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28664A - 반려동물용 기능성 모래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반려동물용 기능성 모래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28664A
KR20210128664A KR1020200046584A KR20200046584A KR20210128664A KR 20210128664 A KR20210128664 A KR 20210128664A KR 1020200046584 A KR1020200046584 A KR 1020200046584A KR 20200046584 A KR20200046584 A KR 20200046584A KR 20210128664 A KR20210128664 A KR 202101286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nd
companion animals
weight
parts
functional s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65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53501B1 (ko
Inventor
박수진
Original Assignee
박수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수진 filed Critical 박수진
Priority to KR10202000465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3501B1/ko
Publication of KR202101286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86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35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35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1Removal of dung or urine, e.g. from stables
    • A01K1/0107Cat trays; Dog urinals; Toilets for pe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1Removal of dung or urine, e.g. from stables
    • A01K1/0107Cat trays; Dog urinals; Toilets for pets
    • A01K1/011Cat trays; Dog urinals; Toilets for pets with means for removing excrement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15Floor coverings, e.g. bedding-down sheets ; Stable floors
    • A01K1/0152Litte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구현예는 비지, 옥수수 전분, 안토시아닌을 함유하는 식물 추출물 및 첨가제를 포함하는 반려동물용 기능성 모래에 관한 것이다. 상기 반려동물용 기능성 모래는, 별도로 채취하기 어려운 반려동물 소변에 대하여 일상생활에서 그 산성도를 확인함으로써 신장 질환 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사용시 안정성이 보장되며 친환경적인 효과가 있고, 종래 반려동물용 모래에 비해 향상된 응고력, 흡수력, 항균성 및 분진 발생 저감성을 나타내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반려동물용 기능성 모래 및 이의 제조방법{FUNCTIONAL SAND FOR PET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반려동물용 기능성 모래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흡수력, 응고력, 항균성이 우수하면서도 반려동물의 건강을 진단할 수 있는 친환경적 기능성 모래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대 사회에서는 여러 종류의 반려동물이 일반 가정, 영업소, 동물원 및 농장 등에서 사육되고 있으며, 특히, 고양이나 햄스터, 고슴도치, 토끼 등과 같은 중소형 동물은 동물이라는 개념을 넘어 가족이며 인생의 동반자로 자리 잡고 있는 추세이다. 다시 말해서, 반려동물을 보유하는 가구가 점차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반려동물과 관련된 용품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고 관련 산업이 크게 번성하고 있다.
특히, 고양이의 경우에는 고양이가 모래에 배설을 하고 배설물을 모래로 덮는 습성을 고려하여, 고양이의 대, 소변을 처리하기 위한 수단으로 일명 '고양이 모래'가 사용되고 있으며, 다양한 소재의 고양이 모래가 개발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나트륨 벤조나이트 소재는 응고력이 우수한 제품으로 가장 많이 보급되어 사용되고 있으나, 광물을 채취하여 작은 입자상태로 파쇄한 것이므로 분진 발생이 심하고, 파쇄로 인해 입자 표면이 날카롭게 형성되어 고양이가 모래를 사용하는 과정에서 피부 접촉시 상처를 유발할 우려가 있다. 또한, 실리카 소재의 모래는 인체와 환경에 유해한 성분을 함유하고 있으므로 눈병이나 피부질환 등의 질병원인을 제공하는 폐단이 있다.
즉, 종래의 고양이 모래는 비환경적인 문제, 분진에 의한 피해, 배설물 악취와 관련된 문제 등 여러가지 단점이 있는 바, 이러한 측면을 해결할 수 있는 기능성 모래가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특허 공개공보 제10-2017-0091842호 대한민국 특허 등록공보 제10-1923215호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 고양이 모래의 여러 단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비지, 옥수수 전분 및 안토시아닌을 함유하는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함으로써, 우수한 응집력, 최소화된 분진 발생 정도 및 친환경성 등을 나타내면서도 반려동물의 건강을 진단할 수 있는 반려동물용 기능성 모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반려동물용 기능성 모래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구현예는 비지, 옥수수 전분, 안토시아닌을 함유하는 식물 추출물 및 첨가제를 포함하는 반려동물용 기능성 모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모래 100 중량부 대비, 상기 비지를 45 내지 95 중량부, 상기 옥수수 전분을 25 내지 50 중량부, 상기 식물 추출물을 0.1 내지 8 중량부, 상기 첨가제를 0.1 내지 10 중량부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래는 비지 및 옥수수 전분을 1 : 1 내지 20: 1의 중량비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첨가제는 제올라이트, 석회질 물질 및 천연 항균물질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식물은 적양배추, 적양파, 검정콩, 자색 옥수수, 자색 고구마, 아마란스 잎, 포도, 블루베리, 아로니아 및 오디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모래는 펠렛 형상이며, 직경이 2 mm 내지 3 mm이고, 길이가 3 mm 내지 15 mm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모래는 반려동물 소변의 pH가 4.5 이하인 경우 붉은색으로 변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는 1) 비지, 옥수수 전분 및 첨가제를 혼합하는 단계; 2) 혼합된 조성물을 펠렛 형상으로 성형하는 단계; 및 3) 건조된 조성물에 안토시아닌을 함유하는 식물 추출물을 도포 후 4시간 내지 8시간 동안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반려동물용 기능성 모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단계 3)을 3회 내지 10회 반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토시아닌을 함유하는 식물 추출물은 식물을 가열하여 수득된 것으로 안토시아닌 함량이 1 내지 10중량%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는 1) 비지, 옥수수 전분, 안토시아닌을 함유하는 식물 추출물 및 첨가제를 혼합하는 단계; 및 2) 혼합된 조성물을 펠렛 형상으로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반려동물용 기능성 모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안토시아닌을 함유하는 식물 추출물은 식물을 착즙하여 수득된 것으로 안토시아닌 함량이 1 내지 10중량%일 수 있다.
또한, 상기 2)단계 후, 성형된 조성물에 안토시아닌을 함유하는 식물 추출물을 도포 후 4시간 내지 8시간 동안 건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2)단계는, a) 성형된 조성물을 170℃ 내지 200℃의 온도에서 8분 내지 15분 동안 열처리하는 단계; 및 b) 열처리된 조성물을 12시간 내지 24시간 동안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b)단계 후 건조된 조성물의 수분 함량은 0 내지 3 중량%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용 기능성 모래는, 별도로 채취하기 어려운 반려동물 소변에 대하여 일상생활에서 그 산성도를 확인함으로써 신장 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천연원료를 이용하여 기능성 모래를 구현한 바, 사용시 안정성이 보장되며 친환경적인 효과있으며, 종래 반려동물용 모래에 비해 향상된 응고력, 흡수력, 항균성 및 분진 발생 저감성을 나타내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래에서 반려동물의 소변 산성도에 따른 색 변화를 비교한 사진이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래의 형상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래의 동일 중량 대비 부피를 확인한 것이다.
도 4a 및 도 4b는 대조군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래의 응고력을 비교한 결과이다.
도 5는 대조군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래의 흡수성을 비교한 결과이다.
도 6은 대조군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래의 수해리성을 비교한 결과이다.
도 7a 및 도 7b는 대조군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래의 분진 발생 정도를 비교한 결과이다.
도 8a 및 도 8b는 대조군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래의 항균력을 비교한 결과이다.
도 9는 대조군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래의 탈취력을 비교한 결과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비지, 옥수수 전분, 안토시아닌을 함유하는 식물 추출물 및 첨가제를 포함하는 반려동물용 기능성 모래를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모래 100 중량부 대비, 상기 비지를 45 내지 95 중량부, 상기 옥수수 전분을 25 내지 50 중량부, 상기 식물 추출물을 0.1 내지 8 중량부, 상기 첨가제를 0.1 내지 10 중량부로 포함할 수 있다.
비지는 두부의 생산과정에서 나오는 부산물이다. 비지는 분진 발생이 적고 친환경적인 원료로서 반려동물의 건강을 해치지 않으면서도 수분 흡수성, 수해리성이 뛰어나 반려동물용 모래에 주원료로 적용하기 매우 적합하다.
또한, 옥수수 전분의 경우, 다른 식물 유래 전분에 비해 향이 적고, 적절한 응고력을 가져 비지와 혼합하여 모래를 구현하는 경우 비지의 수분흡수성을 유지하면서도 모래의 탄성을 적정 수준으로 유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고구마 전분의 경우 특유의 냄새가 과하게 발생하는 문제가 있고, 감자 전분의 경우 형성되는 수분에 따라 찰기 변화폭이 커 비지와 적절히 배합하기 어려우며, 타피오카 전분의 경우 지나치게 단단하게 굳어 수분을 흡수하는 시간이 오래 걸려 반려동물용 모래에 적용하기 곤란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모래는 비지 및 옥수수 전분을 3 : 1 내지 2 : 3, 3 : 2 내지 1 : 1 또는 5 : 4 내지 1 : 1의 중량비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범위로 비지와 옥수수 전분을 혼합하여 모래를 제조하면, 모래가 쉽게 부서지지 않고 뛰어난 수분 흡수력을 유지하며, 나아가 항균, 탈취, 소변 pH 진단 등의 다른 기능성 첨가제가 첨가될 때 그 성능이 잘 발휘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본 발명의 반려동물용 기능성 모래는 비지와 옥수수 전분을 최적의 혼합비로 포함함으로써 탄산칼슘이나 실리카겔 등의 인공적 화합물을 포함하지 않으면서도 우수한 응고력, 흡수력 및 분진 발생 저감 능력을 나타낼 수 있다.
안토시아닌(anthocyanin)은 천연 지시약으로 사용할 수 있는 수용성 물질로, pH가 낮은 산성 조건에서는 붉은색, pH가 높은 염기성 조건에서는 푸른색을 띄는 특성을 가진다. 안토시아닌의 발색단(chromophore) 분자의 다양한 작용기가 수소이온 혹은 수산화이온과 반응하여 발색단 분자의 구조를 변화시킨다. 이러한 변화를 통해 안토시아닌 발색단 분자가 흡수하는 빛의 파장은 바뀌게 되고, 지시약이 흡수하는 파장에 해당하는 색의 보색(complementary color)을 관찰하여 접촉된 용액의 pH 변화를 관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안토시아닌의 특성을 반려동물용 모래에 적용하여, 인위적으로 채취가 어려운 반려동물의 소변 상태를 일상 생활에서 측정함으로써 반려동물의 건강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였다.
즉, 상기 모래는 반려동물 소변의 pH가 4.5 이하인 경우 붉은색으로 변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양이의 정상 소변은 pH5.5 내지 pH7.0이며, 신장기능이 저하되어 강한 산성을 띠는 경우 붉은색으로 변색될 수 있고, 나아가 중성을 넘어 알카리성을 띠는 경우 푸른색으로 변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음수량 부족이나 신장질환으로 인해 신장기능이 저하된 반려동물의 소변은 모래를 붉게 변색시키며(도 1 참조; 제조예 4에 따라 수득된 모래), 정상 소변의 경우 수분에 의해 진한 보라색을 띌 수 있으나 붉게 변하지는 않는다.
구체적으로, 상기 안토시아닌을 함유하는 식물 추출물은 적양배추, 적양파, 검정콩, 자색 옥수수, 자색 고구마, 아마란스 잎, 포도, 블루베리, 아로니아 및 오디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로부터 추출될 수 있다. 또한, 과일류의 추출물 보다는 반려동물에 유해하지 않으면서도 더 다양한 색변화를 나타낼 수 있는 적양배추 추출물을 이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모래 100 중량부 대비, 상기 안토시아닌을 함유하는 식물 추출물을 0.1 내지 8 중량부, 1 내지 7 중량부 또는 2 내지 6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이는 안토시아닌을 함유하는 추출물을 수득하는 방식, 즉 추출법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 것으로, 예를 들어 가열 추출물은 3 내지 8 중량부로, 착즙 추출물은 0.1 내지 5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반려동물의 소변 pH 변화 감응성(발색력)을 잘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래는 첨가제로서 제올라이트, 석회질 물질 및 천연 항균물질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올라이트는 고양이 모래의 응고력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다공성을 가져 기체, 액체 등의 분자, 이온을 흡착할 수 있어 모래에 탈취능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석회질 물질은 천연 유기 고분자 물질인 키토산(chitosan)을 함유하는 것으로, 키토산은 게, 새우와 같은 갑각류나 갑오징어 뼈, 곤충류 표피 등으로부터 추출할 수 있다. 상기 키토산은 효소와 호기성 미생물분해작용에 의해 이산화탄소와 물로 최종 분해되므로 2차 환경오염문제가 거의 없는 천연 응집제로, 반려동물의 건강에 무해하다. 상기 석회질 물질은, 상기 모래 100 중량부 대비 0 내지 1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천연 항균물질은 반려동물의 배변물에서 발생하는 냄새를 저감시키고, 미생물 발효를 억제시키기 위해 첨가되는 것으로, 예를 들어, 피톤치드, 박하, 솔잎, 페퍼민트, 감초, 치자, 자몽 등으로부터 추출된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항균물질은 항균 등의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진 헤스페리딘(hesperidine)이 풍부한 귤껍질(Citrus Unshiu Peel) 분말일 수 있다. 상기 석회질 물질은, 상기 모래 100 중량부 대비 0 내지 2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래는 도 2a 및 도 2b에서 그 형상을 확인할 수 있다. 도 1a는 펠렛 형상을 나타낸 것으로, 이때 모래는 직경이 2 mm 내지 3 mm이고, 길이가 3 mm 내지 15 mm 또는 5 mm 내지 10 mm 일 수 있다. 또한, 도 2b는 크랙(crack) 형상을 나타낸 것으로, 10 mm 이하의 길이를 가진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1) 비지, 옥수수 전분 및 첨가제를 혼합하는 단계; 2) 혼합된 조성물을 펠렛 형상으로 성형하는 단계; 및 3) 건조된 조성물에 안토시아닌을 함유하는 식물 추출물을 도포 후 4시간 내지 8시간 동안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반려동물용 기능성 모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단계 1)은 비지, 옥수수 전분 및 첨가제를 혼합하여 반죽물을 형성하는 것으로, 각 성분의 특성 및 혼합비는 전술한 바와 같다.
상기 단계 2)는 시중에서 사용되는 펠렛 장비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2) 단계는 a) 성형된 조성물을 170℃ 내지 200℃ 또는 175℃ 내지 190℃, 바람직하게는 180℃의 온도에서 8분 내지 15분 또는 9분 내지 12분, 바람직하게는 10분 동안 열처리하는 단계; 및 b) 열처리된 조성물을 12시간 내지 24시간, 13시간 내지 20시간 또는 14시간 내지 16시간 동안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b)단계 후 건조된 조성물의 수분 함량은 0 내지 3 중량%일 수 있다.
한편, 상기 단계 3)은 식물 추출물의 안토시아닌 함량에 따라 적절한 발색력을 구현하기 위하여 3회 내지 10회 반복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안토시아닌을 함유하는 식물 추출물은 식물을 가열하여 수득된 것으로 안토시아닌 함량이 1 내지 10 중량%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1) 비지, 옥수수 전분, 안토시아닌을 함유하는 식물 추출물 및 첨가제를 혼합하는 단계; 및 2) 혼합된 조성물을 펠렛 형상으로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반려동물용 기능성 모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단계 1)은 비지, 옥수수 전분, 안토시아닌을 함유하는 식물 추출물 및 첨가제를 혼합하여 반죽물을 형성하는 것으로, 각 성분의 특성 및 혼합비는 전술한 바와 같다. 이때, 상기 안토시아닌을 함유하는 식물 추출물은 식물을 착즙하여 수득된 것으로 안토시아닌 함량이 1 내지 10 중량%일 수 있다.
상기 단계 2)는 시중에서 사용되는 펠렛 장비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2) 단계는 a) 성형된 조성물을 170℃ 내지 200℃ 또는 175℃ 내지 190℃, 바람직하게는 180℃의 온도에서 8분 내지 15분 또는 9분 내지 12분, 바람직하게는 10분 동안 열처리하는 단계; 및 b) 열처리된 조성물을 12시간 내지 24시간, 13시간 내지 20시간 또는 14시간 내지 16시간 동안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b)단계 후 건조된 조성물의 수분 함량은 0 내지 3 중량%일 수 있다.
또한, 상기 2)단계 후, 안토시아닌을 함유하는 식물 추출물을 기 포함하는 성형된 조성물에 발색의 정도를 조절하기 위해, 안토시아닌을 함유하는 식물 추출물을 도포 후 4시간 내지 8시간 동안 건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전술한 방법들로 제조된 펠렛 형상의 반려동물용 기능성 모래는 특정 장비를 거쳐 비드, 플레이크, 크랙 등 다향한 형상을 갖도록 제조될 수 있다.
이와 같이본 발명의 반려동물용 기능성 모래는 비지, 옥수수 전분, 안토시아닌을 포함하는 식물 추출물 및 기타 첨가제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특정 조건에 따라 열처리 및 건조하여 제조함으로써, 펠렛 장비를 활용하지 않으면서 펠렛을 제조할 수 있고, 탄산칼슘이나 실리카겔 등의 인공적 화합물을 포함하지 않아 친환경적이고 우수한 응고력, 흡수력 및 분진 발생 저감 능력을 나타낼 수 있다.
상술한 반려동물용 기능성 모래 제조방법에 있어서, 비지, 옥수수 전분, 안토시아닌을 함유하는 식물 추출물, 첨가제 및 기타 모래의 물성에 대한 설명은 상기 반려동물용 기능성 모래에 기재된 설명을 참조한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에 의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 반려동물용 기능성 모래 제조 (Recipe A)
총 조성물 100 중량부 대비, 비지 55 중량부, 옥수수 전분 40 중량부 및 물 5 중량부를 혼합하여 반죽한 후 펠렛 형상으로 만들었다. 다음으로, 펠렛 형상의 반죽물을 180℃의 온도에서 10분 동안 열처리 후 12시간 동안 건조하여 모래를 제조하였다.
제조예 2. 반려동물용 기능성 모래 제조(Recipe B)
제조예 1에서 원료 혼합시 비지 55 중량부, 옥수수 전분 41 중량부 및 물 4 중량부를 혼합하여 혼합한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방법으로 반려동물용 기능성 모래를 제조하였다.
제조예 3. 반려동물용 기능성 모래 제조(Recipe C)
제조예 1에서 원료 혼합시 비지 50 중량부, 옥수수 전분 40 중량부 및 물 10 중량부를 혼합하여 혼합한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방법으로 반려동물용 기능성 모래를 제조하였다.
제조예 4. 반려동물용 기능성 모래 제조
제조예 1에서 원료 혼합시 비지 55 중량부, 옥수수 전분 40 중량부, 물 3 중량부 및 안토시아닌 함유 적양배추 추출물 2 중량부를 혼합하여 혼합한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방법으로 반려동물용 기능성 모래를 제조하였다.
제조예 1 내지 3의 경우, 반려동물의 건강 진단 기능과는 별개로 모래가 용변 처리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가져야할 물리적 특성을 중점적으로 테스트하기 위해 별도로 제작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모래가 갖는 특유의 색은 도입하지 않고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예 1. 부피 측정
제조예 1 내지 3에서 수득된 모래의 동일 중량 대비 부피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제조예 2의 모래 부피가 가장 큰 것을 알 수 있다(도 3a 및 도 3b 참조).
실험예 2. 응고력 측정
타사 제품(퀸오브샌드 누디 녹차, (주)채널팻)과 제조예 1 내지 3에서 수득된 모래를 별개의 용기에 동일한 부피로 채운 후 각각 물을 30mL 부었다. 30분 뒤 용기를 엎어서 남은 덩어리의 크기를 확인하여 응고력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대조군인 타사 제품 대비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래의 응고력이 우수한 것을 알 수 있으며, 특히 제조예 2 및 3의 모래가 우수한 형태유지율을 나타내었다(도 4a 및 도 4b 참조).
실험예 3. 흡수력 측정
타사 제품(퀸오브샌드 누디 녹차, (주)채널팻)과 제조예 1 내지 3에서 수득된 모래를 별개의 용기에 동일한 부피로 채운 후 각각 물을 30mL 부은 직후, 바닥면을 확인하여 흡수력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동일한 시간 내에 본 발명에 따른 모래가 더 많은 수분을 흡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도 5 참조).
실험예 4. 수해리성 및 분진 발생 정도 확인
타사 제품(퀸오브샌드 누디 녹차, (주)채널팻)과 제조예 1 내지 3에서 수득된 모래를 별개의 용기에 동일한 부피로 채운 후 각각 물을 150mL 부었다. 그 후 2회 막대로 둥글게 저어준 후, 해리 상태를 확인하였다. 도 6을 참조하면, 대조군인 타사제품 대비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래가 수해리성이 더 뛰어난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대조군인 타사 제품 대비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래는 분진 발생 정도가 월등히 떨어지는 것을 확인하였는다(도 7a 및 도 7b 참조).
실험예 5. 항균력 측정
벤토나이트, 타사 제품 a(퀸오브샌드 누디 퓨어, ㈜채널펫), 타사 제품 b(두부랑캣츠, ㈜퍼피아울렛)와 제조예 4에서 수득된 모래의 항균력을 비교하였다.
먼저, 고양이들이 각각의 모래를 일주일 사용 후, 모래 15g을 덜어내어 물에 100배 희석하였다. 이를 미생물 배양 배지에 도말하여 이틀 배양한 후 미생물들의 성장양상을 비교하였다. 1회차에는 벤토나이트, 2회차에는 타사 제품 a, 3회차에는 타사 제품 b를 제조예 4의 모래와 비교하였다(도 8a 및 도 8b 참조).
벤토나이트는 모래 성분으로 각종 유기물이 포함된 모래들에 비해 미생물 성장률이 낮았다. 이때,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래는 1회차 실험에서 벤토나이트와 유사한 정도의 미생물 콜로니가 형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고(100 vs. 93), 2회차 및 3회차에서는 타사 제품에 비해 미생물이 적게 생장한 것을 알 수 있음(A vs. 제조예 4=100 vs. 53, B vs. 제조예 4=100 vs. 64)
실험예 6. 탈취력 측정
벤토나이트, 타사 제품 a(상표명, 제조사), 타사 제품 b(상표명, 제조사)와 제조예 4에서 수득된 모래의 탈취력을 비교하였다.
먼저, 고양이들이 각각의 모래를 일주일간 사용하면 용변을 모두 제거하였으며, 7일째의 12시간동안 소변, 대변을 치우지 않은 상태에서 암모니아(NH3)측정장비를 이용하여 화장실 안의 암모니아 양을 측정하였다. 1회차에는 벤토나이트, 2회차에는 타사 제품 a, 3회차에는 타사 제품 b를 제조예 4의 모래와 비교하였다.
도 9에 나타난 바와 같이, 벤토나이트는 흡수성이 아닌 응고성 모래로 고양이 소변의 냄새가 매우 강하게 나타났고, 타사제품 역시 이와 동등한 수준으로 탈취력이 매우 낮았다. 그에 비해 제조예 4의 모래는 암모니아를 흡수하면서 중화시켜 냄새가 감소된 것을 알 수 있다.

Claims (10)

  1. 비지, 옥수수 전분, 안토시아닌을 함유하는 식물 추출물 및 첨가제를 포함하는, 반려동물용 기능성 모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래 100 중량부 대비, 상기 비지를 45 내지 95 중량부, 상기 옥수수 전분을 25 내지 50 중량부, 상기 식물 추출물을 0.1 내지 8 중량부, 상기 첨가제를 0.1 내지 10 중량부로 포함하는,
    반려동물용 기능성 모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첨가제는 제올라이트, 석회질 물질 및 천연 항균물질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인,
    반려동물용 기능성 모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은 적양배추, 적양파, 검정콩, 자색 옥수수, 자색 고구마, 아마란스 잎, 포도, 블루베리, 아로니아 및 오디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인,
    반려동물용 기능성 모래.
  5. 1) 비지, 옥수수 전분 및 첨가제를 혼합하는 단계;
    2) 혼합된 조성물을 펠렛 형상으로 성형하는 단계; 및
    3) 건조된 조성물에 안토시아닌을 함유하는 식물 추출물을 도포 후 4시간 내지 8시간 동안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반려동물용 기능성 모래 제조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3)을 3회 내지 10회 반복하는,
    반려동물용 기능성 모래 제조방법.
  7. 1) 비지, 옥수수 전분, 안토시아닌을 함유하는 식물 추출물 및 첨가제를 혼합하는 단계; 및
    2) 혼합된 조성물을 펠렛 형상으로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반려동물용 기능성 모래 제조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2)단계 후, 성형된 조성물에 안토시아닌을 함유하는 식물 추출물을 도포 후 4시간 내지 8시간 동안 건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반려동물용 기능성 모래 제조방법.
  9. 제5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2)단계는,
    a) 성형된 조성물을 170℃ 내지 200℃의 온도에서 8분 내지 15분 동안 열처리하는 단계; 및
    b) 열처리된 조성물을 12시간 내지 24시간 동안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반려동물용 기능성 모래 제조방법.
  10. 제5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 후 건조된 조성물의 수분 함량은 0 내지 3 중량%인,
    반려동물용 기능성 모래 제조방법.
KR1020200046584A 2020-04-17 2020-04-17 반려동물용 기능성 모래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3535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6584A KR102353501B1 (ko) 2020-04-17 2020-04-17 반려동물용 기능성 모래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6584A KR102353501B1 (ko) 2020-04-17 2020-04-17 반려동물용 기능성 모래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8664A true KR20210128664A (ko) 2021-10-27
KR102353501B1 KR102353501B1 (ko) 2022-01-19

Family

ID=782872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6584A KR102353501B1 (ko) 2020-04-17 2020-04-17 반려동물용 기능성 모래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350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918555A (zh) * 2022-11-21 2023-04-07 深圳市蓝宝炭业有限公司 一种猫砂伴侣除臭丸状颗粒及其制备方法
WO2023132551A1 (ko) * 2022-01-10 2023-07-13 주식회사 퓨쳐바이오웍스 동물의 소변 상태 진단용 모래,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소변 상태 진단 방법
KR20230173846A (ko) * 2022-06-20 2023-12-27 김영균 재사용이 가능하며 생분해성이 우수한 친환경 고양이 모래 조성물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57832A (ja) * 1997-03-18 1998-09-29 Nea Corp:Kk 健康チェック用発色型トイレ材及び健康チェック用複合トイレ材
JP2005034161A (ja) * 2004-11-04 2005-02-10 Daiki:Kk 粒状の排泄物処理材の製造方法
JP2009042158A (ja) * 2007-08-10 2009-02-26 Fuji Raito Kogyo Kk 尿pH検査用具
KR20170091842A (ko) 2016-02-01 2017-08-10 이준용 천연재료를 이용한 고양이모래 및 제조방법 및 장치
KR101862344B1 (ko) * 2017-03-29 2018-05-29 (주)드롤푸드 두부 비지를 이용한 반려동물 분뇨 처리제의 제조방법
KR101923215B1 (ko) 2018-05-25 2018-11-29 남영미 먼지 없는 고양이 모래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먼지 없는 고양이 모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57832A (ja) * 1997-03-18 1998-09-29 Nea Corp:Kk 健康チェック用発色型トイレ材及び健康チェック用複合トイレ材
JP2005034161A (ja) * 2004-11-04 2005-02-10 Daiki:Kk 粒状の排泄物処理材の製造方法
JP2009042158A (ja) * 2007-08-10 2009-02-26 Fuji Raito Kogyo Kk 尿pH検査用具
KR20170091842A (ko) 2016-02-01 2017-08-10 이준용 천연재료를 이용한 고양이모래 및 제조방법 및 장치
KR101862344B1 (ko) * 2017-03-29 2018-05-29 (주)드롤푸드 두부 비지를 이용한 반려동물 분뇨 처리제의 제조방법
KR101923215B1 (ko) 2018-05-25 2018-11-29 남영미 먼지 없는 고양이 모래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먼지 없는 고양이 모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32551A1 (ko) * 2022-01-10 2023-07-13 주식회사 퓨쳐바이오웍스 동물의 소변 상태 진단용 모래,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소변 상태 진단 방법
KR20230173846A (ko) * 2022-06-20 2023-12-27 김영균 재사용이 가능하며 생분해성이 우수한 친환경 고양이 모래 조성물
CN115918555A (zh) * 2022-11-21 2023-04-07 深圳市蓝宝炭业有限公司 一种猫砂伴侣除臭丸状颗粒及其制备方法
CN115918555B (zh) * 2022-11-21 2023-09-12 深圳市蓝宝炭业有限公司 一种猫砂伴侣除臭丸状颗粒及其制备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53501B1 (ko) 2022-0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53501B1 (ko) 반려동물용 기능성 모래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862344B1 (ko) 두부 비지를 이용한 반려동물 분뇨 처리제의 제조방법
KR102242680B1 (ko) 동물용 모래 및 이를 제조하는 제조 방법
JPS6094043A (ja) 排泄物処理材の製造方法
CN113207710A (zh) 一种能除臭抑菌的益生菌猫砂及其制备方法
CN112931250A (zh) 一种天然麻秆豆腐猫砂及其制备方法
CN108935133A (zh) 一种玉米芯植物猫砂及制备方法
CN113273583A (zh) 一种植物提取物抑菌剂、含植物提取物的抑菌祛味型保健猫砂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11587797B (zh) 一种花青素植物提取废弃物制备的天然指示猫砂
CN107711533B (zh) 蛋白土复合型多功能除味猫砂及其制备方法
KR20180106579A (ko) 반려동물의 냄새 및 독소 제거를 위한 조성물
KR20220014753A (ko) 반려동물 진단용 모래
CN111512976A (zh) 一种沸石豆腐猫砂及其制备方法
CN106942072A (zh) 一种黑猪发酵床垫料添加剂及制备方法
JP3692352B2 (ja) 動物用糞尿処理材
CN109479733A (zh) 一种环保抗菌宠物香砂及其制备方法
CN109169311A (zh) 一种抗菌猫砂及其制备方法
CN108658259A (zh) 一种水产养殖生物改良剂
CN109220831A (zh) 一种绿色无尘型猫砂及其制备方法
CN114424751A (zh) 一种吸味抗菌且能预防足部裂纹的混合猫砂及其制备方法
CN111134026A (zh) 一种抑菌防虫的玉米芯猫砂
CN102448322A (zh) 基于沸石的化合物和作为舔食石的使用
CN101361525B (zh) 猪用营养砖及其提供方式
US20060042552A1 (en) Pet litter
CN111280074A (zh) 天然植物猫砂及生产工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