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91842A - 천연재료를 이용한 고양이모래 및 제조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천연재료를 이용한 고양이모래 및 제조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91842A
KR20170091842A KR1020160012598A KR20160012598A KR20170091842A KR 20170091842 A KR20170091842 A KR 20170091842A KR 1020160012598 A KR1020160012598 A KR 1020160012598A KR 20160012598 A KR20160012598 A KR 20160012598A KR 20170091842 A KR20170091842 A KR 201700918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nd
weight
raw material
bentonite
sodi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125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38452B1 (ko
Inventor
이학섭
Original Assignee
이준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준용 filed Critical 이준용
Priority to KR10201600125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8452B1/ko
Publication of KR201700918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18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84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84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1Removal of dung or urine, e.g. from stables
    • A01K1/0107Cat trays; Dog urinals; Toilets for pe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1Removal of dung or urine, e.g. from stables
    • A01K1/0107Cat trays; Dog urinals; Toilets for pets
    • A01K1/011Cat trays; Dog urinals; Toilets for pets with means for removing excrement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15Floor coverings, e.g. bedding-down sheets ; Stable floo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2Pigsties; Dog-kennels; Rabbit-hutches or the like
    • A01K1/035Devices for use in keeping domestic animals, e.g. fittings in housings or dog bed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3/00Manure or urine pouch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4/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4/02Granular materials, e.g. microballoons
    • C04B14/04Silica-rich materials; Silicates
    • C04B14/047Zeoli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4/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4/02Granular materials, e.g. microballoons
    • C04B14/04Silica-rich materials; Silicates
    • C04B14/10Clay
    • C04B14/104Bentonite, e.g. montmorillonit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Zoology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양이 모래를 제조함에 있어, 혼합, 믹싱, 롤링, 건조, 선별 등의 단계를 거쳐 분말상태가 아닌 입상의 모래형태를 이루도록 하여 애완용 모래 사용시 발생되는 분진을 최소화 하며, 분진에 의해 발생되는 각종 질병을 방지함과 동시에 모래 제품에 대한 사용에 대한 편리성과 취급이 용이하도록 한 새로운 형태의 고양이 모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200메쉬(mash) 분말상태의 나트륨계 벤토나이트 20중량%와, 1~2mm 입상의 나트륨계 벤토나이트 60중량%와, 칼슘계 제올라이트 5중량%와, 톱밥 7중량%와, 미네랄수 5중량%와, 첨가제로 베이킹소다 3중량%를 혼합 및 반죽, 롤링, 건조시켜 2~5mm 크기의 입상으로 구성된 것이다.

Description

천연재료를 이용한 고양이모래 및 제조방법 및 장치{sand for cats and cats sand manufacturing method}
본 발명은 고양이 모래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애완용으로 사육되는 고양이에서 발생되는 대,소변 등의 분비물을 흡수 및 응고되도록 하여 후처리가 간편·용이하게 고형물화 시켜 배설물을 수거할 수 있도록 하며, 또한, 대,소변에 의한 악취원인이 되는 암모니아(NH3,ammonia)를 흡착하여 악취를 탈취함과 동시에, 주원료로 사용되는 광물의 특성에 의한 항균, 음이온, 원적외선 등의 기능성이 부각된 고양이 모래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람이 살아감에 있어, 의식주(衣食住)는 기본적인 필수요소이며, 산업과 문명의 발달로 인해 도시화되어 자연에서 벗어나 인공적인 환경에서 살아가고 있으며, 도시화된 인공적인 환경에서도 인간의 본능은 환경친화적이며 자연에 속하여 자연으로 돌아가고 싶은 욕구가 절실하고, 핵가족화와 고령화에 따른 사회적 외면과 고독함과 외로움에 따른 우울증 등의 경제발전에 따른 사회적 모순이 점점 심화되고 있다.
예전에는 개, 고양이는 매매를 목적으로 사육하였으며, 실내공간에서 사육하지 않고 실외 일정한 장소에 우리를 설정하여 사육하였으나, 현대사회는 개, 고양이를 비롯한 애완동물에 대한 인식이 바뀌어 단순한 동물이 아닌 가족의 일원으로 인식되고 있으며, 특히, 도심속에서 자연과 동물의 친근함을 얻고 교감을 통해 자연을 알고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한 수단을 개, 고양이와 같은 애완용 동물이 확대되고 있으며, 동물애호가나 마니아에 의해 다각적으로 애완동물에 대한 수요가 점증적으로 높아지고 있다.
현재, 애완동물이 일반가정에서 사육되고 있으며, 특히, 고양이는 동물이라는 개념을 넘어 가족이고 인생의 동반자의 역할로 자리 잡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고양이를 키우기 위해서는 사람과 마찬가지로 집과 음식 및 기타 도구가 필수적으로 요구되며, 음식과 동물 우리의 경우에는 동물의 특성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사료와 우리가 널리 보급되어 사용되고 있다.
고양이를 가족의 일원으로 생각하고 함께 살아가는 동반자로 취급되고 있으므로, 다양한 용품이 다각도로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고, 동물우리라는 개념이 단순히 가둬 기르고 잠자리를 위해 수단이 아니라, 인간과 마찬가지로 각종 놀이기구와 위생적이고 청결한 환경에서 살아갈 수 있도록 화장실 공간, 사료공간, 잠자리 공간 등의 각종 편의시설이 구성되어 있다.
특히, 고양이의 경우에는 다른 애완동물과는 다르게 대,소변시 용변을 모래에 묻어버리는 특성이 있으므로, 이를 위한 모래(일명 고양이 모래)가 필수적으로 필요하며, 모래가 없으면 원활한 용변이 이루어지지 못하게 된다.
이를 위한 고양이 모래와 화장실 용품이 다각적으로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고양이 모래는 사용방법에 따라, 크게 흡수형 모래와 응고형 모래로 분류된다.
상기 흡수형 모래는 고양이의 용변 특히, 소변을 흡수하는 기능을 갖는 제품으로, 방습제로 활용되고 있는 실리카(silica, SiO2ㆍ2H2O)을 사용하거나, 종이모래 또는 옥수수, 콩 등의 곡물을 이용한 흡수형 모래가 대표적이며, 응고형 모래는 광산에서 채취된 나트륨계 벤토나이트를 파쇄한 모래가 사용되고 있다.
상기 나트륨계 벤토나이트는 전세계에 일부국가에서는 채취가 가능하고 매장량이 제한적이며, 우리나라에는 칼슘계 벤토나이트만이 채취 가능한 광물이다.
상기와 같이, 실리카 또는 종이 및 곡물을 이용한 흡수형 모래는 수분에 대한 흡수성이 우수하여 고양이의 소변 흡수력은 우수하지만 응고력이 거의 없어 고형물형태로 뭉치지 않고, 암모니아 악취에 대한 탈취기능이 현저하게 떨어지며, 특히, 실리카 모래의 경우에는 인체와 환경에 유해한 성분을 함유하고 있으므로 눈병이나 피부질환 등의 질병원인을 제공하는 폐단을 갖고 있다.
또한, 곡물을 이용하거나 종이를 이용한 모래의 경우에는 곡물에 대한 공급부족현상과 후처리 과정이 불편하고, 종이를 얻기위한 산림훼손등의 환경파괴 원인을 제공하며, 불량한 종이 원료를 재사용할 경우에는 종이 재생과정에서 함유된 유해성분에 의해 고양이는 물론 인체에도 좋지 않은 환경을 조성하게 된다.
그리고, 나트륨계 벤토나이트를 이용한 응고형 모래는 응고력이 우수한 제품으로 가장 많이 보급되어 사용되고 있으나, 광물을 채취하여 작은 입자상태로 파쇄한 것이므로, 분진에 의한 먼지가 발생이 심하고, 파쇄로 인해 입자 표면이 날카롭게 형성되므로, 고양이가 용변을 위해 사용하는 과정에서 피부접촉시 자극을 주어 상처를 입게 되는 폐단을 갖고 있다.
특히, 응고형 모래로 국내에 유통되고 있는 제품의 99%는 중국이나 미국에서 수입되고 있으므로, 국내 산업발전에 크게 이바지 하지 못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고양이는 가족의 일원이며 동반자 역할을 수행한다고는 하지만, 지능이 낮고 동물의 본능에 충실하게 생활하게 되므로, 동물 특유의 세균과 냄새를 풍기게 되며, 대,소변과 같은 분비물에 의한 악취가 발생하게 되고, 분비물을 스스로 처리할 수 없으므로, 실내에서 사육되는 경우 각종 악취를 발생시키게 되어 청결한 위생관리가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애완용 모래는 단순히 바닥을 구분하고 배설물을 은폐하기 위해 사용될 뿐, 기능성이 없고 장시간 사용하게 되면, 건조로 인해 부스러져 미세한 입자가 발생되고, 바람에 쉽게 날려 실내공기를 오염시키는 주원인을 제공하며, 또한, 분진에 의한 피해가 크고, 배설물 악취에 대한 탈취기능을 거의 없으므로 배설물에서 발생되는 악취에 무방비한 상태로 악취에 대한 탈취가 절실하게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고양이 모래는 10-2010-7012940(동물용 화장실 모래, 이하 선행특허라 칭함)에 의해 기출원되어 있으며, 선행특허는 복수의 입상물을 포함하는 동물용 화장실 모래로서, 복수의 입상물 각각은, 무기 다공질 재료로 이루어지는 입자군과, 실리카겔과, 이 입자군 및 이 실리카겔을 일체적으로 고정하는 무기 바인더를 포함하는 것인바, 상기 무기 바인더가 시멘트이거나 시멘트와 비시멘트계 고화제와의 혼합물로 구성된 것이다. 상기 비시멘트계 고화제는 황산칼슘 및 산화마그네슘을 주성분으로 하는 수경화성 고화제이고, 상기 무기 다공질 재료가 제올라이트, 아타풀자이트, 세피올라이트, 규조토 및 규조혈암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구성을 갖는다. 상기 시멘트가 저알칼리 시멘트이고, 상기 복수의 입상물은, 상기 무기 바인더의 함유량이 5 질량%∼30질량%이고, 상기 실리카겔의 함유량이 3 질량%∼20질량%인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선행특허에서 사용되는 실리카겔(silicagel, SiO2ㆍ2H2O)은 수분에 대한 흡수성이 우수하여 방습 및 흡수제로 사용되는 것으로서, 애완동물의 수변 흡수력은 우수하지만 응고력이 떨어지고 탈취기능이 현저하게 떨어지며, 무기 바인더로 사용되는 시멘트는 인체와 환경에 유해한 석면 등의 발암물질을 함유하고 있으므로 눈병이나 피부질환 등의 질병원인을 제공하는 폐단을 갖고 있다. 본 발명은 본 출원인에 의해 기출원되어 등록된 특허 제 837528호(악취 탈취제 조성물, 이하 선등록 특허라 칭함)와 특허출원 10-2010-44758(천연재료를 이용한 애완용 모래와 그 제조방법, 이하, 선출원특허라 칭함)되어 있다. 이러한, 선등록 특허는 분말상태의 제올라이트 50∼90중량%, 식품첨가제 1∼5중량%, 벤토나이트 5∼35중량%를 혼합 및 반죽과정, 압축과정, 절단 및 롤링과정, 건조과정에 의해 탈취제 조성물을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분말상태의 제올라이트에는 부원료로 식물성 섬유제인 펄프를 3~5중량%로 혼합하여 점도가 없는 제올라이트를 서로 결합시키는 충전제 역할을 하게 되며, 천연 향신료가 1중량%의 혼합비율로 첨가된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선출원 특허는 고양이나 햄스터, 고슴도치, 토끼 등의 중소동물을 사육하는 과정에서, 바닥재로 사용되는 모래를 구성함에 있어서, 분말상태의 주원료인 제올라이트 45중량%와 벤토나이트 40중량%로 구성하고, 첨가제인 토르말린 3중량%로 구성하며, 정제수 12중량%의 비율로 혼합 및 반죽하고, 혼합 반죽된 원료를 롤링시켜 0.5~1mm이하의 과립형태와, 1~3mm이하의 과립형태, 3~7mm이하의 과립형태로 구성되는 것이다. 선출원 특허는 애완동물의 바닥재로 사용되는 과립형태의 모래를 제조함에 있어서, 천연재료의 제올라이트, 벤토나이트, 토르말린, 편백나무 분말 및 정제수를 제올라이트 45중량%와 벤토나이트를 40중량%로 구성하고, 첨가제인 토르말린 3중량%로 구성하며, 정제수 12중량%의 비율로 혼합기에서 혼합 및 반죽하는 단계; 혼합기의 개폐실린더 작동단계; 원료가 배출되어 제 1이송 콘베이어에 의해 이송되는 단계; 이송된 원료가 롤링부의 회전통에 공급되는 단계; 롤링부의 회전통이 회전되어 원료가 롤링되며 구형상으로 성형되는 단계; 롤링부의 회전통에 의해 성형된 원료가 배출되어 제 2이송콘베이어에 의해 건조부로 이송되는 단계; 건조부의 열풍히터에 의해 원료가 이송되면서 건조되는 단계; 건조된 원료가 선별부에 공급되는 단계; 선별부의 제 1, 2, 3선별체에 의한 선별단계; 각각의 제 1, 2, 3선별체에 의해 선별된 원료가 수집되는 단계; 선별 수집된 원료를 정량공급기에 투입하는 단계; 정량공급기에 의해 정량 포장되는 단계로 구성된다.
일반적으로 애완용 모래 특히, 고양이 모래로 사용되고 있는 모래는 자연상태의 나트륨 벤토나이트(sodiumbentonite)를 작은 입자로 파쇄하여 사용하는 것으로서, 나트륨계열의 특성을 이용하여 소변을 응고시키는 기능을 갖는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자연상태의 나트륨 벤토나이트는 천연광물로 이루어져 환경친화적이기는 하나, 파쇄된 상태의 작은 입자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사용시 많은 양의 분진이 발생되어 주변환경을 오염시키는 단점을 작고 있으며, 또한, 나트륨계 벤토나이트는 국내에서는 생산되지 않고, 미국이나 중국 등에서만 생산이 가능하므로 유통되고 있는 제품의 99%이상 대부분이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므로 가격이 고가이고 수급이 원활하지 못한 폐단을 갖고 있다.
본 발명은 고양이를 기르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대,소변 등의 분비물을 흡수시켜 고형물형태로 응고시켜 분비물 후처리에 따른 편리성을 제공하고, 분비물에 의한 악취를 물리적인 흡착방식에 의해 탈취시켜 악취에 의한 폐단을 해소함과 동시에 광물에서 발산되는 원적외선 및 음이온에 의한 건강유지와 쾌적하고 청결한 위생 환경을 조성함은 물론, 고양이 모래를 국내에서 제조 생산하여 제품을 국산화할 수 있도록 하여 수입 의존도를 낮출 수 있고, 저렴한 가격으로 고품질의 제품을 제공함으로써, 소비자 만족도를 높일 수 있도록 된 새로운 형태의 고양이 모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고양이 모래를 제조함에 있어, 혼합, 믹싱, 롤링, 건조, 선별 등의 단계를 거쳐 분말상태가 아닌 입상의 모래형태를 이루도록 하여 애완용 모래 사용시 발생되는 분진을 최소화 하며, 분진에 의해 발생되는 각종 질병을 방지함과 동시에 모래 제품에 대한 사용에 대한 편리성과 취급이 용이하도록 한 새로운 형태의 고양이 모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분말상태의 제올라이트에 수분을 혼합 믹싱하여 1~2mm크기를 갖는 입상의 1차 원료와, 분말상태의 벤토나이트로 혼합 구성되며, 첨가제로 베이킹소다, 셀룰로우즈가 혼합 구성된 고양이 모래에 있어서,
200메쉬(mash) 분말상태의 나트륨계 벤토나이트 20중량%와, 1~2mm 입상의 나트륨계 벤토나이트 60중량%와, 칼슘계 제올라이트 5중량%와, 톱밥 7중량%와, 미네랄수 5중량%와, 첨가제로 베이킹소다 3중량%를 혼합 및 반죽, 롤링, 건조시켜 2~5mm 크기의 입상으로 구성된 특징을 갖는다.
상기 톱밥은 소나무, 참나무를 0.1~2mm 크기로 파쇄하여 사용되고, 미네랄수는 각종 미네랄 성분 함유가 많은 천연 암반수를 이용하거나, 또는, 제올라이트, 벤토나이트를 이용한 특징을 갖는다.본 발명은 주원료인 나트륨계 벤토나이트 및 제올라이트와, 톱밥 및 미네랄수, 첨가제인 베이킹소다로 구성되는 고양이 모래를 제조함에 있어서, 200메쉬(mash) 분말상태의 나트륨계 벤토나이트 20중량%와, 1~2mm 입상의 나트륨계 벤토나이트 60중량%와, 칼슘계 제올라이트 5중량%를 혼합기에 투입하여 혼합하여 1차 원료를 구성하는 단계;
1차 원료에 톱밥 7중량%를 혼합하여 2차 원료를 구성하는 단계;
2차 원료에 미네랄수 5중량%와 첨가제로 베이킹소다 3중량%를 혼합하여 3차원료를 구성하는 단계;
3차원료를 반죽 믹싱하여 알갱이 형태의 입상화된 모래를 구성하는 단계;
입상화된 모래를 5mm크기의 메쉬망이 구비된 선별기를 이용하여 5mm 입자 크기 이하의 모래를 선별하는 단계;
선별된 모래를 롤링기에 투입하여 표면을 연마하고 전기판엘을 이용하여 1차 건조시키는 단계;
표면연마 및 1차 건조된 모래를 전기판넬을 이용한 건조기에서 60℃의 온도로 24시간 건조시키는 단계;
이와 같은 본 발명에서, 상기 3차 원료를 구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미네랄수 5중량%는 용수에 미네랄 성분이 많은 광물을 투입하여 약 36시간 침전시켜 광물에 함유된 미네랄성분이 용수에 함유되도록 구성한 특징을 갖는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고양이 모래를 이용함에 따라, 고양이를 사육함에 있어, 대,소변에 의한 악취를 탈취함과 동시에, 대,소변 후처리에 따른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으며,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애완용 모래를 국산화함에 따라, 고품질의 제품을 저렴한 가격으로 제공할 수 있어 소비에 대한 부담감을 줄일 수 있어 경제적이며, 더 나아가서는 수입에 따른 외화낭비를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애완동물 시장에 대한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매우 파급적인 산업과 경제적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고양이 모래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공정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고양이 모래를 나타내는 사진,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고양이 모래를 제조과정에서 1차 원료를 구성하는 단계를 나타내는 사진,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고양이 모래를 제조과정에서 롤링기에 투입하여 표면을 연마하는 단계를 나타내는 사진,
도 3c는 본 발명에 따른 고양이 모래를 제조과정에서 건조시키는 단계를 나타내는 사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고양이 모래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고양이 모래 제조방법을 공정도로서, 본 발명에 따른 고양이 모래는 200메쉬(mash) 분말상태의 나트륨계 벤토나이트 20중량%와, 1~2mm 입상의 나트륨계 벤토나이트 60중량%와, 칼슘계 제올라이트 5중량%를 혼합기에 투 입하여 혼합하여 1차 원료를 구성하는 단계(S10);
1차 원료에 톱밥 7중량%를 혼합하여 2차 원료를 구성하는 단계(S20);
2차 원료에 미네랄수 5중량%와 첨가제로 베이킹소다 3중량%를 혼합하여 3차원료를 구성하는 단계(S30);
3차원료를 반죽 믹싱하여 알갱이 형태의 입상화된 모래를 구성하는 단계(S40);
입상화된 모래를 5mm크기의 메쉬망이 구비된 선별기를 이용하여 5mm 입자 크기 이하의 모래를 선별하는 단계(S50);
선별된 모래를 롤링기에 투입하여 표면을 연마하고 전기판넬을 이용하여 1차 건조시키는 단계(S60);
표면연마 및 1차 건조된 모래를 전기판넬을 이용한 건조기에서 60℃의 온도로 24시간 건조시키는 단계(S70)에 의해 제조되는 것이다.
이과정에서, 상기 3차 원료를 구성하는 단계(S30)에 사용되는 미네랄수 5중량%는 용수에 미네랄 성분이 많은 광물을 투입하여 약 36시간 침전시켜 광물에 함유된 미네랄성분이 용수에 함유되도록 구성된 것이다.
이때, 미네랄수는 본 출원인에 의해 기출원되어 등록된 특허 제 1329637호에 의해 개발되어진 바이오토를 이용한 것으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고양이 모래를 나타내는 사진으로서, 200메쉬(mash) 분말상태의 나트륨계 벤토나이트 20중량%와, 1~2mm 입상의 나트륨계 벤토나이트 60중량%와, 칼슘계 제올라이트 5중량%를 혼합기에 투입하여 혼합하여 1차 원료가 구성되고, 1차 원료에 톱밥 7중량%를 혼합하여 2차 원료가 구성되며, 2차 원료에 미네랄수 5중량%와 첨가제로 베이킹소다 3중량%를 혼합하여 3차원료가 구성된 상태에서, 반죽기(통상적인 분말 혼합 반죽기로서, 도면에 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반죽 믹싱되어 약 5mm 입자크기의 알갱이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때, 모래에 혼합된 미네랄수는 혼합 믹싱과정에서, 분말상태의 입자를 뭉쳐지도록 하기 위해 투입되는 것이고, 건조과정에서, 미네랄수 5중량%는 순수한 물 H2O는 90%정도 증발되고, 함유된 미네랄 성분은 원료에 흡착된 상태로 잔류하게 되고, 입상화된 모래를 5mm크기의 메쉬망이 구비된 선별기를 이용하여 5mm 입자 크기 이하로 선별되므로 일정한 크기를 이루게 된다.
상기 미네랄수의 성분분석은 아래 [표 1]과 같다.
Figure pat00001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고양이 모래의 다른 실시예로는 분말상태의 나트륨계 벤토나이트 5중량%와, 1~2mm 입상의 나트륨계 벤토나이트 28중량%와, 칼슘계 제올라이트 40중량%와, 톱밥 20량%와, 미네랄수 5중량%와, 첨가제로 베이킹소다 2중량%를 혼합 및 반죽, 롤링, 건조시켜 2~5mm 크기의 입상으로 구성함으로써, 천연소재의 톱밥에 의한 환경친화적이며 산림욕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고양이 모래를 제조과정에서 1차 원료를 구성하는 단계를 나타내는 사진으로서, 200메쉬(mash) 분말상태의 나트륨계 벤토나이트 20중량%와, 1~2mm 입상의 나트륨계 벤토나이트 60중량%와, 칼슘계 제올라이트 5중량%를 혼합기에 투입하여 혼합하여 1차 원료를 구성하는 단계(S10)와, 1차 원료에 톱밥 7중량%를 혼합하여 2차 원료를 구성하는 단계(S20)와, 2차 원료에 미네랄수 5중량%와 첨가제로 베이킹소다 3중량%를 혼합하여 3차원료를 구성하는 단계(S30)가 혼합 믹싱되어 모래형태를 이루도록 제조되는 것을 나타낸다.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고양이 모래를 제조과정에서 롤링기에 투입하여 표면을 연마하는 단계를 나타내는 사진으로서, 원통형태의 롤링기에 혼합 믹싱되어 모래형태를 이루도록 된 원료를 롤링시켜 표면을 연마처리하는 것을 나타낸다.
도 3c는 본 발명에 따른 고양이 모래를 제조과정에서 건조시키는 단계를 나타내는 사진으로서, 전기판넬을 이용하여 가공되어진 원료를 건조시키는 것을 나타내는 것이다.
도 4은 본 발명에 따른 고양이 모래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사진으로서, 고양이를 사육함에 있어, 구비된 고양이 화장실 용기에 모래를 일정량으로 넣어 두면, 고양이가 화장실 용기에 담겨진 모래를 이용하여 대,소변을 보게되는 것으로, 고양이의 특성으로 인해, 모래를 파헤친 후, 대,소변을 본 후, 다시 모래로 배설물을 덮게 되며, 이상태에서, 사용자는 별도의 도구(모래삽)를 이용하여 모래를 정리하게 되면, 고양이가 배설한 대,소변이 모래에 의해 응고되어 덩어리 형태를 이루게 되고, 사용자는 고양이의 배설물이 모래에 의해 응고된 덩어리를 골라 치워 버리게 되는 것이다.
이 과정에서, 본 발명에 따른 모래는 천연원료를 혼합, 믹싱, 롤링, 건조 과정을 거쳐 제조된 상태이므로, 표면이 매끄러워 둥근형태를 이루게 되므로, 피부 접촉에 따른 촉감이 우수하고, 원료가 갖는 특성으로 인해 배설물에서 발생되는 악취원인이 되는 암모니아 성분을 흡착 분해하게 되므로 악취탈취가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주원료로 사용되는 200메쉬(mash) 분말상태의 나트륨계 벤토나이트 20중량%와, 1~2mm 입상의 나트륨계 벤토나이트 60중량%와, 칼슘계 제올라이트의 화학적 성분은 아래 표 2, 3, 4와 같다.
Figure pat00002
[200메쉬(mash) 분말상태의 나트륨계 벤토나이트]
Figure pat00003
[1~2mm 입상의 나트륨계 벤토나이트]

품명

규산

알루미나


마그네슘

칼슘

나트륨

칼륨

제올라이트

65.01%

19.5%

2.84%

1.27%

2.30%

0.49%

2.22%
[칼슘계 제올라이트]
본 발명에 따른 애완용 모래를 구성하는 주원료에 대한 탈취력은 아래 표 5과 같다.
Figure pat00004
*출처:한국생활환경시험연구원
본 발명에 따른 고양이 모래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고양이용 모래 용기(도면에 도시되지 않음)에 일정량의 애완용 모래를 넣어 사용하게 되며, 고양이가 용기에 소변을 보게 되면, 애완용 모래가 소변을 흡수하여 응고하여 덩어리 형태를 이루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고양이 모래에 의해 소변이 흡수 응고돼어 덩어리 형태를 이루게 되면, 사용자가 응고되어 덩어리진 상태의 소변을 간편 용이하고 편리하게 처리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3)

  1. 분말상태의 제올라이트에 수분을 혼합 믹싱하여 1~2mm크기를 갖는 입상의 1차 원료와, 분말상태의 벤토나이트로 혼합 구성되며, 첨가제로 베이킹소다, 셀룰로우즈가 혼합 구성된 고양이 모래에 있어서,
    200메쉬(mash) 분말상태의 나트륨계 벤토나이트 20중량%와, 1~2mm 입상의 나트륨계 벤토나이트 60중량%와, 칼슘계 제올라이트 5중량%와, 톱밥 7중량%와, 미네랄수 5중량%와, 첨가제로 베이킹소다 3중량%를 혼합 및 반죽, 롤링, 건조시켜 2~5mm 크기의 입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양이 모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말상태의 나트륨계 벤토나이트 5중량%와, 1~2mm 입상의 나트륨계 벤토나이트 28중량%와, 칼슘계 제올라이트 40중량%와, 톱밥 20량%와, 미네랄수 5중량%와, 첨가제로 베이킹소다 2중량%를 혼합 및 반죽, 롤링, 건조시켜 2~5mm 크기의 입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양이 모래.
  3. 나트륨계 벤토나이트 및 제올라이트와, 톱밥 및 미네랄수, 첨가제인 베이킹소다로 구성되는 고양이 모래를 제조함에 있어서,
    200메쉬(mash) 분말상태의 나트륨계 벤토나이트 20중량%와, 1~2mm 입상의 나트륨계 벤토나이트 60중량%와, 칼슘계 제올라이트 5중량%를 혼합기에 투입하여 혼합하여 1차 원료를 구성하는 단계;
    1차 원료에 톱밥 7중량%를 혼합하여 2차 원료를 구성하는 단계;
    2차 원료에 미네랄수 5중량%와 첨가제로 베이킹소다 3중량%를 혼합하여 3차원료를 구성하는 단계;
    3차원료를 반죽 믹싱하여 알갱이 형태의 입상화된 모래를 구성하는 단계;
    입상화된 모래를 5mm크기의 메쉬망이 구비된 선별기를 이용하여 5mm 입자 크기 이하의 모래를 선별하는 단계;
    선별된 모래를 롤링기에 투입하여 표면을 연마하고 전기판엘을 이용하여 1차 건조시키는 단계;
    표면연마 및 1차 건조된 모래를 전기판넬을 이용한 건조기에서 60℃의 온도로 24시간 건조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양이 모래 제조방법.
KR1020160012598A 2016-02-01 2016-02-01 천연재료를 이용한 고양이모래 및 제조방법 및 장치 KR1019384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2598A KR101938452B1 (ko) 2016-02-01 2016-02-01 천연재료를 이용한 고양이모래 및 제조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2598A KR101938452B1 (ko) 2016-02-01 2016-02-01 천연재료를 이용한 고양이모래 및 제조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1842A true KR20170091842A (ko) 2017-08-10
KR101938452B1 KR101938452B1 (ko) 2019-01-15

Family

ID=596522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2598A KR101938452B1 (ko) 2016-02-01 2016-02-01 천연재료를 이용한 고양이모래 및 제조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8452B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00535A1 (zh) * 2017-11-22 2019-05-31 陈燕蓉 一种膨润土猫砂及其制备方法
WO2019139453A1 (ko) * 2018-01-15 2019-07-18 김범용 폐석고보드를 이용한 고양이용 펠렛 및 이의 제조방법
CN111903537A (zh) * 2020-07-22 2020-11-10 丁洪志 一种轻体猫砂制备方法
KR102274193B1 (ko) * 2020-10-06 2021-07-08 정유진 벤토나이트를 함유한 고양이 모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고양이 모래
CN113545300A (zh) * 2021-07-28 2021-10-26 芜湖蒙克宠物用品科技有限公司 一种海绵猫砂原料及其制备方法
KR20210128664A (ko) 2020-04-17 2021-10-27 박수진 반려동물용 기능성 모래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20014753A (ko) 2020-07-29 2022-02-07 박수진 반려동물 진단용 모래
KR20220086884A (ko) 2020-12-17 2022-06-24 표 송 고양이 모래 첨가물
KR20230030904A (ko) 2021-08-26 2023-03-07 이용석 크나프를 이용한 고양이 배변용 모래
KR20240063551A (ko) 2022-11-03 2024-05-10 이준용 고양이 모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74283A1 (en) * 2021-02-16 2022-08-25 LK Management Pty Ltd Additives for increasing water holding capacity of solid plant growth media
KR20230131746A (ko) 2022-03-07 2023-09-14 주식회사 가화바이오 폐기된 패각을 재활용한 고양이 모래 조성물 및 고양이 모래의 제조방법
KR20230141002A (ko) 2022-03-30 2023-10-10 푸른들영농조합법인 폐각의 유기산 가수분해물을 포함하는 고양이용 두부 모래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60391A (en) * 1996-08-06 1999-01-19 First Brands Corporation Absorbents containing activated carbons
JP3567151B2 (ja) 2002-01-28 2004-09-22 株式会社大貴 動物の排泄物処理材
JP2004267010A (ja) * 2003-03-05 2004-09-30 Hoyo Bentonite Kogyo Kk 動物の排泄物吸収剤
JP3754978B2 (ja) * 2004-06-30 2006-03-15 株式会社大貴 動物の粒状の排泄物処理材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356232B1 (ko) * 2012-02-06 2014-01-29 이학섭 애완용 모래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00535A1 (zh) * 2017-11-22 2019-05-31 陈燕蓉 一种膨润土猫砂及其制备方法
WO2019139453A1 (ko) * 2018-01-15 2019-07-18 김범용 폐석고보드를 이용한 고양이용 펠렛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10128664A (ko) 2020-04-17 2021-10-27 박수진 반려동물용 기능성 모래 및 이의 제조방법
CN111903537A (zh) * 2020-07-22 2020-11-10 丁洪志 一种轻体猫砂制备方法
KR20220014753A (ko) 2020-07-29 2022-02-07 박수진 반려동물 진단용 모래
KR102274193B1 (ko) * 2020-10-06 2021-07-08 정유진 벤토나이트를 함유한 고양이 모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고양이 모래
KR20220086884A (ko) 2020-12-17 2022-06-24 표 송 고양이 모래 첨가물
CN113545300A (zh) * 2021-07-28 2021-10-26 芜湖蒙克宠物用品科技有限公司 一种海绵猫砂原料及其制备方法
KR20230030904A (ko) 2021-08-26 2023-03-07 이용석 크나프를 이용한 고양이 배변용 모래
KR20240063551A (ko) 2022-11-03 2024-05-10 이준용 고양이 모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38452B1 (ko) 2019-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38452B1 (ko) 천연재료를 이용한 고양이모래 및 제조방법 및 장치
KR101356232B1 (ko) 애완용 모래 및 그 제조방법
US20110174228A1 (en) Hybrid animal litter composition
KR102274193B1 (ko) 벤토나이트를 함유한 고양이 모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고양이 모래
KR102172807B1 (ko) 커피 찌꺼기를 사용한 고양이 모래 제조용 조성물, 고양이 모래, 및 고양이 모래의 제조방법
KR101923215B1 (ko) 먼지 없는 고양이 모래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먼지 없는 고양이 모래
KR101862344B1 (ko) 두부 비지를 이용한 반려동물 분뇨 처리제의 제조방법
KR101728418B1 (ko) 정수슬러지와 애쉬를 이용한 애완동물용 모래탈취제
EP2283723B1 (en) Method for producing low-density agglomerating pet litter, and resulting litter
CN114521496A (zh) 一种含益生菌的抑菌除味猫砂及其生产工艺
KR20110125310A (ko) 천연재료를 이용한 애완용 모래와 그 제조방법
RU2273129C1 (ru) Наполнитель туалета для кошек и способ его изготовления
KR20190086929A (ko) 폐석고보드를 이용한 고양이용 펠렛 및 이의 제조방법
US20030070623A1 (en) Bio-degradable pet litter made from coconut coir
CN113632734A (zh) 一种改进结团猫砂及其制备方法
CN113498741A (zh) 一种新型除臭抑菌的豆腐猫砂
CN114424751A (zh) 一种吸味抗菌且能预防足部裂纹的混合猫砂及其制备方法
JPH0761226B2 (ja) 飼育動物用粒材
JP2013153677A (ja) 中空筒状吸水材の製造方法及び、中空筒状吸水材
JPH11113435A (ja) 小動物の排泄物吸収剤及びその製法
CZ34883U1 (cs) Podestýlka pro malá zvířata
TWI749342B (zh) 崩解式動物排泄物吸附砂及其製造方法
KR102611278B1 (ko) 고양이 화장실 모래에 사용하는 악취 분해 제거, 항균 및 살균 활성을 갖는 고양이 모래 방부제 성형물의 제조방법
LT6137B (lt) Pakratas gyvūnams ir jo gamybos būdas
KR100370828B1 (ko) 고흡수성 및 항균 기능성을 갖는 애완동물 오물수거용 모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