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72560A - 배전기, 차량용 충전 및 배전 시스템, 차량 및 충전 파일 - Google Patents

배전기, 차량용 충전 및 배전 시스템, 차량 및 충전 파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72560A
KR20230172560A KR1020237039506A KR20237039506A KR20230172560A KR 20230172560 A KR20230172560 A KR 20230172560A KR 1020237039506 A KR1020237039506 A KR 1020237039506A KR 20237039506 A KR20237039506 A KR 20237039506A KR 20230172560 A KR20230172560 A KR 202301725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or
coupling conductor
fan
terminal
shap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395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퉈디 황
펑후이 쉐
쭌제 리
펀 류
차오 류
Original Assignee
비와이디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비와이디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비와이디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301725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7256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2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converters located in the vehicle
    • B60L53/22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charging converters specially adapted for charging 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 B60L50/5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 B60L50/6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using power supplied by batte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1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energy transfer between the charging station and the vehicle
    • B60L53/14Conductive energy transfer
    • B60L53/16Connectors, e.g. plugs or sockets, specially adapted for charging 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2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converters located in the vehicle
    • B60L53/24Using the vehicle's propulsion converter for charg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2Electric charging stations

Abstract

배전기(2000), 차량의 충전 및 배전 시스템(1000), 차량, 및 충전 파일. 배전기(2000)는 하우징 본체(200); 직류 충전 인터페이스(201); 전기 제어 단부 인터페이스(202); 배터리 단부 인터페이스(203); 전기 제어 단부 인터페이스(202)와 배터리 단부 인터페이스(203) 사이에 연결된 제1 접촉기(K1); 전기 제어 단부 인터페이스(202)와 배터리 단부 인터페이스(203) 사이에 연결된 제2 접촉기(K2); 제3 접촉기(K3) 및 프리차지 저항기(9); 직류 충전 인터페이스(201)와 배터리 단부 인터페이스(203) 사이에 연결된 제4 접촉기(K4); 직류 충전 인터페이스(201)의 음극 단자와 배터리 단부 인터페이스(203)의 음극 단자 사이에 연결된 제5 접촉기(K5)를 포함하고, 5개의 접촉기 및 프리차지 저항기는 모두 하우징 본체(200) 내부에 배열된다.

Description

배전기, 차량용 충전 및 배전 시스템, 차량 및 충전 파일
관련 출원들에 대한 상호 참조
본 개시내용은 "DISTRIBUTOR, CHARGING AND DISTRIBUTION SYSTEM FOR VEHICLE, VEHICLE, AND CHARGING PILE"라는 명칭으로 BYD Co., Ltd.이 2021년 9월 3일자로 출원한 중국 특허 출원 제2021110328722호에 대한 우선권 및 그 이익들을 주장한다. 앞서 언급한 출원의 전체 내용은 본원에 참조로 포함된다.
기술분야
본 개시내용은 접촉기 분야에 관한 것으로, 더 구체적으로는, 배전기, 차량용 충전 및 배전 시스템, 차량, 및 충전 파일에 관한 것이다.
관련 기술분야에서, 다양한 요건을 충족시키기 위해 차량을 위한 충전 및 배전 시스템에 복수의 접촉기가 배열될 필요가 있다. 복수의 전기 컴포넌트 사이의 상호 영향을 피하기 위해, 복수의 접촉기는 독립적으로, 개별적으로 배열되어, 복잡한 회로 레이아웃, 큰 공간 점유, 및 높은 비용을 초래한다.
본 개시내용은 관련 기술분야에 존재하는 기술적 문제들 중 적어도 하나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개시내용의 일 목적은 배전기를 제안하는 것이다. 배전기는 프리차지 저항기 및 복수의 직류 접촉기를 통합할 수 있다. 배전기에서의 회로 레이아웃은 간단하며, 이는 복수의 접촉기들에 의해 점유되는 공간을 감소시킬 수 있고, 또한 배전기의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은 차량용 충전 및 배전 시스템을 추가로 제안한다.
본 개시내용은 차량을 추가로 제안한다.
본 개시내용은 충전 파일을 추가로 제안한다.
본 개시내용에 따른 배전기는 외부 하우징; 직류 충전 인터페이스, 전자 제어 단자 인터페이스, 및 배터리 단자 인터페이스- 직류 충전 인터페이스, 전자 제어 단자 인터페이스, 및 배터리 단자 인터페이스는 각각 외부 하우징 내에 배열됨 -; 제1 접촉기- 제1 접촉기는 전자 제어 단자 인터페이스의 양극 단자와 배터리 단자 인터페이스의 양극 단자 사이에 연결됨 -; 제2 접촉기- 제2 접촉기는 전자 제어 단자 인터페이스의 음극 단자와 배터리 단자 인터페이스의 음극 단자 사이에 연결됨 -; 제3 접촉기 및 프리차지 저항기- 제3 접촉기 및 프리차지 저항기는 직렬로 연결되어 프리차지 브랜치를 형성하고; 프리차지 브랜치 및 제1 접촉기는 병렬로 연결되고, 프리차지 브랜치는 전자 제어 단자 인터페이스의 양극 단자와 배터리 단자 인터페이스의 양극 단자 사이에 연결되거나; 또는 프리차지 브랜치와 제2 접촉기는 병렬로 연결되고, 프리차지 브랜치는 전자 제어 단자 인터페이스의 음극 단자와 배터리 단자 인터페이스의 음극 단자 사이에 연결됨 -; 제4 접촉기- 제4 접촉기는 직류 충전 인터페이스의 양극 단자와 배터리 단자 인터페이스의 양극 단자 사이에 연결됨 -; 및 제5 접촉기- 제5 접촉기는 직류 충전 인터페이스의 음극 단자와 배터리 단자 인터페이스의 음극 단자 사이에 연결됨 -를 포함하고, 제1 접촉기, 제2 접촉기, 제3 접촉기, 프리차지 저항기, 제4 접촉기, 및 제5 접촉기는 각각 선택적으로 턴온 또는 턴오프되고 각각 외부 하우징 내에 위치된다.
본 개시내용에 따른 배전기는 프리차지 저항기 및 복수의 직류 접촉기를 통합할 수 있다. 배전기에서의 회로 레이아웃은 간단하며, 이는 복수의 접촉기들에 의해 점유되는 공간을 감소시킬 수 있고, 또한 배전기의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일부 예들에서, 배전기는 제1 내부 쉘을 더 포함하고, 제1 내부 쉘은 외부 하우징 내에 고정적으로 배열되고, 제1 접촉기, 제2 접촉기, 제3 접촉기, 및 프리차지 저항기는 제1 내부 쉘 내에 통합되고, 제1 접촉기의 입력 단자 및 출력 단자 둘 모두는 제1 내부 쉘 상에 배열되고, 제2 접촉기의 입력 단자 및 출력 단자 둘 모두는 제1 내부 쉘 상에 배열된다.
본 개시내용의 일부 예들에서, 제1 접촉기 및 제2 접촉기 둘 모두는 주 결합 전도체- 주 결합 전도체는 대응하는 입력 단자에 연결되고, 주 결합 전도체는 대응하는 출력 단자에 선택적으로 전기적으로 연결됨 -를 포함하고;
제3 접촉기는 프리차지 결합 전도체를 포함하고, 프리차지 결합 전도체 및 프리차지 저항기는 제1 접촉기 및 제2 접촉기 중 하나의 입력 단자 및 출력 단자에 개별적으로 연결되고, 프리차지 결합 전도체는 프리차지 저항기에 선택적으로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본 개시내용의 일부 예들에서, 구동 조립체가 제1 내부 쉘에 배열되고, 구동 조립체는 대응하는 출력 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주 결합 전도체를 구동하도록 구성되고, 프리차지 저항기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프리차지 결합 전도체를 구동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본 개시내용의 일부 예들에서, 구동 조립체는 제1 팬 형상 부분, 제2 팬 형상 부분, 및 제3 팬 형상 부분을 포함하고, 주 결합 전도체는 제1 결합 전도체 및 제2 결합 전도체를 포함하고, 제1 팬 형상 부분은 제1 결합 전도체를 추진하고 제1 결합 전도체에 대한 추진을 해제하도록 구성되고, 제2 팬 형상 부분은 제2 결합 전도체를 추진하고 제2 결합 전도체에 대한 추진을 해제하도록 구성되고, 제3 팬 형상 부분은 프리차지 결합 전도체를 추진하고 프리차지 결합 전도체에 대한 추진을 해제하도록 구성되고, 제1 결합 전도체는 제1 접촉기의 입력 단자에 연결되고, 제1 결합 전도체는 제1 접촉기의 출력 단자에 선택적으로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2 결합 전도체는 제2 접촉기의 입력 단자에 연결되고, 제2 결합 전도체는 제2 접촉기의 출력 단자에 선택적으로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여기서,
제1 결합 전도체는 제1 접촉기의 출력 단자에 대향하여 배열되고, 제2 결합 전도체는 제2 접촉기의 출력 단자에 대향하여 배열되고, 제1 팬 형상 부분이 제1 결합 전도체를 추진할 때, 제1 결합 전도체는 제1 접촉기의 출력 단자에 연결되고, 제2 팬 형상 부분이 제2 결합 전도체를 추진할 때, 제2 결합 전도체는 제2 접촉기의 출력 단자에 연결되고, 제3 팬 형상 부분이 프리차지 결합 전도체를 추진할 때, 프리차지 결합 전도체는 프리차지 저항기에 연결된다.
본 개시내용의 일부 예들에서, 구동 조립체는 제1 전원 및 제1 전동 로드를 더 포함하고, 제1 전원은 제1 전동 로드의 단부 부분에 연결되고 제1 전동 로드를 회전 구동하도록 구성되고, 제1 팬 형상 부분, 제2 팬 형상 부분, 및 제3 팬 형상 부분은 각각 제1 전동 로드 상에 배열되고, 제1 팬 형상 부분, 제2 팬 형상 부분, 및 제3 팬 형상 부분은 각각 제1 축을 중심으로 동기식으로 회전하고, 제1 축은 제1 전동 로드의 축과 일치하며;
회전 과정에서, 제1 팬 형상 부분, 제2 팬 형상 부분, 및 제3 팬 형상 부분은 개별적으로 제1 결합 전도체, 제2 결합 전도체, 및 프리차지 결합 전도체를 추진하고, 제1 결합 전도체, 제2 결합 전도체, 및 프리차지 결합 전도체에 대한 추진을 해제한다.
본 개시내용의 일부 예들에서, 배전기는 제2 내부 쉘을 더 포함하고, 제2 내부 쉘은 외부 하우징 내에 고정적으로 배열되고, 제4 접촉기 및 제5 접촉기가 제2 내부 쉘 내에 통합되고, 제4 접촉기의 입력 단자 및 출력 단자의 모두는 제2 내부 쉘 상에 배열되고, 제5 접촉기의 입력 단자 및 출력 단자의 모두는 제2 내부 쉘 상에 배열된다.
본 개시내용의 일부 예들에서, 제1 전동 조립체, 제1 구동 코일, 및 제2 구동 코일이 제2 내부 쉘에 배열되고, 제4 접촉기 및 제5 접촉기 둘 모두는 주 결합 전도체- 주 결합 전도체는 대응하는 입력 단자에 연결됨 -를 포함하고;
제1 전동 조립체는 제1 마이크로 스위치 및 제1 종동 부재를 포함하고, 제1 마이크로 스위치는 제1 종동 부재와 전력 연결되고, 제1 종동 부재는 주 결합 전도체에 연결되고, 제1 구동 코일 및 제2 구동 코일은 주 결합 전도체를 출력 단자에 결합되도록 구동하기 위해 통전된 후에 자기력을 발생시킴으로써 제1 마이크로 스위치를 제1 방향을 향해 이동하게 구동하거나, 주 결합 전도체를 출력 단자로부터 분리되도록 구동하기 위해 제1 마이크로 스위치를 제2 방향을 향해 이동하게 구동하도록 구성된다.
본 개시내용의 일부 예들에서, 제1 구동 코일 및 제2 구동 코일은 이격되고, 제1 마이크로 스위치는 제2 축을 중심으로 제1 구동 코일과 제2 구동 코일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여기서
제1 구동 코일 및 제2 구동 코일은 제1 마이크로 스위치를 제2 축을 중심으로 제1 방향을 향해 회전하게 구동하도록 구성되거나, 또는 제1 마이크로 스위치를 제2 축을 중심으로 제2 방향을 향해 회전하게 구동하도록 구성된다.
본 개시내용의 일부 예들에서, 제1 전동 조립체는 제1 전동 부재를 더 포함하고, 제1 전동 부재는 제3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제1 기어 부분을 포함하고, 제1 마이크로 스위치는 제2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제1 원호-형상 치형부 부분을 포함하고, 제1 기어 부분 및 제1 원호-형상 치형부 부분은 치형부 구조를 통해 맞물림 전동하고;
제1 전동 부재는 제3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제2 기어 부분을 더 포함하고, 제1 종동 부재는 제1 래크 부분을 포함하고, 제2 기어 부분 및 제1 래크 부분은 치형부 구조를 통해 맞물림 전동된다.
본 개시내용의 일부 예들에서, 제4 접촉기 및 제5 접촉기 둘 모두는 주 결합 전도체- 주 결합 전도체는 대응하는 입력 단자에 연결되고, 주 결합 전도체는 대응하는 출력 단자에 선택적으로 전기적으로 연결됨 -를 포함하고;
구동 메커니즘이 제2 내부 쉘 내에 배열되고, 구동 메커니즘은 제4 팬 형상 구동 부분을 포함하고, 제4 팬 형상 구동 부분은 제4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회전 과정에서, 제4 팬 형상 구동 부분은 제4 접촉기의 주 결합 전도체 및 제5 접촉기의 주 결합 전도체를 추진하고 제4 접촉기의 주 결합 전도체 및 제5 접촉기의 주 결합 전도체에 대한 추진을 해제하고, 제4 팬 형상 구동 부분이 복수의 주 결합 전도체를 추진할 때, 복수의 주 결합 전도체는 대응하는 출력 단자에 개별적으로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본 개시내용의 일부 예에서, 제4 팬 형상 구동 부분은 제4 축을 따라서 이격된 제1 팬 형상 하위-부분 및 제2 팬 형상 하위-부분을 포함하고, 주 결합 전도체는 제3 결합 전도체 및 제4 결합 전도체를 포함하고, 제1 팬 형상 하위-부분은 제3 결합 전도체를 추진하고 제3 결합 전도체에 대한 추진을 해제하도록 구성되고, 제2 팬 형상 하위-부분은 제4 결합 전도체를 추진하고 제4 결합 전도체에 대한 추진을 해제하도록 구성되고, 제3 결합 전도체는 제4 접촉기의 입력 단자에 연결되고, 제3 결합 전도체는 제4 접촉기의 출력 단자에 선택적으로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4 결합 전도체는 제5 접촉기의 입력 단자에 연결되고, 제4 결합 전도체는 제5 접촉기의 출력 단자에 선택적으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제3 결합 전도체는 제4 접촉기의 출력 단자에 대향되게 배열되고, 제4 결합 전도체는 제5 접촉기의 출력 단자에 대향되게 배열된다.
본 개시내용의 일부 예에서, 제1 팬 형상 하위-부분 및 제2 팬 형상 하위-부분은 제4 축을 따라서 서로 직접 대면되어 배열되고, 제4 축을 중심으로 동기식으로 회전되며, 회전 과정에서, 제1 팬 형상 하위-부분 및 제2 팬 형상 하위-부분은 제3 결합 전도체 및 제4 결합 전도체를 동시에 추진하고 제3 결합 전도체 및 제4 결합 전도체에 대한 추진을 동시에 해제한다.
본 개시내용의 일부 예들에서, 구동 메커니즘은 제2 전원 및 제2 전동 로드를 더 포함하고, 제2 전원은 제2 전동 로드의 단부 부분에 연결되고 제2 전동 로드를 회전 구동하도록 구성되고, 제1 팬 형상 하위-부분 및 제2 팬 형상 하위-부분 모두는 제2 전동 로드 상에 배열되고, 제1 팬 형상 하위-부분 및 제2 팬 형상 하위-부분 모두는 제4 축을 중심으로 동기식으로 회전하고, 제4 축은 제2 전동 로드의 축과 일치한다.
본 개시내용의 일부 예들에서, 배전기는 제3 내부 쉘 및 제4 내부 쉘을 더 포함하고, 제3 내부 쉘 및 제4 내부 쉘 모두는 외부 하우징 내에 고정 배열되고, 제4 접촉기는 제3 내부 쉘 내에 배열되고, 제5 접촉기는 제4 내부 쉘 내에 배열되고, 제4 접촉기의 입력 단자 및 출력 단자 모두는 제3 내부 쉘 상에 배열되고, 제5 접촉기의 입력 단자 및 출력 단자 모두는 제4 내부 쉘 상에 배열된다.
본 개시내용의 일부 예들에서, 제4 접촉기 및/또는 제5 접촉기는 제2 전동 조립체, 주 결합 전도체, 및 제3 구동 코일을 포함하고, 주 결합 전도체는 대응하는 입력 단자에 연결되고;
제2 전동 조립체는 제2 마이크로 스위치, 제2 전동 부재, 및 제2 종동 부재를 포함하고, 제2 마이크로 스위치 및 제2 전동 부재는 맞물림 전동하고, 제2 전동 부재 및 제2 종동 부재는 맞물림 전동하고, 제2 종동 부재는 주 결합 전도체에 연결되고; 제3 구동 코일은 통전된 후에 자기력을 발생시킴으로써 제2 마이크로 스위치를 이동하게 구동하도록 구성되고; 여기서,
제2 전동 조립체는 제2 마이크로 스위치가 이동할 때, 제2 전동 부재를 통해 이동하게 제2 종동 부재를 구동하여, 주 결합 전도체가 대응하는 출력 단자에 결합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된다.
본 개시내용의 일부 예들에서, 제2 마이크로 스위치는 제5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제2 전동 부재는 제6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제5 축 및 제6 축은 수직으로 분포되고;
제2 마이크로 스위치는 제5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제2 원호-형상 치형부 부분을 포함하고, 제2 전동 부재는 제6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제3 기어 부분을 포함하고, 제2 원호-형상 치형부 부분 및 제3 기어 부분은 맞물림 전동하고;
제2 전동 부재는 제6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제4 기어 부분을 더 포함하고, 제2 종동 부재는 제2 래크 부분을 포함하고, 제4 기어 부분 및 제2 래크 부분은 맞물림 전동된다.
본 개시내용의 일부 예들에서, 제4 접촉기 및/또는 제5 접촉기는 구동 장치 및 결합 버스바를 포함하고, 결합 버스바는 제1 전도 섹션 및 제2 전도 섹션을 포함하고, 제1 전도 섹션 및 제2 전도 섹션은 서로 연결되고 서로에 대해 회전 가능하고, 제1 전도 섹션은 대응하는 입력 단자 상에 고정되고, 제2 전도 섹션은 대응하는 출력 단자에 선택적으로 전기적으로 연결되거나 그로부터 분리되고;
구동 장치는 출력 단자를 향해 또는 출력 단자로부터 멀어지게 이동하도록 제2 전도 섹션을 구동하도록 구성되고; 여기서,
입력 단자 및 출력 단자는 제3 방향으로 결합 버스바에 대향하여 개별적으로 배열되고, 결합 버스바, 입력 단자, 및 출력 단자 중 적어도 하나는 제4 방향으로 구동 장치에 대향하여 배열되고, 제3 방향은 제4 방향에 직교한다.
본 개시내용의 일부 예들에서, 구동 장치는 제3 마이크로 스위치 및 제4 구동 코일을 포함하고, 제3 마이크로 스위치는 제3 방향에서 제4 구동 코일에 대향하여 배열되고, 제3 마이크로 스위치는 제4 구동 코일의 자기력의 작용 하에서 고정축을 중심으로 스윙하기에 적합하고, 제3 마이크로 스위치는 제2 전도 섹션을 출력 단자를 향해 또는 출력 단자로부터 멀어지게 이동하게 구동하도록 구성되고, 제4 구동 코일은 제4 방향에서 입력 단자 및 출력 단자에 각각 대향하여 배열되고, 제3 마이크로 스위치는 제4 방향에서 결합 버스바에 대향하여 배열된다.
본 개시내용의 일부 예들에서, 제3 마이크로 스위치는 구동 플랫폼 및 연결 프레임을 포함하고, 연결 프레임의 일 단부는 구동 플랫폼에 연결되고, 연결 프레임의 다른 단부는 제2 전도 섹션에 연결되고, 구동 플랫폼은 제4 구동 코일의 자기력의 작용 하에서 스윙하기에 적합하고, 구동 플랫폼은 연결 프레임을 스윙하도록 구동한 다음, 제2 전도 섹션을 출력 단자를 향해 또는 그로부터 멀어지게 이동하게 구동하도록 구성된다.
본 개시내용의 일부 예들에서, 배전기는 제6 접촉기, 제7 접촉기, 및 교류 충전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하고, 제6 접촉기는 교류 충전 인터페이스의 양극 단자와 배터리 단자 인터페이스의 양극 단자 사이에 연결되고, 제7 접촉기는 교류 충전 인터페이스의 음극 단자와 배터리 단자 인터페이스의 음극 단자 사이에 연결된다.
본 개시내용의 일부 예들에서, 배전기는 온도 센서 및 제어기를 더 포함하고, 온도 센서는 제어기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온도 센서는 제1 접촉기, 제2 접촉기, 제3 접촉기, 제4 접촉기, 제5 접촉기, 및/또는 프리차지 저항기의 회로 신호들을 검출하도록 구성되고, 제어기는 회로 신호에 따라 턴온 또는 턴오프되도록 제1 접촉기, 제2 접촉기, 제3 접촉기, 제4 접촉기, 제5 접촉기, 및/또는 프리차지 저항기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며;
회로 신호는 온도 변화, 전압 변화, 및 전류 변화를 포함한다.
본 개시내용에 따른 차량용 충전 및 배전 시스템은 배전기를 포함한다.
본 개시내용에 따른 차량은 차량용 충전 및 배전 시스템을 포함한다.
본 개시내용의 추가적인 양태들 및 이점들은 다음의 설명에서 주어질 것이며, 그 중 일부는 다음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거나 본 개시내용의 실시들로부터 학습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배전기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배전기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배전기의 다른 각도로부터의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배전기의 내부 구조의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배전기의 제5 접촉기, 직류 충전 인터페이스, 전자 제어 단자 인터페이스, 및 배터리 단자 인터페이스에 대한 제1 접촉기의 연결의 개략도이다.
도 6은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배전기의 원리도이다. 도 7은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접촉기의 개략도이다.
도 8은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접촉기의 평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A-A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8의 B-B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8의 C-C의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8의 D-D의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접촉기의 내부 구조의 개략도이다.
도 14는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접촉기의 고전압의 원리도이다.
도 15는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접촉기의 부분 구조의 개략도이다.
도 16은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접촉기의 제1 연결 단자, 제2 연결 단자, 결합 전도체, 구동 조립체, 및 프리차지 저항기의 조립체 개략도이다.
도 17은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접촉기의 구동 조립체, 결합 전도체, 및 프리차지 결합 전도체의 개략도이다.
도 18은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라 조립된 후의 접촉기의 제1 연결 단자, 제2 연결 단자, 결합 전도체, 구동 조립체, 및 프리차지 저항기의 평면도이다.
도 19는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접촉기의 프리차지 결합 전도체가 접촉기의 프리차지 저항기에 결합되는 개략도이다.
도 20은 도 19의 E-E의 단면도이다. 도 21은 도 19의 F-F의 단면도이다.
도 22는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접촉기의 프리차지 결합 전도체가 접촉기의 프리차지 저항기에 결합되고 접촉기의 제2 결합 전도체가 음극 출력 바인딩 포스트에 결합되는 개략도이다.
도 23은 도 22의 H-H의 단면도이다. 도 24는 도 22의 I-I의 단면도이다.
도 25는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접촉기의 프리차지 결합 전도체가 접촉기의 프리차지 저항기에 결합되고, 접촉기의 제2 결합 전도체가 음극 출력 바인딩 포스트에 결합되고, 접촉기의 제1 결합 전도체가 양극 출력 바인딩 포스트에 결합되는 개략도이다.
도 26은 도 25의 G-G의 단면도이다.
도 27은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음극 출력 바인딩 포스트에 결합되는 접촉기의 제2 결합 전도체 및 양극 출력 바인딩 포스트에 결합되는 접촉기의 제1 결합 전도체의 개략도이다.
도 28은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양극 출력 바인딩 포스트에 결합되는 접촉기의 제1 결합 전도체의 개략도이다.
도 29는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접촉기의 구조의 개략도이다.
도 30은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접촉기의 단면도이다.
도 31은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접촉기(하우징 없음)의 구조의 개략도이다.
도 32는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접촉기(하우징 없음)의 구조의 평면도(연결 상태)이다.
도 33은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접촉기(하우징 없음)의 구조의 정면도(연결 상태)이다.
도 34는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접촉기(하우징이 없음)의 구조의 평면도(분리 상태)이다.
도 35는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접촉기(하우징이 없음)의 구조의 정면도(분리 상태)이다.
도 36은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접촉기 내의 하우징의 구조의 평면도이다.
도 37은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접촉기의 전동 조립체의 구조의 개략도이다.
도 38은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접촉기의 전동 조립체의 장착의 개략도이다.
도 39는 본 개시내용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접촉기의 전동 조립체의 장착의 개략도이다.
도 40은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접촉기의 실시예의 구조의 개략도이다.
도 41은 도 40의 접촉기의 개략적인 부분 단면도이다.
도 42는 도 40의 접촉기의 단면도이다. 도 43은 도 40의 접촉기의 구조의 개략도(하우징 없음)이다.
도 44는 도 40의 접촉기의 구조의 개략도이다(제1 연결 단자가 제2 연결 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하우징이 없는 상태).
도 45는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접촉기의 다른 실시예의 구조의 개략도이다.
도 46은 도 45의 접촉기의 단면도이다. 도 47은 도 45의 접촉기(하우징 없음)의 구조의 개략도이다.
도 48은 도 45의 접촉기(하우징 없음)의 구조의 정면도(연결 상태)이다.
도 49는 도 45의 접촉기(하우징 없음)의 구조의 평면도(연결 상태)이다.
도 50은 도 45의 접촉기(하우징 없음)의 구조의 정면도(분리 상태)이다.
도 51은 도 45의 접촉기(하우징 없음)의 구조의 평면도(분리 상태)이다.
도 52는 도 45의 접촉기 내의 하우징의 구조의 평면도이다.
도 53은 도 45의 접촉기의 제2 전동 조립체의 구조의 개략도이다.
도 54는 도 45의 접촉기 내에 제2 전동 조립체 및 제3 구동 코일의 장착의 개략도이다.
도 55는 본 개시내용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접촉기(하우징 없음)의 구조의 개략도이다.
도 56은 본 개시내용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접촉기의 개략도이다.
도 57은 제1 위치에서 도 56의 접촉기의 3차원 개략도이다.
도 58은 제1 위치에서의 도 56의 접촉기의 평면도이다.
도 59는 제2 위치에서 도 56의 접촉기의 3차원 개략도이다.
도 60은 제2 위치에서 도 56의 접촉기의 평면도이다.
도 61은 제1 위치에서의 도 56의 접촉기의 구동 장치의 상태도이다.
도 62는 제2 위치에서의 도 56의 접촉기의 구동 장치의 상태도이다.
도 63은 도 56의 접촉기의 개략도이다. 도 64는 도 56의 접촉기의 구동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65는 도 56의 접촉기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66은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개략도이다.
도 67은 본 개시내용에서 사용되는 센서의 작동 회로의 개략도이다.
도 68은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배전기의 다른 원리도이다.
도 69는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충전 파일의 개략도이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이 아래에 상세히 설명되고, 실시예들의 예들이 첨부 도면들에 도시되며, 여기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요소들 또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들을 갖는 요소들은 설명 전반에 걸쳐 동일하거나 유사한 참조 번호들로 표시된다.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아래에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예시적이고 본 개시내용을 설명하기 위해서만 사용되며, 본 개시내용에 대한 제한으로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배전기(2000)를 설명한다. 배전기(2000)는 차량용 충전 및 배전 시스템(1000) 내에 배열될 수 있고, 충전 및 배전 시스템(1000)은 차량 내에 배열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배전기(2000)는 외부 하우징(200), 직류 충전 인터페이스(201), 전자 제어 단자 인터페이스(202), 배터리 단자 인터페이스(203), 제1 접촉기(K1), 제2 접촉기(K2), 제3 접촉기(K3), 제4 접촉기(K4), 및 제5 접촉기(K5)를 포함한다. 직류 충전 인터페이스(201), 전자 제어 단자 인터페이스(202), 및 배터리 단자 인터페이스(203)는 각각 외부 하우징(200) 내에 배열된다. 제1 접촉기(K1)는 전자 제어 단자 인터페이스(202)의 양극 단자와 배터리 단자 인터페이스(203)의 양극 단자 사이에 연결된다. 제2 접촉기(K2)는 전자 제어 단자 인터페이스(202)의 음극 단자와 배터리 단자 인터페이스(203)의 음극 단자 사이에 연결된다. 제3 접촉기(K3) 및 프리차지 저항기(9)는 프리차지 브랜치를 형성하기 위해 직렬로 연결된다. 프리차지 브랜치와 제1 접촉기(K1)는 병렬로 연결되고, 프리차지 브랜치는 전자 제어 단자 인터페이스(202)의 양극 단자와 배터리 단자 인터페이스(203)의 양극 단자 사이에 연결되거나; 또는 프리차지 브랜치와 제2 접촉기(K2)는 병렬로 연결되고, 프리차지 브랜치는 전자 제어 단자 인터페이스(202)의 음극 단자와 배터리 단자 인터페이스(203)의 음극 단자 사이에 연결된다.
또한, 제4 접촉기(K4)는 직류 충전 인터페이스(201)의 양극 단자와 배터리 단자 인터페이스(203)의 양극 단자 사이에 연결된다. 제5 접촉기(K5)는 직류 충전 인터페이스(201)의 음극 단자와 배터리 단자 인터페이스(203)의 음극 단자 사이에 연결된다. 제1 접촉기(K1), 제2 접촉기(K2), 제3 접촉기(K3), 프리차지 저항기(9), 제4 접촉기(K4), 및 제5 접촉기(K5)는 각각 선택적으로 턴온 또는 턴오프되고, 제1 접촉기(K1), 제2 접촉기(K2), 제3 접촉기(K3), 프리차지 저항기(9), 제4 접촉기(K4), 및 제5 접촉기(K5)는 각각 외부 하우징(200) 내에 배열된다.
구체적으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개시내용에서의 배전기(2000)의 작동 시나리오가 아래에 설명된다.
시나리오 1: 차량이 고전압 파워-오프 상태에 있을 때, 제1 접촉기(K1), 제2 접촉기(K2), 제3 접촉기(K3), 제4 접촉기(K4), 및 제5 접촉기(K5)는 각각 오프 상태에 있다.
시나리오 2: 차량의 전력 배터리에 대해 직류 충전(즉, 고속 충전)이 수행될 필요가 있다.
2.1. 차량이 비주행 시나리오에서 고전압 파워-온 상태에 있고(즉, 제2 접촉기(K2) 및 제3 접촉기(K3)가 온 상태에 있고), 전력 배터리에 대해 직류 충전(즉, 고속 충전)이 수행될 필요가 있을 때, 제4 접촉기(K4)의 저전압 제어 부재 및 제5 접촉기(K5)의 저전압 제어 부재는 상위 컴퓨터로부터 접촉기의 신호들을 수신하고, 제4 접촉기(K4)의 고전압 접점 및 제5 접촉기(K5)의 고전압 접점은 오프 상태로부터 온 상태로 스위칭하도록 동기식으로 작용하고, 차량은 직류 충전(즉, 고속 충전) 상태가 된다. 전력 배터리의 직류 충전이 완료될 때, 제4 접촉기(K4)의 저전압 제어 부재 및 제5 접촉기(K5)의 저전압 제어 부재는 상위 컴퓨터로부터 접촉기의 오프 신호들을 수신하고, 제4 접촉기(K4)의 고전압 접점 및 제5 접촉기(K5)의 고전압 접점은 동기식으로 작용하고, 제4 접촉기(K4) 및 제5 접촉기(K5)는 온 상태로부터 오프 상태로 스위칭한다.
2.2. 차량이 고전압 파워-오프 상태에 있고(즉, 제1 접촉기(K1), 제2 접촉기(K2), 제3 접촉기(K3), 제4 접촉기(K4), 및 제5 접촉기(K5)가 각각 오프 상태에 있고), 전력 배터리에 대해 직류 충전(즉, 고속 충전)이 수행될 필요가 있을 때, 제3 접촉기(K3), 제2 접촉기(K2), 및 제1 접촉기(K1)는 순차적으로 폐쇄되고, 그 후 제3 접촉기(K3)는 턴오프된다.
제1 접촉기(K1) 및 제2 접촉기(K2) 모두가 폐쇄되고, 제3 접촉기(K3)가 턴오프될 때, 제4 접촉기(K4) 및 제5 접촉기(K5)는 2.1에서의 작동 절차를 수행하기 시작한다. 2.1에서의 작동 절차가 종료된 후에, 차량이 주행 상태로 스위칭할 필요가 있는 경우, 제2 접촉기(K2) 및 제3 접촉기(K3)는 작동들을 계속 수행할 필요가 없다. 차량이 더 낮은 고전압 전력을 필요로 하는 경우, 제2 접촉기(K2) 및 제3 접촉기(K3)는 턴오프되고, 제1 접촉기(K1)는 턴온된다.
시나리오 3: 차량이 주행할 필요가 있다.
3.1 비주행 시나리오에서 차량이 고전압 파워-온 상태에 있을 때(즉, 제2 접촉기(K2) 및 제3 접촉기(K3)가 온 상태에 있을 때), 제4 접촉기(K4) 및 제5 접촉기(K5)는 어떠한 작동 절차도 수행할 필요가 없다.
3.2 차량이 고전압 파워-오프 상태에 있을 때(즉, 제1 접촉기(K1), 제2 접촉기(K2), 제3 접촉기(K3), 제4 접촉기(K4), 및 제5 접촉기(K5)가 각각 오프 상태에 있을 때), 제3 접촉기(K3), 제2 접촉기(K2), 및 제1 접촉기(K1)가 순차적으로 폐쇄되고, 이어서 제3 접촉기(K3)가 턴오프된다.
시나리오 4: 차량의 시동 배터리(저전압 전원 배터리)가 충전될 필요가 있다.
4.1 비주행 시나리오에서 차량이 고전압 파워-온 상태에 있을 때(즉, 제2 접촉기(K2) 및 제3 접촉기(K3)가 온 상태에 있을 때), 제4 접촉기(K4) 및 제5 접촉기(K5)는 어떠한 작동 절차도 수행할 필요가 없다. obc/DC(차량 탑재 전원)가 상위 컴퓨터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고, 시동 배터리(저전압 전원)를 충전한다.
시동 배터리(저전압 전원)의 충전이 완료되면, 제2 접촉기(K2) 및 제3 접촉기(K3)는 턴오프되고, 제1 접촉기(K1)는 턴온된다.
4.2 차량이 고전압 파워-오프 상태에 있을 때(즉, 제1 접촉기(K1), 제2 접촉기(K2), 제3 접촉기(K3), 제4 접촉기(K4), 및 제5 접촉기(K5)가 각각 오프 상태에 있을 때), 제3 접촉기(K3), 제2 접촉기(K2), 및 제1 접촉기(K1)가 순차적으로 폐쇄되고, 이어서 제3 접촉기(K3)가 턴오프된다.
제1 접촉기(K1) 및 제2 접촉기(K2)가 폐쇄되고, 제3 접촉기(K3)가 오프 상태에 있을 때, 4.1에서의 작동 절차가 계속 수행될 필요가 있다.
시나리오 5: 차량의 시동 배터리(저전압 전원 배터리)가 저전압 부하에 전력을 공급할 수 없다.
5.1 비주행 시나리오에서 차량이 고전압 파워-온 상태에 있을 때(즉, 제2 접촉기(K2) 및 제3 접촉기(K3)가 온 상태에 있을 때), 제4 접촉기(K4) 및 제5 접촉기(K5)는 어떠한 작동 절차도 수행할 필요가 없다. obc/DC(차량 탑재 전원)가 상위 컴퓨터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고, 차량의 저전압 부하에 전력을 공급한다.
고전력 저전압 부하가 턴오프되고, 시동 배터리(저전압 전원)가 저전압 부하의 전원 요건을 충족시킬 수 있을 때, 제2 접촉기(K2) 및 제3 접촉기(K3)는 턴오프되고, 제1 접촉기(K1)는 턴온된다.
5.2 차량이 고전압 파워-오프 상태에 있을 때(즉, 제1 접촉기(K1), 제2 접촉기(K2), 제3 접촉기(K3), 제4 접촉기(K4), 및 제5 접촉기(K5)가 각각 오프 상태에 있을 때), 제3 접촉기(K3), 제2 접촉기(K2), 및 제1 접촉기(K1)가 순차적으로 폐쇄되고, 이어서 제3 접촉기(K3)가 턴오프된다.
제1 접촉기(K1) 및 제2 접촉기(K2)가 폐쇄되고, 제3 접촉기(K3)가 오프 상태에 있을 때, 5.1에서의 작동 절차가 계속 수행될 필요가 있다.
시나리오 6: 차량에 대해 교류 충전(즉, 저속 충전)이 수행될 필요가 있다.
6.1 비주행 시나리오에서 차량이 고전압 파워-온 상태에 있을 때(즉, 제2 접촉기(K2) 및 제3 접촉기(K3)가 온 상태에 있을 때), obc/DC(차량 탑재 전원)가 상위 컴퓨터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작동하고, 구체적으로 전력 배터리를 충전한다.
전력 배터리의 충전이 완료되거나, 차량이 충전을 종료하라는 명령을 실행할 때, 그리고 차량이 주행 상태로 스위칭할 필요가 있는 경우, 제2 접촉기(K2) 및 제3 접촉기(K3)는 작동들을 계속 수행할 필요가 없고; 차량이 더 낮은 고전압 전력을 필요로 하는 경우, 제2 접촉기(K2) 및 제3 접촉기(K3)는 턴오프되고, 제1 접촉기(K1)는 턴온된다.
6.2 차량이 고전압 파워-오프 상태에 있을 때(즉, 제1 접촉기(K1), 제2 접촉기(K2), 제3 접촉기(K3), 제4 접촉기(K4), 및 제5 접촉기(K5)가 각각 오프 상태에 있을 때), 제3 접촉기(K3), 제2 접촉기(K2), 및 제1 접촉기(K1)가 순차적으로 폐쇄되고, 이어서 제3 접촉기(K3)가 턴오프된다.
제1 접촉기(K1) 및 제2 접촉기(K2)가 폐쇄되고, 제3 접촉기(K3)가 오프 상태에 있을 때, 6.1에서의 작동 절차가 계속 수행될 필요가 있다.
본 개시내용에서의 배전기(2000)의 작동 시나리오의 설명으로부터 배전기(2000)가 차량의 충전 및 방전 요건을 충족시킬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제1 접촉기(K1), 제2 접촉기(K2), 제3 접촉기(K3), 프리차지 저항기(9), 제4 접촉기(K4), 및 제5 접촉기(K5)는 각각 외부 하우징(200) 내에 배열되어, 프리차지 저항기(9) 및 복수의 직류 접촉기들이 통합될 수 있다. 배전기(2000) 내의 회로 레이아웃은 간단하며, 이는 복수의 접촉기에 의해 점유되는 공간을 감소시킬 수 있고, 또한 배전기(2000)의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6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개시내용의 일부 실시예들에서, 배전기(2000)는 제6 접촉기(K6), 제7 접촉기(K7), 및 교류 충전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한다. 제6 접촉기(K6)는 교류 충전 인터페이스의 양극 단자와 배터리 단자 인터페이스(203)의 양극 단자 사이에 연결되고, 제7 접촉기(K7)는 교류 충전 인터페이스의 음극 단자와 배터리 단자 인터페이스(203)의 음극 단자 사이에 연결된다. 제6 접촉기(K6), 제7 접촉기(K7), 및 교류 충전 인터페이스를 배열함으로써, 차량 탑재 충전기가 교류 충전 인터페이스에 연결되어, 교류 충전을 구현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일부 실시예들에서, 배전기(2000)는 온도 센서 및 제어기를 더 포함한다. 온도 센서는 제어기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어기는 차량의 원래의 상위 컴퓨터일 수 있고, 온도 센서 및 상위 컴퓨터는 제어기 영역 네트워크(controller area network)(CAN)를 사용하여 통신 제어를 수행함으로써, 원래의 상위 컴퓨터를 사용하여 온도 센서에 대한 제어를 구현하고, 온도 센서의 제어 구조를 단순화하고, 생산 비용을 감소시킨다.
또한, 온도 센서는 제1 접촉기(K1), 제2 접촉기(K2), 제3 접촉기(K3), 제4 접촉기(K4), 제5 접촉기(K5), 및/또는 프리차지 저항기(9)의 회로 신호들을 검출하도록 구성되고, 제어기는 회로 신호에 따라 턴온 또는 턴오프되도록 제1 접촉기(K1), 제2 접촉기(K2), 제3 접촉기(K3), 제4 접촉기(K4), 제5 접촉기(K5), 및/또는 프리차지 저항기(9)를 제어하도록 구성되고, 회로 신호는 온도 변화, 전압 변화, 전류 변화 등을 포함한다. 이는 본 명세서에서 제한되지 않는다.
일부 예들에서, 온도 센서는 제1 접촉기(K1), 제2 접촉기(K2), 제3 접촉기(K3), 제4 접촉기(K4), 제5 접촉기(K5), 및/또는 프리차지 저항기(9) 상에 용접되고, 온도 센서는 상위 컴퓨터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1 접촉기(K1), 제2 접촉기(K2), 제3 접촉기(K3), 제4 접촉기(K4), 제5 접촉기(K5), 및/또는 프리차지 저항기(9)가 턴온됨에 따라, 고전압 회로의 전류 운반 용량 및 발열량이 변화하고, 온도 변화들이 대응하여 발생한다. 온도 센서는 고전압 회로의 작동 프로세스에서 변화 정보(온도 변화, 전류 운반 용량 변화 등)를 획득할 수 있다. 온도 센서는 제1 접촉기(K1), 제2 접촉기(K2), 제3 접촉기(K3), 제4 접촉기(K4), 제5 접촉기(K5), 및/또는 프리차지 저항기(9)의 온도 변화들을 검출하고, 온도 변화들을 회로 신호의 형태로 제어기에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제어기는 회로 신호에 따라 고전압 회로의 차단 임계값에 도달했는지를 결정하고, 고전압 회로가 턴오프될 필요가 있을 때, 제1 접촉기(K1), 제2 접촉기(K2), 제3 접촉기(K3), 제4 접촉기(K4), 제5 접촉기(K5), 및/또는 프리차지 저항기(9)가 전기적으로 분리되도록 제어한다. 고전압 손실 및 비용을 감소시키기 위해 퓨즈가 배열될 필요가 없고, 접촉기를 턴오프되도록 제어한 후에, 본 개시내용의 배전기(2000)를 사용하는 전기 장비가 계속 작동할 필요가 있는 경우, 전기 장비에 고전압이 공급될 수 있는 것이 또한 보장될 수 있으며, 이는 안전성을 개선할 수 있다.
퓨즈가 끊긴 후에, 고전압 회로는 완전히 턴오프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본 개시내용에서, 제어기 및 온도 센서를 배열함으로써, 고전압 회로가 온도 센서로부터 획득된 정보에 기초하여 턴오프될 필요가 있더라도, 극단적인 조건 하에서, 안전성을 개선하기 위해 상위 고전압 전력이 여전히 공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개시내용의 배전기(2000)는 전기 차량에 사용된다. 회로 정보가 접촉기가 턴오프될 필요가 있지만 차량이 위험한 조건에 있고 작동 조건을 유지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나타낼 때, 상위 고전압 전력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차량이 안전한 위치로 주행하거나 위험 조건이 제거된 후에, 제1 접촉기(K1), 제2 접촉기(K2), 제3 접촉기(K3), 제4 접촉기(K4), 제5 접촉기(K5), 및/또는 프리차지 저항기(9)는 전기적으로 분리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배전기(2000)는 제1 접촉기(K1), 제2 접촉기(K2), 제3 접촉기(K3), 제4 접촉기(K4), 제5 접촉기(K5), 및/또는 프리차지 저항기(9)의 과도한 온도로 인한 과열이 방지될 수 있고, 이는 배전기(2000)의 안전성을 향상시키는데 도움이 되고, 차량이 위험 조건에 있고 작동 조건을 유지할 필요가 있을 때 상부 고전압 전력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그에 의해 배전기(2000)의 실용성을 향상시킨다.
물론, 온도 센서는 또한 고전압 회로의 회로 신호를 검출하기 위한 다른 구조적 형태들을 통해 고전압 회로의 다른 위치들에 배열될 수 있으며, 이는 본 명세서에서 제한되지 않는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개시내용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1 접촉기(K1)의 입력 단자는 제1 전도성 버스바(208)를 통해 제4 접촉기(K4)의 출력 단자에 연결되고, 제1 전도성 버스바(208)는 전자 제어 단자 인터페이스(202)의 양극 단자에 추가로 연결된다. 또한, 제2 접촉기(K2)의 입력 단자는 제2 전도성 버스바(209)를 통해 제5 접촉기(K5)의 출력 단자에 연결되고, 제2 전도성 버스바(209)는 전자 제어 단자 인터페이스(202)의 음극 단자에 추가로 연결된다. 또한, 제2 전도성 버스바(209)는 제1 구리 서브-버스바(2094) 및 제2 구리 서브-버스바(2095)를 포함한다. 제1 구리 서브-버스바(2094)는 제2 접촉기(K2)의 입력 단자와 전자 제어 단자 인터페이스(202)의 음극 단자 사이에 연결된다. 제2 구리 서브-버스바(2095)는 제5 접촉기(K5)의 출력 단자와 제1 구리 서브-버스바(2094) 사이에 연결된다. 또한, 제4 전도성 버스바(2092)는 제1 접촉기(K1)의 출력 단자와 배터리 단자 인터페이스(203)의 양극 단자 사이에 연결된다. 또한, 제5 전도성 버스바(2093)는 제2 접촉기(K2)의 출력 단자와 배터리 단자 인터페이스(203)의 양극 단자 사이에 연결된다.
본 개시내용의 일부 실시예들에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전기(2000)는 제1 내부 쉘(204)을 더 포함한다. 제1 내부 쉘(204)은 외부 하우징(200) 내에 고정적으로 배열되고, 제1 접촉기(K1), 제2 접촉기(K2), 제3 접촉기(K3), 및 프리차지 저항기(9)는 제1 내부 쉘(204) 내에 통합되고, 제1 접촉기(K1)의 입력 단자 및 출력 단자 둘 모두는 제1 내부 쉘(204) 상에 배열되고, 제2 접촉기(K2)의 입력 단자 및 출력 단자 둘 모두는 제1 내부 쉘(204) 상에 배열된다. 이러한 배열로, 제1 접촉기(K1), 제2 접촉기(K2), 제3 접촉기(K3), 및 프리차지 저항기(9)가 통합될 수 있어서, 배전기(2000)에서의 회로 레이아웃이 더 간단할 수 있고, 이는 복수의 접촉기들에 의해 점유되는 공간을 추가로 감소시킬 수 있고, 또한 배전기(2000)의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르면, 도 6 내지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접촉기(K1) 및 제2 접촉기(K2) 둘 모두는 주 결합 전도체(3)를 포함한다. 주 결합 전도체(3)는 대응하는 입력 단자에 연결되고, 주 결합 전도체(3)는 대응하는 출력 단자에 선택적으로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하나의 주 결합 전도체(3)가 제1 접촉기(K1) 및 제2 접촉기(K2) 상에 개별적으로 배열된다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설명을 위한 예로서 제1 접촉기(K1)를 사용하면, 제1 접촉기(K1)의 주 결합 전도체(3)는 제1 접촉기(K1)의 입력 단자에 연결되고, 제1 접촉기(K1)의 주 결합 전도체(3)는 제1 접촉기(K1)의 출력 단자에 선택적으로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또한, 제3 접촉기(K3)는 프리차지 결합 전도체(91)를 포함하고, 프리차지 결합 전도체(91) 및 프리차지 저항기(9)는 제1 접촉기(K1) 및 제2 접촉기(K2) 중 하나의 입력 단자 및 출력 단자에 개별적으로 연결되고, 프리차지 결합 전도체(91)는 프리차지 저항기(9)에 선택적으로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바람직하게는, 프리차지 결합 전도체(91) 및 프리차지 저항기(9)는 제1 접촉기(K1)의 입력 단자 및 출력 단자에 각각 연결된다. 이러한 배열은 배전기(2000)가 차량의 충전 및 방전 요건을 충족시키는 것을 보장할 수 있다.
또한, 구동 조립체(4)가 제1 내부 쉘(204)에 배열되고, 구동 조립체(4)는 대응하는 출력 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주 결합 전도체(3)를 구동하도록 구성되고, 구동 조립체(4)는 프리차지 저항기(9)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프리차지 결합 전도체(91)를 구동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구동 조립체(4)는 제1 접촉기(K1)의 주 결합 전도체(3)를 제1 접촉기(K1)의 출력 단자에 연결되게 구동하도록 구성된다. 구동 조립체(4)는 제2 접촉기(K2)의 주 결합 전도체(3)를 제2 접촉기(K2)의 출력 단자에 연결되게 구동하도록 구성된다. 프리차지 결합 전도체(91) 및 주 결합 전도체(3)의 제어는 동일한 구동 조립체(4)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배전기(2000)가 (새로운 에너지 차량과 같은) 차량에 적용된 후에, 차량의 충전 및 방전 요건(충전 및 방전 원리들이 아래에 설명됨)이 충족될 수 있고, 복수의 접촉기들이 함께 통합될 수 있다. 또한, 고전압 주 회로와 저전압 제어 회로 사이의 상호 영향의 위험이 회피될 수 있고, 이는 배전기(2000)의 안전성 및 실용성을 향상시키는 데 도움이 된다.
또한, 구동 조립체(4)는 제1 팬 형상 부분(411), 제2 팬 형상 부분(412), 및 제3 팬 형상 부분(413)을 포함하고, 주 결합 전도체(3)는 제1 결합 전도체(3a) 및 제2 결합 전도체(3b)를 포함하고, 제1 팬 형상 부분(411)은 제1 결합 전도체(3a)를 추진하고 제1 결합 전도체(3a)에 대한 추진을 해제하도록 구성되고, 제2 팬 형상 부분(412)은 제2 결합 전도체(3b)를 추진하고 제2 결합 전도체(3b)에 대한 추진을 해제하도록 구성되고, 제3 팬 형상 부분(413)은 프리차지 결합 전도체(91)를 추진하고 프리차지 결합 전도체(91)에 대한 추진을 해제하도록 구성되고, 제1 결합 전도체(3a)는 제1 접촉기(K1)의 입력 단자에 연결되고, 제1 결합 전도체(3a)는 제1 접촉기(K1)의 출력 단자에 선택적으로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2 결합 전도체(3b)는 제2 접촉기(K2)의 입력 단자에 연결되고, 제2 결합 전도체(3b)는 제2 접촉기(K2)의 출력 단자에 선택적으로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여기서, 제1 결합 전도체(3a)는 제1 접촉기(K1)의 출력 단자에 대향하여 배열되고, 제2 결합 전도체(3b)는 제2 접촉기(K2)의 출력 단자에 대향하여 배열되고, 제1 팬 형상 부분(411)이 제1 결합 전도체(3a)를 추진할 때, 제1 결합 전도체(3a)는 대응하는 출력 단자에 연결된다. 다시 말해서, 제1 팬 형상 부분(411)이 제1 결합 전도체(3a)를 추진할 때, 제1 결합 전도체(3a)는 제1 접촉기(K1)의 출력 단자에 연결되고, 제2 팬 형상 부분(412)이 제2 결합 전도체(3b)를 추진할 때, 제2 결합 전도체(3b)는 제2 접촉기(K2)의 출력 단자에 연결된다. 다시 말해서, 제2 팬 형상 부분(412)이 제2 결합 전도체(3b)를 추진할 때, 제2 결합 전도체(3b)는 제2 접촉기(K2)의 출력 단자에 연결된다. 제3 팬 형상 부분(413)이 프리차지 결합 전도체(91)를 추진하면, 프리차지 결합 전도체(91)는 프리차지 저항기(9)에 연결된다.
본 개시내용의 일부 실시예들에서, 구동 조립체(4)는 제1 전원(42) 및 제1 전동 로드(43)를 더 포함하고, 제1 전원(42)은 제1 전동 로드(43)의 단부 부분에 연결되고 제1 전동 로드(43)를 회전 구동하도록 구성되고, 제1 팬 형상 부분(411), 제2 팬 형상 부분(412), 및 제3 팬 형상 부분(413)은 각각 제1 전동 로드(43) 상에 배열되고, 제1 팬 형상 부분(411), 제2 팬 형상 부분(412), 및 제3 팬 형상 부분(413)은 각각 제1 축을 중심으로 동기식으로 회전하고, 제1 축은 제1 전동 로드(43)의 축과 일치한다. 제1 전동 로드(43)를 제1 전원(42)과 함께 회전하도록 구동함으로써, 제1 팬 형상 부분(411), 제2 팬 형상 부분(412), 및 제3 팬 형상 부분(413)이 동시에 회전하도록 구동될 수 있다.
또한, 회전 과정에서, 제1 팬 형상 부분(411), 제2 팬 형상 부분(412), 및 제3 팬 형상 부분(413)은 개별적으로 제1 결합 전도체(3a), 제2 결합 전도체(3b), 및 프리차지 결합 전도체(91)를 추진하고, 제1 결합 전도체(3a), 제2 결합 전도체(3b), 및 프리차지 결합 전도체(91)에 대한 추진을 해제하며, 따라서, 제1 결합 전도체(3a) 및 제2 결합 전도체(3b)가 대응하는 출력 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프리차지 결합 전도체(91)가 또한 프리차지 저항기(9)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게 한다.
본 개시내용의 일부 실시예들에서, 배전기(2000)는 제2 내부 쉘(205)을 더 포함하고, 제2 내부 쉘(205)은 외부 하우징(200) 내에 고정 배열되고, 제4 접촉기(K4) 및 제5 접촉기(K5)는 제2 내부 쉘(205) 내에 통합되고, 제4 접촉기(K4)의 입력 단자 및 출력 단자의 모두는 제2 내부 쉘(205) 상에 배열되고, 제5 접촉기(K5)의 입력 단자 및 출력 단자의 모두는 제2 내부 쉘(205) 상에 배열된다. 이러한 배열에 의해, 제4 접촉기(K4) 및 제5 접촉기(K5)는 하나의 접촉기에 통합될 수 있고, 이는 배전기(2000)의 내부 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접촉기가 도 7 내지 도 28을 참조하여 아래에 설명된다. 접촉기는 직류 접촉기이고, 적어도 2개의 연결 단자 그룹이 접촉기에 통합된다. 각각의 연결 단자 그룹은 제1 연결 단자(1)(즉, 입력 단자) 및 제2 연결 단자(2)(즉, 출력 단자)를 포함한다. 프리차지 저항기(9) 및 프리차지 결합 전도체(91)가 접촉기 내에 추가로 통합됨으로써, 적어도 3개의 직류 회로 그룹을 형성한다. 접촉기는 3개의 직류 접촉기를 통합하고, 접촉기의 프리차지 저항기(9)는 방전 전기 에너지를 갖는다.
도 7 내지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접촉기는 적어도 2개의 연결 단자 그룹, 적어도 2개의 주 결합 전도체(3), 구동 조립체(4), 프리차지 결합 전도체(91), 및 프리차지 저항기(9)를 포함한다. 연결 단자 그룹들의 수량은 실제 사용 요건에 따라 유연하게 설정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연결 단자 그룹은 2개의 그룹으로 분할되고, 주 결합 전도체(3)는 연결 단자 그룹과 일대일 대응으로 배열된다. 즉, 하나의 주 결합 전도체(3)는 하나의 연결 단자 그룹에 대응하여 배열되고, 각각의 주 결합 전도체(3)는 대응하는 제1 연결 단자(1)에 연결된다. 프리차지 결합 전도체(91) 및 프리차지 저항기(9)는 하나의 연결 단자 그룹의 제1 연결 단자(1) 및 제2 연결 단자(2)에 각각 연결된다. 예를 들어, 프리차지 결합 전도체(91)는 제1 연결 단자(1)에 연결되고, 프리차지 저항기(9)는 제2 연결 단자(2)에 연결된다.
하나의 제1 연결 단자(1)는 하나의 제2 연결 단자(2)에 대응할 수 있고, 하나의 제1 연결 단자(1) 및 하나의 제2 연결 단자(2)는 하나의 직류 회로를 형성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주 결합 전도체(3)는 철 또는 연성 구리(은)를 포함하는 복합 금속과 같은 전도성 재료로 제조되고, 그에 의해 주 결합 전도체(3)의 전도성을 개선하면서 주 결합 전도체(3)의 중량 및 체적의 감소를 용이하게 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주 결합 전도체(3)는 더 큰 전류 운반 용량을 가질 수 있고, 그에 의해서 접촉기의 전도성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주 결합 전도체(3) 내에 연성 구리(은)를 포함하는 복합 재료의 사용으로 인해, 주 결합 전도체(3)는 연성 재료로 제조되고, 이는 주 결합 전도체(3)가 제2 연결 단자(2)와 접촉할 때 발생하는 강성 접촉을 회피하여, 이에 의해 접촉 중에 발생하는 노이즈를 효과적으로 감소시키고, 접촉기의 실용성을 더 향상시킨다.
프리차지 저항기(9)는 제2 연결 단자(2)에 연결되고, 주 결합 전도체(3)는 제1 연결 단자(1)에 연결된다. 또한, 프리차지 저항기(9)는 제2 연결 단자(92)에 연결되고, 프리차지 결합 전도체(91)는 제2 연결 단자(92)에 결합되기에 적합하다.
구동 조립체(4) 및 상위 컴퓨터는 CAN에 따른 신호 제어를 위해 CAN(controller area network)을 사용하여 통신 제어를 수행한다. 구동 조립체(4)는 대응하는 제2 연결 단자(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주 결합 전도체(3)를 구동하도록 구성되고, 구동 조립체(4)는 프리차지 저항기(9)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프리차지 결합 전도체(91)를 구동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또한, 프리차지 결합 전도체(91)는 제2 연결 단자(92)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프리차지 결합 전도체(91) 및 주 결합 전도체(3)의 제어는 동일한 구동 조립체(4)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접촉기가 (새로운 에너지 차량과 같은) 차량에 적용된 후에, 차량의 충전 및 방전 요건(충전 및 방전 원리들이 아래에 설명됨)이 충족될 수 있고, 복수의 접촉기들이 함께 통합될 수 있다. 또한, 고전압 주 회로와 저전압 제어 회로 사이의 상호 영향의 위험이 회피될 수 있는데, 이는 접촉기의 안전성 및 실용성을 향상시키는데 도움이 된다.
또한, 접촉기는 온도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온도 센서는 주 결합 전도체(3) 상에 용접되고, 온도 센서는 상위 컴퓨터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온도 센서는 주 결합 전도체(3)의 온도 변화를 검출하고, 주 결합 전도체(3)의 실시간 온도 값을 상위 컴퓨터에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그 다음, 상위 컴퓨터는 온도가 제1 연결 단자(1)와 제2 연결 단자(2) 사이의 분리를 위한 임계 온도를 충족시키는지를 결정한다. 온도가 임계 온도에 도달하면, 제1 연결 단자(1)는 제2 연결 단자(2)로부터 분리되도록 제어되고, 이에 의해 주 결합 전도체(3)의 과도한 온도로 인한 접촉기의 과열을 방지하여, 접촉기의 안전성을 향상시키는데 도움이 된다. 물론, 온도 센서는 또한 직류 회로의 온도를 검출하기 위해 직류 회로 상의 다른 위치에 배열될 수 있으며, 이는 본 명세서에서 제한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개시내용의 접촉기는 적어도 3개의 직류 접촉기 및 프리차지 저항기(9)를 함께 통합할 수 있다. 접촉기에는 차량의 충전 및 방전 요건을 충족시킬 수 있는 프리차지 회로가 있다. 또한, 프리차지 결합 전도체(91) 및 주 결합 전도체(3)의 제어는 동일한 구동 조립체(4)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접촉기는 고전압 주 회로와 저전압 제어 회로 사이의 상호 영향의 위험을 회피할 수 있으며, 이는 접촉기의 안전성 및 실용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돕는다.
본 개시내용의 일부 실시예들에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연결 단자 그룹이 존재한다. 2개의 연결 단자 그룹 중 하나의 제1 연결 단자(1)는 양극 입력 바인딩 포스트(11)이고 제2 연결 단자(2)는 양극 출력 바인딩 포스트(21)이며, 2개의 연결 단자 그룹 중 다른 하나의 제1 연결 단자(1)는 음극 입력 바인딩 포스트(12)이고 제2 연결 단자(2)는 음극 출력 바인딩 포스트(22)이다. 양극 입력 바인딩 포스트(11) 및 양극 출력 바인딩 포스트(21)는 직류 회로들의 그룹을 형성하고, 양극 입력 바인딩 포스트(11)에 연결된 주 결합 전도체(3)는 양극 입력 바인딩 포스트(11) 및 양극 출력 바인딩 포스트(21)가 턴온 또는 턴오프되도록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음극 입력 바인딩 포스트(12) 및 음극 출력 바인딩 포스트(22)는 다른 그룹의 직류 회로들을 형성하고, 음극 입력 바인딩 포스트(12)에 연결된 주 결합 전도체(3)는 음극 입력 바인딩 포스트(12) 및 음극 출력 바인딩 포스트(22)가 턴온 또는 턴오프되도록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 결합 전도체(3)는 제1 결합 전도체(3a) 및 제2 결합 전도체(3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결합 전도체(3a)는 양극 입력 바인딩 포스트(11)에 연결되고, 양극 출력 바인딩 포스트(21)와 함께 선택적으로 턴오프 또는 턴온되도록 구성된다. 제2 결합 전도체(3b)는 음극 입력 바인딩 포스트(12)에 연결되고, 음극 출력 바인딩 포스트(22)와 함께 선택적으로 턴오프 또는 턴온되도록 구성된다. 다시 말해서, 제1 결합 전도체(3a)는 양극 입력 바인딩 포스트(11) 및 양극 출력 바인딩 포스트(21)가 턴온 또는 턴오프되도록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제2 결합 전도체(3b)는 음극 입력 바인딩 포스트(12) 및 음극 출력 바인딩 포스트(22)가 턴온 또는 턴오프되도록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2개의 그룹의 직류 회로는 제1 결합 전도체(3a) 및 제2 결합 전도체(3b)를 통해 턴온 또는 턴오프되도록 선택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일부 실시예에서, 구동 조립체(4)는 프리차지 결합 전도체(91) 및 제2 연결 단자(92), 제2 결합 전도체(3b) 및 음극 출력 바인딩 포스트(22), 및 제1 결합 전도체(3a) 및 양극 출력 바인딩 포스트(21)를 순차적으로 선택적으로 턴온되게 구동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구동 조립체(4)가 상위 컴퓨터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한 후에, 구동 조립체(4)는 작동하기 시작한다.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 조립체(4)는 먼저 프리차지 결합 전도체(91)를 제2 연결 단자(92)와 함께 턴온되도록 구동한다. 이 경우, 프리차지 회로는 온 상태에 있다. 도 2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구동 조립체(4)는 이어서 음극 출력 바인딩 포스트(22)와 함께 턴온되도록 제2 결합 전도체(3b)를 구동한다. 차량에서, 그에 대응하여, 차량은 상위 고전압 전력이 공급되고 있는 프리차지 상태에 있다. 도 2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구동 조립체(4)는 이어서 양극 출력 바인딩 포스트(21)와 함께 턴온되도록 제1 결합 전도체(3a)를 구동하여, 접촉기의 주 양극 회로가 온 상태에 있게 된다.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 조립체(4)는 이어서 제2 연결 단자(92)와 함께 턴오프되도록 프리차지 결합 전도체(91)를 구동하고, 프리차지 회로는 온 상태에 있다. 이 경우, 차량은 정상 고전압 전력 유지 상태에 있고, 접촉기는 차량이 고전압 전력을 필요로 하는 전체 시간 기간에 이 상태로 유지된다. 차량이 더 낮은 고전압 전력을 필요로 할 때,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 조립체(4)는 양극 출력 바인딩 포스트(21)와 함께 제1 결합 전도체(3a)가 턴오프되도록 구동한다. 이어서, 구동 조립체(4)는 양극 출력 바인딩 포스트(21)와 함께 턴오프되도록 제1 결합 전도체(3a)를 구동한다.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 음극 회로, 주 양극 회로, 및 프리차지 회로는 각각 온 상태에 있다. 이 경우, 차량은 더 낮은 고전압 전력 상태에 있고, 접촉기는 차량이 고전압 전력을 필요로 하지 않는 전체 시간 기간에 이 상태로 유지된다. 따라서, 이러한 배열은 접촉기가 차량의 충전 및 방전 요건을 충족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 있는데, 이는 접촉기의 구조를 간단하게 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일부 실시예들에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 조립체(4)는 팬 형상 구동 부분(41)을 포함하고, 팬 형상 구동 부분(41)은 제1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팬 형상 구동 부분(41)는 복수의 주 결합 전도체(3) 및 프리차지 결합 전도체(91)를 추진하고, 회전 과정에서 복수의 주 결합 전도체(3) 및 프리차지 결합 전도체(91)에 대한 추진을 해제한다. 팬 형상 구동 부분(41)이 복수의 주 결합 전도체(3)를 추진할 때, 복수의 주 결합 전도체(3)는 대응하는 제2 연결 단자(2)에 연결된다. 팬 형상 구동 부분(41)이 프리차지 결합 전도체(91)를 추진하면, 프리차지 결합 전도체(91)는 프리차지 저항기(9)에 연결된다. 또한, 회전 과정에서, 팬 형상 구동 부분(41)은 프리차지 결합 전도체(91) 및 제2 연결 단자(92), 제1 결합 전도체(3a) 및 양극 출력 바인딩 포스트(21), 및 제2 결합 전도체(3b) 및 음극 출력 바인딩 포스트(22)를 턴온되도록 추진한다. 즉, 팬 형상 구동 부분(41)이 회전할 때, 팬 형상 구동 부분(41)은 프리차지 결합 전도체(91) 및 제2 연결 단자(92)가 턴온되도록 구동할 수 있다. 팬 형상 구동 부분(41)은 또한 음극 출력 바인딩 포스트(22)와 함께 턴온되도록 제2 결합 전도체(3b)를 구동할 수 있다. 팬 형상 구동 부분(41)은 양극 출력 바인딩 포스트(21)와 함께 턴온되도록 제1 결합 전도체(3a)를 추가로 구동할 수 있다. 팬 형상 구동 부분(41)은 먼저 프리차지 결합 전도체(91)를 제2 연결 단자(92)와 함께 턴온되도록 구동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이어서, 팬 형상 구동 부분(41)은 음극 출력 바인딩 포스트(22)와 함께 턴온되도록 제2 결합 전도체(3b)를 구동한다. 이어서, 팬 형상 구동 부분(41)은 양극 출력 바인딩 포스트(21)와 함께 턴온되도록 제1 결합 전도체(3a)를 구동한다. 그 후, 팬 형상 구동 부분(41)이 프리차지 결합 전도체(91)로부터 분리될 때, 프리차지 결합 전도체(91)는 제2 연결 단자(92)와 함께 턴오프된다. 이어서, 팬 형상 구동 부분(41)이 제2 결합 전도체(3b)로부터 분리될 때, 제2 결합 전도체(3b)는 음극 출력 바인딩 포스트(22)와 함께 턴오프된다. 이어서, 팬 형상 구동 부분(41)이 제1 결합 전도체(3a)로부터 분리될 때, 제1 결합 전도체(3a)가 양극 출력 바인딩 포스트(21)로부터 턴오프되고, 그에 의해서 프리차지 결합 전도체(91) 및 제2 연결 단자(92), 제1 결합 전도체(3a) 및 양극 출력 바인딩 포스트(21), 그리고 제2 결합 전도체(3b) 및 음극 출력 바인딩 포스트(22)가 순차적으로 선택적으로 턴온 또는 턴오프되도록 구동하는 기술적 효과를 구현한다.
구체적으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팬 형상 구동 부분(41)은 팬 형상 시트 구조로서 구성될 수 있고, 팬 형상 구동 부분(41)은 제1 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팬 형상 구동 부분(41)은, 회전될 때, 팬 형상 구동 부분(41)에 대응하는 제2 연결 단자(2)로 주 결합 전도체(3)를 턴온되게 구동하도록 구성된다. 팬 형상 구동 부분(41)은 또한 제2 연결 단자(92)와 함께 턴온되도록 프리차지 결합 전도체(91)를 구동하도록 구성된다.
팬 형상 구동 부분(41)은 팬 형상 구동 부분(41)에 대응하는 제2 연결 단자(2)에 결합되도록 주 결합 전도체(3)를 구동할 수 있다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팬 형상 구동 부분(41)은 프리차지 결합 전도체(91)를 구동하여 프리차지 저항기(9)에 결합될 수 있다. 팬 형상 구동 부분(41)이 주 결합 전도체(3) 및 프리차지 결합 전도체(91)를 구동하지 않을 때, 팬 형상 구동 부분(41)은 주 결합 전도체(3)의 탄성력 및 프리차지 결합 전도체(91)의 탄성력에 의존하여 리셋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주 결합 전도체(3)는 주 결합 전도체(3)에 대응하는 제2 연결 단자(2)로부터 분리되고, 프리차지 결합 전도체(91)는 프리차지 저항기(9)로부터 분리된다. 그러나, 본 개시내용은 이에 제한되지 않고, 리셋 구동 구조가 또한 접촉기 내에 배열될 수 있다. 주 결합 전도체(3)를 주 결합 전도체(3)에 대응하는 제2 연결 단자(2)와 함께 턴오프되도록 구동하고, 프리차지 결합 전도체(91)를 리셋 구동 구조를 통해 프리차지 저항기(9)와 함께 턴오프되도록 구동함으로써, 리셋 구동 구조는 비틀림 스프링으로서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 결합 전도체(3)는 금속 전도체(10)를 통해 제1 연결 단자(1)에 연결된다. 금속 전도체(10)는 제1 연결 단자(1)와 주 결합 전도체(3) 사이에 배열되고, 금속 전도체(10)를 배열함으로써, 제1 연결 단자(1)와 주 결합 전도체(3) 사이에 전도성 역할을 할 수 있고, 주 결합 전도체(3)의 일 단부는 금속 전도체(10)에 부착되고 연결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제1 연결 단자(1)와 주 결합 전도체(3) 사이의 전도성을 보장한다. 또한, 회전할 때, 팬 형상 구동 부분(41)은 주 결합 전도체(3)가 제2 연결 단자(2)와 함께 턴온될 수 있게 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팬 형상 구동 부분(41)의 회전을 통해서, 제1 연결 단자(1)가 제2 연결 단자(2)와 함께 턴온될 수 있고, 그에 의해서 접촉기의 작동 상태를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게 하고, 사용자의 상이한 직류 충전 요건들을 만족시킬 수 있다.
또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팬 형상 구동 부분(41)은 제1 축의 축방향으로 이격된 제1 팬 형상 부분(411), 제2 팬 형상 부분(412) 및 제3 팬 형상 부분(413)을 포함한다. 주 결합 전도체(3)는 제1 결합 전도체(3a) 및 제2 결합 전도체(3b)를 포함하고, 제1 팬 형상 부분(411)은 제1 결합 전도체(3a)를 추진하고 제1 결합 전도체(3a)에 대한 추진을 해제하도록 구성되고, 제2 팬 형상 부분(412)은 제2 결합 전도체(3b)를 추진하고 제2 결합 전도체(3b)에 대한 추진을 해제하도록 구성되고, 제3 팬 형상 부분(413)은 프리차지 결합 전도체(91)를 추진하고 프리차지 결합 전도체(91)에 대한 추진을 해제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제1 팬 형상 부분(411)은 제1 결합 전도체(3a)를 추진하도록 구성되어, 제1 결합 전도체(3a)는 양극 입력 바인딩 포스트(11)가 양극 출력 바인딩 포스트(21)와 함께 턴온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2 팬 형상 부분(412)은 제2 결합 전도체(3b)를 추진하도록 구성되어, 제2 결합 전도체(3b)는 음극 입력 바인딩 포스트(12)가 음극 출력 바인딩 포스트(22)와 함께 턴온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3 팬 형상 부분(413)은 프리차지 결합 전도체(91)를 추진하도록 구성되어, 프리차지 결합 전도체(91)는 프리차지 저항기(9)와 함께 턴온된다. 다시 말해서, 제1 팬 형상 부분(411) 및 제2 팬 형상 부분(412)은 제1 결합 전도체(3a) 및 제2 결합 전도체(3b)와 일대일 대응한다. 제3 팬 형상 부분(413)은 프리차지 결합 전도체(91)에 대응하여, 제1 팬 형상 부분(411), 제2 팬 형상 부분(412), 및 제3 팬 형상 부분(413)을 통한 제1 결합 전도체(3a), 제2 결합 전도체(3b), 및 프리차지 결합 전도체(91)의 독립적인 제어를 용이하게 함으로써, 직류 회로들의 그룹들 중 하나가 독립적으로 턴온되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연결 단자들의 적어도 2개의 그룹이 접촉기에 통합될 때, 결합 전도체들의 수량 및 팬 형상 부분들의 수량은 제1 연결 단자들(1)의 수량과 동일해야 하고, 이에 의해 제1 연결 단자들(1) 및 제2 연결 단자들(2)의 복수의 그룹의 제어를 구현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본 개시내용의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1 팬 형상 부분(411), 제2 팬 형상 부분(412), 및 제3 팬 형상 부분(413)은 제1 축을 중심으로 동기식으로 회전한다. 즉, 제1 팬 형상 부분(411), 제2 팬 형상 부분(412) 및 제3 팬 형상 부분(413)은 동시에 회전한다. 또한, 제1 팬 형상 부분(411), 제2 팬 형상 부분(412) 및 제3 팬 형상 부분(413)은 각각 회전 전방측 및 회전 후방측을 포함한다. 회전 전방측은 팬 형상 부분의 회전 방향을 지칭하고, 팬 형상 부분은 전방측 및 후방측을 갖는다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팬 형상 부분의 회전 방향에서, 팬 형상 부분의 전방측은 회전 전방측이고, 후방측은 회전 후방측이다.
제1 팬 형상 부분(411)의 회전 과정에서, 제1 팬 형상 부분(411)의 회전 전방측이 제1 결합 전도체(3a)와 접촉한 후에, 그리고 제1 팬 형상 부분(411)의 회전 후방측이 제1 결합 전도체(3a)와 접촉하기 전에, 제1 팬 형상 부분(411)은 제1 결합 전도체(3a)를 추진하고, 따라서 제1 결합 전도체(3a)가 제1 결합 전도체(3a)에 대응하는 제2 연결 단자(2)에 결합된다. 제1 팬 형상 부분(411)의 회전 후방측이 제1 결합 전도체(3a)와 접촉한 후에 그리고 제1 팬 형상 부분(411)의 회전 전방측이 제1 결합 전도체(3a)와 접촉하기 전에, 제1 팬 형상 부분(411)은 제1 결합 전도체(3a)에 대한 추진을 해제한다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제2 팬 형상 부분(412)의 회전 과정에서, 제2 팬 형상 부분(412)의 회전 전방측이 제2 결합 전도체(3b)와 접촉한 후에, 그리고 제2 팬 형상 부분(412)의 회전 후방측이 제2 결합 전도체(3b)와 접촉하기 전에, 제2 팬 형상 부분(412)은 제2 결합 전도체(3b)를 추진하고, 따라서 제2 결합 전도체(3b)가 제2 결합 전도체(3b)에 대응하는 제2 연결 단자(2)에 결합된다. 제2 팬 형상 부분(412)의 회전 후방측이 제2 결합 전도체(3b)와 접촉한 후에 그리고 제2 팬 형상 부분(412)의 회전 전방측이 제2 결합 전도체(3b)와 접촉하기 전에, 제2 팬 형상 부분(412)은 제2 결합 전도체(3b)에 대한 추진을 해제한다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제3 팬 형상 부분(413)의 회전 과정에서, 제3 팬 형상 부분(413)의 회전 전방측이 프리차지 결합 전도체(91)와 접촉한 후에, 그리고 제3 팬 형상 부분(413)의 회전 후방측이 프리차지 결합 전도체(91)와 접촉하기 전에, 제3 팬 형상 부분(413)은 프리차지 결합 전도체(91)를 추진하여, 프리차지 결합 전도체(91)가 프리차지 저항기(9)에 결합된다. 제3 팬 형상 부분(413)의 회전 후방측이 프리차지 결합 전도체(91)와 접촉한 후에 그리고 제3 팬 형상 부분(413)의 회전 전방측이 프리차지 결합 전도체(91)와 접촉하기 전에, 제3 팬 형상 부분(413)은 프리차지 결합 전도체(91)에 대한 추진을 해제한다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개시내용의 일부 실시예들에서, 프리차지 결합 전도체(91)는 제1 결합 전도체(3a)에 연결되고, 프리차지 저항기(9)는 제1 결합 전도체(3a)에 대응하는 연결 단자 그룹의 제2 연결 단자(2)에 연결된다. 제1 축의 방향에서, 제3 팬 형상 부분(413)의 회전 전방측의 투영과 제2 팬 형상 부분(412)의 회전 전방측의 투영 사이에 각도가 있고, 제1 팬 형상 부분(411)의 회전 전방측의 투영과 제2 팬 형상 부분(412)의 회전 전방측의 투영 사이에 각도가 있다. 이러한 배열에 의해, 제3 팬 형상 부분(413)은 먼저 프리차지 결합 전도체(91)를 프리차지 저항기(9)에 결합되도록 추진한다. 이어서, 제2 팬 형상 부분(412)은 제2 결합 전도체(3b)를 음극 출력 바인딩 포스트(22)에 결합되도록 추진한다. 그 후, 제3 팬 형상 부분(413)은 양극 출력 바인딩 포스트(21)에 결합되도록 제1 결합 전도체(3a)를 추진하고, 그에 따라 접촉기가 턴온될 때, 시간차가 존재한다. 프리차지 저항기(9) 및 제1 결합 전도체(3a)는 병렬로 연결되고, 접촉기의 결합 시퀀스는 프리차지 결합 전도체(91)가 프리차지 저항기(9)에 결합되고, 그 후 제2 결합 전도체(3b)가 음극 출력 바인딩 포스트(22)에 결합되고, 그 후 제1 결합 전도체(3a)가 양극 출력 바인딩 포스트(21)에 결합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제1 축의 방향에서, 제1 팬 형상 부분(411)의 회전 전방측의 투영과 제2 팬 형상 부분(412)의 회전 전방측의 투영 사이의 각도는 A이고, 이는 60°≤A≤70°의 관계를 충족시킨다. 바람직하게는, A는 65°이다. 제2 팬 형상 부분(412)의 회전 전방측의 투영과 제3 팬 형상 부분(413)의 회전 전방측의 투영 사이의 각도는 B이고, 이는 20°≤B≤30°의 관계를 충족시킨다. 바람직하게는, B는 25°이다. A를 65°로 그리고 B를 25°로 설정함으로써, 제1 팬 형상 부분(411), 제2 팬 형상 부분(412), 및 제3 팬 형상 부분(413)이 동기식으로 회전할 때, 3개의 접촉기가 턴온될 때, 시간차가 존재하여, 차량의 충전 및 방전 요건을 충족시키는 것이 보장된다.
본 개시내용의 일부 실시예에서, 제1 축의 방향에서, 제2 팬 형상 부분(412)의 회전 전방측의 투영과 제3 팬 형상 부분(413)의 회전 후방측의 투영 사이에 각도가 있고, 제3 팬 형상 부분(413)의 회전 후방측의 투영과 제1 팬 형상 부분(411)의 회전 후방측의 투영 사이에 각도가 있고, 제1 팬 형상 부분(411)의 회전 후방측의 투영과 제2 팬 형상 부분(412)의 회전 후방측의 투영 사이에 각도가 있다. 이러한 배열에 의해, 제3 팬 형상 부분(413)은 먼저 프리차지 결합 전도체(91)를 해제하고, 이어서 제2 팬 형상 부분(412)은 제2 결합 전도체(3b)를 해제하고, 이어서 제3 팬 형상 부분(413)은 제1 결합 전도체(3a)를 해제한다.
본 개시내용의 일부 실시예들에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 조립체(4)는 제1 전원(42) 및 제1 전동 로드(43)를 더 포함한다. 제1 전원(42)의 출력 단자는 제1 전동 로드(43)의 단부 부분에 연결되고, 팬 형상 구동 부분(41)은 제1 전동 로드(43) 상에 배열된다. 제1 팬 형상 부분(411), 제2 팬 형상 부분(412), 및 제3 팬 형상 부분(413)은 각각 제1 전동 로드(43) 상에 배열되고 제1 전동 로드(43)의 축방향으로 이격되고, 제1 축은 제1 전동 로드(43)의 축과 일치한다는 것이 또한 이해될 수 있다. 제1 전원(42)은 상위 컴퓨터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1 전원(42)은 전기 모터로서 구성될 수 있으며, 따라서 전기 모터의 회전 속도 및 방향이 상위 컴퓨터를 통해 제어될 수 있다. 제1 팬 형상 부분(411), 제2 팬 형상 부분(412), 및 제3 팬 형상 부분(413)은 특정 각도로 제1 전동 로드(43) 상에 원형으로 분포된다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제1 전동 로드(43)의 회전 방향은 시계 방향이고, 제1 전동 로드(43)는 등속 또는 비등속 회전할 수 있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전원(42)의 출력 단자는 제1 전동 로드(43)의 단부 부분에 연결된다. 제1 전동 로드(43)의 다른 단부는 제1 전원(42)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제1 축은 제1 전동 로드(43)의 축과 일치하여, 제1 전동 로드(43)가 제1 전원(42)의 작동 하에서 제1 축에서 회전할 수 있는 것을 보장함으로써, 제1 전원(42)이 제1 전동 로드(43)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고, 구동 로드의 회전 속도를 증가시킨다.
또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팬 형상 부분(412), 제1 팬 형상 부분(411), 및 제3 팬 형상 부분(413) 각각은 제1 전동 로드(43) 상에 배열되고 제1 전동 로드(43)의 축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분포됨으로써, 제1 팬 형상 부분(411)이 양극 출력 바인딩 포스트(21)로 제1 결합 전도체(3a)가 턴온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고, 제2 팬 형상 부분(412)이 음극 출력 바인딩 포스트(22)로 제2 결합 전도체(3b)가 턴온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고, 제3 팬 형상 부분(413)이 프리차지 저항기(9)로 프리차지 결합 전도체(91)가 턴온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본 개시내용의 일부 실시예에서, 도 15 및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 결합 전도체(3)는 고정 부분(31) 및 결합 부분(33)을 포함할 수 있다. 고정 부분(31)은 결합 부분(33)에 연결되고, 고정 부분(31)은 대응하는 제1 연결 단자(1)에 고정 연결되고, 구동 조립체(4)는 결합 부분(33)을 구동(추진)하여 대응하는 제2 연결 단자(2)에 결합되도록 결합 부분(33)을 구동(추진)하기에 적합하다.
또한, 주 결합 전도체(3)는 약화부(32)를 더 포함할 수 있고, 고정 부분(31)은 약화부(32)를 통해 결합 부분(33)에 연결된다. 제1 결합 전도체(3a)와 제2 결합 전도체(3b)는 동일한 구조를 가지며, 제1 결합 전도체(3a)와 제2 결합 전도체(3b)는 모두 고정 부분(31), 약화부(32) 및 결합 부분(33)을 포함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고정 부분(31), 약화부(32) 및 결합 부분(33)은 순차적으로 연결되고, 고정 부분(31), 약화부(32) 및 결합 부분(33)은 일체로 형성된 구조일 수 있다. 고정 부분(31)은 약화부(32)를 통해 결합 부분(33)에 연결되고, 고정 부분(31)은 제1 연결 단자(1)에 고정 연결되며, 구동 조립체(4)는 결합 부분(33)을 추진하여 제2 연결 단자(2)에 결합되도록 결합 부분(33)을 추진하기에 적합하다.
구체적으로, 제1 연결 단자(1)에 가까운 주 결합 전도체(3)의 일 단부는 고정 부분(31)이고, 제1 연결 단자(1)로부터 먼 주 결합 전도체(3)의 일 단부는 결합 부분(33)이고, 고정 부분(31)은 약화부(32)를 통해 결합 부분(33)에 연결된다. 다시 말해서, 약화부(32)는 고정 부분(31)과 결합 부분(33) 사이에 배열되고, 고정 부분(31)은 제1 연결 단자(1)의 금속 전도체(10)에 고정 연결되어, 제1 연결 단자(1)와 고정 부분(31) 사이의 연결 안정성 및 전도성을 보장하고, 팬 형상 구동 부분(41)은 결합 부분(33)을 가압하여 제2 연결 단자(2)에 결합되도록 결합 부분(33)을 추진하기에 적합하다.
도 13 및 도 15를 참조하면, 제1 연결 단자(1)를 제2 연결 단자(2)와 함께 턴온되도록 제어할 필요가 있을 때, 제1 전원(42)은 구동력을 발생시키고, 제1 전동 로드(43)는 구동력의 작용 하에서 회전하고, 제1 전동 로드(43)는 팬 형상 구동 부분(41)을 회전 구동한다는 것이 이해될 수 있다. 제1 전동 로드(43)로부터 이격된 팬 형상 구동 부분(41)의 일 단부가 결합 부분(33)과 접촉할 때, 제1 전동 로드(43)로부터 이격된 팬 형상 구동 부분(41)의 일 단부는 결합 부분(33)을 가압하여 제2 연결 단자(2)의 방향을 향해 이동하고, 이에 의해 결합 부분(33)이 제2 연결 단자(2)에 결합되게 하고, 제1 연결 단자(1)가 제2 연결 단자(2)와 함께 턴온되게 한다.
제1 연결 단자(1)를 제2 연결 단자(2)와 함께 턴오프되도록 제어할 필요가 있을 때, 도 18을 참조하면, 제1 전원(42)은 구동력을 발생시키고, 제1 전동 로드(43)는 구동력의 작용 하에서 회전하고, 제1 전동 로드(43)는 팬 형상 구동 부분(41)을 회전 구동한다. 제1 전동 로드(43)로부터 이격된 팬 형상 구동 부분(41)의 일 단부가 결합 부분(33)과 접촉하지 않을 때, 제1 전동 로드(43)로부터 이격된 팬 형상 구동 부분(41)의 일 단부는 결합 부분(33)을 가압하지 않는다. 이 경우, 결합 부분(33)은 자동으로 초기 위치로 복귀한다. 다시 말해서, 결합 부분(33)은 제2 연결 단자(2)에 결합되지 않고, 그래서 제1 연결 단자(1)는 제2 연결 단자(2)와 함께 턴오프된다.
예를 들어, 양극 출력 바인딩 포스트(21)와 함께 양극 입력 바인딩 포스트(11)가 턴온되도록 제어할 필요가 있을 때, 제1 전원(42)은 구동력을 생성하고, 제1 전동 로드(43)는 구동력의 작용 하에서 회전하고, 제1 전동 로드(43)는 제1 팬 형상 부분(411)을 회전하도록 구동한다. 제1 전동 로드(43)로부터 먼 제1 팬 형상 부분(411)의 일 단부가 제1 결합 전도체(3a)의 결합 부분(333)과 접촉할 때, 제1 전동 로드(43)로부터 먼 제1 팬 형상 부분(411)의 일 단부는 제1 결합 전도체(3a)의 결합 부분(33)을 가압하여 양극 출력 바인딩 포스트(21)의 방향을 향해 이동하고, 이에 의해 결합 부분(33)이 양극 출력 바인딩 포스트(21)에 결합되게 하여, 제1 연결 단자(1)가 제2 연결 단자(2)와 함께 턴온되게 된다.
양극 입력 바인딩 포스트(11)를 양극 출력 바인딩 포스트(21)와 함께 턴오프되도록 제어할 필요가 있을 때, 제1 전원(42)은 구동력을 발생하고, 제1 전동 로드(43)는 구동력의 작용 하에 회전하고, 제1 전동 로드(43)는 제1 팬 형상 부분(411)을 회전하도록 구동한다. 제1 전동 로드(43)로부터 먼 제1 팬 형상 부분(411)의 일 단부가 제1 결합 전도체(3a)의 결합 부분(33)과 접촉하지 않을 때, 제1 전동 로드(43)로부터 먼 제1 팬 형상 부분(411)의 일 단부는 결합 부분(33)을 가압하지 않는다. 이 경우, 제1 결합 전도체(3a)의 결합 부분(33)은 자동으로 초기 위치로 복귀한다. 다시 말해서, 결합 부분(33)은 제2 연결 단자(2)에 결합되지 않고, 그에 따라 양극 입력 바인딩 포스트(11)는 양극 출력 바인딩 포스트(21)와 함께 턴오프된다.
음극 입력 바인딩 포스트(12)가 음극 출력 바인딩 포스트(22)와 함께 턴온 또는 턴오프되는 작동 프로세스 및 양극 입력 바인딩 포스트(11)가 양극 출력 바인딩 포스트(21)와 함께 턴온 또는 턴오프되는 작동 프로세스는 동일하고 동시에 수행된다. 이는 여기서 반복되지 않는다. 또한, 프리차지 결합 전도체(91)가 제2 연결 단자(92)와 함께 턴온 또는 턴오프되는 작동 프로세스 및 양극 입력 바인딩 포스트(11)가 양극 출력 바인딩 포스트(21)와 함께 턴온 또는 턴오프되는 작동 프로세스는 동일하고 동시에 수행된다. 이는 여기서 반복되지 않는다. 또한, 이 셋은 1개의 제1 전원(42)과 1개의 제1 전동 로드(43)를 공유한다. 따라서, 제1 연결 단자(1)의 2개의 그룹은 제2 연결 단자(2)와 함께 턴온되고, 프리차지 결합 전도체(91)는 동일한 제1 전원(42)을 통해 제2 연결 단자(92)와 함께 턴온되며, 이는 접촉기의 접점의 수량을 감소시키고, 위험점을 감소시키고, 접촉기의 안전성 및 실용성을 향상시키는 데 유리하다.
본 개시내용의 일부 실시예에서, 프리차지 결합 전도체(91)의 구조는 주 결합 전도체(3)의 구조와 동일하다. 또한, 프리차지 결합 전도체(91)의 구조는 주 결합 전도체(3)의 구조와 동일하다. 즉, 프리차지 결합 전도체(91)는 고정 부분(31), 약화부(32) 및 결합 부분(33)을 포함한다. 프리차지 결합 전도체(91)를 제2 연결 단자(92)와 함께 턴온되도록 제어할 필요가 있을 때, 제1 전원(42)은 구동력을 발생시키고, 제1 전동 로드(43)는 구동력의 작용 하에서 회전하고, 제1 전동 로드(43)는 제3 팬 형상 부분(413)을 회전하도록 구동한다. 제1 전동 로드(43)로부터 먼 제3 팬 형상 부분(413)의 일 단부가 프리차지 결합 전도체(91)의 결합 부분(33)과 접촉할 때, 제1 전동 로드(43)로부터 먼 제3 팬 형상 부분(413)의 일 단부는 프리차지 결합 전도체(91)의 결합 부분(33)을 가압하여 제2 연결 단자(92)의 방향을 향해 이동하고, 이에 의해 프리차지 결합 전도체(91)의 결합 부분(33)이 제2 연결 단자(92)에 결합되게 하여, 프리차지 결합 전도체(91)가 제2 연결 단자(92)와 함께 턴온된다.
제2 연결 단자(92)와 함께 프리차지 결합 전도체(91)가 턴오프되도록 제어할 필요가 있을 때, 도 18을 참조하면, 제1 전원(42)은 구동력을 발생시키고, 제1 전동 로드(43)는 구동력의 작용 하에서 회전하고, 제1 전동 로드(43)는 제3 팬 형상 부분(413)을 회전하도록 구동한다. 제1 전동 로드(43)로부터 먼 제3 팬 형상 부분(413)의 일 단부가 프리차지 결합 전도체(91)의 결합 부분(33)과 접촉하지 않을 때, 제1 전동 로드(43)로부터 먼 제3 팬 형상 부분(413)의 일 단부는 프리차지 결합 전도체(91)의 결합 부분(33)을 가압하지 않는다. 이 경우, 프리차지 결합 전도체(91)의 결합 부분(33)은 자동으로 초기 위치로 복귀한다. 다시 말해서, 프리차지 결합 전도체(91)의 결합 부분(33)은 제2 연결 단자(92)에 결합되지 않고, 그에 따라 프리차지 결합 전도체(91)는 제2 연결 단자(92)와 함께 턴오프된다.
본 개시내용의 일부 실시예에서,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약화부(32)는 원호-형상 섹션으로서 구성되고, 원호-형상 섹션의 일 단부는 고정 부분(31)에 연결되고 원호-형상 섹션의 다른 단부는 결합 부분(33)에 연결되고, 약화부(32)는 제2 연결 단자(2)에 가까운 방향을 향해 오목화되어 약화부(32) 내에 약화 공동(321)을 형성한다. 약화 공동(321)이 제공되고, 그에 따라 팬 형상 구동 부분(41)이 결합 부재를 가압하여 결합 부재가 제2 연결 단자(2)에 연결될 수 있게 할 때, 결합 부재 상의 팬 형상 구동 부분(41)의 가압력이 감소되고, 그에 의해서 제1 전원(42)의 소비를 감소시키고, 에너지 소비를 감소시키고 생산 비용을 감소시키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또한, 결합 부재가 제2 연결 단자(2)에 연결되지 않을 때 결합 부재가 초기 위치로 신속하게 복귀하는 것이 편리하고, 이에 의해 제1 연결 단자(1)와 제2 연결 단자(2) 사이의 연결 또는 분리의 속도를 증가시키고, 접촉기의 작업 효율을 개선시킨다.
본 개시내용의 일부 실시예들에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촉기는 하우징(5)(즉, 제1 내부 쉘(20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5)의 내부에는 장착 공간이 형성된다. 구동 조립체(4), 주 결합 전도체(3), 프리차지 저항기(9) 및 프리차지 결합 전도체(91)가 각각 하우징(5) 내에 배열된다. 제1 연결 단자(1) 및 제2 연결 단자(2) 모두가 하우징(5) 상에 배열되고, 그에 따라 구동 조립체(4), 결합 전도체(3), 프리차지 저항기(9), 및 프리차지 결합 전도체(91)는 외부 장착 공간을 점유하지 않고, 그에 의해서 접촉기 내의 공간 이용을 개선하고, 접촉기의 소형화 설계를 용이하게 한다. 하우징(5)이 절연 재료로 제조된다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즉, 하우징(5)은 접촉기에 의해 야기되는 누설 문제를 방지할 수 있고, 이에 의해 접촉기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5)은 상부 커버(51)를 포함한다. 제1 연결 단자(1) 및 제2 연결 단자(2) 모두는 하우징(5)의 주변 벽 상에 배열된다. 바람직하게, 제1 연결 단자(1) 및 제2 연결 단자(2) 모두가 하우징(5)의 상부 커버(51) 상에 배열되고 이격되며, 이는 제1 연결 단자(1) 및 제2 연결 단자(2)의 분리된 가공을 용이하게 하고, 가공 어려움을 감소시킨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연 분리판(6)이 하우징(5)의 외부 주변 벽 상에서 제1 연결 단자(1)와 제2 연결 단자(2) 사이에 배열된다. 바람직하게는, 절연 분리판(6)은 하우징(5)의 상부 커버(51) 상에 배열된다. 절연 분리판(6)은 상부 커버(51)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향해 절연 분리판(6)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고, 절연 분리판(6) 및 상부 커버(51)는 일체로 형성된 구조일 수 있으며, 따라서 절연 분리판(6) 및 상부 커버(51)가 동시에 가공 및 형성되는 것을 용이하게 하고, 생산 효율을 감소시키고, 절연 분리판(6)을 통한 제1 연결 단자(1)와 제2 연결 단자(2) 사이의 분리를 용이하게 한다. 절연 분리판(6)이 절연 재료로 제조되고, 이는, 전자 컴포넌트가 제1 연결 단자(1) 및 제2 연결 단자(2)에 연결될 때, 전기 충격 접착이 제1 연결 단자(1)와 제2 연결 단자(2) 사이에서 발생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고, 그에 의해서 제1 연결 단자(1)와 제2 연결 단자(2) 사이의 전기적 연결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접촉기의 안전성 및 실용성이 향상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전압 신호 라인(8)이 하우징(5)의 측벽 상에 추가로 배열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저전압 신호 라인(8)은 하우징(5)을 통해 연장되고, 저전압 신호 라인(8)의 일 단부는 하우징(5) 내로 연장되어 접촉기 내의 구동 조립체(4)에 연결되고, 저전압 신호 라인(8)의 다른 단부는 하우징(5) 외부로 연장되어 제어 모듈에 연결된다. 따라서, 제어 모듈은 저전압 신호 라인(8)을 통해 구동 조립체(4)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전압 신호 라인(8)은 제1 전원(4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그에 의해 제어 모듈을 통해 제1 전원(42)을 제어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고, 구동 조립체(4)에 대한 제어를 구현하고, 접촉기의 작동 상태를 조정하여, 사용자의 차량에 대한 상이한 충전 요건들을 충족시키고, 사용자 경험을 개선한다. 그러나, 본 개시내용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커넥터는 하우징(5)의 측벽 상에 배열될 수 있고, 커넥터는 전술한 실시예에서 저전압 신호 라인(8)을 대체한다.
본 개시내용의 일부 실시예들에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지지체(7)가 하우징(5) 상에 배열될 수 있다. 고정 지지체(7)는 장착 구멍부(71)를 갖고, 하우징(5)은 장착 구멍부(71)를 통해 접촉기를 다른 부품에 장착한다. 하우징(5)은 다각형 단면을 갖는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예를 들어, 하우징(5)의 단면은 사각형의 형상일 수 있거나, 하우징(5)의 단면은 육각형의 형상일 수 있다. 물론, 일부 예들에서, 하우징(5)의 단면은 추가로 원의 형상일 수 있으며, 따라서, 하우징(5)의 형상은 접촉기의 실제 구조에 따라 유연하게 설계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일부 실시예들에서, 접촉기는 온도 센서 및 제어기(즉, 상위 컴퓨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온도 센서는 제어기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온도 센서는 제1 연결 단자(1), 제2 연결 단자(2), 주 결합 전도체(3), 및/또는 프리차지 결합 전도체(91)의 회로 신호를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제어기는 회로 신호에 따라 제2 연결 단자(2)에 결합될 주 결합 전도체(3) 및/또는 제2 연결 단자(2)에 결합될 프리차지 결합 전도체(91)를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제어기는 차량의 원래의 상위 컴퓨터일 수 있고, 온도 센서 및 상위 컴퓨터는 제어기 영역 네트워크(controller area network)(CAN)를 사용하여 통신 제어를 수행함으로써, 원래의 상위 컴퓨터를 사용하여 온도 센서에 대한 제어를 구현하고, 온도 센서의 제어 구조를 단순화하고, 생산 비용을 감소시킨다.
또한, 온도 센서는 제1 연결 단자(1), 제2 연결 단자(2), 주 결합 전도체(3), 및/또는 프리차지 결합 전도체(91)의 회로 신호를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제어기는 회로 신호에 따라 제2 연결 단자(2)에 결합되거나 분리되도록 주 결합 전도체(3)를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회로 신호는 주 결합 전도체(3)의 온도 신호 또는 온/오프 신호를 포함한다. 이는 본 명세서에서 제한되지 않는다.
일부 예에서, 온도 센서는 주 결합 전도체(3) 상에 용접되고, 온도 센서는 상위 컴퓨터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주 결합 전도체(3)가 제1 연결 단자(1) 및 제2 연결 단자(2)와 함께 턴온되고, 및/또는 프리차지 결합 전도체(91)가 프리차지 저항기(9)와 함께 턴온됨에 따라, 전류 운반 용량 및 고전압 회로의 발열량이 변화하고, 온도 변화가 대응적으로 발생한다. 센서는 고전압 회로의 작동 프로세스에서 변화 정보(온도 변화, 전류 운반 용량 변화 등)를 획득할 수 있다. 온도 센서는 주 결합 전도체(3) 및/또는 프리차지 결합 전도체(91)의 온도 변화를 검출하고, 온도 변화를 회로 신호의 형태로 제어기에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제어기는 회로 신호에 따라 고전압 회로의 차단 임계값에 도달했는지를 결정하고, 고전압 회로가 턴오프될 필요가 있을 때, 주 결합 전도체(3)와 제2 연결 단자(2) 사이의 전기적 연결을 해제하도록 구동 조립체(4)를 제어한다. 고전압 손실 및 비용을 감소시키기 위해 퓨즈가 배열될 필요가 없고, 접촉기가 턴오프되도록 제어된 후에, 본 개시내용의 접촉기를 사용하는 전기 장비가 계속 작동할 필요가 있는 경우, 전기 장비에 상위 고전압이 공급될 수 있는 것이 또한 보장될 수 있으며, 이는 안전성을 개선할 수 있다.
퓨즈가 끊긴 후에, 고전압 회로는 완전히 턴오프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본 개시내용에서, 제어기 및 센서를 배열함으로써, 센서로부터 획득된 정보에 기초하여 고전압 회로가 턴오프될 필요가 있더라도, 극단적인 조건 하에서, 안전성을 개선하기 위해 상위 고전압 전력이 여전히 공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개시내용의 접촉기는 전기 차량에서 사용되고, 회로 정보가 접촉기가 턴오프될 필요가 있지만 차량이 위험 조건에 있고 작동 조건을 유지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표시할 때, 상부 고전압 전력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안전한 위치로 구동하거나 위험 조건을 제거한 후에, 주 결합 전도체(3)는 제2 연결 단자(2)로부터 전기적으로 분리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접촉기는 주 결합 전도체(3)의 과도한 온도로 인해 과열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고, 이는 접촉기의 안전성을 향상시키는데 도움이 되고, 차량이 위험 조건에 있고 작동 조건을 유지할 필요가 있을 때 상부 고전압 전력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그에 의해 접촉기의 실용성을 향상시킨다.
물론, 온도 센서는 또한 고전압 회로의 회로 신호를 검출하기 위한 다른 구조적 형태들을 통해 고전압 회로의 다른 위치들에 배열될 수 있으며, 이는 본 명세서에서 제한되지 않는다.
양극 입력 바인딩 포스트(11) 및 양극 출력 바인딩 포스트(21)는 주 양극 접촉기(a)(도 14의 K1)를 형성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음극 입력 바인딩 포스트(12) 및 음극 출력 바인딩 포스트(22)는 주 음극 접촉기(b)(도 14의 K2)를 형성한다. 프리차지 결합 전도체(91)와 프리차지 저항기(9)는 프리차지 접촉기(c)(도 14의 K3)를 형성한다. 주 양극 접촉기(a), 주 음극 접촉기(b), 및 프리차지 접촉기(c)는 각각 제1 팬 형상 부분(411), 제2 팬 형상 부분(412), 및 제3 팬 형상 부분(413)의 작용들에 의해 턴온된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전압 원리도로부터, 접촉기가 3개의 직류 접촉기 및 방전 기능을 갖는 하나의 프리차지 저항기(9)를 포함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프리차지 회로의 프리차지 접촉기(c) 및 프리차지 저항기(9)는 직렬로 연결된다. 하우징(5) 상에는 노출된 인터페이스가 없다. 직렬 회로의 2개의 단부는 주 양극 접촉기(a)(즉, 도 14의 K1)의 2개의 측면 상에 있다. 접촉기는 제1 연결 단자(1)와 제2 연결 단자(2) 사이를 구별하지 않는다. 동일한 그룹의 회로들의 고전압 양극 및 고전압 음극이 통합된 접촉기 배플의 동일한 측면 상에 있는 양극의 대응하는 위치 및 음극의 대응하는 위치에 연결되는 것을 보장하기만 하면 된다.
구체적으로, 본 개시내용의 접촉기의 작동 원리가 아래에 상세히 설명된다.
제1 전원(42)(전기 모터)은 정적 상태에서 상위 컴퓨터로부터 등속 회전 신호를 수신하고, 전기 모터는 등속 회전 상태로 스위칭한다.
제1 전원(42)에 의해 구동되면, 회전 작용이 회전 로드를 통해 축으로 전달되고, 제3 팬 형상 부분(413)은 먼저 결합 부분(33)에 대응하는 프리차지 결합 전도체(91)의 결합 부분(33)을 추진한다. 결합 부분(33)은 변형을 통해 프리차지 저항기(9) 상의 제2 연결 단자(92)와 함께 턴온된다. 이 경우, 프리차지 회로는 온 상태에 있다. 전체 프로세스에서, 전기 모터는 항상 회전 상태에 있고, 계속 회전한다(도 19의 작동 2).
그 다음, 프리차지 접촉기(c) 및 주 음극 접촉기(b)는 온 상태에 있고, 주 양극 접촉기(a)는 온 상태에 있다(도 22의 작동 3). 차량에서, 이에 대응하여, 차량은 상부 고전압 전력이 공급되고 있는 프리차지 상태에 있다(이들 고전압 컴포넌트 내의 커패시터가 고전압 및 큰 전류에 순간적으로 연결될 때 단락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부 고전압 전력이 차량에 공급되기 전에, 일부 차량 탑재 고전압 컴포넌트 내의 커패시터가 프리차지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차량 탑재 고전압 컴포넌트는 모터 제어 커패시터, 발전기 전자 제어 커패시터, 압축기 제어기 커패시터 등을 포함한다). 이 경우, 제2 팬 형상 부분(412) 및 제3 팬 형상 부분(413)은 제2 팬 형상 부분(412)에 대응하는 결합 부분(33) 및 제3 팬 형상 부분(413)에 대응하는 결합 부분(33)을 추진하고, 주 음극 회로 및 프리차지 회로는 온 상태에 있다. 일반적으로, 상태의 작동 프로세스 지속기간은 X 밀리초(예를 들어, X는 200 밀리초)이다. 전체 프로세스에서, 전기 모터는 항상 회전 상태에 있다.
X 밀리초 후에, 전기 모터가 계속 회전함에 따라, 제1 팬 형상 부분(411)은 계속 회전하고, 제1 팬 형상 부분(411)에 대응하는 결합 부분(33)을 추진하여, 주 양극 회로가 온 상태에 있게 된다(도 25의 작동 4). 일반적으로, 이 상태의 작동 프로세스 지속기간은 Y 밀리초(예를 들어, Y는 500 밀리초)이다. 전체 프로세스에서, 전기 모터는 항상 회전 상태에 있고, 계속 회전한다. (주: X 값 및 Y 값의 선택은, 이러한 차량 탑재 고전압 컴포넌트의 각각의 커패시턴스 용량, 프리차지 커패시턴스 용량의 설정된 백분율, 차량 상의 절연 검출을 위해서 요구되는 지속기간, 프로그램 결정 지속기간 등과 같은, 차량 매개변수에 따라 결정된다.)
Y 밀리초 후에, 전기 모터가 계속 회전함에 따라, 제3 팬 형상 부분(413)은 제3 팬 형상 부분(413)에 대응하는 프리차지 결합 전도체(91)의 결합 부분(33)을 떠난다. 제3 팬 형상 부분(413)은 제3 팬 형상 부분(413)에 대응하는 결합 부분(33)을 더 이상 추진하지 않는다. 결합 부분(33)은 회로가 턴온된 상태로 복귀한다. 즉, 프리차지 회로는 온 상태이다(도 27의 작동 5). 이 경우, 차량은 정상 고전압 전력 유지 상태에 있고, 접촉기는 차량이 고전압 전력을 필요로 하는 전체 시간 기간에 이 상태로 유지된다.
차량이 더 낮은 고전압 전력을 필요로 할 때, 전기 모터는 상위 컴퓨터로부터 등속 회전 신호를 수신하고, 전기 모터는 회전 상태로 스위칭한다(도 28의 작동 6). 전기 모터가 회전함에 따라, 제2 팬 형상 부분(412) 및 제1 팬 형상 부분(411)은 제2 팬 형상 부분(412)에 대응하는 결합 부분(33) 및 제1 팬 형상 부분(411)에 대응하는 결합 부분(33)을 연속적으로 벗어난다. 제2 팬 형상 부분(412) 및 제1 팬 형상 부분(411)은 제2 팬 형상 부분(412)에 대응하는 결합 부분(33) 및 제1 팬 형상 부분(411)에 대응하는 결합 부분(33)을 더 이상 추진하지 않고, 결합 부분(33)은 회로가 턴온된 상태로 복귀된다. 즉, 주 음극 회로 및 주 양극 회로는 온 상태에 있다(도 18의 작동 1). 이 경우, 차량은 더 낮은 고전압 전력 상태에 있다. 접촉기는 차량이 고전압 전력을 필요로 하지 않는 전체 시간 기간에 이 상태로 유지된다.
도 14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충전 및 배전 시스템(1000)은 전술한 실시예에서의 접촉기를 포함한다.
2개의 연결 단자 그룹이 있다. 2개의 연결 단자 그룹 중 하나의 제1 연결 단자(1)는 양극 입력 바인딩 포스트(11)이고, 제2 연결 단자(2)는 양극 출력 바인딩 포스트(21)이다. 2개의 연결 단자 그룹 중 다른 하나의 제1 연결 단자(1)는 음극 입력 바인딩 포스트(12)이고, 제2 연결 단자(2)는 음극 출력 바인딩 포스트(22)이다. 주 결합 전도체(3)는 제1 결합 전도체(3a) 및 제2 결합 전도체(3b)를 포함한다. 제1 결합 전도체(3a)는 양극 입력 바인딩 포스트(11)에 연결되고, 제1 결합 전도체(3a)는 양극 출력 바인딩 포스트(21)에 선택적으로 부착되도록 구성된다. 제2 결합 전도체(3b)는 음극 입력 바인딩 포스트(12)에 연결되고, 제2 결합 전도체(3b)는 음극 출력 바인딩 포스트(22)에 선택적으로 부착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양극 입력 바인딩 포스트(11) 및 양극 출력 바인딩 포스트(21) 중 하나는 차량의 배터리 단자 인터페이스의 양극 단자에 연결되고, 양극 입력 바인딩 포스트(11) 및 양극 출력 바인딩 포스트(21) 중 다른 하나는 차량의 전자 제어 단자 인터페이스의 양극 단자에 연결된다. 음극 입력 바인딩 포스트(12) 및 음극 출력 바인딩 포스트(22) 중 하나는 배터리 단자 인터페이스의 음극 단자에 연결되고, 음극 입력 바인딩 포스트(12) 및 음극 출력 바인딩 포스트(22) 중 다른 하나는 전자 제어 단자 인터페이스의 음극 단자에 연결된다.
양극 입력 바인딩 포스트(11) 및 양극 출력 바인딩 포스트(21)는 주 양극 접촉기(100a)(도 6의 K1)를 형성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음극 입력 바인딩 포스트(12) 및 음극 출력 바인딩 포스트(22)는 주 음극 접촉기(100b)(도 6의 K2)를 형성한다. 프리차지 결합 전도체(91)와 프리차지 저항기(9)는 프리차지 접촉기(100c)(도 6의 K3)를 형성한다.
구체적으로, 충전 및 배전 시스템(1000)은 배터리 단자 인터페이스, 전자 제어 단자 인터페이스, 및 직류 충전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직류 충전 인터페이스와 배터리 단자 인터페이스 사이에 충전 회로가 형성되고, 전자 제어 단자 인터페이스와 배터리 단자 인터페이스 사이에 전력 배전 회로가 형성되어, 차량에 전기 에너지를 제공한다. 주 양극 접촉기(100a)는 직류 충전 인터페이스의 양극 단자 및 배터리 단자 인터페이스의 양극 단자 둘 모두 상에 배열되고, 주 음극 접촉기(100b)는 직류 충전 인터페이스의 음극 단자 및 배터리 단자 인터페이스의 음극 단자 둘 모두 상에 배열된다. 프리차지 회로가 배터리 단자 인터페이스의 양극 단자 상에 추가로 배열되고, 프리차지 접촉기(100c)가 프리차지 저항기(9)와 직렬로 그리고 주 양극 접촉기(100a)와 병렬로 프리차지 회로 상에 배열된다.
차량의 충전 및 방전 프로세스는 전술한 논의 내용에서 언급되었고, 여기서 반복되지 않는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르면, 도 29 내지 도 39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1 전동 조립체(444), 제1 구동 코일(53), 및 제2 구동 코일(63)이 제2 내부 쉘(205) 내에 배열된다. 제4 접촉기(K4) 및 제5 접촉기(K5) 모두는 주 결합 전도체(3)를 포함한다. 주 결합 전도체(3)는 대응하는 입력 단자에 연결되고, 제4 접촉기(K4)의 주 결합 전도체(3)는 제4 접촉기(K4)의 입력 단자에 연결된다. 제5 접촉기(K5)의 주 결합 전도체(3)는 제5 접촉기(K5)의 입력 단자에 연결된다.
또한, 제1 전동 조립체(444)는 제1 마이크로 스위치(445) 및 제1 종동 부재(442)를 포함하고, 제1 마이크로 스위치(445)는 제1 종동 부재(442)와 전력 연결되고, 제1 종동 부재(442)는 주 결합 전도체(3)에 연결되고, 제1 구동 코일(53) 및 제2 구동 코일(63)은 주 결합 전도체(3)를 대응하는 출력 단자에 결합되도록 구동하기 위해 통전된 후에 자기력을 발생시킴으로써 제1 마이크로 스위치(445)를 제1 방향을 향해 이동하게 구동하도록 구성되거나, 또는 제1 구동 코일(53) 및 제2 구동 코일(63)은 주 결합 전도체(3)를 출력 단자와 함께 턴오프되도록 구동하기 위해 제1 마이크로 스위치(445)를 제2 방향을 향해 이동하게 구동하여, 주 결합 전도체(3)가 대응하는 출력 단자에 결합되거나 턴오프되는 작동 효과가 구현된다. 또한, 사용자가 제1 마이크로 스위치(445)를 이동하도록 제어할 때, 제1 마이크로 스위치(445)는 제1 종동 부재(442)를 이동하게 구동할 수 있고, 이에 의해 주 결합 전도체(3)를 이동하게 구동하여 접촉기의 온-오프 상태의 스위칭을 구현한다.
또한, 제1 구동 코일(53)과 제2 구동 코일(63)은 이격되고, 제1 마이크로 스위치(445)는 제2 축을 중심으로 제1 구동 코일(53)과 제2 구동 코일(63)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도 3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구동 코일(53) 및 제2 구동 코일(63)은 제1 마이크로 스위치(445)를 제2 축을 중심으로 제1 방향을 향해 회전하게 구동하도록 구성되거나, 또는 제1 구동 코일(53) 및 제2 구동 코일(63)은 제1 마이크로 스위치(445)를 제2 축을 중심으로 제2 방향을 향해 회전하게 구동하도록 구성된다. 제1 방향은 시계 방향일 수 있고, 제2 방향은 반시계 방향일 수 있거나, 제1 방향은 반시계 방향일 수 있고, 제2 방향은 시계 방향일 수 있으며, 따라서 접촉기의 특정 구조가 실제 요건에 따라 유연하게 배열될 수 있고, 그에 의해 레이아웃의 합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특정 구현 프로세스에서, 저전압 전류가 제1 구동 코일(53) 및 제2 구동 코일(63) 내로 통과되어, 제1 구동 코일(53)과 제2 구동 코일(63) 사이에 순방향 자기장을 생성할 수 있으며, 따라서 제1 마이크로 스위치(445)는 제1 방향을 향해 제1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강제되고, 주 결합 전도체(3)는 대응하는 출력 단자에 결합되고, 접촉기는 고전압 회로와 함께 턴온될 수 있거나; 또는 역방향 저전압 전류가 제1 구동 코일(53) 및 제2 구동 코일(63) 내로 통과되어, 제1 구동 코일(53)과 제2 구동 코일(63) 사이에 반대 자기장을 생성하여, 제1 마이크로 스위치(445)가 제2 방향을 향해 제1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강제되고, 주 결합 전도체(3)가 대응하는 출력 단자로부터 전기적으로 분리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제1 전동 조립체(4)는 제1 전동 부재(443)를 더 포함하고, 제1 전동 부재(443)는 제3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제1 기어 부분(431)을 포함하고, 제1 마이크로 스위치(445)는 제2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제1 원호-형상 치형부 부분(441)을 포함하고, 제1 기어 부분(431) 및 제1 원호-형상 치형부 부분(441)은 치형부 구조를 통해 맞물림 전동하여, 전동을 구현한다.
또한, 제1 전동 부재(443)는 제3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제2 기어 부분(432)을 더 포함하고, 제1 종동 부재(442)는 제1 래크 부분(421)을 포함하고, 제2 기어 부분(432) 및 제1 래크 부분(421)은 치형부 구조를 통해 맞물림 전동된다.
즉, 도 3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구동 코일(53) 및 제2 구동 코일(63)이 제1 원호-형상 치형부 부분(441)을 구동하여 제1 축을 중심으로 제1 방향을 향해 이동하게 할 때, 제1 기어 부분(431)은 제2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제2 기어 부분(432)을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게 구동하고, 제2 기어 부분(432)은 제1 래크 부분(421)을 구동하여 치형부 구조를 통해 이동하게 하여, 주 결합 전도체(3)를 이동하게 구동하여, 제1 연결 단자(1)(입력 단자)가 제2 연결 단자(2)(출력 단자)에 연결되게 하고, 도 3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구동 코일(53) 및 제2 구동 코일(63)이 제1 원호-형상 치형부 부분(441)을 구동하여 제1 축을 중심으로 제2 방향을 향해 이동하게 할 때, 제1 기어 부분(431)은 제2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제2 기어 부분(432)을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게 구동하고, 제2 기어 부분(432)은 제1 래크 부분(421)을 구동하여 치형부 구조를 통해 역방향으로 이동하게 하여, 주 결합 전도체(3)를 역방향으로 이동하게 구동하여, 제1 연결 단자(1)가 제2 연결 단자(2)로부터 분리되게 한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접촉기는 도 6 및 도 29 내지 도 39를 참조하여 아래에 설명된다.
도 3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의 접촉기는 연결 단자 그룹, 주 결합 전도체(3), 제1 전동 조립체(444), 제1 구동 코일(53), 및 제2 구동 코일(63)을 포함한다.
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 단자 그룹은 접촉기의 일 단부 상에 배열된다. 연결 단자 그룹은 이격된 제1 연결 단자(1) 및 제2 연결 단자(2)를 포함한다. 도 3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정 설계 동안, 제1 연결 단자(1) 및 제2 연결 단자(2) 둘 다는 바인딩 포스트들로서 구성될 수 있고, 고전압 와이어가 접촉기와의 전기적 연결을 구현하기 위해 바인딩 포스트들에 연결될 수 있다.
적어도 2개의 연결 단자 그룹이 존재하고, 적어도 2개의 연결 단자 그룹은 나란히 배열된다. 주 결합 전도체(3)는 제1 연결 단자(1)에 연결되어, 주 결합 전도체(3)는 제2 연결 단자(2)에 선택적으로 부착된다. 따라서, 접촉기를 통해 복수의 주 결합 전도체(3)를 동시에 조정함으로써, 복수의 그룹의 제1 연결 단자(1)와 제2 연결 단자(2) 사이의 연결 및 분리가 동기식으로 구현될 수 있고, 이에 의해 접촉기의 온-오프 상태의 스위칭의 편의성을 보장한다.
제1 연결 단자(1)는 입력 단자로서 설정될 수 있고, 제2 연결 단자(2)는 출력 단자로서 설정될 수 있으며, 따라서 고전압 전기가 제1 연결 단자(1)를 통해 접촉기 내로 통과되고, 제2 연결 단자(2)를 통해 접촉기 밖으로 흐를 수 있거나, 제1 연결 단자(1)는 출력 단자로서 설정될 수 있고, 제2 연결 단자(2)는 입력 단자로서 설정될 수 있으며, 따라서 고전압 전기가 제2 연결 단자(2)를 통해 접촉기 내로 통과되고, 제1 연결 단자(1)를 통해 접촉기 밖으로 흐를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즉, 본 개시내용에서의 연결 단자 그룹들은 2개의 그룹, 3개의 그룹, 또는 그 이상의 그룹으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설계 동안, 연결 단자 그룹들은 2개의 그룹으로 설정되고, 제1 연결 단자(1)는 양극 입력 바인딩 포스트 및 음극 입력 바인딩 포스트를 포함할 수 있고, 제2 연결 단자(2)는 양극 출력 바인딩 포스트 및 음극 출력 바인딩 포스트를 포함할 수 있다. 양극 입력 바인딩 포스트는 주 결합 전도체(3)를 통해 양극 출력 바인딩 포스트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음극 입력 바인딩 포스트는 또한 주 결합 전도체(3)를 통해 음극 출력 바인딩 포스트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내용의 접촉기는 더 높은 정도의 통합 및 더 간단한 제어 및 사용을 갖는, 양극 및 음극을 통합하는 온-오프 제어 구조로서 구성될 수 있다.
제1 전동 조립체(444)가 접촉기 상에 배열된다. 제1 전동 조립체(444)는 제1 마이크로 스위치(445) 및 제1 종동 부재(442)를 포함한다. 제1 마이크로 스위치(445)는 제1 종동 부재(442)와 전력 연결되고, 제1 종동 부재(442)는 주 결합 전도체(3)에 연결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제1 마이크로 스위치(445)의 이동을 제어할 때, 제1 마이크로 스위치(445)는 제1 종동 부재(442)를 이동하게 구동할 수 있고, 이에 의해 주 결합 전도체(3)를 이동하게 구동하여 접촉기의 온-오프 상태의 스위칭을 구현한다.
도 3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 코일은 기둥형 본체를 갖고, 기둥형 본체의 외부 주변 벽 주위에 와이어가 원주 방향으로 권취되고, 와이어는 축방향으로 전체적으로 연장된다. 저전압 전류가 와이어 내로 전달될 때, 구동 코일은 자기장을 생성할 수 있고, 구동 코일에 의해 생성된 자기장은 제1 마이크로 스위치(445)에 작용할 수 있다. 제1 마이크로 스위치(445)는 자성부를 갖도록 구성되어, 구동 코일이 제1 마이크로 스위치(445)를 이동하게 구동할 수 있다.
구동 코일은 제1 구동 코일(53) 및 제2 구동 코일(63)을 포함한다. 저전압 전류가 제1 구동 코일(53) 및 제2 구동 코일(63) 둘 다에 전달될 수 있어서, 제1 구동 코일(53) 및 제2 구동 코일(63)은 각각 자기장들을 구성할 수 있다. 제1 구동 코일(53) 및 제2 구동 코일(63)은 제1 마이크로 스위치(445)를 제1 방향을 향해 이동하게 구동하여, 주 결합 전도체(3)를 제2 연결 단자(2)에 결합되게 구동하도록 구성되어, 제1 연결 단자(1)는 제2 연결 단자(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접촉기는 회로와 함께 턴온될 수 있고; 제1 구동 코일(53) 및 제2 구동 코일(63)은 또한 제1 마이크로 스위치(445)를 제2 방향을 향해 이동하게 구동하여, 주 결합 전도체(3)를 제2 연결 단자(2)와 함께 턴오프되게 구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따라서 제1 연결 단자(1)는 제2 연결 단자(2)로부터 전기적으로 분리되고, 접촉기는 회로와 함께 턴오프될 수 있다.
제1 구동 코일(53) 및 제2 구동 코일(63)을 설정함으로써, 제1 구동 코일(53) 및 제2 구동 코일(63)은 제1 마이크로 스위치(445)를 동시에 구동한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제1 마이크로 스위치(445)가 추진될 수 있다는 전제 하에, 단일 구동 코일의 체적이 감소되어, 접촉기의 전체 레이아웃을 용이하게 하고, 제1 구동 코일(53) 및 제2 구동 코일(63)이 열을 소산시키는 것을 용이하게 함으로써, 접촉기의 안전성을 향상시킨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서의 접촉기는 제1 마이크로 스위치(445)를 제1 구동 코일(53) 및 제2 구동 코일(63)을 통해 이동하게 구동하여, 제1 종동 부재(442)를 구동하여 주 결합 전도체(3)를 이동하게 구동할 수 있으며, 따라서 제1 연결 단자들(1) 및 제2 연결 단자들(2)의 복수의 그룹이 동기식으로 연결되거나 분리되고, 이는 접촉기의 열 소산에 도움이 되고, 그에 의해 접촉기의 신뢰성 및 안전성을 개선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1 구동 코일(53) 및 제2 구동 코일(63)은 이격되고, 제1 마이크로 스위치(445)는 제1 축을 중심으로 제1 구동 코일(53)과 제2 구동 코일(63)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도 3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구동 코일(53) 및 제2 구동 코일(63)은 병렬로 배열되고 이격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제1 구동 코일(53)의 단부 부분에는 자성부가 배열되고, 제2 구동 코일(63)의 단부 부분에는 자성부가 배열되며, 자성부는 자기 전도성 재료로 이루어진다. 제1 구동 코일(53) 및 제2 구동 코일(63)이 통전될 때, 제1 구동 코일(53) 및 제2 구동 코일(63)은 자기장을 생성하고, 제1 구동 코일(53)과 제2 구동 코일(63) 사이에 전자기 공간을 구성한다. 제1 마이크로 스위치(445)는 전자기 공간 내에 배열되어, 제1 구동 코일(53) 및 제2 구동 코일(63)이 공동으로 제1 마이크로 스위치(445)를 이동하게 구동할 수 있다.
제1 구동 코일(53) 및 제2 구동 코일(63)은 제1 마이크로 스위치(445)를 제1 축을 중심으로 제1 방향을 향해 회전하게 구동하도록 구성되거나, 제1 마이크로 스위치(445)를 제1 축을 중심으로 제2 방향을 향해 회전하게 구동하도록 구성된다. 제1 방향은 시계 방향일 수 있고, 제2 방향은 반시계 방향일 수 있거나, 제1 방향은 반시계 방향일 수 있고, 제2 방향은 시계 방향일 수 있으며, 따라서 접촉기의 특정 구조가 실제 요건에 따라 유연하게 배열될 수 있고, 그에 의해 레이아웃의 합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특정 구현 프로세스에서, 저전압 전류가 제1 구동 코일(53) 및 제2 구동 코일(63) 내로 통과되어, 제1 구동 코일(53)과 제2 구동 코일(63) 사이에 순방향 자기장을 생성할 수 있으며, 따라서 제1 마이크로 스위치(445)는 제1 방향을 향해 제1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강제되고, 제1 연결 단자(1)는 제2 연결 단자(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접촉기는 고전압 회로와 함께 턴온될 수 있거나; 또는 역방향 저전압 전류가 제1 구동 코일(53) 및 제2 구동 코일(63) 내로 통과되어, 제1 구동 코일(53)과 제2 구동 코일(63) 사이에 반대 자기장을 생성하여, 제1 마이크로 스위치(445)가 제2 방향을 향해 제1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강제되고, 제1 연결 단자(1)가 제2 연결 단자(2)로부터 전기적으로 분리되도록 구성된다.
전술한 배열을 통해, 제1 구동 코일(53) 및 제2 구동 코일(63)은 자기 구동 부분(44) 상에서 공동으로 작동할 수 있으며, 따라서 자기 구동 부분(44)은 주 결합 전도체(3)를 이동하게 구동하기에 충분한 회전 토크를 갖고, 이에 의해 고전압 회로의 온-오프 상태의 안정적인 스위칭을 구현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도 3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구동 코일(53)은 제1 자기 전도성 부분(54) 및 제2 자기 전도성 부분(52)을 포함하고, 제2 구동 코일(63)은 제3 자기 전도성 부분(61) 및 제4 자기 전도성 부분(62)을 포함한다. 제1 구동 코일(53) 및 제2 구동 코일(63)이 통전될 때, 제1 자기 전도성 부분(54) 및 제2 자기 전도성 부분(61)은 반대 극성을 갖고, 제3 자기 전도성 부분(61) 및 제4 자기 전도성 부분(62)은 반대 극성을 갖고, 제1 자기 전도성 부분(54) 및 제3 자기 전도성 부분(61)은 반대 극성을 갖고, 제2 자기 전도성 부분(52) 및 제4 자기 전도성 부분(62)은 반대 극성을 갖는다.
다시 말해서, 도 3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자기 전도성 부분(54), 제2 자기 전도성 부분(52), 제3 자기 전도성 부분(61), 및 제4 자기 전도성 부분(62)의 본체 부분들은 판 형상 구조들로서 구성된다. 제1 자기 전도성 부분(54)의 본체 부분 및 제2 자기 전도성 부분(52)의 본체 부분은 제1 구동 코일(53)의 2개의 단부에 부착되고, 제1 구동 코일(53)의 단부 부분에 부착된다. 제3 자기 전도성 부분(61)의 본체 부분 및 제4 자기 전도성 부분(62)의 본체 부분은 제2 구동 코일(63)의 2개의 단부에 배열되고, 제2 구동 코일(63)의 단부 부분에 부착된다. 따라서, 저전압 전류가 제1 구동 코일(53) 및 제2 구동 코일(63) 내로 통과될 때, 제1 자기 전도성 부분(54) 및 제2 자기 전도성 부분(52)은 반대 극성들을 생성한다. 또한, 제2 구동 코일(63)에 저전압 전류가 전달되면, 제3 자기 전도성 부분(61)과 제4 자기 전도성 부분(62)도 반대 극성을 발생시킨다.
도 3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기 전도성 부분의 본체 부분은 절첩판에 연결되고, 절첩판은 제1 구동 코일(53)과 제2 구동 코일(63) 사이의 간극 내로 연장된다. 제1 자기 전도성 부분(54)의 절첩판은 제3 자기 전도성 부분(61)의 절첩판과 직접 대면하여 배열되고, 제2 자기 전도성 부분(52)의 절첩판은 제4 자기 전도성 부분(62)의 절첩판과 직접 대면하여 배열된다. 저전압 전류를 제1 구동 코일(53) 및 제2 구동 코일(63)에 통과시킴으로써, 제1 자기 전도성 부분(54) 및 제3 자기 전도성 부분(61)은 반대 극성을 갖고, 제2 자기 전도성 부분(52) 및 제4 자기 전도성 부분(62)은 반대 극성을 갖는다.
제1 마이크로 스위치(445)는 자기 구동 부분(44)을 포함하고, 여기서 자기 구동 부분(44)의 제1 단부는 제1 자기 전도성 부분(54)과 제3 자기 전도성 부분(61) 사이에 위치되고, 자기 구동 부분(44)의 제2 단부는 제2 자기 전도성 부분(52)과 제4 자기 전도성 부분(62) 사이에 위치된다. 자기 구동 부분(44)의 제1 단부 및 제2 단부는 동일한 극성을 갖는다.
구체적으로, 자기 구동 부분(44)의 2개의 단부는 N 극으로 설정될 수 있다. 저전압 전류가 제1 구동 코일(53) 및 제2 구동 코일(63) 내로 통과될 때, 제2 자기 전도성 부분(52) 및 제3 자기 전도성 부분(61)은 N 극을 가질 수 있고, 제1 자기 전도성 부분(54) 및 제4 자기 전도성 부분(62)은 S 극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도 3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자기 전도성 부분(54)과 자기 구동 부분(44)의 제1 단부는 서로 끌어당겨지고, 제3 자기 전도성 부분(61)과 자기 구동 부분(44)의 제1 단부는 서로 반발한다. 제2 자기 전도성 부분(52)과 자기 구동 부분(44)의 제2 단부는 서로 반발하고, 제4 자기 전도성 부분(62)과 자기 구동 부분(44)의 제2 단부는 서로 끌어당기고, 그래서, 자기 구동 부분(44)은 제1 방향(즉, 도 31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제1 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자기 구동 부분(44)의 제1 단부는 제1 자기 전도성 부분(54)에 부착되고, 자기 구동 부분(44)의 제2 단부는 제4 자기 전도성 부분(62)에 부착되어, 제1 연결 단자(1)는 제2 연결 단자(2)와 함께 턴온된다.
대안적으로, 도 3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역방향 저전압 전류가 제1 구동 코일(53) 및 제2 구동 코일(63) 내로 통과될 때, 제2 자기 전도성 부분(52) 및 제3 자기 전도성 부분(61)은 S 극을 가질 수 있고, 제1 자기 전도성 부분(54) 및 제4 자기 전도성 부분(62)은 N 극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제1 자기 전도성 부분(54)과 자기 구동 부분(44)의 제1 단부는 서로 반발하고, 제3 자기 전도성 부분(61)과 자기 구동 부분(44)의 제1 단부는 서로 끌어당겨진다. 제2 자기 전도성 부분(52)과 자기 구동 부분(44)의 제2 단부는 서로 끌어당겨지고, 제4 자기 전도성 부분(62)과 자기 구동 부분(44)의 제2 단부는 서로 반발하여, 자기 구동 부분(44)은 제2 방향(즉, 도 31에서 시계 방향)으로 제1 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자기 구동 부분(44)의 제1 단부는 제3 자기 전도성 부분(61)에 부착되고, 자기 구동 부분(44)의 제2 단부는 제2 자기 전도성 부분(52)에 부착되어, 제1 연결 단자(1)는 제2 연결 단자(2)로부터 분리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도 3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구동 코일(53)은 제1 자기 전도성 부분(54) 및 제2 자기 전도성 부분(52)을 포함하고, 제2 구동 코일(63)은 제3 자기 전도성 부분(61) 및 제4 자기 전도성 부분(62)을 포함한다. 제1 구동 코일(53) 및 제2 구동 코일(63)이 통전될 때, 제1 자기 전도성 부분(54) 및 제2 자기 전도성 부분(52)은 반대 극성을 갖고, 제3 자기 전도성 부분(61) 및 제4 자기 전도성 부분(62)은 반대 극성을 갖고, 제1 자기 전도성 부분(54) 및 제3 자기 전도성 부분(61)은 동일한 극성을 갖고, 제2 자기 전도성 부분(52) 및 제4 자기 전도성 부분(62)은 동일한 극성을 갖는다.
다시 말해서, 도 3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자기 전도성 부분(54), 제2 자기 전도성 부분(52), 제3 자기 전도성 부분(61), 및 제4 자기 전도성 부분(62)의 본체 부분은 판-형상의 구조로서 구성된다. 제1 자기 전도성 부분(54)의 본체 부분 및 제2 자기 전도성 부분(52)의 본체 부분은 제1 구동 코일(53)의 2개의 단부에 부착되고, 제1 구동 코일(53)의 단부 부분과 직접 대면하여 배열된다. 제3 자기 전도성 부분(61)의 본체 부분 및 제4 자기 전도성 부분(62)의 본체 부분은 제2 구동 코일(63)의 2개의 단부에 부착되고, 제2 구동 코일(63)의 단부 부분과 직접 대면하여 배열된다. 따라서, 저전압 전류가 제1 구동 코일(53) 및 제2 구동 코일(63) 내로 통과될 때, 제1 자기 전도성 부분(54) 및 제2 자기 전도성 부분(52)은 반대 극성들을 생성한다. 또한, 제2 구동 코일(63)에 저전압 전류가 전달되면, 제3 자기 전도성 부분(61)과 제4 자기 전도성 부분(62)도 반대 극성을 발생시킨다.
도 3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기 전도성 부분의 본체 부분은 절첩판에 연결되고, 절첩판은 제1 구동 코일(53)과 제2 구동 코일(63) 사이의 간극 내로 연장된다. 제1 자기 전도성 부분(54)의 절첩판은 제3 자기 전도성 부분(61)의 절첩판과 직접 대면하여 배열되고, 제2 자기 전도성 부분(52)의 절첩판은 제4 자기 전도성 부분(62)의 절첩판과 직접 대면하여 배열된다. 저전압 전류를 제1 구동 코일(53) 및 제2 구동 코일(63)에 통과시킴으로써, 제1 자기 전도성 부분(54) 및 제3 자기 전도성 부분(61)은 동일한 극성을 갖고, 제2 자기 전도성 부분(52) 및 제4 자기 전도성 부분(62)은 동일한 극성을 갖는다.
제1 마이크로 스위치(445)는 자기 구동 부분(44)을 포함하고, 여기서 자기 구동 부분(44)의 제1 단부는 제1 자기 전도성 부분(54)과 제3 자기 전도성 부분(61) 사이에 위치되고, 자기 구동 부분(44)의 제2 단부는 제2 자기 전도성 부분(52)과 제4 자기 전도성 부분(62) 사이에 위치된다. 자기 구동 부분(44)의 제1 단부 중 제1 구동 코일(53)에 가까운 부분과 제2 구동 코일(63)에 가까운 부분은 반대 극성을 갖는다. 자기 구동 부분(44)의 제2 단부 중 제1 구동 코일(53)에 가까운 부분과 제2 구동 코일(63)에 가까운 부분은 반대 극성을 갖는다. 제1 구동 코일(53)에 가까운 자기 구동 부분(44)의 제1 단부의 부분과 자기 구동 부분(44)의 제2 단부의 부분은 동일한 극성을 갖고, 제2 구동 코일(63)에 가까운 자기 구동 부분(44)의 제1 단부의 부분과 자기 구동 부분(44)의 제2 단부의 부분은 동일한 극성을 갖는다.
구체적으로, 제1 구동 코일(53) 측면과 대면하는 자기 구동 부분(44)의 단부 부분은 N 극으로 설정될 수 있고, 제2 구동 코일(63) 측면과 대면하는 자기 구동 부분(44)의 단부 부분은 S 극으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저전압 전류가 제1 구동 코일(53) 및 제2 구동 코일(63)로 통과될 때, 제1 자기 전도성 부분(54) 및 제3 자기 전도성 부분(61)은 S 극을 가질 수 있고, 제2 자기 전도성 부분(52) 및 제4 자기 전도성 부분(62)은 N 극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도 3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자기 전도성 부분(54)과 자기 구동 부분(44)의 제1 단부는 서로 끌어당겨지고, 제3 자기 전도성 부분(61)과 자기 구동 부분(44)의 제1 단부는 서로 반발한다. 제2 자기 전도성 부분(52)과 자기 구동 부분(44)의 제2 단부는 서로 반발하고, 제4 자기 전도성 부분(62)과 자기 구동 부분(44)의 제2 단부는 서로 끌어당기고, 그래서, 자기 구동 부분(44)은 제1 방향(즉, 도 31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제1 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자기 구동 부분(44)의 제1 단부는 제1 자기 전도성 부분(54)에 부착되고, 자기 구동 부분(44)의 제2 단부는 제4 자기 전도성 부분(62)에 부착되어, 제1 연결 단자(1)는 제2 연결 단자(2)와 함께 턴온된다.
대안적으로, 도 3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역방향 저전압 전류가 제1 구동 코일(53) 및 제2 구동 코일(63) 내로 통과될 때, 제1 자기 전도성 부분(54) 및 제3 자기 전도성 부분(61)은 N 극을 가질 수 있고, 제2 자기 전도성 부분(52) 및 제4 자기 전도성 부분(62)은 S 극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제1 자기 전도성 부분(54)과 자기 구동 부분(44)의 제1 단부는 서로 반발하고, 제3 자기 전도성 부분(61)과 자기 구동 부분(44)의 제1 단부는 서로 끌어당겨진다. 제2 자기 전도성 부분(52)과 자기 구동 부분(44)의 제2 단부는 서로 끌어당겨지고, 제4 자기 전도성 부분(62)과 자기 구동 부분(44)의 제2 단부는 서로 반발하여, 자기 구동 부분(44)은 제2 방향(즉, 도 31에서 시계 방향)으로 제1 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자기 구동 부분(44)의 제1 단부는 제3 자기 전도성 부분(61)에 부착되고, 자기 구동 부분(44)의 제2 단부는 제2 자기 전도성 부분(52)에 부착되어, 제1 연결 단자(1)는 제2 연결 단자(2)로부터 분리된다.
전술한 배열을 통해, 제1 축의 2개의 측면에 위치된 자기 구동 부분(44)의 단부 부분은 각각 반대 힘을 받아, 자기 구동 부분(44)은 제1 축을 중심으로 안정적으로 회전할 수 있고, 이에 의해 주 결합 전도체(3)를 이동하게 구동하고, 고전압 회로의 온-오프 상태의 안정적인 스위칭을 구현한다. 또한, 제1 구동 코일(53)과 제2 구동 코일(63) 사이의 거리는 제1 마이크로 스위치(445)의 스트로크를 조정하기 위해 실제 요건에 따라 조정될 수 있으며, 따라서 제1 마이크로 스위치(445)는 더 큰 스트로크 범위를 갖고, 제1 마이크로 스위치(445)와 구동 코일 사이의 조립 방식은 더 유연하고 다양하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1 구동 코일(53) 및 제2 구동 코일(63)은 제어 회로에서 직렬로 연결된다. 따라서, 제1 구동 코일(53) 및 제2 구동 코일(63)의 온-오프는 단일 전압 신호를 통해 동기식으로 제어될 수 있고, 그에 의해 접촉기의 전체 신뢰성을 향상시킨다.
일부 실시예에서, 도 37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1 전동 조립체(444)는 제1 전동 부재(443)를 더 포함한다. 제1 전동 부재(443)는 제2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제1 기어 부분(431)을 포함하고, 제1 기어 부분(431)은 베벨 기어 부분 또는 스퍼 기어 부분일 수 있고, 제1 마이크로 스위치(445)는 제1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제1 원호-형상 치형부 부분(441)을 포함하고, 제1 기어 부분(431) 및 제1 원호-형상 치형부 부분(441)은 치형부 구조를 통해 맞물림 전동된다. 제1 원호-형상 치형부 부분(441)은 자기 구동 부분(44)에 고정 연결되고, 제1 원호-형상 치형부 부분(441)은 자기 구동 부분(44)과 함께 이동할 수 있고, 제1 원호-형상 치형부 부분(441)은 팬 형상 구조로서 구성되고, 치형부 구조는 제1 축으로부터 이격하여 제1 원호-형상 치형부 부분(441)의 측면 상에 배열된다. 제1 원호-형상의 치형부 부분(441)에 대응하는 치형부 구조가 제1 기어 부분(431)의 외부 측면 상에 구성된다. 제1 원호-형상 치형부 부분(441) 및 제1 기어 부분(431)은 전동을 구현하기 위해 맞물림 전동한다.
즉, 도 3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구동 코일(53) 및 제2 구동 코일(63)이 자기 구동 부분(44)을 제1 축을 중심으로 제1 방향을 향해 이동하게 구동할 때, 자기 구동 부분(44)은 제1 원호-형상 치형부 부분(441)를 제1 축을 중심으로 제1 방향을 향해 이동하게 구동한다. 제1 원호-형상 치형부 부분(441)은 제1 연결 단자(1)가 제2 연결 단자(2)와 함께 턴온되도록, 주 결합 전도체(3)가 이동하게 구동하기 위해, 치형부 구조를 통해 제2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제1 기어 부분(431)을 구동할 수 있고, 도 3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구동 코일(53) 및 제2 구동 코일(63)이 제1 축을 중심으로 제2 방향을 향해 이동하도록 자기 구동 부분(44)을 구동할 때, 자기 구동 부분(44)은 제1 원호-형상 치형부 부분(441)을 제1 축을 중심으로 제2 방향을 향해 회전하도록 구동하고, 제1 원호-형상 치형부 부분(441)은 주 결합 전도체(3)를 역방향으로 이동하게 구동하기 위해, 치형부 구조를 통해 제2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제1 기어 부분(431)을 구동할 수 있으며, 따라서 제1 연결 단자(1)는 제2 연결 단자(2)로부터 분리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도 37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1 전동 부재(443)는 제2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제2 기어 부분(432)을 더 포함한다. 제2 기어 부분(432)은 스퍼 기어 부분이며, 제1 기어 부분(431)의 단부 부분과 제2 기어 부분(432)의 단부 부분은 서로 직접 대면하고 서로 연결되며, 제1 기어 부분(431)의 축은 제2 기어 부분(432)의 축과 일치한다. 제1 기어 부분(431)은 제2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제2 기어 부분(432)을 구동하도록 구성된다. 제1 종동 부재(442)는 제1 래크 부분(421)을 포함한다. 제1 래크 부분(421)은 바-형상의 구조로서 구성된다.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치형부 구조가 제1 래크 부분(421) 상에 배열된다. 제2 기어 부분(432) 및 제1 래크 부분(421)은 치형부 구조를 통해 맞물림 전동된다.
즉, 도 3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구동 코일(53) 및 제2 구동 코일(63)이 제1 원호-형상 치형부 부분(441)을 구동하여 제1 축을 중심으로 제1 방향을 향해 이동하게 할 때, 제1 기어 부분(431)은 제2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제2 기어 부분(432)을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게 구동하고, 제2 기어 부분(432)은 제1 래크 부분(421)을 구동하여 치형부 구조를 통해 이동하게 하여, 주 결합 전도체(3)를 이동하게 구동하여, 제1 연결 단자(1)가 제2 연결 단자(2)에 연결되게 하고; 도 3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구동 코일(53) 및 제2 구동 코일(63)이 제1 원호-형상 치형부 부분(441)을 구동하여 제1 축을 중심으로 제2 방향을 향해 이동하게 할 때, 제1 기어 부분(431)은 제2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제2 기어 부분(432)을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게 구동하고, 제2 기어 부분(432)은 제1 래크 부분(421)을 구동하여 치형부 구조를 통해 역방향으로 이동하게 하여, 주 결합 전도체(3)를 역방향으로 이동하게 구동하여, 제1 연결 단자(1)가 제2 연결 단자(2)로부터 분리되게 한다.
전술한 배열을 통해, 제1 축방향을 중심으로 한 자기 구동 부분(44)의 회전은 고정된 방향으로의 제1 래크 부분(421)의 활주으로 변환되어, 주 결합 전도체(3)를 이동하게 구동함으로써, 제1 연결 단자(1)와 제2 연결 단자(2) 사이의 연결 및 분리를 구현하여, 활주 프로세스를 매끄럽고 안정적으로 만들고, 주 결합 전도체(3)가 제2 연결 단자(2)에 결합될 때 충격력을 감소시킨다. 이러한 방식으로, 접점의 폐쇄 노이즈가 감소되고, 접촉기의 안정성이 향상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2 기어 부분(432)의 직경은 제1 기어 부분(431)의 직경보다 크다. 즉, 제1 기어 부분(431)이 제2 기어 부분(432)을 회전 구동할 때, 제2 기어 부분(432)의 회전 스트로크는 제1 기어 부분(431)의 회전 스트로크보다 크다. 따라서, 제1 마이크로 스위치(445)의 스트로크는 제1 전동 부재(443)를 통해 증폭될 수 있고, 이는 온-오프 프로세스에서 제1 마이크로 스위치(445)의 스트로크 요건을 감소시키고, 접촉기의 전체적인 다양한 레이아웃을 구현하고, 고전압 전력의 전기적 클리어런스 요건을 충족시키는 데 도움이 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래크 부분(421)은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고, 제1 래크 부분(421)의 상부 단부는 주 결합 전도체(3)에 연결되도록 구성되고, 제2 기어 부분(432)과 맞물리는 치형부 구조는 제1 래크 부분(421)의 하부 단부의 측벽 상에 배열된다. 다시 말해서, 도 3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래크 부분(421)은 제2 기어 부분(432)의 측면 상에 배열되고, 제1 래크 부분(421)은 바-형상의 구조로서 구성된다. 제2 기어 부분(432)에 가까운 제1 래크 부분(421) 측면에는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치형부 구조가 배열된다. 제1 래크 부분(421)은 제2 기어 부분(432)과 맞물려 전동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구동 코일(5)이 원호-형상 치형부 부분(411)을 제1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제1 방향을 향해 이동하게 구동할 때, 제2 기어 부분(432)이 제1 래크 부분(421)을 치형부 구조를 통해 수직 방향으로 상향 이동하게 구동하여 주 결합 전도체(3)를 상향 이동하게 구동하여, 제1 연결 단자(1)가 제2 연결 단자(2)에 연결되고; 구동 코일(5)이 원호-형상의 치형부 부분(411)을 제1 축 주위로 회전되게 구동하여 제2 방향을 향해서 이동시킬 때, 제2 기어 부분(432)이 제1 래크 부분(421)을 치형부 구조를 통해서 수직 방향으로 하향 이동되게 구동하여, 주 결합 전도체(3)를 하향 이동되게 구동하여, 제1 연결 단자(1)가 제2 연결 단자(2)로부터 분리된다.
전술한 배열을 통해, 주 결합 전도체(3)의 측면은 입력 단자의 제1 연결 단자(1)의 측면 및 출력 단자의 제2 연결 단자(2)의 측면에 부착되어 이동 접점으로서 기능할 수 있다. 따라서, 이동 접점의 수량이 감소되고, 이동 접점은 이동 접점의 접촉 저항을 감소시키기에 충분한 결합 면적을 가지며, 이에 의해 접촉기의 가열량을 감소시키고, 에너지 손실을 감소시키고, 이동 접점의 접착 가능성을 감소시킨다.
또한, 도 3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주 결합 전도체(3), 제1 구동 코일(53), 및 제2 구동 코일(63)은 상향 방향 또는 하향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배열되고, 구동 코일(5) 및 제1 마이크로 스위치(445)는 수평 방향(도 31에서 좌측 방향 및 우측 방향)으로 서로 직접 대면하여 배열되어, 접촉기의 전체 레이아웃이 균등하고, 이는 전체 열 소산에 도움이 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도 3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 결합 전도체(3)는 판 형상으로 구성되고, 복수의 주 결합 전도체(3)가 존재한다. 복수의 주 결합 전도체(3)는 제1 연결 단자(1) 및 제2 연결 단자(2)의 복수의 그룹에 각각 대응한다. 복수의 주 결합 전도체(3)는 각각 구동 코일의 축방향으로 연장되어 제1 구동 코일(53) 및 제2 구동 코일(63)의 상부측에 균일하게 배열되도록 배열되어, 접촉기의 전체 레이아웃이 적절하다.
주 결합 전도체(3)는 연성 구리(은)와 같은 복합 재료로 제조될 수 있으며, 따라서 주 결합 전도체(3)가 더 큰 전류 운반 용량을 갖고, 이에 의해 주 결합 전도체(3)의 저항을 더 감소시킨다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주 결합 전도체(3)의 경도가 더 낮고, 이는 제2 연결 단자(2)와 주 결합 전도체(3) 사이의 결합 프로세스에서 노이즈를 감소시킨다.
또한, 도 3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종동 부재(442)는 클램핑 부분(422)을 포함한다. 클램핑 부분(422)은 주 결합 전도체(3)를 향해 개방된 클램핑 개구(423)를 갖고, 홈이 주 결합 전도체(3)로부터 먼 클램핑 부분(422)의 측면 상에 제공된다. 제1 래크 부분(421)은 홈의 내벽에 고정되고, 제1 래크 부분(421)은 클램핑 부분(422)을 수직 방향으로 이동하게 구동하도록 구성된다. 주 결합 전도체(3)의 일 단부는 제1 연결 단자(1)에 부착 및 연결되고, 주 결합 전도체(3)의 다른 단부는 클램핑 개구(423) 내로 연장된다. 클램핑 부분(422)은 제2 연결 단자(2)에 부착되도록 주 결합 전도체(3)의 다른 단부를 구동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제1 연결 단자(1) 및 제2 연결 단자(2)는 동일한 높이의 위치에 위치되어 배열될 수 있고, 클램핑 부분(422)으로부터 먼 주 결합 전도체(3)의 일 단부는 제1 연결 단자(1)의 하부 측면으로 연장되어, 주 결합 전도체(3)의 상부측이 제1 연결 단자(1)의 하부 측면에 부착되고 연결된다. 또한, 클램핑 부분(422)에 가까운 주 결합 전도체(3)의 일 단부가 클램핑 개구부(423) 내로 연장되고, 그에 따라 클램핑 부분(422)은 주 결합 전도체(3)의 위치를 제한할 수 있다. 제1 래크 부분(421)이 이동할 때, 클램핑 부분(422)은 주 결합 전도체(3)를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하게 구동할 수 있고, 제2 연결 단자(2)는 클램핑 부분(422)에 가까운 주 결합 전도체(3)의 측면의 상부 단부에 배열된다. 도 3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 결합 전도체(3)가 상한 위치(즉, 수직 방향으로 최대 위치)로 이동할 때, 주 결합 전도체(3)는 제2 연결 단자(2)에 부착되고 연결된다. 도 3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램핑 부분(422)이 주 결합 전도체(3)를 하향으로 이동하게 구동할 때, 주 결합 전도체(3)는 제2 연결 단자(2)로부터 분리되어, 제1 연결 단자(1)는 제2 연결 단자(2)로부터 전기적으로 분리된다.
복수의 주 결합 전도체(3)의 단부 부분은 모두 동일한 클램핑 개구(423) 내로 연장되고, 클램핑 부분(422)은 복수의 주 결합 전도체(3)를 동기식으로 이동하게 구동할 수 있으며, 따라서 이에 의해 복수의 그룹의 제1 연결 단자(1)와 제2 연결 단자(2) 사이의 동기식 연결 및 분리를 구현하여, 컴포넌트의 수량을 감소시키고, 장착의 어려움을 감소시킨다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도 3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 결합 전도체(3)는 고정 부분(31) 및 결합 부분(33)을 포함한다. 고정 부분(31)은 제1 연결 단자(1)에 고정 연결되고, 제1 종동 부재(442)는 결합 부분(33)에 연결되어 결합 부분(33)을 구동하여 제2 연결 단자(2)에 결합되게 한다.
제1 마이크로 스위치(445)가 제1 방향을 향해 제1 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때, 제1 종동 부재(442)는 제2 연결 단자(2)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고, 제1 종동 부재(442)는 제2 연결 단자(2)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힘을 결합 부분(33) 상에 인가하고, 고정 부분(31)은 결합 부분(33)에 대해 이동하여, 주 결합 전도체(3)가 제2 연결 단자(2)로부터 분리되고; 제1 마이크로 스위치(445)가 제1 축을 중심으로 제2 방향을 향해 회전할 때, 제1 종동 부재(442)는 제2 연결 단자(2)에 가까운 방향을 향해 이동하고, 제2 연결 단자(2)는 결합 부분(33)에 결합된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따라서, 고전압 회로의 온-오프 상태를 편리하게 스위칭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도 3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약화부(32)는 고정 부분(31)과 결합 부분(33) 사이에 연결된다. 다시 말해서, 래크 부분이 하향 이동할 때, 래크 부분은 결합 부분(33)에 하향력을 인가하여, 약화부(32)가 탄성적으로 변형되게 하고, 고정 부분(31)이 결합 부분(33)에 대해 이동하게 하여, 주 결합 전도체(3)가 출력 단자의 제2 연결 단자(2)로부터 분리되게 하고; 제1 마이크로 스위치(445)가 제2 방향을 향해 제1 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때, 래크 부분은 상향으로 이동하고, 약화부(32)의 탄성 변형이 회복되어, 출력 단자의 제2 연결 단자(2)가 결합 부분(33)에 결합된다.
따라서, 약화부(32)를 배열함으로써, 고정 부분(31)과 결합 부분(33) 사이의 상대 이동이 구현되고, 결합 부분(33)의 소성 변형이 회피되어, 결합 부분(33)이 제2 연결 단자(2)의 측면에 반복적으로 부착될 수 있으며, 따라서 접촉기의 안정성 및 신뢰성을 향상시킨다.
일부 실시예에서, 약화부(32)는 원호-형상 섹션으로서 구성되고, 원호-형상 섹션의 일 단부는 고정 부분(31)에 연결되고, 원호-형상 섹션의 다른 단부는 결합 부분(33)에 연결되고, 약화부(32) 내에 약화 공동(321)이 존재한다. 즉, 도 3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약화부(32)는 하향 돌출하는 반원형 원호-형상 섹션으로서 구성될 수 있다. 약화부(32)의 좌측 단부는 고정 부분(31)에 연결되고, 약화부(32)의 우측 단부는 결합 부분(33)에 연결되어 공동으로 주 결합 전도체(3)를 구성한다.
또한, 제1 종동 부재(442)가 결합 부분(33)에 하향력을 인가할 때, 약화부(32)는 압축 및 변형되고, 고정 부분(31)은 결합 부분(33)에 대해 이동하고, 주 결합 전도체(3)는 제2 연결 단자(2)로부터 분리된다. 제1 종동 부재(442)가 상향 이동하면, 약화부(32)의 탄성 변형이 회복되고, 제2 연결 단자(2)가 결합 부분(33)에 결합된다. 약화부(32)에 원호-형상의 약화 공동(321)을 제공함으로써, 약화부(32)의 전체 강성이 더 감소되어, 약화부(32)는 결합 부분(33)에 의해 전달된 힘을 받을 때 탄성 변형되기 쉽고, 이에 의해 제1 구동 코일(53) 및 제2 구동 코일(63)의 크기 요건을 감소시킨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접촉기는 제2 내부 쉘(205)을 더 포함한다. 제1 연결 단자(1) 및 제2 연결 단자(2)가 제2 내부 쉘(205) 상에 장착된다. 주 결합 전도체(3), 제1 전동 조립체(444), 제1 구동 코일(53), 및 제2 구동 코일(63)이 각각 제2 내부 쉘(205) 내에 장착되고, 제1 종동 부재(442)가 제2 내부 쉘(205)의 내부 주변 벽에 활주-끼워맞춤된다.
다시 말해서, 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내부 쉘(205)은 전체적으로 직사각형 구조로 구성되고, 외향으로 돌출하는 레그(76)는 제2 내부 쉘(205)의 대각선 위치에 개별적으로 배열된다. 두께 방향으로 관통 연장되는 장착 구멍(72)이 레그(76) 상에 제공되고, 커넥터가 장착 구멍(72)을 통과하여 접촉기를 고정할 수 있다. 제2 내부 쉘(205)의 외부 구조는 종래의 접촉기의 외부 구조와 일치하며, 이는 구조적 설계 및 재료 전환을 용이하게 한다. 개구가 제2 내부 쉘(205)의 측벽 상에 제공된다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저전압 신호 라인은 개구를 통해 제2 내부 쉘(205)을 통과하여 외부 전원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조작자는 외부 스위치를 통해 접촉기의 온 또는 오프를 제어할 수 있다. 저전압 신호 라인은 또한 커넥터로서 설계될 수 있다.
또한, 도 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내부 쉘(205)은 외향 개방되는 공동 구조를 갖고, 커버판 구조(73)가 개방 단부 상에 배열되고, 제1 연결 단자(1) 및 제2 연결 단자(2)에 대응하는 관통 구멍들이 커버판 구조(73) 상에 제공된다. 제1 연결 단자(1) 및 제2 연결 단자(2)의 상부 부분은 관통 구멍 내로 연장되어, 커버판 구조(73) 상에 장착되고, 제2 내부 쉘(205)과 비교적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으며, 따라서 주 결합 전도체(3)가 제2 연결 단자(2)에 대해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제1 연결 단자(1) 및 제2 연결 단자(2), 주 결합 전도체(3), 제1 전동 조립체(444), 제1 구동 코일(53), 및 제2 구동 코일(63)의 나머지 부분은 커버판 구조(73)를 통해 제2 내부 쉘(205) 내에 밀봉되고, 이에 의해 외부 세계로부터 분리되어, 외부 불순물이 제2 내부 쉘(205)에 진입하는 것을 방지하고, 동시에 절연 보호의 역할을 한다. 또한, 제2 내부 쉘(205)의 내부 주변 벽은 제1 종동 부재(442)의 위치를 제한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제1 종동 부재(442)는 내부 주변 벽에 대해서 동일한 방향으로 활주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주 결합 전도체(3)의 이동 경로의 안정성을 보장할 수 있고, 접촉기의 작동 프로세스의 신뢰성을 개선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활주 안내 홈(74)이 제2 내부 쉘(205)의 내부 주변 벽 상에 제공되고, 제1 종동 부재(442)의 제1 래크 부분(421)이 활주 안내 홈(74)에 활주-끼워맞춤된다. 도 3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활주 안내 홈(74)은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어 배열되고, 활주 안내 홈(74)의 개구 크기는 제1 래크 부분(421)의 폭 크기와 동일하다. 제1 래크 부분(421)이 활주 안내 홈(74) 상에 장착될 때, 활주 안내 홈(74)은 제1 래크 부분(421)의 위치를 제한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제1 래크 부분(421)은 높이 방향으로 왕복할 수 있고, 그에 의해서 주 결합 전도체(3)와 제1 연결 단자(1) 사이의 신뢰 가능한 접촉 및 분리 프로세스를 보장하고, 접촉기의 안정성을 개선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서의 접촉기는 온도 센서 및 제어기를 더 포함한다. 온도 센서는 제어기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온도 센서는 제1 연결 단자(1), 제2 연결 단자(2), 및/또는 주 결합 전도체(3)의 회로 신호를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제어기는 회로 신호에 따라 제2 연결 단자(2)에 결합되거나 턴오프되도록 주 결합 전도체(3)를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회로 신호는 온도 변화, 전압 변화, 및 전류 변화를 포함한다. 다시 말해서, 온도 센서가 주 결합 전도체(3)를 모니터링하도록 배열될 수 있거나, 온도 센서가 제1 연결 단자(1) 및 제2 연결 단자(2)를 검출하도록 배열될 수 있거나, 온도 센서가 제1 연결 단자(1), 제2 연결 단자(2), 및 주 결합 전도체(3)를 동시에 검출하도록 배열될 수 있고, 그에 의해서 고전압 회로의 온도 변화, 전압 변화, 및 전류 변화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제1 연결 단자(1)가 주 결합 전도체(3)를 통해 제2 연결 단자(2)에 연결됨에 따라, 고전압 회로의 전류량 및 발열량이 변화하고, 이에 대응하여 온도 변화가 발생한다. 센서는 고전압 회로의 작동 프로세스에서 변화 정보(온도 변화, 전압 변화, 및 전류 변화를 포함함)를 획득하고, 변화 정보를 회로 신호의 형태로 제어기에 송신할 수 있다. 제어기는 회로 신호에 따라 고전압 회로의 차단 임계값에 도달했는지를 결정하고, 고전압 회로가 턴오프될 필요가 있을 때, 구동 조립체를 제2 연결 단자(2) 및 주 결합 전도체(3)로부터 전기적으로 분리되도록 제어한다. 고전압 손실 및 비용을 감소시키기 위해 퓨즈가 배열될 필요가 없다.
또한, 접촉기가 턴오프되도록 제어된 후에, 본 개시내용의 접촉기를 사용하는 전기 장비가 계속 작동할 필요가 있으면, 제어기는 구동 조립체를 통해 제2 연결 단자(2)와 주 결합 전도체(3) 사이의 결합을 구현하여, 고전압이 전기 장비에 공급될 수 있는 것을 보장하고, 이에 의해 안전성을 개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개시내용의 접촉기는 전기 차량에서 사용되고, 회로 정보가 접촉기가 턴오프될 필요가 있지만 차량이 위험 조건에 있고 작동 조건을 유지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표시할 때, 상부 고전압 전력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차량이 안전한 위치로 주행하거나 위험 조건이 제거된 후에, 제2 연결 단자(2)는 주 결합 전도체(3)로부터 전기적으로 분리된다.
본 개시내용의 특정 실시예에 따르면, 도 40 내지 도 4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4 접촉기(K4) 및 제5 접촉기(K5) 둘 모두는, 주 결합 전도체(3)를 포함한다. 주 결합 전도체(3)는 대응하는 입력 단자에 연결되고, 주 결합 전도체(3)는 대응하는 출력 단자에 선택적으로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하나의 주 결합 전도체(3)가 제4 접촉기(K4) 및 제5 접촉기(K5) 상에 개별적으로 배열된다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설명을 위한 예로서 제4 접촉기(K4)를 사용하면, 제4 접촉기(K4)의 주 결합 전도체(3)는 제4 접촉기(K4)의 입력 단자에 연결되고, 제4 접촉기(K4)의 주 결합 전도체(3)는 제4 접촉기(K4)의 출력 단자에 선택적으로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도 4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2개의 연결 단자 그룹이 본 개시내용의 접촉기 상에 통합된다. 즉, 연결 단자 그룹들의 수량은 실제 사용 요건에 따라 유연하게 설정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1 연결 단자(1) 및 제2 연결 단자(2)의 2개의 그룹이 접촉기 상에 배열된다. 하나의 제1 연결 단자(1)(입력 단자)는 하나의 제2 연결 단자(2)(출력 단자)에 대응하고, 제1 연결 단자들(1) 및 제2 연결 단자들(2)의 하나의 그룹은 하나의 직류 회로를 형성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다시 말해서, 적어도 2개의 직류 회로가 본 개시내용의 접촉기 상에 통합될 수 있다. 적어도 2개의 주 결합 전도체(3)가 존재하고, 주 결합 전도체(3)는 연결 단자 그룹과 일대일 대응한다.
도 4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 메커니즘(75)이 제2 내부 쉘(205) 내에 배열되고, 구동 메커니즘(75)은 제4 팬 형상 구동 부분(77)을 포함하고, 제4 팬 형상 구동 부분(77)은 제4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제4 팬 형상 구동 부분(77)은 팬 형상 시트 구조로서 구성될 수 있고, 회전 과정에서, 제4 팬 형상 구동 부분(77)은 제4 접촉기(K4)의 주 결합 전도체(3) 및 제5 접촉기(K5)의 주 결합 전도체(3)를 추진하고 제4 접촉기(K4)의 주 결합 전도체(3) 및 제5 접촉기(K5)의 주 결합 전도체(3)에 대한 추진을 해제하며, 제4 팬 형상 구동 부분(77)이 복수의 주 결합 전도체(3)를 추진할 때, 복수의 주 결합 전도체(3)는 대응하는 출력 단자에 개별적으로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구동 메커니즘(75) 및 상위 컴퓨터는 CAN(controller area network)을 사용하여 통신 제어를 수행하여, CAN의 신호 제어에 따라 2개의 연결 단자 그룹의 동기 제어를 구현함으로써, 제1 연결 단자들(1) 및 제2 연결 단자들(2)의 2개의 그룹의 동기화를 보장하고, 사용자에 의한 접촉기의 제어를 용이하게 한다.
바람직하게는, 도 15, 도 17 및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 결합 전도체(3)는 금속 전도체(10)를 통해 제1 연결 단자(1)에 연결될 수 있다. 금속 전도체(10)는 제1 연결 단자(1)와 주 결합 전도체(3) 사이에 배열되고, 금속 전도체(10)를 배열함으로써, 제1 연결 단자(1)와 주 결합 전도체(3) 사이에 전도성 역할을 할 수 있고, 주 결합 전도체(3)의 일 단부는 금속 전도체(10)에 부착되고 연결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제1 연결 단자(1)와 주 결합 전도체(3) 사이의 전도성을 보장한다. 또한, 회전할 때, 제4 팬 형상 구동 부분(77)은 복수의 주 결합 전도체(3)를 구동하고 복수의 주 결합 전도체(3)에 대한 추진을 해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4 팬 형상 구동 부분(77)이 회전할 때, 그리고 적절한 위치로 회전할 때, 제4 팬 형상 구동 부분(77)은 복수의 주 결합 전도체(3)에 대한 구동력을 발생시켜, 제4 팬 형상 구동 부분(77)이 복수의 주 결합 전도체(3)를 추진하여 주 결합 전도체(3)가 제2 연결 단자(2)에 부착되도록 탄성 변형되게 한다. 또한, 제4 팬 형상 구동 부분(77)이 다른 위치로 계속 회전할 때, 제4 팬 형상 구동 부분(77)은 주 결합 전도체(3)로부터 분리되어 주 결합 전도체(3)를 느슨하게 한다. 이 경우에, 주 결합 전도체(3)는 그 자체의 탄성에 의존하여 리셋되고, 그에 의해서 주 결합 전도체(3)가 제2 연결 단자(2)로부터 분리되게 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도 40 내지 도 44에 도시된 실시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촉기는 리셋 구동 구조를 더 포함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리셋 구동 구조는 주 결합 전도체(3)를 제2 연결 단자(2)로부터 분리되게 구동하도록 구성된다. 다시 말해서, 주 결합 전도체(3)는 리셋 구동 구조를 통해 제2 연결 단자(2)로부터 전기적으로 분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리셋 구동 구조는 비틀림 스프링일 수 있다. 비틀림 스프링의 탄성 변형력은 주 결합 전도체(3)를 제2 연결 단자(2)로부터 분리되도록 추진하도록 구성된다. 물론, 리셋 구동 구조는 또한 다른 구조, 즉 전술한 효과를 구현할 수 있는 구조로서 구성될 수 있고, 본 명세서에서 제한되지 않는다.
도 4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4 팬 형상 구동 부분(77)은 제4 축을 따라서 이격된 제1 팬 형상 하위-부분(78) 및 제2 팬 형상 하위-부분(79)을 포함하고, 주 결합 전도체(3)는 제3 결합 전도체(3c) 및 제4 결합 전도체(3d)를 포함하고, 제1 팬 형상 하위-부분(78)은 제3 결합 전도체(3c)를 추진하고 제3 결합 전도체(3c)에 대한 추진을 해제하도록 구성되고, 제2 팬 형상 하위-부분(79)은 제4 결합 전도체(3d)를 추진하고 제4 결합 전도체(3d)에 대한 추진을 해제하도록 구성되고, 제3 결합 전도체(3c)는 제4 접촉기(K4)의 입력 단자에 연결되고, 제3 결합 전도체(3c)는 제4 접촉기(K4)의 출력 단자에 선택적으로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4 결합 전도체(3d)는 제5 접촉기(K5)의 입력 단자에 연결되고, 제4 결합 전도체(3d)는 제5 접촉기(K5)의 출력 단자에 선택적으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제3 결합 전도체(3c)는 제4 접촉기(K4)의 출력 단자에 대향되게 배열되고, 제4 결합 전도체(3d)는 제5 접촉기(K5)의 출력 단자에 대향되게 배열된다.
따라서, 제1 팬 형상 하위-부분(78)은 제3 결합 전도체(3c)를 선택적으로 추진하거나 해제할 수 있고, 제2 팬 형상 하위-부분(79)은 제4 결합 전도체(3d)를 선택적으로 추진하거나 해제할 수 있고, 그에 의해서 접촉기의 작동 상태를 제어할 수 있고, 사용자의 상이한 직류 충전 요건들을 충족시킬 수 있다.
복수의 연결 단자 그룹이 접촉기에 통합될 때, 주 결합 전도체(3)의 수량 및 제4 팬 형상 구동 부분(77)의 수량은 연결 단자 그룹의 수량과 동일하고, 이에 의해 복수의 연결 단자 그룹의 동기 제어를 구현하여, 접촉기의 동기화를 개선하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도 4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팬 형상 하위-부분(78)은 제4 축을 따라서 제2 팬 형상 하위-부분(79)에 직접적으로 대면되어 배열된다. 다시 말해서, 제1 팬 형상 하위-부분(78)의 투영은 제4 축 상의 제2 팬 형상 하위-부분(79)의 투영과 일치되고, 제1 팬 형상 하위-부분(78) 및 제2 팬 형상 하위-부분(79)은 제4 축을 중심으로 동기식으로 회전된다. 회전 과정에서, 제1 팬 형상 하위-부분(78) 및 제2 팬 형상 하위-부분(79)은 제3 결합 전도체(3c) 및 제4 결합 전도체(3d)를 동시에 추진하고, 제3 결합 전도체(3c) 및 제4 결합 전도체(3d)에 대한 추진을 동시에 해제한다. 따라서, 제1 팬 형상 하위-부분(78) 및 제2 팬 형상 하위-부분(79)이 제3 결합 전도체(3c) 및 제4 결합 전도체(3d)를 동시에 추진하거나 해제할 수 있도록 보장될 수 있고, 그에 의해서 제3 결합 전도체(3c) 및 제4 결합 전도체(3d)의 동기 제어를 구현할 수 있다. 그 다음, 제1 연결 단자(1)(입력 단자) 및 제2 연결 단자(2)(출력 단자)는 동기식으로 턴오프 또는 턴온될 수 있고, 그에 의해 접촉기의 동기화를 향상시킨다.
도 4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 메커니즘(75)은 제2 전원(791) 및 제2 전동 로드(792)를 더 포함하고, 제2 전원(791)은 제2 전동 로드(792)의 단부 부분에 연결되고 제2 전동 로드(792)를 회전 구동하도록 구성되고, 제1 팬 형상 하위-부분(78) 및 제2 팬 형상 하위-부분(79)의 모두는 제2 전동 로드(792) 상에 배열되고, 제1 팬 형상 하위-부분(78) 및 제2 팬 형상 하위-부분(79)의 모두는 제4 축을 중심으로 동기식으로 회전하고, 제4 축은 제2 전동 로드(792)의 축과 일치한다.
제2 전원(791)은 상위 컴퓨터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2 전원(791)은 전기 모터로서 구성될 수 있으며, 따라서 전기 모터의 회전 속도 및 방향이 상위 컴퓨터를 통해 제어될 수 있다. 제2 전동 로드(792)의 회전 방향은 시계 방향이고, 제2 전동 로드(792)는 등속 또는 비등속 회전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제2 전원(791)은 제2 전동 로드(792)의 단부 부분에 연결된다. 제2 전동 로드(792)의 다른 단부는 제2 전원(791)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하고, 제4 축은 제2 전동 로드(792)의 축과 일치하여, 제2 전동 로드(792)가 제2 전원(791)의 작용 하에서 제4 축을 따라 회전할 수 있는 것을 보장하고, 이에 의해 제2 전원(791)이 제2 전동 로드(792)를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고, 제2 전동 로드(792)의 회전 속도를 증가시킨다.
구체적으로, 도 4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팬 형상 하위-부분(78) 및 제2 팬 형상 하위-부분(79) 모두가 제2 전동 로드(792) 상에 배열되고 제2 전동 로드(792)의 축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분포되며, 그에 의해서 제1 팬 형상 하위-부분(78) 및 제2 팬 형상 하위-부분(79)이 제3 결합 전도체(3c) 및 제4 결합 전도체(3d)를 동시에 제어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고, 그에 따라 제3 결합 전도체(3c) 및 제4 결합 전도체(3d)는 제1 연결 단자(1) 및 제2 연결 단자(2)의 2개의 그룹이 동기식으로 연결 또는 분리될 수 있게 하고, 그에 의해서 제1 연결 단자(1) 및 제2 연결 단자(2)의 2개의 그룹의 동기 제어를 구현하여, 접촉기의 동기화를 개선한다.
본 개시내용의 일부 특정 실시예들에 따르면, 도 45 내지 도 5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전기(2000)는 제3 내부 쉘(206) 및 제4 내부 쉘(207)을 더 포함하고, 제3 내부 쉘(206) 및 제4 내부 쉘(207) 둘 모두는 외부 하우징(200) 내에 고정 배열되고, 제4 접촉기(K4)는 제3 내부 쉘(206) 내에 배열되고, 제5 접촉기(K5)는 제4 내부 쉘(207) 내에 배열되고, 제4 접촉기(K4)의 입력 단자 및 출력 단자 둘 모두는 제3 내부 쉘(206) 상에 배열되고, 제5 접촉기(K5)의 입력 단자 및 출력 단자 둘 모두는 제4 내부 쉘(207) 상에 배열된다.
또한, 제4 접촉기(K4) 및/또는 제5 접촉기(K5)는 제2 전동 조립체(100), 주 결합 전도체(3), 및 제3 구동 코일(112)을 포함하고, 주 결합 전도체(3)는 대응하는 입력 단자에 연결된다. 예를 들어, 제4 접촉기(K4)의 주 결합 전도체(3)는 제4 접촉기(K4)의 입력 단자에 연결된다.
제2 전동 조립체(100)는 제2 마이크로 스위치(101), 제2 전동 부재(109), 및 제2 종동 부재(108)를 포함하고, 여기서 제2 마이크로 스위치(101) 및 제2 전동 부재(109)는 맞물림 전동하고, 제2 전동 부재(109) 및 제2 종동 부재(108)는 맞물림 전동하고, 제2 종동 부재(108)는 주 결합 전도체(3)에 연결되고; 제3 구동 코일(112)은 통전된 후 자기력을 발생시킴으로써 제2 마이크로 스위치(101)가 이동하게 구동하도록 구성되고; 제2 전동 조립체(100)는 제2 마이크로 스위치(101)가 이동할 때, 제2 종동 부재(108)를 제2 전동 부재(109)를 통해 이동하게 구동하도록 구성되어, 주 결합 전도체(3)가 대응하는 출력 단자에 결합될 수 있게 한다.
또한, 제2 마이크로 스위치(101)는 제5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제2 전동 부재(109)는 제6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제5 축 및 제6 축은 수직으로 분포되고; 제2 마이크로 스위치(101)는 제5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제2 원호-형상 치형부 부분(102)을 포함하고, 제2 전동 부재(109)는 제6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제3 기어 부분(110)을 포함하고, 제2 원호-형상 치형부 부분(102) 및 제3 기어 부분(110)은 맞물림 전동하고; 제2 전동 부재(109)는 제6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제4 기어 부분(111)을 더 포함하고, 제2 종동 부재(108)는 제2 래크 부분을 포함하고, 제4 기어 부분(111) 및 제2 래크 부분은 맞물림 전동된다.
본 실시예의 접촉기는 도 6 및 도 45 내지 도 55를 참조하여 아래에 설명된다.
도 4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의 접촉기는 제1 연결 단자(1), 제2 연결 단자(2), 주 결합 전도체(3), 제2 전동 조립체(100), 및 제3 구동 코일(112)을 포함한다.
도 4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연결 단자(1) 및 제2 연결 단자(2)는 접촉기의 일 단부 상에서 이격된다. 도 4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정 설계 동안, 제1 연결 단자(1) 및 제2 연결 단자(2) 둘 다는 바인딩 포스트들로서 구성될 수 있고, 고전압 와이어가 접촉기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바인딩 포스트들에 연결될 수 있다.
주 결합 전도체(3)는 제1 연결 단자(1)에 연결된다. 다시 말해서, 제1 연결 단자(1)는 주 결합 전도체(3)에 고정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주 결합 전도체(3)는 제2 연결 단자(2)에 선택적으로 부착될 수 있다. 따라서, 접촉기의 주 결합 전도체(3)를 조정함으로써, 제1 연결 단자(1)와 제2 연결 단자(2) 사이의 연결 및 분리가 구현되고, 이에 의해 접촉기의 온-오프 상태의 스위칭의 편의성을 보장한다. 제1 연결 단자(1)는 입력 단자로서 설정될 수 있고, 제2 연결 단자(2)는 출력 단자로서 설정될 수 있으며, 따라서 고전압 전기가 제1 연결 단자(1)를 통해 접촉기 내로 통과되고, 제2 연결 단자(2)를 통해 접촉기 밖으로 흐를 수 있거나, 제1 연결 단자(1)는 출력 단자로서 설정될 수 있고, 제2 연결 단자(2)는 입력 단자로서 설정될 수 있으며, 따라서 고전압 전기가 제2 연결 단자(2)를 통해 접촉기 내로 통과되고, 제1 연결 단자(1)를 통해 접촉기 밖으로 흐를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도 5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전동 조립체(100)는 제2 마이크로 스위치(101), 제2 종동 부재(108), 및 제2 전동 부재(109)를 포함한다. 제2 마이크로 스위치(101), 제2 종동 부재(108), 및 제2 전동 부재(109) 상에 치형부 구조가 각각 배열된다. 제2 마이크로 스위치(101)의 치형부 구조는 제2 전동 부재(109)의 치형부 구조와 맞물리도록 구성된다. 제2 마이크로 스위치(101)가 이동할 때, 제2 마이크로 스위치(101)는 치형부 구조를 통해 이동하도록 제2 종동 부재(108)를 구동할 수 있고; 제2 종동 부재(108) 및 제2 마이크로 스위치(101)는 이격되고, 제2 전동 부재(109)의 치형부 구조는 제2 종동 부재(108)의 치형부 구조와 맞물린다. 제2 마이크로 스위치(101)가 제2 전동 부재(109)를 이동하게 구동할 때, 제2 전동 부재(109)는 치형부 구조를 통해 제2 종동 부재(108)를 이동하게 구동할 수 있고; 제2 종동 부재(108)는 주 결합 전도체(3)의 가동 단부에 고정 연결된다. 제2 종동 부재(108)가 이동할 때, 주 결합 전도체(3)의 가동 단부는 제2 종동 부재(108)와 함께 이동할 수 있다.
제2 전동 조립체(100) 내에 다단 기어 변속기를 배열함으로써, 제2 마이크로 스위치(101)로부터 주 결합 전도체(3)로 전달되는 이동은 전동 프로세스에서 방향이 변경될 수 있고, 제2 마이크로 스위치(101)의 이동은 증폭되거나 감소될 수 있으며, 따라서 제2 마이크로 스위치(101)는 더 큰 스트로크 범위를 갖고, 제2 전동 조립체(100)와 주 결합 전도체(3) 사이의 배열 관계를 더 유연하고 다양하게 만들고, 이에 의해 접촉기의 전체 레이아웃의 다양화를 구현한다는 것이 이해될 수 있다.
도 4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촉기는 제3 구동 코일(112)을 포함하고, 제3 구동 코일(112)은 기둥형 본체를 갖고, 와이어는 원주 방향으로 기둥형 본체의 외부 주변 벽 주위에 권취되고, 와이어는 축방향으로 전체적으로 연장된다. 저전압 전류가 와이어 내로 전달될 때, 제3 구동 코일(112)은 자기장을 생성할 수 있고, 제2 마이크로 스위치(101)는 자성부를 갖도록 구성되고, 제3 구동 코일(112)에 의해 생성된 자기장은 제2 마이크로 스위치(101)에 작용할 수 있으며, 따라서 제3 구동 코일(112)은 제2 마이크로 스위치(101)를 이동하게 구동할 수 있다.
제2 마이크로 스위치(101)는 이동 중에 제2 전동 부재(109)를 통해 제2 종동 부재(108)를 이동하게 구동할 수 있으며, 따라서 주 결합 전도체(3)는 제1 연결 단자(1) 및 제2 연결 단자(2) 중 다른 하나에 결합된다. 제2 마이크로 스위치(101)가 제1 방향을 향해 이동할 때, 주 결합 전도체(3)는 제2 연결 단자(2)에 결합되도록 구동될 수 있고, 제2 마이크로 스위치(101)가 제2 방향을 향해 이동하게 구동될 때, 주 결합 전도체(3)는 다른 것으로부터 분리되도록 구동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구체적으로, 저전압 전류가 제3 구동 코일(112) 내로 전달되어, 제3 구동 코일(112)을 구동하여 자기장을 생성할 수 있으며, 따라서 제2 마이크로 스위치(101)는 제1 방향을 향해 이동하도록 강제된다. 이 경우, 제2 마이크로 스위치(101)는 제2 종동 부재(108)를 통해 주 결합 전도체(3)를 이동하게 구동하여, 제1 연결 단자(1)가 제2 연결 단자(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접촉기가 고전압 회로와 함게 턴온될 수 있게 하거나; 또는 역방향 저전압 전류가 제3 구동 코일(112) 내로 전달되어, 제3 구동 코일(112)을 구동하여 역방향 자기장을 생성할 수 있으며, 따라서 제2 마이크로 스위치(101)는 제2 방향을 향해 이동하도록 강제된다. 이 경우, 제2 마이크로 스위치(101)는 주 결합 전도체(3)를 제2 종동 부재(108)를 통해 역방향으로 이동하게 구동하여, 제1 연결 단자(1)가 제2 연결 단자(2)로부터 전기적으로 분리되고, 접촉기는 고전압 회로와 함께 턴오프될 수 있다. 따라서, 고전압 회로의 온-오프 상태의 편리한 스위칭이 구현된다.
저전압 전류가 제3 구동 코일(112) 내로 통과될 때, 제2 마이크로 스위치(101)는 강제로 이동하기 시작하고, 제2 마이크로 스위치(101)는 제2 전동 부재(109)를 구동하여 치형부 구조를 통해 이동하고, 제2 전동 부재(109)는 제2 종동 부재(108)를 치형부 구조를 통해 구동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수 있다. 다단 기어 변속기를 통해서, 제2 종동 부재(108)의 이동 프로세스가 비교적 매끄럽고, 그에 따라 주 결합 전도체(3)의 이동을 매끄럽게 하고, 그에 의해서 주 결합 전도체(3)의 과도한 가속을 방지하고, 결합 프로세스에서 주 결합 전도체(3)에 가해지는 충격력을 감소시킨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의 접촉기에 따르면, 다단 기어 변속기가 제2 마이크로 스위치(101)와 주 결합 전도체(3) 사이에 배열되어, 제2 마이크로 스위치(101)의 이동을 증폭 또는 감소시켜, 제2 마이크로 스위치(101)가 더 큰 스트로크 범위를 갖게 하고, 제3 구동 코일(112)이 제2 마이크로 스위치(101)를 구동할 때, 주 결합 전도체(3)의 이동 프로세스가 완만하고 안정적이며, 이에 의해 주 결합 전도체(3)가 결합될 때 충격력을 감소시키고, 폐쇄 노이즈를 감소시키고, 접촉기의 안정성을 개선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도 4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마이크로 스위치(101)는 제5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제2 전동 부재(109)는 제6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제5 축 및 제6 축은 수직으로 분포된다. 제3 구동 코일(112)은 제2 마이크로 스위치(101)를 제5 축을 중심으로 제1 방향을 향해 회전하도록 구동하거나, 제2 마이크로 스위치(101)를 제5 축을 중심으로 제2 방향을 향해 회전하도록 구동할 수 있다. 제1 방향은 시계 방향일 수 있고, 제2 방향은 반시계 방향일 수 있거나, 제1 방향은 반시계 방향일 수 있고, 제2 방향은 시계 방향일 수 있으며, 따라서 접촉기의 특정 구조가 실제 요건에 따라 유연하게 배열될 수 있다.
전술한 배열을 통해, 제3 구동 코일(112)은 제2 마이크로 스위치(101)를 제5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구동할 수 있다. 제2 마이크로 스위치(101)가 제5 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때, 제2 전동 부재(109)는 제5 축에 수직인 제6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구동될 수 있다. 제2 마이크로 스위치(101)의 이동이 제2 종동 부재(108)에 전달될 때, 제2 종동 부재(108)의 스트로크 범위는 제2 마이크로 스위치(101)의 스트로크 범위로부터 공간적으로 엇갈릴 수 있으며, 따라서 접촉기의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고, 접촉기의 측면의 과도한 크기를 회피하고, 접촉기의 전체 레이아웃을 더 적절하게 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도 5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마이크로 스위치(101)는 제5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제2 원호-형상 치형부 부분(102)을 포함하고, 제2 원호-형상 치형부 부분(102)은 팬 형상 구조로서 구성되고, 치형부 구조는 제5 축으로부터 먼 제2 원호-형상 치형부 부분(102)의 측면 상에 배열된다. 제2 전동 부재(109)는 제6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제3 기어 부분(110)을 포함하고, 제3 기어 부분(110)은 베벨 기어 부분 또는 스퍼 기어 부분으로서 구성될 수 있고, 제3 기어 부분(110)의 치형부 구조는 제2 원호-형상 치형부 부분(102)의 치형부 구조에 대응하여, 제2 원호-형상 치형부 부분(102)이 제3 기어 부분(110)과 맞물려 전동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다시 말해서, 도 4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구동 코일(112)이 제2 원호-형상의 치형부 부분(102)을 구동하여 제5 축을 중심으로 제1 방향을 향해서 이동시킬 때, 제2 원호-형상의 치형부 부분(102)은 제3 기어 부분(110)을 구동하여 치형부 구조를 통해서 제6 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킬 수 있고, 그에 따라 주 결합 전도체(3)를 이동시킬 수 있고, 그에 따라 제1 연결 단자(1)는 제2 연결 단자(2)와 함께 턴온되고; 도 5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구동 코일(112)이 제2 원호-형상 치형부 부분(102)을 제5 축을 중심으로 제2 방향을 향해 이동하게 구동할 때, 제2 원호-형상 치형부 부분(102)은 제3 기어 부분(110)을 치형부 구조를 통해 제6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구동하여 주 결합 전도체(3)를 역방향으로 이동하게 구동할 수 있으며, 따라서 제1 연결 단자(1)는 제2 연결 단자(2)로부터 분리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도 5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2 전동 부재(109)는 제6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제4 기어 부분(111)을 더 포함한다. 제4 기어 부분(111)은 스퍼 기어 부분으로서 구성되고, 제3 기어 부분(110)의 단부 부분과 제4 기어 부분(111)의 단부 부분은 서로 직접 대면하고 서로 연결되며, 제3 기어 부분(110)의 축은 제4 기어 부분(111)의 축과 일치한다. 제3 기어 부분(110)은 제4 기어 부분(111)을 제6 축을 중심으로 회전 구동하도록 구성된다. 제2 종동 부재(108)는 제2 래크 부분을 포함한다. 제4 기어 부분(111) 및 제2 래크 부분은 치형부 구조를 통해서 맞물림 전동된다.
다시 말해서, 도 48 및 도 4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구동 코일(112)이 제2 원호-형상 치형부 부분(102)을 제5 축을 중심으로 제1 방향을 향해 이동하게 구동할 때, 제3 기어 부분(110)은 제6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제4 기어 부분(111)을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동하고, 제4 기어 부분(111)은 치형부 구조를 통해 제2 래크 부분을 이동하게 구동하여 주 결합 전도체(3)를 이동하게 구동하여, 제1 연결 단자(1)가 제2 연결 단자(2)에 연결되게 하고; 도 50 및 도 5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구동 코일(112)이 제2 원호-형상 치형부 부분(102)을 제5 축을 중심으로 제2 방향을 향해 이동하게 구동할 때, 제3 기어 부분(110)은 제6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제4 기어 부분(111)을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동하고, 제4 기어 부분(111)은 제2 래크 부분을 치형부 구조를 통해 역방향으로 이동하게 구동하여 주 결합 전도체(3)를 역방향으로 이동하게 구동하여, 제1 연결 단자(1)가 제2 연결 단자(2)로부터 분리되게 한다.
전술한 배열을 통해, 제5 축을 중심으로 한 구동 부분(103)의 회전은 고정된 방향으로의 제2 래크 부분의 활주로 변환되어, 주 결합 전도체(3)가 이동하게 구동함으로써, 제1 연결 단자(1)와 제2 연결 단자(2) 사이의 연결 및 분리를 구현하여, 활주 프로세스를 매끄럽고 안정적으로 만들고, 주 결합 전도체(3)가 제2 연결 단자(2)에 결합될 때 충격력을 감소시킨다. 이러한 방식으로, 접점의 폐쇄 노이즈가 감소되고, 접촉기의 안정성이 향상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4 기어 부분(111)의 직경은 제3 기어 부분(110)의 직경보다 크다. 즉, 제3 기어 부분(110)이 제4 기어 부분(111)을 회전 구동할 때, 제4 기어 부분(111)의 회전 스트로크는 제3 기어 부분(110)의 회전 스트로크보다 크다. 따라서, 제2 마이크로 스위치(101)의 스트로크는 제2 전동 부재(109)를 통해 증폭될 수 있고, 이는 온-오프 프로세스에서 제2 마이크로 스위치(101)의 스트로크 요건을 감소시키고, 접촉기의 전체적인 다양한 레이아웃을 구현하고, 고전압 전력의 전기적 클리어런스 요건을 충족시키는 데 도움이 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2 래크 부분은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으로 구성되고, 제2 래크 부분의 상부 단부는 주 결합 전도체(3)에 연결되도록 구성되며, 제4 기어 부분(111)과 맞물리는 치형부 구조는 제2 래크 부분의 하부 단부의 측벽 상에 배열된다. 다시 말해서, 도 4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래크 부분은 제4 기어 부분(111)의 측면 상에 장착되고, 제2 래크 부분의 하부 단부는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바-형상의 구조로서 구성된다. 제4 기어 부분(111)에 가까운 제2 래크 부분의 하부 단부 측면에는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치형부 구조가 배열된다. 제2 래크 부분은 제4 기어 부분(111)과 맞물려 전동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도 4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래크 부분의 상부 단부는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바-형상의 구조로서 구성되고, 그에 따라 제2 래크 부분은 전체적으로 T-형상의 구조로 구성된다. 제2 래크 부분의 상부 단부는 주 결합 전도체(3)를 향해 개방된 맞물림 홈을 갖고, 주 결합 전도체(3)의 단부 부분은 맞물림 홈 내로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제3 구동 코일(112)이 제2 원호-형상 치형부 부분(102)을 제5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제1 방향을 향해 이동하게 구동할 때, 제4 기어 부분(111)은 치형부 구조를 통해 제2 래크 부분을 이동하게 구동하여, 주 결합 전도체(3)를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하게 구동하여, 제1 연결 단자(1)가 제2 연결 단자(2)에 연결되게 하고; 제3 구동 코일(112)이 제2 원호-형상의 치형부 부분(102)을 제5 축을 중심으로 회전되게 구동하여 제2 방향을 향해서 이동하게 할 때, 제4 기어 부분(111)은 제2 래크 부분을 치형부 구조를 통해서 역방향으로 이동되게 구동하여, 주 결합 전도체(3)를 역방향으로 이동되게 구동하고, 그에 따라 제1 연결 단자(1)는 제2 연결 단자(2)로부터 분리된다.
특정 가공 프로세스에서, 제2 래크 부분의 상부 단부 및 하부 단부는 개별적으로 가공될 수 있고, 가공이 완료된 후에, 제2 래크 부분의 상부 단부 및 하부 단부는 함께 연결되고 고정되어, 제2 래크 부분을 가공하는 어려움을 감소시킨다.
구체적으로, 제1 연결 단자(1) 및 제2 연결 단자(2)는 동일한 높이의 위치에 위치하도록 배열될 수 있고, 제2 래크 부분으로부터 먼 주 결합 전도체(3)의 일 단부는 제1 연결 단자(1)의 하부 측면으로 연장되어, 주 결합 전도체(3)의 상부측이 제1 연결 단자(1)의 하부 측면에 부착되고 연결된다. 또한, 제2 래크 부분에 가까운 주 결합 전도체(3)의 일 단부가 맞물림 개구부 내로 연장되고, 그에 따라 제2 래크 부분은 주 결합 전도체(3)의 위치를 제한할 수 있다. 제2 래크 부분이 이동할 때, 제2 래크 부분은 주 결합 전도체(3)를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하게 구동할 수 있고, 제2 연결 단자(2)는 제2 래크 부분에 가까운 주 결합 전도체(3)의 측면 위에 배열된다. 도 4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 결합 전도체(3)가 상한 위치(즉, 수직 방향으로 최대 위치)로 이동할 때, 주 결합 전도체(3)는 제2 연결 단자(2)에 부착되고 연결된다. 도 5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래크 부분이 주 결합 전도체(3)를 하향 이동시키도록 구동할 때, 주 결합 전도체(3)가 제2 연결 단자(2)로부터 분리되어, 제1 연결 단자(1)는 제2 연결 단자(2)로부터 전기적으로 분리된다.
따라서, 주 결합 전도체(3)의 측면은 제1 연결 단자(1)의 측면 및 제2 연결 단자(2)의 측면에 부착되어 이동 접점으로서 기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동 접점의 수량이 감소되고, 이동 접점은 이동 접점의 접촉 저항을 감소시키기에 충분한 결합 면적을 가지며, 이에 의해 접촉기의 가열량을 감소시키고, 에너지 손실을 감소시키고, 이동 접점의 접착 가능성을 감소시킨다.
또한, 도 4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 결합 전도체(3) 및 제3 구동 코일(112)은 상향 방향 또는 하향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배열되고, 제3 구동 코일(112)은 수평 방향(도 47에서 좌측 방향 및 우측 방향)으로 제2 마이크로 스위치(101)와 직접 대면하여 배열되어, 접촉기의 전체 레이아웃이 균등하고, 이는 전체 열 소산에 도움이 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2 래크 부분은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성되고, 제2 래크 부분의 일 단부는 주 결합 전도체(3)에 연결되도록 구성되며, 제4 기어 부분(111)과 맞물리는 치형부 구조는 제2 래크 부분의 다른 단부의 측벽 상에 배열된다. 제1 연결 단자(1) 및 제2 연결 단자(2)는 제1 방향으로 주 결합 전도체(3)에 대향하여 개별적으로 배열된다. 제3 구동 코일(112)은 제1 방향에서 제2 마이크로 스위치(101)에 대향하여 배열된다. 제1 연결 단자(1) 및 제2 연결 단자(2)는 제2 방향으로 제3 구동 코일(112)에 대향하여 개별적으로 배열된다. 주 결합 전도체(3)는 제2 방향으로 제2 마이크로 스위치(101)에 대향하여 배열된다. 제1 방향은 제2 방향에 직교한다.
다시 말해서, 도 5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래크 부분은 제4 기어 부분(111)의 상부측 상에 장착되고, 제2 래크 부분은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바-형상의 구조로서 구성된다.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치형부 구조가 제2 래크 부분의 하부 측면 상에 배열된다. 제2 래크 부분은 제4 기어 부분(111)과 맞물려 전동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주 결합 전도체(3)는 수직 방향으로 제2 래크 부분의 일 단부에 배열되고, 제2 래크 부분의 단부 부분은 주 결합 전도체(3)의 측벽에 대해 가압된다.
또한, 제3 구동 코일(112)이 제2 마이크로 스위치(101)를 제5 축을 중심으로 제1 방향을 향해 이동하게 구동할 때, 제2 래크 부분은 주 결합 전도체(3)를 출력 단자에 가까운 방향(도 55에서 우측)을 향해 이동하도록 추진하고, 주 결합 전도체(3)가 제3 구동 코일의 축방향으로 완전히 연장될 때, 주 결합 전도체(3)는 출력 단자(2)에 연결되어, 입력 단자(1)가 출력 단자(2)에 연결되고; 제3 구동 코일(112)이 제2 마이크로 스위치(101)를 제5 축을 중심으로 제2 방향으로 이동하게 구동할 때, 제2 래크 부분은 주 결합 전도체(3)를 출력 단자(도 55에서 좌측)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향해 이동하도록 추진하여, 주 결합 전도체(3)가 출력 단자(2)로부터 분리되게 하여, 입력 단자(1)가 출력 단자(2)로부터 분리되게 한다. 따라서, 고전압 회로의 온-오프 상태의 스위칭이 구현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도 5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 결합 전도체(3)는 고정 부분(31) 및 결합 부분(33)을 포함한다. 고정 부분(31)은 제1 연결 단자(1)에 고정 연결되고, 제2 종동 부재(108)는 결합 부분(33)에 연결되어 결합 부분(33)을 구동하여 제2 연결 단자(2)에 결합되게 한다. 주 결합 전도체(3)는 연성 구리(은)와 같은 복합 재료로 제조될 수 있으며, 따라서 주 결합 전도체(3)가 더 큰 전류 운반 용량을 갖고, 이에 의해 주 결합 전도체(3)의 저항을 더 감소시킨다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주 결합 전도체(3)의 경도가 더 낮고, 이는 제2 연결 단자(2)와 주 결합 전도체(3) 사이의 결합 프로세스에서 노이즈를 감소시킨다.
제2 마이크로 스위치(101)가 제1 방향을 향해 제5 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때, 제2 래크 부분은 하향으로 이동하고, 제2 래크 부분은 결합 부분(33)에 하향력을 인가하여, 결합 부분(33)이 하향으로 이동하게 하여, 주 결합 전도체(3)가 제2 연결 단자(2)로부터 분리되고; 제2 마이크로 스위치(101)가 제5 축을 중심으로 제2 방향을 향해 회전할 때, 제2 래크 부분은 상향 이동하여, 결합 부분(33)을 상향 이동하게 구동하여, 제2 연결 단자(2)가 결합 부분(33)에 결합되게 한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따라서, 고전압 회로의 온-오프 상태의 편리한 스위칭이 구현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약화부(32)는 고정 부분(31)과 결합 부분(33) 사이에 연결된다. 즉, 제2 래크 부분이 하향 이동할 때, 제2 래크 부분은 결합 부분(33)에 하향력을 인가하여, 약화부(32)가 탄성 변형되게 하고, 고정 부분(31)이 결합 부분(33)에 대해 이동하게 하여, 주 결합 전도체(3)가 출력 단자의 제2 연결 단자(2)로부터 분리되게 하고; 제2 마이크로 스위치(101)가 제5 축을 중심으로 제2 방향을 향해 회전할 때, 제2 래크 부분은 상향으로 이동하고, 약화부(32)의 탄성 변형이 회복되어, 출력 단자의 제2 연결 단자(2)가 결합 부분(33)에 결합된다.
따라서, 약화부(32)를 배열함으로써, 고정 부분(31)과 결합 부분(33) 사이의 상대 이동이 구현되고, 결합 부분(33)의 소성 변형이 회피되어, 결합 부분(33)이 제2 연결 단자(2)의 측면에 반복적으로 부착될 수 있으며, 따라서 접촉기의 안정성 및 신뢰성을 향상시킨다.
일부 실시예에서, 약화부(32)는 원호-형상 섹션으로서 구성되고, 원호-형상 섹션의 일 단부는 고정 부분(31)에 연결되고, 원호-형상 섹션의 다른 단부는 결합 부분(33)에 연결되고, 약화부(32) 내에 약화 공동(321)이 존재한다. 즉, 도 4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약화부(32)는 하향 돌출하는 반원형 원호-형상 섹션으로서 구성될 수 있다. 약화부(32)의 좌측 단부는 고정 부분(31)에 연결되고, 약화부(32)의 우측 단부는 결합 부분(33)에 연결되어 공동으로 주 결합 전도체(3)를 구성한다.
또한, 제2 종동 부재(108)가 결합 부분(33)에 하향력을 인가할 때, 약화부(32)는 압축 및 변형되고, 고정 부분(31)은 결합 부분(33)에 대해 이동하고, 주 결합 전도체(3)는 제2 연결 단자(2)로부터 분리된다. 제2 종동 부재(108)가 상향 이동하면, 약화부(32)의 탄성 변형이 회복되고, 제2 연결 단자(2)가 결합 부분(33)에 결합된다. 약화부(32)에 원호-형상 약화 공동(321)을 제공함으로써, 약화부(32)의 전체 강성이 더 감소되어, 약화부(32)는 결합 부분(33)에 의해 전달된 힘을 받을 때 탄성 변형되기 쉽고, 이에 의해 제3 구동 코일(112)의 크기 요건을 감소시킨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2 마이크로 스위치(101)는 제5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구동 부분(103)을 포함한다. 구동 부분(103)은 제3 구동 코일(112)의 외측으로 수평으로 이격된다. 구동 부분(103)의 제1 단부(도 54의 좌측 단부)에는 상대적으로 분포된 제1 자성부(104) 및 제2 자성부(105)가 배열된다. 상대적으로 분포된 제3 자성부(106) 및 제4 자성부(107)가 구동 부분(103)의 제2 단부(도 54의 우측 단부) 상에 배열되어, 구동 부분(103)은 I-형상 구조로서 구성된다.
도 4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구동 코일(112)은 코일 본체, 제1 자기 전도성 시트(113), 및 제2 자기 전도성 시트(114)를 포함한다. 제1 자기 전도성 시트(113)의 일 단부는 코일 본체의 일 단부에 연결되고, 제1 자기 전도성 시트(113)의 다른 단부는 제1 자성부(104)와 제2 자성부(105) 사이에서 연장된다. 제2 자기 전도성 시트(114)의 일 단부는 코일 본체의 다른 단부에 연결되고, 제2 자기 전도성 시트(114)의 다른 단부는 제3 자성부(106)와 제4 자성부(107) 사이에서 연장된다.
다시 말해서, 코일 본체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배열되고, 제1 자기 전도성 시트(113) 및 제2 자기 전도성 시트(114)는 코일 본체의 2개의 단부의 위치에 부착되고 연결된다. 제1 자기 전도성 시트(113)의 본체 부분과 제2 자기 전도성 시트(114)의 본체 부분은 서로 직접 대면하고 제3 구동 코일(112)의 단부 부분에 부착된다. 구동 부분(103)에 가까운 본체 부분 측면에는 절첩판이 연결되고, 절첩판은 제3 구동 코일(112)의 축을 따라 연장되어 배열된다. 제1 자기 전도성 시트(113)의 절첩판은 제1 자성부(104)와 제2 자성부(105) 사이에서 연장되고, 제1 자기 전도성 시트(113)의 절첩판은 제1 자성부(104)와 제2 자성부(105) 사이에서 연장된다.
따라서, 제1 자기 전도성 시트(113) 및 제2 자기 전도성 시트(114)를 배열함으로써, 제3 구동 코일(112)은 제2 마이크로 스위치(101)의 2개의 단부를 동시에 구동하여, 제5 축을 중심으로 안정적으로 회전하도록 제2 마이크로 스위치(101)를 구동할 수 있고, 그에 의해 고전압 회로의 온-오프 상태의 안정적인 스위칭을 구현하고, 제3 구동 코일(112)에 대한 크기 요건을 감소시키고, 비용을 감소시키고, 접촉기의 전체 레이아웃을 용이하게 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1 자성부(104), 제2 자성부(105), 제3 자성부(106), 및 제4 자성부(107)는 모두 영구 자석들이다. 제1 자성부(104) 및 제2 자성부(105)는 반대 극성들을 갖고, 제3 자성부(106) 및 제4 자성부(107)는 반대 극성들을 갖고, 제1 자기 전도성 시트(113) 및 제2 자기 전도성 시트(114)는 반대 극성들을 갖는다. 동일한 측면에 위치된 자성부들은 동일한 극성을 갖는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 자성부(104)와 제3 자성부(106)는 동일한 자성을 갖는다. 또한, 저전압 전류가 제3 구동 코일(112) 내로 통과될 때, 제1 자기 전도성 시트(113) 및 제2 자기 전도성 시트(114)는 상이한 극성들을 생성하여, 구동 부분(103)을 제5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구동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자성부(104)의 내측과 제3 자성부(106)의 내측을 N 극으로 설정할 수 있고, 제2 자성부(105)의 내측과 제4 자성부(107)의 내측을 S 극으로 설정할 수 있다. 순방향 저전압 전류가 제3 구동 코일(112) 내로 통과될 때, 제1 자기 전도성 시트(113)는 N 극이고 제2 자기 전도성 시트(114)는 S 극이다. 이 경우, 도 4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자성부(104) 및 제2 자성부(105)는 함께 작용하여, 제1 자기 전도성 시트(113)가 제2 자성부(105)의 내부 측벽에 부착될 수 있게 한다. 또한, 제3 자성부(106) 및 제4 자성부(107)는 함께 작용하여, 제2 자기 전도성 시트(114)가 제3 자성부(106)의 내부 측벽에 부착될 수 있게 하여, 제2 래크 부분이 상향 이동하게 구동함으로써, 제1 연결 단자(1)와 제2 연결 단자(2) 사이의 연결을 구현하고; 역방향 저전압 전류가 제3 구동 코일(112) 내로 통과될 때, 제1 자기 전도성 시트(113)는 S 극이고 제2 자기 전도성 시트(114)는 N 극이다. 이 경우, 도 5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자성부(104) 및 제2 자성부(105)는 함께 작용하여, 제1 자기 전도성 시트(113)가 제1 자성부(104)의 내부 측벽에 부착될 수 있게 한다. 또한, 제3 자성부(106) 및 제4 자성부(107)는 함께 작용하여, 제2 자기 전도성 시트(114)가 제4 자성부(107)의 내부 측벽에 부착될 수 있게 하여, 제2 종동 부재(108)가 하향으로 이동하게 구동하여, 제1 연결 단자(1)가 제2 연결 단자(2)로부터 분리되게 한다.
전술한 배열을 통해, 제3 구동 코일(112)이 통전될 때, 구동 부분(103)의 제1 단부 및 제2 단부는 반대 방향으로 힘을 받을 수 있으며, 따라서 구동 부분(103)은 제5 축을 중심으로 안정적으로 회전할 수 있고, 이에 의해 주 결합 전도체(3)를 이동하게 구동하고, 고전압 회로의 온-오프 상태의 안정적인 스위칭을 구현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도 4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접촉기는 하우징(206)을 더 포함한다. 제1 연결 단자(1) 및 제2 연결 단자(2)는 하우징(206) 상에 장착된다. 주 결합 전도체(3), 제2 전동 조립체(100), 첫 번째 제3 구동 코일(112), 및 두 번째 제3 구동 코일(112)이 모두 하우징(206) 내에 장착되고, 제2 종동 부재(108)가 하우징(206)의 내부 주변 벽에 활주-끼워맞춤된다.
즉, 도 4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206)은 전체적으로 직사각형 구조로 구성되고, 외향 돌출하는 레그(76)가 하우징(206)의 대각선 위치에 배열된다. 두께 방향으로 관통 연장되는 장착 구멍(72)이 레그(76) 상에 제공되고, 커넥터가 장착 구멍(72)을 통과하여 접촉기를 고정할 수 있다. 하우징(206)의 외부 구조는 종래의 접촉기의 것과 일치하며, 이는 구조적 설계 및 재료 전환을 용이하게 한다. 하우징(206)의 측벽에는 개구가 제공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저전압 신호 라인은 개구를 통해 하우징(206)을 통과하여 외부 전원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조작자는 외부 스위치를 통해 접촉기의 온 또는 오프를 제어할 수 있다. 저전압 신호 라인은 또한 커넥터로서 설계될 수 있다.
또한, 도 4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206)은 외향 개방되는 공동 구조를 갖고, 커버판 구조(73)가 개방 단부 상에 배열되고, 제1 연결 단자(1) 및 제2 연결 단자(2)에 대응하는 관통 구멍들이 커버판 구조(73) 상에 제공된다. 제1 연결 단자(1) 및 제2 연결 단자(2)의 상부 부분은 관통 구멍 내로 연장되어 커버판 구조(73) 상에 장착될 수 있고, 하우징(206)과 비교적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으며, 따라서 주 결합 전도체(3)가 제2 연결 단자(2)에 대해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제1 연결 단자(1) 및 제2 연결 단자(2), 주 결합 전도체(3), 제2 전동 조립체(100), 및 제3 구동 코일(112)의 나머지 부분은 모두 커버판 구조(73)를 통해 하우징(206) 내에 밀봉되고, 이에 의해 외부 세계로부터 분리되어, 외부 불순물이 하우징(206)에 진입하는 것을 방지하고, 동시에 절연 보호의 역할을 한다. 또한, 하우징(206)의 내부 주변 벽은 제2 종동 부재(108)의 위치를 제한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제2 종동 부재(108)는 내부 주변 벽에 대해서 동일한 방향으로 활주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주 결합 전도체(3)의 이동 경로의 안정성을 보장할 수 있고, 접촉기의 작동 프로세스의 신뢰성을 개선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활주 안내 홈(74)이 하우징(206)의 내부 주변 벽 상에 제공되고, 제2 종동 부재(108)의 제2 래크 부분이 활주 안내 홈(74)에 활주-끼워맞춤된다. 도 5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활주 안내 홈(74)은 높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배열되고, 활주 안내 홈(74)의 개구 크기는 제2 래크 부분의 하부 단부의 폭 크기와 동일하다. 제2 래크 부분이 활주 안내 홈(74) 상에 장착될 때, 활주 안내 홈(74)은 제2 래크 부분의 위치를 제한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제2 래크 부분은 수직 방향으로 왕복할 수 있고, 그에 의해서 주 결합 전도체(3)와 제1 연결 단자(1) 사이의 신뢰 가능한 접촉 및 분리 프로세스를 보장하고, 접촉기의 안정성을 개선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접촉기는 온도 센서 및 제어기를 더 포함한다. 온도 센서는 제어기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온도 센서는 제1 연결 단자(1), 제2 연결 단자(2), 및/또는 주 결합 전도체(3)의 회로 신호를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제어기는 회로 신호에 따라 제2 연결 단자(2)에 결합되거나 그로부터 분리되도록 주 결합 전도체(3)를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회로 신호는 온도 변화, 전압 변화, 및 전류 변화를 포함한다. 다시 말해서, 온도 센서가 주 결합 전도체(3)를 모니터링하도록 배열될 수 있거나, 온도 센서가 제1 연결 단자(1) 및 제2 연결 단자(2)를 검출하도록 배열될 수 있거나, 온도 센서가 제1 연결 단자(1), 제2 연결 단자(2), 및 주 결합 전도체(3)를 동시에 검출하도록 배열될 수 있고, 그에 의해서 고전압 회로의 온도 변화, 전압 변화, 및 전류 변화를 획득할 수 있다.
제1 연결 단자(1)가 주 결합 전도체(3)를 통해 제2 연결 단자(2)에 연결됨에 따라, 고전압 회로의 전류량 및 발열량이 변화하고, 온도 변화가 대응적으로 발생한다는 것이 이해될 수 있다. 온도 센서는 고전압 회로의 작동 프로세스에서 변화 정보(온도 변화, 전압 변화, 및 전류 변화를 포함함)를 획득하고, 변화 정보를 회로 신호의 형태로 제어기에 송신할 수 있다. 제어기는 회로 신호에 따라 고전압 회로의 차단 임계값에 도달했는지를 결정하고, 고전압 회로가 턴오프될 필요가 있을 때, 제2 연결 단자(2)가 주 결합 전도체(3)로부터 전기적으로 분리될 수 있게 하도록 구동 조립체를 제어한다. 퓨즈는 고전압 손실 및 비용을 감소시키기 위해 배열될 필요가 없다.
또한, 접촉기가 턴오프되도록 제어된 후에, 본 개시내용의 접촉기를 사용하는 전기 장비가 계속 작동할 필요가 있으면, 제어기는 구동 조립체를 통해 제2 연결 단자(2)와 주 결합 전도체(3) 사이의 결합을 구현하여, 고전압이 전기 장비에 공급될 수 있는 것을 보장하고, 이에 의해 안전성을 개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개시내용의 접촉기는 전기 차량에서 사용되고, 회로 정보가 접촉기가 턴오프될 필요가 있지만 차량이 위험 조건에 있고 작동 조건을 유지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표시할 때, 상부 고전압 전력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차량이 안전한 위치로 주행하거나 위험 조건이 제거된 후에, 제2 연결 단자(2)는 주 결합 전도체(3)로부터 전기적으로 분리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충전 및 배전 시스템(1000)은 전술한 실시예의 접촉기를 포함한다. 접촉기는 주 양극 접촉기(100a), 주 음극 접촉기(100b), 및 프리차지 접촉기(100c)로서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충전 및 배전 시스템(1000)은 배터리 단자 인터페이스, 전자 제어 단자 인터페이스, 및 직류 충전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직류 충전 인터페이스 및 전자 제어 단자 인터페이스는 접촉기의 하우징의 동일한 단부에 배열되고, 배터리 단자 인터페이스는 하우징의 다른 단부에 배열된다. 주 양극 접촉기(100a)는 직류 충전 인터페이스의 양극 측면 및 배터리 단자 인터페이스의 양극 측면 모두에 배열되고, 주 음극 접촉기(100b)는 직류 충전 인터페이스의 음극 측면 및 배터리 단자 인터페이스의 음극 측면 모두에 배열된다. 프리차지 회로가 배터리 단자 인터페이스의 양극 측면 상에 추가로 배열되고, 프리차지 접촉기(100c)가 프리차지 저항기와 직렬로 그리고 주 양극 접촉기(100a)와 병렬로 프리차지 회로 상에 배열된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서의 충전 및 배전 시스템(1000)에 따르면, 접촉기를 사용함으로써, 제2 마이크로 스위치(101)와 주 결합 전도체(3) 사이에 다단 기어 변속기가 배열되어, 제2 마이크로 스위치(101)의 이동을 증폭 또는 감소시켜, 제2 마이크로 스위치(101)가 더 큰 스트로크 범위를 갖게 하고, 제3 구동 코일(112)이 제2 마이크로 스위치(101)를 구동할 때, 주 결합 전도체(3)의 이동 프로세스가 완만하고 안정적이며, 그에 의해 주 결합 전도체(3)가 결합될 때 충격력을 감소시키고, 폐쇄 노이즈를 감소시키고, 접촉기의 안정성을 향상시키며, 이는 충전 및 배전 시스템(1000)의 작동 안정성을 연장시키고, 사용 안전성을 향상시키고, 서비스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도 6 및 도 56 내지 도 6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서의 배전기(2000)에 따르면, 제4 접촉기(K4) 및/또는 제5 접촉기(K5)는 구동 장치(40) 및 결합 버스바(30)를 포함하고, 결합 버스바(30)는 제1 전도 섹션(301) 및 제2 전도 섹션(302)을 포함하고, 제1 전도 섹션(301) 및 제2 전도 섹션(302)은 서로 연결되고 서로에 대해서 회전될 수 있고, 제1 전도 섹션(301)은 대응하는 입력 단자 상에 고정되고, 제2 전도 섹션(301)은 대응하는 출력 단자에 선택적으로 전기적으로 연결되거나 그로부터 분리되고; 구동 장치(40)는 출력 단자를 향해 또는 그로부터 멀어지게 이동하도록 제2 전도 섹션(302)을 구동하도록 구성되고; 여기서, 입력 단자 및 출력 단자는 제3 방향으로 결합 버스바(30)에 대향하여 개별적으로 배열되고, 결합 버스바(30), 입력 단자, 및 출력 단자 중 적어도 하나는 제4 방향으로 구동 장치(40)에 대향하여 배열되고, 제3 방향은 제4 방향에 직교한다. 이러한 배열을 통해, 입력 단자는 출력 단자에 선택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구동 장치(40)는 제3 마이크로 스위치(402) 및 제4 구동 코일(401)을 포함하고, 제3 마이크로 스위치(402)는 제3 방향으로 제4 구동 코일(401)에 대향하여 배열되고, 제3 마이크로 스위치(402)는 제4 구동 코일(401)의 자기력의 작용 하에서 고정축을 중심으로 스윙하기에 적합하고, 제3 마이크로 스위치(402)는 출력 단자를 향해 또는 그로부터 멀어지게 이동하도록 제2 전도 섹션(302)을 구동하도록 구성되고, 제4 구동 코일(401)은 제4 방향으로 입력 단자 및 출력 단자에 대향하여 배열되고, 제3 마이크로 스위치(402)는 제4 방향으로 결합 버스바(30)에 대향하여 배열된다.
또한, 제3 마이크로 스위치(402)는 구동 플랫폼(403) 및 연결 프레임(404)을 포함하고, 연결 프레임(404)의 일 단부는 구동 플랫폼(403)에 연결되고, 연결 프레임(404)의 다른 단부는 제2 전도 섹션(302)에 연결되고, 구동 플랫폼(403)은 제4 구동 코일(401)의 자기력의 작용 하에서 스윙하기에 적합하고, 구동 플랫폼(403)은 연결 프레임(404)을 스윙하도록 구동한 다음, 제2 전도 섹션(302)을 출력 단자를 향해 또는 그로부터 멀어지게 이동하게 구동하도록 구성된다.
실시예의 접촉기는 도 6 및 도 56 내지 도 67을 참조하여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된다.
도 57 내지 도 60 및 도 6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의 접촉기는 제1 연결 단자(1), 제2 연결 단자(2), 결합 버스바(30), 및 구동 장치(40)를 포함한다.
결합 버스바(30)는 제1 전도 섹션(301) 및 제2 전도 섹션(302)을 포함한다. 제1 전도 섹션(301) 및 제2 전도 섹션(302)은 서로 연결되고 서로에 대해 회전 가능하고, 제1 전도 섹션(301)은 제1 연결 단자(1) 상에 고정되고, 제2 전도 섹션(302)은 제2 연결 단자(2)에 선택적으로 전기적으로 연결되거나 그로부터 분리되고; 구동 장치(40)는 제2 전도 섹션(302)을 제2 연결 단자(2)를 향해 또는 그로부터 멀어지게 이동하게 구동하도록 구성되고, 제1 연결 단자(1) 및 제2 연결 단자(2)는 제3 방향으로 결합 버스바(30)에 대향하여 개별적으로 배열되고, 결합 버스바(30), 제1 연결 단자(20), 및 제1 연결 단자(1) 중 적어도 하나는 제4 방향으로 구동 장치(40)에 대향하여 배열된다. 제3 방향은 제4 방향에 직교한다.
구체적으로, 제1 연결 단자(1)는 결합 버스바(30)를 통해 제2 연결 단자(2)에 선택적으로 전기적으로 연결되거나 분리된다. 구동 장치(40)는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도록 결합 버스바(30)를 구동하여, 제1 연결 단자(1)와 제2 연결 단자(2) 사이의 연결 및 분리를 구현하도록 구성된다. 즉, 제1 위치는 제1 연결 단자(1)가 제2 연결 단자(2)에 연결되는 위치에 대응하고, 제2 위치는 제1 연결 단자(1)가 제2 연결 단자(2)로부터 분리되는 위치에 대응한다.
제1 전도 섹션(301)과 제2 전도 섹션(302) 사이의 상대 회전은 둘이 상대 회전을 구현하기 위해 전도성 회전 연결 구조를 통해 연결될 수 있고, 또한 가요성 구조 부재를 통해 연결되고(다시 말해서, 결합 버스바(30)의 적어도 일부가 가요성 구조로서 구성됨) 가요성 구조의 굽힘을 통해 상대 회전을 구현할 수 있으며, 추가로 결합 버스바(30)가 가요성 부재로서 구성되고 굽힘을 통해 상대 회전을 구현할 수 있게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전술한 구조를 사용함으로써, 제2 전도 섹션(302)의 회전 과정에서, 결합 버스바(30)의 굽힘 마모가 더 작고, 이는 결합 버스바(30)의 서비스 수명을 연장시켜, 접촉기의 서비스 수명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도 57 및 도 5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 버스바(30)는 제3 방향으로 제1 연결 단자(1) 및 제2 연결 단자(2)에 대향하여 배열되고, 결합 버스바(30)는 제4 방향으로 구동 장치(40)에 대향하여 배열된다. 예를 들어, 제3 방향은 수평 평면 상의 길이 방향 또는 폭 방향에 대응하고, 제4 방향은 높이 방향에 대응한다. 이어서, 제1 연결 단자(1), 제2 연결 단자(2), 및 결합 버스바(30)가 동일한 높이에 배열된다. 구동 장치(40)는 결합 버스바(30)의 위 또는 아래에 위치되어, 높이 방향으로 접촉기의 크기를 감소시킨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서의 접촉기에 따르면, 결합 버스바(30), 제1 연결 단자(1), 및 제2 연결 단자(2)는 제3 방향으로 서로 대향하여 배열된다. 제4 방향으로 결합 버스바(30)에 대향하여 구동 장치(40)를 배열함으로써, 접촉기에 의해 점유되는 공간이 개선될 수 있고, 접촉기의 전체 길이가 단축될 수 있으며, 이는 접촉기의 전체 구조적 강도를 개선할 수 있고, 차량(10000)에서 진동이 항상 발생하는 사용 환경에서 접촉기가 중간 영역으로부터 쉽게 파손될 확률을 감소시키고, 접촉기의 서비스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배열을 통해, 접촉기의 계층화된 설정이 구현될 수 있고, 고전압 및 저전압 격리(상부층은 고전압 전도 부분이고 하부층은 저전압 제어부임)가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아크 소거 방식은 더 이상 불활성 가스와 자기 블로잉 아크 소거의 조합의 방식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절연 액체의 전체적인 침투의 방식을 통해서, 아크 소거 구조가 구현될 수 있거나 설정되지 않을 수 있다. 아크 소거 방식의 다양성에 기초하여, 구동 장치(40)를 공동으로부터 절연시킬 필요가 없으며, 이는 저전압 고장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불활성 가스를 주입할 필요가 없고, 세라믹 및 금속 브레이징 프로세스들을 사용하여 접촉기에 대한 가공을 수행할 필요가 없으며, 이는 또한 접촉기의 가공 기술을 단순화하고 재료 가공을 감소시킬 수 있다. 생산 효율이 개선될 때, 접촉기의 가공 비용이 또한 감소될 수 있다.
제1 연결 단자(1)는 제1 전도 섹션(301)에 고정되고, 제2 연결 단자(2)는 제2 전도 섹션(302)에 선택적으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이는 또한 이동 접점의 수량을 감소시키고, 이동 접점에 의해 야기되는 고전압 전력 소비 문제의 수량을 감소시키고, 아크의 수량을 감소시키고, 점착 지점의 수량을 감소시킬 수 있고, 회로 제어 동안 접촉기에 의해 야기되는 작동 마모를 추가로 감소시킬 수 있다. 이는 위험점들 및 전력 손실들의 수량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요약된다.
접촉기의 작동 프로세스에서, 제2 전도 섹션(302)은 제2 연결 단자(2)를 타격하고 작동 노이즈를 발생시킨다. 접촉기의 작동 노이즈를 감소시키기 위해, 본 개시내용의 결합 버스바(30)는 가요성 부재로서 구성될 수 있고, 충격 노이즈를 감소시키고 접촉기의 사용 경험을 개선하기 위해 가요성 금속 재료(예를 들어, 연성 구리 복합 재료 및 연성 은 복합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가요성 금속 재료의 사용은 전류를 증가시키고, 제2 연결 단자(2)와 결합 버스바(30) 사이의 접촉 저항을 감소시키고, 둘 사이의 접착 확률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61 및 도 6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개시내용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르면, 구동 장치(40)는 제3 마이크로 스위치(402) 및 제4 구동 코일(401)을 포함하고, 제3 마이크로 스위치(402)는 제3 방향으로 제4 구동 코일(401)에 대향하여 배열되고, 제3 마이크로 스위치(402)는 제4 구동 코일(401)의 자기력의 작용 하에서 고정축을 중심으로 스윙하기에 적합하고, 제3 마이크로 스위치는 자기력을 사용하여 제2 전도 섹션(302)을 제2 연결 단자(2)를 향해 또는 그로부터 멀어지게 이동하게 구동하도록 구성되고, 제4 구동 코일(401)은 제4 방향으로 제1 연결 단자(1) 및 제2 연결 단자(2)에 대향하여 배열되고, 제3 마이크로 스위치(402)는 제4 방향으로 결합 버스바(30)에 대향하여 배열된다.
구체적으로, 제3 마이크로 스위치(402)는 제3 방향으로 제4 구동 코일(401)에 대향하여 배열된다. 제4 구동 코일(401)은 제3 마이크로 스위치(402)를 고정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구동하기 위해 자기력을 생성한다. 제3 마이크로 스위치(402)는 결합 버스바(30)에 연결되고, 결합 버스바(30)를 이동하게 구동하기 위해 상대적으로 제4 방향으로 배열된다. 제1 연결 단자(1) 및 제2 연결 단자(2) 모두는 제4 구동 코일(401)의 위 또는 아래에 위치되어, 이에 의해 저전압 제어부와 고전압 전도 부분 사이의 고전압 및 저전압 격리를 용이하게 한다.
도 61 내지 도 6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마이크로 스위치(402)는 구동 플랫폼(403) 및 연결 프레임(404)을 포함하고, 연결 프레임(404)의 일 단부는 구동 플랫폼(403)에 연결되고, 연결 프레임(404)의 다른 단부는 제2 전도 섹션(302)에 연결되고, 구동 플랫폼(422)은 제4 구동 코일(401)의 자기력의 작용 하에서 스윙하기에 적합하고, 구동 플랫폼(403)은 연결 프레임(404)을 스윙하도록 구동한 다음, 제2 전도 섹션(42)을 제2 연결 단자(2)를 향해 또는 그로부터 멀어지게 이동하게 구동하도록 구성된다.
즉, 고정축을 중심으로 한 제3 마이크로 스위치(402)의 회전은 구동 플랫폼(403)과 제4 구동 코일(401) 사이의 협력을 통해 구현된다. 연결 프레임(404)이 구동 플랫폼(403) 위에 배열된다. 연결 프레임(404) 및 구동 플랫폼(403)은 일체로 형성되거나 고정 연결된다. 구동 플랫폼(403)은 연결 프레임(404)과 동기식으로 회전할 수 있다. 연결 프레임(404)은 제2 전도 섹션(302)에 연결되어, 제2 전도 섹션(302)을 제1 전도 섹션(301)에 대해 스윙하도록 구동하여, 결합 버스바(30)의 이동의 평활도를 개선한다.
바람직하게는, 제1 전도 섹션(301)과 제2 전도 섹션(302) 사이의 연결 영역은 제4 방향으로 구동 플랫폼(403)에 대향하여 배열되어, 구동 플랫폼(403)과 제1 전도 섹션(32)의 스윙의 동기화가 더 높고, 제어 정확도가 개선될 수 있고, 접촉기들의 배열이 더 소형이어서, 접촉기들의 통합을 개선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1 전도 섹션(301)과 제2 전도 섹션(302) 사이의 연결 영역은 제4 방향으로의 제3 마이크로 스위치(402)의 회전 중심에 대향하여 배열된다. 다시 말해서, 제2 전도 섹션(302)의 스윙 중심은 구동 플랫폼(403)의 회전 중심(즉, 제3 마이크로 스위치(402)의 회전 중심)과 동축이며, 이는 이 둘의 이동 동기화, 제어 정확도, 및 구조적 통합을 추가로 개선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연결 프레임(404)의 다른 단부는 제1 전도 섹션(21)으로부터 떨어진 제2 전도 섹션(22)의 일 단부에 연결되거나, 연결 프레임(404)의 다른 단부는 제1 전도 섹션(21)에 가까운 제2 전도 섹션(22)의 다른 단부에 연결된다.
다시 말해서, 일부 실시예들에서, 연결 프레임(404)은 제1 전도 섹션(21)으로부터 멀리 있는 제2 전도 섹션(22)의 일 단부에 연결되어, 제2 전도 섹션(22)이 제2 연결 단자(2)를 향해 또는 그로부터 멀리 이동하게 구동한다. 일부 다른 실시예들에서, 연결 프레임(404)은 제1 전도 섹션(21)에 가까운 제2 전도 섹션(22)의 일 단부에 연결되어, 제2 전도 섹션(22)을 제2 연결 단자(2)를 향해 또는 그로부터 멀어지게 이동하게 구동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연결 프레임(404)의 다른 단부는 클램핑 부분(406)으로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도 61 및 도 62에 도시된 제1 실시예에서, 클램핑 부분(406)은 제1 전도 섹션(301)으로부터 먼 제2 전도 섹션(302)의 일 단부를 클램핑하여, 제3 마이크로 스위치(402)의 스트로크를 효과적으로 증폭하거나; 또는 도 63 및 도 64에 도시된 제2 실시예에서, 클램핑 부분(406)은 제1 전도 섹션(301)에 가까운 제2 전도 섹션(302)의 다른 단부를 클램핑한다. 제2 실시예에서, 제1 실시예와 비교하여, 연결 프레임(404)의 2개의 단부의 길이는 더 짧게 설정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연결 프레임(404)은 크기가 더 작고, 이는 접촉기의 경량 및 소형 설정에 유리하다.
도 61 및 도 6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구 자석들(405)은 구동 플랫폼(403)의 4개의 코너 영역 상에 배열된다. 제4 구동 코일(401)의 2개의 단부에는 각각 자기 전도성 시트가 배열된다. 제4 구동 코일(401)의 일 단부에서의 자기 전도성 시트는 구동 플랫폼(403)의 일 단부에서 2개의 영구 자석을 끌어당기기에 적합하다. 제4 구동 코일(401)의 다른 단부에 있는 자기 전도성 시트는 구동 플랫폼(403)의 다른 단부에 있는 2개의 영구 자석을 끌어당기기에 적합하다. 구동 플랫폼(403)의 동일한 단부에 위치된 2개의 영구 자석(405)은 반대 극성들을 갖는다.
제4 구동 코일(401)이 통전된 후에, 2개의 단부에서의 자기 전도성 시트들의 극성들은 서로 상이하고, 동일한 측면 상의 제4 구동 코일(401)의 일 단부에 위치되는 2개의 영구 자석(405)의 극성들은 서로 상이하여, 구동 플랫폼(403)의 일 단부는 제4 구동 코일(401)을 향해 이동할 수 있고, 다른 단부는 제4 구동 코일(401)로부터 멀리 이동할 수 있다는 점이 이해될 수 있다.
물론, 본 개시내용의 구조는 이에 제한되지 않고, 2개의 영구 자석(405)이 또한 구동 플랫폼(403)의 일 단부에만 배열될 수 있거나, 또는 하나의 영구 자석(405)이 2개의 단부에 각각 배열되어, 영구 자석(405)이 코너 영역에 대응하여 위치된다. 즉, 제3 마이크로 스위치(402)는 극성 흡인력 또는 극성 반발력의 작용 하에서 회전하도록 구동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영구 자석(405)을 배열함으로써, 영구 자석(405)의 자기 인력을 통해 접촉기의 작동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즉, 접촉기는 제1 위치 또는 제2 위치에 머무를 수 있다. 저전압 제어부의 제4 구동 코일(401)은 연속적으로 통전될 필요가 없어, 저전압 손실을 감소시키고, 접촉기의 에너지 소비율을 향상시킨다.
도 58에 도시된 특정 실시예에서, 영구 자석(405)의 자유 단부와 제3 마이크로 스위치(402)의 회전 중심 사이의 거리는 제2 연결 단자(2)와 제2 전도 섹션(302) 사이의 접점과 제3 마이크로 스위치(402)의 회전 중심 사이의 거리보다 작다.
즉, 영구 자석(405)의 일 단부와 제3 마이크로 스위치(402)의 회전 중심 사이의 거리는 L1이고; 제2 연결 단자(2)와 제2 전도 섹션(302) 사이의 접점과 제3 마이크로 스위치(402)의 회전 중심 사이의 거리는 L2이고, 여기서 L1<L2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2 전도 섹션(22)의 이동 스트로크는 제3 마이크로 스위치(33)의 이동 스트로크보다 크고, 제3 마이크로 스위치(402)의 스트로크는 증폭되어, 접촉기가 연결되는 고전압 회로의 전기적 클리어런스 요건을 충족시킬 수 있다.
도 6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정 실시예에서, 구동 장치(40)는 회전축을 더 포함하고, 구동 플랫폼(403)은 회전축에 연결되고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기에 적합하고; 영구 자석(405)은 제1 자극, 제2 자극, 제3 자극, 및 제4 자극을 포함한다. 제1 자극 및 제2 자극은 반대 극성들을 갖고 구동 플랫폼(403)의 일 단부에서 이격된다. 제3 자극 및 제4 자극은 반대 극성들을 갖고 구동 플랫폼(403)의 다른 단부에서 이격된다. 제1 자극 및 제3 자극은 동일한 극성을 갖고 제4 구동 코일(401)에 가깝게 배열되고, 제2 자극 및 제4 자극은 동일한 극성을 갖고 제4 구동 코일(401)로부터 멀리 배열되고; 자기 전도성 시트는 제1 자기 전도성 시트 및 제2 자기 전도성 시트를 포함한다. 제1 자기 전도성 시트의 일 단부는 제4 구동 코일(401)의 일 단부에 연결되고, 제1 자기 전도성 시트의 다른 단부는 제1 자극과 제2 자극 사이에 배열된다. 제2 자기 전도성 시트의 일 단부는 제4 구동 코일(401)의 다른 단부에 연결되고, 제2 자기 전도성 시트의 다른 단부는 제3 자극과 제4 자극 사이에 배열된다.
예를 들어, 제1 자극은 N 극이고, 제2 자극은 S 극이고, 제3 자극은 N 극이고, 제4 자극은 S 극이다. 제1 자극 및 제2 자극은 구동 플랫폼(403)의 동일한 단부에 배열되고, 제3 자극 및 제4 자극은 구동 플랫폼(403)의 다른 단부에 배열된다. 제4 구동 코일(401)이 제1 전류 방향으로 통전될 때, 제1 자극 및 제1 자기 전도성 시트는 자기적으로 끌어당겨지고, 제3 자극 및 제2 자기 전도성 시트는 자기적으로 끌어당겨진다. 제4 구동 코일이 제2 전류 방향으로 통전될 때, 제2 자극 및 제1 자기 전도성 시트는 자기적으로 끌어당겨지고, 제4 자극 및 제2 자기 전도성 시트는 자기적으로 끌어당겨진다. 제1 전류 방향의 전류 방향은 제2 전류 방향의 전류 방향과 반대이다.
또한, 구동 플랫폼(403)은 절연 부재로서 구성되거나, 구동 플랫폼(403)은 절연층으로 코팅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2 전도 섹션(302)은 연결 프레임(404) 상에 배열되고, 대응하여, 구동 플랫폼(403)은 절연 부재이거나 절연층으로 코팅되며, 이는 고전압 전도 부분과 저전압 제어부 사이의 고전압 및 저전압 격리 효과를 개선하여, 저전압 고장으로 이어지는 고전압 파괴를 회피하고, 접촉기의 작동 안정성을 개선할 수 있다.
도 58 및 도 6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개시내용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르면, 결합 버스바(30)는 가요성 연결 부분(303)을 더 포함한다. 가요성 연결 부분(303)은 제1 전도 섹션(301) 및 제2 전도 섹션(302)에 연결되고, 제1 전도 섹션(301)과 제2 전도 섹션(302) 사이에 위치된다. 제2 전도 섹션(302)은 제2 연결 단자(2)를 향해 또는 그로부터 멀어지게 이동하도록 가요성 연결 부분(303)에 대해 스윙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요성 연결 부분(303)의 2개의 단부는 제1 전도 섹션(301) 및 제2 전도 섹션(302)에 각각 연결된다. 가요성 연결 부분(303)은 구부러질 수 있어서, 제2 전도 섹션(302)은 제2 연결 단자(2)를 향해 또는 그로부터 멀어지게 이동할 수 있고, 그에 의해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접촉기를 스위칭하는 편의성을 개선한다. 또한, 가요성 연결 부분(303)을 배열하는 것에 의해서, 결합 버스바(30)의 굽힘 마모가 감소될 수 있고, 그에 의해서 결합 버스바(30)의 서비스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고, 접촉기의 서비스 수명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원호-형상 홈(331)이 가요성 연결 부분(303) 내에 제공되고, 원호-형상 홈(331)은 결합 버스바(30)의 높이 방향으로 가요성 연결 부분(303)을 통해서 연장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간극을 제공함으로써, 가요성 연결 부분(303)의 굽힘 프로세스에서, 특정 굽힘 변형이 원호-형상의 홈(331)의 변형을 통해서 흡수될 수 있고, 그에 따라 가요성 연결 부분(303)의 굽힘 마모를 더 감소시킬 수 있고, 결합 버스바(30)의 서비스 수명을 효과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다.
도 6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부 실시예들에서, 접촉기는 센서(70)- 센서(70)는 제1 연결 단자(1) 또는 제2 연결 단자(2) 또는 결합 버스바(30)에 인접하여 배열되고 제1 연결 단자(1) 또는 제2 연결 단자(2) 또는 결합 버스바(30)의 회로 신호를 실시간으로 검출하도록 구성됨 -; 및 제어기- 제어기는 센서(7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회로 신호에 따라 접촉기를 턴오프 또는 턴온하도록 구동 장치(40)를 제어하기에 적합함 -를 더 포함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어기 및 센서(70)를 배열함으로써, 제1 연결 단자(1)가 결합 버스바(30)를 통해 제2 연결 단자(2)에 연결됨에 따라, 고전압 회로의 전류 및 발열량의 모두가 변화하고, 온도 변화가 대응적으로 발생한다. 센서(70)는 고전압 회로의 작동 프로세스에서 변화 정보(온도 변화, 전류 변화 등)를 획득하고, 변화 정보를 회로 신호의 형태로 제어기에 송신할 수 있다. 제어기는 회로 신호에 따라 고전압 회로의 차단 임계값(온도 임계값, 전압 임계값, 및 전류 임계값)에 도달했는지를 결정하고, 고전압 회로가 턴오프될 필요가 있을 때, 제2 단부(32)가 제2 연결 단자(2)로부터 전기적으로 분리될 수 있게 하도록 구동 장치(40)를 제어한다. 고전압 손실 및 비용을 감소시키기 위해 퓨즈가 배열될 필요가 없고, 접촉기를 턴오프되도록 제어한 후에, 본 개시내용의 접촉기를 사용하는 전기 장비가 계속 작동할 필요가 있는 경우, 전기 장비에 상위 고전압이 공급될 수 있는 것이 또한 보장될 수 있으며, 이는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6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미스터 및 서미스터에 대응하는 전압 변환 원리는 다음과 같고: V=(NTC/(NTC+R))xVCC, 여기서 V는 입력 전압이고, VCC는 표준 전압이고, R은 고정 저항기이고, NTC는 서미스터임; 따라서, 회로 신호(AD)의 계산 방식은 다음과 같다: AD=(V/VCC)x2n=(NTC/(NTC+R))x2n.
이러한 방식으로, 서미스터의 전압 값을 획득함으로써, 요구되는 회로 신호가 변환될 수 있다.
퓨즈가 끊긴 후에, 고전압 회로는 완전히 턴오프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본 개시내용에서, 제어기 및 센서(70)를 배열함으로써, 센서(70)로부터 획득된 정보에 기초하여 고전압 회로가 턴오프될 필요가 있더라도, 극단적인 조건 하에서, 안전성을 개선하기 위해 상위 고전압 전력이 여전히 공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개시내용의 접촉기는 전기 차량(10000)에서 사용되고, 회로 정보가 접촉기가 턴오프될 필요가 있지만 차량(10000)이 위험 조건에 있고 작동 조건을 유지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표시할 때, 상부 고전압 전력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차량(10000)이 안전한 위치로 주행하거나 위험 조건이 제거된 후에, 제2 단자(32)는 제2 연결 단자(2)로부터 전기적으로 분리된다.
또한, 제어기는 회로 신호에 따라 제1 연결 단자(1) 또는 제2 연결 단자(2) 또는 결합 버스바(30)의 온도, 전압, 또는 전류를 획득하도록 구성되고;
제어기는 제1 연결 단자(1) 또는 제2 연결 단자(2) 또는 결합 버스바(30)의 온도가 제1 온도 임계값보다 클 때 제2 전도 섹션(302)이 제2 연결 단자(2)로부터 전기적으로 분리될 수 있게 하도록 구성되고; 및/또는 제1 연결 단자(1) 또는 제2 연결 단자(2) 또는 결합 버스바(30)의 전압이 제1 전압 임계값보다 크고; 및/또는 제1 연결 단자(1) 또는 제2 연결 단자(2) 또는 결합 버스바(30)의 전류는 제1 전류 임계값보다 크다.
제어기는 제1 연결 단자(1) 또는 제2 연결 단자(2) 또는 결합 버스바(30)의 온도가 제2 온도 임계값 미만일 때 제2 전도 섹션(302)이 제2 연결 단자(2)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게 하도록 추가로 구성되고; 및/또는 제1 연결 단자(1) 또는 제2 연결 단자(2) 또는 결합 버스바(30)의 전압이 제2 전압 임계값 미만이고; 및/또는 제1 연결 단자(1) 또는 제2 연결 단자(2) 또는 결합 버스바(30)의 전류는 제2 전류 임계값 미만이다. 제2 온도 임계값은 제1 온도 임계값 이하이고, 제2 전압 임계값은 제1 전압 임계값 이하이고, 제2 전류 임계값은 제1 전류 임계값 이하이다.
다시 말해서, 본 개시내용의 접촉기는, 센서 및 제어기를 배열함으로써, 접촉기가 연결되는 고전압 회로의 전압이 설정된 제1 전압 임계값을 초과하거나, 전류가 설정된 제1 전류 임계값을 초과하거나, 온도가 설정된 제1 온도 임계값을 초과할 때 턴오프되어, 접촉기의 사용 안전성을 개선하고, 고전압 회로의 안전성 위험들을 감소시키고, 접촉기의 번아웃을 회피할 수 있다.
또한, 접촉기에 연결된 고전압 회로의 전압이 설정된 제2 전압 임계값 아래로 떨어질 때, 전류가 설정된 제1 전류 임계값 아래로 떨어지거나, 온도가 설정된 제1 온도 임계값 아래로 떨어질 때, 접촉기가 다시 턴온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따라서 접촉기에 연결된 고전압 회로가 제 시간에 작동 상태로 스위칭될 수 있고, 이는 사용 안전성을 효과적으로 개선하고, 특성 손실들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5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개시내용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르면, 접촉기는 하우징(206)을 더 포함한다. 하우징(206)은 수용 공간을 정의한다. 수용 공간에는 결합 버스바(30), 제1 연결 단자(1), 제2 연결 단자(2) 및 구동 장치(40)가 각각 배열된다. 제1 연결 단자(1) 및 제2 연결 단자(2)의 적어도 일부는 하우징(206)으로부터 돌출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하우징(206)의 배열을 통해, 구동 장치(40)는 외부 세계로부터 분리될 수 있고, 그에 의해 작동 안정성을 개선하고, 동시에 제4 구동 코일(401) 및 제3 마이크로 스위치(402)에 대한 외부 환경의 간섭을 감소시키고, 저전압 제어부의 제어 응답 효율을 개선한다.
또한, 저전압 신호 단자(60)는 하우징(206) 외부에 더 배열된다. 저전압 신호 단자(60)는 하우징(206) 상에 플러그가능하게 배열되고, 제4 구동 코일(401)에 연결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와이어 하네스 콘센트가 하우징(206) 상에 제공되고, 저전압 신호 단자(60)는 와이어 하네스 콘센트를 통해 하우징 밖으로 인출된다. 일부 다른 실시예들에서, 저전압 신호 단자(60)는 플러그-인 방식으로 하우징(206) 상에 고정되고, 플러그-인 인터페이스는 하우징(206) 상에 대응하여 배열된다. 플러그-인 인터페이스는 제4 구동 코일(401)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하우징(206) 내로 금속 와이어를 도입하여, 본 개시내용의 접촉기의 외관이 종래의 접촉기의 외관과 일치하게 하고, 이는 구조적 설계 및 재료 전환을 용이하게 하고, 연구 및 개발 사이클 및 개발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충전 및 배전 시스템(1000)은 전술한 실시예에서 배전기(2000)를 포함한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충전 및 배전 시스템(1000)은, 전술한 실시예에서 배전기(2000)를 배열함으로써, 프리차지 저항기(9) 및 복수의 직류 접촉기를 통합할 수 있다. 배전기(2000)의 레이아웃은 간단하며, 이는 복수의 접촉기에 의해 점유되는 공간을 감소시킬 수 있고, 또한 배전기(2000)의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충전 및 배전 시스템(1000)은 또한 차량의 충전 및 방전 요건을 충족시킬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10000)은 전술한 실시예에 따른 충전 및 배전 시스템(1000)을 포함한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10000)은, 전술한 실시예에서 충전 및 배전 시스템(1000)을 배열함으로써, 프리차지 저항기(9) 및 복수의 직류 접촉기를 통합할 수 있다. 배전기(2000)의 레이아웃은 간단하며, 이는 복수의 접촉기에 의해 점유되는 공간을 감소시킬 수 있고, 또한 배전기(2000)의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충전 및 배전 시스템(1000)의 레이아웃이 간단할 수 있고, 충전 및 배전 시스템(1000)에 의해 점유되는 공간이 감소될 수 있다. 또한, 충전 및 배전 시스템(1000)은 또한 차량의 충전 및 방전 요건을 충족시킬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의 배전기(2000)는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충전 파일(20000) 상에 배열된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충전 파일(20000)은, 전술한 실시예에서 배전기(2000)를 배열함으로써, 프리차지 저항기(9) 및 복수의 직류 접촉기를 통합할 수 있다. 배전기(2000)의 레이아웃은 간단하며, 이는 복수의 접촉기에 의해 점유되는 공간을 감소시킬 수 있고, 또한 배전기(2000)의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충전 파일(20000)의 레이아웃이 간단할 수 있고, 충전 파일(20000)이 점유하는 공간이 감소될 수 있다. 또한, 충전 파일(20000)은 또한 차량의 충전 및 방전 요건을 충족시킬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설명들에서, 참조 용어들 "실시예", "일부 실시예들", "예시적인 실시예", "예", "특정 예", 또는 "일부 예들"을 사용하는 설명들은 실시예 또는 예를 참조하여 설명된 특정 특성들, 구조들, 재료들, 또는 특징들이 본 개시내용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 또는 예에 포함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전술한 용어들의 개략적인 설명들이 반드시 동일한 실시예 또는 예를 가리키는 것은 아니다. 또한, 설명된 특정 특징들, 구조들, 재료들, 또는 특성들은 실시예들 또는 예들 중 임의의 하나 이상에서 적절한 방식으로 조합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이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개시내용의 원리들 및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실시예들에 대해 다양한 변경들, 수정들, 대체들, 및 변형들이 이루어질 수 있고, 본 개시내용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 및 그 등가물들에 의해 정의되는 바와 같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Claims (25)

  1. 배전기(2000)로서,
    외부 하우징(200);
    직류 충전 인터페이스(201), 전자 제어 단자 인터페이스(202), 및 배터리 단자 인터페이스(203)- 상기 직류 충전 인터페이스(201), 상기 전자 제어 단자 인터페이스(202), 및 상기 배터리 단자 인터페이스(203)는 각각 상기 외부 하우징(200) 내에 배열됨 -;
    제1 접촉기(K1)- 상기 제1 접촉기(K1)는 상기 전자 제어 단자 인터페이스(202)의 양극 단자와 상기 배터리 단자 인터페이스(203)의 양극 단자 사이에 연결됨 -;
    제2 접촉기(K2)- 상기 제2 접촉기(K2)는 상기 전자 제어 단자 인터페이스(202)의 음극 단자와 상기 배터리 단자 인터페이스(203)의 음극 단자 사이에 연결됨 -;
    제3 접촉기(K3) 및 프리차지 저항기(9)- 상기 제3 접촉기(K3) 및 상기 프리차지 저항기(9)는 직렬로 연결되어 프리차지 브랜치를 형성하고; 상기 프리차지 브랜치 및 상기 제1 접촉기(K1)는 병렬로 연결되고, 상기 프리차지 브랜치는 상기 전자 제어 단자 인터페이스(202)의 양극 단자와 상기 배터리 단자 인터페이스(203)의 양극 단자 사이에 연결되거나; 또는 상기 프리차지 브랜치와 상기 제2 접촉기(K2)는 병렬로 연결되고, 상기 프리차지 브랜치는 상기 전자 제어 단자 인터페이스(202)의 음극 단자와 상기 배터리 단자 인터페이스(203)의 음극 단자 사이에 연결됨 -;
    제4 접촉기(K4)- 상기 제4 접촉기(K4)는 상기 직류 충전 인터페이스(201)의 양극 단자와 상기 배터리 단자 인터페이스(203)의 양극 단자 사이에 연결됨 -; 및
    제5 접촉기(K5)- 상기 제5 접촉기(K5)는 상기 직류 충전 인터페이스(201)의 음극 단자와 상기 배터리 단자 인터페이스(203)의 음극 단자 사이에 연결됨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접촉기(K1), 상기 제2 접촉기(K2), 상기 제3 접촉기(K3), 상기 프리차지 저항기(9), 상기 제4 접촉기(K4), 및 상기 제5 접촉기(K5)는 각각 선택적으로 턴온 또는 턴오프되고 각각 상기 외부 하우징(200) 내에 위치되는, 배전기(2000).
  2. 제1항에 있어서, 제1 내부 쉘(204)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내부 쉘(204)은 상기 외부 하우징(200)에 고정적으로 배열되고, 상기 제1 접촉기(K1), 상기 제2 접촉기(K2), 상기 제3 접촉기(K3), 및 상기 프리차지 저항기(9)는 상기 제1 내부 쉘(204)에 통합되고, 상기 제1 접촉기(K1)의 입력 단자 및 출력 단자 둘 다는 상기 제1 내부 쉘(204) 상에 배열되고, 상기 제2 접촉기(K2)의 입력 단자 및 출력 단자 둘 다는 상기 제1 내부 쉘(204) 상에 배열되는, 배전기(2000).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촉기(K1) 및 상기 제2 접촉기(K2) 모두는 주 결합 전도체(3)를 포함하고, 주 결합 전도체(3)는 대응하는 입력 단자에 연결되고, 주 결합 전도체(3)는 대응하는 출력 단자에 선택적으로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3 접촉기(K3)는 프리차지 결합 전도체(91)를 포함하고, 상기 프리차지 결합 전도체(91) 및 상기 프리차지 저항기(9)는 상기 제1 접촉기(K1) 및 상기 제2 접촉기(K2) 중 하나의 입력 단자 및 출력 단자에 개별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프리차지 결합 전도체(91)는 상기 프리차지 저항기(9)에 선택적으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배전기(2000).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부 쉘(204) 내에 구동 조립체(4)가 배열되고, 상기 구동 조립체(4)는 상기 주 결합 전도체(3)를 대응하는 출력 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구동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프리차지 결합 전도체(91)를 상기 프리차지 저항기(9)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구동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배전기(2000).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조립체(4)는 제1 팬 형상 부분(411), 제2 팬 형상 부분(412), 및 제3 팬 형상 부분(413)을 포함하고, 상기 주 결합 전도체(3)는 제1 결합 전도체(3a) 및 제2 결합 전도체(3b)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팬 형상 부분(411)은 상기 제1 결합 전도체(3a)를 추진하고 상기 제1 결합 전도체(3a)에 대한 추진을 해제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 팬 형상 부분(412)은 상기 제2 결합 전도체(3b)를 추진하고 상기 제2 결합 전도체(3b)에 대한 추진을 해제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3 팬 형상 부분(413)은 상기 프리차지 결합 전도체(91)를 추진하고 상기 프리차지 결합 전도체(91)에 대한 추진을 해제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 결합 전도체(3a)는 상기 제1 접촉기(K1)의 입력 단자에 연결되고, 상기 제1 결합 전도체(3a)는 상기 제1 접촉기(K1)의 출력 단자에 선택적으로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2 결합 전도체(3b)는 상기 제2 접촉기(K2)의 입력 단자에 연결되고, 상기 제2 결합 전도체(3b)는 상기 제2 접촉기(K2)의 출력 단자에 선택적으로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여기서
    상기 제1 결합 전도체(3a)는 상기 제1 접촉기(K1)의 출력 단자에 대향하여 배열되고, 상기 제2 결합 전도체(3b)는 상기 제2 접촉기(K2)의 출력 단자에 대향하여 배열되고, 상기 제1 팬 형상 부분(411)이 상기 제1 결합 전도체(3a)를 추진할 때, 상기 제1 결합 전도체(3a)는 상기 제1 접촉기(K1)의 출력 단자에 연결되고, 상기 제2 팬 형상 부분(412)이 상기 제2 결합 전도체(3b)를 추진할 때, 상기 제2 결합 전도체(3b)는 상기 제2 접촉기(K2)의 출력 단자에 연결되고, 상기 제3 팬 형상 부분(413)이 상기 프리차지 결합 전도체(91)를 추진할 때, 상기 프리차지 결합 전도체(91)는 상기 프리차지 저항기(9)에 연결되는, 배전기(2000).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조립체(4)는 제1 전원(42) 및 제1 전동 로드(43)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전원(42)은 상기 제1 전동 로드(43)의 단부 부분에 연결되고 상기 제1 전동 로드(43)를 회전 구동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 팬 형상 부분(411), 상기 제2 팬 형상 부분(412), 및 상기 제3 팬 형상 부분(413)은 각각 상기 제1 전동 로드(43) 상에 배열되고, 상기 제1 팬 형상 부분(411), 상기 제2 팬 형상 부분(412), 및 상기 제3 팬 형상 부분(413)은 각각 제1 축을 중심으로 동기식으로 회전하고, 상기 제1 축은 상기 제1 전동 로드(43)의 축과 일치하고, 및
    회전 과정에서, 상기 제1 팬 형상 부분(411), 상기 제2 팬 형상 부분(412), 및 상기 제3 팬 형상 부분(413)은 개별적으로 상기 제1 결합 전도체(3a), 상기 제2 결합 전도체(3b), 및 상기 프리차지 결합 전도체(91)를 추진하고, 상기 제1 결합 전도체(3a), 상기 제2 결합 전도체(3b), 및 상기 프리차지 결합 전도체(91)에 대한 상기 추진을 해제하는, 배전기(2000).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2 내부 쉘(205)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내부 쉘(205)은 상기 외부 하우징(200) 내에 고정 배열되고, 상기 제4 접촉기(K4) 및 상기 제5 접촉기(K5)는 상기 제2 내부 쉘(205) 내에 통합되고, 상기 제4 접촉기(K4)의 입력 단자 및 출력 단자의 모두는 상기 제2 내부 쉘(205) 상에 배열되고, 상기 제5 접촉기(K5)의 입력 단자 및 출력 단자의 모두는 상기 제2 내부 쉘(205) 상에 배열되는, 배전기(2000).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내부 쉘(205) 내에 제1 전동 조립체(444), 제1 구동 코일(53), 및 제2 구동 코일(63)이 배열되고, 상기 제4 접촉기(K4) 및 상기 제5 접촉기(K5) 모두는 주 결합 전도체(3)를 포함하고, 상기 주 결합 전도체(3)는 대응하는 입력 단자에 연결되고, 및
    상기 제1 전동 조립체(444)는 제1 마이크로 스위치(445) 및 제1 종동 부재(442)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마이크로 스위치(445)는 제1 종동 부재(442)와 전력 연결되고, 상기 제1 종동 부재(442)는 상기 주 결합 전도체(3)에 연결되고, 상기 제1 구동 코일(53) 및 상기 제2 구동 코일(63)은 상기 주 결합 전도체(3)를 상기 출력 단자에 결합되도록 구동하기 위해 통전된 후에 자기력을 발생시킴으로써 상기 제1 마이크로 스위치(445)를 제1 방향을 향해 이동하게 구동하거나, 상기 주 결합 전도체(3)를 상기 출력 단자로부터 분리되도록 구동하기 위해 상기 제1 마이크로 스위치(445)를 제2 방향을 향해 이동하게 구동하도록 구성되는, 배전기(2000).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동 코일(53) 및 상기 제2 구동 코일(63)은 이격되고, 상기 제1 마이크로 스위치(445)는 제2 축을 중심으로 상기 제1 구동 코일(53)과 상기 제2 구동 코일(63)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여기서
    상기 제1 구동 코일(53) 및 상기 제2 구동 코일(63)은 상기 제1 마이크로 스위치(445)를 상기 제2 축을 중심으로 상기 제1 방향을 향해 회전하게 구동하도록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제1 마이크로 스위치(445)를 상기 제2 축을 중심으로 상기 제2 방향을 향해 회전하게 구동하도록 구성되는, 배전기(2000).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동 조립체(444)는 제1 전동 부재(443)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전동 부재(443)는 제3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제1 기어 부분(431)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마이크로 스위치(445)는 상기 제2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제1 원호-형상 치형부 부분(441)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기어 부분(431) 및 상기 제1 원호-형상 치형부 부분(441)은 치형부 구조를 통해 맞물림 전동하고;
    상기 제1 전동 부재(443)는 상기 제3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제2 기어 부분(432)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종동 부재(442)는 제1 래크 부분(421)을 포함하고, 상기 제2 기어 부분(432) 및 상기 제1 래크 부분(421)은 치형부 구조를 통해 맞물림 전동하는, 배전기(2000).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4 접촉기(K4) 및 상기 제5 접촉기(K5) 모두는, 주 결합 전도체(3)를 포함하고, 상기 주 결합 전도체(3)는 대응하는 입력 단자에 연결되고, 상기 주 결합 전도체(3)는 대응하는 출력 단자에 선택적으로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2 내부 쉘(205) 내에 구동 메커니즘(75)이 배열되고, 상기 구동 메커니즘(75)은 제4 팬 형상 구동 부분(77)을 포함하고, 상기 제4 팬 형상 구동 부분(77)은 제4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회전 과정에서, 상기 제4 팬 형상 구동 부분(77)은 상기 제4 접촉기(K4)의 상기 주 결합 전도체(3) 및 상기 제5 접촉기(K5)의 상기 주 결합 전도체를 추진하고, 상기 제4 접촉기(K4)의 상기 주 결합 전도체(3) 및 상기 제5 접촉기(K5)의 상기 주 결합 전도체(3)에 대한 추진을 해제하고, 상기 제4 팬 형상 구동 부분(77)이 복수의 주 결합 전도체(3)를 추진할 때, 상기 복수의 주 결합 전도체(3)는 대응하는 출력 단자에 개별적으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배전기(2000).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4 팬 형상 구동 부분(77)은 상기 제4 축을 따라서 이격된 제1 팬 형상 하위-부분(78) 및 제2 팬 형상 하위-부분(79)을 포함하고, 상기 주 결합 전도체(3)는 제3 결합 전도체(3c) 및 제4 결합 전도체(3d)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팬 형상 하위-부분(78)은 상기 제3 결합 전도체(3c)를 추진하고 상기 제3 결합 전도체(3c)에 대한 추진을 해제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 팬 형상 하위-부분(79)은 상기 제4 결합 전도체(3d)를 추진하고 상기 제4 결합 전도체(3d)에 대한 추진을 해제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3 결합 전도체(3c)는 상기 제4 접촉기(K4)의 입력 단자에 연결되고, 상기 제3 결합 전도체(3c)는 상기 제4 접촉기(K4)의 출력 단자에 선택적으로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4 결합 전도체(3d)는 상기 제5 접촉기(K5)의 입력 단자에 연결되며, 상기 제4 결합 전도체(3d)는 상기 제5 접촉기(K5)의 출력 단자에 선택적으로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3 결합 전도체(3c)는 상기 제4 접촉기(K4)의 출력 단자에 대향하여 배열되고, 상기 제4 결합 전도체(3d)는 상기 제5 접촉기(K5)의 출력 단자에 대향하여 배열되는, 배전기(2000).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팬 형상 하위-부분(78) 및 상기 제2 팬 형상 하위-부분(79)은 상기 제4 축을 따라서 서로 직접 대면되어 배열되고, 상기 제4 축을 중심으로 동기식으로 회전되며, 회전 과정에서, 상기 제1 팬 형상 하위-부분(78) 및 상기 제2 팬 형상 하위-부분(79)은 상기 제3 결합 전도체(3c) 및 상기 제4 결합 전도체(3d)를 동시에 추진하고 상기 제3 결합 전도체(3c) 및 상기 제4 결합 전도체(3d)에 대한 추진을 동시에 해제하는, 배전기(2000).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메커니즘(75)은 제2 전원(791) 및 제2 전동 로드(792)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전원(791)은 상기 제2 전동 로드(792)의 단부 부분에 연결되고 상기 제2 전동 로드(792)를 회전 구동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 팬 형상 하위-부분(78) 및 상기 제2 팬 형상 하위-부분(79) 둘 모두는 상기 제2 전동 로드(792) 상에 배열되고, 상기 제1 팬 형상 하위-부분(78) 및 상기 제2 팬 형상 하위-부분(79) 둘 모두는 상기 제4 축을 중심으로 동기식으로 회전하고, 상기 제4 축은 상기 제2 전동 로드(792)의 축과 일치하는, 배전기(2000).
  15.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3 내부 쉘(206) 및 제4 내부 쉘(207)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내부 쉘(206) 및 상기 제4 내부 쉘(207)의 모두는 상기 외부 하우징(200) 내에 고정적으로 배열되고, 상기 제4 접촉기(K4)는 상기 제3 내부 쉘(206) 내에 배열되고, 상기 제5 접촉기(K5)는 상기 제4 내부 쉘(207) 내에 배열되고, 상기 제4 접촉기(K4)의 입력 단자 및 출력 단자의 모두는 상기 제3 내부 쉘(206) 상에 배열되고, 상기 제5 접촉기(K5)의 입력 단자 및 출력 단자의 모두는 상기 제4 내부 쉘(207) 상에 배열되는, 배전기(2000).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4 접촉기(K4) 및/또는 상기 제5 접촉기(K5)는 제2 전동 조립체(100), 주 결합 전도체(3), 및 제3 구동 코일(112)을 포함하고, 상기 주 결합 전도체(3)는 대응하는 입력 단자에 연결되고,
    상기 제2 전동 조립체(100)는 제2 마이크로 스위치(101), 제2 전동 부재(109), 및 제2 종동 부재(108)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마이크로 스위치(101) 및 상기 제2 전동 부재(109)는 맞물림 전동하고, 상기 제2 전동 부재(109) 및 상기 제2 종동 부재(108)는 맞물림 전동하고, 상기 제2 종동 부재(108)는 상기 주 결합 전도체(3)에 연결되고; 상기 제3 구동 코일(112)은 통전된 후에 자기력을 발생시킴으로써 상기 제2 마이크로 스위치(101)를 이동하게 구동하도록 구성되고; 여기서
    상기 제2 전동 조립체(100)는 상기 제2 마이크로 스위치(101)가 이동할 때 상기 제2 전동 부재(109)를 통해 상기 제2 종동 부재(108)를 이동하게 구동하여, 상기 주 결합 전도체(3)가 대응하는 출력 단자에 결합될 수 있게 하도록 구성되는, 배전기(2000).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마이크로 스위치(101)는 제5 축 주위로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 전동 부재(109)는 제6 축 주위로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5 축 및 상기 제6 축은 수직으로 분포되고;
    상기 제2 마이크로 스위치(101)는 상기 제5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제2 원호-형상 치형부 부분(102)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전동 부재(109)는 상기 제6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제3 기어 부분(110)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원호-형상 치형부 부분(102) 및 상기 제3 기어 부분(110)은 맞물림 전동하고;
    상기 제2 전동 부재(109)는 상기 제6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제4 기어 부분(111)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종동 부재(108)는 제2 래크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4 기어 부분(111) 및 상기 제2 래크 부분은 맞물림 전동하는, 배전기(2000).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4 접촉기(K4) 및/또는 상기 제5 접촉기(K5)는 구동 장치(40) 및 결합 버스바(30)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 버스바(30)는 제1 전도 섹션(301) 및 제2 전도 섹션(302)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전도 섹션(301) 및 상기 제2 전도 섹션(302)은 서로 연결되고 서로에 대해 회전 가능하고, 상기 제1 전도 섹션(301)은 대응하는 입력 단자 상에 고정되고, 상기 제2 전도 섹션(302)은 대응하는 출력 단자에 선택적으로 전기적으로 연결되거나 분리되고;
    상기 구동 장치(40)는 상기 출력 단자를 향해 또는 상기 출력 단자로부터 멀어지게 이동하도록 상기 제2 전도 섹션(302)을 구동하도록 구성되고; 여기서
    상기 입력 단자 및 상기 출력 단자는 제3 방향으로 상기 결합 버스바(30)에 대향하여 개별적으로 배열되고, 상기 결합 버스바(30), 상기 입력 단자, 및 상기 출력 단자 중 적어도 하나는 제4 방향으로 상기 구동 장치(40)에 대향하여 배열되고, 상기 제3 방향은 상기 제4 방향에 직교하는, 배전기(2000).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장치(40)는 제3 마이크로 스위치(402) 및 제4 구동 코일(401)을 포함하고, 상기 제3 마이크로 스위치(402)는 상기 제3 방향으로 상기 제4 구동 코일(401)에 대향하여 배열되고, 상기 제3 마이크로 스위치(402)는 상기 제4 구동 코일(401)의 자기력의 작용 하에서 고정축을 중심으로 스윙하기에 적합하고, 상기 제3 마이크로 스위치(402)는 상기 출력 단자를 향해 또는 상기 출력 단자로부터 멀어지게 이동하도록 상기 제2 전도 섹션(302)을 구동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4 구동 코일(401)은 상기 제4 방향으로 상기 입력 단자 및 상기 출력 단자에 각각 대향하여 배열되고, 상기 제3 마이크로 스위치(402)는 상기 제4 방향으로 상기 결합 버스바(30)에 대향하여 배열되는, 배전기(2000).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마이크로 스위치(402)는 구동 플랫폼(403) 및 연결 프레임(404)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 프레임(404)의 일 단부는 상기 구동 플랫폼(403)에 연결되고, 상기 연결 프레임(404)의 다른 단부는 상기 제2 전도 섹션(302)에 연결되고, 상기 구동 플랫폼(403)은 상기 제4 구동 코일(401)의 자기력의 작용 하에서 스윙하기에 적합하고, 상기 구동 플랫폼(403)은 상기 연결 프레임(404)을 스윙하도록 구동한 다음, 상기 제2 전도 섹션(302)을 상기 출력 단자를 향해 또는 상기 출력 단자로부터 멀리 이동하게 구동하도록 구성되는, 배전기(2000).
  21. 제1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6 접촉기(K6), 제7 접촉기(K7), 및 교류 충전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6 접촉기(K6)는 상기 교류 충전 인터페이스의 양극 단자와 상기 배터리 단자 인터페이스(203)의 양극 단자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제7 접촉기(K7)는 상기 교류 충전 인터페이스의 음극 단자와 상기 배터리 단자 인터페이스(203)의 음극 단자 사이에 연결되는, 배전기(2000).
  22. 제1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온도 센서 및 제어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온도 센서는 상기 제어기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온도 센서는 상기 제1 접촉기(K1), 상기 제2 접촉기(K2), 상기 제3 접촉기(K3), 상기 제4 접촉기(K4), 상기 제5 접촉기(K5), 및/또는 상기 프리차지 저항기(9)의 회로 신호들을 검출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회로 신호에 따라 턴온 또는 턴오프되도록 상기 제1 접촉기(K1), 상기 제2 접촉기(K2), 상기 제3 접촉기(K3), 상기 제4 접촉기(K4), 상기 제5 접촉기(K5), 및/또는 상기 프리차지 저항기(9)를 제어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회로 신호는 온도 변화, 전압 변화, 및 전류 변화를 포함하는, 배전기(2000).
  23. 제1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배전기(2000)를 포함하는 차량용 충전 및 배전 시스템(1000).
  24. 제23항에 따른 차량(10000)용 충전 및 배전 시스템(1000)을 포함하는 차량(10000).
  25. 제1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배전기(2000)를 포함하는 충전 파일(20000).
KR1020237039506A 2021-09-03 2022-09-02 배전기, 차량용 충전 및 배전 시스템, 차량 및 충전 파일 KR2023017256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111032872.2 2021-09-03
CN202111032872.2A CN115742783A (zh) 2021-09-03 2021-09-03 配电器、车辆的充配电系统、车辆以及充电桩
PCT/CN2022/116730 WO2023030485A1 (zh) 2021-09-03 2022-09-02 配电器、车辆的充配电系统、车辆以及充电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72560A true KR20230172560A (ko) 2023-12-22

Family

ID=853325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39506A KR20230172560A (ko) 2021-09-03 2022-09-02 배전기, 차량용 충전 및 배전 시스템, 차량 및 충전 파일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40092197A1 (ko)
EP (1) EP4331895A1 (ko)
KR (1) KR20230172560A (ko)
CN (1) CN115742783A (ko)
AU (1) AU2022336934A1 (ko)
WO (1) WO2023030485A1 (ko)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59611A2 (en) * 2011-10-21 2013-04-25 Cobasys, Llc Modular battery disconnect unit
CN106229858B (zh) * 2016-08-15 2018-05-18 成都云科新能汽车技术有限公司 一种电动汽车高压箱
CN107706997A (zh) * 2017-11-09 2018-02-16 中山大学 智能均衡配电设备、智能均衡配电系统和复合能源系统
KR102037263B1 (ko) * 2018-01-12 2019-11-26 주식회사 이룸에이티 고전압 전원 분배장치 및 고전압 전원 분배장치의 운영방법
CN210082958U (zh) * 2019-03-15 2020-02-18 北京新能源汽车股份有限公司蓝谷动力系统分公司 电动汽车及其动力电池的充放电电路
CN111614237B (zh) * 2020-06-17 2022-03-08 东风汽车有限公司 预充电路、配电装置及电动汽车
CN112026522B (zh) * 2020-08-20 2024-03-29 吴江绿控电控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自动预充电功能的供电电路
CN213472813U (zh) * 2020-08-31 2021-06-18 比亚迪股份有限公司 一种电动车辆及其充电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331895A1 (en) 2024-03-06
WO2023030485A1 (zh) 2023-03-09
AU2022336934A1 (en) 2024-01-04
US20240092197A1 (en) 2024-03-21
CN115742783A (zh) 2023-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939107B (zh) 电机控制装置
EP4030458B1 (en) Direct current contactor and automobile
EP4145485A1 (en) Direct current contactor and vehicle
KR20170009348A (ko) 영구자석을 포함한 전기자동차용 릴레이 및 그 제조방법
KR20230172560A (ko) 배전기, 차량용 충전 및 배전 시스템, 차량 및 충전 파일
CN215751973U (zh) 接触器、车辆充配电系统、充电桩以及车辆
CN112277673A (zh) 一种通道选择器及pdu系统
CN102339686A (zh) 一种低耗高效的电磁系统
CN115742787A (zh) 用于车辆的充电系统的直流充电座和具有其的充电系统
CN207800509U (zh) 接触器
CN116141993A (zh) 接触器、充配电系统、车辆和充电桩
CN203799968U (zh) 一种多极开关装置
US20240100975A1 (en) Contactor for vehicle, vehicle charging and power distribution system, charging pile, and vehicle
CN207690739U (zh) 一种小型断路器的脱扣器
CN220065576U (zh) 一种继电器控制节能装置
CN2884506Y (zh) 电磁式/永磁式二极漏电开关
CN115742789A (zh) 接触器、充配电系统、车辆和充电桩
CN205583836U (zh) 手车式10kV双电源自动切换开关
CN115742788A (zh) 接触器、充电桩以及车辆
CN115742785A (zh) 接触器、充电桩以及车辆
CN115742784A (zh) 接触器、充配电系统、车辆和充电桩
CN210866024U (zh) 一种户内直流接地开关
CN214313061U (zh) 一种双联继电器
TWI839147B (zh) 模組化接觸器盒
CN109786179B (zh) 一种用于直流电源管理的双稳态继电器