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06856A - 건축용 갱폼 인양용 커넥팅 브라켓 및 이를 구비하는 건축용 갱폼 - Google Patents

건축용 갱폼 인양용 커넥팅 브라켓 및 이를 구비하는 건축용 갱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06856A
KR20240006856A KR1020220083650A KR20220083650A KR20240006856A KR 20240006856 A KR20240006856 A KR 20240006856A KR 1020220083650 A KR1020220083650 A KR 1020220083650A KR 20220083650 A KR20220083650 A KR 20220083650A KR 20240006856 A KR20240006856 A KR 202400068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lifting
gang form
connecting bracket
faste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836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연우
Original Assignee
이연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연우 filed Critical 이연우
Priority to KR10202200836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06856A/ko
Publication of KR202400068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06856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0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walls, e.g. curved end panels for wall shutterings; filler elements for wall shutterings; shutterings for vertical ducts
    • E04G11/20Movable forms; Movable forms for moulding cylindrical, conical or hyperbolical structures; Templates serving as forms for positioning blocks or the like
    • E04G11/28Climbing forms, i.e. forms which are not in contact with the poured concrete during lifting from layer to layer and which are anchored in the hardened concret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2005/008Hois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as part of a scaffold system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0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walls, e.g. curved end panels for wall shutterings; filler elements for wall shutterings; shutterings for vertical ducts
    • E04G2011/067Integrated forms comprising shuttering skin, bracing or strutting arrangements, workplatforms and railings

Abstract

본 발명은 건물 외벽(벽체)에 설치된 건축용 갱폼을 서로 결착하여 고정시켜줌으로써, 상부로 인양시 상기 갱폼의 추락 사고를 방지하여 작업자의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건축용 갱폼 인양용 커넥팅 브라켓 및 이를 구비하는 건축용 갱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건축용 갱폼 인양용 커넥팅 브라켓 및 이를 구비하는 건축용 갱폼 { Gang form lifting connecting bracket and gang form including the same }
본 발명은 건축용 갱폼 인양용 커넥팅 브라켓 및 이를 구비하는 갱폼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건물 외벽(벽체)에 설치된 갱폼을 서로 결착하여 고정시켜줌으로써, 상부로 인양시 작업하중 또는 풍하중에 의한 흔들림을 방지하고, 또한 갱폼의 추락 사고를 방지하여 작업자의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건축용 갱폼 인양용 커넥팅 브라켓 및 이를 구비하는 갱폼에 관한 것이다.
갱폼(Gang Form)은 주로 고층아파트와 같이 상하부가 동일한 단면 구조를 가지고 있는 건축물의 공사시 외부 벽체거푸집과 거푸집 설치·해체작업 및 미장·견출 작업발판용 케이지(Cage)를 일체로 제작하여 사용하는 대형거푸집을 의미한다.
상기 갱폼은 사용할 때마다 작은 부재의 조립, 분해를 반복하지 않고 대형화, 단순화하여 한번에 설치하고 해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주로 아파트 등 건축물의 외벽부위에 시공되고 있는 갱폼은 재래식 거푸집보다 한차원 높은 단계의 거푸집으로, 구성부재의 재질이 스틸(Steel)로 이루어져 있어 내구성이 우수하고 모든 제작이 공장에서 이루어지고 있으며, 별도의 현장제작공정이 필요하지 않다. 따라서 상기 갱폼은 현장관리가 용이하고, 비계설치가 불필요하며, 조립 및 해체작업이 용이하므로 공기의 단축이 가능하다
시공중인 건축물의 임의의 층에서 외벽의 시공이 완료된 후에는 상기 갱폼을 상부로 인양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갱폼을 상부로 인양하기 위해서는 인양수단이 마련된다. 즉, 하부 층의 벽체를 시공완료한 후에는 타워크레인에 연결된 와이어를 갱폼에 설치된 인양고리에 고정시킨 후, 벽체에 체결된 갱폼 고정볼트를 해체 후 인양하며, 인양된 갱폼은 고정볼트를 연결하여 갱폼을 고정하게 된다. 갱폼의 인양작업은 전술한 방법을 반복하여 시행하여 고층의 건축물을 시공하게 된다.
상기 갱폼의 인양과 관련된 종래기술로서,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4-0000651호에는 갱폼의 추락에 따른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풀림방지수단이 구비된 갱폼 안전 인양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고,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81023호에는 건물의 벽체를 형성하는 갱폼을 건물의 벽 체로부터 고정 설치하는 고정볼트가 갱폼에 부설된 안전고리에 크레인의 후크를 걸지 않은 상태에서 갱폼의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함에 따라 작업자의 부주의 또는 인위적으로 고정볼트를 풀어 해체하였을 때 발생하는 갱폼의 추락을 미리 방지하여 이에 따른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갱폼 인양용 안전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갱폼의 인양 안전장치들은 현재의 벽면에 부착되는 갱폼의 경우에는 건축물의 기본구조를 완성하고 제거한 후 다시 외벽 마감공사에 따른 갱폼을 브라켓에 장착하여 저층부터 인양하며 마감작업을 수행함으로써 갱폼의 이탈착, 안전팬스 등의 재설치와 같은 불필요한 작업이 많고 이로 인한 공기의 지연 및 부대비용의 증가와 같은 여러 가지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
특히 갱폼의 인양시 작업하중 또는 풍하중에 의해 흔들림이 발생하고, 이에 따라 종종 갱폼의 추락 사고가 발생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갱폼의 추락사고는 작업자들이 안전수칙을 무시하고 갱폼을 벽체에 고정하는 고정볼트를 모두 제거한 후에 동시에 실시함으로써 대단히 위험한 안전사고를 일으킬 수 있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본 발명은 건축용 갱폼 인양용 커넥팅 브라켓 및 이를 구비하는 건축용 갱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인접하는 갱폼을 서로 체결한 상태로 상부로 인양이 가능함으로써, 갱폼의 추락을 방지하고, 갱폼의 인양작업을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으며, 또한 갱폼의 설치 작업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건축용 갱폼 인양용 커넥팅 브라켓 및 이를 구비하는 건축용 갱폼에 대한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갱폼의 측면에 구비되는 건축용 갱폼 인양용 커넥팅 브라켓은, 직사각형의 형상을 갖는 몸체; 상기 몸체의 일측에 수직으로 구비되는 수직 장공; 상기 수직 장공의 최상부에 횡방향으로 구비되어 제 2 체결구가 이동하는 제 1 관통공; 상기 제 1 관통공의 말단부에 구비되는 제 1 안착공; 상기 제 1 관통공의 하부에 횡방향으로 구비되어 제 2 체결구가 이동하는 제 2 관통공; 상기 제 2 관통공의 말단부에 구비되는 제 2 안착공; 상기 수직 장공의 하부에 횡방향으로 구비되어 제 2 체결구가 이동하는 제 3 관통공; 상기 제 3 관통공의 말단부에 구비되는 제 3 안착공; 상기 제 1 관통공과 제 2 관통공 사이에 구비되어 인접한 건축용 갱폼 인양용 커넥팅 브라켓과 체결하기 위한 제 1 체결공; 상기 제 2 관통공과 제 3 관통공 사이에 구비되어 인접한 건축용 갱폼 인양용 커넥팅 브라켓과 체결하기 위한 복수의 제 2 체결공; 상기 제 3 관통공의 하부에 구비되어 인접한 건축용 갱폼 인양용 커넥팅 브라켓과 체결하기 위한 제 3 체결공; 상기 건축용 갱폼 인양용 커넥팅 브라켓을 서로 체결하기 위하여 상기 제 1 체결공과 복수의 제 2 체결공 및 제 3 체결공에 체결되는 제 1 체결구; 및 상기 제 3 안착공에 체결되어 인양시 상기 수직 장공을 따라 이동하는 제 2 체결구;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의 크기는 가로 100 내지 250 mm이고, 세로 500 내지 5,000 mm이며, 상기 제 1 관통공과 제 2 관통공 및 제 3 관통공은 수직 장공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좁아지는 테이퍼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제 1 관통공 및 제 2 관통공의 하부면과 수직 장공의 일측면이 이루는 각도(θ1)는 90 내지 100 °이며, 상기 제 3 관통공의 상부면과 수직 장공의 일측면이 이루는 각도(θ2)는 95 내지 120 °이며, 상기 제 1 안착공 및 제 2 안착공의 상부는 라운드진 형상이고, 하부면은 직선인 형상이며, 상기 제 3 안착공은 상부 및 하부가 라운드지는 형상을 갖고, 상기 몸체는 금속 판재로 형성되고, 그 두께는 5 내지 10 mm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갱폼은, 외부거푸집평판; 상기 외부거푸집평판의 일면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 장착된 수평지지대; 상기 수평지지대의 상부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 장착된 수직지지대; 상기 수직지지대의 상부에 구비되는 인양고리; 및 상기 외부거푸집평판의 좌우측에 부착되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갱폼 인양용 커넥팅 브라켓;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건축용 갱폼 인양용 커넥팅 브라켓에 의하면, 갱폼이 서로 체결된 상태로 인양이 가능하므로, 갱폼의 추락을 방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갱폼의 인양시에 추락에 따른 안전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건축용 갱폼은 좌우측에 무게 차이가 있을 수 있고, 이에 따라 건축물의 외벽에 설치시 하중이 편중되어 안정성이 저해될 수 있으나, 상기 건축용 갱폼이 서로 체결되어 건축물의 외벽에 설치되므로, 갱폼의 무게 편중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갱폼의 설치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건물 외벽의 시공 높이에 따라서, 신속하고 간편하게 인양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공사 시간 및 공사 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추가로 갖는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갱폼의 인양 구조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갱폼 인양용 커넥팅 브라켓(100)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갱폼 인양용 커넥팅 브라켓(100)을 구비하는 건축용 갱폼(200)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갱폼 인양용 커넥팅 브라켓(100)을 구비하는 건축용 갱폼(200)의 체결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갱폼 인양용 커넥팅 브라켓(100)을 구비하는 건축용 갱폼(200)의 인양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험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험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하의 실험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면에서는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갱폼을 건물의 시공 층수에 맞춰서 인양할 때 가장 일반적으로 쓰이는 방법은 타워크레인(Tower crane)을 이용하는 인양법으로써, 고층건물의 일측에 타워크레인을 설치한 후, 상기 타워크레인에 갱폼을 와이어 등으로 걸어서 필요한 높이만큼 인양한 후, 다시 고정 설치하여 갱폼을 재사용하게 된다.
타워크레인에 갱폼이 와이어로 매달려 있기 때문에 갑작스런 돌풍이 불 경우에는 갱폼이 흔들리면서 추락하거나, 갱폼에 매달려 작업하는 작업자들의 추락 위험이 항상 존재하는 등 여러 가지 문제점이 있었다.
통상의 갱폼은 고층 건물의 외벽을 시공하기 위한 구조물로서, 아파트 한 개 동을 시공하기 위해서는 약 20 내지 30개 정도의 갱폼이 요구되고, 이러한 갱폼 한 세트의 무게는 최대 3 내지 4 톤 정도이고, 높이는 최대 9 m에 이른다.
상기와 같은 갱폼을 이용하여 건물의 외벽공사를 할 시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정 높이에 상기 갱폼을 위치한 후, 타이 볼트(154)를 이용하여 갱폼을 시공 벽체(160)에 체결하고, 외벽공사를 진행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외벽공사를 마무리 한후에는 상기 갱폼에서 타이 볼트(154)를 풀어내어, 상기 갱폼을 시공 벽체(160)로부터 분리한 후, 도 1의 (a)와 같이 타워 크레인으로부터 하강된 클램퍼(153)에 인양고리(151)에 연결된 인양 와이어(152)를 체결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체결된 인양 와이어(152)를 타워크레인에서 인양함으로써, 도 1의 (b)와 같이 상기 갱폼을 한 세트씩 상부로 인양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상부로 인양된 갱폼은 다시 타이 볼트(154)를 이용하여 갱폼을 시공 벽체(160)에 고정한 후에 외벽공사를 진행하게 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갱폼의 인양시 작업자들이 작업의 편의성을 앞세워 모든 타이 볼트(154)를 동시에 해체시킨 상태에서 갱폼의 인양작업을 수행하는 경우가 빈번히 있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모든 타이 볼트(154)를 해체시키게 되면 3 내지 4톤의 갱폼이 시공된 외벽 콘크리트에 접착력만으로 붙어 있게 되기 때문에 인양작업 도중에 자중을 이기지 못하고 추락하는 사고가 빈번히 발생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좌우에 위치하는 갱폼을 서로 체결해주는 건축용 갱폼 인양용 커넥팅 브라켓(100) 및 이를 구비하는 건축용 갱폼(200)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갱폼의 인양시 서로 인접하는 갱폼을 서로 체결한 상태로 상부로 인양이 가능함으로써, 갱폼의 추락을 방지하고, 인양작업을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으며, 또한 갱폼의 설치 작업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건축용 갱폼 인양용 커넥팅 브라켓(100) 및 이를 구비하는 건축용 갱폼(200)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갱폼 인양용 커넥팅 브라켓(100) 및 이를 구비하는 건축용 갱폼(200)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첨부되는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갱폼의 인양 구조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갱폼 인양용 커넥팅 브라켓(100)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갱폼 인양용 커넥팅 브라켓(100)을 구비하는 건축용 갱폼(200)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갱폼 인양용 커넥팅 브라켓(100)을 구비하는 건축용 갱폼(200)의 체결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갱폼 인양용 커넥팅 브라켓(100)을 구비하는 건축용 갱폼(200)의 인양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갱폼 인양용 커넥팅 브라켓(1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사각형의 형상을 갖는 몸체(10); 상기 몸체(10)의 일측에 수직으로 구비되는 수직 장공(20); 상기 수직 장공(20)의 최상부에 횡방향으로 구비되어 제 2 체결구가 이동하는 제 1 관통공(30); 상기 제 1 관통공(30)의 말단부에 구비되는 제 1 안착공(40); 상기 제 1 관통공(30)의 하부에 횡방향으로 구비되어 제 2 체결구(55)가 이동하는 제 2 관통공(35); 상기 제 2 관통공(35)의 말단부에 구비되는 제 2 안착공(45); 상기 수직 장공(20)의 하부에 횡방향으로 구비되어 제 2 체결구(55)가 이동하는 제 3 관통공(37); 상기 제 3 관통공(37)의 말단부에 구비되는 제 3 안착공(47); 상기 제 1 관통공(30)과 제 2 관통공(35) 사이에 구비되어 인접한 건축용 갱폼 인양용 커넥팅 브라켓(100)과 체결하기 위한 제 1 체결공(60); 상기 제 2 관통공(35)과 제 3 관통공(37) 사이에 구비되어 인접한 건축용 갱폼 인양용 커넥팅 브라켓(100)과 체결하기 위한 복수의 제 2 체결공(65); 상기 제 3 관통공(37)의 하부에 구비되어 인접한 건축용 갱폼 인양용 커넥팅 브라켓(100)과 체결하기 위한 제 3 체결공(67); 상기 건축용 갱폼 인양용 커넥팅 브라켓(100)을 서로 체결하기 위하여 상기 제 1 체결공(60)과 복수의 제 2 체결공(65) 및 제 3 체결공(67)에 체결되는 제 1 체결구(50); 및 상기 제 3 안착공(47)에 체결되어 인양시 상기 수직 장공(20)을 따라 이동하는 제 2 체결구(55);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 2를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갱폼 인양용 커넥팅 브라켓(100)은, 직사각형의 형상을 갖는 몸체(10)를 구비한다.
상기 몸체(10)는 금속 판재로 형성될 수 있고, 또한, 상기 건축용 갱폼 인양용 커넥팅 브라켓(100)이 체결되는 건축용 갱폼(200)의 크기에 따라 가변적으로 변화될 수 있으나, 통상적인 건축용 갱폼(200)의 크기를 고려할 때 가로(w) 100 내지 250 mm이고, 세로(l) 500 내지 5,000 mm의 크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몸체(10)의 크기가 상기와 같을 때 상기 건축용 갱폼 인양용 커넥팅 브라켓(100)을 구비하는 건축용 갱폼(200)의 하중을 견딜 수 있는 크기를 갖게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10)를 구성하기 위한 금속 판재는 그 두께(t)가 5 내지 10 mm 인 것이 바람직하다. 앞에서 살핀 바와 같이 갱폼은 그 무게가 약 3 내지 4 톤 정도이고, 높이가 9 m에 이르므로, 상기 갱폼을 지지할 수 있는 몸체(10)는 그 두께(t)가 5 내지 10 mm 정도되어야 상기 건축용 갱폼(200)의 무게를 지탱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몸체(10)의 일측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으로 형성되는 수직 장공(20)을 구비하게 된다. 상기 수직 장공(20)은 이후에 설명하게 되는 좌우측에 위치하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갱폼 인양용 커넥팅 브라켓(100)의 체결하는 제 2 체결구(55)가 상하로 이동하기 위한 통로를 가리킨다.
즉,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갱폼 인양용 커넥팅 브라켓(100)의 일측에 구비되는 수직 장공(20)은 상기 건축용 갱폼(200)의 인양시 상기 좌우측에 구비되는 건축용 갱폼 인양용 커넥팅 브라켓(100)을 체결하는 제 1 체결구(50)는 모두 해체되고, 제 3 체결공(47)에 체결된 제 2 체결구(55)는 체결된 상태로 상기 수직 장공(20)을 이동하면서 상기 건축용 갱폼 인양용 커넥팅 브라켓(100)을 구비하는 건축용 갱폼(200)을 상부로 인양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수직 장공(20)의 최상부에는 횡방향으로 구비되어 제 2 체결구(55)가 이동할 수 있는 제 1 관통공(30)을 구비한다. 상기 제 1 관통공(30)은 외벽 공사가 진행되는 층의 높이로 인양된 건축용 갱폼(200)과 건축용 갱폼 인양용 커넥팅 브라켓(100)을 고정하기 위하여 제 2 체결구(55)가 이동하는 통로 역할을 하는 구성을 가리킨다.
상기와 같이 제 2 체결구(55)를 안착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 1 관통공(30)의 말단부에는 상기 제 2 체결구(55)가 삽입되어 안착되는 제 1 안착공(40)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제 1 관통공(30)의 하부에는 횡방향으로 구비되어 상기 제 2 체결구(55)가 이동하는 제 2 관통공(35)을 구비하고, 상기 제 2 관통공(35)은 건축물의 한 층의 높이가 다소 상이할 수 있으므로, 높이가 다소 낮은 층의 외벽을 공사하기 위하여 구비되는 것이다. 즉, 건축물의 층고가 다소 낮은 경우에는 상기 제 2 체결구(55)가 상기 제 2 관통공(35)을 통해 제 2 체결구(55)가 이동하여, 상기 제 2 관통공(35)의 말단부에 구비되는 제 2 안착공(45)에 안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 1 관통공(30) 및 제 2 관통공(35)은 수직 장공(20)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좁아지는 테이퍼 형상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와 같이 제 1 관통공(30) 및 제 2 관통공(35)이 수직 장공(20)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좁아지는 테이퍼 형상으로 구비됨으로써, 상기 제 1 관통공(30) 및 제 2 관통공(35)의 말단에 구비되는 제 1 안착공(40) 및 제 2 안착공(45)에 안착된 제 2 체결구(55)는 상기 제 1 안착공(40) 및 제 2 안착공(45)으로부터 빠져나오지 않고,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1 관통공(30) 및 제 2 관통공(35)의 하부면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 장공(20)과 이루는 각도(θ1)가 90 내지 100 °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관통공(30) 및 제 2 관통공(35)의 하부면과 수직 장공(20)의 일측면이 이루는 각도(θ1)는 90 내지 100 °인 경우에 상기 제 1 관통공(30) 및 제 2 관통공(35)을 통해 상기 제 1 안착공(40) 및 제 2 안착공(45)에 안착된 제 2 체결구(55)가 역행하여 상기 수직 장공(20)으로 탈락되어 빠져나오기가 어렵게 되어 상기 제 2 체결구(55)의 안정적인 안착상태를 유지가 용이하게 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 1 안착공(40) 및 제 2 안착공(45)의 형상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는 라운드진 형상이고, 하부면은 직선인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상기 제 1 안착공(40) 및 제 2 안착공(45)이 상부는 라운드진 형상이고, 하부면은 직선인 형상을 갖는 경우에 상기 제 2 체결구(55)의 상기 제 1 안착공(40) 및 제 2 안착공(45)으로의 이동은 용이하고, 또한 안착된 제 2 체결구(55)의 안착이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안착공(40) 및 제 2 안착공(45)은 시공중인 건축물의 하부에 건축용 갱폼 인양용 커넥팅 브라켓(100)을 구비하는 건축용 갱폼(200)을 안착하기 위한 구성으로써, 상기 제 2 체결구(55)를 상기 건축용 갱폼 인양용 커넥팅 브라켓(100)에 안정적으로 안착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 1 안착공(40) 및 제 2 안착공(45)의 형상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라운드진 형상이고, 하부면은 직선인 형상을 갖는 것이 상기 제 2 체결구(55)를 안정적으로 체결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브라켓(100)은 상기 수직 장공(20)의 하부에 횡방향으로 구비되어 제 2 체결구(55)가 이동하는 제 3 관통공(37)을 추가로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3 관통공(47)은 제 1 관통공(30) 및 제 2 관통공(35)과 동일하게 상기 제 2 체결구(55)가 이동하는 통로로서, 수직 장공(20)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좁아지는 테이퍼 형상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와 같이 제 3 관통공(37) 또한 수직 장공(20)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좁아지는 테이퍼 형상으로 구비됨으로써, 제 3 안착공(47)에 안착된 제 2 체결구(55)는 상기 제 3 안착공(47)으로부터 빠져나오지 않고,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다.
상기 제 3 관통공(37) 또한 상기 제 1 관통공(30) 및 제 2 관통공(35)과 동일하게 수직 장공(20)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좁아지는 테이퍼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고, 제 3 관통공(37)의 상부면은 수직 장공(20)과 이루는 각도(θ2)가 95 내지 120 °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3 관통공(37)의 상부면과 수직 장공(20)의 일측면이 이루는 각도(θ2)가 95 내지 120 °인 경우에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갱폼(200)이 상부로 인양되어 안착된 후, 상기 제 2 체결구(55)가 제 3 안착공(47)에 안착된 후, 상기 제 2 체결구(555)가 수직 장공(20)으로 탈락되어 상기 건축용 갱폼(200)이 하부로 추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 3 관통공(37)의 말단부에는 상기 제 2 체결구(55)가 안착되는 제 3 안착공(47)을 구비하게 된다. 상기 제 3 안착공(47)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로 인양된 건축용 갱폼(200)과 상기 건축용 갱폼(200)에 체결된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갱폼 인양용 커넥팅 브라켓(100)에 체결된 제 2 체결구(55)가 상기 제 3 관통공(37)을 경유하여 안착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갱폼 인양용 커넥팅 브라켓(100)은 인접하는 건축용 갱폼 인양용 커넥팅 브라켓(100)과 체결하기 위하여 체결공을 구비하게 된다.
즉, 상기 제 1 관통공(30)과 제 2 관통공(35) 사이에 구비되어 인접한 건축용 갱폼 인양용 커넥팅 브라켓(100)과 체결하기 위한 제 1 체결공(60)이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제 2 관통공(35)과 제 3 관통공(37) 사이에 구비되어 인접한 건축용 갱폼 인양용 커넥팅 브라켓(100)과 체결하기 위한 복수 개의 제 2 체결공(65)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 3 관통공(37)의 하부에 구비되어 인접한 건축용 갱폼 인양용 커넥팅 브라켓(100)을 체결하기 위한 제 3 체결공(67)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제 1 관통공(30)과 제 2 관통공(35) 사이에 구비되는 제 1 체결공(60)과, 상기 제 2 관통공(35)과 제 3 관통공(37) 사이에 구비되는 복수의 제 2 체결공(65) 및 상기 제 3 관통공(37)의 하부에 구비되어 인접한 건축용 갱폼 인양용 커넥팅 브라켓(100)과 체결하기 위한 제 3 체결공(67)을 통해 좌우측에 구비되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갱폼 인양용 커넥팅 브라켓(100)은 서로 체결되어 상기 건축용 갱폼 인양용 커넥팅 브라켓(100)을 구비하는 건축용 갱폼(200)을 서로 체결하여 시공중인 건축물의 외벽 공사를 진행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제 1 체결공(60)과 제 2 체결공(65) 및 제 3 체결공(67)을 통해 인접하는 건축용 갱폼 인양용 커넥팅 브라켓(100)을 체결함으로써, 상기 건축용 갱폼 인양용 커넥팅 브라켓(100)을 좌우측에 구비하는 건축용 갱폼(200) 또한 서로 체결되어 이후에 시공중인 건축물의 해당 층의 외벽공사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갱폼 인양용 커넥팅 브라켓(100)은 또한 상기 건축용 갱폼 인양용 커넥팅 브라켓(100)을 서로 체결하는 체결구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체결구는 상기 제 1 체결공(60)과 복수의 제 2 체결공(65) 및 제 3 체결공(67)에 체결되는 제 1 체결구(50) 및 상기 제 3 안착공(47)에 체결되어 인양시 상기 수직 장공(20)을 따라 이동한 후에 제 1 안착공(40) 또는 제 2 안착공(45)에 안착되는 제 2 체결구(55)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제 1 체결공(60)과 복수의 제 2 체결공(65) 및 제 3 체결공(67)에 체결되는 제 1 체결구(50)는 통상의 볼트와 너트 등으로 이루어 질 수 있고, 상기 제 1 체결구(50)는 좌우에 인접하는 건축용 갱폼 인양용 커넥팅 브라켓(100)을 체결함으로써, 좌우측에 상기 건축용 갱폼 인양용 커넥팅 브라켓(100)을 구비하는 인접하는 건축용 갱폼(200)을 서로 체결되게 된다.
상기 제 1 체결구(50)는 해당 층의 공사시에는 상기 제 1 체결공(60)과 복수의 제 2 체결공(65) 및 제 3 체결공(67)에 체결되어 인접하는 건축용 갱폼(200)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게 된다.
시공중인 건축물의 외벽 공사가 완료되어 상기 건축용 갱폼(200)을 상부로 인양할 시에는 상기 제 1 체결구(50)는 완전히 풀어 모두 해체됨으로써 상기 건축용 갱폼(200)의 상부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 3 안착공(47)에 체결되어 인양시 상기 수직 장공(20)을 따라 이동한 후 제 1 안착공(40) 또는 제 2 안착공(45)에 안착되는 제 2 체결구(55) 또한 통상의 볼트와 너트 등으로 이루어 질 수 있다. 상기 제 2 체결구(55)는 건축용 갱폼(200)의 인양시 상기 제 2 체결구(55)를 풀어 완전히 해체하지 않고, 상기 건축용 갱폼 인양용 커넥팅 브라켓(100)이 이동할 수 있을 정도의 유격을 갖는 정도로 풀어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제 2 체결구(55)는 건축용 갱폼(200)의 인양시 완전 풀어 해체되지 않고, 상기 건축용 갱폼 인양용 커넥팅 브라켓(100)이 이동할 수 있을 정도의 유격을 갖는 정도로 풀어짐으로써, 상기 건축용 갱폼(200)의 인양시에도 제 2 체결구(55)는 여전히 좌우에 인접한 상기 건축용 갱폼 인양용 커넥팅 브라켓(100)에 함께 체결되어 있는 상태이다.
즉, 상기 제 2 체결구(55)는 건축용 갱폼 인양용 커넥팅 브라켓(100)이 이동할 수 있을 정도의 유격을 갖는 정도로 풀어지되, 완전히 해체되지 않음으로써, 여전히 좌우에 인접한 상기 건축용 갱폼 인양용 커넥팅 브라켓(100)에 함께 체결되어 있다.
따라서 여러 요인에 의해 인양중인 건축용 갱폼(200)이 추락하게 되어도 인접된 건축용 갱폼(200)에 제 2 체결구(55)를 통해 체결되어 있어 상기 건축용 갱폼(200)의 추락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건축용 갱폼(55)을 인양한 후에는 상기 제 2 체결구(55)를 건축물의 층고에 따라 제 1 안착공(40) 또는 제 2 안착공(45)에 상기 안착시킨 후, 상기 제 2 체결구(55)를 체결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제 2 체결구(55)를 체결한 후에는 상기 제 1 체결공(60)과 제 2 체결공(65) 및 제 3 체결공(67)을 체결함으로써, 상기 갱폼의 인양을 마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건축용 갱폼(200)의 인양을 마친 후에는 작업자가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앵커볼트를 벽체에 고정함으로써, 상기 건축용 갱폼(200)의 인양을 종료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인양작업을 반복함으로써, 상기 건축용 갱폼(200)을 시공중인 건축물의 최고층까지 안전하게 인양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건축용 갱폼(20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거푸집평판(210)과, 상기 외부거푸집평판(210)의 일면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 장착된 수평지지대(220), 상기 수평지지대(220) 상부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 장착된 수직지지대(240) 및 상기 수직지지대(240)의 상부에 구비되는 인양고리(2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부거푸집평판(210)은 시공중인 건축물의 벽면에 면접하는 평판으로서, 평평한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수평지지대(220)는 상기 외부거푸집평판(210)의 일면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가 구비될 수 있고, 이때, 상기 수평지지대(220)는 외부거푸집평판(210)을 가로질러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수평지지대(220)는 사각 단면을 포함한 다양한 형상의 파이프일 수 있다. 이러한 수평지지대(220)는 외부거푸집평판(210)에 용접으로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수직지지대(240)는 상기 수평지지대(220)의 상부에 교차되어 배치되고, 일정 간격으로 다수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수직지지대(240)는 사각 단면을 포함한 다양한 형상의 파이프일 수 있다. 이때, 수평지지대(220)는 수직지지대(240)와 용접으로 부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수직지지대(240)의 상부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양고리(25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인양고리(250)는 타워 크레인으로부터 하강된 인양 와이어(152)에 체결되어 상기 건축용 갱폼(200)을 인양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갱폼 인양용 커넥팅 브라켓(100);을 구비하는 건축용 갱폼(200)을 인양하는 방법을 살펴보면, 먼저 벽면의 시공이 완료된 층에 설치된 건축용 갱폼(200)의 상부에 구비되는 인양고리(250)에 타워크레인으로 연장되는 인양 와이어(152)를 체결한다.
상기와 같이 인양 와이어(152)를 인양고리(250)에 체결한 후에는 상기 건축용 갱폼(200)과 벽면에 고정된 타이 볼트를 풀어서 상기 건축용 갱폼(200)을 시공 벽체(160와 분리하게 된다.
이후에는 상기 건축용 갱폼 인양용 커넥팅 브라켓(100)을 체결하고 있는 체결구 중 상기 제 1 체결공(60)과 복수의 제 2 체결공(65) 및 제 3 체결공(67)에 체결되는 제 1 체결구(50)를 해체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 1 체결구(50)는 풀어서 완전히 해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제 1 체결구(50)를 해체한 후에는 체결되어 제 3 안착공(47)에 안착되어 있는 제 2 체결구(55)를 풀게 된다. 이때 상기 제 2 체결구(55)는 풀어서 완전 해체하는 것이 아닌, 상기 건축용 갱폼 인양용 커넥팅 브라켓(100)이 이동할 수 있을 정도의 유격을 갖는 정도로 풀어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제 2 체결구(55)는 건축용 갱폼(200)의 인양시 완전 풀어 해체되지 않고, 상기 건축용 갱폼 인양용 커넥팅 브라켓(100)이 이동할 수 있을 정도의 유격을 갖는 정도로 풀어짐으로써, 상기 건축용 갱폼(200)의 인양시에도 제 2 체결구(55)는 여전히 좌우에 인접한 상기 건축용 갱폼 인양용 커넥팅 브라켓(100)에 함께 체결되어 있는 상태이다.
이와 같이, 상기 제 2 체결구(55)는 완전히 해체하지 않고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갱폼 인양용 커넥팅 브라켓(100)을 상부로 인양할 수 있을 정도의 유격이 발생할 만큼 풀어짐으로써, 상기 제 2 체결구(55)는 상기 제 3 안착공(47)에서 탈거되어 수직 장공(20)을 따라 상부로 이동하여 제 1 관통공(30)을 따라 이동하여 제 1 안착공(40)에 안착되거나 또는 제 2 관통공(35)을 따라 이동하여 인접하는 건축용 갱폼 인양용 커넥팅 브라켓(100)에 구비되는 제 2 안착공(45)에 안착된다.
상기와 같이 제 2 체결구(55)를 인양하여 인접한 건축용 갱폼 인양용 커넥팅 브라켓(100)에 구비되는 제 1 안착공(40) 또는 제 2 안착공(45)에 안착시킨 후에는 건축용 갱폼(200)을 인양하여 상부 층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일측의 건축용 갱폼(200)이 상부 층으로 인양된 후에는 상기 인양된 건축용 갱폼(200)의 좌우측에 구비되는 건축용 갱폼(200)을 상부로 인양하게 된다.
상기 건축용 갱폼(200)의 인양방법은 먼저 인양된 건축용 갱폼(200)의 인양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인양하게 된다.
이와 같이 좌우측의 갱폼이 모두 상부층으로 인양된 후에는 제 1 체결구(50)와 제 2 체결구(55)를 모두 체결하게 됨으로써, 상기 건축용 갱폼(200)의 인양을 마치게 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제 2 체결구(55)는 건축용 갱폼 인양용 커넥팅 브라켓(100)이 이동할 수 있을 정도의 유격을 갖는 정도로 풀어지되, 완전히 해체되지 않음으로써, 여전히 좌우에 인접한 상기 건축용 갱폼 인양용 커넥팅 브라켓(100)에 함께 체결되어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갱폼(200)은 여러 요인에 의해 인양중인 건축용 갱폼(200)이 추락하게 되어도 인접된 건축용 갱폼(200)에 제 2 체결구(55)에 의해 체결되어 있어 상기 건축용 갱폼(200)의 추락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갱폼 인양용 커넥팅 브라켓(100);을 포함하는 건축용 갱폼(200)의 인양시에는 인양고리(250)에 인양 와이어(152)를 체결한 후에 타워크레인을 이용하여 상부로 인양하게 된다.
이때 상기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갱폼 인양용 커넥팅 브라켓(100);을 포함하는 건축용 갱폼(200)은 제 1 체결구(50)에 의해 좌우에 구비되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갱폼 인양용 커넥팅 브라켓(100);을 포함하는 건축용 갱폼(200)과 체결되어 있어 상기 인양 와이어(152)로부터 상기 건축용 갱폼(200)이 탈락되어도 인접한 건축용 갱폼(200)에 의해 추락되지 않고, 인접한 건축용 갱폼(200)에 매달려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복수로 구비되는 제 1 체결구(50)를 체결한 후에는 제 2 체결구(55)를 체결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제 2 체결구(55)의 체결이 완료되면, 이후에 안전발판 및 승강사다리 등을 설치하고 건축물의 벽면 공사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살펴본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갱폼 인양용 커넥팅 브라켓(100)에 의하면, 갱폼이 서로 연결되어 갱폼의 추락을 방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갱폼의 인양시에 추락에 따른 안전 사고를 방지할 수 있고, 갱폼들의 수평을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갱폼의 설치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또한, 건물 외벽의 시공 높이에 따라서, 신속하고 간편하게 인양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공사 시간 및 공사 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추가로 갖는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험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험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고,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 몸체
20 : 수직 장공
30 : 제 1 관통공
35 : 제 2 관통공
37 : 제 3 관통공
40 : 제 1 안착공
45 : 제 2 안착공
47 : 제 3 안착공
100 : 건축용 갱폼 인양용 커넥팅 브라켓
200 : 건축용 갱폼

Claims (5)

  1. 건축용 갱폼의 측면에 구비되는 건축용 갱폼 인양용 커넥팅 브라켓으로써,
    직사각형의 형상을 갖는 몸체;
    상기 몸체의 일측에 수직으로 구비되는 수직 장공;
    상기 수직 장공의 최상부에 횡방향으로 구비되어 제 2 체결구가 이동하는 제 1 관통공;
    상기 제 1 관통공의 말단부에 구비되는 제 1 안착공;
    상기 제 1 관통공의 하부에 횡방향으로 구비되어 제 2 체결구가 이동하는 제 2 관통공;
    상기 제 2 관통공의 말단부에 구비되는 제 2 안착공;
    상기 수직 장공의 하부에 횡방향으로 구비되어 제 2 체결구가 이동하는 제 3 관통공;
    상기 제 3 관통공의 말단부에 구비되는 제 3 안착공;
    상기 제 1 관통공과 제 2 관통공 사이에 구비되어 인접한 건축용 갱폼 인양용 커넥팅 브라켓과 체결하기 위한 제 1 체결공;
    상기 제 2 관통공과 제 3 관통공 사이에 구비되어 인접한 건축용 갱폼 인양용 커넥팅 브라켓과 체결하기 위한 복수의 제 2 체결공;
    상기 제 3 관통공의 하부에 구비되어 인접한 건축용 갱폼 인양용 커넥팅 브라켓과 체결하기 위한 제 3 체결공;
    상기 건축용 갱폼 인양용 커넥팅 브라켓을 서로 체결하기 위하여 상기 제 1 체결공과 복수의 제 2 체결공 및 제 3 체결공에 체결되는 제 1 체결구; 및
    상기 제 3 안착공에 체결되어 인양시 상기 수직 장공을 따라 이동하는 제 2 체결구;를 포함하는 건축용 갱폼 인양용 커넥팅 브라켓.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크기는 가로 100 내지 250 mm이고, 세로 500 내지 5,000 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갱폼 인양용 커넥팅 브라켓.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 관통공과 제 2 관통공 및 제 3 관통공은 수직 장공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좁아지는 테이퍼 형상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갱폼 인양용 커넥팅 브라켓.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금속 판재로 형성되고, 그 두께(t)는 5 내지 10 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갱폼 인양용 커넥팅 브라켓.
  5. 건축용 갱폼으로써,
    외부거푸집평판;
    상기 외부거푸집평판의 일면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 장착된 수평지지대;
    상기 수평지지대의 상부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 장착된 수직지지대;
    상기 수직지지대의 상부에 구비되는 인양고리; 및
    상기 외부거푸집평판의 좌우측에 부착되는 청구항 1 내지 4 중 어느 한 항의 건축용 갱폼 인양용 커넥팅 브라켓;을 포함하는 건축용 갱폼.

KR1020220083650A 2022-07-07 2022-07-07 건축용 갱폼 인양용 커넥팅 브라켓 및 이를 구비하는 건축용 갱폼 KR2024000685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3650A KR20240006856A (ko) 2022-07-07 2022-07-07 건축용 갱폼 인양용 커넥팅 브라켓 및 이를 구비하는 건축용 갱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3650A KR20240006856A (ko) 2022-07-07 2022-07-07 건축용 갱폼 인양용 커넥팅 브라켓 및 이를 구비하는 건축용 갱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06856A true KR20240006856A (ko) 2024-01-16

Family

ID=897196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3650A KR20240006856A (ko) 2022-07-07 2022-07-07 건축용 갱폼 인양용 커넥팅 브라켓 및 이를 구비하는 건축용 갱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06856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0346421B2 (en) Scaffold and methods for installing or removing such a scaffold
KR100731315B1 (ko) 갱폼 가이드부재 및 이를 이용한 이동용 거푸집 시스템
EP3037605A1 (en) High-rise building and maintenance method therefor
KR200425807Y1 (ko) 인양형 갱폼
JP6603824B2 (ja) 多層階建屋解体時の上方飛散防止養生システム及び上方飛散防止養生方法
KR200425806Y1 (ko) 갱폼 추락방지 브라켓
KR200413527Y1 (ko) 갱폼 추락방지구
KR20070000811U (ko) 갱폼 상승유도기
KR101101941B1 (ko) 갱폼의 인양 레벨 유지 및 추락방지장치
KR20240006856A (ko) 건축용 갱폼 인양용 커넥팅 브라켓 및 이를 구비하는 건축용 갱폼
EP3006647A1 (en) High-rise building and maintenance method therefor
KR100660426B1 (ko) 갱폼 추락방지구
JP7369090B2 (ja) シャフト壁ユニット
JP6842738B1 (ja) 吊り足場
KR101113274B1 (ko) 갱폼 어셈블리
KR100812262B1 (ko) 추락방지장치가 구비된 갱폼 및 이를 이용한 철근콘크리트구조물의 시공방법
JP6661142B1 (ja) 吊り足場
KR100934376B1 (ko) 상승 및 하강 가능한 승강 작업대 및 그 이동 방법
JP4027170B2 (ja) 外部足場装置及び外部足場装置の施工方法
KR200435107Y1 (ko) 개방 구조물 시공용 갱폼
KR100982277B1 (ko) 갱폼 추락 방지장치
JPH10292619A (ja) 大空間対応吊り足場構築システムに用いるセルフクライミング吊り足場ユニット
KR100788813B1 (ko) 개방 구조물 시공용 갱폼
JP2013129961A (ja) 鉄骨階段の仮止め固定方法と、鉄骨階段支持用のパイプサポート
KR200432806Y1 (ko) 개방 구조물 시공용 갱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