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30904A - 크나프를 이용한 고양이 배변용 모래 - Google Patents

크나프를 이용한 고양이 배변용 모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30904A
KR20230030904A KR1020210113139A KR20210113139A KR20230030904A KR 20230030904 A KR20230030904 A KR 20230030904A KR 1020210113139 A KR1020210113139 A KR 1020210113139A KR 20210113139 A KR20210113139 A KR 20210113139A KR 20230030904 A KR20230030904 A KR 202300309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napp
sand
powder
defecation
c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31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용석
Original Assignee
이용석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크나프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용석,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크나프코리아 filed Critical 이용석
Priority to KR10202101131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30904A/ko
Publication of KR202300309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30904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1Removal of dung or urine, e.g. from stables
    • A01K1/0107Cat trays; Dog urinals; Toilets for pe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15Floor coverings, e.g. bedding-down sheets ; Stable floors
    • A01K1/0152Litter
    • A01K1/0154Litter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15Floor coverings, e.g. bedding-down sheets ; Stable floors
    • A01K1/0152Litter
    • A01K1/0155Litter comprising organic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3/00Manure or urine pouches
    • A01K23/005Manure or urine collecting devices used independently from the animal, i.e. not worn by the animal but operated by a pers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Deodorant compositions
    • A61L9/013Deodorant compositions containing animal or plant extracts, or vegetable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02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 B01J20/04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comprising compounds of alkali metals, alkaline earth metals or magnesium
    • B01J20/045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comprising compounds of alkali metals, alkaline earth metals or magnesium containing sulfur, e.g. sulfates, thiosulfates, gyps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02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 B01J20/1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comprising silica or silicate
    • B01J20/16Alumino-silicates
    • B01J20/18Synthetic zeolitic molecular sie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22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organic material
    • B01J20/24Naturally occurring macromolecular compounds, e.g. humic acids or their derivativ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otan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양이 배변용 모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크나프 분말을 주성분으로 하여 안전하면서도 흡수 및 탈취 효과가 우수하고 배설물의 처리가 매우 간편한 고양이 배변용 모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고양이 배변용 모래는 크나프(kenaf)의 줄기, 가지, 껍질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를 건조하여 분쇄시킨 크나프 분말과 부형제를 함유한다.

Description

크나프를 이용한 고양이 배변용 모래{cats sand for defecation using kenaf}
본 발명은 고양이 배변용 모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크나프 분말을 주성분으로 하여 안전하면서도 흡수 및 탈취 효과가 우수하고 배설물의 처리가 매우 간편한 고양이 배변용 모래에 관한 것이다.
실내에서 애완동물을 사육하기 위해서는 위생적인 관리를 위해 다양한 물품들이 필요하다. 특히 고양이를 애완동물로서 사육하는 경우에는 고양이의 습성 상 배변용 모래가 필요하다.
고양이는 다른 애완동물과는 다르게 대,소변시 배설물을 모래에 묻는 특성이 있으므로, 이를 위해 고양이 배변용 모래(일명 고양이 모래)가 필수적으로 필요하며, 모래가 없으면 원활한 용변이 이루어지지 못한다.
고양이 배변용 모래는 크게 흡수형 모래와 응고형 모래로 분류된다.
흡수형 모래는 고양이의 용변 특히, 소변을 흡수하는 기능을 갖는 제품으로, 방습제로 활용되고 있는 실리카를 사용하거나, 종이모래 또는 옥수수, 콩 등의 곡물을 이용한 흡수형 모래가 대표적이다. 그리고 응고형 모래는 벤토나이트를 파쇄한 모래가 주로 사용되고 있다.
종래의 흡수형 모래는 수분에 대한 흡수성은 우수하지만 응고력이 거의 없어 고형물 형태로 뭉치지 않고, 암모니아 악취에 대한 탈취기능이 현저하게 떨어진다. 그리고 종래의 응고형 모래는 흡수성이 낮고 재료의 대부분을 해외에서 수입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천연재료들을 이용한 다양한 종류의 고양이 배변용 모래가 개발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7-0091842호에는 천연재료를 이용한 고양이 모래가 개시되어 있고,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20-0111590호에는 야자수유래기반의 친환경 고양이모래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고,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172807호에는 커피 찌꺼기를 사용한 고양이 모래 제조용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의 특허기술들은 천연재료를 이용하여 안전성이 높지만 탈취성이 미미하고, 쉽게 부패되는 문제점이 있다.
1.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7-0091842호: 천연재료를 이용한 고양이모래 및 제조방법 및 장치 2.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20-0111590호: 야자수유래기반의 친환경 고양이모래 제조방법 3.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172807호: 커피 찌꺼기를 사용한 고양이 모래 제조용 조성물, 고양이 모래, 및 고양이 모래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크나프 분말을 주성분으로 하여 안전하면서도 흡수 및 탈취 효과가 우수하고 배설물의 처리가 매우 간편한 고양이 배변용 모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고양이 배변용 모래는 크나프(kenaf)의 줄기, 가지, 껍질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를 건조하여 분쇄시킨 크나프 분말과 부형제를 함유한다.
상기 부형제는 죽초액 또는 목초액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고양이 배변용 모래는 제올라이트 또는 펄라이트를 더 함유한다.
또한, 본 발명의 고양이 배변용 모래는 석고 분말을 더 함유한다.
또한, 본 발명의 고양이 배변용 모래는 유용성 미생물군을 더 함유한다.
또한, 본 발명의 고양이 배변용 모래는 지채 추출물을 더 함유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천연의 재료인 크나프 분말을 주성분으로 하므로 고양이 및 실내 환경에 안전하다.
또한, 크나프 분말의 우수한 흡수 및 탈취 효과에 의해 본 발명은 흡수력 및 탈취력이 뛰어나다.
또한, 본 발명은 무게가 가벼워 배설물의 처리가 매우 간편하고, 제조비용이 낮아 경제적이다.
또한, 본 발명은 국내 재배가 늘고 있는 크나프의 새로운 용도를 제시함으로써 크나프의 유용성과 활용을 높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고양이 배변용 모래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고양이 배변용 모래는 구형 또는 펠릿과 같은 형태의 입상(알갱이)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고양이 배변용 모래는 평균 입경이 1 내지 10mm일 수 있다. 본 발명은 통상적인 고양이 배변용 모래를 대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고양이 배변용 모래는 크나프 분말과 부형제를 함유한다. 가령, 크나프 분말 100중량부에 대하여 부형제 1 내지 50중량부를 혼합한 후 일정한 모양으로 성형하여 형성될 수 있다.
크나프(kenaf)는 학명이 Hibiscus Cannabinus로서, 무궁화과의 1년생 초본 식물이다. 크나프는 서부아프리카가 원산지이며, 미국에서는 펄프제지용 대체 비목재 섬유로 가장 적합한 식물로 지정받은 식물이다.
크나프는 씨앗을 파종한 후 4~5개월이 경과하면 2~5m 정도의 크기로 성장하여 제지 자원으로 이용할 수 있고, 척박한 건조 토양이나 습한 습지에서도 잘 생존하며, 파종 후 초기 제초와 답수만으로 잘 자랄 정도로 손이 가지 않는 재배 편의성을 보유하고 있다. 또한 크나프는 1본(本) 당 400g의 이산화탄소를 흡수하여 일반 수목에 비해 이산화탄소 흡수 능력이 월등히 높으며, 잎 내 조단백 비율이 매우 높아 사료로써 가치도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크나프는 섬유의 재료, 사료로 활용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국내에서도 재배지가 늘면서 크나프가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크나프를 주재료로 이용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천연의 식물을 재료로 하므로 고양이에게 안전하고 실내환경에도 무해하다.
크나프 분말은 크나프의 다양한 부위를 건조하여 분쇄시켜 수득할 수 있다. 사용가능한 크나프의 부위는 줄기, 가지, 껍질이다. 껍질은 줄기 또는 가지의 껍질을 의미한다.
크나프는 줄기, 가지, 껍질 중 어느 하나의 부위 또는 둘 이상의 부위를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크나프 분말은 섬유질의 함량이 높아 흡수성, 탈취성이 우수하다.
부형제는 크나프 분말을 일정한 모양으로 성형될 수 있도록 한다. 부형제로 물을 사용할 수 있다. 크나프 분말은 응집성이 우수하여 점착성이 없는 물을 부형제로 사용하여도 충분하다.
또한, 부형제로 점착성이 있는 물질을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부형제로 전분을 예로 들 수 있다.
크나프 분말과 부형제를 혼합한 혼합물은 구형이나 펠릿 등의 형태로 성형하여 본 발명의 고양이 배변용 모래를 제조할 수 있다. 성형은 통상적인 성형기를 이용하여 수행한다. 필요할 경우 성형 후 건조과정을 더 거칠 수 있다.
구형이나 펠릿 등의 형태로 성형된 고양이 배변용 모래는 크나프 분말을 주성분으로 하여 안전하면서도 흡수 및 탈취 효과가 우수하다. 또한, 무게가 매우 가벼워 배설물의 처리가 간편하다.
한편, 본 발명은 부형제로서 죽초액 또는 목초액을 이용할 수 있다. 가령, 크나프 분말 100중량부에 대하여 부형제로서 죽초액 또는 목초액 1 내지 50중량부를 혼합한 후 일정한 모양으로 성형하여 형성될 수 있다.
죽초액 또는 목초액은 부형제로서의 역할과 함께 탈취효과를 높이는 효과를 갖는다.
목초액으로 참나무와 같은 관목의 숯을 굽는 탄화과정에서 발생하는 연기를 응축시켜 얻은 액체를 6개월 이상 숙성 및 정제한 것을 사용한다. 목초액을 얻기 위해서 70∼200℃의 온도 범위에서 숯을 굽되 80℃ 미만의 온도에서는 수분이 많고, 150℃를 초과하는 온도에서는 타르가 많아지기 때문에 80∼150℃의 온도 범위에서 발생한 연기를 응축시켜 만든 것이 바람직하다.
목초액 제조의 일 예로 정면에 아궁이가 형성되고 후방에 굴뚝이 형성된 가마를 지상에 설치하고, 굴뚝에 목초액이 흘러내리는 통로와 수집통을 설치한 다음 60cm 정도 길이의 목재를 쌓고 뚜껑을 닫은 후 통을 밀폐시키고 아궁이에 연료를 넣고 80∼150℃ 온도 범위에서 10시간 내지 12시간 가열하여 굴뚝에서 나오는 연기가 흰색에서 투명한 색으로 바뀌면 가열을 중단하고 밀폐한 후 식혀서 숯을 꺼내고 수집통의 목초액을 수집한다. 수집한 목초액은 6개월 이상 보관하여 침전시킨 후 여과하여 사용한다.
그리고 죽초액은 대나무 숯을 굽는 탄화과정에서 발생하는 연기를 응축시켜 얻은 액체를 6개월 이상 숙성 및 정제한 것을 사용한다. 죽초액의 제조는 상술한 목초액의 제조방법과 동일하다.
본 발명은 또 다른 예로 흡수성 및 탈취효과를 높이기 위해 제올라이트 또는 펄라이트를 더 함유할 수 있다. 가령, 크나프 분말 100중량부에 대하여 부형제 1 내지 50중량부, 제올라이트 또는 펄라이트 1 내지 50중량부를 혼합한 후 일정한 모양으로 성형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제올라이트 또는 펄라이트는 분말 형태로 이용한다.
또한, 본 발명은 또 다른 예로 응고성을 높이기 위해 석고 분말을 더 함유할 수 있다. 가령, 크나프 분말 100중량부에 대하여 부형제 1 내지 50중량부, 석고 분말 1 내지 50중량부를 혼합한 후 일정한 모양으로 성형하여 형성될 수 있다.
석고로 소석고를 사용할 수 있다. 소석고(calcined gypsum)는 배설물 중의 수분과 반응하여 굳어지는 물질로서,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강도를 높인다.
석고 대신에 석회를 이용할 수 있다. 석회로 생석회나 소석회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또 다른 예로 유용성 미생물군을 더 함유할 수 있다. 가령, 크나프 분말 100중량부에 대하여 부형제 1 내지 50중량부, 유용성 미생물군 1 내지 50중량부를 혼합한 후 일정한 모양으로 성형하여 형성될 수 있다. 유용성 미생물군을 첨가함으로써 탈취 효과를 높일 수 있다.
유용성 미생물군은 배양액이나 분말 형태로 이용할 수 있다.
유용성 미생물군 배양액은 광합성 세균, 효모, 유산균, 방선균, 사상균 중 1종 이상의 유용성 미생물군(Effective Microoganims)을 배양한 것이다. 유용성 미생물군을 배양하기 위한 배지의 일 예로 쌀뜨물 18ℓ에 흑설탕이나 당밀 20g을 넣어 조성할 수 있다. 배지에 유용성 미생물군을 접종한 후 30 내지 40℃에서 2 내지 8일 동안 배양하여 유용미생물군 배양액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유용성 미생물군은 상업화된 유용성 미생물군 제품을 시중에서 구입하여 이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본 발명은 또 다른 예로 지채 추출물을 더 함유할 수 있다. 가령, 크나프 분말 100중량부에 대하여 부형제 1 내지 50중량부, 지채 추출물 0.5 내지 20중량부를 혼합한 후 일정한 모양으로 성형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지재 추출물이 액상의 형태일 경우 부형제로 사용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크나프 분말 100중량부에 대하여 부형제인 지채 추출물 1 내지 50중량부를 혼합한 후 일정한 모양으로 성형하여 형성될 수 있다.
지채 추출물은 항균효과를 부여한다.
지채(Triglochin maritimum L.)는 지채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으로서, 주로 해안의 갯벌에서 자란다. 지채는 잎을 이용한다.
지채 추출물은 지채의 잎에 추출용매를 가해 추출할 수 있다. 추출용매로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코올, 다가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할 수 있다.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코올로 메탄올, 에탄올 등을 이용할 수 있고, 다가 알코올로 부틸렌글리콜 및 프로필렌글리콜, 펜틸렌글리콜 등을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혼합물로는 물 및 저급 알코올의 혼합물, 물 및 다가 알코올의 혼합물, 저급 알코올 및 다가 알코올의 혼합물, 또는 물 및 저급알코올 및 다가 알코올의 혼합물을 이용할 수 있다.
지채 추출물은 액상 또는 분말 형태로 이용이 가능하다.
추출의 일 예로 지채의 잎에 대하여 추출용매를 중량비로 2 내지 20배를 가한 후 10 내지 120℃에서 1 내지 48시간 동안 열수추출, 냉침추출 또는 온침추출의 방법으로 추출할 수 있다. 또한, 추출한 액상의 추출물을 농축 및 건조시켜 분말로 만들 수 있다.
상술한 제올라이트 또는 펄라이트, 석고 분말, 유용성 미생물군, 지채 추출물은 어느 하나만 크나프 분말 및 부형제에 첨가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와 달리 제올라이트 또는 펄라이트, 석고 분말, 유용성 미생물군, 지채 추출물 중에서 선택된 둘 이상이 크나프 분말 및 부형제에 첨가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 실시 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고자 한다. 다만, 하기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를 하기의 실시 예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1)
전라남도 장성에서 재배하여 9월 중순경에 수확한 크나프의 줄기를 건조시킨 후 분쇄하여 크나프 분말을 수득하였다. 수득한 크나프 분말 100중량부에 대하여 물 10중량부를 혼합한 후 성형기를 이용하여 직경 약 5mm의 알갱이를 제조하였다.
(실시예2)
크나프 분말 100중량부에 대하여 물 10중량부, 지채추출물 5중량부를 혼합한 후 성형기를 이용하여 직경 약 5mm의 알갱이를 제조하였다.
크나프 분말은 실시예 1에서 사용한 것과 동일한 것을 사용하였고, 지채추출물은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수득하였다.
지채의 잎에 물을 중량비로 10배를 가한 후 90℃에서 4시간 동안 추출한 후 진공농축한 다음 동결건조시켜 분말 형태의 지채추출물을 수득하였다.
<탈취실험>
실시예 1 및 2에서 제조한 모래의 탈취력을 시험하기 위해 가스검지관을 이용한 암모니아 탈취시험을 수행하였다. 초기농도 500ppm에서 2시간 동안 시간대 별로 암모니아 농도를 측정하였다. 대조구로 시중에서 판매되는 벤토나이트 모래를 이용하였다. 측정된 농도 값을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구분 1시간 후(ppm) 2시간 후(ppm)
실시예1 392 248
실시예2 385 206
대조구 427 361
상기 표 2를 참조하면, 실시예 1은 초기 500ppm인 암모니아 농도를 2시간 후 248ppm까지 저하시켰고, 실시예 2는 초기 500ppm인 암모니아 농도를 2시간 후 206ppm까지 저하시켰다. 실시예 1과 2는 모두 초기농도의 약 50% 이상을 제거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반해 대조구는 2시간 후의 암모니아 농도가 361ppm으로 나타나, 실시예들에 비해 탈취효과가 훨씬 더 낮았다.
<항균실험>
실시예 1, 실시예2, 대조구(벤토나이트 모래)의 항균활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페이퍼 디스크를 이용한 디스크 확산법(Disc-diffusion method)을 이용하여 황색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와 대장균(Escherichia coli)에 대한 생육억제 활성을 측정하였다.
평판배지에 균주를 스트레이킹(streaking)하여 배양한 후 각 균주를 백금이로 취해 10ml배지에 접종, 24시간 배양하여 활성화시켰다. ELISA reader를 이용하여 595nm에서 흡광도가 0.08~0.1이 되도록 하여 1.5×108cfu/ml의 균을 실험에 사용하였다.
항균시험용 평판배지는 0.5% 한천배지를 121℃에서 15분간 멸균하고 60℃ 정도로 냉각하여 멸균된 페트리디쉬에 약 20ml씩 분주하여 제조하였다. 평판배지에 균을 고르게 도포한 후 페이퍼 멸균된 페이퍼 디스크(Paper disc:직경 8mm)를 올려 놓은 후, 시료를 디메틸설폭사이드(Dimethyl Sulfoxide)에 적신 후 페이퍼 디스크에 배치한 후 24시간 동안 인큐베이터에서 48시간 배양한 후 생육 저지환(Clean Zone)의 크기를 측정하였다. 측정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구분
생육저지환크기(mm)
실시예1 실시예2 대조구
황색포도상구균 1.7 6.3 1.8
대장균 2.4 7.5 1.4
실험결과, 실시예 2는 황색포도상구균과 대장균 모두에 대해 우수한 항균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실시예 1과 대조구는 항균력이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 본 발명은 일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6)

  1. 크나프(kenaf)의 줄기, 가지, 껍질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를 건조하여 분쇄시킨 크나프 분말과 부형제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나프를 이용한 고양이 배변용 모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부형제는 죽초액 또는 목초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나프를 이용한 고양이 배변용 모래.
  3. 제 1항에 있어서, 제올라이트 또는 펄라이트를 더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나프를 이용한 고양이 배변용 모래.
  4. 제 1항에 있어서, 석고 분말을 더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나프를 이용한 고양이 배변용 모래.
  5. 제 1항에 있어서, 유용성 미생물군을 더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나프를 이용한 고양이 배변용 모래.
  6. 제 1항에 있어서, 지채 추출물을 더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나프를 이용한 고양이 배변용 모래.
KR1020210113139A 2021-08-26 2021-08-26 크나프를 이용한 고양이 배변용 모래 KR2023003090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3139A KR20230030904A (ko) 2021-08-26 2021-08-26 크나프를 이용한 고양이 배변용 모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3139A KR20230030904A (ko) 2021-08-26 2021-08-26 크나프를 이용한 고양이 배변용 모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0904A true KR20230030904A (ko) 2023-03-07

Family

ID=855129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3139A KR20230030904A (ko) 2021-08-26 2021-08-26 크나프를 이용한 고양이 배변용 모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30904A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91842A (ko) 2016-02-01 2017-08-10 이준용 천연재료를 이용한 고양이모래 및 제조방법 및 장치
KR20200111590A (ko) 2019-03-19 2020-09-29 주식회사 나스타트 야자수유래기반 친환경 고양이모래 제조방법
KR102172807B1 (ko) 2020-01-28 2020-11-02 권순우 커피 찌꺼기를 사용한 고양이 모래 제조용 조성물, 고양이 모래, 및 고양이 모래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91842A (ko) 2016-02-01 2017-08-10 이준용 천연재료를 이용한 고양이모래 및 제조방법 및 장치
KR20200111590A (ko) 2019-03-19 2020-09-29 주식회사 나스타트 야자수유래기반 친환경 고양이모래 제조방법
KR102172807B1 (ko) 2020-01-28 2020-11-02 권순우 커피 찌꺼기를 사용한 고양이 모래 제조용 조성물, 고양이 모래, 및 고양이 모래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688836B (zh) 一种草莓专用无土繁苗基质的制作方法
CN103772004B (zh) 一种草莓专用无土繁苗基质
KR100869349B1 (ko) 친환경 토양활성제와 그 제조방법
CN104488737A (zh) 母猪发酵床垫料添加剂
CN104054563B (zh) 一种实用高效无土栽培蔬菜和花卉营养基质材料的生产方法
CN102145970A (zh) 一种水产养殖用多功能底质改良剂及制备方法
CN101228829A (zh) 一种黑木耳的培植方法
CN105733605A (zh) 一种秸秆复合抗菌土壤改良剂及其制备方法
CN108947600A (zh) 有机肥料的制备方法和有机肥料
CN106831206A (zh) 一种供农作物幼苗发育的凹凸棒营养土及其制备方法
CN105399473A (zh) 一种生物有机肥及其制备方法
CN108925400B (zh) 一种林业废弃物制备的石斛栽培基质
KR102501124B1 (ko) 토양개량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07188674A (zh) 一种茄果类蔬菜育苗基质及其制作方法
CN105061096A (zh) 一种高温微生物有机肥
CN106431655B (zh) 以桉树料、印楝种子和迷迭香叶为原料的植物源有机药肥及其制备方法
CN107382511A (zh) 一种防治黄瓜枯萎病的中草药发酵肥料及其制备方法
CN108207520B (zh) 一种有机大米及其种植方法
CN104855171A (zh) 一种具有抑菌功能的苗木扦插用基质
CN108739246A (zh) 一种提高铁皮石斛品质的栽培基质
KR20230030904A (ko) 크나프를 이용한 고양이 배변용 모래
KR102056285B1 (ko) 탄닌 저감 방식의 코코피트 제조 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되는 코코피트를 포함하는 식물처리제
CN102391032A (zh) 一种有机小麦药肥及其制备方法
CN108033446A (zh) 以城市垃圾衍生燃料rdf-5为原料的热电炭肥活性炭联产工艺
CN105028154B (zh) 一种白掌无土栽培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