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30927A - 두부 부산물과 항균물질을 이용한 고양이 모래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두부 부산물과 항균물질을 이용한 고양이 모래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30927A
KR20200030927A KR1020180109768A KR20180109768A KR20200030927A KR 20200030927 A KR20200030927 A KR 20200030927A KR 1020180109768 A KR1020180109768 A KR 1020180109768A KR 20180109768 A KR20180109768 A KR 20180109768A KR 20200030927 A KR20200030927 A KR 202000309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composition
sand
present
c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97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현
윤분도
김인호
박화정
이은진
이성표
이진수
박향미
Original Assignee
김상현
윤분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상현, 윤분도 filed Critical 김상현
Priority to KR10201801097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30927A/ko
Publication of KR202000309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092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1Removal of dung or urine, e.g. from stables
    • A01K1/0107Cat trays; Dog urinals; Toilets for pe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15Floor coverings, e.g. bedding-down sheets ; Stable floors
    • A01K1/0152Litter
    • A01K1/0155Litter comprising organic material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두부 부산물인 비지와 항균물질을 이용함으로써, 흡수력 및 응고력이 뛰어나고, 유해 먼지가 발생하지 않으며, 배변 처리 시 냄새가 저감되고, 나아가 뛰어난 생분해성, 원료 수급의 용이성, 제품화 용이성 등을 갖는 고양이 모래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고양이 모래 조성물은, 비지 60 ~ 88.5 중량%, 항균물질 5.5 ~ 15 중량%, 녹말 5 ~ 15 중량%, 구연산 0.5 ~ 5 중량% 및 칼슘카보네이트 0.5 ~ 5 중량%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두부 부산물과 항균물질을 이용한 고양이 모래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CAT LITT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고양이(또는 기타 반려동물)의 배변 처리를 위한 고양이 모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두부 부산물인 비지와 항균물질을 이용함으로써, 흡수력 및 응고력이 뛰어나고, 유해 먼지가 발생하지 않으며, 배변 처리 시 냄새가 저감되고, 나아가 뛰어난 생분해성, 원료 수급의 용이성, 제품화 용이성 등을 갖는 고양이 모래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대 사회에 들어서 개, 고양이를 비롯한 반려동물들은 그 명칭의 변화에서도 알 수 있듯이 단순한 애완용 동물이 아닌 가족의 일원으로 인식되고 있으며, 이러한 추세를 반영하듯, 반려동물에 대한 수요 및 관심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이 중에서도 개와 고양이는 가장 대표적인 반려동물들인데, 국내 반려동물 보육가구는 약 457만 가구로, 전체 가구 중 21.8%를 차지하고 있고, 이 중 반려묘 가구는 29.9%로 약 136만 가구가 있다. 또한 반려묘의 수 또한 약 189만 마리로 2012년보다 약 63.7%가 증가했다.(참조, 2015년 동물보호에 대한 국민의식 결과보고, 농림축산검역본부)
한편, 고양이는 배변 후 대소변을 흙속에 묻는 특성이 있기 때문에, 고양이 모래는 고양이를 키우는 데에 있어서 필수품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러한 고양이 모래는 크게 응고형과 흡수형이 있는데, 응고형은 수분이 닫으면 굳어버리는 타입으로, 대표적으로 벤토나이트 모래가 이에 해당한다. 또한 흡수형은 수분을 흡수하여 부풀어 오르는 타입으로, 대표적으로 펠렛과 실리카겔이 이에 해당한다. 이 중 벤토나이트 모래가 전체 고양이 모래 시장에서 약 70%를 차지하고 있으며, 흡수형 모래들은 약 30% 내외로 상대적으로 미미하다.
고양이 모래에 관한 종래의 기술로, 공개특허 제10-2017-0091842호(2017년08월10일)(종래기술)가 있는데, 종래기술은 입상의 모래형태를 이루도록 하여 애완용 모래 사용 시 발생되는 분진을 최소화 하며, 분진에 의해 발생되는 각종 질병을 방지함과 동시에 모래 제품에 대한 사용에 대한 편리성과 취급이 용이하도록 한 새로운 형태의 고양이 모래를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기술은 벤토나이트를 활용한다는 점에서 종래기술과 크게 다르지 않으며, 종래기술을 포함하는 종래의 기술들은 흡수력과 응고력의 한계, 유해 먼지 발생 문제, 사막화 현상, 그리고 생분해가 잘되지 않아 배변물을 매립을 통해 처리해야 한다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종래의 고양이 모래에 비하여 흡수력 및 응고력이 뛰어나고, 유해 먼지가 발생하지 않으며, 배변 처리 시 냄새가 저감되고, 나아가 뛰어난 생분해성, 원료 수급의 용이성 등을 갖는 고양이 모래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원료 수급이 매우 용이하고, 그 제조 과정이 매우 단순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용이하게 제품화를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의 해결을 목적으로 하는 본 발명은 다음이 구성, 단계 및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고양이 모래 조성물은, 비지 60 ~ 88.5 중량%, 항균물질 5.5 ~ 15 중량%, 녹말 5 ~ 15 중량%, 구연산 0.5 ~ 5 중량% 및 칼슘카보네이트 0.5 ~ 5 중량%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항균물질은 치자 0.5 ~ 5 중량% 및 페퍼민트 5 ~ 10 중량%를 포함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비지는 수분 함유량이 30 ~ 50%인 것이 사용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고양이 모래 조성물의 제조 방법은, 상기 비지를 선별하고, 선별된 비지를 세척하고, 함유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비지를 건조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비지, 항균물질, 녹말, 구연산, 칼슘카보이네이트를 혼합하는 단계, 그리고 혼합된 모래 혼합물을 기 설계된 형상으로 성형하는 단계, 그리고 성형된 고양이 모래를 열풍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구성, 단계 및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은 비지에 함유된 콩 지지 성분을 통해 흡수력 및 응고력이 뛰어나고, 100% 천연 재료로 구성되어 유해 먼지가 발생하지 않으며, 항균물질에 의하여 배변 처리 시 냄새가 저감되고, 나아가 100% 천연 재료로 구성된 까닭에 뛰어난 생분해성이 우수하며, 두부 공장에서 산업 폐기물로 처리되는 비지를 주원료로 하기 때문에 원료 수급의 용이성을 갖고, 나아가 그 제조 과정이 단순하여 제품화가 용이하다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고양이 모래 조성물의 제조 방법의 각 단계를 도시한 도면.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제1~, ~제2~ 등은 서로 다른 구성 요소들임을 구분하기 위해서 지칭할 것일 뿐, 제조된 순서에 구애받지 않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청구범위에서 그 명칭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은 두부 부산물인 비지와 항균물질을 이용함으로써, 흡수력 및 응고력이 뛰어나고, 유해 먼지가 발생하지 않으며, 배변 처리 시 냄새가 저감되고, 나아가 뛰어난 생분해성, 원료 수급의 용이성, 제품화 용이성 등을 갖는 고양이 모래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두부 부산물과 항균물질을 이용한 고양이 모래 조성물(이하 본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이하 본 방법(L))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의 명칭을 고양이 모래로 하고, 그 실시예 역시 고양이로 한정한 것은 개와 고양이가 반려동물 중 상당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는 점, 그 중에서도 특히 배변 활동을 위해 모래를 별도로 준비하는 동물이 고양이라는 점에 기인한 것에 불과하며, 다른 반려동물을 위해 사용되는 것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동일 또는 유사하게 포함하고 있는 발명이 대상 동물을 달리한다고 해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본 조성물은 비지 60 ~ 88.5 중량%, 항균물질 5.5 ~ 15 중량%, 녹말 5 ~ 15 중량%, 구연산 0.5 ~ 5 중량% 및 칼슘카보네이트 0.5 ~ 5 중량%를 포함한다.
각 조성물 별로, 비지는 본 조성물의 주원료로, 두부 제조의 부산물로 대두로부터 두유를 압착하고 남은 찌꺼기로, 대두의 불용성 성분 등 두유로 추출되지 않은 성분과 압착되지 않고 남은 고형분으로 이루어지며, 탄수화물이 약 52%, 단백질이 약 25%, 지방이 약 19% 정도를 함유하고 있다.
비지는 콩 지지의 특성으로 흡수력과 응고력이 뛰어나고, 식이섬유(셀룰로오스)가 풍부하여 수분 흡수에 있어서 특별히 탁월한 효과를 갖기 때문에, 본 조성물의 뛰어난 흡수력과 응고력을 갖출 수 있도록 하며, 특히 천연재료라는 점에서 유해 먼지가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이러한 비지는 본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60 ~ 88.5 중량%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범위 미만으로 사용되는 경우 흡수력과 응고력이 충분히 발현되지 않는 것은 물론 고양이 모래로서 충분한 고형 성분을 갖출 수 없고, 상기 범위를 초과하여 사용되는 경우 기타 조성물의 함량이 너무 낮아져 기타 구성물에 의한 효과가 제대로 발현되지 못한다.
특히 비지는 상기 비지는 수분 함유량이 30 ~ 50%인 것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비지 수분 함유량은 비지의 건조 전 수분 함유량을 의미하며, 수분 함유량이 30% 미만인 경우에는 문제가 될 것이 없으나 일반적이지 않고, 수분 함유량이 50%를 초과하는 경우 비지 건조에 걸리는 시간이 너무 길어져 제조 시간이 지연되는 문제가 있어, 상기 범위를 초과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항균물질은 배변물에서 발생하는 냄새를 저감시키고, 미생물 발효를 억제시키기 위해 첨가되는 구성이다.
이러한 항균물질은 5.5 ~ 15 중량%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그 함량이 상기 범위 미만인 경우 항균 효과가 제대로 발현되지 않고,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본 조성물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비지와 항균물질 간의 조성 밸런스가 깨져, 주원료인 비지를 충분히 포함할 수 없다는 문제가 발생한다.
상기 비지에 관한 설명에서 언급한 바 있듯이, 본 조성물은 천연재료로 구성되어 유해 먼지 발생을 억제하도록 구성되어야 하기 때문에, 항균물질 역시 천연재로로 구성되어야 한다.
항균물질에 관한 구체적인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항균물질은 치자와 페퍼민트를 포함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치자 0.5 ~ 5 중량% 및 페퍼민트 5 ~ 10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치자는 꼭두서니과 식물인 치자나무의 익은 열매를 말린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열매가 분쇄된 형태 또는 분말화된 형태의 치자가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치자는 항균, 항바이러스 특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냄새 저감 및 미생물 발효 억제 효과를 제공한다.
이러한 치자는 0.5 ~ 5 중량%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조성 범위를 벗어나 사용되는 경우, 제품의 적정 색상을 얻기 어려우며, 향균 효과의 밸런스가 무너질 수 있다.
그리고 페퍼민트는 쌍떡잎식물이며 통화식물목 꿀풀과의 여러해살이풀로, 본 발명에서는 이파리를 다져 건조시킨 형태 또는 분말화한 형태의 페퍼민트가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페퍼민트는 멘톨 성분으로 인해 항균 효과가 뛰어나고 방향 효과가 있어 냄새 제거에 탁월하다.
이러한 페퍼민트는 5 ~ 10 중량%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페퍼민트는 고양이가 선호하는 냄새를 발산한다는 점을 고려할 때, 상기 범위 미만으로 사용되는 경우 선호 효과가 미미하고, 상기 범위를 초과하여 사용되는 경우 사용자(인간)의 거부 반응을 초래할 수 있으며, 나아가 상기 범위를 벗어나 사용되는 경우 향균 효과의 밸런스를 무너뜨릴 수 있다.
다음으로, 녹말은 다수의 D-글루코스(포도당)가 축합반응을 일으키면서 길게 연결되어 만들어지는 다당류로서 아밀로오스와 아밀로펙티의 혼합물로, 각 조성물의 혼합을 돕는 혼합 강화제로서 사용되며, 제품화 시에 먼지 발생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녹말은 5 ~ 15 중량%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범위 미만으로 사용되는 경우 혼합력이 약화되고, 상기 범위를 초과하여 사용되는 경우 점도가 과도하게 높아져 적정 강도를 얻을 수 없게 된다.
다음으로, 구연산은 약한 유기산이며, 카복실산의 하나로, 식물의 씨앗이나 과즙 속에 유리상태의 산으로 함유되어 있고, 특히 레몬, 라임 등에 다량 함유되어 있으며, 당분의 미생물 분해를 통해 획득될 수 있다.
본 조성물에서 구연산은 미생물 성장 억제를 통한 보존제로서 사용되며, 그 바람직한 함량은 0.5 ~ 5 중량%가 포함되는 것이다. 구연산의 함량이 상기 범위 미만인 경우 보존 효과가 충분히 발현되지 못하며,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모래가 산성화되는 문제가 있다.
다음으로, 칼슘카보네이트는 칼슘의 탄산염으로, 탄산칼슘이라고도 불리며, 석회유에 이산화탄소를 주입하여 생기는 침전물을 여과, 건조, 미세 분쇄하는 등, 화학적 방법을 통해 획득되는 경질 칼슘카보이네트, 그리고 석회석을 분쇄하는 등, 원석의 분쇄를 통해 획득되는 중질 칼슘카보네이트로 구분된다. 본 발명의 칼슘카보네이트는 경질 또는 중질로 구분하지 않으며, 이 모두를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본 조성물에서 칼슘카보네이트는 고체성분을 희석하기 위한 비활성 고형물질인 벌킹제로서 첨가되며, 또한 산 또는 염기가 추가되어도 pH가 변하지 않도록 완충시키는 완충화제로서 첨가된다. 특히 본 조성물은 구연산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산성화되기 쉬운데, 칼슘카보네이트가 이를 방지해 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칼슘카보네이트는 0.5 ~ 5 중량%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범위 미만으로 사용되면 효과가 미미하고, 상기 범위를 초과하여 사용되는 경우에는 뚜렷한 문제가 발생하지는 않으나, 다른 조성물의 함량이 낮아지는 결과를 초래하며, 경제성이 저하된다.
상기 구성 및 특징을 갖는 본 조성물은 비지의 특성으로 인해 흡수력과 응고력이 뛰어나다. 또한 비지는 두부 제조 산업에서 산업폐기물로 처리되는 비지를 이용하기 때문에 원료 수급의 용이성 및 원가 절감 효과 역시 탁월하다. 또한 비지를 활용하는 것은 제조 공정의 단순화를 제공하여 제품화 용이성을 제고하는 효과도 있다.
또한 비지, 치자, 페퍼민트 등 천연재료로만 구성되기 때문에 유해 먼지가 발생하지 않아 고양이 호흡기 질환 예방에 탁월하며, 생분해 능력이 뛰어나 정화조 처리가 가능하다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치자 및 페퍼민트의 효과로 배변 냄새가 현저하게 저감됨은 물론, 미생물 발효가 억제된다는 효과를 갖는다.
이하 상기 본 조성물의 제조 방법(본 방법(L))에 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방법(L)은 크게 전처리 단계(S1), 비지 건조 단계(S2), 혼합 단계(S3), 성형 단계(S4) 및 모래 건조 단계(S5)를 포함한다.
각 단계 별로, 전처리 단계(S1)는 비지 활용을 위한 전처리 단계로, 비지를 선별하는 비지를 선별 과정, 선별된 비지를 세척하는 세척 과정, 그리고 함유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이물질 제거 과정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 전처리 단계(S1)에서 이물질 제거 과정은 선별 과정 및 세척 과정 중 또는 직후에 실시될 수 있으며, 이에 이물질 제거 과정은 선별 과정 중 또는 직후에 수행되는 1차 이물질 제거 과정과, 세척 과정 중 또는 직후에 수행되는 2차 이물질 제거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비지 건조 단계(S2)는 전처리 단계(S1)에서 선별 및 세척된 비지를 열풍 건조하는 단계로, 항균물질, 녹말, 구연산 및 칼슘카보나이트 등과 같은 기타 조성물과의 혼합에 적합하게 건조화되는 단계이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비지 건조 단계(S2)를 거치기 전 비지의 수분 함량은 30 ~ 50%인 것이 바람직하며, 그리고 상기 비지 건조 단계(S2)를 거친 비지의 수분 함량은 15 내지 20%인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혼합 단계(S3)는 건조된 비지와, 항균물질, 녹말, 구연산, 칼슘카보이네이트를 혼합하는 단계로, 상기 구성들은 혼합조에서 혼합되며, 그 배합비는 상기 본 조성물의 성분비에 기재된 바와 같다.
다음으로, 성형 단계(S4)는 혼합된 모래 혼합물을 기 설계된 형상으로 성형하는 단계로. 모래 혼합물은 혼합조에 투입된 비지, 항균물질, 녹말, 구연산, 칼슘카보이네이트의 혼합에 의하여 구성되며, 막대형, 구형, 구 유사형(타원 구체 등), 육면체형 등 다양한 형태로 성형될 수 있다.
다음으로, 모래 건조 단계(S5)는 성형된 고양이 모래를 열풍 건조하는 단계로, 여기에서 고양이 모래는 모래 혼합물이 상기 성형 단계(S4)를 거쳐 특정 형상을 갖도록 가공된 것을 의미하며, 상기 모래 건조 단계(S5)에서 건조된 고양이 모래는 최종 검수, 출하 검사 등과 같은 소정의 마무리 단계 및 포장 단계를 거쳐 제조 완료될 수 있다.
상기 단계를 포함하는 본 방법(L)은 흡수력 및 응고력이 뛰어나고, 유해 먼지가 발생하지 않으며, 배변 처리 시 냄새가 저감되고, 나아가 뛰어난 생분해성, 원료 수급의 용이성을 갖는 고양이 모래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도록 한다는 효과를 갖고, 특히 방법적으로는 제조 공정이 단순하게 구성되어 제품화가 용이하다는 장점을 갖는다.
이하 상기 본 조성물 및 본 방법의 효과를 입증하기 위한 실험예를 소개하기로 한다.
[실험예]
상기한 본 조성물 및 본 방법에 따라, 비지 74 중량%, 치자 3 중량%, 페퍼민트 7 중량%, 녹말 10 중량%, 구연산 3 중량% 및 칼슘카보네이트 3 중량%의 조성비를 갖는 고양이 모래를 제조하였다.
이 후 제조된 고양이 모래를 현재 시판되고 있는 벤토나이트 모래, 우드 펠렛 모래, 실리카 겔 모래와 비교(비교예)하였다. 비교 항목으로는 흡수력, 응고력, 탈취력, 먼지 발생, 사막화현상, 처리를 선정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의 표 1과 같이 나타났다.
  벤토나이트 우드펠렛 실리카겔 콩비지
흡수력 있음 느림 빠름 빠름
응고력 있음 약간 약간 있음
탈취력 있음 없음 있음 있음
먼지발생 있음 없음 없음 약간
사막화현상 있음 없음 없음 없음
처리 매립 매립 매립 화장실
상기 결과표를 참고하면, 본 발명은 벤토나이트 및 우드펠렛과 비교하여 흡수력이 우수하고, 우드펠렛 및 실리카겔과 비교하여 응고력이 우수하며, 탈취력이 있고, 먼지 발생이 약간 있지만 유해 먼지가 아니었으며, 사막화 현상이 없고, 특히 시판되는 비교예들은 매립을 통해 처리했어야 한다는 것과 달리 생분해가 월등하여 정화조 처리가 가능하다는 장점을 갖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상기 실험예를 통해 본 조성물 및 본 방법은 흡수력 및 응고력이 뛰어나고, 유해 먼지가 발생하지 않으며, 배변 처리 시 냄새가 저감되고, 나아가 뛰어난 생분해성을 갖는다는 것이 입증되었다.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은 통상의 기술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두부 부산물과 항균물질을 이용한 고양이 모래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CAT LITT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laims (4)

  1. 비지 60 ~ 88.5 중량%; 및
    항균물질 5.5 ~ 15 중량%;
    녹말 5 ~ 15 중량%;
    구연산 0.5 ~ 5 중량%; 및
    칼슘카보네이트 0.5 ~ 5 중량%;
    를 포함하는 고양이 모래 조성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항균물질은 치자 0.5 ~ 5 중량% 및 페퍼민트 5 ~ 10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양이 모래 조성물.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비지는 수분 함유량이 30 ~ 50%인 것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양이 모래 조성물.
  4.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고양이 모래 조성물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비지를 선별하고, 선별된 비지를 세척하고, 함유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단계;
    상기 비지를 건조하는 단계;
    상기 비지, 항균물질, 녹말, 구연산, 칼슘카보이네이트를 혼합하는 단계;
    혼합된 모래 혼합물을 기 설계된 형상으로 성형하는 단계; 및
    성형된 고양이 모래를 열풍 건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고양이 모래 조성물의 제조 방법.
KR1020180109768A 2018-09-13 2018-09-13 두부 부산물과 항균물질을 이용한 고양이 모래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R2020003092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9768A KR20200030927A (ko) 2018-09-13 2018-09-13 두부 부산물과 항균물질을 이용한 고양이 모래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9768A KR20200030927A (ko) 2018-09-13 2018-09-13 두부 부산물과 항균물질을 이용한 고양이 모래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0927A true KR20200030927A (ko) 2020-03-23

Family

ID=699983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9768A KR20200030927A (ko) 2018-09-13 2018-09-13 두부 부산물과 항균물질을 이용한 고양이 모래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30927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4193B1 (ko) 2020-10-06 2021-07-08 정유진 벤토나이트를 함유한 고양이 모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고양이 모래
KR20220046753A (ko) 2020-10-08 2022-04-15 박재훈 반영구적으로 사용 가능한 고양이 모래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525368B1 (ko) * 2022-08-30 2023-04-25 김성훈 펄라이트를 함유한 고양이 분뇨 처리제 및 그 제조방법
KR20230122307A (ko) 2022-02-14 2023-08-22 주식회사 샌드백 벤토나이트를 함유한 고양이 모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4193B1 (ko) 2020-10-06 2021-07-08 정유진 벤토나이트를 함유한 고양이 모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고양이 모래
KR20220046753A (ko) 2020-10-08 2022-04-15 박재훈 반영구적으로 사용 가능한 고양이 모래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30122307A (ko) 2022-02-14 2023-08-22 주식회사 샌드백 벤토나이트를 함유한 고양이 모래
KR102525368B1 (ko) * 2022-08-30 2023-04-25 김성훈 펄라이트를 함유한 고양이 분뇨 처리제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030927A (ko) 두부 부산물과 항균물질을 이용한 고양이 모래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R101759518B1 (ko) 동애등에 사료조성물
KR101862344B1 (ko) 두부 비지를 이용한 반려동물 분뇨 처리제의 제조방법
US8757092B2 (en) Animal bedding and associate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JP6358794B2 (ja) 有機発酵肥料の製造方法
Varghese et al. Biochemical characterization of vermiwash and its effect on growth of Capsicum frutescens
KR20180027455A (ko) 동애등에의 분변토를 포함하는 동애등에 사료용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242680B1 (ko) 동물용 모래 및 이를 제조하는 제조 방법
KR102038692B1 (ko) 우분을 이용한 고체연료의 제조방법
CN108323441A (zh) 一种宠物用猫砂及其制备方法
KR20200064407A (ko) 곤충을 이용한 관상어 사료 및 이의 제조방법
Neklyudov et al. Aerobic processing of organic waste into composts
JP2000023584A (ja) 家畜舍の床敷料
KR101633545B1 (ko) 해조류를 이용한 사료의 제조방법
CN113402342A (zh) 一种生物有机肥及其制备方法
CN111109095A (zh) 用于覆盖排泄物的颗粒砂及其制备工艺
JP3692352B2 (ja) 動物用糞尿処理材
DE60302082T2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Koji enthaltenden Futterzubereitung unter Verwendung von Ölen, und danach erhältliche Futterzubereitung
EP3628148A1 (de) Einstreuzusatz für die tierhaltung
KR102244733B1 (ko) 팥물을 활용한 유기질 비료의 제조방법
CN109220831A (zh) 一种绿色无尘型猫砂及其制备方法
JP2008023523A (ja) 乳酸発酵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WO2009145217A1 (ja) 竹素材、竹素材の製造方法、竹混合材料及び竹混合材料の製造方法
CN111280074A (zh) 天然植物猫砂及生产工艺
RU2809193C1 (ru) Наполнитель туалета для животных на основе целлюлозы и способ его изготовлени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