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02067A - 실링부재를 구비한 공간확장형 구조체 - Google Patents

실링부재를 구비한 공간확장형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02067A
KR20240002067A KR1020220079247A KR20220079247A KR20240002067A KR 20240002067 A KR20240002067 A KR 20240002067A KR 1020220079247 A KR1020220079247 A KR 1020220079247A KR 20220079247 A KR20220079247 A KR 20220079247A KR 20240002067 A KR20240002067 A KR 202400020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ling member
box
space
main box
auxiliary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792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재홍
이재기
Original Assignee
컴퍼니키바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컴퍼니키바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컴퍼니키바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792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02067A/ko
Publication of KR202400020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0206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32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comprising living accommodation for people, e.g. caravans, camping, or like vehicles
    • B60P3/36Auxiliary arrangements; Arrangements of living accommodation; 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32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comprising living accommodation for people, e.g. caravans, camping, or like vehicles
    • B60P3/34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comprising living accommodation for people, e.g. caravans, camping, or like vehicles the living accommodation being expansible, collapsible or capable of rearrang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002Sealings comprising at least two sealings in succes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Transport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필요시 제한된 공간의 일부를 외측으로 슬라이딩 인출시켜 내부 공간을 확장시킬 수 있는 공간확장형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공간확장시 발생되는 틈새를 막아주는 실링부재를 구비한 공간확장형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본체박스(100)와, 상기 본체박스의 내부로부터 본체박스의 외측으로 슬라이딩 인출되면서 상기 본체박스의 내부공간을 확장시키는 보조박스(200)와, 상기 본체박스와 보조박스의 틈새(S)를 막아주는 실링부재(300)를 구비한 공간확장형 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재가 본체박스의 내측면을 따라 부착된 쿠션부(310)와, 상기 쿠션부에 부착되어 마주하는 보조박스의 외측면을 따라 밀착되는 유연밀착부(32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실링부재를 구비한 공간확장형 구조체{Space expansion type structure with sealing member}
본 발명은 필요시 제한된 공간의 일부를 외측으로 슬라이딩 인출시켜 내부 공간을 확장시킬 수 있는 공간확장형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공간확장시 발생되는 틈새를 막아주는 실링부재를 구비한 공간확장형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컨테이너와 같이 물건의 이송 및 보관을 담당하는 박스형태의 구조체는 사무실이나 주거 공간으로 개조하여 사용되거나 차량을 이용하여 영업을 하는 소상인들에게는 이동식 간이 상점으로 운용되기도 한다.
하지만 이러한 박스형 구조체는 내부 공간이 제한되어 있기 때문에 제한용량 보다 많은 물건을 이송 및 보관하기 위해서는 부득이 추가 구매가 이루어져야 하며, 이럴 경우 비용 및 공간적인 낭비가 심하게 발생된다.
이러한 박스형 구조체의 문제를 개선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필요시 일부 공간을 외측으로 슬라이딩 인출시켜 내부공간을 확장시킬 수 있도록 한 공간확장형 구조체가 개발되고 있다. 특히, 이러한 공간확장형 구조체는 넓은 실내 휴식공간을 확보해야 하는 캠핑카 분야에서 각광을 받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공간확장형 구조체의 사용상태 단면도이고, 도 2는 종래의 공간확장형 구조체를 구성하는 박스 이동수단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공간확장형 구조체는 내부에 일정공간이 형성됨과 더불어 바닥면 좌우측에 각각 가이드레일(2)이 설치된 본체박스(3)와, 상기 본체박스(3)의 내부에 설치됨과 더불어 양측으로 슬라이드 이동가능하도록 된 보조박스(4)와, 상기 보조박스(4)의 전방에 개폐가능하게 설치됨과 더불어 상기 보조박스(4)의 상부쪽 좌우측에 개폐장치(7)와, 상기 개폐장치(7)에 와이어(8)를 매개로 연결된 도어(9)와, 상기 본체박스(3)의 가이드레일(2) 상부에 상기 보조박스(4)의 바닥에 이동레일(10)이 결합됨과 더불어 상기 이동레일(10)에 동력장치(11)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는 기어(12)가 설치되어 상기 기어(12)가 가이드레일(2)의 상부를 따라 이동함으로써 이동레일(10)을 전후진시킬 수 있도록 된 박스 이동수단(13)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공간확장형 구조체는 필요시 상기 박스 이동수단(13)을 동작시키면 보조박스(4)가 가이드레일(2)을 따라 본체박스(3)로부터 외부로 슬라이딩 인출되면서 본체박스(3)의 내부공간이 확장되므로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공간확장형 구조체는 본체박스(3)와 보조박스(4)의 틈새를 통해 공기가 자유롭게 유출입되면서 냉난방성이 크게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된다.
뿐만 아니라, 종래의 공간확장형 구조체는 본체박스(3)와 보조박스(4)의 틈새로 인하여 외부로부터 각종 먼지와 이물 및 빗물이 쉽게 유입됨과 함께 방음성도 크게 떨어지며, 차량에 적용되는 경우에는 주행 중 충격 및 진동에 매우 취약한 여러가지 문제를 발생시킨다.
국내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188253호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체박스와 보조박스의 틈새를 막아주는 실링부재를 구비한 공간확장형 구조체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본체박스와 상기 본체박스의 내부로부터 본체박스의 외측으로 슬라이딩 인출되면서 상기 본체박스의 내부공간을 확장시키는 보조박스와 상기 본체박스와 보조박스의 틈새를 막아주는 실링부재를 구비한 공간확장형 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재가 본체박스의 내측면을 따라 부착된 쿠션부와 상기 쿠션부에 부착되어 마주하는 보조박스의 외측면을 따라 밀착되는 유연밀착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실링부재는 본체박스의 내측 상부면과 내측 하부면과 내측 좌측면과 내측 우측면 중 적어도 일측 이상에 상기 보조박스의 슬라이딩 방향과 직각되는 방향으로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실링부재는 볼트를 이용하여 본체박스에 고정되고, 상기 실링부재의 쿠션부와 유연밀착부는 실리콘 수지 접착제를 이용하여 접합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실링부재는 외부로부터 빗물이나 눈 또는 각종 먼지 등의 이물질이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막도록 실외측을 향하는 측부에 부착되는 방수커버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방수커버는 쿠션부 부착되는 유연재질의 내측커버와, 상기 내측커버의 외측에 부착되는 탄성 스크래퍼와 상기 탄성 스크래퍼의 외측에 부착되는 유연재질의 외측커버를 구비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내측커버와 외측커버는 쿠션부와 동일 높이로 형성되고, 상기 탄성 스크래퍼는 유연밀착부 이상의 높이로 형성되는 것이 좋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본체박스의 내측면을 따라 부착된 쿠션부와 상기 쿠션부에 부착되어 마주하는 보조박스의 외측면을 따라 밀착되는 유연밀착부를 가진 실링부재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냉난방성과 방음성이 크게 향상될 뿐만 아니라, 외부로부터 각종 먼지와 이물 및 빗물이 본체박스 및 보조박스의 내부 유입을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에 적용되는 경우에 주행 중 충격 및 진동이 쿠션부로 흡수되면서 본체박스와 보조박스의 파손이 방지되고 정숙한 운행이 보장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유연밀착부가 슬라이딩 방향에 따라 유연밀착부가 눌린 방향을 전환시켜 가면서 상기 틈새를 지속적으로 막아주므로 안정적인 실링 성능이 보장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공간확장형 구조체의 사용상태 단면도.
도 2는 종래의 공간확장형 구조체를 구성하는 박스 이동수단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실링부재를 구비한 공간확장형 구조체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실링부재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실링부재를 구비한 공간확장형 구조체의 정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실링부재를 구비한 공간확장형 구조체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을 구성하는 실링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8은 도 7에 따른 실링부재의 단면도.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아울러,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예컨대,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아울러, "포함한다" 또는 "구비한다" 또는 "가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있다고 할 경우,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 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아래에" 있다고 할 경우,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아래에" 있는 경우 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아울러,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며, 명료성을 위하여 가능한 중복되지 않게 상이한 부분만을 주로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실링부재를 구비한 공간확장형 구조체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실링부재의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실링부재를 구비한 공간확장형 구조체의 정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실링부재를 구비한 공간확장형 구조체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링부재를 구비한 공간확장형 구조체는 본체박스(100)와, 상기 본체박스(100)의 내부로부터 본체박스(100)의 외측으로 슬라이딩 인출되면서 상기 본체박스(100)의 내부공간을 확장시키는 보조박스(200)와, 상기 본체박스(100)와 보조박스(200)의 틈새(S)를 막아주는 실링부재(30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서는 상기 보조박스(200)가 본체박스(100)의 후방으로 슬라이딩 인출되도록 설치된 것을 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나, 이에 국한될 필요는 없다.
그리고, 상기 보조박스(200)의 좌우 양측에는 구동유닛(210)이 설치되어 보조박스(200)의 슬라이딩 동작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구동유닛(210)은 보조박스(200)의 좌우 양측면에 보조박스(200)의 슬라이딩 이동방향을 따라 설치된 래크(211)와, 상기 래크(211)와 맞물리도록 상기 본체박스(100) 내부에 설치된 피니언기어(212)와, 상기 피니언기어(212)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213)를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구동모터(213)가 동작되면 피니언기어(212)가 회전하면서 래크(211)를 양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되고, 래크(211)와 함께 보조박스(200)가 양방향으로 보조박스(200)의 슬라이딩 이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실링부재(300)는 본체박스(100)와 보조박스(200)의 틈새(S)에 구비된다.
상기 틈새(S)는 보조박스(200)가 슬라이딩 인출되는 경우 외부로 노출되며, 상기 실링부재(300)는 외부로 노출된 상기 틈새(S)를 통해 본체박스(100) 및 보조박스(200)로 유출입하는 공기를 막아준다.
상기 실링부재(300)는 본체박스(100)의 내측 상부면과 내측 하부면과 내측 좌측면과 내측 우측면 중 적어도 일측 이상에 상기 보조박스(200)의 슬라이딩 방향과 직각되는 방향으로 설치된다.
상기 실링부재(300)가 본체박스(100)의 좌우 내측면에 설치되는 경우에는 보조박스(200)의 슬라이딩 이동시 구동유닛(210)과 간섭되므로 구동유닛(210)과의 간섭구간을 피하여 분할 설치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링부재(300)는 본체박스(100)의 외측면을 따라 부착된 쿠션부(310)와, 상기 쿠션부(310)에 부착되어 마주하는 보조박스(200)의 외측면을 따라 밀착되는 유연밀착부(320)를 구비한다.
상기 쿠션부(310)는 본체박스(100)와 보조박스(200)의 틈새(S)보다 작은 높이를 가진 탄성부재로서, 솔리드 형태나 발포체 형태 또는 튜브 형태 등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쿠션부(310)는 그 재질을 특별히 한정할 필요는 없으나, 외부로 노출되는 점을 감안하여 방열성과 내열성이 우수하고 주변의 온도나 습도 등의 환경의 변화에 대하여 치수안정성이 우수한 폴리우레탄폼이나 메모리폼 또는 실리콘 등으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쿠션부(310)는 스티렌부타디엔고무(SBR)로 제작될 수 있다.
상기 스티렌부타디엔고무는 스티렌과 부티디엔의 공중합으로 얻어지는 합성고무로서, 천연고무에 비하여 내한성, 탄성 등은 떨어지지만 탄성, 내열성, 내마모성, 내노화성, 내수성, 내가스 투과성이 뛰어나 타이어, 호스, 벨트, 패킹 등에 사용된다.
또한, 상기 쿠션부(310)는 내후성이 우수한 에틸렌-프로필렌 고무(EPDM)나 상기 에틸렌-프로필렌 고무에 비해 생산공정이 간편하고 원가 절감측면에서 유리한 열가소성 고무(Thermoplastic vulcanisate)재료로 제작될 수도 있다.
상기 유연밀착부(320)는 쿠션부(310)에 부착되어 마주하는 보조박스(200)의 외측면을 따라 밀착되는 탄성소재로서, 보조박스(200)가 슬라이딩 이동할 때 보조박스(200)의 외측면과의 밀착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단부가 보조박스(200)의 내측면에 눌리도록 형성된다.
상기 유연밀착부(320)는 보조박스(200)가 슬라이딩 이동할 때 과도한 마찰력을 발생시키지 않도록 적정량이 보조박스(200)의 외측면에 눌리도록 설계되어야 하며, 보조박스(200)의 슬라이딩 이동방향에 따라 눌린 방향이 전환된다.
상기 유연밀착부(320)의 재질을 특별히 한정할 필요는 없으나, 모헤어(Mohair)가 바람직하다.
상기 모헤어는 산양 등 동물의 털을 가공처리하거나 또는 합성수지재의 모를 직물상에 식모한 것으로서 섬유장이 길고 광택이 좋으며 강도가 높으며 신축성이 좋고 내구성이 있고 함수성이 우수한 여러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유연밀착부(320)는 쿠션부(310)에 다양한 방식으로 부착될 수 있으며, 작업의 편의성을 위하여 접착제를 이용하여 접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접착제는 방수성과 유연성이 우수하며 다양한 재질을 접착시킬 수 있으면서 내열성 및 내화학성이 우수하고 가격이 저렴한 실리콘 수지 접착제를 이용하여 접합시키는 것이 좋다.
이와 같이 구성된 실링부재(300)는 볼트를 이용하여 보조박스(200)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실링부재(300)가 본체박스(100)와 보조박스(200)의 틈새(S)를 통한 외기의 유출입을 최대한 막아주기 때문에 본체박스(100) 및 보조박스(200)에 대한 냉난방성 및 방음성이 크게 향상되며 외부로부터 각종 먼지와 이물 및 빗물이 본체박스(100) 및 보조박스(200)의 내부로 유입되지 않게 된다.
또한, 상기 실링부재(300)가 차량에 적용되는 경우에는 주행 중 충격 및 진동이 쿠션부(310)로 흡수되면서 본체박스(100)와 보조박스(200)의 파손이 방지되고 정숙한 운행이 보장된다.
아울러, 보조박스(200)가 슬라이딩 이동되더라도, 슬라이딩 방향에 따라 실링부재(300)의 유연밀착부(320)가 눌린 방향을 전환시켜 가면서 상기 틈새(S)를 지속적으로 막아주므로 실링 성능이 안정적인 유지된다.
도 7은 본 발명을 구성하는 실링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에 따른 실링부재의 단면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실링부재(300)는 외부로부터 빗물이나 눈 또는 각종 먼지 등의 이물질이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막도록 실외측을 향하는 측부에 부착되는 방수커버(330)를 더 구비한다.
이 경우, 상기 방수커버(330)는 쿠션부(310)에 부착되는 유연재질의 내측커버(331)와, 상기 내측커버(331)의 외측에 부착되는 탄성 스크래퍼(332)와, 상기 탄성 스크래퍼의 외측에 부착되는 유연재질의 외측커버(333)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방수커버(330)의 내측커버(331)와 탄성스크래퍼(332)와 외측커버(333)는 실리콘 수지 접착제를 통해 상호간에 접착될 수 있으며, 스크류나 타카핀(tacker pin)과 같은 별도의 고정부재 또는 실리콘 수지 접착제를 이용하여 쿠션부(310)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내측커버(331)와 외측커버(333)는 유연밀착부(320)의 영역을 침범하지 않도록 쿠션부(310)와 동일 높이로 형성되어 탄성 스크래퍼(332)의 하부를 지지해 줌으로써 탄성 스크래퍼(332)의 지지력과 탄성력을 향상시켜 준다.
그리고, 상기 탄성 스크래퍼(332)는 유연밀착부(320) 보다 같거나 더 높게 형성되어 외부로부터 빗물이나 눈 또는 각종 먼지 등의 이물질이 유연밀착부(320)에 유입 및 흡착되는 것을 막아 실링부재(300)의 성능을 안정적으로 유지시켜 준다.
이와 같이,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청구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 수 있으며,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어야 한다.
100...본체박스 200...보조박스
300...실링부재 310...쿠션부
320...유연밀착부 330...방수커버
331...내측커버 332...탄성 스크래퍼
333...외측커버 S...틈새

Claims (6)

  1. 본체박스와, 상기 본체박스의 내부로부터 본체박스의 외측으로 슬라이딩 인출되면서 상기 본체박스의 내부공간을 확장시키는 보조박스와, 상기 본체박스와 보조박스의 틈새를 막아주는 실링부재를 구비한 공간확장형 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재가 본체박스의 내측면을 따라 부착된 쿠션부와, 상기 쿠션부에 부착되어 마주하는 보조박스의 외측면을 따라 밀착되는 유연밀착부를 포함하는 실링부재를 구비한 공간확장형 구조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재는 본체박스의 내측 상부면과 내측 하부면과 내측 좌측면과 내측 우측면 중 적어도 일측 이상에 상기 보조박스의 슬라이딩 방향과 직각되는 방향으로 각각 구비된 실링부재를 구비한 공간확장형 구조체.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재는 볼트를 이용하여 본체박스에 고정되고;
    상기 실링부재의 쿠션부와 유연밀착부는 실리콘 수지 접착제를 이용하여 접합시킨 실링부재를 구비한 공간확장형 구조체.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재는 외부로부터 빗물이나 눈 또는 각종 먼지 등의 이물질이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막도록 실외측을 향하는 측부에 부착되는 방수커버를 더 구비한 실링부재를 구비한 공간확장형 구조체.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방수커버는
    쿠션부 부착되는 유연재질의 내측커버;
    상기 내측커버의 외측에 부착되는 탄성 스크래퍼;
    상기 탄성 스크래퍼의 외측에 부착되는 유연재질의 외측커버를 구비한 공간확장형 구조체.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커버와 외측커버는 쿠션부와 동일 높이로 형성되고;
    상기 탄성 스크래퍼는 유연밀착부 이상의 높이로 형성된 실링부재를 구비한 공간확장형 구조체.
KR1020220079247A 2022-06-28 2022-06-28 실링부재를 구비한 공간확장형 구조체 KR2024000206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9247A KR20240002067A (ko) 2022-06-28 2022-06-28 실링부재를 구비한 공간확장형 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9247A KR20240002067A (ko) 2022-06-28 2022-06-28 실링부재를 구비한 공간확장형 구조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02067A true KR20240002067A (ko) 2024-01-04

Family

ID=895424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9247A KR20240002067A (ko) 2022-06-28 2022-06-28 실링부재를 구비한 공간확장형 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02067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8253Y1 (ko) 2000-02-18 2000-07-15 강성태 다기능 컨테이너 박스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8253Y1 (ko) 2000-02-18 2000-07-15 강성태 다기능 컨테이너 박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6106908U (zh) 一种皮卡型货车的可折叠车厢盖及其防水结构
US8272168B2 (en) Sliding window assembly having improved sealing
US7753426B2 (en) Interior member for cab of work vehicle and method for forming same, as well as wall member
JP3875974B2 (ja) 遮音性シート
US7155862B2 (en) Sliding closure panel assembly
JP2016078709A (ja) 車両用管連結構造
CN103786658A (zh) 用于避免声音侵入到汽车内部空间中的装置和带有这种装置的汽车
WO2007097278A1 (ja) ドア用シール材
US6340196B1 (en) Motor-vehicle convertible top
JP2011073550A (ja) 車両の分離された室の連結具
KR20240002067A (ko) 실링부재를 구비한 공간확장형 구조체
US6802551B2 (en) Thermal barriers and seals for climate controlled transportation
KR101560375B1 (ko) 실내공간의 확장이 가능한 다용도 자동차.
US6302471B1 (en) Insulating layer secured to struts by connecting elements in a motor vehicle folding convertible top
US10336167B2 (en) Apparatus for preventing inflow of dust in rear rail of sunroof
US6685253B1 (en) Power sliding door wire housing
PT1651914E (pt) Perfil de vedação para uma tampa deslizante de um frigorífico
JP4922672B2 (ja) 開閉ルーフの排水構造
ATE372229T1 (de) Baueinheit für einen anhänger
KR101416359B1 (ko) 선루프 글래스 부상 방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선루프 조립체
JP4704910B2 (ja) 吸音シート
JP5323559B2 (ja) 自動車用ドア構造
JPH04103432A (ja) 自動車の天井構造
EP4177089A1 (en) Liftable roof for recreational vehicles
JP3864527B2 (ja) 車両用空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