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73327A - 해충 트랩지 회수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롤 트랩 예찰 장치 - Google Patents

해충 트랩지 회수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롤 트랩 예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73327A
KR20230173327A KR1020220073943A KR20220073943A KR20230173327A KR 20230173327 A KR20230173327 A KR 20230173327A KR 1020220073943 A KR1020220073943 A KR 1020220073943A KR 20220073943 A KR20220073943 A KR 20220073943A KR 20230173327 A KR20230173327 A KR 202301733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p
recovery unit
module
pest trap
ro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739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순화
강석범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filed Critical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Priority to KR10202200739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73327A/ko
Publication of KR202301733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7332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10Catching insects by using Traps
    • A01M1/12Catching insects by using Traps automatically reset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02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with devices or substances, e.g. food, pheronones attracting the insec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02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with devices or substances, e.g. food, pheronones attracting the insects
    • A01M1/026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with devices or substances, e.g. food, pheronones attracting the insects combined with devices for monitoring insect presence, e.g. termit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14Catching by adhesive surfa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2Agriculture; Fishing; Min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200/00Kind of animal
    • A01M2200/01Insects

Abstract

본 발명은 해충 트랩지 회수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롤 트랩 예찰 장치에 관한 것으로, 포획홀이 형성된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고 권선되어 있는 해충 트랩지를 상기 포획홀 측으로 공급하는 공급부 및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배치되어 해충이 포획된 상기 해충 트랩지를 회수하는 해충 트랩지 회수 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해충 트랩지 회수 유닛은 해충이 포획된 해충 트랩지를 회수하는 것으로, 브래킷에 회전 가능하게 거치될 수 있으며 상기 해충 트랩지를 권취할 수 있는 회수부, 상기 회수부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회수부를 회전 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회수부는 내부가 관통되어 상기 구동부가 배치된 구동공간이 형성된 보빈일 수 있다.

Description

해충 트랩지 회수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롤 트랩 예찰 장치{COLLECTING UNIT FOR PEST TRAP SHEET AND ROLL TRAP SURVEILLANCE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해충 트랩지 회수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롤 트랩 예찰 장치에 관한 것이다.
해충은 인간의 생활에 해를 끼치는 벌레를 통틀어 말하는 것으로, 동물, 사람 등의 몸에 기생하는 이, 벼룩, 회충 따위와 옷이나 음식물에 기생하는 좀, 바퀴 따위와 농작물과 과실나무에 기생하는 응애 따위가 있다.
과실수를 키우는 농가에서 해충으로부터 열매를 보호하기 위한 방법으로 독성이 강한 농약을 이용하거나, 포획하기 위한 수단을 강구하고 있다. 독성이 강한 농약을 이용하여 해충을 박멸하는 방식이 보다 보편화된 방법이지만, 열매를 섭취하는 것이 대다수가 사람이라는 점에서 볼 때 바람직한 방법으로 보기는 어렵고, 또한 이러한 농약을 통한 박멸의 방법은 일시적인 효과만을 가져올 소지가 있기에 거듭 살포해야 하는 문제점을 낳는다.
이에 따라, 해충 및 재배 환경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페로몬과 끈끈이를 이용해 해충을 유인한 상태에서 포획함으로써 해충의 예찰이 용이하게 되도록 마련된 해충 예찰 트랩 장치가 등장하고 있다.
해충 예찰 트랩 장치는 유인공간을 형성하는 본체부, 그리고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고 해충을 포획하는 트랩부를 포함한다.
트랩부는 해충 트랩지가 권취되어 있는 공급롤러, 상기 공급롤러의 트랩을 회수하는 회수롤러 및 상기 본체부의 외부에 배치되어 상기 회수롤러를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고 있다.
구동부는 전원 모듈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고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모터, 구동모터와 회수롤러를 동력 연결하는 동력전달장치를 포함한다. 동력전달장치는 벨트, 풀리, 기어 따위를 포함한다.
상기 구동부가 상기 본체부의 외부에 돌출된 형태로 배치되면서 롤 트랩 예찰 장치의 부피가 커지게 되어 이동성 및 설치성이 저하되었다. 그리고 동력전달장치를 통해 회수롤러를 회전시키므로 동력전달계통이 복잡하게 이루어졌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198139호 (2020.12.28.)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980788호 (2019.05.15.)
본 발명은 롤 트랩 예찰 장치에서 회수부를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회수부의 내부에 배치하여 롤 트랩 예찰 장치의 부피를 최소화하는 기술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롤 트랩 예찰 장치의 전력소모의 최소화를 통해 태양광 패널과 배터리 용량의 최소화가 가능하도록 하여 보다 경제적인 롤 트랩 예찰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해충 트랩지 회수 유닛은 해충이 포획된 해충 트랩지를 회수하는 것으로, 브래킷에 회전 가능하게 거치될 수 있으며 상기 해충 트랩지를 권취할 수 있는 회수부, 그리고 상기 회수부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회수부를 회전 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한다.
상기 회수부는 내부가 관통되어 상기 구동부가 배치된 구동공간이 형성된 보빈일 수 있다.
상기 구동부는 상기 구동공간의 일측에 배치되어 제1 브래킷에 회전 가능하게 거치될 수 있는 회전축, 상기 구동공간의 타측에 배치되어 상기 회수부와 결합되어 있는 결합몸체, 상기 회전축과 상기 결합몸체를 연결하는 연결드럼 및 상기 연결드럼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모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터부는 상기 결합몸체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제2 브래킷에 지지된 고정축, 상기 연결드럼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고정축과 연결된 모터드럼, 전원 모듈과 연결되어 상기 모터드럼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회전축과 동력 연결된 모터부재 및 상기 모터부재와 상기 모터드럼을 결합하는 모터허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터드럼과 상기 연결드럼 및 상기 회전축은 떨어져 있을 수 있다.
상기 결합몸체는 스프라인 축이고, 상기 회수부의 타측 내부는 스플라인 보스일 수 있다.
상기 회전축은 상기 연결드럼 및 상기 모터부의 구동축과 연결된 축몸체, 그리고 상기 축몸체에서 돌출되어 상기 제1 브래킷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는 축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롤 트랩 예찰 장치는 포획홀이 형성된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고 권선되어 있는 해충 트랩지를 상기 포획홀 측으로 공급하는 공급부 및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배치되어 해충이 포획된 상기 해충 트랩지를 회수하는 해충 트랩지 회수 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롤 트랩 예찰 장치는 상기 본체부에 배치되어 상기 해충 트랩지를 촬영하여 영상을 획득하는 카메라 모듈, 상기 구동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모듈, 트리거 신호를 발생시키는 타이머 모듈, 상기 전원 모듈을 초 저전력 대기상태로 제어하여 슬립모드로 진입시키고, 상기 타이머 모듈로부터 트리거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슬립모드를 해제하는 슬립모드 제어 모듈, 상기 슬립모드가 해제되면 관리 서버로부터 롤 트랩 예찰 장치의 새로운 설정 값을 수신하는 서버 통신 모듈 및 상기 새로운 설정 값을 이용해 상기 롤 트랩 예찰 장치를 설정하고 제어하는 제어 관리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 관리 모듈은 상기 새로운 설정 값을 이용해 상기 롤 트랩 예찰 장치를 설정한 후, 상기 서버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롤 트랩 예찰 장치의 로그 데이터와, 상기 카메라 모듈에서 촬영한 영상을 상기 관리 서버로 송신할 수 있다.
상기 슬립모드 제어 모듈은 상기 새로운 설정 값을 이용한 상기 롤 트랩 예찰 장치의 설정과 제어가 완료되면 상기 전원 모듈을 초 저전력 대기상태로 제어하여 슬립모드로 진입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해충 트랩지를 권취하는 회수부를 회전 시키기 위한 구동부가 회수부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어 제1 브래킷 또는 제2 브래킷의 외부로 노출되어 있지 않다. 더욱이 구동부가 덮개의 외부로 노출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해충 트랩지 회수 유닛의 부피 최소화로 롤 트랩 예찰 장치의 전체적인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슬립모드의 해제와 동시에 관리 서버에 접속하여 새로운 설정값을 수신하여 업데이트하도록 하여, 관리자가 롤 트랩 예찰 장치의 위치까지 직접 이동할 필요 없이 관리 서버에 접속하여 보다 편리하고 효율적으로 롤 트랩 예찰 장치의 설정 및 관리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롤 트랩 예찰 장치의 전력소모의 최소화를 통해 태양광 패널과 배터리 용량의 최소화가 가능하도록 하여 보다 경제적인 롤 트랩 예찰 장치를 생산 및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롤 트랩 예찰 장치를 나타낸 개략도.
도 2는 도 1을 Ⅱ-Ⅱ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
도 3은 도 2의 본체부와 공급부 및 해충 트랩지 회수 유닛을 나타낸 분해도.
도 4는 도 3의 해충 트랩지 회수 유닛의 구동부를 나타낸 분해도.
도 5는 도 1의 구동부를 Ⅴ-Ⅴ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
도 6은 도 5의 A 부분 확대도.
도 7은 도 5의 B 부분 확대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롤 트랩 예찰 장치의 구성도.
도 9는 도 8의 롤 트랩 예찰 장치의 전력소모를 최소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해충 트랩지 회수 유닛은 본 발명의 실시예인 롤 트랩 예찰 장치에 적용될 수 있는 바, 이하에서는 해충 트랩지 회수 유닛이 적용된 롤 트랩 예찰 장치 위주로 설명한다.
그러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롤 트랩 예찰 장치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7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롤 트랩 예찰 장치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2는 도 1을 Ⅱ-Ⅱ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본체부와 공급부 및 해충 트랩지 회수 유닛을 나타낸 분해도이고, 도 4는 도 3의 해충 트랩지 회수 유닛의 구동부를 나타낸 분해도이며, 도 5는 도 3의 구동부를 Ⅴ-Ⅴ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A 부분 확대도이며, 도 7은 도 5의 B 부분 확대도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롤 트랩 예찰 장치(1)는 본체부(10), 공급부(20) 및 회수부(30)와 구동부(40)를 포함하는 해충 트랩지 회수 유닛을 포함하며 구동부(40)를 회수부(30)의 내부에 배치하여 해충 트랩지 회수 유닛의 부피를 최소화한다.
본체부(10)는 베이스(11), 그리고 덮개(12)를 포함하며 롤 트랩 예찰 장치(1)의 외형을 형성한다.
덮개(12)는 베이스(11)를 덮고 있으며 덮개(12)와 베이스(11)의 일측은 경첩으로 연결되어 있다. 덮개(12)와 베이스(11)의 타측은 락 장치(도시하지 않음)로 연결되어 있다. 락 장치가 해제된 상태에서 덮개(12)는 경첩을 기준으로 움직일 수 있다. 덮개(12)가 베이스(11)를 덮고 있는 상태에서 덮개(12)의 상면과 베이스(11)의 사이에 설치공간(123)이 형성된다. 덮개(12)는 베이스(11)를 덮고 있는 상태에서 설치공간(123)에 위치한 롤 트랩 예찰 장치(1)의 구성요소들을 보호한다.
덮개(12)의 상면 일부분은 개방되어 덮개(12)의 외부와 내부를 연결하는 포획홀(121)이 형성되어 있다. 덮개(12)의 외부면에는 전원 모듈, 카메라 모듈, 제어부 따위가 배치된 설치 하우징(13)이 결합되어 있다. 설치 하우징(13)이 배치된 덮개(12)의 부분은 포획된 해충을 예찰하기 위한 예찰홀(122)이 형성되어 있다.
롤 트랩 예찰 장치(1)를 해충 포획 장소에 설치 시 베이스(11)를 통해 삼각대, 기둥 따위의 지지대에 설치 고정될 수 있다.
베이스(11)의 길이 방향(X) 일측에는 폭 방향(Y)으로 간격을 두고 마주하는 장착브래킷(14)이 배치되어 있다. 장착브래킷(14)에는 장착홈(141)이 형성되어 있다.
베이스(11)의 길이 방향(X) 타측에는 폭 방향(Y)으로 간격을 두고 마주하는 제1 브래킷(15)과 제2 브래킷(16)이 배치되어 있다. 제1 브래킷(15)은 베이스(11)의 폭 방향(Y)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면에 거치홈(151)이 형성되어 있다. 제2 브래킷(16)은 베이스(11)의 폭 방향(Y) 타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타측 장착브래킷(14)과 연결되어 있다. 제1 브래킷(15)과 마주하는 제2 브래킷(16)의 부분에는 복수의 고정홀(161)이 형성되어 있다.
베이스(11)의 폭 방향(Y) 일측에는 베이스(11)의 길이 방향(X)을 따라 가이드 브래킷(17)이 배치되어 있다. 가이드 브래킷(17)은 제2 브래킷(16)과 간격을 두고 마주하며 일측 장착브래킷(14)과 연결되어 있다.
제2 브래킷(16)과 가이드 브래킷(17)의 사이에는 가이드 롤러(18)가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가이드 롤러(18)는 제2 브래킷(16)과 가이드 브래킷(17)의 사이에서 포획홀(121)과 예찰홀(122)의 주변에서 간격을 두고 복수 배치되어 있다.
공급부(20)는 롤 구조로 형성되어 설치공간(123)의 일측에 배치되어 있다. 이에 공급부(20)는 설치공간(123)에서 장착브래킷(14)의 사이에 위치하여 양단이 장착홈(141)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공급부(20)는 장착브래킷(14)에 자유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무동력으로 회전할 수 있다.
공급부(20)에는 접착층이 형성된 끈끈이 테이프(해충 트랩지(21))가 귄선되어 있다. 접착층은 해충 트랩지(21)에서 외측을 향한다. 접착층에는 해충을 유인하기 위한 페로몬 따위의 유인제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유인제는 설치공간(123)에 별도로 배치될 수도 있다.
해충 트랩지(21)는 가이드 롤러(18)의 가이드로 덮개(12)의 상면 하부로 공급되어 포획홀(121)을 통해 노출된다. 이때 해충 트랩지(21)의 접착층은 포획홀(121)을 통해 노출되며 유인된 해충은 포획홀(121)을 통해 접착층에 접착되어 포획될 수 있다. 해충이 포획된 해충 트랩지(21)는 예찰홀(122)의 주변을 통과하며 카메라 모듈은 예찰홀(122)을 통과하는 해충 트랩지(21)를 촬영할 수 있다.
해충 트랩지 회수 유닛의 회수부(30)는 공급부(20)와 떨어져 설치공간(123)의 타측에 배치되어 있다. 이에 회수부(30)는 제1 브래킷(15)과 제2 브래킷(16)의 사이에 위치하여 구동부(40)를 통해 제1 브래킷(15)과 제2 브래킷(16)에 거치되어 있다. 회수부(30)는 내부가 관통되어 구동공간(31)이 형성된 보빈 구조를 갖는다. 그러나 회수부(30)는 내부가 관통된 롤러일 수 있다. 회수부(30)의 구동공간(31) 일단 둘레와 타단 둘레는 스플라인 보스(311)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 롤러(18)를 통해 포획홀(121)을 통과한 해충 트랩지(21)는 회수부(30)와 연결될 수 있다. 회수부(30)는 내부에 배치된 구동부(40)를 통해 회전하면서 포획홀(121)을 통과한 해충 트랩지(21)를 권취할 수 있다. 이에 회수부(30)에는 해충을 포획한 해충 트랩지(21)가 권취될 수 있다.
해충 트랩지 회수 유닛의 구동부(40)는 회전축(41), 결합몸체(42), 연결드럼(43) 및 모터부(44)를 포함하며 구동공간(31)에 배치되어 일단은 제1 브래킷(15)과 연결되어 있고 타단은 제2 브래킷(16)과 연결되어 있으며 회수부(30)가 회전할 수 있도록 회전력을 발생시킨다.
회전축(41)은 축몸체(411), 그리고 축부재(413)를 포함하며 구동공간(31)의 일측에 배치되어 제1 브래킷(15)과 연결되어 있다.
축몸체(411)는 구동공간(31)에 위치하여 외부 둘레가 구동공간(31)의 둘레와 떨어져 있다. 축몸체(411)의 내측면에는 구동공간(31)의 내부를 향해 돌출된 결합돌부(412)가 형성되어 있다. 결합돌부(412)의 둘레 지름 치수는 축몸체(411)의 둘레 지름 치수보다 작다. 축몸체(411)의 외부 둘레에는 스플라인 보스(311)와 결합되는 스플라인이 형성될 수 있다.
축부재(413)는 축몸체(411)의 외측면 중앙에서 돌출되어 있으며 거치홈(151)에 회전 가능하게 거치되어 있다. 축부재(413)의 중심에는 축몸체(411)로 관통된 축홀(414)이 형성되어 있다. 축홀(414)의 둘레 일부분은 평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결합몸체(42)는 구동공간(31)의 타측에 배치되어 있다. 결합몸체(42)의 외부 둘레에는 스플라인 보스(311)와 결합된 복수의 스플라인(422)이 형성되어 있다. 이에 결합몸체(42)와 회수부(30)는 스플라인 보스(311)와 스플라인(422)을 통해 키 결합되어 있다.
결합몸체(42)의 내측면에는 회전축(41)을 향해 돌출된 결합돌부(421)가 형성되어 있다. 결합돌부(421)의 둘레 지름 치수는 축몸체(411)의 둘레 지름 치수와 같다. 결합몸체(42)와 결합돌부(421)의 중앙에는 관통홀(423)이 형성되어 있다.
연결드럼(43)은 구동공간(31)에 배치되어 있고 내부가 길이 방향을 따라 관통되어 있다. 연결드럼(43)의 외부 둘레는 구동공간(31)의 둘레와 떨어져 있다. 연결드럼(43)의 일측 내부로 회전축(41)의 결합돌부(412)가 삽입되어 있으며 타측 내부로 결합몸체(42)의 결합돌부(421)가 삽입되어 있다. 연결드럼(43)의 양단과 결합돌부(412, 421)는 체결수단으로 결합되어 있다.
모터부(44)는 고정축(441), 모터드럼(442), 모터부재(443) 및 모터허브(444)를 포함하며 연결드럼(43)의 내부에 배치되어 회전축(41)이 회전하도록 회전력을 발생시킨다.
고정축(441)은 관통홀(423)에 위치하여 일부분이 결합몸체(42)에서 연결드럼(43)의 내부로 돌출되어 있다. 고정축(441)의 내부는 관통되어 있으며 외부 둘레는 관통홀(423)의 둘레와 미끄럼 접촉하고 있다. 고정축(441)은 고정홀(161)을 관통한 체결수단과 결합되어 있다. 이에 고정축(441)은 제2 브래킷(16)과 결합되어 있다.
한편, 고정축(441)의 외부 둘레와 관통홀(423)의 둘레 사이에는 결합몸체(42)의 회전력을 도모하기 위한 볼 베어링, 부싱 따위가 배치될 수 있다.
모터드럼(442)은 내부가 길이 방향을 따라 관통되어 있으며 고정축(441)과 체결수단으로 결합되어 회전축(41)의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모터드럼(442)의 외부 둘레는 연결드럼(43)의 내부 둘레와 떨어져 있다. 모터드럼(442)의 일단은 회전축(41)의 내측면과 떨어져 있다. 이에 모터드럼(442)은 회전하는 회전축(41), 그리고 연결드럼(43)에 간섭되지 않는다.
모터부재(443)는 모터드럼(442)의 내부에 위치하며 외부 둘레가 모터드럼(442)의 내부 둘레와 떨어져 있다. 모터부재(443)는 전원 모듈과 연결된 케이블을 통해 전원을 공급받아 작동하여 회전력이 발생할 수 있다. 케이블은 고정축(441)의 내부와 제2 브래킷(16)에 형성된 케이블 홀(162)을 관통하여 전원 모듈과 모터부재(443)를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모터부재(443)의 일측에는 구동축(443a)이 돌출되어 있다. 구동축(443a)은 축홀(414)로 삽입되어 결합되어 있다. 구동축(443a)의 외부 둘레 일부분은 축홀(414)의 평면과 접촉하는 평면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구동축(443a)과 축홀(414)의 일부분이 평면 접촉으로 모터부재(443)의 회전력이 회전축(41)에 전달될 수 있다. 그러나 구동축(443a)과 축홀(414)은 키 결합되어 회전축(41)에 회전력이 전달될 수 있다.
모터허브(444)는 모터드럼(442)의 일측 내부에 배치되어 모터부재(443)의 일측면과 결합되어 있다. 모터허브(444)의 외부 둘레는 모터드럼(442)의 내부 둘레와 접하고 있다. 모터허브(444)는 모터드럼(442)의 일측 외부 둘레에서 체결된 체결수단으로 모터드럼(442)과 결합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동부(40)는 설정값에 따라 시간차를 두고 주기적으로 작동하거나 연속 작동하여 회수부(30)를 회전 시킬 수 있다.
다음은 위에서 설명한 롤 트랩 예찰 장치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공급부(20)에 권선된 해충 트랩지(21)는 가이드 롤러(18)의 가이드로 포획홀(121)과 예찰홀(122)을 통과하여 회수부(30)에 권선되어 있다. 포획홀(121)로 유인된 해충은 포획홀(121)을 통해 해충 트랩지(21)의 접착층에 포획될 수 있다.
제어부에 신호에 따라 작동한 모터부재(443)는 회전력을 발생시켜 구동축(443a)을 회전시킨다. 이때 회전축(41)은 구동축(443a)에 의해 회전할 수 있다. 회전축(41)의 회전력은 연결드럼(43)을 통해 결합몸체(42)에 전달되며 스플라인(422)과 스플라인 보스(311)를 통해 회수부(30)는 회전하면서 해충 트랩지(21)를 권취한다. 회수부(30)에 해충 트랩지(21)가 권취 되면서 공급부(20)에서는 해충 트랩지(21)가 풀리게 되고 포획홀(121)과 예찰홀(122)을 통과하게 된다.
카메라 모듈은 포획홀(121)을 경유하여 예찰홀(122)을 통과하는 해충 트랩지(21)를 촬영할 수 있으며 서버 통신 모듈을 통해 관리자에게 전송할 수 있다.
한편, 회전축(41)과 결합몸체(42) 회전 시 제2 브래킷(16)과 결합된 고정축(441)과 모터드럼(442)은 회전하지 않고 고정되어 있다. 이에 전원 모듈(210)과 모터부재(443)를 연결하는 케이블은 꼬이지 않는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 따르면 회수부(30)를 회전 시키기 위한 구동부(40)가 회수부(30)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어 제1 브래킷(15) 또는 제2 브래킷(16)의 외부로 노출되어 있지 않다. 더욱이 구동부(40)가 덮개(12)의 외부로 노출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해충 트랩지 회수 유닛의 부피 최소화로 롤 트랩 예찰 장치(1)의 전체적인 부피를 최소화하는 효과가 발생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도 1 내지 도 7을 참고하여 설명한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대부분 가지면서 도 8 및 도 9를 더 참고하면 설치 하우징(13)에 배치된 관리 서버(230), 관리자 단말(240), 타이머 모듈(250), 슬립모드 제어 모듈(260), 서버 통신 모듈(270) 및 제어 관리 모듈(28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롤 트랩 예찰 장치의 구성도이고, 도 9는 도 8의 롤 트랩 예찰 장치의 전력소모를 최소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먼저, 도 8을 더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롤 트랩 예찰 장치(1)는 관리자가 데스크탑, 노트북, 스마트폰 따위의 관리자 단말(240)을 이용해 관리 서버(230)에 접속하여 변경하고자 하는 설정값을 미리 입력해 놓을 수 있다. 롤 트랩 예찰 장치(1)가 슬립모드(sleep mode)에서 해제되면 관리 서버(230)로부터 변경하고자 하는 새로운 설정 값을 읽어와서 읽어온 설정 값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타이머 모듈(250)은 설정된 시간에 트리거 신호를 발생시킨다. 슬립모드 제어 모듈(260)은 전원 모듈(210)을 초 저전력 대기상태로 제어하여 슬립모드로 진입시킨다. 또한, 슬립모드 제어 모듈(260)은 타이머 모듈(250)로부터 트리거 신호를 수신하면 슬립모드를 해제시킬 수 있다.
서버 통신 모듈(270)은 관리 서버(230)와 통신하며, 보다 구체적으로 슬립모드가 해제되면 관리 서버(230)로부터 롤 트랩 예찰 장치(1)의 새로운 설정 값을 수신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 관리 모듈(280)은 새로운 설정 값을 이용해 롤 트랩 예찰 장치(1)를 설정하고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 관리 모듈(280)은 새로운 설정 값을 이용해 롤 트랩 예찰 장치(1)를 설정한 후, 서버 통신 모듈(270)을 통해 롤 트랩 예찰 장치(1)의 로그 데이터와, 카메라 모듈(220)에서 촬영한 영상을 관리 서버(230)로 송신할 수 있다.
아울러, 위 설정 값은 카메라 모듈(220), 전원 모듈(210), 타이머 모듈(250), 슬립모드 제어 모듈(260), 서버 통신 모듈(270) 또는 제어 관리 모듈(280)을 설정하는 값을 말한다.
슬립모드 제어 모듈(260)은 새로운 설정 값을 이용한 롤 트랩 예찰 장치(1)의 설정과 제어가 완료되면, 전원 모듈(210)을 초 저전력 대기상태로 제어하여 슬립모드로 진입시킬 수 있다.
따라서, 롤 트랩 예찰 장치(1)는 동작하지 않을 시, 수 마이크로 암페어의 전류만 사용하여 기존 설정 값에 의해 동작하는 초 저전력 대기상태인 슬립모드로 동작하고, 타이머 모듈(250)로부터 트리거 신호가 수신되면 정상 전력을 인가하여 동작할 수 있다.
또한, 롤 트랩 예찰 장치(1)는 슬립모드의 해제와 동시에 관리 서버(230)에 접속하여 새로운 설정 값을 수신하여 업데이트함으로써, 관리자가 롤 트랩 예찰 장치(1)의 위치까지 직접 이동할 필요 없이 관리 서버(230)에 접속하여 보다 편리하고 효율적으로 상기 롤 트랩 예찰 장치(1)의 설정 및 관리가 가능하다.
다음은 도 9를 참조하여 롤 트랩 예찰 장치의 전력소모를 최소화한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롤 트랩 예찰 장치의 전력소모를 최소화한 방법은, 먼저 슬립모드 제어 모듈이 전원 모듈을 초 저전력 대기상태로 제어하여 슬립모드로 진입시키고(S210), 예찰 시간이 설정된 주기와 일치하여 트리거 모듈이 트리거 신호를 발생시키면(S220), 슬립모드 제어 모듈이 타이머 모듈로부터 트리거 신호를 수신하면 슬립모드를 해제 시킨다(S230).
이후, 서버 통신 모듈이 슬립모드가 해제되면 관리 서버에 접속하고(S240), 서버 통신 모듈이 롤 트랩 예찰 장치의 새로운 설정 값을 수신할 수 있다(S250).
따라서, 제어 관리 모듈이 수신한 새로운 설정 값을 이용해 롤 트랩 예찰 장치를 설정하고 제어할 수 있다(S260).
이때, 설정 값은 카메라 모듈, 전원 모듈, 타이머 모듈, 슬립모드 제어 모듈, 서버 통신 모듈 또는 제어 관리 모듈을 설정하는 값으로써, 보다 구체적으로 카메라 모듈의 초점의 설정 값, 롤 트랩 예찰 장치의 예찰 주기 및 시간 데이터 등을 설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후에는, 제어 관리 모듈이 새로운 설정 값을 이용해 롤 트랩 예찰 장치를 설정한 이후, 서버 통신 모듈을 통해 롤 트랩 예찰 장치의 로그 데이터와, 카메라 모듈에서 촬영한 영상을 관리 서버로 송신할 수 있다(S270).
또한, 슬립모드 제어 모듈이 새로운 설정 값을 이용한 롤 트랩 예찰 장치의 설정과 제어가 완료되면, 전원 모듈을 초 저전력 대기상태로 제어하여 슬립모드로 진입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롤 트랩 예찰 장치는 슬립모드의 해제와 동시에 관리 서버에 접속하여 새로운 설정값을 수신하여 업데이트하도록 하여, 관리자가 롤 트랩 예찰 장치의 위치까지 직접 이동할 필요 없이 관리 서버에 접속하여 보다 편리하고 효율적으로 롤 트랩 예찰 장치의 설정 및 관리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롤 트랩 예찰 장치의 전력소모의 최소화를 통해 태양광 패널과 배터리 용량의 최소화가 가능하도록 하여 보다 경제적인 롤 트랩 예찰 장치를 생산 및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 롤 트랩 예찰 장치 10: 본체부
11: 베이스 12: 덮개
121: 포획홀 122: 예찰홀
123: 설치공간 13: 설치 하우징
14: 장착브래킷 141: 장착홈
15: 제1 브래킷 151: 거치홈
16: 제2 브래킷 161: 고정홀
162: 케이블 홀 17: 가이드 브래킷
18: 가이드 롤러 20: 공급부
21: 해충 트랩지 30: 회수부
31: 구동공간 311: 스플라인 보스
40: 구동부 41: 회전축
411: 축몸체 412, 421: 결합돌부
413: 축부재 414: 축홀
42: 결합몸체 422: 스플라인
423: 관통홀 43: 연결드럼
44: 모터부 441: 고정축
442: 모터드럼 443: 모터부재
443a: 구동축 444: 모터허브
210: 전원 모듈 220: 카메라 모듈
230: 관리 서버 240: 관리자 단말
250: 타이머 모듈 260: 슬립모드 제어 모듈
270: 서버 통신 모듈 280: 제어 관리 모듈

Claims (9)

  1. 해충이 포획된 해충 트랩지를 회수하는 것으로,
    브래킷에 회전 가능하게 거치될 수 있으며 상기 해충 트랩지를 권취할 수 있는 회수부, 그리고
    상기 회수부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회수부를 회전 시키는 구동부
    를 포함하며,
    상기 회수부는 내부가 관통되어 상기 구동부가 배치된 구동공간이 형성된 보빈인
    해충 트랩지 회수 유닛.
  2. 제1항에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구동공간의 일측에 배치되어 제1 브래킷에 회전 가능하게 거치될 수 있는 회전축,
    상기 구동공간의 타측에 배치되어 상기 회수부와 결합되어 있는 결합몸체,
    상기 회전축과 상기 결합몸체를 연결하는 연결드럼 및
    상기 연결드럼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모터부
    를 포함하는
    해충 트랩지 회수 유닛.
  3. 제2항에서,
    상기 모터부는
    상기 결합몸체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제2 브래킷에 지지된 고정축,
    상기 연결드럼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고정축과 연결된 모터드럼,
    전원 모듈과 연결되어 상기 모터드럼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회전축과 동력 연결된 모터부재 및
    상기 모터부재와 상기 모터드럼을 결합하는 모터허브
    를 포함하며,
    상기 모터드럼과 상기 연결드럼 및 상기 회전축은 떨어져 있는
    해충 트랩지 회수 유닛.
  4. 제2항에서,
    상기 결합몸체는 스프라인 축이고, 상기 회수부의 타측 내부는 스플라인 보스인 해충 트랩지 회수 유닛.
  5. 제2항에서,
    상기 회전축은
    상기 연결드럼 및 상기 모터부의 구동축과 연결된 축몸체, 그리고
    상기 축몸체에서 돌출되어 상기 제1 브래킷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는 축부재
    를 포함하는
    해충 트랩지 회수 유닛.
  6. 포획홀이 형성된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고 권선되어 있는 해충 트랩지를 상기 포획홀 측으로 공급하는 공급부 및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배치되어 해충이 포획된 상기 해충 트랩지를 회수하는 제1항 내지 제5항 중 선택된 어느 한 항에 정의되어 있는 해충 트랩지 회수 유닛
    을 포함하는 롤 트랩 예찰 장치.
  7. 제6항에서,
    상기 본체부에 배치되어 상기 해충 트랩지를 촬영하여 영상을 획득하는 카메라 모듈,
    상기 구동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모듈,
    트리거 신호를 발생시키는 타이머 모듈,
    상기 전원 모듈을 초 저전력 대기상태로 제어하여 슬립모드로 진입시키고, 상기 타이머 모듈로부터 트리거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슬립모드를 해제하는 슬립모드 제어 모듈,
    상기 슬립모드가 해제되면 관리 서버로부터 롤 트랩 예찰 장치의 새로운 설정 값을 수신하는 서버 통신 모듈 및
    상기 새로운 설정 값을 이용해 상기 롤 트랩 예찰 장치를 설정하고 제어하는 제어 관리 모듈
    을 더 포함하는
    롤 트랩 예찰 장치.
  8. 제7항에서,
    상기 제어 관리 모듈은 상기 새로운 설정 값을 이용해 상기 롤 트랩 예찰 장치를 설정한 후, 상기 서버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롤 트랩 예찰 장치의 로그 데이터와, 상기 카메라 모듈에서 촬영한 영상을 상기 관리 서버로 송신하는 롤 트랩 예찰 장치.
  9. 제7항에서,
    상기 슬립모드 제어 모듈은 상기 새로운 설정 값을 이용한 상기 롤 트랩 예찰 장치의 설정과 제어가 완료되면 상기 전원 모듈을 초 저전력 대기상태로 제어하여 슬립모드로 진입시키는 롤 트랩 예찰 장치.
KR1020220073943A 2022-06-17 2022-06-17 해충 트랩지 회수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롤 트랩 예찰 장치 KR2023017332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3943A KR20230173327A (ko) 2022-06-17 2022-06-17 해충 트랩지 회수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롤 트랩 예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3943A KR20230173327A (ko) 2022-06-17 2022-06-17 해충 트랩지 회수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롤 트랩 예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73327A true KR20230173327A (ko) 2023-12-27

Family

ID=893783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3943A KR20230173327A (ko) 2022-06-17 2022-06-17 해충 트랩지 회수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롤 트랩 예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73327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0788B1 (ko) 2016-11-09 2019-08-28 대한민국 해충 모니터링을 위한 트랩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방법
KR102198139B1 (ko) 2018-12-12 2021-01-04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해충 맞춤형 롤트랩 자동예찰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0788B1 (ko) 2016-11-09 2019-08-28 대한민국 해충 모니터링을 위한 트랩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방법
KR102198139B1 (ko) 2018-12-12 2021-01-04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해충 맞춤형 롤트랩 자동예찰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253187A1 (en) Pest trap with disposable container and wireless monitoring
US5628142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ttracting and trapping insects
AU2017360126B2 (en) An insect light trap
US6079151A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pest monitoring or control
US20160277688A1 (en) Low-light trail camera
CN110771585A (zh) 一种小型昆虫图像自动采集与识别计数装置
WO2016045002A1 (zh) 一种智能成像系统以及安装有该智能成像系统的捕虫装置
CN210519891U (zh) 一种果蔬害虫自动检疫监测设备
US20060146122A1 (en) System for remotely capturing and storing images for multiple users in a centralized image management center
KR20230173327A (ko) 해충 트랩지 회수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롤 트랩 예찰 장치
JP2001045945A (ja) 害虫発生調査装置
WO2021112598A1 (ko) 해충 포획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N204157515U (zh) 一种智能成像系统以及安装有该智能成像系统的捕虫装置
JP4169417B2 (ja) 害虫捕獲装置
CN211353632U (zh) 一种小型昆虫图像自动采集与识别计数装置
KR20110087552A (ko) 해충예찰 트랩장치
KR102263751B1 (ko) 포충장치
JP2023513201A (ja) 害虫の存在を検出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JP2001061396A (ja) 害虫検知装置
CN210168818U (zh) 一种桔小实蝇自动监测设备
CN216292718U (zh) 一种捕虫灯
CN217487374U (zh) 一种虫情监控机构
CN112616799B (zh) 一种智能靶标昆虫诱捕系统
KR100916432B1 (ko) 해충 포획장치
KR100733728B1 (ko) 해충 포획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