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0788B1 - 해충 모니터링을 위한 트랩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해충 모니터링을 위한 트랩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0788B1
KR101980788B1 KR1020160148792A KR20160148792A KR101980788B1 KR 101980788 B1 KR101980788 B1 KR 101980788B1 KR 1020160148792 A KR1020160148792 A KR 1020160148792A KR 20160148792 A KR20160148792 A KR 20160148792A KR 101980788 B1 KR101980788 B1 KR 1019807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p
unit
image
trap sheet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87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51886A (ko
Inventor
홍영기
김상철
김국환
이재수
이동혁
한새론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1601487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0788B1/ko
Publication of KR201800518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18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07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07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02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with devices or substances, e.g. food, pheronones attracting the insects
    • A01M1/026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with devices or substances, e.g. food, pheronones attracting the insects combined with devices for monitoring insect presence, e.g. termit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14Catching by adhesive surfa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30Determination of transform parameters for the alignment of images, i.e. image registration
    • G06T7/33Determination of transform parameters for the alignment of images, i.e. image registration using feature-based methods
    • G06T7/337Determination of transform parameters for the alignment of images, i.e. image registration using feature-based methods involving reference images or patch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30Determination of transform parameters for the alignment of images, i.e. image registration
    • G06T7/35Determination of transform parameters for the alignment of images, i.e. image registration using statistical metho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10Image acquisition modality
    • G06T2207/10048Infrared imag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volutionary Biology (AREA)
  • Probability & Statistics with Applications (AREA)
  • Bioinformatics & Computational Bi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해충을 유인하여 그 개체의 발생 상황을 정확하게 파악 할 수 있도록 해충을 포획하는 자동트랩부가 마련된 해충 모니터링을 위한 트랩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방법으로, 케이스 내부에 배치된 영상취득부가 취득한 자동트랩부의 촬영 이미지를 제어부가 분석하고 제어함으로써, 해충의 종류 및 발생상황을 모니터링하는 것이 개시된다. 이에 따라, 작업자가 수시로 점검할 필요 없이, 트랩시트의 실시간 자동교체를 통하여, 더욱 정확한 해충의 발생상황 또는 분포상태를 모니터링 할 수 있다.

Description

해충 모니터링을 위한 트랩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방법{TRAPPING APPARATUS FOR PEST MONITORING AND THE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해충 모니터링을 위한 트랩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해충을 유인하여 그 개체의 발생 상황을 정확하게 파악 할 수 있도록 해충을 포획하는 자동트랩부가 마련된 해충 모니터링을 위한 트랩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작물의 재배시에는 흔히 해충의 피해를 입는다. 특히 해충의 유충은 과실을 직접 가해하는 일차해충이다.
그러나 피해를 주는 발육단계인 유충은 과실 내부에서 가해하고 있기 때문에 살충제의 직접 접촉이 어렵고, 방제의 어려움을 가중시키고 있다.
이에 따라, 해충 및 재배 환경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성페로몬을 이용한 성충 발생 시기를 모니터링하여, 산란된 알과 유충을 대상으로 방제 적기를 결정하는 것이 효율적인 방제법으로 제기되고 있다.
이러한 예로, 나방류 해충을 제방하기 위하여 성페로몬 화합물에 대한 기술이 개발되고 있으며, 이러한 성페로몬 화합물을 포함한 끈끈이를 이용해 해충을 유인한 상태에서 포획함으로써 해충의 모니터링이 용이하게 되도록 마련된 트랩이 등장하고 있다. 이러한 끈끈이를 이용한 트랩은 성페로몬에 유인된 해충이 끈끈이에 포획되고, 본체에 포획된 해충을 관찰 및 계수함으로써 모니터링이 수행된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모니터링 요원이 주기적으로 농가를 방문하여 확인하고, 수작업으로 트랩장치를 교체하는 방법이 필요하여, 이를 위한 시간과 비용이 많이 소요되었다. 이에 따라, 날씨 및 장소에 따라 불규칙적인 조사가 이루어질 수 있으며, 장치교체의 필요에 따라 신속하고 정확한 해충의 발생 시기 조사가 어려울 수 있고, 또한 광범위한 지역에서 실시되기에는 부족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페로몬을 이용한 끈끈이를 자동으로 교체해 주는 자동트랩부가 구비된 해충 모니터링 트랩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해충 모니터링 트랩장치의 트렙을 자동교체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 의한 해충 모니터링 장치는, 해충을 유인하기 위한 유인구를 포함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며, 끈끈이가 마련된 트랩시트를 포함하는 자동트랩부, 상기 자동트랩부에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이미지 또는 열화상 이미지를 촬영하는 영상취득부, 상기 영상취득부에서 취득된 촬영 이미지를 분석하고, 노출 기간, 피복률 및 포획한 해충 수가 등록된 설정치 이상이 될 경우, 상기 자동트랩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영상취득부, 상기 자동트랩부 및 상기 제어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를 포함한다.
상기 자동트랩부는, 상기 트랩시트가 권취되어, 상기 트랩시트 노출부 일면이 유인공간 쪽으로 노출되도록 공급하는 공급롤러 및 상기 트랩시트를 회수하도록 마련된 회수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영상취득부는, 상기 노출부 일면을 이미지 촬영하는 카메라, 상기 노출부 일면을 열화상 촬영하는 열화상 카메라 및 상기 노출부 일면에 조명을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조명장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트랩시트의 여분 여부를 확인하는 트랩시트 인식부, 상기 영상취득부로부터 수신받은 이미지를 분석하는 이미지 분석부 및 상기 트랩시트의 노출시간을 계산하는 타이머부를 포함하는 트랩시트 분석부, 상기 트랩시트 분석부로부터 정보를 제공받아 상기 공급롤러 및 상기 회수롤러를 제어하는 롤러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미지 분석부는, 상기 영상취득부로부터 수신받은 열화상 이미지를 통해 상기 노출부 일면에 중첩되어 포획된 해충들의 수를 파악할 수 있다.
상기 이미지 분석부는, 상기 영상취득부로부터 수신받은 이미지 또는 열화상 이미지를 통해 상기 트랩시트 노출부의 일면에 포획된 해충의 개체수를 파악하여, 해충이 50마리 이상 포획된 경우, 상기 롤러제어부로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상기 이미지 분석부는, 상기 영상취득부로부터 수신받은 이미지 또는 열화상 이미지를 통해 상기 유인공간 쪽으로 노출된 상기 트랩시트의 일면의 피복률을 계산하여, 60%이상 피복된 경우, 상기 롤러제어부로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상기 타이머부는, 상기 트랩시트 노출부의 노출시간을 계산하여, 상기 트랩시트의 일면이 5일 이상 노출된 경우, 상기 롤러제어부로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상기 트랩시트의 여분이 확인됐을 때, 상기 트랩시트 분석부로부터 신호를 수신한 상기 롤러제어부가 상기 자동트랩부로 제어신호를 송신하여, 상기 자동트랩부가 상기 공급롤러 및 상기 회수롤러를 일 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노출부를 교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해충 모니터링 방법은 전원공급부로부터 제어부, 영상취득부 및 자동트랩부가 전원을 공급받는 단계, 상기 제어부에 설정치를 입력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해충유인구가 형성된 케이스 일면에 배치된 상기 자동트랩부에 성페로몬 끈끈이가 마련된 트랩시트의 설치여부를 인식하는 단계, 상기 영상취득부가 상기 노출부를 촬영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기 트랩시트를 분석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분석결과를 토대로 상기 자동트랩부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에 설정치를 입력하는 단계는, 상기 노출부의 노출 일수, 피복률 및 상기 트랩시트 노출면에 포획된 해충 개체수를 입력할 수 있다.
상기 영상취득부가 상기 트랩시트를 촬영하는 단계는, 상기 영상취득부의 조명장치가 상기 노출부에 조명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영상취득부의 카메라가 상기 노출부를 촬영하는 단계 및 상기 영상취득부의 열화상 카메라가 상기 노출부를 촬영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가 상기 트랩시트를 분석하는 단계는, 촬영된 상기 노출부 이미지를 분석하는 단계 및 상기 트랩시트의 교체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가 상기 노출부의 이미지를 분석하는 단계는, 상기 영상취득부로부터 수신받은 이미지들을 통해 상기 노출부의 피복률 및 상기 노출부 일면에 포획된 해충 수를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노출부에 포획된 해충 수를 계산하는 단계는, 상기 열화상 카메라로 촬영한 이미지를 통해 상기 노출부 일면에 중첩되어 포획된 해충들을 분석하여 해충들의 개체수를 파악할 수 있다.
상기 트랩시트의 교체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노출부의 노출시간이 5일 이상일 때, 상기 제어부가 상기 트랩제어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노출부의 노출시간이 5일 미만일 때, 상기 제어부가 상기 노출부의 피복률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노출부의 피복률 확인 시, 상기 노출부의 피복률이 60%이상인 때, 상기 트랩제어신호 생성하고, 상기 노출부의 피복률이 60%미만인 때, 상기 제어부가 상기 노출부에 포획된 해충의 개체수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노출부에 포획된 해충의 개체수 확인 시, 상기 노출부에 포획된 해충의 개체수가 50마리 이상인 때, 상기 트랩제어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노출부에 포획된 해충의 개체수가 50마리 미만인 때, 상기 영상취득부로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상기 트랩제어신호를 수신한 상기 자동트랩부는, 상기 트랩시트의 여분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트랩시트의 여분이 확인됐을 때, 상기 트랩시트를 공급하는 공급롤러 및 상기 트랩시트를 회수하는 회수롤러를 일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트랩시트를 교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해충 모니터링 트랩장치는 자동트랩장치를 통해 작업자가 수시로 점검할 필요 없이, 트랩시트의 실시간 자동 교체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트랩시트의 실시간 자동교체를 통하여, 더욱 정확한 해충의 발생상황 또는 분포상태를 모니터링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해충 모니터링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자동트랩부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3은 영상취득부를 나타낸 상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영상취득부를 케이스 내부에서 바라본 저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제어부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6는 도 1의 제어부의 제어순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 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도 제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해충 모니터링 장치의 사시도이다.또한,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충 모니터링 장치(100)는 해충을 유인하기 위한 유인구(112)를 포함하는 케이스(110), 상기 케이스(110)의 내부에 배치되는 자동트랩부(120), 상기 자동트랩부(120)에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이미지 또는 열화상 이미지를 촬영하는 영상취득부(130), 상기 영상취득부(130)에서 취득된 촬영 이미지를 분석하고, 분석결과가 입력한 설정치 이상이 될 경우, 상기 자동트랩부(120)를 제어하는 제어부(140) 및 상기 영상취득부(130), 상기 자동트랩부(120) 및 상기 제어부(14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를 포함한다.
상기 케이스(110)는, 모니터링을 위한 특정 해충 이외의 해충 유인을 방지할 수 있도록 특정 해충이 발생되는 장소에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나방류 해충의 모니터링을 위해 본 발명의 해충 모니터링 장치(100)를 설치 시, 지표면에서 일정거리 이상 떨어지도록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110)는 성페로몬으로 해충을 유인하여 트랩에 포획할 수 있도록 상기 유인구(112)를 포함한다. 상기 유인구(112)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스(110)의 옆면 부에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케이스(110) 내부에는 자동트랩부(120)가 형성되어, 상기 유인구(112)를 통해 들어온 해충을 자동트랩부(120)가 유인하여 포획할 수 있다.
상기 자동트랩부(120)는, 일면에 성페로몬 끈끈이가 마련된 트랩시트(122), 상기 트랩시트(122)를 교체할 수 있도록 상기 트랩시트(122)를 권취하고 있는 롤러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트랩시트(122)는 일면에 성페로몬 끈끈이가 마련되며, 상기 성페로몬 끈끈이는 일면 전체에 형성되거나, 또는, 일면에 일정 면적만큼 부분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자동트랩부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트랩시트(122)는, 성페로몬 끈끈이가 마련된 상기 트랩시트의 노출부(A) 일면이 유인공간 쪽으로 노출되도록 공급하는 공급롤러(124) 및 상기 트랩시트(122)를 회수하도록 마련된 회수롤러(126)에 권취되어 고정될 수 있다. 즉, 공급롤러(124) 및 회수롤러(126)가 일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노출부(A)가 자동으로 교체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공급롤러(124) 및 상기 회수롤러(126)는 새로운 노출부가 유인공간 쪽으로 노출될 만큼 회전하여, 이물질 및 해충에 피복된 노출부가 완전히 회수될 수 있다.
도 3은 영상취득부를 나타낸 상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영상취득부를 케이스 내부에서 바라본 저면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영상취득부(130)는 상기 노출부(A) 일면을 촬영하기 위하여, 상기 자동트랩부(120)에 대향하여 배치된다. 특히, 상기 영상취득부(130)는, 상기 케이스(110)의 외부면에 설치될 수 있어, 강우 등에 의해 상기 영상취득부(130)가 손상되지 않기 위하여, 덮개(114)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영상취득부(13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노출부(A) 일면을 이미지 촬영하는 카메라(132), 상기 노출부(A) 일면을 열화상 촬영하는 열화상 카메라(134) 및 상기 카메라(132)가 이미지를 용이하게 촬영할 수 있도록 상기 노출부(A) 일면에 조명을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조명장치(136)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영상취득부(130)는, 예를 들어, CDMA 모뎀등의 인터넷을 이용하여 촬영한 이미지를 상기 제어부(140)로 송신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132)는, 상기 노출부(A)에 포획된 해충의 개체수를 비롯하여, 상기 노출부(A)의 면적에 피복률을 계산하기 위하여, 상기 노출부(A) 일면을 촬영하고, 상기 이미지를 제어부(140)로 송신한다.
상기 열화상 카메라(134)는, 상기 노출부(A)에 포획된 해충의 중첩여부에 따른 정확한 해충의 개체수를 분석하기 위하여 상기 노출부(A) 일면을 열화상 촬영하고, 상기 이미지를 제어부(140)로 송신한다. 상기 열화상 카메라(134)는 적외선 카메라(132)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도 5는 도 1의 제어부(140)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트랩시트(122)의 여분 여부를 확인하는 트랩시트 인식부(142), 상기 트랩시트(122)의 상태를 분석하는 트랩시트 분석부(144) 및 상기 트랩시트 분석부(144)로부터 정보를 제공받아 상기 공급롤러(124) 및 상기 회수롤러(126)를 제어하는 롤러제어부(14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트랩시트 인식부(142)는, 본 발명의 해충 모니터링 장치(100)가 해충의 모니터링을 시작할 때, 상기 트랩시트(122)의 여분이 존재하는지에 대한 여부 뿐 만 아니라, 상기 트랩시트(122)가 상기 공급롤러(124) 및 회수롤러(126)에 장착되어 있는지에 대한 여부 또한 인식가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트랩시트 인식부(142)는 상기 트랩시트(122)의 여분 또는 상기 트랩시트(122)의 장착 여부를 인식하고 상기 트랩시트(122)가 준비되면, 상기 롤러제어부(146)로 확인신호를 전송하여 상기 롤러제어부(146)가 상기 공급롤러(124) 및 회수롤러(126)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트랩시트 분석부(144)는, 상기 트랩시트(122)가 교체된 이후, 상기 노출부(A)가 노출된 시간을 계산하는 타이머부(144b) 및 상기 영상취득부(130)로부터 수신한 상기 노출부(A) 이미지를 분석하는 이미지 분석부(144a)를 포함할 수 있다.
작업자는 본 발명의 해충 모니터링 장치를 가동할 때, 상기 트랩시트 분석부(144)에 설정치를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작업자는 상기 트랩시트 노출부(A)의 노출 시간, 상기 트랩시트 노출부(A)의 피복률 및 상기 트랩시트 노출부(A)에 포획 해충의 개체 수 등을 입력할 수 있다. 상기 트랩시트 분석부(144)는 작업자가 입력한 설정치를 기준으로, 상기 이미지 분석부(144a) 및 상기 타이머부(144b)를 통해 분석된 데이터들이 작업자가 입력한 상기 설정치에 도달하였을 때, 상기 롤러제어부(146)로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상기 이미지 분석부(144a)는, 상기 영상취득부(130)로부터 수신한 이미지를 분석하여, 상기 트랩시트 노출부(A)에 포획된 해충의 개체수를 파악하고, 해충 이외의 이물질들이 상기 노출부 면적 대비 피복된 면적을 계산할 수 있다. 상기 이미지 분석부(144a)는, 상기 영상 취득부로부터 수신한 열화상 이미지를 분석하여, 상기 트랩시트 노출부(A)에 포획된 해충들 중 두 마리 이상 중첩되어 포획된 해충들을 분석해 낼 수 있다. 예를 들어, 한 마리가 포획된 경우의 열화상 이미지 및 두 마리 이상이 중첩되어 포획된 경우의 이미지의 차이를 통하여, 해충이 중첩되어 포획되어있는지에 대한 여부를 분석할 수 있다.
상기 노출부는 상기 노출부 면적 대비 피복된 면적이 크거나, 포획된 해충의 개체수가 많을수록, 해충들이 새로 포획될 면적이 적어지기 때문에 해충 모니터링 시 데이터의 정확도가 떨어지므로, 이물질이나 해충 등에 의해 피복된 면적이 적절하게 유지되어야 한다. 따라서, 상기 이미지 또는 열화상 이미지를 분석한 결과가 상기 트랩시트 분석부(144)에 입력된 상기 설정치에 도달하였을 경우, 상기 이미지 분석부(144a) 또는 상기 트랩시트 분석부(144)는 상기 롤러제어부(146)에 트랩시트(122) 제어에 관하여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작업자가 상기 트랩시트 분석부(144)에 입력한 피복률이 60%이고, 상기 이미지 분석부(144a)에서 분석한 상기 트랩시트 노출부(A)의 피복률이 60% 이상이라면 상기 이미지 분석부(144a) 또는 상기 트랩시트 분석부(144)는 상기 롤러제어부(146)에 제어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작업자가 상기 트랩시트 분석부(144)에 입력한 포획된 해충 개체 수가 50 마리이고, 상기 이미지 분석부(144a)에서 분석한 상기 트랩시트 노출부(A)에 포획된 해충 개체 수가 50마리 이상이라면 상기 이미지 분석부(144a) 또는 상기 트랩시트 분석부(144)는 상기 롤러제어부(146)에 제어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상기 타이머부(144b)는, 상기 트랩시트(122)가 설치되었을 때를 기준으로, 상기 트랩시트 노출부(A)의 노출기간을 계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트랩시트 노출부(A)의 노출일 수가 상기 트랩시트 분석부(144)에 입력된 상기 설정치에 도달하였을 경우, 상기 타이머부(144b) 또는 트랩시트 분석부(144)는 상기 롤러제어부(146)에 트랩시트(122) 제어에 관하여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작업자가 상기 트랩시트 분석부(144)에 입력한 노출 시간이 5일이고, 상기 타이머부(144b)에서 계산한 상기 트랩시트 노출부(A)의 노출 시간이 5일 이상이라면 상기 타이머부(144b) 또는 상기 트랩시트 분석부(144)는 상기 롤러제어부(146)에 제어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또한, 타이머부(144b)는 해충 모니터링 장치(100)의 소비전력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상기 전원공급부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타이머부(144b)는 상기 영상취득부(130)의 촬영 및 전송과 같은 전력 소비가 있을 경우에만 상기 전원공급부를 통해 전원을 공급 받을 수 있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상기 트랩시트 인식부(142) 및 트랩시트 분석부(144)로부터 신호를 수신한 롤러제어부(146)는, 상기 공급롤러(124) 및 회수롤러(126)를 제어한다. 예를 들어, 상기 트랩시트 인식부(142)로부터 확인신호를 수신한 롤러제어부(146)는, 상기 트랩시트 분석부(144)로부터 신호를 받을 준비를 할 수 있다. 이후, 상기 트랩시트 분석부(144)로부터 상기 제어 신호를 수신한 상기 롤러제어부(146)는 상기 공급롤러(124) 및 회수롤러(126)를 일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트랩시트 노출부(A)를 교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40)는, 바람직하게, 웹 기반 모니터링이 가능한 ICT 기반 농업기상재해, 생육시기 및 해충예찰 정보 시스템 등과 연계가 가능할 수 있으며, STA 서버에서 촬영한 영상 및 이미지를 확인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해충 모니터링 장치(100)는, 상기 장치(100) 주변지역의 외기환경을 측정할 수 있는 환경센서(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환경센서는, 상기 해충 모니터링 장치(100)가 설치된 지역의 온도, 습도, 일사량, 풍향, 풍속, 강우량 및 토양수분 등을 측정가능하며, 측정한 상기 정보들을 DB저장할 수 있도록 시스템을 구축하여 저장가능하다. 상기 환경센서의 제어는 별도로 설치된 제어기를 통하여 제어될 수 있으나, 상기 환경센서에서 측정한 환경 정보는, 상기 제어부(140)에서 습득한 모니터링 정보와 함께 저장할 수 있어, 기후에 따른 해충 모니터링 및 분석이 가능할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해충 모니터링 장치를 구동하는 단계에 대하여 더욱 자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해충 모니터링 장치는, 전원공급부로부터 제어부, 영상취득부 및 자동트랩부가 전원을 공급받아 구동하게 된다.
도 6는 도 1의 제어부의 제어순서도이다. 도 6에 도시된 순서도를 참고하여 더욱 자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해충 모니터링 장치는 상기 제어부에 설정치를 입력하는 단계(S1), 상기 제어부가 트랩시트의 설치여부를 인식하는 단계(S2), 상기 영상취득부가 상기 트랩시트의 노출부를 촬영하는 단계(S3), 상기 제어부가 상기 트랩시트를 분석하는 단계(S4) 및 상기 제어부가 분석결과 및 상기 설정치를 토대로 상기 자동트랩부를 제어하는 단계(S5)를 거쳐 모니터링하게 된다.
상기 제어부에 설정치를 입력하는 단계(S1)에서, 작업자는, 상기 노출부의 노출 시간, 피복률 및 상기 노출부에 포획된 해충의 개체 수 등을 입력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에 설정치가 입력이 되면, 상기 제어부는 트랩시트 인식부를 통하여 케이스 내부에 배치된 자동트랩부에 트랩시트를 포함하는 롤 트랩이 설치되었는지 인식하는 단계(S2)로 넘어갈 수 있다. 상기 제어부가 상기 트랙시트 인식부를 통하여 상기 롤 트랩이 설치되었는지 인식하는 과정에서, 상기 제어부의 트랙시트 분석부에 포함되어 있는 타이머부가 상기 트랙시트 노출부의 노출 시간을 카운트하기 시작하거나, 이 전에 측정하고 있던 시간으로부터 카운트 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가 롤 트랩을 인식하게 되면, 상기 영상취득부가 상기 노출부를 촬영하는 단계(S3)로 넘어간다. 상기 영상취득부가 상기 트랩시트를 촬영하는 단계(S3)는, 상기 영상취득부의 조명장치가 상기 노출부에 조명을 제공하고, 상기 영상취득부의 카메라 및 열화상 카메라가 상기 노출부를 촬영하게 된다.
상기 영상취득부가 촬영한 상기 노출부 이미지 및 열화상 이미지는, 인터넷 모뎀 등의 방법으로 제어부로 송신될 수 있다.
상기 노출부 이미지를 수신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트랩시트를 분석하는 단계(S4)로 넘어간다. 상기 제어부는, 트랩시트 분석부의 이미지 분석부를 통하여 상기 영상취득부가 촬영한 상기 노출부의 이미지 및 열화상 이미지를 분석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미지 및 열화상 이미지로부터, 상기 트랩시트 노출부의 피복률 및 상기 트랙시트 노출부에 포획된 해충 개체 수를 분석할 수 있다. 특히, 상기 노출부에 포획된 해충의 중첩여부를 열화상 이미지를 통해 확인하여 정확한 해충의 개체수를 분석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가 상기 트랙시트를 분석한 결과를 통하여 상기 트랩시트 분석부는 상기 트랩시트의 교체를 판단하는 단계(S5)를 수행하게 된다.
예를 들어, 상기 트랩시트의 교체를 판단하는 단계(S5)에서, 상기 트랩시트 분석부는 상기 타이머부가 측정 및 계산한 상기 트랩시트 노출부의 노출시간이 5일 이상일 때,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롤러제어부로 제어신호를 송신하며, 상기 제어신호를 수신한 롤러제어부는, 상기 자동트랩부로 트랩제어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반면, 상기 트랩시트 노출부의 노출시간이 5일 미만일 때, 상기 트랩시트 노출부의 피복률을 확인하는 단계로 넘어갈 수 있다.
상기 트랩시트 분석부는, 상기 트랩시트 노출부의 피복률을 확인하여, 상기 트랩시트 노출부의 피복률이 60% 이상일 때,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롤러제어부로 제어신호를 송신하며, 상기 제어신호를 수신한 롤러제어부는 상기 자동트랩부로 트랩제어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반면, 상기 트랩시트 노출부의 피복률이 60% 미만일 때, 상기 트랩시트 노출부에 포획된 해충의 개체수를 확인하는 단계로 넘어갈 수 있다.
상기 트랩시트 분석부는, 상기 트랩시트 노출부에 포획된 해충의 개체수를 확인하여, 포획된 해충의 개체수가 50마리 이상일 때,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롤러제어부로 제어신호를 송신하며, 상기 제어신호를 수신한 롤러제어부는 상기 자동트랩부로 트랩제어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반면 상기 트랩시트 노출부에 포획된 해충의 개체수가 50마리 미만일 때, 상기 영상취득부로 촬영신호를 송신하여, 상기 영상취득부가 상기 트랩시트 노출부를 재촬영할 수 있다.
상기 트랩제어신호를 수신한 상기 자동트랩부는, 상기 제어부의 상기 트랩시트 인식부를 통하여, 상기 트랩시트의 여분이 상기 트랩시트를 감고 있는 공급롤러의 롤 트랩에 남아 있는지 확인하고, 상기 트랩시트의 여분이 확인되면, 기존의 상기 트랩시트 노출부의 면적과 동일한 면적을 같는 새로운 트랩시트 노출부를 노출시키기 위하여, 공급롤러 및 회수롤러를 일 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트랩시트 노출부를 교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트랩시트의 여분을 확인하는 단계에서, 상기 트랩시트가 상기 롤 트랩의 끝에 도달 하였으면, 상기 제어부는 해충 모니터링 장치를 종료할 것인지에 대한 선택을 작업자에게 알려주어, 상기 롤 트랩을 교체하거나, 해충 모니터링 장치를 종료할 수 있다.
여기서, 작업자가 상기 롤 트랩을 새로 교체할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자동트랩부에 트랩시트의 설치여부를 인식하는 단계(S2)로 돌아가, 계속해서 해충 모니터링 정보를 습득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모니터링 장치 110: 케이스
112: 유인구 114: 덮개
120: 자동트랩부 122: 트랩시트
124: 공급롤러 126: 회수롤러
130: 영상취득부 132: 카메라
134: 열화상 카메라 136: 조명장치
140: 제어부 142: 트랩시트 인식부
144: 트랙시트 분석부 146: 롤러제어부

Claims (19)

  1. 해충을 유인하기 위한 유인구를 포함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며, 끈끈이가 마련된 트랩시트를 포함하는 자동트랩부;
    상기 자동트랩부에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이미지 또는 열화상 이미지를 촬영하는 영상취득부;
    상기 영상취득부에서 취득된 촬영 이미지를 분석하고, 노출 기간, 피복률 및 포획한 해충 수가 등록된 설정치 이상이 될 경우, 상기 자동트랩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영상취득부, 상기 자동트랩부 및 상기 제어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 주변 지역의 온도, 습도, 일사량, 풍향, 풍속, 강우량 및 토양 수분 등의 외기 환경을 측정하고, 측정한 외기 환경을 상기 제어부에서 습득한 해충 분석결과와 함께 저장하도록 시스템을 구축하는 환경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 모니터링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트랩부는,
    상기 트랩시트가 권취되어, 상기 트랩시트에서 노출되는 노출부 일면이 유인공간 쪽으로 노출되도록 공급하는 공급롤러; 및
    상기 트랩시트를 회수하도록 마련된 회수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 모니터링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취득부는,
    상기 노출부 일면을 이미지 촬영하는 카메라;
    상기 노출부 일면을 열화상 촬영하는 열화상 카메라; 및
    상기 노출부 일면에 조명을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조명장치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 모니터링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트랩시트의 여분 여부를 확인하는 트랩시트 인식부;
    상기 영상취득부로부터 수신받은 이미지를 분석하는 이미지 분석부 및 상기 트랩시트의 노출시간을 계산하는 타이머부를 포함하는 트랩시트 분석부; 및
    상기 트랩시트 분석부로부터 정보를 제공받아 상기 공급롤러 및 상기 회수롤러를 제어하는 롤러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 모니터링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분석부는,
    상기 영상취득부로부터 수신한 열화상 이미지를 통해 상기 노출부 일면에 중첩되어 포획된 해충들의 수를 파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 모니터링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분석부는,
    상기 영상취득부로부터 수신받은 이미지 또는 열화상 이미지를 통해 상기 트랩시트 노출부의 일면에 포획된 해충의 개체수를 파악하여, 해충이 50마리 이상 포획된 경우, 상기 롤러제어부로 신호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 모니터링 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분석부는,
    상기 영상취득부로부터 수신받은 이미지 또는 열화상 이미지를 통해 상기 유인공간 쪽으로 노출된 상기 트랩시트의 일면의 피복률을 계산하여, 60%이상 피복된 경우, 상기 롤러제어부로 신호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 모니터링 장치.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머부는,
    상기 트랩시트의 일면의 노출시간을 계산하여, 상기 트랩시트의 일면이 5일 이상 노출된 경우, 상기 롤러제어부로 신호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 모니터링 장치.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트랩시트의 여분이 확인됐을 때, 상기 트랩시트 분석부로부터 신호를 수신한 상기 롤러제어부가 상기 자동트랩부로 제어신호를 송신하여, 상기 자동트랩부가 상기 공급롤러 및 상기 회수롤러를 일 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노출부를 교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 모니터링 장치.
  10. 전원공급부로부터 제어부, 영상취득부 및 자동트랩부가 전원을 공급받는 단계;
    상기 제어부에 설정치를 입력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해충유인구가 형성된 케이스 내부에 배치된 상기 자동트랩부에 성페로몬 끈끈이가 마련된 트랩시트의 설치여부를 인식하는 단계;
    상기 영상취득부가 상기 트랩시트의 노출부를 촬영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기 트랩시트를 분석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분석결과 및 상기 설정치 토대로 상기 자동트랩부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에 배치되는 환경센서가, 상기 케이스 주변 지역의 온도, 습도, 일사량, 풍향, 풍속, 강우량 및 토양 수 분등의 외기 환경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환경센서가 측정한 외기 환경을 상기 제어부에서 습득한 해충 분석 결과와 함께 서버에 저장하여 기후에 따른 해충분석 시스템을 구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해충 모니터링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 설정치를 입력하는 단계는,
    상기 트랩시트 노출부 일면의 노출 일수, 피복률 및 상기 트랩시트 노출면에 포획된 해충 개체수를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 모니터링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취득부가 상기 트랩시트를 촬영하는 단계는,
    상기 영상취득부의 조명장치가 상기 노출부에 조명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영상취득부의 카메라가 상기 노출부를 촬영하는 단계; 및
    상기 영상취득부의 열화상 카메라가 상기 노출부를 촬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 모니터링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상기 트랩시트를 분석하는 단계는,
    촬영된 상기 노출부 이미지를 분석하는 단계; 및
    상기 트랩시트의 교체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 모니터링 방법.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상기 노출부의 이미지를 분석하는 단계는,
    상기 영상취득부로부터 수신받은 이미지들을 통해 상기 노출부 일면의 피복률 및 상기 노출부 일면에 포획된 해충 수를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 모니터링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노출부에 포획된 해충 수를 계산하는 단계는,
    상기 열화상 카메라로 촬영한 이미지를 통해 상기 노출부 일면에 중첩되어 포획된 해충들을 분석하여 해충들의 개체수를 파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 모니터링 방법.
  16.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트랩시트의 교체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노출부의 노출시간이 5일 이상일 때, 상기 제어부가 트랩제어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노출부의 노출시간이 5일 미만일 때, 상기 제어부가 상기 노출부의 피복률을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 모니터링 방법.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노출부의 피복률 확인 시,
    상기 노출부의 피복률이 60%이상인 때, 상기 트랩제어신호 생성하고,
    상기 노출부의 피복률이 60%미만인 때, 상기 제어부가 상기 노출부에 포획된 해충의 개체수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 모니터링 방법.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노출부에 포획된 해충의 개체수 확인 시,
    상기 노출부에 포획된 해충의 개체수가 50마리 이상인 때, 상기 트랩제어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노출부에 포획된 해충의 개체수가 50마리 미만인 때, 상기 영상취득부로 신호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 모니터링 방법.
  19. 제10항에 있어서, 트랩제어신호를 수신한 상기 자동트랩부는, 상기 트랩시트의 여분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트랩시트의 여분이 확인됐을 때, 상기 트랩시트를 공급하는 공급롤러 및 상기 트랩시트를 회수하는 회수롤러를 일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트랩시트를 교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 모니터링 방법.

KR1020160148792A 2016-11-09 2016-11-09 해충 모니터링을 위한 트랩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방법 KR1019807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8792A KR101980788B1 (ko) 2016-11-09 2016-11-09 해충 모니터링을 위한 트랩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8792A KR101980788B1 (ko) 2016-11-09 2016-11-09 해충 모니터링을 위한 트랩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1886A KR20180051886A (ko) 2018-05-17
KR101980788B1 true KR101980788B1 (ko) 2019-08-28

Family

ID=624861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8792A KR101980788B1 (ko) 2016-11-09 2016-11-09 해충 모니터링을 위한 트랩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078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73327A (ko) 2022-06-17 2023-12-27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해충 트랩지 회수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롤 트랩 예찰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8139B1 (ko) * 2018-12-12 2021-01-04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해충 맞춤형 롤트랩 자동예찰 장치
KR102202071B1 (ko) * 2019-01-31 2021-01-14 (주)인터아이 흰개미 포획 모니터링 시스템
KR102340126B1 (ko) * 2019-11-29 2021-12-16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롤트랩 장치의 이미지 센서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이미지 수집 방법
KR102274490B1 (ko) * 2019-11-29 2021-07-08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트랩 장치의 유인 모듈
KR102354530B1 (ko) * 2020-05-28 2022-01-25 주식회사 세스코 감지 센서 조절 장치
CN113678804B (zh) * 2021-08-20 2022-07-22 浙江大学 一种基于图像通道计算的茶园诱虫板智能更换装置与方法
CN115443958A (zh) * 2022-08-02 2022-12-09 华中农业大学 一种板箱式害虫智能诱杀监测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533987A (ja) * 2005-03-22 2008-08-28 ローレンス ケーツ 有害生物検出装置および有害生物検出方法
KR100871777B1 (ko) 2007-05-14 2008-12-05 주식회사 세스코 해충 포획장치
KR101167982B1 (ko) 2010-01-26 2012-07-24 (주)비전앤바이오테크 해충예찰 트랩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22476A (ko) * 2015-04-14 2016-10-2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자동 리필 가능한 예찰용 해충 트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해충 모니터링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533987A (ja) * 2005-03-22 2008-08-28 ローレンス ケーツ 有害生物検出装置および有害生物検出方法
KR100871777B1 (ko) 2007-05-14 2008-12-05 주식회사 세스코 해충 포획장치
KR101167982B1 (ko) 2010-01-26 2012-07-24 (주)비전앤바이오테크 해충예찰 트랩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73327A (ko) 2022-06-17 2023-12-27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해충 트랩지 회수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롤 트랩 예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1886A (ko) 2018-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80788B1 (ko) 해충 모니터링을 위한 트랩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방법
EP2632506B1 (en) A real-time insect monitoring device
US11241002B2 (en) Remote insect monitoring systems and methods
US20180199565A1 (en) Pest Control Monitoring System
US20230041695A1 (en) Pest Control System Having Event Monitoring
KR101301071B1 (ko) 영상 기반의 무인 모니터링 페로몬트랩 시스템
US20210029984A1 (en) System and Methods
JP6555781B2 (ja) 水位管理システム
KR101953515B1 (ko) 해충 정보 수집 시스템
KR20160122476A (ko) 자동 리필 가능한 예찰용 해충 트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해충 모니터링 방법
CN112931456A (zh) 一种大田作物昆虫采集设备及虫害监测预警方法
CN112203059A (zh) 一种基于ai图像识别技术的测虫方法
JP2017194760A (ja) 動物生息状況調査方法および動物生息状況調査システム
JP2009072131A (ja) 捕虫装置及び捕虫シートの検査方法
KR20200091524A (ko) 농작물 관리 장치
JP3555893B2 (ja) 有害生物を集中捕獲するための捕獲用トラップ、捕獲用トラップを備えた有害生物監視装置及び有害生物監視システム
KR20200072336A (ko) 해충 맞춤형 롤트랩 자동예찰 장치
WO2019244156A1 (en) System for in-situ imaging of plant tissue
US20240016136A1 (en) Method and system for monitoring and controlling the presence of at least one type of insect in agricultural crops
US20220196564A1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the presence of spores in fields
KR20080098279A (ko) 자동 감김 장치의 인터렉티브 시스템 및 이의 운용방법
WO2023129030A2 (en) Precision agriculture kit
TR2021021521A1 (tr) Hassas tarım kiti.
IT201800006245A1 (it) Metodo per monitorare le piante
KR20190074461A (ko) 닭 진드기 개체 수 측정 기반 ict 양계장 관리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