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75289A - 차량용 탑승자 보호 장치, 적어도 하나의 탑승자 보호 장치를 구비한 차량 및 탑승자 보호 장치를 작동시키는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용 탑승자 보호 장치, 적어도 하나의 탑승자 보호 장치를 구비한 차량 및 탑승자 보호 장치를 작동시키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75289A
KR20230175289A KR1020237040394A KR20237040394A KR20230175289A KR 20230175289 A KR20230175289 A KR 20230175289A KR 1020237040394 A KR1020237040394 A KR 1020237040394A KR 20237040394 A KR20237040394 A KR 20237040394A KR 20230175289 A KR20230175289 A KR 202301752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ccupant
vehicle
collision
occupant protection
airba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403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요헨 피스
클라우스 가이슬러
줄리엥 리헤르트
Original Assignee
메르세데스-벤츠 그룹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메르세데스-벤츠 그룹 아게 filed Critical 메르세데스-벤츠 그룹 아게
Publication of KR202301752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75289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1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tables or tr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5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the presence or position of passengers, passenger seats or child seats, and the related safety parameters therefor, e.g. speed or timing of airbag inflation in relation to occupant position or seat belt use
    • B60R21/01512Passenger detection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021/01204Actuation parameters of safety arrangents
    • B60R2021/01252Devices other than b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021/0206Self-supporting restraint systems, e.g. restraining arms, plate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시트(3)에 할당된 적어도 하나의 테이블(4)을 포함하는 차량(2)용 탑승자 보호 장치(1)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 상기 차량(2)의 충돌 또는 충돌 위험이 감지된 경우, 적어도 하나의 테이블(4)이 충돌에 의한 이동에 대항하여 탑승자(I)의 적어도 하나의 신체 구간을 지지하고 그리고/또는 다른 차량부에서 전개된 적어도 하나의 에어백(8)에 대한 지지면을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탑승자 보호 위치로 능동적으로 이동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탑승자 보호 장치, 적어도 하나의 탑승자 보호 장치를 구비한 차량 및 탑승자 보호 장치를 작동시키는 방법
본 발명은 청구항 1의 전제부의 특징에 따른 차량용 탑승자 보호 장치, 적어도 하나의 탑승자 보호 장치를 구비한 차량 및 탑승자 보호 장치를 작동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유럽 특허공보 EP 3 640 092 A1호에 설명된 바와 같이, 선행 기술에 차량 테이블용 에어백 시스템이 공지되어 있다. 상기 문헌의 시스템은 탑승자 앞에 배치된 테이블과, 테이블 내부에 제공된 에어백 쿠션을 포함한다. 에어백 쿠션의 제1 단부 구간이 테이블 에지의 내측 구간에 고정된 상태에서 작동되어, 제2 단부 구간이 테이블 위로 돌출한 후 테이블 상부 표면을 덮는 방식으로 에어백 쿠션이 전개된다. 에어백 쿠션은, 에어백 쿠션이 작동되는 동안, 테이블을 향하고 테이블의 상부면과 거리를 두고 위치 결정되는 바닥 영역도 포함한다. 에어백 쿠션이 작동되도록, 가스 발생기가 에어백 쿠션에 가스를 공급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선행 기술에 비해 개선된 차량용 탑승자 보호 장치, 선행 기술에 비해 개선된 차량, 그리고 선행 기술에 비해 개선된 탑승자 보호 장치를 작동시키는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이러한 목적은 청구항 1의 특징을 갖는 차량용 탑승자 보호 장치, 청구항 10의 특징을 갖는 차량, 그리고 청구항 11의 특징을 갖는 탑승자 보호 장치를 작동시키는 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성들은 종속 청구항의 특허대상이다.
차량용 탑승자 보호 장치는 차량 시트에 할당된 적어도 하나의 테이블을 포함한다. 특히 이 테이블은, 수동으로 그리고/또는 전기로, 특히 전동식으로, 예를 들어 수납 위치에서 차량 시트에 착석한 차량 탑승자가 사용할 수 있는 테이블 사용 위치로 이동될 수 있고 다시 원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테이블은 차량 시트 영역에서, 수납 위치, 예를 들어 차량 시트에 접하거나 차량 시트 내측에 또는 차량 시트 전방 또는 차량 시트 후방 또는 차량 시트 측면 또는 차량 시트 아래 또는 차량 시트 위에 배치되고, 테이블 사용 위치, 예를 들어 차량 시트의 전방 및/또는 측면 및/또는 위, 특히 차량 시트에 착석한 탑승자의 전방 및/또는 측면에 배치된다. 테이블은 예를 들어 접이식 테이블로 설계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의 충돌이 감지된 경우 및/또는 차량 충돌 위험이 감지된 경우, 이러한 적어도 하나의 테이블은 특히 테이블 사용 위치 및/또는 수납 위치에서 특히 능동적으로, 즉 특히 전기로, 특히 전동식으로 및/또는 공압식으로 및/또는 유압식으로 및/또는 파이로테크닉 방식으로 구동되어, 특히 자동으로, 테이블이 탑승자의 적어도 하나의 신체 구간, 특히 상체를 충돌에 의한 이동에 대항하여 지지하고/지지하거나 테이블에서가 아니라 다른 차량부에서 전개되는 적어도 하나의 에어백에 대한 지지면을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탑승자 보호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이러한 지지면은 특히 에어백이 전개되는 동안 에어백을 방향 유도, 안내 및/또는 지지하고/지지하거나, 특히 전개된 에어백을 지지하도록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은 이러한 탑승자 보호 장치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탑승자 보호 장치는 다수의 이러한 테이블을 가질 수 있고, 예를 들어 차량의 다수의 또는 모든 차량 시트, 예를 들어 적어도 뒷좌석 시트 및/또는 조수석 시트에 각각 이러한 테이블이 할당된다.
본 발명에 따른 탑승자 보호 장치를 작동시키는 방법에서, 차량의 충돌이 감지된 경우 및/또는 차량 충돌 위험이 감지된 경우, 이러한 적어도 하나의 테이블은, 특히 테이블 사용 위치 및/또는 수납 위치에서 능동적으로, 즉 특히 전기로, 특히 전동식으로 및/또는 공압식으로 및/또는 유압식으로 및/또는 파이로테크닉 방식으로 구동되어, 특히 자동으로, 테이블이 탑승자의 적어도 하나의 신체 구간, 특히 상체를 충돌에 의한 이동에 대항하여 지지하고/지지하거나 테이블에서가 아니라 다른 차량부에서 전개되는 적어도 하나의 에어백에 대한 지지면을 형성하는 탑승자 보호 위치로 이동된다. 이러한 지지면은 특히 에어백이 전개되는 동안 에어백을 방향 유도, 안내 및/또는 지지하고/지지하거나, 특히 전개된 에어백을 지지하도록 제공된다.
전기식, 특히 전동식 및/또는 공압식 및/또는 유압식 구동 장치는 특히 테이블의 가역적 이동을 가능하게 한다. 이는 충돌을 피할 가능성이 아직 있는, 충돌 위험이 감지된 경우 특히 바람직하다. 파이로테크닉 방식의 이동은 특히 신속하여, 특히 이미 차량 충돌이 이루어졌음이 감지된 경우 특히 적합하다.
테이블은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입력 유닛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유닛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음향 출력 유닛을 포함한다. 입력 유닛은 예를 들어 키패드, 촉각 디스플레이 또는 제스처 인식 기능이 있는 프로젝션이다.
설명한 해결방법에 의해, 탑승자가 예를 들어 작업대 및/또는 물건을 올려 두는 테이블 및/또는 예를 들어 키패드인 입력 유닛 및/또는 출력 유닛 및/또는 조작 유닛으로 사용할 수 있는 테이블이 충돌 또는 충돌 위험이 감지된 경우에 탑승자를 보호하기 위해 최적화된 방식으로 위치 결정된다. 테이블이 탑승자의 적어도 하나의 신체 구간, 특히 상체를 충돌로 인한 이동에 대항하여 지지하는 탑승자 보호 위치는, 예를 들어 탑승자의 전면, 특히 탑승자의 상체 전면, 특히 탑승자의 가슴 부위 위치로, 즉 테이블이 상응하게 탑승자, 특히 탑승자의 상체, 특히 탑승자의 가슴 쪽으로 이동하고, 특히 가슴에 인접하게 위치 결정된다. 이로 인해 탑승자, 특히 탑승자의 상체가 바람직하게 전면에서는 테이블에 의해, 후면에서는 차량 시트의 시트백에 의해 지지되고 상응하게 홀딩된다. 이와 같이 테이블이 상체, 특히 가슴 앞에 위치 결정됨으로써, 탑승자가 편평하게 구속되는 것이 가능하여 탑승자의 가슴에 가해지는 부하가 감소된다.
이에 따라 설명한 해결방법에 의해 탑승자의 안전 및 운행 안전이 감소되는 일 없이, 활동, 특히 추가적 활동, 특히 입력 유닛을 필요로 하는 그러한 활동이 가능해진다.
특히 탑승자 보호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에어백도 포함한다. 이에 의해 테이블과 에어백의 상호 최적화된 기능이 가능해진다. 적어도 하나의 에어백은 예를 들어 차량의 계기판, 대시보드 및/또는 조종석에 배치되어 거기서부터 전개되거나, 안전 벨트에 배치되어 거기서부터 전개되거나, 차량 시트, 예를 들어 시트 쿠션 또는 시트백의 측면 또는 암레스트에 배치되어 거기서부터 전개되거나, 차량의 센터 콘솔에 배치되어 거기서부터 전개되거나, 차량의 내부 트림, 예를 들어 측면 트림 또는 루프 트림에 배치되어 거기서부터 전개될 수 있다. 특히 이러한 다양한 차량부와 그에 따라 차량 내 다양한 위치에 다수의 에어백이 배치되는 것도 제공될 수 있으며, 이 에어백들은 충돌 또는 충돌 위험이 감지된 경우, 존재하는 여건에 따라 전개되고 테이블에 의해 자신의 상응하는 탑승자 보호 위치에서 지지된다.
충돌 또는 충돌 위험이 감지된 경우 테이블이 이동될 수 있거나 이동되는 탑승자 보호 위치는, 예를 들어 감지된 충돌 또는 충돌 위험의 유형, 예를 들어 정면 충돌, 측면 충돌 또는 후방 충돌 또는 이에 대한 위험, 및/또는 탑승자의 착석 자세, 및/또는 차량 시트의 시트 설정, 및/또는 차량 시트에 할당된 안전 벨트의 착용 상태, 즉 탑승자가 올바르게 안전 벨트를 착용했는지 여부, 특히 벨트 버클이 닫혀 있는지 여부,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되어야 할 에어백에 대해 상대적인 탑승자 및/또는 차량 시트의 정렬에 좌우된다. 이로 인해 각각의 경우 존재하는 이러한 여건에 맞게 최적화된 테이블의 탑승자 보호 위치가 가능해지고, 이 위치로 테이블이 이동될 수 있거나 이동된다.
탑승자 보호 위치로 능동적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테이블은 특히 적어도 하나의 회전축, 예를 들어 복수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고/있거나, 적어도 하나의 축, 예를 들어 복수의 축을 중심으로 피벗될 수 있고/있거나, 적어도 하나의 축을 따라, 예를 들어 복수의 축을 따라 변위될 수 있다. 테이블을 복수의 가능한 탑승자 보호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기 위해,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복수의 이동 가능성 또는 언급한 모든 이동 가능성의 조합이 제공된다. 이로 인해 충돌 또는 충돌 위험이 감지된 때 각각 존재하는 여건에 맞게 최적화된 탑승자 보호 위치 및 이 탑승자 보호 위치로의 테이블의 이동이 가능해진다.
가능한 일 실시예에서, 테이블은 차량의 센터 콘솔과 연결된다. 이로 인해 차량 내 테이블의 안전한 정착이 보장되고, 간단한 방식으로 수납 위치에 테이블을 수납할 수 있고, 테이블의 최적화된 테이블 사용 위치가 가능해지고, 특히 충돌 또는 충돌 위험이 감지된 때 각각 존재하는 여건에 따라 테이블이 이동될 수 있는, 테이블의 복수의 가능한 탑승자 보호 위치가 가능해진다.
가능한 일 실시예에서, 테이블은 특히 테이블 에어백으로 설계된 적어도 하나의 팽창 가능한 보호 시스템(이하 테이블 에어백)을 갖는다. 테이블 에어백은 차량의 충돌 또는 충돌 위험이 감지된 경우 특히 적어도 하나의 가스 발생기의 활성화, 특히 점화에 의해 전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테이블은 복수의 이러한 테이블 에어백, 예를 들어 테이블 상부면에서 전개되는 테이블 에어백과, 테이블 하부면에서 전개되어, 예를 들어 탑승자의 골반 및/또는 다리, 특히 대퇴 및/또는 무릎을 보호하는 무릎 에어백으로 이용되는 또다른 테이블 에어백을 가질 수 있다. 탑승자 보호 위치로 테이블이 이동됨으로써 적어도 하나의 또는 각각의 이러한 테이블 에어백의 최적화된 정렬이 가능해진다. 예를 들어 테이블, 특히 적어도 하나의 입력 유닛, 출력 유닛 및/또는 디스플레이 유닛에는 개구, 예를 들어 파열 플랩이 에어백의 경우와 같이 또는 기계적으로 및/또는 전기적으로 활성화될 수 있도록 제공되고, 이 개구를 통해 특히 탑승자 방향으로, 상방으로 또는 하방으로, 특히 상응하게 테이블이 위치 결정된 경우 하방으로 테이블 에어백이 전개될 수 있는 것이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각 존재하는 여건에 따라 조정된 탑승자 보호 위치로 테이블이 이동됨으로써 상응하게 정렬되는 하나의 테이블 에어백만 제공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충돌 또는 충돌 위험이 감지된 때 존재하는 여건에 따라, 이 테이블 에어백이 테이블의 상부면을 형성하는 평면에서 예를 들어 상방으로 및/또는 탑승자 방향으로 탑승자의 상체 및/또는 머리를 보호하도록 전개되거나 테이블의 상응하는 이동, 특히 회전에 의해 테이블의 하부면을 형성하는 평면에서 탑승자의 골반 및/또는 다리, 특히 대퇴 및/또는 무릎을 보호하도록 전개되는 것이 제공될 수 있다. 충돌 또는 충돌 위험이 감지된 때 특히 상체를 특별히 추가적으로 보호하지 않아도 되면서 무릎 부하가 상승할 것으로 예상되는 경우, 이런 방식으로 테이블이 이러한 탑승자 보호 위치로 이동, 특히 회전되어, 무릎 에어백(knee-bag이라고도 함)으로서 테이블 에어백이 사용된다. 이 경우 예를 들어 이와 동시에 테이블의 자유 상부면이 다른 차량부에서 전개되는 적어도 하나의 에어백에 대한 지지면을 형성할 수 있어서, 보호를 필요로 하는 경우, 동시에 탑승자의 머리 및/또는 상체가 보호된다.
탑승자 보호 장치는 예를 들어 충돌 및/또는 충돌 위험, 특히 충돌 또는 충돌 위험의 유형, 예를 들어 정면 충돌, 측면 충돌 또는 후방 충돌 또는 이에 대한 위험을 감지하는 충돌 센서 장치, 및/또는 탑승자의 착석 자세를 감지하는 탑승자 위치 센서 장치, 및/또는 차량 시트의 시트 설정을 감지하는 시트 설정 센서 장치,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되어야 하는 에어백에 대해 상대적인 탑승자 및/또는 차량 시트의 정렬을 감지하는 정렬 센서 장치를 포함한다.
충돌 센서 장치는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 센서, 라이더 센서, 초음파 센서, 레이더 센서, 힘 센서, 변형 센서, 동작 센서 및/또는 가속도 센서를 가질 수 있다. 각각의 센서 유형의 다수의 센서도 제공될 수 있다. 카메라 센서, 라이더 센서, 초음파 센서 및/또는 레이더 센서는 특히 차량 외부 환경을 감지하는 환경 감지 센서의 구조 부재이다.
탑승자 위치 센서 장치는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 센서, 라이더 센서, 초음파 센서, 레이더 센서, 힘 센서, 변형 센서, 동작 센서, 가속도 센서, 중량 센서, 접촉 센서, 특히 신체 접촉 센서 및/또는 안전 벨트 센서를 가질 수 있다. 이 센서들은 특히 차량 실내 감시 장치의 구조 부재이다. 각각의 센서 유형의 다수의 센서도 제공될 수 있다. 각각의 적어도 하나의 힘 센서, 변형 센서, 동작 센서, 가속도 센서, 중량 센서 및/또는 접촉 센서, 특히 신체 접촉 센서는 예를 들어 시트 착석 감지 장치의 구조 부재로서 예를 들어 차량 시트에 또는 차량 시트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안전 벨트 센서는 특히 차량 시트에 할당된 안전 벨트의 착용 상태, 즉 탑승자가 안전 벨트를 올바르게 착용했는지 여부, 특히 벨트 버클이 닫혔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데 이용된다. 예를 들어 이러한 안전 벨트 센서는 벨트 버클에 배치된다. 적어도 하나의 접촉 센서가 예를 들어 스티어링 휠 또는 테이블에 배치될 수 있다. 각각의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 센서, 라이더 센서, 초음파 센서 및/또는 레이더 센서는, 특히 감지 범위가, 탑승자가 착석, 특히 모든 가능한 착석 자세, 시트 설정 및 방향에서 차량 시트와 이에 착석한 경우 탑승자를 포함하도록 차량에 배치된다.
시트 설정 센서 장치는 예를 들어 차량 시트, 특히 시트의 조절 메커니즘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 또는 다수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시트 설정 센서 장치는 조절 메커니즘 자체에 의해서도 형성될 수 있다.
정렬 센서 장치는 탑승자 위치 센서 장치 및/또는 시트 설정 센서 장치와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동일할 수 있다, 즉 상기 언급한 하나 이상의 센서 또는 모든 센서를 이용할 수 있거나 동일한 센서들을 가질 수 있다. 이런 방식으로 각각 존재하는 요건에 상응하여 최적화된, 테이블의 탑승자 보호 위치가 가능해진다.
설명된 해결방법에 의해, 충돌 또는 충돌 위험이 감지된 때 존재하는 여건에 따라, 예를 들어 테이블 에어백을 전개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테이블 에어백이 가장 적합하게 위치 결정되도록 상응하게 최적화된 탑승자 보호 위치로 테이블이 이동된다. 예를 들어 특히 상체를 특별히 추가적으로 보호하지 않아도 되면서 무릎 부하가 상승할 것으로 예상되는 경우, 테이블 에어백이 무릎 에어백으로 이용되도록 테이블이 이동, 특히 회전된다.
대안적으로, 예를 들어 존재하는 여건에 따라, 예컨대 탑승자가 상응하는 시트 설정을 기초로 이른바 릴랙스 자세, 즉 긴장 완화 착석 자세인 경우, 즉 예를 들어 차량 시트가 후방으로 경사가 크고 예를 들어 추가적으로 후방으로 변위되어 다른 차량부의 에어백들이 탑승자에게 도달할 수 없다는 것이 감지된 경우, 테이블이 탑승자의 적어도 하나의 신체 구간, 특히 상체를 충돌로 인한 이동에 대항하여 지지하도록 테이블이 탑승자 보호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예를 들어 추가적으로 테이블에 대한 강한 충격을 방지하고 탑승자에 대해 보다 낮은 감속치를 달성하기 위해 특히 탑승자 방향으로 테이블 에어백이 전개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예를 들어 존재하는 여건에 따라, 특히 탑승자의 착석 자세가 다른 차량부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에어백에 대해 이미 최적이라는 것이 감지된 경우, 이러한 에어백에 대해 테이블이 지지면을 형성하고 이에 따라 이러한 에어백이 전개되는 동안 이를 최적으로 방향 유도, 안내 및/또는 지지하고/지지하거나 특히 전개된 상태에서 지지하도록 탑승자 보호 위치로 테이블이 이동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보다 자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똑바른 착석 자세의 탑승자를 포함한 차량을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2는 이완된 착석 자세의 탑승자를 포함한 차량을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3은 똑바른 착석 자세의 탑승자와 상방으로 전개된 테이블 에어백을 포함한 차량을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4는 이완된 착석 자세의 탑승자와 상방으로 전개된 테이블 에어백을 포함한 차량을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5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두 개의 회전 위치에 있는, 차량의 테이블을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6은 똑바른 착석 자세의 탑승자와 하방으로 전개된 테이블 에어백을 포함한 차량을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7은 똑바른 착석 위치의 탑승자와, 충돌에 의한 이동에 대항하여 탑승자의 적어도 하나의 신체 구간을 지지하도록 탑승자 보호 위치로 이동된 테이블을 포함하는 차량을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8은 이완된 착석 위치의 탑승자와, 충돌에 의한 이동에 대항하여 탑승자의 적어도 하나의 신체 구간을 지지하도록 탑승자 보호 위치로 이동된 테이블을 포함하는 차량을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9는 이완된 착석 위치의 탑승자와, 다른 차량부에서 전개된 에어백을 지지하도록 탑승자 보호 위치로 이동된 테이블을 포함하는 차량을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10은 이완된 착석 위치의 탑승자와, 다른 차량부에서 전개된 또다른 에어백을 지지하도록 탑승자 보호 위치로 이동된 테이블을 포함하는 차량을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11은 탑승자 보호 장치를 구비한 차량의 개략도이다.
서로 일치하는 부재는 모든 도에서 동일한 도면 부호로 표시된다.
도 1 내지 도 11을 기초로 이하에서 차량(2)용 탑승자 보호 장치(1), 적어도 하나의 이러한 탑승자 보호 장치(1)를 구비한 차량(2), 그리고 이러한 탑승자 보호 장치(1)를 작동시키는 방법이 설명된다. 탑승자 보호 장치(1)는 차량(2)의 차량 시트(3)에 할당된 적어도 하나의 테이블(4)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탑승자 보호 장치(1)는 다수의 이러한 테이블(4)을 가질 수 있고, 예를 들어 차량(2)의 다수의 또는 모든 차량 시트(3), 예를 들어 적어도 뒷좌석 시트 및/또는 조수석 시트에 각각 이러한 테이블(4)이 할당된다.
테이블(4)은 예를 들어 수납 위치에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각각의 테이블 사용 위치로, 그리고 다시 원래 위치로, 예를 들어 수동으로 및/또는 전기적으로, 특히 전동식으로 이동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이블 사용 위치는 차량 시트(3)에 착석한 탑승자(I)의 착석 자세에 좌우된다. 도 1에서 탑승자(I)는 표준 착석 자세라고도 하는 똑바른 착석 자세여서, 상대적으로 차량(2)의 계기판이라고도 하는 조종석(5) 가까이에 위치하고, 도 2에서는 예를 들어 차량 시트(3)가 후방으로 변위되고/변위되거나 차량 시트(3) 또는 적어도 차량 시트(3)의 시트백이 후방으로 경사지는 소위 릴랙스 자세, 즉 긴장 완화 자세여서 탑승자(I)가 조종석(5)으로부터 더욱 멀어진다. 도 7 및 도 8에서 테이블 사용 위치는 각각 파선으로 도시된다.
예를 들어 테이블(4)은 특히 테이블 홀더(6)에 의해 차량(2)의 센터 콘솔(7)과 연결된다. 수납 위치는 예를 들어 이 센터 콘솔(7)에 또는 센터 콘솔 내부에 위치한다. 알아보기 쉽도록 센터 콘솔(7)은 예시적으로 그리고 개략적으로 크게 단순화하여 도 1에만 도시된다.
테이블(4)은 예를 들어 접이식 테이블로 설계된다.
차량 시트(3)에 대해 이러한 테이블(4)이 제공됨으로써 차량(2)의 주행 중에 업무를 처리해야 할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는 점을 특히 고려한다. 이는 예를 들어 조수석 또는 차량(2)의 뒷좌석 시트에 착석한 동승자에게 해당되고, 차량(2)이 자동화된 주행, 특히 고도로 자동화된 주행 또는 자율 주행을 하는 경우 차량(2)의 운전자에게도 해당된다.
이를 위해 예를 들어 탑승자(I)는 특히 접이식 테이블(4)을 이용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테이블(4)은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입력 유닛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유닛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음향 출력 유닛을 갖는다. 입력 유닛은 예를 들어 키패드, 촉각 디스플레이 또는 제스처 인식 기능이 있는 프로젝션이다.
이러한 테이블(4)은 사고 상황에서, 즉 차량(2)이 충돌하는 경우 탑승자 안전에 위협이 될 수 있다는 것이 문제이다. 또한 긴장 완화 자세, 즉 뒤로 기댄 착석 자세에서는 종래의 구속 시스템, 특히 정면 에어백의 보호 효과가 감소한다.
탑승자 보호와 관련하여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차량(2)의 충돌이 감지된 경우 및/또는 차량 충돌 위험이 감지된 경우, 적어도 하나의 테이블(4)은 특히 테이블 사용 위치 및/또는 수납 위치에서 특히 활성화되어, 즉 특히 전기로, 특히 전동식으로 및/또는 공압식으로 및/또는 유압식으로 및/또는 파이로테크닉 방식으로 구동되어, 특히 자동으로, 테이블이 탑승자(I)의 적어도 하나의 신체 구간, 특히 상체를 충돌에 의한 이동에 대항하여 지지하고/지지하거나 다른 차량부에서 전개되는 적어도 하나의 에어백(8)에 대한 지지면을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탑승자 보호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이러한 지지면은 특히 에어백(8)이 전개되는 동안 에어백을 방향 유도, 안내 및/또는 지지하고/지지하거나, 특히 전개된 에어백(8)을 지지하도록 제공된다. 특히 탑승자 보호 장치(1)는 적어도 하나의 에어백(8) 또는 복수의 이러한 에어백들(8)을 포함한다.
전기식, 특히 전동식 및/또는 공압식 및/또는 유압식 구동 장치는 특히 테이블(4)의 가역적 이동을 가능하게 한다. 이는 충돌을 피할 가능성이 아직 있는, 충돌 위험이 감지된 경우 특히 바람직하다. 파이로테크닉 방식의 이동은 특히 신속하여, 특히 이미 차량(2)의 충돌이 이루어졌음이 감지된 경우 특히 적합하다.
탑승자 보호 위치로의 이러한 이동에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테이블(4)이 적어도 하나의 팽창식 보호 시스템(이하 테이블 에어백(9))을 갖는 것이 제공될 수 있다. 테이블 에어백(9)은 차량(2)의 충돌 또는 충돌 위험이 감지된 경우 특히 적어도 하나의 가스 발생기의 활성화, 특히 점화에 의해, 도 3에서 똑바른 착석 자세에 대해 그리고 도 4에서 긴장 완화 착석 자세에 대해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전개될 수 있다. 테이블 에어백(9)은 바람직하게는 테이블(4)과 함께 이동되도록 테이블(4)에 통합된다. 이로 인해, 탑승자(I)를 테이블(4)과의 강한 접촉으로부터 보호하는 것뿐만 아니라 긴장 완화 착석 자세로 누운 탑승자(I)를 조기에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테이블(4), 특히 적어도 하나의 입력 유닛, 출력 유닛 및/또는 디스플레이 유닛에는 테이블 에어백(9)의 전개를 활성화하기 위해 개구, 예를 들어 파열 플랩이 에어백 시스템의 경우와 같이 또는 기계적으로 및/또는 전기적으로 활성화될 수 있도록 제공되고, 이를 통해 테이블 에어백(9)이 특히 탑승자(I) 방향으로 및/또는 상방으로 전개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 개방된 에어백 플랩(10)이 도시되고, 이 에어백 플랩은 테이블 에어백(9)이 전개되지 않은 경우 닫힌 상태로 개구를 폐쇄한다.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테이블(4)은 차량(2)의 충돌 및/또는 충돌 위험이 감지된 경우 특히 테이블 사용 위치 및/또는 수납 위치에서 특히 활성화되어, 즉 특히 전기적으로, 특히 전동식으로 및/또는 공압식으로 및/또는 유압식으로 및/또는 파이로테크닉 방식으로 구동되어, 특히 자동으로 적어도 하나의 탑승자 보호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테이블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특히 자신의 테이블 홀더(6)에 대해 상대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회전축(DA)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고, 이때 도면에는 테이블(4)의 회전된 위치 및 추가적으로 회전하기 전 위치가 파선으로 도시된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테이블(4)은 예를 들어, 특히 자신의 테이블 홀더(6)에 대해 상대적으로 또는 자신의 테이블 홀더(6)와 함께 적어도 하나의 축을 중심으로 피벗될 수 있고/있거나, 변위 화살표(P)로 표시되는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축을 따라 특히 자신의 테이블 홀더(6)에 대해 상대적으로 변위, 즉 병진 변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다수의 이동 가능성 또는 언급한 모든 이동 가능성의 조합이 제공된다. 예를 들어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테이블(4)이 자신의 테이블 홀더(6)에 의해 설명된 방식으로 회전, 피벗 및/또는 변위될 수 있고, 테이블 홀더(6)의 연장 또는 단축에 의해 변위될 수 있고, 예를 들어 테이블 홀더(6)의 피벗에 의해 피벗될 수 있다. 이로 인해 특히, 적어도 하나의 테이블 에어백(9) 및/또는 다른 차량부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에어백(8)이 최적화된 방식으로 테이블(4)에 지지될 수 있고/있거나 테이블(4)이 충돌에 의한 이동에 대항하여 탑승자(I)의 적어도 하나의 신체 구간, 특히 상체를 지지할 수 있는 것이 가능해진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예를 들어, 테이블 에어백(9)이 테이블(4) 하부면에서 전개되고 이런 경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히 골반 및 대퇴를 더욱 잘 고정하고/고정하거나 조종석(5)에 대한 강한 충격으로부터 무릎을 보호하기 위해, 예를 들어 탑승자(I)의 골반 및/또는 다리, 특히 대퇴 및/또는 무릎을 보호하는 무릎 에어백으로 이용된다. 예를 들어 테이블(4)은 하나는 상방으로, 하나는 하방으로 전개될 수 있는 복수의 이러한 테이블 에어백(9)을 가질 수 있고,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테이블(4)은 각각 존재하는 여건에 적응된 탑승자 보호 위치로의 상기 설명된 테이블(4)의 이동에 의해 상응하게 정렬되는 하나의 테이블 에어백(9)만 갖는다.
예를 들어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돌 또는 충돌 위험이 감지된 때 존재하는 여건에 따라, 이 테이블 에어백(9)이 테이블(4)의 상부면을 형성하는 평면에서 예를 들어 상방으로 및/또는 탑승자(I) 방향으로 탑승자(I)의 상체 및/또는 머리를 보호하도록 전개되거나, 테이블(4)의 상응하는 이동, 특히 회전에 의해 테이블(4)의 하부면을 형성하는 평면에서 탑승자(I)의 골반 및/또는 다리, 특히 대퇴 및/또는 무릎을 보호하도록,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히 골반 및 대퇴를 더 잘 고정하고/고정하거나 조종석(5)에 대한 강한 충격으로부터 무릎을 보호하기 위해 전개되는 것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설명된 바와 같이, 바람직하게는, 차량(2)의 충돌이 감지된 경우 및/또는 차량 충돌 위험이 감지된 경우, 적어도 하나의 테이블(4)은 특히 테이블 사용 위치 및/또는 수납 위치에서 특히 능동적으로, 즉 특히 전기로, 특히 전동식으로 및/또는 공압식으로 및/또는 유압식으로 및/또는 파이로테크닉 방식으로 구동되어, 특히 자동으로, 테이블이 탑승자(I)의 적어도 하나의 신체 구간, 특히 상체를 충돌에 의한 이동에 대항하여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탑승자 보호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이는 도 7에서는 똑바른 착석 자세에 대해, 도 8에서는 탑승자(I)의 긴장 완화 착석 자세에 대해 예시적으로 도시된다. 이는 충돌 위험이 감지된 경우 특히 바람직하며, 이때 테이블(4)은 충돌 직전에 예방적으로("pre safe") 탑승자 보호 위치로 이동된다. 이와 같이 테이블(4)이 상체, 특히 가슴 앞에 위치 결정됨으로써, 탑승자가 편평하게 구속되는 것이 가능하여 탑승자의 가슴에 가해지는 부하가 감소된다. 예를 들어 추가적으로 테이블 에어백(9)이 탑승자(I) 방향으로 전개되는 것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설명된 바와 같이, 바람직하게는, 차량(2)의 충돌이 감지된 경우 및/또는 차량 충돌 위험이 감지된 경우, 적어도 하나의 테이블(4)은 특히 테이블 사용 위치 및/또는 수납 위치에서 특히 능동적으로, 즉 특히 전기로, 특히 전동식으로 및/또는 공압식으로 및/또는 유압식으로 및/또는 파이로테크닉 방식으로 구동되어, 특히 자동으로, 테이블이 다른 차량부에서 전개되는 적어도 하나의 에어백(8)에 대해 지지면을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탑승자 보호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이러한 지지면은 특히 에어백(8)이 전개되는 동안 에어백을 방향 유도, 안내 및/또는 지지하고/지지하거나, 특히 전개된 에어백(8)을 지지하도록 제공된다. 특히 탑승자 보호 장치(1)는 적어도 하나의 에어백(8)도 포함한다. 이러한 실시예의 예시가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다. 도 9는 정면 에어백이라고도 하고, 조종석(5)으로 설계된 또다른 차량부에서 전개된 에어백(8)을 도시하고, 도 10은 차량 시트(3)에 할당된 안전 벨트(11)로 설계된 차량부에서 전개된 에어백(8)을 도시한다. 이러한 에어백(8)은 벨트 백이라고도 한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테이블(4)은 상기 설명된 방식으로, 예를 들어 특히 예방적으로, 즉 충돌 위험이 감지된 경우 이미, 테이블(4)이 차량(2)에 존재하는 하나 이상의 다른 안전 구성 요소의 보호 작용을 높이는 안전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충돌 또는 충돌 위험이 감지된 경우 테이블(4)이 이동될 수 있거나 이동되는 탑승자 보호 위치는, 예를 들어 감지된 충돌 또는 충돌 위험의 유형, 예를 들어 정면 충돌, 측면 충돌 또는 후방 충돌 또는 이에 대한 위험, 및/또는 탑승자(I)의 착석 자세, 및/또는 차량 시트(3)의 시트 설정, 및/또는 차량 시트(3)에 할당된 안전 벨트(11)의 착용 상태, 즉 탑승자(I)가 올바르게 안전 벨트를 착용했는지 여부, 특히 벨트 버클이 닫혀 있는지 여부,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되어야 할 에어백(8)에 대해 상대적인 탑승자(I) 및/또는 차량 시트(3)의 정렬에 좌우된다.
도 11은 탑승자 보호 장치(1)를 구비한 차량(2)의 개략도를 크게 단순화하여 도시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탑승자 보호 장치(1)는 예를 들어 자신의 테이블 홀더(6)와 예를 들어 자신의 테이블 에어백(9)을 구비한 테이블(4)과, 예를 들어 다른 차량부에서 전개되는 적어도 하나의 에어백(8)과, 예를 들어 충돌 및/또는 충돌 위험, 특히 충돌 또는 충돌 위험의 유형, 특히 예를 들어 정면 충돌, 측면 충돌 또는 후방 충돌 또는 이에 대한 위험을 감지하는 충돌 센서 장치(12), 및/또는 탑승자의 착석 자세를 감지하는 탑승자 위치 센서 장치(13), 및/또는 차량 시트(3)의 시트 설정을 감지하는 시트 설정 센서 장치(14),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되어야 하는 에어백(8)에 대해 상대적인 탑승자(I), 및/또는 차량 시트(3)의 정렬을 감지하는 정렬 센서 장치(15)를 포함한다.
충돌 센서 장치(12)는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 센서, 라이더 센서, 초음파 센서, 레이더 센서, 힘 센서, 변형 센서, 동작 센서 및/또는 가속도 센서를 가질 수 있다. 각각의 센서 유형의 다수의 센서도 제공될 수 있다. 카메라 센서, 라이더 센서, 초음파 센서 및/또는 레이더 센서는 특히 차량(2)의 외부 환경을 감지하는 환경 감지 센서의 구조 부재이다.
탑승자 위치 센서 장치(13)는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 센서, 라이더 센서, 초음파 센서, 레이더 센서, 힘 센서, 변형 센서, 동작 센서, 가속도 센서, 중량 센서, 접촉 센서, 특히 신체 접촉 센서 및/또는 안전 벨트 센서를 가질 수 있다. 이 센서들은 특히 차량(2)의 실내 감시 장치의 구조 부재이다. 각각의 센서 유형의 다수의 센서도 제공될 수 있다. 각각의 적어도 하나의 힘 센서, 변형 센서, 동작 센서, 가속도 센서, 중량 센서 및/또는 접촉 센서, 특히 신체 접촉 센서는 예를 들어 시트 착석 감지 장치의 구조 부재로서 예를 들어 차량 시트(3)에 또는 차량 시트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안전 벨트 센서는 특히 차량 시트(3)에 할당된 안전 벨트(11)의 착용 상태, 즉 탑승자(I)가 안전 벨트를 올바르게 착용했는지 여부, 특히 벨트 버클이 닫혔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데 이용된다. 예를 들어 이러한 안전 벨트 센서는 벨트 버클에 배치된다. 적어도 하나의 접촉 센서는 예를 들어 스티어링 휠 또는 테이블(4)에 배치될 수 있다. 각각의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 센서, 라이더 센서, 초음파 센서 및/또는 레이더 센서는, 특히 감지 범위가, 탑승자가 착석, 특히 모든 가능한 착석 자세, 시트 설정 및 방향에서 차량 시트(3)와, 이에 착석한 경우 탑승자(I)를 포함하도록 차량(2)에 배치된다.
시트 설정 센서 장치(14)는 예를 들어 차량 시트(3), 특히 시트의 조절 메커니즘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 또는 다수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시트 설정 센서 장치(14)는 조절 메커니즘 자체에 의해서도 형성될 수 있다.
정렬 센서 장치(15)는 탑승자 위치 센서 장치(13) 및/또는 시트 설정 센서 장치(14)와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동일할 수 있다, 즉 상기 언급한 하나 이상의 센서 또는 모든 센서를 이용할 수 있거나 동일한 센서들을 가질 수 있다.
1 탑승자 보호 장치
2 차량
3 차량 시트
4 테이블
5 조종석
6 테이블 홀더
7 센터 콘솔
8 에어백
9 테이블 에어백
10 에어백 플랩
11 안전 벨트
12 충돌 센서 장치
13 탑승자 위치 센서 장치
14 시트 설정 센서 장치
15 정렬 센서 장치
DA 회전축
I 탑승자
P 변위 화살표

Claims (11)

  1. 차량 시트(3)에 할당된 적어도 하나의 테이블(4)을 포함하는 차량(2)용 탑승자 보호 장치(1)로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테이블(4)은 상기 차량(2)의 충돌 및/또는 충돌 위험이 감지된 경우, 상기 테이블이 충돌에 의한 이동에 대항하여 적어도 탑승자(I)의 상체를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탑승자 보호 위치로 능동적으로 이동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탑승자 보호 장치(1).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테이블(4)은 다른 차량부에서 전개된 적어도 하나의 에어백(8)에 대해 지지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탑승자 보호 장치(1).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에어백(8)을 포함하는, 탑승자 보호 장치(1).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탑승자 보호 위치는,
    - 감지된 충돌 또는 충돌 위험의 유형, 및/또는
    - 상기 탑승자(I)의 착석 자세, 및/또는
    - 상기 차량 시트(3)의 시트 설정, 및/또는
    - 상기 차량 시트(3)에 할당된 안전 벨트(11)의 착용 상태, 및/또는
    -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지지되어야 할 에어백(8)에 대해 상대적인 상기 탑승자(I) 및/또는 상기 차량 시트(3)의 정렬에 좌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탑승자 보호 장치(1).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4)은 전기식으로, 공압식으로, 유압식으로 및/또는 파이로테크닉 방식으로 적어도 하나의 탑승자 보호 위치로 이동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탑승자 보호 장치(1).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4)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탑승 자 보호 위치로 능동적으로 이동되도록 적어도 하나의 회전축(DA)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고 그리고/또는 적어도 하나의 축을 중심으로 피벗 가능하고 그리고/또는 적어도 하나의 축을 따라 변위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탑승자 보호 장치(1).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4)은 상기 차량(2)의 센터 콘솔(7)과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탑승자 보호 장치(1).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4)은 상기 차량(2)의 충돌 또는 충돌 위험이 감지된 경우 전개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테이블 에어백(9)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탑승자 보호 장치(1).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 충돌 및/또는 충돌 위험을 감지하는 충돌 센서 장치(12), 및/또는
    - 상기 탑승자(I)의 착석 자세를 감지하는 탑승자 위치 센서 장치(13), 및/또는
    - 상기 차량 시트(3)의 시트 설정을 감지하는 시트 설정 센서 장치(14), 및/또는
    -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지지되어야 할 에어백(8)에 대해 상대적인 상기 탑승자(I) 및/또는 상기 차량 시트(3)의 정렬을 감지하는 정렬 센서 장치(15)를 포함하는, 탑승자 보호 장치(1).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탑승자 보호 장치(1)를 구비한 차량(2).
  11.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탑승자 보호 장치(1)를 작동시키는 방법으로서, 상기 차량(2)의 충돌 또는 충돌 위험이 감지된 경우, 적어도 하나의 테이블(4)이 충돌에 의한 이동에 대항하여 탑승자(I)의 적어도 하나의 신체 구간을 지지하고 그리고/또는 다른 차량부에서 전개된 적어도 하나의 에어백(8)에 대한 지지면을 형성하는, 탑승자 보호 위치로 능동적으로 이동되는, 탑승자 보호 장치(1)를 작동시키는 방법.
KR1020237040394A 2021-06-28 2022-06-21 차량용 탑승자 보호 장치, 적어도 하나의 탑승자 보호 장치를 구비한 차량 및 탑승자 보호 장치를 작동시키는 방법 KR2023017528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21003331.0 2021-06-28
DE102021003331.0A DE102021003331A1 (de) 2021-06-28 2021-06-28 Insassenschutzvorrichtung für ein Fahrzeug, Fahrzeug mit mindestens einer Insassenschutz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Betrieb einer Insassenschutzvorrichtung
PCT/EP2022/066916 WO2023274793A1 (de) 2021-06-28 2022-06-21 Insassenschutzvorrichtung für ein fahrzeug, fahrzeug mit mindestens einer insassenschutz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betrieb einer insassenschutzvorrichtun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75289A true KR20230175289A (ko) 2023-12-29

Family

ID=822706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40394A KR20230175289A (ko) 2021-06-28 2022-06-21 차량용 탑승자 보호 장치, 적어도 하나의 탑승자 보호 장치를 구비한 차량 및 탑승자 보호 장치를 작동시키는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4363278A1 (ko)
KR (1) KR20230175289A (ko)
CN (1) CN117500700A (ko)
DE (1) DE102021003331A1 (ko)
WO (1) WO2023274793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08566A (ja) 2008-03-03 2009-09-17 Nissan Motor Co Ltd 乗員膝保護装置付き回転テーブル
JP6872389B2 (ja) * 2017-03-15 2021-05-19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用テーブル装置
US11091110B2 (en) 2017-03-16 2021-08-17 Honda Motor Co., Ltd. Occupant protection device
KR102614144B1 (ko) 2018-10-17 2023-12-1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테이블용 에어백
DE102019210001B4 (de) 2019-07-08 2022-03-24 Audi Ag Kraftfahrzeug mit einer Ablageeinrichtu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363278A1 (de) 2024-05-08
DE102021003331A1 (de) 2022-12-29
WO2023274793A1 (de) 2023-01-05
CN117500700A (zh) 2024-0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87177B2 (en) Airbag assemblies for vehicles with generous leg room
KR102614143B1 (ko) 차량용 멀티 전방에어백 및 이를 이용한 에어백 전개시스템
US11535185B2 (en) Roof-mounted occupant restraint system
US10518733B2 (en) Seat with airbag
US11458922B2 (en) Floor-mounted occupant restraint system
US11865996B2 (en) Seat-mounted occupant restraint system
US11897409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floor-mounted passenger lower leg protection
CN114126931A (zh) 安装在车顶上的乘员约束系统
CN112455383A (zh) 安装在底板上的乘员约束系统
US11292420B2 (en) Inflatable airbag assemblies for a utility component-equipped vehicle seating position
CN110325408B (zh) 车辆乘员约束设备和用于运行车辆乘员约束设备的方法
US11279314B2 (en) Occupant restraint system
US11541840B2 (en) Side airbag assembly
CN111284441A (zh) 用于车辆的乘客保护系统
US11214214B2 (en) Vehicle seat incorporating a seat bottom front edge airbag
US11066033B2 (en) Seat-mounted occupant restraint system
US11267427B1 (en) Side airbag assembly
CN114763120A (zh) 乘员约束系统
CN111169338A (zh) 具有可展开面板的车辆座椅
KR20210060236A (ko) 차량의 프런트 에어백장치
JP7381772B2 (ja) シート内蔵エアバッグ装置
JPH04166452A (ja) 乗員保護装置
KR20230175289A (ko) 차량용 탑승자 보호 장치, 적어도 하나의 탑승자 보호 장치를 구비한 차량 및 탑승자 보호 장치를 작동시키는 방법
KR20210075782A (ko) 차량용 에어백 장치
US11634096B2 (en) Seat-mounted occupant restraint syst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