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02468A - 신규한 벤즈아이소티아졸론계 유도체 및 이의 용도 - Google Patents

신규한 벤즈아이소티아졸론계 유도체 및 이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02468A
KR20240002468A KR1020220079697A KR20220079697A KR20240002468A KR 20240002468 A KR20240002468 A KR 20240002468A KR 1020220079697 A KR1020220079697 A KR 1020220079697A KR 20220079697 A KR20220079697 A KR 20220079697A KR 20240002468 A KR20240002468 A KR 202400024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ncer
add
formula
phgdh
sol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796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진
오세규
곽민석
이유진
이지윤
한균희
이철호
박준영
Original Assignee
(주)카이노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카이노젠 filed Critical (주)카이노젠
Priority to KR10202200796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02468A/ko
Publication of KR202400024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02468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17/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nitrogen and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15/00
    • C07D417/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nitrogen and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15/00 containing two hetero rings
    • C07D417/0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nitrogen and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15/00 containing two hetero rings directly linked by a ring-member-to-ring-member bon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44Non condensed pyridines; Hydrogenated derivatives thereof
    • A61K31/445Non condensed piperidines, e.g. piperocaine
    • A61K31/4523Non condensed piperidines, e.g. piperocaine containing further heterocyclic ring systems
    • A61K31/454Non condensed piperidines, e.g. piperocaine containing further heterocyclic ring systems containing a five-membered ring with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pimozide, domperid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44Non condensed pyridines; Hydrogenated derivatives thereof
    • A61K31/445Non condensed piperidines, e.g. piperocaine
    • A61K31/4523Non condensed piperidines, e.g. piperocaine containing further heterocyclic ring systems
    • A61K31/4545Non condensed piperidines, e.g. piperocaine containing further heterocyclic ring systems containing a six-membered ring with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pipamperone, anabas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atoms, e.g. piperazine or tetrazines
    • A61K31/505Pyrimidines; Hydrogenated pyrimidines, e.g. trimethoprim
    • A61K31/506Pyrimidines; Hydrogenated pyrimidines, e.g. trimethoprim not condensed and containing further heterocyclic r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17/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nitrogen and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15/00
    • C07D417/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nitrogen and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15/00 containing two hetero rings
    • C07D417/06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nitrogen and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15/00 containing two hetero rings linked by a carbon chain containing only aliphatic carbon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17/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nitrogen and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15/00
    • C07D417/1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nitrogen and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15/00 containing three or more hetero ring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개시는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신규한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및 이를 포함하는 고형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개시에 따른 화합물은 세린 및/또는 글리신 생합성 경로의 PHGDH 효소 활성을 저해하는 작용제로서, 종양 세포 성장 억제 효과가 우수하므로, 고형암 및 관련 질환 치료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신규한 벤즈아이소티아졸론계 유도체 및 이의 용도{Novel Benzoisothiazolone derivatives and uses thereof}
본 개시는 고형암을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는 신규한 벤즈아이소티아졸론계 유도체 및 이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세린, 더 정확하게는 L-세린은 글리신과 시스테인과 같은 아미노산뿐만 아니라 퓨린(핵산), 세레브로사이드(cerebroside), 스핀고미엘린(sphingomyelin), 포스파티딜세린(phosphatidylserine) 등의 구성성분으로 이용되는 매우 중요한 아미노산이다. 사람을 포함한 포유동물에서의 세린 생합성의 주요 경로는 글루코스의 해당과정(glycolysis)에서 형성되는 3-포스포글리세레이트(3-phosphoglycerate)로부터 3-포스포글리세레이트 데하이드로게나제(phosphoglycerate dehydrogenase; PHGDH), 포스포세린 아미노트랜스퍼라제(phosphoserine aminotransferase; PSAT)와 포스포세린 포스파타제(phosphoserine phosphatase; PSP)의 연속적인 작용에 의해 일어난다.
세포의 정상적인 상태에서는 이들 글루코스/글루타민 에너지 대사간 균형이 잘 유지되나 p53의 변이, DNA 손상, 체내 물질 대사에 해로운 환경 등에 의한 스트레스 상태(stress conditions)에 지속적으로 노출되면, 이들 간의 생체 내 균형이 깨지고 암성 세포 또는 암의 생육에 유리한 대사계로 전환된다고 알려져 있다.
특히, 최근 진행된 연구에서는 암세포가 활발한 세포 증식에 필요한 에너지를 비롯한 세포 구성성분을 마련하는 데 필요한 기초 물질을 암세포 내, 세린 생합성 경로를 통해 얻는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
그에 따라, 세린 생합성 경로가 암세포의 주 대사 경로 중 하나로 주목되고 있으며, 세린 생합성 경로의 첫 번째 단계에 관여하는 PHGDH는 결장직장암(colorectal cancer), 위암(gastric cancer), 유방암(breast cancer), 흑색종(melanoma), 유잉육종(Ewing's sarcoma), 자궁경부암(cervical cancer), 췌장암(pancreatic cancer), 갑상선암(thyroid cancer), 결장암(colon cancer), 폐 선암종(lung adenocarcinoma), 비소세포폐암(non-small cell lung cancer)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암에서 상향 조절되는 것으로 입증되었다.
한편, 고형암의 일종인 유방암은 전세계의 여성들 중에서 가상 흔한 악성 종양으로 남아있다. 유방암은 광범위한 임상 행동 및 예후를 보이는 이질적 질병이다. 유방암은 호르몬 수용체와 표피성장인자(HER2) 발현 정도에 따라 호르몬 양성 유방암, HER2 양성 유방암, 및 삼중 음성 유방암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중 삼중 음성 유방암은 전체 유방암 환자의 10∼15%를 차지하고 있으며, 삼중 음성 유방암은 에스트로겐 수용체(ER), 프로게스테론 수용체(PR), 표피성장인자(HER2) 수용체가 모두 음성이기 때문에 기존 항암화학요법 이외의 치료 옵션이 제한적인 상황이다.
비특허문헌 1에서는 PHGDH 발현량이 증가한 유방암 세포에서 세린의 생합성량이 증가된 것으로 나타나고, PHGDH 억제 시 세린의 생합성량이 감소함을 밝힌 바 있다. 비특허문헌 2에서도 유방암 세포에서 PHGDH의 발현량이 증가함을 보고하였다.
이러한 종전 연구에 따르면, PHGDH 효소의 활성 억제를 통해 삼중 음성 유방암을 치료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
한편, 1,2-벤즈아이소티아졸-3(2H)-온(1,2-Benzisothiazol-3(2H)-one)(CAS No. 2634-33-5)은 방부제 및 항균제로 널리 알려진 화합물로서, 비특허문헌 3에서는 1,2-벤즈아이소티아졸-3(2H)-온과 유사한 구조를 갖는 벤즈아이소티아졸론계 유도체(benzisothiazolone derivatives)의 일종인 BITA(disulfide benzamide; benzisothiazolone, NSC 694554)가 에스트로겐 수용체 DBD(DNA-binding domain) 징크핑거의 기능 억제하여 에스트로겐 수용체-매개 유방암 세포 성장을 선택적으로 억제하는 활성을 나타냄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BITA는 구조적으로 벤젠이 1,2-벤즈아이소티아졸-3(2H)-온의 질소와 결합되어 있고, 삼중 음성 유방암에 대해서도 항암 활성을 나타내는지 여부에 대하여는 전혀 개시하지 않고 있으며, PHGDH 효소와 관련한 이의 작용 기전에 대하여도 전혀 언급하지 않고 있다.
이러한 기술적 배경하에, 본 발명자들은 암세포에서 과활성화되는 세린 및/또는 글리신 생합성 경로를 효과적으로 저해하고, 결과적으로 세린 및/또는 글리신의 생합성량을 저하시킴으로써 다양한 고형암에 대한 예방 또는 치료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1,2-벤즈아이소티아졸-3(2H)-온 구조를 갖는 벤즈아이소티아졸론계 유도체에 대해 부단한 연구를 진행해 왔다. 그 결과, 놀랍게도,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벤즈아이소티아졸론계 유도체 화합물이 대표적인 고형암인 유방암 환자의 암세포에서 PHGDH 효소 활성을 유의하게 억제하여, 세린 및/또는 글리신의 생합성 경로의 과활성화를 차단하고, 이에 따라 세린 및/또는 글리신의 생산을 억제함으로써, 유의한 항암 활성을 나타냄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Nature, Vol. 476, 2011. 18th AUG, pp. 346-353 PLOS ONE, June 2014, Volume 9, Issue 6, e101004, pp. 1-14 NATURE MEDICINE, JANUARY 2004, VOLUME 10, NUMBER 1, pp. 40-47
본 개시의 목적은 PHGDH 효소 활성을 억제하여 세린 및/또는 글리신 생합성 경로의 과활성화를 방지할 수 있는 신규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개시의 또 다른 목적은 전술한 신규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고형암에 대한 예방 및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양태로서, 본 개시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상기 화학식에서, R1은 알킬(alkyl), 할라이드(halide), 아민(amine) 또는 하이드록시(hydroxy)이고, R2 또는 이고, 여기서 R3 또는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릴(aryl), C1-12 알콕시(alkoxy), C1-12 알킬(alkyl), 치환 또는 비치환된 헤테로사이클릭 아릴(heterocyclic aryl), 아민(amine) 또는 C1-8 알키닐(alkynyl)이고, A는 결합 또는 탄소(C)이고, n은 0 내지 2의 정수이고, m은 1 내지 3의 정수이다.
예를 들어, R1이 알킬인 경우, 상기 알킬은 1 내지 12개의 탄소원자(즉, C1-C12 알킬), 1 내지 10개의 탄소원자(즉, C1-C10 알킬), 또는 1 내 지 6개의 탄소원자(즉, C1-C6 알킬)를 가질 수 있다. 적합한 알킬기의 예는 메틸(Me, -CH3), 에틸(Et, -CH2CH3), 1-프로필(n-Pr, n-프로필, -CH2CH2CH3), 2-프로필(i-Pr, i-프로필, -CH(CH3)2), 1-부틸(n-Bu, n-부틸, -CH2CH2CH2CH3), 2-메틸-1-프로필(i-Bu, i-부틸, -CH2CH(CH3)2), 2-부틸(s-Bu, s-부틸, -CH(CH3)CH2CH3), 2-메틸-2-프로필(t-Bu, t-부틸, -C(CH3)3), 1-펜틸(n-펜틸, -CH2CH2CH2CH2CH3), 2-펜틸(-CH(CH3)CH2CH2CH3), 3-펜틸(-CH(CH2CH3)2)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R1이 할라이드인 경우, F, Cl, Br, 또는 I일 수 있다.
예를 들어, R1이 아민인 경우, NH2 또는 NHR5일 수 있고, R5는 C1-6 알킬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릴일 수 있다.
R2 또는 이고, 여기서 R3 또는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릴(aryl), C1-12 알콕시(alkoxy), C1-12 알킬(alkyl), 치환 또는 비치환된 헤테로사이클릭 아릴(heterocyclic aryl), 아민(amine) 또는 C2-8 알키닐(alkynyl)일 수 있다.
예를 들어, R3 또는 R4가 아릴인 경우, 상기 아릴은 단일 탄소원자로부터 1개의 수소 원자가 제거되어 유도되는 방향족 탄화수소 라디칼을 의미하며, 페닐, 나프틸, 아세나프테닐, 아세나프틸레닐, 안트라세닐, 플루오레닐, 페날레닐, 페난트레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아릴은 비치환되거나(즉, 치환될 수 있는 탄소 원자가 모두 수소 원자를 포함함) 또는 치환될 수 있고, 아릴의 치환가능한 위치 중 어느 하나, 둘 또는 그 이상, 또는 모든 위치에서 치환될 수 있다. 치환기의 예로는, 할로겐, 알킬 라디칼, 아릴 라디칼, 플루오레닐, 헤테로아릴 라디칼, 메틸렌디옥시, 시아노 등을 들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메틸렌디옥시 또는 시아노일 수 있다. 메틸렌디옥시 기로 치환기로 치환된 아릴은 메틸렌다이옥시페닐로 지칭되고, 시아노 기로 치환된 아릴은 시아노페닐로 지칭된다.
예를 들어, R3 또는 R4가 헤테로사이클릭아릴인 경우, 상기 헤테로사이클릭아릴은 고리 내에 하나 이상의 헤테로원자 및 하나 이상의 고리를 갖는 방향족 헤테로사이클릭 아릴을 지칭하며, 바람직하게는 벤젠 고리 중에 1개 또는 2개의 질소(N)를 포함하고, 단일 고리 형태이거나 또는 융합된 고리 형태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피리디닐, 피롤릴, 옥사졸릴, 인돌릴, 이소인돌릴, 퓨리닐, 퓨라닐, 티에닐, 벤조퓨라닐, 벤조티오페닐, 카바졸릴, 이미다졸릴, 티아졸릴, 이속사졸릴, 피라졸릴, 이소티아졸릴, 퀴놀릴, 이소퀴놀릴, 피리다질, 피리미딜, 피라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헤테로사이클릭 아릴은 비치환되거나(즉, 치환될 수 있는 질소 또는 탄소 원자가 모두 수소 원자를 포함함) 또는 치환될 수 있고, 헤테로사이클릭 아릴의 치환 가능한 위치 중 어느 하나, 둘 또는 그 이상, 또는 모든 위치에서 치환될 수 있다. 적합한 치환기는, C1-C8 알킬 라디칼, 아릴 라디칼, 플루오레닐, 헤테로아릴 라디칼, 적어도 하나의 질소 원자를 함유하는 헤테로아릴 라디칼, 이중결합 모이어티를 1개 또는 그 이상 갖는 C3-C8 알케닐 라디칼 등이 있다.
예를 들어, R3 또는 R4가 알콕시인 경우, 상기 알콕시는 알킬기가 산소 원자를 통하여 모 화합물에 부착되어 있는 화학식 -O-알킬을 갖는 기를 의미한다. 알콕시의 알킬 부분은 1 내지 12개의 탄소원자(즉, C1-C12 알콕시), 또는 1 내지 6개의 탄소원자(즉, C1-C6 알콕시)를 가질 수 있다. 적합한 알콕시기의 예는 메톡시(-O-CH3 또는 -OMe), 에톡시(-OCH2CH3 또는 -OEt), t-부톡시(-O-C(CH3)3 또는 -O-tBu) 등을 포함하며, 바람직하게는 t-부톡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R3 또는 R4가 알킬인 경우, R1의 알킬과 동일할 수 있다.
예를 들어, R3 또는 R4가 아민인 경우, NH2 또는 NHR5일 수 있고, 여기서 R5는 C1-6 알킬 또는 아릴일 수 있으며, 상기 아릴은 앞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다.
예를 들어, R3 또는 R4가 알키닐(alkynyl)인 경우, 알키닐은 하나 이상의 불포화 영역, 즉 탄소-탄소, sp 삼중 결합을 갖는 탄화수소이다. 예를 들면, 알키닐은 2 내지 8개의 탄소원자(즉, C2-C8 알키닐)를 가질 수 있으며, 알키닐은 아세틸렌닉, 프로파길, 알키닐페닐 등을 포함하며, 바람직하게는 알키닐페닐(alkynyl phenyl)일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본 개시에 따른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하기 구조를 갖는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것일 수 있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및
.
바람직하게는 본 개시에 따른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하기 구조를 갖는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것일 수 있다:
;
;
;
;
;
;
; 및
.
본 개시에 따른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PHGDH 효소 활성을 억제할 수하기 있으며, 구체적으로, PHGDH 효소 활성을 억제하여, 세린 및 글리신의 생합성 경로의 과활성화를 차단하고, 세린 및/또는 글리신의 생산 억제하거나 저해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고형암 및 이와 관련된 병태를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른 대표적인 화합물들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및 용매화물로 제조될 수 있다.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으로는 유리산(free acid)에 의해 형성된 산부가염이 유용하다. 산부가염은 통상의 방법, 예를 들면, 화합물을 과량의 산 수용액에 용해시키고, 이 염을 메탄올, 에탄올, 아세톤 또는 아세토니트릴과 같은 수혼화성 유기 용매를 사용하여 침전시켜서 제조한다.
이때, 유리산으로는 유기산과 무기산을 사용할 수 있으며, 무기산으로는 염산, 인산, 황산, 질산, 주석산 등을 사용할 수 있고, 유기산으로는 메탄설폰산, p-톨루엔설폰산, 아세트산,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시트르산, 말레산(maleic acid), 숙신산, 옥살산, 벤조산, 타르타르산, 푸마르산, 만데르산, 프로피온산(propionic acid), 젖산(lactic acid), 글리콜산(glycollic acid), 글루콘산 (gluconic acid), 갈락투론산, 글루탐산, 글루타르산(glutaric acid), 글루쿠론산 (glucuronic acid), 아스파르트산, 아스코르빈산, 카본산, 바닐릭산, 히드로 아이오딕산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염기를 사용하여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금속염을 제조할 수 있다.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 토금속염은, 예를 들면 화합물을 과량의 알칼리 금속 수산화물 또는 알칼리토 금속 수산화물 용액 중에 용해하고, 비용해 화합물염을 여과한 후 여액을 증발, 건조시켜 얻는다. 이때, 금속염으로서는 특히 나트륨, 칼륨 또는 칼슘염을 제조하는 것이 제약상 적합하며, 또한 이에 대응하는 은염은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토 금속염을 적당한 은염(예, 질산은)과 반응시켜 얻는다.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은, 달리 지시되지 않는 한, 화학식 1의 화합물에 존재할 수 있는 산성 또는 염기성 기의 염을 포함한다. 예를 들면,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으로는 하이드록시 기의 나트륨, 칼슘 및 칼륨 염이 포함되며, 아미노 기의 기타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으로는 히드로브로마이드, 황산염, 수소 황산염, 인산염, 수소 인산염, 이수소 인산염, 아세테이트, 숙시네이트, 시트레이트, 타르트레이트, 락테이트, 만델레이트, 메탄설포네이트(메실레이트) 및 p-루엔설포네이트(토실레이트) 염이 있으며, 당업계에서 알려진 염의 제조방법이나 제조과정을 통하여 제조될 수 있다.
다른 하나의 양태로서, 본 개시는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개시의 바람직한 일 실시형태로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하기 반응식 1과 같이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기 a, b, 및 c의 단계들을 포함하여 하기 반응식 1에서와 같이 제조될 수 있다:
[반응식 1]
상기 반응식 1에서, R1, n, A, m 및 R2는 앞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며, Lv는 OMs 또는 할라이드, 특히 Br이다.
반응식 1에서 a) 단계는 구조식 Ⅰ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구조식 Ⅱ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반응시켜 구조식 Ⅲ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얻는 단계로서, 구조식 Ⅰ로 표시되는 화합물에 구조식 Ⅱ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피페리딘 고리를 연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a) 단계는 탄산칼륨(K2CO3) 및 아세토나이트릴(CH3CN)을 첨가하여 약 12시간 동안 환류하여 진행될 수 있다.
b) 단계는 구조식 Ⅲ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피페리딘 고리의 질소를 환원시켜, 구조식 Ⅳ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얻는 단계로서, 메테인술폰산(CH3SO3H) 및 다이클로로메테인(CH2Cl2)을 첨가하여, 18시간 동안 0℃ 내지 상온(대략 25℃)에서 진행될 수 있다.
c) 단계는 구조식 Ⅳ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적합한 반응 물질과 반응시켜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목적 화합물을 얻는 단계로서, 목적 화합물의 구조에 따라 적합한 반응 물질 및 반응 조건이 달라 질 수 있다.
예를 들어, R2인 경우와 같이, 아미드(amide) 구조를 갖는 목적 화합물을 얻고자 하는 경우, HATU(C10H15F6N6OP) 및 디메틸포름아미드(C3H7NO) 하에서 약 18시간 동안 상온에서 반응시켜 진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R2인 경우와 같이, 설폰아미드(sulfonamide) 구조를 갖는 목적 화합물을 얻고자 하는 경우, 테트라에틸암모늄(C8H20N+) 및 메틸렌클로라이드(CH2Cl2) 조건 하에서 약 2시간 동안 0℃~상온에서 반응시켜 진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헤테로아릴(Heteroaryl) 구조를 갖는 목적 화합물을 얻고자 하는 경우, N.N'-diisopropylethylamine 및 다이메틸설폭사이드((CH3)2SO) 조건 하에서, 약 18시간 동안 약 100℃에서 가열 반응시켜 진행될 수 있다.
또 다른 양태에서, 본 개시는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고형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개시에 따른 화합물은 종양세포 성장 억제 효과가 우수하므로, 고형암 및/또는 관련 질환 치료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형태에서, 고형암은 PHGDH 효소가 관여하여 세린 및/또는 글리신 생합성 경로의 비정상적인 작동으로 유발되는 암을 지칭하며, 이로만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양성성상세포종, 악성성상세포종, 뇌하수체 선종, 뇌수막종, 뇌림프종, 핍지교종, 두개내인종, 상의세포종, 뇌간종양, 후두암, 구인두암, 비강/부비동암, 비인두암, 침샘암, 하인두암, 갑상선암, 구강암, 흉부종양, 소세포성 폐암, 비소세포성 폐암, 흉선암, 종격동 종양, 식도암, 유방암, 복부종양, 위암, 간암, 담낭암, 담도암, 췌장암, 소장암, 대장암, 항문암, 방광암, 신장암, 음경암, 전립선암, 자궁경부암, 자궁내막암, 난소암, 자궁육종, 질암, 여성외부생식기암 및 피부암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고형암은 유방암일 수 있고, 더 구체적으로 삼중 음성 유방암일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형태에서,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은 전술한 것과 같은 고형암 및 이와 관련된 병태를 지니거나 앓게 될 위험이 있거나, 이를 지니고 있거나 지닌 적이 있거나, 이를 앓고 있거나 앓은 적이 있거나, 또는 이를 지니거나 앓고 있는 것으로 진단받았거나 진단받은 적이 있는 대상체에서 PHGDH 효소 활성을 억제하여, 세린 및 글리신의 생합성 경로의 과활성화를 차단하고, 세린 및/또는 글리신의 생산 억제하거나 저해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상기 고형암 및 이와 관련된 병태를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예방"은 본 개시의 화합물 또는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의 투여로 PHGDH 효소 활성을 억제하여, 세린 및/또는 글리신의 생합성 경로의 과활성화 위험을 사전에 차단하여 과다하게 생성될 수 있는 세린 및/또는 글리신을 정상적 수준 내지 밸런스를 안정적으로 유지하여, 고형암의 발생, 확산 및 재발을 억제시키거나 지연시키는 모든 작용을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치료"는 본 개시의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의 투여로 고형암 및/또는 관련 질환의 증세가 호전, 완화, 지연, 지체, 회복, 완치되는 것을 포함하여, 이러한 치료를 필요로 하는 대상체의 건강 상태를 이롭게 개선하는 모든 작용을 지칭한다.
본 개시에 따른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은 통상의 방법에 따른 적절한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오스, 덱스트로오스, 수크로오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오스, 메틸 셀룰로오스, 미정질 셀룰로오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본 개시의 조성물은 각각의 사용 목적에 맞게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제,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 제형, 멸균 주사 용액의 주사제 등 다양한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경구 투여하거나 정맥내, 복강내, 피하, 직장, 국소 투여 등을 포함한 다양한 경로를 통해 투여될 수 있다.
경구 투여를 위한 고체 제형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체 제형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탄산칼슘, 수크로스, 락토즈, 젤라틴 등을 혼합하여 제형화될 수 있다. 또한, 필요한 경우,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와 같은 윤활제가 사용될 수 있다.
경구 투여를 위한 액체 제형에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포함되며, 흔히 사용되는 희석제인 물, 액체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형에는 멸균된 수용액제,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 제제, 좌제 등과 같은 신체의 소정 부위에 주사, 주입, 삽입가능한 형태의 것이 포함된다.
주사용 제형에는 용해제, 등장화제, 현탁화제, 유화제, 안정화제, 방부제 등과 같은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물질이 포함될 수 있다.
비수성용제와 현탁제에는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 마크로골, 트윈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제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제형은 통상적인 혼합, 과립화 또는 코팅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으며, 본 개시에 따른 화합물을 약 0.1 내지 75 중량%, 바람직하게는 약 1 내지 50 중량%의 범위에서 함유할 수 있다. 약 50 내지 70 kg의 포유동물에 대한 단위 제형은 본 개시에 따른 화합물을 약 10 내지 200 mg의 양으로 함유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조성물은 기본적으로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으로 투여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은 의학적 치료에 적용 가능한 합리적인 수혜/위험 비율로 질환을 치료하기에 충분하며 부작용을 일으키지 않을 정도의 양을 의미하며, 유효용량 수준은 대상체(예컨대, 사람 환자)의 건강상태, 질환의 종류, 중증도, 약물의 활성, 약물에 대한 민감도, 투여 방법,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및 배출 비율, 치료 기간, 배합 또는 동시 사용되는 약물을 포함한 요소 및 기타 의학 분야에 잘 알려진 요소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조성물은 개별 치료제로 투여하거나 다른 치료제와 병용하여 투여될 수 있고, 종래의 치료제와 순차적으로 또는 동시에 투여될 수 있으며, 단일 또는 다중 투여될 수 있다. 상기한 요소들을 모두 고려하여 부작용 없이 최소한의 양으로 최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양을 투여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는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결정될 수 있다.
본 개시의 화합물의 바람직한 투여량은 대상체(예컨대, 사람 환자)의 상태 및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물의 형태, 투여 경로 및 기간에 따라 다르지만,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한 효과를 위해서, 본 개시의 화합물을 1일 0.0001 내지 100 mg/kg(체중),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100 mg/kg(체중)으로 투여하는 것이 유익할 수 있다. 투여는 1일 1회 또는 분할하여 경구 또는 비경구적 경로를 통해 투여될 수 있다.
나아가, 본 개시는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을 이를 필요로 하는 개체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고형암을 예방 또는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 "개체"란, 고형암이 발병하였거나 발병할 수 있는 인간을 포함한 원숭이, 소, 말, 양, 돼지, 닭, 칠면조, 메추라기, 고양이, 개, 마우스, 쥐, 토끼 또는 기니아 피그를 포함한 모든 동물을 의미하고, 본 개시의 약제학적 조성물을 개체에게 투여함으로써 상기 질환을 효과적으로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기존의 치료제와 병행하여 투여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 "투여"란, 임의의 적절한 방법으로 대상체(예컨대, 사람 환자)에게 소정의 물질을 제공하는 것을 의미하며, 본 개시의 조성물의 투여 경로는 목적 조직에 도달할 수 있는 한 어떠한 일반적인 경로를 통하여 투여될 수 있다. 복강내 투여, 정맥내 투여, 근육내 투여, 피하 투여, 피내 투여, 경구 투여, 국소 투여, 비내 투여, 폐내투여, 직장내 투여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또한, 본 개시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활성 물질이 표적 세포로 이동할 수 있는 임의의 장치에 의해 투여될 수도 있다. 바람직한 투여방식 및 제제의 예로는 정맥 주사제, 피하 주사제, 피내 주사제, 근육 주사제, 점적 주사제 등을 들 수 있다. 주사제는 생리식염액, 링겔액 등의 수성 용제, 식물유, 고급 지방산 에스테르(예컨대, 올레인산에칠 등), 알코올 류(예컨대, 에탄올, 벤질알코올, 프로필렌글리콜, 글리세린 등) 등의 비수성 용제 등을 이용하여 제조할 수 있고, 변질 방지를 위한 안정화제(예컨대, 아스코르빈산, 아황산수소나트륨, 피로아황산나트륨, BHA, 토코페롤, EDTA 등), 유화제, pH 조절을 위한 완충제, 미생물 발육을 저지하기 위한 보존제(예컨대, 질산페닐수은, 치메로살, 염화벤잘코늄, 페놀, 크레솔, 벤질알코올 등) 등의 약학적 담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화합물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은, 달리 지시되지 않는 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에 존재할 수 있는 산성 또는 염기성 기의 염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으로는 하이드록시 기의 나트륨, 칼슘 및 칼륨염 등이 포함될 수 있고, 아미노 기의 기타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으로는 하이드로브로마이드, 하이드로클로라이드, 설페이트, 바이설페이트, 포스페이트, 모노하이드로젠 포스페이트, 바이하이드로젠 포스페이트, 아세테이트, 숙시네이트, 시트레이트, 타르트레이트, 락테이트, 만델레이트, 메탄술포네이트(메실레이트) 및 p-톨루엔술포네이트(토실레이트) 염 등이 있으며, 당업계에 알려진 염의 제조방법을 통하여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에 따른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뿐만 아니라 이로부터 제조될 수 있는 가능한 수화물 등의 용매화물 및 가능한 모든 입체이성질체를 제한 없이 포함한다.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용매화물 및 입체이성질체는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을 사용하여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로부터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에 따른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결정 형태 또는 비결정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결정 형태로 제조될 경우 임의로 수화되거나 용매화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는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화학양론적 수화물뿐만 아니라 다양한 양의 물을 함유하는 화합물이 포함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른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용매화물은 화학양론적 용매화물 및 비화학양론적 용매화물 모두를 포함한다.
본 개시에 따른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신규한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은 PHGDH 효소 활성을 억제하여, 세린 및/또는 글리신의 생합성 경로의 과활성화를 차단하고, 이에 따른 세린 및/또는 글리신의 생산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에 따른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신규한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은 유방암, 더 구체적으로는 삼중 음성 유방암을 포함하는 다양한 고형암의 발병, 확산, 전이, 재발 등을 억제시키거나 지연시킬 수 있어, 고형암의 예방 또는 치료가 필요한 대상체에서 항암 약물로서 유용할 수 있다.
도 1은 PHGDH 효소 기반 에세이 키트를 이용하여 PHGDH 효소 반응에 대한 본 개시에 따른 대표 화합물 25종의 억제 활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개시에 따른 대표 화합물 3종에 대한 PHGDH 효소 기반 에세이를 자체 프로토콜에 기반하여 수행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PHGDH 효소 기반 에세이 키트를 이용하여 양성대조물질과 대비하여 PHGDH 효소 반응에 대한 본 개시에 따른 대표 화합물 3종의 억제 활성을 log-scale로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양성대조물질과 대비하여 본 개시에 따른 대표 화합물 3종에 대한 PHGDH 효소 기반 에세이를 자체 프로토콜에 기반하여 수행한 결과를 log-scale로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개시의 예시적인 실시형태, 실시예 등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개시는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실시형태, 실시예 등으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중간체의 제조
중간체 1: tert-butyl 4-(hydroxymethyl)piperidine-1-carboxylate의 합성
100 ㎖ 플라스크에 tert-butyl 4-formylpiperidine-1-carboxylate 1.0g을 dichloromethane 10 ㎖를 첨가하고 용해시키고 5℃로 Cooling 한 후 Sodium tetrahydridoborate 0.12g를 천천히 투입한다. 상온에서 3시간 이상 교반 한 후 증류수 10 ㎖를 투입하고 상온에서 1hr 동안 교반 하여 준 후 Dichloro methane 층을 증류수 10 ㎖로 3회 씻어 준다. 무수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하고 필터 후 농축하여 표제의 목적 화합물(0.8g, 수율 80%)을 얻었다.
1H-NMR (500MHz, CDCl3): 4.06(2H, m), 3.67(2H, t), 2.83(1H, s), 2.69 (2H, m), 1.67(2H, d), 1.66 (1H, m), 1.40 (9H, s), 1.11 (2H, m)
중간체 2: tert-butyl 4-{[(methylsulfonyl)oxy]methyl}piperidine-1-carboxylate의 합성
100 ㎖ 플라스크에 1.0 g의 중간체 1을 dichloromethane 15 ㎖에 첨가하고 교반하여 용해시키고 0 ℃에서 Triethylamine을 0.9 ㎖을 적가한 후 30분간 교반한다. 교반이 완료되면 methansulfonyl chloride 0.5 ㎖을 천천히 적가한 후 상온에서 3시간 이상 교반한다. 반응 종결 후 증류수 10 ㎖로 3회 씻어준다. 무수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하고 농축하여 표제의 목적 화합물(1.3g, 수율 88%)을 얻었다.
1H-NMR (500MHz, DMSO-d6): 4.07 (2H, d), 3.95 (2H, m), 3.17 (3H, s), 2.69 (2H, m), 1.86 (1H, m), 1.66 (2H, d), 1.39 (9H, s), 1.09 (2H, m)
중간체 3: 2-(piperidin-4-ylmethyl)-1,2-benzothiazol-3(2H)-one의 합성
100 ㎖ 플라스크에 tert-butyl-4-[(3-oxo-1,2-benzothiazol-2(3H)-yl)methyl]piperidine-1-carboxylate을 1g 첨가하고 dichloromethane 15 ㎖에 용해시킨 다음 0 ℃에서 Methanesulfonic acid를 천천히 첨가한 다음, 상온에서 4시간 이상 교반 한다. 반응 종결 후 증류수 20 ㎖로 추출한 후 증류수 층을 5% NaOH 수용액 10 ㎖로 중화하고 dichloromethane 15 ㎖로 추출한다. 유기층을 무수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농축하여 표제의 목적 화합물(0.50g, 수율 70%)을 얻었다.
1H-NMR (500MHz, CDCl3): 8.03 (1H, d), 7.59 (1H, t), 7.54 (1H, t), 7.47 (1H, t), 3.64 (2H, d), 3.10 (2H, d), 2.56 (2H, t), 1.96 (1H, m), 1.73 (2H, d), 1.67 (2H, s), 1.32 (1H, m)
중간체 4: tert-butyl 4-(2-hydroxyethyl)piperidine-1-carboxylate의 합성
100 ㎖ 플라스크에 2-(piperidin-4-yl)ethan-1-ol을 1g 첨가하고 dichloromethane 15 ㎖에 용해시킨 후, 0℃ 로 냉각한다. Triethylamine 2.26 ㎖을 첨가하고 30분 동안 교반 후 di-tert-butyl decarbonate 1.73g을 천천히 넣어 주고 4시간 이상 상온 교반 하여 준다. 반응 종결 후 증류수 10 ㎖로 3회 씻어준다. 무수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농축하여 표제의 목적 화합물(1.49g, 수율 80%)을 얻었다.
1H-NMR (500MHz, CDCl3): 4.06(2H, m), 3.67(2H, t), 2.83(1H, s), 2.69 (2H, m), 1.67(2H, d), 1.66 (1H, m), 1.51 (2H, t), 1.45 (9H, s), 1.11 (2H, m)
중간체 5: tert-butyl 4-{2-[(methylsulfonyl)oxy]ethyl}piperidine-1-carboxylate의 합성
100 ㎖ 플라스크에 tert-butyl 4-(2-hydroxyethyl)piperidine-1-carboxylate 1 g을 첨가하고 dichloromethane 15 ㎖에 용해시킨 후, 0 ℃에서 Triethyl amine을 0.73 ㎖을 적가한 후 30분간 교반한다. 교반 후 methanesulfonyl chloride 0.37 ㎖을 천천히 적가한 후 상온에서 3시간 이상 교반한다. 반응 종결 후 증류수 10 ㎖로 3회 씻어준다. 무수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하고 농축하여 표제의 목적 화합물(1.07g, 수율 80%)을 얻었다.
1H-NMR (500MHz, DMSO-d6): 4.07 (2H, d), 3.95 (2H, m), 3.17 (3H, s), 2.69 (2H, m), 1.86 (1H, m), 1.66 (2H, d), 1.39 (9H, s), 1.09 (2H, m)
중간체 6: 2-(2-(piperidin-4-yl)ethyl)benzo[d]isothiazol-3(2H)-one의 합성
100 ㎖ 플라스크에 tert-butyl 4-(2-(3-oxobenzo[d]isothiazol-2(3H)-yl)ethyl)piperidine-1-carboxylate을 1g 첨가하고 dichloromethane 15 ㎖에 용해시킨 다음 0 ℃에서 Methanesulfoniacid를 0.53 ㎖ 천천히 첨가한 다음, 상온에서 4시간 이상 교반 한다. 반응 종결 후 증류수 20 ㎖로 추출한 후 증류수 층을 5% NaOH 수용액 10 ㎖로 중화하고 dichloromethane 15 ㎖로 추출한다. 유기층을 무수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농축하여 표제의 목적 화합물(0.5g, 수율 70%)을 얻었다.
1H-NMR (500MHz, DMSO-d6): 7.98 (1H, d), 7.86 (1H, d), 7.68 (1H, t), 7.44 (1H, t), 3.87 (4H, m), 2.62 (2H, m), 1.70 (2H, m), 1.61 (2H, m), 1.41(1H, m), 1.02 (2H, m)
중간체 7: tert-butyl 4-bromopiperidine-1-carboxylate의 합성
100 ㎖ 플라스크에 tert-butyl 4-hydroxypiperidine-1-carboxylate 1g을 dichloromethane 15 ㎖에 용해시킨 다음 0℃에서 tetrabromomethane 1.72g을 첨가하고 triphenylphosphine을 1.36g을 천천히 첨가한 다음, 상온에서 6시간 이상 교반하여 준다. 반응 종결 후 증류수 10 ㎖로 3회 씻어 준다. 무수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표제의 목적 화합물(1.19g, 수율 90%)을 얻었다.
1H-NMR (500MHz, CDCl3): 4.37 (1H, m), 3.68 (2H, m), 3.30 (2H, m), 2.05 (2H, m), 1.95 (2H, m), 1.47 (9H, s)
중간체 8: 2-(piperidin-4-yl)benzo[d]isothiazol-3(2H)-one의 합성
100 ㎖ 플라스크에 tert-butyl 4-(3-oxobenzo[d]isothiazol-2(3H)-yl)piperidine-1-carboxylate을 1g 첨가하고 dichloromethane 15 ㎖에 용해시킨 다음 0 ℃에서 Methanesulfonic acid를 0.58 ㎖ 천천히 첨가한 다음, 상온에서 4시간 이상 교반 한다. 반응 종결 후 증류수 20 ㎖로 추출한 후 증류수 층을 5% NaOH 수용액 10 ㎖로 중화하고 dichloromethane 15 ㎖로 추출한다. 유기층을 무수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농축하여 목적 화합물(0.5g, 수율 70%)을 얻었다.
1H-NMR (500MHz, CDCl3): 8.05 (1H, d), 7.62 (1H, t), 7.55 (1H, d), 7.41 (1H, t), 4.73 (1H, m), 4.27 (2H, m), 2.88 (2H, m), 2.01 (2H, d), 1.73 (2H, m), 1.49
중간체 9: 4-fluoro-2-(piperidin-4-yl)benzo[d]isothiazol-3(2H)-one의 합성
100 ㎖ 플라스크에 1g의 tert-butyl 4-(3-oxobenzo[d]isothiazol-2(3H)-yl)piperidine-1-carboxylate를 첨가하고 dichlromethane 15 ㎖에 용해시킨 다음, 0 ℃에서 Methanesulfonic acid를 0.55 ㎖ 천천히 첨가한 다음, 상온에서 4시간 이상 교반 한다. 반응 종결 후 증류수 20 ㎖로 추출한 후, 증류수 층을 5% NaOH 수용액 10 ㎖로 중화하고 dichloromethane 15 ㎖로 추출한다. 유기층을 무수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농축하여 표제의 목적 화합물(0.5g, 수율 70%)을 얻었다.
1H-NMR (500MHz, CDCl3): 7.53 (1H, m), 7.32 (1H, d), 7.02 (1H, t), 4.73 (1H, m), 4.27 (2H, m), 2.88 (2H, m), 2.01 (2H, d), 1.73 (2H, m)
중간체 10: 4-fluoro-2-(piperidin-4-ylmethyl)benzo[d]isothiazol-3(2H)-one의 합성
100 ㎖ 플라스크에 1g의 tert-butyl 4-((3-oxobenzo[d]isothiazol-2(3H)-yl)methyl)piperidine-1-carboxylate를 첨가하고 dichloromethane 15 ㎖에 용해시킨 다음 0℃에서 Methanesulfonic acid를 0.55 ㎖ 천천히 첨가한 다음, 상온에서 4시간 이상 교반 한다. 반응 종결 후 증류수 20 ㎖로 추출한 후 증류수 층을 5% NaOH 수용액 10 ㎖로 중화하고 dichloromethane 15 ㎖로 추출한다. 유기층을 무수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농축하여 표제의 목적 화합물(0.5g, 수율 70%)을 얻었다.
1H-NMR (500MHz, CDCl3): 7.53 (1H, m), 7.32 (1H, d), 7.02 (1H, t), 4.27 (2H, m), 2.88 (2H, m), 2.01 (2H, d), 1.75 (1H, m), 1.73 (2H, m), 1.25 (2H, m)
중간체 11: 4-fluoro-2-(2-(piperidin-4-yl)ethyl)benzo[d]isothiazol-3(2H)-one의 합성
100 ㎖ 플라스크에 1g의 tert-butyl4-(2-(4-fluoro-3-oxobenzo[d]isothiazol-2(3H)-yl)ethyl)piperidine-1-carboxylate을 첨가하고 dichloromethane 15 ㎖에 용해시킨 다음, 0 ℃에서 Methanesulfoniacid를 0.55 ㎖ 천천히 첨가한 다음, 상온에서 4시간 이상 교반 한다. 반응 종결 후 증류수 20 ㎖로 추출한 후 증류수 층을 5% NaOH 수용액 10 ㎖로 중화하고 dichloromethane 15 ㎖로 추출한다. 유기층을 무수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농축하여 표제의 목적 화합물(0.51g, 수율 70%)을 얻었다.
1H-NMR (500MHz, CDCl3): 7.53 (1H, m), 7.32 (1H, d), 7.02 (1H, t), 4.27 (2H, m), 2.88 (2H, m), 2.01 (2H, d), 1.87 (2H, m), 1.73 (2H, m), 1.28 (1H, m), 1.25 (2H, m)
[실시예] 본 개시의 대표 화합물의 제조
실시예 1: tert-butyl 4-(3-oxobenzo[d]isothiazol-2(3H)-yl)piperidine-1-carboxylate의 합성
100 ㎖ 플라스크에 1,2-benzothiazol-3(2H)-one 1g을 Acetonitrile 15 ㎖에 첨가하고 교반하여 용해한 다음, tert-butyl 4-bromopiperidine-1-carboxylate 1.7g을 첨가한 다음, Potassium carbonate를 0.67g을 첨가하고 6시간 이상 가열 환류한다. 반응 종결 후 EA 20 ㎖를 첨가하고 증류수 10 ㎖로 3회 씻어 준 후, 무수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농축하여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표제의 목적 화합물(1.1g, 수율 50%)을 얻었다.
1H-NMR (500MHz, CDCl3): 8.05 (1H, d), 7.62 (1H, t), 7.55 (1H, d), 7.41 (1H, t), 4.73 (1H, m), 4.27 (2H, m), 2.88 (2H, m), 2.01 (2H, d), 1.73 (2H, m), 1.49 (9H, s) 
실시예 2: tert-butyl 4-[(3-oxo-1,2-benzothiazol-2(3H)-yl)methyl]piperidine-1-carboxylate의 합성
100 ㎖ 플라스크에 1,2-benzothiazol-3(2H)-one 1g을 Acetonitrile 15 ㎖에 첨가하고 교반하여 용해시킨 후, tert-butyl-4-{[(methylsulfonyl)oxy]methyl}piperidine-1-carboxylate 1.9g을 첨가한 다음, Potassium carbonate를 0.67g을 첨가하고 6시간 이상 가열 환류한다. 반응 종결 후 EA 20 ㎖를 첨가하고 증류수 10 ㎖ 로 3회 씻어 준 후, 무수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농축하여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표제의 목적 화합물(0.60g, 수율 50%)을 얻었다.
1H-NMR (500MHz, CDCl3): 8.05 (1H, d), 7.62 (1H, t), 7.55 (1H, d), 7.41 (1H, t), 4.11 (2H, m), 3.78 (2H, m), 2.69 (2H, m), 2.01 (1H, m), 1.67 (2H, m), 1.45 (9H, s), 1.27 (2H, m)
실시예 3: tert-butyl 4-(2-(3-oxobenzo[d]isothiazol-2(3H)-yl)ethyl)piperidine-1-carboxylate의 합성
100 ㎖ 플라스크에 1,2-benzothiazol-3(2H)-one 1g을 Acetonitrile 15 ㎖에 첨가하고 교반하여 용해시킨 후, tert-butyl 4-{2-[(methylsulfonyl)oxy]ethyl}piperidine-1-carboxylate 2.0g을 첨가한 다음, Potassium carbonate를 0.67g을 첨가하고 6시간 이상 가열 환류한다. 반응 종결 후 EA(에틸 아세테이트) 20 ㎖를 첨가하고 증류수 10 ㎖로 3회 씻어 준 다음, 무수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농축하여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표제의 목적 화합물(1.19g, 수율 50%)을 얻었다.
1H-NMR (500MHz, DMSO-d6): 7.98 (1H, d), 7.86 (1H, d), 7.68 (1H, t), 7.44 (1H, t), 3.87 (4H, m), 2.62 (2H, m), 1.70 (2H, m), 1.61 (2H, m), 1.41(1H, m), 1.38 (9H, s), 1.02 (2H, m)
실시예 4: tert-butyl 4-(3-oxobenzo[d]isothiazol-2(3H)-yl)piperidine-1-carboxylate의 합성
100 ㎖ 플라스크에 4-fluorobenzo[d]isothiazol-3(2H)-one 1g을 Acetonitrile 15 ㎖에 첨가하고 교반하여 용해시킨 후, tert-butyl 4-bromopiperidine-1-carboxylate를 1.64g을 첨가한 다음, Potassium carbonate를 1.22g을 첨가하고 6시간 이상 가열 환류 한다. 반응 종결 후 EA 20 ㎖를 첨가하고 증류수 10 ㎖로 3회 씻어 준 다음, 무수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농축하여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표제의 목적 화합물(1.04g, 수율 50%)을 얻었다.
1H-NMR (500MHz, CDCl3): 7.53 (1H, m), 7.32 (1H, d), 7.02 (1H, t), 4.73 (1H, m), 4.27 (2H, m), 2.88 (2H, m), 2.01 (2H, d), 1.73 (2H, m), 1.49 (9H, s) 
실시예 5: tert-butyl 4-((3-oxobenzo[d]isothiazol-2(3H)-yl)methyl)piperidine-1-carboxylate의 합성
100 ㎖ 플라스크에 4-fluorobenzo[d]isothiazol-3(2H)-one 1g을 Acetonitrile 15 ㎖에 첨가하고 교반하여 용해시킨 후, tert-butyl-4-{[(methylsulfonyl)oxy]methyl}piperidine-1-carboxylate를 1.2g을 첨가한 다음, Potassium carbonate를 1.22g을 첨가하고 6시간 이상 가열 환류한다. 반응 종결 후 EA 20 ㎖를 첨가하고 증류수 10 ㎖로 3회 씻어 준 다음, 무수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농축하여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표제의 목적 화합물(1.02g, 수율 50%)을 얻었다.
1H-NMR (500MHz, CDCl3): 7.53 (1H, m), 7.32 (1H, d), 7.02 (1H, t), 4.27 (2H, m), 2.88 (2H, m), 2.01 (2H, d), 1.75 (1H, m), 1.73 (2H, m), 1.49 (9H, s), 1.25 (2H, m)
실시예 6: tert-butyl4-(2-(4-fluoro-3-oxobenzo[d]isothiazol-2(3H)-yl)ethyl)piperidine-1-carboxylate의 합성
100 ㎖ 플라스크에 4-fluorobenzo[d]isothiazol-3(2H)-one 1g을 Acetonitrile 15 ㎖에 첨가하고 교반하여 용해시킨 후, tert-butyl 4-{2-[(methylsulfonyl)oxy]ethyl}piperidine-1-carboxylate을 1.2g을 첨가한 다음, Potassium carbonate를 1.22g을 첨가하고 6시간 이상 가열 환류한다. 반응 종결 후 EA 20 ㎖를 첨가하고 증류수 10 ㎖로 3회 씻어 준 다음, 무수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농축하여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표제의 목적 화합물(1.12g, 수율 50%)을 얻었다.
1H-NMR (500MHz, CDCl3): 7.53 (1H, m), 7.32 (1H, d), 7.02 (1H, t), 4.27 (2H, m), 2.88 (2H, m), 2.01 (2H, d), 1.87 (2H, m), 1.73 (2H, m), 1.49 (9H, s), 1.28 (1H, m), 1.25 (2H, m)
실시예 7: 4-((4-((3-oxobenzo[d]isothiazol-2(3H)-yl)methyl)piperidin-1-yl)sulfonyl)benzonitrile의 합성
100 ㎖ 플라스크에 1.0g의 중간체 3을 dichloromethane 10 ㎖에 첨가하고 교반하여 용해시키고 Triethylamine을 0.61 ㎖ 첨가한 다음, 0 ℃에서 4-cyanobenzenesulfonyl chloride 0.84g을 넣어 주고 1시간 이상 상온 교반 한다. 반응 종결 후 증류수 10 ㎖ 로 3회 씻어 준 다음, 무수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농축한 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표제의 목적 화합물(0.10g 60%)을 얻었다.
1H NMR (500MHz, DMSO-d6): 8.11 (2H, d), 7.84 (4H, m), 7.66 (1H, t), 7.42 (1H, t), 3.70 (2H, d), 3.64 (2H, d), 2.32 (2H, m), 1.76 (1H, m), 1.65 (2H, d), 1.21 (2H, m)
실시예 8: 2-((1-(methylsulfonyl)piperidin-4-yl)methyl)benzo[d]isothiazol-3(2H)-one의 합성
100 ㎖ 플라스크에 1.0g의 중간체 3을 dichloromethane 10 ㎖에 첨가하고 교반하여 용해시키고 Triethylamine을 0.61 ㎖ 첨가한 다음, 0℃에서 methanesulfonyl chloride 0.32 ㎖을 넣어 주고 1시간 이상 상온 교반한다. 반응 종결 후 증류수 10 ㎖로 3회 씻어 준 다음, 무수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농축한 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표제의 목적 화합물(0.85g, 수율 65%)을 얻었다.
1H NMR (500MHz, DMSO-d6): 8.05 (1H, d), 7.62 (1H, t), 7.55 (1H, d), 7.41 (1H, t), 3.70 (2H, d), 3.64 (2H, d), 3.12 (3H, s), 2.32 (2H, m), 1.76 (1H, m), 1.65 (2H, d), 1.21 (2H, m)
실시예 9: 2-((1-acetylpiperidin-4-yl)methyl)benzo[d]isothiazol-3(2H)-one의 합성
100 ㎖ 플라스크에 1.0g의 중간체 3을 dichloromethane 10 ㎖에 첨가하고 교반하여 용해시키고 Triethylamine을 0.65 ㎖ 첨가한 다음, 0℃에서 Acetyl chloride 0.30 ㎖을 넣어 주고 1시간 이상 상온 교반한다. 반응 종결 후 증류수 10 ㎖로 3회 씻어 준 다음, 무수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농축한 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표제의 목적 화합물(1.18g, 수율 65%)을 얻었다.
1H NMR (500MHz, DMSO-d6): 8.05 (1H, d), 7.62 (1H, t), 7.55 (1H, d), 7.41 (1H, t), 3.70 (2H, d), 3.64 (2H, d), 2.63 (3H, s), 2.32 (2H, m), 1.76 (1H, m), 1.65 (2H, d), 1.21 (2H, m)
실시예 10: N-(2,3-dimethylphenyl)-2-(4-((3-oxobenzo[d]isothiazol-2(3H)-yl)methyl)piperidin-1-yl)acetamide의 합성
100 ㎖ 플라스크에 1.0g의 중간체 3을 dichloromethane 10 ㎖에 첨가하고 교반하여 용해시키고 Triethylamine을 0.61 ㎖ 첨가한 다음, 0℃에서 2-bromo-N-(2,3-dimethylphenyl)acetamide 0.77g을 넣어 주고 1시간 이상 상온 교반한다. 반응 종결 후 증류수 10 ㎖로 3회 씻어 준 다음, 무수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농축한 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표제의 목적 화합물을 얻었다.
1H-NMR (500MHz, CDCl3): 9.30 (1H, s), 7.89(1H, d), 7.85 (1H, d), 7.55 (1H, m), 7.30 (1H, d), 7.11 (1H, m) 7.04 (1H, t), 6.94 (1H, d), 3.92 (2H, t), 3.13 (2H, s), 2.94 (2H, d), 2.37(3H, s), 2.30 (2H, t), 2.16(3H, s), 1.76 (1H, m), 1.69 (2H, m), 1.34 (2H, m)
실시예 11: 2-((1-(1-methyl-1H-indole-2-carbonyl)piperidin-4-yl)methyl)benzo[d] isothiazol-3(2H)-one의 합성
100 ㎖ 플라스크에 1-methyl-1H-indole-2-carboxylic acid 0.74g을 첨가하고 DMF 15 ㎖에 용해시킨 후, HATU 1.68g을 적가 후 30분간 교반한다. 교반 후 1g의 중간체 3을 투입 후 상온에서 12시간 이상 교반한다. 반응 종결 후 증류수 10 ㎖로 3회 씻어준다. 무수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농축한 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표제의 목적 화합물(0.98g 60%)을 얻었다.
1H-NMR (500MHz, CDCl3): 8.02 (1H, d), 7.60 (2H, t), 7.55 (1H, d), 7.42 (1H, t), 7.35 (1H, t), 7.28 (1H, t), 7.13 (1H, t), 6.58 (1H, s), 3.96 (2H, m), 3.81 (3H, s), 2.79 (2H, m), 1.89 (2H, m), 1.80 (1H, m), 1.75 (2H, m), 1.25 (2H, m),
실시예 12: 4-((4-(2-(3-oxobenzo[d]isothiazol-2(3H)-yl)ethyl)piperidin-1-yl)sulfonyl)benzonitrile의 합성
100 ㎖ 플라스크에 1g의 중간체 6을 dichloromethane 15 ㎖에 용해시킨 후, Triethylamine을 0.58 ㎖ 넣어 주고 교반한다. 0℃에서 4-cyanobenzenesulfonyl chloride 0.84g을 넣어 주고 1시간 이상 상온 교반한다. 반응 종결 후 증류수 10 ㎖로 3회 씻어 준 다음, 무수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농축한 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표제의 목적 화합물(1.17g, 수율 70%)을 얻었다.
1H NMR (500MHz, DMSO-d6): 8.09 (2H, d), 7.94 (1H, d), 7.89 (2H, d), 7.82 (1H, d), 7.65 (1H, t), 7.40 (1H, t), 3.82 (2H, t), 3.63 (2H, d), 2.23 (2H, t), 1.78 (2H, d), 1.58 (2H, d), 1.21 (3H, m)
실시예 13: 2-((1-(1-methyl-3-phenyl-1H-pyrazole-5-carbonyl)piperidin-4-yl)ethyl)benzo[d]isothiazol-3(2H)-one의 합성
100 ㎖ 플라스크에 1-methyl-3-phenyl-1H-pyrazole-5-carboxylic acid 0.86g을 첨가하고 DMF 15 ㎖에 용해시킨 후, HATU 1.59g을 적가 후 30분간 교반한다. 교반 후 1g의 중간체 6을 투입한 후, 상온에서 12시간 이상 교반한다. 반응 종결 후 증류수 10 ㎖로 3회 씻어준다. 무수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농축한 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표제의 목적 화합물(1.19g, 수율 70%)을 얻었다.
1H-NMR (500MHz, CDCl3): 8.01 (1H, d), 7.77 (2H, d), 7.56 (2H, m), 7.39 (3H, m), 7.30 (1H, m), 6.58 (1H, s), 3.98 (3H, s), 3.93 (2H, t), 2.78 (2H, s), 1.90 (2H, m), 1.73 (2H, d), 1.24 (3H, m)
실시예 14: 2-(2-(1-(1-methyl-1H-indole-2-carbonyl)piperidin-4-yl)ethyl)benzo[d]isothiazol-3(2H)-one의 합성
100 ㎖ 플라스크에 1-methyl-1H-indole-2-carboxylic acid 0.73g을 첨가하고 DMF 15 ㎖에 용해시킨 후, HATU 1.59g을 적가 후 30분간 교반한다. 교반 후 1g의 중간체 6을 투입 후 상온에서 12시간 이상 교반한다. 반응 종결 후 증류수 10 ㎖로 3회 씻어준다. 무수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농축한 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표제의 목적 화합물(0.95g, 수율 60%)을 얻었다.
1H-NMR (500MHz, CDCl3): 8.02 (1H, d), 7.60 (2H, t), 7.55 (1H, d), 7.42 (1H, t), 7.35 (1H, t), 7.28 (1H, t), 7.13 (1H, t), 6.58 (1H, s), 3.96 (2H, m), 3.81 (3H, s), 2.79 (2H, m), 1.89 (2H, m), 1.75 (2H, m), 1.25 (2H, m), 1.18 (3H, m)
실시예 15: 2-(2-(1-(benzo[d][1,3]dioxole-5-carbonyl)piperidin-4-yl)ethyl)benzo[d]isothiazol-3(2H)-one
100 ㎖ 플라스크에 benzo[d][1,3]dioxole-5-carboxylic acid 0.73g을 첨가하고 DMF 15 ㎖에 용해시킨 후, HATU 1.59g을 적가 후 30분간 교반한다. 교반 후 1g의 중간체 8을 투입 후 상온에서 12시간 이상 교반한다. 반응 종결 후 증류수 10 ㎖로 3회 씻어준다. 무수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농축한 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표제의 목적 화합물(1.09g, 수율 70%)을 얻었다.
1H-NMR (500MHz, CDCl3): 8.03 (1H, d), 7.62 (1H, t), 5.56(1H, d), 7.41(1H, t), 6.88-6.91(2H, m), 6.80(1H, d), 5.99(2H, s), 3.96 (2H, m), 2.85 (2H, m), 1.83 (2H, m), 1.74 (2H, m), 1.61 (2H, m), 1.26 (3H, m)
실시예 16: 2-((1-(5-ethylpyrimidin-2-yl)piperidin-4-yl)methyl)benzo[d]isothiazol-3(2H)-one의 합성
100 ㎖ 플라스크에 1g의 중간체 3을 DMSO 15 ㎖에 첨가하고 교반하여 용해시킨 후, 2-Chloro-5-EthylPyrimidine 0.29 ㎖을 첨가한 다음, N.N'-diisopropylethylamine를 0.70 ㎖를 첨가하고, 100℃에서 18시간 이상 가열하여 반응시킨다. 반응 종결 후 EA 20 ㎖를 첨가하고 증류수 10 ㎖로 3회 씻어 준 다음, 무수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농축하여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표제의 목적 화합물 (0.24g, 수율 34%)을 얻었다.
1H-NMR (500MHz, CDCl3): 8.18 (2H, s), 7.92 (1H, d), 7.76 (1H, d), 7.52 (1H, t), 7.39 (1H, t), 4.64 (2H, m), 3.89 (1H, m), 3.75 (1H, m), 3.50 (1H, m), 3.25 (1H, m), 2.55 (1H, m), 2.45 (1H, m), 2.04 (2H, m), 1.75 (2H, m), 1.16 (3H, m)
실시예 17: 2-(2-(1-(4-phenylbut-3-ynoyl)piperidin-4-yl)ethyl)benzo[d]isothiazol-3(2H)-one의 합성
100 ㎖ 플라스크에 4-phenylbut-3-ynoic acid 0.84g을 첨가하고 DMF 15 ㎖에 용해시킨 후, HATU 1.59g을 적가한 다음 30분간 교반한다. 교반 후 1g의 중간체 6을 투입한 다음, 상온에서 12시간 이상 교반한다. 반응 종결 후 증류수 10 ㎖로 3회 씻어준다. 무수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농축한 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표제의 목적 화합물(1.15g, 수율 47%)을 얻었다.
1H-NMR (500MHz, CDCl3): 8.03 (1H, d), 7.61 (1H, m), 7.54 (3H, m), 7.40 (2H, m), 7.35 (2H, m), 4.60 (1H, d), 4.45 (1H, d), 3.92 (2H, m), 3.12 (1H, t), 2.68 (1H, t), 1.94 (1H, d), 1.85 (1H, d), 1.72 (3H, m), 1.62 (1H, m), 1.25 (3H, m)
실시예 18: 4-((4-(4-fluoro-3-oxobenzo[d]isothiazol-2(3H)-yl)piperidin-1-yl)sulfonyl)benzonitrile의 합성
100 ㎖ 플라스크에 1g의 중간체 9를 dichloromethane 15 ㎖에 용해시킨 후, Triethylamine을 0.60 ㎖를 첨가한 다음, 교반한다. 0 ℃에서 4-cyanobenzenesulfonyl chloride 1.16g을 첨가한 다음 1시간 이상 상온 교반한다. 반응 종결 후 증류수 10 ㎖ 로 3회 씻어 준 다음, 무수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농축한 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표제의 목적 화합물 (1.48g, 수율 64%)을 얻었다.
1H NMR (500MHz, DMSO-d6): 8.17 (2H, d), 7.98 (2H, d), 7.80 (1H, d), 7.68 (1H, m), 7.16 (1H, t), 4.43 (1H, m), 3.81 (2H, d), 2.63 (2H, t), 1.99 (2H, d), 1.80 (2H, m)
실시예 19: 4-fluoro-2-(1-(pyridin-3-ylsulfonyl)piperidin-4-yl)benzo[d]isothiazol-3(2H)-one의 합성
100 ㎖ 플라스크에 1g의 중간체 9를 dichloromethane 15 ㎖에 용해시킨 후, Triethylamine을 0.60 ㎖를 첨가한 다음, 교반한다. 0℃에서 pyridine-3-sulfonyl chloride 1.16g을 첨가한 다음 1시간 이상 상온에서 교반한다. 반응 종결 후 증류수 10 ㎖로 3회 씻어 준 다음, 무수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농축한 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표제의 목적 화합물(1.48g, 수율 64%)을 얻었다.
1H NMR (500MHz, DMSO-d6): 8.93 (2H, m), 8.22 (1H, d), 7.79 (1H, d), 7.71 (1H, m), 7.68 (1H, m) 7.18 (1H, m), 4.44 (1H, m), 3.86 (2H, d), 2.65 (2H, t), 1.98 (2H, m), 1.79 (2H, m)
실시예 20: 2-(1-(benzo[d][1,3]dioxole-5-carbonyl)piperidin-4-yl)-4-fluorobenzo[d]isothiazol-3(2H)-one의 합성
100 ㎖ 플라스크에 benzo[d][1,3]dioxole-5-carboxylic acid 0.69g을 첨가하고 DMF 15 ㎖에 용해시킨 후, HATU 1.59g을 적가한 다음 30분간 교반한다. 교반 후 1g의 중간체 9를 투입한 다음, 상온에서 12시간 이상 교반한다. 반응 종결 후 증류수 10 ㎖로 3회 씻어준다. 무수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농축한 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표제의 목적 화합물(1.06g, 수율 45%)을 얻었다.
1H NMR (500MHz, DMSO-d6): 7.79 (1H, d), 7.68 (1H, m), 7.19 (1H, t), 7.02 (1H, s), 6.96 (2H, m), 6.08 (2H, s), 4.67 (1H, m), 3.35 (2H, m), 2.93 (2H, m), 1.95 (2H, m), 1.72 (2H, m)
실시예 21: 4-((4-(3-oxobenzo[d]isothiazol-2(3H)-yl)piperidin-1-yl)sulfonyl)benzonitrile의 합성
100 ㎖ 플라스크에 1g의 중간체 8을 dichloromethane 15 ㎖에 용해시킨 후, Triethylamine을 0.65 ㎖ 첨가하고 교반한다. 0℃에서 4-cyanobenzenesulfonyl chloride 0.90g을 첨가하고 1시간 이상 상온에서 교반한다. 반응 종결 후 증류수 10 ㎖로 3회 씻어 준 다음, 무수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농축한 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표제의 목적 화합물(1.18g, 수율 45%)을 얻었다.
1H NMR (500MHz, DMSO-d6): 8.16 (2H, d), 7.96 (3H, m), 7.84 (1H, d), 7.68 (1H, t), 7.44 (1H, t), 4.45 (1H, m), 3.81 (2H, d), 2.61 (2H, t), 1.97 (2H, d), 1.79 (2H, m)
실시예 22: 2-(1-(benzo[d][1,3]dioxole-5-carbonyl)piperidin-4-yl)benzo[d]isothiazol-3(2H)-one의 합성
100 ㎖ 플라스크에 benzo[d][1,3]dioxole-5-carboxylic acid 0.73g을 첨가하고 DMF 15 ㎖에 용해시킨 후, HATU 1.63g을 적가 후 30분간 교반한다. 교반 후 1g의 중간체 8을 투입한 후, 상온에서 12시간 이상 교반한다. 반응 종결 후 증류수 10 ㎖로 3회 씻어준다. 무수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농축한 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표제의 목적 화합물(1.51g, 수율 60%)을 얻었다.
1H NMR (500MHz, DMSO-d6): 7.79 (1H, d), 7.68 (1H, m), 7.19 (1H, t), 7.02 (1H, s), 6.96 (3H, m), 6.08 (2H, s), 4.67 (1H, m), 3.35 (2H, m), 2.93 (2H, m), 1.95 (2H, m), 1.72 (2H, m)
실시예 23: 4-((4-((4-fluoro-3-oxobenzo[d]isothiazol-2(3H)-yl)methyl)piperidin-1-yl)sulfonyl)benzonitrile의 합성
100 ㎖ 플라스크에 1g의 중간체 10을 dichloromethane 15 ㎖에 용해시킨 후, Triethylamine을 0.61 ㎖ 첨가하고 교반한다. 0℃에서 benzo[d][1,3]dioxole-5-carboxylic acid 0.68g을 첨가한 다음, 1시간 이상 상온에서 교반한다. 반응 종결 후 증류수 10 ㎖로 3회 씻어 준 다음, 무수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농축한 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표제의 목적 화합물(1.13g, 수율 70%)을 얻었다.
1H NMR (500MHz, DMSO-d6): 8.11 (2H, d), 7.90 (2H, d), 7.77 (1H, d), 7.65 (1H, m), 7.15 (1H, t), 3.62 (4H, m), 2.32 (2H, t),1.75 (1H, m), 1.66 (2H, d), 1.23 (2H, m)
실시예 24: 2-(1-(benzo[d][1,3]dioxol-5-ylsulfonyl)piperidin-4-yl)-4-fluorobenzo[d]isothiazol-3(2H)-one의 합성
100 ㎖ 플라스크에 benzo[d][1,3]dioxole-5-sulfonic acid 0.73g 을 첨가하고 DMF 15 ㎖에 용해시킨 후, HATU 1.63g을 적가한 다음, 30분간 교반한다. 교반 후 1g의 중간체 9를 투입한 다음, 상온에서 12시간이상 교반한다. 반응 종결 후 증류수 10 ㎖로 3회 씻어준다. 무수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농축한 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표제의 목적 화합물(1.3g, 수율 55%)을 얻었다.
1H NMR (500MHz, DMSO-d6): 7.79 (1H, d), 7.68 (1H, m), 7.19 (1H, t), 7.02 (1H, s), 6.96 (2H, m), 6.08 (2H, s), 4.67 (1H, m), 3.35 (2H, m), 2.93 (2H, m), 1.95 (2H, m), 1.72 (2H, m)
실시예 25: N-(2,3-dimethylphenyl)-2-(4-(2-(4-fluoro-3-oxobenzo[d]isothiazol-2(3H)-yl)ethyl)piperidin-1-yl)acetamide의 합성
100 ㎖ 플라스크에 benzo[d][1,3]dioxole-5-sulfonic acid 0.73g을 첨가하고 DMF 15 ㎖에 용해시킨 후, HATU 1.63g을 적가한 다음, 30분간 교반한다. 교반 후 1g의 중간체 11을 투입한 다음, 상온에서 12시간 이상 교반한다. 반응 종결 후 증류수 10 ㎖로 3회 씻어준다. 무수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농축한 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표제의 목적 화합물(0.94g 60%)을 얻었다.
1H-NMR (500MHz, CDCl3): 9.30 (1H, s), 7.85 (1H, d), 7.55 (1H, m), 7.30 (1H, d), 7.11 (1H, m) 7.04 (1H, t), 6.94 (1H, d), 3.92 (2H, t), 3.13 (2H, s), 2.94 (2H, d), 2.37(3H, s), 2.30(2H, t), 2.18(2H, m), 2.16(3H, s), 1.69 (2H, m), 1.34 (3H, m)
실시예 26: 4-fluoro-2-((1-((1-methyl-1H-imidazol-4-yl)sulfonyl)piperidin-4-yl)methyl)benzo[d]isothiazol-3(2H)-one의 합성
100 ㎖ 플라스크에 0.5g의 중간체 10을 dichloromethane 15 ㎖에 용해시킨 후, Triethylamine을 0.31 ㎖ 첨가하고 교반한다. 0℃에서 1-methyl-1H-imidazole-4-sulfonyl chloride 0.24g을 첨가한 다음, 1시간 이상 상온에서 교반한다. 반응 종결 후 증류수 10 ㎖로 3회 씻어 준 다음, 무수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농축한 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표제의 목적 화합물(0.25g, 수율 38%)을 얻었다.
1H NMR (500MHz, DMSO-d6): 7.56 (1H, m), 7.48 (1H, s), 7.42 (1H, s), 7.30 (1H, d), 7.02 (1H, t), 3.83 (2H, m), 3.75 (3H, s), 3.71(2H, d), 2.62 (2H, t), 1.87 (1H, m), 1.77 (2H, d), 1.41 (2H, m)
실시예 27: 4-((4-(2-(4-fluoro-3-oxobenzo[d]isothiazol-2(3H)-yl)ethyl)piperidin-1-yl)sulfonyl)benzonitrile의 합성
100 ㎖ 플라스크에 0.5g의 중간체 11을 dichloromethane 15 ㎖에 용해시킨 후, Triethylamine을 0.31 ㎖ 첨가하고 교반한다. 0℃에서 1,3-Benzodioxole-5-sulfonyl chloride 0.29g을 첨가한 다음, 1시간 이상 상온 교반한다. 반응 종결 후 증류수 10 ㎖로 3회 씻어준 후 무수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농축한 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표제의 목적 화합물(0.41g, 수율 62%)을 얻었다.
1H NMR (500MHz, DMSO-d6): 7.83 (4H, m), 7.54 (1H, m), 7.28 (1H, d), 7.01 (1H, t), 3.89 (2H, t), 3.80 (2H, d), 2.25 (2H, d), 1.89 (2H, d), 1.67(2H, m), 1.34 (2H, m), 1.25 (1H, m)
실시예 28: 4-fluoro-2-((1-(pyridin-3-ylsulfonyl)piperidin-4-yl)methyl)benzo[d]isothiazol-3(2H)-one의 합성
100 ㎖ 플라스크에 0.5g의 중간체 10을 dichloromethane 15 ㎖에 용해시킨 후, Triethylamine을 0.31 ㎖ 첨가하고 교반한다. 0℃에서 3-Pyridinesulfonyl chloride 0.29g을 첨가한 다음, 1시간 이상 상온에서 교반한다. 반응 종결 후 증류수 10 ㎖로 3회 씻어 준 다음, 무수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키고 농축한 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표제의 목적 화합물(0.41g, 수율 62%)을 얻었다.
1H-NMR (500MHz, CDCl3): 8.98 (1H, s), 8.82 (1H, d), 8.05 (1H, d), 7.56 (1H, m), 7.48 (1H, m), 7.28 (1H, d), 7.02 (1H, t), 3.84 (2H, d), 3.72 (2H, d), 2.38 (2H, t), 1.83 (3H, m), 1.48 (2H, m) 
[시험예] 본 개시의 대표 화합물의 PHGDH 억제 활성 평가
시험예 1. PHGDH(Posphoglycerate dehydrogenase) 효소 반응에 대한 화합물의 억제 활성의 결정 (PHGDH enzyme based assay (kit))
PHGDH 효소 반응은 E. coli로부터 정제한 human PHGDH 단백질(Sinobio, 13167-H08E)과 PHGDH activity assay kit(Biovision, K569-100)를 사용하였다. 제조사의 실험 프로토콜을 따라 진행하였으며, 시험 물질은 DMSO로 녹인 뒤 농도에 맞게 serial dilution 하여 준비한다. 시험 물질과 PHGDH 단백질을 assay buffer와 함께 96 well plate(Falcon, 351172)에서 상온으로 30분간 인큐베이션한다. 인큐베이션이 끝난 뒤, substrate와 developer를 추가한 뒤, Synergy H1M(BIOTEK, Synergy H1m Multi-mode reader) 기기에 첨가하고 37℃에서 효소 반응을 진행하였다. 20분 간격으로 450nm 파장대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기록하였다. 추가 well에서는 NADH를 0 ~ 7.5 nmol로 처리하여 생산물의 정량에 사용하였다. 효소 반응 및 시험물질의 억제 활성 분석은 GraphPad Prism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며 log(inhibitor) vs normalized response-variable slope 방식으로 IC50 수치의 평균값을 계산하였으며, 이에 대한 결과를 하기 표 1 및 도 1에 나타내었다.
No. Compound PHGDH enzyme base assay (IC50=nM)
1 실시예 2 1134
2 실시예 3 1408
3 실시예 4 1068
4 실시예 7 274.2
5 실시예 8 330.7
6 실시예 9 688.0
7 실시예 10 334.6
8 실시예 11 372.9
9 실시예 12 359.6
10 실시예 13 367.3
11 실시예 14 376.5
12 실시예 15 251.4
13 실시예 16 838.4
14 실시예 17 605.2
15 실시예 18 378.1
16 실시예 19 292.2
17 실시예 20 364.3
18 실시예 21 583.4
19 실시예 22 744.7
20 실시예 23 548.3
21 실시예 24 862.4
22 실시예 25 522.5
23 실시예 26 302.0
24 실시예 27 615.0
25 실시예 28 1385
상기 표 1 및 도 1을 참조하면, 시험한 25종의 화합물 모두, 평균 251.4 ~ 1,408 nM 수준의 IC50 수치를 나타내어 PHGDH 억제 활성이 높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본 개시에 따른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이 유방암, 특히 삼중 음성 유방암을 비롯한 다양한 고형암에서 PHGDH 활성을 효과적으로 저해하여 세린 및/또는 글리신 생합성 경로의 과활성화를 방지함으로써 유의한 항암 활성을 나타낼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시험예 2. PHGDH 효소 반응에 대한 대표 화합물의 억제 활성 분석 (자체 에세이 매뉴얼에 기반한 분석)
PHGDH 효소 반응은 E. coli로부터 정제한 human PHGDH 단백질(Sinobio, 13167-H08E)을 사용하였다. 시험 물질은 DMSO로 녹인 뒤 농도에 맞게 serial dilution 하여 준비하며, DMSO의 농도는 1%가 되도록 하였다. 시험 물질과 Assay buffer(Tris-HCL pH 8.0 125mM, EDTA 2.5mM, Tween20 0.0125%, Hydrazine sulfate pH 9.0 6mM)를 1:69의 비율로 희석하였다. 여기에 solution 1(PHGDH 50nM, Assay buffer)을 첨가하고 상온에서 30분간 인큐베이션하였다. 인큐베이션이 끝난 뒤, substrate 와 developer가 포함된 solution 3(NAD+ 20 μM, 3-Phospho-D-glycerate 20 μM, Resazurin 20 μM, Diaporase 0.001 unit/μL)를 추가한 뒤, Synergy H1M (BIOTEK, Synergy H1m Multi-mode reader) 기기에 첨가하고 37℃에서 효소 반응을 진행하였다. 1시간 동안 3분 간격으로 형광도를 측정하며, excitation/emission 파장대는 530 nm/590 nm로 설정하였다. NADH를 0 ~ 5 nmol로 처리하여 생산물의 정량에 사용하였다. 효소 반응 및 시험물질의 억제 활성 분석은 GraphPad Prism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며 log(inhibitor) vs normalized response-variable slope 방식으로 IC50 수치의 평균값을 계산하였고, 이에 대한 결과를 하기 표 2 및 도 2에 나타내었다.
No. Compound PHGDH enzyme base assay (IC50=nM)
1 실시예 7 75.5
2 실시예 15 64.1
3 실시예 17 61.9
상기 표 2 및 도 2를 참조하면, 시험한 3종의 화합물 모두, 61.9 ~ 75.5 nM 수준의 IC50 수치를 나타내어 PHGDH 억제 활성이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시험예 3. 양성대조물질 대비 PHGDH 효소 반응에 대한 대표 화합물의 억제 활성의 결정 (PHGDH enzyme based assay (kit))
시험예 1에 기술한 것과 동일한 방법으로 분석을 진행하였으며, 양성대조물질(BI-4924, Boehringer Ingelheim 사)과 실시예 7 내지 9의 화합물의 억제 활성을 비교하였다(도 3 참조). 이 시험에서, 시험한 물질의 최종 농도를 총 7개 point, 즉 2000, 1000, 333.3, 111.1, 36.7, 12.3, 4.1 nM로 설정하여 PHGDH 활성 억제율을 측정하고 Log 값으로 전환하여 나타내었다.
도 3을 참조하면, 양성대조물질 대비 시험한 3종의 화합물 모두 설정된 농도에서 유사하거나 우수한 수치를 나타내어 PHGDH 억제 활성이 높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시험예 4. 양성대조물질 대비 PHGDH 효소 반응에 대한 대표 화합물의 억제 활성 분석 (자체 에세이 매뉴얼에 기반한 분석)
시험예 2에 기술한 것과 동일한 방법으로 분석을 진행하였으며, 양성대조물질(BI-4924, Boehringer Ingelheim 사)과 실시예 7, 15 및 17의 화합물의 억제활성을 비교하였다(도 4). 이 시험에서, 시험한 물질의 최종 농도를 총 7개 point, 즉 3000, 1000, 333.3, 111.1, 36.7, 12.3, 4.1 nM로 설정하여 PHGDH 활성 억제율을 측정하고 Log 값으로 전환하여 나타내었다.
도 4을 참조하면, 양성대조물질 대비 시험한 3종의 화합물 모두 설정된 농도에서 유사하거나 우수한 수치를 나타내어 PHGDH 억제 활성이 높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정리하면, 시험예 1 내지 4를 통해 입증된 바와 같이, 본 개시에 속하는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PHGDH 효소 반응을 유의하게 억제하고, 세린 및/또는 글리신의 생합성 경로의 과활성화를 효과적으로 차단하여, 세린 및/또는 글리신이 비정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생산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PHGDH 활성 이상과 관련된 다양한 암을 예방 또는 치료하는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개시를 실시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개시의 권리범위는 이로만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아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개시의 기본 개념에 기초하여 구현가능한 여러 수정, 변형 및 개량된 실시형태 또한 본 개시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3)

  1.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화학식 1]

    상기 식에서,
    R1은 -알킬(alkyl), -할라이드(halide), -아민(amine) 또는 -하이드록시(hydroxy)이고,
    R2 또는 이고, 여기서 R3 또는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릴(aryl), C1-12 알콕시(alkoxy), C1-12 알킬(alkyl), 치환 또는 비치환된 헤테로사이클릭 아릴(heterocyclic aryl), 아민(amine) 또는 C1-8 알키닐(alkynyl)이고,
    A는 결합 또는 탄소(C)이고,
    n은 0 내지 2의 정수이고,
    m은 1 내지 3의 정수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치환된 아릴은 메틸렌다이옥시페닐 또는 시아노페닐인 것인,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헤테로사이클릭 아릴(heterocyclic aryl)은 벤젠 고리 중에 1개 또는 2개의 질소(N)를 포함하고, 단일 고리 형태이거나 또는 융합된 고리 형태인 것인,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은, PHGDH(phosphoglycerate dehydrogenase) 효소 활성을 억제하는 것인,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하기 구조를 갖는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것인,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
    ;
    ;
    ;
    ;
    ;
    ;
    ;
    ;
    ;
    ;
    ;
    ;
    ;
    ;
    ;
    ;
    ;
    ;
    ;
    ;
    ;
    ;
    ;
    ;
    ;
    ; 및
    .
  6.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고형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화학식 1]

    상기 식에서,
    R1은 -알킬, -할라이드, -아민, 또는 -하이드록시이고,
    R2 또는 이고, 여기서 R3 또는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릴, C1-12 알콕시, C1-12 알킬, 치환 또는 비치환된 헤테로사이클릭 아릴, 아민 또는 C1-8 알키닐이고,
    A는 결합 또는 탄소(C)이고,
    n은 0 내지 2의 정수이고,
    m은 1 내지 3의 정수이다.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치환된 아릴은 메틸렌다이옥시페닐 또는 시아노페닐인 것인, 고형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헤테로사이클릭 아릴은 벤젠 고리 중에 1개 또는 2개의 질소(N)를 포함하고, 단일 고리 형태이거나 또는 융합된 고리 형태인 것인, 고형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고형암은 양성성상세포종, 악성성상세포종, 뇌하수체 선종, 뇌수막종, 뇌림프종, 핍지교종, 두개내인종, 상의세포종, 뇌간종양, 후두암, 구인두암, 비강/부비동암, 비인두암, 침샘암, 하인두암, 갑상선암, 구강암, 흉부종양, 소세포성 폐암, 비소세포성 폐암, 흉선암, 종격동 종양, 식도암, 유방암, 복부종양, 위암, 간암, 담낭암, 담도암, 췌장암, 소장암, 대장암, 항문암, 방광암, 신장암, 음경암, 전립선암, 자궁경부암, 자궁내막암, 난소암, 자궁육종, 질암, 여성외부생식기암 및 피부암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인, 고형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고형암은 유방암인 것인, 고형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유방암은 삼중 음성 유방암인 것인, 고형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12.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고형암의 예방 또는 치료는 PHGDH 효소 활성을 억제하고, 세린 및/또는 글리신의 생합성 경로의 과활성화를 차단하여 세린 및/또는 글리신의 생산을 억제하는 것에 의한 것인, 고형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13.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하기 구조를 갖는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것인, 고형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
    ;
    ;
    ;
    ;
    ;
    ;
    ;
    ;
    ;
    ;
    ;
    ;
    ;
    ;
    ;
    ;
    ;
    ;
    ;
    ;
    ;
    ;
    ;
    ;
    ;
    ; 및
    .
KR1020220079697A 2022-06-29 2022-06-29 신규한 벤즈아이소티아졸론계 유도체 및 이의 용도 KR2024000246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9697A KR20240002468A (ko) 2022-06-29 2022-06-29 신규한 벤즈아이소티아졸론계 유도체 및 이의 용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9697A KR20240002468A (ko) 2022-06-29 2022-06-29 신규한 벤즈아이소티아졸론계 유도체 및 이의 용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02468A true KR20240002468A (ko) 2024-01-05

Family

ID=895411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9697A KR20240002468A (ko) 2022-06-29 2022-06-29 신규한 벤즈아이소티아졸론계 유도체 및 이의 용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02468A (ko)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NATURE MEDICINE, JANUARY 2004, VOLUME 10, NUMBER 1, pp. 40-47
Nature, Vol. 476, 2011. 18th AUG, pp. 346-353
PLOS ONE, June 2014, Volume 9, Issue 6, e101004, pp. 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450893B (zh) Inhibition of prostaglandin D synthase in the piper Compounds
JP2008544743A (ja) ストレス活性化蛋白質キナーゼ系をモジュレートするためのピリドン誘導体
JP2013544261A (ja) 複素環誘導体、その合成法および医療用途
KR20070045272A (ko) 2-페닐피리딘 유도체
US10017524B2 (en) Compound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neuropsychological disorder or malignant tumor
RU2689788C2 (ru) ПИРАЗОЛО[1,5-а]ПИРИМИДИНЫ В КАЧЕСТВЕ ПРОТИВОВИРУСНЫХ СОЕДИНЕНИЙ
JP2020517595A (ja) サイクリン依存性キナーゼcdk9の新規阻害剤
KR20120131164A (ko) Pgds 저해 작용을 갖는 피페라진 화합물
TW202214584A (zh) Shp2抑制劑及其組合物和應用
BR112020007632A2 (pt) composto, composição farmacêutica, método para inibir um dentre ou tanto ehmt1 quanto ehmt2, método para prevenir ou tratar um distúrbio sanguíneo, método para prevenir ou tratar um câncer e uso do composto
WO2023061415A1 (en) Thiadiazolyl derivatives, compositions and uses thereof
KR101948805B1 (ko) 항종양 효과를 갖는 이미다조옥사졸 유도체 및 이를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
US10174023B2 (en) Heterocyclic-imidazole compounds, pharmaceutical compositions thereof, preparation method therefor and use thereof
KR20240002468A (ko) 신규한 벤즈아이소티아졸론계 유도체 및 이의 용도
JP6740471B2 (ja) 抗腫瘍性複素環イミダゾール系化合物の医薬塩
JP4997289B2 (ja) 有効な鎮痛剤および抗炎症剤2−ヘテロアリール−キナゾリンおよびキノリンのアミジン誘導体
JP2018087173A (ja) 悪性脳腫瘍治療薬
KR100392468B1 (ko) 사이클린 의존 키나아제의 저해제로서 유용한3-히드록시크로멘-4-온 유도체
JP4518587B2 (ja) 2−フェニルモルホリン誘導体
TW202034911A (zh) 肥胖症的治療
WO2017124934A1 (zh) 作为布罗莫区结构域抑制剂的含膦咔啉衍生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