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4193B1 - 벤토나이트를 함유한 고양이 모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고양이 모래 - Google Patents

벤토나이트를 함유한 고양이 모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고양이 모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4193B1
KR102274193B1 KR1020200128529A KR20200128529A KR102274193B1 KR 102274193 B1 KR102274193 B1 KR 102274193B1 KR 1020200128529 A KR1020200128529 A KR 1020200128529A KR 20200128529 A KR20200128529 A KR 20200128529A KR 102274193 B1 KR102274193 B1 KR 1022741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ntonite
zeolite
cat
activated carbon
thy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85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유진
Original Assignee
정유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유진 filed Critical 정유진
Priority to KR10202001285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419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41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41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1Removal of dung or urine, e.g. from stables
    • A01K1/0107Cat trays; Dog urinals; Toilets for pe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15Floor coverings, e.g. bedding-down sheets ; Stable floors
    • A01K1/0152Litter
    • A01K1/0154Litter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Deodorant compos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02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 B01J20/1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comprising silica or silicate
    • B01J20/12Naturally occurring clays or bleaching ear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02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 B01J20/2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comprising free carbon; comprising carbon obtained by carbonising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30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 B01J20/32Impregnating or coating ; Solid sorbent compositions obtained from processes involving impregnating or coating
    • B01J20/3231Impregnating or coating ; Solid sorbent compositions obtained from processes involving impregnating or coating characterised by the coating or impregnating layer
    • B01J20/3234Inorganic material lay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Abstract

"벤토나이트를 함유한 고양이 모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고양이 모래"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의한 "벤토나이트를 함유한 고양이 모래 제조방법"은, 벤토나이트를 공급하는 단계와; 상기 벤토나이트에 제오라이트를 혼합하는 단계와; 상기 제오라이트가 혼합된 벤토나이트에 활성탄을 혼합하는 단계와; 상기 제오라이트와 상기 활성탄이 혼합된 벤토나이트로 베이킹소다 희석액을 분사하여 상기 벤토나이트 표면에 코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고양이 분변에서 발생되는 악취를 현저히 저감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벤토나이트를 함유한 고양이 모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고양이 모래{Cat sand containing bentonit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벤토나이트를 함유한 고양이 모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벤토나이트를 함유한 고양이 모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히는 제오라이트 및 활성탄을 함유하여 고양이의 대소변에 의한 악취를 줄일 수 있는 벤토나이트를 함유한 고양이 모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고양이 모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람이 살아감에 있어, 의식주(衣食住)는 기본적인 필수요소이며, 산업과 문명의 발달로 인해 도시화되어 자연에서 벗어나 인공적인 환경에서 살아가고 있으며, 도시화된 인공적인 환경에서도 인간의 본능은 환경친화적이며 자연에 속하여 자연으로 돌아가고 싶은 욕구가 절실하고, 핵가족화와 고령화에 따른 사회적 외면과 고독함과 외로움에 따른 우울증 등의 경제발전에 따른 사회적 모순이 점점 심화되고 있다.
예전에는 개, 고양이는 매매를 목적으로 사육하였으며, 실내공간에서 사육하지 않고 실외 일정한 장소에 우리를설정하여 사육하였으나, 현대사회는 개, 고양이를 비롯한 애완동물에 대한 인식이 바뀌어 단순한 동물이 아닌 가족의 일원으로 인식되고 있으며, 특히, 도심속에서 자연과 동물의 친근함을 얻고 교감을 통해 자연을 알고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한 수단을 개, 고양이와 같은 애완용 동물이 확대되고 있으며, 동물애호가나 마니아에 의해 다각적으로 애완동물에 대한 수요가 점증적으로 높아지고 있다.
현재, 애완동물이 일반가정에서 사육되고 있으며, 특히, 고양이는 동물이라는 개념을 넘어 가족이고 인생의 동반자의 역할로 자리 잡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고양이를 키우기 위해서는 사람과 마찬가지로 집과 음식 및 기타 도구가 필수적으로 요구되며, 음식과 동물 우리의 경우에는 동물의 특성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사료와 우리가 널리 보급되어 사용되고 있다.
고양이를 가족의 일원으로 생각하고 함께 살아가는 동반자로 취급되고 있으므로, 다양한 용품이 다각도로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고, 동물우리라는 개념이 단순히 가둬 기르고 잠자리를 위해 수단이 아니라, 인간과 마찬가지로 각종 놀이기구와 위생적이고 청결한 환경에서 살아갈 수 있도록 화장실 공간, 사료공간, 잠자리 공간 등의 각종 편의시설이 구성되어 있다.
특히, 고양이의 경우에는 다른 애완동물과는 다르게 대, 소변시 용변을 모래에 묻어버리는 특성이 있으므로, 이를 위한 모래(일명 고양이 모래)가 필수적으로 필요하며, 모래가 없으면 원활한 용변이 이루어지지 못하게 된다.
이를 위한 고양이 모래와 화장실 용품이 다각적으로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고양이 모래는 사용방법에 따라, 크게 흡수형 모래와 응고형 모래로 분류된다.
흡수형 모래는 고양이의 용변 특히, 소변을 흡수하는 기능을 갖는 제품으로, 방습제로 활용되고 있는 실리카(silica, SiO2ㆍ2H2O)을 사용하거나, 종이모래 또는 옥수수, 콩 등의 곡물을 이용한 흡수형 모래가 대표적이며, 응고형 모래는 광산에서 채취된 나트륨계 벤토나이트를 파쇄한 모래가 사용되고 있다.
나트륨계 벤토나이트는 전세계에 일부국가에서는 채취가 가능하고 매장량이 제한적이며, 우리나라에는 칼슘계 벤토나이트만이 채취 가능한 광물이다.
실리카 또는 종이 및 곡물을 이용한 흡수형 모래는 수분에 대한 흡수성이 우수하여 고양이의 소변흡수력은 우수하지만 응고력이 거의 없어 고형물형태로 뭉치지 않고, 암모니아 악취에 대한 탈취기능이 현저하게 떨어지며, 특히, 실리카 모래의 경우에는 인체와 환경에 유해한 성분을 함유하고 있으므로 눈병이나 피부질환 등의 질병원인을 제공하는 폐단을 갖고 있다.
또한, 곡물을 이용하거나 종이를 이용한 모래의 경우에는 곡물에 대한 공급부족현상과 후처리 과정이 불편하고, 종이를 얻기위한 산림훼손등의 환경파괴 원인을 제공하며, 불량한 종이 원료를 재사용할 경우에는 종이 재생과정에서 함유된 유해성분에 의해 고양이는 물론 인체에도 좋지 않은 환경을 조성하게 된다.
그리고, 나트륨계 벤토나이트를 이용한 응고형 모래는 응고력이 우수한 제품으로 가장 많이 보급되어 사용되고 있으나, 광물을 채취하여 작은 입자상태로 파쇄한 것이므로, 분진에 의한 먼지가 발생이 심하고, 파쇄로 인해 입자 표면이 날카롭게 형성되므로, 고양이가 용변을 위해 사용하는 과정에서 피부접촉시 자극을 주어 상처를 입게 되는 폐단을 갖고 있다.
고양이는 가족의 일원이며 동반자 역할을 수행한다고는 하지만, 지능이 낮고 동물의 본능에 충실하게 생활하게 되므로, 동물 특유의 세균과 냄새를 풍기게 되며, 대,소변과 같은 분비물에 의한 악취가 발생하게 되고, 분비물을 스스로 처리할 수 없으므로, 실내에서 사육되는 경우 각종 악취를 발생시키게 되어 청결한 위생관리가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상술한 종래의 애완용 모래는 단순히 바닥을 구분하고 배설물을 은폐하기 위해 사용될 뿐, 기능성이 없고 장시간 사용하게 되면, 건조로 인해 부스러져 미세한 입자가 발생되고, 바람에 쉽게 날려 실내공기를 오염시키는 주원인을 제공하며, 또한, 배설물 악취에 대한 탈취기능을 거의 없으므로 배설물에서 발생되는 악취에 무방비한 상태로 악취에 대한 탈취가 절실하게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문헌 1. 대한민국특허청, 특허공개번호 제10-2019-0138525호, "고양이 배변 모래의 제조방법" 문헌 2. 대한민국특허청, 특허공개번호 제10-2020-0030927호, "두부 부산물과 항균물질을 이용한 고양이 모래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고양이의 대소변에서 발생되는 악취를 효과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는 고양이 모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고양이 모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벤토나이트를 함유한 고양이 모래 제조방법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고양이 모래 제조방법은, 벤토나이트를 공급하는 단계와; 상기 벤토나이트에 제오라이트를 혼합하는 단계와; 상기 제오라이트가 혼합된 벤토나이트에 활성탄을 혼합하는 단계와; 상기 제오라이트와 상기 활성탄이 혼합된 벤토나이트로 베이킹소다 희석액을 분사하여 상기 벤토나이트 표면에 코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고양이 분변에서 발생되는 악취를 현저히 저감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고양이 모래는 벤토나이트에 제오라이트와 활성탄을 혼합하고, 제오라이트와 활성탄에 백리향 향료를 침착시키고 벤토나이트 표면에 베이킹소다를 코팅하여 제조된다.
이렇게 제조된 본 발명의 고양이 모래는 제오라이트와 활성탄에 침착된 백리향 향료의 향이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밖으로 배출되어 고양이 화장실 주변을 쾌적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벤토나이트 표면에 코팅된 베이킹소다가 고양이 소변을 중화시켜 냄새를 억제시키며, 제오라이트와 활성탄이 냄새를 유발하는 입자들을 흡착하여 고양이 분변에 의한 악취발생을 현저히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고양이 모래 제조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흐름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고양이 모래 제조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략도,
도 3은 종래 벤토나이트 모래와 본 발명에 의한 고양이 모래 사용시 시간 경과에 따른 탈취 시험 결과를 나타낸 도표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의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함을 전제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서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당해 구성요소만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정되어 해석되지 아니하며, 다른 구성요소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벤토나이트가 함유된 고양이 모래를 제조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고, 도 2는 벤토나이트가 함유된 고양이 모래를 제조하는 고양이 모래 제조시스템(1)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략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벤토나이트가 함유된 고양이 모래(10)는 벤토나이트(A)에 활성탄(C)과 제오라이트(B)를 첨가하고, 향료액체 코팅과 베이킹소다 희석액 코팅과정을 거쳐 제조된다.
본 발명에 따른 고양이 모래 제조시스템(1)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정단계별로 벤토나이트(A)와 각 재료들이 혼합될 수 있도록 재료들을 이송하는 이송부(100)와, 이송부(100)의 입구에 구비되어 이송부(100)로 벤토나이트(A)를 투입하는 벤토나이트투입부(200)와, 벤토나이트투입부(200)의 일측에 구비되어 이송부(100)를 통해 이송되는 벤토나이트(A)로 제오라이트(B)를 첨가하는 제오라이트투입부(300)와, 제오라이트투입부(300)의 일측에 구비되어 이송부(100)로 활성탄(C)을 투입하는 활성탄투입부(400)와, 활성탄투입부(400)의 일측에 구비되어 이송부(100)을 통해 이송되는 제오라이트(B)와 활성탄(C)이 첨가된 벤토나이트(A)로 백리향 향료(D)를 분사하는 백리향 향료분사부(500)와, 백리향 향료분사부(500)의 일측에 구비되어 제오라이트(B)와 활성탄(C)이 첨가된 벤토나이트(A)로 베이킹소다 희석액(E)을 분사하는 베이킹소다 희석액 분사부(600)와, 공정이 완료된 고양이 모래(10)를 포장하는 포장부(700)를 포함한다.
벤토나이트(bentonite,A)는 보통 펠식 화산회가 암석화 작용에 의해 층상구조를 갖는 신제 3기의 화산회나 유문암이 변질된 것으로서, 광물학적 명칭은 몬모릴로나이트 (montmorillonite)라고 하며, 그 광맥은 전세계적으로 분포되어 있고, 국내에도 경주 지방에 광산이 있다.
벤토나이트의 화학적 구조 및 특성을 살펴보면, 벤토나이트는 몬모릴로나이트 계통의 팽창성 3 층판(Si-Al-Si)으로 이루어진 점토이며 납석 (pyrophylite) 화학 구조식인 Al2Si4(OH)로 형성되어 있다. 그 중 알루미늄옥시드 중간층인 깁사이트(Gibbsite) 층에서 전자가가 +3인 알루미늄이 전자가 +2인 마그네슘으로 대체되고, -1가 만큼의 부족한 전하를 Na로 만족시킨 형태가 소듐 벤토나이트이고, Ca으로 만족시킨 형태가 칼슘 벤토나이트이다.
일반적으로 벤토나이트는 물과 접촉시 칼슘계 벤토나이트는 약 3배, 소듐 벤토나이트는 약 15배까지 팽창하며 무게의 5배까지 물을 흡수하는 팽창성, 벤토나이트에 다른 물질을 혼합한 후 물이 흡수되면 다른 물질을 서로 점결시키는 성질을 가지고 있으며, 이 때 벤토나이트는 화학적으로 활성을 나타내지 않으므로 점착되는 재료의 본래의 화학적 특성에 영향을 주지 않는 점결성, 벤토나이트는 수화 팽창 후 겔 상태를 형성하므로 점성이 낮은 다른 재료들을 농축하는 효과가 있으며 벤토나이트를 이용한 현탁액은 장시간이 지나도 침전 등이 발생하지 않는 농후성, 겔화된 벤토나이트는 높은 윤활 특성을 가지므로 각종 천공 작업에 윤활 성분을 주기 위하여 사용되는 윤활성 등의 물리적 특성을 가진다.
벤토나이트(A)는 수분을 흡수하여 부피가 팽창하며, 양이온 교환성이 강하며 냄새의 흡착 및 탈취 기능에 효과적이다. 이에 의해 고양이의 분변이 흡수되면 부피가 팽창되며 덩어리져 사용자가 고양이 삽을 이용해 다른 모래와 분리하여 분변만 용이하게 폐기할 수 있게 한다.
제오라이트(B)는 결정구조적으로 각 원자의 결합이 느슨하여, 그 사이를 채우고 있는 수분을 방출시켜도 골격은 그대로 있으므로 다른 미립물질을 흡착할 수가 있다.
수분을 고열로 방출시킨 제오라이트는 놓아두기만 해도 주변 냄새가 제거되면, 단단하지만 스폰지처럼 미립물질을 잘 흡수하는 광석이다. 제오라이트는 활성탄과 함께 악취제거에 가장 많이 사용되는 물질 중 하나이다.
본 발명에서는 고열로 수분을 증발시킨 제오라이트를 벤토나이트에 첨가하여 사용한다.
활성탄(C)은 탄소를 다량으로 함유하고 있는 물질, 예를 들면 석탄, 코코넛, 견과류의 껍질, 이탄 또는 토탄, 나무, 갈탄 등을 800~1100℃의 온도범위에서 일어나는 탄소의 산화반응으로 탄화물의 표면을 침식시켜 탄화물의 미세공 구조를 발달시키는 공정으로 제조된다.
활성탄(C)은 목재를 포함한 다양한 재료로부터 제조되는 미세세공이 잘 발달된 무정형 탄소의 집합체로 1g 당 800~1200㎡ 정도의 큰 내부 표면적을 갖는다. 이 내부표면에 존재하는 탄소원자의 관능기가 주변의 액체 또는 기체에 인력을 가하여 피흡착질의 분자를 흡착하는 성질이 있다. 이런 방식으로 고양이의 대소변에 의해 발생된 냄새(악취)를 흡착하여 배설물의 악취를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실제로, 활성탄을 가축 매몰지 악취 제어에 사용한 결과, 트라이메틸아민(TMA)을 제외한 복합악취, 암모니아, 황화합물을 지속적으로 거의 90% 이상 제거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백리향 향료(D)는 벤토나이트(A)와 제오라이트(B) 및 활성탄(C) 혼합물로 분사되어 다공성 재질인 활성탄(C)과 제오라이트(B) 내부에 침착된다. 이렇게 제오라이트(B)와 활성탄(C) 내부에 침착된 향은 고양이 화장실에 본 발명의 고양이 모래(10)가 사용될 때 조금씩 외부로 배출되면서 고양이 화장실 내 냄새가 쾌적하게 유지되게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백리향 향료(D)는 백리향 오일을 사용한다. 백리향 오일은 개, 고양이, 말 등의 외부기생충(이, 벼룩, 파리) 방지, 모기 기피제 등의 동물약품의 주성분 중이 하나이다. 백리향 오일은 개와 고양이의 항균 및 항진균 활동을 도와주며, 강아지와 고양이의 중이염과 외이염의 천연 치료제로 사용된다.
백리향 향료(D)는 백리향오일과 글리세린 및 물을 2:3:5의 중량비율로 혼합하여 제조된다.
베이킹소다는 알카리성으로 pH 6.3~6.6 범위의 고양이 소변을 중화시켜 냄새를 야기하는 박테리아의 서식이 억제되게 한다. 또한, 베이킹소다는 암모니아 냄새를 중화시키며 기타 악취를 흡착하는 효과가 있다.
베이킹소다는 벤토나이트(A)의 표면에 코팅되어 벤토나이트(A)에 흡수된 소변의 냄새 발생을 억제시킨다.
본 발명의 벤토나이트를 함유한 고양이 모래 제조를 위해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벤토나이트(A)를 투입 및 분쇄하는 단계(S110)를 거친다. 벤토나이트(A)는 크기가 불규칙한 상태로 제공되므로 균일한 입자의 크기로 제조하기 위해 분쇄하는 단계를 거친다. 이 과정에서 벤토나이트(A)는 6~10 메쉬(mesh) 크기로 분쇄된다.
분쇄된 벤토나이트(A)는 고온살균 및 건조단계(S120)를 거친다. 벤토나이트 입자는 300kg당 140 내지 150℃의 온도에서 2 내지 3시간 동안 살균한 후 50 내지 60℃의 온도에서 2 내지 4시간 동안 건조된다.
살균 및 건조를 거친 벤토나이트(A)는 분진 및 이물질 제거단계(S130)을 거친다. 분진 및 이물질 제거단계는 벤토나이트 입자에 잔류하는 분진이나 이물질을 제거하는 단계이다. 이를 위해 터보팬을 이용해 255 내지 275mmAq의 풍압을 가함과 동시에 벤토나이트 입자를 회전시켜 마찰에 의한 표면 연마에 의해 벤토나이트 입자에 잔류하는 분진이나 이물질을 제거한다.
이러한 분진 및 이물질 제거는 고양이를 사육할 때 벤토나이트로부터 분진이 발생되는 것을 최고화하기 위함이다.
일반적으로 고양이를 사육할 때 구비된 고양이 화장실 용기에 벤토나이트 모래를 일정량으로 넣어 두면, 고양이가 화장실 용기에 담겨진 벤토나이트 모래를 이용하여 대, 소변을 보게되고, 고양이의 특성으로 인해, 모래를 파헤친 후, 대, 소변을 본 후, 다시 모래로 배설물을 덮는데, 이때 모래들의 상호 마찰에 의해 모래의 표면으로부터 분진이 발생할 수 있다.
고양이 모래 제조과정에서 분진 및 이물질 제거단계를 거치게 되면, 고양이 사육시에 분진 발생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분진제거가 완료된 벤토나이트(A)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벤토나이트투입부(200)로 공급되고, 벤토나이트투입부(200)는 이송부(100)로 벤토나이트(A)를 공급한다. 벤토나이트투입부(200)는 호퍼 형태로 구비되어, 벤토나이트 입자들을 기준공급량만큼 이송부(100)로 공급한다.
이송부(1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컨베이어벨트 형태로 구비되며, 상면에 공급된 벤토나이트(A)를 이송경로를 따라 이송시킨다.
벤토나이트(A)가 이송부(100)를 통해 이송되면, 제오라이트투입부(300)가 제오라이트(B)를 이송부(100)로 투입한다(S150). 제오라이트투입부(300)는 호퍼 형태로 구비되어 기준량만큼 이송부(100)로 제오라이트(B)를 공급한다.
이송부(100)로 공급된 제오라이트(B)는 이송부(100)를 통해 이송되어온 벤토나이트(A)와 혼합된다. 제오라이트(B)가 공급된 후 연이어 활성탄(C)이 공급된다(S160).
제오라이트(B)와 활성탄(C)의 공급순서는 변경되어도 상관없다.
여기서, 벤토나이트(A)와 제오라이트(B) 및 활성탄(C)의 혼합비율은 7:2:1의 중량비율로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오라이트(B)와 활성탄(C)의 혼합비율이 높아지면 악취제거 효율은 향상될 수 있으나, 고양이 대소변의 흡수율이 저하될 수 있다.
이송부(100)의 상부에는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벤토나이트(A)와 제오라이트(B) 및 활성탄(C)을 교반하는 교반수단(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다. 교반수단(미도시)에 의해 교반된 고양이 모래(10)는 이송부(100)로 이송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백리향 향료분사부(500)는 이송부(100)를 따라 이송되는 고양이 모래(10)로 백리향 향료(D)를 분무하여 코팅되게 한다(S160). 백리향 향료는 백리향 오일과 글리세린 및 물을 2:3:5의 중량비율로 혼합되어 제조된다.
백리향 향료 분사부(500)의 하부에는 복수개의 분무노즐이 구비되고, 분무노즐은 골고루 백리향 향료(D)를 분무한다. 분무된 백리향 향료(D)는 다공성 구조인 활성탄(C)과 제오라이트(B) 내부에 침착된다.
이렇게 활성탄(C)과 제오라이트(B) 내부에 침착된 향은 고양이 사육을 위해 고양이 화장실에 본 발명의 고양이 모래(10)를 펼쳐놓으면 조금씩 향이 외부로 배출되어 고양이 화장실 주변을 쾌적하게 유지시키게 된다.
백리향 향료(D)를 분무받은 고양이 모래(10)는 이어서 베이킹소다희석액 분사부(600)로부터 베이킹소다 희석액(E)을 분사받는다(S170). 베이킹소다 희석액(E)은 물에 베이킹소다를 5~10 중량비로 희석하여 제조된다.
분사된 베이킹소다 희석액(E)은 벤토나이트(A) 표면에 코팅된다. 베이킹소다는 알칼리성이므로 벤토나이트(A) 표면에 코팅된 후 고양이가 벤토나이트(A)에 소변을 볼 경우, 산성을 띄는 고양이 소변을 중화시켜 냄새를 야기하는 박테리아를 억제시킨다.
베이킹소다 희석액(E) 코팅이 완료된 고양이 모래(10)는 포장부(700)에서 포장된다(S180). 포장된 고양이 모래(10)는 밀봉된 후 소비자에게 판매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고양이 모래는 가정에서 고양이 사육시에 사용된다. 사용자는 본 발명의 고양이 모래를 고양이 화장실 용기에 일정량으로 넣어둔다. 고양이 화장실에 고양이 모래를 놓아두면 활성탄(C)과 제오라이트(B)의 내부에 침착된 백리향 향료(D)의 향이 외부로 조금씩 발산되어 고양이 화장실 주변을 쾌적하게 유지할 수 있다.
한편, 고양이가 화장실 용기에 담겨진 고양이 모래를 이용하여 대,소변을 보면 고양이의 특성으로 인해 모래를 파헤친 후, 대,소변을 보고, 다시 모래로 배설물을 덮게 된다.
고양이의 배설물이 흡수된 벤토나이트(A)는 부피가 팽창되며, 표면에 코팅된 베이킹소다희석액에 의해 고양이의 소변을 중화시킨다. 또한, 제오라이트와 활성탄은 배설물의 냄새를 흡착 및 탈취하여 냄새를 약화시킨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는 별도의 도구(모래삽)를 이용하여 모래를 정리하게 되면, 고양이가 배설한 대,소변이 모래에 의해 응고되어 덩어리 형태를 이루게 되고, 사용자는 응고된 덩어리를 골라 치워버리게 된다. .
이 과정에서, 본 발명에 따른 고양이 모래(10)는 벤토나이트(A)에 코팅된 베이킹소다 희석액에 의해 소변을 중화시키고, 제오라이트(B)와 활성탄(C)은 악취원인이 되는 암모니아 성분을 흡착 분해하게 되므로 악취탈취가 이루어지게 된다.
도 3은 종래 벤토나이트만으로 이루어진 고양이 모래(비교예)와 본 발명의 고양이 모래(본 발명)의 시간의 경과에 따른 탈취 시험 결과를 나타낸 도표이다.
도 3은 암모니아의 시험가스 및 FTIR을 이용한 가스농도측정에 의해 얻어진 탈취시험 결과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시간이 30분 경과했을 때 비교예의 농도가 420ppm인데 반해, 본 발명의 고양이 모래의 농도는 180ppm으로 현저히 차이가 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차이는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더욱 벌어지게 된다. 즉, 종래 고양이 모래는 150분이 경과하더라도 농도의 차이가 거의 없는데 반해, 본 발명의 고양이 모래는 150분이 경과한 경우 74ppm으로 30분 경과시와 비교할 때 절반 이하로 감소된 것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고양이 모래는 벤토나이트에 제오라이트와 활성탄을 혼합하고, 제오라이트와 활성탄에 백리향 향료를 침착시키고 벤토나이트 표면에 베이킹소다를 코팅하여 제조된다.
이렇게 제조된 본 발명의 고양이 모래는 제오라이트와 활성탄에 침착된 백리향 향료의 향이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밖으로 배출되어 고양이 화장실 주변을 쾌적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벤토나이트 표면에 코팅된 베이킹소다가 고양이 소변을 중화시켜 냄새를 억제시키며, 제오라이트와 활성탄이 냄새를 유발하는 입자들을 흡착하여 고양이 분변에 의한 악취발생을 현저히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 몇 가지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재사항으로부터 상기 살펴본 실시예를 다양하게 변형하거나 변경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또한, 비록 명시적으로 도시되거나 설명되지 아니하였다 하여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재사항으로부터 본 발명에 의한 기술적 사상을 포함하는 다양한 형태의 변형을 할 수 있음은 자명하며, 이는 여전히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 상기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기술된 것이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러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아니한다.
1 : 고양이모래 제조시스템 10 : 고양이 모래
100 : 이송수단 200 : 벤토나이트 투입부
300 : 제오라이트 투입부 400 : 활성탄 투입부
500 : 백리향 향료 분사부 600 : 베이킹소다 희석액 분사부
700 : 포장부
A : 벤토나이트
B : 제오라이트
C : 활성탄
D : 백리향 향료
E : 베이킹소다희석액

Claims (4)

  1. 벤토나이트를 함유한 고양이 모래 제조방법에 있어서,
    벤토나이트를 공급하는 단계와;
    상기 벤토나이트에 제오라이트를 혼합하는 단계와;
    상기 제오라이트가 혼합된 벤토나이트에 활성탄을 혼합하는 단계와;
    상기 활성탄과 상기 제오라이트가 혼합된 상기 벤토나이트로 백리향 향료를 분사하는 단계와,
    상기 제오라이트와 상기 활성탄이 혼합된 벤토나이트로 베이킹소다 희석액을 분사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고양이 배설물을 흡수하는 벤토나이트의 흡수율과 악취를 제거함과 동시에 백리향을 배출하는 제오라이트 및 활성탄의 악취제거효율을 조절하기 위해, 상기 벤토나이트와 상기 제오라이트 및 상기 활성탄은 7:2:1의 중량비율로 혼합되며,

    상기 제오라이트는 고열로 수분을 증발시킨 제오라이트를 사용하며,

    상기 활성탄은 석탄, 이탄 또는 토탄, 갈탄을 포함한 탄소 함유 물질을 800 ~ 1100℃의 온도범위 내에서 가열하여 발생하는 탄소의 산화반응으로 탄화물의 표면을 침식시켜 탄화물의 미세공 구조를 발달시키는 공정으로 제조되며,

    상기 백리향 향료는 백리향 오일과 글리세린 및 물을 혼합하여 제조하며,
    상기 백리향 오일과 상기 글리세린 및 상기 물은 2:3:5의 중량비율로 혼합되며,
    상기 백리향 향료를 분사하는 단계에서 상기 백리향 향료는 상기 활성탄과 제오라이트 내부에 침착되며,

    상기 베이킹소다 희석액을 분사하는 단계에서 상기 베이킹소다 희석액은 상기 벤토나이트의 표면에 코팅되며,
    상기 베이킹소다 희석액은 고양이 배설물을 중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벤토나이트를 함유한 고양이 모래 제조방법.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의 벤토나이트를 함유한 고양이 모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고양이 모래.
KR1020200128529A 2020-10-06 2020-10-06 벤토나이트를 함유한 고양이 모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고양이 모래 KR1022741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8529A KR102274193B1 (ko) 2020-10-06 2020-10-06 벤토나이트를 함유한 고양이 모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고양이 모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8529A KR102274193B1 (ko) 2020-10-06 2020-10-06 벤토나이트를 함유한 고양이 모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고양이 모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74193B1 true KR102274193B1 (ko) 2021-07-08

Family

ID=768945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8529A KR102274193B1 (ko) 2020-10-06 2020-10-06 벤토나이트를 함유한 고양이 모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고양이 모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4193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545300A (zh) * 2021-07-28 2021-10-26 芜湖蒙克宠物用品科技有限公司 一种海绵猫砂原料及其制备方法
CN115399247A (zh) * 2022-09-21 2022-11-29 山东智景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反应型除臭猫砂的制备方法
KR20230131746A (ko) 2022-03-07 2023-09-14 주식회사 가화바이오 폐기된 패각을 재활용한 고양이 모래 조성물 및 고양이 모래의 제조방법
KR102590904B1 (ko) * 2023-03-29 2023-10-19 농업회사법인 꼼냥 주식회사 탈취 효과가 뛰어난 캣닢을 이용한 응고와 흡수가 뛰어난 친환경 고양이 모래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30173846A (ko) * 2022-06-20 2023-12-27 김영균 재사용이 가능하며 생분해성이 우수한 친환경 고양이 모래 조성물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41525B1 (ko) * 1992-01-31 2000-03-02 히로시 이토오 동물의 배설물 처리재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50066947A (ko) * 2013-12-09 2015-06-17 주식회사 에이씨티 섬백리향 부산물 함유 친환경 항균-방향 탈취제
KR20170091842A (ko) * 2016-02-01 2017-08-10 이준용 천연재료를 이용한 고양이모래 및 제조방법 및 장치
KR101923215B1 (ko) * 2018-05-25 2018-11-29 남영미 먼지 없는 고양이 모래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먼지 없는 고양이 모래
KR20190138525A (ko) 2018-06-05 2019-12-13 주식회사 부강아이엔씨 고양이 배변 모래의 제조 방법
KR20200030927A (ko) 2018-09-13 2020-03-23 김상현 두부 부산물과 항균물질을 이용한 고양이 모래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41525B1 (ko) * 1992-01-31 2000-03-02 히로시 이토오 동물의 배설물 처리재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50066947A (ko) * 2013-12-09 2015-06-17 주식회사 에이씨티 섬백리향 부산물 함유 친환경 항균-방향 탈취제
KR20170091842A (ko) * 2016-02-01 2017-08-10 이준용 천연재료를 이용한 고양이모래 및 제조방법 및 장치
KR101923215B1 (ko) * 2018-05-25 2018-11-29 남영미 먼지 없는 고양이 모래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먼지 없는 고양이 모래
KR20190138525A (ko) 2018-06-05 2019-12-13 주식회사 부강아이엔씨 고양이 배변 모래의 제조 방법
KR20200030927A (ko) 2018-09-13 2020-03-23 김상현 두부 부산물과 항균물질을 이용한 고양이 모래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545300A (zh) * 2021-07-28 2021-10-26 芜湖蒙克宠物用品科技有限公司 一种海绵猫砂原料及其制备方法
KR20230131746A (ko) 2022-03-07 2023-09-14 주식회사 가화바이오 폐기된 패각을 재활용한 고양이 모래 조성물 및 고양이 모래의 제조방법
KR20230173846A (ko) * 2022-06-20 2023-12-27 김영균 재사용이 가능하며 생분해성이 우수한 친환경 고양이 모래 조성물
KR102621641B1 (ko) 2022-06-20 2024-01-05 김영균 재사용이 가능하며 생분해성이 우수한 친환경 고양이 모래 조성물
CN115399247A (zh) * 2022-09-21 2022-11-29 山东智景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反应型除臭猫砂的制备方法
KR102590904B1 (ko) * 2023-03-29 2023-10-19 농업회사법인 꼼냥 주식회사 탈취 효과가 뛰어난 캣닢을 이용한 응고와 흡수가 뛰어난 친환경 고양이 모래 및 이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74193B1 (ko) 벤토나이트를 함유한 고양이 모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고양이 모래
KR101938452B1 (ko) 천연재료를 이용한 고양이모래 및 제조방법 및 장치
EP1781090B1 (en) Clumping compacted bicarb litter
KR101923215B1 (ko) 먼지 없는 고양이 모래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먼지 없는 고양이 모래
KR101356232B1 (ko) 애완용 모래 및 그 제조방법
US6854421B2 (en) Animal litter and methods of fabricating same
GB2291774A (en) Pet Litter
WO2012044896A1 (en) Absorbent composition for mitigating fecal odor
KR20200111590A (ko) 야자수유래기반 친환경 고양이모래 제조방법
CN114521496A (zh) 一种含益生菌的抑菌除味猫砂及其生产工艺
CN112913701A (zh) 一种除臭猫砂及其制备方法
KR20230122307A (ko) 벤토나이트를 함유한 고양이 모래
US20030070623A1 (en) Bio-degradable pet litter made from coconut coir
KR102485502B1 (ko) 반영구적으로 사용 가능한 고양이 모래 및 이의 제조방법
JPS6134779B2 (ko)
JP2766632B2 (ja) 小動物用トイレ砂
JP2005211018A (ja) ペット等の排泄物処理材及び排泄物処理材組成物並びに排泄物処理材の製造方法
JPH11113435A (ja) 小動物の排泄物吸収剤及びその製法
CN113632734A (zh) 一种改进结团猫砂及其制备方法
JP2004201520A (ja) 動物用排泄物処理材
KR100370828B1 (ko) 고흡수성 및 항균 기능성을 갖는 애완동물 오물수거용 모래 제조방법
KR102594326B1 (ko) 고양이 모래의 재생방법
KR102611278B1 (ko) 고양이 화장실 모래에 사용하는 악취 분해 제거, 항균 및 살균 활성을 갖는 고양이 모래 방부제 성형물의 제조방법
KR20240063551A (ko) 고양이 모래 제조방법
LT6137B (lt) Pakratas gyvūnams ir jo gamybos būda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