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05005A - 방호관 장착기, 방호관 장착장치 및 방호관 장착방법 - Google Patents

방호관 장착기, 방호관 장착장치 및 방호관 장착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05005A
KR20240005005A KR1020237041999A KR20237041999A KR20240005005A KR 20240005005 A KR20240005005 A KR 20240005005A KR 1020237041999 A KR1020237041999 A KR 1020237041999A KR 20237041999 A KR20237041999 A KR 20237041999A KR 20240005005 A KR20240005005 A KR 202400050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protective tube
mounting device
zipper
protec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419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토모히로 오리카와
Original Assignee
나가키 세이키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가키 세이키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나가키 세이키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400050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05005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overhead lines or cab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Landscapes

  • Suspension Of Electric Lines Or Cables (AREA)
  • Electric Cable Installation (AREA)
  • Laying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utside (AREA)
  • Details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방호관의 지퍼부 상태를 용이하게 비결합 상태에서 결합 상태로 전환 가능한 방호관 장착기, 방호관 장착장치 및 방호관 장착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방호관 장착기는 전선에 장착되는 방호관 지퍼부의 제1 방향으로의 이동을 가이드하고, 지퍼부 상태를 비결합 상태에서 결합 상태로 전환하는 지퍼 가이드; 지퍼 가이드가 배치되는 베이스; 및 지퍼부가 지퍼 가이드에서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스토퍼면을 가지며, 방호관 본체부의 제1 방향으로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본체부 가이드;를 구비함으로써 과제를 해결할 수 있다.

Description

방호관 장착기, 방호관 장착장치 및 방호관 장착방법
본 발명은 방호관 장착기, 방호관 장착장치 및 방호관 장착방법에 관한 것이다.
가공 전선 등의 전선에 방호관을 장착하는 기술이 알려져 있다.
관련 기술로서, 특허문헌 1에는 간이형 방호관 삽입기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간이형 방호관 삽입기는 가공 전선을 사이에 끼우는 전선 끼움부; 가공 전선에 닿는 전선 받이부; 전선 받이부에 세워서 설치되며 방호관의 슬릿 내에 파고들어가는 삽입판; 및 방호관 내벽에 슬라이딩 접촉하여 가이드하는 가이드 레일;을 구비한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9-205232호
본 발명의 목적은 방호관의 지퍼부 상태를 비결합 상태에서 결합 상태로 용이하게 전환 가능한 방호관 장착기, 방호관 장착장치 및 방호관 장착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아래에 제시하는 방호관 장착기, 방호관 장착장치 및 방호관 장착방법에 관한 것이다.
(1) 전선에 장착되는 방호관의 지퍼부의 제1 방향으로의 이동을 가이드하고, 상기 지퍼부의 상태를 비결합 상태에서 결합 상태로 전환하는 지퍼 가이드;
상기 지퍼 가이드가 배치되는 베이스; 및
상기 지퍼부가 상기 지퍼 가이드에서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스토퍼면을 가지며, 상기 방호관의 본체부의 상기 제1 방향으로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본체부 가이드;를 구비하는, 방호관 장착기.
(2) 상기 본체부 가이드는 상기 베이스에 대해 위치 조정 가능한, 상기 (1)에 기재된 방호관 장착기.
(3) 상기 베이스에서 상기 스토퍼면으로 향하는 방향을 제2 방향으로 정의할 때, 상기 본체부 가이드는 상기 제2 방향에 평행한 방향으로 단계 형식으로 위치 조정 가능한, 상기 (2)에 기재된 방호관 장착기.
(4) 상기 제1 방향과 반대인 방향을 제3 방향으로 정의할 때, 상기 본체부 가이드는 상기 스토퍼면보다 상기 제3 방향측으로 배치되는 방호관 유도면을 가지며,
상기 방호관 유도면은 상기 제3 방향을 향함에 따라 상기 방호관이 지나는 궤도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진 경사면인, 상기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방호관 장착기.
(5) 상기 본체부 가이드는 제1 가이드; 및 상기 제1 가이드보다 상기 제1 방향측으로 배치되는 제2 가이드;를 포함하는, 상기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방호관 장착기.
(6) 상기 제1 가이드와 상기 베이스 사이에는 상기 전선이 통과 가능한 제1 개구부가 설치되고,
상기 제2 가이드와 상기 베이스 사이에는 상기 전선이 통과 가능한 제2 개구부가 설치되고,
상기 제1 방향을 따르는 방향에서 봤을 때, 상기 제1 개구부는 상기 제2 개구부의 반대측에 배치되어 있는, 상기 (5)에 기재된 방호관 장착기.
(7) 상기 제1 가이드의 상기 제1 방향측 끝과, 상기 제2 가이드의 상기 제1 방향의 반대방향측 끝 사이의 상기 제1 방향을 따르는 방향에서의 거리는 10mm 이상인, 상기 (6)에 기재된 방호관 장착기.
(8) 상기 제1 가이드는 상기 제2 가이드와 독립적으로 상기 베이스에 대해 위치 조정 가능한, 상기 (5) 내지 (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방호관 장착기.
(9) 상기 전선을 파지 가능한 전선 파지구에 연결되는 가요성 부재를 유지하는 제1 유지부를 더 구비하는, 상기 (1) 내지 (8)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방호관 장착기.
(10) 상기 (1) 내지 (9)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방호관 장착기; 및
상기 방호관 장착기에 가요성 부재를 통해 연결되는 방호관 유도기;를 구비하는, 방호관 장착장치.
(11) 전선에 방호관 유도기를 장착하는 장착 공정;
방호관 장착기가 상기 전선을 수용하도록 상기 전선에 상기 방호관 장착기를 배치하는 배치 공정; 및
지퍼부를 갖는 방호관을 상기 방호관 유도기 및 상기 방호관 장착기의 양쪽을 따라 이동시키는 이동 공정;을 구비하고,
상기 이동 공정은,
상기 방호관 유도기에서 상기 전선 주위로 상기 방호관을 이동시키는 것;
상기 전선 주위에 배치된 상기 방호관을, 상기 방호관 장착기의 지퍼 가이드와 상기 방호관 장착기의 스토퍼면 사이의 공간으로 삽입하는 것; 및
상기 지퍼부를 제1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지퍼부의 상태를 비결합 상태에서 결합 상태로 전환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호관 장착방법.
본 발명에 의해, 방호관의 지퍼부 상태를 비결합 상태에서 결합 상태로 용이하게 전환 가능한 방호관 장착기, 방호관 장착장치 및 방호관 장착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방호관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개략 사시도이다.
도 2는 제1 실시형태의 방호관 장착기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개략 사시도이다.
도 3은 제1 실시형태의 방호관 장착기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개략 2면도이다.
도 4는 제1 실시형태의 변형예에 따른 방호관 장착기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개략 사시도이다.
도 5는 제1 실시형태의 방호관 장착기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개략 2면도이다.
도 6은 제2 실시형태의 방호관 장착기를 비스듬하게 전방측에서 봤을 때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7은 제2 실시형태의 방호관 장착기를 비스듬하게 후방측에서 봤을 때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8은 제2 실시형태의 방호관 장착기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개략 정면도이다.
도 9는 제2 실시형태의 방호관 장착기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개략 정면도이다.
도 10은 제2 실시형태의 방호관 장착기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개략 측면도이다.
도 11은 제2 실시형태의 방호관 장착기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개략 평면도이다.
도 12는 제2 실시형태의 방호관 장착기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개략 측면도이다.
도 13은 제2 실시형태의 방호관 장착기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개략 저면도이다.
도 14는 제3 실시형태의 방호관 장착장치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개략 사시도이다.
도 15는 실시형태의 방호관 장착방법의 일 공정을 실행중인 모습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개략 측면도이다.
도 16은 실시형태의 방호관 장착방법의 일 공정을 실행중인 모습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개략 측면도이다.
도 17은 실시형태의 방호관 장착방법의 일 공정을 실행중인 모습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개략 측면도이다.
도 18은 실시형태의 방호관 장착방법의 일례를 나타낸 플로우차트이다.
도 19는 실시형태의 변형예에 따른 방호관 장착기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개략 2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실시형태의 방호관 장착기(1), 방호관 장착장치(100) 및 방호관 장착방법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동종 기능을 갖는 부재에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호가 붙어 있다. 그리고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호가 붙은 부재에 대해서는 반복 설명이 생략되는 경우가 있다.
(방향의 정의)
도 2 등에 예시된 바와 같이, 본 명세서에서 전선(W)에 장착되는 방호관(9)의 지퍼부(92)의 이동방향을 제1 방향(DR1)으로 정의한다. 또한 제1 방향(DR1)과는 반대인 방향을 제3 방향(DR3)으로 정의한다. 방호관 장착기(1)의 베이스(3)의 길이방향은 제1 방향(DR1)(또는 제3 방향(DR3))과 평행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방호관 장착기(1)의 베이스(3)에서 방호관 장착기(1)의 스토퍼면(430)으로 향하는 방향을 제2 방향(DR2)으로 정의한다. 제2 방향(DR2)은 예를 들면 제1 방향(DR1)에 수직인 방향이다. 도 2에 기재된 예에서 제2 방향(DR2)은 방호관(9)의 복부(91w)에서 방호관(9)의 등부(91u)로 향하는 방향과 평행하다.
 본 명세서에서 방호관(9)의 제1 리브(92a)에서 방호관(9)의 제2 리브(92b)로 향하는 방향(바꿔 말하면, 제1 리브 가이드(20a)에서 제2 리브 가이드(20b)로 향하는 방향)을 제4 방향(DR4)으로 정의한다. 제4 방향(DR4)은 예를 들면 제1 방향(DR1) 및 제2 방향(DR2) 양쪽에 수직인 방향이다.
(제1 실시형태)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제1 실시형태의 방호관 장착기(1A)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방호관(9)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개략 사시도이다. 도 2는 제1 실시형태의 방호관 장착기(1A)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개략 사시도이다. 도 3은 제1 실시형태의 방호관 장착기(1A)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개략 2면도이다. 도 3의 좌측에는 개략 정면도가 기재되어 있고, 도 3의 우측에는 개략 측면도가 기재되어 있다. 도 4는 제1 실시형태의 변형예에 따른 방호관 장착기(1A)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개략 사시도이다. 도 5는 제1 실시형태의 방호관 장착기(1A)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개략 2면도이다. 도 5의 좌측에는 개략 정면도가 기재되어 있고, 도 5의 우측에는 개략 측면도가 기재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여 방호관(9)의 일례에 대해 설명한다. 방호관(9)은 전선을 감싸도록 전선에 장착됨으로써 전선을 보호한다. 방호관(9)은 탄성 변형 가능한 재료로 형성된다. 방호관(9)은 예를 들면 수지제이다.
방호관(9)은 본체부(90) 및 지퍼부(92)를 갖는다. 지퍼부(92)가 비결합 상태(도 1 참조)일 때, 본체부(90)의 길이방향에 수직인 단면에서, 본체부(90)는 대략 C자 형상을 갖는다. 본체부(90)는 지퍼부(92)가 결합 상태일 때, 방호관(9)의 길이방향에 수직인 단면에서, 본체부(90)는 대략 원형 형상을 갖는다. 한편, 도 2에 기재된 예에서 본체부(90)의 길이방향은 제1 방향(DR1)에 평행하다.
도 1에 기재된 예에서 본체부(90)는 전선이 통과 가능한 슬릿(SL)이 형성된 복부(91w); 및 본체부(90)의 길이방향 중심축에 대해 복부(91w)와는 반대측에 배치되는 등부(91u);를 갖는다. 지퍼부(92)가 비결합 상태일 때 슬릿(SL)은 열려 있고, 지퍼부(92)가 결합 상태일 때 슬릿(SL)은 닫힌다.
지퍼부(92)는 제1 리브(92a) 및 제2 리브(92b)를 갖는다. 제1 리브(92a)는 본체부(9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다. 제1 리브(92a)의 기단(920a)은 본체부(90)(보다 구체적으로는 단면이 대략 C자 형상인 제1 단부)에 접속되어 있고, 제1 리브(92a)의 선단(921a)은 자유단이다. 제2 리브(92b)는 본체부(9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다. 제2 리브(92b)의 기단(920b)은 본체부(90)(보다 구체적으로는 단면이 대략 C자 형상인 제2 단부)에 접속되어 있고, 제2 리브(92b)의 선단(921b)은 자유단이다.
제1 리브(92a)는 제1 끼움결합부(925a)를 가지며, 제2 리브(92b)는 제1 끼움결합부(925a)에 끼움결합 가능한 제2 끼움결합부(925b)를 갖는다. 도 1에 기재된 예에서 제1 끼움결합부(925a)는 끼움결합 오목부이고, 제2 끼움결합부(925b)는 끼움결합 볼록부이다. 대안적으로, 제1 끼움결합부(925a)가 끼움결합 볼록부이고, 제2 끼움결합부(925b)가 끼움결합 오목부여도 된다.
이어서,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제1 실시형태의 방호관 장착기(1A)의 일례에 대해 설명한다. 방호관 장착기(1A)는 지퍼부(92)의 상태를 비결합 상태에서 결합 상태로 전환할 수 있는 기구이다. 도 2에 기재된 예에서 방호관 장착기(1A)는 지퍼 가이드(2), 베이스(3) 및 본체부 가이드(4)를 구비한다.
지퍼 가이드(2)는 전선(W)에 장착되는 방호관(9)의 지퍼부(92)의 제1 방향(DR1)으로의 이동을 가이드한다. 또한 지퍼 가이드(2)는 지퍼부(92)의 상태를 비결합 상태에서 결합 상태로 전환한다. 한편, 비결합 상태는 제1 끼움결합부(925a)와 제2 끼움결합부(925b) 사이의 끼움결합이 해제된 상태를 의미하고, 결합 상태는 제1 끼움결합부(925a)와 제2 끼움결합부(925b)가 끼움결합된 상태를 의미한다.
도 3에 기재된 예에서 지퍼 가이드(2)는 제1 가이드 롤러(21a) 및 제2 가이드 롤러(21b)를 포함하는 복수의 가이드 롤러(21)를 갖는다. 도 3에 기재된 예에서는 지퍼부(92)가 제1 가이드 롤러(21a)와 제2 가이드 롤러(21b) 사이를 통과할 때, 지퍼부(92)의 상태가 비결합 상태에서 결합 상태로 전환된다.
대안적으로, 도 4에 예시된 바와 같이 지퍼 가이드(2)는 지퍼부(92)를 가이드 가능한 오목부(23)에 의해 구성되어도 된다. 도 4에 기재된 예에서 지퍼 가이드(2)는 제1 방향(DR1)을 향함에 따라 폭이 작아지는 오목부(23)를 갖는다. 이 경우, 지퍼부(92)가 오목부(23)를 따라 제1 방향(DR1)으로 이동할 때, 제1 리브(92a)가 오목부(23)의 제1 측면(23a)에 의해 제2 리브(92b)측으로 눌리고, 제2 리브(92b)가 오목부(23)의 제2 측면(23b)에 의해 제1 리브(92a)측으로 눌린다. 이렇게 하여 지퍼 가이드(2)는 지퍼부(92)의 상태를 비결합 상태에서 결합 상태로 전환한다.
지퍼 가이드(2)는 제1 리브(92a)에 맞닿는 제1 리브 가이드(20a); 및 제2 리브(92b)에 맞닿는 제2 리브 가이드(20b)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방호관(9)이 제1 방향(DR1)으로 이동할 때, 방호관(9)이 횡방향(보다 구체적으로는 제4 방향(DR4)에 평행한 방향)으로 사행하는 것이 방지되거나 억제된다. 도 3에 기재된 예에서는 제1 가이드 롤러(21a)가 제1 리브 가이드(20a)로 기능하고, 제2 가이드 롤러(21b)가 제2 리브 가이드(20b)로 기능한다. 또한 도 4에 기재된 예에서는 오목부(23)의 제1 측면(23a)이 제1 리브 가이드(20a)로 기능하고, 오목부(23)의 제2 측면(23b)이 제2 리브 가이드(20b)로 기능한다.
지퍼 가이드(2)는 베이스(3)에 배치된다. 도 3에 기재된 예에서 지퍼 가이드(2)는 베이스(3)에 장착되고 베이스(3)에 의해 지지된다. 대안적으로, 도 4에 예시된 바와 같이 지퍼 가이드(2)는 베이스(3)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도 된다.
본체부 가이드(4)는 지퍼부(92)가 지퍼 가이드(2)에서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스토퍼면(430)을 갖는다. 도 3에 기재된 예에서 스토퍼면(430)은 방호관(9)의 본체부(90)의 등부(91u)와 접촉함으로써 방호관(9)이 제1 방향(DR1)에 수직인 방향(보다 구체적으로는 제2 방향(DR2))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렇게 하여 지퍼부(92)가 지퍼 가이드(2)에서 빠지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본체부 가이드(4)는 방호관(9)의 본체부(90)의 제1 방향(DR1)으로의 이동을 가이드한다. 도 3에 기재된 예에서는 제1 방향(DR1)을 따르는 방향에서 봤을 때, 방호관(9)의 본체부(90)는 지퍼 가이드(2)와 스토퍼면(430)의 사이에 끼어 있다. 이 경우, 방호관(9)이 제1 방향(DR1)으로 이동할 때, 방호관(9)이 제2 방향(DR2)에 평행한 방향으로 사행하는 것이 방지되거나 억제된다.
제1 실시형태의 방호관 장착기(1A)는 방호관(9)의 지퍼부(92)의 제1 방향(DR1)으로의 이동을 가이드하고, 지퍼부(92)의 상태를 비결합 상태에서 결합 상태로 전환하는 지퍼 가이드(2)를 구비한다. 이 경우, 지퍼부(92)를 지퍼 가이드(2)에 대해 제1 방향(DR1)으로 상대 이동시키는 것만으로 지퍼부(92)의 상태를 비결합 상태에서 결합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또한 제1 실시형태의 방호관 장착기(1A)는 스토퍼면(430)을 갖는 본체부 가이드(4)를 구비한다. 이 경우, 스토퍼면(430)에 의해 지퍼부(92)가 지퍼 가이드(2)에서 빠지는 것이 방지된 상태에서 방호관(9)의 본체부(90)가 본체부 가이드(4)에 의해 가이드된다. 또한 제1 실시형태의 방호관 장착기(1A)는 지퍼 가이드(2) 및 본체부 가이드(4)를 모두 구비한다. 이 경우, 방호관(9)이 제1 방향(DR1)으로 이동할 때, 방호관(9)이 제1 방향(DR1)에 수직인 방향으로 사행하는 것이 효과적으로 방지되거나 억제된다.
이어서, 제1 실시형태의 방호관 장착기(1A) 또는 후술하는 제2 실시형태의 방호관 장착기(1B)에 채용 가능한 임의 부가적인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본체부 가이드(4)의 위치 조정)
도 5에 기재된 예에서 본체부 가이드(4)는 베이스(3)에 대해 위치 조정 가능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체부 가이드(4)는 베이스(3)에 대해 제2 방향(DR2)에 평행한 방향으로 위치 조정 가능하도록 베이스(3)에 장착되어 있다.
도 5에 기재된 예에서 방호관 장착기(1A)는 본체부 가이드(4)를 베이스(3)에 고정하는 고정 부재(51)(예를 들면, 베이스(3)에 형성된 암나사부에 나사 결합하는 수나사부를 갖는 고정 부재)를 구비한다. 고정 부재(51)는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조작 손잡이(511)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공구를 사용하지 않고 본체부 가이드(4)를 베이스(3)에 고정할 수 있다.
도 5에 기재된 예에서 본체부 가이드(4)에는 고정 부재(51)의 축부(51s)가 통과 가능한 장공(長孔, 4h) 또는 슬릿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장공(4h) 또는 슬릿에 의해 베이스(3)에 대한 본체부 가이드(4)의 위치 조정이 허용된다. 본체부 가이드(4)가 베이스(3)에 대해 위치 조정된 후, 고정 부재(51)에 의해 본체부 가이드(4)가 베이스(3)에 고정된다.
본체부 가이드(4)가 베이스(3)에 대해 위치 조정 가능할 경우, 본체부 가이드(4)는 외경이 큰 본체부(90)를 갖는 방호관(9)을 가이드할 수 있고(도 5 참조), 또한 본체부 가이드(4)는 외경이 작은 본체부(90)를 갖는 방호관(9)을 가이드할 수 있다(도 3 참조).
도 2에 기재된 예에서 본체부 가이드(4)는 제2 방향(DR2)에 평행한 방향으로 단계 형식으로 위치 조정 가능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2에 기재된 예에서 본체부 가이드(4)는 베이스(3)에 대한 본체부 가이드(4)의 상대 위치를 제1 위치(P1)로 위치 결정하는 제1 위치 결정부(41); 및 베이스(3)에 대한 본체부 가이드(4)의 상대 위치를 제2 위치(P2)로 위치 결정하는 제2 위치 결정부(42);를 갖는다.
제1 위치 결정부(41)는 예를 들면 고정 부재(51)에 끼움결합 가능한 제1 끼움결합 오목부(41d)로 구성되고, 제2 위치 결정부(42)는 예를 들면 고정 부재(51)에 끼움결합 가능한 제2 끼움결합 오목부(42d)로 구성된다. 도 2에 기재된 예에서는 고정 부재(51)가 제1 위치 결정부(41)에 끼움결합될 때, 본체부 가이드(4)는 제1 위치(P1)로 위치 결정된다. 한편, 고정 부재(51)가 제2 위치 결정부(42)에 끼움결합될 때, 본체부 가이드(4)는 제2 위치(P2)로 위치 결정된다.
본체부 가이드(4)가 제2 방향(DR2)에 평행한 방향으로 단계 형식으로 위치 조정 가능할 경우, 사용자는 복수개의 위치 결정부 중에서 방호관(9) 본체부(90)의 외경에 적합한 위치 결정부를 선택하면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본체부 가이드(4)의 위치 조정을 보다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다. 도 2에 기재된 예에서 본체부 가이드(4)는 제2 방향(DR2)에 평행한 방향으로 2단계로 위치 조정 가능하다. 대안적으로, 본체부 가이드(4)는 제2 방향(DR2)에 평행한 방향으로 3단계 이상의 단계로 위치 조정 가능해도 된다. 또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본체부 가이드(4)는 제2 방향(DR2)에 평행한 방향으로 연속 형식으로(바꿔 말하면, 무단계 형식으로) 위치 조정 가능해도 된다.
(본체부 가이드(4))
도 2에 기재된 예에서 본체부 가이드(4)는 장착부(46) 및 루프부(43)를 갖는다. 본체부 가이드(4)는 제1 윙부(44) 및/또는 제2 윙부(45)를 가질 수 있다.
장착부(46)는 베이스(3)에 장착되는 부분이다. 도 2에 기재된 예에서 장착부(46)는 제2 방향(DR2)에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장공(4h) 또는 슬릿을 갖는다. 또한 장착부(46)는 제1 위치 결정부(41) 및 제2 위치 결정부(42)를 갖는다.
루프부(43)는 방호관(9)의 일부를 덮는다. 도 3에 기재된 예에서 루프부(43)는 장착부(46)에 의해 외팔보 지지된다. 도 3에 기재된 예에서 루프부(43)는 제1 방향(DR1)을 따르는 방향에서 봤을 때 대략 역V자 형상을 갖는다. 루프부(43)의 하면은 스토퍼면(430)을 구성한다.
도 3에 기재된 예에서는 루프부(43)의 단부(43e)와 지퍼 가이드(2) 사이에, 전선(W)이 통과 가능한 개구부(OP)가 형성되어 있다. 제2 방향(DR2)을 따르는 방향에서 개구부(OP)의 높이(H1)는 전선(W)의 외경보다 크다. 제2 방향(DR2)을 따르는 방향에서 개구부(OP)의 높이(H1)는 방호관(9) 본체부(90)의 외경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방호관(9)이 개구부(OP)를 지나 방호관 장착기(1A)에서 탈락하는 것이 방지된다. 높이(H1)는 예를 들면 30mm 이하, 또는 20mm 이하이다. 방호관 장착기(1A)는 개구부(OP)를 개폐 가능한 개폐 부재를 구비해도 된다.
제1 윙부(44)는 루프부(43)로부터 제3 방향(DR3)으로 돌출한다. 도 3에 기재된 예에서 제1 윙부(44)는 루프부(43)에 의해 외팔보 지지된다. 제1 윙부(44)의 하면은 방호관 유도면(440)을 구성한다. 제2 윙부(45)는 루프부(43)로부터 제1 방향(DR1)으로 돌출한다. 도 3에 기재된 예에서 제2 윙부(45)는 루프부(43)에 의해 외팔보 지지된다. 제2 윙부(45)의 하면은 방호관 취출면(450)을 구성한다.
(스토퍼면(430))
도 3에 기재된 예에서 스토퍼면(430)은 제1 방향(DR1)을 따르는 방향에서 봤을 때 대략 역V자 형상을 갖는다. 보다 구체적으로, 스토퍼면(430)은 꼭대기부(433); 꼭대기부(433)에서 제4 방향(DR4)을 향함에 따라 베이스(3)에 근접하는 제1 경사면(431); 및 꼭대기부(433)에서 제4 방향(DR4)과 반대방향을 향함에 따라 베이스(3)에 근접하는 제2 경사면(432);을 포함한다. 스토퍼면(430)이 대략 역V자 형상을 가질 경우, 제4 방향(DR4)에 평행한 방향에서 방호관(9)의 위치가 어긋나는 것이 방지되거나 억제된다.
(방호관 유도면(440))
도 3에 기재된 예에서 본체부 가이드(4)는 스토퍼면(430)보다 제3 방향(DR3)측으로 배치되는 방호관 유도면(440)을 갖는다. 방호관 유도면(440)은 제3 방향(DR3)을 향함에 따라 방호관(9)이 지나는 궤도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진 경사면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경사면은 평면으로 구성될 수도 있고, 곡면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방호관 유도면(440)이, 제3 방향(DR3)을 향함에 따라 방호관(9)이 지나는 궤도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진 경사면인 경우, 방호관(9)의 길이방향 단부를 스토퍼면(430)과 지퍼 가이드(2) 사이의 공간(SP1)에 삽입하기 쉽다. 또한 제1 방향(DR1)으로 이동하는 방호관(9)이 방호관 유도면(440)에 걸리는 것이 방지되어, 제1 방향(DR1)으로 이동하는 방호관(9)이 방호관 유도면(440)으로 인해 손상되는 것이 방지된다.
도 5에 기재된 예에서 제4 방향(DR4)을 따르는 방향에서의 방호관 유도면(440)의 길이(D1)는 제4 방향(DR4)을 따르는 방향에서의 스토퍼면(430)의 길이(D2)보다 작다. 방호관 유도면(440)의 길이(D1)가 짧음으로 인해 본체부 가이드(4)의 중량이 저감된다. 또한 방호관 유도면(440)을 경사면으로 하기 위한 가공(예를 들면, 굽힘 가공)이 용이해진다.
(방호관 취출면(450))
도 5에 기재된 예에서 본체부 가이드(4)는 스토퍼면(430)보다 제1 방향(DR1)측으로 배치되는 방호관 취출면(450)을 갖는다. 방호관 취출면(450)은 제1 방향(DR1)을 향함에 따라 방호관(9)이 지나는 궤도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진 경사면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경사면은 평면으로 구성될 수도 있고, 곡면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제2 실시형태)
도 6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제2 실시형태의 방호관 장착기(1B)에 대해 설명한다. 도 6은 제2 실시형태의 방호관 장착기(1B)를 비스듬하게 전방측에서 봤을 때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7은 제2 실시형태의 방호관 장착기(1B)를 비스듬하게 후방측에서 봤을 때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8 및 도 9는 제2 실시형태의 방호관 장착기(1B)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개략 정면도이다. 도 10은 제2 실시형태의 방호관 장착기(1B)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개략 측면도이다. 도 11은 제2 실시형태의 방호관 장착기(1B)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개략 평면도이다. 도 12는 제2 실시형태의 방호관 장착기(1B)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개략 측면도이다. 도 13은 제2 실시형태의 방호관 장착기(1B)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개략 저면도이다.
제2 실시형태의 방호관 장착기(1B)는 본체부 가이드(4)가 제1 가이드(4A) 및 제2 가이드(4B)를 포함한다는 점에서 제1 실시형태의 방호관 장착기(1A)와 다르다. 그 밖의 점에서는, 제2 실시형태는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하다.
제2 실시형태에서는 제1 실시형태와 다른 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고, 제1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사항에 대한 반복 설명은 생략한다. 따라서, 제2 실시형태에서 명시적으로 설명되지 않았더라도 제2 실시형태에 제1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사항을 채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6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제2 실시형태의 방호관 장착기(1B)는 [1] 전선(W)에 장착되는 방호관(9)의 지퍼부(92)의 제1 방향(DR1)으로의 이동을 가이드하고, 지퍼부(92)의 상태를 비결합 상태에서 결합 상태로 전환하는 지퍼 가이드(2); [2] 지퍼 가이드(2)가 배치되는 베이스(3); 및 [3] 지퍼부(92)가 지퍼 가이드(2)에서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스토퍼면을 가지며, 방호관(9)의 본체부(90)의 제1 방향(DR1)으로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본체부 가이드(4);를 구비한다.
따라서, 제2 실시형태는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한 효과를 발휘한다.
도 6에 기재된 예에서 본체부 가이드(4)는 제1 가이드(4A); 및 제1 가이드(4A)보다 제1 방향(DR1)측으로 배치되는 제2 가이드(4B);를 포함한다. 또한 본체부 가이드(4)는 제1 가이드(4A) 및 제2 가이드(4B)에 추가하여 제3 가이드를 포함해도 된다. 바꿔 말하면, 본체부 가이드(4)에 포함되는 가이드 수는 3개 이상일 수 있다.
본체부 가이드(4)가 제1 가이드(4A) 및 제2 가이드(4B)를 포함할 경우, 방호관(9)의 본체부(90)가 보다 안정적으로 가이드된다. 또한 제1 가이드(4A)와 제2 가이드(4B)가 제1 방향(DR1)을 따라 소정 간격을 두고 배치될 경우, 방호관(9)의 본체부(90)가 보다 안정적으로 가이드됨과 아울러, 본체부 가이드(4)의 전체 중량이 저감된다.
이어서, 제2 실시형태의 방호관 장착기(1B)에 채용 가능한 임의 부가적인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지퍼 가이드(2))
도 7에 기재된 예(방호관 장착기(1B)를 비스듬하게 후방측에서 본 예)에서 지퍼 가이드(2)는 제1 지퍼 가이드(2A)를 포함한다. 또한 제1 지퍼 가이드(2A)는 제1 가이드 롤러(21a) 및 제2 가이드 롤러(21b)를 포함한다. 제1 가이드 롤러(21a)는 지퍼부(92)가 제1 방향(DR1)으로 이동할 때, 지퍼부(92)의 제1 리브(92a)를 제2 리브(92b)를 향해 누른다. 한편, 제2 가이드 롤러(21b)는 지퍼부(92)가 제1 방향(DR1)으로 이동할 때, 지퍼부(92)의 제2 리브(92b)를 제1 리브(92a)를 향해 누른다. 이렇게 해서 지퍼부(92)가 제1 가이드 롤러(21a)와 제2 가이드 롤러(21b) 사이를 통과함으로써 지퍼부(92)의 상태가 비결합 상태에서 결합 상태로 전환된다. 한편, 제1 가이드 롤러(21a)는 제1 리브(92a)에 맞닿는 제1 리브 가이드(20a)로 기능하고, 제2 가이드 롤러(21b)는 제2 리브(92b)에 맞닿는 제2 리브 가이드(20b)로 기능한다.
도 8에 기재된 예에서 제1 가이드 롤러(21a)는 제1 축(AX1) 둘레를 회전 가능하도록 제1 지지 부재(22a)에 의해 지지된다. 제1 축(AX1)의 연장방향은 제2 방향(DR2)에 평행하다. 또한 제1 지지 부재(22a)는 베이스(3)에 고정되어 있다. 도 8에 기재된 예에서 제1 가이드 롤러(21a)는 지퍼부(92)와의 접촉에 의해 수동적으로 회전하는 프리 롤러이다.
도 8에 기재된 예에서 제2 가이드 롤러(21b)는 제2 축(AX2) 둘레를 회전 가능하도록 제2 지지 부재(22b)에 의해 지지된다. 제2 축(AX2)의 연장방향은 제2 방향(DR2)에 평행하다. 또한 제2 지지 부재(22b)는 베이스(3)에 고정되어 있다. 도 8에 기재된 예에서 제2 가이드 롤러(21b)는 지퍼부(92)와의 접촉에 의해 수동적으로 회전하는 프리 롤러이다.
도 7에 기재된 예에서 지퍼 가이드(2)는 제2 지퍼 가이드(2B)를 포함한다. 제2 지퍼 가이드(2B)는 제1 지퍼 가이드(2A)보다 제1 방향(DR1)측으로 배치된다. 제2 지퍼 가이드(2B)는 제3 가이드 롤러(21c) 및 제4 가이드 롤러(21d)를 포함한다. 제3 가이드 롤러(21c)는 지퍼부(92)가 제1 방향(DR1)으로 이동할 때, 지퍼부(92)의 제1 리브(92a)를 제2 리브(92b)를 향해 누른다. 한편, 제4 가이드 롤러(21d)는 지퍼부(92)가 제1 방향(DR1)으로 이동할 때, 지퍼부(92)의 제2 리브(92b)를 제1 리브(92a)를 향해 누른다. 지퍼부(92)가 제3 가이드 롤러(21c)와 제4 가이드 롤러(21d) 사이를 통과함으로써 지퍼부(92)의 상태가 보다 확실하게 결합 상태로 전환된다. 바꿔 말하면, 제1 지퍼 가이드(2A)를 통과한 지퍼부(92)의 상태가 불완전한 결합 상태일 경우, 제2 지퍼 가이드(2B)는 지퍼부(92)의 상태를 보다 완전한 결합 상태로 전환한다. 또한 제1 지퍼 가이드(2A)의 하류측에 제2 지퍼 가이드(2B)가 배치됨으로써, 방호관(9)이 제1 방향(DR1)으로 이동할 때 지퍼부(92)가 사행하는 것이 방지된다. 한편, 제3 가이드 롤러(21c)는 제1 리브(92a)에 맞닿는 제1 리브 가이드(20a)로 기능하고, 제4 가이드 롤러(21d)는 제2 리브(92b)에 맞닿는 제2 리브 가이드(20b)로 기능한다.
도 7에 기재된 예에서 제3 가이드 롤러(21c)는 제3 축 둘레를 회전 가능하도록 제3 지지 부재(22c)에 의해 지지된다. 제3 축의 연장방향은 제2 방향(DR2)에 평행하다. 또한 제3 지지 부재(22c)는 베이스(3)에 고정되어 있다. 도 7에 기재된 예에서 제3 가이드 롤러(21c)는 지퍼부(92)와의 접촉에 의해 수동적으로 회전하는 프리 롤러이다.
도 7에 기재된 예에서 제4 가이드 롤러(21d)는 제4 축 둘레를 회전 가능하도록 제4 지지 부재(22d)에 의해 지지된다. 제4 축의 연장방향은 제2 방향(DR2)에 평행하다. 또한 제4 지지 부재(22d)는 베이스(3)에 고정되어 있다. 도 7에 기재된 예에서 제4 가이드 롤러(21d)는 지퍼부(92)와의 접촉에 의해 수동적으로 회전하는 프리 롤러이다.
도 7에 기재된 예에서 지퍼 가이드(2)는 복수개의 가이드 롤러(21)를 포함한다. 한편, 지퍼 가이드(2)가 갖는 가이드 롤러의 수는 4개에 한정되지 않으며 임의이다. 대안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지퍼 가이드(2)는 지퍼부(92)를 가이드 가능한 오목부(23)(필요하다면 도 4를 참조) 또는 지퍼부(92)를 누를 수 있는 임의의 볼록면(예를 들면 원호면)을 포함해도 된다.
(베이스(3))
도 7에 기재된 예에서 베이스(3)는 블록(보다 구체적으로는 편평한 형상을 갖는 블록)으로 구성된다. 베이스(3)는 하나의 부품으로 구성될 수도 있고, 복수 부품들의 어셈블리로 구성될 수도 있다. 도 7에 기재된 예에서는 베이스(3)의 일측부에 제1 가이드(4A)가 장착되고, 베이스(3)의 타측부에 제2 가이드(4B)가 장착된다. 또한 베이스(3)의 상면에는 지퍼 가이드(2)가 배치된다. 도 7에 기재된 예에서 베이스(3)는 평면으로 봤을 때 대략 직사각형상을 갖지만, 베이스(3)의 형상은 평면으로 봤을 때 대략 직사각형상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7에 기재된 예에서는 베이스(3)의 상면에 제1 방향(DR1)을 따라 연장되는 홈(34)이 형성된다. 도 8에 예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홈(34)은 지퍼부(92)의 선단을 수용 가능하다. 베이스(3)의 상면에 홈(34)이 형성될 경우, 지퍼부(92)의 선단이 베이스(3)의 상면에 걸리는 것이 방지되거나 억제된다. 또한 지퍼 가이드(2)의 높이를 상대적으로 낮출 수 있어, 방호관 장착기(1B)의 전체적인 사이즈를 보다 컴팩트하게 할 수 있다.
(핸들(62))
도 8에 기재된 예에서 방호관 장착기(1B)는 사용자가 파지 가능한 핸들(62)을 구비한다. 핸들(62)은 예를 들면 베이스(3)에 장착된다. 도 8에 기재된 예에서 핸들(62)은 베이스(3)의 하면에서 하방을 향해 돌출하도록 배치된다. 이 경우, 방호관(9)을 방호관 장착기(1B)에 대해 제1 방향(DR1)으로 상대 이동시킬 때 핸들(62)이 방해가 되지 않는다.
(제1 가이드(4A))
도 6에 기재된 예에서 제1 가이드(4A)는 제1 장착부(46A) 및 제1 루프부(43A)를 갖는다. 제1 가이드(4A)는 제1 윙부(44A) 및/또는 제2 윙부(45A)를 가져도 된다.
제1 장착부(46A)는 베이스(3)에 장착되는 부분이다. 제1 장착부(46A)는 베이스(3)에서 분리 가능하도록 베이스(3)에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에 기재된 예에서 제1 장착부(46A)는 제2 방향(DR2)에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장공(4h-1) 또는 슬릿을 갖는다. 또한 제1 장착부(46A)는 제1 위치 결정부(41A) 및 제2 위치 결정부(42A)를 갖는다.
도 6에 기재된 예에서 제1 가이드(4A)는 베이스(3)에 대해 위치 조정 가능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가이드(4A)는 베이스(3)에 대해 제2 방향(DR2)에 평행한 방향으로 위치 조정 가능하도록 베이스(3)에 장착되어 있다.
도 6에 기재된 예에서 방호관 장착기(1B)는 제1 가이드(4A)를 베이스(3)에 고정하는 제1 고정 부재(51A)를 구비한다. 제1 고정 부재(51A)는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제1 조작 손잡이(511A)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에 기재된 예에서 제1 가이드(4A)에는 제1 고정 부재(51A)의 축부가 통과 가능한 제1 장공(4h-1) 또는 슬릿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 장공(4h-1) 또는 슬릿에 의해 베이스(3)에 대한 제1 가이드(4A)의 위치 조정이 허용된다. 제1 가이드(4A)가 베이스(3)에 대해 위치 조정된 후, 제1 고정 부재(51A)에 의해 제1 가이드(4A)가 베이스(3)에 고정된다.
제1 가이드(4A)가 베이스(3)에 대해 위치 조정 가능한 경우, 제1 가이드(4A)는 외경이 큰 본체부(90)를 갖는 방호관(9)을 가이드할 수 있고, 또한 제1 가이드(4A)는 외경이 작은 본체부(90)를 갖는 방호관(9)을 가이드할 수 있다.
도 6에 기재된 예에서 제1 가이드(4A)는 제2 방향(DR2)에 평행한 방향으로 단계 형식으로 위치 조정 가능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6에 기재된 예에서 제1 가이드(4A)는 베이스(3)에 대한 제1 가이드(4A)의 상대 위치를 제1 위치(P1)로 위치 결정하는 제1 위치 결정부(41A); 및 베이스(3)에 대한 제1 가이드(4A)의 상대 위치를 제2 위치(P2)로 위치 결정하는 제2 위치 결정부(42A);를 갖는다. 제1 위치 결정부(41A)는 예를 들면 제1 고정 부재(51A)에 끼움결합 가능한 제1 끼움결합 오목부로 구성되고, 제2 위치 결정부(42A)는 예를 들면 제1 고정 부재(51A)에 끼움결합 가능한 제2 끼움결합 오목부로 구성된다.
제1 가이드(4A)가 제2 방향(DR2)에 평행한 방향으로 단계 형식으로 위치 조정 가능한 경우, 사용자는 복수개의 위치 결정부 중에서 방호관(9) 본체부(90)의 외경에 적합한 위치 결정부를 선택하면 된다. 이 경우, 사용자는 제1 가이드(4A)의 위치 조정을 보다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다. 단,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1 가이드(4A)가 제2 방향(DR2)에 평행한 방향으로 연속 형식으로(바꿔 말하면, 무단계 형식으로) 위치 조정 가능한 형태도 배제되지 않는다.
제1 루프부(43A)는 방호관(9)의 일부를 덮는다. 제1 루프부(43A)는 제1 지퍼 가이드(2A)(예를 들면, 제1 가이드 롤러(21a) 및 제2 가이드 롤러(21b))의 적어도 일부를 덮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방호관(9)의 지퍼부(92)와 제1 지퍼 가이드(2A) 사이에 손가락이 끼이는 것이 방지된다. 도 6에 기재된 예에서 제1 루프부(43A)는 제1 장착부(46A)에 의해 외팔보 지지된다.
도 7에 기재된 예에서는 제1 루프부(43A)의 단부(43e-1)와 지퍼 가이드(2) 사이에, 전선(W)이 통과 가능한 제1 개구부(OP-1)가 형성되어 있다. 제2 방향(DR2)을 따르는 방향에서 제1 개구부(OP-1)의 높이는 전선(W)의 외경보다 크다. 제2 방향(DR2)을 따르는 방향에서 제1 개구부(OP-1)의 높이는 방호관(9) 본체부(90)의 외경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도 7에 기재된 예에서 제1 루프부(43A)는 제1 방향(DR1)을 따르는 방향에서 봤을 때 대략 역V자 형상을 갖는다. 제1 루프부(43A)의 하면은 제1 스토퍼면(430A)을 구성한다.
도 8에 기재된 예에서 제1 스토퍼면(430A)은 제1 방향(DR1)을 따르는 방향에서 봤을 때 대략 역V자 형상을 갖는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스토퍼면(430A)은 제1 꼭대기부(433A); 제1 꼭대기부(433A)에서 제4 방향(DR4)을 향함에 따라 베이스(3)에 근접하는 제1 경사면(431A); 및 제1 꼭대기부(433A)에서 제4 방향(DR4)과 반대방향을 향함에 따라 베이스(3)에 근접하는 제2 경사면(432A);을 포함한다. 제1 스토퍼면(430A)이 대략 역V자 형상을 가질 경우, 제4 방향(DR4)에 평행한 방향에서 방호관(9)의 위치가 어긋나는 것이 방지되거나 억제된다.
도 8에 기재된 예에서 제1 가이드(4A)는 제1 스토퍼면(430A)보다 제3 방향(DR3)측으로 배치되는 제1 방호관 유도면(440A)을 갖는다. 도 8에 기재된 예에서 제4 방향(DR4)을 따르는 방향에서의 제1 방호관 유도면(440A)의 길이는 제4 방향(DR4)을 따르는 방향에서의 제1 스토퍼면(430A)의 길이보다 작다. 도 8에 기재된 예에서 제1 방호관 유도면(440A)은 제1 경사면(431A) 및 제2 경사면(432A) 중 한쪽에만 접속되고, 제1 경사면(431A) 및 제2 경사면(432A) 중 다른 쪽에서는 분리되어 있다.
도 10에 기재된 예에서 제1 윙부(44A)는 제1 루프부(43A)에서 제3 방향(DR3)으로 돌출한다. 도 10에 기재된 예에서 제1 윙부(44A)는 제1 루프부(43A)에 의해 외팔보 지지된다. 제1 윙부(44A)의 하면은 제1 방호관 유도면(440A)을 구성한다. 제1 방호관 유도면(440A)은 제3 방향(DR3)을 향함에 따라 방호관(9)이 지나는 궤도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진 경사면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경사면은 평면으로 구성될 수도 있고, 곡면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제2 윙부(45A)는 제1 루프부(43A)에서 제1 방향(DR1)으로 돌출한다. 도 10에 기재된 예에서 제2 윙부(45A)는 제1 루프부(43A)에 의해 외팔보 지지된다. 제2 윙부(45A)의 하면은 제1 방호관 취출면(450A)을 구성한다. 제1 방호관 취출면(450A)은 제1 방향(DR1)을 향함에 따라 방호관(9)이 지나는 궤도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진 경사면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경사면은 평면으로 구성될 수도 있고, 곡면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제2 가이드(4B))
제2 가이드(4B)의 구성은 제1 가이드(4A)의 구성과 동일하다. 따라서, 전술한 "(제1 가이드(4A))"에 관한 설명을 아래와 같이 바꿔 읽음으로써 전술한 "(제1 가이드(4A))"에 관한 설명을 "(제2 가이드(4B))"에 관한 설명으로 대체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전술한 "(제1 가이드(4A))"에 관한 설명에서 "도 6", "도 7", "도 8", "제1 가이드(4A)", "제1 장착부(46A)", "제1 루프부(43A)", "제1 윙부(44A)", "제2 윙부(45A)", "제1 장공(4h-1)", "제1 위치 결정부(41A)", "제2 위치 결정부(42A)", "제1 고정 부재(51A)", "제1 조작 손잡이(511A)", "제1 위치(P1)", "제2 위치(P2)", "제1 끼움결합 오목부", "제2 끼움결합 오목부", "제1 가이드 롤러(21a)", "제2 가이드 롤러(21b)", "제1 지퍼 가이드(2A)", "단부(43e-1)", "제1 개구부(OP-1)", "제1 스토퍼면(430A)", "제1 꼭대기부(433A)", "제1 경사면(431A)", "제2 경사면(432A)", "제1 방호관 유도면(440A)", "제1 방호관 취출면(450A)"을 각각 "도 7", "도 6", "도 9", "제2 가이드(4B)", "제2 장착부(46B)", "제2 루프부(43B)", "제3 윙부(44B)", "제4 윙부(45B)", "제2 장공(4h-2)", "제3 위치 결정부(41B)", "제4 위치 결정부(42B)", "제2 고정 부재(51B)", "제2 조작 손잡이(511B)", "제3 위치(P3)", "제4 위치(P4)", "제3 끼움결합 오목부", "제4 끼움결합 오목부", "제3 가이드 롤러(21c)", "제4 가이드 롤러(21d)", "제2 지퍼 가이드(2B)", "단부(43e-2)", "제2 개구부(OP-2)", "제2 스토퍼면(430B)", "제2 꼭대기부(433B)", "제3 경사면(431B)", "제4 경사면(432B)", "제2 방호관 유도면(440B)", "제2 방호관 취출면(450B)"으로 바꿔 읽음으로써 "(제2 가이드(4B))"에 관한 설명으로 한다.
제2 가이드(4B)의 형상 및 구조는 제1 가이드(4A)의 형상 및 구조와 동일해도 된다. 이 경우, 부품의 종류가 삭감되고 본체부 가이드(4) 전체의 제조 비용이 저감된다.
도 7에 기재된 예에서 제1 가이드(4A)와 베이스(3) 사이에는 전선(W)이 통과 가능한 제1 개구부(OP-1)가 설치되고, 제2 가이드(4B)와 베이스(3) 사이에는 전선(W)이 통과 가능한 제2 개구부(OP-2)가 설치된다. 또한 도 7에 기재된 예에서는 제1 방향(DR1)을 따르는 방향에서 봤을 때, 제1 개구부(OP-1)는 제2 개구부(OP-2)와는 반대측에 배치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개구부(OP-1)는 제4 방향(DR4)을 향해 개구되고, 제2 개구부(OP-2)는 제4 방향(DR4)과는 반대방향을 향해 개구된다.
제1 개구부(OP-1)가 제2 개구부(OP-2)와 반대측에 배치될 경우, 방호관 장착기(1B)에 삽입된 전선(W)이 제1 개구부(OP-1)를 통해 방호관 장착기(1B)에서 빠지는 것이 방지되거나 억제되고, 방호관 장착기(1B)에 삽입된 전선(W)이 제2 개구부(OP-2)를 통해 방호관 장착기(1B)에서 빠지는 것이 방지되거나 억제된다.
도 11(b)에 기재된 예에서 제1 가이드(4A)의 제1 방향(DR1)측 끝(4e-1)과 제2 가이드(4B)의 제3 방향(DR3)측 끝(4e-2) 사이의 제1 방향(DR1)을 따르는 방향의 거리(L1)는 전선(W)의 외경보다 크다. 이 경우, 끝(4e-1)과 끝(4e-2) 사이의 틈새(G)를 통해 방호관 장착기(1B)에 전선(W)을 수용시킬 수 있다(도 11(a) 참조). 그 후, 방호관 장착기(1B)를 소정 각도(예를 들면, 대략 90도) 회전시킴으로써 방호관 장착기(1B)를 전선(W)에 장착할 수 있다(화살표 AR1을 참조).
틈새(G)를 통해 방호관 장착기(1B)에 전선(W)을 수용시키는 관점에서, 제1 가이드(4A)의 제1 방향(DR1)측 끝(4e-1)과 제2 가이드(4B)의 제3 방향(DR3)측 끝(4e-2) 사이의 제1 방향(DR1)을 따르는 방향의 거리(L1)는 예를 들면 10mm 이상, 또는 15m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방호관 장착기(1B)의 사이즈를 컴팩트하게 하는 관점에서, 상기 거리(L1)는 예를 들면 200㎜ 이하, 100㎜ 이하, 또는 5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11에 기재된 예에서 제1 가이드(4A)의 제1 방향(DR1)측 끝(4e-1)은 제2 윙부(45A)의 끝이지만, 제2 윙부(45A)가 생략되는 등의 경우, 상기 끝(4e-1)은 제1 루프부(43A)의 끝일 수 있다. 또한 도 11에 기재된 예에서 제2 가이드(4B)의 제3 방향(DR3)측 끝(4e-2)은 제3 윙부(44B)의 끝이지만, 제3 윙부(44B)가 생략되는 등의 경우, 상기 끝(4e-2)은 제2 루프부(43B)의 끝일 수 있다.
도 12에 기재된 예에서 제1 가이드(4A)는 제2 가이드(4B)와는 독립적으로 베이스(3)에 대해 위치 조정 가능하다. 이 경우, 방호관 장착기(1B)의 범용성이 향상된다. 예를 들면 제1 가이드(4A)가 제2 가이드(4B)와 독립적으로 제2 방향(DR2)에 평행한 방향으로 위치 조정됨으로써, 베이스(3)에 대해 경사진 방향에서 방호관(9)을 방호관 장착기(1B)에 도입할 수 있게 된다.
(제1 유지부(65))
도 13에 기재된 예에서 방호관 장착기(1B)는 전선을 파지 가능한 전선 파지구에 연결되는 가요성 부재(63)(예를 들면 와이어, 로프, 케이블, 끈 등의 선형 부재, 또는 벨트 등의 띠형 부재)를 유지하는 제1 유지부(65)를 구비한다. 이 경우, 전선 파지구 및 가요성 부재(63)에 의해 방호관 장착기(1B)의 제1 방향(DR1)으로의 이동이 제한된다. 따라서, 방호관 장착기(1B)의 제1 방향(DR1)으로의 이동이 방지된 상태에서, 방호관(9)을 방호관 장착기(1B)에 대해 제1 방향(DR1)으로 상대 이동시킬 수 있다. 이렇게 하여 방호관(9)을 방호관 장착기(1B)에 대해 제1 방향(DR1)으로 상대 이동시킴으로써, 지퍼부(92)의 상태를 비결합 상태에서 결합 상태로 전환하는 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한편, 제1 유지부(65)의 구성은 제1 실시형태의 방호관 장착기(1A)에 채용될 수 있다.
도 13에 기재된 예에서 제1 유지부(65)는 베이스(3)에 설치된다. 제1 유지부(65)는 베이스(3)의 하면(3w)에 배치되어도 된다. 이 경우, 방호관(9)을 방호관 장착기(1B)에 대해 제1 방향(DR1)으로 상대 이동시킬 때, 제1 유지부(65) 또는 가요성 부재(63)가 방해되지 않는다.
제1 유지부(65)는 가요성 부재(63)를 분리 가능하게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가요성 부재(63)를 다른 가요성 부재(예를 들면, 길이가 상이한 다른 가요성 부재)와 교환할 수 있게 된다. 대안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제1 유지부(65)는 베이스(3)로부터 분리 가능하도록 베이스(3)에 장착되어도 된다. 이 경우, 제1 유지부(65)를 가요성 부재(63)와 교환할 수 있게 된다.
(제3 실시형태)
도 14를 참조하여, 제3 실시형태의 방호관 장착장치(100)에 대해 설명한다. 도 14는 제3 실시형태의 방호관 장착장치(100)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개략 사시도이다.
제3 실시형태에서는 제1 실시형태 및 제2 실시형태와 다른 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고, 제1 실시형태 또는 제2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사항에 대한 반복 설명은 생략한다. 따라서, 제3 실시형태에서 명시적으로 설명되지 않았더라도 제3 실시형태에 제1 실시형태 또는 제2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사항을 채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제3 실시형태의 방호관 장착장치(100)는 방호관 장착기(1) 및 방호관 유도기(8)를 구비한다. 방호관 장착기(1)는 제1 실시형태의 방호관 장착기(1A)일 수도 있고, 제2 실시형태의 방호관 장착기(1B)일 수도 있고, 그 밖의 방호관 장착기일 수도 있다.
방호관 장착기(1)는 [1] 전선(W)에 장착되는 방호관(9)의 지퍼부(92)의 제1 방향(DR1)으로의 이동을 가이드하고, 지퍼부(92)의 상태를 비결합 상태에서 결합 상태로 전환하는 지퍼 가이드(2); [2] 지퍼 가이드(2)가 배치되는 베이스(3); 및 [3] 지퍼부(92)가 지퍼 가이드(2)에서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스토퍼면(430)을 가지며, 방호관(9)의 본체부(90)의 제1 방향(DR1)으로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본체부 가이드(4);를 구비한다. 지퍼 가이드(2), 베이스(3) 및 본체부 가이드(4)에 대해서는 제1 실시형태 또는 제2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바 있으므로 이들 구성에 대한 반복 설명은 생략한다.
도 14에 기재된 예에서 방호관 장착기(1)는 방호관 유도기(8)에 연결되는 가요성 부재(63)를 유지하는 제1 유지부(65)를 구비한다. 제1 유지부(65)에 대해서는 제2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바 있으므로 제1 유지부(65)에 대한 반복 설명은 생략한다.
방호관 유도기(8)는 방호관 장착기(1)에 가요성 부재(63)를 통해 연결된다. 방호관 유도기(8)는 제2 베이스(80), 파지 부재(81) 및 유도 부재(84)를 구비한다. 방호관 유도기(8)는 확장 부재(87)를 가져도 된다.
제2 베이스(80)는 파지 부재(81)의 제1 파지부(81a)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한다. 도 14에 기재된 예에서 제2 베이스(80)는 블록으로 구성된다. 제2 베이스(80)는 하나의 부품으로 구성될 수도 있고, 복수 부품들의 어셈블리로 구성될 수도 있다. 도 14에 기재된 예에서는 제2 베이스(80)에, 가요성 부재(63)를 유지하는 제2 유지부(810)가 배치된다.
파지 부재(81)는 전선(W)을 파지한다. 방호관 유도기(8)는 전선을 파지 가능한 파지 부재(81)를 갖기 때문에 전선(W)을 파지하는 전선 파지구의 일종이다. 도 14에 기재된 예에서 파지 부재(81)는 제1 파지부(81a); 제2 파지부(81b); 및 제1 파지부(81a)를 제2 파지부(81b)를 향해 이동시키는 조작부(82);를 포함한다. 제1 파지부(81a)와 제2 파지부(81b) 사이의 간격이 축소됨으로써, 파지 부재(81)는 전선(W)을 파지한다.
도 14에 기재된 예에서는 전선(W)을 파지하는 전선 파지구(보다 구체적으로는 방호관 유도기(8)); 및 방호관 장착기(1);가 가요성 부재(63)를 통해 연결되어 있다. 이 경우, 방호관(9)이 제1 방향(DR1)으로 이동될 때, 방호관 장착기(1)가 방호관(9)과 함께 제1 방향(DR1)으로 이동하는 것이 제한된다. 또한 만일 방호관 장착기(1)가 전선에서 빠지더라도 방호관 장착기(1)의 낙하가 가요성 부재(63) 및 전선 파지구에 의해 방지된다. 또한 가요성 부재(63)의 비틀림에 의해, 방호관 장착기(1)가 전선 둘레로 회전하는 것이 허용된다. 이 경우, 방호관(9)이 전선(W) 둘레에서 비틀릴 때, 방호관(9)을 가이드하는 방호관 장착기(1)는 상기 비틀림에 추종하도록 회전할 수 있다. 따라서, 방호관 장착기(1)에 대해 방호관(9)을 제1 방향(DR1)으로 이동시킬 때, 사용자는 방호관(9)이 전선 둘레에서 비틀리지 않도록 세심한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없다.
유도 부재(84)는 방호관(9)을 전선(W)을 향해 유도한다. 도 14에 기재된 예에서 유도 부재(84)는 방호관(9)의 제1 리브(92a)와 제2 리브(92b)를 분리하는 플레이트(85); 및 플레이트(85)의 끝가장자리를 따라 배치되는 가이드 부재(86);를 갖는다. 플레이트(85)는 예를 들면 측면에서 봤을 때 대략 삼각형 형상을 갖는다. 도 14에 기재된 예에서 플레이트(85)는 제2 베이스(80)에 장착된다.
도 14에 기재된 예에서 가이드 부재(86)는 대략 삼각형 형상을 갖는 플레이트(85)의 경사변에 장착된다. 가이드 부재(86)의 두께는 플레이트(85)의 두께보다 두꺼운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방호관(9)의 지퍼부(92)가 플레이트(85)를 따라 이동할 때, 상기 지퍼부(92)가 가이드 부재(86)를 넘어서 가이드 부재(86)에서 빠지는 것이 방지된다. 가이드 부재(86)는 예를 들면 고무제 또는 수지제이다.
확장 부재(87)는 전선(W)과 유도 부재(84) 사이에 개재된다. 확장 부재(87)는 방호관(9)이 확장 부재(87)를 가로지를 때, 제1 리브(92a) 및 제2 리브(92b)에 접촉하여 방호관(9)의 슬릿(SL)을 확장한다. 도 14에 기재된 예에서 확장 부재(87)는 전선(W)에 접촉하는 제2 파지부(81b)에 의해 구성된다. 이 경우, 파지 부재(81)가 전선(W)을 파지할 때, 확장 부재(87)는 자동적으로 전선(W)에 대해 위치 결정되게 된다. 도 14에 기재된 예에서 확장 부재(87)는 확장 부재(87)의 길이방향에 수직인 단면에서 대략 역V자 형상을 갖는다. 이 경우, 확장 부재(87)의 길이방향과 전선(W)의 길이방향이 일치하도록 확장 부재(87)가 전선(W)에 대해 보다 정확하게 위치 결정된다.
(방호관 장착방법)
이어서, 도 1 내지 도 18을 참조하여 실시형태의 방호관 장착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15 내지 도 17은 방호관 장착방법의 일 공정(보다 구체적으로는 이동 공정)을 실행중인 모습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개략 측면도이다. 도 18은 실시형태의 방호관 장착방법의 일례를 나타낸 플로우차트이다.
제1 단계(ST1)에 있어서, 방호관 장착기(1) 및 방호관 유도기(8)가 준비된다. 제1 단계(ST1)는 준비 공정이다. 제1 단계(ST1)에서 준비되는 방호관 장착기(1)는 제1 실시형태의 방호관 장착기(1A)일 수도 있고, 제2 실시형태의 방호관 장착기(1B)일 수도 있고, 그 밖의 방호관 장착기(1)일 수도 있다. 제1 단계(ST1)에서 준비되는 방호관 유도기(8)는 제3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방호관 유도기(8)일 수도 있고, 그 밖의 방호관 유도기일 수도 있다. 또한 제1 단계(ST1)에서 준비되는 방호관 장착기(1) 및 방호관 유도기(8)는 도 14에 예시된 바와 같이 가요성 부재(63)를 통해 서로 연결된 상태의 방호관 장착기(1) 및 방호관 유도기(8)일 수도 있다.
제2 단계(ST2)에 있어서, 전선(W)에 방호관 유도기(8)가 장착된다. 제2 단계(ST2)는 장착 공정이다. 장착 공정(제2 단계(ST2))은 방호관 유도기(8)의 파지 부재(81)(필요하다면 도 14를 참조)가 전선(W)을 파지하는 것을 포함해도 된다.
제3 단계(ST3)에 있어서, 전선(W)에 방호관 장착기(1)가 배치된다. 제3 단계(ST3)는 배치 공정이다. 배치 공정(제3 단계(ST3))에서는 방호관 장착기(1)가 전선(W)을 수용하도록 전선(W)에 방호관 장착기(1)가 배치된다. 도 3에 기재된 예에서 배치 공정은 루프부(43)의 단부(43e)와 지퍼 가이드(2) 사이의 개구부(OP)를 통해 스토퍼면(430)과 베이스(3) 사이의 공간(SP1)으로 전선(W)을 삽입하는 것을 포함한다. 도 11에 기재된 예에서 배치 공정은 제1 가이드(4A)와 제2 가이드(4B) 사이에 전선(W)을 배치하는 것; 및 제1 가이드(4A) 및 제2 가이드(4B) 각각에 의해 전선(W)이 수용되도록 방호관 장착기(1)를 회전시키는 것(화살표 AR1을 참조);을 포함한다.
제3 단계(ST3)는 제2 단계(ST2) 후에 실행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제3 단계(ST3)는 제2 단계(ST2) 전에 실행되어도 무방하다.
제4 단계(ST4)에 있어서, 지퍼부(92)를 갖는 방호관(9)이 방호관 유도기(8) 및 방호관 장착기(1)의 양쪽을 따라 이동된다. 제4 단계(ST4)는 이동 공정이다. 도 15 내지 도 17에는 이동 공정을 실행중인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도 15에 기재된 예에서 이동 공정은 방호관 유도기(8)에서 전선(W) 주위로 방호관(9)을 이동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 15에 기재된 예에서 이동 공정은 [1] 방호관 유도기(8)의 가이드 부재(86)를 따라 방호관(9)을 이동시키는 것; [2] 방호관 유도기(8)의 확장 부재(87)에 의해, 가이드 부재(86)를 따라 이동하는 방호관(9)의 슬릿(SL)을 확장시키는 것; 및 [3] 확장된 슬릿(SL)을 통해 방호관(9) 내측에 전선(W)을 삽입하는 것;을 포함한다.
도 16에 기재된 예에서 이동 공정은 전선(W) 주위에 배치된 방호관(9)을, 방호관 장착기(1)의 지퍼 가이드(2)와 방호관 장착기(1)의 스토퍼면(430) 사이의 공간(SP1)(필요하다면 도 3 또는 도 8을 참조)으로 삽입하는 것을 포함한다. 도 16에 기재된 예에서는 공간(SP1)에 방호관(9)의 길이방향 선단부(9e)를 삽입하는 것과, 방호관 유도기(8)의 가이드 부재(86)를 따라 방호관(9)의 길이방향 중간부분(9m)을 이동시키는 것이 동시에 실행된다.
도 3 또는 도 10에 기재된 예에서 본체부 가이드(4)는 제3 방향(DR3)을 향함에 따라 방호관(9)이 지나는 궤도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진 방호관 유도면(440)을 갖는다. 이 경우, 방호관(9)을 본체부 가이드(4)와 베이스(3) 사이에 삽입할 때, 방호관(9)이 본체부 가이드(4)에 걸리는 것이 방지되거나 억제된다. 또한 방호관 유도면(440)이 경사져 있음으로 인해, 방호관(9)이 베이스(3)에 대해 경사진 방향에서 방호관 장착기(1)에 삽입되는 것이 허용된다.
도 17에 기재된 예에서 이동 공정은 방호관(9)의 지퍼부(92)를 제1 방향(DR1)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지퍼부(92)의 상태를 비결합 상태(필요하다면 도 1, 도 2 또는 도 6을 참조)에서 결합 상태로 전환하는 것을 포함한다. 도 17에 기재된 예에서는 방호관(9)의 길이방향 중간부분(9m)의 지퍼부(92)를 비결합 상태에서 결합 상태로 전환하는 것과, 방호관 유도기(8)의 가이드 부재(86)를 따라 방호관(9)의 길이방향 후단부(9r)를 이동시키는 것이 동시에 실행된다.
지퍼부(92)의 상태를 비결합 상태에서 결합 상태로 전환하는 것은 지퍼부(92)가 지퍼 가이드(2)를 통과함으로써 실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퍼 가이드(2)는 복수의 가이드 롤러(21a, 21b 등)를 포함해도 되고, 오목부(23)(도 4 참조)를 포함해도 되고, 그 밖의 형태의 가이드를 포함해도 된다.
지퍼부(92)의 상태를 비결합 상태에서 결합 상태로 전환하는 것은 방호관(9)의 본체부(90)의 제1 방향(DR1)으로의 이동이 본체부 가이드(4)에 의해 가이드된 상태에서 실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지퍼부(92)의 상태를 비결합 상태에서 결합 상태로 전환하는 것은 방호관(9)의 본체부(90)가, 본체부 가이드(4)의 스토퍼면(430)에 접촉한 상태에서 실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방호관(9)의 제2 방향(DR2)으로의 이동이 스토퍼면(430)에 의해 제한됨으로써, 지퍼 가이드(2)의 누름력을 효과적으로 방호관(9)의 지퍼부(92)에 작용시킬 수 있다.
도 17에 기재된 예에서는 방호관 장착기(1)와 방호관 유도기(8)가 가요성 부재(63)를 통해 연결된다. 이 경우, 방호관(9)의 제1 방향(DR1)으로의 이동에 연동하여 방호관 장착기(1)가 제1 방향(DR1)으로 이동하는 것이 제한된다. 또한 이동 공정(제4 단계(ST4)) 실행중에 방호관(9)의 비틀림이 발생할 경우, 상기 비틀림에 맞추어 방호관 장착기(1)가 전선(W) 둘레로 회전하는 것이 허용된다.
본 발명은 상기 각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각 실시형태 또는 각 변형예는 적절히 변형되거나 변경될 수 있음이 명백하다. 또한 각 실시형태 또는 각 변형예에서 사용되는 임의의 구성요소를 다른 실시형태 또는 다른 변형예와 조합할 수 있고, 또한 각 실시형태 또는 각 변형예에서 임의의 구성요소를 생략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도 2 또는 도 6에 기재된 예에서는 본체부 가이드(4)의 루프부(43)가 판형상 루프부이다. 대안적으로, 도 19에 예시된 바와 같이 루프부(43)는 봉형상 루프부여도 된다. 바꿔 말하면, 루프부(43)는 방호관(9)의 일부를 덮을 수 있는 한, 어떠한 형상이어도 된다. 또한 도 19에 예시된 바와 같이 윙부(44, 45)는 생략되어도 무방하다.
본 발명의 방호관 장착기, 방호관 장착장치 및 방호관 장착방법을 이용하면, 방호관의 지퍼부 상태를 비결합 상태에서 결합 상태로 용이하게 전환할 수 있게 된다. 그러므로, 전선에 방호관을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다. 따라서, 전선에 방호관을 장착하는 작업을 하는 업자, 및 방호관 장착기 또는 방호관 장착장치를 제조하는 제조업자에게 유용하다.
1, 1A, 1B…방호관 장착기, 2…지퍼 가이드, 2A…제1 지퍼 가이드, 2B…제2 지퍼 가이드, 3…베이스, 3w…하면, 4…본체부 가이드, 4A…제1 가이드, 4B…제2 가이드, 4e-1…제1 가이드의 제1 방향측 끝, 4e-2…제2 가이드의 제3 방향측 끝, 4h…장공, 4h-1…제1 장공, 4h-2…제2 장공, 8…방호관 유도기, 9…방호관, 9e…방호관의 길이방향 선단부, 9m…방호관의 길이방향 중간부분, 9r…방호관의 길이방향 후단부, 20a…제1 리브 가이드, 20b…제2 리브 가이드, 21…가이드 롤러, 21a…제1 가이드 롤러, 21b…제2 가이드 롤러, 21c…제3 가이드 롤러, 21d…제4 가이드 롤러, 22a…제1 지지 부재, 22b…제2 지지 부재, 22c…제3 지지 부재, 22d…제4 지지 부재, 23…오목부, 23a…제1 측면, 23b…제2 측면, 34…홈, 41, 41A…제1 위치 결정부, 41B…제3 위치 결정부, 41d…제1 끼움결합 오목부, 42, 42A…제2 위치 결정부, 42B…제4 위치 결정부, 42d…제2 끼움결합 오목부, 43…루프부, 43A…제1 루프부, 43B…제2 루프부, 43e…루프부의 단부, 43e-1…제1 루프부의 단부, 43e-2…제2 루프부의 단부, 44, 44A…제1 윙부, 44B…제3 윙부, 45, 45A…제2 윙부, 45B…제4 윙부, 46…장착부, 46A…제1 장착부, 46B…제2 장착부, 51…고정 부재, 51A…제1 고정 부재, 51B…제2 고정 부재, 51s…축부, 62…핸들, 63…가요성 부재, 65…제1 유지부, 80…제2 베이스, 81…파지 부재, 81a…제1 파지부, 81b…제2 파지부, 82…조작부, 84…유도 부재, 85…플레이트, 86…가이드 부재, 87…확장 부재, 90…방호관의 본체부, 91u…본체부의 등부, 91w…본체부의 복부, 92…지퍼부, 92a…제1 리브, 92b…제2 리브, 100…방호관 장착장치, 430…스토퍼면, 430A…제1 스토퍼면, 430B…제2 스토퍼면, 431, 431A…제1 경사면, 431B…제3 경사면, 432, 432A…제2 경사면, 432B…제4 경사면, 433…꼭대기부, 433A…제1 꼭대기부, 433B…제2 꼭대기부, 440…방호관 유도면, 440A…제1 방호관 유도면, 440B…제2 방호관 유도면, 450…방호관 취출면, 450A…제1 방호관 취출면, 450B…제2 방호관 취출면, 810…제2 유지부, 920a…제1 리브의 기단, 920b…제2 리브의 기단, 921a…제1 리브의 선단, 921b…제2 리브의 선단, 925a…제1 끼움결합부, 925b…제2 끼움결합부, G…틈새, OP…개구부, OP-1…제1 개구부, OP-2…제2 개구부, SL…슬릿, SP1…공간, W…전선

Claims (11)

  1. 전선에 장착되는 방호관의 지퍼부의 제1 방향으로의 이동을 가이드하고, 상기 지퍼부의 상태를 비결합 상태에서 결합 상태로 전환하는 지퍼 가이드;
    상기 지퍼 가이드가 배치되는 베이스; 및
    상기 지퍼부가 상기 지퍼 가이드에서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스토퍼면을 가지며, 상기 방호관의 본체부의 상기 제1 방향으로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본체부 가이드;를 구비하는,
    방호관 장착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 가이드는 상기 베이스에 대해 위치 조정 가능한,
    방호관 장착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에서 상기 스토퍼면으로 향하는 방향을 제2 방향으로 정의할 때, 상기 본체부 가이드는 상기 제2 방향에 평행한 방향으로 단계 형식으로 위치 조정 가능한,
    방호관 장착기.
  4.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방향과 반대인 방향을 제3 방향으로 정의할 때, 상기 본체부 가이드는 상기 스토퍼면보다 상기 제3 방향측으로 배치되는 방호관 유도면을 가지며,
    상기 방호관 유도면은 상기 제3 방향을 향함에 따라 상기 방호관이 지나는 궤도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진 경사면인,
    방호관 장착기.
  5. 청구항 1 내지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 가이드는 제1 가이드; 및 상기 제1 가이드보다 상기 제1 방향측으로 배치되는 제2 가이드;를 포함하는,
    방호관 장착기.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이드와 상기 베이스 사이에는 상기 전선이 통과 가능한 제1 개구부가 설치되고,
    상기 제2 가이드와 상기 베이스 사이에는 상기 전선이 통과 가능한 제2 개구부가 설치되고,
    상기 제1 방향을 따르는 방향에서 봤을 때, 상기 제1 개구부는 상기 제2 개구부의 반대측에 배치되는,
    방호관 장착기.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이드의 상기 제1 방향측 끝과 상기 제2 가이드의 상기 제1 방향의 반대방향측 끝 사이의 상기 제1 방향을 따르는 방향에서의 거리는 10mm 이상인,
    방호관 장착기.
  8. 청구항 5 내지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이드는 상기 제2 가이드와 독립적으로 상기 베이스에 대해 위치 조정 가능한,
    방호관 장착기.
  9. 청구항 1 내지 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선을 파지 가능한 전선 파지구에 연결되는 가요성 부재를 유지하는 제1 유지부를 더 구비하는,
    방호관 장착기.
  10. 청구항 1 내지 9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호관 장착기; 및
    상기 방호관 장착기에 가요성 부재를 통해 연결되는 방호관 유도기;를 구비하는,
    방호관 장착장치.
  11. 전선에 방호관 유도기를 장착하는 장착 공정;
    방호관 장착기가 상기 전선을 수용하도록 상기 전선에 상기 방호관 장착기를 배치하는 배치 공정; 및
    지퍼부를 갖는 방호관을, 상기 방호관 유도기 및 상기 방호관 장착기의 양쪽을 따라 이동시키는 이동 공정;을 구비하고,
    상기 이동 공정은,
    상기 방호관 유도기에서 상기 전선 주위로 상기 방호관을 이동시키는 것;
    상기 전선 주위에 배치된 상기 방호관을, 상기 방호관 장착기의 지퍼 가이드와 상기 방호관 장착기의 스토퍼면 사이의 공간으로 삽입하는 것; 및
    상기 지퍼부를 제1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지퍼부의 상태를 비결합 상태에서 결합 상태로 전환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호관 장착방법.
KR1020237041999A 2021-05-11 2022-03-25 방호관 장착기, 방호관 장착장치 및 방호관 장착방법 KR2024000500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1080678 2021-05-11
JPJP-P-2021-080678 2021-05-11
PCT/JP2022/014395 WO2022239532A1 (ja) 2021-05-11 2022-03-25 防護管取付器、防護管取付装置、および、防護管取付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05005A true KR20240005005A (ko) 2024-01-11

Family

ID=840295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41999A KR20240005005A (ko) 2021-05-11 2022-03-25 방호관 장착기, 방호관 장착장치 및 방호관 장착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WO2022239532A1 (ko)
KR (1) KR20240005005A (ko)
TW (1) TWI808735B (ko)
WO (1) WO2022239532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205232A (ja) 2018-05-21 2019-11-28 九州電気システム株式会社 簡易型防護管挿入器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922380Y1 (ko) * 1969-10-13 1974-06-15
JP2003189432A (ja) * 2001-12-21 2003-07-04 Furukawa Electric Co Ltd:The 架空電線への電線プロテクタの挿入装置
US6848541B2 (en) * 2002-07-11 2005-02-01 Nkf Kabel B.V. Optical cable installation with cable lubricator
JP2007159260A (ja) * 2005-12-05 2007-06-21 Yazaki Corp 配線固定部材
US20150144394A1 (en) * 2012-05-14 2015-05-28 Next Wave Design Pty Ltd Cable holder
CN106627426B (zh) * 2017-02-07 2019-11-22 上海蔚来汽车有限公司 线束隐藏式收放装置
CN108599077B (zh) * 2018-06-11 2020-01-14 内蒙古仁达特种电缆有限公司 一种用于室外电力电缆高适用性除冰装置
JP7184251B2 (ja) * 2018-11-05 2022-12-06 株式会社九電工 防護管挿入器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205232A (ja) 2018-05-21 2019-11-28 九州電気システム株式会社 簡易型防護管挿入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2245366A (zh) 2022-11-16
WO2022239532A1 (ja) 2022-11-17
TWI808735B (zh) 2023-07-11
JPWO2022239532A1 (ko) 2022-1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375259B1 (en) Cable guide and power supply apparatus for a vehicle slide door
CN102684132B (zh) 多关节型缆线类保护引导装置
JP7021309B2 (ja) ねじれている通路を持つ作動要素ガイド
EP1033799B1 (en) Device for inserting wires and/or pipes in a tubular, flexible sheath provided with openable overlapping edges.
CN103262371B (zh) 用于支撑电缆的支撑装置
JP2011067893A (ja) 溶接ロボットにおけるワイヤ送給装置の設置構造
CN102667558B (zh) 用于保持包覆光纤的光纤保持器及包覆光纤的保持方法
CN87108065A (zh) 光波导管的接线盒外壳
KR20240005005A (ko) 방호관 장착기, 방호관 장착장치 및 방호관 장착방법
EP3633233B1 (en) Apparatus for connecting components
TW201333343A (zh) 纜線保護導件及用於該保護導件之支座
US20190292003A1 (en) Cable processing machine with movable guide elements and method for laying a cable in a cable processing machine
KR101683951B1 (ko) 케이블류 보호안내장치
US20180047482A1 (en) Electric wire bundle, apparatus for manufacturing electric wire bundl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electric wire bundle
CN105452924A (zh) 用于开启电力缆线组装装置的挤制轮廓本体的工具
EP0972324A1 (en) Tool and method for sheathing of cables
JP2008301614A (ja) ロック付コルゲートチューブ取付治具
KR101820160B1 (ko) 와이어하네스 보호용 프로텍터
US6302379B1 (en) Device for facilitating threading of electrical cable through a pipe
JP4832233B2 (ja) 電線管
CN116848744A (zh) 长条物的引导装置及管状构件
EP1389707A3 (de) Leitungsführung bei einem Deckenstativ mit verschwenkbaren Stativabschnitten
JP2015008574A (ja) 防護管装着具
SK283844B6 (sk) Zariadenie na oplášťovanie zväzku vodičov
KR20220017169A (ko) 방호관 간접활선 설치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