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73289A - 전기차량의 액슬용 피니언 기어장치 - Google Patents

전기차량의 액슬용 피니언 기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73289A
KR20230173289A KR1020220073866A KR20220073866A KR20230173289A KR 20230173289 A KR20230173289 A KR 20230173289A KR 1020220073866 A KR1020220073866 A KR 1020220073866A KR 20220073866 A KR20220073866 A KR 20220073866A KR 20230173289 A KR20230173289 A KR 202301732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ening member
gear
bearing
axle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738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세웅
Original Assignee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738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73289A/ko
Publication of KR202301732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7328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2Gearboxes; Mounting gearing therein
    • F16H57/021Shaft support structures, e.g. partition walls, bearing eyes, casing walls or covers with bearings
    • F16H57/022Adjustment of gear shafts or bea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7/00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 B60K17/22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main drive shafting, e.g. cardan shaft
    • B60K17/24Arrangements of mountings for shaf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2Gearboxes; Mounting gearing therein
    • F16H57/023Mounting or installation of gears or shafts in the gearboxes, e.g. methods or means for assemb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7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General Details Of Gea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차량의 액슬용 피니언 기어장치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베어링부를 갖는 고정케이스부와, 베어링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샤프트부와, 샤프트부에 결합되고, 샤프트부를 통해 지지되어 회전력을 출력하는 기어부 및 베어링부와 기어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호 이격시키는 이격조정부가 구비된 전기차량의 액슬용 피니언 기어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전기차량의 액슬용 피니언 기어장치{PINION GEAR DEVICE FOR AXLES OF ELECTRIC VEHICLES}
본 발명은 전기차량의 액슬용 피니언 기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기차량의 액슬에 내장되는 피니언 기어의 조립 과정이 용이할 수 있는 전기차량의 액슬용 피니언 기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차량의 액슬(Axle)은 차량 이동의 평행축에서부터 수직축으로 동력전달방향을 변경하기 위한 하이포이드(Hypoid) 기어셋을 포함한다. 하이포이드 기어셋은 액슬의 하우징에 내장되는 링 기어와 저널로 지지되는 피니언 기어를 포함한다.
피니언 기어는 피니언 하우징 또는 유닛 내의 베어링 어셈블리에 의해 지지되고, 피니언 유닛이 원통형부와 외부 플랜지부를 형성하며, 피니언 유닛의 외부 플랜지에 설치되는 위치로 액슬 하우징이 고정된다.
종래의 전기차량 액슬용 피니언 기어는 최적의 치합 패턴으로 유지 및 이를 점검하고자 피니언 기어의 분해 작업 시 기어축의 베어링 조립 영역에 손상이 발생되고, 분해된 부품수가 많아 작업이 비효율적이며, 별도의 압입기를 사용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240863호(2021.04.15 공고, 발명의 명칭: 전기자동차의 액슬장치)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전기차량의 액슬에 내장되는 피니언 기어의 조립 과정이 용이할 수 있는 전기차량의 액슬용 피니언 기어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차량의 액슬용 피니언 기어장치는 베어링부를 갖는 고정케이스부와, 상기 베어링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샤프트부와, 상기 샤프트부에 결합되고, 상기 샤프트부를 통해 지지되어 회전력을 출력하는 기어부 및 상기 베어링부와 상기 기어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호 이격시키는 이격조정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샤프트부의 양단부에는 고정부가 결합되고, 상기 샤프트부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회동체와, 상기 회동체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기어부와 결합되는 기어체결부 및 상기 회동체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고정부와 결합되는 마감체결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기어체결부는 상기 샤프트부 상에서 이격 형성된 제 1 체결부재 및 제 2 체결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기어부는 상기 제 1 체결부재와 결합되는 제 1 기어부재 및 상기 제 2 체결부재와 결합되는 제 2 기어부재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샤프트부는, 상기 회동체의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 1 체결부재와 상기 제 2 체결부재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 1 체결부재와 상기 제 2 체결부재보다 큰 외경을 갖는 제 1 회동면이 형성되고, 상기 제 2 체결부재를 기준으로 상기 제 1 회동면의 반대편에 제 2 회동면이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베어링부는 상기 제 1 회동면에 배치되는 제 1 베어링 및 상기 제 2 회동면에 배치되는 제 2 베어링을 구비하고, 상기 고정케이스부는 상기 제 1 베어링이 내장되는 제 1 케이스 및 상기 제 2 베어링이 내장되는 제 2 케이스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이격조정부는, 상기 제 1 기어부재와 상기 제 1 베어링 사이에 배치되어 서로를 이격시키는 제 1 끼움부재 및 상기 제 2 기어부재와 상기 제 2 베어링 사이에 배치되어 서로를 이격시키는 제 2 끼움부재를 구비에 연결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마감체결부는 상기 제 1 체결부재에서 상기 샤프트부의 전단부를 향해 형성된 제 3 체결부재 및 상기 제 2 체결부재에서 상기 샤프트부의 후단부를 향해 형성된 제 4 체결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제 3 체결부재와 결합되는 제 1 마감부재 및 상기 제 4 체결부재와 결합되는 제 2 마감부재를 구비를 이룬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 1 기어부재는 내부를 향해 깊이를 갖는 안착홈 및 상기 안착홈과 연통되어 상기 제 1 체결부재에 결합되는 제 5 체결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마감부재는, 상기 제 3 체결부재에 결합되는 제 6 체결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기어부재를 상기 샤프트부 상에 고정하도록 상기 안착홈에 삽입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차량의 액슬용 피니언 기어장치에 의하면, 고정케이스부, 기어부 및 이격조정부가 샤프트부 상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전기차량의 액슬 하우징에 내장되는 기어 시스템의 정비 작업 시 분리 및 조립 공정이 단순화되므로, 최적의 기어 패턴을 유지하기 위한 기어 시스템의 구현이 효율적으로 진행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전기차량의 액슬용 피니언 기어장치는 샤프트부와 기어부가 상호 분리 가능하게 스플라인 결합됨으로써, 샤프트부와 기어부의 축 방향에 대한 회동이 원활하게 연동 가능하여 액슬 하우징 내의 기어 시스템에 대한 동력 전달의 효율이 향상되고, 정비가 필요한 경우에 제 1 끼움부재, 제 1 기어부재 및 제 1 마감부재만을 분해하기 때문에 조립 상에 발생 가능한 설비의 손상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고정부의 제 1 마감부재가 기어부의 제 1 기어부재를 축 방향에서 고정시키도록 샤프트부의 제 3 체결부재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샤프트부와 제 1 기어부재 간의 회동 연동이 효율적으로 구현되므로, 기어 시스템의 동력 전달 향상에 따라 전기차량의 연비가 향상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량의 액슬용 피니언 기어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량의 액슬용 피니언 기어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량의 액슬용 피니언 기어장치를 나타내는 분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량의 액슬용 피니언 기어장치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량의 액슬용 피니언 기어장치의 샤프트부, 제 1 기어부재 및 제 1 마감부재의 결합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량의 액슬용 피니언 기어장치의 제 1 케이스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량의 액슬용 피니언 기어장치의 조립 과정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기차량의 액슬용 피니언 기어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량의 액슬용 피니언 기어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량의 액슬용 피니언 기어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량의 액슬용 피니언 기어장치를 나타내는 분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량의 액슬용 피니언 기어장치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량의 액슬용 피니언 기어장치의 샤프트부, 제 1 기어부재 및 제 1 마감부재의 결합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량의 액슬용 피니언 기어장치의 제 1 케이스를 나타내는 도면인 바, 이를 바탕으로 설명한다. 단, 본 발명에 따른 전기차량의 액슬용 피니언 기어장치는 전기차량에 적용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함이고, 다른 구동 방식의 모든 차량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도 1 내지 도 5에서 도시한 것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기차량의 액슬용 피니언 기어장치(100)는 고정케이스부(110), 샤프트부(120), 기어부, 이격조정부 및 고정부를 포함한다.
고정케이스부(110)는 샤프트부(120)와 관통 결합되어 액슬 하우징(미도시)의 내부에 장착되도록 내측에 베어링부를 갖고, 베어링부의 제 1 베어링(150)이 내장되는 제 1 케이스(111) 및 베어링부의 제 2 베어링(170)이 내장되는 제 2 케이스(113)를 구비한다.
제 1 베어링(150)과 제 2 베어링(170)은 샤프트부(120)의 자중과 샤프트부(120)에 걸리는 하중을 지지하면서 액슬 하우징 내에서 샤프트부(120)의 회동이 원활하게 구현되도록 구름베어링으로 구현 가능하고,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샤프트부(120)는 베어링부의 제 1 베어링(150) 및 제 2 베어링(170)과 각각 축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회동체(121), 기어체결부 및 마감체결부를 구비한다.
회동체(121)는 전체적으로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원기둥 형상을 갖고, 양단부의 각 일부가 상대적으로 작은 지름으로 형성되어 회동체(121)의 외주면이 양단부에서 2단으로 구현된다.
기어체결부는 회동체(121)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어 기어부와 결합되도록 제 1 체결부재(123) 및 제 2 체결부재(125)를 구비하고, 제 1 체결부재(123) 및 제 2 체결부재(125)가 샤프트부(120) 상에서 이격 형성되어 회동체(121)의 외주면을 따라 스플라인의 형상으로 각각 배치된다.
마감체결부는 회동체(121)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어 고정부와 결합되도록 제 1 체결부재(123)에서 샤프트부(120)의 전단부를 향해 형성된 제 3 체결부재(127) 및 제 2 체결부재(125)에서 이격되어 샤프트부(120)의 후단부를 향해 형성된 제 4 체결부재(129)를 구비한다.
마감체결부는 제 3 체결부재(127) 및 제 4 체결부재(129)가 샤프트부(120) 상에서 이격 형성되어 회동체(121)의 외주면을 따라 나사산의 형상으로 각각 배치된다.
샤프트부(120)는 회동체(121)의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제 1 체결부재(123)와 제 2 체결부재(125)의 사이에 배치되어 제 1 체결부재(123)와 제 2 체결부재(125)보다 큰 외경을 갖는 제 1 회동면(미도시)이 형성되고, 제 2 체결부재(125)를 기준으로 제 1 회동면의 반대편에 제 2 회동면(미도시)이 형성되며, 제 2 회동면을 기준으로 제 2 체결부재(125)의 반대편에 제 4 체결부재(129)가 형성된다.
샤프트부(120)는 제 1 회동면이 제 1 체결부재(123)와 제 2 체결부재(125)보다 큰 외경으로 구현됨으로써, 샤프트부(120)에 결합되는 기어부의 결합 위치를 한정하는 스토퍼의 역할하기 때문에 구성요소 간의 간섭을 예방할 수 있다.
기어부는 샤프트부(120)에 관통 결합되고, 샤프트부(120)를 통해 지지되어 회전력을 출력하도록 샤프트부(120)의 제 1 체결부재(123)와 결합되는 제 1 기어부재(130) 및 샤프트부(120)의 제 2 체결부재(125)와 결합되는 제 2 기어부재(160)를 구비한다.
제 1 기어부재(130)는 샤프트부(120)에 지지되어 회동력을 이용한 동력 전달의 수단이고, 외주면을 따라 복수개의 치 형상이 배치되며, 내부를 향해 깊이를 갖는 안착홈(133) 및 안착홈(133)과 연통되어 샤프트부(120)의 제 1 체결부재(123)에 결합되는 제 5 체결부재(131)를 구비한다.
제 1 기어부재(130)는 제 5 체결부재(131)가 제 1 체결부재(123)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축 방향의 내측을 따라 스플라인의 형상이 배치되어 제 1 체결부재(123)와 상호 결합될 수 있다.
샤프트부(120)와 제 1 기어부재(130)의 상호 결합 관계에 있어서, 제 1 체결부재(123)와 제 5 체결부재(131) 중 어느 하나는 수형 스플라인이 형성되고, 다른 하나는 수형 스플라인에 대응하는 암형 스플라인이 형성되어 샤프트부(1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직선 이동을 통해 분리 및 조립이 가능하다.
제 2 기어부재(160)는 샤프트부(120)에 지지되어 회동력을 이용한 동력 전달의 수단이고, 외주면을 따라 복수개의 치 형상이 배치되며, 제 2 체결부재(125)의 형상에 대응하는 체결부재(미도시)를 통해 제 2 체결부재(125)와 결합된다.
기어부는 제 1 기어부재(130)가 베벨기어식으로 구현되고, 제 2 기어부재(160)가 헬리컬기어로 구현되며, 이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동력 전달을 효율적으로 전달 가능한 기어 설비라면 다양하게 대체할 수 있고, 이는 공지 기술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이격조정부는 베어링부와 기어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호 간섭을 방지하는 일정 간격을 갖도록 제 1 기어부재(130)와 제 1 베어링(150) 사이에 배치되어 서로를 이격시키는 제 1 끼움부재(101) 및 제 2 기어부재(160)와 제 2 베어링(170) 사이에 배치되어 서로를 이격시키는 제 2 끼움부재(103)를 구비한다.
제 1 끼움부재(101)는 샤프트부(120)에 관통 결합이 가능하도록 링 형상으로 구비되고, 샤프트부(120) 상에 결합된 제 1 베어링(150)과 제 1 기어부재(130)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호 간격을 조정하므로, 샤프트부(120)와 기어부의 연동에 따른 제 1 베어링(150)과 제 1 기어부재(130)의 상호 접촉을 방지하여 불필요한 간섭이 최소화된다.
제 2 끼움부재(103)는 샤프트부(120)에 관통 결합이 가능하도록 링 형상으로 구비되고, 샤프트부(120) 상에 결합된 제 2 베어링(170)과 제 2 기어부재(160)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호 간격을 조정하므로, 샤프트부(120)와 기어부의 연동에 따른 제 1 베어링(150)과 제 1 기어부재(130)의 상호 접촉을 예방하여 불필요한 간섭을 최소화된다.
상술한 전기차량의 액슬용 피니언 기어장치(100)의 구성에 있어서, 전기차량의 액슬용 피니언 기어장치(100)는 샤프트부(120)의 일방에서 타방의 방향으로 제 1 마감부재(140), 제 1 기어부재(130), 제 1 끼움부재(101), 제 1 케이스(111), 제 2 기어부재(160), 제 2 케이스(113) 및 제 2 마감부재(105)의 배치 순서를 갖는다.
전기차량의 액슬용 피니언 기어장치(100)는 제 1 케이스(111)에 제 1 베어링(150)이 내장되어 제 1 끼움부재(101)를 통해 제 1 기어부재(130)와 간격을 유지하고, 제 2 케이스(113)에 제 2 베어링(170)이 내장되어 제 2 끼움부재(103)를 통해 제 2 기어부재(160)와 간격을 유지한다.
베어링부는 제 1 베어링(150)이 제 1 회동면에 배치되어 샤프트부(120)의 축 방향 회동을 지지하고, 제 2 베어링(170)이 제 2 회동면에 배치되어 샤프트부(120)의 축 방향 회동을 지지한다.
고정부는 샤프트부(120)의 양단부에 결합되어 축 방향에서의 고정 가압력을 유지하도록 제 3 체결부재(127)와 결합되는 제 1 마감부재(140) 및 제 4 체결부재(129)와 결합되는 제 2 마감부재(105)를 구비한다.
제 1 마감부재(140)는 제 3 체결부재(127)에 결합되는 제 6 체결부재(143)를 구비하고, 제 6 체결부재(143)를 따라 연장 형성된 고정너트(141) 및 고정너트(141)의 원주 방향을 따라 고정너트(141)의 단부에서 연장 형성된 고정플랜지(145)를 구비한다.
제 1 마감부재(140)는 제 1 기어부재(130)를 샤프트부(120) 상에서 축 방향으로 고정하도록 고정플랜지(145)가 제 1 기어부재(130)의 안착홈(133)에 삽입된다.
제 2 마감부재(105)는 제 1 마감부재(140)와 동일한 구성을 갖고, 샤프트부(120)의 축 방향을 기준으로 제 1 마감부재(140)의 반대 방향에서 제 2 베어링(170)을 고정한다.
도 6에서 도시한 것과 같이, 고정케이스부(110)의 제 1 케이스(111)는 샤프트부(120)와 관통 결합되어 샤프트부(120)의 회동 구현을 지지하도록 제 1 베어링(150)이 내장되는 제 1 결합부(111a)와, 제 1 결합부(111a)를 따라 일방으로 돌출 형성된 제 1 중공부(111b) 및 제 1 중공부(111b)의 외주면에서 원주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제 1 플랜지부(111c)를 구비한다.
제 1 케이스(111)는 제 1 플랜지부(111c)의 테두리를 따라 배치되어 제 1 플랜지부(111c)의 내부를 관통하는 복수개의 체결홀(111d)이 형성되고, 제 1 중공부(111b)의 외주면에서 제 1 플랜지부(111c)의 일측에 연장 형성되어 일정한 내구성을 유지하기 위한 복수개의 리브(Rib, 111e)가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도시하진 않았지만, 제 2 케이스(113)는 샤프트부(120)와 관통 결합되어 샤프트부(120)의 회동 구현을 지지하도록 제 2 베어링(170)이 내장되는 제 2 결합부와, 제 2 결합부를 따라 일방으로 돌출 형성된 제 2 중공부 및 제 2 중공부의 외주면에서 원주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제 2 플랜지부를 구비한다.
이하, 상술한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전기차량의 액슬용 피니언 기어장치의 분해 및 조립 공정을 설명한다.
도 7은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량의 액슬용 피니언 기어장치의 분해 및 조립 공정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에서 도시한 것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기차량의 액슬용 피니언 기어장치(100)는 고정케이스부(110), 샤프트부(120), 기어부, 이격조정부 및 고정부를 포함한다.
고정케이스부(110)는 샤프트부(120)와 관통 결합되어 액슬 하우징의 내부에 장착되도록 내측에 베어링부를 갖고, 베어링부의 제 1 베어링(150)이 내장되는 제 1 케이스(111) 및 베어링부의 제 2 베어링(170)이 내장되는 제 2 케이스(113)를 구비한다.
샤프트부(120)는 베어링부의 제 1 베어링(150) 및 제 2 베어링(170)과 각각 축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회동체(121), 기어체결부 및 마감체결부를 구비한다.
기어부는 샤프트부(120)에 관통 결합되고, 샤프트부(120)를 통해 지지되어 회전력을 출력하도록 샤프트부(120)의 제 1 체결부재(123)와 결합되는 제 1 기어부재(130) 및 샤프트부(120)의 제 2 체결부재(125)와 결합되는 제 2 기어부재(160)를 구비한다.
이격조정부는 베어링부와 기어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호 간섭을 방지하는 일정 간격을 갖도록 제 1 기어부재(130)와 제 1 베어링(150) 사이에 배치되어 서로를 이격시키는 제 1 끼움부재(101) 및 제 2 기어부재(160)와 제 2 베어링(170) 사이에 배치되어 서로를 이격시키는 제 2 끼움부재(103)를 구비한다.
고정부는 샤프트부(120)의 양단부에 결합되어 축 방향에서의 고정 가압력을 유지하도록 제 3 체결부재(127)와 결합되는 제 1 마감부재(140) 및 제 4 체결부재(129)와 결합되는 제 2 마감부재(105)를 구비한다.
전기차량의 액슬용 피니언 기어장치(100)는 샤프트부(120)의 일방에서 타방의 방향으로 제 1 마감부재(140), 제 1 기어부재(130), 제 1 끼움부재(101), 제 1 케이스(111), 제 2 기어부재(160), 제 2 케이스(113) 및 제 2 마감부재(105)의 배치 순서를 갖는다.
전기차량의 액슬용 피니언 기어장치(100)는 제 1 케이스(111)에 제 1 베어링(150)이 내장되어 제 1 끼움부재(101)를 통해 제 1 기어부재(130)와 간격을 유지하고, 제 2 케이스(113)에 제 2 베어링(170)이 내장되어 제 2 끼움부재(103)를 통해 제 2 기어부재(160)와 간격을 유지한다.
전기차량의 액슬용 피니언 기어장치(100)는 상술한 구성을 통해 제 1 하우징케이스(10) 및 제 2 하우징케이스(30)에 결합되고, 액슬 하우징에 내장되어 전기차량의 구동 시스템을 구현한다.
도 8에서 도시한 것과 같이, 전기차량의 액슬용 피니언 기어장치(100)는 액슬의 구동을 위한 최적의 기어 패턴을 구현하기 위해 이격조정부의 제 1 끼움부재(101)를 교체하는 작업이 진행될 수 있다.
전기차량의 액슬용 피니언 기어장치(100)는 제 1 하우징케이스(10)와 제 2 하우징케이스(30)가 분리되는 공정 이후에 샤프트부(120)에 결합된 제 1 끼움부재(101), 제 1 기어부재(130) 및 제 1 마감부재(140)가 분리되는 공정이 진행된다.
전기차량의 액슬용 피니언 기어장치(100)는 제 1 끼움부재(101)의 상태를 확인한 후에 분해 작업의 역순으로 조립 공정이 진행되므로, 샤프트부(120)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모두 분해 및 조립하는 공정이 최소화되기 때문에 조립 공정 상에서 발생 가능한 샤프트부(120)의 제 1 회동면과 제 2 회동면의 손상을 방지하여 구동 시스템의 품질이 향상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전기차량의 액슬용 피니언 기어장치(100)는 고정케이스부(110), 기어부 및 이격조정부가 샤프트부(120) 상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전기차량의 액슬 하우징에 내장되는 기어 시스템의 정비 작업 시 분리 및 조립 공정이 단순화되므로, 최적의 기어 패턴을 유지하기 위한 기어 시스템의 구현이 효율적으로 진행될 수 있다.
전기차량의 액슬용 피니언 기어장치(100)는 샤프트부(120)와 기어부가 상호 분리 가능하게 스플라인 결합됨으로써, 샤프트부(120)와 기어부의 축 방향에 대한 회동이 원활하게 연동 가능하여 액슬 하우징 내의 기어 시스템에 대한 동력 전달의 효율이 향상되고, 정비가 필요한 경우에 제 1 끼움부재(101), 제 1 기어부재(130) 및 제 1 마감부재(140)만을 분해하기 때문에 조립 상에 발생 가능한 설비의 손상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전기차량의 액슬용 피니언 기어장치(100)는 고정부의 제 1 마감부재(140)가 기어부의 제 1 기어부재(130)를 축 방향에서 고정시키도록 샤프트부(120)의 제 3 체결부재(127)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샤프트부(120)와 제 1 기어부재(130) 간의 회동 연동이 효율적으로 구현되므로, 기어 시스템의 동력 전달 향상에 따라 전기차량의 연비가 향상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제 1 하우징케이스 30: 제 2 하우징케이스
100: 전기차량의 액슬용 피니언 기어장치
101: 제 1 끼움부재 103: 제 2 끼움부재
105: 제 2 마감부재 110: 고정케이스부
111: 제 1 케이스 111a: 제 1 결합부
111b: 제 1 중공부 111c: 제 1 플랜지부
111d: 체결홀 111e: 리브(Rib)
113: 제 2 케이스 120: 샤프트부
121: 회동체 123: 제 1 체결부재
125: 제 2 체결부재 127: 제 3 체결부재
129: 제 4 체결부재 130: 제 1 기어부재
131: 제 5 체결부재 133: 안착홈
140: 제 1 마감부재 141: 고정너트
143: 제 6 체결부재 145: 고정플랜지
150: 제 1 베어링 160: 제 2 기어부재
170: 제 2 베어링

Claims (8)

  1. 베어링부를 갖는 고정케이스부;
    상기 베어링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샤프트부;
    상기 샤프트부에 결합되고, 상기 샤프트부를 통해 지지되어 회전력을 출력하는 기어부; 및
    상기 베어링부와 상기 기어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호 이격시키는 이격조정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량의 액슬용 피니언 기어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부의 양단부에는 고정부가 결합되고,
    상기 샤프트부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회동체;
    상기 회동체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기어부와 결합되는 기어체결부; 및
    상기 회동체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고정부와 결합되는 마감체결부;
    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량의 액슬용 피니언 기어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체결부는 상기 샤프트부 상에서 이격 형성된 제 1 체결부재 및 제 2 체결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기어부는 상기 제 1 체결부재와 결합되는 제 1 기어부재 및 상기 제 2 체결부재와 결합되는 제 2 기어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량의 액슬용 피니언 기어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부는,
    상기 회동체의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 1 체결부재와 상기 제 2 체결부재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 1 체결부재와 상기 제 2 체결부재보다 큰 외경을 갖는 제 1 회동면이 형성되고, 상기 제 2 체결부재를 기준으로 상기 제 1 회동면의 반대편에 제 2 회동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량의 액슬용 피니언 기어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부는 상기 제 1 회동면에 배치되는 제 1 베어링 및 상기 제 2 회동면에 배치되는 제 2 베어링을 구비하고,
    상기 고정케이스부는 상기 제 1 베어링이 내장되는 제 1 케이스 및 상기 제 2 베어링이 내장되는 제 2 케이스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량의 액슬용 피니언 기어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이격조정부는,
    상기 제 1 기어부재와 상기 제 1 베어링 사이에 배치되어 서로를 이격시키는 제 1 끼움부재; 및
    상기 제 2 기어부재와 상기 제 2 베어링 사이에 배치되어 서로를 이격시키는 제 2 끼움부재;
    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량의 액슬용 피니언 기어장치.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체결부는 상기 제 1 체결부재에서 상기 샤프트부의 전단부를 향해 형성된 제 3 체결부재 및 상기 제 2 체결부재에서 상기 샤프트부의 후단부를 향해 형성된 제 4 체결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제 3 체결부재와 결합되는 제 1 마감부재 및 상기 제 4 체결부재와 결합되는 제 2 마감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량의 액슬용 피니언 기어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기어부재는 내부를 향해 깊이를 갖는 안착홈 및 상기 안착홈과 연통되어 상기 제 1 체결부재에 결합되는 제 5 체결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마감부재는,
    상기 제 3 체결부재에 결합되는 제 6 체결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기어부재를 상기 샤프트부 상에 고정하도록 상기 안착홈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량의 액슬용 피니언 기어장치.
KR1020220073866A 2022-06-17 2022-06-17 전기차량의 액슬용 피니언 기어장치 KR2023017328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3866A KR20230173289A (ko) 2022-06-17 2022-06-17 전기차량의 액슬용 피니언 기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3866A KR20230173289A (ko) 2022-06-17 2022-06-17 전기차량의 액슬용 피니언 기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73289A true KR20230173289A (ko) 2023-12-27

Family

ID=893778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3866A KR20230173289A (ko) 2022-06-17 2022-06-17 전기차량의 액슬용 피니언 기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7328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094879B2 (ja) アクスルシャフトの製造方法
US7497038B2 (en) Trench cutter
KR101335469B1 (ko) 전기차용 차동기어 직동구동방식 구동모듈
US20070066439A1 (en) Positive clutch with staggered teeth height
US8043188B2 (en) Spider-less vehicle differential
JP4981694B2 (ja) 動力伝達装置
US4793212A (en) Differential gear assembly for motor vehicles
WO2009122859A1 (ja) 変速機ケース
DE4001379A1 (de) Pumpenlaufrad
JP4989066B2 (ja) 車軸部におけるピニオンユニット
WO2006022992A1 (en) Ribbed cover for drive axle housing
US6324930B1 (en) Gear assembly
JP2013160290A (ja) 終減速装置の組立方法及び治具
KR20230173289A (ko) 전기차량의 액슬용 피니언 기어장치
GB2089931A (en) Epicyclic gearing drive for dredger drum
EP1642047A1 (en) Tamdem axle carrier structural rib
JP2017026018A (ja) 車両用手動変速機のトランスミッションケース
JPS6220416B2 (ko)
US3960061A (en) Mounting arrangement for a hydraulic motor
CN210183133U (zh) 减重端盖
US8585535B2 (en) High torque capacity three output differential
CN209851973U (zh) 一种车轮传动轴总成及车辆底盘
CN211288500U (zh) 减速器和车辆
JP6711298B2 (ja) デフケース組立体
JP7490233B2 (ja) 減速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