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75277A - 구리 분말 - Google Patents

구리 분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75277A
KR20230175277A KR1020237040255A KR20237040255A KR20230175277A KR 20230175277 A KR20230175277 A KR 20230175277A KR 1020237040255 A KR1020237040255 A KR 1020237040255A KR 20237040255 A KR20237040255 A KR 20237040255A KR 20230175277 A KR20230175277 A KR 202301752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pper powder
copper
temperature
bulk density
pow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402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레이나 츠치하시
히로노리 오리카사
Original Assignee
제이엑스금속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이엑스금속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제이엑스금속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301752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75277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FWORKING METALLIC POWDER; MANUFACTURE OF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MAKING METALLIC POWDER;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ETALLIC POWDER
    • B22F1/00Metallic powder; Treatment of metallic powder, e.g. to facilitate working or to improve properties
    • B22F1/05Metallic powder characterised by the size or surface area of the particles
    • B22F1/052Metallic powder characterised by the size or surface area of the particles characterised by a mixture of particles of different sizes or by the particle size distribu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FWORKING METALLIC POWDER; MANUFACTURE OF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MAKING METALLIC POWDER;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ETALLIC POWDER
    • B22F1/00Metallic powder; Treatment of metallic powder, e.g. to facilitate working or to improve properties
    • B22F1/05Metallic powder characterised by the size or surface area of the p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FWORKING METALLIC POWDER; MANUFACTURE OF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MAKING METALLIC POWDER;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ETALLIC POWDER
    • B22F9/00Making metallic powder or suspensions thereof
    • B22F9/16Making metallic powder or suspensions thereof using chemical processes
    • B22F9/18Making metallic powder or suspensions thereof using chemical processes with reduction of metal compounds
    • B22F9/24Making metallic powder or suspensions thereof using chemical processes with reduction of metal compounds starting from liquid metal compounds, e.g. solu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1/00Making non-ferrous alloys
    • C22C1/04Making non-ferrous alloys by powder metallurgy
    • C22C1/0425Copper-based alloy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9/00Alloys based on copp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wder Metallurgy (AREA)
  • Manufacture Of Metal Powder And Suspensions Thereof (AREA)

Abstract

구리 입자를 포함하는 구리 분말이며, 충전 부피 밀도가 1.30g/㎤ 내지 2.96g/㎤이며, 구리 입자의 체적 기준의 입자경 히스토그램에서 누적 빈도가 50%가 될 때의 50% 입자경 D50과, 당해 구리 분말에 대한 분말 X선 회절법으로 얻어지는 X선 회절 프로파일 중의 Cu(111)면의 회절 피크로부터, 쉐러의 식을 이용하여 구한 결정자경 D가, D/D50≥0.060을 충족한다.

Description

구리 분말
본 명세서는, 구리 분말에 관한 기술을 개시하는 것이다.
구리 분말을 포함하고, 인쇄에 의한 기재 위에서의 회로 형성이나 반도체 소자와 기재의 접합 등에 사용되는 도전성 페이스트에는, 사용 시에, 당해 구리 분말을 구성하는 구리 입자끼리를 가열에 의해 소결시키는 소결형의 것이 있다.
소결형의 도전성 페이스트는, 비교적 저온의 가열로 구리 분말이 소결될 것이 요구된다. 이것은 즉, 가열 시의 온도가 높은 경우, 그 열이 기재나 반도체 소자에 영향을 미칠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또한, 고온에서 가열한 후의 냉각 시에 기재 내지 반도체 소자에 큰 열응력이 발생하고, 이러한 점이 회로나 반도체 소자의 전기적 특성을 변화시킬 우려도 있다.
이것에 관하여, 특허문헌 1은, 「대면적의 부재를 비교적 저온에서 접합하는 경우라도, 충분한 접합 강도를 얻을 수 있는 도전성 도포 재료를 제공한다」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반도체 소자를 기재에 접합하기 위한 도전성 도포 재료이며, 금속 분말과, 비가열 경화형 수지와, 분산매를 포함하고, 25℃에 있어서, 전단 속도가 0.01 내지 100[/s]의 범위에 있어서의 전단 응력이, 전단 속도에 대하여 단조 증가이며, 금속 분말의 부피 밀도가 3[g/㎤] 미만인, 도전성 도포 재료」를 개시하고 있다.
특허문헌 2에는, 「복수의 구리 입자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구리 입자의 체적 기준의 입자경 히스토그램에 있어서의 누적 빈도가 50%가 될 때의 입자경 D50이 100㎚ 이상 500㎚ 이하이며, 상기 D50에 대한 상기 복수의 구리 입자의 평균 결정자경 D의 비 D/D50이 0.10 이상 0.50 이하인, 구리 분말체」가 기재되어 있다.
일본 특허 제6563617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20-180328호 공보
구리 분말의 저온 소결에 대해서는 다양한 연구 개발이 진행되고 있지만, 보다 더 저온에서 소결할 것이 요구되는 경우가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우수한 저온소결성을 갖는 구리 분말을 개시한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구리 분말은, 구리 입자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충전 부피 밀도가 1.30g/㎤ 내지 2.96g/㎤이며, 구리 입자의 체적 기준의 입자경 히스토그램에서 누적 빈도가 50%가 될 때의 50% 입자경 D50과, 당해 구리 분말에 대한 분말 X선 회절법으로 얻어지는 X선 회절 프로파일 중의 Cu(111)면의 회절 피크로부터, 쉐러의 식을 이용하여 구한 결정자경 D가, D/D50≥0.060을 충족하는 것이다.
상술한 구리 분말은, 우수한 저온소결성을 갖는 것이다.
도 1은 실시예의 구리 분말의 충전 부피 밀도와 TMA 5% 수축 온도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2는 실시예의 구리 분말의 D/D50과 TMA 5% 수축 온도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이하에, 상술한 구리 분말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나의 실시 형태의 구리 분말은, 구리 입자를 포함하고, 충전 부피 밀도가 1.30g/㎤ 내지 2.96g/㎤이며, 구리 입자의 체적 기준의 입자경 히스토그램에서 누적 빈도가 50%가 될 때의 50% 입자경 D50과, 당해 구리 분말에 대한 분말 X선 회절법으로 얻어지는 X선 회절 프로파일 중의 Cu(111)면의 회절 피크로부터, 쉐러의 식을 이용하여 구한 결정자경 D가, D/D50≥0.060을 충족하는 것이다.
실시예의 항목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구리 분말은, 충전 부피 밀도가 1.30g/㎤ 내지 2.96g/㎤이며, 또한 D/D50≥0.060이면, 열 기계 분석(TMA)에 의한 선수축률이 5%가 될 때의 온도가 유효하게 낮아진다는 새로운 지견이 얻어졌다. 열 기계 분석에 있어서의 5%의 선수축률일 때의 온도는, 구리 분말의 소결이 진행되어 전기 저항이 어느 정도 낮아질 때의 온도를 의미한다. 따라서, 열 기계 분석의 5% 선수축률의 온도가 낮은 구리 분말은, 그와 같은 낮은 온도에서 충분히 소결되고, 저온소결성이 우수한 것이라고 간주할 수 있다.
충전 부피 밀도가 1.30g/㎤ 내지 2.96g/㎤의 범위 내여도, D/D50이 0.060 미만인 경우나, D/D50이 0.060 이상이어도, 충전 부피 밀도가 1.30g/㎤ 내지 2.96g/㎤의 범위로부터 벗어나는 경우에는, 열 기계 분석에서의 5% 선수축률의 온도가 어느 정도 높아져서 기대한 저온소결성을 실현할 수 없다. 본 실시 형태의 구리 분말은, 충전 부피 밀도가 1.30g/㎤ 내지 2.96g/㎤이고, D/D50≥0.060이므로, 우수한 저온소결성을 갖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충전 부피 밀도)
구리 분말의 충전 부피 밀도는 1.30g/㎤ 내지 2.96g/㎤이다. 50% 입자경 D50과 결정자경 D의 비(D/D50)가 0.060 이상이고, 충전 부피 밀도가 이 범위 내이면, 열 기계 분석에 의한 선수축률이 5%가 될 때의 온도가 290℃ 이하로 충분히 낮아진다.
또한, 구리 분말의 충전 부피 밀도에 대해서는, 상술한 특허문헌 1에도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충전 부피 밀도가 낮은 쪽이 저온소결성이 우수하다고 생각되고 있었다. 이에 반하여, 실시예의 항목에서 나타내는 결과에서도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D/D50≥0.060인 경우 충전 부피 밀도는 낮아짐에 따라 2.00g/㎤ 정도가 될 때까지는 소결 온도가 저하되지만, 그보다도 낮아지면 소결 온도가 상승하고, 특히 1.30g/㎤을 하회하면 소결 온도가 급증할 수 있다. 또한, 충전 부피 밀도가 2.96g/㎤보다도 높은 경우에도, 소결 온도가 크게 상승한다.
이와 같은 지견에서, 충전 부피 밀도는 1.30g/㎤ 내지 2.96g/㎤로 하고, 바람직하게는 1.80g/㎤ 내지 2.80g/㎤로 한다.
충전 부피 밀도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예를 들어 호소카와 미크론(주) 제조의 파우더 테스터 PT-X를 사용하여, 10cc의 컵에 가이드를 설치하여 구리 분말을 넣고, 1000회 탭한다. 그 후, 가이드를 떼어 내어, 컵의 10cc의 용적을 상회하고 있는 부분을 평미레질하고, 컵에 들어 있는 구리 분말의 중량을 측정한다. 이 중량을 사용함으로써 충전 부피 밀도를 구할 수 있다.
(50% 입자경과 결정자경의 비)
구리 분말의 50% 입자경 D50에 대한 결정자경 D의 비(D/D50)는 0.060 이상으로 한다. 충전 부피 밀도가 상술한 소정의 범위 내인 경우에는, D/D50이 0.060 이상이면, 소결 온도가 충분히 낮아진다.
충전 부피 밀도가 소정의 범위여도 D/D50이 0.060 미만인 구리 분말은, 열 기계 분석에서의 선수축률이 5%가 될 때의 온도가 290℃ 이하라는 저온소결성을 달성할 수 없다. 이러한 관점에서, D/D50은 0.065 이상인 것이 적합하다. D/D50은 0.065 내지 0.095인 경우가 있다.
50% 입자경 D50은, 레이저 회절/산란식 입경 분포 측정 장치를 사용하여 구리 분말 중의 구리 입자의 입자경을 측정하고, 그것에 의해 얻어지는 입자경 히스토그램(입자경 분포 그래프)에서 구리 입자의 체적 기준의 빈도 누적이 50%가 되는 입자경을 의미하고, JIS Z8825(2013)에 기초하여 측정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50% 입자경 D50의 측정에서는, Malvern사 제조의 MASTERSIZER 3000을 사용할 수 있고, 분산매: 헥사메타인산나트륨 수용액, 광학 파라미터: 입자 흡수율 5.90, 입자 흡수율(청색) 0.92, 입자 굴절률 3.00, 입자 굴절률(청색) 0.52, 산란 강도: 6-8%의 조건으로 할 수 있다.
결정자경 D는, 단결정으로 간주할 수 있는 결정자의 평균 직경을 의미하고, 구리 분말에 대한 분말 X선 회절법으로 얻어지는 X선 회절 프로파일 중의 Cu(111)면의 회절 피크로부터, 쉐러의 식을 이용하여 구해진다. 결정자경을 구함에 있어서는, (주)리가쿠 제조의 RINT-2200 Ultima를 사용하여 CuKα선, 가속 전압 45KV, 200㎃의 조건으로 하여, 해석 소프트웨어 PDXL2를 사용할 수 있다.
(BET 비표면적)
구리 분말의 BET 비표면적은 0.5㎡/g 내지 10.0㎡/g인 것이 바람직하다. BET 비표면적이 10.0㎡/g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내산화성을 담보하는 것이 어렵고, 또한 흡습이나 응집 등에 의해, 페이스트 특성에 문제가 발생할 것이 염려된다. 한편, BET 비표면적이 0.5㎡/g 미만인 경우에는, 구리 분말의 입경이 커서 페이스트를 인쇄한 회로나 접합면의 평활성이 충분하지 않을 것이 염려된다. 이러한 관점에서, 구리 분말의 BET 비표면적은 0.5㎡/g 내지 10.0㎡/g인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2.0㎡/g 내지 7.0㎡/g인 것이 보다 더 바람직하다.
구리 분말의 BET 비표면적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구리 분말을 진공 중에서 70℃의 온도에서 5시간에 걸쳐 탈기한 후, JIS Z8830:2013에 준거하여, 예를 들어 마이크로트랙·벨사의 BELSORP-mini II를 사용하여 행할 수 있다.
(탄소 함유량)
구리 분말은, 탄소 함유량이 0.50질량% 이하인 것, 또한 0.30질량% 이하, 특히 0.15질량% 이하인 것이 적합하다. 탄소분이 많으면, 소성 시에 잔류하는 고형 탄소가 소결을 방해할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탄소 함유량은, 고주파 유도 가열로 연소-적외선 흡수법에 의해 측정한다. 구체적으로는, LECO제 CS844형 등의 탄소 황 분석 장치를 사용하여, 조연제를 LECO제 LECOCEL II 및 Fe칩 등으로 하고, 검량선에 스틸 핀을 사용하여, 구리 분말의 탄소 함유량을 측정할 수 있다.
(수소 환원 감량)
구리 분말의 수소 환원 감량은, 수소를 2체적% 내지 100체적% 함유하는 분위기하, 구리 분말을 800℃에서 10분 이상 가열했을 때의 중량 감소분으로서 측정할 수 있다. 수소 환원 감량이 많은 경우에는, 구리 분말 중의 구리 입자의 산화가 진행되고 있다고 생각되고, 그것에 의해 소결이 진행되기 어려워질 것이 염려된다. 이러한 점에서, 구리 분말의 수소 환원 감량은 1.5% 이하, 특히 1.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저온소결성)
또한, 상기 구리 분말은, 거기에 포함되는 구리 입자끼리가 비교적 낮은 온도에서 소결되는 것이 가능한 것이다. 이러한 저온소결성은, 다음과 같이 하여 확인할 수 있다. 약 0.3g의 구리 분말을 직경 5㎜의 원기둥형의 형태로 충전하고 나서 1축 가압을 행하고, 높이가 약 3㎜인 원기둥형이며 밀도가 4.7±0.1g/cc인 압분체 펠릿을 제작한다. 그 후, 열 기계 분석 장치(TMA)를 사용하여, 수소(H2)를 2체적%로 포함함과 함께 잔부가 질소(N2)인 분위기하, 상기 압분체 펠릿을 25℃ 내지 10℃/min의 속도로 승온한다. 이때, 온도의 상승에 수반하여, 압분체 펠릿을 구성하는 구리 입자가 소결되어 압분체의 체적은 감소하고, 금속 구리의 밀도(약 8.9g/㎤)에 근접한다. 그와 같은 압분체 펠릿의 수축 방향의 원기둥 높이의 변화율을 선수축률이라고 칭하면, 이 선수축률이 5%가 될 때의 온도가 낮은 쪽이, 우수한 저온소결성을 갖는 구리 분말이라고 평가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선수축률이 5%가 될 때의 온도가 35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조 방법)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구리 분말은, 예를 들어 화학 환원법 또는 불균화법을 이용하는 것 등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구리 분말의 제조는 그것들에 한정되지 않지만, 화학 환원법의 상세에 대해서는 다음과 같다.
화학 환원법에 의한 경우에는, 예를 들어 원료 용액으로서, 구리염 수용액, 알칼리 수용액 및 환원제 수용액 등을 준비하는 공정과, 그것들의 원료 용액을 혼합, 반응시켜, 구리 입자를 포함하는 슬러리를 얻는 공정과, 구리 입자를 세정하는 공정과, 고액 분리를 행하는 공정과, 건조하는 공정과, 필요에 따라 분쇄하는 공정을 이 순서로 행한다.
보다 구체적인 일례에서는, 황산구리 수용액을, 적절한 반응 온도로 승온한 후,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이나 암모니아 수용액으로 pH를 조정한 후, 히드라진 수용액을 단번에 첨가하여 반응을 행하고, 황산구리를 입경 100㎚ 정도의 아산화구리 입자로 환원한다. 아산화구리 입자를 포함하는 슬러리를 반응 온도로 승온한 후, 수산화나트륨과 히드라진을 포함하는 수용액을 적하하고, 또한 그 후에 히드라진 수용액을 적하함으로써 아산화구리 입자를 구리 입자로 환원시킨다. 반응 종료 후, 얻어진 슬러리를 여과하고, 이어서 순수 및 메탄올로 세정하고, 또한 건조시킨다. 이에 의해, 구리 분말이 얻어진다.
황산구리 수용액에 첨가하는 히드라진 등의 환원제는, 2가의 구리를 1가의 구리(아산화구리)로 환원하기 위한 것이다. 이때, 환원제를 단번에 첨가하면, 그것에 의해 생성되는 아산화구리 입자가 상기와 같이 미세해지기 쉽다. 비교적 미세한 아산화구리 입자가 생성된 후에는 환원제를 나누어 첨가할 수 있다. 아산화구리 입자의 생성 후, 주로 1회째에 첨가하는 환원제는, 금속 구리의 핵의 생성에 이용되고, 또한 2회째에 첨가하는 환원제는, 그 금속 구리의 핵의 성장에 이용될 수 있다. 그 결과로서, 구리 분말의 충전 부피 밀도 및 50% 입자경과 결정자경의 비가 적합하게 제어되는 경향이 있다.
또한, 상기 제조에서는, 구리염 수용액으로서, 황산구리 혹은 질산염의 수용액을 사용할 수 있다. 알칼리 수용액은 구체적으로는, NaOH, KOH 혹은 NH4OH 등의 수용액으로 하는 경우가 있다. 환원제 수용액의 환원제로서는, 히드라진 외에 수소화붕소나트륨이나 글루코오스 등의 유기물을 들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 구리 분말을 제조하는 과정의 도중에, 착화제나 분산제 등의 유기물을 첨가해도 된다. 예를 들어, 원료 용액을 준비하는 공정으로부터, 구리 입자를 포함하는 슬러리를 얻는 공정까지의 사이에 젤라틴이나 암모니아, 아라비아 고무 등을 1회 이상 첨가할 수 있다.
(용도)
이와 같이 하여 제조된 구리 분말은, 예를 들어 수지 재료 및 분산매 등과 혼합해서 페이스트상으로 하고, 반도체 소자와 기판의 접합이나 배선 형성에 사용될 수 있는 도전성 페이스트 등에 사용하는 데 특히 적합하다.
실시예
다음으로, 상술한 구리 분말을 시작(試作)하고, 그 효과를 확인하였으므로 이하에 설명한다. 단, 여기에서의 설명은 단순한 예시를 목적으로 한 것이며, 이것에 한정되는 것을 의도하는 것은 아니다.
(발명예 1)
처음에 황산구리 5수화물 2400g과 시트르산 30g을 8.7L의 순수에 녹인 수용액에, 수산화나트륨 540g과 히드라진 1수화물 144g의 혼합 수용액 6.7L를 단번에 혼합하고, 아산화구리의 나노 입자(평균 입경이 약 100㎚)를 포함하는 슬러리를 합성하였다. 이어서, 이 아산화구리 입자가 현탁한 슬러리를 50℃ 이상으로 가열하고 나서, 히드라진 1수화물 43g과 수산화나트륨 409g의 혼합 수용액 4.5L를 적하하고,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을 첨가하여, pH를 조정하고 나서, 히드라진 1수화물 101g의 수용액 1.3L를 적하하였다. 반응 종료 후, 디캔테이션을 반복해서 수세하고, 건조·분쇄를 행하여, 구리 분말을 얻었다.
(발명예 2, 3)
아산화구리를 포함하는 슬러리를 합성할 때까지는 발명예 1과 마찬가지로 하였다. 이어서, 히드라진 1수화물 29g과 수산화나트륨 409g의 혼합 수용액 4.5L를 적하하고 나서, pH를 조정하고, 또한 히드라진 1수화물 115g의 수용액 1.3L를 적하하여 아산화구리를 금속 구리로 환원하고, 마찬가지로 수세·건조·분쇄를 행하였다.
(발명예 4, 5)
아산화구리를 포함하는 슬러리를 합성할 때까지는 발명예 1과 마찬가지로 하였다. 이어서, 히드라진 1수화물 43g과 수산화나트륨 409g의 혼합 수용액 4.5L를 적하하고 나서, pH를 조정하고, 또한 히드라진 1수화물 101g의 수용액 1.3L를 적하하여 아산화구리를 금속 구리로 환원하고, 마찬가지로 수세·건조·분쇄를 행하였다.
(발명예 6, 10, 11)
아산화구리를 포함하는 슬러리를 합성할 때까지는 발명예 1과 마찬가지로 하였다. 이어서, 히드라진 1수화물 72g과 수산화나트륨 409g의 혼합 수용액 4.5L를 적하하고 나서, pH를 조정하고, 또한 히드라진 1수화물 72g의 수용액 1.3L를 적하하여 아산화구리를 금속 구리로 환원하고, 마찬가지로 수세·건조·분쇄를 행하였다.
(발명예 7)
아산화구리를 금속 구리로 환원한 후, 막여과로 고액 분리를 반복하여 세정한 것을 제외하고, 발명예 2와 실질적으로 마찬가지로 하여, 구리 분말을 얻었다.
(발명예 8)
아산화구리를 포함하는 슬러리를 합성할 때까지는 발명예 1과 마찬가지로 하였다. 이어서, 히드라진 1수화물 101g과 수산화나트륨 409g의 혼합 수용액 4.5L를 적하하고 나서, pH를 조정하고, 또한 히드라진 1수화물 43g의 수용액 1.3L를 적하하여 아산화구리를 금속 구리로 환원하고, 마찬가지로 수세·건조·분쇄를 행하였다.
(발명예 9)
아산화구리를 포함하는 슬러리를 합성할 때까지는 발명예 1과 마찬가지로 하였다. 이어서, 히드라진 1수화물 72g과 수산화나트륨 409g의 혼합 수용액 4.5L를 적하하고 나서, pH를 조정하고, 또한 히드라진 1수화물 72g의 수용액 1.3L를 적하하여 아산화구리를 금속 구리로 환원하고, 마찬가지로 수세·건조·분쇄를 행하였다.
(발명예 12, 13)
아산화구리를 포함하는 슬러리를 합성할 때까지는 발명예 1과 마찬가지로 하였다. 이어서, 히드라진 1수화물 72g과 수산화나트륨 409g의 혼합 수용액 4.5L를 적하하고 나서, pH를 조정하고, 또한 히드라진 1수화물 72g의 수용액 1.3L를 적하하여 아산화구리를 금속 구리로 환원하고, 마찬가지로 수세·건조·분쇄를 행하였다.
(비교예 1)
처음에 황산구리 5수화물 500g과 시트르산 6g을 1.8L의 순수에 녹인 수용액에, 수산화나트륨 113g과 히드라진 1수화물 30g의 혼합 수용액 1.3L를 단번에 혼합하고, 아산화구리의 나노 입자(평균 입경이 약 100㎚)를 포함하는 슬러리를 합성하였다. 이어서, 이 아산화구리 입자가 현탁한 슬러리를 50℃ 이상으로 가열하고 나서, 히드라진 1수화물 3g과 수산화나트륨 55g의 혼합 수용액 0.5L를 적하하고,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을 첨가하여, pH를 조정하고 나서 히드라진 1수화물 27g의 수용액 0.28L를 적하하였다. 반응 종료 후, 디캔테이션을 반복해서 수세하고, 건조·분쇄를 행하여, 구리 분말을 얻었다.
(비교예 2)
아산화구리를 포함하는 슬러리를 합성할 때까지는 비교예 1과 마찬가지로 하였다. 다음으로, 히드라진 1수화물 14.4g과 수산화나트륨 409g의 혼합 수용액 4.5L를 적하하고 나서, pH를 조정하고, 또한 히드라진 1수화물 129.6g의 수용액 1.3L를 적하하여 아산화구리를 금속 구리로 환원하고, 마찬가지로 수세·건조·분쇄를 행하였다.
(비교예 3)
비교예 2와 동일 조건에서 아산화구리를 금속 구리로 환원한 후, 해당 구리 입자 600g에, 말론산 0.3g을 함유하는 수용액 2L를 첨가하고, 실온하에서 350rpm으로 60분 교반하고, 세정·건조를 행하여 구리 분말을 제작하였다.
(평가)
상기 발명예 1 내지 13 및 비교예 1 내지 4의 각각의 구리 분말에 대하여, 상술한 방법에 따라서, 충전 부피 밀도, 50% 입자경, 결정자경, BET 비표면적, 수소 환원 감량, 탄소 함유량, 및 열 기계 분석(TMA)에 의한 선수축률이 5%가 될 때의 온도를 각각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또한, 비교예 3의 구리 분말의 결정자경은 측정하지 않았으므로 불분명하다. 또한, 각 구리 분말의 충전 부피 밀도와 TMA 5% 수축 온도의 관계, 및 D/D50과 TMA 5% 수축 온도의 관계를 각각, 도 1 및 2에 그래프로 나타낸다.
Figure pct00001
표 1로부터, 충전 부피 밀도가 1.30g/㎤ 내지 2.96g/㎤이며 또한 D/D50≥0.060인 발명예 1 내지 13은, 그것들 중 어느 조건을 충족하지 않는 비교예 1 내지 4에 비하여, TMA 5% 수축 온도가 290℃ 이하로 충분히 낮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한 그래프에 의하면, 충전 부피 밀도가 2.00g/㎤ 부근에서 가장 낮은 소결 온도가 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충전 부피 밀도가 1.30g/㎤ 내지 2.96g/㎤의 범위 내에 있는 경우, 충전 부피 밀도가 2.00g/㎤ 부근으로부터 증대하거나 또는 감소함에 따라 소결 온도가 점차 상승하는 2차 함수적인 경향이 있다. 한편, 충전 부피 밀도가 상기 범위를 벗어나면, 소결 온도가 현저하게 급증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단, 충전 부피 밀도가 1.30g/㎤ 내지 2.96g/㎤의 범위 내에 있는 경우라도, D/D50이 0.060 미만인 비교예 2는, 소결 온도가 높게 되어 있다.
또한, 충전 부피 밀도가 1.30g/㎤ 내지 2.96g/㎤의 범위 내에 있는 발명예 1 내지 13의 구리 분말은 모두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D/D50이 0.060 이상인 점에서, 낮은 소결 온도가 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상의 점에서, 상술한 구리 분말은 우수한 저온소결성을 갖는다는 것을 알수 있었다.

Claims (4)

  1. 구리 입자를 포함하는 구리 분말이며,
    충전 부피 밀도가 1.30g/㎤ 내지 2.96g/㎤이며,
    구리 입자의 체적 기준의 입자경 히스토그램에서 누적 빈도가 50%가 될 때의 50% 입자경 D50과, 당해 구리 분말에 대한 분말 X선 회절법으로 얻어지는 X선 회절 프로파일 중의 Cu(111)면의 회절 피크로부터, 쉐러의 식을 이용하여 구한 결정자경 D가, D/D50≥0.060을 충족하는, 구리 분말.
  2. 제1항에 있어서,
    BET 비표면적이 0.5㎡/g 내지 10.0㎡/g인, 구리 분말.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탄소 함유량이 0.50질량% 이하인, 구리 분말.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수소 환원 감량이 1.5% 이하인, 구리 분말.
KR1020237040255A 2021-06-08 2022-02-18 구리 분말 KR2023017527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21-096205 2021-06-08
JP2021096205A JP7122436B1 (ja) 2021-06-08 2021-06-08 銅粉
PCT/JP2022/006770 WO2022259630A1 (ja) 2021-06-08 2022-02-18 銅粉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75277A true KR20230175277A (ko) 2023-12-29

Family

ID=829298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40255A KR20230175277A (ko) 2021-06-08 2022-02-18 구리 분말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JP (1) JP7122436B1 (ko)
KR (1) KR20230175277A (ko)
CN (1) CN117440867A (ko)
CA (1) CA3220714A1 (ko)
DE (1) DE112022002011T5 (ko)
TW (1) TWI825594B (ko)
WO (1) WO202225963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74827A1 (ja) * 2021-10-28 2023-05-04 三井金属鉱業株式会社 銅粒子及びその製造方法
JP2024008681A (ja) * 2022-07-08 2024-01-19 Jx金属株式会社 銅粉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563617B1 (ja) 2019-01-11 2019-08-21 Jx金属株式会社 導電性塗布材料
JP2020180328A (ja) 2019-04-24 2020-11-05 東邦チタニウム株式会社 銅粉体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923781A4 (en) * 2012-11-26 2016-07-13 Mitsui Mining & Smelting Co COPPER POWDER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JP6168837B2 (ja) * 2013-05-13 2017-07-26 国立大学法人東北大学 銅微粒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7039990A (ja) * 2015-08-21 2017-02-23 住友金属鉱山株式会社 銅粉とその製造方法、及びそれを用いた導電性ペースト
JP7208842B2 (ja) * 2019-03-26 2023-01-19 Jx金属株式会社 易解砕性銅粉及びそ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563617B1 (ja) 2019-01-11 2019-08-21 Jx金属株式会社 導電性塗布材料
JP2020180328A (ja) 2019-04-24 2020-11-05 東邦チタニウム株式会社 銅粉体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3220714A1 (en) 2022-12-15
DE112022002011T5 (de) 2024-01-25
TW202247920A (zh) 2022-12-16
JP2022187936A (ja) 2022-12-20
JP7122436B1 (ja) 2022-08-19
WO2022259630A1 (ja) 2022-12-15
TWI825594B (zh) 2023-12-11
CN117440867A (zh) 2024-0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30175277A (ko) 구리 분말
Ishizaki et al. A new one-pot method for the synthesis of Cu nanoparticles for low temperature bonding
JP4868716B2 (ja) フレーク銅粉及び導電性ペースト
KR100797484B1 (ko) 큐빅 형태의 구리 나노입자의 제조방법
JP6274444B2 (ja) 銅粉末の製造方法
KR101945166B1 (ko) 도전성 페이스트용 구리분 및 그 제조 방법
JP2021077894A (ja) 軟磁性粉末、軟磁性材料、圧粉磁心及び圧粉磁心の製造方法
PL239753B1 (pl) Sposob wytwarzania interkalowanej nanoczastkami metalu ekspandowanej struktury grafenowej w postaci proszku lub pianki
You et al. In situ generated gas bubble-directed self-assembly of multifunctional MgO-based hybrid foams for highly efficient thermal conduction, microwave absorption, and self-cleaning
Gupta et al. New insight into the shape-controlled synthesis and microwave shielding properties of iron oxide covered with reduced graphene oxide
JP2012140661A (ja) 扁平銅粒子
JP2006037145A (ja) Agナノ粒子及びその製造法、Agナノ粒子を含む分散体
JP5985216B2 (ja) 銀粉
CN114496442A (zh) 一种纳米磁性颗粒及其制备方法和磁性液体
WO2024009522A1 (ja) 銅粉
CN116391052A (zh) 铁(Fe)-镍(Ni)系合金粉的制造方法
JP2021161495A (ja) ニッケル粒子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導電性組成物
KR102314912B1 (ko) 니켈 입자의 제조 방법
JP2009064603A (ja) Mlcc用導電性ペースト
JP6722495B2 (ja) 銀被覆銅粉およびその製造方法
Dai et al.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Pt/Co‐Core Au‐Shell Magnetic Nanoparticles
JP7490528B2 (ja) 銅粉体
Kong et al. Magnetic nanomaterials for electromagnetic wave absorption
TWI544977B (zh) 導電性糊用銅粉及其製造方法
WO2022160433A1 (zh) 一种FeBP非晶软磁粉体及其磁粉芯的制备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