where force acts when the user opens the cap 200.
  • the cap 200 may be provided with a connecting portion 240 connected to the external case 100 on one side, and may be provided with a visor 220 on the other side. That is, when the visor 220 is lifted by the user, the cap 200 can be opened with the connection portion 240 as the axis according to the lever principle.
  • the hook portion 230 may be formed extending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brim portion 220.
  • the hook portion 230 and the ring portion 130 can be coupled to the outside of the outer case 100, so the ring portion 130 can also be connected to the outer case 100. It can be located on the outer surface of .
  • This structure allows the inner case 300 to be separated from the outer case 100 without being hindered by any blocking elements. That is, the hook portion 230 and the ring portion 130 are fastened to each other on the outside of the outer case 100, so that the inner case 300 can be easily separated.
  • the protruding shape of the visor 220 protects the ring portion 130 and the hook portion 230 from the outside, and the cap 200 can be easily opened with a small force using the lever principle to secure the outer case 100.
  • the opening 100a can be opened.
  • the eco-friendly container 1 facilitates separation of the inner case 300 by positioning the ring portion 130 and the hook portion 230 on the outside of the outer case 100, and the ring portion (130) prevents damage to the cap (200) from the outside by hiding the hook portion (230), and the brim portion (220) has the effect of allowing the opening (100a) of the outer case (100) to be easily opened with a small force. generates
  • Figure 4d is a diagram showing a state before coupling of the hook portion 230 and the hook groove 22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4e is a diagram showing the state after coupling of the hook portion 230 and the hook groove 22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cap 200 includes the hook portion 230 and the outer case 100 includes the ring portion 130, and the hook portion 230 and the ring portion 130 are coupled to each other.
  • the outer case 100 includes a insertion protrusion 160 formed along the upper outer surface of the outer case 100 and a hook portion formed to be connected to the outer case 100. 230), and the cap 200 includes a fitting portion 210 that inserts the insertion jaw 160 into the interior of the cap 200, and a hook groove 221 through which the hook portion 230 passes and engages. ) may include.
  • the external case 100 may include a hook portion 230, and the cap 100 may include a hook groove 221.
  • the hook portion 230 may be coupled to the hook groove 221.
  • the external case 100 may include a hook portion 230, a support portion 170, and a hook connection portion 230a.
  • the hook portion 230 may include a first portion 231 and a second portion 232 as described above. However, unlike what was described above, the hook portion 230 may extend from the support portion 170 toward the top, and may be provided directly or indirectly connected to the external case 100.
  • the support portion 170 may have the same structure as the ring portion 130 described above, but unlike the ring portion 130, it may not form a penetration area 130a. At this time, the support part 170 may separate the hook part 230 from the external case 100.
  • the shape of the support portion 170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may be provided in any shape that can separate the hook portion 230 from the external case 100.
  • the support part 170 may include a first support part 170a and a second support part 170b.
  • the first support portion 170a may be locat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outer case 100 to provide a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hook portion 230 and the outer case 100.
  • the second support portion 170b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support portion 170a, and the hook portion 230 may be connected thereto.
  • the support portion 170 may space the hook portion 230 and the outer case 100 to provide space so that the edge of the fitting portion 210 is positioned when the cap 200 closes the outer case 100.
  • the fitting portion 210 may include a 1-1 sealing portion 211, a 1-2 sealing portion 212, and a 1-3 sealing portion 213 at the edge. That is, the 1-1st sealing part 211 to the 1-3rd sealing part 213 may be located between the hook part 230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outer case 100.
  • the hook connection part 230a may be located between the support part 170 and the hook part 230, so that one end may be connected to the support part 170 and the other end may be connected to the hook part 230.
  • the hook connection portion 230a may be formed to be narrower than the width of the hook portion 230.
  • the width refers to the length in the direction toward the outside or inside of the outer case 100.
  • the hook connection portion 230a allows the hook portion 230 to easily move in and out of the external case 100. At this time, the hook portion 230 may move in and out of the outer case 100 with the hook connection portion 230a as an axis. That is, the hook connection portion 230a can increase the fluidity of the hook portion 230.
  • the cap 200 may include a hook groove 221.
  • the brim 220 of the cap 200 may include a hook groove 221.
  • the cap 200 can maintain the external case 100 in a closed state.
  • the cap 200 has a structure that allows the external case 100 to be easily opened.
  • the hook part 230 When a force in the inner direction of the outer case 100 is applied to the first part 231, the hook part 230 may reach an open state. Conversely, when the force applied to the first part 231 is removed, the hook part 230 may reach a locked state.
  • the cap 200 can be opened by the user lifting the brim 220 of the cap 200 while pressing the first part 231 of the hook portion 230, and the cap 200 can be opened by this simple operation. This can be opened easily.
  • the cap 200 has a structure that allows the external case 100 to be easily closed.
  • the fitting portion 210 may include a 1-1 sealing portion 211, a 1-2 sealing portion 212, and a 1-3 sealing portion 213.
  • the external case 100 may include an insertion jaw 160.
  • the insertion jaw 160 may include a 2-1st sealing part 161 and a 2-2nd sealing part 162.
  • the 1-1 sealing portion 211 corresponds to an area recessed from the lateral inner surface of the cap 200 or the fitting portion 210 toward the outside of the cap 200.
  • the 1-2 sealing portion 212 is formed to extend downward from the 1-1 sealing portion 211 and extends from the lateral inner surface of the cap 200 or the fitting portion 210 in the inner direction of the cap 200. Corresponds to the protruding area.
  • the 1-3 sealing portion 213 extends downward from the 1-2 sealing portion 212 and corresponds to an area inclined toward the outside of the cap 200.
  • the 1-1st sealing part 211 and the 2-1st sealing part 161 may be positioned to contact or be adjacent to each other.
  • the 1-2 sealing part 212 and the 2-2 sealing part 162 may be positioned to contact each other.
  • the contact state of the 1-2 sealing part 212 and the 2-2 sealing part 162 can prevent moisture from flowing into the first receiving space 101.
  • the 2-1 sealing part 161 moves along the slope of the 1-3 sealing part 213, moves beyond the 1-2 sealing part 212, and moves over the 1-1 sealing part 212. You can settle at (211).
  • the 1-1st sealing part 211 to the 1-3rd sealing part 213 are formed continuously and curved, so that the 2-1st sealing part 161 can be easily moved, and the cap 200 can be easily attached to the external case. (100) can be closed.
  • the 2-1 sealing part 161 may move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closing process described above.
  • the visor 220 may include a hook groove 221.
  • the position of the hook groove 221 is not limited, but may be formed to correspond to a position through which the hook portion 230 can pass.
  • the hook groove 221 may include a groove straight portion 221a and a groove inclined portion 221b.
  • the groove straight portion 221a is located at the top of the hook groove 221 and refers to an area where the shape of the horizontal cross-sectional area of the hook groove 221 remains the same.
  • the groove inclined portion 221b is located extending downward from the groove straight portion 221a and refers to an area in which the horizontal cross-sectional area of the hook groove 221 increases downward.
  • the hook groove 221 may be composed of an inner surface and an outer surface,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hook groove 221 may be formed to be inclined in an outward direction as it goes downward.
  • the hook portion 230 passes through the hook groove 221, and the second portion 232 is caught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rim portion 220 and may be coupled to the hook groove 221.
  • the second part 232 may be formed to protrude more toward the outside of the outer case 100 than the first part 231, and may be formed to be inclined toward the inside of the outer case 100 toward the top.
  • the hook inclined portion 232a refers to the inclined surface of the second portion 232.
  • the hook inclined portion 232a is in contact with the groove inclined portion 221b, so that the second part 232 can easily pass through the hook groove 221.
  • the second part 232 passes through the hook groove 221 and can be easily coupled to the hook groove 221.
  • the user can easily disconnect the hook portion 230 and the hook groove 221 by lifting the brim portion 220 while pressing the first portion 231. Furthermore, the elastic force of the gripping portion 310 of the inner case 300 applies force to the cap 200 so that the cap 200 can be easily opened.
  • Figure 5 is a diagram showing the vertical protrusion 400 of the inner case 3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6 is a diagram showing the inner case 300 and the air passage 101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7 is a diagram showing an internal case and an air flow pat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8 is a diagram showing the spiral protrusion 400 of the inner case 3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external case 100 may further include a plurality of protrusions 400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external case 100.
  • the protrusion 400 may contact the outer surface of the inner case 300 to form an air passage 101a in the first accommodation space 101 (see FIG. 6).
  • the outer case 100 may include a protrusion 400 (inner protrusion).
  • the protrusion 400 may be formed to protrude inward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case 100.
  • the protrusions 400 may be provided in plural numbers and may be formed in a vertical direction, but their number and shape are not limited.
  • the protrusion 400 may contact the outer surface of the inner case 300 and cause friction with the inner case 300 to secure the inner case 300 to the outer case 100.
  • the outer surface of the inner case 300 can be formed smoothly. Smoothly formed means that the outer surface of the inner case 300 has no protruding area.
  • the protrusion 400 may contact the outer surface of the inner case 300 to form an air passage 101a.
  • the air inside the outer case 100 moves along the air passage 101a to easily induce insertion of the inner case 300.
  • the air passage 101a formed by the protrusion 400 may be provided alone (including cases where a plurality of air passages are provided), but may be provided simultaneously with the pressurization gap 110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outer case 100. It can be. At this time, the pressure gap 110 may have a hole structure or a gap structure. Additionally, the air flow path 101a may be divided into a plurality of parts by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400.
  • the air passage 101a maintains the same air pressure of the first accommodating space 101 of the outer case 100 and the outside to facilitate separation and insertion of the inner case 300.
  • the inner case 300 may include a plurality of protrusions 400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inner case 300.
  • the protrusion 400 may contact the inner surface of the external case 100 to form an air passage 101a in the first accommodation space 101.
  • the inner case 300 may include a protrusion 400 (outer protrusion).
  • the protrusion 400 may be formed to protrude outward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inner case 300.
  • the protrusions 400 may be provided in plural numbers and may be formed in a vertical direction, but their number and shape are not limited.
  • the protrusion 400 may contact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case 100 and may cause friction with the outer case 100 to secure the inner case 300 to the outer case 100.
  •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case 100 can be formed smooth. Smoothly formed means that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case 100 has no protruding area.
  • the protrusion 400 may contact the inner surface of the external case 100 to form an air passage 101a.
  • the protrusion 400 may exist simultaneously with the pressing gap 110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outer case 100, or may exist independently.
  • the inner case 300 may have an outer surface in the shape of a polygonal pillar.
  • the edges of the outer surface may contact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case 100 to form an air passage 101a inside the first accommodation space 101.
  • the inner case 300 may have a cylindrical outer surface, but may also have a polygonal pillar shape. As shown in FIG. 7, the outer surface of the inner case 300 is formed in the shape of a dodecagonal pillar in one embodiment, so it is not limited to this and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 the edges of the outer surface may contact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case 100. At this time, the corner may form an air passage 101a inside.
  •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case 100 may have a cylindrical or polygonal pillar shape.
  • the edge of the outer surface of the inner case 300 is in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case 100 to form an air passage 101a in the first receiving space 101. can be formed.
  •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case 100 has the same shape as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case 100
  • the outer surface of the inner case 300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case 100 contact each other,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case 100
  • the edges of the outer surface of 300 and the edges of the inner surface of the inner case 300 may also contact each other.
  • the air passage 101a may not be formed, but the movement of air may be induced by the pressure gap 110 of the hole structure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outer case 100.
  • the inner case 300 can be more firmly fixed to the outer case 100.
  • the inner case 300 may include a protrusion 400 in the shape of a screw threa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inner case 300.
  • the inner case 300 may include a protrusion 400 (helical protrusion).
  • the protrusion 400 may be formed to protrude outward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inner case 300.
  • the external case 100 may include a spiral groove (not shown). The spiral groove may be formed by being drawn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case 100.
  • the protrusion 400 of the inner case 300 and the spiral groove of the outer case 100 are screwed together, and by the screw coupling, the inner case 300 is inserted into the outer case 100, and the outer case 100 can be separated.
  • the outer case 100 may include the protrusion 400 and the inner case 300 may include a spiral groove.
  • the inner case 300 can be more firmly fixed to the outer case 100.
  • the protrusion 400 provided in the inner case 300 may be form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upper part of the inner case, and may be formed to extend vertically from the upper part in a plurality of strands, and may be formed as a plurality of strands. may be formed to exten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inner case 300 (see FIG. 9).
  • Figure 9 is a diagram showing the fixing groove 320 of the inner case 3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10 is a diagram showing the fixing jaw 140 of the external cas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11a is a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ixing groove 320 and the fixing jaw 14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combined.
  • Figure 11b is a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ixing groove 320 and the fixing jaw 140 are separa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outer case 100 may further include a fixing jaw 140 formed in a vertical direction on the inner surface to fix the inner case 300.
  • the inner case 300 may include a fixing groove 320 on its outer surface through which the fixing jaw 140 passes.
  • the fixing groove 320 may be formed to have a shallower depth from the top to the bottom of the inner case 300.
  • the outer case 100 may include a fixing jaw 140 formed on the inner surface.
  • the fixing jaw 140 may be formed in a vertical direction on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case 100.
  • the inner case 300 may include a fixing groove 320 formed on the outer surface.
  • the fixing groove 320 may be formed in a vertical direction on the outer surface of the inner case 300.
  • the fixing jaw 140 and the fixing groove 320 are formed to correspond to each other, so that the inner case 300 can be coupled to and separated from the outer case 100 while the fixing jaw 140 is in contact with the fixing groove 320. there is. At this time, the inner case 300 can be separated from the outer case 100 only by a translational movement or a sliding movement.
  • the depth of the fixing groove 320 may become shallower from the top to the bottom of the inner case 300. This structure provides the effect of firmly fixing the inner case 300 when the inner case 300 is completely inserted into the outer case 100.
  • the inner case 300 cannot rotate in a fully inserted state and may be provided to enable only translational or sliding movement. This effect can occur when the fixing jaw 140 enters the relatively deep upper fixing groove 320. In this fully coupled state, the inner case 300 can be firmly fixed to the outer case 100.
  • the inner case 300 can rotate in an almost separated state and can also be provided to enable translational or sliding movement. This effect can occur when the fixing jaw 140 enters the relatively shallow lower fixing groove 320. In this almost separated state, the inner case 300 can rotate and can be easily separated from the outer case 100.
  • the fixing groove 320 becomes shallower toward the lower part of the inner case 300, so that the fixing groove 320 may disappear at the bottom.
  • the inner case 300 may have a structure that allows free rotational movement right before it is completely separated from the outer case 100. That is, the depth may gradually decrease continuously or discontinuously from the upper region 320a to the lower region 320b of the fixed jaw 140.
  • the inner case 300 may include the fixing jaw 140, and the outer case 100 may include the fixing groove 320. At this time, the process of inserting and separating the inner case can be applied in the same manner as described above.
  • the inner case 300 In the process of inserting the inner case 300, the inner case 300 can be increasingly firmly fixed to the outer case 100, and in the process of separating the inner case 300, it can be increasingly freely separated from the outer case 100. You can.
  • Figure 12a is a diagram showing the gripping part 310 in a bent st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12b is a diagram showing changes in the grip part 3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12c is a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gripper prevents the cap from being clos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inner case 300 may include a grip portion 310 that protrudes from the upper end and is held by the user.
  • the inner case 300 may have an upper end inclined downward from the first height h1 to the second height h2.
  • the gripping portion 310 may be formed to extend upward from the second height h2.
  • the gripper 310 may be provided extending from the upper end of the inner case 300.
  • the grip part 310 refers to a part that is held by the user to easily separate the inner case 300 from the outer case 100.
  • the first height (h1) refers to the highest upper part of the side of the inner case 300
  • the second height (h2) refers to the lowest upper part of the side of the inner case 300.
  • the upper end of the inner case 300 may be formed to slope downward from the first height (h1) to the second height (h2).
  • This inclined structure forms the grip part 310 long and can prevent the grip part 310 from protruding outside the upper case when the cap 200 is closed.
  • the gripping part 310 corresponds to a part that the user must grip, and if it is formed too short, its function cannot be implemented, so it may be formed to protrude from the second height h2.
  • the entire grip portion 310 may be positioned below the upper end of the outer case 100, or a portion may be positioned protruding above the upper end of the outer case 100. Here, the latter will be described later.
  • the upper end of the gripper 310 may be at the same height as the upper end of the external case 100. In this case, the upper end of the grip part 310 may contact the cap 200 so that the inner case 300 is fixed inside the outer case 100 in a vertical direction.
  • the first height (h1) refers to the highest position among the sides of the inner case (300) (excluding the gripping part (310)), and the second receiving space (301), which is a space in contact with the medicine, due to this inclined structure ) can be secured the widest.
  • the inner case 300 is formed so that the upper end is inclined from the first height (h1) to the second height (h2), and is provided with a grip portion 310 in a shape extending upward from the second height (h2).
  • the gripping part 310 can provide a length that can be sufficiently gripped by the user and at the same time provide a structure that does not protrude to the outside of the external case 100.
  • the gripping part 3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gripping groove 311 formed on at least one of the outer and inner surfaces of the gripping part 310. It can be included.
  • the gripping part 310 may be exposed to the upper part of the external case 100 when inserted into the external case 100.
  • the gripping part 310 may include a gripping groove 311.
  • the gripping groove 311 may b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and/or the inner surface of the gripping part 310. That is, the gripping groove 311 may be provided only on the outer surface of the gripping groove 311, may be provided only on the inner surface, or may be provided on both the inner surface and the outer surface.
  • the gripping groove 311 may have a shape that is recessed inward from one surface of the gripping portion 310. As shown in Figure 8, the gripping groove 311 may be formed by maintaining the same width and depth and may be provided at least one. However, the shape and number of the grip grooves 311 are not limited to those shown in FIG. 8.
  • the grip groove 311 may be formed to have a width that becomes narrower in the depth direction and may be provided with at least one gripping groove 311.
  • the gripping part 310 viewed from the side may have a plurality of curved shapes due to the gripping grooves 311. That is, the gripping portion 310 may be composed of repetition of protruding areas and recessed areas.
  • the grip groove 311 expands the grip area when the user grips the grip portion 310, making it easier to separate the inner case 300.
  • the gripping part 310 may have elasticity.
  • the grip portion 310 may be bent in the direction of the second receiving space 301 of the inner case 300 when the cap 200 is closed.
  • the grip portion 310 can be restored to its default state when the cap 200 is opened.
  • the gripping part 310 may have elasticity and may include a gripping groove 311. According to FIGS. 11A and 11B, the gripper 310 can be maintained in a straight line as its basic state. The gripper 310 can be restored to its default state even if it is temporarily bent due to elasticity. That is, the gripper 310 can be elastically deformed and restored to its default state when the external force is removed.
  • the gripper 310 may be bent by the cap 200 when the external case 100 is closed.
  • the gripping portion 310 may be long so that the user can easily grip the inner case 300.
  • the cap 200 may cause bending to close the opening 100a of the outer case 100.
  • the elastic force of the grip part 310 may be smaller than the coupling force between the cap 200 and the external case 100.
  • the gripping part 310 when the external case 100 is opened, the gripping part 310 can be removed from bending due to elasticity. At this time, the elastic force of the grip part 310 can apply force to the cap 200 so that the cap 200 can be easily opened.
  • the grip portion 310 protrudes out of the outer case 100 to prevent the cap 200 from being unintentionally closed even when the opening 100a of the outer case 100 is open. You can.
  • the user can completely open the cap 200 by using the grip part 310 by removing the hook part 230 from the ring part 130 with one touch. That is, a one-touch opening method can be implemented.
  • the grip portion 310 is formed sufficiently long to prevent the cap 200 from being closed unintentionally, and has flexibility despite being formed sufficiently long, so that it can be moved in the direction of the second receiving space 301.
  • the outer case 100 can be easily closed, and the effect of opening the cap 200 with one touch can be achieved at the same time due to elastic force.
  • the inner case 300 includes two fixing grooves 320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inner case 300 to at least a portion of the height, and the inner case ( 300) It may include two fixing slits 330 formed to correspond to the fixing groove 320 from the partial height.
  • the gripper 310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two fixing slits 330 at a certain height.
  • the inner case 300 may further include a flat portion 340 between the two fixing slits 330.
  • the inner case 300 may include a fixing groove 320 on the outer surface.
  • the inner case 300 may include two fixing grooves 320 formed parallel to each other in a vertical direction.
  • the fixing groove 320 may be formed up to at least a portion of the height of the inner case 300.
  • the inner case 300 may include two fixing slits 330 formed at least partially in height. At this time, the position of the fixing slit 330 may be formed to correspond to the fixing groove 320.
  • correspondence means that when a virtual extension line is formed from the fixing groove 320 form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fixing slit 330 is formed along the extension line.
  • the fixing groove 320 starting from the bottom of the inner case 300 may be formed to extend to at least a part of the height, and the fixing slit 330 starting from at least a part of the height may be formed to extend to the top of the inner case 300. there is.
  • the gripping part 310 may be formed to extend upward from at least a portion of the height, and the gripping part 310 may be located between the two fixing slits 330.
  • the gripping part 310 By positioning the gripping part 310 between the fixing slits 330, the gripping part 310 can be formed longer. By making the gripping part 310 longer, the user's gripping area can be expanded, and the gripping part 310 can be made longer. ) can reduce the risk of damage when bending occurs.
  • the inner case 300 may include a flat portion 340.
  • the inner case 300 is not limited to a shape such as a prism or cylinder, but even if the inner case 300 has a cylindrical shape, it may include at least a portion of the flat portion 340.
  • the flat portion 340 may be located between two fixing slits 330, and the gripping portion 310 may be formed from the upper end of the flat portion 340.
  • the connection part between the grip part 310 and the flat part 340 can also be made of a straight line. Accordingly, the gripping portion 310 can be easily converted to the bent state and the basic state.
  • the eco-friendly container 1 is manufactured from eco-friendly materials and can be recycled.
  • the eco-friendly container 1 is implemented with an easy-to-separate structure, allowing users to easily separate the materials and discharge them separately.
  • the outer case 100 is provided with a fitting protrusion 160
  • the cap 200 is provided with a fitting part 210, so that they are coupled to each other to prevent moisture from entering the first receiving space 101 and the second receiving space 301. This inflow can be prevented.
  • the inner case 300 is provided with a gripping portion 310 so that it can be easily separated from the outer case 100.
  • the grip portion 310 is formed to protrude out of the opening 100a provided in the outer case 100, thereby increasing the area that can be held by the user and preventing the cap 200 from being closed arbitrarily.
  • the effect of opening the cap 200 with one touch can be achieved at the same time due to elastic for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fuse Receptacles (AREA)
  • 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AREA)
  • Rigid Containers With Two Or More Constituent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부케이스를 외부케이스로부터 쉽게 분리 가능한 조립 구조를 가지며, 분리된 외부케이스 및 내부케이스를 재활용 가능하도록 구현하여 폐기물 감소, 재료의 순환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는 친환경 용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친환경 용기
본 발명의 친환경 용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재활용이 가능한 소재로 이루어진 친환경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의약품은 액상제, 분말제, 정제 등의 다양한 형태로 제조되고 있다. 의약품을 다양한 형태로 제조하는 이유는 의약품에 대한 환자의 복용 편의성이나 효과를 최대 한도로 끌어올리기 위해서이다.
의약품의 최적 효과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보관 용기가 중요하다. 보관 용기는 의약품의 종류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PP나 PET 소재로 제조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PP나 PET 소재는 흡습성이 낮기 때문에 의약품의 습기를 제거할 수 없다. 액상제는 상기 소재로 제조한 경우에도 큰 문제가 나타나지 않을 수 있으나, 분말제나 정제는 습기에 치명적인 의약품의 효과 유지를 위해 별도의 건조제를 보관용기 내에 구비하는 경우가 많다.
이와 관련하여, 선행문헌(등록특허) 제 10-1726981 호는 "알약보관용기의 내부에 삽입되어 완충기능과 제습기능을 동시에 수행하는 알약보호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알약보관용기"를 개시하고 있다. 상기 알약보관용기는 별도로 구비되어 용기에 삽입되는 건조제가 용기 내부의 의약품의 습기를 흡수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그러나, 상술한 알약보관용기는 별도로 구비된 건조제를 필요로 하고, 건조제를 수용할 별도의 공간이 필요로 하여 복잡한 구성을 갖는다. 또한, 건조제가 유출되어 의약품과 혼합되거나 주변을 오염시키는 문제도 발생하며, 재활용을 위해 구성요소를 분해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따른다.
한편, 온실가스를 최대한 줄이기 위해 실질적인 탄소 배출량을 '0' 수준으로 낮춘다는 의미인 탄소중립은 4차 산업 시대의 패러다임으로 대두되고 있다.
이에 따라, 개인 측면에서 소비자는 소재의 분리 배출에 적극적으로 힘써 원활한 재활용이 이루어지도록 할 필요가 있으며, 기업 측면에서 생산자는 친환경 소재를 활용한 제품을 생산하고 제품의 소재를 분리 배출하기 쉬운 구조로 설계를 할 필요가 있다. 즉, 의약품 용기는 분리 배출이 쉽도록 설계될 필요가 있다.
[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
(특허문헌 1) 등록번호 제 10-1726981 호 등록특허공보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내부케이스가 외부케이스로부터 쉽게 분리 가능하게 하는 조립 구조를 가지며, 분리된 외부케이스 및 내부케이스를 재활용 가능하도록 구현하여 폐기물 감소, 재료의 순환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는 친환경 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용기는 의약을 보관하는 친환경 용기에 있어서, 개구부를 포함하는 외부케이스; 상기 외부케이스의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캡; 및 상기 외부케이스의 내부에 분리 가능하게 상기 개구부를 통해 삽입되는 내부케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부케이스는 PET를 포함하는 소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내부케이스는 제올라이트를 포함하는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부케이스는 상기 내부케이스를 수용하는 제1수용공간을 더 포함하고, 상기 내부케이스는 상기 의약을 수용하는 제2수용공간을 포함하며, 상기 내부케이스는 병진하여 상기 외부케이스에서 분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부케이스는, 상기 외부케이스의 외부에서 상기 내부케이스를 밀어 올릴 수 있도록 상기 외부케이스의 하부면에 형성된 가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부케이스는, 상기 가압부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어, 상기 가압부를 변형시키는 가압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부케이스는, 상기 외부케이스의 상부에 상기 외부케이스의 둘레를 따라 돌출되어 형성된 캡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부케이스는 상기 외부케이스의 상부에 위치하여 관통영역을 형성하는 고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캡은 상기 캡의 하부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후크부를 포함하며, 상기 후크부는 상기 관통영역을 통과하여 상기 고리부와 결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캡은 상기 외부케이스의 상단부를 상기 캡의 내부에 인입시키는 끼움부 및 상기 끼움부로부터 상기 캡의 바깥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챙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후크부는 상기 챙부의 하부면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부케이스는 상기 외부케이스의 상부 외부면을 따라 형성된 끼움턱 및 상기 외부케이스와 연결되어 형성된 후크부를 포함하고, 상기 캡은 상기 끼움턱을 상기 캡의 내부에 인입시키는 끼움부 및 상기 후크부가 통과하여 결합하는 후크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부케이스는 상기 외부케이스의 내부면에 형성된 복수의 돌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는 내부케이스의 외부면에 접촉하여, 상기 제1수용공간에 공기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부케이스는 상기 내부케이스의 외부면에 형성된 복수의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는 외부케이스의 내부면에 접촉하여, 상기 제1수용공간에 공기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부케이스는 외부면이 다각 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외부면의 모서리는 상기 외부케이스의 내부면에 접촉하여 상기 제1수용공간에 내부에 공기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부케이스는 상기 내부케이스의 외부면에 나사산 형상으로 이루어진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부케이스는 내부면에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내부케이스를 고정하는 고정턱을 더 포함하고, 상기 내부케이스는 외부면에 상기 고정턱이 통과하는 고정홈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홈은 상기 내부케이스의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깊이가 얕아지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부케이스는 상단부로부터 돌출되어 사용자에 의해 파지되는 파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부케이스는 상단부가 제1높이에서 제2높이까지 하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파지부는 상기 제2높이에서 상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파지부는 상기 파지부의 외부면 및 내부면에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된 파지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파지부는 탄성을 가지며, 상기 캡이 닫힐 때 상기 내부케이스의 제2수용공간 방향으로 휨이 발생하고, 상기 캡이 열릴 때 기본 상태로 복구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용기는, 외부케이스에 내부에 삽입되고, 캡에 의해 밀폐되는 친환경 용기에 있어서, 파지부가 구비된 내부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파지부는 외부면 및 내부면에 형성된 파지홈을 포함하고, 상기 외부케이스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외부케이스의 상부로 적어도 일부가 노출되며, 상기 캡이 닫힐 때 휨이 발생하고, 상기 캡이 열릴 때 상기 캡을 밀면서 기본 상태로 복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부케이스는 상기 내부케이스 외부면에 적어도 일부 높이까지 형성된 두 개의 고정홈, 상기 내부케이스 상기 일부 높이부터 상기 고정홈에 대응하도록 형성된 두개의 고정슬릿을 포함하고, 상기 파지부는 상기 일부 높이부터 상기 두개의 고정슬릿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내부케이스가 외부케이스로부터 쉽게 분리 가능하게 하는 조립 구조를 가져 사용자가 쉽게 소재를 분리할 수 있으며, 분리된 외부케이스 및 내부케이스를 재활용 가능하도록 구현하여 폐기물 감소, 재료의 순환시스템을 구축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용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용기의 분리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압 전의 가압부 및 가압틈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압 후의 가압부 및 가압틈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압 전의 가압부 및 가압틈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압 후의 가압부 및 가압틈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후크부 및 고리부의 결합 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후크부 및 고리부의 결합 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후크부 및 고리부의 결합 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후크부 및 후크홈의 결합 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e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후크부 및 후크홈의 결합 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부케이스의 수직형 돌출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부케이스 및 공기유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부케이스 및 공기유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부케이스의 나선형 돌출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부케이스의 고정홈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외부케이스의 고정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정홈 및 고정턱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정홈 및 고정턱이 분리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휨 상태의 파지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지부의 변화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지부가 캡의 닫힘을 방지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용기(1)에 대하여 설명한다.
통상의 기술자는 비록 본 명세서에 명확히 설명되거나 도시되지 않았지만, 발명의 원리를 구현하고 발명의 개념과 범위에 포함된 다양한 장치를 개발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열거된 모든 조건부 용어 및 실시예들은 원칙적으로, 발명의 개념이 이해되도록 하기 위한 목적으로만 명백히 의도되고, 이처럼 특별히 열거된 실시예 및 상태에 제한적이지 않은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더욱 분명해질 것이며, 그에 따라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자가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쉽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도면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다양한 실시예들을 설명하면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실시예가 다르더라도 편의상 동일한 명칭 및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기로 한다. 나아가, 이미 다른 실시예에서 설명된 구성 및 작동에 대해서는 편의상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A, B 및 C 중 적어도 하나'의 표현은 A, B 및 C 중 하나, 둘 또는 셋으로 구성된 것을 의미하고, '적어도 하나의 D'의 표현은 D가 하나 이상임을 의미한다. 또한, 'E의 상단부'의 표현은 E의 상부에 위치하는 단부를 의미한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용기(1)의 기본 구조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용기(1)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용기(1)의 분리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다른 친환경 용기(1)는 의약을 보관할 수 있으며, 개구부(100a)를 포함하는 외부케이스(100); 상기 외부케이스(100)의 상기 개구부(100a)를 개폐하는 캡(200); 및 상기 외부케이스(100)의 내부에 분리 가능하게 상기 개구부(100a)를 통해 삽입되는 내부케이스(30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외부케이스(100)는 상기 내부케이스(300)를 수용하는 제1수용공간(10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부케이스(300)는 상기 의약을 수용하는 제2수용공간(30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부케이스(300)는 병진하여 상기 외부케이스(100)에서 분리될 수 있다.
외부케이스(100)는 개구부(100a)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케이스(100)는 친환경 용기(1)에서 외부에 노출되어 사용자에 의해 파지될 수 있다. 외부케이스(100)는 외부에 노출되는 외부면과, 내부케이스(300)와 접촉하거나 대향하는 내부면을 포함할 수 있다.
외부케이스(100)는 개구부(100a)를 통하여 내부케이스(300)를 삽입하거나 분리할 수 있다. 외부케이스(100)는 원기둥, 각기둥 등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외부케이스(100)는 내부케이스(300)를 쉽게 제거할 수 있도록 내부케이스(300)와 대응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대응되는 구조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캡(200)은 외부케이스(100)의 개구부(100a)를 개방 및 폐쇄할 수 있다. 캡(200)은 외부케이스(100)와 연결부(240)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연결부(240)의 일측은 캡(200)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고, 타측은 외부케이스(100)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반드시 연결부(240)에 의해 캡(200)과 외부케이스(100)가 연결되는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서로 독립되어 분리되는 구조도 가능하다.
캡(200)이 외부케이스(100)와 분리된 구조를 갖는 경우, 캡(200)은 내부면에 나사산을 구비하고, 외부케이스(100)는 상부 외부면에 나사산을 구비하여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캡(200)이 외부케이스(100)와 연결부(240)에 의해 연결된 구조를 갖는 경우, 외부케이스(100)는 상단 또는 상부 외부면을 따라서 형성된 끼움턱(160)을 구비하여 캡(200)과 억지끼움 될 수 있다. 끼움턱(160)은 캡(200)의 닫힘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단, 상술한 억지끼움 방식의 결합은 캡(200)과 외부케이스(100)가 분리된 구조에도 적용될 수 있다.
내부케이스(300)는 외부케이스(100)의 내부에 삽입될 수 있고, 외부케이스(100)의 내부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내부케이스(300)는 외부케이스(100)의 개구부(100a)를 통해 삽입되거나 분리될 수 있다. 내부케이스(300)는 외부케이스(100)와 접촉하거나 대향하는 외부면과, 의약와 접촉하는 내부면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내부케이스(300)는 하부면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하부면은 상부로 오목지게 형성될 수 있으며, 평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내부케이스(300)는 상부에 내부개구부(300a)를 포함할 수 있으며, 내부개구부(300a)를 통해 의약을 보관할 수 있다.
내부케이스(300)가 외부케이스(100)에 완전히 삽입된 상태에서, 내부케이스(300)의 상단부는 외부케이스(100)의 상단부보다 아래에 위치할 수 있다. 즉, 내부케이스(300)의 내부개구부(300a)는 외부케이스(100)의 개구부(100a)보다 아래에 위치할 수 있고, 내부개구부(300a)는 제1수용공간(101)에 위치할 수 있다.
내부케이스(300)는 원기둥, 각기둥 등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내부케이스(300)는 외부케이스(100)로부터 쉽게 제거될 수 있도록 외부케이스(100)와 대응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대응되는 구조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외부케이스(100)는 제1수용공간(101)을 포함할 수 있고, 내부케이스(300)는 제2수용공간(301)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수용공간(101)은 내부케이스(300)가 수용되는 공간을 의미하며, 제2수용공간(301)은 의약이 수용되는 공간을 의미할 수 있다.
내부케이스(300)는 병진(竝進) 운동 또는 슬라이딩 운동하여 외부케이스(10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병진 운동 또는 슬라이딩 운동은 회전 운동과 대비되는 것으로, 내부케이스(300)를 회전 없이 외부케이스(100)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내부케이스(300)가 쉽게 분리되기 위해서는 내부케이스(300)의 분리과정에서 외부케이스(100)의 내부면의 구조를 단순화할 필요가 있다.
즉, 외부케이스(100)의 개구부(100a)가 위치하는 개구영역(100b)에 걸림 요소가 최소한으로 존재하거나, 존재하지 않아야 한다. 개구영역(100b)은 내부케이스(300)가 외부케이스(100)에 완전히 삽입되었을 때 내부케이스(300)의 상단부보다 높은 제1수용공간(101)을 의미할 수 있다.
개구영역(100b)은 도 4a에서 내부케이스(300)를 표현한 점선부터 외부케이스(100)의 상단부까지의 공간을 의미할 수 있다. 여기서, 내부케이스(300)의 상단부는 파지부(310)를 포함한 내부케이스(300)의 최 상단을 따라 형성된 라인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내부케이스(300)의 상단부는 파지부(310)를 제외한 내부케이스(300)의 최 상단을 따라 형성된 라인을 의미할 수 있다. 다시 말해, 개구영역(100b)은, 내부케이스(100)와 외부케이스(300)의 결합 상태에서, 내부케이스(100)와 외부케이스(300)가 중첩되지 않는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외부케이스(100)의 개구영역(100b)은 횡단면의 넓이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외부케이스(100)의 개구영역(100b)은 횡단면의 모양이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외부케이스(100)의 개구영역(100b)은 횡단면의 넓이가 상부로 가면서 증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개구영역(100b)의 구조는, 내부케이스(100)가 병진 운동 또는 슬라이딩 운동하여 외부케이스(300)에서 분리될 때 내부케이스(100)의 상단부가 외부케이스(300) 내부의 걸림 요소에 방해받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개구영역(100b)에서의 외부케이스(100)의 내부면은 제1수용공간(101) 방향으로의 만곡 영역, 인입 영역, 돌출 영역, 돔 영역 및 병목 영역이 없도록 구성될 수 있다.
외부케이스(100)는 형상이 제1수용공간(101) 방향으로의 만곡 영역, 인입 영역, 돌출 영역이 없도록 구성될 수 있으나, 내부케이스(300)의 병진 운동 또는 슬라이딩 운동에 방해되지 않는 후술할 돌출부(400)와 같은 구성은 있어도 무방하다.
내부케이스(300)는 외부케이스(100)에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고정은 내부케이스(300)가 외부케이스(100) 내부에 완전히 삽입된 상태를 의미하며, 분리가 불가능한 상태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이때, 내부케이스(300)는 내부케이스(300)의 외부면과 외부케이스(100)의 내부면의 마찰력만으로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내부케이스(300)가 돌출부(400)를 포함하는 경우, 내부케이스(300)의 돌출부(400)와 외부케이스(100)의 내부면의 마찰력만으로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외부케이스(300)가 돌출부(400)를 포함하는 경우, 내부케이스(300)의 외부면과 돌출부(400)의 마찰력만으로 고정될 수 있다.
내부케이스(300)와 외부케이스(100)의 마찰력만으로 내부케이스(300)를 고정하고, 내부케이스(300)를 외부케이스(100)에 고정하는 어떠한 구성도 제외하여, 쉽게 내부케이스(300)를 외부케이스(100)로부터 분리할 수 있도록 한다.
즉, 내부케이스(300)와 외부케이스(100)의 마찰력보다, 사용자의 손과 내부케이스(300)의 마찰력이 더 클 때 내부케이스(300)는 외부케이스(10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따라서, 내부케이스(300)는 회전 운동 없이 외부케이스(10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나아가, 내부케이스(300)는 내부케이스(300) 및 외부케이스(100) 중 적어도 하나의 파손 없이 병진 운동 또는 슬라이딩 운동만으로 외부케이스(10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또한, 내부케이스(300)의 원활한 분리를 위해서, 외부케이스(100)의 내부면과 내부케이스(300)의 외부면이 대응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대응되는 구조를 예를 들어 설명하면, 내부케이스(300) 또는 외부케이스(100)에 턱이 구비된 경우 외부케이스(100) 또는 내부케이스(300)에 상기 턱이 인입될 수 있는 홈이 구비되어 내부케이스(300)가 병진 운동 또는 슬라이딩 운동만으로 외부케이스(100)로부터 분리될 수 있는 구조를 의미할 수 있고, 내부케이스(300) 및 외부케이스(100) 중 하나에 턱이 구비된 구조를 의미할 수 있으며, 후술할 내부케이스(300) 및 외부케이스(100)의 나선 구조를 의미할 수 있다.
상술한 구조를 통해, 사용자는 쉽게 내부케이스(300)를 외부케이스(100)로 분리할 수 있다. 내부케이스(300)나 외부케이스(100)의 파손 없이 구성요소를 분리 배출함으로써 소재의 재활용을 촉진할 수 있다.
다음으로, 외부케이스(100) 및 내부케이스(300)의 친환경 소재에 대하여 살펴본다.
외부케이스(100)는 PP 및/또는 PET 소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외부케이스(100)는 PCR(Post-consumer recycled)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PP 및 PET 소재는 가볍고 강도가 우수하며 인체 및 환경에 무해한 친환경 소재에 해당한다.
내부케이스(300)는 제올라이트(Zeolite) 소재를 포함할 수 있다. 내부케이스(300)는 제올라이트를 포함하는 PP matrix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제올라이트는 천연 또는 합성에 의해 얻어질 수 있고, 규소와 알루미늄 비율에 따라 분류되는 제올라이트A, 제올라이트X 및 제올라이트Y 중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형태에 따라 분류되는 FAU 제올라이트, P1 제올라이트 및 Sodalite 중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외부케이스(100)는 강도가 세고 수분 유입을 방지하는 PP 및/또는 PET 소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고, 내부케이스(300)는 흡습성이 강한 제올라이트 소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로써, 친환경 용기(1)는 외부케이스(100)가 외부로부터 수분을 차단하고, 내부케이스(300)가 내부의 수분을 흡수하여 상반되는 효과를 동시에 달성할 수 있다.
특히, 내부케이스(300)는 흡습성이 강한 소재로 구성함으로써 제2수용공간(301)의 수분을 흡수할 수 있고, 수분이 의약으로 흡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의약 용기가 외부케이스(100)(단일케이스)만으로 구비되는 경우 흡습성을 담보할 수 없어 흡습제를 활용하여야 한다. 흡습제를 활용하는 경우 별도의 공간이 마련되어야 하므로 구성이 복잡해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분리 배출이 어려워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용기(1)는 외부케이스(100) 및 내부케이스(300)를 별도의 구성으로 구비하고 분리가 쉽도록 제조됨으로써, 흡습성 및 분리 배출의 용이성을 동시에 담보할 수 있다.
즉, 생산자는 친환경 재활용 소재를 활용함과 더불어 분리가 용이한 구조의 친환경 용기(1)를 제조하고, 사용자는 이를 쉽게 분리하여 배출함으로써, 폐기물 감소 및 재료의 순환이라는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다음으로, 외부케이스(100)의 하부면의 구조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3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압 전의 가압부(120) 및 가압틈(110)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압 후의 가압부(120) 및 가압틈(110)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압 전의 가압부(120) 및 가압틈(110)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압 후의 가압부(120) 및 가압틈(110)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a 및 도 3d를 참조하면, 상기 외부케이스(100)는 상기 외부케이스(100)의 외부에서 상기 내부케이스(300)를 밀어 올릴 수 있도록 상기 외부케이스(100)의 하부면에 형성된 가압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부케이스(100)는, 상기 가압부(120)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어, 상기 가압부(120)를 변형시키는 가압틈(11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외부케이스(100)는 상부에 개구부(100a)를 포함하고, 옆면 및 하부면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옆면의 상부에는 개구부(100a)가 위치하며, 하부에는 하부면이 위치할 수 있다.
외부케이스(100)는 하부면에 가압틈(110) 및/또는 가압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가압부(120)는 하부면의 중심부에 위치하고, 가압틈(110)은 가압부(120)의 둘레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가압틈(110)은 외부케이스(100)의 하부면을 관통하도록 형성(홀 구조)될 수 있으며, 외부케이스(100)의 하부면에서 상부를 향하여 인입되도록 형성(틈 구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압틈(110)은 가압부(120)의 둘레를 따라 둘레 방향의 곡선 형의 홀 구조 또는 틈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가압틈(110)은 단일 또는 복수로 구비될 수 있으며, 복수의 가압틈(110)은 각각 서로 이격되어 구비될 수 있다.
가압틈(110)은 외부케이스(100)의 내부와 외부의 공기가 소통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를 홀 구조라 한다. 이와 달리, 가압틈(110)은 외부케이스(100)의 내부와 외부의 공기가 소통할 수 없도록 인입되어 폐쇄될 수 있으며, 이를 틈 구조라 한다.
또한, 가압틈(110)은 가압부(120)가 구비되지 않은 경우에도 단독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가압틈(110)은 복수로 구비될 수 있으며, 그 형상은 제한되지 않는다. 즉, 가암틈(110)은 상술한 곡선형 외에도 직선형, 원형, 타원형 및 다각형 등의 다양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가압틈(110)이 홀 구조를 가지는 경우, 가압틈(110)은 내부케이스(300)가 외부케이스(100)에서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공기를 통과시킬 수 있다. 내부케이스(300)가 외부케이스(100)에 삽입되는 경우 내부케이스(300)의 이동에 의해 제1수용공간(101)의 공기는 가압틈(110)을 통해 외부로 유출될 수 있다.
반대로, 내부케이스(300)가 외부케이스(100)로부터 분리되는 경우 내부케이스(300)의 이동에 의해 외부의 공기는 가압틈(110)을 통해 제1수용공간(101)으로 유입될 수 있다.
가압틈(110)이 틈 구조를 가지는 경우, 가압틈(110)은 외부케이스(110)를 관통하지 않으므로 공기가 소통할 수 없다. 따라서, 외부케이스(100)는 방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외부케이스(100)의 가압틈(110)이 존재하는 영역은 가압틈(110)이 존재하지 않는 영역보다 두께가 얇게 형성될 수 있다.
가압틈(110)은 가압부(120)가 가압될 때 스스로 넓어지면서 가압부(120)를 상승 이동시킬 수 있다.(도 3a 및 도 3c) 반대로, 가압틈(110)은 가압부(120)가 가압 상태에서 해제될 때 스스로 좁아지면서 가압부(120)를 하강 이동시킬 수 있다.(도 3b 및 도 3d)
가압부(120)는 상부로 오목지게 형성될 수도 있고, 평면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가압부(120)는 외부 힘이 가해질 때 제1수용공간(101)으로 이동하여 가압 상태에 이를 수 있으며, 외부 힘이 사라질 때 외부 방향으로 다시 이동하여 기본 상태에 이를 수 있다.
친환경 용기(1)는 가압틈(110) 및 가압부(120)를 활용하여 내부케이스(300)를 외부케이스(100)로부터 쉽게 분리 가능하게 한다.
다음으로, 외부케이스(100)와 캡(200)의 구조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4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후크부(230) 및 고리부(130)의 결합 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후크부(230) 및 고리부(130)의 결합 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후크부(230) 및 고리부(130)의 결합 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외부케이스(100)는 상기 외부케이스(100)의 상부에 상기 외부케이스(100)의 둘레를 따라 돌출되어 형성된 캡턱(15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외부케이스(100)는 상기 외부케이스(100)의 상부에 위치하여 관통영역(130a)을 형성하는 고리부(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캡(200)은 상기 캡(200)의 하부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후크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후크부(230)는 상기 관통영역(130a)을 통과하여 상기 고리부(130)와 결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시예에 따른 상기 캡(200)은 상기 외부케이스(100)의 상단부를 상기 캡(200)의 내부에 인입시키는 끼움부(210) 및 상기 끼움부(210)로부터 상기 캡(200)의 바깥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챙부(2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후크부(230)는 상기 챙부(220)의 하부면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외부케이스(100)는 상부에 캡턱(150)을 포함할 수 있다. 캡턱(150)은 상단부으로부터 캡(200)의 높이 이내의 거리에 위치할 수 있다. 캡턱(150)은 외부케이스(100)의 둘레를 따라 구비될 수 있다. 캡턱(150)은 외부케이스(100)의 둘레 전체에 걸쳐 구비될 수 있으며, 그 일부는 후술할 고리부(130)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캡턱(150)은 캡(200)이 외부케이스(100)의 개구부(100a)를 폐쇄할 때, 캡(200)이 안착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캡턱(150)은 캡(200)의 하단부와 접촉할 수 있다.
즉, 캡턱(150)은 끼움부(210)가 외부케이스(100)에 삽입되는 한계를 제공할 수 있다. 이로써, 캡(200)이 과도한 힘으로 닫히더라도 외부케이스(100)의 단부에 의한 캡(200)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외부케이스(100)는 고리부(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고리부(130)는 캡(200)의 후크부(230)와 결합하여 외부케이스(100)의 개구부(100a)의 폐쇄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도 4a를 다시 참조하면, 고리부(130)는 외부케이스(100)의 상부에 위치할 수 있으며, 캡턱(150)으로부터 연장되어 구비될 수 있다. 단, 고리부(130)가 반드시 도 4a와 같은 구조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캡턱(150)과 독립되어 구비될 수 있다.
고리부(130)는 외부케이스(100)의 외부면에 일부가 접촉하여 관통영역(130a)을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고리부(130)의 좌측부 및 우측부는 외부케이스(100)의 외부면에 접촉하고, 중앙부는 외부케이스(100)로부터 이격되어 관통영역(130a)을 형성할 수 있다. 관통영역(130a)은 외부케이스(100)의 외부면과 고리부(130) 사이에 위치하여 후크부(230)가 통과하는 영역을 의미한다.
고리부(130)는 고리부(130)와 외부케이스(100)의 외부면 사이에 관통영역(130a)을 형성시킴으로써 후크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로써, 고리부(130)는 외부의 충격, 후크부(230)의 걸림 등으로부터 후크부(230)를 보호하여 캡(200)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a에서 나타나는 고리부(130)는 캡턱(150)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고, 양측이 외부케이스(100)와 접촉하여, 중심이 외부케이스(100)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구비된다. 또한, 고리부(130)는 'U'자 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러한 형태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캡(200)은 후크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후크부(230)는 캡(200)으로부터 하부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제1부(231) 및 제1부(231)로부터 외부케이스(100)의 바깥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제2부(232)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b를 참조하면, 외부케이스(100)의 개구부(100a)를 폐쇄할 때, 후크부(230)는 고리부(130)의 관통영역(130a)을 통과하여 고리부(130)의 내측과 결합할 수 있다.
이때, 고리부(130)의 내측은 턱이 구비되고, 후크부(230)의 제2부(232)는 고리부(130)의 턱에 걸려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즉, 제2부(232)는 외부케이스(100)의 바깥 방향으로 돌출되어 고리부(130)와 결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후크부(230) 및 고리부(130)의 결합 부위가 고리부(130)의 내측에 형성됨으로써 외부로부터의 캡(200)의 파손이 방지될 수 있다.
도 4c를 참조하면, 고리부(130)는 캡턱(150)으로부터 하부로 경사지게 구비될 수 있다. 이때, 고리부(130)는 외부케이스(100)로부터 이격되지 않을 수 있으며, 고리부(130)는 캡턱(150)으로부터 연장되어 구비되고, 절단된 영역인 두개의 걸림영역(130b)을 형성할 수 있다. 걸림영역(130b)은 도 4a 및 도 4b의 관통영역(130a)에 대응하는 구성에 해당한다.
이 경우, 후크부(230)는 캡(200)으로부터 하부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제1부(231)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1부(231)의 양측에서 내부로 인입된 제3부(233)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케이스(100)의 개구부(100a)를 폐쇄할 때, 후크부(230)는 고리부(130)의 걸림영역(130b)을 통과하여 고리부(130)와 결합할 수 있다. 이 경우, 걸림영역(130b)은 외부에 노출되지만 후술할 챙부(220)에 의해 외부로부터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후크부(230)와 고리부(130)는 도 4a 내지 도 4C의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후크부(230) 및 고리부(130)는 내부케이스(300)를 외부케이스(100)부터 분리할 때, 걸림 요소로 작용하지 않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외부케이스(100)의 외부에 위치할 수 있다.
캡(200)은 끼움부(210)를 포함할 수 있다. 끼움부(210)는 캡(200)의 상부에서 바라볼 때 상부로 돌출된 형상으로 형성되며, 하부에서 바라볼 때 상부로 함몰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끼움부(210)는 외부케이스(100)의 상단부가 진입하는 장소를 의미할 수 있다. 캡(200)의 끼움부(210)와 외부케이스(100)의 끼움턱(160)은 서로 억지끼움 되어 개구부(100a)의 폐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캡(200)은 챙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챙부(220)는 끼움부(210)로부터 캡(200)의 바깥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챙부(220)는 사용자가 캡(200)을 열 때 힘이 작용하는 장소에 해당할 수 있다.
캡(200)은 일측에 외부케이스(100)와 연결되는 연결부(240)를 구비할 수 있으며, 타측에 챙부(220)를 구비할 수 있다. 즉, 챙부(220)가 사용자에 의해 들어 올려질 때 지렛대 원리에 의해 연결부(240)를 축으로 하여 캡(200)이 열릴 수 있다.
이때, 후크부(230)는 챙부(220)의 하부면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후크부(230)가 챙부(220)에 위치하면, 후크부(230)가 고리부(130)는 외부케이스(100)의 외부에서 결합될 수 있으므로, 고리부(130)도 외부케이스(100)의 외부면에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내부케이스(300)가 어떠한 걸림 요소에 방해받지 않고 외부케이스(100)로부터 분리될 수 있도록 한다. 즉, 후크부(230) 및 고리부(130)는 외부케이스(100)의 외부에서 서로 체결되는 구조에 의해 내부케이스(300)를 쉽게 분리할 수 있는 것이다.
챙부(220)의 돌출된 형상은 외부로부터 고리부(130) 및 후크부(230)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하며, 지렛대 원리에 의해 작은 힘으로도 쉽게 캡(200)을 열어 외부케이스(100)의 개구부(100a)를 개방할 수 있도록 한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용기(1)는 고리부(130) 및 후크부(230)를 외부케이스(100)의 외부에 위치시킴으로써 내부케이스(300)의 분리를 쉽게 하고, 고리부(130)는 후크부(230)를 숨김으로써 외부로부터 캡(200)의 파손을 방지하며, 챙부(220)는 작은 힘으로도 외부케이스(100)의 개구부(100a)를 쉽게 개방하도록 하는 효과를 발생시킨다.
다음으로, 외부케이스(100)와 캡(200)의 결합구조의 다른 실시예를 살펴본다.
도 4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후크부(230) 및 후크홈(221)의 결합 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e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후크부(230) 및 후크홈(221)의 결합 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지금까지 캡(200)이 후크부(230)를 포함하고 외부케이스(100)가 고리부(130) 고리부를 포함하여, 후크부(230)와 고리부(130)의 결합하는 구조를 살펴보았다.
한편, 도 4d 및 도 4e를 참조하면, 상기 외부케이스(100)는 상기 외부케이스(100)의 상부 외부면을 따라 형성된 끼움턱(160) 및 상기 외부케이스(100)와 연결되어 형성된 후크부(230)를 포함하고, 상기 캡(200)은 상기 끼움턱(160)을 상기 캡(200)의 내부에 인입시키는 끼움부(210) 및 상기 후크부(230)가 통과하여 결합하는 후크홈(221)을 포함할 수 있다.
외부케이스(100)는 후크부(230)를 포함할 수 있고, 캡(100)은 후크홈(221)을 포함할 수 있다. 후크부(230)는 후크홈(221)과 결합할 수 있다.
외부케이스(100)는 후크부(230), 지지부(170) 및 후크연결부(230a)를 포함할 수 있다. 후크부(23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1부(231) 및 제2부(232)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후크부(230)는 상술한 바와 달리 지지부(170)로부터 연장되어 상부를 향해 구비될 수 있고, 외부케이스(100)와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구비될 수 있다.
지지부(170)는 상술한 고리부(130)와 동일한 구조를 가질 수 있으나, 고리부(130)와 달리 관통영역(130a)을 형성하지 않을 수 있다. 이때, 지지부(170)는 후크부(230)를 외부케이스(100)로부터 이격시킬 수 있다. 단, 지지부(170)의 형상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후크부(230)를 외부케이스(100)로부터 이격시킬 수 있는 어떠한 형상으로도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지지부(170)는 제1지지부(170a) 및 제2지지부(170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지지부(170a)는 외부케이스(100)의 외부면에 위치하여 후크부(230)와 외부케이스(100)의 이격 거리를 제공할 수 있다. 제2지지부(170b)는 제1지지부(170a)에 연결되고, 후크부(230)가 연결될 수 있다.
지지부(170)는 후크부(230)와 외부케이스(100)를 이격시켜 캡(200)이 외부케이스(100)를 폐쇄할 때 끼움부(210)의 가장자리가 위치하도록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끼움부(210)는 가장자리에 제1-1실링부(211), 제1-2실링부(212) 및 제1-3실링부(213)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제1-1실링부(211) 내지 제1-3실링부(213)는 후크부(230)와 외부케이스(100)의 외부면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후크연결부(230a)는 지지부(170)와 후크부(230) 사이에 위치하여, 일단이 지지부(170)와 연결되고 타단이 후크부(230)와 연결될 수 있다. 후크연결부(230a)는 후크부(230)의 폭보다 좁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폭은 외부케이스(100)의 외부 또는 내부를 향한 방향의 길이를 의미한다.
후크연결부(230a)는 후크부(230)가 쉽게 외부케이스(100)의 내부 및 외부 방향으로 이동하게 할 수 있다. 이때, 후크부(230)는 후크연결부(230a)를 축으로 하여 외부케이스(100)의 내부 및 외부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즉, 후크연결부(230a)는 후크부(230)의 유동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캡(200)은 후크홈(221)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캡(200)의 챙부(220)는 후크홈(221)을 포함할 수 있다.
후크부(230)가 잠김 상태일 때 제2부(232)가 후크홈(221)에 걸리게 되며, 캡(200)이 개방될 수 없다. 이때, 캡(200)은 후크부(230)에 의해 상부 방향 이동이 제한되고, 캡턱(150)에 의해 하부 방향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이로써, 캡(200)이 외부케이스(100)를 폐쇄시킨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반대로, 후크부(230)가 개방 상태일 때 외부케이스(100)의 내부 방향으로 이동하여 후크홈(221)에 걸리지 않게 되며, 캡(200)이 개방될 수 있다.
캡(200)은 외부케이스(100)를 쉽게 개방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제1부(231)에 외부케이스(100)의 내부 방향 힘이 가해지는 경우, 후크부(230)는 개방 상태에 이를 수 있다. 반대로, 제1부(231)에 가해진 힘이 제거되는 경우, 후크부(230)는 잠김 상태에 이를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는 후크부(230)의 제1부(231)를 누르면서 캡(200)의 챙부(220)를 들어올리면 캡(200)이 개방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간단한 동작에 의해 캡(200)이 쉽게 열릴 수 있다.
캡(200)은 외부케이스(100)를 쉽게 폐쇄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끼움부(210)는 제1-1실링부(211), 제1-2실링부(212) 및 제1-3실링부(213)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케이스(100)는 끼움턱(16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끼움턱(160)은 제2-1실링부(161) 및 제2-2실링부(16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1실링부(211)는 캡(200) 또는 끼움부(210)의 측방 내부면에서 캡의(200) 외부 방향으로 인입된 영역에 해당한다. 제1-2실링부(212)는 제1-1실링부(211)로부터 하부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캡(200) 또는 끼움부(210)의 측방 내부면에서 캡의(200) 내부 방향으로 돌출된 영역에 해당한다. 제1-3실링부(213)는 제1-2실링부(212)로부터 하부로 연장되면서 캡의(200) 외부 방향으로 경사진 영역에 해당한다.
캡(200)이 외부케이스(100)를 폐쇄하는 구조에서, 제1-1실링부(211)와 제2-1실링부(161)는 서로 접촉 또는 인접하도록 위치할 수 있다. 이때, 제1-2실링부(212)와 제2-2실링부(162)는 서로 접촉하도록 위치할 수 있다. 특히, 제1-2실링부(212)와 제2-2실링부(162)의 접촉 상태는 제1수용공간(101)으로 수분이 유입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폐쇄 과정에서, 제2-1실링부(161)는 제1-3실링부(213)의 경사를 따라 이동하고, 제1-2실링부(212)를 넘어 이동하며, 제1-1실링부(211)에 정착할 수 있다. 제1-1실링부(211) 내지 제1-3실링부(213)는 연속되어 굴곡지게 형성되므로 제2-1실링부(161)가 쉽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며, 캡(200)이 쉽게 외부케이스(100)를 폐쇄할 수 있도록 한다.
개방 과정에서, 제2-1실링부(161)는 상술한 폐쇄 과정과 반대로 이동할 수 있다.
한편, 챙부(220)는 후크홈(221)을 포함할 수 있다. 후크홈(221)의 위치는 한정되지 않으나, 후크부(230)가 통과할 수 있는 위치에 대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후크홈(221)은 홈직선부(221a) 및 홈경사부(221b)를 포함할 수 있다. 홈직선부(221a)는 후크홈(221)의 상부에 위치하여 후크홈(221)의 수평 단면적의 모양이 동일하게 유지되는 영역을 의미한다.
홈경사부(221b)는 홈직선부(221a)로부터 하부로 연장되어 위치하여 후크홈(221)의 수평 단면적의 넓이가 하부로 가면서 증가하는 영역을 의미한다. 이때, 후크홈(221)은 내부면 및 외부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후크홈(221)의 외부면은 하부로 가면서 외부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폐쇄 과정에서, 후크부(230)는 후크홈(221)을 통과하며, 제2부(232)는 챙부(220)의 상부면에 걸려 후크홈(221)과 결합될 수 있다. 제2부(232)는 제1부(231)보다 외부케이스(100)의 외부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상부로 갈수록 외부케이스(100)의 내부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후크경사부(232a)는 제2부(232)의 경사면을 의미한다.
후크경사부(232a)는 홈경사부(221b)와 접촉하여, 제2부(232)가 쉽게 후크홈(221)을 통과하도록 할 수 있다. 제2부(232)는 후크홈(221)을 통과하여 쉽게 후크홈(221)과 결합될 수 있다.
개방 과정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제1부(231)를 누르면서 챙부(220)를 들어올리는 동작을 통해 쉽게 후크부(230)와 후크홈(221)의 결합을 해제할 수 있다. 나아가, 내부케이스(300)의 파지부(310)의 탄성력이 캡(200)에 힘을 가하여 캡(200)이 쉽게 개방될 수 있도록 한다.
다음으로, 내부케이스(300) 또는 외부케이스(100) 돌출부(400) 대하여 살펴본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부케이스(300)의 수직형 돌출부(400)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부케이스(300) 및 공기유로(101a)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부케이스 및 공기유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부케이스(300)의 나선형 돌출부(400)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a를 다시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외부케이스(100)는 상기 외부케이스(100)의 내부면에 형성된 복수의 돌출부(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돌출부(400)는 내부케이스(300)의 외부면에 접촉하여 상기 제1수용공간(101)에 공기유로(101a)를 형성할 수 있다.(도 6 참조)
외부케이스(100)는 돌출부(400)(내측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돌출부(400)는 외부케이스(100)의 내부면으로부터 내부를 향하여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400)는 복수로 구비될 수 있고 수직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그 개수 및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돌출부(400)는 내부케이스(300)의 외부면과 접촉할 수 있으며, 내부케이스(300)와 마찰을 일으켜 내부케이스(300)를 외부케이스(100)에 고정할 수 있다.
이때, 내부케이스(300)의 외부면은 매끄럽게 형성될 수 있다. 매끄럽게 형성되는 것이란, 내부케이스(300)의 외부면이 돌출된 영역이 없는 경우를 의미한다.
또한, 돌출부(400)는 내부케이스(300)의 외부면과 접촉하여 공기유로(101a)를 형성할 수 있다. 내부케이스(300)가 외부케이스(100)에 삽입되는 경우 외부케이스(100)의 내부에 있던 공기는 공기유로(101a)를 따라 이동하여 내부케이스(300)의 삽입을 쉽게 유도할 수 있다.
반대로, 내부케이스(300)가 외부케이스(100)로부터 분리되는 경우 외부케이스(100)의 외부에 있던 공기는 공기유로(101a)를 따라 이동하여 내부케이스(300)의 분리를 쉽게 유도할 수 있다.
돌출부(400)에 의해 형성된 공기유로(101a)는 단독(복수의 공기유로가 구비되는 경우도 포함)으로 구비될 수 있으나, 외부케이스(100)의 하부면에 형성된 가압틈(110)과 동시에 구비될 수 있다. 이때, 가압틈(110)은 홀 구조 또는 틈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돌출부(400)에 의해 공기유로(101a)는 복수로 구획될 수 있다.
이때, 공기유로(101a)는 외부케이스(100)의 제1수용공간(101)과 외부의 기압을 동일하게 유지하여 내부케이스(300)의 분리 및 삽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내부케이스(300)는 상기 내부케이스(300)의 외부면에 형성된 복수의 돌출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돌출부(400)는 외부케이스(100)의 내부면에 접촉하여 상기 제1수용공간(101)에 공기유로(101a)를 형성할 수 있다.
내부케이스(300)는 돌출부(400)(외측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돌출부(400)는 내부케이스(300)의 외부면으로부터 외부를 향하여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400)는 복수로 구비될 수 있고 수직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그 개수 및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돌출부(400)는 외부케이스(100)의 내부면과 접촉할 수 있으며, 외부케이스(100)와 마찰을 일으켜 내부케이스(300)를 외부케이스(100)에 고정할 수 있다.
이때, 외부케이스(100)의 내부면은 매끄럽게 형성될 수 있다. 매끄럽게 형성되는 것이란, 외부케이스(100)의 내부면이 돌출된 영역이 없는 경우를 의미한다.
또한, 돌출부(400)는 외부케이스(100)의 내부면과 접촉하여 공기유로(101a)를 형성할 수 있다. 이때, 돌출부(400)는 외부케이스(100)의 하부면에 구비된 가압틈(110)과 동시에 존재할 수 있고, 단독으로 존재할 수 있음은 상술한 바와 같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내부케이스(300)는 외부면이 다각 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외부면의 모서리는 상기 외부케이스(100)의 내부면에 접촉하여 상기 제1수용공간(101)에 내부에 공기유로(101a)를 형성할 수 있다.
내부케이스(300)는 외부면이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다각으로 이루어진 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내부케이스(300)의 외부면이 십이각 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은 하나의 실시예이므로,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내부케이스(300)의 외부면이 다각 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외부면의 모서리는 외부케이스(100)의 내부면에 접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모서리는 내부에 공기유로(101a)를 형성할 수 있다.
나아가, 외부케이스(100)의 내부면은 원기둥 또는 다각 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외부케이스(100)의 내부면이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진 경우, 내부케이스(300)의 외부면의 모서리는 외부케이스(100)의 내부면과 접촉하여 제1수용공간(101)에 공기유로(101a)를 형성할 수 있다.
반대로, 외부케이스(100)의 내부면이 외부케이스(100)의 내부면과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진 경우, 내부케이스(300)의 외부면과 외부케이스(100)의 내부면은 서로 접촉하고, 내부케이스(300)의 외부면의 모서리와 내부케이스(300)의 내부면의 모서리 또한 서로 접촉할 수 있다.
이때, 공기유로(101a)는 형성되지 않을 수 있으나, 외부케이스(100)의 하부면에 형성된 홀 구조의 가압틈(110)에 의해 공기의 이동이 유도될 수 있다. 이 경우, 내부케이스(300)는 외부케이스(100)에 더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내부케이스(300)는 상기 내부케이스(300)의 외부면에 나사산 형상으로 이루어진 돌출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내부케이스(300)는 돌출부(400)(나선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돌출부(400)는 내부케이스(300)의 외부면으로부터 외부를 향하여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외부케이스(100)는 나선홈(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나선홈은 외부케이스(100)의 내부면으로부터 인입되어 형성될 수 있다.
내부케이스(300)의 돌출부(400)와 외부케이스(100)의 나선홈은 나사 결합을 이루며, 나사 결합에 의해 내부케이스(300)는 외부케이스(100)에 삽입되고, 외부케이스(10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달리, 외부케이스(100)가 돌출부(400)를 포함하고 내부케이스(300)가 나선홈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내부케이스(300)는 외부케이스(100)에 더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 내부케이스(300)에 구비된 돌출부(400)는 내부케이스 상단부의 둘레를 따라 형성될 수 있고, 상단부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복수의 가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복수의 가닥은 내부케이스(300)의 하부면까지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도 9 참조)
다음으로, 외부케이스(100)의 고정턱(140) 및 내부케이스(300)의 고정홈(320) 구조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부케이스(300)의 고정홈(320)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외부케이스(100)의 고정턱(140)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정홈(320) 및 고정턱(140)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정홈(320) 및 고정턱(140)이 분리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외부케이스(100)는 내부면에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내부케이스(300)를 고정하는 고정턱(1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부케이스(300)는 외부면에 상기 고정턱(140)이 통과하는 고정홈(3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홈(320)은 상기 내부케이스(300)의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깊이가 얕아지게 형성될 수 있다.
외부케이스(100)는 내부면에 형성된 고정턱(140)을 포함할 수 있다. 고정턱(140)은 외부케이스(100)의 내부면에 수직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대응하는 구성으로, 내부케이스(300)는 외부면에 형성된 고정홈(320)을 포함할 수 있다. 고정홈(320)은 내부케이스(300)의 외부면에 수직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고정턱(140)과 고정홈(320)은 서로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고정턱(140)이 고정홈(320)과 접촉된 상태로 내부케이스(300)는 외부케이스(100)와 결합 및 분리될 수 있다. 이때, 내부케이스(300)는 병진 운동 또는 슬라이딩 운동만으로 외부케이스(10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고정홈(320)은 내부케이스(300)에서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깊이가 얕아질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는, 내부케이스(300)가 외부케이스(100)에 완전히 삽입되었을 때 내부케이스(300)가 견고하게 고정되는 효과를 제공한다.
반대로, 내부케이스(300)가 외부케이스(100)에 거의 분리되었을 때(완전히 분리되기 전) 내부케이스(300)를 외부케이스(100)로부터 쉽게 분리되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1a를 참조하면, 내부케이스(300)는 완전히 삽입된 상태에서 회전할 수 없으며, 병진 운동 또는 슬라이딩 운동만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효과는 상대적으로 깊게 형성된 상부 고정홈(320)에 고정턱(140)이 진입함으로써 나타날 수 있다. 이와 같이 완전 결합 상태에서 내부케이스(300)는 외부케이스(100)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도 11b를 참조하면, 내부케이스(300)는 거의 분리된 상태에서 회전할 수 있으며, 병진 운동 또는 슬라이딩 운동도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효과는 상대적으로 얕게 형성된 하부 고정홈(320)에 고정턱(140)이 진입함으로써 나타날 수 있다. 이와 같이 거의 분리된 상태에서 내부케이스(300)는 회전 운동이 가능하여 쉽게 외부케이스(10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나아가, 고정홈(320)은 내부케이스(300)의 하부로 갈수록 얕게 형성되어 최하단에서 고정홈(320)은 소멸할 수 있다. 따라서, 내부케이스(300)는 외부케이스(100)로부터 완전히 분리되기 직전 자유로운 회전 운동이 가능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즉, 고정턱(140)의 상부영역(320a)부터 하부영역(320b)까지 연속 또는 불연속적으로 깊이가 점점 감소할 수 있다.
단, 상술한 것과 달래 내부케이스(300)가 고정턱(140)을 포함하고, 외부케이스(100)가 고정홈(32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내부케이스 삽입 및 분리 과정은 상술한 방식과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내부케이스(300)가 삽입되는 과정에서 내부케이스(300)는 점점 견고하게 외부케이스(100)에 고정될 수 있으며, 내부케이스(300)가 분리되는 과정에서 점점 자유롭게 외부케이스(10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다음으로, 내부케이스(300)에 구비된 파지부(310)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12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휨 상태의 파지부(310)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지부(310)의 변화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지부가 캡의 닫힘을 방지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a, 도 5 및 11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내부케이스(300)는 상단부로부터 돌출되어 사용자에 의해 파지되는 파지부(31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부케이스(300)는 상단부가 제1높이(h1)에서 제2높이(h2)까지 하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파지부(310)는 상기 제2높이(h2)에서 상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파지부(310)는 내부케이스(300)의 상단부로부터 연장되어 구비될 수 있다. 특히, 파지부(310)는 내부케이스(300)를 외부케이스(100)로부터 분리하기 쉽도록 사용자에 의해 파지되는 부분을 의미한다.
도 5를 다시 참조하면, 제1높이(h1)는 내부케이스(300)의 옆면 중 가장 높은 상단부를 의미하고, 제2높이(h2)는 내부케이스(300)의 옆면 중 가장 낮은 상단부를 의미할 수 있다. 즉, 내부케이스(300)는 상단부가 제1높이(h1)에서 제2높이(h2)까지 하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사 구조는 파지부(310)를 길게 형성하면서도 캡(200)이 닫힐 때, 상부케이스의 외부로 파지부(310)가 돌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파지부(310)는 사용자가 파지해야 할 부분에 해당하여 너무 짧게 형성되면 그 기능을 구현할 수 없으므로 제2높이(h2)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파지부(310)는 전체가 외부케이스(100)의 상단부보다 아래에 위치하거나, 일부가 외부케이스(100)의 상단부 위로 돌출되어 위치할 수 있다. 여기서, 후자에 대하여는 후술하기로 한다.
또한, 파지부(310)의 상단부는 외부케이스(100)의 상단부와 일치하는 높이에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파지부(310)의 상단부는 캡(200)과 접촉하여 내부케이스(300)가 외부케이스(100) 내부에서 상하 방향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제1높이(h1)는 내부케이스(300)의 옆면 중(파지부(310) 제외) 가장 높은 위치를 의미하며, 이와 같은 경사 구조에 의해 의약과 접촉하는 공간인 제2수용공간(301)은 가장 넓게 확보될 수 있다.
이로써, 내부케이스(300)는 상단부가 제1높이(h1)에서 제2높이(h2)까지 경사지도록 형성되고, 제2높이(h2)에서 상부로 연장되는 형상으로 파지부(310)를 구비하여, 파지부(310)가 사용자에게 충분히 파지될 수 있는 길이를 제공함과 동시에 외부케이스(100)의 외부로 돌출되지 않는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8, 도 11a 및 도 11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파지부(310)는 상기 파지부(310)의 외부면 및 내부면에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된 파지홈(311)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지부(310)는 상기 외부케이스(100)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외부케이스(100)의 상부로 적어도 일부가 노출될 수 있다.
파지부(310)는 파지홈(311)을 포함할 수 있다. 파지홈(311)은 파지부(310)의 외부면 및/또는 내부면에 형성될 수 있다. 즉, 파지홈(311)은 파지홈(311)의 외부면에만 구비될 수 있고, 내부면에만 구비될 수 있으며, 내부면 및 외부면 모두에 구비될 수 있다.
파지홈(311)은 파지부(310)의 일면에서 내측으로 인입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8과 같이, 파지홈(311)은 동일한 너비로 깊이만큼 유지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다. 단, 파지홈(311)의 형상 및 개수는 도 8에 의한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와 달리 도 11a 및 도 11b와 같이, 파지홈(311)은 깊이 방향으로 갈수록 너비가 좁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측면에서 바라보는 파지부(310)는 파지홈(311)에 의해 복수의 굴곡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파지부(310)는 돌출영역 및 함몰영역의 반복으로 구성될 수 있다.
파지홈(311)은 사용자가 파지부(310)를 파지할 때, 파지 면적을 넓혀 내부케이스(300)의 분리를 쉽게할 수 있다.
도 12a 및 도 12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파지부(310)는 탄성을 가질 수 있다. 파지부(310)는 상기 캡(200)이 닫힐 때 상기 내부케이스(300)의 제2수용공간(301) 방향으로 휨이 발생할 수 있다. 파지부(310)는 상기 캡(200)이 열릴 때 기본 상태로 복구될 수 있다.
파지부(310)는 탄성을 가질 수 있으며, 파지홈(311)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1a 및 도 11b에 의하면, 파지부(310)는 직선을 기본 상태로 하여 유지될 수 있다. 파지부(310)는 탄성에 의해 일시적으로 휨이 발생하더라도 기본 상태로 복구될 수 있다. 즉, 파지부(310)는 탄성 변형할 수 있으며, 외력이 제거될 때 기본 상태로 복구될 수 있다.
도 12a에 의하면, 파지부(310)는 외부케이스(100)가 폐쇄될 때, 캡(200)에 의해 휨이 발생할 수 있다. 파지부(310)는 사용자가 내부케이스(300)를 쉽게 파지하기 위해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파지부(310)가 외부케이스(100)의 외부로 돌출되더라도 캡(200)에 의해 휨이 발생하여 외부케이스(100)의 개구부(100a)를 폐쇄할 수 있다. 이 경우, 파지부(310)의 탄성력은 캡(200)과 외부케이스(100)의 결합력보다 작을 수 있다.
도 12b에 의하면, 파지부(310)는 외부케이스(100)가 개방될 때, 탄성에 의해 휨이 제거될 수 있다. 이때, 파지부(310)의 탄성력은 캡(200)에 힘을 가하여 캡(200)이 쉽게 열리도록 할 수 있다.
도 12c를 참조하면, 파지부(310)는 외부케이스(100)의 외부로 돌출됨으로써 외부케이스(100)의 개구부(100a)가 개방되어 있는 경우에도 의도치 않게 캡(200)이 닫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는 원터치로 후크부(230)를 고리부(130)로부터 이탈시키면 파지부(310)에 의해 캡(200)을 완전히 개방시킬 수 있다. 즉, 원터치 개방 방식이 구현될 수 있다.
파지부(310)는 상술한 구조에 의해, 충분히 길게 형성되어 캡(200)이 의도치 않게 닫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충분히 길게 형성됨에도 불구하고 가요성을 가지므로 제2수용공간(301) 방향으로 휨이 발생하여 외부케이스(100)가 쉽게 폐쇄될 수 있으며, 탄성력에 의해 원터치로 캡(200)을 개방할 수 있는 효과를 동시에 달성할 수 있다.
또한, 도 9를 다시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내부케이스(300)는, 상기 내부케이스(300) 외부면에 적어도 일부 높이까지 형성된 두 개의 고정홈(320), 상기 내부케이스(300) 상기 일부 높이부터 상기 고정홈(320)에 대응하도록 형성된 두개의 고정슬릿(3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파지부(310)는 상기 일부 높이부터 상기 두개의 고정슬릿(33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내부케이스(300)는 상기 두개의 고정슬릿(330) 사이에 평면부(3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내부케이스(300)는 외부면에 고정홈(320)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내부케이스(300)는 서로 수직 방향으로 평행하게 형성된 두 개의 고정홈(32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고정홈(320)은 내부케이스(300)의 적어도 일부 높이까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내부케이스(300)는 적어도 일부 높이부터 형성된 두 개의 고정슬릿(33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고정슬릿(330)의 위치는 고정홈(320)에 대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대응이란 수직 방향으로 형성된 고정홈(320)으로부터 가상의 연장선이 형성되는 경우 그 연장선을 따라 고정슬릿(330)이 형성된 것을 의미한다.
즉, 내부케이스(300)의 하단에서 시작된 고정홈(320)은 적어도 일부 높이까지 연장 형성될 수 있으며, 적어도 일부 높이부터 시작된 고정슬릿(330)은 내부케이스(300)의 상단까지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파지부(310)는 적어도 일부의 높이부터 상부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고, 파지부(310)는 두 개의 고정슬릿(33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파지부(310)가 고정슬릿(330) 사이에 위치함으로써 파지부(310)를 더 길게 형성할 수 있으며, 파지부(310)가 길게 형섬됨으로써 사용자의 파지 영역을 더 넓힐 수 있고 파지부(310)에 휨이 발생할 때 파손 염려를 줄일 수 있다.
내부케이스(300)는 평면부(340)를 포함할 수 있다. 내부케이스(300)가 각기둥, 원기둥 등의 형상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내부케이스(300)이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진 경우에도 적어도 일부에 평면부(340)를 포함할 수 있다.
평면부(340)는 두 개의 고정슬릿(330) 사이에 위치할 수 있으며, 파지부(310)는 평면부(340)의 상단부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평면부(340)의 상단부는 직선으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파지부(310)와 평면부(340)의 연결부위도 직선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파지부(310)는 쉽게 휨 상태 및 기본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용기(1)는 친환경 소재로 제조되어 재활용될 수 있다. 또한, 친환경 용기(1)는 분리가 쉬운 구조로 구현되어 사용자가 쉽게 소재를 분리하여 분리 배출할 수 있다.
또한, 외부케이스(100)는 끼움턱(160)을 구비하고, 캡(200)은 끼움부(210) 구비하여, 서로 결합되면서 제1수용공간(101) 및 제2수용공간(301)에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 내부케이스(300)는 파지부(310)를 구비하여, 쉽게 외부케이스(100)로부터 분리될 수 있도록 구현되어 있다. 또한, 파지부(310)는 외부케이스(100)에 구비된 개구부(100a)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면적을 높일 수 있고, 캡(200)이 임의로 닫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탄성력에 의해 캡(200)을 원터치로 개방할 수 있는 효과를 동시에 달성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부호의 설명]
1 : 친환경 용기
100 : 외부케이스
100a : 개구부
100b : 개구영역
101 : 제1수용공간
101a : 공기유로
110 : 가압틈
120 : 가압부
130 : 고리부
130a : 관통영역
130b : 걸림영역
140 : 고정턱
150 : 캡턱
160 : 끼움턱
161 : 제2-1실링부
162 : 제2-2실링부
170 : 지지부
170a : 제1지지부
170b : 제2지지부
200 : 캡
210 : 끼움부
211 : 제1-1실링부
212 : 제1-2실링부
213 : 제1-3실링부
220 : 챙부
221 : 후크홈
221a : 홈직선부
221b : 홈경사부
230 : 후크부
230a : 후크연결부
231 : 제1부
232 : 제2부
232a : 후크경사부
233 : 제3부
240 : 연결부
300 : 내부케이스
300a : 내부개구부
301 : 제2수용공간
310 : 파지부
311 : 파지홈
320 : 고정홈
330 : 고정슬릿
340 : 평면부
400 : 돌출부

Claims (20)

  1. 의약을 보관하는 친환경 용기에 있어서,
    개구부를 포함하는 외부케이스;
    상기 외부케이스의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캡; 및
    상기 외부케이스의 내부에 분리 가능하게 상기 개구부를 통해 삽입되는 내부케이스;를 포함하는, 친환경 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케이스는 상기 내부케이스를 수용하는 제1수용공간을 더 포함하고,
    상기 내부케이스는 상기 의약을 수용하는 제2수용공간을 포함하며,
    상기 내부케이스는 병진하여 상기 외부케이스에서 분리되는, 친환경 용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케이스는 PET를 포함하는 소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내부케이스는 제올라이트를 포함하는 소재로 이루어진, 친환경 용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케이스는,
    상기 외부케이스의 외부에서 상기 내부케이스를 밀어 올릴 수 있도록 상기 외부케이스의 하부면에 형성된 가압부를 포함하는, 친환경 용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케이스는,
    상기 가압부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어, 상기 가압부를 변형시키는 가압틈을 더 포함하는, 친환경 용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케이스는,
    상기 외부케이스의 상부에 상기 외부케이스의 둘레를 따라 돌출되어 형성된 캡턱을 포함하는, 친환경 용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케이스는,
    상기 외부케이스의 상부에 위치하여 관통영역을 형성하는 고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캡은,
    상기 캡의 하부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후크부를 포함하며,
    상기 후크부는 상기 관통영역을 통과하여 상기 고리부와 결합하는, 친환경 용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캡은,
    상기 외부케이스의 상단부를 상기 캡의 내부에 인입시키는 끼움부 및
    상기 끼움부로부터 상기 캡의 바깥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챙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후크부는 상기 챙부의 하부면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는, 친환경 용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케이스는,
    상기 외부케이스의 상부 외부면을 따라 형성된 끼움턱 및 상기 외부케이스와 연결되어 형성된 후크부를 포함하고,
    상기 캡은,
    상기 끼움턱을 상기 캡의 내부에 인입시키는 끼움부 및 상기 후크부가 통과하여 결합하는 후크홈을 포함하는, 친환경 용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케이스는,
    상기 외부케이스의 내부면에 형성된 복수의 돌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는 내부케이스의 외부면에 접촉하여, 상기 제1수용공간에 공기유로를 형성하는, 친환경 용기.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케이스는,
    상기 내부케이스의 외부면에 형성된 복수의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는 외부케이스의 내부면에 접촉하여, 상기 제1수용공간에 공기유로를 형성하는, 친환경 용기.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케이스는 외부면이 다각 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외부면의 모서리는 상기 외부케이스의 내부면에 접촉하여, 상기 제1수용공간에 내부에 공기유로를 형성하는, 친환경 용기.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케이스는,
    상기 내부케이스의 외부면에 나사산 형상으로 이루어진 돌출부를 포함하는, 친환경 용기.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케이스는 내부면에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내부케이스를 고정하는 고정턱을 더 포함하고,
    상기 내부케이스는 외부면에 상기 고정턱이 통과하는 고정홈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홈은 상기 내부케이스의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깊이가 얕아지게 형성되는, 친환경 용기.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케이스는 상단부로부터 돌출되어 사용자에 의해 파지되는 파지부를 포함하는, 친환경 용기.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케이스는, 상단부가 제1높이에서 제2높이까지 하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파지부는 상기 제2높이에서 상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친환경 용기.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는,
    상기 파지부의 외부면 및 내부면에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된 파지홈을 포함하는, 친환경 용기.
  18.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는,
    탄성을 가지며, 상기 캡이 닫힐 때 상기 내부케이스의 제2수용공간 방향으로 휨이 발생하고, 상기 캡이 열릴 때 기본 상태로 복구되는, 친환경 용기.
  19. 외부케이스에 내부에 삽입되고, 캡에 의해 밀폐되는 친환경 용기에 있어서,
    파지부가 구비된 내부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파지부는,
    외부면 및 내부면에 형성된 파지홈을 포함하고, 상기 외부케이스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외부케이스의 상부로 적어도 일부가 노출되며, 상기 캡이 닫힐 때 휨이 발생하고, 상기 캡이 열릴 때 상기 캡을 밀면서 기본 상태로 복구되는, 친환경 용기.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케이스는,
    상기 내부케이스 외부면에 적어도 일부 높이까지 형성된 두 개의 고정홈,
    상기 내부케이스 상기 일부 높이부터 상기 고정홈에 대응하도록 형성된 두개의 고정슬릿을 포함하고,
    상기 파지부는 상기 일부 높이부터 상기 두개의 고정슬릿 사이에 위치하는, 친환경 용기.
PCT/KR2022/013372 2022-07-07 2022-09-06 친환경 용기 WO2024010136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20083954 2022-07-07
KR10-2022-0083954 2022-07-07
KR10-2022-0111437 2022-09-02
KR1020220111437A KR20240007039A (ko) 2022-07-07 2022-09-02 친환경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4010136A1 true WO2024010136A1 (ko) 2024-01-11

Family

ID=894537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2/013372 WO2024010136A1 (ko) 2022-07-07 2022-09-06 친환경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WO (1) WO2024010136A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02328A (ja) * 2001-06-22 2003-01-08 Kanebo Ltd 詰替え式容器
JP2004338764A (ja) * 2003-05-16 2004-12-02 Mk Tec:Kk 汁物密閉容器
JP2014504238A (ja) * 2010-12-13 2014-02-20 シーエスピー テクノロジーズ,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蓋の取付機構を有するバイアル
CN106697502B (zh) * 2017-01-23 2018-08-24 苏州市广济医院 样本储存装置及样本系统
US20190241345A1 (en) * 2012-02-28 2019-08-08 Clariant Healthcare Packaging (France) S.A.S. Container for receiving moisture sensitive goods
KR20200077506A (ko) * 2017-08-08 2020-06-30 씨에스피 테크놀로지스, 인크. 방습 용기, 방습 용기 제조 방법 및 방습 용기 사용 방법
KR20200124219A (ko) * 2017-12-30 2020-11-02 에어노브, 아이엔씨. 틈새를 가진 의료 및/또는 의약 제품들을 위한 용기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02328A (ja) * 2001-06-22 2003-01-08 Kanebo Ltd 詰替え式容器
JP2004338764A (ja) * 2003-05-16 2004-12-02 Mk Tec:Kk 汁物密閉容器
JP2014504238A (ja) * 2010-12-13 2014-02-20 シーエスピー テクノロジーズ,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蓋の取付機構を有するバイアル
US20190241345A1 (en) * 2012-02-28 2019-08-08 Clariant Healthcare Packaging (France) S.A.S. Container for receiving moisture sensitive goods
CN106697502B (zh) * 2017-01-23 2018-08-24 苏州市广济医院 样本储存装置及样本系统
KR20200077506A (ko) * 2017-08-08 2020-06-30 씨에스피 테크놀로지스, 인크. 방습 용기, 방습 용기 제조 방법 및 방습 용기 사용 방법
KR20200124219A (ko) * 2017-12-30 2020-11-02 에어노브, 아이엔씨. 틈새를 가진 의료 및/또는 의약 제품들을 위한 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0116869A1 (ko) 폴더블 영상표시장치의 보호케이스
WO2021137478A1 (ko) 탄성 부재
WO2015088175A1 (en) Headrest folding apparatus
WO2015142122A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WO2019009533A1 (ko) 프로파일 조립체
WO2020246740A2 (ko) 청소기
WO2020246730A1 (ko) 청소기
WO2019112396A1 (ko) 휴대폰 케이스
WO2020197238A1 (ko) 이어폰수납부를 구비한 스마트폰
WO2019146923A1 (ko) 청소기
WO2021010779A1 (ko) 용기마개 및 그가 결합된 용기
WO2022149843A1 (ko) 냉장고
WO2024010136A1 (ko) 친환경 용기
WO2021071348A1 (ko) 용기마개 및 그가 결합된 용기
WO2020130433A1 (ko) 햄버거 포장용기
WO2021091056A1 (ko) 블렌더
WO2019031897A1 (ko) 화장품 용기
WO2022114705A1 (en) Aerosol-generating device
WO2020246720A1 (ko) 청소기
WO2021145685A1 (ko) 소프트 그립헤드, 이를 포함하는 소프트 그립유닛, 및 소프트 그립유닛을 포함하는 그립장치
WO2023249215A1 (ko) 두부 보호 장비
WO2018155836A1 (ko) 이동단말기의 케이스
WO2022203460A1 (ko) 휴대용 가상 현실 장치
WO2022055007A1 (ko) 기체주입장치
WO2023219454A1 (ko) 포터블 기기 고정 디바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2950361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