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00805A - 수면 개선용 저칼로리 젤리 조성물 - Google Patents

수면 개선용 저칼로리 젤리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00805A
KR20240000805A KR1020220077467A KR20220077467A KR20240000805A KR 20240000805 A KR20240000805 A KR 20240000805A KR 1020220077467 A KR1020220077467 A KR 1020220077467A KR 20220077467 A KR20220077467 A KR 20220077467A KR 20240000805 A KR20240000805 A KR 202400008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low
improving sleep
jelly composition
calori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774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민석
임상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피랩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피랩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피랩스
Priority to KR10202200774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00805A/ko
Publication of KR202400008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00805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1/00Marmalades, jams, jellies or the like; Products from apiculture;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1/10Marmalades; Jams; Jellies; Other similar fruit or vegetable compositions; Simulated fruit produ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2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gelling or thickening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7Amino acids, peptides or proteins
    • A23L33/19Dairy protei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30Dietetic or nutritional methods, e.g. for losing weigh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1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comfort perception and well-be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32Promoters of weight control and weight los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02Acid
    • A23V2250/032Citric acid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02Acid
    • A23V2250/06Amino acid
    • A23V2250/0646Theanin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54Proteins
    • A23V2250/55Peptide, protein hydrolysat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70Vitamins
    • A23V2250/704Vitamin B
    • A23V2250/7052Vitamin B6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ycolog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Jellies, Jams, And Syrup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면 개선용 저칼로리 젤리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유단백가수분해물, L-테아닌 및 비타민 B6가 함유되어 이루어진다.
상기의 성분으로 이루어지는 젤리 조성물은 수면 개선 효과를 나타낼 뿐만 아니라, 설탕 대신 칼로리가 낮은 천연감미료가 사용되어 다이어트에 효과적이며, 단맛이나 식감은 저하되지 않아 우수한 기호도를 나타낸다.

Description

수면 개선용 저칼로리 젤리 조성물 {LOW-CALORIE JELLY COMPOSITION FOR IMPROVING SLEEP}
본 발명은 수면 개선용 저칼로리 젤리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면 개선 효과를 나타낼 뿐만 아니라, 설탕 대신 칼로리가 낮은 천연감미료가 사용되어 다이어트에 효과적이며, 단맛이나 식감은 저하되지 않아 우수한 기호도를 나타내는 수면 개선용 저칼로리 젤리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식용 젤리는 간식용으로써 설탕과 겔화제(젤라틴, 한천, 펙틴 등) 주원료로 사용한다. 겔화제의 종류와 배합비율에 따라, 젤리의 조직감에 영향을 주어 경화도, 생산성 및 성형성과 연관성이 있다.
식용 젤리는 크게 2가지 형태로 나뉘는데, 첫번째로는 실리콘 틀 등에 넣고 겔화시켜 고상의 형태로 제조하는 구미젤리와 봉지에 넣어 고상의 형태로 제조하는 스틱 젤리로 구분 된다. 구미젤리 형태의 식품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고체성분이 부유물 없이 용해되고, 고형화 될 수 있는 당 성분을 함유해야 한다. 일반적인 젤리는 추가적으로 향미 및 착색물질을 첨가하여 기호도를 높이는 방법을 사용한다.
젤리는 디저트의 일종이며 겔류에 속하며 오랫동안 다양한 맛과 향을 가미하여 간식 및 디저트 식품으로 섭취해왔다. 최근 다양한 식품 소재를 활용한 젤리 제품이 개발되고 있으며, 편한 목 넘김과 기호에 따른 식감으로 인해 다양한 구미젤리 관련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구미젤리 형태의 식품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고체성분이 부유물 없이 용해되고, 고형화 될 수 있는 당성분을 함유해야 한다. 일반적인 젤리는 추가적으로 향미및 착색물질을 첨가하여 기호도를 높이는 방법을 사용한다.
또한, 젤리는 디저트의 일종이며 겔류에 속하는데, 오랫동안 다양한 맛과 향을 가미하여 간식 및 디저트 식품으로 섭취해 왔다. 최근 다양한 식품소재를 활용한 젤리제품이 개발되고 있으며, 편한 목넘김과 기호에 따른 식감으로 인해 다양한 구미젤리관련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에 구미젤리 제품은 설탕과 물엿을 주성분으로 하여 칼로리가 높기 때문에, 다량 섭취시 비만을 유발하며, 취식자의 건강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에 젤리 제품은 설탕과 물엿을 주성분으로 하며, 기호도를 높이기 위해 과즙 농축액이나 향미료를 첨가하여 맛과 향을 증진시키거나, 단순히 식감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노력이 이루어졌을 뿐, 기능성이나 영양성분에 대한 고려는 이루어지지 않아 특별한 기능성을 나타내지 못하며, 영영성분의 함량이 낮을 뿐만 아니라, 칼로리가 매우 높아 비만이 증가하고 있는 현대인들의 기호도를 만족시키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특허등록 제10-1751791호(2017.06.22.) 한국특허등록 제10-2025839호(2019.09.20.)
본 발명의 목적은 수면 개선 효과를 나타낼 뿐만 아니라, 설탕 대신 칼로리가 낮은 천연감미료가 사용되어 다이어트에 효과적이며, 단맛이나 식감은 저하되지 않아 우수한 기호도를 나타내는 수면 개선용 저칼로리 젤리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유단백가수분해물, L-테아닌 및 비타민 B6가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면 개선용 저칼로리 젤리 조성물을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수면 개선용 저칼로리 젤리 조성물은 유단백가수분해물 10 내지 12 중량%, L-테아닌 17 내지 19 중량% 및 비타민 B6 0.05 내지 0.15 중량%가 함유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수면 개선용 저칼로리 젤리 조성물은 유단백가수분해물 10 내지 12 중량%, L-테아닌 17 내지 19 중량%, 비타민 B6 0.05 내지 0.15 중량%, 천연감미료 35 내지 45 중량%, 젤화제 20 내지 30 중량%, 향료 2 내지 4 중량%, 농축과즙 1 내지 3 중량부, 구연산 0.5 내지 1.5 중량%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욱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천연감미료는 말티톨, 자일리톨, 에스트리톨, 솔비톨, 프락토올리고당, 스테비오사이드 및 포도당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욱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젤화제는 젤란검, 젤라틴, 펙틴, 카라기난, 타피오카, 곤약, 한천 및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욱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수면 개선용 저칼로리 젤리 조성물에는 상기 유단백가수분해물 100 중량부 대비 시서스 추출물 80 내지 100 중량부가 더 함유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수면 개선용 저칼로리 젤리 조성물은 수면 개선 효과를 나타낼 뿐만 아니라, 설탕 대신 칼로리가 낮은 천연감미료가 사용되어 다이어트에 효과적이며, 단맛이나 식감은 저하되지 않아 우수한 기호도를 나타내는 젤리를 제공하는 탁월한 효과를 나타낸다.
이하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와 각 성분의 물성을 상세하게 설명하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수면 개선용 저칼로리 젤리 조성물은 유단백가수분해물, L-테아닌 및 비타민 B6가 함유되며, 유단백가수분해물 10 내지 12 중량%, L-테아닌 17 내지 19 중량% 및 비타민 B6 0.05 내지 0.15 중량%가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유단백가수분해물 10 내지 12 중량%, L-테아닌 17 내지 19 중량%, 비타민 B6 0.05 내지 0.15 중량%, 천연감미료 35 내지 45 중량%, 젤화제 20 내지 30 중량%, 향료 2 내지 4 중량%, 농축과즙 1 내지 3 중량부, 구연산 0.5 내지 1.5 중량%로 이루어지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유단백가수분해물은 10 내지 12 중량%가 함유되는데, 사슬이 긴 우유 단백질을 체내에 잘 흡수되도록 펩타이드 형태로 분해한 성분으로, 신경전달 물질인 GABA에 달라붙어 신경세포가 흥분하는 것을 억제하며, 세포의 신경 자극을 안정화하기 때문에, 숙면을 유도하는 효과를 나타낸다.
상기 유단백가수분해물의 함량이 10 중량% 미만이면 상기의 효과가 미미하며, 상기 유단백가수분해물의 함량이 12 중량%를 초과하게 되면 상기의 효과는 크게 향상되지 않으면서 젤리의 식감과 맛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L-테아닌는 17 내지 19 중량%가 함유되는데, L-테아닌(L-Theanine)은 홍차와 녹차 및 일부 버섯 품종에 함류된 성분으로, 긴장이완의 효능을 나타내기 때문에 스트레스를 완화하여, 스트레스로 인한 불면증이 발생되는 것을 억제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L-테아닌은 긴장이완 뿐만 아닐, 월경전증후군 증상의 감소, 집중력 증진 등의 효과를 나탄내다.
상기 L-테아닌의 함량이 17 중량% 미만이면 상기의 효과가 미미하며, 상기 L-테아닌의 함량이 19 중량%를 초과하게 되면 상기의 효과는 크게 향상되지 않으면서 젤리의 식감과 맛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비타민 B6는 0.05 내지 0.15 중량%가 함유되는데, 멜라토닌 합성을 촉진하기 때문에 숙면을 돕는 역할을 한다. 멜라토닌은 잠자리에 들기 좋은 몸 상태가 될 수 있도록 생체시계를 끄고, 체온을 1 내지 1.5℃ 낮춰주기 때문에 수면 호르몬이라고 불린다.
불면증을 오래 겪었을 경우 영양 성분만으로 도움을 받기 어려울 수 있지만 다른 치료와 병행하거나 초기 불면증 개선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또한, 비타민 B6는 비타민B 군에 속한 비타민 중 하나로 탄수화물 및 단백질 대사 과정에 작용하고 신경 전달 물질을 만들며, 헤모글로빈의 생성에 도움을 준다.
또한, 심혈관 질환과 관련된 주요한 물질인 호모시스테인의 혈액 수치를 정상으로 유지하는 데에도 필요하며, 관절염, 피부건강 및 혈관건강을 개선하는 효과를 나타낸다.
상기 비타민 B6의 함량이 0.05 중량% 미만이면 상기의 효과가 미미하며, 상기 비타민 B6의 함량이 0.15 중량%를 초과하게 되면 상기의 효과는 크게 향상되지 않으면서 제조비용을 지나치게 증가시키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다.
상기 천연감미료는 35 내지 45 중량%가 함유되며, 말티톨, 자일리톨, 에스트리톨, 솔비톨, 프락토올리고당, 스테비오사이드 및 포도당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한데, 본 발명을 통해 제조되는 젤리 조성물에 단맛을 부여하여 기호도를 향상시키면서도 당함량이나 칼로리가 낮아 취식자의 건강을 증진시키며 다이어트 효과를 부여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천연감미료의 함량이 35 중량% 미만이면 상기의 효과가 미미하며, 상기 천연감미료의 함량이 45 중량%를 초과하게 되면 상기의 효과는 크게 향상되지 않으면서 상대적으로 유단백가수분해물, L-테아닌, 비타민 B6, 젤화제, 향료, 농축과즙 및 구연산의 함량이 지나치게 줄어들어 기능성과 영양성분의 함량이 줄어들고 형태안정성이나 식감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젤화제는 20 내지 30 중량%가 함유되며, 젤란검, 젤라틴, 펙틴, 카라기난, 타피오카, 곤약, 한천 및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는데, 본 발명에 따른 젤리 조성물을 겔화시켜 젤리의 형태를 나타낼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젤화제의 함량이 20 중량% 미만이면 상기의 효과가 미미하여 젤리 조성물의 식감이 저하될 수 있으며, 상기 젤화제의 함량이 30 중량%를 초과하게 되면 젤리의 식감이 지나치게 질겨져 기호도가 저하될 뿐만 아니라, 상대적으로 유단백가수분해물, L-테아닌, 비타민 B6, 천연감미료, 향료, 농축과즙 및 구연산의 함량 지나치게 줄어들어 젤리의 기능성, 영양성분의 함량, 맛 및 식감이 저하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다.
또한, 상기 수면 개선용 저칼로리 젤리 조성물에는 상기 유단백가수분해물 100 중량부 대비 시서스 추출물 80 내지 100 중량부가 더 함유될 수도 있는데, 상기 시서스 추출물은 시서스를 열수추출하여 제조되며, 더욱 상세하게는 시서스 100 중량부에 용매 200 내지 1000 중량부를 혼합하고 70 내지 90℃의 온도로 10 내지 30분 동안 가열하는 과정을 통해 제조된다.
상기 시서스(cissus)는 갈매나무목 포도과 시수스속에 속하는 상록성 여러해살이풀로서, 인도담쟁이 넝쿨이라고도 불리는 허브의 한 종류를 의미한다. 상기 시서스는 예부터 약용식물로 활용되어 그 효능을 인정받았고, 열대지방에서 주로 자라며 생명력이 강하다. 시서스는 체내의 렙틴 호르몬 분비를 조절하여 천연 식욕억제제의 역할을 하기 때문에, 본 발명에 따른 젤리 조성물에 다이어트 효과를 더욱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시서스 추출물의 함량이 80 중량부 미만이면 상기의 효과가 미미하며, 상기 시서스 추출물의 함량이 100 중량부를 초과하게 되면 상기의 효과는 크게 향상되지 않으면서 젤리 조성물의 식감, 맛 및 기호도가 저하될 수 있다.
이때, 시서스 추출물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사용되는 상기 용매는 물, 탄소수 1 내지 4개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의 성분으로 이루어지는 수면 개선용 저칼로리 젤리 조성물은 유단백가수분해물, L-테아닌 및 비타민 B6, 천연감미료, 향료, 농축과즙 및 구연산 혼합물을 제조한 후에, 제조된 혼합물에 젤화제를 혼합하고 젤화하는 과정을 통해 제조된다.
또한, 시서스 추출물이 함유되는 경우에는 상기와 같은 성분들로 혼합물을 제조한 후에 젤화제를 투입하기 전에 제조된 혼합물에 시서스 추출물을 적하한 후에 젤화제를 혼합하는 과정을 통해 젤리 조성물을 제조한다.
이때, 상기 유단백가스분해물, L-테아닌, 비타민 B6, 천연감미료, 향료, 농축과즙 및 구연산 혼합물 구체적인 성분, 제조방법 및 함량에 따른 임계적 의의는 상기에 기재된 내용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혼합물은 70 내지 90℃의 온도로 가열한 상태에서 젤화제를 혼합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며, 젤화제가 혼합된 혼합물을 실리콘으로 이루어진 성형틀에 붓고 -5 내지 -3℃의 온도로 15 내지 30분 동안 냉각하여 젤리 형태로 성형하는 과정이 진행되는데, 이때 젤리는 원형, 사각형, 삼각형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구미젤리 또는 스틱형태의 젤리로 제조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수면 개선용 저칼로리 젤리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젤리 조성물의 물성을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제조예 1> 시서스 추출물의 제조
시서스 100 중량부에 용매(물) 500 중량부를 혼합하고 80℃의 온도로 20분 동안 가열한 후에 고형분을 여과하여 시서스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
유단백가수분해물 11 중량%, L-테아닌 17.9 중량%, 비타민 B6 0.1 중량%, 천연감미료(말티톨 28 중량% 및 스테비오사이드 12 중량%) 40 중량%, 향료(사과과일향) 3 중량%, 농축과즙(사과농축과즙) 2 중량부, 구연산 1 중량%를 80℃의 온도에서 250rpm의 속도로 10분 동안 교반하여 혼합물을 제조하고, 상기 혼합물을 80℃의 온도로 가열한 상태에서 젤화제(젤라틴 13 중량% 및 타피오카 12 중량%) 25 중량%를 혼합하고 300rpm의 속도로 10분 동안 교반한 후에 실리콘 성형틀에 붓고 -4℃의 온도로 22분 동안 냉각하여 수면 개선용 저칼로리 젤리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진행하되, 천연감미료(말티톨 26 중량%, 프락토 올리고당 2 중량% 및 스테비오사이드 12 중량%)를 사용하여 수면 개선용 저칼로리 젤리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진행하되, 천연감미료(말티톨 30 중량%, 프락토 올리고당 1 중량% 및 스테비오사이드 9 중량%)를 사용하여 수면 개선용 저칼로리 젤리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4>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진행하되, 혼합물을 제조한 후에 젤화제를 투입하기 전에 상기 혼합물에 함유된 유단백가스분해물 100 중량부 대비 상기 제조예 1을 통해 제조된 시서스 추출물 90 중량부를 더 적하하여 수면 개선용 저칼로리 젤리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유단백가수분해물 11 중량%, L-테아닌 17.9 중량%, 비타민 B6 0.1 중량%, 설탕 19 중량%, 맥아물엿 29 중량%, 향료(사과 과일향) 2 중량%, 농축과즙(사과 농축과즙) 2 중량%, 구연산 1 중량%를 혼합하고 80℃의 온도에서 250rpm의 속도로 10분 동안 교반하여 혼합물을 제조하고, 상기 혼합물을 80℃의 온도로 가열한 상태에서 젤라틴 18 중량%를 혼합하고 300rpm의 속도로 10분 동안 교반한 후에 실리콘 성형틀에 붓고 -4℃의 온도로 22분 동안 냉각하여 젤리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상기 비교예 1과 동일하게 진행하되, 설탕 20 중량%, 맥아물엿 28 중량% 및 농축과즙(사과 농축과즙) 4 중량%를 사용하여 젤리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 내지 2를 통해 제조된 젤리 조성물의 칼로리 견고성 및 탄력성을 측정하여 아래 표 1에 나타내었다.
{단, 칼로리는 calorimeter를 사용하여 측정하였으며, 견고성 및 탄력성은Texture analyzer를 이용해 젤리 조성물에 5g의 힘을 가해 견고성을 측정하고, 반발력을 통해 탄력성을 측정하는 과정을 2회수행한 후에 평균값으로 나타내었다.}
<표 1>
상기 표 1에 나타낸 것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4를 통해 제조된 수면 개선용 저칼로리 젤리 조성물은 비교예 1 내지 2를 통해 제조된 젤리 조성물에 비해 칼로리가 현저하게 낮으면서도, 대등한 견고성과 탄력성을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 내지 2를 통해 제조된 젤리 조성물의 전체적인 기호도, 외관, 단맛 및 식감을 측정하여 아래 표 2에 나타내었다.
{단, 젤리 조성물의 전체적인 기호도, 외관, 단맛 및 식감은 피시험자 20명을 대상으로 하여 5점 척도법으로 나타내었다.
5점:매우 우수, 4점:우수, 3점:보통, 2점:나쁨, 1점:매우나쁨}
<표 2>
상기 표 2에 나타낸 것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4을 통해 제조된 수면 개선용 저칼로리 젤리 조성물은 설탕과 물엿을 사용하여 제조된 비교예 1 내지 2의 젤리 조성물과 대등한 기호도, 외관, 단맛 및 식감을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수면 개선용 저칼로리 젤리 조성물은 수면 개선 효과를 나타낼 뿐만 아니라, 설탕 대신 칼로리가 낮은 천연감미료가 사용되어 다이어트에 효과적이며, 단맛이나 식감은 저하되지 않아 우수한 기호도를 나타내는 젤리를 제공한다.

Claims (6)

  1. 유단백가수분해물, L-테아닌 및 비타민 B6가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면 개선용 저칼로리 젤리 조성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면 개선용 저칼로리 젤리 조성물은 유단백가수분해물 10 내지 12 중량%, L-테아닌 17 내지 19 중량% 및 비타민 B6 0.05 내지 0.15 중량%가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면 개선용 저칼로리 젤리 조성물.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수면 개선용 저칼로리 젤리 조성물은 유단백가수분해물 10 내지 12 중량%, L-테아닌 17 내지 19 중량%, 비타민 B6 0.05 내지 0.15 중량%, 천연감미료 35 내지 45 중량%, 젤화제 20 내지 30 중량%, 향료 2 내지 4 중량%, 농축과즙 1 내지 3 중량부, 구연산 0.5 내지 1.5 중량%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면 개선용 저칼로리 젤리 조성물.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천연감미료는 말티톨, 자일리톨, 에스트리톨, 솔비톨, 프락토올리고당, 스테비오사이드 및 포도당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면 개선용 저칼로리 젤리 조성물.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젤화제는 젤란검, 젤라틴, 펙틴, 카라기난, 타피오카, 곤약, 한천 및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면 개선용 저칼로리 젤리 조성물.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면 개선용 저칼로리 젤리 조성물에는 상기 유단백가수분해물 100 중량부 대비 시서스 추출물 80 내지 100 중량부가 더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면 개선용 저칼로리 젤리 조성물.

KR1020220077467A 2022-06-24 2022-06-24 수면 개선용 저칼로리 젤리 조성물 KR2024000080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7467A KR20240000805A (ko) 2022-06-24 2022-06-24 수면 개선용 저칼로리 젤리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7467A KR20240000805A (ko) 2022-06-24 2022-06-24 수면 개선용 저칼로리 젤리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00805A true KR20240000805A (ko) 2024-01-03

Family

ID=895391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7467A KR20240000805A (ko) 2022-06-24 2022-06-24 수면 개선용 저칼로리 젤리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00805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51791B1 (ko) 2015-12-31 2017-06-28 롯데제과주식회사 하드 젤리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하드 젤리의 제조방법
KR102025839B1 (ko) 2017-10-31 2019-09-26 롯데제과 주식회사 떡과 유사한 식감의 젤리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51791B1 (ko) 2015-12-31 2017-06-28 롯데제과주식회사 하드 젤리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하드 젤리의 제조방법
KR102025839B1 (ko) 2017-10-31 2019-09-26 롯데제과 주식회사 떡과 유사한 식감의 젤리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9356037B2 (en) Apple cider vinegar nutritional supplement
JP2013519383A (ja) 新甘味組成物
EP2945492B1 (en) Non-cariogenic jelly confectionary
BR112016012245B1 (pt) Composição de confeitos congelados com quantidade reduzida de açúcar
CN112841376A (zh) 一种含赤藓糖醇的软糖及其制备方法
CN101513239A (zh) 即食型桄榔膏及其生产方法
Saulo Sugars and sweeteners in foods
CN111357854A (zh) 鱼明胶和卡拉胶在软糖中的应用以及鱼明胶复合营养软糖及其制备方法
Naik et al. Application of stevia (Stevia rebaudiana Bertoni.) in food products
KR20120122373A (ko) 홍삼 푸딩의 제조 방법 및 이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홍삼 푸딩
KR20180003119A (ko) 가르시니아 캄보지아 추출물이 함유된 저칼로리 젤리 조성물
CN111567660A (zh) 一种接骨木花风味软糖及其制备方法
KR20230109936A (ko) 시서스 추출물이 함유된 다이어트용 젤리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240000805A (ko) 수면 개선용 저칼로리 젤리 조성물
CN113768024B (zh) 一种食用凝胶以及低糖青梅果肉凝胶软糖的制备方法
CN108157718A (zh) 一种蜂蜜饮料
KR20240001345A (ko) 뼈 건강 개선용 저칼로리 젤리 조성물
KR20240000806A (ko) 피부 및 손톱 건강 개선용 저칼로리 비건 젤리 조성물
CN109007206A (zh) 一种玉米软糖及其制备方法
CN112292040A (zh) 低血糖组合物及其制备和使用方法
CN109393031A (zh) 源态酪乳无蔗糖酸奶的制备方法
JP2852333B2 (ja) 羅漢果ゼリ−
KR102479584B1 (ko) 비건용 캐러멜 조성물
US11642327B2 (en) Creatine nutritional supplement
JPH0984553A (ja) 甜茶とミント類とを含む食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