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73846A - 재사용이 가능하며 생분해성이 우수한 친환경 고양이 모래 조성물 - Google Patents

재사용이 가능하며 생분해성이 우수한 친환경 고양이 모래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73846A
KR20230173846A KR1020220074605A KR20220074605A KR20230173846A KR 20230173846 A KR20230173846 A KR 20230173846A KR 1020220074605 A KR1020220074605 A KR 1020220074605A KR 20220074605 A KR20220074605 A KR 20220074605A KR 20230173846 A KR20230173846 A KR 202301738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t litter
reusable
eco
additive
litter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746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21641B1 (ko
Inventor
김영균
Original Assignee
김영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균 filed Critical 김영균
Priority to KR10202200746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1641B1/ko
Publication of KR202301738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738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16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164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3/00Manure or urine pouches
    • A01K23/005Manure or urine collecting devices used independently from the animal, i.e. not worn by the animal but operated by a perso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1Removal of dung or urine, e.g. from stables
    • A01K1/0107Cat trays; Dog urinals; Toilets for pets
    • A01K1/011Cat trays; Dog urinals; Toilets for pets with means for removing excrement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37/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n atom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two bonds to halogen, e.g. carboxylic acids
    • A01N37/36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n atom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two bonds to halogen, e.g. carboxylic acids containing at least one carboxylic group or a thio analogue, or a derivative thereof, and a singly bound oxygen or sulfur atom attache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this oxygen or sulfur atom not being a member of a carboxylic group or of a thio analogue, or of a derivative thereof, e.g. hydroxy-carboxyl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59/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elements or inorgan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1/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substances of unknown or undetermined composition, e.g. substances characterised only by the mode of a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Deodorant compos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02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 B01J20/04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comprising compounds of alkali metals, alkaline earth metals or magnesium
    • B01J20/043Carbonates or bicarbonates, e.g. limestone, dolomite, aragoni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02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 B01J20/1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comprising silica or silicate
    • B01J20/12Naturally occurring clays or bleaching ear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02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 B01J20/1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comprising silica or silicate
    • B01J20/16Alumino-silicates
    • B01J20/165Natural alumino-silicates, e.g. zeolit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Zo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ntistry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lant Path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재사용이 가능하며 생분해성이 우수한 친환경 고양이 모래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폴리유산을 주성분으로 하되, 입자크기 및 비중 조절, 항균, 탈취 및 흡수율을 향상시키는 성분과 고양이의 기호도를 향상시키는 성분이 더 함유되어 이루어진다.
상기의 성분으로 이루어지는 고양이 모래 조성물은 재사용이 가능하며 우수한 생분해성을 나타내면서도 가루가 발생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고양이 모래로 적합한 입자크기와 비중 및 흡수율을 나타내며, 우수한 항균 및 탈취 효과로 인해 고양이의 피부염, 방광염 및 안질 등을 예방하며, 실내 공기를 오염시키지 않고 향상된 기호성을 나타낸다.

Description

재사용이 가능하며 생분해성이 우수한 친환경 고양이 모래 조성물 {ECO-FRIENDLY CAT LITTER COMPOSITION WITH REUSABLE AND EXCELLENT BIODEGRADABILITY}
본 발명은 재사용이 가능하며 생분해성이 우수한 친환경 고양이 모래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재사용이 가능하며 우수한 생분해성을 나타내면서도 가루가 발생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고양이 모래로 적합한 입자크기와 비중 및 흡수율을 나타내고, 우수한 항균 및 탈취 효과로 인해 고양이의 피부염, 방광염 및 안질 등을 예방하며, 실내 공기를 오염시키지 않고 향상된 기호성을 나타내는 재사용이 가능하며 생분해성이 우수한 친환경 고양이 모래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2022년 5월21일 ‘문경선 유로모니터 수석연구원 보고서’에 의하면, 2021년 기준 국내 반려동물은 467만 마리로 이 중 강아지는 328만 마리, 고양이는 139만 마리로 조사됐는데, 이는 통계청이 발표한 인구주택총조사 표본 집계 결과에 따른 추정치로, 지난해 통계청은 전체 2092만7000가구 중 312만9000가구가 반려동물을 키운다는 조사결과를 공개했다.
한편, 1회용 모래, 벤토나이트, 카사바, 두부모래, 우드/펄프, 크리스탈 및 홍화씨 등 넘쳐나는 1회용 배변관련 폐기물로 많은 사회적 문제가 야기되고 있d으며, 현재 사용하는 고양이 모래는 1회용의 재료로 사용되고 있고, 향후 그 사용량이 증가될 예정인데, 사용 후에 폐기된 고양이 모래는 환경과 미관에 큰 부담이 되고 있다.
또한, 많은 야생동물과 해양동물이 버려진 1회용 모래를 섭취하게 되면, 먹이사슬을 따라 다시 우리 인간의 식탁으로 1회용 모래 성분이 되돌아온게 되며, 매립지에서는 침출수가 발생하여 또 다른 환경오염의 원인이 되고 있다.
21세기에 들어서면서 환경문제가 이슈화되었고, 단순하게 산업발전만을 지향하던 사회분위기에서 이제는 웰빙과 환경오염을 방지하고 보존하려는 친환경의 개념들이 대두되고 있는 상황으로, 환경부에서는 일부 일회용 제품들에 대한 규제를 시작하고 있지만, 반려묘 관련 제품들의 폐기물은 반려묘의 개체수가 늘어나면서 그 사용량이 오히려 늘어나고 있다.
이상적인 경우, 반려묘의 1회용 모래와 같은 제품들이 용이하게 회수될 수 있으면, 이를 재사용 하거나 화학적 분해를 통해 원료로 재활용할 수 있으나, 현실적으로 회수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비경제적이다.
또한, 종래의 1회용 고양이 모래는 미세 가루로 변형되어 먼지가 날려서 잦은 청소와 피부 알러지, 피부염, 눈병 등을 유발하며, 습기에 취약하기 때문에 곰팡이가 쉽게 발생하고 변질되며, 탈취력이 약해 실내공간에 악취를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특허공개 제10-2021-0153367호(2021.12.17.) 한국특허공개 제10-2022-0028971호(2022.03.08.)
본 발명의 목적은 재사용이 가능하며 우수한 생분해성을 나타내면서도 가루가 발생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고양이 모래로 적합한 입자크기와 비중 및 흡수율을 나타내고, 우수한 항균 및 탈취 효과로 인해 고양이의 피부염, 방광염 및 안질 등을 예방하며, 실내 공기를 오염시키지 않고 향상된 기호성을 나타내는 재사용이 가능하며 생분해성이 우수한 친환경 고양이 모래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폴리유산이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사용이 가능하며 생분해성이 우수한 친환경 고양이 모래 조성물을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재사용이 가능하며 생분해성이 우수한 친환경 고양이 모래 조성물에는 제1첨가제가 더 함유되며, 상기 제1첨가제는 탄산칼슘, 제올라이트, 벤토나이트, 황토 및 목분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1첨가제는 탄산칼슘, 제올라이트, 벤토나이트, 황토 및 목분이 1:1:1:1:1의 중량부로 혼합되어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욱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1첨가제는 상기 폴리유산 100 중량부 대비 80 내지 100 중량부가 함유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욱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재사용이 가능하며 생분해성이 우수한 친환경 고양이 모래 조성물에는 제2첨가제가 더 함유되며, 상기 제2첨가제는 캣닢, 페로몬, 개다래, 올리브, 라벤더, 바질, 페퍼민트, 카모마일, 발레리안, 백리향 및 과일향료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욱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2첨가제는 캣닢, 개다래 및 올리브가 1:1:1의 중량부로 혼합되어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욱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2첨가제는 상기 폴리유산 100 중량부 대비 2 내지 10 중량부가 함유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욱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재사용이 가능하며 생분해성이 우수한 친환경 고양이 모래 조성물은 입자크기가 0.5 내지 2.5 밀리미터이며, 비중이 2 내지 2.5인 것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재사용이 가능하며 생분해성이 우수한 친환경 고양이 모래 조성물은 재사용이 가능하며 우수한 생분해성을 나타내면서도 가루가 발생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고양이 모래로 적합한 입자크기와 비중 및 흡수율을 나타내고, 우수한 항균 및 탈취 효과로 인해 고양이의 피부염, 방광염 및 안질 등을 예방하며, 실내 공기를 오염시키지 않고 향상된 기호성을 나타내는 재사용이 가능하며 생분해성이 우수한 고양이 모래를 제공하는 탁월한 효과를 나타낸다.
이하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와 각 성분의 물성을 상세하게 설명하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재사용이 가능하며 생분해성이 우수한 친환경 고양이 모래 조성물은 폴리유산이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폴리유산(polylactic acid: PLA)은 플라스틱 및 섬유의 제조를 위한 선두적 인 생분해성/퇴비화가능(biodegradable/compostable) 고분자로 인식되고 있으며, 젖산으로 제조되는데, 상기 젖산은 옥수수(예컨대 Zea mays), 밀(예컨대 Triticum spp), 쌀(예컨대 Oryza sativa), 또는 사탕무(sugar beets, 예컨대 Beta vulgaris)로부터 얻어지는 발효 부산물(fermentation byproduct)이다.
또한, 최근 기준화된 생분해성은 60℃의 온도와, 80%의 습도 조건에서 활성화된 미생물에 의해 6개월 동안 기준물질인 셀룰로오스 대비 90% 이상이 물과 이산화탄소로 분해되는 소재를 일컷는 것이며, 생분해성을 나타내는 소재는 화학 합성소재 대비 최대 74%의 온실가스 저감효과를 나타낸다.
상기의 물성을 나타내는 폴리유산은 그 자체로 항균 및 탈취의 기능을 나탄기 때문에, 고양이 모래에 세균이나 곰팡이가 증식하여 변질되는 것이 억제할 뿐만 아니라, 수세 등의 과정을 통해 재사용할 수 있는 고양이 모래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이 폴리유산으로 제조되는 재사용이 가능하며 생분해성이 우수한 친환경 고양이 모래 조성물은 구 또는 정육면체 등으로 성형될 수 있는데, 직경이 0.5 내지 2.5 밀리미터를 갖도록 성형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고양이 모래 조성물의 직경이 0.5 밀리미터 미만이면 쉽게 비산되어 실내를 오염시킬 수 있으며, 고양이 모래 조성물의 직경이 2.5 밀리미터를 초과하게 되면 고양이 모래 사이에 공간이 지나치게 넓어져 고양이의 대소변이 쉽게 통과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재사용이 가능하며 생분해성이 우수한 친환경 고양이 모래 조성물에는 제1첨가제가 더 함유될 수 있는데, 상기 제1첨가제는 상기 폴리유산 100 중량부 대비 80 내지 100 중량부가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첨가제는 고양이 모래의 비중을 향상시켜 쉽게 비산되지 않도록 할 뿐만 아니라, 항균 및 탈취 효과를 부여하며, 흡수율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하는데, 탄산칼슘, 제올라이트, 벤토나이트, 황토 및 목분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탄산칼슘, 제올라이트, 벤토나이트, 황토 및 목분이 1:1:1:1:1의 중량부로 혼합되어 이루어지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의 성분으로 이루어지는 제1첨가제는 고양이 모래의 기계적 물성을 향상시키는 충전재의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고양이의 소변에서 발생되는 암모니아 등의 악취를 흡착하며 제거하며 항균효과를 더욱 향상시켜 세균등에 오염된 고양이 모래의 사용을 통해 유발되는 피부염, 방광염 및 안질 등을 억제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1첨가제의 함량이 80 중량부 미만이면 상기의 효과가 미미할 뿐만 아니라 고양이 모래의 비중이 2 미만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첨가제의 함량이 100 중량부를 초과하게 되면 상기의 효과는 크게 향상되지 않으면서 고양이 모래의 비중이 2.5를 초과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다.
본 발명에 따른 재사용이 가능하며 생분해성이 우수한 친환경 고양이 모래는 비중이 2 내지 2.5를 나타내는 것이 바람직한데, 고양이 모래의 비중이 2 미만이면 고양이의 뒷발길질 등에 의해 쉽게 비산되어 실내환경을 오염시킬 수 있으며, 상기 고양이 모래의 비중이 2.5를 초과하게 되면 고양이 모래의 무게가 지나치게 증가하여 사용감이 저하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재사용이 가능하며 생분해성이 우수한 친환경 고양이 모래 조성물에는 제2첨가제가 더 함유되며, 상기 제2첨가제는 캣닢, 페로몬, 개다래, 올리브, 라벤더, 바질, 페퍼민트, 카모마일, 발레리안, 백리향 및 과일향료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캣닢, 개다래 및 올리브가 1:1:1의 중량부로 혼합되어 이루어지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캣닢은 후각을 강하게 자극하면서 정신적인 쾌감을 느끼도록 도와주는 데, 고양이의 신체활동을 유도하고 스트레스를 완화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페로몬은 인간의 에크린샘과 아포크린샘이라는 2개의 땀샘에서 분비되는 체외분비성 성분으로, 고양이에게 정서적 안정감을 부여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개다래는 고양이가 좋아하는 향이 방출하여 기호성이 향상된 고양이 모래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2017년 3월경 독일 브라운슈바이크 공대 유기화학연구소와 미국 캘리포니아대 수의대 공동 연구진이 고양이 100 마리를 대상으로 캣닢과 개다래 열매 그리고 각종 식물들에 대해 어떻게 반응하는지 실험한 결과 놀랍게도 캣닢(개박하)가 아닌, 마른 개다래 열매에 고양이들이 가장 높은 기호도를 나타내었다.
또한, 상기 올리브는 올리브의 나무, 잎, 줄기 등에서 추출되는 활동 성분인 oleuropein 이라는 물질이 고양이의 후각을 자극하여 몸을 문지르거나 핥는 등 활동적으로 변하고 짝짓기 때 하는 행동과 비슷한 행동을 유발하는데, 고양이의 정신은 편안하고 안정적으로 자극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라벤더는 특유의 향으로 인해 고양이의 긴장을 완화해주고 마음을 편안하게 하여 차분하게 할 뿐만 아니라, 쉽게 불안해하거나 공격성을 보이는 고양이의 습성을 개선해주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바질은 강한 향은 배출하여 활성화 효과로 인해 고양이의 기호도가 높고, 상기 페퍼민트는 후각을 강하게 자극하면서 정신적인 쾌감을 느끼도록 도와주어 고양이의 신체활동을 유도하고 스트레스를 완화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카모마일은 신경을 진정시켜서 뇌와 신경계에 이완을 돕기 때문에, 고양이의 스트레스를 줄여줄 뿐만 아니라, 염증과 알레르기를 개선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발레리안(서양쥐오줌풀)은 고양이를 진정시켜주고, 긴장을 이완하여 수면을 유도하는 역할을 하며, 상기 백리향은 고양이 마음을 편안하게하여 안정성을 부여하며, 결막염 같은 염증성 질병이나 일부 알레르기와 같은 증상을 완화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과일향료는 그 종류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고양이의 기호도가 높은 딸기, 복숭아 및 수박 등의 향을 방출하는 성분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성분으로 이루어지는 제2첨가제는 상기 폴리유산 100 중량부 대비 2 내지 10 중량부가 함유되는데, 상기 제2첨가제의 함량이 2 중량부 미만이면 고양이의 기호도나 상기에 나열된 효과가 미미하며, 상기 제2첨가제의 함량이 10 중량부를 초과하게 되면 고양이의 기호도나 상기의 효과는 크게 향상되지 않으면서 고양이 모래의 기계적 물성이나 비중이 저하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다.
상기의 성분으로 이루어지는 고양이 모래는 폴리유산, 제1첨가제 및 제2첨가제 등을 배합기에 투입하여 교반하고, 컴파운드 압출기를 이용하여 120 내지 175℃의 온도로 용융한 후에 구 또는 정육면체 등의 형태로 압출하고 냉각하는 과정을 통해 제조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재사용이 가능하며 생분해성이 우수한 친환경 고양이 모래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고양이 모래 조성물의 물성을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제조예 1> 제1첨가제의 제조
탄산칼슘, 제올라이트, 벤토나이트, 황토 및 목분을 1:1:1:1:1의 중량부로 혼합하여 제1첨가제를 제조하였다.
<제조예 2> 제2첨가제의 제조
캣닢, 개다래 및 올리브를 1:1:1의 중량부로 혼합하여 제2첨가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
폴리유산을 배합기에 투입하고 150rpm의 속도로 10분 동안 교반한 후에, 컴파운드 압출기에 투입하고 150℃의 온도로 가열하여 용융한 후에 입자크기가 1.5 밀리미터인 구 형태로 압출하고 상온으로 냉각하여 재사용이 가능하며 생분해성이 우수한 친환경 고양이 모래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진행하되, 상기 폴리유산 100 중량부 대비 상기 제조예 1을 통해 제조된 제1첨가제 90 중량부를 더 혼합하여 재사용이 가능하며 생분해성이 우수한 친환경 고양이 모래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진행하되, 상기 폴리유산 100 중량부 대비 상기 제조예 1을 통해 제조된 제1첨가제 90 중량부 및 상기 제조예 2를 통해 제조된 제2첨가제 6 중량부를 더 혼합하여 재사용이 가능하며 생분해성이 우수한 친환경 고양이 모래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폴리유산을 배합기에 투입하고 150rpm의 속도로 10분 동안 교반한 후에, 컴파운드 압출기에 투입하고 150℃의 온도로 가열하여 용융한 후에 입자크기가 0.3 밀리미터인 구 형태로 압출하고 상온으로 냉각하여 재사용이 가능하며 생분해성이 우수한 친환경 고양이 모래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상기 비교예 1과 동일하게 진행하되, 입자크기가 3 밀리미터인 구 형태로 압출하여 재사용이 가능하며 생분해성이 우수한 친환경 고양이 모래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 내지 2를 통해 제조된 고양이 모래 조성물의 탈취성능을 측정하여 아래 표 1에 나타내었다.
{단, 탈취성능은 암모니아의 시험가스 및 FT-IR을 이용한 가스농도측정기를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500ppm의 암모니아 가스를 고양이 모래가 충전된 밀폐용기(가로 20cm×세로20cm×높이20cm)에 투입하고 시간의 경과에 따라 암모니아 가스의 농도를 측정하는 방법을 이용하였다.}
<표 1>
상기 표 1에 나타낸 것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 2 내지 3을 통해 제조된 고양이 모래 조성물은 생분해성이 우수한 폴리유산으로 이루어져 우수한 생분해성을 나타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우수한 탈취성능을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때, 실시예 1을 통해 제조된 고양이 모래 조성물에 비해 비교예 1을 통해 제조된 고양이 모래 조성물의 탈취성능이 약간 우세한 이유는 비교예 1을 통해 제조된 고양이 모래 조성물의 입자크기가 작아 상대적으로 넓은 비표면적이 형성되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실시예 2 및 비교예 1을 통해 제조된 고양이 모래 조성물의 항균성능을 측정하여 아래 표 2에 나타내었다.
{단, 항균성능은 ASTM 표준 E2149-10의 측정방법을 이용하였으며, 균으로는 대장균인 Escherichia Coli(ATCC 25922), 포도상구균인 Staphylococcus aureus(ATCC 6538), 녹농균인 Pseudomonas aeruginosa(ATCC 15442) 및 폐렴구균인 Streptococcus pneumoniae(ATCC 25922)를 이용하였다.}
<표 2>
상기 표 2에 나타낸 것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 2를 통해 제조된 공양이 모래용 조성물은 항균성능이 우수한 제조예 1을 통해 제조된 제1첨가제가 혼합되어 대장균, 포도상구균, 녹농균 및 폐련구균에 대해 24시간 내에 99.9%의 항균성능을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 1을 통해 제조된 고양이 모래 조성물의 비중은 1.14를 나타내었는데, 상기 실시예 2를 통해 제조된 고양이 모래 조성물의 비중을 비중측정기로 측정한 결과 2.3을 나타내었으며, 상기 실시예 3을 통해 제조된 고양이 모래 조성물의 비중은 2.26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재사용이 가능하며 생분해성이 우수한 친환경 고양이 모래 조성물은 재사용이 가능하며 우수한 생분해성을 나타내면서도 가루가 발생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고양이 모래로 적합한 입자크기와 비중 및 흡수율을 나타내고, 우수한 항균 및 탈취 효과로 인해 고양이의 피부염, 방광염 및 안질 등을 예방하며, 실내 공기를 오염시키지 않고 향상된 기호성을 나타내는 재사용이 가능하며 생분해성이 우수한 고양이 모래를 제공한다.

Claims (8)

  1. 폴리유산이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사용이 가능하며 생분해성이 우수한 친환경 고양이 모래 조성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재사용이 가능하며 생분해성이 우수한 친환경 고양이 모래 조성물에는 제1첨가제가 더 함유되며,
    상기 제1첨가제는 탄산칼슘, 제올라이트, 벤토나이트, 황토 및 목분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사용이 가능하며 생분해성이 우수한 친환경 고양이 모래 조성물.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첨가제는 탄산칼슘, 제올라이트, 벤토나이트, 황토 및 목분이 1:1:1:1:1의 중량부로 혼합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사용이 가능하며 생분해성이 우수한 친환경 고양이 모래 조성물.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첨가제는 상기 폴리유산 100 중량부 대비 80 내지 100 중량부가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사용이 가능하며 생분해성이 우수한 친환경 고양이 모래 조성물.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재사용이 가능하며 생분해성이 우수한 친환경 고양이 모래 조성물에는 제2첨가제가 더 함유되며,
    상기 제2첨가제는 캣닢, 페로몬, 개다래, 올리브, 라벤더, 바질, 페퍼민트, 카모마일, 발레리안, 백리향 및 과일향료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사용이 가능하며 생분해성이 우수한 친환경 고양이 모래 조성물.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2첨가제는 캣닢, 개다래 및 올리브가 1:1:1의 중량부로 혼합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사용이 가능하며 생분해성이 우수한 친환경 고양이 모래 조성물.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2첨가제는 상기 폴리유산 100 중량부 대비 2 내지 10 중량부가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사용이 가능하며 생분해성이 우수한 친환경 고양이 모래 조성물.
  8. 청구항 1 내지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재사용이 가능하며 생분해성이 우수한 친환경 고양이 모래 조성물은 입자크기가 0.5 내지 2.5 밀리미터이며, 비중이 2 내지 2.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사용이 가능하며 생분해성이 우수한 친환경 고양이 모래 조성물.
KR1020220074605A 2022-06-20 2022-06-20 재사용이 가능하며 생분해성이 우수한 친환경 고양이 모래 조성물 KR1026216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4605A KR102621641B1 (ko) 2022-06-20 2022-06-20 재사용이 가능하며 생분해성이 우수한 친환경 고양이 모래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4605A KR102621641B1 (ko) 2022-06-20 2022-06-20 재사용이 가능하며 생분해성이 우수한 친환경 고양이 모래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73846A true KR20230173846A (ko) 2023-12-27
KR102621641B1 KR102621641B1 (ko) 2024-01-05

Family

ID=893784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4605A KR102621641B1 (ko) 2022-06-20 2022-06-20 재사용이 가능하며 생분해성이 우수한 친환경 고양이 모래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1641B1 (ko)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313060A (ja) * 1996-05-30 1997-12-09 Uni Charm Corp 排泄物処理材
JP2001299121A (ja) * 2000-04-26 2001-10-30 Shimadzu Corp 生分解性を有する高分子材料からなる敷き藁代替品
JP2002538793A (ja) * 1999-03-15 2002-11-19 ノバモント・ソシエタ・ペル・アチオニ 動物によって咀嚼される物品
JP2004018681A (ja) * 2002-06-17 2004-01-22 National Institute Of Advanced Industrial & Technology 生分解性ポリ乳酸樹脂組成物
JP2004242554A (ja) * 2003-02-13 2004-09-02 Sanyo Chem Ind Ltd 再利用可能な動物の排泄物用処理材及びその再利用方法
KR102164868B1 (ko) * 2018-05-31 2020-10-13 주식회사 브러시월드 생분해성 애완동물용 패드
KR20210008824A (ko) * 2020-12-16 2021-01-25 브레멘 주식회사 고양이용 팝콘두부모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팝콘두부모래
KR102274193B1 (ko) * 2020-10-06 2021-07-08 정유진 벤토나이트를 함유한 고양이 모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고양이 모래
JP2021141847A (ja) * 2020-03-12 2021-09-24 株式会社三ヶ日ガーデン ペット用排泄物処理材
KR20210128664A (ko) * 2020-04-17 2021-10-27 박수진 반려동물용 기능성 모래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10153367A (ko) 2020-06-10 2021-12-17 주식회사 주문진규사 환 형상 고양이 모래 제조 방법
KR20220028971A (ko) 2020-08-31 2022-03-08 김전일 고양이 화장실용 반영구 세라믹 모래

Patent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313060A (ja) * 1996-05-30 1997-12-09 Uni Charm Corp 排泄物処理材
JP2002538793A (ja) * 1999-03-15 2002-11-19 ノバモント・ソシエタ・ペル・アチオニ 動物によって咀嚼される物品
JP2001299121A (ja) * 2000-04-26 2001-10-30 Shimadzu Corp 生分解性を有する高分子材料からなる敷き藁代替品
JP2004018681A (ja) * 2002-06-17 2004-01-22 National Institute Of Advanced Industrial & Technology 生分解性ポリ乳酸樹脂組成物
JP2004242554A (ja) * 2003-02-13 2004-09-02 Sanyo Chem Ind Ltd 再利用可能な動物の排泄物用処理材及びその再利用方法
KR102164868B1 (ko) * 2018-05-31 2020-10-13 주식회사 브러시월드 생분해성 애완동물용 패드
JP2021141847A (ja) * 2020-03-12 2021-09-24 株式会社三ヶ日ガーデン ペット用排泄物処理材
KR20210128664A (ko) * 2020-04-17 2021-10-27 박수진 반려동물용 기능성 모래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10153367A (ko) 2020-06-10 2021-12-17 주식회사 주문진규사 환 형상 고양이 모래 제조 방법
KR20220028971A (ko) 2020-08-31 2022-03-08 김전일 고양이 화장실용 반영구 세라믹 모래
KR102274193B1 (ko) * 2020-10-06 2021-07-08 정유진 벤토나이트를 함유한 고양이 모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고양이 모래
KR20210008824A (ko) * 2020-12-16 2021-01-25 브레멘 주식회사 고양이용 팝콘두부모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팝콘두부모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21641B1 (ko) 2024-0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19340A (en) Absorbent composition for animal excreta and process for making and using same
US9999198B2 (en) Animal bedding and associated methods for preparing and using the same
KR102025123B1 (ko) 친환경 토탄 깔개 및 그 제조방법
CN104396768A (zh) 一种对宠物具有保健作用的抗菌猫砂及其制备方法
KR20100010308A (ko) 애완동물 사료 및 그 제조방법
CN108323441A (zh) 一种宠物用猫砂及其制备方法
CN102599066A (zh) 动物颗粒垫料及其生产方法和应用
CN104396774A (zh) 一种添加多种吸水成分的混合型猫砂及其制备方法
KR102621641B1 (ko) 재사용이 가능하며 생분해성이 우수한 친환경 고양이 모래 조성물
CN114521496A (zh) 一种含益生菌的抑菌除味猫砂及其生产工艺
JPS625940B2 (ko)
EP3628148A1 (de) Einstreuzusatz für die tierhaltung
WO2024007643A1 (zh) 一种基于双孢菇菌柄的猫砂及其制备方法
Guesine et al. Physical and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the compost barn system and its effects on the physical integrity, reproduction and milk production of dairy cattle: a scoping review
FR2459612A1 (fr) Litiere pour animaux et produits en derivant, en particulier des amendements
IE920242A1 (en) Bedding for animals
JP2001089272A (ja) 鶏糞含有肥料
CN1244549A (zh) 一种可除草又可降解的聚乙烯地膜及其生产方法和用途
EP2910115B1 (en) Method for preparing animal litter
WO2009145217A1 (ja) 竹素材、竹素材の製造方法、竹混合材料及び竹混合材料の製造方法
DE102010018455B4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Pflanzenschutzmittels sowie Pflanzenschutzmittel
RU2809193C1 (ru) Наполнитель туалета для животных на основе целлюлозы и способ его изготовления
KR20180009413A (ko) 애완동물 사육용 펠릿
JP6444257B2 (ja) 家畜用敷料
RU2539152C1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наполнителя туалета из растительного сырья для потребностей домашних животны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