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4146B1 - 폐패각을 활용한 고양이 모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폐패각을 활용한 고양이 모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4146B1
KR102454146B1 KR1020220042326A KR20220042326A KR102454146B1 KR 102454146 B1 KR102454146 B1 KR 102454146B1 KR 1020220042326 A KR1020220042326 A KR 1020220042326A KR 20220042326 A KR20220042326 A KR 20220042326A KR 102454146 B1 KR102454146 B1 KR 1024541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xture
waste
phytoncide
waste shell
prepa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423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진욱
여수진
안경현
반봉찬
Original Assignee
오션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션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오션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423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414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41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414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15Floor coverings, e.g. bedding-down sheets ; Stable floors
    • A01K1/0152Litter
    • A01K1/0154Litter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1Removal of dung or urine, e.g. from stables
    • A01K1/0107Cat trays; Dog urinals; Toilets for pe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3/00Manure or urine pouches
    • A01K23/005Manure or urine collecting devices used independently from the animal, i.e. not worn by the animal but operated by a pers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Deodorant compositions
    • A61L9/013Deodorant compositions containing animal or plant extracts, or vegetable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5/00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 C04B35/622Forming processe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 C04B35/62204Forming processe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using waste materials or refuse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5/00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 C04B35/622Forming processe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 C04B35/626Preparing or treating the powders individually or as batches ; preparing or treating macroscopic reinforcing agents for ceramic products, e.g. fibres; mechanical aspects section B
    • C04B35/62605Treating the starting powders individually or as mixtures
    • C04B35/6261Mill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5/00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 C04B35/622Forming processe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 C04B35/626Preparing or treating the powders individually or as batches ; preparing or treating macroscopic reinforcing agents for ceramic products, e.g. fibres; mechanical aspects section B
    • C04B35/62605Treating the starting powders individually or as mixtures
    • C04B35/62645Thermal treatment of powders or mixtures thereof other than sintering
    • C04B35/62655Drying, e.g. freeze-drying, spray-drying, microwave or supercritical dry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5/00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 C04B35/622Forming processe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 C04B35/626Preparing or treating the powders individually or as batches ; preparing or treating macroscopic reinforcing agents for ceramic products, e.g. fibres; mechanical aspects section B
    • C04B35/63Preparing or treating the powders individually or as batches ; preparing or treating macroscopic reinforcing agents for ceramic products, e.g. fibres; mechanical aspects section B using additives specially adapted for forming the products, e.g.. binder bind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5/00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 C04B35/622Forming processe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 C04B35/64Burning or sintering process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20/00Technologies relating to chemical industry
    • Y02P20/50Improvements relating to the production of bulk chemicals
    • Y02P20/54Improvements relating to the production of bulk chemicals using solvents, e.g. supercritical solvents or ionic liquid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Botan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폐패각을 활용하여 환경문제 해결은 물론 자원절약, 경제성 확보를 할 수 있고, 모래와 분리하여 배변만 용이하게 폐기할 수 있도록 하면서 상기 폐패각에 생석회,향료,당밀을 첨가하면서 소변과 대변에 의한 악취를 제거하고 고양이 모래 자체의 항균성을 부가하여 고양이 모래가 항상 쾌적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패각을 활용한 고양이 모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폐패각을 활용한 고양이 모래 제조방법{Cat sand manufacturing method}
본 발명은 폐패각을 활용하여 환경문제 해결은 물론 자원절약, 경제성 확보를 할 수 있고, 모래와 분리하여 배변만 용이하게 폐기할 수 있도록 하고 향료, 당밀을 더 첨가하면서 소변과 대변에 의한 악취를 제거하고 고양이 모래 자체의 항균성을 부가하여 고양이 모래가 항상 쾌적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패각을 활용한 고양이 모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그 동안 패각은 폐기물관리법상 사업장 폐기물로 분류돼 다양한 분야에 활용이 제한됐다. 이로 인해 많은 양의 패각이 방치되며 환경 문제가 지속해서 발생했다. 해양수산부에 따르면 매년 30만t이 발생하는 굴 패각 중 일부만 사료나 비료로 활용되고 약 23만t은 그대로 버려진다.
상기 패각을 92만톤을 제철공정에 활용할 경우 소나무 3억그루를 심는 것과 유사한 효과인 약 41만톤의 이산화탄소(CO2) 감축 효과를 거둘 수 있다.
그리하여, 본 발명자는 버려진 폐패각을 재활용하면서 환경문제를 해결하고 모래와 분리하여 배변만 용이하게 폐기할 수 있도록 하면서 악취제거 및 항균효과까지 이룰 수 있는 고양이 모래를 제공하고자 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10-2175936(등록일자:2020년11월02일)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폐패각을 활용하여 환경문제 해결은 물론 자원절약, 경제성 확보를 할 수 있고, 모래와 분리하여 배변만 용이하게 폐기할 수 있도록 하면서 향료,당밀을 더 첨가하면서 소변과 대변에 의한 악취를 제거하고 고양이 모래 자체의 항균성을 부가하여 고양이 모래가 항상 쾌적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패각을 활용한 고양이 모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발명의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실시예1로서,
본 발명은 폐패각을 분쇄하는 단계(S1)와,
상기 분쇄된 폐패각을 소성하여 폐패각 석회석 및 폐패각 생석회를 제조하고 소성된 폐패각 석회석 및 폐패각 생석회를 혼합하여 제1폐패각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S2)와,
상기 분쇄된 제1폐패각혼합 물 90 ~ 95 wt%에 백향목 또는 편백나무 중 선택되는 어느 1종 또는 2종의 피톤치드 향료 5 ~ 10 wt%를 분무 혼합하여 제2폐패각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S3)와,
상기 피톤치드 향료가 분무 혼합된 제2폐패각혼합물 80 ~ 90 wt%에 당밀 희석액 10 ~ 20 wt%을 분무 혼합하여 고양이 모래를 제조하는 단계(S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패각을 활용한 고양이 모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실시예2로서,
본 발명은 폐패각을 분쇄하는 단계(S1)와,
상기 분쇄된 폐패각을 소성하여 폐패각 석회석 및 폐패각 생석회를 제조하고 소성된 폐패각 석회석 60 ~ 70 wt% 및 폐패각 생석회 30 ~ 40 wt%를 혼합하여 제1폐패각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S2)와,
상기 제1폐패각혼합물 90 ~ 95 wt%에 향료혼합물 5 ~ 10 wt%을 분무 혼합하여 제2폐패각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S3)와,
상기 항료혼합물이 분무 혼합된 제2폐패각혼합물 80 ~ 90 wt%에 당밀 희석액 10 ~ 20 wt%를 분무 혼합하여 고양이 모래를 제조하는 단계(S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패각을 활용한 고양이 모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폐패각을 재활용하면서 환경문제를 해결하고 모래와 분리하여 배변만 용이하게 폐기할 수 있도록 하면서 악취제거 및 항균효과까지 이룰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이하, 구체적인 내용을 살펴보도록 한다.
폐패각를 분쇄하는 단계(S1)와,
상기 분쇄된 폐패각을 소성하여 폐패각 석회석 및 폐패각 생석회를 제조하고 소성된 폐패각 석회석 및 폐패각 생석회를 혼합하여 제1폐패각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S2)와,
상기 분쇄된 제1폐패각혼합 물 90 ~ 95 wt%에 백향목 또는 편백나무 중 선택되는 어느 1종 또는 2종의 피톤치드 향료 5 ~ 10 wt%를 분무 혼합하여 제2폐패각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S3)와,
상기 피톤치드 향료가 분무 혼합된 제2폐패각혼합물 80 ~ 90 wt%에 당밀 희석액 10 ~ 20 wt%을 분무 혼합하여 고양이 모래를 제조하는 단계(S4)를 포함한다.
이하, 더욱 구체적인 내용을 살펴보도록 한다.
본 단계S1은 폐패각 석회석 및 폐패각 생석회를 각각 분쇄하는 단계이다.
폐패각, 즉 굴, 가리비조개, 진주조개, 진주담치, 꼬막, 바지락 등의 각종 패각 폐기물을 지칭하는 것으로서,
상기 폐패각 생석회는 파쇄시킨 패각을 800 ~ 1200 ℃ 에서 2 ~ 4시간 동안 소성시킨 소성패각을 200~300nm의 분말로 제조한 것이다.
상기 폐패각 석회석은 파쇄시킨 패각을 800 ~ 1200 ℃, 2 ~ 4시간 소성하여 생석회를 제조한 후, 물과 반응시켜 수산화칼슘를 얻고, 그 후, 수산화칼슘에 염화암모늄을 첨가 반응한 후, 이산화탄소 가스를 공급하여 제조된다.
본 단계 S2는 폐패각 석회석 , 폐패각 생석회를 혼합하여 제1폐패각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이다.
제1폐패각혼합물은 고양이 배설물을 흡수하는 흡수율, 악취 제거, 하기 제시되는 피톤치드 방출의 효율을 위해 상기 폐패각 석회석 60 ~ 70 wt%, 상기 폐패각 생석회 30 ~ 40 wt%를 혼합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1폐패각혼합물 전체 중량대비 폐패각 석회석이 60 wt% 미만이면 배설물을 흡수하고 굳혀 배설물을 용이하게 처리하는 효과가 미미할 수 있고, 70 wt%를 초과하면 과도하게 흡수되어 오히려 악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상기 제시된 한정 범위에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폐패각혼합물 전체 중량대비 폐패각 생석회가 30 wt% 미만이면 탈취 효능이 떨어질 수 있고, 40 wt%를 초과하면 그만큼 폐패각의 함량이 줄어들어 한정범위에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폐패각 석회석은 이산화탄소가 섞인 물과 만나면 액체가 되었다가 수분과 이산화탄소가 증발되면서 다시 굳어진다.
이러한 원리, 곧 녹고 뭉치고 다시 굳는 원리를 이용하여 고양이의 배변을 용이하게 처리하는 효과를 갖는다.
즉, 고양이가 배변을 상기 제1폐패각혼합물을 함유하는 고양이 모래에 누게 되면 배변에 포함되어 있는 수분을 제1폐패각혼합물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고양이 모래가 흡수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본 발명의 고양이 모래가 부피가 팽창되어 덩어리지고 굳어지면서 고양이 삽을 이용해 다른 모래와 분리하여 배변만 용이하게 폐기할 수 있게 한다.
상기 고양이 삽은 하단에 다수개의 구멍이 형성되어 배변을 제외한 모래만을 거를 수 있도록 한 삽으로서, 상기 제시된 바와 같이 본원발명의 고양이 모래가 배변에 포함되는 물과 수화반응을 일으켜 분자의 운동이 활발해지면서 그 체적이 팽창되기 때문에 덩어리가 지게되면 배변만을 용이하게 거를 수 있는 것이다.
이로써, 고양이는 배변이 있는 자리에 또 배변을 누지 않는 습성이 있는데 본 발명의 고양이 모래를 사용할 경우 부피팽창으로 미세한 배변까지 거를 수 있고 살균작용까지 이루어 고양이 모래 전체를 교체하지 않아도 청결한 모래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생석회는 결정구조적으로 각 원자의 결합이 느슨하여, 그 사이를 채우고 있는 수분을 방출시켜도 골격은 그대로 있으므로 다른 미립물질을 흡착할 수가 있다.
또한, 수분을 고열로 방출시킨 생석회는 놓아두기만 해도 주변 냄새가 제거되면, 단단하지만 스폰지처럼 미립물질을 잘 흡수하는 광석이다. 생석회는 악취제거에 가장 많이 사용되는 물질 중 하나이다.
이하,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5를 통해 제1폐패각혼합물의 구체적인 배합예를 표 1을 통해 살펴보도록 한다.
제1폐패각
혼합물을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폐패각 석회석 60 wt% 65 wt% 70 wt% 67 wt% 61 wt%
폐패각 생석회 40 wt% 35 wt% 30 wt% 33 wt% 39 wt%
합계 100 wt% 100 wt% 100 wt% 100 wt% 100 wt%
제1폐패각혼합물은 고양이 배설물을 흡수하는 흡수율, 악취 제거, 하기 제시되는 피톤치드 방출의 효율을 높인 바람직한 비율은,
실시예2로서, 제1폐패각혼합물 전체 중량 대비 상기 폐패각 석회석 70 wt%, 폐패각 생석회 30 wt%로 혼합하여 이루어진다.
본 단계 S3은 제2폐패각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이다.
상기 분쇄된 제1폐패각혼합물 90 ~ 95 wt%에 백향목 또는 편백나무 중 선택되는 어느 1종 또는 2종의 피톤치드 향료 5 ~ 10 wt%를 분무 혼합하여 제2폐패각혼합물을 제조한다.
백향목은 소나뭇과(科)에 속하는 상록수. 레바논 삼목을 가리킨다. 다 자라면 높이가 약 40m, 둘레가 10m 이상 될 만큼 그 위용을 자랑하게 되는데 과연 성지의 수목(樹木) 중 왕자라 불릴 만하다(사 2:13; 겔 17:22). 또 수직으로 자라는 줄기는 지상 2-3m 부근에서부터 수평으로 뻗는 가지를 내고 전체적으로 돔형을 이룬다(겔 31:3). 그 열매는 10-15㎝ 가량 되고 익는데 3년 정도 걸리며 그 수지(樹脂)는 방향(芳香)이 있어 온 숲속에 상쾌한 기운을 조성하며 피톤치드 물질이 함유되어 살균작용이 우수하다.
편백나무는 세균에 대한 항균 및 살균 작용이 뛰어나 웰빙용품 소재로 많이 사용 된다. 일본에서 최고급 내장제로 사용되어 왔으며, '히노끼' 라고도 불린다. 편백나무에는 피톤치드라는 천연 항균물질이 많이 함유되어 있어 살균 작용이 뛰어나고, 내수성이 강해 물에 닿으면 고유의 향이 진하게 퍼져 잡냄새도 없애준다.
상기 피톤치드 향료는, 백향목 또는 편백나무를 혼합한 피톤치드 혼합물을 22 ~ 30 ℃로 건조한 후, 상기 건조된 피톤치드 혼합물을 0.1 ~ 1 ㎜의 크기로 파쇄한 후,
그 패쇄된 건조된 피톤치드 혼합물을 온도 52 ~ 55 ℃, 압력 110 ~ 150 bar 하에서 초임계 이산화탄소로 1차 추출하여 피톤치드 1차 추출물을 제조하고,
상기 피톤치드 1차 추출물을 42 ~ 51 ℃의 온도 및 110 ~ 195 bar의 압력 하에서 초임계 이산화탄소로 2차 추출하여 피톤치드 오일을 제조한 후,
피톤치드 오일 20 ~ 30 wt%, 글리세린 10 ~ 20 wt% 및 물 50 ~ 60 wt%을 혼합하여 제조한다.
상기 피톤치드 향료는 생석회 내부에 침착되어 항균 작용 및 고양이 배설물에 의한 악취 제거를 할 수 있다.
상기 제2폐패각혼합물 전체 중량 대비 제1폐패각혼합물이 90 wt% 미만이면 고양이 모래를 제조하는 것이 힘들 수 있고, 95 wt%를 초과하면 그 만큼 피톤치드 향료의 첨가율이 줄어드므로서, 한정범위에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폐패각혼합물 전체 중량 대비 피톤치드 향료가 5 wt% 미만이면 항균 작용 및 고양이 배설물에 의한 악취 제거 효과가 미미할 수 있고, 10 wt%를 초과하면 그에 따른 특별한 효과가 없어 경제적 손실이다.
본 단계 S4는 고양이 모래를 제조하는 단계이다
상기 피톤치드 향료가 분사된 제2폐패각혼합물 80 ~ 90 wt%에 당밀 희석액 10 ~ 20 wt%을 분무하여 고양이 모래를 제조한다.
당밀 희석액은 폐패각 표면에 코팅되는데, 당밀은 알칼리성이므로 폐패각 표면에 코팅된 후 고양이가 폐패각에 소변을 볼 경우, 산성을 띄는 고양이 소변을 중화시켜 냄새를 야기 하는 박테리아를 억제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고양이 모래 전체 중량 대비 당밀 희석액이 10 wt% 미만이면 소변냄새 중화 및 박테리아 억제 효과가 미미할 수 있고, 20 wt%을 초과하면 그에 따른 특별한 효과가 없어 한정 범위에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제조된 고양이 모래는 고양이 배설물만 용이하게 거를 수 있고, 항균, 탈취효과 뛰어난 쾌적한 고양이 모래를 제조할 수 있다 .
[실시예 2]
본 발명은 실시예2로서,
폐패각 석회석 및 폐패각 생석회를 각각 분쇄하는 단계(S1)와,
상기 분쇄된 폐패각 석회석 60 ~ 70 wt% 및 폐패각 생석회 30 ~ 40 wt%를 소성 혼합하여 제1폐패각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S2)와,
상기 제1폐패각혼합물 90 ~ 95 wt%에 향료혼합물 5 ~ 10 wt%을 분무 혼합하여 제2폐패각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S3)와,
상기 항료혼합물이 분무 혼합된 제2폐패각혼합물 80 ~ 90 wt%에 당밀 희석액 10 ~ 20 wt%를 분무 혼합하여 고양이 모래를 제조하는 단계(S4)를 포함한다.
실시예2는 실시예1과 동일하되, 피톤치드 향료가 향료혼합물로 대체되는 것으로서,
상기 향료혼합물은,
백향목 40 ~ 60 wt% 및 편백나무 40 ~ 60 wt%를 혼합한 피톤치드 혼합물을 22 ~ 30 ℃로 건조한 후, 상기 건조된 피톤치드 혼합물을 0.1 ~ 1 ㎜의 크기로 파쇄한다.
그 후, 패쇄된 건조된 피톤치드 혼합물을 온도 52 ~ 55 ℃, 압력 110 ~ 150 bar 하에서 초임계 이산화탄소로 1차 추출하여 피톤치드 1차 추출물을 제조하고,
상기 피톤치드 1차 추출물을 42 ~ 51 ℃의 온도 및 110 ~ 195 bar의 압력 하에서 초임계 이산화탄소로 2차 추출하여 제조되는 피톤치드 오일을 제조한다.
또한, 해방풍 1 ~ 30 wt%, 질경이 1 ~ 30 wt%, 성산나무잎 1 ~ 30 wt%, 와송 1 ~ 30 wt% 및 어성초 1 ~ 30 wt%를 혼합하여 80 ~ 90 ℃로 건조한 후, 분쇄한 분쇄건조산야초혼합물을 100 ~ 120 ℃로 중탕하여 제조된 산야초 추출물을 제조한다.
또한, 베고니아 꽃잎 1 ~ 20 wt%, 팬지 꽃잎 1 ~ 20 wt%, 장미 꽃잎 1 ~ 20 wt%, 제라늄 꽃잎 1 ~ 20 wt%, 쟈스민 꽃잎 1 ~ 20 wt%, 금어초 꽃잎 1 ~ 20 wt% 및 한련화 꽃잎 1 ~ 20 wt%을 혼합하고 30 ~ 40 ℃로 건조한 후, 상기 건조된 꽃잎 혼합물을 100 ~ 120 ℃로 중탕하여 제조된 „˜잎 추출물을 제조한다.
그 후, 상기 피톤치드 오일 10 ~ 30 wt%, 산야초 추출물 5 ~ 10 wt%, 꽃잎 추출물 5 ~ 15 wt%, 글리세린 10 ~ 20 wt% 및 물 50 ~ 60 wt%을 혼합하여 향료 혼합물을 제조한다.
상기 해방풍은 갯방풍이라도 불리우며, 뿌리로 가늘고 긴원기둥모양이고, 길이 10~20cm, 지름 0.5 ~ 1.5cm이다. 바깥 면은 연한 황백색이고 겉껍질이 남아있는 것이 많으며, 겉껍질을 제거하지 않은 것은 바깥 면이 황갈색이며 항균 효과가 있다.
상기 질경이는 풀밭이나 길가, 또는 빈터에서 자란다. 줄기는 없고, 잎은 뿌리에서 뭉쳐 나오며 타원 모양 또는 달걀 모양이고 길이가 4∼15cm, 폭이 3∼8cm이며 5개의 나란히맥이 뚜렷하고 가장자리에 물결 모양의 톱니가 있으며 항균 효과가 있다.
상기 와송은 바위솔 Orostachys japonicus A. Berger 또는 기타 동속식물 (돌나물과 Crassulaceae)의 전초이다. 전초로 줄기는 가는 원기둥모양으로 길이 10~30cm, 지름 0.3~0.6cm이다. 잎은 다육질이고 바깥 면은 연한 녹색이나 때로 보라색을 띠는 것도 있다. 뿌리잎은 뭉쳐나고 끝은 뾰족하며 원줄기의 잎은 다닥다닥 달리며 잎자루는 없고 마른잎은 쉽게 부서진다. 꽃은 수상화서이다. 냄새가 없고 맛은 약간 시며 항균 효과가 있다.
어성초는 다른 말로 약모밀, 중약초, 즙채 등이 있으며 주로 응달진 숲속에서 서식한다. 땅속줄기가 옆으로 길게 뻗고 가늘며 줄기는 곧게 서고 높이가 20∼50cm이며, 몇 개의 세로줄이 있고, 냄새가 난다. 잎은 어긋나고 길이가 3∼8cm이고 끝이 뾰족하며 가장자리가 밋밋하고 턱잎이 잎자루 밑 부분에 붙어 있으며 항균 효과가 있다.
상기 피톤치드 오일에 산야초 추출물을 더 포함하면서 본 발명의 고양이 모래 자체의 항균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꽃잎 추출물을 통해 고양이 모래 자체의 향기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배설물에 의한 악취 제거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향료혼합물 전체 중량 대비 피톤치드 오일이 10 wt% 미만이면 항균 및 향 발산을 통한 악취제거 효과가 미미할 수 있고, 30 wt%을 초과하면 그에 따른 특별한 효과가 없어 경제적 손실이다.
향료혼합물 전체 중량 대비 상기 산야초 추출물이 5 wt% 미만이면 항균효과가 미미할 수 있고, 10 wt%을 초과하게 되면 항균 효과는 우수해질 수 있으나 타 혼합물의 합량이 그만큼 줄어들어 악취제거 효과가 미미해질 수 있으므로서 한정범위에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향료혼합물 전체 중량 대비 꽃잎 추출물이 5 wt% 미만이면 악취제거 효과가 미미해질 수 있고, 15 wt%을 초과하면 그에 따른 특별한 효과가 없어 무의미하다.
이하, 향료혼합물에 대한 구체적인 배합예를 표2를 통해 살펴보도록 한다.
향료 혼합물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피톤치드 오일 10 wt% 20 wt% 30 wt% 10 wt%
산야초 추출물 10 wt% 5 wt% 5 wt% 5 wt%
꽃잎 추출물 10 wt% 5 wt% 5 wt% 5 wt%
글리세린 10 wt% 20 wt% 20 wt% 20 wt%
60 wt% 50 wt% 40 wt% 60 wt%
합계 100 wt% 100 wt% 100 wt% 100 wt%
이때, 향료혼합물의 가장 바람직한 배합비는 실시예 4로서, 악취제거, 항균효율이 가장 우수했다.
폐패각를 분쇄하는 단계(S1)와,
상기 분쇄된 폐패각을 소성하여 폐패각 석회석 및 폐패각 생석회를 제조하고 소성된 폐패각 석회석 60 ~ 70 wt% 및 폐패각 생석회 30 ~ 40 wt%를 혼합하여 제1폐패각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S2)와,
상기 제1폐패각혼합물 90 ~ 95 wt%에 향료혼합물 5 ~ 10 wt%을 분무 혼합하여 제2폐패각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S3)와,
상기 항료혼합물이 분무 혼합된 제2폐패각혼합물 80 ~ 90 wt%에 당밀 희석액 10 ~ 20 wt%를 분무 혼합하여 고양이 모래를 제조하는 단계(S4)를 포함한다.
상기 향료혼합물은,
백향목 40 ~ 60 wt% 및 편백나무 40 ~ 60 wt%를 혼합한 피톤치드 혼합물을 22 ~ 30 ℃로 건조한 후, 상기 건조된 피톤치드 혼합물을 0.1 ~ 1 ㎜의 크기로 파쇄한 후,
그 패쇄된 건조된 피톤치드 혼합물을 온도 52 ~ 55 ℃, 압력 110 ~ 150 bar 하에서 초임계 이산화탄소로 1차 추출하여 피톤치드 1차 추출물을 제조하고,
상기 피톤치드 1차 추출물을 42 ~ 51 ℃의 온도 및 110 ~ 195 bar의 압력 하에서 초임계 이산화탄소로 2차 추출하여 제조되는 피톤치드 오일 10 ~ 30 wt%와,
해방풍 1 ~ 30 wt%, 질경이 1 ~ 30 wt%, 성산나무잎 1 ~ 30 wt%, 와송 1 ~ 30 wt% 및 어성초 1 ~ 30 wt%를 혼합하여 80 ~ 90 ℃로 건조한 후, 분쇄한 분쇄건조산야초혼합물을 100 ~ 120 ℃로 중탕하여 제조된 산야초 추출물 5 ~ 10 wt%와,
베고니아 꽃잎 1 ~ 20 wt%, 팬지 꽃잎 1 ~ 20 wt%, 장미 꽃잎 1 ~ 20 wt%, 제라늄 꽃잎 1 ~ 20 wt%, 쟈스민 꽃잎 1 ~ 20 wt%, 금어초 꽃잎 1 ~ 20 wt% 및 한련화 꽃잎 1 ~ 20 wt%을 혼합하고 30 ~ 40 ℃로 건조한 후, 상기 건조된 꽃잎 혼합물을 100 ~ 120 ℃로 중탕하여 제조된 „˜잎 추출물 5 ~ 15 wt%와,
상기 피톤치드 오일 10 ~ 30 wt%, 산야초 추출물 5 ~ 10 wt%, 꽃잎 추출물5 ~ 15 wt%, 글리세린 10 ~ 20 wt% 및 물 50 ~ 60 wt%을 혼합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렇게 제조된 본 발명의 고양이 모래는 고양이의 배변만을 용이하게 거를 수 있는 동시에 소변과 배변의 악취를 제거하고 향기를 발산 시켜 쾌적한 공간으로 항상 가꾸어줄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고양이 모래의 악취제거 성능을 시험예 1을 통해 살펴보도록 한다.
시험예 1의 활용된 고양이 모래는, 각각 분쇄된 폐패각 석회석 70 wt%, 폐패각 생석회 30 wt%를 혼합하여 제조되는 제1폐패각혼합물과,
상기 제1폐패각혼합물 95 wt%에 향료혼합물 5 wt%을 분무 혼합하여 제조되는 제2폐패각혼합물와,
상기 제2폐패각혼합물 90 wt%에 당밀 희석액 10 wt%를 분무 혼합하여 제조되는 고양이 모래를 활용하였다.
[시험예 1]
(소취력 평가)
고양이 배변 또는 소면에 따른 악취 평가는 ,
악취원으로는 암모니아(암모니아 검지관 사용, 00.2% (수용액 06 mL 사용), 아민(아민류 검지관 사용, 04 % 수용액 06 mL사용), 머캅탄(벤젠용액, 0.1 mL)를 사용하였다.
밀폐된 용기에 시험예 1의 활용된 고양이 모래를 넣고 동량의 악취원을 각각 넣은 후, 일정시간 뒤 소취되지 않은 악취의 잔류량을 검지관에 흡입시켜 잔류 가스 농도를 측정하여 하기의 평가기준에 의해 평가하였다.
이때 측정결과는 다음에 표 3에 제시된 평가기준표에 따라 표시했다.
구분
80 ppm 초과 소취력 효능 없음
50~80 ppm 소량의 소취력
20~50 ppm 소취력 확실
시험결과 본 발명의 시험예 1의 활용된 고양이 모래는 24.3 ppm으로서, 확실한 소취력을 가졌다. 이로서, 고양이 모래는 고양이 배변 또는 소변에 의한 악취효능을 가진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은 폐패각을 재활용하면서 환경문제를 해결하고 모래와 분리하여 배변만 용이하게 폐기할 수 있도록 하면서 악취제거 및 항균효과까지 이룰 수 있어 산업상 이용 가능성이 매우 크다.

Claims (7)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폐패각을 분쇄하고,상기 분쇄된 폐패각을 소성하여 폐패각 석회석 및 폐패각 생석회를 제조하고,
    상기 소성된 폐패각 석회석 70 wt% 및 폐패각 생석회 30 wt%를 혼합하여 제1폐패각혼합물을 제조한 후,
    상기 제1폐패각혼합물 95 wt%에 향료혼합물 5 wt%을 분무 혼합하여 제2폐패각혼합물을 제조하고,
    상기 향료혼합물이 분무 혼합된 제2폐패각혼합물 90 wt%에 당밀 희석액 10 wt%를 분무 혼합하여 고양이 모래를 제조하는 것이고,
    상기 향료혼합물은, 백향목 40 ~ 60 wt% 및 편백나무 40 ~ 60 wt%를 혼합한 피톤치드 혼합물을 22 ~ 30 ℃로 건조한 후, 상기 건조된 피톤치드 혼합물을 0.1 ~ 1 ㎜의 크기로 파쇄한 후,
    그 파쇄된 피톤치드 혼합물을 온도 52 ~ 55 ℃, 압력 110 ~ 150 bar 하에서 초임계 이산화탄소로 1차 추출하여 피톤치드 1차 추출물을 제조하고.
    상기 피톤치드 1차 추출물을 42 ~ 51 ℃의 온도 및 110 ~ 195 bar의 압력 하에서 초임계 이산화탄소로 2차 추출하여 제조되는 피톤치드 오일 10 ~ 30 wt%;

    해방풍 1 ~ 30 wt%, 질경이 1 ~ 30 wt%, 성산나무잎 1 ~ 30 wt%, 와송 1 ~ 30 wt% 및 어성초 1 ~ 30 wt%를 혼합하여 80 ~ 90 ℃로 건조한 후, 분쇄한 분쇄건조산야초혼합물을 100 ~ 120 ℃로 중탕하여 제조된 산야초 추출물 5 ~ 10 wt%;

    베고니아 꽃잎 1 ~ 20 wt%, 팬지 꽃잎 1 ~ 20 wt%, 장미 꽃잎 1 ~ 20 wt%, 제라늄 꽃잎 1 ~ 20 wt%, 쟈스민 꽃잎 1 ~ 20 wt%, 금어초 꽃잎 1 ~ 20 wt% 및 한련화 꽃잎 1 ~ 20 wt%을 혼합하고 30 ~ 40 ℃로 건조한 후, 상기 건조된 꽃잎 혼합물을 100 ~ 120 ℃로 중탕하여 제조된 꽃잎 추출물 5 ~ 15 wt%;

    상기 피톤치드 오일 10 ~ 30 wt%, 산야초 추출물 5 ~ 10 wt%, 꽃잎 추출물5 ~ 15 wt%, 글리세린 10 ~ 20 wt% 및 물 50 ~ 60 wt%을 혼합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패각을 활용한 고양이 모래 제조방법








  7. 삭제
KR1020220042326A 2022-04-05 2022-04-05 폐패각을 활용한 고양이 모래 제조방법 KR1024541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2326A KR102454146B1 (ko) 2022-04-05 2022-04-05 폐패각을 활용한 고양이 모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2326A KR102454146B1 (ko) 2022-04-05 2022-04-05 폐패각을 활용한 고양이 모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54146B1 true KR102454146B1 (ko) 2022-10-14

Family

ID=835998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2326A KR102454146B1 (ko) 2022-04-05 2022-04-05 폐패각을 활용한 고양이 모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414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8005B1 (ko) 2023-02-16 2023-09-13 박진희 패각을 이용한 모래 제조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11644A (ko) * 2011-07-22 2013-01-30 전한택 식물추출물 및 식물성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잔디 병해 방제용 조성물
KR20160088114A (ko) * 2015-01-15 2016-07-25 이대경 편백나무 추출액을 함유하는 기능성 조성물
KR101862344B1 (ko) * 2017-03-29 2018-05-29 (주)드롤푸드 두부 비지를 이용한 반려동물 분뇨 처리제의 제조방법
KR20190138525A (ko) * 2018-06-05 2019-12-13 주식회사 부강아이엔씨 고양이 배변 모래의 제조 방법
KR102175936B1 (ko) 2020-02-04 2020-11-06 박안수 폐패각을 이용한 재활용 패각분말의 제조방법
KR102225823B1 (ko) * 2020-06-10 2021-03-09 박상호 애완동물용 모래 냄새 제거제를 이용한 애완동물 화장실용 모래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11644A (ko) * 2011-07-22 2013-01-30 전한택 식물추출물 및 식물성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잔디 병해 방제용 조성물
KR20160088114A (ko) * 2015-01-15 2016-07-25 이대경 편백나무 추출액을 함유하는 기능성 조성물
KR101862344B1 (ko) * 2017-03-29 2018-05-29 (주)드롤푸드 두부 비지를 이용한 반려동물 분뇨 처리제의 제조방법
KR20190138525A (ko) * 2018-06-05 2019-12-13 주식회사 부강아이엔씨 고양이 배변 모래의 제조 방법
KR102175936B1 (ko) 2020-02-04 2020-11-06 박안수 폐패각을 이용한 재활용 패각분말의 제조방법
KR102225823B1 (ko) * 2020-06-10 2021-03-09 박상호 애완동물용 모래 냄새 제거제를 이용한 애완동물 화장실용 모래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8005B1 (ko) 2023-02-16 2023-09-13 박진희 패각을 이용한 모래 제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38476B1 (ko) 산야초 효소를 이용한 가축 사료첨가제 분말의 제조방법
CN109566426A (zh) 一种除臭型植物猫砂及其制备方法
CA2914547A1 (en) Bio-available mineral fertilizer and derivative applications, including product processes
KR101655117B1 (ko) 애완동물용 건어포 또는 육포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애완동물용 건어포 또는 육포
KR102454146B1 (ko) 폐패각을 활용한 고양이 모래 제조방법
CN113209812A (zh) 宠物用生物除臭颗粒及其制备方法
ES2796744T3 (es) Procedimiento para la producción de gránulos superabsorbentes y/o de un material fibroso a partir de residuos de cultivos
EP1867230A2 (en) A natural product having a fungus inhibiting effect on specific fungal pathogens and a growth promoting effect for improving plant production
CN110090315A (zh) 一种植物萃取液除臭剂
Oviasogie et al. Production, utilization and acceptability of organic fertilizers using palms and shea tree as sources of biomass
CN108935133A (zh) 一种玉米芯植物猫砂及制备方法
KR20170001311A (ko) 농업용 다기능성 멀칭지 및 그 제조방법
CN106178928A (zh) 一种可控天然生物除味除甲醛产品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101754717B1 (ko) 식물생장 촉진용 조성물
CN102728216A (zh) 用于畜禽舍的气体清除剂
Sannigrahi Beneficial utilization of elephant dung through vermicomposting
Raj et al. Invasive alien weeds as bio-resource: A review
CN105944132A (zh) 一种杀菌除臭气雾剂及其制备方法
CN113816654A (zh) 膨润土基复合猫砂及其制备方法
Singh Handbook on vermicomposting: Requirements, methods, advantages and applications
CN104151013B (zh) 生物有机质回土改良肥及其制作方法和发酵箱
CN114682066A (zh) 一种快速高效植物提取液除臭剂的配制方法
Sannigrahi Biodegradation of leaf litter of tree species in presence of cow dung and earthworms
CN103734291B (zh) 水溶性荔枝复方纳米保鲜剂制备方法及其应用
KR101176401B1 (ko) 폐기 꽃게와 한약재를 이용한 농업용 비료의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