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38525A - 고양이 배변 모래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고양이 배변 모래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38525A
KR20190138525A KR1020180065084A KR20180065084A KR20190138525A KR 20190138525 A KR20190138525 A KR 20190138525A KR 1020180065084 A KR1020180065084 A KR 1020180065084A KR 20180065084 A KR20180065084 A KR 20180065084A KR 20190138525 A KR20190138525 A KR 201901385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ution
weight
preparing
mixing
pow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50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미숙
김현숙
최봉진
한민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부강아이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부강아이엔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부강아이엔씨
Priority to KR10201800650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138525A/ko
Publication of KR201901385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852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1Removal of dung or urine, e.g. from stables
    • A01K1/0107Cat trays; Dog urinals; Toilets for pe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15Floor coverings, e.g. bedding-down sheets ; Stable floors
    • A01K1/0152Litter
    • A01K1/0154Litter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고양이 배변 모래의 제조 방법은, 전체 혼합 조성물 중량 대비, 벤토나이트를 유효 성분으로 하는 탈취성 분말 1 내지 20중량%와 황산칼슘 분말 80 내지 99중량%를 혼합한 후 교반하여 혼합 조성물을 제조하는, 혼합 조성물 제조 단계; 전체 혼합 반죽 중량 대비, 상기 혼합 조성물 90 내지 99중량%와 당밀 1 내지 10중량%를 혼합한 후 반죽하여 혼합 반죽을 제조하는, 혼합 반죽 제조 단계; 상기 혼합 반죽을 상온에서 1 내지 10시간 동안 건조 처리하는, 건조 단계; 상기 건조된 혼합 반죽을 분쇄하여 고양이 배변 모래를 완성하는, 분쇄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고양이 배변 모래의 제조 방법{Manufacturing Method of Cat Toilet Sand}
본 발명은 고양이 배변 모래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황산칼슘과 벤토나이트 및 당밀을 혼합하여 고양이 배변 모래를 제조함으로써 고양이의 분뇨 처리를 용이하게 하고 분뇨로부터 발생하는 악취를 제거하는 기능을 기대할 수 있는, 고양이 배변 모래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대 사회에서 많은 사람들이 개, 고양이 등을 일반 가정에서 사육하고 있으며, 이들은 동물이라는 개념을 넘어 가족의 역할로 자리잡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반려 동물을 키우기 위해서는 사람과 마찬가지로 집과 음식 및 기타 생활 도구가 필요하며, 특히 고양이의 경우에는 다른 반려 동물과는 다르게 용변 처리 시 이를 모래에 묻는 특성을 가지므로, 이를 위해 고양이 배변 모래가 필요하다.
이를 위한 고양이 모래와 고양이 화장실 용품이 다양하게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분뇨의 수분을 흡수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분뇨가 묻은 모래의 처리 시 환경에 영향을 끼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관련된 선행기술로,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 10-2017-0091842호(발명의 명칭 : 천연재료를 이용한 고양이모래 및 제조방법 및 장치)에서는 고양이 모래를 제조함에 있어, 혼합, 믹싱, 롤링, 건조, 선별 등의 단계를 거쳐 분말상태가 아닌 입상의 모래형태를 이루도록 하여 애완용 모래 사용시 발생되는 분진을 최소화 하며, 분진에 의해 발생되는 각종 질병을 방지함과 동시에 모래 제품에 대한 사용에 대한 편리성과 취급이 용이하도록 한 새로운 형태의 고양이 모래를 제안하고 있다.
상기 발명은, 200메쉬(mesh) 분말상태의 나트륨계 벤토나이트 20중량%와, 1~2mm 입상의 나트륨계 벤토나이트 60중량%와, 칼슘계 제올라이트 5중량%와, 톱밥 7중량%와, 미네랄수 5중량%와, 첨가제로 베이킹소다 3중량%를 혼합 및 반죽, 롤링, 건조시켜 2~5mm 크기의 입상으로 구성된 고양이 모래를 제시하고 있다.
또 다른 선행기술로,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 10-1356232호(발명의 명칭 : 애완용 모래 및 그 제조방법)에서는 애완용으로 고양이를 사육함에 있어서, 발생되는 대,소변 등의 분비물을 간편·용이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대,소변에 의한 악취 탈취, 항균, 음이온, 원적외선 등의 기능성이 부각된 애완용 모래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제조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상기 발명은, 분말상태의 제올라이트로 이루어진 주원료와, 벤토나이트와 백토로 이루어진 보조원료와, 베이킹소다 및 셀룰로우즈로 이루어진 첨가제가 혼합 및 반죽, 롤링, 건조되어 입상으로 구성된 애완용 모래에 있어서, 상기 주원료는 분말상태의 제올라이트 30중량%에 5중량%의 수분을 혼합 믹싱하여 1~2mm크기를 갖는 입상의 1차 원료와, 파쇄된 1~2mm 크기 입자형태의 입상의 제올라이트로 이루어진 2차 원료 40중량%로 혼합 구성되고, 상기 보조원료는 분말상태의 벤토나이트 5중량%와 백토 15중량%로 혼합 구성되며, 상기 첨가제는 베이킹소다 3중량%, 셀룰로우즈 2중량%, 또는 폴리아크릴아미드(polyacrylamide) 5중량%로 혼합 구성된 애완용 모래를 제안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두 발명은 고양이 분뇨의 수분을 흡수한 모래의 경우 입자의 강도가 약해져 고양이가 모래를 발로 밟으면서 모래 입자의 형태가 파괴됨에 따라 모래 처리가 어려워질 수 있다는 단점이 존재한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양이 분뇨의 수분을 흡수하고 분뇨로부터 발생하는 악취를 제거함과 동시에, 모래 처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모래의 구조적 및 형태적 안정성을 부여하는 고양이 배변 모래의 제조 방법을 개발할 필요성이 대두되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황산칼슘과 벤토나이트 및 당밀을 혼합하여 흡수성 및 탈취성이 뛰어난 고양이 배변 모래를 제조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벤토나이트를 포함하는 탈취성 분말에 탈취 기능을 향상시키는 첨가제를 추가하여 탈취성 분말을 제조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황산칼슘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모래 입자의 표면이 고양이 발바닥과 직접 접촉되지 않도록 코팅층을 형성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 목적은, 혼합 반죽에 카올린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충진재를 충진시키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고양이 배변 모래의 제조 방법은, 전체 혼합 조성물 중량 대비, 벤토나이트를 유효 성분으로 하는 탈취성 분말 1 내지 20중량%와 황산칼슘 분말 80 내지 99중량%를 혼합한 후 교반하여 혼합 조성물을 제조하는, 혼합 조성물 제조 단계; 전체 혼합 반죽 중량 대비, 상기 혼합 조성물 90 내지 99중량%와 당밀 1 내지 10중량%를 혼합한 후 반죽하여 혼합 반죽을 제조하는, 혼합 반죽 제조 단계; 상기 혼합 반죽을 상온에서 1 내지 10시간 동안 건조 처리하는, 건조 단계; 상기 건조된 혼합 반죽을 분쇄하여 고양이 배변 모래를 완성하는, 분쇄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탈취성 분말은, 전체 탈취성 분말 중량 대비, 벤토나이트 분말 80 내지 99중량%와 첨가제 1 내지 20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불어, 상기 첨가제를 제조하는 단계는, 전체 1차 용액 중량 대비, 스티렌 1 내지 20중량%와 SLS(Sodium lauryl sulfate) 0.1 내지 10중량% 및 물 75 내지 95중량%를 혼합하여 1차 용액을 제조하는, 1차 용액 제조 단계; 상기 1차 용액에 질소 가스를 투입하여 포말(泡沫) 처리하는, 포말 단계; 전체 2차 용액 중량 대비, 포말 처리된 상기 1차 용액 80 내지 99중량%와 포타슘퍼설페이트 수용액 1 내지 20중량%를 혼합한 후 60 내지 90℃에서 12 내지 40시간 동안 교반하여 2차 용액을 제조하는, 2차 용액 제조 단계; 전체 3차 용액 중량 대비, 상기 2차 용액 50 내지 80중량%와 실리카 용액 20 내지 50중량%를 1 내지 30분 동안 교반하여 3차 용액을 제조하는, 3차 용액 제조 단계; 상기 3차 용액을 50 내지 90℃에서 건조시킨 후 400 내지 600℃에서 3 내지 8시간 동안 가열하여 1차 중간물을 제조하는, 1차 중간물 제조 단계; 전체 분사액 중량 대비, 디비닐벤젠 50 내지 90중량%와 반응 개시제 10 내지 50중량%를 혼합하여 분사액을 제조하고 상기 분사액을 상기 1차 중간물에 분사시킨 후 60 내지 90℃에서 건조시키는, 분사 단계; 상기 분사된 1차 중간물을 아르곤 분위기 하에 800 내지 1000℃에서 3 내지 10시간 동안 탄화시켜 2차 중간물을 제조하는, 2차 중간물 제조 단계; 상기 2차 중간물을 플루오린화 수소산 수용액으로 세척한 후 여과하여 여과액을 수득하는, 여과액 수득 단계; 상기 여과액을 증류수로 세척한 후 50 내지 80℃에서 건조시켜 첨가제를 완성하는, 첨가제 완성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분쇄 단계 이후에는, 상기 고양이 배변 모래의 표면에 키토산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코팅액을 도포하여 코팅층을 형성하는, 코팅층 형성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블랙박스 고양이 배변 모래의 제조 방법은,
1) 황산칼슘과 벤토나이트 및 당밀을 혼합하여 흡수성 및 탈취성이 뛰어난 고양이 배변 모래를 제조할 수 있고,
2) 벤토나이트를 포함하는 탈취성 분말에 탈취 기능을 향상시키는 첨가제를 추가하여 탈취성 분말을 제조함으로써, 고양이 배변 모래의 탈취 기능을 극대화시킬 수 있으며,
3) 황산칼슘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모래 입자의 표면이 고양이 발바닥과 직접 접촉되지 않도록 코팅층을 형성함으로써, 고양이의 안전한 배변 모래의 이용을 도모할 수 있을 뿐 아니라,
4) 혼합 반죽에 카올린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충진재를 충진시켜, 모래 입자의 구조적 및 형태적 안정성을 부여하는 효과를 제시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고양이 배변 모래를 제조하는 전체적인 프로세스를 나타낸 순서도.
도 2는 본 발명의 첨가제를 제조하는 프로세스를 나타낸 순서도.
도 3은 본 발명의 코팅액을 제조하는 프로세스를 나타낸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의 충진재를 제조하는 프로세스를 나타낸 순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면은 축척에 의하여 도시되지 않았으며, 각 도면의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고양이 배변 모래는 황산칼슘(CaSO4)과 벤토나이트를 유효 성분으로 하는 탈취성 분말 및 당밀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여 우수한 탈취 및 흡수 기능을 제공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고양이 배변 모래는 기본적으로 전체 모래 중량 대비, 황산칼슘 분말 70 내지 95중량%와 벤토나이트를 유효 성분으로 하는 탈취성 분말 1 내지 20중량% 및 당밀 1 내지 10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제조된 고양이 배변 모래는 고양이에게 무해한 재료만으로 제조되어 고양이가 이를 섭취하더라도 신체에 유해한 영향을 끼치지 않을 뿐 아니라 친환경적이므로 모래 처리 시 환경오염을 유발하지 않는다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이와 같이 제조된 본 발명의 고양이 배변 모래는 고양이의 대소변과 섞이는 경우 그 분뇨와 함께 뭉쳐지기 때문에 뭉쳐진 모래만을 수거 및 폐기하면 되어 분뇨 처리가 용이하다는 장점을 갖는다.
나아가, 본 발명의 고양이 배변 모래는 황산칼슘 분말을 포함하여 고양이의 소변(즉, 수분)을 효율적으로 흡수할 수 있으며, 황산칼슘의 특성상 수분을 흡수하면 응집되는 현상으로 인해 상술한 바와 같이 분뇨와 모래가 뭉쳐져 분뇨 처리를 용이하게 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더불어, 탈취성 분말의 유효 성분인 벤토나이트는 화산재로 이루어진 점토질 광물로서, 알루미늄, 마그네슘, 규소, 산소, 물을 포함하는데, 이러한 벤토나이트의 치환성 염기의 종류에 따라 성질이 변화되며 이에 따라 Na-벤토나이트와 Ca-벤토나이트로 나뉠 수 있다. Na-벤토나이트는 물을 흡수하는 경우 건조 상태에서의 부피의 5 내지 20배로 팽창하는 팽윤성 벤토나이트이며, Ca-벤토나이트는 수분을 흡수하는 경우 Na-벤토나이트보다 덜 팽창하거나 거의 팽윤되지 않는 비팽윤성 벤토나이트이다. 이때 분뇨로부터 수분을 흡수한 배변 모래가 원래 부피의 5 내지 20배로 팽윤하게 되면 결정 구조를 잃게 되어 모래 처리가 어려우므로, 비팽윤성 벤토나이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벤토나이트는 유해 물질을 흡착하는 기능이 매우 우수하여 고양이 분뇨의 악취 및 세균을 탈취 및 항균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당밀은 리그닌(Lignin)의 일종으로 사탕수수나 사탕무를 설탕으로 가공할 때 부수적으로 생성되는 시럽을 말하는 것으로서, 이는 천연 성분이므로 이를 포함하는 모래를 고양이가 섭취할 시 유해한 영향을 주지 않는다. 본 발명의 고양이 배변 모래는 황산칼슘 분말과 탈취성 분말을 혼합하여 반죽을 형성한 후 분쇄하는 과정을 통해 제조되는데(본 발명의 고양이 배변 모래를 제조하는 방법은 도 1과 함께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당밀은 황산칼슘 분말 및 탈취성 분말과 함께 혼합되어 반죽을 형성하고 성형성을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나아가, 리그닌은 천연 물질이므로 생분해가 가능하여 모래 처리 시 환경오염을 유발하지 않는다는 장점을 갖는다.
이러한 특성을 지니는 황산칼슘 분말과 탈취성 분말 및 당밀을 혼합하여 본 발명의 고양이 배변 모래를 제조할 수 있는데,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을 도 1과 함께 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고양이 배변 모래를 제조하는 전체적인 프로세스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고양이 배변 모래를 제조하는 방법은 기본적으로 혼합 조성물 제조 단계(S100), 혼합 반죽 제조 단계(S200), 건조 단계(S300), 분쇄 단계(S400)로 이루어진다.
먼저, 혼합 조성물 제조 단계(S100)는 전체 혼합 조성물 중량 대비, 벤토나이트를 유효 성분으로 하는 탈취성 분말 1 내지 20중량%와 황산칼슘 분말 80 내지 99중량%를 혼합한 후 교반하여 혼합 조성물을 제조하는 과정이다.
이 단계는 분말 형상의 황산칼슘과 벤토나이트를 유효 성분으로 하는 탈취성 분말이 고르게 혼합되도록 교반하여 혼합 조성물을 제조하는 과정으로, 본 발명의 고양이 배변 모래를 제조하기 전 각 재료들이 고르게 분포되도록 한다. 상기 혼합 조성물을 이루는 황산칼슘 분말과 탈취성 분말은 앞서 자세히 언급하였으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후, 혼합 반죽 제조 단계(S200)는 전체 혼합 반죽 중량 대비, 상기 혼합 조성물 90 내지 99중량%와 당밀 1 내지 10중량%를 혼합한 후 반죽하여 혼합 반죽을 제조하는 과정이다.
이는 액상의 당밀과 상기 혼합 조성물을 혼합하여 반죽을 제조하는 과정으로서, 이때 액상의 당밀 혼합으로 인해 분말 형상의 혼합 조성물이 뭉치지 않도록 별도의 반죽기를 통해 혼합 반죽을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건조 단계(S300)는 혼합 반죽을 상온에서 1 내지 10시간 동안 건조 처리하는 과정으로서, 이는 혼합 반죽에 존재하는 수분을 제거하기 위한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분쇄 단계(S400)는 상기 건조된 혼합 반죽을 분쇄하는 과정으로서, 100 내지 200 메쉬(mesh)의 크기로 상기 건조된 혼합 반죽을 분쇄하여 본 발명의 고양이 배변 모래를 완성하는 과정이다.
이렇게 제조된 본 발명의 고양이 배변 모래는 황산칼슘의 흡수성 및 응집성과 벤토나이트의 탈취성 및 흡수성, 그리고 당밀의 성형성으로 인해 흡수 및 탈취 기능이 우수하며 분뇨 처리가 용이하다는 장점을 가질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고양이 배변 모래의 기본적인 제조 방법에서 탈취성 분말은 벤토나이트를 유효 성분으로 포함한다고 하였는데, 상기 탈취성 분말은 벤토나이트으로만 이루어지거나 별도의 첨가제를 더 첨가하여 탈취성 분말을 제조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때 첨가제는 탈취성 분말의 탈취 기능을 극대화시키는 기능을 제공하는 다공성의 탄소를 유효 성분으로 하는 첨가제일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설명을 도 2와 함께 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첨가제를 제조하는 프로세스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탈취성 분말은 벤토나이트를 유효 성분으로 하는 것으로서 벤토나이트와 첨가제의 혼합으로 제조될 수 있는데, 구체적으로 전체 탈취성 분말 중량 대비, 벤토나이트 분말 80 내지 99중량%와 첨가제 1 내지 20중량%를 혼합하여 제조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에서의 첨가제는 벤토나이트의 탈취성을 극대화시키기 위하여 다공성의 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저렴한 제조 단가를 위해 다공성의 탄소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특성을 지니는 첨가제를 제조하는 단계는 1차 용액 제조 단계(S110), 포말 단계(S111), 2차 용액 제조 단계(S112), 3차 용액 제조 단계(S113), 1차 중간물 제조 단계(S114), 분사 단계(S115), 2차 중간물 제조 단계(S116), 여과액 수득 단계(S117), 첨가제 완성 단계(S118)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1차 용액 제조 단계(S110)는 전체 1차 용액 중량 대비, 스티렌 1 내지 20중량%와 SLS(Sodium lauryl sulfate) 0.1 내지 10중량% 및 물 75 내지 95중량%를 혼합하여 1차 용액을 제조하는 과정이다.
이때 스티렌은 상기 1차 용액의 유효 성분으로서, 첨가제의 유효 성분인 다공성의 탄소를 제조하기 위한 물질이라고 할 수 있다.(즉, 스티렌을 이용하여 다공성 탄소를 제조하는 것이다.) 또한, SLS(Sodium lauryl sulfate)는 계면활성제의 일종으로 소수성의 스티렌과 물이 잘 혼합될 수 있도록 스티렌의 수내 분산력을 높이는 기능을 제공한다.
여기서, 1차 용액 제조 시 스티렌과 물 및 SLS를 혼합한 후 50 내지 70℃의 온도로 가열 교반함으로써 스티렌과 물의 혼합이 보다 잘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때 50℃ 미만의 온도에서 교반할 경우 충분한 혼합이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으며, 70℃ 초과의 온도에서 교반할 경우 SLS가 과포화되어 1차 용액 제조 후 냉각됨에 따라 SLS가 석출될 수 있으므로 상기 온도 조건(50 내지 70℃)에서 가열 교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후, 포말 단계(S111)는 1차 용액에 질소 가스를 투입하여 포말(泡沫) 처리하는 과정으로서, 이는 1차 용액의 포말 처리를 통해 상기 1차 용액에 포함된 산소를 제거하여, 후술할 단계의 중합 반응을 억제하는 산소를 제거하는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다음으로, 2차 용액 제조 단계(S112)는 전체 2차 용액 중량 대비, 포말 처리된 상기 1차 용액 80 내지 99중량%와 포타슘퍼설페이트 수용액 1 내지 20중량%를 혼합한 후 60 내지 90℃에서 12 내지 40시간 동안 교반하여 2차 용액을 제조하는 과정이다.
이때 포타슘퍼설페이트는 상기 1차 용액의 중합 반응을 개시하는 중합 개시제이며, 포타슘퍼설페이트 수용액을 포말 처리된 1차 용액과 혼합함으로써 1차 용액의 유효 성분인 스티렌의 중합 반응이 발생하게 되고, 이로 인해 폴리스티렌이 생성된다. 즉, 상기 2차 용액은 폴리스티렌을 유효 성분으로 할 수 있다.
여기서 포타슘퍼설페이트 수용액을 1중량% 미만으로 첨가할 경우 충분한 중합 반응이 진행되지 않을 수 있으며, 20중량%를 초과할 경우 상기 2차 용액에 과도하게 많은 포타슘퍼설페이트가 존재하게 되어 후술할 단계를 통해 다공성 탄소의 생성을 방해가 될 수 있다.
이후, 3차 용액 제조 단계(S113)는 전체 3차 용액 중량 대비, 상기 2차 용액 50 내지 80중량%와 실리카 용액 20 내지 50중량%를 1 내지 30분 동안 교반하여 3차 용액을 제조하는 과정이다.
이때 실리카 용액은 전체 실리카 용액 중량 대비, 실리카 5 내지 30중량%와 물 70 내지 95중량%를 혼합하여 제조될 수 있으며, 이렇게 제조된 실리카 용액은 에멀젼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실리카 용액의 유효 성분인 실리카는 다공성 탄소를 제조하기 위한 거푸집(template)과 같은 역할을 수행하는데, 구체적으로 폴리스티렌 입자 사이에 실리카 입자가 들어간 다음 후술할 단계의 탄화 과정을 거침에 따라 실리카 입자가 있던 자리에 탄소 입자가 들어가면서 다공성 탄소가 생성되는 것이다.(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따라서 이렇게 에멀젼 형상을 지닌 두 용액인 2차 용액과 실리카 용액을 혼합하여 3차 용액을 제조할 수 있다.
다음으로, 1차 중간물 제조 단계(S114)는 3차 용액을 50 내지 90℃에서 건조시킨 후 400 내지 600℃에서 3 내지 8시간 동안 가열하여 1차 중간물을 제조하는 과정이다.
이는 상기 3차 용액을 건조시켜 3차 용액의 용매인 물을 제거하는 과정이며, 건조 과정 후 400 내지 600℃에서 가열함으로써 탄화 과정을 진행함에 따라 3차 용액에 포함된 폴리스티렌을 제거하여 매크로포어(macropore)를 형성하고, 탄소 및 실리카를 유효 성분으로 하는 1차 중간물을 제조하는 단계라고 할 수 있다.
여기서 탄화 과정이라 함은 유기물을 고온에서 일정 시간 동안 가열 처리하여 탄소만 남게 하는 과정으로서, 3차 용액에 포함된 폴리스티렌이 충분히 탄화될 수 있도록 3 내지 8시간(바람직하게는 5 내지 6시간) 동안 상기 3차 용액을 가열하여 폴리스티렌이 제거되고 탄소와 실리카만 남은 1차 중간물을 얻을 수 있다.
이후, 분사 단계(S115)는 전체 분사액 중량 대비, 디비닐벤젠 50 내지 90중량%와 반응 개시제 10 내지 50중량%를 혼합하여 분사액을 제조하고 상기 분사액을 상기 1차 중간물에 분사시킨 후 60 내지 90℃에서 건조시키는 과정이다.
이때 디비닐벤젠은 분사액의 유효 성분으로서, 탄소를 유효 성분으로 하는 1차 중간물의 빈 공간에 디비닐벤젠 입자가 들어가 채워지는 기능을 제공한다.(이는 후술할 단계에서 탄화되어 메조포어(mesopore)를 생성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반응 개시제는 디비닐벤젠의 중합 반응을 개시하는 것으로, 2,2’-아조비스이소부티로나이트릴(2,2’-azobisisobutyonitrile)이 될 수 있다. 이렇게 1차 중간물에 상기 분사액을 분사시킴으로써 중합된 폴리디비닐벤젠이 상기 실리카 입자 사이의 빈 공간으로 스며들게 된다. 이때 실리카 입자 사이에 분사액이 충분히 스며들도록 충분한 양의 분사액을 수회에 거쳐 분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건조 과정은 1차 중간물에 분사할 시 분사 과정에서 분사액에 산소가 용존될 수 있으므로 분사액 내의 산소 및 잔존 공기를 제거하여 반응 억제를 방지하기 위한 과정이다. 이때 건조 과정은 일반적으로 유기 용매를 제거하는데 사용되는 freeze pump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이는 주지 관용의 기술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2차 중간물 제조 단계(S116)는 분사된 1차 중간물을 아르곤 분위기 하에 800 내지 1000℃에서 3 내지 10시간 동안 탄화시켜 2차 중간물을 제조하는 과정이다.
상기 분사된 1차 중간물에 포함된 폴리디비닐벤젠을 탄화시켜 실리카 입자 사이에 존재하던 폴리디비닐벤젠은 제거되고 탄화물인 2차 중간물을 생성하는 단계이다. 이때 2차 중간물은 탄소뿐만이 아니라 실리카도 유효 성분으로 하며, 실리카 입자 사이에 존재하는 기공(즉, 폴리디비닐벤젠이 탄화되어 생성된 메조포어)에 탄소가 존재하는 형상을 띠게 된다.
이후, 여과액 수득 단계(S117)는 2차 중간물을 플루오린화 수소산 수용액으로 세척한 후 여과하여 여과액을 수득하는 과정이다.
이때 플루오린화 수소산 수용액은 2차 중간물에 잔존하는 실리카(미반응의 실리카)를 제거하기 위한 과정으로, 이렇게 2차 중간물을 세척한 후 여과시킴으로써 실리카가 제거된 2차 중간물을 포함하는 여과액을 얻을 수 있다. 이때 상기 2차 중간물에는 실리카 입자 사이에 존재하는 기공(즉, 폴리디비닐벤젠이 탄화되어 생성된 메조포어)에 탄소 입자가 존재하게 되는데, 이 상태에서 상기 2차 중간물의 실리카를 제거함으로써 빈 공간이 발생하게 되고 이로부터 다공성의 탄소가 형성되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첨가제 완성 단계(S118)는 여과액을 증류수로 세척한 후 50 내지 80℃에서 건조시켜 첨가제를 완성하는 과정이다.
이는 여과액에 잔존하는 플루오린화 수소산 수용액을 제거하기 위해 증류수로 여과액을 세척하는 과정을 거치고, 세척 시 사용된 물을 제거하기 위하여 건조 과정을 거침으로써 다공성의 탄소를 유효 성분으로 하는 첨가제를 완성하는 단계이다.
이와 같이 제조된 첨가제를 상기 벤토나이트 분말과 혼합하여 탈취성 분말을 제조함으로써, 고양이 분뇨에서 발생하는 악취의 탈취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분뇨의 수분을 효율적으로 흡수하여 분뇨 처리가 용이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고양이 배변 모래는 황산칼슘 분말을 포함한다고 하였는데, 황산칼슘은 흡수성 및 응집성이 뛰어나 고양이 배변 모래의 성분이 되기 적합하지만 점막 자극성이 있어 고양이가 모래를 밟을 시 발바닥에 자극을 줄 수 있다는 문제점을 갖는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상기 혼합 반죽을 제조한 후 혼합 반죽의 표면에 키토산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코팅액을 도포하여 코팅층을 추가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코팅층에 대한 자세한 설명을 도 1 및 도 3과 함께 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의 코팅액을 제조하는 프로세스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분쇄 단계(S400) 이후에는 상기 고양이 배변 모래의 표면에 키토산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코팅액을 도포하여 코팅층을 형성하는 코팅층 형성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코팅층은 점막 자극성을 지닌 황산칼슘이 고양이의 발바닥과 직접 접촉되어 자극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코팅층을 형성하는 코팅액은 키토산을 유효 성분으로 하여 제조될 수 있다.
이러한 코팅액을 제조하는 단계는 제 1 용액 제조 단계(S410), 제 2 용액 제조 단계(S411), 1차 결정체 수득 단계(S412), 2차 결정체 제조 단계(S413), 코팅액 완성 단계(S414)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제 1 용액 제조 단계(S410)는 전체 제 1 용액 중량 대비, 키토산 0.1 내지 1중량%와 초산 용액 99 내지 99.9중량%를 질소 기류 하에서 1 내지 2시간 동안 교반하여 제 1 용액을 제조하는 과정이다.
이는 키토산을 초산 용액과 혼합하여 질소 기류 하에 팽윤시키는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이때 팽윤이라 함은 고분자 물질인 키토산이 용매인 초산 용액을 흡수하여 부피가 늘어나게 되는 현상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팽윤 현상으로 인해 키토산이 초산 용액에 용해되는 것이다.
이후, 제 2 용액 제조 단계(S411)는 전체 제 2 용액 중량 대비, 상기 제 1 용액 90 내지 99.9중량%와 세릭암모늄니트레이트(Ceric ammonium nitrate) 0.1 내지 10중량%를 3 내지 6시간 동안 중합하여 제 2 용액을 제조하는 과정이다.
이때 세릭암모늄니트레이트(Ceric ammonium nitrate)은 수용성의 무기화합물로서 일반적으로 산화제의 역할을 수행하는데, 상기 제 2 용액 제조 단계에서는 중합 반응을 시작하게 하는 반응 개시제로서의 역할을 수행한다. 그리하여 상술한 과정을 통해 제 2 용액은 고분자인 키토산의 중합체를 포함하는 용액이라고 할 수 있다.
다음으로, 1차 결정체 수득 단계(S412)는 전체 제 3 용액 중량 대비, 상기 제 2 용액 10 내지 30중량%와 아세톤 70 내지 90중량%를 혼합하여 제 3 용액을 제조한 후 여과하여 1차 결정체를 수득하는 과정이다.
이때 제 3 용액은 키토산 중합체를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제 2 용액과 아세톤을 혼합한 것으로서, 아세톤에 의해 키토산 중합체가 결정화되고 이를 여과 과정을 통해 아세톤을 제거하여 고체상의 키토산 중합체인 1차 결정체를 수득할 수 있다.
이후, 2차 결정체 제조 단계(S413)는 1차 결정체를 감압 건조 후 메탄올에 상기 1차 결정체를 침지시킨 후 다시 감압 건조하여 2차 결정체를 제조하는 과정이다.
이는 메탄올을 통해 1차 결정체에 포함된 호모폴리머(즉, 미처 중합이 되지 않은 폴리머)를 제거한 후 다시 감압 건조를 수행하여 키토산 유도체인 키토산 아크릴산을 2차 결정체로 제조하는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이렇게 생성된 키토산 아크릴산은 중금속 및 기타 유해 물질을 흡착하는 흡착성을 지니기 때문에 상기 탈취성 분말의 흡착 기능에 더하여 추가적으로 흡착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마지막으로, 코팅액 완성 단계(S414)는 전체 코팅액 중량 대비, 상기 2차 결정체 30 내지 70중량%와 목초액 30 내지 70중량%를 혼합하여 코팅액을 완성하는 과정으로서, 이는 키토산 유도체인 2차 결정체를 목초액과 혼합하여 응집성을 높임과 동시에 혼합 반죽의 표면에 피막을 형성하여 고양이의 발바닥을 보호하는 기능을 동시에 갖는 코팅액을 완성하는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이렇게 완성된 코팅액을 혼합 반죽의 표면에 도포함으로써 혼합 반죽의 코팅층을 형성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점막 자극성을 갖는 황산칼슘이 고양이 발바닥에 직접적으로 접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더 나아가, 상기 혼합 반죽은 황산칼슘과 벤토나이트를 포함하는데, 특히 벤토나이트는 분자 구조의 특성상 수분을 흡수하면 팽윤되어 고양이 배변 모래 입자의 형태성이 깨질 가능성이 있다. 분뇨의 수분을 흡수하면서 모래 입자의 형태가 파괴되면 모래를 처리하기가 어려워지므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게 위해 카올린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충진재를 혼합 반죽에 충진시켜 모래 입자의 강도를 높일 수 있다. 이에 대한 설명을 도 4와 함께 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의 충진재를 제조하는 프로세스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건조 단계(S300)와 분쇄 단계(S400) 사이에는 카올린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충진재를 건조된 혼합 반죽에 충진시키는 충진 단계를 포함할 수 있는데, 이를 통해 혼합 반죽으로부터 제조된 본 발명의 고양이 배변 모래 입자가 수분을 흡수하더라도 그 형태를 잘 유지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더불어, 충진재의 충진으로 인해 본 발명의 고양이 배변 모래의 탈취 성능이 저하되지 않도록 충진재를 제조 시 이를 활성화 처리하여 제조할수 있다.
이러한 충진재를 제조하는 단계는 준비 단계(S310), 건조물 생성 단계(S311), 1차 활성화 단계(S312), 2차 활성화 단계(S313), 제 1 활성 분말 제조 단계(S314), 제 2 활성 분말 제조 단계(S315), 잔여물 수득 단계(S316), 충진재 완성 단계(S317)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준비 단계(S310)는 카올린을 준비한 후 불순물을 제거하는 과정이고, 건조물 생성 단계(S311)는 카올린을 분쇄한 후 탈수 처리하여 건조물을 생성하는 과정이다.
카올린(즉, 고령토)은 알루미나와 규산염 및 수분을 포함하는 백색의 광물로서 점토질 광물 중 하나이다. 이러한 카올린은 벤토나이트 분말과 혼합될 시 충진재로서의 역할을 수행하여 본 발명의 고양이 배변 모래의 입자 강도를 증가시키는 기능을 제공한다. 상기 준비 단계 및 건조물 생성 단계는 이러한 특성을 지닌 카올린에 포함된 불순물을 제거하고 분쇄 및 탈수 과정을 거쳐 건조된 카올린을 얻는 과정이다.
이후, 1차 활성화 단계(S312)는 반응조에 상기 건조물을 투입한 후 5℃/min의 승온 속도로 400℃까지 온도를 올린 다음 1 내지 5시간 동안 열처리하여 1차적으로 활성화시키는 과정이다.
이는 건조된 카올린을 400℃까지 올려 1차적으로 활성화시키는 과정으로, 결정 내부에 보존된 카올린의 결정화 에너지를 활성화 과정을 통해 높은 에너지 상태가 되면 물과 접촉되어도 수화 반응이 일어나지 않아, 고양이 배변 모래가 분뇨의 수분을 흡수하더라도 그 강도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2차 활성화 단계(S313)는 상기 1차 활성화된 건조물을 반응조에 투입한 후 1000℃까지 승온시킨 다음 5 내지 180분 동안 열처리하여 2차적으로 활성화시키는 과정이다.
이는 1차 활성화 단계보다 더 높은 온도에서 2차 활성화 처리하는 것으로서, 1차 활성화 처리된 카올린의 비표면적을 더욱 넓혀 고활성도의 카올린을 얻는 과정이다. 이때 2차 활성화 처리 시간은 상기 1차 활성화 단계보다 짧은 시간 동안(바람직하게는 5 내지 40분 동안) 진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2차 활성화 처리된 카올린은 본 발명의 고양이 배변 모래 입자의 강도를 증가시킴과 동시에 넓은 표면적으로 인한 흡착 기능을 충분히 수행할 수 있다.
이후, 제 1 활성 분말 제조 단계(S314)는 2차 활성화된 건조물을 상온에서 냉각시킨 후 미분쇄하여 제 1 활성 분말을 제조하는 과정으로서, 이때 제 1 활성 분말의 입도 크기는 상기 혼합 반죽의 기공 사이에 충분히 들어갈 수 있는 크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제 2 활성 분말 제조 단계(S315)는 전체 제 2 활성 분말 중량 대비, 상기 제 1 활성 분말 60 내지 95중량%와 황산암모늄 5 내지 40중량%를 혼합한 후 300 내지 600℃에서 하소 처리하여 제 2 활성 분말을 제조하는 과정이다.
이는 제 1 활성 분말에 포함된 알루미나와 황산암모늄을 반응시키는 과정으로서, 후술할 단계인 잔여물 수득 단계에서 황산을 통해 카올린 내의 알루미나를 제거하기 위한 준비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즉, 카올린을 황산 처리하여 알루미나를 제거함으로써 내식성을 갖게 되어 보존성이 향상된 고양이 배변 모래를 제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후, 잔여물 수득 단계(S316)는 제 2 활성 분말을 황산 용액에 10 내지 60분 동안 담지시킨 후 여과하여 잔여물을 수득하는 과정으로서, 황산 용액을 이용해 제 2 활성 분말 내의 알루미나를 제거한 잔여물을 얻음으로써 우수한 내식성을 지니는 충진재를 얻을 수 있는 단계이다.
마지막으로, 충진재 완성 단계(S317)는 잔여물을 물로 세척한 후 건조시켜 충진재를 완성하는 과정으로서, 이는 잔여물에 잔여하는 황산을 세척 과정을 통해 제거하고, 건조 과정을 통해 세척 시 사용한 물을 완전히 제거시킴으로써 충진재를 완성시키는 단계이다.
이렇게 완성된 충진재를 건조된 혼합 반죽에 충진시키면 본 발명의 고양이 배변 모래 입자의 구조적 및 형태적 안정성을 부여할 수 있음과 동시에, 활성화 처리로 인한 탈취 성능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게 된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고양이 배변 모래의 제조 방법의 구성 및 작용을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표현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여 본 발명의 사상이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S100 : 혼합 조성물 제조 단계
S110 : 1차 용액 제조 단계
S111 : 포말 단계
S112 : 2차 용액 제조 단계
S113 : 3차 용액 제조 단계
S114 : 1차 중간물 제조 단계
S115 : 분사 단계
S116 : 2차 중간물 제조 단계
S117 : 여과액 수득 단계
S118 : 첨가액 완성 단계
S200 : 혼합 반죽 제조 단계
S300 : 건조 단계
S310 : 준비 단계
S311 : 건조물 생성 단계
S312 : 1차 활성화 단계
S313 : 2차 활성화 단계
S314 : 제 1 활성 분말 제조 단계
S315 : 제 2 활성 분말 제조 단계
S316 : 잔여물 수득 단계
S317 : 충진재 완성 단계
S400 : 분쇄 단계
S410 : 제 1 용액 제조 단계
S411 : 제 2 용액 제조 단계
S412 : 1차 결정체 수득 단계
S413 : 2차 결정체 수득 단계
S414 : 코팅액 완성 단계

Claims (7)

  1. 고양이 배변 모래의 제조 방법으로서,
    전체 혼합 조성물 중량 대비, 벤토나이트를 유효 성분으로 하는 탈취성 분말 1 내지 20중량%와 황산칼슘 분말 80 내지 99중량%를 혼합한 후 교반하여 혼합 조성물을 제조하는, 혼합 조성물 제조 단계;
    전체 혼합 반죽 중량 대비, 상기 혼합 조성물 90 내지 99중량%와 당밀 1 내지 10중량%를 혼합한 후 반죽하여 혼합 반죽을 제조하는, 혼합 반죽 제조 단계;
    상기 혼합 반죽을 상온에서 1 내지 10시간 동안 건조 처리하는, 건조 단계;
    상기 건조된 혼합 반죽을 분쇄하여 고양이 배변 모래를 완성하는, 분쇄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양이 배변 모래의 제조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탈취성 분말은,
    전체 탈취성 분말 중량 대비, 벤토나이트 분말 80 내지 99중량%와 첨가제 1 내지 20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양이 배변 모래의 제조 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첨가제를 제조하는 단계는,
    전체 1차 용액 중량 대비, 스티렌 1 내지 20중량%와 SLS(Sodium lauryl sulfate) 0.1 내지 10중량% 및 물 75 내지 95중량%를 혼합하여 1차 용액을 제조하는, 1차 용액 제조 단계;
    상기 1차 용액에 질소 가스를 투입하여 포말(泡沫) 처리하는, 포말 단계;
    전체 2차 용액 중량 대비, 포말 처리된 상기 1차 용액 80 내지 99중량%와 포타슘퍼설페이트 수용액 1 내지 20중량%를 혼합한 후 60 내지 90℃에서 12 내지 40시간 동안 교반하여 2차 용액을 제조하는, 2차 용액 제조 단계;
    전체 3차 용액 중량 대비, 상기 2차 용액 50 내지 80중량%와 실리카 용액 20 내지 50중량%를 1 내지 30분 동안 교반하여 3차 용액을 제조하는, 3차 용액 제조 단계;
    상기 3차 용액을 50 내지 90℃에서 건조시킨 후 400 내지 600℃에서 3 내지 8시간 동안 가열하여 1차 중간물을 제조하는, 1차 중간물 제조 단계;
    전체 분사액 중량 대비, 디비닐벤젠 50 내지 90중량%와 반응 개시제 10 내지 50중량%를 혼합하여 분사액을 제조하고 상기 분사액을 상기 1차 중간물에 분사시킨 후 60 내지 90℃에서 건조시키는, 분사 단계;
    상기 분사된 1차 중간물을 아르곤 분위기 하에 800 내지 1000℃에서 3 내지 10시간 동안 탄화시켜 2차 중간물을 제조하는, 2차 중간물 제조 단계;
    상기 2차 중간물을 플루오린화 수소산 수용액으로 세척한 후 여과하여 여과액을 수득하는, 여과액 수득 단계;
    상기 여과액을 증류수로 세척한 후 50 내지 80℃에서 건조시켜 첨가제를 완성하는, 첨가제 완성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양이 배변 모래의 제조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쇄 단계 이후에는,
    상기 고양이 배변 모래의 표면에 키토산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코팅액을 도포하여 코팅층을 형성하는, 코팅층 형성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양이 배변 모래의 제조 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액을 제조하는 단계는,
    전체 제 1 용액 중량 대비, 키토산 0.1 내지 1중량%와 초산 용액 99 내지 99.9중량%를 질소 기류 하에서 1 내지 2시간 동안 교반하여 제 1 용액을 제조하는, 제 1 용액 제조 단계;
    전체 제 2 용액 중량 대비, 상기 제 1 용액 90 내지 99.9중량%와 세릭암모늄니트레이트(Ceric ammonium nitrate) 0.1 내지 10중량%를 3 내지 6시간 동안 중합하여 제 2 용액을 제조하는, 제 2 용액 제조 단계;
    전체 제 3 용액 중량 대비, 상기 제 2 용액 10 내지 30중량%와 아세톤 70 내지 90중량%를 혼합하여 제 3 용액을 제조한 후 여과하여 1차 결정체를 수득하는, 1차 결정체 수득 단계;
    상기 1차 결정체를 감압 건조 후 메탄올에 상기 1차 결정체를 침지시킨 후 다시 감압 건조하여 2차 결정체를 제조하는, 2차 결정체 제조 단계;
    전체 코팅액 중량 대비, 상기 2차 결정체 30 내지 70중량%와 목초액 30 내지 70중량%를 혼합하여 코팅액을 완성하는, 코팅액 완성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양이 배변 모래의 제조 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 단계와 상기 분쇄 단계 사이에는,
    카올린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충진재로 상기 건조된 혼합 반죽을 충진시키는, 충진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양이 배변 모래의 제조 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충진재를 제조하는 단계는,
    카올린을 준비한 후 불순물을 제거하는, 준비 단계;
    상기 카올린을 분쇄한 후 탈수 처리하여 건조물을 생성하는, 건조물 생성 단계;
    반응조에 상기 건조물을 투입한 후 5℃/min의 승온 속도로 400℃까지 온도를 올린 다음 1 내지 5시간 동안 열처리하여 1차적으로 활성화시키는, 1차 활성화 단계;
    상기 1차 활성화된 건조물을 반응조에 투입한 후 1000℃까지 승온시킨 다음 5 내지 180분 동안 열처리하여 2차적으로 활성화시키는, 2차 활성화 단계;
    상기 2차 활성화된 건조물을 상온에서 냉각시킨 후 미분쇄하여 제 1 활성 분말을 제조하는, 제 1 활성 분말 제조 단계;
    전체 제 2 활성 분말 중량 대비, 상기 제 1 활성 분말 60 내지 95중량%와 황산암모늄 5 내지 40중량%를 혼합한 후 300 내지 600℃에서 하소 처리하여 제 2 활성 분말을 제조하는, 제 2 활성 분말 제조 단계;
    상기 제 2 활성 분말을 황산 용액에 10 내지 60분 동안 담지시킨 후 여과하여 잔여물을 수득하는, 잔여물 수득 단계;
    상기 잔여물을 물로 세척한 후 건조시켜 충진재를 완성하는, 충진재 완성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양이 배변 모래의 제조 방법.
KR1020180065084A 2018-06-05 2018-06-05 고양이 배변 모래의 제조 방법 KR2019013852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5084A KR20190138525A (ko) 2018-06-05 2018-06-05 고양이 배변 모래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5084A KR20190138525A (ko) 2018-06-05 2018-06-05 고양이 배변 모래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8525A true KR20190138525A (ko) 2019-12-13

Family

ID=688473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5084A KR20190138525A (ko) 2018-06-05 2018-06-05 고양이 배변 모래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138525A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4193B1 (ko) 2020-10-06 2021-07-08 정유진 벤토나이트를 함유한 고양이 모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고양이 모래
KR20210153367A (ko) 2020-06-10 2021-12-17 주식회사 주문진규사 환 형상 고양이 모래 제조 방법
KR20220086884A (ko) * 2020-12-17 2022-06-24 표 송 고양이 모래 첨가물
KR102454146B1 (ko) * 2022-04-05 2022-10-14 오션펄 주식회사 폐패각을 활용한 고양이 모래 제조방법
KR20230010479A (ko) 2021-07-12 2023-01-19 오주현 반려동물 분변 처리를 위한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반려동물 분변 처리를 위한 조성물
KR20230122307A (ko) 2022-02-14 2023-08-22 주식회사 샌드백 벤토나이트를 함유한 고양이 모래
KR20230128645A (ko) 2022-02-28 2023-09-05 주식회사 노바트로스 항균 및 탈취 효과가 우수한 배변모래 비산억제용 조성물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53367A (ko) 2020-06-10 2021-12-17 주식회사 주문진규사 환 형상 고양이 모래 제조 방법
KR102274193B1 (ko) 2020-10-06 2021-07-08 정유진 벤토나이트를 함유한 고양이 모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고양이 모래
KR20220086884A (ko) * 2020-12-17 2022-06-24 표 송 고양이 모래 첨가물
KR20230010479A (ko) 2021-07-12 2023-01-19 오주현 반려동물 분변 처리를 위한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반려동물 분변 처리를 위한 조성물
KR20230122307A (ko) 2022-02-14 2023-08-22 주식회사 샌드백 벤토나이트를 함유한 고양이 모래
KR20230128645A (ko) 2022-02-28 2023-09-05 주식회사 노바트로스 항균 및 탈취 효과가 우수한 배변모래 비산억제용 조성물
KR102454146B1 (ko) * 2022-04-05 2022-10-14 오션펄 주식회사 폐패각을 활용한 고양이 모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138525A (ko) 고양이 배변 모래의 제조 방법
JP2620506B2 (ja) 液体を吸収するための収着剤の製造方法
JP2651350B2 (ja) 収着剤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20110174228A1 (en) Hybrid animal litter composition
US7942113B2 (en) Animal litter composition
JP2010131597A (ja) 吸収性組成物及び長期使用ペット用トイレ砂
CN105813455A (zh) 芳香性粒状物和动物用卫生砂
ES2622095T3 (es) Procedimiento de obtención de una cama para animales de compañía aglomerante de baja densidad y cama así obtenida
JP2607034B2 (ja) 液体を吸収するためのスメクタイトに基づく収着剤の製造方法
EA036234B1 (ru) Композиция наполнителя для клеток для животных, в особенности подходящая для кошек
JPH0797940B2 (ja) 小動物用の排泄物処理材の製造方法
JPH0767489A (ja) ペットの糞尿処理用床
KR102042458B1 (ko) 벤토나이트를 함유한 고양이 모래 및 그 제조방법
CN104396769B (zh) 一种添加樟脑薄荷醇的除臭香味猫砂及其制备方法
JP4175726B2 (ja) ペット用トイレ砂
JPS5974935A (ja) 動物の排泄物処理用材の製法
JP2972945B2 (ja) ペットの排泄物処理材
JP2000300102A (ja) ペット用排泄物処理剤
JP2012213366A (ja) ペット用トイレ砂
JP4748882B2 (ja) 排泄物処理剤
CN106386525A (zh) 一种芳香除菌型豌豆皮复合猫砂及其制备方法
JP2001095410A (ja) 犬猫の糞尿処理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2308736A (ja) ペット用等の排泄物処理材
JPH05260873A (ja) 動物の排泄物処理材
JP3635134B2 (ja) 小動物用トイレ砂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