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00217U - 흡수성 물품, 흡수성 물품의 낱개 포장체, 낱개 포장체의 집합체 및 낱개 포장체의 패키지 - Google Patents

흡수성 물품, 흡수성 물품의 낱개 포장체, 낱개 포장체의 집합체 및 낱개 포장체의 패키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00217U
KR20240000217U KR2020247000009U KR20247000009U KR20240000217U KR 20240000217 U KR20240000217 U KR 20240000217U KR 2020247000009 U KR2020247000009 U KR 2020247000009U KR 20247000009 U KR20247000009 U KR 20247000009U KR 20240000217 U KR20240000217 U KR 2024000021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bsorbent article
decoration
edge
decoration area
pack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4700000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겐이치로 구로다
다카시 마루야마
카나폰 챠투라파타논
유키 노다
Original Assignee
유니 참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8128872A external-priority patent/JP7117920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8128871A external-priority patent/JP7117919B2/ja
Application filed by 유니 참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유니 참 코포레이션
Priority claimed from KR2020207000081U external-priority patent/KR200498033Y1/ko
Publication of KR2024000021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00217U/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4Backsheet, i.e. the impermeable cover or layer furthest from the skin
    • A61F13/51496Backsheet, i.e. the impermeable cover or layer furthest from the skin having visual effec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7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 A61F13/4704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having preferential bending zones, e.g. fold lines or groo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7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 A61F13/472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specially adapted for female u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4Backsheet, i.e. the impermeable cover or layer furthest from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13/53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 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 A61F13/532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 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inhomogeneous in the plane of the pa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51Packaging before or after use
    • A61F13/5513Packaging before or after use packaging of feminine sanitary napkins
    • A61F13/55135Packaging before or after use packaging of feminine sanitary napkins before use
    • A61F13/5514Packaging before or after use packaging of feminine sanitary napkins before use each item packaged sing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51Packaging before or after use
    • A61F13/5513Packaging before or after use packaging of feminine sanitary napkins
    • A61F13/55135Packaging before or after use packaging of feminine sanitary napkins before use
    • A61F13/55145Packaging before or after use packaging of feminine sanitary napkins before use multiple packaged i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84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bsorbent pads
    • A61F2013/8497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bsorbent pads having decorations or indicia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Abstract

착용자 등에 대하여 흡수성에 관해 불안감을 주지 않고, 또한, 흡수체의 위치 어긋남을 두드러지게 하지 않는 흡수체 물품, 흡수성 물품의 낱개 포장체, 낱개 포장체의 집합체 및 낱개 포장체의 패키지의 제공.
흡수성 물품(410)의 흡수체(420)는, 제 1 방향(Y)으로 연장되고, 또한, 표리면측으로부터 투시 가능한 제 1 및 제 2 연(420c, 420d)을 가진다. 흡수성 물품의 제 1 연부(417)에는 흡수체(420)의 제 1 연(420c), 제 2 연부(418)에는 흡수체(420)의 제 2 연(420d)이 각각 위치하고 있고, 이면 시트(412)의 외면에는, 제 1 및 제 2 연부(417, 418) 중의 제 1 연부(417)에만, 제 1 방향(Y)으로 연장되는 장식 영역(440)이 배치되어 있다. 제 1 연부(417)에 있어서 장식 영역(440)과 흡수체(420)의 제 1 연(420c)이 평면시에 있어서 서로 포개져 있다.

Description

흡수성 물품, 흡수성 물품의 낱개 포장체, 낱개 포장체의 집합체 및 낱개 포장체의 패키지{ABSORBENT ARTICLE, ABSORBENT ARTICLE INDIVIDUAL PACKAGING, INDIVIDUAL PACKAGING ASSEMBLY, AND INDIVIDUAL PACKAGING PACKAGE}
이 발명은 흡수성 물품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경실금(輕失禁) 패드, 팬티라이너, 생리용 냅킨, 월경 흡수용 패드, 소변 흡수 패드, 성인용 및 아이용의 1회용 기저귀 등의 흡수성 물품, 흡수성 물품의 낱개 포장체, 낱개 포장체의 집합체 및 낱개 포장체의 패키지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면 시트의 외면에 장식 영역을 가지는 흡수성 물품은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는, 투액성(透液性)의 표면 시트와, 불투액성의 이면 시트와, 표리면 시트 사이에 개재된 흡수체를 구비하는 흡수성 물품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 : 미국특허공개 2016/0331598호 공보(US2016/0331598A1) 특허문헌 2 : 일본공개특허 특개2005-185858 공보 특허문헌 1에 개시된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는, 이면 시트의 외면에 장식 영역이 위치하고, 장식 영역이 외면으로부터 투시 가능한 흡수체의 외형 윤곽과 포개짐으로써, 흡수체가 흡수성 물품의 중심으로부터 위치가 어긋나 있어도 두드러지지 않게 되어 있다. 특허문헌 2에 개시된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는, 흡수성 물품의 외면에 착색된 장식 영역이 배치되어 있는 점으로부터, 장식 영역이 포장 시트를 개재하여 투시되어, 낱개 포장체의 의장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 1 발명의 과제>
특허문헌 1에서는, 장식 영역이 흡수체의 외형 윤곽 전체와 포개져 있는 점으로부터, 착용자 또는 착용 보조자가, 흡수체의 존재 영역을 파악할 수 없어, 체액의 흡수성에 관하여 불안감을 줄 우려가 있다. 또한, 장식 영역이 흡수체의 외형 윤곽의 양단 및/또는 양측에 있어서 대칭이 되는 디자인을 가지는 점으로부터, 흡수체가 약간 위치가 어긋나 있던 경우라도, 그 위치 어긋남을 두드러지게 할 우려가 있다는 과제를 가지고 있었다.
제 1 발명은, 상기 과제에 대하여, 착용자 등에 대하여 흡수성에 관하여 불안감을 주지 않고, 또한, 흡수체의 위치 어긋남이 두드러지기 어려운 흡수체 물품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제 2∼제 5 발명의 과제>
특허문헌 2에서는, 장식 영역은, 한결같이 동일한 무늬의 디자인이 복수 배치되어 구성되어 있는 점으로부터 방향성을 가지는 것이 아니고, 착용자가 포장 시트로부터 흡수성 물품을 취출하여 사용하고자 할 때에, 내부에 수용된 생리용 냅킨의 방향을 파악하기 어렵다. 따라서, 포장 시트로부터 생리용 냅킨을 취출하여 전개할 때마다, 생리용 냅킨의 방향이 상이한 경우가 있다. 착용자는, 생리용 냅킨의 전후를 파악한 다음에 쇼츠 등의 피복에 고정할 필요가 있으므로, 전후를 순시에 파악할 수 없기 때문에 주저하여 조작하는 손이 멈추거나, 역방향으로 하는 경우가 있어, 장착 조작을 원활하게 행할 수 없다.
제 2∼제 5 발명은, 내부에 수용된 흡수성 물품의 방향을 외부로부터 파악할 수 있는 낱개 포장체, 낱개 포장체의 집합체 및 복수의 낱개 포장체를 수용한 수용 패키지의 제공을 과제로 한다.
제 1 발명은, 제 1 방향 및 그것에 직교하는 제 2 방향을 가지고, 상기 제 2 방향의 치수를 2등분하는 제 1 중심선과, 투액성의 표면 시트와, 불투액성의 이면 시트와, 상기 표리면 시트 사이에 개재된 흡수체를 구비한 흡수성 물품에 관한 것이다.
제 1 발명에 관련된 흡수성 물품은, 상기 제 1 방향으로 연장되고, 또한, 서로 상기 제 2 방향에 있어서 대향하여 위치하는 제 1 및 제 2 연부(緣部)를 가지고, 상기 흡수체는, 상기 제 1 방향으로 연장되고, 또한, 표리면측으로부터 투시 가능한 제 1 및 제 2 연(緣)을 가지며, 상기 제 1 연부에는 상기 흡수체의 상기 제 1 연, 상기 제 2 연부에는 상기 흡수체의 상기 제 2 연이 각각 위치하고 있고, 상기 이면 시트에는, 상기 제 1 및 제 2 연부 중의 상기 제 1 연부에만, 상기 제 1 방향으로 연장되는 장식 영역이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 1 연부에 있어서 상기 장식 영역과 상기 흡수체의 상기 제 1 연이 평면시(平面視)에 있어서 서로 포개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1 발명에 관련된 흡수성 물품은, 이하의 실시양태를 포함한다. 하기의 실시양태는, 단독 구성 외에, 임의로 선택하여 복수의 실시양태에 관련된 구성을 조합할 수 있다.
(1) 상기 장식 영역의 내측연은, 상기 제 1 중심선에 대하여 기복을 반복하여 상기 제 1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상기 장식 영역의 상기 내측연과 상기 제 1 중심선과의 상기 제 2 방향에 있어서의 이간 거리가, 상기 제 1 방향에 있어서 일정하지 않다.
(2) 상기 장식 영역은, 서로 독립된 복수의 착색된 장식부를 가지고, 상기 복수의 착색된 장식부는, 일부가 서로 포개지도록 배치되어 있다.
(3) 상기 장식 영역은, 상기 장식부 사이에 형성된 비장식부를 가진다.
(4) 상기 장식 영역의 상기 제 1 방향의 치수는, 상기 흡수체의 상기 제 1 연의 상기 제 1 방향의 치수의 절반 이상의 크기를 가지고, 상기 장식 영역에 있어서 상기 장식부는 상기 제 2 방향의 외측에 조밀하게 배치되어 있다.
(5) 상기 복수의 착색된 장식부는, 착색된 색이 상기 제 2 방향의 내측으로 향함에 따라서 점차 짙어지고 있다.
(6) 상기 장식 영역이, 상기 흡수체의 상기 제 2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3 연의 일부와 포개진다.
(7) 상기 제 1 방향에 있어서 서로 대향하는 제 1 영역 및 제 2 영역과, 상기 제 1 영역과 제 2 영역의 사이에 위치하는 중간 영역으로 구분되어 있고, 상기 제 1 연부의 외형선은, 상기 제 1 중심선에 대하여 기복을 반복하여 상기 제 1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상기 제 1 연부의 상기 외형선과 상기 흡수체의 상기 제 1 연과의 상기 제 2 방향에 있어서의 이간 치수가, 상기 제 1 영역, 상기 제 2 영역 및 상기 제 3 영역에 있어서 서로 상이하다.
(8) 상기 흡수체는, 상기 제 1 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릿을 가지고, 상기 슬릿은 상기 제 1 연부 및 제 2 연부 중 적어도 상기 제 1 연부측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 1 연부에 있어서 상기 장식 영역과 상기 슬릿이 서로 포개진다.
본원의 제 2 및 제 3 발명은, 포장 시트와, 상기 포장 시트에 접힌 상태로 포피(包皮)되는 흡수성 물품을 포함하는 흡수성 물품의 낱개 포장체에 관한 것이다.
제 2 발명에 관련된 낱개 포장체는, 흡수성 물품은, 길이 방향 및 폭 방향을 가지고, 투액성의 표면 시트와, 불투액성의 이면 시트와, 상기 표리면 시트 사이에 개재된 흡수체를 구비하며, 상기 흡수성 물품은, 접힌 상태에 있어서, 상기 포장 시트를 개재하여 외부에 시인 가능한 상기 폭 방향의 일방측과 타방측을 식별시키기 위한 식별 수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원의 제 3 발명에 관련된 낱개 포장체는, 상기 흡수성 물품은, 길이 방향 및 폭 방향을 가지고, 투액성의 표면 시트와, 불투액성의 이면 시트와, 상기 표리면 시트 사이에 개재된 흡수체를 구비하며, 상기 흡수성 물품은, 접힌 상태에 있어서, 상기 포장 시트를 개재하여 외부에 시인 가능한 상기 길이 방향의 일방측과 타방측을 식별시키기 위한 식별 수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원의 제 4 발명은, 복수의 낱개 포장체의 집합체에 있어서, 상기 낱개 포장체는, 포장 시트와, 상기 포장 시트에 접힌 상태로 포피되는 흡수성 물품을 포함하고, 상기 흡수성 물품은, 길이 방향 및 폭 방향을 가지고, 투액성의 표면 시트와, 불투액성의 이면 시트와, 상기 표리면 시트 사이에 개재된 흡수체를 구비하며, 상기 흡수성 물품은, 접힌 상태에 있어서, 상기 포장 시트를 개재하여 외부에 시인 가능한 상기 폭 방향의 일방측과 타방측을 식별시키기 위한 식별 수단을 가지고, 상기 식별 수단은, 상기 흡수성 물품의 상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및 제 2 측연부 중의 상기 제 1 측연부에만 배치된 장식 영역으로서, 상기 복수의 낱개 포장체마다 상기 장식 영역의 장식 요소가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집합체에 관한 것이다.
본원의 제 5 발명은, 복수의 상기 낱개 포장체를 수용하는 수용 패키지에 있어서, 상기 낱개 포장체는, 포장 시트와, 상기 포장 시트에 접힌 상태로 포피되는 흡수성 물품을 포함하고, 상기 흡수성 물품은, 길이 방향 및 폭 방향을 가지고, 투액성의 표면 시트와, 불투액성의 이면 시트와, 상기 표리면 시트 사이에 개재된 흡수체를 구비하며, 상기 흡수성 물품은, 접힌 상태에 있어서, 상기 포장 시트를 개재하여 외부에 시인 가능한 상기 폭 방향의 일방측과 타방측을 식별시키기 위한 식별 수단을 가지고, 상기 식별 수단은, 상기 흡수성 물품의 상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및 제 2 측연부 중의 상기 제 1 측연부에만 배치된 장식 영역으로서, 상기 장식 영역의 방향이 맞도록, 상기 복수의 낱개 포장체가 서로 동일한 방향으로 수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수용 패키지에 관한 것이다.
본원의 제 2 발명에 관련된 낱개 포장체는, 이하의 실시양태를 포함한다. 하기의 실시양태는, 단독 구성 외에, 임의로 선택하여 복수의 실시양태에 관련된 구성을 조합할 수 있다.
(1) 상기 흡수성 물품은, 상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및 제 2 측연부를 더 가지고, 상기 식별 수단은, 상기 제 1 및 제 2 측연부 중의 상기 제 1 측연부에만 배치된 장식 영역이다.
(2) 상기 흡수성 물품은, 상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및 제 2 측연을 더 가지고, 상기 제 1 측연의 형상과 상기 제 2 측연의 형상이 서로 상이하다.
(3) 상기 포장 시트의 전광선(全光線) 투과율은, 10% 이상 90% 미만이다.
(4) 상기 흡수성 물품은, 상기 폭 방향에 있어서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윙부를 더 가지고, 상기 장식 영역은, 상기 윙부의 상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절곡 라인보다 상기 폭 방향의 외측으로 연장된다.
(5) 상기 흡수성 물품은, 상기 이면 시트의 외면에 위치하는 고정 영역을 피복하는 세퍼레이터를 더 가지고, 상기 제 1 측연부에 있어서, 상기 세퍼레이터의 일방 측연부로부터 상기 장식 영역이 상기 폭 방향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6) 상기 포장 시트는 장식 영역을 가지고, 상기 포장 시트의 상기 장식 영역과 상기 흡수성 물품의 상기 장식 영역이 서로 포개진다.
(7) 상기 흡수성 물품은, 상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및 제 2 측연부와, 상기 제 1 측연부에 위치하는 제 1 장식 영역과, 상기 제 2 측연부에 위치하는 제 2 장식 영역을 더 가지고, 상기 제 1 장식 영역의 총면적과 상기 제 2 착색 영역의 총면적이 서로 상이하다.
(8) 상기 흡수성 물품은, 상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및 제 2 측연부와, 상기 제 1 측연부에 위치하는 착색된 제 1 장식 영역과, 상기 제 2 측연부에 위치하는 착색된 제 2 장식 영역을 더 가지고, 상기 제 1 장식 영역의 착색된 색과 상기 제 2 장식 영역의 착색된 색이 서로 상이하다.
(9) 상기 흡수성 물품은, 상기 길이 방향의 치수를 2등분하는 횡단 중심선과, 상기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단연(端緣)을 가지고, 상기 장식 영역은, 상기 제 1 측연부 중의 상기 횡단 중심선과 상기 제 1 단연의 사이에만 위치한다.
(10)상기 흡수성 물품은, 상기 길이 방향의 치수를 2등분하는 횡단 중심선과, 상기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단연을 가지고, 상기 장식 영역은, 상기 제 1 측연부 중의 상기 횡단 중심선과 상기 제 1 단연의 사이에만 존재하지 않는다.
본원의 제 3 발명에 관련된 낱개 포장체는, 이하의 실시양태를 포함한다. 하기의 실시양태는, 단독 구성 외에, 임의로 선택하여 복수의 실시양태에 관련된 구성을 조합할 수 있다.
(1) 상기 흡수성 물품은, 상기 길이 방향의 치수를 2등분하는 횡단 중심선과, 상기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및 제 2 절곡선을 더 가지고, 상기 횡단 중심선은, 상기 길이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 1 절곡선과 상기 제 2 절곡선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으며, 상기 식별 수단은, 상기 제 1 절곡선을 상기 길이 방향으로 걸치는 장식 영역으로서, 상기 장식 영역은 상기 횡단 중심선보다 상기 제 2 절곡선측에 배치되어 있지 않다.
본원의 제 4 발명에 관련된 집합체는, 이하의 실시양태를 포함한다. 하기의 실시양태는, 단독 구성 외에, 임의로 선택하여 복수의 실시양태에 관련된 구성을 조합할 수 있다.
(1) 상기 복수의 낱개 포장체는, 서로 인접하여 나열되어 있고, 또한, 외형 치수가 서로 실질적으로 동일한 제 1 낱개 포장체와 제 2 낱개 포장체를 적어도 가지며, 상기 제 1 낱개 포장체와 제 2 낱개 포장체는, 상기 장식 영역의 장식 요소가 서로 상이하다.
(2) 상기 복수의 낱개 포장체는, 제 1 낱개 포장체와, 상기 제 1 낱개 포장체보다 외형 치수가 큰 제 2 낱개 포장체를 적어도 가지고, 상기 제 1 낱개 포장체와 상기 제 2 낱개 포장체는, 상기 장식 영역의 장식 요소가 서로 상이하다.
본원의 제 5 발명에 관련된 수용 패키지는, 이하의 실시양태를 포함한다. 하기의 실시양태는, 단독 구성 외에, 임의로 선택하여 복수의 실시양태에 관련된 구성을 조합할 수 있다.
제 1 방향과 그것에 교차하는 제 2 방향과, 제 1 방향에 있어서 대향하는 제 1 면 및 제 2 면을 더 가지고, 상기 낱개 포장체는 상기 제 2 방향으로 복수 나열되어 배치되고, 또한, 상기 제 1 방향에 있어서 상기 장식 영역의 방향이 맞도록 동일한 방향으로 수용되어 있으며, 상기 제 1 및 제 2 면 중의 상기 제 1 면에만 패키지 장식 영역이 배치되어 있고, 상기 낱개 포장체의 상기 장식 영역은 상기 패키지 장식 영역과 대향한다.
(2) 제 1 방향과 그것에 교차하는 제 2 및 제 3 방향과, 제 1 방향에 있어서 대향하는 제 1 면 및 제 2 면을 더 가지고, 상기 낱개 포장체는, 상기 제 2 방향으로 복수 나열되어 배치되고, 또한, 상기 제 3 방향에 있어서 서로 상기 장식 영역의 방향이 맞도록 동일한 방향으로 수용되어 있으며, 상기 제 1 면은, 제 3 방향에 있어서 대향하는 제 1 측부와 제 2 측부를 가지고, 상기 제 1 측부에는 패키지 장식 영역이 위치하며, 상기 낱개 포장체의 상기 장식 영역은 상기 제 1 측부측에 위치하고 있다.
<제 1 발명의 효과>
제 1 발명의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는, 착용자 등에게 흡수체의 위치 어긋남을 파악당하기 어렵고, 또한, 흡수성에 관한 불안감을 저감할 수 있다.
<제 2∼제 5 발명의 효과>
제 2∼제 5 발명에 관련된 흡수성 물품의 낱개 포장체, 낱개 포장체의 집합체 및 낱개 포장체의 수용 패키지에 있어서는, 낱개 포장체의 내부에 수용된 수용 물품의 방향을 외부로부터 파악할 수 있으므로, 원활하게 장착 조작을 행할 수 있다.
도 1∼도 7은, 제 1 발명의 특정한 실시형태를 나타내고, 도 8∼도 19는, 제 2∼제 5 발명의 실시형태를 나타내고 있으며, 발명의 불가결한 구성뿐만 아니라, 선택적 및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포함한다.
도 1은,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흡수성 물품의 일례로서 나타내는, 생리용 냅킨을 이면측으로부터 본 평면도이다.
도 2는, 생리용 냅킨을 표면측으로부터 본 평면도이다.
도 3은, 흡수체를 이면측으로부터 본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1과 마찬가지의 생리용 냅킨을 이면측으로부터 본 평면도이다.
도 5의 (a)는, 도 4의 일점 쇄선 V(a)로 둘러싼 영역의 일부 확대도이다. (b)는, 도 4의 일점 쇄선 V(b)로 둘러싼 영역의 일부 확대도이다.
도 6은, 생리용 냅킨의 변형례의 일례에 있어서의, 도 2와 마찬가지의 생리용 냅킨을 표면측으로부터 본 평면도이다.
도 7은, 생리용 냅킨의 다른 변형례의 일례에 있어서의, 도 4와 마찬가지의 생리용 냅킨을 이면측으로부터 본 평면도이다.
도 8은, 제 2∼제 5 발명에 관련된 낱개 포장체의 사시도이다.
도 9는, 고정 테이프의 고정을 해제하여, 포장 시트의 일부를 전개한 상태에 있어서의 낱개 포장체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생리용 냅킨을 표면측으로부터 본 평면도이다.
도 11은, 생리용 냅킨을 이면측으로부터 본 평면도이다.
도 12는, 낱개 포장체를 전개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3은, 제 2 실시형태에 관련된 낱개 포장체의 도 12와 마찬가지의 도이다.
도 14의 (a)는, 제 3 실시형태에 관련된 낱개 포장체의 사시도이다. (b)는, 제 4 실시형태에 관련된 낱개 포장체의 사시도이다.
도 15의 (a)는, 제 5 실시형태에 관련된 흡수성 물품의 평면도이다. (b)는, 제 5 실시형태에 관련된 낱개 포장체의 사시도이다.
도 16의 (a)는, 제 6 실시형태에 관련된 흡수성 물품의 평면도이다. (b)는, 제 6 실시형태에 관련된 낱개 포장체의 사시도이다.
도 17의 (a)는, 복수의 낱개 포장체로 이루어지는 집합체의 사시도이다. (b)는, 실시예의 일례에 있어서의, 집합체의 사시도이다.
도 18은, 복수의 낱개 포장체를 수용한 수용 패키지의 일부 파단 사시도이다.
도 19의 (a)는, 실시예의 일례에 있어서의 수용 패키지의 일부 파단 사시도이다. (b)는, 다른 실시예의 일례에 있어서의 수용 패키지의 일부 파단 사시도이다.
<제 1 발명>
하기의 실시형태는, 첨부의 도면에 나타내는 흡수성 물품에 관한 것으로서, 발명의 불가결한 구성뿐만 아니라, 선택적 및 바람직한 구성을 포함한다. 이하, 첨부의 도면을 참조하여, 이 발명에 관련된 흡수성 물품의 일례인 생리용 냅킨(410)의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생리용 냅킨(410)은, 세로 방향(제 1 방향 또는 제 2 방향)(Y)과, 가로 방향(제 2 방향 또는 제 1 방향)(X)과, 두께 방향(Z)을 가진다.
도 1∼3을 참조하면, 생리용 냅킨(410)은, 그 가로 방향에 있어서의 치수를 2등분하는 종단 중심선(제 1 중심선)(P)과 세로 방향(Y)의 치수를 2등분하는 횡단 중심선(제 1 중심선)(Q)을 가지고, 피부 대향면측 및 그 반대측의 비피부 대향면측과, 피부 대향면측에 위치하는 투액성의 표면 시트(411)와, 비피부 대향면측에 위치하는 불투액성의 이면 시트(412)와, 이들 양 시트(411, 412) 사이에 위치하는 흡액성의 흡수체(420)를 포함한다.
생리용 냅킨(410)은, 대략 십자 모양의 형상을 가지고, 그 외형선(외곽선)은, 세로 방향(Y)의 내측을 향해 오목하게 구부러지는 제 1 및 제 2 단연(410a, 410b)과, 횡단 중심선(Q)과 교차하는 부분에 있어서 가로 방향(X)의 외측으로 볼록하게 구부러지는 제 1 및 제 2 측연(410c, 410d)으로 획정되어 있다.
또한,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생리용 냅킨(410)의 유연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표면 시트(411)와 흡수체(420)의 사이에 비교적 부피가 큰 섬유 부직포제의 중간 시트를 배치해도 된다.
생리용 냅킨(410)은, 설명의 편의상, 세로 방향(Y)에 있어서, 제 1 단연(410a)측에 위치하는 제 1 단(端) 영역(431)과, 제 2 단연(410b)측에 위치하는 제 2 단 영역(432)과, 제 1 단 영역(431)과 제 2 단 영역(432)의 사이에 위치하는 중간 영역(433)으로 구분된다. 또한, 생리용 냅킨(410)은, 가로 방향(X)에 있어서, 종단 중심선(P)과 제 1 측연(410c)의 사이에 위치하는 제 1 측(側) 영역(434)과, 종단 중심선(P)과 제 2 측연(410d)의 사이에 위치하는 제 2 측 영역(435)으로 구분된다. 제 1 및 제 2 측연(410c, 410d)(제 1 및 제 2 측연부(417, 418))은, 복수의 잘록부를 가지는 비유선 형상으로서, 제 1 단 영역(431), 제 2 단 영역(432) 및 중간 영역(433)의 각각에 있어서 서로 상이한 형상을 가진다. 또한, 제 1 및 제 2 단 영역(431, 432)과 중간 영역(433)은, 각각, 생리용 냅킨(410)의 세로 방향(Y)의 치수를 대략 3등분한 세로 치수를 가지는 영역이어도 되고, 각 영역(431-433)이, 각각, 생리용 냅킨(410)의 세로 방향의 치수의 20∼50%의 크기를 가지는 것이어도 된다.
흡수체(420)는, 생리용 냅킨(410)의 외형선을 따르는 외형을 가지고, 제 1 단연(410a)과 대향하는 제 1 단연(420a)과 제 2 단연(410b)과 대향하는 제 2 단연(420b)과, 제 1 및 제 2 단연(410a, 410b) 사이에 있어서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및 제 2 측연(420c, 420d)을 가진다. 흡수체(420)의 제 1 및 제 2 측연(420c, 420d)은, 생리용 냅킨(410)의 제 1 및 제 2 측연(410c, 410d)의 형상을 따르도록, 복수의 잘록부을 가지는 비유선 형상을 가진다.
흡수체(420)는, 소요(所要)의 형상으로 부형된 흡액성 코어를 포함하고 있고, 코어 랩 시트에 포피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흡액성 코어는, 불수용성의 초흡수성 폴리머 입자(SAP 입자)와, 플랩 목재 펄프(펄프 섬유)나 레이온 섬유 등의 셀룰로오스계 섬유로 이루어지는 흡수성·이산성 재료를 가진다.
표리면 시트(411, 412)는, 흡수체(420)의 외주로부터 외방으로 연장 돌출되어 있고, 표면 시트의 피부 대향면측에는, 가로 방향에 있어서 서로 대향하도록 세로 방향(Y)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사이드 시트(414)가 배치된다. 한 쌍의 사이드 시트(414)는, 표면 시트(411)에 사이드 접착부를 개재하여 접합된다.
생리용 냅킨(410)은, 세로 방향(Y)에 있어서 서로 대향하여 가로 방향(X)으로 연장되는 제 1 및 제 2 단부(제 1 연부 또는 제 2 연부)(415, 416)와, 가로 방향(X)에 있어서 서로 대향하여 세로 방향(Y)으로 연장되는 제 1 및 제 2 측연부(제 1 연부 또는 제 2 연부)(417, 418)를 가진다. 제 1 및 제 2 측연부(417, 418)는, 각각, 가로 방향(X)의 외측으로 볼록해지는 윙부(419)를 가진다. 제 1 단부(415)와 제 2 단부(416)에는, 각각, 흡수체(420)의 제 1 단연(420a)과 제 2 단연(420b)이 위치하고, 제 1 측연부(417)와 제 2 측연부(418)에는, 각각, 흡수체(420)의 제 1 측연(420c)과 제 2 측연(420d)이 위치한다. 생리용 냅킨(410)은, 흡수체(420)의 외주연으로부터 연장 돌출하는 외주연부를 더 가진다. 외주연부를 형성하도록 서로 적층된 시트는, 생리용 냅킨(410)의 외주연을 따라 위치하는 외주 시일부(407)를 개재하여 서로 접합되어 있다. 생리용 냅킨(410)의 외주에 시트를 열 용착한 외주 시일부(407)가 위치하는 것에 의해 그 외형상이 명료해진다고 할 수 있다.
생리용 냅킨(410)은, 3등분으로 접힌 상태로 낱개 포장체에 수용된다. 낱개 포장체는, 포장 시트와 생리용 냅킨(410)을 접어서 형성되는 것으로서, 생리용 냅킨(410)은, 접을 때에 형성되는 세로 방향(Y)으로 연장되는 제 1 절곡선(401)과 제 2 절곡선(402)을 가진다. 제 1 및 제 2 절곡선(401, 402)은, 한 쌍의 윙부(419)의 기단(基端) 부분과 포개지도록 세로 방향(Y)으로 연장되어 있다.
흡수체(420)의 윙부(419) 사이에 위치하는 영역은, 착용자의 질구(膣口) 대향 영역으로서, 당해 영역에는, 흡수체(420)가 다른 부분에 비해 두껍게 된 가운데가 높은 부분(421)이 위치한다. 흡수체(420)는, 생리용 냅킨(410)을 구성하는 시트 재료에 비해 고강성 또는 반강성으로서, 소요의 두께 치수를 가지는 점으로부터, 그 외형선은 표면 시트(411) 및 이면 시트(412)를 개재하여 생리용 냅킨(410)의 표면측 및 이면측으로부터 투시된다. 생리용 냅킨(410)이 윙부(419)를 가지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세로 방향(Y)에 있어서, 생리용 냅킨(410)의 제 1 절곡선(401)과 제 2 절곡선(402)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생리용 냅킨(410)의 이면측에는, 복수의 고정 영역이 배치된다. 복수의 고정 영역은, 생리용 냅킨(410)을 속옷 등의 피복에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세로 방향(Y)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라인 형상으로 도포된 점착제나 감압성 접착제로 형성된다.
표면 시트(411)에는, 개구 플라스틱 필름, 직포, 부직포 등의 체액에 포함되는 액체 성분을 투과 가능한 시트를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이면 시트(412)에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의 열가소성 수지를 주체로 한 열가소성 수지 필름, 통기성을 부여한 열가소성 수지 필름 등을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사이드 시트(414)에는, 표면 시트(411)와 마찬가지의 시트재를 이용할 수 있다. 단, 생리용 냅킨(410)의 외측으로 체액이 흐르기 어렵게 하기 위해서는, 소수성 또는 발수성을 가지는 시트재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외주 시일부(407)에 있어서의 각 시트의 접합은, 접착제에 의한 접합, 초음파 용착, 열 용착, 레이저 용착, 고주파 용착 등의 공지의 용착 수단에 의한 접합, 및 엠보스 가공에 의한 접합을, 단독 또는 조합하여 행할 수 있다. 또한, 두께 방향에 있어서 적층된 시트는, 핫멜트 접착제 등의 접착제를 개재하여 서로 접합된다. 핫멜트 접착제의 도공(塗工) 방법으로서는, 스파이럴 도공, 코터 도공, 커튼 코터 도공, 스프레이 도공 등의 각종 공지의 도공 방법을 들 수 있다.
이면 시트(412)에는, 장식 영역(440)이 배치된다. 장식 영역(440)은, 착색된 복수의 장식부(441)를 가진다. 장식부(441)는, 크고 작은 대략 삼각형으로서, 생리용 냅킨(410)의 제 1 및 제 2 측 영역(434, 435) 중의 제 1 측 영역(434)에만 서로 독립된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장식부(441)는, 세로 방향(Y) 및 가로 방향(X)에 있어서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는 양태, 평면시에 있어서 일부가 서로 포개져 있는 양태 등의 복수의 배치 양태를 가진다. 장식 영역(440)은, 이면 시트(412)의 내면 또는 외면 중 어디에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단, 인쇄에 의한 잉크의 탈락을 방지하기 위하여, 이면 시트(412)의 내면에 장식 영역(440)이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의 「백색」이란, 먼셀 표색계에서 「N9.5」로 나타내어지는 색이나, RGB 색공간에서 「255, 255, 255」로 나타내어지는 색, 소위, 「순백」을 예시할 수 있다. 또한, 「순백」과 동일한 계통색인 색, 구체적으로는, 「순백」과의 색차가 0 이상, 12 미만인 색도 「백색」에 포함된다. 「백색」 이외의 색이 유색이고, 한색(寒色)은 이 부류에 속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에 정의한 「백색」과의 색차가 40 이상의 색인 것이 바람직하다. 백색의 특정 방법은, 백색에 대한 색차로 비교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코니카미놀타사제의 색채 색차계 CR-300을 이용하여 특정할 수 있다.
장식부(441)는, 본 발명의 후기하는 기술적 효과를 가지는 한, 도시한 형상 외에, 대략 원형, 대략 타원형, 대략 사각형, 대략 사다리꼴, 대략 별형, 꽃잎형 및 그 밖의 각종 공지의 장식 모양, 문자, 캐릭터 등의 형상을 가지고 있어도 된다. 또한, 장식부(441)는 전체로서 착색되어 있으며, 착색되는 색은, 산화티탄 등의 백색 안료를 첨가하는 것에 의해 백색화된 생리용 냅킨을 구성하는 시트 재료 및 흡수성 코어와 시각상 명료하게 식별할 수 있는 색이면 되고, 예를 들면, 적색, 청색, 황색, 녹색 등의 착용자 등의 주의를 끄는 색조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면 시트(412) 전체가 백색 이외로 착색되어 있는 경우에는, 장식부(441)는, 그 착색되는 색과 보색 관계에 있는 색으로 착색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장식부(441)는, 그것과 포개지는 흡수체(420)의 외곽선의 형상이 시각상 불명료해지는 한, 전체가 착색되어 있지 않아도 되고, 외형 라인만이 착색된 디자인이어도 된다. 또한, 이면 시트(412)의 외면이 부직포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착색되어 있지 않은 요철 형상의 엠보스 모양이어도 된다. 이러한 엠보스 모양이라도, 광의 굴절 등에 따라 그것에 포개지는 흡수체(420)의 외곽선의 형상이 흐릿해져 착용자 등에게 명료하게 시인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장식 영역(440)은, 제 1 및 제 2 측연부(417, 418) 중의 제 1 측연부(417)에만 배치되어 있고, 평면 시인에 있어서, 흡수체(420)의 제 1 및 제 2 측연(420c, 420d) 중의 제 1 측연(420c)과만 포개져 위치하고 있다. 착색된 장식 영역(440)이 흡수체(420)의 제 1 측연(420c)과만 평면시에 있어서 포개지는 것에 의해, 흡수체(420)의 양 측연(420c, 420d) 중의 제 2 측연(420d)만이 표면측 및 이면측으로부터 명료하게 투시되는 점으로부터, 착용자 또는 착용 보조자는 흡수체(420)의 존재 자체를 인식할 수 있지만, 그 외곽선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없다. 따라서, 예를 들면, 생리용 냅킨(410)의 고속 제조 라인상에 있어서 흡수체(420)가 종단 중심선(P)에 관하여 위치가 어긋난 경우, 즉, 제 1 측연(420c) 또는 제 2 측연(420d)측으로 치우쳐 배치된 경우라도, 위치가 어긋나 있는 것을 착용자 등에게 파악당하는 일은 없다.
착용자 등이 일견하여, 생리용 냅킨(410)은 흡수체(420)가 정규의 위치로부터 위치가 어긋난 제품이라고 인식되는 일은 없는 점으로부터, 이러한 위치가 어긋난 제품을 제조 공정에 있어서 불량품으로서 처리할 필요는 없어, 불량품의 발생 시에 제조 라인을 정지하는 것에 의한 생산성의 저하나 불량품을 폐기하는 것에 의한 제품 비용의 부담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착용자 등은, 생리용 냅킨(410)을 낱개 포장으로부터 취출했을 때에, 순시에, 생리용 냅킨(410)의 외형 윤곽과 흡수체(420)의 외형 윤곽을 인식하여, 그들의 외형 윤곽간의 거리를 파악할 수 있다. 이 때, 흡수체(420)가 가로 방향(X)으로 위치가 어긋나 있는 것처럼 보인 경우에는, 흡수체의 품질이나 흡수 성능에 문제가 없어도, 제품 자체의 품질이 나쁘고 조악품과 같은 인상을 줄 우려가 있다. 실제로는, 흡수체(420)가 가로 방향(X)으로 다소 위치가 어긋나 있었다고 해도 흡수 성능이 저하하는 등의 품질상의 문제가 생기는 일은 없지만, 착용자에 대하여 품질의 오인을 주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가능한 한 흡수체(420)가 가로 방향(X)으로 위치가 어긋나 있는 것을 파악당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때문에, 착용자에 대하여 일견하여, 흡수체(420)의 외형 윤곽, 및, 생리용 냅킨(410) 외형 윤곽과 흡수체(420)의 외형 윤곽의 거리를 파악당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착용자에 대하여, 흡수체(420)의 외형 윤곽이나 생리용 냅킨(410) 외형 윤곽과 흡수체(420)의 외형 윤곽의 거리를 파악당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제 1 측연(420c)뿐만 아니라 제 2 측연(420d)과 평면시에 있어서 포개지도록 장식 영역(440)을 배치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지만, 이러한 경우에는, 흡수체(420)의 양 측연(420c, 420d)을 파악할 수 없게 되어, 착용자 등에 대하여 체액의 흡수성, 특히 체액의 가로 누설에 대한 불안감을 줄 우려가 있다.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생리용 냅킨(410)에 있어서는, 이면 시트(412)의 제 1 측연부(417)에만 장식 영역(440)이 위치하는 점으로부터, 흡수체(420)의 제 1 측연(420c)이 시인되는 일은 없어, 흡수체(420)가 다소 가로 방향(X)으로 위치가 어긋나 있었다고 해도, 흡수체(420)의 외형 윤곽 및 생리용 냅킨(410)의 외형 윤곽과 흡수체(420)의 외형 윤곽의 이간 거리를 파악당하여 위치가 어긋나 있다는 인상을 주는 일은 없기 때문에, 흡수 성능이나 품질 등에 관한 불안감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제 2 측연부(418)에 위치하는 흡수체(420)의 제 2 측연(420d)은 명료하게 시인되는 점으로부터, 흡수체(420)가 폭이 좁다는 인상을 주는 일은 없어, 착용자 등에 대하여 흡수성 및 체액의 가로 누설에 관하여 불안감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흡수체(420)는 소요의 두께 치수를 가지는 점으로부터, 장식 영역(440)과 포개지는 흡수체(420)의 제 1 측연(420d)을 따라 단차가 생기는 경우라도, 제 1 측연부(417)와 제 2 측연부(418)에 있어서 비대칭의 디자인을 가지는 점으로부터, 제 1 측연부(417)의 장식 영역(440)이 착용자 등의 주의를 끌어, 이러한 단차를 두드러지지 않게 하여 흡수체(420)의 위치 어긋남이 파악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장식 영역(440)은, 적어도 제 1 측연부(417)에 위치하여 흡수체(420)의 제 1 측연(420c)과 평면시에 있어서 서로 포개져 있는 것으로서, 제 1 측 영역(434)의 세로 방향(Y) 전역에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이러한 경우에는, 흡수체(420)의 제 1 측연부(420c)측의 형상을 시인당하기 어렵게 하는 것에 의해, 보다 흡수체(420)의 외형을 파악당하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또한, 장식 영역(440)은, 제 1 측연부(417)에 있어서 흡수체(420)의 제 1 측연(420c)과 평면시에 있어서 포개지는 한, 윙부(419)를 포함시킨 제 1 측연(420c)의 가로 방향(X)의 외측에 위치하는 부분에 배치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도 4에 있어서 굵은 일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장식 영역(440)의 내측연(440a), 즉, 복수의 장식부(441) 중의 종단 중심선(P)측에 위치하는 부분을 세로 방향(Y)으로 비연속적으로 연결하여 형성되는 가상 라인은, 종단 중심선(P)에 대하여 기복한 형상을 가지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5의 (a)를 참조하면, 장식부(441)는, 랜덤인 크기, 위치, 방향을 가지도록 배치되어 있고, 임의의 장식부(441A)의 선단과 종단 중심선(P)과의 가로 방향(X)에 있어서의 이간 치수(R1)와, 임의의 장식부(441B)의 선단과 종단 중심선(P)과의 가로 방향(X)에 있어서의 이간 치수(R2)는 서로 상이하다. 장식부(441)가 불규칙하게 배치되는 점으로부터, 세로 방향(Y)으로 나열되는 복수의 장식부(441)의 이간 치수는 모두 상이하고, 내측연(440a)은 지그재그 형상으로 세로 방향(Y)으로 비연속적으로 연장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장식 영역(440)의 내측연(440a)이 종단 중심선(P)에 대하여 기복한 형상을 가지는 점으로부터, 그것이 직선 형상인 경우에 비해, 착용자 등의 주의를 장식 영역(440)으로 보다 강하게 끌어, 세로 방향(Y)으로 연장되는 흡수체(420)의 제 1 측연(420c)의 형상이 파악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장식 영역(440)의 장식부(441)는, 대략 삼각 형상으로서, 제 1 측연부(417)의 제 1 측연(410c)측으로부터 종단 중심선(P)을 향해 첨예 형상으로 연장된 형상을 가지고 있다. 장식부(441)가 이러한 형상을 가지는 것에 의해, 장식 영역(440)을 형성하는 장식부(441)의 면적은, 종단 중심선(P)측보다 흡수체(420)의 제 1 측연(420c)이 위치하는 제 1 측연(410c)측 쪽이 상대적으로 커지므로, 장식부(441)의 총면적을 억제하면서 효과적으로 흡수체(420)의 외형이 파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원 형상이나 세로 방향(Y)의 외측으로 첨예 형상으로 연장되어 있는 경우에 비해, 장식부(441)의 선단이 종단 중심선(P)측으로 향하고 있는 것에 의해, 착용자 등의 시선이 무의식적으로 흡수체(420)의 제 1 측연(420c)측보다 종단 중심선(P)측으로 향하므로, 제 1 측연(420c)의 외형이 주시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생리용 냅킨(410)의 표면시(表面視)에 있어서는, 흡수체(420)가 장식 영역(440)의 위치하는 이면 시트(412)의 상방에 위치하는 점으로부터, 장식 영역(440) 중의 종단 중심선(P)측에 위치하는 부분이 흡수체(420)에 의해 시인되기 어렵다. 또한, 장식 영역(440)의 착색된 색에 따라서는, 예를 들면 흡수체(420)가 백색인 경우에는 그 백색이 강조되어 보이는 경우가 있어, 제 1 측연(420c)의 가로 방향(X)의 외측에 있어서 투시되는 장식 영역(440)에 의해, 오히려 제 1 측연(420c)의 형상이 명료해져 버릴 우려가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장식부(441)가 서로 독립된 형상을 가지고 있는 점으로부터, 장식 영역(440)은, 장식부(441) 사이에 위치하는, 장식부(441)가 배치되어 있지 않은 복수의 비장식부(442)를 가진다. 복수의 장식부(441)에 의해 흡수체(420)의 제 1 측연(420c)이 시인되기 어려워지는 부분과, 복수의 비장식부(442)에 의해 제 1 측연(420c)이 불명료하게 시인되는 부분이 혼재함으로써 제 1 측연(420c)의 형상이 분명하게 시인되지 않아, 흡수체(420)의 외형을 파악당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장식 영역(440)의 세로 방향(Y)의 치수는, 흡수체(420)의 제 1 측연(420c)의 세로 방향(Y)의 치수(L1)의 적어도 절반 이상, 바람직하게는 60% 이상의 크기, 바람직하게는 80% 이상의 크기를 가진다. 장식 영역(440)의 세로 방향(Y)의 치수가 흡수체(420)의 제 1 측연(420c)의 세로 방향(Y)의 치수(L1)의 절반 이상의 크기를 가지는 것에 의해, 흡수체(420)의 제 1 측연(420c)의 대부분이 장식 영역(440)에 의해 시인되기 어려워져, 외형이 파악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장식 영역(440)에서는, 종단 중심선(P)측에 비해 제 1 측연(410c)측에 있어서 장식부(441)가 조밀하게 배치되어 있다. 가로 방향(X)에 있어서 장식부(441)를 소밀(疏密)하게 배치하는 것에 의해, 장식 영역(440)은 색의 농도의 콘트라스트에 의한 장식 요소를 가지므로, 착용자의 주의를 끌어, 흡수체(420)의 제 1 측연(420c)이 명료하게 시인되기 어려워진다고 할 수 있다.
대부분의 장식부(441)에 있어서, 착색된 색은, 가로 방향(X)의 내측으로 향함에 따라서 점차 짙어지고 있다. 이와 같이, 장식부(441)의 착색된 색이 그라데이션을 가지는 것에 의해, 장식 영역(440)이 불규칙한 디자인을 가져, 착용자 등에게 일견하여 흡수체(420)의 외형을 파악당하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도 5의 (b)를 참조하면, 장식 영역(440)의 일부는, 평면시에 있어서, 가로 방향(X)으로 연장되는 흡수체(420)의 제 1 단연(420a)의 일부와 포개져 있다. 구체적으로는, 장식부(441) 중의 장식부(441D, 441E, 441F)가 제 1 단연(420a)의 일부와 포개져 있다. 이와 같이, 장식 영역(440)이, 세로 방향(Y)으로 연장되는 제 1 측연(420c)뿐만 아니라, 그것에 교차하여 가로 방향(X)으로 연장되는 제 1 단연(420a)의 일부와 포개지는 것에 의해, 흡수체(420)의 외형이 파악되는 것을 보다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제 1 및 제 2 측연부(417, 418)는, 복수의 잘록부을 가지는 비유선 형상으로서, 생리용 냅킨(410)의 제 1 단 영역(431), 제 2 단 영역(432) 및 중간 영역(433)의 각각에 있어서 서로 상이한 형상을 가진다. 또한, 도 4를 참조하면, 제 1 단 영역(431)에 있어서의 제 1 및 제 2 측연(410c, 410d)과 흡수체(420)의 제 1 및 제 2 측연(420c, 420d)과의 가로 방향(X)의 이간 치수(W1), 제 2 단 영역(432)에 있어서의 제 1 및 제 2 측연(410c, 410d)과 흡수체(420)의 제 1 및 제 2 측연(420c, 420d)과의 가로 방향의 이간 치수(W3), 중간 영역(433)에 있어서의 제 1 및 제 2 측연(410c, 410d)과 흡수체(420)의 제 1 및 제 2 측연(420c, 420d)과의 가로 방향의 이간 치수(W2)는, 서로 상이한 크기를 가진다. 이와 같이, 이간 치수(W1-W3)가 각각 상이한 점으로부터, 제 1 측연부(417)에 위치하는 장식 영역(440)의 면적(장식부(441)의 면적의 합계)이 세로 방향(Y)의 각 영역(431-433)에 있어서 상이하고, 장식 영역(440)의 디자인성이 향상하여 착용자 등의 주의를 끌어, 흡수체(420)의 제 1 측연(420c)의 형상이나 위치를 주시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 6은, 생리용 냅킨(410)의 변형례의 일례에 있어서의 모식적인 평면도로서, 흡수체(420)의 양 측연부에는, 세로 방향(Y)으로 연장되는 슬릿(451, 452)이 형성되어 있다. 제 1 측연부(417)에 있어서, 장식 영역(440)과 슬릿(451)이 평면시에 있어서 서로 포개져 있다. 장식 영역(440)이 슬릿(451)과 포개지는 것에 의해, 생리용 냅킨(410)의 표면시에 있어서, 이면 시트(412)의 외면에 위치하는 장식 영역(440)의 이면이 직접 시인되는 점으로부터, 장식 영역(440)이 보다 명료하게 시인되어 흡수체(420)의 외형이 파악되기 어려워진다.
또한, 도 6에서는, 한 쌍의 슬릿(451, 452)을 개재하여 이면 시트(412)의 장식 영역(440)을 시인 가능하게 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예를 들면, 흡수체(420)의 전체 또는 일부에, 세로 방향(Y) 및/또는 가로 방향(X)으로 연장되는 투시 가능 요소를 배치하여, 생리용 냅킨(410)의 표면측으로부터도 이면 시트(412)의 장식 영역(440)을 시인시키도록 하는 것에 의해, 흡수체(420)의 외형이 파악되기 어렵게 해도 된다. 투시 가능 요소는, 예를 들면, 흡수체(420)의 일부에 있어서 다른 부분에 비해 저질량으로 되어 있는 부분, 엠보스 가공 등에 의한 압축 오목부에 의해 얇은 두께로 되어 있어, 장식 영역(440)과 표면 시트(411)의 이간 거리를 단축함으로써 투시되기 쉽게 하고 있는 부분이어도 되고, 장식 영역(440)의 착색된 색의 색상을 흡수체(420)의 색의 색상과 크게 바꿈으로써 보다 투시되기 쉽게 하는 것도 포함한다.
도 7은, 생리용 냅킨의 변형례의 다른 일례에 있어서의 모식적인 평면도이다. 본 변형례에 있어서는, 제 1 및 제 2 단부(415, 416) 중의 제 1 단부(415)에만 장식 영역(440)이 위치하고, 또한, 평면시에 있어서, 장식 영역(440)은 흡수체(420)의 제 1 단연(420a)과 서로 포개져 있다. 이와 같이, 생리용 냅킨(410)의 제 1 단부(415)에만 장식 영역(440)이 위치하는 것에 의해, 생리용 냅킨(410)의 이면측 및 장식 영역(440)이 투시되는 표면측에 있어서, 세로 방향(Y)의 양단에 있어서 상이한 디자인을 가진다.
흡수체(420)의 제 1 단연(420a)이 장식 영역(440)에 의해 명료하게 시인되지 않는 점으로부터, 제조 공정에 있어서 흡수체(420)가 세로 방향(Y)으로 위치가 어긋난 경우라도, 이러한 위치 어긋남을 착용자 등에게 파악당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제 2 단부(416)에는 장식 영역(440)이 위치하고 있지 않고, 표리면측에 있어서 흡수체(420)의 제 2 단연(420c)의 형상은 명료하게 시인되는 점으로부터, 착용자 등에 대하여 흡수성 및 세로 방향(Y)의 외측으로 체액이 새는 것에 의한 불안감을 줄 우려는 없다.
여기에서, 「흡수체(420)가 가로 방향(X)으로 위치가 어긋나 있다」란, 생리용 냅킨(410)의 종단 중심선(P)에 대하여 흡수체(420)의 가로 방향(X)의 치수를 2등분하는 종단 중심선이 제 1 측연(410c)측 또는 제 2 측연(410d)측으로 10㎜ 미만 위치가 어긋나 있는 상태를 의미한다. 가로 방향(X)의 위치 어긋남은, 바람직하게는 5㎜ 미만으로서, 이러한 경우에는, 제 1 측연(410c)측에 위치하는 장식 영역(440)에 의해 그 위치 어긋남이 착용자 등에게 파악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장식 영역(440)은, 생리용 냅킨(410)의 의장성을 높임과 함께, 흡수체(420)의 세로 방향(Y) 또는 가로 방향(X)의 위치 어긋남이 파악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하여 배치되는 것인 한, 흡수체(420)의 제 1 측연(420c) 또는 제 2 측연(420d)과 포개지도록 배치되어 있어도 되고, 제 1 단연(420a) 또는 제 2 단연(420b)과 포개지도록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따라서, 흡수체(420)의 세로 방향(Y) 또는 가로 방향(X)에 있어서의 위치 어긋남이 파악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해서는, 장식 영역(440)은, 생리용 냅킨(410)의 제 1 및 제 2 연부(제 1 및 제 2 측연부(417, 418), 또는, 제 1 및 제 2 단부(415, 416)) 중의 제 1 연부에 있어서만, 제 1 방향(세로 방향(Y) 또는 가로 방향(X))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되어, 흡수체(420)의 제 1 연(제 1 측연(420c) 또는 제 1 단연(420a))과 평면시에 있어서 서로 포개져 있으면 된다.
흡수성 물품(410)을 구성하는 각 구성 부재에는, 특별히 명기되어 있지 않은 한, 본 명세서에 기재되어 있는 재료 외에, 이 종류의 분야에 있어서 통상 이용되고 있는, 각종 공지의 재료를 제한 없이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 및 특허 청구의 범위에 있어서 사용되고 있는, 「제 1」, 「제 2」및 「제 3」의 용어는, 마찬가지의 요소, 위치 등을 단지 구별하기 위해 이용하고 있다.
<제 2 ∼제 5 발명>
본원의 제 2∼제 5 발명에 관련된 하기의 실시형태는, 첨부의 도면에 나타내는 흡수성 물품에 관한 것으로서, 발명의 불가결한 구성뿐만 아니라, 선택적 및 바람직한 구성을 포함한다. 이하, 첨부의 도면을 참조하여, 이 발명에 관련된 흡수성 물품의 일례인 생리용 냅킨(10)의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도 8∼10을 참조하면, 포장체(100)는, 길이 방향(Y)과, 폭 방향(X)과, 두께 방향(Z)을 가지고, 포장 시트(101)에 포피된 생리용 냅킨(10)을 포함한다. 포장체(100)의 각 방향(X, Y, Z)은,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전개한 상태에 있어서, 생리용 냅킨(10)의 길이 방향, 폭 방향, 두께 방향과 일치한다. 도 8을 참조하면, 포장체(100)는, 생리용 냅킨(10)이 수용된 포장 상태에 있어서, 폭 방향(X)에 있어서 대향하는 한 쌍의 제 1 연부(102, 103)와, 제 1 및 제 2 연부(102, 103)에 교차하여 폭 방향(X)으로 연장되는 제 3 및 제 4 연부(104, 105)를 가진다.
도 9를 참조하면, 포장 시트(101)는, 열가소성 합성 수지의 섬유 부직포, 합성 수지 필름, 섬유 부직포와 합성 수지 필름의 라미네이트 시트로 형성된다. 포장 시트(101)는, 전개된 상태에 있어서, 길이 방향(Y)에 있어서 서로 대향하는 시트 제 1 및 제 2 단연(101a, 101b)과, 폭 방향(X)에 있어서 대향하는 시트 양 측연(101c, 101d)을 더 가진다. 포장 시트(101)가, 부직포제인 경우에는, 질량이 5∼50g/㎡인 것이 바람직하다. 부직포제의 포장 시트(101)의 질량이 5g/㎡ 미만인 경우에는, 비교적 얇은 두께가 되어, 전개 조작할 때에 포장 시트(101)의 일부가 찢어져버려 조작하기 어려워질 우려가 있고, 한편, 질량이 50g/㎡ 이상인 경우에는, 비교적 두꺼운 두께가 되어, 생리용 냅킨(10)에 배치된, 후기하는 식별 수단을 이루는 장식 영역(40)이 시인되기 어려워질 우려가 있다.
생리용 냅킨(10)은, 길이 방향(Y)과, 폭 방향(X)과, 두께 방향(Z)과, 그 폭 방향(X)에 있어서의 치수를 2등분하는 종단 중심선(P)과, 길이 방향(Y)의 치수를 2등분하는 횡단 중심선(Q)을 가진다. 생리용 냅킨(10)은, 피부 대향면측 및 그 반대측의 비피부 대향면측과, 피부 대향면측에 위치하는 투액성의 표면 시트(11)와, 비피부 대향면측에 위치하는 불투액성의 이면 시트(12)와, 이들 양 시트(11, 12) 사이에 위치하는 흡액성의 흡수체(20)를 포함한다.
생리용 냅킨(10)은, 대략 십자 모양의 형상을 가지고, 그 외형선은, 길이 방향(Y)의 내측을 향해 오목하게 구부러지는 제 1 및 제 2 단연(10a, 10b)과, 횡단 중심선(Q)과 교차하는 부분에 있어서 폭 방향(X)의 외측으로 볼록하게 구부러지는 제 1 및 제 2 측연(10c, 10d)으로 획정되어 있다.
또한,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생리용 냅킨(10)의 유연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표면 시트(11)와 흡수체(20)의 사이에 비교적 부피가 큰 섬유 부직포제의 중간 시트를 배치해도 된다.
흡수체(20)는, 제 1 단연(10a)과 대향하는 제 1 단연(20a)과 제 2 단연(10b)과 대향하는 제 2 단연(20b)과, 제 1 및 제 2 단연(10a, 10b) 사이에 있어서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및 제 2 측연(20c, 20d)을 가진다. 표리면 시트(11, 12)는, 흡수체(20)의 외주로부터 외방으로 연장 돌출하고 있고, 표면 시트의 피부 대향면측에는, 폭 방향(X)에 있어서 서로 대향하도록 길이 방향(Y)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사이드 시트(14)가 배치된다. 한 쌍의 사이드 시트(14)는, 표면 시트(11)에 사이드 접착부를 개재하여 접합된다.
생리용 냅킨(10)은, 폭 방향(X)으로 연장되는 제 1 및 제 2 단부(15, 16)와, 길이 방향(Y)으로 연장되는 제 1 및 제 2 측연부(17, 18)를 가진다. 제 1 및 제 2 측연부(17, 18)는, 각각, 폭 방향(X)의 외측으로 볼록해지는 윙부(19)를 가진다. 제 1 단부(15)와 제 2 단부(16)에는, 각각, 흡수체(20)의 제 1 단연(20a)과 제 2 단연(20b)이 위치하고, 제 1 측연부(17)와 제 2 측연부(18)에는, 각각, 흡수체(20)의 제 1 측연(20c)과 제 2 측연(20d)이 위치한다. 생리용 냅킨(10)은, 흡수체(20)의 외주연으로부터 연장 돌출하는 외주연부를 더 가진다. 외주연부를 형성하도록 서로 적층된 시트는, 생리용 냅킨(10)의 외주연을 따라 위치하는 외주 시일부(7)를 개재하여 서로 접합되어 있다. 생리용 냅킨(10)의 외주에 시트를 열 용착한 외주 시일부(7)가 위치하는 것에 의해 그 외형상이 명료해져, 보다 포장 시트(101)를 개재하여 투시되기 쉬워진다고 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생리용 냅킨(10)의 이면측에는, 복수의 고정 영역(50)이 배치된다. 복수의 고정 영역(50)은, 생리용 냅킨(10)을 속옷 등의 피복에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길이 방향(Y)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라인 형상으로 도포된 점착제나 감압성 접착제로 형성된다. 고정 영역(50)은, 흡수체(20)와 포개지는 영역에 있어서 길이 방향(Y)으로 연장되는 중앙 고정 영역(51)과, 윙부(19)에 위치하는 사이드 고정 영역(52)을 가지고, 사용하기 전에는, 각각, 세퍼레이터(28, 29)에 의해 피복된다.
표면 시트(11)에는, 개구 플라스틱 필름, 직포, 부직포 등의 체액에 포함되는 액체 성분을 투과 가능한 시트를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이면 시트(12)에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의 열가소성 수지를 주체로 한 열가소성 수지 필름, 통기성을 부여한 열가소성 수지 필름 등을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사이드 시트(14)에는, 표면 시트(11)와 마찬가지의 시트재를 이용할 수 있다. 단, 생리용 냅킨(10)의 외측으로 체액이 흐르기 어렵게 하기 위해서는, 소수성 또는 발수성을 가지는 시트재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외주 시일부(7)에 있어서의 각 시트의 접합은, 접착제에 의한 접합, 초음파 용착, 열 용착, 레이저 용착, 고주파 용착 등의 공지의 용착 수단에 의한 접합, 및 엠보스 가공에 의한 접합을, 단독 또는 조합하여 행할 수 있다. 또한, 두께 방향(Z)에 있어서 적층된 시트는, 핫멜트 접착제 등의 접착제를 개재하여 서로 접합된다. 핫멜트 접착제의 도공 방법으로서는, 스파이럴 도공, 코터 도공, 커튼 코터 도공, 스프레이 도공 등의 각종 공지의 도공 방법을 들 수 있다.
흡수체(20)는, 소요의 형상에 부형된 흡액성 코어를 포함하고 있고, 코어 랩 시트에 포피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흡액성 코어는, 불수용성의 초흡수성 폴리머 입자(SAP 입자)와, 플랩 목재 펄프(펄프 섬유)나 레이온 섬유 등의 셀룰로오스계 섬유로 이루어지는 흡수성·이산성 재료를 가진다. 흡수체(20)의 윙부(19) 사이에 위치하는 영역은, 착용자의 질구 대향 영역으로서, 당해 영역에는, 흡수체(20)가 다른 부분에 비해 두꺼운 두께로 된 가운데가 높은 부분(21)이 위치한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생리용 냅킨(10)은, 윙부(19)의 기단 부분을 종단하여 연장되는 한 쌍의 세로 절곡선(5, 6)을 가지며, 세로 절곡선(5, 6)을 따라 윙부(19)를 표면측을 향해 폭 방향(X)의 내측으로 절곡한 상태로 포장 시트(101)의 내면에 배치된다. 포장 시트(101)는, 폭 방향(X)으로 연장되는 제 1 및 제 2 절곡선(111, 112)과, 제 2 절곡선(112)과 제 1 단연(101a)의 사이에 위치하는 제 1 구역(121)과, 제 1 절곡선(111)과 제 2 단연(101b)의 위치하는 제 2 구역(122)과, 제 1 절곡선(111)과 제 2 절곡선(112)의 사이에 위치하는 중간 구역(제 3 구역)(123)을 더 가진다. 한 쌍의 세로 절곡선(5, 6)은, 윙부(19)의 기단부와 포개지는 가상 라인 외에, 윙부(19)의 길이 방향(Y)에 있어서 대향하여 위치하여 폭 방향의 외측으로 볼록하게 구부러진 부분을 연결하는 가상 라인이어도 되고, 표면 시트(11)의 표면측에 고정된 한 쌍의 사이드 시트(14)의 내측연부(커프 탄성체를 가지는 경우에는 절곡 부분)를 따르는, 시트의 적층 매수에 의해 폭 방향(X)의 내측과 외측에서 강성이 변화하는, 가상 라인이어도 된다.
포장 시트(101)는, 내면(100a)에 생리용 냅킨(10)이 배치된 상태에서, 제 1 절곡선(111)을 따라 제 2 구역(122)을 중간 영역(123)의 내면을 향해 절곡하고, 또한, 제 2 절곡선(112)을 따라 제 1 구역(121)을 중간 구역(123)을 향해 절곡하여, 3등분으로 접힌 상태로 적층된다. 포장 시트(101)의 제 1 구역(121)의 외면에 위치하는 고정 테이프(130)를 대향하는 제 1 구역(122)에 고정하는 것에 의해 적층된 상태가 유지되어 낱개 포장체(100)가 형성된다. 낱개 포장체(100)의 내부에 이물 등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 1 및 제 2 연부(102, 103)는 시일부(139)에 의해 접합된다.
생리용 냅킨(10)은, 접힌 상태에 있어서, 포장 시트(101)를 개재하여 외부에 시인 가능한 폭 방향(X)의 일방측과 타방측을 식별시키기 위한 식별 수단을 가진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식별 수단은, 이면 시트(11)에 배치된 장식 영역(40)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포장 시트(101)는, 생리용 냅킨(10)의 식별 수단과 마찬가지의 식별 요소, 본 실시형태의 경우에는, 생리용 냅킨(10)의 장식 영역(40)과 동일한 디자인을 가지는 장식 영역을 가지고 있어도 된다. 장식 영역(40)은, 이면 시트(12)의 내면 또는 외면 중 어디에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단, 인쇄에 의한 잉크의 탈락을 방지하기 위하여, 이면 시트(12)의 내면에 장식 영역(40)이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장식 영역(40)은, 착색된 복수의 독립된 장식부(41)로 형성되어 있고, 생리용 냅킨(10)의 표면측 및 이면측으로부터 적어도 일부가 시인 가능한 것에 더하여, 낱개 포장체(100)에 있어서 포장 시트(101)를 개재하여 투시 가능하다. 장식 영역(40)은, 생리용 냅킨(10)의 제 1 및 제 2 측연부(17, 18) 중의 제 1 측연부(17)에만 배치되어 있는 점으로부터, 착용자 등은, 생리용 냅킨(10)의 표면시 및 이면시(裏面視)에 있어서, 장식 영역(40)이 배치된 제 1 측연부(17)와 장식 영역(40)이 배치되어 있지 않은 제 2 측연부(18)를 식별할 수 있다. 그 의미에 있어서, 장식 영역(40)은, 생리용 냅킨(10)의 폭 방향(X)의 일방측과 타방측을 식별할 수 있는 식별 수단이라고 할 수 있다.
장식부(41)는, 크고 작은 대략 삼각형으로서, 생리용 냅킨(10)의 제 1 및 제 2 측연부(17, 18) 중의 제 1 측연부(17)에만 서로 독립된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장식부(41)는, 길이 방향(Y) 및 폭 방향(X)에 있어서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는 양태, 평면시에 있어서 일부가 서로 포개져 있는 양태 등의 복수의 배치 양태를 가진다.
장식부(41)는, 본 발명의 후기하는 기술적 효과를 가지는 한, 도시한 형상 외에, 대략 원형, 대략 타원형, 대략 사각형, 대략 사다리꼴, 대략 별형, 꽃잎형 및 그 밖의 각종 공지의 장식 모양, 문자(예를 들면, 「우, 좌」의 문자 표시 등), 캐릭터 등의 형상을 가지고 있어도 된다. 또한, 장식부(41)는 전체로서 착색되어 있으며, 착색되는 색은, 산화티탄 등의 백색 안료를 첨가하는 것에 의해 백색화된 생리용 냅킨을 구성하는 시트 재료 및 흡액성 코어와 시각상 명료하게 식별할 수 있는 색이면 되고, 예를 들면, 적색, 청색, 황색, 녹색 등의 착용자 등의 주의를 끄는 색조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면 시트(12) 및/또는 포장 시트(101) 전체가 백색 이외로 착색되어 있는 경우에는, 장식부(41)는, 그 착색되는 색과 보색 관계에 있는 색으로 착색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의 「백색」이란, 먼셀 표색계에서 「N9.5」로 나타내어지는 색이나, RGB 색공간에서 「255, 255, 255」로 나타내어지는 색, 소위, 「순백」을 예시할 수 있다. 또한, 「순백」과 동일한 계통색인 색, 구체적으로는, 「순백」과의 색차가 0 이상, 12 미만인 색도 「백색」에 포함된다. 「백색」 이외의 색이 유색이고, 한색은 이 부류에 속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에 정의한 「백색」과의 색차가 40 이상의 색인 것이 바람직하다. 백색의 특정 방법은, 백색에 대한 색차로 비교할 수 있고, 예를 들면, 코니카미놀타사제의 색채 색차계 CR-300을 이용하여 특정할 수 있다.
식별 수단을 구성하는 장식 영역(40)은, 포장 시트(101)를 개재하여 투시되는 한에 있어서는, 이면 시트(12)의 외면측이 아니라, 그 내면측, 또는, 표면 시트(11), 사이드 시트(14), 흡수체(20)를 구성하는 코어 커버 시트 등의 표면측 또는 이면측에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장식 영역(40)은 각 시트에 직접 인쇄되는 것 외에, 시일, 패치 등의 별체를 첩부(貼付)한 것이어도 된다.
다시, 도 8을 참조하면, 생리용 냅킨(10)의 제 1 및 제 2 측연부(17, 18) 중의 제 1 측연부(17)에만 장식 영역(40)이 배치되어 있는 것에 의해, 낱개 포장체(100)에 있어서, 제 1 측연부(17)가 접혀 포개진 제 1 연부(102)측에 있어서 장식 영역(40)이 투시되는 반면, 장식 영역(40)이 배치되어 있지 않은 제 2 측연부(18)가 접혀 포개진 제 2 연부(103)측에는, 장식 영역(40)이 투시되는 일은 없다. 따라서, 낱개 포장체(100)는, 제 1 연부(102)측과 제 2 연부(103)측에 있어서 상이한 디자인을 가진다.
통상, 생리용 냅킨 등의 흡수성 물품의 낱개 포장체는, 접힌 상태로 포장 시트에 수용된 대략 직사각 형상을 가지는 것이기 때문에, 전개했을 때에, 생리용 냅킨이 어느 방향으로 수용되어 있는지 판단하는 것이 어렵다. 즉, 전개했을 때에, 생리용 냅킨의 전방측이 착용자의 앞쪽에 위치하는지, 후방측이 앞쪽에 위치하는지 판단할 수 없는 점으로부터, 전개하여 사용할 때마다, 생리용 냅킨의 전후를 확인할 필요가 있어, 수고롭다. 또한, 생리용 냅킨의 형태가 전후에서 비대칭인 경우라도, 그 비대칭이 되는 요소가, 고정 영역의 길이가 전후에서 상이한 것이거나, 흡수체의 질량이 전후에서 상이한 것인 경우에는, 착용자가 일견하여 그것의 차이를 용이하게 판별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착용자 등은, 낱개 포장체(100)가 폭 방향(X)에 있어서 대향하는 제 1 연부(102)측과 제 2 연부(103)측이 서로 상이한 디자인을 가지는 것에 의해, 낱개 포장체(100)에 있어서의 폭 방향(X)의 일방측과 타방측을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다. 또한, 생리용 냅킨(10)의 제 1 측연부(17)에만 식별 수단을 구성하는 장식 영역(40)이 위치하는 것에 의해, 낱개 포장체(100)의 제 1 연부(102)측이 생리용 냅킨(10)의 제 1 측연부(17)가 위치하는 쪽으로서,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포장 시트(101)를 전개했을 때에, 앞쪽에 후방측, 안쪽에 전방측이 위치하는 것을 용이하게 이미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포장 시트(101)로부터 투시되는 식별 수단을 개재하여 생리용 냅킨(10)의 방향을 파악할 수 있으므로, 예를 들면, 복수의 낱개 포장체(100)를 세로로 두거나 평평하게 두어 나열하는 경우에 있어서, 식별 수단이 위치하는 제 1 연부(102)를 동일한 방향으로 정렬하여 나열하는 것에 의해, 착용자는 원활하게 전개 조작을 행할 수 있다.
착용자는, 식별 수단의 기능적인 설명에 관하여 아무런 정보를 부여받지 않았다고 해도, 낱개 포장체(100)를 복수 사용하는 것에 의해, 식별 수단(장식 영역(40))이 생리용 냅킨의 방향을 알리는 식별 기능을 가지는 것을 파악할 수 있게 되지만, 이러한 기능을 미리 알리기 위하여, 예를 들면, 복수의 낱개 포장체(100)를 수용한 수용 패키지의 외면에 식별 수단의 기능에 관하여 설명한 설명서나 이미지도를 첨부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장식 영역(40)이 포장 시트(101)로부터 투시되기 위해서는, 포장 시트(101)의 전광선 투과율은, 적어도 10%, 즉, 1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전광선 투과율이 10% 미만인 경우에는, 장식 영역(40)이 시인되기 어려워 착용자가 생리용 냅킨(10)의 방향을 판단할 수 없을 우려가 있다. 한편, 포장 시트(101)의 전광선 투과율이 가령 100%인 경우에는, 장식 영역(40)의 시인은 용이해지지만, 제품 자체가 모두 투시되어 버리게 되어, 낱개 포장체에 수용된 생리용 냅킨(10) 등의 흡수성 물품을 소지하고 있는 것이 타인에게 알려져 버려, 부끄러운 생각을 강요당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전광선 투과율은, 90%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다.
장식 영역(40)은, 윙부(19)의 길이 방향(Y)으로 연장되는 세로 절곡선(5, 6)보다 폭 방향(X)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따라서, 윙부(19)가 세로 절곡선(5, 6)을 따라 폭 방향(X)의 내측으로 절곡된 상태에 있어서, 종단 절곡선(5, 6) 상에 위치하는 장식 영역(40)이 두께 방향(Z)에 있어서 포개져, 착색된 색이 보다 짙어져 시인성이 향상한다.
또한, 이면 시트(12)의 외면에 있어서, 고정 영역(50)을 피복하고 있는 세퍼레이터(28, 29)의 양 측연으로부터 폭 방향(X)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세퍼레이터(28, 29)는, 비교적 두께가 두꺼운 크라프트지나 글라신지, 플라스틱 필름에 실리콘을 도포한 것 등으로 형성되는 것이기 때문에, 장식 영역(40) 전체가 세퍼레이터(28, 29)에 피복되어 있는 경우에는 시인성이 저하할 우려가 있는 바, 적어도 일부가 세퍼레이터(28, 29)의 일방연으로부터 연장되어 있는 것에 의해, 포장 시트(101)로부터 장식 영역(40)을 용이하게 투시할 수 있다고 할 수 있다.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낱개 포장체(100)에 있어서 생리용 냅킨(10)의 장식 영역(40)과 포개지는 위치에, 포장 시트(101)도 착색된 장식 영역을 가지고 있어도 된다. 이러한 경우에는, 장식 영역(40)과 포장 시트(101)의 장식 영역이 적어도 일부에서 서로 포개지는 것에 의해 시인성이 향상하여, 낱개 포장체(100) 및 생리용 냅킨(10)의 폭 방향(X)의 일방측과 타방측을 보다 식별하기 쉬워진다.
<제 2 실시형태>
도 13은, 제 2 실시형태에 관련된 낱개 포장체(100)의 도 12와 마찬가지의 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낱개 포장체(100)의 생리용 냅킨(10)에서는, 제 1 측연(10c)은, 직선 형상 부분을 조합하여 이루어지는 기복이 없는 선 형상인 것에 비해, 제 2 측연(10d)이 복수의 잘록한 부분을 가지는 기복이 있는 선 형상을 가진다. 생리용 냅킨의 제 1 및 제 2 측연(10c, 10d)은, 포장 시트(101)로부터 투시 가능하다. 따라서, 낱개 포장체(100)에 있어서 접어서 수용된 상태에 있어서, 낱개 포장체(100)는, 제 1 측연(10c)이 위치하는 제 1 연부(102)측과 제 2 연부(10d)가 위치하는 제 2 연부(103)측에 있어서 서로 상이한 디자인을 가져, 착용자는, 낱개 포장체(100) 및 생리용 냅킨의 폭 방향(X)에 있어서의 일방측과 타방측을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다.
<제 3 실시형태>
도 14의 (a)는, 제 3 실시형태에 관련된 낱개 포장체(100)의 도 8과 마찬가지의 사시도이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생리용 냅킨(10)의 제 1 측연부(17)에 제 1 장식 영역(141), 제 2 측연부(18)측에는 제 2 장식 영역(142)이 각각 배치되어 있다. 제 1 측연부(17)의 제 1 장식 영역(141)에서는 장식부(41)가 비교적 조밀하게 배치되고, 제 2 측연부(18)의 제 2 장식 영역(142)에서는 장식부(41)가 비교적 성기게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제 1 측연부(17)에 위치하는 제 1 장식 영역(141)의 총면적과 제 2 측연부(18)에 위치하는 제 2 장식 영역(142)의 총면적은 서로 상이하다.
이와 같이, 생리용 냅킨(10)의 제 1 측연부(17)에 위치하는 제 1 장식 영역(141)과 제 2 측연부(18)에 위치하는 제 2 장식 영역(142)의 총면적이 서로 상이하고, 또한, 그들이 포장 시트(101)를 개재하여 투시되는 것에 의해, 착용자 등은, 낱개 포장체(100) 및 생리용 냅킨(10)의 폭 방향(X)의 일방측과 타방측을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다.
<제 4 실시형태>
도 14의 (b)는, 제 4 실시형태에 관련된 도 8과 마찬가지의 사시도이다. 도 14의 (b)를 참조하면, 생리용 냅킨(10)의 장식 영역(40)은, 제 1 측연부(17) 중의 횡단 중심선(Q)과 제 1 단연(10a)측의 사이에 위치하는 영역에만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낱개 포장체(100)의 제 1 연부(102)에 있어서, 제 4 연부(105)측에는 장식 영역(40)이 위치하고 있지 않다. 이와 같이, 장식 영역(40)의 배치 영역을 더 한정하는 것에 의해, 착용자는, 생리용 냅킨(10)의 폭 방향(X)에 있어서의 방향뿐만 아니라, 길이 방향(Y)의 방향에 관해서도 식별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양태에 있어서는, 제 1 측연부(17) 중의 횡단 중심선(Q)과 제 2 단연(10b)측의 사이에 위치하는 영역에는 장식 영역(40)이 배치되어 있지 않다. 착용자 등은, 제 2 단연(10b)측에 있어서 장식 영역(40)이 배치되어 있지 않은 것을 시인하는 것에 의해, 생리용 냅킨(10)의 폭 방향(X)에 있어서의 방향뿐만 아니라, 길이 방향(Y)의 방향에 관해서도 식별할 수 있다고 할 수 있다. 특히, 포장 시트(101) 자체가 복수의 장식 요소를 가지는 경우에는, 제 1 단연(10a)측에만 장식 영역(40)이 존재하는 것보다, 제 2 단연(10b)측에만 장식 영역(40)이 존재하지 않는 편이, 착용자에게 길이 방향(Y)의 방향을 외관상 식별시킬 수 있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제 5 실시형태>
도 15의 (a)는, 제 5 실시형태에 관련된 생리용 냅킨(10)의 평면도, 도 15의 (b)는, 제 5 실시형태에 관련된 낱개 포장체(100)의 사시도이다. 도 15의 (a)를 참조하면, 생리용 냅킨(10)의 이면 시트(11)의 내면(또는 외면)에는, 제 1 단부(15)측에만 식별 수단을 이루는 장식 영역(40)이 배치되어 있다. 즉, 생리용 냅킨(10)의 제 1 및 제 2 측연부(17, 18) 및 제 2 단부(16)에는 장식 영역(40)이 배치되어 있지 않다.
도 15의 (b)를 참조하면, 이러한 실시양태에 있어서는, 낱개 포장체(100)에 생리용 냅킨이 3등분으로 접혀 수용된 상태에 있어서, 제 1 단부(15)에 배치된 장식 영역(40)은, 낱개 포장체(100)의 길이 방향(Y)에 있어서 제 4 연부(105)측에 위치한다. 따라서, 장식 영역(40)이 제 4 연부(105)측에 있어서 포장 시트(101)로부터 투시되는 것에 의해, 착용자 등은 낱개 포장체(100) 및 생리용 냅킨(10)의 길이 방향(Y)의 방향을 식별할 수 있다. 또한, 착용자가 낱개 포장체(100) 및 생리용 냅킨(10)의 길이 방향(Y)을 식별 가능한 한에 있어서는, 장식 영역(40)은, 생리용 냅킨(10) 중의 횡단 중심선(Q)과 제 1 단연(10a)(또는 제 2 단연(10b))의 사이의 영역에 배치되어 있고, 횡단 중심선(Q)과 제 2 단연(10b)(또는 제 1 단연(10a))의 사이의 영역에 배치되어 있으면 된다.
도 16의 (a)는, 제 6 실시형태에 관련된 생리용 냅킨(10)의 평면도, 도 16의 (b)는, 제 6 실시형태에 관련된 낱개 포장체(100)의 사시도이다. 도 16의 (a)를 참조하면, 생리용 냅킨(10)의 이면 시트(11)에는, 복수의 장식부(41)로 이루어지는 장식 영역(40)이, 제 1 절곡선(111)에 걸치도록 길이 방향(Y)으로 연장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장식 영역(40)을 형성하는 복수의 장식부(41)가 제 1 절곡선(111)과 교차함과 함께, 제 1 절곡선(111)보다 제 1 단연(10a)측의 부분과 제 2 단연(10b)측의 부분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제 1 절곡선(111)의 제 1 단연(10a)측의 부분에 있어서, 장식 영역(40)은 횡단 중심선(Q)과 제 1 절곡선(111)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고, 횡단 중심선(Q)보다 제 1 단연(10a)측(또는 제 2 절곡선(112)측)에는 위치하고 있지 않다.
도 16의 (b)를 참조하면, 생리용 냅킨(10)이 제 1 및 제 2 절곡선(111, 112)을 따라 3등분으로 접힌 상태로 포장 시트(101)에 수용된 상태에 있어서, 장식 영역(40)은, 낱개 포장체(100)의 제 4 연부(105)측에 위치하고 있다. 따라서, 장식 영역(40)은, 생리용 냅킨(10)이 접혀서 포장 시트(101)에 수용된 상태에 있어서, 생리용 냅킨(10)의 길이 방향(Y)에 있어서의 일방측(제 1 단연(10a)측)과 타방측(제 2 단연(10b)측)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 수단임과 함께, 낱개 포장체(100)의 길이 방향(Y)에 있어서의 일방측(제 3 연부(104)측)과 타방측(제 4 연부(105)측)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 수단이라고도 할 수 있다. 낱개 포장체(100)의 제 4 연부(105)측에서는, 생리용 냅킨(10)의 장식 영역(40)의 위치하는 부분이 접혀 포개져 있음으로써 착색이 보다 짙어져 외부로부터 보다 시인되어 쉬워진다고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복수의 장식부(41)로 이루어지는 장식 영역(40)이, 제 1 절곡선(111)에 걸치도록 길이 방향(Y)으로 연장되어 있지만, 장식 영역(40)이 제 1 절곡선(111)이 아니라, 제 2 절곡선(112)에 걸치도록 길이 방향(Y)으로 연장되어 있어도 된다. 이러한 경우에는, 장식 영역(40)을 형성하는 복수의 장식부(41)가 제 2 절곡선(112)과 교차함과 함께, 제 2 절곡선(112)보다 제 1 단연(10a)측의 부분과 제 2 단연(10b)측의 부분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제 2 절곡선(112)보다 제 2 단연(10b)측의 부분에 있어서, 장식 영역(40)은 횡단 중심선(Q)과 제 2 절곡선(112)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고, 횡단 중심선(Q)보다 제 2 단연(10b)측(또는 제 1 절곡선(111)측)에는 위치하고 있지 않다.
<복수의 낱개 포장체의 집합체>
도 17의 (a)는, 복수의 낱개 포장체(100A∼100C)로 이루어지는 집합체(200)의 사시도, 도 17의 (b)는, 실시예의 일례에 있어서의, 집합체(200)의 사시도이다. 또한, 집합체(200)는, 도시한 바와 같이, 3종류의 낱개 포장체(100A∼100C) 중의 적어도 2종류의 낱개 포장체를 가지고 있으면 되고, 후기하는 기술적 효과를 가지는 한, 4종류 이상의 낱개 포장체를 가지는 것이어도 된다.
도 17의 (a)를 참조하면, 집합체(200)는, 제 1∼제 3 낱개 포장체(100A∼100C)의 폭 방향(X)을 상하 방향으로 하여 세로로 두어 복수 나열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제 1∼제 3 낱개 포장체(100A∼100C)는, 서로 실질적으로 동일한 외형 치수를 가진다. 제 1∼제 3 낱개 포장체(100A∼100C)에 수용된 생리용 냅킨(10)의 식별 수단을 구성하는 장식 영역(181, 182, 183)의 장식 요소는 서로 상이하다. 구체적으로는, 제 1 낱개 포장체(100A)의 장식 영역(181)은 복수의 삼각 모양, 제 2 낱개 포장체(100B)의 장식 영역(182)은 복수의 도트 모양, 제 3 낱개 포장체(100C)의 장식 영역(183)은 복수의 별형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제 1∼제 3 낱개 포장체(100A∼100C)의 외형 치수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란, 외형 치수의 차이가 10㎜ 이내인 것을 의미한다.
이와 같이, 제 1∼제 3 낱개 포장체(100A∼100C)의 외형 치수가 실질적으로 동일한 경우라도, 그들의 장식 영역(181∼183)의 장식 영역이 서로 상이한 것에 의해, 착용자 등은 제 1∼제 3 낱개 포장체(100A∼100C)를 순시에 식별할 수 있음과 함께, 그들의 수용된 흡수성 물품(10)의 방향도 순시에 식별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제 1∼제 3 낱개 포장체(100A∼100C)의 외형 치수가 실질적으로 동일해도, 낮용, 밤용 등의 사용 용도 등에 맞춰 장식 요소를 바꾸는 것에 의해, 제 1∼제 3 개별포장체(100A∼100C)의 사용 용도 등을 용이하게 파악, 식별할 수 있다. 또한, 장식 영역(181∼183)은, 서로 외관상 식별 가능한 한, 그것을 구성하는 복수의 장식부의 형상이 상이한 것 외에, 장식부가 동일, 유사 또는 비유사한 형상을 가지고, 또한, 착색된 색이 상이한 경우를 포함한다. 장식 영역(181∼183) 또는 그것을 구성하는 복수의 장식부의 형상이 동일해도, 착색된 색이 서로 상이한 것에 의해, 외관상 식별할 수 있다.
도 17의 (b)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제 1∼제 3 낱개 포장체(100A∼100C)는, 각각, 상이한 외형 치수를 가진다. 제 1 낱개 포장체(100A)는, 예를 들면, 비교적 장시간 착용하는 밤용의 생리용 냅킨을 수용한 것, 제 2 낱개 포장체(100B)는, 예를 들면, 낮용의 생리용 냅킨을 수용한 것, 제 3 낱개 포장체(100C)는, 예를 들면, 경량 박형의 생리용 냅킨이나 팬티라이너를 수용한 것이다. 제 1∼제 3 낱개 포장체(100A∼100C)에 수용된 생리용 냅킨(10)의 식별 수단을 구성하는 장식 영역(181, 182, 183)의 장식 요소는 서로 상이하다. 구체적으로는, 제 1 낱개 포장체(100A)의 장식 영역(181)은 복수의 삼각 모양, 제 2 낱개 포장체(100B)의 장식 영역(182)은 복수의 도트 모양, 제 3 낱개 포장체(100C)의 장식 영역(183)은 복수의 별형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사이즈가 상이한 대소 다양한 제 1∼제 3 낱개 포장체(100A∼100C)마다 상이한 장식 영역(181∼183)을 가지는 점으로부터, 착용자 등은, 사이즈의 상이와 더불어, 장식 영역(181∼183)의 장식 요소의 상이에 의해, 보다 확실하게 그들의 용도 등을 파악, 식별할 수 있다. 또한, 장식 영역(181∼183)의 장식 요소에 관해서는, 무늬가 동일하고 색이 상이한 것이 바람직하다. 무늬가 동일한 것에 의해, 예를 들면, 동일 사이즈에 있어서 낮용의 제품과 밤용의 제품을 함께 구입하여 보관할 때에도, 색의 차이로 식별할 수 있다.
<복수의 낱개 포장체의 수용 패키지>
도 18은, 복수의 낱개 포장체를 수용한 수용 패키지의 일부 파단 사시도이다. 복수의 낱개 포장체(100)가 수용된 수용 패키지(300)의 일부 파단 사시도이다. 수용 패키지(300)는, 복수의 낱개 포장체(100)가 나열되어 배치된 제 1 열(301)과 제 2 열(302)을 포함하는 수용 형태를 가진다. 수용 패키지(300)의 제 1 및 제 2 열(301, 302)에 있어서는, 식별 수단을 구성하는 장식 영역(40)이 상방측에 위치하도록 동일한 방향으로 나열되어 배치되어 있다.
수용 패키지(300)에 있어서, 복수의 낱개 포장체(100)가 동일한 방향으로 나열되어 배치되어 있고, 또한, 식별 수단에 의해 낱개 포장체(100)에 수용된 생리용 냅킨(10)의 폭 방향(X)의 일방측과 타방측을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는 점으로부터, 착용자는, 수용 패키지(300)로부터 낱개 포장체(100)를 취출하여 사용할 때에, 원활하게 생리용 냅킨(10)의 착용 조작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수용 패키지(300)의 내부에는, 도 17의 (a), (b)에 나타낸 양태를 가지는 집합체(200)가 복수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도 19의 (a)는, 실시예의 일례에 있어서의 수용 패키지(300)의 일부 파단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관련된 수용 패키지(300)는, 제 1 방향(길이 방향)(A)과, 그것에 교차하는 제 2 방향(상하 방향)(B)과, 제 1 방향(A)에 있어서 대향하는 제 1 면(301) 및 제 2 면(302)을 가진다. 낱개 포장체(100)는, 제 2 방향(B)으로 복수 나열되어 배치되고, 또한, 상기 제 1 방향(A)에 있어서 서로 장식 영역(40)의 방향이 맞도록 동일한 방향으로 수용되어 있다.
수용 패키지(300)의 제 1 및 제 2 면(301, 302) 중의 제 1 면(301)에만 패키지 장식 영역(340)이 배치되어 있다. 낱개 포장체(100)에 수용된 생리용 냅킨(10)의 장식 영역(40)의 일부는, 패키지 장식 영역(340)과 제 1 방향(A)에 있어서 대향하여 위치하고 있다. 복수의 낱개 포장체(100)를 수용 패키지(300) 내에 있어서, 수용 패키지(300)의 제 1 면(301)에 위치하는 패키지 장식 영역(340)과 낱개 포장체(100)의 장식 영역(40)을 위치 맞춤하도록 수용하는 것에 의해, 수용 패키지(300) 내에서 복수의 낱개 포장체(100)가 동(同) 정도로 압박된 상태로 적층되는 점으로부터, 취출했을 때에, 낱개 포장체(100) 및/또는 생리용 냅킨(10)의 두께 치수가 상이한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9의 (b)는, 다른 실시예의 일례에 있어서의 수용 패키지(300)의 일부 파단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관련된 수용 패키지(300)는, 제 1 방향(길이 방향)(A)과, 그것에 교차하는 제 2 방향(상하 방향)(B) 및 제 3 방향(폭 방향)(C)과, 제 1 방향(A)에 있어서 대향하는 제 1 면(301) 및 제 2 면(302)을 가진다. 낱개 포장체(100)는, 제 2 방향(B)으로 복수 나열되어 배치되고, 또한, 상기 제 3 방향(C)에 있어서 서로 장식 영역(40)의 방향이 맞도록 동일한 방향으로 수용되어 있다.
수용 패키지(300)의 제 1 면(301)은, 제 3 방향(C)에 있어서 대향하는 제 1 측부(301A)와 제 2 측부(301B)를 가진다. 제 1 측부(301A)에는 패키지 장식 영역(340)이 위치하고, 낱개 포장체(100)의 장식 영역(40)은 제 1 측부(301A)측에 위치하고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면, 제 1 면(301)에 점선에 의한 취출구가 위치하는 경우에 있어서, 제 2 방향(B)으로 포개어 쌓인 복수의 낱개 포장체(100)의 장식 영역(40)은 제 1 측면(301)의 제 1 측부(301A)측에 위치하는 것을 수용 패키지(300)의 외부로부터 파악할 수 있으므로, 낱개 포장체(100)의 수용 패키지(300)로부터의 취출부터 전개까지의 조작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수용 패키지(100)의 패키지 장식 영역(340)과 낱개 포장체(100)의 장식 영역(40)을 위치 맞춤하도록 수용하는 것에 의해, 수용 패키지(300) 내에서 복수의 낱개 포장체(100)가 동 정도로 압박된 상태로 적층되는 점으로부터, 취출했을 때에, 낱개 포장체(100) 및/또는 생리용 냅킨(10)의 두께 치수가 상이한 것을 억제할 수 있다.
410 : 흡수성 물품(생리용 냅킨)
411 : 표면 시트
412 : 이면 시트
417 : 제 1 연부(제 1 측연부)
418 : 제 2 연부(제 2 측연부)
420 : 흡수체
420a : 제 3 연(제 1 단연)
420c : 제 1 연(제 1 측연)
420d : 제 2 연(제 2 측연)
431 : 제 1 영역(제 1 단 영역)
432 : 제 2 영역(제 2 단 영역)
433 : 제 3 영역(중간 영역)
440 : 장식 영역
440a : 내측연
441 : 장식부
442 : 비장식부
451 : 슬릿
452 : 슬릿
L1 : 흡수체의 제 1 연의 제 1 방향의 치수(흡수체의 제 1 측연의 세로 방향(Y)의 치수)
X : 제 2 방향(가로 방향, 세로 방향)
Y : 제 1 방향(세로 방향, 가로 방향)
P : 제 1 중심선(종단 중심선)
Q : 제 1 중심선(횡단 중심선)
5 : 종단 절곡선
6 : 종단 절곡선
10 : 흡수성 물품(생리용 냅킨)
10a : 제 1 단연
10b : 제 2 단연
10c : 제 1 측연
10d : 제 2 측연
11 : 표면 시트
12 : 이면 시트
17 : 제 1 측연부
18 : 제 2 측연부
19 : 윙부
20 : 흡수체
28 : 세퍼레이터
29 : 세퍼레이터
40 : 장식 영역
41 : 장식부
50 : 고정 영역
51 : 중앙 고정 영역
52 : 사이드 고정 영역
100 : 낱개 포장체
100A : 제 1 낱개 포장체
100B : 제 2 낱개 포장체
100C : 제 3 낱개 포장체
101 : 포장 시트
141 : 제 1 장식 영역
142 : 제 2 장식 영역
181 : 장식 영역
182 : 장식 영역
183 : 장식 영역
200 : 집합체
300 : 수용 패키지
P : 종단 중심선
Q : 횡단 중심선
X : 폭 방향
Y : 길이 방향

Claims (19)

  1. 포장 시트와, 상기 포장 시트에 접힌 상태로 포피되는 흡수성 물품을 포함하는 흡수성 물품의 낱개 포장체에 있어서,
    상기 흡수성 물품은, 길이 방향 및 폭 방향을 가지고, 투액성의 표면 시트와, 불투액성의 이면 시트와, 상기 표리면 시트 사이에 개재된 흡수체를 구비하며,
    상기 흡수성 물품은, 접힌 상태에 있어서, 상기 포장 시트를 개재하여 외부에 시인 가능한 상기 폭 방향의 일방측과 타방측을 식별시키기 위한 식별 수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낱개 포장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성 물품은, 상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및 제 2 측연부를 더 가지고, 상기 식별 수단은, 상기 제 1 및 제 2 측연부 중의 상기 제 1 측연부에만 배치된 장식 영역인 낱개 포장체.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성 물품은, 상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및 제 2 측연을 더 가지고,
    상기 제 1 측연의 형상과 상기 제 2 측연의 형상이 서로 상이한 낱개 포장체.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 시트의 전광선 투과율은, 10% 이상 90% 미만인 낱개 포장체.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성 물품은, 상기 폭 방향에 있어서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윙부를 더 가지고,
    상기 장식 영역은, 상기 윙부의 상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절곡 라인보다 상기 폭 방향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낱개 포장체.
  6. 제 2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성 물품은, 상기 이면 시트의 외면에 위치하는 고정 영역을 피복하는 세퍼레이터를 더 가지고, 상기 제 1 측연부에 있어서, 상기 세퍼레이터의 일방 측연으로부터 상기 장식 영역이 상기 폭 방향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있는 낱개 포장체.
  7. 제 2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 시트는 장식 영역을 가지고, 상기 포장 시트의 상기 장식 영역과 상기 흡수성 물품의 상기 장식 영역이 서로 포개지는 낱개 포장체.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성 물품은, 상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및 제 2 측연부와, 상기 제 측연부에 위치하는 제 1 장식 영역과, 상기 제 2 측연부에 위치하는 제 2 장식 영역을 더 가지고, 상기 제 1 장식 영역의 총면적과 상기 제 2 착색 영역의 총면적이 서로 상이한 낱개 포장체.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성 물품은, 상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및 제 2 측연부와, 상기 제 측연부에 위치하는 착색된 제 1 장식 영역과, 상기 제 2 측연부에 위치하는 착색된 제 2 장식 영역을 더 가지고,
    제 1 장식 영역의 착색된 색과 상기 제 2 장식 영역의 착색된 색이 서로 상이한 낱개 포장체.
  10.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성 물품은, 상기 길이 방향의 치수를 2등분하는 횡단 중심선과, 상기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단연을 가지고,
    상기 장식 영역은, 상기 제 1 측연부 중의 상기 횡단 중심선과 상기 제 1 단연의 사이에만 위치하는 낱개 포장체.
  11.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성 물품은, 상기 길이 방향의 치수를 2등분하는 횡단 중심선과, 상기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단연을 가지고,
    상기 장식 영역은, 상기 제 1 측연부 중의 상기 횡단 중심선과 상기 제 1 단연의 사이에만 존재하지 않는 낱개 포장체.
  12. 포장 시트와, 상기 포장 시트에 접힌 상태로 포피되는 흡수성 물품을 포함하는 흡수성 물품의 낱개 포장체에 있어서,
    상기 흡수성 물품은, 길이 방향 및 폭 방향을 가지고, 투액성의 표면 시트와, 불투액성의 이면 시트와, 상기 표리면 시트 사이에 개재된 흡수체를 구비하며,
    상기 흡수성 물품은, 접힌 상태에 있어서, 상기 포장 시트를 개재하여 외부에 시인 가능한 상기 길이 방향의 일방측과 타방측을 식별시키기 위한 식별 수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낱개 포장체.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성 물품은, 상기 길이 방향의 치수를 2등분하는 횡단 중심선과, 상기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및 제 2 절곡선을 더 가지고, 상기 횡단 중심선은, 상기 길이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 1 절곡선과 상기 제 2 절곡선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으며, 상기 식별 수단은, 상기 제 1 절곡선을 상기 길이 방향으로 걸치는 장식 영역으로서, 상기 장식 영역은 상기 횡단 중심선보다 상기 제 2 절곡선측에 배치되어 있지 않은 낱개 포장체.
  14. 복수의 낱개 포장체의 집합체에 있어서,
    상기 낱개 포장체는, 포장 시트와, 상기 포장 시트에 접힌 상태로 포피되는 흡수성 물품을 포함하고,
    상기 흡수성 물품은, 길이 방향 및 폭 방향을 가지고, 투액성의 표면 시트와, 불투액성의 이면 시트와, 상기 표리면 시트 사이에 개재된 흡수체를 구비하며,
    상기 흡수성 물품은, 접힌 상태에 있어서, 상기 포장 시트를 개재하여 외부에 시인 가능한 상기 폭 방향의 일방측과 타방측을 식별시키기 위한 식별 수단을 가지고,
    상기 식별 수단은, 상기 흡수성 물품의 상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및 제 2 측연부 중의 상기 제 1 측연부에만 배치된 장식 영역으로서,
    상기 복수의 낱개 포장체마다 상기 장식 영역의 장식 요소가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집합체.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낱개 포장체는, 서로 인접하여 나열되어 있고, 또한, 외형 치수가 서로 실질적으로 동일한 제 1 낱개 포장체와 제 2 낱개 포장체를 적어도 가지며, 상기 제 1 낱개 포장체와 제 2 낱개 포장체는, 상기 장식 영역의 장식 요소가 서로 상이한 집합체.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낱개 포장체는, 제 1 낱개 포장체와, 상기 제 1 낱개 포장체보다 외형 치수가 큰 제 2 낱개 포장체를 적어도 가지고, 상기 제 1 낱개 포장체와 상기 제 2 낱개 포장체는, 상기 장식 영역의 장식 요소가 서로 상이한 집합체.
  17. 복수의 상기 낱개 포장체를 수용하는 수용 패키지에 있어서,
    상기 낱개 포장체는, 포장 시트와, 상기 포장 시트에 접힌 상태로 포피되는 흡수성 물품을 포함하고,
    상기 흡수성 물품은, 길이 방향 및 폭 방향을 가지고, 투액성의 표면 시트와, 불투액성의 이면 시트와, 상기 표리면 시트 사이에 개재된 흡수체를 구비하며,
    상기 흡수성 물품은, 접힌 상태에 있어서, 상기 포장 시트를 개재하여 외부에 시인 가능한 상기 폭 방향의 일방측과 타방측을 식별시키기 위한 식별 수단을 가지고,
    상기 식별 수단은, 상기 흡수성 물품의 상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및 제 2 측연부 중의 상기 제 1 측연부에만 배치된 장식 영역으로서,
    상기 장식 영역의 방향이 맞도록, 상기 복수의 낱개 포장체가 서로 동일한 방향으로 수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 패키지.
  18. 제 17 항에 있어서,
    제 1 방향과 그것에 교차하는 제 2 방향과, 제 1 방향에 있어서 대향하는 제 1 면 및 제 2 면을 더 가지고, 상기 낱개 포장체는 상기 제 2 방향으로 복수 나열되어 배치되고, 또한, 상기 제 1 방향에 있어서 상기 장식 영역의 방향이 맞도록 동일한 방향으로 수용되어 있으며,
    상기 제 1 및 제 2 면 중의 상기 제 1 면에만 패키지 장식 영역이 배치되어 있고,
    상기 낱개 포장체의 상기 장식 영역은 상기 패키지 장식 영역과 대향하는 수용 패키지.
  19. 제 17 항에 있어서,
    제 1 방향과 그것에 교차하는 제 2 및 제 3 방향과, 제 1 방향에 있어서 대향하는 제 1 면 및 제 2 면을 더 가지고, 상기 낱개 포장체는, 상기 제 2 방향으로 복수 나열되어 배치되고, 또한, 상기 제 3 방향에 있어서 서로 상기 장식 영역의 방향이 맞도록 동일한 방향으로 수용되어 있으며,
    상기 제 1 면은, 제 3 방향에 있어서 대향하는 제 1 측부와 제 2 측부를 가지고, 상기 제 1 측부에는 패키지 장식 영역이 위치하며, 상기 낱개 포장체의 상기 장식 영역은 상기 제 1 측부측에 위치하고 있는 수용 패키지.
KR2020247000009U 2018-07-06 2019-07-05 흡수성 물품, 흡수성 물품의 낱개 포장체, 낱개 포장체의 집합체 및 낱개 포장체의 패키지 KR20240000217U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8128872A JP7117920B2 (ja) 2018-07-06 2018-07-06 吸収性物品の個包装体、個包装体の集合体及び個包装体の収容パッケージ
JP2018128871A JP7117919B2 (ja) 2018-07-06 2018-07-06 吸収性物品
JPJP-P-2018-128871 2018-07-06
JPJP-P-2018-128872 2018-07-06
PCT/JP2019/026884 WO2020009236A1 (ja) 2018-07-06 2019-07-05 吸収性物品、吸収性物品の個包装体、個包装体の集合体及び個包装体のパッケージ
KR2020207000081U KR200498033Y1 (ko) 2018-07-06 2019-07-05 흡수성 물품, 흡수성 물품의 낱개 포장체, 낱개 포장체의 집합체 및 낱개 포장체의 패키지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07000081U Division KR200498033Y1 (ko) 2018-07-06 2019-07-05 흡수성 물품, 흡수성 물품의 낱개 포장체, 낱개 포장체의 집합체 및 낱개 포장체의 패키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00217U true KR20240000217U (ko) 2024-02-06

Family

ID=690591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47000009U KR20240000217U (ko) 2018-07-06 2019-07-05 흡수성 물품, 흡수성 물품의 낱개 포장체, 낱개 포장체의 집합체 및 낱개 포장체의 패키지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20240000217U (ko)
CN (1) CN216417543U (ko)
WO (1) WO2020009236A1 (ko)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89807U (ja) * 1983-05-13 1984-12-17 ユニ・チヤ−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JP2008289602A (ja) * 2007-05-23 2008-12-04 Opelontex Co Ltd 使い捨ておむつおよび使い捨て尿パッド
JP4869279B2 (ja) * 2008-04-07 2012-02-08 大王製紙株式会社 包装生理用ナプキン
WO2011013208A1 (ja) * 2009-07-28 2011-02-03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の体液処理用パッド複合体
WO2011022537A1 (en) * 2009-08-21 2011-02-2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s having both distinct and identical graphics and apparatus and method for printing such absorbent articles
JP5536425B2 (ja) * 2009-11-20 2014-07-02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5631165B2 (ja) * 2010-11-17 2014-11-26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2013215267A (ja) * 2012-04-05 2013-10-24 Kao Corp 吸収性物品の個装体
JP6684070B2 (ja) * 2015-10-30 2020-04-22 大王製紙株式会社 吸収性物品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특허문헌 1에 개시된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는, 이면 시트의 외면에 장식 영역이 위치하고, 장식 영역이 외면으로부터 투시 가능한 흡수체의 외형 윤곽과 포개짐으로써, 흡수체가 흡수성 물품의 중심으로부터 위치가 어긋나 있어도 두드러지지 않게 되어 있다.
특허문헌 2에 개시된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는, 흡수성 물품의 외면에 착색된 장식 영역이 배치되어 있는 점으로부터, 장식 영역이 포장 시트를 개재하여 투시되어, 낱개 포장체의 의장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216417543U (zh) 2022-05-03
KR20210000652U (ko) 2021-03-17
WO2020009236A1 (ja) 2020-0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48439B2 (ja) 吸収性物品
US11554052B2 (en) Absorbent article having a functional enhancement indicator
US10500109B2 (en) Absorbent article having functional enhancement indicators
JP4393108B2 (ja) 吸収性物品
JP5475431B2 (ja) 吸収性物品
CA2588592C (en) An array of absorbent articles having functional enhancement indicators
RU2723828C1 (ru) Одноразовый подгузник типа трусов
JP2011156239A (ja) 吸収性物品
JP5498138B2 (ja) 体液処理用品
JP7117920B2 (ja) 吸収性物品の個包装体、個包装体の集合体及び個包装体の収容パッケージ
KR200498033Y1 (ko) 흡수성 물품, 흡수성 물품의 낱개 포장체, 낱개 포장체의 집합체 및 낱개 포장체의 패키지
KR20240000217U (ko) 흡수성 물품, 흡수성 물품의 낱개 포장체, 낱개 포장체의 집합체 및 낱개 포장체의 패키지
JP5693273B2 (ja) 吸収性物品
JP7117919B2 (ja) 吸収性物品
JP2005021389A (ja) 吸収性物品
JP5783738B2 (ja) 吸収性物品
JP2020073019A (ja) 吸収性物品の個包装体
JP3242381U (ja) 吸収性物品
JP7299332B2 (ja) 伸縮部材及びこの伸縮部材を有する使い捨て着用物品
JP7423946B2 (ja) 吸収性物品
JP2022097031A (ja) 吸収性物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