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41525B1 - 동물의 배설물 처리재 및 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동물의 배설물 처리재 및 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41525B1
KR100241525B1 KR1019930702925A KR930702925A KR100241525B1 KR 100241525 B1 KR100241525 B1 KR 100241525B1 KR 1019930702925 A KR1019930702925 A KR 1019930702925A KR 930702925 A KR930702925 A KR 930702925A KR 100241525 B1 KR100241525 B1 KR 1002415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coffee
substance
residue
coffee extr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7029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로시 이토오
Original Assignee
히로시 이토오
가부시키가이샤 다이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로시 이토오, 가부시키가이샤 다이끼 filed Critical 히로시 이토오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415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41525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15Floor coverings, e.g. bedding-down sheets ; Stable floors
    • A01K1/0152Litter
    • A01K1/0155Litter comprising organic material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볶은 커피콩의 커피추출액 추출잔류물을 주로 함유하는 조립물을, 동물의 배설물처리재로 하는 것에 있어서, 당해 조립물은, 0.1㎜이상의 입경의 입자로 조립되어 있고, 적어도 그 표면이 착색물질로 착색되어, 커피추출액 추출잔류물의 본래의 색 이외의 색으로 착색되어 있는 동물의 배설물처리재이다.
이 동물의 배설물처리재는, 동물이 배설한 오줌의 흡수성 및 보수성이 좋고, 배설물을 둘러싸서 괴상화하여 제거하기 쉽고, 또 소각할 수 있고, 그밖에도 폐물인 볶은 커피콩의 커피추출액 추출잔류물을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고, 더우기 커피추출액 추출잔류물의 본래의 색 이외의 색으로 착색되어, 사용장소에 따라 적의의 색채의 것을 선택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발명의 명칭]
동물의 배설물 처리재 및 그의 제조방법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발명의 기술분야]
본 발명은, 동물 특히 고양이과, 개과 동물 및 기타 애완용 동물 등의 입상 배설물 처리재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볶은 커피콩에서 커피추출액을 추출할 때에 생기는 추출잔류물, 소위 커피추출 지게미(이하 커피추출액 추출잔류물이라 한다)의 유효이용을 도모하는 동물 특히 고양이과 및 개과 동물, 기타 애완 동물 등의 입상 배설물 처리재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발명의 배경]
가축, 애완동물 등의 배설물 처리재, 특히 실내에서의 배설물 처리로서는 모래, 벤토나이트(bentonite), 지오라이트(zeolite), 제지용 펄프, 펄프 슬럿지(pulp sludge) 등을 소괴상으로 성형하여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종류의 애완동물의 배설물 처리재는, 예를 들면 실내에서 사용되기 때문에 청결하고 위생적인 것이 바람직하고, 사용 후 청결 및 위생상의 문제에서부터 폐기처리가 용이한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모래, 지오라이트, 벤토나이트 등의 무기물의 경우는, 사용시 분말로 부서지기 쉽고, 또 사용 후 방치하는 동안에 악취를 발생하여도, 비가연성이므로 소각처리를 할 수 없고, 또 하수등에 방류하는 것도 할 수 없다. 그래서 악취제거 효과가 낮고, 가격이 비싸지만, 흡수능이 우수하고, 가연성이기 때문에 제지용 펄프 및 지분의 쇠괴상 성형물이 사용되고 있다.
본 커피추출액 추출잔류물의 유효이용은, 커피추출액의 추출액 추출잔류물이 캔커피, 인스턴트커피 등의 커피음료의 수용 증가에 따른 팽대한 양으로 인해, 그 외에도 커피추출액 추출잔류물에는 다량의 지방이 함유되어 있어 그 처리에 많은 비용이 들기 때문에, 커피음료 산업의 최대의 과제를 해결하는 것이다. 그러나 커피추출액 추출잔류물의 갈색이라는 색은, 동물을 기르는 주인이 선호하는 것이 아니므로 문제가 되고 있다.
그래서 동물의 배설물처리재는 일반적으로 실내에서 사용되기 때문에 위생적인 느낌을 주는 색조인 것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커피추출액 추출잔류물이 가지는 갈색의 색채에 의한 동물배설물 처리재로써의 상품가치의 저하에 관한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은, 동물이 배설한 오줌의 흡수성 및 보수성이 좋고, 배설물에 접하여 괴상화할 수 있고, 또 소각가능하고, 그외에도 폐물의 커피추출액 추출잔류물, 즉 커피추출찌꺼기를 그 색채에 구애되지 않고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는 동물의 배설물 처리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즉 본 발명은 볶은 커피콩의 커피추출액 추출잔류물을 주로 함유하고, 1㎜이상의 입경을 가지는 건조 조립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의 배설물 처리재에 있고, 또한 본 발명은 볶은 커피콩의 커피추출액 추출잔류물을 주로 함유하고, 1㎜이상의 입경을 가지고, 표면의 적어도 그 일부가 착색물질에 의해 피복되어 있는 착색된 건조조립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의 배설물처리재이다.
게다가 본 발명은 볶은 커피콩의 커피추출액 추출잔류물로, 당해 커피추출액 추출잔류물보다 적은 양의 배합물질을 배합, 조립하여 상기의 커피추출액 추출잔류물을 주로 함유하는 조립물을 형성하고, 당해 조립물의 수분이 10중량%이하로 될 때까지, 당해 조립물을 건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의 배설물 처리재의 제조방법에 있고, 또한 본 발명은 볶은 커피콩의 커피추출액 추출잔류물로, 당해 커피추출액 추출잔류물보다 각각 적은 양의 배합물질, 살균작용을 가지는 물질 및 착색물질을 배합, 조립하여 상기 추출잔류물을 주로 함유하는 조립물을 형성하고, 당해 조립물의 수분이 10중량%이하가 될 때까지 당해 조립물을 건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의 배설물 처리재의 제조방법에 있다.
게다가 또한 본 발명은 볶은 커피콩의 커피추출액 추출잔류물로, 당해 커피추출액 추출잔류물보다 적은 양의 배합물질을 배합, 조립하여, 상기 커피추출액 추출잔류물을 주로 함유하는 조립물을 형성하고, 이 형성된 조립물의 표면에 착색물질을 부착시켜, 건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의 착색 배설물처리재의 제조방법에 있고, 또한 본 발명은 볶은 커피콩의 커피추출액 추출잔류물로, 당해 커피추출액 추출잔류물보다 각각 적은 양의 배합물질 및 살균작용을 가지는 물질을 배합, 조립하여 상기 커피추출액 추출잔류물의 주로 함유하는 조립물을 형성하고, 이 형성된 조립물의 표면에 착색물질을 부착시켜 건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의 착색 배설물처리재의 제조방법에 있고, 더우기 본 발명은 볶은 커피콩의 커피추출액 추출잔류물로, 당해 커피추출액 추출잔류물보다 각각 적은 양의 배합물질, 살균작용을 가지는 물질 및 착색물질을 배합, 조립하여 상기 커피추출액 추출잔류물의 주로 함유하는 조립물을 형성하고, 이 형성된 조립물의 표면에 착색물질을 부착시켜 건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의 착색 배설물처리재의 제조방법에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볶은 커피콩의 커피추출액 추출잔류물의 조립물은, 커피향을 가지고, 어느 정도 지방분을 함유해서 지방감을 갖는다. 이같은 커피향이나 지방감에 대해, 고양이 등의 동물은 비교적 민감하므로, 동물의 배설물처리재로써의 사용시에 동물에게 사각사각하는 감촉을 주고, 또 배설물처리재의 장기보존에 있어서 곰팡이 등이 생기지 않도록 하고, 또 동물의 배설물처리재 중의 커피추출액 추출잔류물로부터 발생하는 커피향을 부드럽게 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볶은 커피콩의 커피추출액 추출잔류물의 조립물은 바람직하게는 함유수분이 10중량%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5중량% 이하가 될 때까지 건조한다. 이처럼 수분이 10%이하로 되도록 건조함에 의해, 커피추출액 추출잔류물의 조립물의 거피향이나 지방에 의한 감촉의 단점은 크게 감소할 수 있으므로, 고양이 등의 동물이 이들에 대해 민감하여도, 동물의 배설시에 배설물처리재로써 사용하는 데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동물의 배설물처리재는, 볶은 커피콩의 커피추출액 추출잔류물을 주로 함유하므로, 조립물의 표면 및 외관은, 당해 커피추출액 추출잔류물이 본래 가지고 있는 갈색으로 되어 있어, 실내 등에서 사용하기에 눈으로 보기엔 나쁘다.
따라서 본 발명에 있어서 커피추출액 추출잔류물은, 이 커피추출액 추출잔류물 고유의 색과는 다른 색의 착색물질에 의해 착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백색분상의 배합물질을 배설물처리재의 40중량%이하의 양, 바람직하게는 10중량%이하의 양으로, 조립에 앞서, 당해 커피추출액 추출잔류물에 혼합하기도 하고, 당해 커피추출액 추출잔류물의 조립물의 표면에 묻히기도 하여 커피추출액 추출잔류물의 조립물의 색조를 커피추출액 추출잔류물의 색조와 다른 색조로, 예를 들면 거의 백색 또는 백색에 가까운 것으로 하여, 커피추출액 추출잔류물의 조립물의 커피추출액 추출잔류물의 색을 완화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커피추출액 추출잔류물의 입자를 상기 착색물질로 착색하고, 이어서 이 착색된 커피추출액 추출잔류물의 입자를 조립하여, 커피색을 확실하게 감춘 조립물로 할 수도 있고, 또 이 조립물을 다시 착색할 수도 있다. 또한 기타로, 커피추출액 추출잔류물을 조립하여 이 조립물을 착색물질로 착색하여 커피색을 감춘 조립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이 같은 착색물질로써 안료 및 염료를 사용할 수 있다. 이 같은 안료 및 염료에는, 백색의 것으로써 지분, 탄산칼슘, 산화티탄 및 합성펄이 있고, 흑색의 것으로는, 카본, 에리오크롬블랙T, 아미노블랙10B및 크로라졸블랙BH가 있다. 착색의 안료 및 염료로써는 시아닌블루, 아조블루 및 페이턴트블루가 있고, 녹색의 안료 및 염료로써는 시아닌그린 및 에메랄드그린이 있으며, 황색의 안료 및 염료로써는 아조옐로우, 아지드옐로우 및 한사옐로우가 있다. 지분은 염료, 안료 등에 의해 미리 착색하여 각종 착색용의 재료로써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커피추출액 추출잔류물의 건조조립물 또는 착색건조조립물은, 더이상의 처리를 하지 않더라도 동물의 배설물처리재로써 사용할 수 있지만, 이 경우 먼지로 되는 것을 피하기 위해, 예를 들면 0.1㎜보다 작은, 입경이 미세한 분상부분을 분리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동물의 배설물처리재는, 커피추출액 추출잔류물 등의 미세한 분진의 발생을 최대한 피하기 위해, 예를 들면 1㎜이상의 입경의 조립물로 조립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3㎜이상의 입경의 입자로 조립한다면, 예를 들면 화장실용의 상자로부터 실내에 흩어지기 어렵고, 가령 흩어졌더라도 입자를 모으기가 용이하여, 실내의 위생을 유지한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그러나 이 경우 1㎜이하의 입자의 존재나, 3㎜이하의 입자의 존재를 완전히 배척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조립물은 구상, 주상, 입상 및/또는 과립상 등 각종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커피추출액 추출잔류물의 착색 건조조립물에 배합된 배합물질은, 커피추출액 추출잔류물의 유성 성질을 완화하고, 또 당해 조립물의 접착성 및 흡수성을 향상시키고, 더우기 압출조립장치에서 조립물이 쉽게 흐르는 것을 증가시키기 위해 배합된 것이다. 이 같은 배합물질로써는, 커피추출액 추출잔류물의 점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중량물질로써 기능하고, 지분, 차찌꺼기, 비지, 나무 부스러기, 밀감의 씨껍질 등의 감귤과피, 비트당(beet sugar)의 지게미, 즉 비트펄프, 실리카겔, 제지용 펄프, 제지슬럿지, 활성탄 함유 펄프폐물, 펄프슬럿지, 폴리비닐알콜(PVA)(포바르 : 상품명), 소맥분, 전분, 콘스타치,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CMC), 아르긴산나트륨, 풀루란(pullulan), 카제인 또는 젤라틴 등이 있고, 이들을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또는 이들 2종이상을 혼합하여 배합물질로써 사용할 수 있다. 또 알콜용해성의 배합물질로써는,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HEC),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HPC) 또는 폴리비닐피롤리돈(PVP) 등이 있고, 이 경우도 마찬가지로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또는 이들 2종이상을 혼합하여 배합물질로써 사용할 수 있다. 실리카겔, 젤라틴 등의 겔화제 및 폴리비닐알콜은, 커피추출액 추출잔류물의 고형화를 안정시키는 접착제로써 기능하므로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동물의 배설물처리재에서는, 그 흡수능 및 보수기능을 높이기 위한 배합물질로 가루상의 고흡수성 수지를 배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배합된 고흡수성수지는, 당해 수지에 대해 중량으로 수십배로부터 이천배정도의 물을 흡수하여도, 형을 보지할 수 있는 수지이고, 예를 들면 비닐에스테르와 에틸렌계 불포화카르본산 또는 그의 유도체와의 공중합 비누화물, 전분과 아크릴산의 그래프트중합체, 폴리아크릴산의 가교물, 비닐알콜과 아크릴산의 공중합체, 폴리아크릴로니트릴의 부분가수분해물,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의 가교물, 폴리에틸렌글리콜의 가교물, 키토산의 염 또는 풀루란의 겔 등이 있다. 이들 고흡수성 수지는, 조립에 앞서, 커피추출액 추출잔류물의 입자에 단독 또는 2종이상의 혼합물의 형으로 배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커피추출액 추출잔류물의 입자에는, 조립에 앞서, 가루상의 배합물질을 40중량%이하의 양으로, 바람직하게는 10중량%이하의 양으로 혼합할 수 있다. 이 경우 배합물질의 색조는 본 발명의 동물의 배설물처리재의 색조에 맞는 색조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커피추출액 추출잔류물의 입자가 조립에 앞서 미리 착색될 경우에는, 배합물질의 색조는 착색입자의 색조와 혼합하여, 단일색 또는 혼합색으로 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있어서, 커피추출액 추출잔류물의 착색입자의 색조와 배합물의 색조를 일치시킨다면, 얼룩을 적게 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배합물질은 커피추출액 추출잔류물의 착색 또는 미착색의 입자와 혼합하여 가해도 되고, 또 별도로 가해도 좋지만, 조립물 내에서 커피추출액 추출잔류물과 합체시키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착색물질 및 배합물질의 색채를 예를 들어 백색 한가지 색으로 한다면, 배설물의 검사용 지시약의 발색의 확인이 용이하게 되고, 적의의 지시약을 배합하여, 동물의 배설물에 의한 검진을 간단하게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동물용의 배설물 검사용 지시약으로서는, 예를 들면 종래의 동물용의 요검사용 지시약과 마찬가지로, 사람의 요검사용 지시약, 즉 요 pH지시약, 요단백지시약, 요당지시약, 요헤모글로빈지시약 및 기타 사람의 요검사용 지시약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이 같은 지시약을 배합할 경우에는, 지시약의 발색을 용이하게 검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커피추출액 추출잔류물의 건조입자의 표면을 백색으로 착색하고, 여기에 백색 내지 거의 백색의 배합물질과 지시약을 첨가 혼합한 것을 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의 백색의 안료 및 염료 대신에 백색 내지 거의 백색의 중량재 등의 배합물질을 착색물질로써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상기에서 열거한 백색의 착색물질 외에, 예를 들면 벤토나이트, 제오라이트, 탄산칼슘 및 석고 등의 광물질의 백색배합물질, 아울러 소맥분, 지분, 제지용 펄프분, 제지슬럿지 및 CMC 등의 백색배합물질을, 커피추출액 추출잔류물의 입자 표면의 착색물질로써 사용할 수 있다.
요 pH지시약의 경우는, 사용되는 착색물질 및 배합물질은 pH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된다. 예를 들면 지분, 티탄백(titan white) 등이 사용된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 커피추출액 추출잔류물의 착색건조조립물은, 그자체 탈취능력을 가지고 있지만, 동물이 배설한 오줌 등이 분해하여 악취가 나는 것을 최대한 막기 위해서, 본 발명의 동물의 배설물처리재에는 커피추출액 추출잔류물의 착색건조조립물에, 보조탈취제로써 10중량%이하의 양으로 흡착능을 가지는 백색분상의 벤토나이트, 제오라이트 등, 또는 예를 들면 흑색의 담배용 챠콜필터의 찌꺼기 같은 활성탄 함유 펄프폐물 등을 배합할 수 있다. 이들은 조립물 내에서 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동물의 배설물처리재는 보존시의 곰팡이의 발생을 막기 위해, 커피추출액추출잔류물의 착색건조조립물에 살균작용을 가지는 물질을 첨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이 같은 살균작용을 가지는 물질은, 탈색작용을 가지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식염, 솔빈산 또는 그의 염, 프로피온산칼슘, 히노키티올 아울러 안식향산 또는 그의 염 등의 살균제, 방부제 및 곰팡이 방지제가 사용된다. 산화에 의해 쉽게 탈색되지 않는 안료를 착색물질로 할 경우에는, 차아 염소산칼슘을 배합할 수 있다. 히노키티올의 첨가는, 노송나무 및 그의 잎 등의 히노키티올을 함유하는 톱밥을 첨가하여 행한다. 이같은 히노키티올 함유의 톱밥을 사용한다면, 제재공장의 폐물을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오줌에 접촉한 분체입자 상호를 접착시켜 용이하게 괴를 형성하고 오줌에 접한 부분을 용이하게 제거하기 쉽게 되도록 하기도 하고, 사용시의 배설물 처리재의 가루화를 피하기 위해서, 커피추출액 추출잔류물에 접착기능을 가지는 배합물질을 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같은 배합물질로는, 수용성 또는 물속에서 분산하는 경향을 가지는 배합물질로써, 지분, 제지용 펄프, 제지슬럿지, 펄프슬럿지, 폴리비닐알콜(PVA), 소맥분, 전분, 콘스타치,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CMC), 풀루란 또는 젤라틴 등이 있고,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하던가, 또는 이들 2종이상을 혼합하여 혼합물의 형으로 사용된다. 또한 알콜용해성의 배합물질로써는,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HEC),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HPC) 또는 폴리비닐피롤리돈(PVP) 등이 있고, 이 경우도 마찬가지고 단독으로 사용하던가, 또는 이들 2종 이상을 혼합하여 혼합물의 형으로 사용된다.
본 발명의 배설물 처리재에서는, 그 흡수능을 높이기 위해, 볶은 커피콩의 커피추출액 추출잔류물에 고흡수성 수지를 배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커피추출액 추출잔류물은, 조립장치에 의해 조립된다. 조립장치로써는, 종래 주지의 압출조립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기타로 빵형, 드럼형 및 유동층형의 각종 조립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조립장치에 있어서, 성형된 조립물 표면에의 백색분말의 부착은, 조립물이 형성되었던 곳에서, 조립물 표면에 예를 들면 백색분말을 직접부착시키거나, 또는 백색분말을 용액 또는 현탁액으로 하여 분무 등에 의해 부착시킬 수 있다.
상기 커피추출액 추출잔류물의 착색조립물에는, 조립후 다시 접착능을 가지는 배합물질, 고흡수성 수지, 살균작용을 가지는 배합물질 또는 기타 배합물질을 온통 바르는 등하여, 조립물의 표면에 배합물질을 부착시키고, 그후 건조함에 의해 쉽게 떨어져 나가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동물의 배설물 처리재는, 커피추출액 추출잔류물을 포함하는 조립물표면이 착색물질로 착색되어 있으므로, 커피특유의 갈색은 감춰지고, 배설물 처리재의 사용시에 있어서, 예를 들면 실내의 조도와의 조화, 위생감, 사용자의 기호 및 색체분위기 등에 따르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상품의 다색화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동물의 배설물 처리재는 커피추출액 추출잔류물을 포함하는 조립물 표면이 착색되어 있으므로, 표면에 부착한 배설물은, 처리재에 의해 쉽게 둘러싸일 수 있고, 배설물의 악취 등은, 커피추출액 추출잔류물에 흡착되어 주위로 악취가 방산되지는 않는다.
그 외에도 본 발명에 있어서, 커피추출액 추출잔류물은 그 자체 흡착능을 가지므로 흡착물질을 특별히 가하지 않고, 동물의 배설물 처리재로써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동물 배설물 처리재는, 동물이 배설한 오줌을 흡수하여, 소취성(消臭性)이 양호하다. 더우기 본 발명의 배설물 처리재는, 특히 착색물질로 착색되어 있으므로, 요검사용 지시약을 배합하여도, 그 발색이 눈에 띄기가 쉽고, 동물이 배설한 오줌의 색을 검사하여, 동물의 건강상태를 감시하기가 용이하게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폴리비닐알콜 및/또는 소맥분이 혼합되어 있는 경우에는, 동물의 배설물에 부착하여 배설물을 괴상으로 둘러싸게 되어, 후처리가 간단 또한 용이하다. 또한 동물의 배설물 처리재 중에 보조탈취제 및/또는 고흡수성 수지가 혼합되어 있는 경우에는, 배설물 처리재로써 더욱 우수한 탈취성 아울러 흡수성 및 보수성을 발휘한다.
본 발명은, 종래 폐물로 되어, 그 처리가 문제되고 있던 커피추출액 추출잔류물, 차찌꺼기, 활성탄 함유 펄프폐물, 지분 등의 가연성의 폐물을, 동물의 배설물 처리재로써 유효하게 이용하는 것이고, 그밖에도 주된 양을 가연물로 구성하므로, 소각등 폐기처리가 용이하다.
본 발명은, 동물의 배설물 처리재는 탈취성이 뛰어난 커피추출액 추출잔류물을 주로 함유하고, 1㎜이상, 바람직하게는 3㎜이상의 입경을 가진 조립물로, 흡수성 및/또는 탈취성의 배합물질과 함께 성형되므로, 동물이 배설한 오줌의 흡수가 좋고, 또한 보수성이 좋아, 소취성이 현저하게 양호하다.
그 밖에도 본 발명의 배설물 처리재에는, 특히 흡수성 수지, 또는 소맥분, 폴리비닐알콜, 전분 혹은 겔화제 기타 접착능을 가지는 배합물질, 또는 살균작용을 가지는 물질 혹은 이들 배합물질의 2이상의 것을 혼합하여 배합할 수 있으므로, 동물의 배설물에 부착하여, 배설물을 괴상으로 둘러싸게 되어, 후처리가 간단 또한 용이하다. 또한, 탈취제 및/또는 흡수제가 혼합되어 있는 경우에는 배설물 처리재로써 더욱 뛰어난 탈취성 및 흡수성을 발휘한다. 게다가 또 살균작용을 가지는 물질이 혼합되어 있는 경우에 배설물 처리재는 미생물 등의 발생이 없어 장기간에 걸쳐 보존할 수 있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제1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커피추출액 추출잔류물의 조립 및 조립착색방법의 공정을 설명하는 공정도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적의 형태]
이하, 본 발명의 실시양태의 예를 설명하겠지만, 본 발명은 이하의 설명 및 예시에 따라 하등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1도는, 본 예에 사용되는 커피추출액 추출잔류물을 조립착색하는 장치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제1도에서 커피추출액 추출잔류물 공급용의 관로1이 설치되어 있는 커피추출액 추출잔류물 공급용의 원료탱크2, 저부에 착색재 공급용의 관로3이 설치되어 있는 착색재 공급용의 원료탱크4 및 마찬가지로 저부에 배합물질 공급용의 관로5가 설치되어 있는 배합물질 공급용의 원료탱크6이 설치되어 있다. 각각의 원료탱크2, 4 및 6의 관로1, 3 및 5는, 각각 유로절환장치7에 접속해 있고, 유로절환장치7의 유로를 절환함에 의해 커피추출액 추출잔류물, 착색물질 또는 배합물질을, 유로절환장치7의 유출측에 설치되어 있는 관로8을 끼워서, 선택적으로 각반장치9에 도입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각반장치9로의, 커피추출액 추출잔류물, 착색물질 또는 배합물질의 도입은, 각반장치9에 접속한 진공장치10을 동작시켜, 그 흡인력에 의해 행한다.
유로절환장치7로부터의 관로8 및 진공장치10에의 관로11은, 모두 각반장치9의 상방공간부에 접속하고 있다.
각반장치9의 하부개폐구12는, 컨베이어13의 공급측호퍼14의 상방에 위치하여 설치된다. 벨트컨베이어13은, 조립장치15의 공급측호퍼 16위에까지 연장되어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조립장치15는, 압출조립장치이고, 직경 6.4㎜, 길이 12.5㎜의 가는 원기둥형로 성형되도록 다이스(dice, 도시되지 않음)가 설치되어 있다. 조립장치15의 다이스부 출구17의 하방에는, 조립물 반송용의 네트컨베이어18이 설치되어 있다. 이 네트컨베이어18은, 분무장치19를 관통하고, 원반건조기20의 상부 도입구21까지 연장하여 설치되어 있다.
분무장치19에는, 네트컨베이어18의 상방 및 하방에, 네트컨베이어18로 향하여 분무용 노즐22가 설치되어 있고, 네트컨베이어18 위로 반송되는 입자에, 분무용노즐22로부터 피복물질을 분무할 수 있다. 분무장치19의 저부23에는, 피복물질공급구24, 피복물질 반송용 관로25 및 원반건조기20의 저부26에 접속하는 피복물질 회송용 관로27이 설치되어 있다. 피복물질 반송용 관로25는 반송펌프28에 접속하고 반송펌프28은 피복물질 반송용 상부관로29에 접속되어 있고, 피복물질 반송용 상부관로29는 분무용노즐22에 접속하고 있다.
피복물질은, 분무장치19의 저부에, 피복물질 공급구24로부터 신규로 공급되는 피복물질, 조립물에 부착하지 않고 저부23에 모인 피복물질 및 피복물질 회송용관로27로부터 회송되는 피복물질을, 반송펌프28을 통하여 흡인하고, 피복물질 반송용 상부관로29로부터 분무용노즐22로 보내고, 분무용노즐22로부터 조립물에 분무된다. 분무장치19에서 분무된 피복물질이 피착된 조립물은, 분무장치19로부터 네트컨베이어18에 의해 가열건조기20으로 보내진다.
열풍건조기20의 상부에 설치된 배기관로30은, 가열장치31의 기체입구32에 접속하고, 가열장치31의 기체출구33은, 열풍도입관로34를 통하여 열풍건조기20의 저부26에 접속하고 있다. 따라서 열풍건조기20의 배기는 가열장치31로 보내 가열되어, 열풍도입관로34를 통하여 열풍건조기20의 저부26으로 보내져 열풍건조기의 가열에 순환사용된다.
열풍건조기20의 저부26에는, 스크린(도시되지 않음)이 설치되어 있고, 스크린 상부의 출구에는 착색건조조립물을 포장장치35로 보내는 건조조립물 반송용 컨베이어36이 설치되어 있다. 열풍건조기20의 저부26에는 분무장치23에 접속하여 피복물질 회송용관27이 형성되어 있고, 가열건조기20의 건조공정에서 부수어진 스크린 아래부분은 피복용분체로써, 분무장치19로 보내져 분무노즐22로부터 분무되어 다시 한번 조립물의 피복에 사용된다.
본 실시예의 장치는 이상과 같이 구성되어 있으므로, 우선 유로절환장치7을 동작시키고, 커피추출액 추출잔류물을 원료탱크2에서 각반장치9 내로 도입하고, 이어서 유로절환장치7의 유로를 새로 바꾸어, 착색물질을 원료탱크4로부터 각반장치9 내로 도입하고, 다시 각반장치7을 새로 바꾸어, 배합물질은 원료탱크6으로부터 각반장치9 내에 도입하여, 각반장치9에 의해 각반을 행한다. 착색물질 및 배합물질이 각반배합된 커피추출액 추출잔류물 배합물은, 착색물질의 색에 따라, 백색, 황색, 녹색 또는 청색 등의 색을 나타낸다.
착색배합공정이 종료한 곳에서, 각반장치7의 하부개폐구12를 열고, 착색배합된 커피추출액 추출잔류물 배합물을 호퍼14에 넣는다. 호퍼14에 들어간 착색배합된 커피추출액 추출잔류물 배합물은, 벨트컨베이어13에 의해 조립장치15의 호퍼16에 들어가 조립된다. 조립된 커피추출액 추출잔류물의 착색조립물은 네트컨베이어18에 의해, 피복물질을 분무로 피복시키기 위하여, 분무장치19로 보내져, 분무노즐22로부터 피복물질이 분무된다.
피복물질이 피착된 커피추출액 추출잔류물의 착색조립물은, 네트컨베이어18에 의해 원반건조기20으로 보내져 건조된다. 건조된 커피추출액 추출잔류물의 착색건조조립물의 1㎜이상의 입경의 것이, 컨베이어36에 의해, 포장장치35로 보내져 동물의 배설물처리재가 된다.
본 실시예의 동물의 배설물처리재 제조장치에 있어서, 조립장치15는, 탈수를 행할 수 있는 탈수조립장치이고, 탈수된 물은, 배수관 37로 흘러, 정수장치38에 의해 정화된다.
[실시예 1]
볶은 커피콩 분쇄물에 물을 가하고 커피추출액을 추출한 추출잔류물, 즉 커피지게미를 수분이 10중량%이하가 될 때까지 열풍건조기로 건조하였다. 이 건조되어 얻어진 건조 커피추출액 추출잔류물 1,000g, 염화나트륨 50g, 폴리비닐알콜 20g, 지분 250g 및 물 800ml를 혼합기에 넣어 혼합하였다. 혼합물을 압출조립장치의 압출부에 넣고, 직경 6㎜의 개구를 여러개 가지는 스크린을 통하여 압출하고, 쵸퍼로 적의 재단하여 조립하였다. 이 조립물을 열풍건조기에서 수분이 10%이하가 될 때까지 건조하여, 주로 직경 5㎜, 길이 10㎜의 펠렛을 얻었다. 이 펠렛을 모아, 고양이의 화장실용 모래로 하였다.
실내에서, 이 고양이의 화장실용 모래에 35℃ 온도의 20배로 희석한 암모니아수 50ml를 가하였는데, 비상하게 흡수성 및 탈취성이 양호하고, 실내에 암모니아 냄새를 피우지 않았다.
또 이 고양이의 화장실용 모래를 고양이의 화장실에 두께 3㎝로 깔아서 사용하였지만, 고양이는 보통과 마찬가지로 화장실로써 사용하고 있어, 사용상 하등의 지장이 없었다.
고양이가 배설 사용후, 이 고양이의 화장실용 모래는, 고양이가 배설한 부분에 대해서는,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었다. 그 밖에도 본 실시예의 화장실용 모래는, 흡수성 및 탈취성을 가져, 실내에 불쾌한 냄새를 발생하는 것을 피할 수 있었다.
또 본 실시예의 고양이의 화장실용 모래를, 사용후 수세변기에 흘렸지만 하등 문제가 없었다.
[실시예 2]
실시예 1에서 얻어진 건조커피추출액 추출잔류물 1,000g, 안식향산 10g, 하이모 주식회사제의 고흡수성 수지 하이모서브 500(Hymosub 500, 등록상표) 50g, 지분 200g 및 물 850ml를 혼합기에 넣고 혼합하였다. 혼합물을 압출조립장치의 압출부에 넣고, 직경 6㎜의 개구를 여러개 가지는 스크린을 통하여 압출하고, 쵸퍼로 적의 재단하여 조립하였다. 이 펠렛에 조립물을 열풍건조기로 수분이 10%가 될 때까지 건조하고, 주로 직경 5㎜, 길이 10㎜의 펠렛을 얻었다. 이 펠렛을 모아서, 고양이의 화장실용 모래로 하였다.
실내에서, 이 고양이의 화장실용 모래에 35℃ 온도의 20배로 희석한 암모니아수 50ml를 가하였지만, 강력한 흡수성 및 탈취성을 가져, 실내에 암모니아 냄새를 피우지 않았다.
또 이 고양이의 화장실용 모래를 고양이의 화장실에 두께 3㎝로 깔아서 사용하였지만, 고양이는 보통과 마찬가지로 화장실로써 사용하고 있어, 사용상 하등의 지장이 없었다.
고양이가 배설 사용후, 이 고양이의 화장실용 모래의, 고양이가 배설한 부분에 대해서는,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었다. 그 밖에도 본 실시예의 화장실용 모래는, 흡수성 및 탈취성이 우수하여, 실내에 불쾌한 냄새를 발생하는 것을 피할 수 있었다.
또 본 실시예의 고양이의 화장실용 모래를, 사용후 수세변기에 흘렸지만 하등 문제가 없었다.
[실시예 3]
실시예 1에서 얻어진 건조커피추출액 추출잔류물 1,000g, 염화나트륨 50g, 하이모주식회사제의 고흡수성 수지 하이모서브 500(등록상표) 10g 및 물 1000ml를 혼합기에 넣고 혼합하였다. 혼합물을 압출조립장치의 압출부에 넣고, 직경 6㎜의 개구를 여러개 가지는 스크린을 통하여 압출하고, 쵸퍼로 적의 재단하여 조립하였다. 이 조립물에, 고흡수성수지, 폴리비닐알콜, 염화나트륨 및 소맥분이 혼합된 분말조성물을 분무하고, 이 조립물을 열풍건조기로 건조하고, 직경 약 5㎜~5.5㎜, 길이 약 10㎜~12㎜의 펠렛을 얻었다. 이 펠렛을 모아서, 고양이의 화장실용 모래로 하였다.
실내에서, 이 고양이의 화장실용 모래에 35℃ 온도의 20배로 희석한 암모니아수 50ml를 가하였지만, 강력한 흡수성 및 탈취성을 가져, 실내에 암모니아 냄새를 피우지 않았다.
또 이 고양이의 화장실용 모래를 고양이의 화장실에 두께 3㎝로 깔아서 사용하였지만, 고양이는 보통과 마찬가지로 화장실로써 사용하고 있어, 사용상 하등의 지장이 없었다.
고양이가 배설 사용후, 이 고양이의 화장실용 모래의, 고양이가 배설한 부분이 괴상으로 되어 있어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었다. 그 밖에도 흡수성 및 탈취성이 우수하여, 실내에 불쾌한 냄새를 발생하는 것을 피할 수 있었다.
또 본 실시예의 고양이의 화장실용 모래를, 사용후 수세변기에 흘렸지만 하등 문제가 없었다.
[실시예 4]
실시예 1에서 얻어진 건조커피추출액 추출잔류물 1,000g, 염화나트륨 150g, 폴리비닐알콜 50g, 지분 200g 및 물 1000ml를 혼합기에 혼합하였다. 혼합물을 압출조립장치의 압출부에 넣고, 직경 6㎜의 개구를 여러개 가지는 스크린을 통하여 압출하고, 쵸퍼로 적의 재단하여 조립하였다. 이 조립물에, 고흡수성수지, 폴리비닐알콜, 염화나트륨 및 소맥분이 혼합된 분말조성물을, 분무하고, 이 조립물을 열풍건조기로 건조하고, 직경 약 5㎜~5.5㎜, 길이 약 10㎜~12㎜의 펠렛을 얻었다. 이 펠렛을 모아서, 고양이의 화장실용 모래로 하였다.
실내에서, 이 고양이의 화장실용 모래에 35℃ 온도의 20배로 희석한 암모니아수 50ml를 가하였지만, 강력한 흡수성 및 탈취성을 가져, 실내에 암모니아 냄새를 피우지 않았다.
또 이 고양이의 화장실용 모래를 고양이의 화장실에 두께 3㎝로 깔아서 사용하였지만, 고양이는 보통과 마찬가지로 화장실로써 사용하고 있어, 사용상 하등의 지장이 없었다.
고양이가 배설 사용후, 이 고양이의 화장실용 모래는, 고양이가 배설한 부분이 괴상으로 되어 있어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었다. 그 밖에도 흡수성 및 탈취성이 우수하여, 실내에 불쾌한 냄새를 발생하는 것을 피할 수 있었다.
또 본 실시예의 고양이의 화장실용 모래를, 사용후 수세변기에 흘렸지만 하등 문제가 없었다.
[실시예 5]
실시예 1에서 얻어진 건조커피추출액 추출잔류물 1,000g, 염화나트륨 100g, 폴리비닐알콜 50g, 하이모주식회사제의 고흡수성 수지 하이모서브500(등록상표) 50g, 지분 300g 및 물 1000ml를 혼합기에 넣고 혼합하였다. 혼합물을 압출조립장치의 압출부에 넣고, 직경 6㎜의 개구를 여러개 가지는 스크린을 통하여 압출하고, 쵸퍼로 적의 재단하여 조립하였다. 이 펠렛에 조립물을 열풍건조기로 수분이 10%이하가 될 때까지 건조하여, 주로 직경 5㎜, 길이 10㎜의 펠렛을 얻었다. 이 펠렛을 모아서, 고양이의 화장실용 모래로 하였다.
실내에서, 이 고양이의 화장실용 모래에 35℃ 온도의 20배로 희석한 암모니아수 50ml를 가하였지만, 비상하게 흡수성 및 탈취성이 양호하여, 실내에 암모니아 냄새를 피우지 않았다.
또 이 고양이의 화장실용 모래를 고양이의 화장실에 두께 3㎝로 깔아서 사용하였지만, 고양이는 보통과 마찬가지로 화장실로써 사용하고 있어, 사용상 하등의 지장이 없었다.
고양이가 배설 사용후, 이 고양이의 화장실용 모래의, 고양이가 배설한 부분에 대하여는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었다. 그 밖에도 본 실시예의 고양이의 화장실용의 모래는, 흡수성 및 탈취성을 가져, 실내에 불쾌한 냄새를 발생하는 것을 피할 수 있었다.
또 본 실시예의 고양이의 화장실용 모래를, 사용후 수세변기에 흘렸지만 하등 문제가 없었다.
[실시예 6]
실시예 1에서 얻어진 건조커피추출액 추출잔류물 1,000g, 안식향산 10g, 하이모주식회사제의 고흡수성 수지 하이모서브500(등록상표) 20g, 폴리비닐알콜 10g, 펄프슬럿지(수분 60%) 1000g을 혼합기에 넣어서 혼합하였다. 혼합물을 압출조립장치의 압출부에 넣고, 직경 6㎜의 개구를 여러개 가지는 스크린을 통하여 압출하고, 쵸퍼로 적절히 재단하여 조립하였다. 이 펠릿에 조립물을 열풍건조기 수분이 10%이하가 될 때까지 건조하여, 주로 직경 5㎜, 길이 10㎜의 펠렛을 얻었다. 이 펠렛을 모아서, 고양이의 화장실용 모래로 하였다.
실내에서, 이 고양이의 화장실용 모래에 35℃ 온도의 20배로 희석한 암모니아수 50ml를 가하였지만, 비상하게 흡수성 및 탈취성이 양호하여, 실내에 암모니아 냄새를 피우지 않았다.
또 이 고양이의 화장실용 모래를 고양이의 화장실에 두께 3㎝로 깔아서 사용하였지만, 고양이는 보통과 마찬가지로 화장실로써 사용하고 있어, 사용상 하등의 지장이 없었다.
고양이가 배설 사용후, 이 고양이의 화장실용 모래의, 고양이가 배설한 부분에 대하여는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었다. 그 밖에도 본 실시예의 고양이의 화장실용 모래는, 흡수성 및 탈취성이 우수하여, 실내에 불쾌한 냄새를 발생하는 것을 피할 수 있었다.
또 본 실시예의 고양이의 화장실용 모래를, 사용후 수세변기에 흘렸지만 하등 문제가 없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펄프슬럿지 1,000g 대신 펄프 400g 및 물 600g을 사용하였지만 거의 동일한 결과가 나왔다.
[실시예 7]
볶은 커피콩 분쇄물에 물을 가하여 커피를 추출한 추출잔류물, 즉 함수율 60%의 커피추출액 추출잔류물 2,250g을, 커피추출액 추출잔류물 공급용의 원료탱크2에 넣고, 이어서 착색물질로써 탄산칼슘 225g을 착색재 공급용 원료탱크4에 넣고, 착새물질에 이어서, 배합물질로써 소맥분 225g, 폴리비닐알콜 9g 및 염화나트륨 45g을 배합물질 공급용 원료탱크6에 넣는다.
원료를 각각의 원료탱크에 넣었던 곳에서, 유로절환장치7의 유로를 새로 바꾸어, 유로절환장치7의 유로를, 우선 건조커피추출액 추출잔류물 공급용 원료탱크2에 연결 통과시키고, 진공장치10을 작동시켜, 그 진공압에 의해, 당해 건조커피추출액 추출잔류물 공급용 원료탱크2로부터 건조커피추출액 추출잔류물을 각반장치9 내로 흡인 도입한다. 당해 건조커피추출액 추출잔류물 공급용 원료탱크2로부터 건조커피추출액 추출잔류물을 각반장치9 내로 흡인 도입한 곳에서, 유로절환장치7의 유로를 새로 바꾸어, 유로절환장치7의 유로를 착색물질 공급용 원료탱크4로 연결 통과시켜, 진공장치를 작동시키고, 그 진공압에 의해, 착색물질 공급용 원료탱크4로부터 착색물질의 탄산칼슘을, 각반장치9 내로 흡인 도입한다. 착색제 공급용 원료탱크4로부터, 착색물질의 탄산칼슘을, 각반장치9에 도입한 곳에서, 유로절환장치7의 유로를 배합물질 공급용 원료탱크4에 연결 통과시키도록 절환하고, 진공장치를 작동시켜, 그 진공압에 의해, 배합물질 공급용 원료탱크4로부터 배합물질의 소맥분 및 폴리비닐알콜 아울러 살균성 물질인 염화나트륨을 각반장치 9내로 흡인 도입한다.
배합물질 공급용 원료탱크4로부터, 배합물질의 지분 및 콘스타치를 각반장치9로 도입하였던 곳에서, 각반강치9를 작동시키고, 착색제인 탄산칼슘 아울러 배합물질인 소맥분, 폴리비닐알콜 및 염화나트륨을 각반 혼합한다.
탄산칼슘, 소맥분, 폴리비닐알콜 및 염화나트륨이 배합된 커피추출액 추출잔류물은, 전체가 백색의 반점을 나타내고 있고, 각반장치9의 하부개폐구12를 열고, 백색 반점의 커피추출액 추출잔류물 배합물을, 호퍼14에 넣는다. 호퍼14로 들어간 백색으로 착색된 커피추출액 추출잔류물 배합물은, 벨트컨베이어13에 의해 조립장치15의 호퍼16으로 들어가, 직경 6.4㎜, 길이 12.5㎜의 가는 원주형의 백색 반점의 조립물이 형성되었다.
조립된 커피추출액 추출잔류물 배합물의 조립물은, 네트컨베이어18에 의해, 분무장치19로 보내지고, 분무노즐22로부터 탄산칼슘 20g, 하이모주식회사제의 고흡수성 수지 하이모서브500(등록상표) 14g 및 폴리비닐알콜 1.5g의 피복물질이 분무되었다.
피복물질이 피착된 커피추출액 추출잔류물의 백색으로 착색된 조립물은, 네트컨베이어18에 의해, 원반건조기20으로 보내져 건조되었다. 건조된 커피추출액 추출잔류물의 백색 건조조립물 중 1㎜이상의 입경을 가진 것이 분리되어, 컨베이어36에 의해 운반되어, 주로 직경 5㎜, 길이 10㎜의 고양이 화장실용의 모래를 얻었다.
실내에서, 이 고양이의 화장실용 모래 100g에 35℃ 온도의 20배로 희석한 암모니아수 50ml를 가하였지만, 비상하게 흡수성 및 탈취성이 양호하여, 실내에 암모니아 냄새를 피우지 않았다.
또 이 고양이의 화장실용 모래는, 전체가 백색을 띠고 있어 청결해 보이고, 고양이의 화장실에 두께 3㎝로 깔아서 사용하였지만, 고양이는 보통과 마찬가지로 화장실로써 사용하고 있어, 사용상 하등의 지장이 없었다.
고양이가 배설 사용후, 이 고양이의 화장실용 모래는, 고양이가 배설한 부분에 대하여는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었다. 그 밖에도 탈취성이 뛰어나, 실내에 불쾌한 냄새가 발생하는 것을 피할 수 있었다.
[실시예 8]
함수율 60%의 커피추출액 추출잔류물 2,000g을, 커피추출액 추출잔류물 공급용의 원료탱크2에 넣고, 이어서 착색물질로써 탄산칼슘 200g을 착색재 공급용 원료탱크4에 넣고, 착색물질에 이어서, 배합물질로써 차찌꺼기 200g, 하이모주식회사제의 고흡수성 수지 하이모서브500(등록상표) 50g, 전분풀 500g을 배합물질 공급용 원료탱크6에 넣고, 이하 실시예 7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각반장치9에, 커피추출액 추출잔류물, 착색물질인 탄산칼슘 아울러 배합물질인 차찌꺼기, 고흡수성 수지 하이모서브500(등록상표) 및 전분풀을 넣어, 커피추출액 추출잔류물 배합물을 제조하고, 이를 조립장치로 보내 조립하여, 직경 6.4㎜, 길이 12.5㎜의 가는 원주형의 백색 반점의 조립물이 형성되었다.
조립된 커피추출액 추출잔류물 배합물의 조립물은, 네트컨베이어18에 의해, 분무장치19로 보내지고, 분무노즐22로부터 탄산칼슘 37g, 상기 하이모주식회사제의 고흡수성 수지 하이모서브500(등록상표) 13g 및 폴리비닐알콜 2.6g의 피복물질이 분무되었다.
피복물질이 피착된 커피추출액 추출잔류물의 백색으로 착색된 조립물은, 네트컨베이어18에 의해, 원반건조기20으로 보내져 건조되었다. 건조된 커피추출액 추출잔류물의 백색 건조조립물 중 1㎜이상의 입경을 가진 것이 분리되어, 컨베이어36에 의해 운반되어, 주로 직경 5㎜, 길이 10㎜의 고양이 화장실용의 모래를 얻었다.
실내에서, 이 고양이의 화장실용 모래 100g에 35℃ 온도의 20배로 희석한 암모니아수 50ml를 가하였지만, 비상하게 흡수성 및 탈취성이 양호하여, 실내에 암모니아 냄새를 피우지 않았다.
또 이 고양이의 화장실용 모래는, 전체가 백색을 띠고 있어 청결해 보이고, 고양이의 화장실에 두께 3㎝로 깔아서 사용하였지만, 고양이는 보통과 마찬가지로 화장실로써 사용하고 있어, 사용상 하등의 지장이 없었다.
고양이가 배설 사용후, 이 고양이의 화장실용 모래는, 고양이가 배설한 부분에 대하여는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었다. 그 밖에도 탈취성이 뛰어나, 실내에 불쾌한 냄새가 발생하는 것을 피할 수 있었다.
[실시예 9]
함수율 60%의 커피추출액 추출잔류물 2,250g을, 커피추출액 추출잔류물 공급용의 원료탱크2에 넣고, 이어서 착색물질로써 탄산칼슘 250g을 착색재 공급용 원료탱크4에 넣고, 착색물질에 이어서, 배합물질로써 차찌꺼기 100g, 전분풀 500g을 배합물질 공급용 원료탱크6에 넣고, 이하 실시예 7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각반장치9에, 커피추출액 추출잔류물, 착색물질인 탄산칼슘 아울러 배합물질인 차찌꺼기 및 전분풀을 넣어, 커피추출액 추출잔류물 배합물을 제조하고, 이를 조립장치로 보내 조립하여, 직경 6.4㎜, 길이 12.5㎜의 가는 원주형의 백색 반점의 조립물이 형성하였다.
조립된 커피추출액 추출잔류물 배합물의 조립물은, 네트컨베이어18에 의해, 분무장치19로 보내지고, 분무노즐22로부터 탄산칼슘 23g, 상기 고흡수성 수지 하이모서브500(등록상표) 16g 및 폴리비닐알콜 2g의 피복물질이 분무되었다.
피복물질이 피착된 커피추출액 추출잔류물의 백색으로 착색된 조립물은, 네트컨베이어18에 의해, 원반건조기20으로 보내져 건조되었다. 건조된 커피추출액 추출잔류물의 백색 건조조립물 중 1㎜이상의 입경을 가진 것이 분리되어, 컨베이어36에 의해 운반되어, 주로 직경 5㎜, 길이 10㎜의 고양이 화장실용의 모래를 얻었다.
실내에서, 이 고양이의 화장실용 모래 100g에 35℃ 온도의 20배로 희석한 암모니아수 50ml를 가하였지만, 비상하게 흡수성 및 탈취성이 양호하여, 실내에 암모니아 냄새를 피우지 않았다.
또 이 고양이의 화장실용 모래는, 전체가 백색을 띠고 있어 청결해 보이고, 고양이의 화장실에 두께 3㎝로 깔아서 사용하였지만, 고양이는 보통과 마찬가지로 화장실로써 사용하고 있어, 사용상 하등의 지장이 없었다.
고양이가 배설 사용후, 이 고양이의 화장실용 모래는, 고양이가 배설한 부분에 대하여는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었다. 그 밖에도 탈취성이 뛰어나, 실내에 불쾌한 냄새가 발생하는 것을 피할 수 있었다.
[실시예 10]
함수율 60%의 커피추출액 추출잔류물 2,675g을, 커피추출액 추출잔류물 공급용의 원료탱크2에 넣고, 이어서 착색물질로써 탄산칼슘 375g을 착색재 공급용 원료탱크4에 넣고, 착색물질에 이어서, 배합물질로써 차찌꺼기 750g, 폴리비닐알콜 75g, 하이모주식회사제의 고흡수성 수지 하이모서브500(등록상표) 80g, 소맥분 400g 및 안식향산 20g을 배합물질 공급용 원료탱크6에 넣고, 이하 실시예 7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각반장치9에, 커피추출액 추출잔류물, 착색물질인 탄산칼슘 아울러 배합물질의 차찌꺼기, 폴리비닐알콜, 고흡수성 수지 하이모서브500(등록상표), 소맥분 및 안식향산을 넣어, 커피추출액 추출잔류물 배합물을 제조하고, 이를 조립장치로 보내 조립하여, 직경 6.4㎜, 길이 12.5㎜의 가는 원주형의 조립물이 형성되었다.
조립된 커피추출액 추출잔류물 배합물의 조립물은, 네트컨베이어18에 의해, 제1 분무장치19로 보내지고, 제1분무노즐22로부터 탄산칼슘 30g, 상기 고흡수성 수지 하이모서브500(등록상표) 22g 및 폴리비닐알콜 2.7g의 피복용 혼합물질이 분무되었다. 다시 이어서 제2분무장치(도시되지 않음)로 보내지고, 제2분무노즐(도시되지 않음)로부터 탄산칼슘 40g, 상기 고흡수성 수지 하이모서브500(등록상표) 14g 및 폴리비닐알콜 2.9g의 피복용 혼합물질이 분무되었다.
피복용 혼합물질이 피착된 커피추출액 추출잔류물의 백색으로 착색된 조립물은, 네트컨베이어18에 의해, 원반건조기20으로 보내져 건조되었다. 건조된 커피추출액 추출잔류물의 백색 건조조립물 중 1㎜이상의 입경을 가진 것이 분리되어, 컨베이어36에 의해 운반되어, 주로 직경 5㎜, 길이 10㎜의 고양이 화장실용의 모래를 얻었다.
실내에서, 이 고양이의 화장실용 모래 100g에 35℃ 온도의 20배로 희석한 암모니아수 50ml를 가하였지만, 비상하게 흡수성 및 탈취성이 양호하여, 실내에 암모니아 냄새를 피우지 않았다.
또 이 고양이의 화장실용 모래는, 전체가 백색을 띠고 있어 청결해 보이고, 고양이의 화장실에 두께 3㎝로 깔아서 사용하였지만, 고양이는 보통과 마찬가지로 화장실로써 사용하고 있어, 사용상 하등의 지장이 없었다.
고양이가 배설 사용후, 이 고양이의 화장실용 모래는, 고양이가 배설한 부분에 대하여는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었다. 그 밖에도 탈취성이 뛰어나, 실내에 불쾌한 냄새가 발생하는 것을 피할 수 있었다.
실시예 7 내지 9에 나타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모두 한번의 분무에 의해 피복물질의 피착을 행하고 있지만, 이들의 사례에 있어서도, 두번 또는 다시 세번의 분무에 의해 피복물질의 피착을 행할 수 있다. 이 경우, 첫번째의 분무와 동일한 피복물질의 배합으로 다시한번 반복하여도 괜찮지만, 착색물질의 비율을 첫번째 분무의 경우보다 높여서 행함으로써, 착색효과를 높일 수 있다. 그러나 착색물질의 피착효과를 높일 경우에는, 첫번째 분무의 경우에 비해, 두번째 분무에 있어서의 접착성 물질의 비율을 높여서 행할 수 있다.
[실시예 11]
함수율 60%의 커피추출액 추출잔류물 2,675g을, 커피추출액 추출잔류물 공급용의 원료탱크2에 넣고, 이어서 착색물질로써 탄산칼슘 120g을 착색재 공급용 원료탱크4에 넣고, 착색물질에 이어서, 배합물질로써 차찌꺼기 150g, 폴리비닐알콜 15g, 콘스타치 180g, 하이모주식회사제의 고흡수성 수지 하이모서브500(등록상표) 60g, 지분 360g 및 안식향산 5g을 배합물질 공급용 원료탱크6에 넣고, 이하 실시예 7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각반장치9에, 커피추출액 추출잔류물, 착색물질인 탄산칼슘 아울러 배합물질인 차찌꺼기, 폴리비닐알콜, 고흡수성 수지 하이모서브500(등록상표), 지분 및 안식향산을 넣어, 커피추출액 추출잔류물 배합물을 제조하고, 이를 조립장치로 보내 조립하여, 직경 6.4㎜, 길이 12.5㎜의 가는 원주형의 백색 반점 조립물을 형성하였다.
조립된 커피추출액 추출잔류물 배합물의 조립물은, 네트컨베이어18에 의해, 제1분무장치19로 보내지고, 제1분무노즐22로부터 탄산칼슘 20g, 상기 고흡수성 수지 하이모서브500(등록상표) 15g 및 폴리비닐알콜 6g의 피복용 혼합물질이 분무되었다. 다시 이어서 제2분무장치(도시되지 않음)로 보내지고, 제2분무노즐(도시되지 않음)로부터 피복물질의 지분 66g이 분무되었다.
피복물질이 피착된 커피추출액 추출잔류물의 백색으로 착색된 조립물은, 네트컨베이어18에 의해, 원반건조기20으로 보내져 건조되었다. 건조된 커피추출액 추출잔류물의 백색 건조조립물 중 1㎜이상의 입경을 가진 것이 분리되어, 컨베이어36에 의해 운반되어, 주로 직경 5㎜, 길이 10㎜의 고양이 화장실용의 모래를 얻었다.
실내에서, 이 고양이의 화장실용 모래 100g에 35℃ 온도의 20배로 희석한 암모니아수 50ml를 가하였지만, 비상하게 흡수성 및 탈취성이 양호하여, 실내에 암모니아 냄새를 피우지 않았다.
또 이 고양이의 화장실용 모래는, 전체가 백색을 띠고 있어 청결해 보이고, 고양이의 화장실에 두께 3㎝로 깔아서 사용하였지만, 고양이는 보통과 마찬가지로 화장실로써 사용하고 있어, 사용상 하등의 지장이 없었다.
고양이가 배설 사용후, 이 고양이의 화장실용 모래는, 고양이가 배설한 부분에 대하여는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었다. 그 밖에도 탈취성이 뛰어나, 실내에 불쾌한 냄새가 발생하는 것을 피할 수 있었다.
[실시예 12]
함수율 60%의 커피추출액 추출잔류물 2,675g을, 커피추출액 추출잔류물 공급용의 원료탱크2에 넣고, 이어서 착색물질로써 탄산칼슘 360g을 착색재 공급용 원료탱크4에 넣고, 착색물질에 이어서, 배합물질로써 차찌꺼기 150g, 포발(POVAL, 폴리비닐알콜) 20g, 콘스타치 180g, 하이모주식회사제의 고흡수성 수지 하이모서브500(등록상표) 90g 및 안식향산 10g을 배합물질 공급용 원료탱크6에 넣고, 이하 실시예 7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각반장치9에, 커피추출액 추출잔류물, 착색물질인 탄산칼슘 아울러 배합물질인 차찌꺼기, 포발, 콘스타치, 고흡수성 수지 하이모서브500(등록상표) 및 안식향산을 넣어, 커피추출액 추출잔류물 배합물을 제조하고, 이를 조립장치로 보내 조립하여, 직경 6.4㎜, 길이 12.5㎜의 가는 원주형의 백색 반점의 조립물이 형성되었다.
조립된 커피추출액 추출잔류물 배합물의 조립물은, 네트컨베이어18에 의해, 제1분무장치19로 보내지고, 제1분무노즐22로부터 포발 및 지분의 피복용 혼합물질이 분무되었다. 다시 이어서 제2분무장치(도시되지 않음)로 보내지고, 제2분무노즐(도시되지 않음)로부터 피복물질의 지분이 분무되었다. 건조후, 본 실시예에 있어서, 요pH지시약의 BTB 1%용액을 도포하여 건조하였다.
피복물질이 피착된 커피추출액 추출잔류물의 백색으로 착색된 조립물은, 네트컨베이어18에 의해, 원반건조기20으로 보내져 건조되었다. 건조된 커피추출액 추출잔류물의 백색 건조조립물 중 1㎜이상의 입경을 가진 것이 분리되어, 컨베이어36에 의해 운반되어, 주로 직경 5㎜, 길이 10㎜의 고양이 화장실용의 모래를 얻었다.
실내에서, 이 고양이의 화장실용 모래 100g에 35℃ 온도의 20배로 희석한 암모니아수 50ml를 가하였지만, 비상하게 흡수성 및 탈취성이 양호하여, 실내에 암모니아 냄새를 피우지 않았다.
또 이 고양이의 화장실용 모래는, 전체가 백색을 띠고 있어 청결해 보이고, 고양이의 화장실에 두께 3㎝로 깔아서 사용하였지만, 고양이는 보통과 마찬가지로 화장실로써 사용하고 있어, 사용상 하등의 지장이 없었다.
고양이가 배설 사용후, 이 고양이의 화장실용 모래는, 고양이가 배설한 부분에 대하여는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었다. 그 밖에도 탈취성이 뛰어나, 실내에 불쾌한 냄새가 발생하는 것을 피할 수 있었다.
[실시예 13]
함수율 55%의 커피추출액 추출잔류물 32.5kg 및 물 15kg을, 커피추출액 추출잔류물 공급용의 원료탱크2에 넣고, 이어서 착색물질로써 기저귀 및 냅킨 폐재의 지분 10kg을 착색재 공급용 원료탱크4에 넣고, 착색물질에 이어서, 배합물질로써 하이모주식회사제의 고흡수성 수지 하이모500(등록상표) 1.5kg 및 안식향산 2.5g을 배합물질 공급용 원료탱크6에 넣고, 이하 실시예 7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각반장치9에, 함수된 커피추출액 추출잔류물, 착색물질인 지분 아울러 배합물질인 고흡수성 수지 하이모서브500(등록상표) 및 안식향산을 넣어, 커피추출액 추출잔류물 배합물을 제조하고, 이를 구경 6.0㎜, 플레이트 두께 30㎜의 미트 쵸퍼로 보내 조립하여, 작은 원주상의 백색 반점의 조립물이 형성되었다.
조립된 커피추출액 추출잔류물 배합물의 조립물은, 네트컨베이어18에 의해, 제1분무장치19로 보내지고, 제1분무노즐22로부터 중량비 3%의 파우더에 가까운 분말지분이 분무되었다(표면 지분의 부착중량비 3~5%). 분말지분이 분무된 조립물은, 스크린장치에서 여분의 부착물이 분리되고, 이어서 1%~10%의 폴리비닐알콜의 희석용액이 분무되었다(표면 지분의 부착중량비 3~5%). 폴리비닐알콜이 분무된 조립물은, 계속되는 제2분무장치(도시되지 않음)로 보내지고, 제2분무노즐(도시되지 않음)로부터 중량비 5%의 파우더에 가까운 분말지분이 분무되었다. 두번째의 분말지분이 분무된 조립물은, 스크린장치에서 여분의 부착물을 분리하고, 이어서 0.1%~0.02%의 폴리비닐알콜의 희석용액이 분무되고, 이어서 열풍건조기로 보내어, 100℃의 온도에서 40 내지 50분간, 열풍건조되어 수분 5~7%로 건조되었다. 건조된 커피추출액 추출잔류물의 백색으로 착색된 조립물은, 1㎜이상의 입경을 가진 것이 분리되어, 컨베이어36에 의해 운반되어, 주로 직경 6㎜, 길이 7㎜의 고양이 화장실용의 모래 30.5kg를 얻었다.
실내에서, 이 고양이의 화장실용 모래 50g은, 실온에서 인공뇨 130g을 흡수하여, 비상하게 흡수성 및 탈취성이 양호하여, 실내에 암모니아 냄새를 피우지 않았다.
또 이 고양이의 화장실용 모래는, 전체가 백색을 띠고 있어 청결해 보이고, 고양이의 화장실에 두께 3㎝로 깔아서 사용하였지만, 고양이는 보통과 마찬가지로 화장실로써 사용하고 있어, 사용상 하등의 지장이 없었다.
고양이가 배설 사용후, 이 고양이의 화장실용 모래는, 고양이가 배설한 부분에 대하여는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었다. 그 밖에도 탈취성이 뛰어나, 실내에 불쾌한 냄새가 발생하는 것을 피할 수 있었다.
[실시예 14]
함수율 60%의 커피추출액 추출잔류물 32.5kg 및 물 15kg을, 커피추출액 추출잔류물 공급용의 원료탱크2에 넣고, 이어서 착색물질로써 기저귀 및 냅킨 폐재의 지분 10kg을 착색재 공급용 원료탱크4에 넣고, 착색물질에 이어서, 배합물질로써 하이모주식회사제의 고흡수성 수지 하이모500(등록상표) 1kg, 소맥분 2.5kg 및 안식향산 2.5g을 배합물질 공급용 원료탱크6에 넣고, 이하 실시예 7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각반장치9에, 함수된 커피추출액 추출잔류물, 착색물질인 지분 아울러 배합물질의 고흡수성 수지 하이모서브500(등록상표), 소맥분 및 안식향산을 넣어, 커피추출액 추출잔류물 배합물을 제조하고, 이를 구경 6.0㎜, 플레이트 두께 30㎜의 미트쵸퍼로 보내 조립하여, 작은 원주상의 백색 반점의 조립물이 형성되었다.
조립된 커피추출액 추출잔류물 배합물의 조립물은, 네트컨베이어18에 의해, 제1분무장치19로 보내지고, 제1분무노즐22로부터 중량비 3~5%의 지분이 분무되었다(표면 지분의 부착중량비 3~5%). 지분이 분무된 조립물은, 스크린장치에서 여분의 부착물이 분리되고, 이어서 1%~10%의 폴리비닐알콜의 희석용액이 분무되었다. 폴리비닐알콜이 분무된 조립물은, 계속되는 제2분무장치(도시되지 않음)로 보내지고, 제2분무노즐(도시되지 않음)로부터 중량비 3~5%의 지분이 분무되었다(표면지분의 부착중량비 3~5%). 두번째의 지분이 분무된 조립물은, 스크린장치에서 여분의 부착물을 분리하고, 이어서 0.1%~0.002%의 폴리비닐알콜의 희석용액이 분무되고, 이어서 열풍건조기로 보내어, 100℃의 온도에서 40 내지 50분간, 열풍건조되어 수분 5~7%로 건조되었다. 건조된 커피추출액 추출잔류물의 백색으로 착색된 조립물은, 1㎜이상의 입경을 가진 것이 분리되어, 컨베이어36에 의해 운반되어, 주로 직경 6㎜, 길이 7㎜의 고양이 화장실용의 모래 32.5kg를 얻었다.
실내에서, 이 고양이의 화장실용 모래 50g은, 실온에서 인공뇨 115g을 흡수하여, 비상하게 흡수성 및 탈취성이 양호하여, 실내에 암모니아 냄새를 피우지 않았다.
또 이 고양이의 화장실용 모래는, 전체가 백색을 띠고 있어 청결해 보이고, 고양이의 화장실에 두께 3㎝로 깔아서 사용하였지만, 고양이는 보통과 마찬가지로 화장실로써 사용하고 있어, 사용상 하등의 지장이 없었다.
고양이가 배설 사용후, 이 고양이의 화장실용 모래는, 고양이가 배설한 부분에 대하여는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었다. 그 밖에도 탈취성이 뛰어나, 실내에 불쾌한 냄새가 발생하는 것을 피할 수 있었다.
[실시예 15]
함수율 55%의 커피추출액 추출잔류물 35kg 및 물 15kg을, 커피추출액 추출잔류물 공급용의 원료탱크2에 넣고, 이어서 배합물질로써 기저귀 및 냅킨 폐재의 지분 5kg, 하이모주식회사제의 고흡수성 수지 하이모서브500(등록상표) 3kg 및 안식향산 10g을 배합물질 공급용 원료탱크6에 넣고, 이하 실시예 7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각반장치9에, 함수된 커피추출액 추출잔류물, 배합물질의 비트당 지게미, 고흡수성 수지 하이모서브500(등록상표) 및 안식향산을 넣어, 커피추출액 추출잔류물 배합물을 배합물을 제조하고, 이를 구경 6.0㎜, 플레이트 두께 30㎜의 미트 쵸퍼로 보내 조립하여, 작은 원주상의 백색 반점의 조립물이 형성되었다.
조립된 커피추출액 추출잔류물 배합물의 조립물은, 네트컨베이어18에 의해, 제1분무장치19로 보내지고, 제1분무노즐22로부터 중량비 3%의 지분이 분무되었다(표면 지분의 부착중량비 3~5%). 지분이 분무된 조립물은, 스크린장치에서 여분의 부착물이 분리되고, 이어서 1%~10% 농도의 폴리비닐알콜의 희석용액이 분무되었다. 폴리비닐알콜 희석용액이 분무된 조립물은, 계속되는 제2분무장치(도시되지 않음)로 보내지고, 제2분무노즐(도시되지 않음)로부터 중량비 5%의 지분이 분무되었다(표면지분의 부착중량비 3~5%). 두번째의 지분이 분무된 조립물은, 스크린장치에서 여분의 부착물을 분리하고, 이어서 0.1%~0.002% 농도의 폴리비닐알콜의 희석용액이 분무되고, 이어서 열풍건조기로 보내어, 100℃의 온도에서 40 내지 50분간, 열풍건조되어 수분 5~7%로 건조되었다. 건조된 커피추출액 추출잔류물의 백색으로 착색된 조립물은, 1㎜이상의 입경을 가진 것이 분리되어, 컨베이어36에 의해 끄집어내어, 주로 직경 6㎜, 길이 7㎜의 고양이 화장실용의 모래 30kg를 얻었다.
실내에서, 이 고양이의 화장실용 모래 50g은, 실온에서 인공뇨 150g을 흡수하여, 비상하게 흡수성 및 탈취성이 양호하여, 실내에 암모니아 냄새를 피우지 않았다.
또 이 고양이의 화장실용 모래는, 전체가 백색을 띠고 있어 청결해 보이고, 고양이의 화장실에 두께 3㎝로 깔아서 사용하였지만, 고양이는 보통과 마찬가지로 화장실로써 사용하고 있어, 사용상 하등의 지장이 없었다.
고양이가 배설 사용후, 이 고양이의 화장실용 모래는, 고양이가 배설한 부분에 대하여는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었다. 그 밖에도 탈취성이 뛰어나, 실내에 불쾌한 냄새가 발생하는 것을 피할 수 있었다.
[실시예 16]
함수율 65%의 커피추출액 추출잔류물 17.5kg 및 물 3.6kg을, 커피추출액 추출잔류물 공급용의 원료탱크2에 넣고, 이어서 착색물질로써 지분 5kg을 착색재 공급용 원료탱크4에 넣고, 착색물질에 이어서, 배합물질로써 하이모주식회사제의 고흡수성 수지 하이모500(등록상표) 1kg을 배합물질 공급용 원료탱크6에 넣고, 이하 실시예 7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각반장치9에, 함수된 커피추출액 추출잔류물, 착색물질인 지분 아울러 배합물질인 고흡수성 수지 하이모서브500(등록상표)을 넣어, 커피추출액 추출잔류물을 제조하고, 이를 구경 6.0㎜의 미트 쵸퍼로 보내 조립하여, 작은 원주상의 백색 반점의 조립물이 형성되었다.
조립된 커피추출액 추출잔류물 배합물의 조립물은, 네트컨베이어18에 의해, 제1분무장치19로 보내지고, 제1분무노즐22로부터 입경 0.5㎜이하의 지분이 분무되었다. 지분이 분무된 조립물은, 스크린장치에서 여분의 부착물이 분리되고, 이어서 폴리비닐알콜의 희석용액이 분무되었다. 폴리비닐알콜 희석용액이 분무된 조립물은, 계속되는 제2분무장치(도시되지 않음)로 보내지고, 제2분무노즐(도시되지 않음)로부터 입경 0.3㎜이하의 지분 90중량% 및 하이모주식회사제의 고흡수성 수지하이모서브500(등록상표) 10중량%의 혼합물이 분무되었다. 두번째의 지분이 분무된 조립물은, 스크린 장치에서 여분의 부착물을 분리하고, 이어서 폴리비닐알콜의 희석용액이 분무되었다. 두번째의 폴리비닐알콜 희석용액이 분무된 조립물은, 계속되는 제3분무장치(도시되지 않음)로 보내지고, 제3분무노즐(도시되지 않음)로부터 입경 0.1㎜이하의 지분 85중량% 및 하이모주식회사제의 고흡수성 수지 하이모서브500(등록상표) 5중량% 및 CMC 10중량%의 혼합물이 분무되었다. 세번째의 지분이 분무된 조립물은, 스크린 장치에서 여분의 부착물을 분리하고, 이어서 폴리비닐알콜의 희석용액이 분무되고, 이어서 열풍건조기로 보내어, 100℃의 온도에서 40내지 50분간, 열풍건조되어 수분 9%로 건조되었다. 건조된 커피추출액 추출잔류물의 백색으로 착색된 조립물은, 1㎜이상의 입경을 가진 것이 분리되어, 컨베이어36에 의해 운반되어, 주로 직경 8㎜, 길이 10㎜의 고양이 화장실용의 모래를 얻었다.
실내에서, 이 고양이의 화장실용 모래 300g은, 35℃에서 암모니아 함유의 식염희석용액 600g을 흡수하여, 비상하게 흡수성 및 탈취성이 양호하여, 실내에 암모니아 냄새를 피우지 않았다.
또 이 고양이의 화장실용 모래는, 전체가 백색을 띠고 있어 청결해 보이고, 고양이의 화장실에 두께 3㎝로 깔아서 사용하였지만, 고양이는 보통과 마찬가지로 화장실로써 사용하고 있어, 사용상 하등의 지장이 없었다.
고양이가 배설 사용후, 이 고양이의 화장실용 모래는, 고양이가 배설한 부분에 대하여는, 표면에 첨가된 지분의 입자가 미세한 분말이기 때문에, 다소 유실(流失) 하지만, 이 유실에 의해 CMC 및 고흡수성 수지가 작용하여 배설물 처리재의 입자상호가 결합하여 고정되기 때문에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었다. 그 밖에도 탈취성이 뛰어나, 실내에 불쾌한 냄새가 발생하는 것을 피할 수 있었다.
[실시예 17]
함수율 60%의 커피추출액 추출잔류물 15kg 및 물 1.5kg을, 커피추출액 추출잔류물 공급용의 원료탱크2에 넣고, 이어서 착색물질로써 지분 6kg을 착색재 공급용 원료탱크4에 넣고, 착색물질에 이어서, 배합물질로써 하이모주식회사제의 고흡수성 수지 하이모500(등록상표) 1kg, 함수율 80%의 차찌꺼기 5kg 및 안식향산 10g을 배합물질 공급용 원료탱크6에 넣고, 이하 실시예 7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각반장치9에, 함수된 커피추출액 추출잔류물, 착색물질인 지분 아울러 배합물질의 고흡수성 수지 하이모서브500(등록상표), 차찌꺼기 및 안식향산을 넣어, 커피추출액 추출잔류물 배합물을 제조하고, 이를 구경 6.0㎜의 미트 쵸퍼로 보내 조립하여, 작은 원주상의 백색 반점 조립물을 형성하였다.
조립된 커피추출액 추출잔류물 배합물의 조립물은, 네트컨베이어18에 의해, 제1분무장치19로 보내지고, 제1분무노즐22로부터 입경 0.5㎜이하의 지분이 분무되었다. 지분이 분무된 조립물은, 스크린장치에서 여분의 부착물이 분리되고, 이어서 물이 분무되었다. 물이 분무된 조립물은, 계속되는 제2분무장치(도시되지 않음)로 보내지고, 제2분무노즐(도시되지 않음)로부터 입경 0.3㎜이하의 지분 90중량% 및 하이모주식회사제의 고흡수성 수지 하이모서브500(등록상표) 10중량%의 혼합물이 분무되었다. 두번째의 지분이 분무된 조립물은, 스크린장치에서 여분의 부착물을 분리하고, 이어서 물이 분무되었다. 두번째의 물이 분무된 조립물은, 계속되는 제3분무장치(도시되지 않음)로 보내지고, 제3분무노즐(도시되지 않음)로부터 입경 0.1㎜이하의 지분 85중량%, 하이모주식회사제의 고흡수성 수지 하이모서브500(등록상표) 5중량% 및 CMC 10중량%의 혼합물이 분무되었다. 세번째의 지분이 분무된 조립물은, 스크린장치에서 여분의 부착물을 분리하고, 이어서 폴리비닐알콜의 희석용액이 분무되고, 이어서 열풍건조기로 보내어, 100℃의 온도에서 40 내지 50분간, 열풍건조되어 수분 9%로 건조되었다. 건조된 커피추출액 추출잔류물의 백색으로 착색된 조립물은, 1㎜이상의 입경을 가진 것이 분리되어, 컨베이어36에 의해 운반되어, 주로 직경 8㎜, 길이 10㎜의 고양이 화장실용의 모래를 얻었다.
실내에서, 이 고양이의 화장실용 모래 300g은, 35℃에서 암모니아 함유의 식염희석용액 600g을 흡수하여, 비상하게 흡수성 및 탈취성이 양호하여, 실내에 암모니아 냄새를 피우지 않았다.
또 이 고양이의 화장실용 모래는, 전체가 백색을 띠고 있어 청결해 보이고, 고양이의 화장실에 두께 3㎝로 깔아서 사용하였지만, 고양이는 보통과 마찬가지로 화장실로써 사용하고 있어, 사용상 하등의 지장이 없었다.
고양이가 배설 사용후, 이 고양이의 화장실용 모래는, 고양이가 배설한 부분에 대하여는, 표면이 점착하지 않은 채 쉽게 균일한 상태로 고정되어 블럭화하여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었다. 그 밖에도 탈취성이 뛰어나, 실내에 불쾌한 냄새가 발생하는 것을 피할 수 있었다.
[실시예 18]
함수율 60%의 커피추출액 추출잔류물 15kg 및 물 3kg을, 커피추출액 추출잔류물 공급용의 원료탱크2에 넣고, 이어서 착색물질로써 지분 5kg을 착색제 공급용 원료탱크4에 넣고, 착색물질에 이어서, 배합물질로써 하이모주식회사제의 고흡수성 수지 하이모500(등록상표) 1kg 및 백삼목(일본 삼목)의 톱밥 5kg을 배합물질 공급용 원료탱크6에 넣고, 이하 실시예 7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각반장치9에, 함수된 커피추출액 추출잔류물, 착색물질인 지분 아울러 배합물질의 고흡수성 수지 하이모서브500(등록상표) 및 톱밥을 넣어, 커피추출액 추출잔류물 배합물을 제조하고, 이를 구경 6.0㎜의 미트 쵸퍼로 보내 조립하여, 작은 원주상의 백색 반점 조립물이 형성하였다.
조립된 커피추출액 추출잔류물 배합물의 조립물은, 네트컨베이어18에 의해, 제1분무장치19로 보내지고, 제1분무노즐22로부터 입경 0.5㎜이하의 지분이 분무되었다. 지분이 분무된 조립물은, 스크린장치에서 여분의 부착물이 분리되고, 이어서 물이 분무되었다. 물이 분무된 조립물은, 계속되는 제2분무노즐(도시되지 않음)로 보내지고, 제2분무노즐(도시되지 않음)부터 입경 0.3㎜이하의 지분 90중량% 및 하이모주식회사제의 고흡수성 수지 하이모서브500(등록상표) 10중량%의 혼합물이 분무되었다. 두번째의 지분이 분무된 조립물은, 스크린장치에서 여분의 부착물을 분리하고, 이어서 물이 분무되었다. 두번째의 물이 분무된 조립물은, 계속되는 제3분무장치(도시되지 않음)로 보내지고, 제3분무노즐(도시되지 않음)로부터 입경 0.1㎜이하의 지분 85중량%, 하이모주식회사제의 고흡수성 수지 하이모서브500(등록상표) 5중량% 및 CMC 10중량%의 혼합물이 분무되었다. 세번째의 지분이 분무된 조립물은, 스크린장치에서 여분의 부착물을 분리하고, 이어서 폴리비닐알콜의 희석용액이 분무되고, 이어서 열풍건조기로 보내어, 100℃의 온도에서 40 내지 50분간, 열풍건조되어 수분 9%로 건조되었다. 건조된 커피추출액 추출잔류물의 백색으로 착색된 조립물은, 1㎜이상의 입경을 가진 것이 분리되어, 컨베이어36에 의해 운반되어, 주로 직경 8㎜, 길이 10㎜의 고양이 화장실용의 모래를 얻었다.
실내에서, 이 고양이의 화장실용 모래 300g은, 35℃에서 암모니아 함유의 식염 희석용액 600g을 흡수하여, 비상하게 흡수성 및 탈취성이 양호하여, 실내에 암모니아 냄새를 피우지 않았다.
또 이 고양이의 화장실용 모래는, 전체가 백색을 띠고 있어 청결해 보이고, 고양이의 화장실에 두께 3㎝로 깔아서 사용하였지만, 고양이는 보통과 마찬가지로 화장실로써 사용하고 있어, 사용상 하등의 지장이 없었다.
고양이가 배설 사용후, 이 고양이의 화장실용 모래는, 고양이가 배설한 부분에 대하여는, 표면이 점착하지 않은 채 쉽게 균일한 상태로 고정되어 블럭화하여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었다. 그 밖에도 탈취성이 뛰어나, 실내에 불쾌한 냄새가 발생하는 것을 피할 수 있었다.
이상의 실시예는, 백색의 착색물질을 중심으로 되어 있지만, 원래의 백색물질 대신 백색이외의 착색물질을 단독 또는 적의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산업상의 이용가능성]
본 발명은, 동물의 배설물처리재는 볶은 커피콩의 커피추출액 추출잔류물을 주로 함유하고, 1㎜이상의 입경의 입자로 성형되므로, 폐기물로 버려졌던 당해 커피추출액 추출물질을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게 되고, 또 원료로써 사용되는 당해 커피추출액 추출잔류물은 가연물이므로, 사용후의 배설물처리재는 가연성 폐기물로써 용이하게 소각처리할 수 있게 되어, 종래의 배설물처리에 비해 폐기물처리가 용이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동물의 배설물처리재는, 표면이 착색물질로 착색되어 있는 볶은 커피콩의 커피추출액 추출잔류물의 건조입자를 함유하고 있으므로, 종래의 동물의 배설물처리재에 비해, 사용장소의 색조에 맞춰 여러 색조, 즉 적의의 색채를 가진 배설물처리재를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위생적인 분위기는 물론 실내 색채의 조화를 유지할 수 있다.
그밖에도 커피추출액 추출잔류물은, 그 자체가 흡수능을 가지므로, 종래의 동물의 배설물처리재에 비해 검뇨용지시약의 사용이 용이하게 되어, 동물의 건강상태를 파악하기가 쉬워졌다.
본 발명은, 종래 폐물로써 그 처리가 문제되고 있던 커피추출액 추출잔류물, 차찌꺼기 즉 차 내린 찌꺼기, 톱밥 및 비트당의 지게미 등을, 동물의 배설물처리재로써 유효하게 이용하는 것이고, 그밖에도 주로 가연물로 구성하므로 폐기처리가 용이하다.
본 발명은, 볶은 커피콩의 추출잔류물, 즉 커피추출액 추출잔류물의 건조물 입자의 표면에 착색물을 부착시켜, 동물의 배설물처리재로 하므로, 폐기물로 버려졌던 커피추출액 추출잔류물에 비해 착색제의 사용은 소량이고, 사용후의 배설물처리재는, 가연성폐기물로써 용이하게 소각처리할 수 있게 되어 종래의 배설물처리재에 비해 폐기물처리가 용이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종래의 동물의 폐기물처리재에 비해, 커피추출액 추출잔류물 및 차 내린 찌꺼기의 폐기에 관한 문제점과, 종래의 사용후의 동물 배설물 처리재의 비가연성에 관한 폐기처리의 문제점을 한꺼번에 해결하는 것이고, 자원의 유효이용, 커피음료 및 차의 제조상의 비용의 경감 및 환경폐기물의 처리의 경감등의 점에서 의의가 있는 것이다.

Claims (29)

  1. 볶은 커피콩의 커피추출액 추출잔류물을 주로 함유하고, 1㎜이상의 입경을 가지는 건조조립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의 배설물처리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조립물이, 볶은 커피콩의 커피추출액 추출잔류물보다 적은 양의 배합물질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의 배설물처리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조립물이, 볶은 커피콩의 커피추출액 추출잔여물보다 각각 적은 양의 배합물질 및 살균작용을 가지는 물질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의 배설물처리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조립물이, 볶은 커피콩의 커피추출액 추출잔류물보다 각각 적은 양의 배합물질, 살균작용을 가지는 물질 및 착색자료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의 배설물처리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조립물이, 볶은 커피콩의 커피추출액 추출잔류물을 30중량% 이상의 양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의 배설물처리재.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조립물이, 볶은 커피콩의 커피추출액 추출잔여물을 50중량% 이상의 양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의 배설물처리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조립물의 수분함유량이 10중량%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의 배설물처리재.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배합물질의 함유량이 10중량%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의 배설물처리재.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배합물질이, 지분, 나무 부스러기, 톱밥, 비트당의 지게미, 감귤과피, 제지용퍼프, 활성탄 함유 펄프폐물, 차찌꺼기, 펄프슬럿지, 제지슬럿지, 폴리비닐알콜, 소맥분, 비지, 콘스타치,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젤라틴, 고흡수성 수지, 비니에스테르, 전분,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벤토나이트 또는 지오라이트 혹은 이들 2종이상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의 배설물처리재.
  10. 제3항에 있어서, 상기의 살균작용을 가지는 물질이, 살균제, 곰팡이 방지제 및/또는 방부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의 배설물처리재.
  11.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작용을 가지는 물질이, 안식향산 혹은 그의 염, 솔빈산 혹은 그의 염, 프로피온산칼슘, 히노키티올, 치아염소산나트륨 또는 식염 혹은 이들 2종이상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의 배설물처리재.
  12. 볶은 커피콩의 커피추출액 추출잔류물을 주로 함유하고, 1㎜이상의 입경을 가지고, 표면의 적어도 그 일부가 착색물질로 피복되어 있는 착색된 건조조립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의 배설물처리재.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의 착색된 건조조립물이, 볶은 커피콩의 커피추출액 추출잔류물 및 당해 추출잔류물보다 적은 양의 배합물질을 함유하는 핵심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의 배설물처리재.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의 착색된 건조조립물이, 볶은 커피콩의 커피추출액 추출잔류물 및 당해 추출잔류물보다, 각각 적은 양의 배합물질 및 살균작용을 가지는 물질을 함유하는 핵심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의 배설물처리재.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의 착색된 건조조립물이, 볶은 커피콩의 커피추출액 추출잔류물 및 당해 추출잔류물보다, 각각 적은 양의 배합물질, 살균작용을 가지는 물질 및 착색물질을 함유하는 핵심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의 배설물처리재.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착색물질이, 지분, 탄산칼슘, 산화티탄 및 합성펄, 카본, 에리오크롬-블랙 T, 아미노-블랙 10B, 클로라졸-블랙 BH, 퀴놀린블루, 시아닌블루, 아조블루, 페이턴트블루, 퀴놀린그린 및 에메랄드그린이 있고, 아조옐로우, 액시드옐로우 및 한사옐로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의 배설물처리재.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의 착색된 건조조립물이, 볶은 커피콩의 커피추출액 추출잔류물을 30중량% 이상의 양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의 배설물처리재.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의 착색된 건조조립물이, 볶은 커피콩의 커피추출액 추출잔류물을 50중량%이상의 양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의 배설물처리재.
  19. 제12항에 있어서, 상기의 착색된 건조조립물의 수분함유량이 10중량%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의 배설물처리재.
  20. 제12항에 있어서, 상기의 착색된 건조조립물이, 배합물질 10중량% 이하의 양으로 함유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의 배설물처리재.
  21. 제12항에 있어서, 상기의 배합물질이, 지분, 나무 부스러기, 톱밥, 비트당의 지게미, 감귤과 피, 제지용 펄프, 활성탄 함유 펄프폐물, 차찌꺼기, 펄프슬럿지, 제지슬럿지, 폴리비닐알콜, 소맥분, 비지, 콘스타치,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젤라틴, 고흡수성수지, 비닐에스테르, 전분, 벤토나이트 또는 지오라이트 혹은 이들 2종이상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의 배설물처리재.
  22. 제13항에 있어서, 상기의 살균작용을 가지는 물질이, 살균제, 곰팡이 방지제 및/또는 방부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의 배설물처리재.
  23. 제13항에 있어서, 상기의 살균작용을 가지는 물질이, 안식향산 혹은 그의 염, 솔빈산 혹은 그의 염, 폴로피온산칼슘, 히노키티올, 차이염소나트륨 또는 식염 혹은 이들 2종 이상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의 배설물처리재.
  24. 볶은 커피콩의 커피추출액 추출잔류물에, 당해 커피추출액 추출잔류물보다 적은 양의 배합물질을 배합, 조립하여, 상기 커피추출액 추출잔류물을 주로 함유하는 조립물을 형성하고, 당해 조립물의 수분이 10중량% 이하가 될때까지 당해 조립물을 건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의 배설물처리재의 제조방법.
  25. 볶은 커피콩의 커피추출액 추출잔류물에, 당해 커피추출액 추출잔류물보다 각각 적은 양의 배합물질 및 살균작용을 가지는 물질을 배합, 조립하여, 상기 커피추출액 추출잔류물을 주로 함유하는 조립물을 형성하고, 당해 조립물의 수분이 10중량% 이하가 될 때까지 당해 조립물을 건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의 배설물처리재의 제조방법.
  26. 볶은 커피콩의 커피추출액 추출잔류물에, 당해 커피추출액 추출잔류물보다 각각 적은 양의 배합물질, 살균작용을 가지는 물질 및 착색물질을 배합, 조립하여, 상기 추출잔류물을 주로 함유하는 조립물을 형성하고, 당해 조립물의 수분이 10중량% 이하가 될 때까지 당해 조립물을 건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의 배설물처리재의 제조방법.
  27. 볶은 커피콩의 커피추출액 추출잔류물에, 당해 커피추출액 추출잔류물보다 적은 양의 배합물질을 배합, 조리하여, 상기 커피추출액 추출잔류물을 주로 함유하는 조립물을 형성하고, 당해 형성된 조립물의 표면에 착색물질을 당해 조립물의 수분이 10중량% 이하가 될 때까지 당해 조립물을 건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의 배설물처리의 제조방법.
  28. 볶은 커피콩이 커피추출액 추출잔류물에, 당해 커피추출액 추출잔류물보다 각각 적은 양의 배합물질 및 살균작용을 가지는 물질을 배합, 조립하여, 상기 커피추출액 추출잔류물을 주로 함유하는 조립물을 형성하고, 당해 형성된 조립물의 표면에 착색물질을 부착시켜, 건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의 배설물처리재의 제조방법.
  29. 볶은 커피콩의 커피추출액 추출잔류물에, 당해 커피추출액 추출잔류물보다 각각 적은 양의 배합물질, 살균작용을 가지는 물질 및 착색물질을 배합, 조립하여, 상기 커피추출액 추출잔류물을 주로 함유하는 조립물을 형성하고, 당해 형성된 조립물의 표면에 착색물질을 부착시켜, 건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의 배설물처리재의 제조방법.
KR1019930702925A 1992-01-31 1993-02-01 동물의 배설물 처리재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24152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4204692 1992-01-31
JP11204092 1992-03-19
JP4-112040 1992-05-01
JP4-42046 1992-05-01
JP4-157205 1992-05-01
JP04157205 1992-05-01
PCT/JP1993/000114 WO1993014626A1 (fr) 1992-01-31 1993-02-01 Materiau de traitement d'excrements d'animaux et son procede de produc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41525B1 true KR100241525B1 (ko) 2000-03-02

Family

ID=272910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702925A KR100241525B1 (ko) 1992-01-31 1993-02-01 동물의 배설물 처리재 및 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5526771A (ko)
EP (1) EP0596128B1 (ko)
KR (1) KR100241525B1 (ko)
CA (1) CA2107339C (ko)
DE (1) DE69312631T2 (ko)
WO (1) WO1993014626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1750B1 (ko) * 1999-03-19 2003-02-11 가부시키가이샤 미리옹 애완동물용배설물처리재
KR101120095B1 (ko) * 2008-12-30 2012-06-27 대한민국 돈분악취 저감방법
KR102242680B1 (ko) * 2020-07-01 2021-04-21 사회적협동조합 마을살림공작소 동물용 모래 및 이를 제조하는 제조 방법
KR102274193B1 (ko) * 2020-10-06 2021-07-08 정유진 벤토나이트를 함유한 고양이 모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고양이 모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680782A1 (en) * 1994-05-06 1995-11-08 Coöperatie Suiker Unie U.A. Absorbent material comprising dried vegetable pulp and its use for treating organic waste
JP2534031B2 (ja) 1994-12-29 1996-09-11 ペパーレット株式会社 動物用排尿処理材
CA2280846C (en) * 1997-12-12 2011-03-15 Grain Processing Corporation Animal litter, process for preparing animal litter, and method for removal of animal waste
FR2790360B1 (fr) * 1999-03-04 2001-05-25 Jean Pierre Bonnet Litiere pour petits animaux domestiques composee de coquilles broyees de fruits secs
US7595428B2 (en) * 2000-11-22 2009-09-29 Nippon Shokubai Co., Ltd. Water-absorbing agent composition and method for production thereof, absorptive article and absorbing material
US6568349B1 (en) * 2000-11-22 2003-05-27 Pet Care Systems, Inc. Ground grain animal litter
KR100393267B1 (ko) * 2001-02-15 2003-07-31 에코그린텍 (주) 축산폐수 정화처리를 위한 흡착제 및 이를 이용한 계단형폐수처리 시스템
US6860232B2 (en) * 2001-07-03 2005-03-01 James H. Keithly Commercial poultry litter enhancement with citrus sources
US6523496B1 (en) 2001-07-03 2003-02-25 James H. Keithly Dried citrus peel use in commercial poultry litter
AU2002346388A1 (en) * 2001-10-16 2003-04-28 The Iams Company Absorbent component and use as pet litter
US7343874B2 (en) * 2002-08-07 2008-03-18 The Clorox Company Silica gel based animal litter
US7316201B2 (en) * 2002-12-13 2008-01-08 Cycle Group Limited Of Delaware Non-clumping animal litter granules
US7124710B2 (en) * 2004-01-26 2006-10-24 Planetwise Products, Inc. Clumping animal litter and method for making same
US7331309B2 (en) * 2005-02-01 2008-02-19 Nature's Earth Products, Inc. Clumping animal litter composition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US20060213448A1 (en) * 2005-03-24 2006-09-28 Yoichi Yasukawa Disposal material for animal excretions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US20070017453A1 (en) * 2005-07-25 2007-01-25 Fritter Charles F Animal litter containing activated carbon
US8916638B2 (en) * 2006-03-02 2014-12-23 Case Western Reserve University Clay aerogel-based polymer composites, materials and methods
US20090126642A1 (en) * 2007-11-16 2009-05-21 Schoccia, Inc. Litter box enclosure
JP5183166B2 (ja) * 2007-11-22 2013-04-17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動物用トイレ砂
WO2010144802A1 (en) 2009-06-11 2010-12-16 Case Western Reserve University Low density hydrophobic material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WO2010144807A2 (en) 2009-06-11 2010-12-16 Case Western Reserve University Porous material having controlled voids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WO2012135263A2 (en) * 2011-03-29 2012-10-04 David Nowacek Animal bedding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8734768B2 (en) 2011-05-09 2014-05-27 Grain Processing Corporation Animal litter, process for preparing animal litter, and method for removal of animal waste
US9288964B2 (en) 2012-02-20 2016-03-22 Kent Pet Group, Inc. Animal litter, process for preparing animal litter and method of removal of animal waste
US8950360B2 (en) 2012-02-20 2015-02-10 Kent Pet Group, Inc. Odor-absorbing materials and processes for their preparation and use
US9232767B2 (en) 2012-02-20 2016-01-12 Kent Pet Group, Inc. Animal litter, process for preparing animal litter and method of removal of animal waste
US9232765B2 (en) 2012-02-20 2016-01-12 Kent Pet Group, Inc. Animal litter, process for preparing animal litter and method of removal of animal waste
KR102172807B1 (ko) * 2020-01-28 2020-11-02 권순우 커피 찌꺼기를 사용한 고양이 모래 제조용 조성물, 고양이 모래, 및 고양이 모래의 제조방법
CN112205307B (zh) * 2020-10-12 2022-02-22 山东汇邦渤海农业开发有限公司 一种奶牛养殖用垫料层及其制作使用方法
CN114058473A (zh) * 2021-11-12 2022-02-18 江西普瑞丰生态科技有限公司 一种多功能高效畜禽粪便处理装置及其使用方法
US20230172154A1 (en) * 2021-12-05 2023-06-08 Microban Products Company Chemical composition and method of using an antimicrobial odor control additive for pet litters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059615A (en) * 1959-01-19 1962-10-23 C P Hall Company Of Illinois Animal litter
JPS5974935A (ja) * 1982-10-19 1984-04-27 住友化学工業株式会社 動物の排泄物処理用材の製法
JPS6094043A (ja) * 1983-10-28 1985-05-27 日本農産工業株式会社 排泄物処理材の製造方法
US4727824A (en) * 1986-09-22 1988-03-01 Personal Pet Products Partnership Absorbent composition, method of making and using same
JPH0761226B2 (ja) * 1986-10-21 1995-07-05 クニミネ工業株式会社 飼育動物用粒材
US4821677A (en) * 1987-10-27 1989-04-18 Virginia Mills, Inc. Method of making animal litter having improved absorbent and deodorizing qualities
US4957063A (en) * 1988-07-25 1990-09-18 The Clorox Company Odor control animal litter
JP3030031B2 (ja) * 1989-01-31 2000-04-10 三栄源エフ・エフ・アイ株式会社 焙煎粉砕コーヒー豆の超臨界流体抽出残漬を利用した吸着剤及びコーヒー液用香味安定剤
JPH03149055A (ja) * 1989-11-06 1991-06-25 Amenitetsuku:Kk 脱臭用充填材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1750B1 (ko) * 1999-03-19 2003-02-11 가부시키가이샤 미리옹 애완동물용배설물처리재
KR101120095B1 (ko) * 2008-12-30 2012-06-27 대한민국 돈분악취 저감방법
KR102242680B1 (ko) * 2020-07-01 2021-04-21 사회적협동조합 마을살림공작소 동물용 모래 및 이를 제조하는 제조 방법
KR102274193B1 (ko) * 2020-10-06 2021-07-08 정유진 벤토나이트를 함유한 고양이 모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고양이 모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596128B1 (en) 1997-07-30
DE69312631D1 (de) 1997-09-04
US5526771A (en) 1996-06-18
EP0596128A1 (en) 1994-05-11
EP0596128A4 (en) 1994-01-31
DE69312631T2 (de) 1998-03-05
CA2107339A1 (en) 1993-08-01
CA2107339C (en) 1999-09-28
WO1993014626A1 (fr) 1993-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41525B1 (ko) 동물의 배설물 처리재 및 그의 제조방법
JP3288271B2 (ja) 動物の排泄物処理材及びその製造方法
JP2894916B2 (ja) 茶殼を使用する動物の排泄物処理材
JP2006246903A (ja) 粒状の排泄物処理材及び製造方法
JP3061326B2 (ja) 動物の排泄物処理材
JP3288338B2 (ja) 動物の排泄物処理材及びその製造方法
JP2805573B2 (ja) 動物の排泄物処理材並びにその製造方法及び装置
JP2867308B2 (ja) 動物の排泄物処理材及びその製造方法
JP3317682B2 (ja) 動物の排泄物処理材及びその製造方法
JP3567151B2 (ja) 動物の排泄物処理材
JP2719848B2 (ja) 動物の排泄物処理材及びその製造方法
JP3673270B2 (ja) 動物の排泄物処理材及びその製造方法
JP3581853B2 (ja) 動物の排泄物処理材及びその製造方法
JP2894895B2 (ja) 動物の排泄物処理材及びその製造方法
JP3921481B2 (ja) 粒状の排泄物処理材の製造方法
JP3288309B2 (ja) 動物の排泄物処理材
JP3754978B2 (ja) 動物の粒状の排泄物処理材及びその製造方法
JP3742402B2 (ja) 動物の排泄物処理材及びその製造方法
JP3773915B2 (ja) 動物の排泄物処理材及びその製造方法
JP3927522B2 (ja) 動物の排泄物処理材及びその製造方法
JP3684368B2 (ja) 動物の排泄物処理材及びその製造方法
JP2704926B2 (ja) 動物の排泄物処理材並びにその製造方法及び装置
JP3638534B2 (ja) 粒状の排泄物処理材及び製造方法
JP2005224246A (ja) 動物の粒状の排泄物処理材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5052154A (ja) 動物の排泄物処理材及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019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