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00266A - 시스템 비계용 길이 가변형 수평재 - Google Patents

시스템 비계용 길이 가변형 수평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00266A
KR20240000266A KR1020220077034A KR20220077034A KR20240000266A KR 20240000266 A KR20240000266 A KR 20240000266A KR 1020220077034 A KR1020220077034 A KR 1020220077034A KR 20220077034 A KR20220077034 A KR 20220077034A KR 20240000266 A KR20240000266 A KR 202400002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outer peripheral
peripheral surface
length
bo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770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종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행운가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행운가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행운가설
Priority to KR10202200770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00266A/ko
Publication of KR202400002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0026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7/00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 E04G7/30Scaffolding bars or members with non-detachably fixed coupling elements
    • E04G7/302Scaffolding bars or members with non-detachably fixed coupling elements for connecting crossing or intersecting bars or members
    • E04G7/306Scaffolding bars or members with non-detachably fixed coupling elements for connecting crossing or intersecting bars or members the added coupling elements are fixed at several bars or members to connect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7/00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 E04G7/30Scaffolding bars or members with non-detachably fixed coupling elements
    • E04G7/32Scaffolding bars or members with non-detachably fixed coupling elements with coupling elements using we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adders (AREA)

Abstract

개시된 내용은 수직재, 수평재, 계단 및 연결철물이 규격화, 일체화고, 길이 가변형 수평재가 포함되어 지반이나 구조가 복잡하여 맞춤형 비계가 필요한 현장에 적용가능하고 다른 현장에서 재활용이 가능하며, 길이조절이 되는 한 쌍의 수평재의 내부에 보강재가 구비되어 한 쌍의 수평재의 연결부에 힘이 집중되는 경우에도 연결부가 꺾이지 않는 시스템 비계용 길이 가변형 수평재에 관한 것이다.
개시된 내용은 원기둥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외주면 전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볼트부재와, 상기 볼트부재의 일단으로부터 타단 방향으로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까지 상기 볼트부재의 외주면에 나사 체결되어 형성되는 제 1너트부재와, 상기 제 1너트부재의 일단으로부터 상기 볼트부재의 타단 방향으로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볼트부재의 외주면에 나사 체결되어 형성되는 제 2너트부재와, 상기 볼트부재의 외주면의 타단으로부터 일단 방향으로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되 상기 제 2너트부재의 일단과 상기 볼트부재의 타단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제 2너트부재가 상기 볼트부재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재와, 상기 제 1너트부재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제 1파이프부재와, 일측이 상기 제 1파이프부재의 외주면에 형성되고 타측이 상기 볼트부재의 타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 2파이프부재와, 일측이 상기 제 2너트부재의 외주면에 형성되고 타측이 상기 볼트부재의 타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일단으로부터 타단방향으로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까지 상기 제 2파이프부재의 내부로 삽입되는 제 3파이프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 2너트부재의 좌우 방향으로의 이동에 따라 상기 제 3파이프부재가 상기 제 2파이프부재의 타단으로부터 상기 볼트부재의 타단 방향으로 길이 신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비계용 길이 가변형 수평재를 일 실시예로 제시한다.

Description

시스템 비계용 길이 가변형 수평재 {LENGTH VARIABLE HORIZONTAL STRUT FOR SYSTEM SCAFFOLD}
개시된 내용은 작업 환경에 따라 길이 조절이 가능한 비계용 길이 가변형 수평재에 관련된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식별항목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식별항목에 기재되었다고 하여 종래 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건축공사 때에 높은 곳에서 일하기 위하여서는 임시 가설물인 비계를 설치하여 재료운반이나 작업원의 통로 및 작업원을 위한 발판으로 사용한다.
종래의 비계는 낙엽송을 주로 사용하여 설치된 통나무비계였지만 최근에는 강철제 파이프를 클램프로 조립하여 설치하는 강관 비계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강관 비계는 비계의 구조물이 규격화되어 있지 않아, 안전기준이 엄격한 본 건축물에 비하여 자칫 소홀하게 관리될 수가 있는 비계 구조물에 있어서 안전상의 위험이 발생할 우려가 있었다.
이에 따라, 수직재, 수평재, 계단 및 연결철물이 규격화, 일체화된 시스템 비계의 개발이 요구되어 왔다.
이러한 길이 시스템 비계의 일 예로, 대한민국 특허 등록 제10-1224183호(2013.01.14. 등록)에는 하나 이상의 수직재와 수평재가 상호 연결되어 수평수직방향으로 다단 설치되는 조립식 시스템비계에 있어서, 수직으로 설치되는 수직재에는 하나 이상의 결합 홀을 갖는 결합판이 형성되어 상기 결합판에 수평으로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수평재와 다기능판넬이 체결부재로 연결되어 설치되되,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결합 홀에 대응되는 체결 홈이 일치되게 형성되어 상기 결합 홀과 상기 체결 홈을 동시에 관통하는 체결 핀에 의해 고정됨으로써 상호 연결되는 한편, 상기 다기능판넬이 설치되는 체결부재는 외측으로 'ㄴ'자 형태로 절곡된 판넬용 체결부재고정핀이 형성되고, 상기 다기능판넬은 다기능판넬 고정핀 홀이 형성된 판이 상단과 하단에 형성되어, 상기 다기능판넬 고정핀 홀을 판넬용 체결부재고정핀에 걸어 다기능판넬을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시스템비계가 개시된다.
그러나 전술한 시스템 비계는 길이가 규격화가 되어 있어 지반의 구조가 복잡하여 맞춤형 비계가 필요한 현장에는 적용하기 어렵고 맞춤형 비계를 사용한 후에는 다른 현장에서 재활용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길이 가변형 수평재가 포함된 비계의 일 예로, 대한민국 특허 등록 제10-2153187호(2020.09.01. 등록)에는 안전 난간대에 사용되는 비계(飛階)용 파이프의 길이 조절을 위한 비계용 파이프 길이조절 구조에 있어서, 제1 중공이 형성된 제1 파이프와, 상기 제1 중공을 따라 상기 제1 파이프의 제1 길이방향으로 삽입되는 제2 파이프를 포함하며, 상기 제2 파이프는, 상기 제1 중공 내에서, 상기 제1 길이방향으로의 위치 이동 거리에 따라 상기 제1 파이프의 일측단으로부터 외부로 노출된 길이가 변화되고, 상기 제1 파이프의 일측단으로부터 외부로 노출된 길이가 제1 길이인 경우, 상기 제1 길이방향으로의 위치 이동이 제한되고, 상기 제1 길이방향의 반대방향으로는 위치 이동이 가능하며, 상기 제1 길이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위치 이동되는 경우, 상기 제1 파이프로부터 이탈 가능한 비계용 파이프 길이조절 구조가 개시된다.
또한, 대한민국 실용신안 등록 제20-0494417호(2021.09.30. 등록)에는 전후 또는 양측으로 배치되는 수직재를 연결 시 수직재 이격 거리에 따라 수평방향으로 길이 조절되도록 형성된 제1, 2수평재와, 일측이 수직재의 결합판에 체결하는 체결부재가 결합되고, 타측이 제1, 2수평재의 각 선단이 힌지 결합되어 수직재의 설치각도에 따라 제1, 2수평재의 각도조절이 가능하도록 형성된 각도조절유닛을 포함하는 거리 및 각도 조절형 비계수평재가 개시된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길이 조절이 가능한 수평재의 경우에는, 길이조절이 되는 한 쌍의 수평재 사이에 보강부재가 존재하지 않아 한 쌍의 수평재의 연결부에 힘이 집중되는 경우 연결부가 꺾이는 위험이 여전히 존재하고 있었다.
1. 대한민국 특허 등록 제10-1224183호(2013.01.14. 등록) 2. 대한민국 특허 등록 제10-2153187호(2020.09.01. 등록) 3. 대한민국 실용신안 등록 제20-0494417호(2021.09.30. 등록)
규격화, 일체화 된 시스템 비계의 사양을 따르고, 길이를 조절할 수 있으며, 길이조절을 가능하게 하는 한 쌍의 수평재 구성부재들의 내부에 보강재가 구비된 시스템 비계의 길이 가변형 수평재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가 도출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개시된 내용은 원기둥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외주면 전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볼트부재와, 상기 볼트부재의 일단으로부터 타단 방향으로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까지 상기 볼트부재의 외주면에 나사 체결되어 형성되는 제 1너트부재와, 상기 제 1너트부재의 일단으로부터 상기 볼트부재의 타단 방향으로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볼트부재의 외주면에 나사 체결되어 형성되는 제 2너트부재와, 상기 볼트부재의 외주면의 타단으로부터 일단 방향으로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되 상기 제 2너트부재의 일단과 상기 볼트부재의 타단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제 2너트부재가 상기 볼트부재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재와, 상기 제 1너트부재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제 1파이프부재와, 일측이 상기 제 1파이프부재의 외주면에 형성되고 타측이 상기 볼트부재의 타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 2파이프부재와, 일측이 상기 제 2너트부재의 외주면에 형성되고 타측이 상기 볼트부재의 타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일단으로부터 타단방향으로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까지 상기 제 2파이프부재의 내부로 삽입되는 제 3파이프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 2너트부재의 좌우 방향으로의 이동에 따라 상기 제 3파이프부재가 상기 제 2파이프부재의 타단으로부터 상기 볼트부재의 타단 방향으로 길이 신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비계용 길이 가변형 수평재를 일 실시예로 제시한다.
개시된 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 1너트부재 및 이탈방지부재는 용접 방법에 의하여 상기 볼트부재에 각각 접합되고, 용접 방법에 의하여 접합된 각각의 접합부분은 아연으로 각각 도포 된다.
개시된 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제 1파이프 부재는, 용접 방법에 의하여 상기 제 1너트부재의 외주면에 접합되고, 제 2파이프 부재의 일측은, 용접 방법에 의하여 상기 제 1파이프부재의 외주면에 접합되며, 제 3파이프부재의 일측은, 용접 방법에 의하여 제 2너트부재의 외주면에 접합되고, 용접 방법에 의하여 접합된 각각의 접합부분은 아연으로 각각 도포 된다.
개시된 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시스템 비계용 길이 가변형 수평재는, 상기 제 1파이프부재 및 제 2파이프부재의 일측에 형성되어 어느 하나의 시스템 비계용 수직재에 체결되는 제 1뭉치부재와, 상기 제 3파이프부재의 타측에 형성되어 다른 하나의 시스템 비계용 수직재에 체결되는 제 2뭉치부재를 더 포함한다.
개시된 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 1파이프부재의 일측은 상기 제 1뭉치부재의 일단으로부터 타단 방향으로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까지 삽입되어 용접 방법으로 접합되고, 상기 제 3파이프 부재의 타측은 상기 제 2뭉치부재의 일단으로부터 타단 방향으로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까지 삽입되어 용접방법으로 접합되며, 상기 제 2파이프부재의 일단은 상기 제 1뭉치부재의 일단과 맞닿아 용접방법으로 접합되고, 용접 방법에 의하여 접합된 각각의 접합부분은 아연으로 각각 도포 된다.
개시된 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시스템 비계용 길이 가변형 수평재는, 일반 구조용 탄소 강재, 일반 구조용 압연 강재, 열간 압연 강재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소재로 형성된다.
개시된 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시스템 비계용 길이 가변형 수평재는, 순아연, 아연철, 아연-니켈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소재를 사용하여 전기아연도금된다.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비계용 길이 가변형 수평재에 의하면 수직재, 수평재, 계단 및 연결철물이 규격화, 일체화고, 길이 가변형 수평재가 포함되어 지반이나 구조가 복잡하여 맞춤형 비계가 필요한 현장에 적용가능하고 다른 현장에서 재활용이 가능하다.
또한, 길이조절이 되는 한 쌍의 수평재의 내부에 보강재가 구비되어 한 쌍의 수평재의 연결부에 힘이 집중되는 경우에도 연결부가 꺾이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비계용 길이 가변형 수평재의 길이 신장 및 수축 시의 사용상태도.
도 2는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비계용 길이 가변형 수평재의 사시도.
도 3은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비계용 길이 가변형 수평재의 길이 신장 및 수축 시의 단면도.
도 4는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비계용 길이 가변형 수평재의 분해도.
도 5는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비계용 길이 가변형 수평재의 조립순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 동작 및 작용효과에 대하여 살펴본다. 참고로 이하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는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개별 도면에서 동일 구성에 대한 도면 부호는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비계용 길이 가변형 수평재의 길이 신장 및 수축 시의 사용상태도이다.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시스템 비계용 길이 가변형 수평재(10)는 한 쌍의 시스템 비계용 수직재(20)에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시스템 비계용 길이 가변형 수평재(10)의 일측이 한 쌍의 상기 시스템 비계용 수직재(20) 중 어느 하나에 체결되고 상기 시스템 비계용 길이 가변형 수평재(10)의 타측이 한 쌍의 상기 시스템 비계용 수직재(20) 중 다른 하나에 체결될 수 있다. 한 쌍의 상기 시스템 비계용 수직재(20)는 공사현장의 상황에 따라 서로 다른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시스템 비계용 길이 가변형 수평재(10)는 한 쌍의 상기 시스템 비계용 수직재(20)가 배치된 간격에 따라 길이가 조절되어 한 쌍의 상기 시스템 비계용 수직재(20)에 체결될 수 있다.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시스템 비계용 가변형 수평재(10)는 공사가 진행되는 지형의 경사가 심하거나 타인의 토지에 인접한 관계로 한 쌍의 상기 시스템 비계용 수직재(20)의 간격이 충분히 확보되지 못하는 상황에서도 길이 조절을 통하여 공사 진행을 위한 최적의 시스템 비계의 설치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도 2는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비계용 길이 가변형 수평재의 사시도이고, 도 3은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비계용 길이 가변형 수평재의 길이 신장 및 수축 시의 단면도이며, 도 4는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비계용 길이 가변형 수평재의 분해도이다.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시스템 비계용 길이 가변형 수평재(10)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볼트부재(100), 제 1너트부재(200), 제 2너트부재(300), 이탈방지부재(400), 제 1파이프부재(500), 제 2파이프부재(600) 및 제 3파이프부재(7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볼트부재(100)는 원기둥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외주면 전체에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너트부재(200)는 상기 볼트부재(100)의 일단으로부터 타단 방향으로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까지 상기 볼트부재(100)의 외주면에 나사 체결되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너트부재(300)는 상기 제 1너트부재(200)의 일단으로부터 상기 볼트부재(100)의 타단 방향으로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볼트부재(100)의 외주면에 나사 체결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탈방지부재(400)는 상기 볼트부재(100)의 외주면의 타단으로부터 일단 방향으로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탈방지부재(400)는 상기 제 2너트부재(300)와 상기 볼트부재(100)의 타단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탈방지부재(400)는 상기 제 2너트부재(300)가 상기 볼트부재(100)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파이프부재(500)는 상기 제 1너트부재(200)의 외주면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파이프부재(600)는 일측이 상기 제 1파이프부재(500)의 외주면에 형성되고 타측이 상기 볼트부재(100)의 타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3파이프부재(700)는 일측이 상기 제 2너트부재(300)의 외주면에 형성되고 타측이 상기 볼트부재(100)의 타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3파이프부재(700)는 제 3파이프부재(700)의 일단으로부터 타단방향으로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까지 상기 제 2파이프부재(600)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시스템 비계용 길이 가변형 수평재(10)는 상기 제 2너트부재(300)의 좌우 방향으로의 이동에 따라 상기 제 3파이프부재(700)가 상기 제 2파이프부재(600)의 타단으로부터 상기 볼트부재(100)의 타단 방향으로 길이 신축될 수 있다. 상기 제 2너트부재(300)가 상기 제 1너트부재(200)의 방향으로 이동되면 상기 제 2파이프부재(600)의 내부로 제 3파이프부재(700)가 들어가게 되어 상기 시스템 비계용 길이 가변형 수평재(10)의 길이는 짧아지게 된다. 반대로 상기 제 2너트부재(300)가 상기 이탈방지부재(400)의 방향으로 이동되면 상기 제 2파이프부재(600)의 외부로 제 3파이프부재(700)가 나오게 되어 상기 시스템 비계용 길이 가변형 수평재(10)의 길이는 길어지게 된다.
상기 제 2너트부재(300)의 일단이 상기 제 1너트부재(200)의 타단과 맞닿게 될 때, 상기 시스템 비계용 길이 가변형 수평재(10)의 길이가 가장 짧게 된다. 상기 제 2너트부재(300)의 타단이 상기 이탈방지부재(400)의 일단과 맞닿게 될 때, 상기 시스템 비계용 길이 가변형 수평재(10)의 길이가 가장 길게 된다.
한편,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 1너트부재(200) 및 이탈방지부재(400)는 용접 방법에 의하여 상기 볼트부재(100)에 각각 접합될 수 있다. 또한, 용접 방법에 의하여 접합된 각각의 접합부분은 아연으로 각각 도포 될 수 있다.
그리고 제 1파이프부재(500)는, 용접 방법에 의하여 상기 제 1너트부재(200)의 외주면에 접합될 수 있다. 또한, 제 2파이프부재(600)의 일측은, 용접 방법에 의하여 상기 제 1파이프부재(500)의 외주면에 접합될 수 있다. 그리고 제 3파이프부재(700)의 일측은, 용접 방법에 의하여 제 2너트부재(300)의 외주면에 접합될 수 있다. 또한, 용접 방법에 의하여 접합된 각각의 접합부분은 아연으로 각각 도포 될 수 있다.
한편,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시스템 비계용 길이 가변형 수평재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 1뭉치부재(800) 및 제 2뭉치부재(9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제 1뭉치부재(800)는 상기 제 1파이프부재(500) 및 제 2파이프부재(600)의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뭉치부재(800)는 어느 하나의 시스템 비계용 수직재(20)에 체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뭉치부재(900)는 상기 제 3파이프부재(700)의 타측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뭉치부재(900)는 다른 하나의 시스템 비계용 수직재(20)에 체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파이프부재(500)의 일측은 상기 제 1뭉치부재(800)의 일단으로부터 타단 방향으로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까지 삽입되어 용접 방법으로 접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3파이프부재(700)의 타측은 상기 제 2뭉치부재(900)의 일단으로부터 타단 방향으로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까지 삽입되어 용접방법으로 접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파이프부재(600)의 일단은 상기 제 1뭉치부재(800)의 일단과 맞닿아 용접방법으로 접합될 수 있다. 또한, 용접 방법에 의하여 접합된 각각의 접합부분은 아연으로 각각 도포 될 수 있다.
그리고 시스템 비계용 수평재(미도시)에 있어서는 뭉치(미도시)의 형태가 규격화될 수 있다. 따라서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시스템 비계용 가변형 수평재(10)에 구비되는 상기 제 1뭉치부재(800) 및 제 2뭉치부재(900)의 형태도 규격화된 뭉치(미도시)의 형태를 따라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시스템 비계용 길이 가변형 수평재(10)는, 순아연, 아연철, 아연-니켈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소재를 사용하여 전기아연도금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시스템 비계용 길이 가변형 수평재(10)는, 일반 구조용 탄소 강재, 일반 구조용 압연 강재, 열간 압연 강재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시스템 비계용 길이 가변형 수평재(10)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 1고정부재(850) 및 제 2고정부재(9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제 1고정부재(850)는 상기 시스템 비계용 길이 가변형 수평재(10)의 일측이 한 쌍의 상기 시스템 비계용 수직재(20) 중 어느 하나에 체결된 후, 상기 제 1뭉치부재(800)에 체결하여 상기 시스템 비계용 길이 가변형 수평재(10)의 일측을 상기 시스템 비계용 수직재(20) 중 어느 하나에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고정부재(950)는 상기 시스템 비계용 길이 가변형 수평재(10)의 타측이 한 쌍의 상기 시스템 비계용 수직재(20) 중 다른 하나에 체결된 후, 상기 제 2뭉치부재(900)에 체결하여 상기 시스템 비계용 길이 가변형 수평재(10)의 타측을 상기 시스템 비계용 수직재(20) 중 다른 하나에 고정시킬 수 있다.
도 5는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비계용 길이 가변형 수평재의 조립순서도이다.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시스템 비계용 길이 가변형 수평재(10)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절단장치(미도시)가 상기 볼트부재(100)를 임의의 길이로 절단한 후 전기도금장치(미도시)가 상기 볼트부재(100)를 전기아연도금하는 볼트부재 절단 단계(a),
용접장치(미도시)가 상기 볼트부재(100)의 외주면의 일단으로부터 타단 방향으로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까지 나사 체결되게 형성된 상기 제 1너트부재(200)를 상기 볼트부재(100)에 용접 방법으로 접합시키고, 아연 도포기(미도시)가 용접 방법에 의하여 접합된 각각의 접합부분을 아연으로 도포하는 제 1너트부재 접합단계(b),
상기 제 2너트부재(300)를 상기 볼트부재(100)의 타단으로부터 일단 방향으로 나사 체결되게 투입하고, 상기 용접장치(미도시)가 상기 볼트부재(100)의 외주면의 타단으로부터 일단 방향으로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용접 방법으로 접합시키며, 아연 도포기(미도시)가 용접 방법에 의하여 접합된 접합부분을 아연으로 도포하는 이탈방지부재 접합단계(c),
상기 용접장치(미도시)가 상기 제 1파이프부재(500)를 상기 제 1너트부재(200)의 외주면에 용접 방법으로 접합시키고, 상기 제 3파이프부재(700)의 일측을 상기 제 2너트부재(300)의 외주면에 용접 방법으로 접합시키며, 아연 도포기(미도시)가 용접 방법에 의하여 접합된 각각의 접합부분을 아연으로 각각 도포하는 단 직경 파이프 접합단계(d),
상기 제 2파이프부재(600)를 상기 제 1파이프부재(500) 및 제 3파이프부재(700)의 외주면에 걸쳐지게 삽입한 후, 상기 용접장치(미도시)가 상기 제 1뭉치부재(800)의 일단으로부터 타단방향으로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까지 삽입된 상기 제 1파이프부재(500)의 일측 및 상기 제 2뭉치부재(900)의 일단으로부터 타단방향으로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까지 삽입된 상기 제 3파이프부재(700)의 타측을 용접 방법으로 접합시키는 뭉치부재 접합 단계(e), 및
용접장치(미도시)가 상기 제 2파이프부재(600)의 일단을 상기 제 1뭉치부재(800)의 일단과 맞닿게 하여 용접 방법으로 접합시키고, 아연 도포기(미도시)가 용접 방법에 의하여 접합된 접합부분을 아연으로 도포하는 장 직경 파이프 접합 단계(f)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뭉치부재 접합 단계(e)에서는 용접 방법에 의하여 각각 접합된 부분을 아연으로 각각 도포하는 후처리를 생략하고, 상기 장 직경 파이프 접합 단계(f)에서 함께 진행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볼트부재
200 : 제 1너트부재
300 : 제 2너트부재
400 : 이탈방지부재
500 : 제 1파이프부재
600 : 제 2파이프부재
700 : 제 3파이프부재
800 : 제 1뭉치부재
850 : 제 1고정부재
900 : 제 2뭉치부재
950 : 제 2고정부재
10 : 시스템 비계용 길이 가변형 수평재
20 : 시스템 비계용 수직재

Claims (7)

  1. 원기둥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외주면 전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볼트부재;
    상기 볼트부재의 일단으로부터 타단 방향으로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까지 상기 볼트부재의 외주면에 나사 체결되어 형성되는 제 1너트부재;
    상기 제 1너트부재의 일단으로부터 상기 볼트부재의 타단 방향으로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볼트부재의 외주면에 나사 체결되어 형성되는 제 2너트부재;
    상기 볼트부재의 외주면의 타단으로부터 일단 방향으로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되 상기 제 2너트부재의 일단과 상기 볼트부재의 타단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제 2너트부재가 상기 볼트부재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재;
    상기 제 1너트부재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제 1파이프부재;
    일측이 상기 제 1파이프부재의 외주면에 형성되고 타측이 상기 볼트부재의 타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 2파이프부재;
    일측이 상기 제 2너트부재의 외주면에 형성되고 타측이 상기 볼트부재의 타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일단으로부터 타단방향으로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까지 상기 제 2파이프부재의 내부로 삽입되는 제 3파이프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 2너트부재의 좌우 방향으로의 이동에 따라 상기 제 3파이프부재가 상기 제 2파이프부재의 타단으로부터 상기 볼트부재의 타단 방향으로 길이 신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비계용 길이 가변형 수평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너트부재 및 이탈방지부재는
    용접 방법에 의하여 상기 볼트부재에 각각 접합되고,
    용접 방법에 의하여 접합된 각각의 접합부분은 아연으로 각각 도포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비계용 길이 가변형 수평재.
  3. 청구항 1에 있어서,
    제 1파이프 부재는,
    용접 방법에 의하여 상기 제 1너트부재의 외주면에 접합되고,
    제 2파이프 부재의 일측은,
    용접 방법에 의하여 상기 제 1파이프부재의 외주면에 접합되며,
    제 3파이프부재의 일측은,
    용접 방법에 의하여 제 2너트부재의 외주면에 접합되고,
    용접 방법에 의하여 접합된 각각의 접합부분은 아연으로 각각 도포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비계용 길이 가변형 수평재.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 비계용 길이 가변형 수평재는,
    상기 제 1파이프부재 및 제 2파이프부재의 일측에 형성되어 어느 하나의 시스템 비계용 수직재에 체결되는 제 1뭉치부재; 및
    상기 제 3파이프부재의 타측에 형성되어 다른 하나의 시스템 비계용 수직재에 체결되는 제 2뭉치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비계용 길이 가변형 수평재.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 1파이프부재의 일측은 상기 제 1뭉치부재의 일단으로부터 타단 방향으로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까지 삽입되어 용접 방법으로 접합되고,
    상기 제 3파이프부재의 타측은 상기 제 2뭉치부재의 일단으로부터 타단 방향으로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까지 삽입되어 용접방법으로 접합되며,
    상기 제 2파이프부재의 일단은 상기 제 1뭉치부재의 일단과 맞닿아 용접방법으로 접합되고,
    용접 방법에 의하여 접합된 각각의 접합부분은 아연으로 각각 도포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비계용 길이 가변형 수평재.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 비계용 길이 가변형 수평재는,
    일반 구조용 탄소 강재, 일반 구조용 압연 강재, 열간 압연 강재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소재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비계용 길이 가변형 수평재.
  7.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 비계용 길이 가변형 수평재는,
    순아연, 아연철, 아연-니켈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소재를 사용하여 전기아연도금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비계용 길이 가변형 수평재.
KR1020220077034A 2022-06-23 2022-06-23 시스템 비계용 길이 가변형 수평재 KR2024000026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7034A KR20240000266A (ko) 2022-06-23 2022-06-23 시스템 비계용 길이 가변형 수평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7034A KR20240000266A (ko) 2022-06-23 2022-06-23 시스템 비계용 길이 가변형 수평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00266A true KR20240000266A (ko) 2024-01-02

Family

ID=895122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7034A KR20240000266A (ko) 2022-06-23 2022-06-23 시스템 비계용 길이 가변형 수평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00266A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4183B1 (ko) 2012-04-18 2013-01-22 신성컨트롤(주) 조립식 시스템비계
KR102153187B1 (ko) 2018-11-30 2020-09-07 김덕기 비계용 파이프 길이조절 구조
KR200494417Y1 (ko) 2019-11-08 2021-10-08 호리코리아 주식회사 거리 및 각도조절형 비계수평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4183B1 (ko) 2012-04-18 2013-01-22 신성컨트롤(주) 조립식 시스템비계
KR102153187B1 (ko) 2018-11-30 2020-09-07 김덕기 비계용 파이프 길이조절 구조
KR200494417Y1 (ko) 2019-11-08 2021-10-08 호리코리아 주식회사 거리 및 각도조절형 비계수평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80002914A1 (en) Joint structure of steel beam
KR101948307B1 (ko) 건물 외벽 시공방법
NZ245193A (en) U-shaped bracket base fitted in end of a tubular member and bracket arms clamped to opposite grooved sides of adjoining frame member
CA1181566A (en) Supporting tube for a tube construction and its manufacturing procedure
JPH08506864A (ja) プレファブ方式で製造された規格部品から成る保護柵
US20230146389A1 (en) Engineered beam with adjustable angle connection
KR20240000266A (ko) 시스템 비계용 길이 가변형 수평재
KR101614937B1 (ko) 마감패널 시공용 조립체
MX2008014429A (es) Ensamble de tramo de puntal.
CA2210406C (en) Butt joint hanger for drywall construction
KR101422687B1 (ko) 인도교
JP6990946B1 (ja) 仮設手摺及びその設置方法
TWI604113B (zh) 接合板預先結合之斜撐桿件
WO2018162796A1 (en) Method for building a roof
JP6783038B2 (ja) 建物構造
KR102670673B1 (ko) 무용접 조립식 트러스
JP7022015B2 (ja) 建物補強方法
US9976310B1 (en) Extruded aluminum canopy with hidden fasteners
JP2639443B2 (ja) トラベリング工法における長大トラスの連結方法およびトラスの強制たわみ付与装置
JP7491775B2 (ja) 吊り足場における足場構成部材の継手装置
JP2022177780A5 (ko)
JP5690771B2 (ja) 胴縁ブレース耐震壁
JP2021113425A (ja) 昇降式作業足場用の連結金具および設置方法
JP3081161B2 (ja) 手摺りの取り付け方法および取り付け構造
JPH0654041B2 (ja) Alc壁パネルの取付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